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Cosmetol > Volume 28(2); 2022 > Article
20-30대 남성의 외모관심도와 반영구 화장 인식 및 만족도의 상관관계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correlations between appearance interest and perception and satisfaction with semi-permanent makeup against adult men in their 20-30s to provide basic data needed to develop marketing strategies which are useful in responding to semipermanent makeup markets for men.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In appearance interest, self-expression, appearance management and other orientation reveal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erception of semi-permanent makeup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hey also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hysical factors, human services and retreatment intention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addition, perception of semi-permanent makeup reveal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hysical factors, human services and retreatment intention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As appearance management and other orientation increased, perception of semi-permanent makeup also rose. As appearance management, other orientation and self-expression were higher, physical factors and retreatment intention also increased. Furthermore, as self-expression and appearance management increased, satisfaction with human services improved. Furthermore, as perception of semi-permanent makeup increased, physical factors, retreatment intention and satisfaction with human services improved.

I. 서 론

외모는 자기 PR(Public Relations)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매우 중요한 요소로 남성에게도 예외가 아니다. 대중매체에서는 ‘완소남’, ‘국민 남동생’, ‘꽃미남’ 이라는 단어들을 사용하면서 예쁘고 어린 남성의 외모를 칭찬하는데 여념이 없고, 남성의 외모관리에 관련된 화장품 시장이나 뷰티 서비스 관련 사업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Han, 2020). 사람인(2020)의 조사에 따르면 국내 372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외모가 채용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지원자의 외모가 채용평가에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한 기업이 55.6%로 절반 이상 되었다. 외모를 아름답게 가꾸는 사람은 자기관리를 잘하고 대인관계가 원만하며, 자신감이 있고 분위기에 활력을 줄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다. 이처럼 외모를 꾸미는 것은 더 이상 여성들만의 전유물이 아니라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남성들에게 필수불가결한 요소가 된 것이다. 남성의 외모에 대한 관심은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로 미를 추구한다는 것에 근간하나 개인의 생활에 매우 깊숙하고 다양하게 관여하고 있으며(Jung et al., 2013). 다양한 변화를 기반하고 있다는 것(Lee & Kim, 2006)에 의미를 부여해야 한다. 과거와 달리 현대사회의 남성은 외모를 자기표현의 수단으로 생각하고 있으며(Park & Jeong, 2011), 외모가 하나의 경쟁력으로 자리 잡았다고 인식하기 때문이다. 선행연구에서 남성 역시 외모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고(Kim & Kim, 2016), 사회진출을 앞 둔 연령일수록 외모관리에 신경을 쓰며(Kang et al., 2018), 자신을 나타내기 위해 외모를 가꾸는 것 뿐 만 아니라(Song & Kim, 2019) 인간관계 형성에 기여하는 것으로(Kim, 2018) 나타난 것을 볼 때 남성에게 있어 외모가 크게 영향을 미치며, 현재 사회의 남성에게 외모는 중요한 요소임이 증명된다고(Kim, 2015) 할 수 있겠다.
남성의 외모만족도를 향상시키는 외모관리의 방법에는 다양한 것들이 있으나 시술 직 후 바로 일상생활이 가능한 반영구 화장이 크게 각광받고 있다. 특히 남성의 반영구 화장은 여성과 달리 얼굴에 색을 부여하는 것보다 눈썹 숱이나 머리숱을 많아 보이도록 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있어 눈썹 숱이나 머리숱이 적은 남성들에게 반영구 화장은 자신감을 주는 외모관리 방법으로 선택받게 되었다. 이와 같이 남성의 반영구 화장에 대한 관심도와 요구가 커져가고 있는 것에 비해 현재 시점에서 이와 관련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남성의 반영구 화장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Han(2015)의 반영구 화장 실태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Eo(2018)의 눈썹 반영구 화장 재 시술 만족도 연구, Lee(2017)의 반영구 화장 색소의 성분분석과 위해 성에 관한 연구, Han(2020)의 남성의 반영구 자연눈썹 시술에 따른 외모인식도 및 자아효능감에 대한 연구가 전부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업과 군복무를 마치고 사회에 진출하는 연령대라고 사료되는 20-30대 남성의 외모관심도와 반영구 화장의 인식, 만족도의 상관관계를 연구해보고자 한다. 이는 반영구 화장의 새로운 핵심 소비자 계층으로 부상한 20-30대 남성들의 인식을 알아보고 만족도를 분석하여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반영구 화장 시장의 실질적인 마케팅 전략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II. 이론적 배경

