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Cosmetol > Volume 29(1); 2023 > Article
20~30대 직장여성의 코로나19로 지각된 심각성과 지각된 혜택이 뷰티헬스케어행동에 미치는 영향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health beliefs of workplace women in their 20s and 30s on beauty healthcare behavior of perceived seriousness and benefits from COVID-19. Online questionnaires were sent to office women in their 20s and 30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rom March 29 to April 28, 2021, and 578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 21.0 program, and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orking women in their 20s and 30s perceived the seriousness and benefits of COVID-19 at a high level, and beauty healthcare behavior was investigated above the normal level. Second, beauty healthcare behavior showed a high positive(+) correlation in the order of perceived seriousness and perceived benefits of health beliefs. Third, the higher the severity perceived as COVID-19, the higher the beauty healthcare behavior, health management behavior, and cosmetics use behavior. Fourth, the higher the benefits perceived as COVID-19, the higher the beauty healthcare behavior, cosmetics use behavior, and health management behavior.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beauty healthcare,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industrial development by allowing people to live a healthy life physically and mentally and providing basic data for beauty health programs.

I. 서 론

여성의 사회진출이 활발해지면서 신체 내적인 건강뿐 아니라 외적인 피부건강, 아름다움에 대해 기대와 욕구가 커지고 있다(Kim, 2021). 특히, 20~30대는 사회 발전의 중심이자 소비 시장의 핵심적인 집단으로 소비성향이 높고 건강을 자신의 경쟁력이라 생각하며 자기 자신을 위한 투자를 아끼지 않는 시기이다(Jeong, 2014).
오랜 기간 지속된 코로나19(COVID-19)는 사회적, 경제적, 신체적으로 우리의 삶에 심각한 위기를 불러일으켰고, 감염병의 확산과 감소가 반복되는 상황에서 사람들은 심리적인 불안감에 시달리고 있다(Kim, 2021). 코로나는 누구나 걸릴 수 있는 질병으로 다양한 경로를 통해 쉽게 감염되며 개인의 예방수칙 준수가 더욱 강조된다(Hong et al., 2021). 그로 인해 면역력을 키우기 위한 많은 관심과 건강한 신체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Kim, 2021).
또한 코로나19 상황에서 사회적 거리두기나 근무 형태를 재택근무로 전환하는 등의 필수적인 생활이 지속되면서 개인의 뷰티관리와 헬스케어에 대한 관심도 더욱 커지고 있다(Kim, 2021). 지속적인 비대면 생활로 활동 반경은 줄어들고 앉아있는 시간이 평균 5시간에서 8시간으로 늘어나 건강위험과 체중 증가를 초래하고 있다(Do & Sung, 2020). 이러한 사람들을 지칭하여 ‘확찐자’라는 신조어가 생겨났으며 이는 코로나19에 감염된 사람 즉 ‘확진자’를 어원으로 한다. 확찐자가 증가하면서 사람들은 다이어트를 비롯한(Baek, 2021) 뷰티헬스케어를 통해 스스로 아름답게 변화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이어지고 뷰티헬스케어는 외모관리뿐만 아니라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증진을 위한 수단으로도 사용된다(Chen, 2020).
뷰티헬스케어행동은 피부미용행동, 화장품사용행동, 헬스관리행동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마스크 착용에 불편함을 느끼고 피부과나 피부관리샵 방문과 홈케어를 통해 예민해진 피부를 관리하며 몸매를 위해 규칙적으로 운동하는 등 건강관리 활동이 필요하다(Park, 2019). 이렇게 건강관리행동을 예측하고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어 온 이론으로 건강신념모델을 들 수 있는데, 이는 특정 질병의 예방행동 영향요인을 가장 잘 반영하고 있다. 이것은 건강 관련 행동을 예측하는 주요 변수로서 대상자의 행동 변화를 위한 전략적인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연구되어 왔다(Jang, 2021). 최근 건강신념은 건강관리 행동, 다이어트 운동, 음주, 흡연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된다. 건강신념의 요소로 지각된 심각성과 취약성, 혜택, 장애의 4가지가 있다. 코로나19 감염으로 인해 직장생활을 하기가 어렵고 사망할 수도 있다는 위험성이 높은 질병으로 심각하게 사회적 거리두기와 장시간 마스크 착용으로 인한 불편함이 크더라도 비대면 활동, 손씻기 등 예방행동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자신과 가정, 지인을 보호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혜택이 높다고 인지해 예방행동을 적극적으로 한다고 볼 수 있다(Lee, 2020).
이에 코로나19로 인한 건강신념과 행동과의 연관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건강신념모델을 바탕으로 한 코로나19 위험성 인지가 관광객 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Chen, 2022; Woo & Jeon, 2022), 건강신념모델을 중심으로 한 뷰티서비스 종사자의 코로나19 감염예방을 위한 건강 행동 의도 연구(Lee & Eu, 2021), 건강신념요인의 코로나19 예방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Kim, 2022; Moon & Yang, 2022), 뷰티헬스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코로나19 이후 여성의 뷰티관리 연구(Kim, 2021; Lee, 2021) 등이 있다.
기존 선행연구에서는 코로나19 이후의 여성의 뷰티관리 연구와 건강신념모델을 중심으로 한 코로나19로 인한 관광객 행동, 예방행동 의도를 알아보는 다수의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20~30대 직장여성을 대상으로 한 코로나19 건강신념과 뷰티헬스케어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 상황에서 사회집단에 생활하며 앞으로의 대면 활동을 위해 개인의 건강관리 및 다이어트를 위한 헬스케어와 홈케어를 통한 뷰티관리가 중요할 것으로 판단되는 20~30대 직장여성의 코로나19로 지각된 심각성과 지각된 혜택이 뷰티헬스케어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맞춰 뷰티헬스케어 시장이 흘러갈 방향을 엿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사료되어, 건강과 외모관리를 동시에 지키는 뷰티헬스케어행동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효과적인 맞춤식 뷰티건강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도 살펴보려고 한다.

