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Cosmetol > Volume 28(4); 2022 > Article
COVID-19에 따른 인식변화가 미용실 이용고객의 위생인식에 미치는 영향

Abstract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a total of 230 hair salon users in Daejeon, Chungnam, and Sejong and analyzed the results of it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 of changes in perception according to COVID-19 on the perception of hygiene of customers going to hair salons, and the result is the following. First, due to people's risk perception about COVID-19, hygiene to prevent COVID-19 infection has settled in society. Also, awareness of contagious diseases that may occur in hair salons has increased, and in particular, people's interest in respiratory infections has been recorded high. Second, since fears of COVID-19 infection have expanded individual's concept of hygiene from individuals to public places, it was found that more thorough hygiene standards are needed because there are many situations of close contact in hair salons, which are a type of multi-use facilities. Third, it was studied that customers, who feel greater psychological pressure such as stress and depression due to COVID-19, they require stricter hygiene standards as well as washing hands and wearing masks in hair salons. As the result, the need to change customers' perception in using hair salons safely has been raised. And in order to reduce users' concerns about COVID-19 infection and present social stability, it is considered that thorough quarantine, and nationally institutionalized rules and norms are needed, and the media and the press should provide correct information. Follow-up studies are needed to prepare for contagious diseases in various fields of the beauty service industry in the future, and considering that COVID-19 is still going around, periodical studies are required when the pandemic is over.

I. 서 론

COVID-19는 사스 코로나 바이러스 2형(SARS-CoV-2) 감염에 의한 호흡기 증후군으로, 세계보건기구인 WHO는 2020년 3월 11일,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COVID-19)과 관련하여 팬데믹을 선포하였다. WHO의 팬데믹 선포는 14세기 흑사병 대유행 이후 1968년 홍콩독감, 2009년 신종플루에 이어 세 번째이다. COVID-19는 무서운 속도로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어 2020년 8월까지 약 2천 2백만 명이 감염되었고 약 76만 명이 사망하였다(Jeong, 2020). 전 세계적으로 COVID-19 전염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지역별 통제를 시행하였고 한국에서도 거리두기 및 사적모임 제한 등 다양한 방법으로 감염의 위험을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사회적 거리두기는 COVID-19 예방에 효과적이며 인플루엔자 전파를 크게 줄여 사망률을 50%나 줄였다(Hatchett et al., 2007). 하지만 이러한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고립은 여가생활, 산책 등 일상생활의 신체활동을 크게 감소시켜 사람들의 심리적 스트레스, 불안 및 우울 등 정신적인 문제를 유발하는 부작용을 초래하였다(Brooks et al., 2020).
COVID-19 팬데믹 현상으로 우리나라는 사회적, 경제적으로 큰 변화가 일어났고 소비자들의 소비패턴이나 인식에도 큰 변화가 일어나면서 특히, 소상공 업체들이 매출 급감에 따른 경제적인 어려움이 나타났다(Lee, 2020). 소상공업에 속하는 미용은 고객에게 기능적인 서비스뿐만 아니라 뷰티종사자의 다양한 인적서비스와 시설 규모, 인테리어와 같은 물적서비스 등 구매의 전 과정에서 고객이 경험하는 모든 효용적 가치를 모두 포함하는 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Jang, 2005). 때문에 COVID-19가 장기화 되면서 통합적 서비스를 제대로 제공하지 못함에 따라 매출 하락, 폐업 등의 직접적인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5월 월간 소비자행태조사(MCR)’에 따르면 응답자의 69%가 ‘홈뷰티족’으로 비용의 부담이나, 감염 등의 문제로 집에서 관리를 하고 있다고 나타났는데(Kim, 2020), 이러한 조사결과를 통해서 소비자들의 소비패턴과 인식이 크게 변화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급격한 변화들은 미용업의 경영을 더욱 어렵게 하는 원인이 되었다.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이 드나들며 이용하는 미용실은 최근 COVID-19로 인하여 이러한 특성이 더욱 부각되어 나타나고 있으며 미용실을 이용하는 고객들도 위생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져 있는 상태이다. 이미 선행연구를 통하여 미용실 내 전염병에 대한 위험을 경고하였는데, Lee(2005)는 위생지식 중 전염병에 대한 수준이 가장 낮다고 평가하며 전염병 침입경로에 대한 위생교육 강화가 필요하고 하였다. Shin(2003) 또한 미용 위생에 대한 올바른 인식변화가 중요하다고 언급하였으나 이후 미용실 내 전염병과 변화된 위생인식에 관련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COVID-19에 따른 인식변화가 미용실을 이용하는 고객들의 위생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대전, 충남, 세종지역의 미용실 이용고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는 코로나19 상황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II. 이론적 배경