1. 외모관심도

외모는 얼굴 뿐 아니라 다양한 외적인 요소를 통틀어 말하며(Song, 2020), 타인에게 자신을 인식시키는데 큰 역할을 한다. 외모가 매력적으로 보이기 위해 의복과 화장, 장신구 등 지속적으로 장식에 흥미를 가지는 정도를 외모관심도라 한다(Choi, 2015). 외모관심도는 자기표현성, 외모관리성, 타인지향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Noh, 2014; Kim, 2014). 자기표현은 자기의 내면적인 생활이나 생각을 겉으로 드러내 보인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어떠한 모습을 내보이는가에 따라 그와 상응하는 대인관계가 형성되기 때문에(Kim, 2012), 상대방의 기분을 불쾌하게 하거나 권리를 침해하는 등의 오류를 범하지 않는 범위에서 자기표현을 하게 된다(Yeo, 2019). 이에 따라 사람들은 자신의 호감적인 모습을 표현해 내어 좋은 대인관계형성을 이루어내기위해 외적인 모습으로 자기표현을 하기도 한다. 또한 외모를 가꾸는 것을 외모관리라 하는데(Lee, 2017) 체중조절, 피부관리, 헤어관리, 의복관리 등 여러 가지로 분류되어 있어 적절한 외모관리를 통해 자신의 외적인 단점을 보완하여 이상적인 외모와의 차이를 극복할 수 있다(Baek, 2011). 외모관리는 사람들 대부분의 일상생활을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을 통해 살아가고 있기 때문에 자신에 대한 시각적 이미지를 만드는 것뿐만 아니라 상황에 따라 상대방에게 외적인 상징적 의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타인지향성은 타인의 여론 따위에 지나치게 동조되어 자신의 신념보다 타인의 의견을 추종하는 현상이다. 타인지향성이 강한 사람은 주체성이 약하며 자기비하를 잘하고 모방적인 면모를 보인다(Lee, 1997). 그 타인들은 주변사람이 될 수도 있고 미디어를 매개로 한 간접적으로 아는 사람이 될 수도 있다. 다른 누군가를 의식해 남들이 부러워할만한 상황을 올리고, 유명 연예인의 외모관리행동을 그대로 따라하는 등 시시각각 소통할 수 있는 SNS의 발달로 타인지향성은 점차 심화되고 있다(Go, 2015).

2. 남성의 외모관리에 대한 인식

외모가 경쟁력이 되는 시대가 되면서 남성들의 외모관리 행동은 두드러지게 나타나게 되었다. 첫인상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인 외모는 개개인을 잘 표현해 낼 수 있기 때문에 외모를 현대사회를 살아가는데 필요한 도구와 수단으로 생각하고 가꾸게 된 것이다. 현대사회의 남성들은 여러 사람들 속에서 나의 존재를 확실히 각인 시켜 목적하는 바를 달성하고자 외모 가꾸는 것에 돈과 시간을 투자하며 살아가고 있다. 각자가 생각하는 이상형을 달라도 옷매무새가 정돈이 되지 않거나 깔끔하지 못한 모습을 보고 호감을 갖는 사람은 드물기 때문에 외모를 꾸미지 않는 사람이라 할지라도 최소한의 외모를 가꾸는 행동은 하며 살아간다. 이러한 이유로 남성들의 외모관리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은 점차 높아지고 있으며, 외적인 요인을 경제적인 요인과 접목시켜 외모관리를 잘하는 남성이 외모 관리를 못하는 남성보다 경제력이 더 좋은 것으로 인식되고 있어 남성들은 더욱더 스스로를 꾸미게 될 수밖에 없는 사회적 요건이 만들어지게 되었다(Kim, 2015).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를 위하여 광주광역시를 비롯하여 전라남도, 전라북도에 거주하는 20대, 30대 남성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 설문지 30부를 배부하여 회수한 다음 설문지를 수정하여 최종 설문지를 구성하였으며, 연구의 목적과 취지를 충분히 설명하고 동의한 대상자에게 설문조사하였다. 2021년 3월 2일부터 3월 31일까지 4주 동안 실시하였다. 총 260부를 배부하였고 그 중 불성실하거나 적합하지 않은 설문지를 제외한 232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2. 설문의 구성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외모관심도에 대한 문항은 Noh(2014), Kim(2014)의 연구를 참고로 하여 21문항을 구성하였고, 반영구시술에 대한 인식 문항은 Jo & Kim(2020), Park(2016)의 연구를 참고로 9문항을 구성하였으며, 반영구 화장에 대한 만족도는 Kim(2017), Woo & Song(2019)의 연구를 참고로 7문항을 구성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관한 문항은 선행연구를 참고하되 본 연구에 부합하도록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3. 자료 분석 및 방법

본 연구는 SPSS 21.0 프로그램을 통해 전산 처리하였으며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측정도구의 타당도 분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신뢰도 분석을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사용하였다. 셋째, 외모관심도와 반영구 화장 인식 및 만족도에 대해 알아보고,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 및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정 방법으로는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넷째, 외모관심도와 반영구 화장 인식 및 만족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외모관심도가 반영구 화장 인식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반영구 화장 인식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분석결과 연령대는 19-29세 137명(59.1%), 30-39세 95명(40.9%)으로 나타났고, 결혼 상태는 미혼 185명(79.7%), 기혼 47명(20.3%)으로 나타났다. 최종학력은 고졸이하 36명(15.5%), 전문대 재학/졸업 49명(21.1%), 대학교 재학/졸업 129명(55.6%), 대학원 재학/졸업 18명(7.8%)으로 나타났고, 직업은 사무직 73명(31.4%), 서비스/영업직 74명(31.9%), 자영업 38명(16.4%), 전문직 21명(9.1%), 학생 26명(11.2%)로 나타났다.

