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Cosmetol > Volume 28(3); 2022 > Article
대면교육과 비대면교육에 의한 학습만족도 차이 분석 -미용종사자의 학습몰입도와 상호작용 중심으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face-to-face education and non-face-to-face education of beauty workers on learning satisfaction. For the investigation of this study, 400 beauty workers nationwide who have received face-to-face education and non-face-to-face education were targeted. Previous studies that studied the satisfaction of face-to-face education and non-face-to-face education were referenced, and a total of 400 copies were distributed for three months from November 01, 2021 to January 31, 2022 and 273 copies were used as survey data.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T-test were conducted through the SPSS 25.0 program.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face-to-face education and non-face-to-face education of beauty workers on learning satisfaction, learning commitment and interaction with students showed a positive (+)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It is believed that it will be very effective for learning satisfaction by using smart mixed training courses in NCS training or blended learning education that mixes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education as basic data for learning training methods.

I. 서 론

2019년 인류의 대재앙 수준인 바이러스 전염병 코로나 19(COVID-19)가 발생하였고 2022년 3월 현재까지 각 국가와 국민은 여러차례에 걸친 백신접종과 사회적 거리두기 등으로 적극적인 방역으로 대처를 해왔으나 여전히 사회, 경제적으로 많은 혼란과 고통을 겪고 있다. 2021년 11월에는 위드 코로나(with corona)라는 정부 방침이 정해지기도 했으나 여전히 혼란을 겪고 있으며, 2022년 3월 22일 현재 국내 코로나19 누적확진자는 1천만명으로 우리나라 국민 5명중 1명이 확진되었다고 연합뉴스는 밝혔다. 코로나 19가 종식보다는 풍토병으로 자리잡아 인류가 짊어지고 같이 살아가야 하는 병으로 인식됨에 따라 기존의 생활 문화 양식과 특히 교육문화에도 많은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까지 미용 전공자들의 교육은 미용 대학이나 직업학교, 교육 센터, 개인 특강에 의해 이루어져 왔으며, 미용종사자의 기술향상을 위한 재교육은 미용 단체나 미용제품 회사의 입점 교육 등, 주입식 대면 학습 위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비대면이라는 사회적 요구에 따라 집체 대면 교육에 어려움이 있게 되자, 대부분의 미용 교육이 블렌디드(blended) 교육이나 줌(Zoom) 화상 강의, 유튜브 동영상과 같은 비대면 교육으로 전환되었다. 비대면 교육을 위해 교수자들은 대부분 자신들이 기존에 만든 콘텐츠나 강연자료 혹은 강의실 등에서 촬영한 강의 콘텐츠로 수업을 진행하고 있으나 미용 교육 특성상 교수자의 시범 학습 등 실기 실습 교육이 요구되는 실정에서 교육생들의 학습만족도를 높이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절감하고 있다. Han 외 2명은 미용실기 교육과정은 실기 지식과 기능을 습득하게 하는 것으로서 교육목표를 설정하여 수업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고(Han et al., 2021), 일부 교육기관에서는 코로나19 이전부터 실기과목을 제외한 이론과목은 비대면으로 진행되는 경향인데, 이유는 비대면 수업이 시간과 장소의 제약이 없고, 교육환경, 수강방법 등을 수강자 본인이 통제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고도 말하였다(Kwon, 2021). 온라인 교육은 일방향적인 교육 형태를 가지는 특성이 있기에 실제 대면 수업 과정에서 가능한 질의응답이나 학습자의 반응을 보면서 교육의 강약을 조절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서술하였다(Yang, 2021). 또한, 여러 조사에서 공통적인 문제로 지적된 것은 비대면 교육으로 인해 교수자 및 수강생들과의 상호작용이 줄었으며, 수업 외의 다양한 학생활동이 거의 이루어지지 못한다고 하였다(Hong & Ryu, 2020).
본 연구에서는 미용 종사자들의 학습 몰입도와 수강생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대면교육과 비대면 교육의 학습 만족도 차이를 연구함으로써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 현상에 따라 교육 현장에서도 적극적으로 변화에 대처해 나갈 수 있는 기초연구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또한 미용실기 교육의 경우 비대면 교육이 어려운 점에 착안하여 대면 교육의 장점과 비대면 교육의 장점을 취하는 콘텐츠 개발 및 영상 매체 제작을 통한 블렌디드 교육법과 같은 교육프로그램을 구축함으로서 학습 훈련 방안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미용 교육 발전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II. 이론적 배경

1. 대면 교육

대면 교육은 교수자와 학습자가 동일한 시간과 장소에서 교수자 중심으로 교육이 진행되는 집체교육 또는 개인지도 하는 것을 의미한다. 대면수업은 수업 중에 교수자와 학습자, 학습 동료 간에 직접적인 상호작용이 가능한 것을 말하며(Song et al., 2011), 대면 교육의 장점으로는 수업 교수자와 교육생이 대면으로 마주 보면서 학습을 진행하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몸짓이나 행동을 통하여 의사소통이 가능한 점과 교육생의 표정이나 눈빛을 통해 교육내용을 얼마만큼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교수자가 주체가 되고 수강생들은 수동적으로 참여하여 교수자의 강의식 수업에 의존하는 수동적인 교육이 되기 쉬운 단점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Kwon은 교육생의 개성과 능력이 무시되기 쉽고, 교육생 중 학습능력이 낮은 경우 개념과 요점 등의 파악이 곤란하여 학습동기를 저하시킬 수도 있고, 교육생의 개별적인 수준과 개성에 맞춰 교육을 진행하기가 어렵다고 대면교육의 어려움을 서술하였다(Kwon, 2021). 이에 따라 수동적인 강의법에서 벗어난 문답법, 토의법, 토론법, 협동학습, 체험학습 등의 능동적 참여가 가능한 다양한 기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2. 비대면 교육