1. COVID-19에 따른 변화

COVID-19가 장기화되면서 대부분의 언론사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을 가장 중요한 기사로 다루었고 각종 보도자료를 통해 최신 사망자 수를 연일 보도하여 불안감은 심화되었다. 세계적인 대유행의 상황이 역사상 6번째이긴 하지만 이처럼 장기간 전 세계를 위험에 빠뜨린 경우는 COVID-19가 최초이고 여전히 COVID-19 사태의 끝은 불확실하다.
COVID-19의 장기화는 개인의 일상을 점차 무너뜨렸는데 특히, 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른 고립은 일상생활의 신체활동을 크게 감소시켜 사람들의 심리적 스트레스, 불안 및 우울 등 정신적인 문제를 유발하였다(Brooks et al., 2020). 한국은 사회, 경제적으로 큰 타격을 입게 되었는데, 팬데믹 현상으로 소비자들의 소비패턴과 인식에 변화가 일어나면서 소상공업의 매출 급감에 따른 경제적인 어려움이 크게 나타났다(Lee, 2020). 이러한 소비자들의 인식변화는 ‘5월 월간 소비자행태조사(MCR)'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전국의 만 20~59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69%가 ‘홈뷰티족’으로 비용의 부담이나, 감염 등의 문제로 집에서 관리를 하고 있다(Kim, 2020)라고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소비자들의 변화된 소비패턴과 인식을 반영한다. 이미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하여 소상공인의 97%가 매출감소를 경험하고 있으며 COVID-19가 비말로 감염된다는 특징으로 인하여 미용업은 피해가 상당하다. 경기도 수원시 인계동 중심의 미용실들의 COVID-19 여파로 인한 매출액 변동을 살펴보면, 1차 대유행이 시작된 3월 급감, 다시 확진자 수 감소와 함께 매출이 잠깐 회복됐지만 2차 대유행이 시작된 8월 이후 다시 큰 폭으로 매출이 떨어졌다. 또한, 2020년 9월 기준으로 전국에 약 11만개의 미용실이 영업중으로 최근 10년간 미용실 수가 약 28%나 증가하였으나 2019년 1월부터 9월까지 창업한 미용실이 6,610개였던 것에 비하여 2020년 1월부터 9월까지 창업한 미용실은 5,577개로, 전년 대비 15.6%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Oh, 2020).

2. 미용실 위생인식

미용업은 공중위생관리법 제2조에 명시된 바와 같이 다수를 대상으로 위생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중 위생영업’에 해당하는 6종 직업 중의 하나로, 대중이 공용으로 이용하는 영업과 시설의 위생관리를 위하여 관련한 사항을 규정하여 위생수준을 향상시키고 국민의 건강증진에 기여하고자 공중위생관리법을 제정하였다.
COVID-19가 단지 감염성 짙은 질병이 아닌 정치, 경제 등 사회의 전반적인 체계를 무너뜨릴 수 있는 큰 위험으로 인식됨에 따라 심리적, 사회적으로 위생에 대한 인식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이러한 위생인식에 대한 변화는 다중이용시설에 해당하는 미용실에 더 크게 적용되었다. 이전의 미용실 위생인식에 관련한 선행연구를 보면, 먼저 Choi(2001)의 연구에서 미용사들의 보건위생에 대한 지식정도는 비교적 높다고 나타났으나 위생법규에 관련한 지식수준이 낮다고 평가하였다. Shin(2003)의 연구에서는 위생지식과 실천행위와의 상관관계를 밝히며 위생교육을 통한 위생지식의 습득과 미용위생에 대한 올바른 인식변환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Lee(2005)의 연구에서는 전염병, 소독법, 위생법규에 관한 지식 중 전염병에 대한 지식수준이 가장 낮다고 평가하였으며 그중에서도 전염병 침입경로에 대한 지식이 가장 낮아 위생교육 시 이러한 부분을 강화해 줄 것을 요구하였다. Nam(2009)의 연구에서 고객이 미용실을 선택할 시, 작업환경 및 위생실태가 큰 영향을 미치며 미용실 고객들의 만족도를 올리기 위한 위생교육과 법적 규제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모형 및 내용

