J Korean Soc Cosmetol > Volume 27(5); 2021 > Article
미용기능장 구성제도에 관한 인식이 미용종사자의 직무만족에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Abstract

As the beauty industry grows and the level of beauty technology increases, companies must deploy highly qualified workers, among whom beauty salons are certificates obtained by the best technology hairdressers in the beauty field, but they require high technology, time and cost, but have low acceptance and recognition. Therefore, in this study, we sough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eauty salon perceptions on compositional system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s for general hairdressers, and analyzed a total of 289 copies using SPSS21.0 as a self-entry survey. First, female managers in their 40s, who earn more than 5 million won with more than seven years of experience, and secondly, the necessity, adequacy, comple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were derived in a single dimension. Third, due to the effect of recognition of beauty functional systems on the composition of beauty functional testing systems, the higher the propensity for recognition, the higher the propensity for appropriateness, and the higher the propensity for subsidiarity. Fourth, job satisfaction showed a fifth definition relationship with a higher propensity for awareness, and a higher tendency for turnover meant a definition relationship with a higher propensity for awareness. As such, it is very important to raise awareness of beauty salons in order to develop the beauty industry and improve advanced technology, and efforts should be made to establish a system to revitalize the beauty salons' system on-site.

I. 서 론

빠른 현대산업의 발달은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환경을 변화시켰고 그에 따른 현대인들의 삶의 질에 관한 이상적 가치관과 직업에 가치관도 개성과 적성에 따라 변화하고 있다. 또한 자신의 직업을 평생 직업으로 여겼던 과거와는 다르게 미래를 예측(Hong & Kim, 2007)하기 어려워졌고 자신의 개성과 성향에 맞게 직업에 관한 선택이 다양해졌다.
미용산업 또한 현대산업의 발달과 함께 크게 성장하면서 지속적인 증가추세와 전문분야로 기업화, 대형화(Choe, 2012)를 이루고 있으며 과거와는 다르게 미용의 정의는 더 다양해지고 그에 따라 소비자들의 요구 수준이 점점 높아지면서 미용종사자들은 더 높은 기술력과 전문성을 갖추기 위해 자기개발에 노력을 하고 있다.
따라서 인적서비스를 중심으로 하는 미용산업에서 생산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인적자원인 미용종사자들의 전문성과 기술력은 매우 중요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훌륭한 자질을 가지고 있는 종사자들의 배치는 동종업계에서 우위를 확보하고 경쟁력에서 살아남기 위한 중요(Lee & Im, 2013)한 요인으로 그 중 실력에 따른 인적 배치는 기업의 성공을 위한 필수요소이지만 전문 인적 자원들을 채택하는 과정에서 그들의 전문성과 기술력을 객관적으로 척도하기가 쉽지 않다.
현재 이러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가장 이상적인 방법은 국가기술자격증으로 미용직의 경우 전문직 기술자로서 기능사(일반, 메이크업, 피부, 네일아트), 기능장 자격증이 있다. 그 중에 미용기능장은 미용분야 중 최고의 기술력을 가진 미용사들이 취득하는 자격증으로 고급기술능력이 필요한 자격증이다.
우리나라의 자격제도는 기술사, 기능장, 기사, 산업기사, 기능사의 5등급으로 나누어져 있지만 미용은 미용사와 기능장의 2등급으로 단일화 되어있고 등급 간의 교육 수준과 응시 조건의 차이가 급격하게 나기 때문에 기능장을 취득하고 싶어 하는 지원자 입장에서 미용사를 취득하고 미용장을 취득하기까지 요구되는 시간과 경제적, 기술적, 정신적이 부담(Jang, 2012)이 있고 기능장 제도는 실기시험 예상 문제가 공식적으로 출제 되어 있는 미용사 자격증과 달리 시험에 관한 정보가 많지 않기에 실기시험 문제를 예측하기 힘들고 전문기관을 통해 교육을 받아야 한다. 또한 과거에는 취득자에 대한 직업적, 금전적 우대가 존재하였으나 현재는 전무한 상태(Lee et al., 2018) 등의 문제점으로 미용종사자들과 소비자들에게 인지도가 낮아 일반 미용종사자들은 미용사와 미용기능장의 차이점에 관한 인식이 낮다(Choi, 2012).
현재 미용기능장에 관한 선행연구는 기능장 재도 혁신 방안 연구(Lee et al., 2018), 미용장자격증 취득실태 및 자격제도 개선방안(Joo, 2016), 미용장의 교육훈련요인, 교육훈련성과 및 자아존중감과의 상관관계(Lee & Im, 2013), 미용기능장 제도 인식 및 개선방안연구(Choe, 2012), 미용장의 개인역량과 직무만족, 직무몰입 및 직무성과에 관한 연구(Choi, 2007) 등이 있다.
이와같이 선행연구는 기능장을 대상으로 연구가 되었을 뿐 일반 미용종사자들이 인식하는 기능장에 따른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가의 자격증제도의 본질인 산업현장을 관리하는 고급기능인력을 확보하고 기능 습득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이를 권장하여 기능인의 사회적 지위를 향상시킨다는 기능장 제도의 목적(Lee et al., 2018)을 위해 일반 미용종사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생각하는 미용기능장의 인식을 알아보고 인식에 따른 실기시험의 구성제도, 인지도에 따른 직무만족, 이직의도를 알아봄으로서 미용기술경쟁력을 확보하고 능력을 발전시키며 미용기능장의 취득에 대한 필요성을 알리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II. 이론적 배경

