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Cosmetol > Volume 28(3); 2022 > Article
뷰티전공 대학생의 해외취업 활성화를 위한 방안

Abstract

In order to promote overseas employment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this study conducted an individual interview with employers who are hiring Korean beauty majors and running beauty-related stores in Maryland and Virginia, USA. The core competencies and obstacles for overseas employment we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mployer and the satisfaction and strengths of Korean beauty major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It is most important for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who are trying to find a job abroad to learn the language so that they can communicate smoothly. In addition, prior preparation for btaining local qualifications was required. Performance based on collaboration capability is also considered important, so it would be of great help if you could practically adjus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n the other hand, a passive attitude to be afraid of new challenges or differences in expectations due to lack of prior information was identified as a clear cause of failure in career development opportunities, thus highlighting the need of prior experience within the country, efficient and effective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with the employer. The strengths of Korean beauty majors are professional knowledge, fast and high technology, responsibility and the ability to catch fast-changing trends and apply them with a creative mind. Therefore, building upon these strengths will help lead towards successful career development abroad.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preparation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to work abroad in the United States and to maintain stable overseas employmen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regions included in the follow-up study, and to make an in-depth study targeting local beauty majors in the U.S. to find two-way implications for successful overseas employment revitalization.

I. 서 론

우리나라의 대학 진학률은 점차 높아져 2017년 67.4%에서 2021년에는 71.5%로 더욱 상승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는 타국에 비하여 매우 높은 수치임에도 불구하고 고용 창출에 대한 어려움을 당면하고 있다. 2019년도 대학 졸업자의 취업률은 67.1%이며, 청년 실업률은 2021년도 2월 기준 10.1%를 기록하였다(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21). 또한, COVID-19 상황에서 전 세계가 팬데믹을 겪으며 노동시장 침체를 도래하였고 전체실업률 중 청년실업률이 3배 가까운 수준을 유지하였다(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2021). 이와 같이 낮은 취업률과 높은 실업률은 우리나라만의 상황이 아니며 국제적으로 직면한 경제의 흐름이다(Kim & Kim, 2014). 그러나 청년층의 고학력자 실업 문제는 단기간 내에 개선이 어려우며 국내에 한정하여 해결책을 찾는 것에도 한계가 있다(You, 2021). 따라서 청년층의 인적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해외 노동시장으로의 진출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해외로 진출한 청년들이 현지에서의 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거나 적절한 경력발전의 기회를 갖지 못하여 한국으로 다시 돌아오거나 해외취업에 실패하는 사례가 번번히 일어나고 있다. 즉, 성공적인 해외취업 정착을 위해서는 해외취업자에 대한 사전 및 사후관리 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런 기능이 원활히 이루어져야만, 성공적인 해외취업을 유도해 낼 수 있다.
2020년도에 실시한 해외취업에 관한 대학생 인식 조사에 의하면 해외취업 관심 국가는 미국이 13.0%로 가장 높았으며, 그 뒤를 이어 영국(10.1%), 캐나다(9.2%), 호주(8.9%), 독일(8.2%), 일본(8.1%) 순으로 나타났다(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2020). 이는 미국이 해외취업에 대한 관심뿐만 아니라 실제 취업률이 높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2021년 조사에 따르면, 취업준비생중 해외취업에 관심을 갖는 비율이 10명 중 8명으로 조사되었고(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2021) 이는 실제 해외 취업에 대한 관심과 호응이 매우 높은 수준임을 알 수 있다. 해외취업은 실업중인 유휴인력에게 다양한 일자리를 창출하여 실업율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해외 직장 경험, 새로운 기술 획득 등을 통해 글로벌한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다(Kwon et al., 2011). 특히 뷰티분야의 해외취업은 세계적인 관심을 받고 있는 K-Beauty의 위상과 함께 국제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해외취업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짐에 따라 성공적인 해외취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취업대상국의 현황과 해외취업 대상자들의 요구를 파악하여야 하며, 또한 고용주가 원하는 인재상에 근접한 글로벌 인재를 배출하는 것도 필수적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이루어진 뷰티분야의 해외취업관련 연구는 Choi & Jung(2021)의 뷰티학과 전공 재학생의 해외 취업 행동에 관한 연구, Park(2016)의 뷰티학과 학생들의 해외인턴십 및 해외취업에 대한 인식과 취업준비 행동 등 해외취업대상자들에 관한 연구들이 진행 되어 왔다. 정작 고용을 결정하는 고용주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연구는 You(2021)의 호주 미용실의 고용주를 중심으로 해외 취업 활성화를 위한 미용사의 핵심역량 및 장애 요인 연구로 극한 되어, 자료가 아주 미비한 실정이므로, 다양한 국가의 고용주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 미국은 우리나라 청년층이 해외취업으로 가장 관심을 두고 있고 취업률이 높은 대상국이기 때문에, 미국의 한인 뷰티전공자를 고용하고 있는 고용주를 대상자로 한 연구는 큰 의미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국을 중심으로 뷰티관련 산업체를 운영하는 고용주를 심층 면담 하여 뷰티전공 대학생의 해외취업에 필요한 핵심역량과 실패에 대한 장애요인을 분석함으로써, 해외취업 활성화와 장차 해외취업에 도전하는 뷰티전공 대학생들의 성공적인 해외취업 정착에 기여하고자 한다.