II. 이론적 배경

1. 코로나19(COVID-19)

코로나19 세계적 대유행은 2019년 12월 처음 보고된 새로운 유형의 호흡기 감염질환이며, 전 세계적으로 확산이 되면서 2020년 3월 세계보건기구에서 팬데믹을 선언하였다(Lee, 2021). 2020년 1월 국내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감염된 확진자가 발견된 이후로 우리 국민을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인류는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한 비대면 사회를 경험하면서(Choi, 2020) 진정이 되는 듯한 양상이 보였으나 무증상 감염자의 강한 전파력으로 인해 많은 사람에게 전파를 시킬 뿐 아니라 새로운 변종 바이러스의 출현과 함께 다시 확산이 되고 있으며 피해의 규모는 증가하고 있다(Park, 2021).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위험에서 예방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개인의 위생관리와 사회적 거리두기, 방역이 유일한 상태였지만, 2020년 12월 영국을 시작으로 주요 국가에서 백신접종이 시작되었다(Nam & Kim, 2021). 우리나라 백신접종은 2021년 2월 26일부터 시행되었으며, 정부의 방역 지침 중 하나인 접종 완료자의 고위험 다중이용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허가하고 일상 회복을 지원하는 방역 패스 제도를 통해 높은 수준의 백신 접종률을 유지하고 있다(Kang, 2022).
그로 인해 확진자 수가 감소와 증가를 반복하는 상황에서 코로나19 종식의 예측은 불가능하며 향후 바이러스의 종류나 변이, 방역이나 정부 대응, 바이러스 독성 등과 관련하여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Choi, 2020).