1. 미용기능장

미용기능장의 개요는 최상급 실력의 숙련기술을 가지고 산업현장에서 직업관리, 소속기능의 인력지도 및 감독, 현장 훈련, 현장 관리업무를 수행하는 전문인력을 양성하고자 자격제도를 제정(hrd korea)한다.
1998년 미용기능장에서 1995년 미용장으로 자격명칭이 변경되었고 취득자격 요건은 기능대학의 기능장 과정이수자, 이수 예정자, 기능사 취 득 후 7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9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 외국에서 동일 종목에 해당하는 자격을 취득한 사람 등이다(Choi, 2012).
미용기능장은 현재 한국산업관리공단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국민의 건강과 직결되어 있는 중요분야로 향후 국가의 산업구조가 서비스업 중심으로 전환되는 차원에서 수요가 증대하고 있으며 미용산업의 과학화, 기업화 됨에 따라 미용기능장의 지위 및 대우가 향상되고 작업조건도 양호해 질것으로 전망된다(q-net).

2. 미용기능장의 시험 제도 구성 및 검정기준

미용기능장의 자격시험은 매년 2회 실시되고 있으며 2021년 2월 기준으로 69회째가 실행 될 예정이다.
미용기능장의 자격시험과목 필기시험과 실기시험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필기과목의 출제내용은 미용개론, 공중보건 및 소독, 공중위생관련법규 등의 내용으로 객관식 4지 택일형 60문항 100점 기준으로 60점 이상을 맞혀야 합격 할 수 있으며 실기시험은 2021년 개정 된 출제기준을 바탕으로 응용헤어커트, 응용헤어퍼머넌트 웨이브, 헤어세팅, 업스타일, 응용헤어컬러링 등에서 응용헤어퍼머넌트 웨이브와 헤어세팅 중 1과목이 선택되고 총 4과목에 대해 실시되며 60점 이상이 합격이다(hrd korea).
현재 미용기능장의 취득현황은 필기시험은 1991년 이후 2020년 까지 총 8,160명이 응시하여 4,960명이 합격하였으며 평균합격률은 60,8%로 나타나고 있으며 실기시험은 총 9.014명이 응시하여 1,255명이 합격하였으며 평균합격률은 13.9%로 낮은 합격률을 보인다(hrd korea).
미용기능장의 자격시험은 높은 수준의 창의력, 기술력을 필요로 하는 시험으로 고급인력을 양성하는데 필요한 제도이지만 이와 같이 취득을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고 있지만 합격률이 낮은 것이 현실이다(Choe et al., 2020). 따라서 미용기능장의 가치와 평가를 위해 인지도를 높이고 발전시키며 전문적인 역할을 수행 할 수 있도록 제도의 인식과 구성에 관해 연구한다면 미용기능장 취득에 자존감은 높아질 것으로 사료된다.