II. 이론적 배경

1. 해외취업의 의의

현대사회에서는 선진국가일수록 국경을 넘는 전문 인력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해외취업의 의미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Yoo & Hyung, 2021). 해외취업이란 ‘한나라의 노동력이 자발적으로 본인의 나라를 벗어나 타국에서 소득을 수입하기 위한 목적으로 일정한 기간동안 고용되어 일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해외에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Kwon & Kim, 2011). 해외에 거주한다는 측면에서는 해외이민과 유사하지만 해외이민은 영구적 거주를 목적으로 하며 해외취업은 일정한 기간 동안 취업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차이가 있다. 해외취업은 소득을 취하기 위해 유휴인력이 자신의 나라에서 벗어나 외국으로 나가는 일시적 이동이지만 인력을 제공하는 나라와 받는 나라의 사정에 따라 현지에 거주하는 경우도 있기에 해외취업이 해외이민으로 전환되기도 한다(Park & Nam, 1999). 해외취업에 대한 관점은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첫 번째는 해외에서 일을 하는 개념으로서 동남아시가 국가 등에서 자국에서 얻기 어려운 고소득을 창출하기 위해 이동을 하는 경우이다. 이러한 경제활동으로 얻게 되는 수익은 그 국가의 경제에 큰 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또 하나는 선진국의 특정한 산업 가운데 해당 분야의 전문기술을 가진 외국 인력을 고용하는 의미로서의 개념이다(Yoo & Hyung, 2021). 우리나라의 경우 후자의 개념으로서 해외취업을 접근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취업난이 점차 심화되는 가운데 해외취업의 필요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해외취업은 경제적 효과를 낳는데 그치지 않으며(Noh, 2014), 그 필요성으로 크게 인적자원의 활용, 전문직의 자기개발, 선진기술의 전수 등의 이점이 있다. 인적자원 활용의 차원에서 우리나라 청년층이 해외취업을 통해 다양한 문화를 경험하고 국가 간 상호교류 기반을 구축하고 전문직의 인력은 선진국의 문화와 높은 기술력을 배워 자기개발이 가능하다. 또 선진국의 높은 임금과 함께 선진기술을 경험하면서 자연스럽게 기술도입이 가능하다. 따라서 선진기술을 도입하기 위한 국가적 자금투자 없이 기술도입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Kwon et al., 2011).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해외취업을 도전하는 인력이 점차 많아져 2013년 기준 1,607명에서 2021년 기준 3,727명으로 8년 사이 2배 이상 늘어났다(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2021). 앞서 이야기한 사회적인 흐름으로 보았을 때 해외취업은 이제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 잡았다고 볼 수 있다.

2. 미국 해외취업 현황 및 제도

1) 고용 관련 법제도

미국은 성에 따른 임금차별을 방지하기 위해 동일임금법(Equal Payment Act), 인종·피부색·종교·성별·출신국을 이유로 차별을 금지하는 공민권법 제7편(Title VII of the Civil rights Act), 고용에서의 연령차별금지법(ADA: Americans with Disability Act)을 제정하여 노동자의 권리를 지킬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미국의 외국인 노동자 정책의 기본 틀은 노동허가제도로 비자가 노동자 본인에게 발행되며 입국 전 미리 미국 내에 있는 고용주로부터 노동에 대한 허가가 필요하다. 이후 취업가능성이나 임금, 노동조건이 미국인에 불리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 등에 대한 검토 후 합법적으로 취업할 수 있도록 보장해주고 있다(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2017).

2) 비자제도

미국의 비자제도는 이민비자와 비(非)이민비자로 나누어진다. 단기체류를 목적으로 하는 비이민비자는 발급 조건이 비교적 단순하며 면제를 해주기도 한다. 반면 이민비자는 이민자가 영주권을 획득하고 일정 기간 후 조건이 갖추어지면 시민권을 획득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기기 때문에 심사가 매우 까다롭다(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2021).
비이민비자의 종류로는 상용/관광비자, 취업비자, 학생비자, 교환방문비자, 경유/선우비자, 가사근로자 비자, 언론인 및 언론비자, 외교관 및 정부관계자, 미국정부지원 교환방문비자 등이 있다(U.S. Department of State Consular Affairs). 해외취업을 준비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비이민비자를 준비하여야 한다.