2. 건강신념

건강신념모델(Health Belief Mode, HBM)은 1950년대 사회심리학자들이 질병 예방과 검사를 위한 프로그램에 사람들이 참여하지 않는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 개발된 이론이다(Hochbaum, 1958). 사람들의 건강행동을 예측, 설명하기 위해 여러 건강행동모델들이 사용되어왔고 그 중 많이 사용되고 있는 모델은 건강신념이며, 연구자들이 건강교육 프로그램과 캠페인을 개발하고 기획할 때 건강신념을 자주 이용해왔다(Ju, 2015).
Park(2017)은 건강신념을 적용한 고혈압 관리 및 예방을 위한 16주 영양교육 프로그램과 교육자료를 개발하여 대상자의 동기를 유발하고 이익을 강조, 실천에 대한 장애 요인을 낮추어 바람직한 건강행동을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교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Cho(2021)은 건강신념모델을 적용한 미세먼지 대처 교육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미세먼지에 대한 지식과 건강관리행위 실천 향상에 효과가 있는 중재로 확인하였다.
건강신념모델은 질병이 심각하다고 믿으며 사람이 그 질병에 대해 자신이 민감하게 지각하고, 질병예방행동에 대한 혜택이 많으며 장애가 적음을 인식하고 건강 문제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동기화가 되어 있다면 질병을 위한 예방적 건강행동에 참여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건강신념모델에 제시된 주요 개념은 4가지로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취약성, 지각된 혜택, 지각된 장애가 있다(Kim, 2017).
지각된 심각성은 개인이 특정 질병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 심각성의 정도를 의미한다. 질병의 발생을 심각하게 느끼거나 질병을 치료하지 않는 상태로 유지가 될 때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 지각하는 것으로 통증, 사망, 장애 등의 의학적인 측면과 직장, 친구, 가족 등 사회적인 측면도 포함된다. 건강신념에서는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는 사람일수록 질병예방을 위한 행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할 가능성이 높다고 하였다(Jeong, 2017).
지각된 취약성은 개인이 질병에 걸릴 가능성에 대해 인지하는 정도를 말하며(Park, 2013) 그 질병에 자신이 얼마나 노출되어있는지, 더 나아가 자신이 특정 질병에 감염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인 신념을 의미한다(Ju, 2015).
지각된 혜택은 특정한 질병에 대해 건강행동을 함으로써 얻는 혜택을 인지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특정한 행동을 했을 때 받을 수 있는 혜택이 크다고 판단이 되면 비용이나 시간적인 불편함을 감수하고 건강행동을 수행한다(Lee, 2015).
지각된 장애는 건강 관련 행위를 수행하면서 따르는 불쾌감이나 고통, 높은 비용, 위험, 부작용, 좋지 않은 결과 등 부정적인 측면을 지각하는 것을 의미한다. 장애를 높게 지각할수록 특정 건강행동을 수행하는 것에 대한 회피할 가능성은 커지고 특정 행동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예방행동을 통한 혜택이 장애를 넘는 개인의 신념이 선행되어야 하며, 개인의 지각된 장애 정도가 낮을수록 건강행위를 실천하는 가능성이 높아진다(Park, 2002).
Lee(2022)은 감염병에 대한 4가지 신념 중 지각된 심각성만이 손 씻기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라고 하였으며, Son(2008)은 질병에 대한 심각성을 크게 인식할수록 예방을 위한 건강행동에 긍정적이고 적극적이며 건강혜택을 더 크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Jeong(2021)Sa(2021)은 코로나19 방역 및 예방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건강신념 변인은 지각된 혜택으로 방역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 하였다(Lee, 2022). 본 연구에서는 건강신념의 지각된 심각성과 지각된 혜택 2개의 하위요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3. 뷰티헬스케어행동