3. 직무만족

직무만족의 정의는 직무에 대한 개인의 일반적인 태도를 말하는 것으로 개인이 평상시의 직무나 직무 경험의 평가에서 오는 긍정적 상태이며 또한 직무와 관련하여 태도, 가치, 신념, 욕구 등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이러한 요소들의 충족의 정도는 근로 의욕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직무동기부여와도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Locke, 1976).
Kim(2011)은 직무만족은 자신의 상황에 대한 개인적인 반응에 깊은 관심을 갖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으로 개인이 자신에게 부여된 직무와 관련된 조직 내의 의사소통, 업무의 자율성과 책임, 업무를 습득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 등을 말하는 것이라 하였다.
Hwang(2007)은 직무만족은 조직의 효과적 관리운영과 개인의 생활전반에 걸친 만족도를 결정하므로 개인의 행복측면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나타나며 개인적 차원에서는 성취감과 보람, 조직의 차원에서는 조직의 원활한 운영을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

4. 이직의도

이직이란 현 근무지에서 업무활동을 그만두고 다른 근무지로 옮기는 것을 의미하며 사회 시스템의 구성원 경계를 넘나드는 개인의 이동으로 정의된다(Price, 1977).
이직은 원인에 따라 내부적 이직과 외부적 이직으로 분류되며 내부적 이직은 조직내부의 관리와 통제에 의한 것이고 외부적 이직은 전반적 고용상황, 실업률, 시장경쟁에 의한 것이며 이러한 분류는 범주가 넓어 근본적인 이직원인을 구분하기 어렵고 두 가지의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 할 수 도 있다(Jeon & Im, 2010).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문제

본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첫 번째,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고 두 번째, 미용기능장 제도 인식, 미용기능장 실기시험 제도의 구성, 직무, 이직의도의 차원, 세 번째, 미용기능장 제도 인식이 미용기능장 실기시험 제도의 구성에 미치는 영향, 네 번째, 미용기능장 제도 인식이 직무에 미치는 영향, 다섯 번째, 미용기능장 제도 인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미용종사자를 대상으로 예비조사 50부를 실시하여 수정·보완 후 본 조사는 2021년 2월 16일부터 2021년 2월 28일까지 13일 동안 이루어졌으며 총 321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부를 수거, 응답이 불성실한 32부를 제외한 289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3. 측정도구 및 분석방법

본 연구의 측정도구로 사용된 설문문항은 <Table 1>과 같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통해 분석되었으며, 자료의 분석은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에 맞춰 순차적으로 적용되었다.
빈도분석,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 시 요인 추출방법으로 주성분 분석법, 요인 회전방법으로 Varimax가 사용되었다. 변수의 신뢰도분석은 Cronbach's α값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조사대상의 인구통계적 특성

조사대상의 인구통계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성별은 여 65.1%, 남 34.9%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은 40대 40.1%, 50대 이상 24.6%, 20대 18.7%, 30대 16.6% 순으로 나타났다.
최종학력은 전문대 재학/졸업 33.6%, 고졸 이하 30.8%, 대학교 재학/졸업 22.8%, 대학원 이상 12.8% 순으로 나타났다.
직위는 전문대 재학/졸업 69.6%, 헤어 디자이너 13.1%, 기타 10.4%, 인턴 6.9% 순으로 나타났다.
월 평균 소득은 500만원 이상 42.6%, 300~500만원 미만 28.7%, 200만원 미만 19.7%, 200만원 이상~300만원 미만 9.0% 순으로 나타났다.
미용 경력은 7년 이상 76.1% 1년 미만 8.3%, 1년 이상~3년미만 8.0%, 5년 이상~7년 미만 7.6% 순으로 나타났다.