비대면 교육은 교육생들이 공간적 제약을 초월해서 수업을 듣는 교육 운영 방식으로 원격화상교육, 동영상교육, 유튜브 교육 등이 있다. Lee는 비대면 교육을 COVID-19 사태 대응 측면에서 수업 참여자 간 비대면에 중점을 두는 원격교육, 사이버교육, 온라인 교육을 말한다고 정의하였다(Lee, 2021). 코로나 19에 의해 온라인이라는 전례 없는 수업 방식이 전개됨에 따라 교육 현장과 가정에서는 큰 혼란을 겪었으며, 학업 결손, 학력 저하, 교육 불평등 등의 문제가 지적되었고, 학생들의 집중도 저하, 가정에서의 돌봄의 한계, 사회성 형성의 문제 등도 대두되었다(Hyun, 2020). 코로나 1 9 사태 비대면 교육 초기에는 비대면 교육자료의 부족으로 혼란을 겪게 되었고(Jung, 2020), 서버 문제, 플랫폼 접속 등의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이루어졌으며, 코로나 19 사태가 1년정도 경과한 2021학년도에는 기술적 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되어 비교적 안정적인 비대면 수업을 운영하고 있다(Yoon, 2021)는 의견도 있었다. Yang은 온라인 교육은 교육생으로 하여금 언제, 어떤 경로로든 접근할수 있도록 많은 통로가 열려가고 있다고 말하였다(Yang, 2021). 비대면 교육의 장점에 대하여 Kim & Kim은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 연결만 된다면 온라인 교육을 수강할 수 있으며, 많은 인원을 수용한 교육이 가능해 교육생의 학습 선택권을 박탈당하는 일이 줄어든다고 서술하였다(Kim & Kim, 2018).

3. 학습 몰입도

학습 몰입도란 학습자가 학습 과정중에 집중과 흥미, 노력 등이 강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Park은 몰입은 학습자가 학습내용을 완전히 이해하여 심리적으로 즐거운 상태이며 학습 과정에 몰두되어 있는 상태라고 정의하였다(Park, 2014). 몰입상태에 있는 학습자는 수행하고 있는 학습에 완전히 투사되므로 학습자의 인식과 학습활동이 하나가 되어 학습활동과 인식이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학습이 자연스러우며 저절로 이루어지는 느낌을 받게 된다(Kim, 2003), 학습과 관련된 활동에 완전히 몰입되어 과제 집중, 통제감은 물론 시간 감각의 왜곡을 경험하는 심리상태라고 하였으며(Kim, 2015) 온라인 학습에서도 학습자의 연결성과 상호작용 요인이 학습 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학습 태도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준다(Park & Kim, 2006)고도 말하였다. 선행 논문에서 알수 있듯이 학습몰입이란 수업에 완전히 몰두하여 학습자가 최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태이며, 학습활동에의 참여가 즐거움과 창조성을 경험하는 순간적인 몰입이 관찰된다고 할 수 있다. 학습몰입은 학습자가 학습 결과의 성취와 목표 달성을 위해 집중하며 노력을 쏟았을 때 학습에 대한 흥미뿐 아니라 즐거움, 창조성, 자기 존중감 등을 갖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4. 수강생의 상호 작용

비대면 교육에서의 상호작용은 학습자의 능동적인 참여와 인지작용을 유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온라인상의 의사소통을 의미하며(Kim, 2021), 온라인 수업에서 상호작용은 수업의 핵심으로, 학습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Kim, 2017). 교육 활동에 대한 학생의 노력과 참여, 교수자와 동료 수강생들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긍정적인 경험이 학습성과를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교육기관은 이러한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그럼에도 교육기관은 코로나19 사태 속에서 어쩔수 없이 원격 수업을 통해 교육을 하였고, 이는 유의미한 상호작용의 감소와 함께 실험이나 실습 등의 제한, 학생 주도적인 활동의 축소 등 학생의 교육 활동에 제약이 나타날 수 밖에 없었다. 이는 학생들의 학습성과의 결손으로 연결될 우려가 있다. 여러 연구에서 공통적인 문제로 지적된 것은 비대면 교육으로 인해 교수와 수강생간의 상호작용이 줄었으며, 수업 외의 다양한 학생활동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Hong & Ryu, 2020). 상호작용이 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수용성과 민감성, 인지적 관여, 접근 가능성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Lee et al., 2021)는 의견과도 상통한다.
선행연구에서 볼 수 있듯이 장, 단기간의 여러 교육에서 수강생의 경쟁 관계나 팀 프로젝트 등을 통한 협력관계, 여러 가지 정보의 공유, 수강생의 경쟁을 통한 동기 유발 등이 더 나은 학습 결과를 도출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사회성 발달에도 영향을 주어 이후에 있을 다른 직업 집단이나 친목적인 집단에서도 수강생과의 상호 작용은 좋은 대인관계를 이루는 기초가 되는 것이다.