뷰티헬스케어행동(Beauty Health Care Behavior)은 뷰티케어와 헬스케어가 융복합된 개념의 합성어이다. 뷰티헬스케어행동은 인체를 아름답게 가꾸며 건강에 직접적,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다이어트, 피부미용, 미용성형, 화장품, 미용기기, 헬스 등이 해당된다. 뷰티 트랜드가 다양해지면서 건강에 대한 관심은 높아지고 사람들에게 뷰티헬스행동은 필수요건으로 인식되고 있다(Park, 2019). 뷰티케어는 개인이 타인과의 상호적 관계에서 자신의 개성을 표현해 나가는 과정으로 자신의 외적인 이미지를 관리하는 수단이다. 이는 피부관리, 두피관리, 헤어관리, 메이크업 및 미용성형관리, 체형관리 등을 통해 아름다운 이미지를 만들어가는 행위라고 정의할 수 있다(Kim, 2019). 헬스케어는 빠르게 변화하는 고령화 사회에서 건강관리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질병 예방과 운동을 통한 기대수명의 연장, 생활 습관의 개선, 삶의 질 향상 등 개인 건강 욕구와 젊고 아름다운 외적인 모습을 추구하기 위한 관리행위로 정의할 수 있다(Chen, 2020). Lee & Lee(2020)은 뷰티헬스케어행동을 활발하게 할수록 뷰티헬스케어에 대한 경험 만족도가 성취감과 만족도를 높여 심리적인 행복감도 높아진다고 하였고, Kim(2021)는 건강하고 아름다움을 위한 외모관리는 건강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뷰티헬스케어를 통해 자신을 인격적으로 존중하고, 만족도가 높아질수록 행복감이 높아질 뿐 아니라 건강한 백세 시대를 위한 자신감을 회복하여 긍정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을 것이라 하였다. 이러한 뷰티헬스케어행동은 피부미용행동, 화장품사용행동, 헬스관리행동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이에 피부미용은 아름답고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는 것으로 정상적인 피부가 지닌 생리기능을 도와 가능한 한 건강하게 미용상의 문제점들을 개선 및 예방하고 젊고 깨끗한 피부로 가꾸어 주는 것을 의미한다(Lee, 2017). 아름다움과 건강에 대한 욕구와 기대가 더욱 강해지고 있는 현대인들의 외모관리는 필수적인 행위로 피부미용에 대한 관심은 증가하고 있다(Nam & Kim, 2021). 피부미용행동은 피부를 건강한 상태로 유지하도록 세안, 마사지, 성형 시술, 화장 등을 말하며 노화에 대처하는 과정으로 자신의 외모나 내면적인 개성에 대해 긍정적 사고를 하거나 건강하고 아름다움을 표현하기 위한 젊어 보이는 피부상태가 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이다(Kim, 2020).
화장품사용행동은 화장품을 통해 피부를 청결히 세정하고 외부로부터 보호 및 정돈하여 피부를 건강하고 아름다운 피부를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Ham, 2015). 오늘날 여성들의 화장품사용행동은 문화가 지닌 가치관에 부합하는 아름다움을 반영한 것으로, 일상생활에서 화장뿐 아니라 타인과의 관계를 고려하는 행동으로 변해가고 있으며, 외모를 아름답게 하는 자신을 위한 것이며 동시에 사회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Yun, 2009).
헬스관리행동은 건강한 몸 상태를 위한 생활습관을 조정하여 질병 발생 위험도를 낮추고 질병 예방 및 건강증진을 위한 행동을 의미한다.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지속적인 헬스관리행동을 통해 노폐물을 배출시키고 긴장된 근육을 풀어주고 체력뿐만 아니라 신체적 기능의 발달, 스트레스 해소와 인간관계 개선 등 정신적인 건강에도 효과가 있다(Park, 2019). 또한,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고 질병발생으로 인한 정신적, 육체적, 경제적 부담을 줄이는 것에 목적이 있다(Lim, 2016). 이에 본 연구에서는 뷰티헬스케어행동의 하위요인을 피부미용행동, 화장품사용행동, 헬스관리행동 3가지로 연구하고자 한다.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의 문제 및 모형

본 연구는 장기간 길어지는 코로나 상황에서 20~30대 직장 여성이 지각하는 코로나19 심각성과 지각된 혜택이 뷰티헬스케어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20~30대 직장여성의 코로나19로 지각된 심각성과 지각된 혜택, 뷰티헬스케어행동의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20~30대 여성의 코로나19로 지각된 심각성이 뷰티헬스케어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20~30대 여성의 코로나19로 지각된 혜택이 뷰티헬스케어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모형은 다음과 같다(Fig. 1).