2.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1) 외모관심도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외모관심도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요인분석 결과 3개의 요인이 도출되었고, 총 분산 설명력은 67.420%로 나타났다. 즉, 요인 1(25.144%)은 ‘자기표현성’으로, 요인 2(23.026%)는 ‘외모관리성’으로, 요인 3(19.250%)은 ‘타인지향성’으로 명명하였다. 총 3개 요인의 적채치는 0.40 이상, 신뢰도는 0.60 이상으로 나타나 타당성과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2) 반영구 화장 인식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반영구 화장 인식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결과는 Table 3과 같다. 요인분석 결과 1개의 요인이 도출되었고, 요인 1(73.678%)은 ‘반영구화장 인식’으로 명명하였다. 총 1개 요인의 적채치는 0.40 이상, 신뢰도는 0.60 이상으로 나타나 타당성과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3) 반영구 화장 만족도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반영구 화장 만족도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결과는 Table 4와 같다. 요인분석 결과 3개의 요인이 도출되었고, 총 분산 설명력은 87.114%로 나타났다. 즉, 요인 1(35.489%)은 ‘인적 서비스’로, 요인 2(25.941%)는 ‘재시술의도’로, 요인 3(25.683%)은 ‘물리적 요인’으로 명명하였다. 총 3개 요인의 적채치는 0.40 이상, 신뢰도는 0.60 이상으로 나타나 타당성과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3. 외모관심도와 반영구 화장 인식 및 만족도 기술통계

1) 전반적인 외모관심도

전반적인 외모관심도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볼 때, ‘타인지향성’(M=3.87)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외모관리성’ (M=3.81), ‘자기표현성’(M=3.53)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외모관심도는 평균 3.72점으로 나타났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외모관심도 차이

일반적 특성에 따라 외모관심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분석결과 연령대에 따라서는 전반적인 외모관심도와 하위요인별 타인지향성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19-29세의 경우 30-39세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반적인 외모관심도와 하위요인별 타인지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 상태에 따라서는 외모관심도의 하위요인별 타인지향성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미혼의 경우 기혼에 비해 상대적으로 타인지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외모관리에 미혼 남성이 기혼에 비해 외모관심도와 타인지향성이 높다는 Kim(2016)의 연구와 일치하였다. 이 외에 최종학력, 직업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3) 전반적인 반영구 화장 인식

전반적인 반영구 화장 인식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분석결과 전반적인 반영구 화장 인식은 평균 3.73점으로 나타났다.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반영구 화장 인식 차이

일반적 특성에 따라 반영구 화장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8과 같다. 분석결과 연령대, 결혼 상태, 최종 학력, 직업 등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5) 전반적인 반영구 화장 만족도

전반적인 반영구 화장 만족도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9와 같다. 분석결과 ‘인적 서비스’(M=4.05)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재시술의도’(M=3.96), ‘물리적 요인’(M=3.80)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반영구화장시술 만족도는 평균 3.95점으로 나타났다.

6) 일반적 특성에 따른 반영구 화장 만족도 차이

일반적 특성에 따라 반영구 화장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10과 같다. 분석결과 결혼 상태에 따라서는 반영구 화장 만족도의 하위요인별 인적 서비스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기혼의 경우 미혼에 비해 상대적으로 인적 서비스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Hong(2018)의 연구에서는 미혼이 기혼보다 테크닉 등의 물리적 요인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와 차이가 있는데 이는 조사대상자의 연령과 성별이 다르기 때문이라 사료된다. 직업에 따라서는 반영구 화장 만족도의 하위요인별 물리적 요인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전문직의 경우 서비스직/영업직에 비해 상대적으로 물리적 요인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Eo(2018)의 연구와 일치하였다. 이 외에 연령대, 최종학력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4. 외모관심도와 반영구 화장 인식 및 만족도의 상관관계

외모관심도와 반영구 화장 인식 및 만족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11과 같다. 분석결과 외모관심도의 하위요인별 자기표현성, 외모관리성, 타인지향성은 반영구 화장 인식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01), 반영구 화장만족도의 하위요인별 물리적 요인, 인적 서비스, 재시술의도와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또한 반영구 화장 인식은 반영구 화장 만족도의 하위요인별 물리적 요인, 인적 서비스, 재시술의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이는 심리적 만족도 요인이 반영구 화장 인식 및 만족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 Park(2016)의 연구와 관련 있고, 외모관심이 높을수록 미용시술 및 행동이 높아진다는 Kim & Na(2019)의 연구와 관련 있다.
5. 외모관심도·반영구 화장 인식·반영구 화장 만족도간 영향 분석