3) 미국 해외취업자 현황

2018년부터 2020년까지 미국 해외취업자 현황은 <Table 1>과 같다. 해외취업자 수는 총 3,805명이며 그중 남성이 1,505명, 여성이 2,300명으로 여성의 비율이 높다. 취업연령은 20세부터 24세 사이의 취업자가 1,875명으로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하고 있어, 현재 미국에서 취업중인 취업자 연령은 전반적으로 20대가 가장 많다.
직종별 취업자 현황은 다음 <Table 2>와 같다. 사무/서비스 분야의 취업자가 2,433명으로 가장 많으며, 그중 20~24세 미만의 취업자가 1,167명, 25~29세 미만의 취업자가 1,162명으로 20대 취업자의 비율이 95% 이상이다. 뷰티전공 대학생이 해외 취업을 하는 미국 산업체들은, 뷰티 서플라이(Beauty Supply), 미용실, 한인 진출 기업 등이 많기 때문에, 뷰티전공자들도 사무/서비스 분야에 해당된다(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2021).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 참여자

본 연구의 참여자는 미국 Maryland와 Virginia 지역에서 뷰티전공 대학생의 해외취업대상인 뷰티 서플라이(Beauty Supply)와 미용실, 한인 진출 기업 등 뷰티 관련 직종의 매장을 1개 이상 운영하며, 뷰티전공 한인을 1명 이상 고용하고 있거나 고용한 경험이 있는 사업주 및 인사담당자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 연구 참여자에게 연구의 목적 및 취지를 상세히 설명하여 동의를 얻은 후 시행 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성별, 나이, 직책, 지역, 한인 고용인 수 등 인구통계학적 자료는 다음 <Table 3>과 같다.

2. 연구 방법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연구의 목적 및 취지 등을 반구조화한 설문지의 응답을 받은 후 응답을 바탕으로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설문 및 면담 참여는 연구 참여자가 원하는 경우 자발적으로 참여를 중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어떠한 불이익도 받지 않음을 설명하였다. 인터뷰를 실시할 때는 미국 CDC에서 권장하는 방역수칙을 준수하여 대면으로 진행하였고, 상황이 여의치 않은 두 사람은 이메일로 설문을 받은 후 전화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동의를 받은 후 내용을 녹음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질적으로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고, 모두 익명으로 표기하되 자료를 구분하기 위하여 각 연구 참여자에게 고유 알파벳을 부여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해외취업 핵심역량

연구 참여자들은 해외취업의 핵심역량으로 언어와 미국문화에 대한 이해, 미국 미용사 라이센스취득, 대인관계 및 협업 능력 등을 언급하였다. 반대로 이러한 역량이 갖추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해외취업에 실패하는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1) 언어

연구에 참여한 사업주들은 해외취업에 반드시 필요한 핵심 역량이자 장애요인으로도 언어를 가장 중요하게 강조하였다. 언어의 장벽이 생기면 미국 문화에 대한 적응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고객 응대시 전문적인 상담과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기 때문이다.
미국 문화 적응이 어렵고 한국고객과 외국고객 방문시 한국 고객에게 더 밀접하게 다가갑니다.(A)
한인 뷰티 전공자를 고용하면서 발생한 문제점은 언어입니다. 취업 전 언어를 갖추어야 합니다.(B)
우선 언어능력을 키워야 합니다. 영어공부에 적극적이었으면 좋겠고 언어를 보다 익숙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영어문제를 확실하게 알고 익혀 나가다 보면 한국보다 더 많은 기회가 주어지고 그 분야에서 크게 성공할 수 있다고 봅니다.(C)
언어장벽과 문화차이가 있습니다. 때문에 고객과의 소통과 이해가 부족합니다.(D)
잉글리시 스피킹이 약점입니다. 언어습득이 필요합니다.(E)
언어는 기본으로 되어야 합니다.(F)
능숙한 영어 의사소통 기술 부족으로 인한 애로사항이 발생합니다.(G)
클라이언트의 99%가 영어권입니다. 언어와 문화차이에서 오는 어려움을 슬기롭게 극복하여야 하고 컨설테이션이 서비스의 시작이기 때문에 반드시 영어로 원활한 소통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H)
취업 전 한인 뷰티 전공자가 갖추었으면 하는 역량은 언어입니다.(I)
기술은 기본이며 언어가 가장 중요합니다. 언어가 부족하면 고객의 재방문이 이루어 지지 않습니다. 외국인 고객이 늘어남에 따라 영어 부족이 심각합니다.(J)