2. 연구대상 및 기간

본 연구는 20~30대 직장여성의 코로나19로 지각된 심각성과 지각된 혜택이 뷰티헬스케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서울·경기 지역의 20~30대 직장여성을 대상으로 2021년 3월 29일부터 4월 28일까지 네이버 폼을 이용한 온라인 설문지를 발송하여 설문지는 총 586부를 배포하고, 이 중 불성실한 응답 8부를 제외한 578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3. 설문도구 및 내용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Park(2019)의 도구를 수정·보완하여 총 5문항으로 명목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코로나19로 지각된 심각성과 지각된 혜택을 알아보기 위해 Rosenstock(1974)Janz & Becker(1984), Rimal & Real(2003)이 사용한 연구를 바탕으로 재구성한 Jang(2021), Jo et al.(2012), Lee et al.(2014)의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를 활용하여 지각된 심각성 5문항, 지각된 혜택 3문항으로 총 8문항으로 구성하였고, 뷰티헬스케어행동을 알아보기 위해 Park(2019), Kim(2021)의 도구를 수정·보완하여 피부미용행동 3문항, 화장품사용행동 4문항, 헬스관리행동 7문항으로 총 14문항으로 구성하였고 각 문항은 5점 Likert 척도(①전혀 그렇지 않다~⑤매우 그렇다)를 사용하였으며 Table 1과 같다.

4. 자료분석

본 연구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유의수준 5%에서 검증하였다. 20~30대 직장 여성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코로나19로 지각된 심각성과 지각된 혜택, 뷰티헬스케어행동 문항들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뢰도는 Cronbach’s α의 계수로 판단하였다. 코로나19로 지각된 심각성과 지각된 혜택, 뷰티헬스케어행동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코로나19로 지각된 심각성과 지각된 혜택, 뷰티헬스케어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코로나19로 지각된 심각성과 지각된 혜택이 뷰티헬스케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 조사 결과(Table 2), 연령은 ‘20대’가 45.8%, ‘30대’가 54.2%이었고, 최종학력은 ‘전문대 졸업’이 54.7%, ‘4년제대 졸업’이 40.0%, ‘대학원 석사졸업’이 3.1%, ‘고졸’이 2.2%이었다. 결혼 여부는 ‘미혼’이 94.8%, ‘기혼’이 5.2%이었다. 월평균 뷰티케어 관리비용은 ‘10만 원 이상~20만 원 미만’이 33.6%, 월평균 헬스케어 관리비용은 ‘10만 원 미만’이 39.1%로 가장 많았다.

2. 연구대상자의 코로나19로 지각된 심각성과 혜택, 뷰티헬스케어행동의 수준

연구대상자의 코로나19로 지각된 심각성과 혜택, 뷰티헬스케어행동의 수준 조사결과(Table 3), 5점 만점 중 20~30대 직장 여성의 코로나19에 대한 건강신념 중 코로나19는 고통스러운 질병으로 걸린다면 직장생활을 하기 힘들다고 생각하는 지각된 심각성 4.03점, 코로나19의 예방수칙준수는 나와 가정, 지인을 보호하며 효과적이라고 생각하는 지각된 혜택 4.19점으로 예방수칙준수를 통해 코로나19를 예방하고 보호할 수 있다는 혜택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뷰티헬스케어행동은 평균 3.53점이었으며, 피부관리를 위한 피부과 이용과 미용성형시술 경험이 있는 피부미용행동 3.14점, 몸매와 건강을 위한 규칙적인 운동이나 활동적인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헬스관리행동 3.56점, 피부관리를 위한 깨끗한 세안과 팩, 각질제거 등 화장품을 주기적으로 사용하는 화장품사용행동 3.76점 순으로 나타나 코로나로 인한 장시간 마스크 착용으로 지친 피부와 건강관리 및 다이어트를 위해 헬스관리행동과 화장품사용 행동을 보통 수준 이상으로 하는 것으로 보인다.

3. 변수의 타당성 및 신뢰도검증

1) 건강신념의 타당성 및 신뢰도검증

(1)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심각성의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Table 4). 본 연구에서는 KMO값이 0.711로 나타나 변수 쌍들의 상관관계가 다른 변수에 의하여 충분히 설명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요인분석의 적합성을 나타내는 Bartlett의 구형성 검정치는 근사 카이제곱(χ2)값이 288.662로 나타났으며 유의수준은 .000으로 요인분석이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요인 1은 고유값이 2.000, 설명비가 40.00%로 나타났으며 코로나는 죽을 수 있는 위험이 높은 질병으로 걸린다면 직장생활을 할 수 없다 등에 대한 문항들로 구성되어 ‘지각된 심각성’으로 명명하였다. 각 설문 문항들의 신뢰도를 나타내는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한 결과 .623으로 나타났다.