2. 미용기능장 제도 인식, 미용기능장 실기시험 제도의 구성, 직무, 이직의도의 차원

미용기능장 제도 인식, 미용기능장 실기시험 제도의 구성, 직무, 이직의도를 측정하기 위해 구성된 각각 5개, 14개, 9개, 4개 문항을 요인분석 하기에 앞서 측정한 자료가 요인분석의 가정을 만족시키는지 알아보았다. Bartlett 구형성을 알아본 결과 χ2은 각각 72.604(df=6, Sig.=0.000), 566.561(df=55, Sig.=0.000), 790.702(df=36, Sig.=0.000), 209.788(df=6, Sig.=0.000)로 나타나 변수들 사이에 요인을 이룰만한 상관관계가 충분히 있다고 판단되었다. KMO의 표본적합도를 알아본결과 각각 0561, 0.780, 0.913, 0.782로 나타났고, 공통성을 알아본 결과 각각 0.739, 0.690, 0.694, 0.649 이상으로 나타나 요인분석을 실시하는데 무리가 없다고 판단되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1) 미용기능장 제도 인식의 차원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Table 3>과 같이 두 가지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요인 내 다른 속성들과 의미상 일치하지 않은 1개의 문항이 제거되었으며 그러한 이유로는 알고 있는 것 자체가 관심과 비슷한 뜻으로 일반 종사자에게 느껴졌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요인1은 국가제도인 미용기능장과 기능장의 실기과제 항목에 관핸 알고있냐는 설문문항으로 구성되어 관심여부로 명명하였고, 요인 2는 기능장 취득 후 기술과 서비스 등으로 인해 소비자들에게 인지도를 얻을수 있냐는 설문 문항으로 구성되어 인지도로 명명하였으며 요인1의 신뢰도 계수는 0.790, 요인2는 0.671로 나타나 요인을 구성한 근거에 대한 신뢰할만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Choe et al.(2020)에서 미용기능장의 인지문항에 관한 요인분석은 관심과 인지도로 도출되어 본 연구의 요인명과 일치하며 조사대상자가 기능장과 일반 미용종사자로 조사대상이 다르지만 자격증 유무에 상관없이 현재보다 자신의 기술발전과 서비스 질이 향상된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2) 미용기능장 실기시험 제도의 구성의 차원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Table 4>와 같이 세 가지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요인 내 다른 속성들과 의미상 일치하지 않은 3개의 문항이 제거되었으며 요인1은 미용기능장은 지금보다 더 나은 사회적 위치나 대우, 전문기술획득, 역량발전과 질적향상을 위해 필요하다는 설문문항으로 구성되어 필요성으로 명명하였고 요인2는 미용기능장의 실기과목이 현재 제도에 맞게 종사자에게 적절한지에 관한 설문 문항으로 구성되어 적절성으로 명명하였으며 요인3은 미용기능장 실기과목 중 응용헤어세팅에 관한 과목으 실무에 맞게 수정보완되어야 한다는 설문뭉항으로 구성되어 수정·보완성으로 명명하였으며 요인1의 신뢰도 계수는 0.923, 요인2는 0.797, 요인3은 0.623으로 나타나 요인을 구성한 근거에 대한 신뢰할만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Choe(2020)의 연구에서 미용기능장의 시험제도구성의 요인이 필요성과 적절성으로 도출되어 본 연구의 요인과는 2가지의 요인이 같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본 연구에서는 수정보와요인이 한가지 더 도출되었다. 그러한 이유로는 본 연구는 일반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조사대상으로 연구한 것으로 자격증을 취득한 기능장들과는 다르게 다른과목에 비해 헤어세팅이라는 시험 과목자체가 생소하고 어렵게 느껴지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3) 직무의 차원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Table 5>와 같이 단일 차원이 도출되었으며 요인1은 기능장 취득 후 직장, 동료, 고객, 업무향상 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것이라는 설문문항으로 구성되어 직무만족으로 명명하였으며 요인1의 신뢰도 계수는 0.962로 나타나 요인을 구성한 근거에 대한 신뢰할만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Kim(2012)의 연구에서도 직무만족은 단일차원으로 도출되었으며 조리기능장 자격취득이 자기개발에 도움을 주고 나아가서는 업장 분위기나 타 직원들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이와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다른 직종의 기능장 자격증을 획득한 기능장들의 대한 직무만족도도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4) 이직의도의 차원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Table 6>과 같이 단일 차원이 도출되었으며 요인1은 미용기능장이 소속되어 있는 회사로 이직한다면 지금의 회사와 긍정적으로 다를것이며 더 나은 자기발전과 비전이 있다고 생각한다 등의 설문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어 이직의도로 명명하였으며 요인1의 신뢰도 계수는 0.896으로 나타나 요인을 구성한 근거에 대한 신뢰할만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Choe(2020)의 연구에서 이직의도에 관한 하위요인의로 이직기대와 이직의사가 도출되었는데 본 연구와 다른 이유는 본 연구와의 조사대상자가 미용종사자이지만 기능장과 일반종사자로 조사대상자가 다르고 그로인한 기능장 인지정도와 우대제도등의 정보가 부족하기때문으로 사료된다. 또한 Kim (2012)의 연구에서도 이직의도는 단일차원으로 도출되어 본 연구를 지지한다.