1) 외모관심도가 반영구 화장 인식에 미치는 영향

외모관심도가 반영구 화장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12와 같다. 분석 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22.6%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22.193, p<.001). 독립변수별로는 외모관심도의 하위요인별 타인지향성(β=.263, p<.01), 외모관리성(β=.214, p<.01)이 반영구 화장 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외모관심도의 하위요인별 타인지향성, 외모관리성이 높을수록 반영구 화장 인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외모관심도가 높을수록 반영구 화장 인식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난 Han(2020)의 연구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외모관심도가 반영구 화장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1) 외모관심도가 물리적 요인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외모관심도가 물리적 요인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분석 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25.9%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14.908, p<.001). 독립변수별로는 외모관심도의 하위요인별 타인지향성(β=.244, p<.01), 자기표현성(β=.218, p<.05), 외모관리성(β=.190, p<.05)이 물리적 요인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외모관심도의 하위요인별 타인지향성, 자기표현성, 외모관리성이 높을수록 물리적 요인 만족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20대와 30대에서 반영구 화장의 만족도가 높다는 Song(2019)의 연구와 관련 있으며, 외모관심도가 높으면 반영구 화장에 대한 만족도가 높다는 Song(2021)의 연구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외모관심도가 인적 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외모관심도가 인적 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14와 같다. 분석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17.9%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9.293, p<.001). 독립변수별로는 외모관심도의 하위요인별 자기표현성(β=.242, p<.01), 외모관리성(β=.188, p<.05)이 인적 서비스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외모관심도의 하위요인별 자기표현성, 외모관리성이 높을수록 인적 서비스 만족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Han(2015)의 연구 결과와 다른 결과를 나타냈는데 본 연구는 성별과 연령대에 제한 두었기 때문이라 사료된다.

(3) 외모관심도가 재시술의도에 미치는 영향

외모관심도가 재시술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15와 같다. 분석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23.2%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12.883, p<.001). 독립변수별로는 외모관심도의 하위요인별 타인지향성(β=.235, p<.05), 외모관리성(β=.206, p<.05), 자기표현성(β=.175, p<.05)이 재시술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외모관심도의 하위요인별 타인지향성, 외모관리성, 자기표현성이 높을수록 재시술의도도 높아 Han(2015)의 연구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반영구 화장 인식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1) 반영구 화장 인식이 물리적 요인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반영구 화장 인식이 물리적 요인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16과 같다. 분석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12.3%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18.189, p<.001). 독립변수로써 반영구 화장 인식(β=.350, p<.001)은 물리적 요인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반영구 화장 인식이 높을수록 물리적 요인 만족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는 Jo & Kim(2020)의 연구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반영구 화장 인식이 인적 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반영구 화장 인식이 인적 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17과 같다. 분석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15.6%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24.047, p<.001). 독립변수로써 반영구 화장 인식(β=.395, p<.001)은 인적 서비스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반영구 화장 인식이 높을수록 인적 서비스 만족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는 반영구 화장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시술에 대한 만족도가 높다는 Jo & Kim(2020)의 연구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반영구 화장 인식이 재시술의도에 미치는 영향

반영구 화장 인식이 재시술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18과 같다. 분석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11.5%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16.901, p<.001). 독립변수로써 반영구 화장 인식(β=.339, p<.001)은 재시술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반영구 화장 인식이 높을수록 재시술의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반영구 화장에 대한 인지도가 높을수록 향후 재시술의도가 높다는 Lee(2020)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V. 결 론