5. 학습 만족도

학습 만족도에 대한 의미는 교수자 및 학습자들과의 관계가 조화롭고 만족스러운 상태이다. 즉, 학습 만족도란 학습자가 대면 교육과 비대면 교육의 방법으로 지식, 기술 등을 이수한 후 느끼는 학습자의 만족 정도를 말한다. 교육기관은 다양한 지식, 기술, 태도 등으로 학습자에게 만족감을 주고, 교수자와 학습자들이 조화로운 관계가 되어 수업의 전반에서 자기 욕구를 해결하므로서 만족감을 가지게되고 수강생 개인차에 따라 충족감을 가지는 정도를 나타낸다(Shin, 2017). 학습 만족도는 직무교육을 통하여 직무에서 요구하는 전문성과 자긍심을 심어주고 성취와 인정, 보람 등 개인의 감정과 기대의 가치를 느끼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Park & Kim, 2006). 교육기관에서 제공하는 교육을 학습자가 실제로 경험하고 만족을 느끼는 교육 정도의 주관적 반응을 살펴보는 것을 의미한다(Lee, 2013) 등의 정의가 있었다. Kang은 학습 만족도는 학습에 대한 관심도와 교육내용과 교육기법, 교육환경, 강사수준, 교육평가의 적절성에 따라 높아진다고 하였고(Kang, 1999), Kwon은 학습 몰입도는 학습의 결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볼 수 있으며, 다수의 연구자들이 학습 성과 극대화를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지속적으로 연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고 하였다(Kwon, 2021).
선행연구 결과에서 보듯이 일방적 주입식 교육을 탈피함으로써 학습자 주도적 참여와 이론과 실기 교육의 적절한 조화로 대면교육과 비대면 교육의 특장점을 효과적으로 융합하여 학습자의 만족도에 기여하며, 이를 위하여 시대가 요구하는 교육 콘텐츠의 기틀을 마련하는 전문적인 교육이 절실하다.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 문제

본 연구는 대면 교육과 비대면 교육의 학습 만족도 차이를 미용종사자의 학습 몰입도와 상호작용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하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면 교육시 학습 몰입도와 수강생의 상호작용에 따른 미용종사자의 학습 만족도를 알아본다.
둘째, 비대면 교육시 학습 몰입도와 수강생의 상호작용에 따른 미용종사자의 학습 만족도를 알아본다.
셋째, 대면 교육과 비대면 교육시 미용종사자의 학습 만족도 차이를 알아본다.

2. 조사대상 및 자료 수집

본 연구의 조사를 위하여 대면 교육과 비대면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전국의 미용 종사자 4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면 교육과 비대면 교육의 학습 만족도를 연구한 선행연구를 참고하였고, 조사 기간은 2021년 11월 01일부터 2022년 1월 31일까지 총 400부를 배포하여 274부를 수거하였고 응답내용이 불성실한 1부를 제외하고 273부를 조사자료로 사용하였다. 수거율이 적은 이유는 비대면 교육을 받아보지 못한 설문 대상자가 많아 조사에 어려움을 겪었기 때문이다.

3. 측정도구의 구성

본 연구의 측정도구로는 대면 교육에서의 학습 몰입도 9문항, 수강생의 상호작용 7문항, 학습 만족도 6문항으로 대면 교육에 대한 문항 22문항과 비대면 교육에서의 학습 몰입도 9문항, 수강생의 상호작용 7문항, 학습 만족도 6문항으로 비대면 교육에 대한 22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인구 통계학적 특성은 7문항, 일반적 특성은 3문항으로 총 54문항으로 수록되었으며, 5점 리커트척도로 구성하였다.
첫째, 대면 교육 문항에서는 Kim(2021), Kang(2021)의 연구를 토대로 연구자의 의도에 따라 수정, 보완하여 22문항으로 구성되었고, 5점 리커트 척도가 사용되었다.
둘째, 비대면 교육 문항에서도 Kim(2021), Kang(2021)의 연구를 토대로 연구자의 의도에 따라 수정, 보완하여 22문항으로 구성되었고, 5점 리커트 척도가 사용되었다.
셋째, 인구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문항에서는 Kim(2021)의 연구 의도에 따라 7문항으로 구성되었고, 명목 척도가 사용되었다.
일반적 문항에서는 Kang(2021)의 연구를 토대로 연구자의 의도에 따라 수정, 보완하여 3문항으로 구성하였고 명목척도가 사용되었다.