3. 미용기능장 제도 인식이 미용기능장 실기시험 제도의 구성에 미치는 영향

미용기능장 제도 인식이 미용기능장 실기시험 제도의 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첫째, 필요성은 인지도에 의해 약 40.5% 설명되며, 세부적으로 영향관계를 살펴보면 인지도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미용기능장 필요성 0.641배씩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나타났다.
둘째, 적절성은 관심여부, 인지도에 의해 약 14.0% 설명되며, 세부적으로 영향관계를 살펴보면 관심여부, 인지도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미용기능장 적절성 각각 0.275, 0.294배씩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나타났다.
셋째, 보완성은 관심여부에 의해 약10.5% 설명되며, 세부적으로 영향관계를 살펴보면 관심여부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보완성은 0.336배씩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나타났다.
Choe(2020)의 연구에서는 기능장의 인식 중 관심요인이 3가지 항목, 인지도 요인이 2항목으로 도출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관심여부요인 중 과제항목을 잘 알고 있냐는 문항이 삭제되어 2가지 문항, 인지도 요인이 2항목으로 도출되었다. 그러한 이유로는 Choe(2020)의 연구는 미용장을 대상으로 한 연구였기에 미용장들은 실기시험항목에 관해 잘 알고 있고 본 연구는 미용장 시험을 응시한 적이 없는 미용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하였으므로 시험 항목에 관한 사전지식이 없기에 삭제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와 같이 일반 조리사들을 대상으로 조리기능장에 관해 연구한 Kim(2012)의 연구에서 92.6%가 기능장이 아니지만 조리기능장의 시험항목에 관해 아예 모르는 7.9%로 제외하고 알고있다가 92.1%였다. 그러한 이유로는 조리는 현장에서 활용성이 높은 종목으로 조리기능사, 조리산업기사의 시험항목은 한식을 포함하여 양식, 일식, 중식, 복어의 5가지 과제, 조리기능장은 한식을 제외한 양식, 일식, 중식, 복어의 4가지 과제로 실기시험이 이루어지고 있어 중복되는 부분으로 인해 시험 항목에 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사료되며 미용기능장은 미용기능사에 비해 높은 노력과 기술력을 필요로 하지만 현장 활용성이 낮아 종사자들에게 인식이 낮은 것으로 사료된다.

4. 미용기능장 제도 인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미용기능장 제도 인식이 직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8>과 같다.
직무만족은 인지도 요인에 의해 약 30.8% 설명되며, 인지도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은 0.564배씩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나타났다.
Choe(2020)는 일반소비자들의 미용기능장에 대한 인지도가 낮아 기능장 취득자와 비 취득자에 대한 차이점을 느끼지 못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소비자들의 인지도가 높아진다면 종사자들도 기능장의 필요성을 알게 되고 자신의 직무에 더욱 만족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기능장 교육을 통해 진성리더십이 구성원개발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Kim(2017)의 연구에서 피 실험자들은 기능장을 취득한 후 자신감이 상승하고 기능장 교육에 서 배운 기술을 체계화 하여 활용하고 있으며 품질에 대해 관리자들에게 신뢰와 인정을 받고 업무에 대한 시각이 달라졌으며 실무를 위한 사고와 행동양식이 근본적으로 변화한다고 하였고 Choi(2017)의 연구에서는 미용장의 직무만족이 지식, 태도, 기술의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미용기능장 제도 인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미용기능장 제도 인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9>와 같다.
이직 의도는 미용기능장 인지도 요인에 의해 약 25.3% 설명되며, 미용기능장 제도 인지도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이직의도는 0.521배씩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나타났다.
Choe(2020)의 연구에서 미용기능장 제도는 이직기대에 영향을 미치고 Kwak & Song(2014)은 근무환경, 교육은 이직의도를 낮추는데 매우 중요한 요인이고 Jeon & Im(2010)은 교육개발훈련 향상은 미용사의 내부적 이직의도를 감소시키는데 중요한 요인이라고 하였다.
미용기능장은 경비와 노력, 시간을 들여 취득이 가능하다. 따라서 미용장의 인지도는 미용장의 가치를 알릴 수 있으며 미용장 교육은 종사자들에게 긍정적으로 작용 할 것 이며 자신의 역량발전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V. 결 론