(2) 지각된 혜택

지각된 혜택의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 1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Table 5). KMO값이 0.612로 나타나 Bartlett의 구형성 검정치는 χ2=180.509, 유의수준은 .000으로 요인분석 사용에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요인1은 고유값이 1.657, 설명비가 55.21%로 나타나 코로나는 예방이 최우선이고 예방수칙 준수는 나의 가정과 지인을 보호할 것이며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 등에 대한 문항으로 구성되어 ‘지각된 혜택’으로 명명하였다. 각 설문 문항들의 신뢰도를 나타내는 Cronbach’s α 계수를 이용하여 검정한 결과 0.587로 나타났다.

2) 뷰티헬스케어행동의 타당성 및 신뢰도검증

뷰티헬스케어행동의 요인분석을 통해 3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Table 6). KMO값이 0.877로 나타나 Bartlett의 구형성 검정치는 χ2=2804.734 p<.000으로 나타났으며 요인분석 사용에 적합한 것을 알 수 있다. 요인1은 고유값이 4.106, 설명비가 29.33%로 나타나 몸매관리와 건강관리를 위해 스트레칭과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고, 건강에 해롭다고 알려진 음식은 피한다 등의 내용으로 ‘헬스관리행동’으로 명명하였다. 요인2는 고유값이 2.052, 설명비가 14.65%로 피부관리를 위해 세안에 신경을 쓰고, 각질 제거나 팩, 기능성 화장품을 즐겨 바른다 등의 문항으로 ‘화장품사용행동’으로 명명하였다. 요인3은 고유값이 1.836, 설명비가 13.11%로 나타났으며 미용성형시술을 시행한 적이 있고, 피부관리와 몸매관리를 위해 피부과나 피부관리샵을 이용한다 등의 문항으로 ‘피부미용행동’으로 명명하였다. 추출된 3개의 요인인 헬스관리행동, 화장품사용행동, 피부미용행동의 신뢰도를 나타내는 Cronbach’s α 계수를 이용하여 검정한 결과 각각 0.871, 0.652, 0.601로 조사되었다.

4. 변수 간의 상관관계분석

각 변수 간의 상관관계분석 조사결과(Table 7), 뷰티헬스케어행동은 건강신념의 지각된 심각성(r=.197, p<.001), 지각된 혜택(r=.136, p<.001) 순으로 정의 상관관계가 높았다. 뷰티헬스케어행동의 헬스관리행동은 건강신념의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혜택 모두와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Jeong(2017)의 연구에서 건강증진행동이 지각된 심각성과 혜택 모두 정의 상관관계를 갖는다는 점과 유사한 결과이다. 뷰티헬스케어행동의 화장품사용행동은 건강신념의 지각된 혜택, 지각된 심각성 모두와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뷰티헬스케어행동은 건강신념의 지각된 혜택과 지각된 심각성 모두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이러한 결과는 20~30대 직장여성의 코로나19로 지각된 심각성과 지각된 혜택이 뷰티헬스케어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변수 간의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코로나19 건강신념의 지각된 심각성이 뷰티헬스케어행동에 미치는 영향