본 연구는 COVID-19에 따른 인식변화가 미용실 이용고객의 위생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불안한 COVID-19 시기에 영향을 받은 미용실을 이용하는 고객들의 변화된 위생인식을 알아보고자 연구모형을 Fig 1과 같이 설정하였다.

2. 연구문제

1. COVID-19에 따른 감염두려움이 미용실 이용고객의 위생인식에 미친 영향을 알아본다.
2. COVID-19에 따른 위험인식이 미용실 이용고객의 위생인식에 미친 영향을 알아본다.
3. COVID-19에 따른 심리적압박이 미용실 이용고객의 위생인식에 미친 영향을 알아본다.

3.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는 용어의 이해성, 질문의 관계성, 내용의 적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조사에 앞서 1차 설계된 조사내용을 응답자들에게 2021년 5월 14일부터 5월 24일까지 10일간 총 35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불분명한 내용을 수정하여 최종적인 설문지가 구성되었다. 자료수집은 2021년 5월 24일부터 2021년 6월 24일까지 한 달간 대전, 충남, 세종지역의 미용실 이용고객를 대상으로 총 23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212부가 수거되었으며 그 중 불성실한 응답의 설문지 12부를 제외한 총 200부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4. 설문지 구성 및 측정도구

설문지의 각 항목들은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이론과 설문을 근거로 총 4개 부분 46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조사를 위한 설문지는 대인면접 후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방법(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method)을 이용하여 응답자의 응답이 정확하게 설문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였다. 범주형의 명목형 응답과 연속형의 5점 리커트(Likert) 척도를 사용하여 응답자가 5점(매우 그렇다) 부터 1점(매우 그렇지 않다) 사이에서 응답하도록 설문지를 구성하였다(Table 1).

1)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

측정도구에 대한 신뢰도를 검증을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s Alpha를 실시하였다. α 계수가 0.6 이상이면 비교적 신뢰성이 있다고 판단한 결과, 모든 변수의 α 계수가 0.6 이상으로 나타나 신뢰도를 확보하였다(Table 2).

5. 분석방법 및 절차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되었으며 구체적인 통계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진행하였다.
둘째, COVID-19의 영향력, 미용실 위생인식의 각 차원을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변인 각각에 대한 신뢰도분석(Cronbach’ Alpha)을 진행하여 문항과 요인분석(Varimax)을 실시하였다.
셋째, 연구 변수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파악하기 위해 기술 통계분석을 진행하였고 변수들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Pearson’s correlation)을 실시하였다.
넷째, COVID-19가 미용실 위생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다섯째,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5%에서 검증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 le 3과 같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여성이 145명(72.5%), 남성이 55명(27.5%)으로 나타났고 연령은 20~29세가 88명(44.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학력은 대학교 재학생/졸업생이 84명(42.0%)으로 가장 높고 전문대 재학생/졸업생이 83명(41.5%)으로 조사되었다. 직업은 학생이 65명 (32.5%)으로 가장 많았고 기타 52명(26.0%), 사무직/공무원 48명(24.0%), 전업주부 26명(13.0%), 자영업 9명(4.5%)으로 나타났다.

2.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1) COVID-19 관련 문항 요인분석

측정도구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고 공통요인을 찾아내어 유효변수로 활용하기 위하여 문항 선택기준인 고유값(eigen value)이 1.0 이상, 요인 적재값이 0.4 이상을 기준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COVID-19에 대한 문항에 대하여 3가지 요인이 도출되었고 각 요인을 구성하는 문항들의 중심개념을 바탕으로 감염두려움(2.518%), 위험인식(25.181%), 심리적 압박(56.566%)으로 명명하였다. KMO값은 0.814, Bartlett 구형성 검정결과 χ2 =1028.212(df=45, p=0.000)로 요인분석을 위한 변수의 선정이 양호한 것으로 판단하였다(Table 4).