본 연구는 미용기능장 제도의 본질인 산업현장을 관리하는 고급기능인력을 확보하고 기능 습득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이를 권장하여 기능인의 사회적 지위를 향상시킨다는 목적을 위해 일반 미용종사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생각하는 미용기능장의 인식을 알아보고 인식에 따른 실기시험의 구성제도, 인지도에 따른 직무만족, 이직의도를 알아봄으로서 미용기술경쟁력을 확보하고 능력을 발전시키며 미용기능장의 취득에 대한 필요성을 알리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본 결과 7년 이상의 경력으로 500만원 이상이 수입인 전문대 재학/졸업전문대의 40대의 여성 경영자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용기능장 제도 인식의 차원으로 관심여부와 인지도, 미용기능장 실기시험 제도의 구성의 차원으로 필요성, 적절성, 수정·보완성, 직무만족, 이직의도는 단일차원으로 도출되었다.
셋째, 미용기능장 제도 인식이 미용기능장 실기시험 제도의 구성에 미치는 영향으로 필요성은 인지도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적절성은 관심여부, 인지도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보완성은 관심여부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정의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직무만족은 인지도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정의 관계가 나타났다.
다섯째, 이직의도는 인지도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정의 관계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미용종사자들에게 기능장은 자기개발과 능력향상을 위해 필요한 제도이고 직무만족과 사회적인 위치를 높여 줄 있는 제도이다. 하지만 소비자들에게 인지도가 떨어지고 실기시험에 관한 자료나 정보를 쉽게 찾아 볼 수 없으며 난이도가 높다. 또한 실기과목의 현장 활용성이 낮아 수정·보완이 필요하다. 이 외의 개선사항을 살펴보면 Kim(2017)은 시간이 없거나 금전적인 부담으로 인해 기능장을 취득하지 못한 종사자들이 28.7%라고 하였고 제도와 기본적 사항들에 관한 이해가 부족하다고 하였고 기능장 취득을 위해 전문학원이나 기관을 선택하지 않으면 합격이 어렵고 재료를 준비함에 있어 개인적 비용이 필요하며 이는 금전적, 심리적 부담이 될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Choe(2020)는 기능장이 국가에서 인정하는 최고의 자격증임에도 불구하고 취득자에 대한 국가적 우대현황이 실제 현장에서 활용하기가 어렵다고 하였다.
따라서 소비자들과 종사자들에게 미용기능장의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미디어나 매체를 이용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며 미용장의 가치와 필요성이 개인의 기술향상과 자기개발, 더 나아가 매출증대로 이어진다는 것을 인식해야한다. 또한 인센티브, 승진을 위한 가산점 등의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우대제도가 필요하며 종사자들의 기능장 취득을 위한 교육기관이나 인력의 배치도 확대되어야 할 것이며 미용종사자들이 시험구성제도를 현장에서 활성화 할 수 있도록 수정, 보완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여 미용산업은 동종업계에서 경쟁력과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인적자원을 관리하여야 하고 이를 위한 제도인식에 관한 연구들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향후연구에서는 체계적이고 보편적인 결과 도출을 위해 조사대상을 확대하고 미용종사자들이 아닌 소비자들의 미용기능장에 인지도를 알아봄으로써 앞으로 나아가야 할 미용제도에 발전을 기대한다.