코로나19 건강신념의 지각된 심각성이 뷰티헬스케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Table 8). R2=.041로 전체 변동의 4.1%로 회귀모형을 설명하고 있으며, 변수 간 다중공선성을 진단하기 위해 분산팽창계수(VIF: variable inflation factor)와 허용치(tolerance)를 살펴보았다. 일반적으로 분산팽창계수가 10이상이나 허용치가 0.1보다 작으면 다중공선성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게 된다. 본 분석에서 변수들의 VIF값은 모두 10이하로, 허용치는 0.1보다 크게 나타나 다중공선성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모형의 분산분석 결과 추정된 모형은 유의하였다(F=26.446, p<.001). 코로나19 건강신념의 지각된 심각성(=.205, p<.001)은 뷰티헬스케어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이는 코로나19 건강신념의 지각된 심각성이 높을수록 뷰티헬스케어행동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코로나19 건강신념의 지각된 심각성이 뷰티헬스케어행동의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헬스관리행동과 화장품사용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변수별 영향력을 살펴보면 헬스관리행동은 4.5%, 화장품사용행동은 3.7%의 설명력을 갖고 있으며 헬스관리행동(β=.212), 화장품사용행동(β=.192) 순으로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19에 대한 심각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운동이나 규칙적인 생활습관을 지키고 장시간 마스크 착용으로 지친 피부를 위한 관리행동이 높아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Jeong(2017)의 연구에서 피트니스센터의 성인 여성 이용자는 질병의 감염과 노출에 대한 지각된 심각성이 높을수록 건강증진행동을 적극적으로 하며, Jo(2021)의 연구에서 대학생이 코로나19에 대해 지각하는 심각성이 높을수록 건강 행동 실천도가 높아진다는 내용과 유사한 결과로 본 연구를 지지한다.
지각된 심각성이 피부미용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결과는 20~30대 직장여성들은 코로나19에 대한 심각성은 느끼지만, 외모나 자기 자신을 가꾸는 것에 있어서 시간과 비용을 투자하며 마스크 의무가 해제될 미래를 생각하여 꾸준히 피부미용행동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6. 건강신념의 지각된 혜택이 뷰티헬스케어행동에 미치는 영향

코로나19 건강신념의 지각된 혜택이 뷰티헬스케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Table 9). R2=.019로 전체 변동의 1.9%로 회귀모형을 설명하며, 모형의 분산분석 결과 추정된 모형은 유의하였다(F=28.363, p<.001). 코로나19 건강신념의 지각된 혜택(=.136, p<.01)은 뷰티헬스케어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이는 코로나19 건강신념의 지각된 혜택이 높을수록 뷰티헬스케어행동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코로나19 건강신념의 지각된 혜택이 뷰티헬스케어행동의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화장품사용행동과 헬스관리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변수별 영향력을 살펴보면 화장품사용행동은 4.6%, 헬스관리행동은 1.3%의 설명력을 갖고 있으며 헬스관리행동(β=.214), 화장품사용행동(β=.114) 순으로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19 예방행동을 함으로써 혜택이 크다고 지각할수록 비용이나 시간 투자의 불편함은 있지만 감염예방을 위한 규칙적인 운동과 코로나19 감염완화와 종결을 대비하여 화장품을 사용한 홈케어 관리행동을 적극적으로 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Sa(2021)의 연구에서 20대 대학생이 지각하는 코로나19 혜택이 높을수록 예방적 건강행동도 높아지며, Ham(2015)는 20~30대 여성의 피부건강신념수준과 화장품사용행태 연구에서 개인 피부타입에 맞는 화장품의 올바른 사용이 피부건강에 유익하다고 지각할수록 건강한 피부를 위한 적극적인 화장품 사용과 구매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유사한 결과로 본 연구를 지지한다.
지각된 혜택이 피부미용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결과는 20~30대 직장여성들은 코로나19와는 상관없이 평소에 외적인 모습을 가꾸기 위한 활발한 피부미용행동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V. 결 론