2) 미용실 위생인식 관련 문항 요인분석

미용실 위생인식에 대한 문항에 대해 3가지 요인이 도출되었고 각 요인을 구성하는 문항들의 중심개념을 바탕으로 요인들을 위생만족도(4.560%), 위생중요도(25.331%), 미용실질병(54.160%)으로 명명하였다. KMO값은 0.826, Bartlett 구형성 검정결과 χ2 =2760.637(df=153, p=0.000)로 요인분석을 위한 변수의 선정이 양호한 것으로 판단하였다(Table 5).

3. 요인 간 정규성 검증

본 연구에서 측정한 변수 간 수준을 파악하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독립변수 중 감염두려움의 평균은 5점만점에 3.06, 위험인식은 4.09, 심리적압박은 3.78로 나타났으며 종속변수인 위생인식의 평균은 3.86으로 나타났다. 또한, 변수들의 정규성 가정 충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왜도와 첨도를 산출하였는데 왜도가 절대값 3 미만, 첨도가 절대값 7 미만이면 정규분포에 근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모든 변수가 정규성 가정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6).

4. 요인 간 상관관계 검증

본 연구의 요인 간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종속변수인 위생인식 요인은 독립변수 COVID-19(r=.515, p<.001) 요인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그 하위요인인 감염두려움(r=.307, p<.000), 위험인식(r=.569, p<.000), 심리적압박(r=.316, p<.000)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미용실 질병 요인과 위생중요성(r=-.192, p<.007) 요인은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며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는데 그 외, 위생만족감과 감염두려움(r=.045, p<.526) 간의 관계를 제외한 모든 요인이 p<0.05의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며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Table 7).

5. COVID-19가 미용실 위생인식에 미치는 영향

COVID-19가 미용실을 방문하는 고객들의 위생인식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 le 8과 같다.
미용실을 방문하는 고객들이 COVID-19의 영향으로 위생인식이 변화하였다고 나타났으며, 이는 34.9%의 설명력을 가졌다. 독립변수 ‘감염두려움’이 커질수록 미용실에 대한 고객들의 위생인식이 각각 0.083만큼 증가하였고 특히, COVID-19에 대한 ‘위험인식’이 커질수록 미용실에 대한 고객들의 위생인식이 0.364만큼이나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첫째, COVID-19 감염에 대한 위험인식이 커지면서 미용실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질병 및 전염병에 대한 관심도 향상되었다고 해석된다. 또한 코로나 바이러스 특성상 사람간의 호흡으로 전염이 되는 바이러스이기 때문에 미용 시술자뿐만 아니라 방문고객간의 경각심이 커짐에 따라 공간 내 사람의 존재만으로도 위험을 느끼는 고객이 늘었다고 사료된다. COVID-19 발병 이전에는 전염병에 대한 위생인식 수준이 낮을 뿐만 아니라 Kim et al.(2001)의 연구를 보면, 선진국에 비해 우리나라가 아직 실내 공기오염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며 연구도 미비한 실정이라고 언급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를 통해, COVID-19로 인하여 호흡기를 통한 전염병에 대한 관심과 지식수준이 크게 늘었으며 실내 공기오염에 대한 중요성을 다시 한번 상기시키는 계기가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COVID-19 감염에 대한 불안감이 위생인식에 영향을 미치면서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다중이용시설인 미용실에 더욱 엄격한 위생기준을 요구하게 된 것으로 해석된다. 미용실 고객들의 높아진 위생기준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미용실 내 자체적인 위생과 방역을 더욱 철저히 하고 고객들이 미용실 이용에 대한 감염 불안감을 줄일 수 있도록 해야한다. 미용실 이용에 따른 감염에 대한 불안감을 불식시키기 위해서는 미용실 위생에 대한 올바른 인식의 변환이 필요하며 안전하게 미용실을 이용할 수 있는 사회적인 분위기 조성과 다양한 언론의 안전이용 가이드 보도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Song(2017)의 연구에서 미용실 고객들의 높아진 위생인식으로 인하여 인식하는 위생서비스의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Shin(2003)의 연구 에서도 미용위생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강조하였다. Jeong (2020)의 연구에서는 언론의 COVID-19와 관련한 보도가 감염 대응에 도움이 되었다는 질문에 ‘매우 그렇다’라는 답변이 50%로 나타나 감염의 두려움을 완화하는데 여론조성이 큰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V. 결 론