Table 1.
Questionnaire Composition and Measurement
Survey Item Content Number Scale Sources
Survey Item Gender, age, final education, marital status, average monthly income, Career 6 Nominal a researcher
Plan Awareness Presence of system and task items, interest, recognition, operation of stores, intention to visit 5 isometric chart Kim (2012), Choi (2020)
Modification·supplementation
Composition of practical test system Practical subject performance, beauty practicality, modification security, qualification requirements, necessity, system satisfaction, contribution, impact on technology, current engine practical performance, practical subject modification, problematic, abolition of applied hair setting, main institution, location, necessity 14 isometric chart Joo (2016), Choi (2020)
Modification·supplementation
Satisfaction Impact on salaries, promotions, incentives, post-acquisition treatment, company or store help, current workplace support, positive impact, application and job improvement, customer attraction and service impact, recommendation to beauty workers, need for system 10 isometric chart Kim (2012), Choi (2017)
Modification·supplementation
Turnover Whether to change jobs, positive thoughts after the job, acquisition of high-quality beauty technology, and the size of the vision for self-development 4 isometric chart Choi (2020), Kim (2012)
Modification·supplementation
All questions 39
Table 2.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N=289)
Category Frequency (N) Percentage (%)
Gender Men 101 34.9
Women 188 65.1
Age 20s 54 18.7
30s 48 16.6
40s 116 40.1
Over 50s 71 24.6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Below high school graduation 89 30.8
a junior college/graduation 97 33.6
a college/graduation 66 22.8
graduate school and above 37 12.8
Position director (management) 201 69.6
Hairstylists 38 13.1
Intern 20 6.9
etc 30 10.4
Average monthly income Less than 2 million won 57 19.7
Less than 2 to 3 million won 26 9.0
Less than 3 to 5 million won 83 28.7
Over 5 million won 123 42.6
Beauty Career less than 1 years 24 8.3
More than 1 year to less than 3 years 23 8.0
More than 5 year to less than 7 years 22 7.6
over 7 years 220 76.1
Total 289 100.0
Table 3.
Dimensions of recognition of beauty functional systems
Question for measuring the recognition of beauty functional institutions Ingredient
Commonality
Interest status Awareness
Do you know about the functional field system? .915 .046 .840
Do you know the assignment items in the beauty functional system? .888 .181 .822
If the technology and service quality of the two beauty salons are the same, would you be willing to visit a store run by a beauty salon compared to other salons? .019 .883 .781
Do you think the beauty salon system is well-known to the general consumer? .203 .835 .739
Eigenvalue 1.669 1.513
Description random (%) 41.718 37.827
Cumulative random (%) 41.718 79.545
Reliability Factor Cronbach's α 0.790 0.671
Table 4.
Dimensions of the composition of the beauty functional practical test system
Question for measuring the practical examination system of beauty functional field Ingredient
Commonality
Necessity Adequacy Complementary
Beauty paraphernalia is essential .897 -.022 -.052 .809
In the beauty industry, the beauty director will be treated. .862 .236 -.018 .799
Within the beauty industry, beauty professionals will have a high position in the future .846 .154 -.104 .750
Beauty craftsmanship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acquisition of professional skills and skills. .775 .314 .154 .722
Beauty technicians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and quality improvement of beauty workers .772 .391 .124 .764
The beauty parlor system is a necessary system for hairdressers .755 .301 .086 .668
The practical course of beauty craftsmanship is doing well in accordance with the beauty system. .237 .849 -.201 .818
The items in the practical subjects of beauty craftsmanship are appropriate .193 .836 -.202 .777
Qualifications for becoming a beauty technician are appropriate .329 .710 .388 .762
The practical course of the beauty technician needs to be revised and supplemented according to the current beauty practice .100 -.084 .836 .716
Among the practical subjects of beauty technicians, the items of "application hair setting (skip/winger) shall be abolished. -.072 -.057 .826 .690
Eigenvalue 4.246 2.356 1.673
Description random (%) 38.600 21.416 15.206
Cumulative random (%) 38.600 60.016 75.222
Reliability Factor Cronbach's α 0.923 0.797 0.623
Table 5.
Dimensions of Duties
Job Measurement Questions Ingredient
Commonality
Job satisfaction
Getting a beauty salon will help my company or store .929 .863
It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fellow beauty workers after acquiring a beauty salon .895 .801
After acquiring a beauty salon, I will be treated at my company or store. .891 .793
It will affect customer attraction and customer service after acquiring beauty function .888 .788
Acquiring a beauty salon will affect personnel in the workplace (pay, promotion, incentives, etc.). .887 .787
After acquiring a beauty salon, you will be positively affected by your work .866 .751
It will help improve the application and work skills of the company or store after acquiring a beauty salon. .854 .729
I would like to recommend a beauty salon to my colleagues and hairdressers around me .844 .712
My current job position will actively support my acquisition of a beauty technician .833 .694
Eigenvalue 6.917
Description random (%) 76.859
Cumulative random (%) 76.859
Reliability Factor Cronbach's α 0.962
Table 6.
Turnover Intention Measurement Question
Turnover Intention Measurement Question Ingredient
Commonality
intention to change jobs
I think it would be different from the company or store where the beauty technician belongs .925 .856
I think you can learn advanced beauty techniques if you move to a company or store with a beauty technician. .923 .851
Currently, he is willing to move from his workplace to a company or store where the beauty technician belongs. .848 .719
I think companies and stores with beauty technicians have a greater vision of self-development. .806 .649
Eigenvalue 3.075
Description random (%) 76.876
Cumulative random (%) 76.876
Reliability Factor Cronbach's α 0.896
Table 7.
The Effect of Perception of Beauty Master System on the Composition of Beauty Master Practical Test System
Practical Test System for Beauty Professionals Awareness of the beauty salon system B β t Modified R² F
Necessity (Constant) -1.001 .000 0.420 0.405 27.508 ***
Interest status .096 .096 1.096
Awareness .641 .641 7.336 ***
Adequacy (Constant) 1.003 .000 0.162 0.140 7.372 **
Interest status .275 .275 2.623 *
Awareness .294 .294 2.804 **
Complementary (Constant) 1.001 .000 0.127 0.105 5.553 **
Interest status .336 .336 3.135 **
Awareness .121 .121 1.130