본 연구는 20-30대 남성의 외모관심도와 반영구 화장 인식 및 만족도에 대한 상관관계를 연구하여 남성 반영구 시장에 대응할 수 있는 마케팅 전략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외모관심도와 반영구 화장 인식 및 만족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외모관심도의 하위요인별 자기표현성, 외모관리성, 타인지향성은 반영구 화장 인식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01), 반영구 화장 만족도의 하위요인별 물리적 요인, 인적 서비스, 재시술의도와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또한 반영구 화장 인식은 반영구 화장 만족도의 하위요인별 물리적 요인, 인적 서비스, 재시술의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외모관심도가 반영구 화장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외모관심도의 하위요인별 타인지향성, 외모관리성이 높을수록 반영구 화장 인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모관심도가 물리적 요인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외모관심도의 하위요인별 타인지향성, 자기표현성, 외모관리성이 높을수록 물리적 요인 만족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외모관심도가 인적 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결과 외모관심도의 하위요인별 자기표현성, 외모관리성이 높을수록 인적 서비스 만족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외모관심도가 재시술 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결과 외모관심도의 하위요인별 타인지향성, 외모관리성, 자기표현성이 높을수록 재시술 의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반영구 화장 인식이 물리적 요인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분석결과 반영구 화장 인식이 높을수록 물리적 요인 만족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영구 화장 인식이 인적 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의 분석결과 반영구 화장 인식이 높을수록 인적 서비스 만족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반영구 화장 인식이 높을수록 재 시술 의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모에 대한 관심도와 반영구 화장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반영구 화장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 만족도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표현성을 제외한 외모관심도 하위 요인이 높을수록 반영구 화장 인식 또한 높게 나타나는 것은 반영구 화장 인식이 자기를 표현하는 것 보다 외모를 관리하고 타인에게 잘 보이기 위함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것이라 볼 수 있겠다. 반영구 화장은 외모관리가 중요한 개인의 평가 기준이 되는 현대 남성들에게 외모의 상승효과로 자신감을 줄 수 있고, 그로 인해 원만한 사회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어 반영구 화장에 대한 인식이 높아진 것이라 생각할 수 있겠다. 이는 외모가 경쟁력이 되는 사회에서 외모관리를 하는 남성이 늘고 있고, 이러한 현상이 새로운 뷰티 시장의 형성이라는 결과를 낳기 때문에 빠르게 변화하는 뷰티 트렌드를 읽고 대응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남성이 과거에 비하여 적극적인 외모관리의 주체가 되고 있는 만큼 남성에게 반영구 화장이 주는 심리적 변화나 만족도 조사를 통해 남성 반영구 화장과 반영구 화장 시장이 활성화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는 조사 지역과 대상이 광주광역시와 전라북도, 전라남도에 거주하는 20-30대로 한정되어 있으므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여 남성 반영구 화장 시장 전체에 대입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지역 및 연령을 확대하여 광범위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persons surveyed
Division Frequency (N) Percent (%)
Age group 19-29 137 59.1
30-39 95 40.9
Marital status Single 185 79.7
Married 47 20.3
Last educational background Less than high school 36 15.5
College enrollment/graduation 49 21.1
University enrollment/graduation 129 55.6
Graduate school/graduation 18 7.8
Job Office worker 73 31.4
Service/Sales 74 31.9
Self-employment 38 16.4
Profession 21 9.1
Student 26 11.2
Total 232 100.0
Table 2.
Valid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ppearance interest
Division Question Ingredient
Factor1 Factor2 Factor3
Factor 1 Self expressiveness 2. I apply basic cosmetics after washing my face. .830 .135 .211
3. I apply sunscreen. .805 .130 .227
6. I get skin care in hospitals, skin care shops. .776 .087 .211
5. I exercise for the purpose of getting in shape. .760 .198 .222
1. I check my appearance in the mirror before going out. .757 .234 .249
7. I change my hairstyle periodically. .727 .337 .199
4. I manage my diet for weight management. .716 .122 .282
8. I tend to buy clothes according to the season. .680 .383 .152
Factor 2 Look manageability 10. Appearance management is considered to be polite to others. .191 .870 .178
11. Taking care of your appearance should be continued no matter how old you are. .229 .799 .143
12. I think appearance management is one of the means of expressing myself. .141 .752 .178
9. Taking care of your appearance helps you in your social life. .222 .736 .147
15. Plastic surgery can also be done to make you look better. .127 .712 .388
13. I think that you should manage your appearance by collecting information in the fields of fashion and beauty. .224 .702 .359
14. Even if I can't afford it, I tend to take care of my appearance. .167 .687 .346
Factor 3 Others directivity 19. I tend to change clothes style and atmosphere according to the people I meet. .225 .209 .809
20. I care all day if I don't like the style. .328 .217 .770
18. I try to be told that I have a younger-looking appearance than others. .245 .198 .760
21. I try to hear that I dress well. .303 .270 .751
17. I care what other people think of my appearance. .236 .349 .631
16. I collect information in the fields of fashion and beauty to manage my beautiful appearance. .264 .353 .598
Eigenvalues 5.280 4.835 4.043
Dispersion explanation (%) 25.144 23.026 19.250
Cumulative dispersion explanation (%) 25.144 48.170 67.420
Reliability .926 .915 .897

KMO=.925, Bartlett's test χ²=3719.906 (df=210, p=.000)

Table 3.
Verific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semi-permanent cosmetic recognition
Division Question Ingredient
Factor1
Factor1 Semi-permanent makeup recognition 3. I think semi-permanent makeup makes up for the shortcomings. .908
2. I think positively about semi-permanent makeup. .870
4. I think you can have a good appearance with semi-permanent makeup. .854
1. I know what semi-permanent makeup is. .798
Eigenvalues 2.947
Dispersion explanation (%) 73.678
Cumulative dispersion explanation (%) 73.678
Reliability .877

KMO=.782, Bartlett's test χ²=525.153 (df=6, p=.000)