2) 미국 문화에 대한 이해 및 미국뷰티시장에 대한 정확한 사전 인지

연구 참여자들은 핵심 역량으로 기본적인 문화 차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며, K-뷰티가 유명세를 타고 있지만, 한국과는 트렌드가 다르기 때문에 다양한 인종이 함께하는 미국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에 따른 트렌드에 대한 사전 지식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고 답변하였다.
미국 뷰티에 대한 사전 인식이 필요합니다. 또한 항상 평소에 친절하고 지하철, 엘리베이터 등에서 간단한 눈인사나 말인사 등의 연습이 필요합니다.(A)
어느 사회나 인종은 미용에 대해 각기 다른 시각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인종별 피부성격과 헤어 텍스처 등 소비자 조건이해하고 우리가 부끄럽다고 생각하는 것이 인종이나 문화에 따라 전혀 부끄럽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면 좋겠다는 생각이 있습니다. 또한, 접해보지 못한 외국 브랜드와 기능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적응 기간이 길게 걸립니다.(B)
미국 도전에 대한 확고한 신념이 없으므로 매사 소극적이고 부정적으로 생각 할 수 있습니다. 우선 미용 전반에 걸쳐 한국과 미국의 다른점을 이해하고, 미국에 맞게 조정 및 응용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C)
한국과 현지의 문화차이를 이해하고 현지 문화와 트렌드에 대한 지식을 갖추어야 합니다.(D)
문화적 차이에 대한 이해가 약합니다. 다양한 문화에 대한 다양한 매너를 갖추어야 합니다. 또 문화에 따른 헤어스타일 선호도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습니다.(G)

3) 미국미용사 자격증 취득을 위한 사전 준비

인터뷰 결과 자격취득은 여러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신분에 대한 보장과, 급여의 향상 등으로 해외취업의 성공을 위해 필수적인 요건이라고 답변 하였다. 특히 자격취득을 위한 사전 준비를 하고 해외취업을 온다면 현지 자격증 취득에 매우 효율적임을 강조하였다.
미국 라이센스 취득을 위한 사전 준비가 되어있어야 합니다.(A)
미국의 뷰티 트렌드를 배우려는 자세가 중요합니다. 본인의 뷰티전공지식과 접목하면 좋을 것 입니다. 그러므로 미국의 미용에 대한 교육과 미국 미용사 라이센스가 꼭 필요합니다.(H)
미국의 미용사 자격취득을 위한 사전 준비가 되어있어야 합니다.(I)
미국에 취업을 와서 미국미용사 자격증 취득을 준비하는 기간으로 인해 경력발전에 실패할 수 있습니다.(J)

4) 대인관계 및 협업능력

미래의 핵심역량 4C(Critical Thinking, Creativity, Communication, Collaboration) 중 하나인 협업은(Paek, 2020) 해외취업에 필요한 역량에도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고객이나, 직장 근로자간의 대인관계를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며 협업을 하였을 때 성과가 향상 된다고 하였다.
한인 뷰티전공자는 고객을 대하는 면에서 사교성이 부족합니다. 친구 형성에 유니버셜 랭귀지도 중요합니다.(A)
직장 역시 인간과 인간의 관계로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직장과의 궁합 역시 중요하며 근로자 혼자 두었을 때는 기능이 낮은 편이지만 동료 혹은 팀으로 일을 맡길 경우 기능과 성과가 크게 늘어남을 느낍니다.(B)
대인관계가 실용적이어야 합니다.(F)
대인관계 협업역량이 필요합니다.(I)

2. 해외취업 장애요인

해외취업 후 생활 적응이 어렵거나 경력발전의 기회에서 실패하는 이유에 대해 고용주들은 다음과 같이 언급하였다. 첫째, 성격상의 소심함 보다는 한국과 미국의 사회·문화적 차이에서 오는 소극적인 태도로 인해 본인의 역량을 다 발휘할 수 없는 부분이 크다고 하였다. 둘째, 해외취업에 대한 사전 기대감과 환상이 크게 존재하여 실제 업무 및 환경과 다를 경우 이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해외에서의 취업생활을 중단하는 경우가 있다고 답변하였다. 세 번째로 비자, 영주권 등이 어느 나라든지 문제가 발생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미국에서도 장기간 신분의 보장이 어려워 본국으로 돌아가는 경우가 많았다.