* p<0.05,

** p<0.01,

*** p<0.001

Table 8.
Effects of recognition of beauty functional systems on job performance
Dependent Variables (Official) Independent variable (Awareness of the hair designer system) B β t Modified R² F
Job satisfaction (Constant) -1.001 .000 0.325 0.308 18.336 ***
Interest status .085 .085 .905
Awareness .564 .564 5.988 ***

*** p<0.001

Table 9.
Effects of recognition of beauty functional field systems on turnover intention
Dependent Variables (Official) Independent variable (Awareness of the hair designer system) B β t Modified R² F
Turnover Intention (Constant) -1.001 .000 0.272 0.253 14.198 ***
Interest status -.019 -.019 -.198
Awareness .521 .521 5.325 ***

*** p<0.001

References

Choe, M. H. (2020). Recognition and Improvement of the Master Craftsman Cosmetology System. Master's thesis, Kwangju Women's University, Kwangju. pp.1-2.
Choe, M. H., Moon, S. H., & Lee, J. S. (2020). Recognition and Improvement of the Master Craftsman Cosmetology Syste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Beauty Art, 21(3), 295-310.
crossref
Choi, S. K. (2017). A Study on Individual Competency and Satisfaction, Job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of Beauty Masters. Maste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Jeonbuk. pp.1-3.
Hong, D. H., & Kim, S. N. (2007). The occupation Level and the Practical Application Status of Korea Beauty Master Certification Acquisito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3(2), 773-779.
Hwang, M. K. (2007). Study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Social Workers in Public Sector : Focused on Organizational Environments and Administrative Supervision Functions. Korea Academy of Organization and Management, 31(4), 3-4.
Jang, W. M. (2012). A Study on Systematic Direction for Improving the Hairdresser Certificate And Roles of Master Hairdresser. Master's thesis, Youngsan University, Busan. pp.1-3.
Jeon, H. M., & Im, E. J. (2010). The Effect of the Job training of Hair Designers on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6(2), 365-373.
Joo, H. J. (2016). A Study on Acquisition of the Master Hairdresser License and Improvement of the Qualification System.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pp.1-3.
Kim, J. H. (2011). A Study on Factors of Affecting the Job Stress and Satisfaction of healthy family workers, Master's thesis, Hannam University, Seoul. pp.26-29.
Kim, K. B. (2012). A study on how the national Master Craftsman of cook accrediting system affects awareness towards a cook and occupational capacity of a cook. Master's thesis, Youngsan University, Busan. pp.1-3.
Kim, S. M. (2017). The Effects of Authentic leadership on Member Development: Multiple Method Research on Master Craftsman Education and Training. Doctoral dissertation, Changwon University, Changwon. pp.1-2.
Kwak, K. S., & Song, Y. S. (2014). The Relation Between the Job Satisfaction Factors, Degree of Occupational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Hair Beauty Service Industry Workers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0(4), 583-589.
Lee, M. H., & Im, E. J. (2013). The Correlation of Educational Training Factor, Educational Training Performance and Self-esteem in Master Hairdress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9(3), 456-465.
Lee, S., Kim, H. S., Jun, S. H., Lee, M. U., Jung, D. R., & Park, S. H. (2018). A Study on the Innovation Method of Functional Jang System. Korea Industrial Manpower Corporation, 1-234.
Locke, E. A. (1976). The Nature and Cause of Job Satisfaction. in M. D. Dunnette(ed.). Hand 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Behavior. Chicago : Rand McNally. 1300.
Price, J. L. (1977). The study of Turnover, The Iowa State University, 7.
Yoo, W. O. (2000).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kill Master License System and Improvement of the Qualification System to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Chungbuk pp.1-3.
q-net.or.kr 「Data search date : February 1, 2021」.
hrdkorea.or.kr 「Data search date : February 1, 2021」 http://www.hrdkorea.or.kr/4/2/1?k=48839&pageNo=&searchType=TIT&searchText=Beauty Master.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10-2825-6735   Fex: +82-62-950-3797    E-mail: beauty2007@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