Table 4.
Validity and reliability verification of semi-permanent cosmetic satisfaction
Division Question Ingredient
Factor1 Factor2 Factor3
Factor1 Human service 6. I have confidence in the company (hospital, skin care shop, etc.) where I received the treatment. .872 .243 .323
5. I am satisfied with the service of semi-permanent makeup (retouch, etc.) .859 .285 .170
7. People who wear semi-permanent makeup (artists, doctors, etc.) are experts and can be trusted. .820 .226 .330
Factor2 Reoperation intention 3. I am willing to receive semi-permanent makeup in the future. .213 .880 .277
4. I would recommend semi-permanent makeup to people around me. .338 .866 .178
Factor3 Physical factors 1. I am satisfied with the design and color of the semi-permanent makeup. .265 .227 .852
2. I am satisfied with the cost of semi-permanent makeup. .291 .218 .849
Eigenvalues 2.484 1.816 1.798
Dispersion explanation (%) 35.489 25.941 25.683
Cumulative dispersion explanation (%) 35.489 61.430 87.114
Reliability .919 .877 .829

KMO=.800, Bartlett's test χ²=665.215 (df=21, p=.000)

Table 5.
Overall interest in appearance
Division Mean (M) Standard Deviation (SD)
Concern for appearance Self-expression 3.53 .753
Appearance management 3.81 .709
Oother-oriented 3.87 .730
Total 3.72 .624
Table 6.
Differences in appearance interest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Division Concern for appearance
Total
Self-expression
Appearance management
Other-oriented

M SD M SD M SD M SD
Age group 19-29 3.61 .713 3.85 .670 4.00 .654 3.80 .555
30-39 3.42 .798 3.76 .761 3.70 .797 3.61 .700
t-value (p) 1.865 (.064) .896 (.371) 3.027** (.003) 2.165* (.032)
Marital status Single 3.55 .762 3.82 .697 3.93 .694 3.75 .610
Married 3.47 .722 3.77 .760 3.65 .825 3.62 .673
t-value (p) .692 (.489) .487 (.627) 2.388* (.018) 1.294 (.197)
Last educational background Less than high school 3.52 .754 3.56 .755 3.83 .783 3.62 .654
College enrollment/graduation 3.58 .686 3.82 .679 3.95 .622 3.77 .552
University enrollment/graduation 3.50 .776 3.87 .712 3.89 .756 3.73 .648
Graduate school/graduation 3.66 .796 3.83 .603 3.68 .713 3.72 .607
F-value (p) .332 (.803) 1.880 (.134) .655 (.581) .400 (.753)
Job Office worker 3.73 .583 3.87 .624 4.06 .606 3.87 .492
Service/Sales 3.42 .783 3.79 .762 3.74 .751 3.64 .669
Self-employment 3.57 .664 3.77 .707 3.88 .831 3.72 .647
Profession 3.46 .862 3.80 .578 3.67 .750 3.64 .646
Student 3.32 1.013 3.77 .893 3.88 .749 3.63 .737
F-value (p) 2.229 (.067) .213 (.931) 2.181 (.072) 1.622 (.170)
total 3.53 .753 3.81 .709 3.87 .730 3.72 .624

* p<.05,

** p<.01

Table 7.
Overall semi-permanent makeup recognition
Division Mean (M) Standard Deviation (SD)
Semi-permanent makeup recognition 3.73 .799
Table 8.
Semi-permanent cosmetic recognition differenc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Division Mean (M) Standard Deviation (SD) t/F-value p
Age group 19-29 3.79 .722 1.492 .138
30-39 3.63 .894
Marital status Single 3.73 .788 .028 .978
Married 3.72 .849
Less than high school 3.65 1.032 .189 .904
Last educational background College enrollment/graduation 3.76 .813
University enrollment/graduation 3.73 .695
Graduate school/graduation 3.79 .979
Job Office worker 3.81 .730 .452 .771
Service/Sales 3.67 .765
Self-employment 3.66 .743
Profession 3.65 .792
Student 3.80 1.136
Total 3.73 .799
Table 9.
Overall semi-permanent makeup satisfaction
Division Mean (M) Standard Deviation (SD)
Semi-permanent makeup satisfaction Physical factors 3.80 .817
Human service 4.05 .884
Reoperation intention 3.96 .884
Total 3.95 .739
Table 10.
Semi-permanent cosmetic satisfaction differenc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Division Semi-permanent makeup satisfaction
Total
Physical factors
Human service
Reoperation intention