본 연구는 COVID-19에 따른 인식변화가 미용실 이용고객의 위생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고객의 니즈를 반영한 위생적으로 안전한 환경을 만들어 COVID-19 상황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OVID-19에 따라 높아진 위험인식으로 인하여 감염 방지를 위한 개별적인 위생의 생활화가 정착되었고 미용실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질병 및 전염병에 대한 인식이 향상되었으며 특히, 호흡기 전염병에 대한 관심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미용실은 고객들의 호흡기 전염병에 대한 경각심이 커진 만큼 미용실 내 원활한 공기순환이 될 수 있도록 주기적인 환기를 진행하고 시술석 간의 거리두기 및 가림막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이와 같은 미용실 내 자체적인 위생방안은 고객들의 높아진 위생인식을 만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둘째, COVID-19에 따른 감염에 대한 두려움이 생활위생에 대한 인식을 개인위생뿐만 아니라 공중위생에 대해서도 범위를 크게 넓힌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미용실은 다중이용시설에 포함되기 때문에 시술의 특성상 밀접접촉의 상황이 많아 고객들의 감염에 대한 두려움이 더욱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고객들이 미용실을 이용할 경우, ‘감염될지 모른다는 두려움’ 모른다는 두려움’을 해소시키기 위해서는 철저한 방역뿐만 아니라 안전하게 이용가능한 미용실의 이미지를 고객들에게 지속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도록 해야한다. 이를 위하여 미용실 내 주기적인 방역시스템 안내와 위생 안전수칙을 준수한다는 내용을 SNS, 블로그 등 다양한 소셜 네트워크를 통하여 홍보한다면 감염에 대비하는 안전한 미용실이라는 인식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셋째, COVID-19로 인한 스트레스, 우울감 등 심리적 압박을 느끼는 고객보다 위생에 대한 위험인식이나 감염에 대한 두려움으로 불안감을 크게 느끼는 고객들이 미용실 방문 시, 더 엄격한 위생기준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객들의 미용실 방문에 대한 불안한 마음을, 안전하다는 생각으로 바꾸는 인식의 전환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COVID-19의 상황 속에서 미용실 이용에 대한 불안감을 줄이고 사회적인 안정감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미용실 내 자체적인 노력도 중요하지만, 미용실 이용에 대한 안전성 제고, 다중이용시설 안전이용 방안과 같은 정보들을 파급력 있는 대중매체 및 언론에서 국민에게 제공하여 미용실 이용안전에 대한 분위기를 형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국가적으로도 전염병 발생 시, 미용실 이용에 대한 제도화된 수칙 및 규범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연구지역이 대전, 충남, 세종으로만 국한되었기에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향후 광범위한 지역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며 현재도 COVID-19가 진행 중인 것을 감안하여 전염병이 마무리되면 상황에 따른 시기별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뷰티서비스 산업의 다양한 분야에 대한 COVID-19 이후의 이용행동, 소비심리의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므로 미용실 뿐만 아니라 뷰티 서비스업의 다양한 분야에서도 이러한 전염병에 대비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Fig. 1.
Research Model
JKSC-2022-28-4-810f1.jpg
Table 1.
Data collection and survey composition
Variable N Measure References
General characteristics 1-4 Nominal scale
Hair salon usage 1-5 5 Point likert Jin (2010)
COVID-19 Influence 1-17 5 Point likert Oh (2020)
Yu (2020)
Hair salon hygiene recognition 1-20 5 Point likert Nam (2009)
Yang (2011)
Total 46
Table 2.
The reliability of a variable
Variable Fear of infection Risk perception Psychological pressure Hygiene satisfaction Hygiene importance Hair salon disease
N 4 4 2 7 7 4
Cronbach’s α 0.88 0.79 0.84 0.93 0.90 0.81
Table 3.
General characteristics
Variable Items N Mean (%)
Gender Female 145 72.5
Male 55 27.5
Age 10-19 4 2.0
20-29 88 44.0
30-39 50 25.0
40-49 40 20.0
50-60 18 9.0
Education Middle School 2 1.0
High school 8 4.0
College 83 41.5
University 84 42.0
Graduate School 23 11.5
Job Student 65 32.5
House keeper 26 13.0
Office worker 48 24.0
Self-employment 9 4.5
Others 52 26.0
Total 200 100.0
Table 4.
Factor analysis of COVID-19 recognition survey
Items Factor
Fear of infection Hygiene sensitivity Psychological pressure
9. Ifm afraid of my own infection .873 .051 .164
10. I have a great fear of being infected in my group .865 .094 .219
11. I have a great fear of being infected where I live .849 .031 .216
8. I think I'm highly likely to be in免cted with COVID-19 .741 .053 .171