1) 소극적인 태도

새로운 업무의 도전을 두려워하고 본인이 익숙한 업무를 지속하려고 합니다. 또한 상하체계를 너무 익숙하게 받아들이고, 수평체계에 대한 인식이 적어서 윗사람한테 먼저 의견을 제안하는 것을 꺼려합니다.(A)
자신이 가지고 있는 역량의 절반 정도만 보여주는 소심함, 부끄러움이 있으며 자신감이 결여되어 본인의 역량이 얼마나 큰지에 대한 확신 부족하고 자신감 있게 자신의 생각을 밝히고 관철시키려는 의지가 약합니다. 또한 뷰티산업은 연예산업과 비슷한 점이 많아 무대 행사, 전시행위 등이 왕성해야 하는데 눈앞의 효과를 기대하고 그런 노력의 대가가 작다고 생각하여 시도조차 하지 않는 모습이 발견됩니다.(B)
좀 더 배우려는 자세가 요구됩니다.(C)
아이디어 제안이나 창의성이 부족합니다.(F)

2) 기대감 차이

사전소통이 잘 안되어 본인이 생각했던 해외의 기대와 실제가 다른 경우와 한국사회에서 생각하는 학력에 맞추어서 일을 해야 한다는 생각들이 경력발전의 기회에서 실패하게 됩니다. 미국은 첫 3~5개월 정도 기본적인 일도 해야 하는데 그러한 각오가 부족합니다.(A)
사전 기대와의 차이가 해외취업 후 생활 적응과 경력발전에서 실패하는 것 같습니다.(F)

3) 신분문제

타국에서의 삶에 대한 안정감을 높이고, 정당한 급여 취득을 위해서 합법적으로 일을 할 수 있는 비자나 영주권 취득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으며, 대부분 고용주들은 취업자들이 영주권 취득을 할 수 있도록 적극 도움을 주고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간혹 인권을 침해하는 고용주도 있고, 영주권 취득 후 바로 다른 업체로 이직하는 사례에 대해서도 추가 언급이 있었다. 따라서 고용주들과 취업대상자들 간의 소통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사회 안전망 미흡으로 삶에 대한 불안감이 높아 보이며 조직적인 안전망 구축이 필요합니다. 또 직장이 맞지 않을 때 업체를 교체해야 하는데 영주권 절차 등으로 바꾸지 못하여 포기하게 되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습니다. 영주권 스폰서의 인권침해도 있는데 무기능한 직원보다 영주권 스폰서라는 이유로 생계를 유지할 수 있는 기본적인 수입도 제공하지 않는 현실과 정당한 대가를 받지 못한다는 아쉬움이 있습니다.(B)
취업업체의 도움을 받아 영주권을 취득 후 이직을 하는 경우도 있어, 신뢰감을 잃을 때도 있죠.
영주권 취득 등 신분이 보장의 어려움과 세금 문제가 발생합니다.(F)
해외취업의 실패이유로 신분이 해당됩니다.(I)
신분이 가장 중요한 원인입니다. 미국에서 합법적으로 일할 수 있는 비자나 영주권 취득의 실패로 인해 경력발전과 해외취업에 실패하게 됩니다.(J)

3. 한인 뷰티 전공자 고용이유

향후에도 한인 뷰티 전공자를 고용할 계획 여부에 대해서는 연구 참여자 모두 고용계획이 있는 것으로 답변하였으며 만족도 또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의 이유로는 한인 뷰티 전공자는 전문지식과 높은 기술력을 갖추고 있으며 근면 성실하고 창의적인 마인드와 함께 응용력이 높기 때문에 현지고용자에 비하여 높은 성과 및 효율을 낼 수 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을 강점으로 역량을 향상시킨다면 뷰티전공 대학생들의 해외취업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1) 전문지식과 기술력 겸비

이해력이 빠르고, 업무의 신속성이 있습니다.(A)
한국의 미용 교육 프로그램은 전 세계 어느 나라와도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뛰어나 학생들은 전천후, A부터 Z까지 모든 영역에서 탁월한 기능을 발휘합니다. 인턴에게는 매장에서 가발 스타일링, 두피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소매점 매니지먼트를 맡기고자 하며 여러 회사의 제품을 각 소매점이 잘 판매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제품을 어떻게 홍보하고 판매해야 하는지를 안내해 주는 머천다이저를 조직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한인 뷰티 전공자를 고용할 예정입니다.(B)
한인 뷰티 전공자는 기술력이 뛰어납니다.(C)
전문지식과 친절함이 장점입니다.(E)
뷰티 전공자들은 미용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겸비하고 있어 서 타전공자에 비해 현장실무투입이 용이합니다.(F)
상황판단이 빠른 것 같고 실수가 별로 없습니다.(H)
기술과 속도가 강점입니다.(I)
한인 뷰티 전공자는 기술력과 시술 속도면에서 우수하기 때문에 만족스럽습니다.(J)

2) 책임감과 근면 성실

본인의 근무와 시간을 투자하더라도 자기 할 일을 끝까지 하며 주어진 문제점 발생 시 해결하려고 하는 방향 등 책임감이 강합니다.(A)
집중력이 있고 주어진 일에 대한 책임감이 커서 업무를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풀어냅니다.(B)
한국적인 근면함, 성실을 기본으로 경영자와 잘 소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C)
한국 뷰티 전공인의 신선함과 책임감이 강점입니다.(F)
직업윤리가 매우 높습니다.(G)