4. 자료 처리 방법

본 연구는 대면교육과 비대면 교육이 미용종사자의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spss 25.0을 활용했으며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조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둘째, 측정 도구의 구성개념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고, 측정 도구의 내적 일관성을 검증하고자 신뢰도 분석(Cronbach` α)을 실시하였다.
셋째, 각 변인간의 상호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하였다.
넷째, 대면수업과 비대면 수업에서 학습 몰입도와 수강생의 상호작용, 학습 만족도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t-test를 실시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조사 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빈도분석 실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첫째, 분석결과 연령은 20대 77명(28.2%), 30대 77명(28.2%), 40대 83명(30.4%), 50대이상 36명(13.2%)로 전체적으로 고른 분포를 보였고, 학력은 고졸이하가 54명(19.8%), 2년제대학졸업자가 54명(19.8%), 4년제 대학 재학/졸업자가 75명(27.5%), 대학원 재학이상이 9 0명(33.0%)으로 고른 분포를 나타내었다. 직책은 뷰티교육자가 37명(13.6%), 뷰티판매직 36명(13.2%), 뷰티 디자이너 106명(38.8%), 뷰티행정직 23명(8.4%), 뷰티교육생 71명(26.0%)으로 뷰티 디자이너가 대부분이었으며 경력은 5년 이하 57명(20.9%), 6~10년 50명(18.3%), 11~15년 63명(23.1%), 16~20년 57명(20.9%), 21년이상 46명(16.8%)으로 고른 분포를 나타내었다.
설문에 참여한 미용종사자들 중 대부분이 20~40대의 연령이었고 대학과 대학원이상의 고학력자가 대부분이었으며, 같은 미용업에 종사하더라도 고연령대와 저학력자들은 비대면 교육의 기회가 비교적 적었다는 점이 특이하였다.

2. 측정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본 연구의 측정도구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 추출방법은 주성분 분석(Principle Component Analysis)이며 요인적재치의 단순화를 위해 직교회전인 베리맥스(Varimax rotation) 방식을 사용하였다. 요인적재량(Factor Roading)은 0.05 이상으로 설정하였으며 변수들간의 상관관계 행렬의 적합성을 알아보고자 Bartlett의 구성형 검증을 하였다. 또한 변수 선정이 적합한지 판단하기 위해 KMO(Kaiser-Meyer-Olkin) 지수를 산출하였다.

1) 대면 교육에서 학습 몰입도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대면 교육에서 학습몰입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측정도구에 사용된 9문항이 요인적재치를 충족하여 모두 최종 적용되었다. 9문항은 1개의 요인으로 추출되었으며 KMO지수는 .901로 표본의 적합성이 확인되었다. Bartlett 구성형 검증치는 χ2=892.374, p<.000으로 변수간의 상관이 선형적 관계임이 검증되었고, 전체 변량(Total Variance)은 48.947%의 설명력을 보였다. 하위요인의 신뢰도(Cronbach' α)의 계수는 .865로 나타나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이는 대면수업에서 수업 몰입(집중) 정도는 평균 4.0, 온라인수업에서는 평균 3.1로 대면수업이 몰입정도가 더 높았으며, t-test 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다(An, 2021)는 연구 결과와 뷰티디자인 매니지먼트학과의 특성상 비대면 (온라인)수업보다는 대면수업을 선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Kwon, 2021)는 두 선행연구가 본 연구를 지지한다.

2) 대면 교육에서 수강생의 상호작용 요인 및 신뢰도 분석

대면 교육에서 수강생의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3와 같다. 측정도구에 사용된 7문항이 요인적재치를 충족하여 모두 최종 적용되었다. 7문항은 1개의 요인으로 추출되었으며, KMO지수는 .877로 표본의 적합성이 확인되었다. Bartlett 구성형 검증치는 χ2=747.422, p<.000으로 변수간의 상관이 선형적 관계임이 검증되었고, 전체 변량(Total Variance)은 55.137%의 설명력을 보였다. 하위요인의 신뢰도(Cronbach' α)의 계수는 .861로 나타나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이는 An의 학생-학생간 상호작용 정도는 대면수업이 평균 3.8, 온라인수업이 평균 3.0으로 대면 실습 수업이 학생-학생간 상호작용 정도가 많음을 알 수 있었으며, t-test 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An, 2021)는 연구 결과가 본 연구를 지지한다.

3) 대면 교육에서 학습 만족도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대면 교육에서 수업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실시한 요인분석 결과는 Table 4와 같다. 측정 도구에 사용된 6문항이 요인적재치를 충족하여 모두 최종 적용되었다. 6문항은 1개의 요인으로 추출되었으며 KMO지수는 .838로 표본의 적합성이 확인되었다. Bartlett 구성형 검증치는 χ2=658.628, p<.000으로 변수간의 상관이 선형적 관계임이 검증되었고, 전체 변량(Total Variance)은 57.959%의 설명력을 보였다. 하위요인의 신뢰도(Cronbach' α)의 계수는 .852로 나타나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이는 실습과목에서 대면 수업 만족도는 평균 3.9, 온라인수업 만족도는 평균 3.3으로 대면수업 만족도가 높았으며, t-test 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고 보고한 선행연구가 본 연구를 뒷받침해준다(An, 2021).