M SD M SD M SD M SD
Age group 19-29 3.77 .826 4.05 .957 3.88 .902 3.92 .774
30-39 3.84 .808 4.03 .745 4.11 .840 4.00 .675
t-value (p) -.469 (.640) .164 (.870) -1.400 (.164) -.539 (.591)
Marital status Single 3.79 .808 3.97 .924 3.90 .874 3.90 .753
Married 3.84 .878 4.41 .524 4.25 .896 4.20 .617
t-value (p) -.285 (.776) -2.142* (.034) -1.685 (.094) -1.761 (.081)
Last educational background Less than high school 3.62 .907 3.89 .939 3.83 .899 3.80 .711
College enrollment/graduation 3.85 .634 4.08 .744 4.08 .584 4.02 .537
University enrollment/graduation 3.77 .858 4.03 .932 3.92 .944 3.93 .804
Graduate school/graduation 4.31 .458 4.50 .535 4.31 .998 4.39 .544
F-value (p) 1.472 (.225) .946 (.420) .763 (.517) 1.370 (.255)
Job Office worker 4.04ab .654 4.18 .788 4.13 .658 4.13 .524
Service/Sales 3.57a .897 3.87 .960 3.92 .932 3.80 .834
Self-employment 3.84ab .662 4.11 .654 3.98 .809 3.99 .572
Profession 4.22b .712 4.30 .696 4.11 1.083 4.22 .693
Student 3.53a .977 3.96 1.182 3.61 1.145 3.74 1.003
F-value (p) 2.981* (.022) .919 (.455) 1.146 (.338) 1.755 (.142)
total 3.80 .817 4.05 .884 3.96 .884 3.95 .739

* p<.05

Duncan :a<b

Table 11.
Correlation between appearance interest and semi-permanent makeup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Division Concern for appearance
Semi-permanent makeup recognition Semi-permanent makeup satisfaction
Self-expression Appearance management Other-oriented Physical factors Human service Reoperation intention
Concern for appearance Self-expression 1
Appearance management .521*** 1
Other-oriented .622*** .643*** 1
Semi-permanent makeup recognition .338*** .416*** .440*** 1
Semi-permanent makeup satisfaction Physical factors .386*** .372*** .427*** .350*** 1
Human service .352*** .317*** .304*** .395*** .612*** 1
Reoperation intention .344*** .370*** .406*** .339*** .531*** .590*** 1

*** p<.001

Table 12.
Effects of Appearance Interest on Semi-permanent Makeup Recognition
Division No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ation factor
t p
B S.E β
(constant) 1.454 0.285 5.104 .000
Self-expression .068 .081 .064 .838 .403
Appearance management .241 .088 .214 2.755** .006
Other-oriented .288 .093 .263 3.104** .002
R²=.226, Adj. R²=.216, F=22.193***, p=.000

** p<.01,

*** p<.001

Table 13.
Effect of appearance interest on physical factor satisfaction
Division No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ation factor
t p
B S.E β
(constant) .249 .536 .466 .642
Self-expression .291 .114 .218 2.542* .012
Appearance management .261 .119 .190 2.198* .030
Other-oriented .348 .130 .244 2.674** .008
R²=.259, Adj. R²=.242, F=14.908***, p=.000

* p<.05,

** p<.01,

*** p<.001

Table 14.
Impact of appearance interest on human service satisfaction
Division No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ation factor
t p
B S.E β
(constant) .929 .610 1.523 .130
Self-expression .350 .130 .242 2.690** .008
Appearance management .279 .135 .188 2.067* .041
Other-oriented .172 .148 .111 1.159 .249
R²=.179, Adj. R²=.160, F=9.293***, p=.000

* p<.05,

** p<.01,

*** p<.001

Table 15.
Effects of appearance interest on reprocessing intentions
Division No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ation factor
t p
B S.E β
(constant) .321 .590 .543 .588
Self-expression .253 .126 .175 2.006* .047
Appearance management .305 .131 .206 2.336* .021
Other-oriented .363 .143 .235 2.532* .013
R²=.232, Adj. R²=.214, F=12.883***, p=.000

* p<.05,

*** p<.001

Table 16.
Effects of Semi-permanent Makeup Recognition on Physical Factor Satisfaction
Division No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ation factor
t p
B S.E β
(constant) 1.838 .464 3.962 .000
Semi-permanent makeup recognition .485 .114 .350 4.265*** .000
R²=.123, Adj. R²=.116, F=18.189***, p=.000

*** p<.001

Table 17.
Impact of semi-permanent cosmetic recognition on human service satisfaction
Division No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ation factor
t p
B S.E β
(constant) 1.657 .492 3.367 .001
Semi-permanent makeup recognition .591 .121 .395 4.904*** .000
R²=.156, Adj. R²=.150, F=24.047***, p=.000

*** p<.001

Table 18.
Effects of semi-permanent cosmetic recognition on reprocessing intentions
Division No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ation factor
t p
B S.E β
(constant) 1.913 .504 3.796 .000
Semi-permanent makeup recognition .508 .123 .339 4.111*** .000
R²=.115, Adj. R²=.108, F=16.901***, p=.000