16. COVID-19 had a great influence on hygiene perception -.030 .874 .219
17. COVID-19 influenced the choice of multi-use facilities .166 .819 .185
15. If you pay attention to personal prevention (mask, hand disinfection etc.), you can prevent infection -.094 .815 .120
14. I tend to avoid crowded situations and contact with people as much as possible .400 .583 -.120
7. My depression (tiredness, energy loss etc.) ha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COVID-19 .281 .174 .865
6. The stress (annoyance, frustration etc.) caused by COVID-19 is serious .289 .188 .842
Eigenvalues 3.138 2.518 1.719
Descriptive Variables(%) 31.385 25.181 17.193
Accumulation variant(%) 31.385 56.566 73.759
Table 5.
Factor analysis of hygiene recognition survey in hair salon
Items Factor
Hygiene satisfaction Hygiene importance Hair salon disease
17. The hygiene management of beauty products at the visiting hair salon is well maintained .918 .086 -.040
20. The hair salon I visit has a good reservation service that fits the space .871 .091 -.058
18. The hygiene of the hairdresser I visit is well maintained .866 .090 -.070
19. The regular disinfection of the visiting hair salon is well maintained .843 -.007 -.082
16. The hygiene of beauty tools and equipment at the visiting hair salon is well maintained .831 .167 -.103
21. Compared to the space of the hair salon you visit, the right reservation service is well maintained .797 .163 -.133
15. The hygiene of ven仕la仕on facilities in the visiting hair salon is well maintained .781 .209 -.054
11. Regular quarantine work in the hair salon must be carried out .214 .874 -.083
7. A hairdresser in a hair salon must wear a mask .097 .867 .026
8. Customers in the hair salon must wear masks .124 .813 .118
10. Compared to the hair salon space, an appropriate reservation service for the number of people is essential .197 .764 .050
6. Hairdressers must maintain clean appearance -.020 .751 .198
9. Distancing between customers in a hair salon is essential .183 .704 .217
5. Hand sanitizers should be used before and after the customer's procedure .020 .680 .376
3. I think conjunctivitis is a disease that is prone to occur in hair salons -.064 .026 .836
2. I think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s are more likely to occur in hair salons -.101 .028 .830
1. I think rash and erythema are diseases that are prone to occur in hair salons -.101 .254 .757
4. During hair procedure, the hygiene of the hair salon greatly affects the human body -.151 .297 .686
Eigenvalues 5.189 4.560 2.731
Descriptive Variables (%) 28.830 25.331 15.174
Accumulation variant (%) 28.830 54.160 69.334
Table 6.
Standard deviation of a variable
Variable Min Max M SD Skew Kurt
Fear of infection 1.00 5.00 3.0638 .87827 -.063 -.179
Risk perception 1.25 5.00 4.0963 .61732 -1.193 3.391
Psychological pressure 1.00 5.00 3.7800 .93862 -.527 -.307
Hygiene perception 2.78 4.83 3.8675 .43687 -.168 -.389
Table 7.
Correlation of variables
Variable COVID19 Fear of infection Risk perception Psychological pressure Hygiene perception Hygiene satisfaction Hygiene importance Hair salon disease
COVID19 -
Fear of infection .836*** -
.000
Risk perception .659*** .225** -
.000 .001
Psychological pressure .752*** .492*** .360*** -
.000 .000 .000
Hygiene perception .515*** .307*** .569*** .316*** -
.000 .000 .000 .000
Hygiene satisfaction .198** .045 .273*** .185** .652*** -
.005 .526 .000 .009 .000
Hygiene importance .487*** .278*** .589*** .254*** .823*** .246*** -
.000 .000 .000 .000 .000 .000
Hair salon disease .349*** .343*** .218** .180** .435*** -.192** .327*** -
.000 .000 .002 .011 .000 .007 .000