3) 창의적인 마인드와 뛰어난 응용능력

한국인들의 창의적인 마인드와 한국사람들의 적응력, K-beauty의 효과 등의 장점이 있으으로 향후에도 한인 뷰티 전공자를 고용할 계획이 있습니다. 단, K-beauty가 왜 좋은지와, 미국인들이 사용할 수 있게끔 리폼하고 정보를 줄 수 있어야 합 니다.(A)
유행의 진화과정에 대한 지식이 높아 스타일을 분석하는 능력이 뛰어나고, 향후 어떤 스타일이 유행할 것인지에 대한 선견지명력이 눈에 띄게 뛰어납니다. 또 어떤 제품이든 제품의 성질을 파악한 뒤에는 예상하지도 않은 곳에서도 사용하는 응용력이 매우 뛰어나며 동기 부여시 성과도 뛰어납니다.(B)
트렌드를 깨닫고 따르는 능력인 트렌디함이 강점입니다.(D)
미용을 전공하는 한인을 고용하고 있는 고용주의 심층면담 결과를 종합해 보면 고용주의 입장에서 미국 해외취업에 필요한 핵심역량과 인재상, 장애요인, 한인 뷰티 전공자의 강점 등을 면밀하게 알 수 있었다. 해외취업에 도전하는 뷰티 전공 대학생들은 원활한 소통이 가능하도록 언어를 익히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국가별로 문화적인 차이가 매우 크기 때문에 해당 국가의 문화에 대한 인식과 더불어 미용 시장, 트렌드 등에 대한 지식을 갖추는 것이 요구된다. 협업 역량에 따른 성과 또한 중요시 여겨지기 때문에 대인관계를 실용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면 큰 도움이 될 것이다(Ahn, 2016). 이에 반해 새로운 도전을 두려워하는 소극적인 태도나 사전 정보 부족으로 인한 기대감의 차이는 경력발전의 기회에서 실패할 수 있는 뚜렷한 원인이 되기 때문에 해당 나라에 대한 사전 조사 및 고용주와의 소통은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다. 급속도로 변화하는 미용 산업에서 가치 높은 정보와 기술은 전문성에 있어서도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Park & Rhee, 2012). 한인 뷰티 전공자의 강점은 전문적인 지식과 함께 신속하고 높은 기술력, 책임감, 빠르게 변화하는 트렌드를 인지하고 창의적인 마인드로 응용하는 능력이므로 핵심역량과 함께 강점을 더욱 강화한다면 미국 해외 취업 성공에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V. 결 론