4) 비대면 교육에서 학습 몰입도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비대면 교육에서 학습몰입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실시한 요인분석 결과는 Table 5와 같다. 측정도구에 사용된 9문항이 요인적재치를 충족하여 모두 최종 적용되었다. 9문항은 1개의 요인으로 추출되었으며, KMO지수는 .935로 표본의 적합성이 확인되었다. Bartlett 구성형 검증치는 χ2=1454.397, p<.000으로 변수간의 상관이 선형적 관계임이 검증되었고, 전체 변량(Total Variance)은 61.143%의 설명력을 보였다. 하위요인의 신뢰도(Cronbach' α)의 계수는 .919로 나타나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학생들이 프로젝트 주제 선정을 위해 의견을 제시, 주제를 선정, 필요한 자료를 조사하는 등의 활동을 하고, 이를 반영하여 주제를 구체화 활동을 하였다(Chang, 2020)는 연구와 비대면 환경에서의 학생 학습참여도를 직전년도와 비교해보았을 때, 효과적 수업전략은 비교적 양호한 평가를 받았다(Hong & Ryu, 2020)는 연구가 본 연구를 뒷받침한다.

5) 비대면 교육에서 수강생의 상호작용 요인 및 신뢰도 분석

비대면 교육에서 수강생의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실시한 요인분석 결과는 Table 6과 같다. 측정도구에 사용된 7문항이 요인적재치를 충족하여 모두 최종 적용되었다. 7문항은 1개의 요인으로 추출되었으며, KMO지수는 .875로 표본의 적합성이 확인되었다. Bartlett 구성형 검증치는 χ2=883.917, p<.000으로 변수간의 상관이 선형적 관계임이 검증되었고, 전체 변량(Total Variance)은 57.024%의 설명력을 보였다. 하위요인의 신뢰도(Cronbach' α)의 계수는 .872로 나타나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이는 카카오톡 등의 메신저를 이용하여 단체 대화공간을 마련하고 서로 인사한 후 팀명, 팀규칙을 선정하였으며, 그룹이 수행해야 할 프로젝트가 무엇인지 이해하기 위한 노력을 하였고, 회의내용을 정리, 공유하였으며, 화기애애한 분위기 형성을 위해 노력하였다(Chang, 2020)는 연구와 온라인 프로젝트 학습을 통하여 프로젝트 진행과 팀 운영, 팀 회의 진행방법, 의사소통 방법과 상호작용 방법, 문제해결 방법, 분석적,창의적 사고, 자료탐색 활용방법등을 학습하였다(Chang, 2020)는 연구가 선행연구가 본 논문의 결과를 지원한다.

6) 비대면 교육의 학습 만족도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비대면 교육에서 수업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실시한 요인분석 결과는 Table 7와 같다. 측정 도구에 사용된 6문항이 요인적재치를 충족하여 모두 최종 적용되었다. 6문항은 1개의 요인으로 추출되었으며, KMO 지수는 .872로 표본의 적합성이 확인되었다. Bartlett 구성형 검증치는 χ2=828.004, p<.000으로 변수간의 상관이 선형적 관계임이 검증되었고, 전체 변량(Total Variance)은 63.588%의 설명력을 보였다. 하위요인의 신뢰도(Cronbach`α)의 계수는 .885로 나타나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이는 미용 전공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온라인교육의 학습참여도와 학습성취도가 학습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Kang, 2021)는 연구와, 온라인 프로젝트학습에 참여한 학습자들은 다양한 활동을 하였고, 그 과정에서 내용 지식, 실제적 지식, 집단 지성에 대해 학습하였다(Chang, 2020)는 보고가 본 연구를 뒷받침한다.

3. 대면 교육(학습 몰입도, 수강생의 상호작용, 학습 만족도)과 비대면 교육(학습 몰입도, 수강생의 상호작용, 학습 만족도)의 상관관계 분석

대면 교육의 학습 몰입도, 수강생의 상호작용, 학습 만족도와 비대면 교육의 학습 몰입도, 수강생의 상호작용, 학습 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8와 같다.
대면 교육 학습 몰입도는 대면 교육 수강생의 상호작용(r=.725), 대면 교육 학습 만족도(r=.683)에 통계적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비대면 교육 학습 몰입도(r=-154), 비대면 교육 수강생의 상호작용(r=-.153), 비대면 교육 학습 만족도(r=-.121)에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대면 교육 수강생의 상호작용은 대면 교육 학습 만족도(r=.762)에 통계적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비대면 교육 학습 몰입도(r=-215), 비대면 교육 수강생의 상호작용(r=-.165), 비대면 교육 학습 만족도(r=-.148)에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대면 교육 학습 만족도는 비대면 교육 학습 몰입도(r=-226), 비대면 교육 수강생의 상호작용(r=-.215), 비대면 교육 학습 만족도(r=-.120)에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비대면 교육 학습 몰입도는 비대면 교육 수강생의 상호작용(r=.744), 비대면 교육 학습 만족도(r=.706)에 통계적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비대면 교육 수강생의 상호작용은 비대면 교육 학습 만족도(r=.702)에 통계적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대면을 기반으로 하던 대학 교육을 비대면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교육 부분인 ‘수업’은 어느 정도 그 질과 효과를 유지하였지만, 그 외의 대학에서 의도적으로 제공하던 비교과 활동과 학생의 자생적인 교육․문화 활동 영역은 상당히 위축되었음을 보여준다(Hong & Ryu, 2020). An의 수업 만족도와 수업 몰입 정도, 학생-학생간의 상호작용 모두 대면 수업의 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현세대 학생들에게는 온라인수업이 익숙해진 면도 있다(An, 2021)는 연구내용과 일치한다.