*** p<.001

References

Baek, S. J. (2011).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Adolescents'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pp.9-10.
Choi, E. Y. (2015). Effects of Men's Appearance Interest on Beauty Care Behavior by Group, Graduate School of Science. Kyungsung University, Dissertation on Master's Degree in Science, p.4.
Eo, G. H. (2018). A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Eyebrow Semi-permanent Makeup Reprocessing. Master's thesis at Sookmyung Women's University's Tele Graduate School, p.2 pp.9-12.
Go, J. Y. (2015). Alienation and loneliness of other-oriented life. Chung-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pp.7-9.
Han, S. M. (2015). Semi-permanent cremation status and satisfaction. Master's thesis at Sookmyung Women's University's Tele Graduate School, p.4 pp.32-39 pp.73-75 pp.82-84.
Han, S. H. (2020).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appearance and self-efficacy according to men's semi-permanent natural eyebrow procedures. Master's thesis from Seokyeo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Beauty and Arts, pp.1-3 pp.35-39 pp.42.
Hong, S. N. (2018). Effects of Preference for Semi-permanent Makeup on Procedure Satisfaction. Asian Beauty Cosmetics Journal, 16(2), 165-177.
crossref
Jo, M. R. A., & Kim, S. H. (2020). Comparison of Risk Perception with Semi-permanent Toilet Appearance and Experience in Semi-permanent Makeup Procedur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6(6), 1398-1414.
Saramin. (2020. 11. 22). Appearance has been found to have a huge impact on hiring... http://catalk.kr/information/lookism-about-job.html.
Jung, N. R., Song, Y. S., & Lee, G. K. (2013). A Study on the Skin Recognition and Cosmetic Use and Purchasing Behavior of Male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Beauty, Culture and Arts, 2(2), 68-81.
Kang, H. J., Choi, H. J., Kim, J. H., Chae, Y. R., Kang, S. H., Lee, S. H., & Kim, W. H. (2018). Effects of male college students' appearance stress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n employment stress.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Health Association, 31(2), 108-116.
Kim, M. S. (2018). Effects of Appearance Satisfaction and Emotional Support on Self-Perception of Ability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Satisfaction-Comparison of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Youth Welfare Research, 20(1), 91-116.
crossref
Kim, J. Y., & Kim, J. D. (2015).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Men's Skin Recognition and Cosmetic Use. Journal of Cosmetics and Beauty Korea, 5(2), 137-150.
Kim, T. H. (2014). A Study on the Consumer Behavior of Nail by Appearance Interest. Kyungsu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Ph.D. thesis, pp.29-30, p.93.
Kim, H. R. (2012). The effect of female exercise participants' self-expression on exercise intensity and exercise type selection. Incheon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Thesis, p.6.
Kim, H. J. (2015). Cosmetic purchase behavior and purchase satisfaction according to male consumers' lifestyle and appearance interest. Seokyeo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pp.13-16, 46-49.
Kim, H. J. (2004). Appearance Management: Narcissistic Personality Disposition and Body. Ewha Woma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p.23.
Kim, E. H., & Kim, S. H. (2016). Effects of Adolescent Appearance Satisfaction on Self-Esteem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esthetics, 22(6), 1271-1285.
Kim, Y. M., & Na, Y. Y. (2019). How adult men's appearance is affected by beauty management behaviors and appearance improvements. Journal of Academic Design and Culture, 25(2), 79-91.
crossref
Lee, M. Y., & Kim, Y. S. (2006). Behavior of men in their 20s and 30s buying cosmetics according to their lifestyle. Journal of the Korean Dressing Society, 56(1), 56-69.
Lee, S. R. (1997). Comparison of the Effectiveness of Treatment Factors on Self-Oriented and Other-Oriented Attitudes: For Sensitivity Training Group Counseling. Master's thesis at the Catholic University's Graduate School, p.8.
Lee, J. S. (2017). A Study on the Consumption Emotion of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Master's thesis at Sangmyu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p.6.
Lee, T. Y. (2020). A Study on Risk Perception and Satisfaction for Semi-permanent Makeup Procedures and Use Cases for Hairline Correction Procedures. Master's thesis at Hannam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ocial Culture and Public Welfare, pp.28-31 pp.39-41.
Noh, J. E. (2014). Effect of Male Appearance Interest on Self-Esteem and Job Stress. Gacho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Business Master's Thesis, p.44, 56, 70.
Park, G. H. (2016). The effect of semi-permanent makeup treatment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on re-treatment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esthetic Art, 17(1), 189-205.
crossref
Park, H. W., & Jeong, M. S. (2011). Effects of Appearance Interest and Body Satisfaction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f Male College Students. Clothing Culture Research, 19(5), 1119-1132.
Song, M. J., & Kim, S. H. (2019). University Men’s Cosmetics Consumption Patterns and their Perception of Makeup.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5(2), 352-360.
Song, Y. I. (2019). A Study on Perception, Satisfaction and Risk Perception of Semi-Permanent Makeup Experienced Persons. Hannam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ocial Culture and Public Administration and Welfare Master's Thesis, pp.28-39 pp.44-57.
Woo, J. H., & Song, Y. S. (2019). Semi-permanent makeup awareness, treatment degree, satisfaction and re-treatment inten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5(1), 91-105.
Yeo, E. J. (2019). Effects of Youth Self-Expression on Peer Relationships: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 of Self-Control Capabilities. Master's thesis at Dongui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p.5.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10-2825-6735   Fex: +82-62-950-3797    E-mail: beauty2007@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