본 연구는 뷰티전공 대학생의 해외취업 활성화를 위하여 미국 Maryland, Virginia 지역에서 뷰티 관련 직종의 매장을 운영하며 한인 뷰티전공자를 고용하고 있는 고용주들을 연구 대상자로 하여 개별 심층면담을 통해 고용주 측면에서의 해외취업을 위한 핵심역량과 장애요인을 분석하였다. 더불어 한인 뷰티 전공자가 현지인 근로자에 비하여 뚜렷하게 비교되는 강점과 만족도에 대해서도 인터뷰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뷰티전공 대학생의 해외취업 활성화를 위한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어학 능력을 강화해야 한다. 미국에서 근무 시 고객의 99%가 영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어학 능력을 갖추어야 직무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고, 고객들과의 친밀감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직무와 관련된 전문용어와 함께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할 수 있도록 영어를 구사할 수 있어야 한다. 어학 능력이 부족하면 취업의 분야뿐만 아니라 업무에서도 제한적일 수밖에 없고 경력발전에도 어려움을 겪게 된다. 따라서 대학 내에서 해외취업을 장려하고 실무 어학 과정을 확대하여 운영하는 등 해외취업을 준비하는 학생들의 어학 능력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Kim & Kim, 2014). You(2021)의 호주 미용실의 고용주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호주 해외취업 시 한인 미용사의 가장 중요한 핵심역량이 인성으로 나타났으며, 언어는 4위에 순위 하였다. 따라서 언어를 핵심역량 중 가장 중요하게 강조했던 미국의 고용주와는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하지만 호주 해외취업시 장애요인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부분이 영어 의사소통 능력의 부족으로 나타났으므로, 결국 언어가 해외취업시 가장 중요한 핵심역량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뷰티전공 역량을 미국의 문화 및 트렌드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전문성 강화교육이 필요하다. 고용주들의 면담결과 한인 뷰티 전공자의 채용 핵심은 미용 분야의 두드러진 전문성에 있다. 지식을 기본으로 기술까지 갖추고 있는 한인 뷰티 전공자는 현장 투입이 용이하고 성과 또한 뚜렷하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해외취업 준비생의 역량과 수준에 따라 전문교육을 실시하여 대상자를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때, 한국과는 다른 미국의 문화를 이해하고 본인의 역량을 타국의 문화 및 트렌드에 응용할 수 있도록 함께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취업 성공의 속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셋째, 미국 미용사 자격증 취득을 위한 사전준비도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국가를 불문하고 국가자격증의 취득은 질적 취업의 보장과 급여의 향상 등으로 직결되기 때문에 해외 취업을 안정적으로 유지해 나가는데 필수적인 요건이다. 미국의 미용사자격취득 시험은 우리나라보다 자격요건이 까다롭고, 필기시험과 실기시험 모두 대부분의 주에서 75점 이상을 취득해야 합격할 수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60점에 비하면 허들이 높다(Department of Professional and Occupational Regulation, 2022). 따라서 현지의 자격취득을 위한 이론 및 실기과정에 대한 교육이 비교과로 개설된다면 미국 해외취업을 원하는 학생들의 현지자격취득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이는 경력발전의 기회로 연결되리라 사료된다.
넷째, 4C 역량강화를 위한 프로젝트 학습, 토론학습, 협력학습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한 교육경험이 요구된다. 미국의 미용관련 업체에서 추구하는 인재상은 미래핵심역량 4C를 갖춘 인재상과 일맥상통하다. 미래의 핵심역량 4C는 비판적 사고(Critical Thinking), 창의성(Creativity), 소통(Communication), 협업(Collaboration)이다(Park et al., 2020). 비판적 사고는 다양한 각도로 생각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한다. 창의적인 사고는 급변하는 사회에 발맞춰 혁신적인 마인드를 가질 수 있고 스토리텔링 능력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트렌드를 빠르게 인지하고 한국적인 기술을 미국의 문화에 맞도록 재창조하고 적용하는 것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소통능력이 향상하면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고 교류하는 능력이 생기고 프레젠테이션 능력이 높아진다. 이는 고객의 마음을 읽어내어 성과를 높일 수 있는 기술이 될 것이다(You et al., 2011). 마지막으로 협업능력은 직장 내에서 협력할 수 있는 사회성을 길러주고 다양한 분야를 이해하며 수용할 수 있는 능력이다. 협업을 통해 주어진 문제를 더욱 빠르게 해결할 수 있고 더욱 높은 성과를 얻어낼 수 있다(Kim, 2018). 이렇듯 4C 역량을 통합적으로 키우기 위해서는 지식보다는 생각하는 힘이 필요하며 이를 배양하기 위해서는 주입식 교육으로는 불가능하다. 핵심은 스스로 생각하고 말하는 것에 있기 때문에 프로젝트 학습, 토론학습, 협력학습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교육을 한다면 4C 역량을 배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이는 해외취업에서 가장 큰 강점이 될 것이다.
다섯째, 해당국가나 관련 업체들의 단기연수나 인턴십 등을 통한 사전경험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이런 제도가 활성화된다면 해외취업의 장애요인인 막연한 기대나 두려움으로 인한 소극적 태도를 없앨 수 있으며, 고용주들과의 소통이 가능하며, 신분보장을 위한 합법적으로 일할 수 있는 비자나 영주권 취득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그동안 진행되어 왔던 K-Move 사업이나(World Job Plus, 2022), 외교부에서 주관하는 한상기업 청년 인턴십(Hansangnet, 2021), West 프로그램 등(World Job Plus, 2022)이 있긴 하지만, 뷰티전공자에 대한 기회가 제한적이다. 따라서 뷰티전공자들을 위한 국가차원의 지원 프로그램과, 대학들 자체의 해외 인턴십프로그램 확대가 요구된다.
여섯째, 한인 뷰티 전공자의 강점은 전문적인 지식과 함께 신속하고 높은 기술력, 책임감, 빠르게 변화하는 트렌드를 인지하고 창의적인 마인드로 응용하는 능력이라고 고용주들은 강조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해외 취업을 위한 사전준비로 고용주들이 요구하는 핵심역량을 강화하고, 취업대상자들의 강점을 더욱 강화한다면 미국 해외취업 성공에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뷰티전공 대학생들이 해외취업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해외취업을 활성화 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미국 동부의 두 지역으로 제한되었고, 고용주만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후속연구에서는 지역의 확대가 필요하며, 현지 뷰티전공 취업자들을 대상으로 한 심층 연구가 이루어져 성공적인 해외취업 활성화를 위한 양방향 시사점을 찾으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Table 1.
Employment status by gender and age (As of 2018-2020) (Unit: person)
Gender
Total
Male Female
Age less than 20~24 380 1,495 1,875
less than 25~29 1,035 697 1,732
less than 30~34 73 98 171
less than 35~39 12 8 20
over 40 5 2 7
Total 1,500 2,298 3,798
Table 2.
Employment status by occupation (As of 2018-2020) (Unit: person)
IT Construction/Civil Machine/Metal Office/Service Medical Electrical/Electronics Computer Ect Total
102 23 37 1,167 35 20 18 473 1,875
114 31 50 1,162 23 21 41 290 1,732
11 5 2 89 8 2 9 45 171
1 2 0 10 2 1 2 2 20
0 1 0 5 1 0 0 0 7
228 62 89 2,433 69 44 70 810 3,805
Table 3.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participants
No. Gender Age Job Grade Number of employees* Area
A M 44 President 7/40 MD, VA
B M 60 President 2/5 MD
C M 68 President 35/100 VA
D F 28 Hair Coordinator 5/12 MD
E F 30 Manager 10/50 MD
F M 65 President 50/550 MD
G F 53 Manager 6/25 MD
H M 66 Owner 1/4 VA
I F 47 Owner 5/6 VA
J F 56 Owner 2/4 MD