4. T검정-대응 표본

대면 교육와 비대면 교육의 학습만족도 차이를 대응표본 T-test 분석한 결과는 Table 9와 같다.
학습 몰입도에서 대면 교육의 학습 만족도는 평균 4.111, 비대면 교육의 학습 만족도는 평균 2.608로 대면 교육의 학습 만족도가 높았으며, t값은 24.405, p값은 0.000으로 나타나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수강생의 상호작용에서 대면 교육의 학습 만족도는 평균 4.135, 비대면 교육의 학습 만족도는 평균 2.471로 대면 교육의 학습 만족도가 높았으며, t값은 27.224, p값은 0.000으로 나타나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학습 만족도에서 대면 교육은 평균 4.059, 비대면 교육은 평균 2.585로 대면 교육의 학습 만족도가 높았으며, t값은 24.976, p값은 0.000으로 나타나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실습과목 수업에서 학습 몰입도와 수강생의 상호작용에 의한 학습 만족도가 대면수업에서 더 높았고 모든 요인에서 t-test 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An, 2021)는 연구와 결과와 동일한 결과이다. 이에따라 Kang의 온라인 수업에 적합한 교수자의 질 높고 다채로운 수업 플렛폼을 개발하여 수강자들의 학습참여도, 학습성취도 및 교육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는 주장과(Kang, 2020), 블렌디드 러닝의 활용방법과 LMS, e-class 등의 활용도를 높여 학교와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는 상호소통 창구를 마련하는 등의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라는(Kwon, 2021) 연구 결과가 의미 있다고 생각된다.

V.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대면 교육과 비대면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전국의 미용 종사자 400명을 대상으로 대면 교육과 비대면 교육에 의한 미용종사자의 학습 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이를 근거로 다음과 같이 결론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대면 교육의 학습 몰입도와 수강생의 상호작용, 학습 만족도와 비대면 교육의 학습 몰입도, 수강생의 상호작용, 학습 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 유의한 정(+)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이에 따라 대면 교육과 비대면 교육의 학습 만족도를 비교하였을 때 대면 교육의 학습 만족도가 높음을 알수 있었으며, 비대면 교육에서도 학습 몰입도와 수강생의 상호 작용에 따라 학습 만족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대면 교육과 비대면 교육의 만족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실행한 대응표본 T-test 분석결과 학습 몰입도와 수강생의 상호작용에 따른 학습 만족도를 대면 교욱과 비대면 교육으로 비교했을 때 큰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모든 교육에서 학습 몰입도와 수강생의 상호작용은 학습 만족도에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도출해 낼 수 있었으며, 미용 실기 수업의 특성상 모든 교육생이 비대면 교육보다는 대면 교육을 더 필요로 하지만, 비대면 교육자료의 개발이 점점 활발하여 짐에 따라 교육생들도 점점 적응해 가고 있다는 점도 발견되었다.
시대적 요청에 따라 비대면 교육을 시행하여도 대면 교육의 장점과 비대면 교육의 장점을 취하여 콘텐츠 개발 및 영상 매체 제작을 통한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을 구축함에 있어서 학습 몰입도와 수강생간의 상호 작용이 학습 만족도에 크게 기여함을 인식하고 NCS 훈련에서의 스마트 혼합 훈련 과정이나 대면과 비대면 교육을 혼합한 블렌디드 러닝 교육 등을 학습 훈련 방안의 기초 자료로 활용함이 학습 만족도에 매우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 된다.
향후 다양한 온라인교육의 형태에 맞는 교육 참여도, 교육 성취도 및 학습 만족도를 향상 시키기 위하여 4차산업혁명의 기술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 학습모형을 개발하는 등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콘텐츠 개발 및 영상 매체 제작을 통한 블렌디드 교육법 등으로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을 구축하기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 된다.