* p<0.05,

** p<0.01,

*** p<0.001

Table 8.
The Effect of COVID-19 on the Hygiene recognition of Hair salon Customers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B β t p F
Hygiene (Constant) 2.037 11.522 .000 0.349 36.638 ***
Fear of infection .083 .167 2.538 .012
Risk perception .364 .514 8.375 .000
Psychological pressure .023 .049 .712 .478

* p<0.05,

** p<0.01,

*** p<0.001

References

Brooks, S. K., Webster, R. K., & Smith, L. E. (2020). The psychological impact of quarantine and how to reduce it: rapid review of the evidence. The Lancet, 395(10227), 912-920.
crossref
Choi, J. H. Four major changes after COVID-19.
Choi, Y. J. (2001). A study of the extent of hairdressers' sanitary understanding in part of Ulsan. J. Kor. Soc. Cosm, 7(1), 83-88.
Hatchett, R. J., Mecher, C. E., & Lipsitch, M. (2007). Public health interventions and epidemic intensity during the 1918 influenza pandemic.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4(18), 7582-7587.
crossref
Jang, H. N. (2005). A Stuudy on the Interior Planning of Beauty Salon with Green Design.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Kookmin University, Seoul.
Jeong, E. Policy Briefing at the Central Disease Control Headquarter. https://www.korea.kr/news/policyBriefingView.do?newsId=156376112, 2021.09.15.
Jeong, M. S. (2020). The Effect of Media Coverage on the Government's Disaster Crisis Management Activities (Focused on COVID-19). Doctoral dissertation, Graduate Schoo of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Jin, Y. M. (2010). The Actual Uses of Barbershops or Beauty Salons and the Influence of the Service Quality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Doctoral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Seokyeong University, Seoul.
Kim, B. K., Bai, D. J., & Moon, D. H. (2001). A study on indoor air pollution in beauty shop of Pusan area. J. Kor. Soc. Cosm, 7(1), 65-72.
Kim, K. M. (2020). Home beauty generation, big strides. Korea Broadcasting Advertising Corporation.
Lee, C. E. (2005). Sanitation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of Aesthetic Salon. Dongnam Health College, 23(1), 47-56.
Lee, S. E., & Oh, S. J. (2020). Consumer behavior changes accelerated by COVID-19. Samil PWC.
Nam, J. S. (2009). A Study on the Effect of Sanitary Condition in Hair Shop on Customer Satisfaction.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Dongduk Beauty and Health, Seoul.
Oh, S. Y. (2020). Analysis of hair salons and market conditions. KB Financial Management.
Public Health Control Act. https://www.moleg.go.kr, 2021.10.20.
Shin, S. H. (2003). Knowledge and Practice of Hygiene among Estheticians.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Song, E. H. (2017). Study on the Actual of Hygiene in the Hair Salon and the Need for Hygiene Education.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Seoul.
Yang, E. J. (2011). Study of Consumers’ Cognition for Hygiene Environment and Microbial Contamination in Beauty Parlors. Doctoral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Seokyeong University, Seoul.
Yu, M. S. (2020). COVID-19 Risk Awareness Survey of Gyeonggido Residents. Gyeonggi Public Health and Medical Support Group.
TOOLS
METRICS Graph View
  • 0 Crossref
  •  0 Scopus
  • 911 View
  • 6 Download
Related articles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10-2825-6735   Fex: +82-62-950-3797    E-mail: beauty2007@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