* Korean employees/All employees

References

Ahn, J. M. (2016). A Study on Effective Factors of Problem Solving Required Creativity and Collaboration Performances. Doctoral dissertation. Keumo University, Gyeongbuk.
Choi, Y. H., & Jung, U. S. (2021). Overseas Employment Behavior of Students from Department of Beaut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esthetic Art, 22(1), 271-288.
crossref
Department of Professional and Occupational Regulation. (2022). Cosmetology License. https://dpor.virginia.gov, accessed: April 29, 2022.
Hansangnet. (2021). Youth Internship for Korean Enterprises. https://www.hansang.net, accessed: March 24, 2022.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2020). A Study on Establishing Overseas Expansion Strategies by Country in 2019: Canadian Edition.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202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overseas expansion strategies by country in 2019.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2021). A study on how to utilize overseas organizations to promote overseas employment.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2021). Overseas Employment Statistical Information.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2021). Business Research Report. www.hrdkorea.or.kr, accessed: April 16, 2022.
Kim, S. J. (2018). The Study on the College Students’ Recognition to Collaboration.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2(3), 11-37.
Kim, S. Y., & Kim, Y. L. (2014). A Study on Educational Programs and Services Improving Professional Capabilities for Global Employment of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Education Assessment Study, 27(3), 783-807.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21). Education data. www.kedi.re.kr, accessed: April 16, 2022.
Kwon, G. D., & Kim, D. J. (2011).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plan for overseas employment of young human resources: Focusing on the perception survey. Korean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Review, 10(2), 201-230.
Kwon, G. D., Kang, I. G., & Lim, J. B. (2011).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Oversea Employment Programs for Young Population.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Policy Science, 15(4), 361-392.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2017). Complete Conquest of Overseas Employment: USA.
Noh, Y. H. (2014). Research on Globalization of Domestic Hair Professionals-Focusing on analysis of hair business in US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0(6), 112-1121.
Paek, S. S. (2020). A Study on the Problem and Improvement of Core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Education.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4(3), 11-23.
crossref
Park, S. J., Park, S. W., Lee, H. J., Park, J. U., & Kim, G. E. (2020). Development of Measurement Scale of Teacher Competence : Focusing on 4C Competence. A Study on Korean Teachers' Education, 37(2), 167-192.
Park, S. M. (2016). Beauty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Overseas Internships and Employment and their Preparation Behavior for Employment -Focusing on University or College Women in Daegu-. Journal of Investigative Cosmetology, 12(2), 185-195.
Park, S. R., & Rhee, Y. S. (2012).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and Hairdressers' Skill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in Hairdressing Servi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8(6), 1344-1355.
Park, Y. K., & Nam, S. K.. (1999). A Study on the Strategy of Overseas Employment Seoul,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U.S. Department of State Consular Affairs. (2022). U.S. Visas.Virginia. https://travel.state.gov, accessed: April 20, 2022.
World Job Plus. (2022). Overseas Employment K-Learning. https://www.worldjob.or.kr, accessed: April 20, 2022.
Yoo, S. D., & Han, H. S. (2021). A Study on the Overseas Employment Revitalization in Germany. Korean Review of Corporation Management, 12(3), 37-59.
crossref
You, E. S. (2021). A Study on the Key Competencies and Barriers of Korean Hairdressers for Overseas Employment -Focused on Hair Salons in Australi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7(4), 980-989.
crossref
You, H. S., Ko, J. W., & Lim, H. N. (2011). Examining Learning Experiences Influencing on the Communication Skills and Highorder Thinking Skills. Research on Educational Administration, 29(4), 319-337.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10-2825-6735   Fex: +82-62-950-3797    E-mail: beauty2007@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