Table 1.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ubjects (N=273, %)
Item Frequency Percentage % Accumulation (%)
Age 20s 77 28.2 28.2
30s 77 28.2 56.4
40s 83 30.4 86.8
50s or older 36 13.2 100.0
Academic background under high school graduation 54 19.8 19.8
two-year college graduation 54 19.8 39.6
four-year college graduation 75 27.5 67.0
graduate school or higher 90 33.0 100.0
Profession beauty education 37 13.6 13.6
beauty sales 36 13.2 26.7
beauty designer 106 38.8 65.6
beauty administration 23 8.4 74.0
beauty Student 71 26.0 100.0
Career 1~5 years 57 20.9 20.9
6〜10 years 50 18.3 39.2
11〜15 years 63 23.1 62.3
16~20 years 57 20.9 83.2
for more than 21 years 46 16.8 100.0
Sum 273 100.0
Table 2.
Face-to-face education-learning commitment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Item Factor
Commonality
1
Learning immersion level 8. After taking a class, I feel rewarded and fulfilled. .787 .619
9. The beauty curriculum is interesting and I am looking forward to it. .764 .583
5. I am aware of the contents of the class accurately .734 .539
6. Ask questions if I don't know anything or have any questions during class. .717 .513
4. Make sure to take notes of what the professor emphasizes in class. .708 .502
3. I can plan and prepare for the tasks to be done. .678 .460
2. Traditional lecture-style classes are more concentrated than non-face-to-face classes .657 .431
7. The contents of practical practice class learning could be applied to practical practice and practice. .636 .405
1. I check the class goals and contents before the face-to-face practice class. .594 .353
eigenvalue 4.405
dispersion (%) 48.947
Accumulated (%) 48.947
Reliability (Cronbach' α) .865
KMO & Bartlett KMO=.901 χ²=892.374 p<.000
Table 3.
face-to-face education-interaction factor and reliability analysis of students
Item Factor
Commonality
1
Student interaction 2. Common learning goals such as participation in discussions, cooperative learning, and task performance can be recognized. .784 .615
3. Intercommunication with other students is smooth when taking group assignments. .777 .604
1. Interaction with my classmates is very stimulating to my learning motivation. .767 .589
5. Intercommunication with instructors or other students is very helpful for my studies. .745 .556
4. If I do not understand the content of the class, solve it through communication with other students. .741 .548
7. Compare and analyze the results of my assignment with others. .709 .503
6. Compared to other students, I feel satisfied if I study better. .667 .445
eigenvalue 3.860
dispersion (%) 55.137
Accumulated (%) 55.137
Reliability (Cronbach`α) .861
KMO & Bartlett KMO=.877 χ²=747.422 p<.000
Table 4.
face-to-face education-learning satisfaction factor analysis
Item Factor
Commonality
1
Satisfaction level 6. After completing the practical training class, it was helpful for employment, turnover, and promotion. .822 .676
4. The contents of practical practice class learning could be applied to practical practice and practice. .788 .621
5. Practical practice classes help improve academic skills. .776 .602
3. Through practical training classes, I could clearly see what I was going to do. .771 .595
2. The knowledge gained through the class helps improve field practice skills. .755 .570
1. I would like to continue using various face-to-face lessons. .642 .412
eigenvalue 3.478
dispersion (%) 57.959
Accumulated (%) 57.959
Reliability (Cronbach' α) .852
KMO & Bartlett KMO=.838 χ²=658.628 p<.000
Table 5.
Non-face-to-face education-learning commitment factor analysis
Item Factor
Commonality
1
Learning immersion level 5. I am aware of the contents of the class accurately .849 .721
7. The contents of practical practice class learning could be applied to practical practice and practice. .846 .716
8. After taking a class, I feel rewarded and fulfilled. .830 .689
4. Make sure to take notes of what the professor emphasizes in class. .806 .650
9. The beauty curriculum is interesting and I am looking forward to it. .801 .641
3. I can plan and prepare for the tasks to be done. .773 .598
6. Ask questions if I don't know anything or have any questions during class. .761 .580
1. I check the class goals and contents before the face-to-face practice class. .724 .524
2. Traditional lecture-style classes are more concentrated than non-face-to-face classes .619 .384
eigenvalue 5.503
dispersion (%) 61.143
Accumulated (%) 61.143
Reliability (Cronbach' α) .919
KMO & Bartlett KMO=.935 χ²=1454.397 p<.000
Table 6.
Non-face-to-face education, interaction factor and reliability analysis of students
Item Factor
Commonality
1
Student interaction 5. Intercommunication with instructors or other students is very helpful for my studies. .839 .703
4. If I do not understand the content of the class, solve it through communication with other students. .836 .699
2. Common learning goals such as participation in discussions, cooperative learning, and task performance can be recognized. .834 .695
1. Interaction with my classmates is very stimulating to my learning motivation. .766 .587
3. Intercommunication with other students is smooth when taking group assignments. .749 .561
7. Compare and analyze the results of my assignment with others. .629 .396
6. Compared to other students, I feel satisfied if I study better. .593 .351
eigenvalue 3.992
dispersion (%) 57.024
Accumulated (%) 57.024
Reliability (Cronbach`α) .872
KMO & Bartlett KMO=.875 χ²=883.917 p<.000
Table 7.
Non-face-to-face education-factor analysis of learning satisfaction
Item Factor
Commonality
1
Satisfaction level 5. Practical practice classes help improve academic skills. .845 .714
6. After completing the practical training class, it was helpful for employment, turnover, and promotion. .810 .657
2. The knowledge gained through the class helps improve field practice skills. .807 .651
3. Through practical training classes, I could clearly see what I was going to do. .790 .624
4. The contents of practical practice class learning could be applied to practical practice and practice. .766 .587
1. I would like to use more non-face-to-face classes in the future. .763 .582
eigenvalue 3.815
dispersion (%) 63.588
Accumulated (%) 63.588
Reliability (Cronbach' α) .885
KMO & Bartlett KMO=.872 χ²=828.004 p<.000
Table 8.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face-to-face commitment, face-to-face relationship, face-to-face commitment, non-face-to-face mutual satisfaction, non-face-to-face relationship and non-face-to-face satisfaction
Sortation face-to-face commitment face-to-face relationship face-to-face satisfaction non-face-to-face immersion non-face-to-face relationship non-face-to-face satisfaction
face-to-face commitment 1
face-to-face relationship .725** 1
face-to-face satisfaction .683** .762** 1
non-face-to-face immersion -.154* -.215** -.226** 1
non-face-to-face relationship -.153* -.165** -.215** .744** 1
non-face-to-face satisfaction -.121* -.148* -.120* .706** .702** 1

* p<.05,

** p<.01,

*** p<.001

Table 9.
T-test analysis between face-to-face education (learning immersion, interaction with classmates, learning satisfaction) and non-face-toface education (learning immersion, interaction with classmates, learning satisfaction)
Variable nam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 Vallue p Value
Learning immersion level face-to-face education 4.111 .521 24.405 0.000**
non-face-to-face education 2.608 .797
interaction with classmates face-to-face education 4.135 .577 27.224 0.000**
non-face-to-face education 2.471 .739
satisfaction level face-to-face education 4.059 .559 24.976 0.000**
non-face-to-face education 2.585 .734

References

An, H. K. (2021). A Study on the Differences of Online and Offline Classes in College Beauty Education Caused by COVID-19.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7(5), 1184-1195.
crossref
Chang, K. W. (2020). A Case Study on Project Based Learning in Distance Education: Focusing on Learners' Learning Experience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6(3), 775-804.
crossref
Han, J. Y., Lim, Y. S., & Chon, H. J. (2021). A Study on the Effect of Nonverbal Communication on Education Satisfaction and Learning Attitudes by Beauty treatment teach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s, 22(2), 35-51.
crossref
Hyun, H. Y. (2020). The possibilities and challenges of online-untact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the pandemics age : focused on the case of Kkumdarak. Saturday Culture SchoolKorea Association of Arts Education, 18(4), 99-118.
Hong, S. Y., & Ryu, Y. J. (2020). Factors Affecting College Students’ Learning Outcomes in non Face-to-Face Environment during Cvid-19 Pandemic.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6(3), 957-989.
crossref
Kang, C. Y. (1999). A Research on Qualitative Level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of Occupational Trainingg Course for the Unemployed to Get a Jab. Graduate School of Business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Kang, Y. J. (2021). Impact of Online Education Learning Participation Rate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ics on Learning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Honam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thesis.
Kwon, O. H. (2021). A Study on the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Immersion of Blended Learning (face-to-face) Classes between Korean and foreign college students after covid-19 -To H University in Seoul Department of Beauty Design Manag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7(4), 1053-1061.
crossref
Kwon, Y. Y. (2012). The impact of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climate variables on practitioners in institutes of lifelong education attached to colleges in terms of job-performance.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Lifelong Education, 18(2), 103-108.
Kim, J. N. (2021). The Effect of Teaching Competence in the New Normal Age on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Plans. -A Stu. Dept. of Beauty. Art & Design The Graduate School of Arts Hansung University. 10-11.
Kim, J. R. (2017). A Study on the Learning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in Flip-Learning-based Hair Beauty Class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s, 18(4), 239-251.
crossref
Kim, Y. J. (2015). Influence between Learning Flow of High School Student and Teacher Instructional Behavior Peceived by Students on Suvject Academic Achievement. Gachon University Doctor's thesis.
Kim, J. H. (2003). A Structur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Participants’ Learning Flow in Adult Learning Programs. A Dissertation for the Doctor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Kim, E. H., & Kim, S. H. (2018). Perception of Job Relevance, Job Comprehension, and Satisfaction Level of Beauty Student before and after Field Practice. The Korean Society of Makeup Design, 14(2), 25-32.
Lee, H. J. (2013). A Study on the Learning Motivation and Education Satisfaction of Learners in Credit Bank System. Korea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thesis.
Lee, Y. R., Kim, J. Y., Suh, Y. J., & Pack, E. J. (2021).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ve Features of Beauty Education, Perceived Value and Fanship.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7(3), 779-789.
crossref
Park, S. I., & Kim, Y. K. (2006). An Inquiry on the Relatiohips among Learning-Flow Facto Flow Level, Achievement under On-line Learning Environment.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14(1), 93-115.
Park, H. J. (2014). The effects of learner's academic emotions on selfregulated learning in e-learning cours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nyang University.
Song, Y. K., Kim, Y. H., & Hwang, S. S. (2011). Effects rom the Interaction of Ego-Resilience, Social Supports in the School Adjustment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20(1), 222-223.
Lee, Y. H. (2021). Explorations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Based on the Students’ Satisfaction Survey for the Online Class in the University for the COVID-19. The Convergence Institute for Multicultural StudIes, 10(1), 271-306.
crossref
Jung, H. K. (2020).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overall implementation of online classes and testing during the Corona 19 pandemic. Multimedia-Assisted Language Learning, 23(3), 392-412.
Shin, J. O. (2017). The Effect of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Practical Rrelevance on Career Decision of Beauty Vocational Ability Development Account System. Sungjo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osmetology Education Division.
Yang, M. S. (2021). The Image and Teaching of Online Educators Effects of Learning Immersion on Learning Satisfaction - For Students Majoring in Beauty. Dept. of Beauty Art & Design Graduate School of Arts Hansung University.
Yoon, J. H. (2021). A study on the perception type of university students about non-face-to-face lectures due to the COVID-19 crisis: Q methodology application. Major in Counseling Psycholog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illa University.
IP Address: 001.0013064659, Data search 2022. 03. 22, Sources: www.yna.co.kr.
TOOLS
METRICS Graph View
  • 1 Crossref
  •  0 Scopus
  • 1,227 View
  • 14 Download
Related articles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10-2825-6735   Fex: +82-62-950-3797    E-mail: beauty2007@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