본 연구는 서울·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20~30대 직장여성의 코로나19로 지각된 심각성과 지각된 혜택이 뷰티헬스케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30대 직장여성은 코로나19에 대한 심각성을 높은 수준으로 지각하며, 비용과 시간적인 불편함은 있지만 예방행동을 통해 얻는 혜택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건강관리와 장시간 마스크 착용으로 예민해진 피부를 관리하는 뷰티헬스케어행동은 보통 수준 이상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뷰티헬스케어행동이 건강신념의 지각된 심각성과 혜택과의 관계에서 지각된 심각성, 혜택 순으로 높은 정(+)의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코로나19로 지각된 심각성이 높을수록 뷰티헬스케어행동과 하위요인인 헬스관리행동, 화장품사용행동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뷰티헬스케어행동은 코로나19로 지각된 혜택이 높을수록 뷰티헬스케어행동의 화장품사용행동, 헬스관리행동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최근 전 세계적으로 이슈화가 되고 인간의 생명과 건강을 위협하는 코로나19에 건강신념을 적용하여 전염병을 예방하기 위한 건강과 외모관리를 동시에 지키는 뷰티헬스케어행동과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장기화되고 있는 코로나 시기에 뷰티헬스케어행동의 중요성을 인지하여 신체적, 정신적으로 건강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하며 맞춤식 뷰티헬스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또한, 20~30대 직장여성은 장시간 마스크 착용으로 예민해진 피부 상태, 트러블 등 피부질환을 위한 보습 관리와 각질 관리, 저자극 제품의 사용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에스테틱 실무에서는 지친 피부와 추후 코로나19가 종식될 시기를 위한 개인별 맞춤식 관리를 제공하고 홈케어 족이 증가한 만큼 집에서도 셀프관리를 할 수 있도록 상담 시 홈케어 제품과 루틴을 제공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건강에 관심이 높아진 만큼 면역력을 증진할 수 있도록 직장여성을 위한 접근성이 높은 모바일과 온라인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다양한 뷰티헬스 플렛폼을 지원하여 적극적인 뷰티헬스케어행동을 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다만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연구대상을 서울·경기 지역의 20~30대 직장여성을 대상으로 분석한 것으로 연구의 일반화를 위한 지역 범위를 확대하고 전염병에 대한 건강신념과 뷰티헬스케어산업 관련한 다양한 변인을 탐색하여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Fig. 1.
Research model.
JKSC-2023-29-1-77f1.jpg
Table 1.
Composition and measurement of questionnaire
Varisble Question Measure References
Demographics 5 Nominal Park(2019), Researcher
Health beliefs Perceived seriousness 5 5 Likert Rosenstock(1974), Janz & Becker(1984), Rimal & Real(2003), Jang(2021), Jo et al.(2012), Lee et al.(2014)
Perceived benefits 3
Beauty health care Health management behavior 3 5 Likert Park(2019), Kim(2021)
Cosmetics usage behavior 4
Skin beauty behavior 7
Total 27
Table 2.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Classification (N) (%)
Age 20s 265 45.8
30s 313 54.2
Academic background high school graduation 13 2.2
Graduated from junior college 316 54.7
Graduated from a four-year college 231 40.0
Graduated Master's Degree 18 3.1
Marital status Single 548 94.8
Married 30 5.2
Beauty care management costs (month) Less than 100,000 won 165 28.5
Less than 100,000-200,000 won 194 33.6
Less than 200,000-300,000 won 156 27.0
Less than 300,000-400,000 won 43 7.4
Less than 400,000-500,000 won 20 3.5
Health care management costs (month) Less than 100,000 won 226 39.1
Less than 100,000-200,000 won 196 33.9
Less than 200,000-300,000 won 90 15.6
Less than 300,000-400,000 won 34 5.9
Less than 400,000-500,000 won 32 5.5
Total 578 100.0
Table 3.
The level of health beliefs and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perceived by the study subjects
Sortation (M) (SD)
Health beliefs Perceived seriousness 4.03 .55
Perceived benefits 4.19 .59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Health management behavior 3.56 .82
Cosmetics usage behavior 3.76 .68
Skin beauty behavior 3.14 .95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3.53 .63
Table 4.
Validation of feasibility and reliability of Perceived seriousness
Factor Question Components
1
Perceived seriousness 1. COVID-19, an overseas infectious disease, is a disease with a high risk of death. .692
5. I don't think I'll be able to work if I get COVID-19, an overseas infectious disease. .678
2. COVID-19, an overseas infectious disease, is a disease that is difficult to treat. .637
3. Overseas infectious disease COVID-19 is a painful disease. .584
4. If you get COVID-19, an overseas infectious disease, you will be disappointed and shocked. .561
Eigen values 2.000
Variance values(%) 40.004
Cumulative variance values(%) 40.004
Cronbach’s α .623
KMO = .711, Bartlett’s test χ²=288.662 (df=10, p=.000)
Table 5.
Validation of feasibility and reliability of Perceived benefits
Factor Question Components
1
Perceived benefits 10. Compliance with the COVID-19 Prevention Code of Conduct for Overseas Infectious Diseases will protect my family and acquaintances. .785
11. I think prevention is the top priority for COVID-19, an overseas infectious disease, because there are fewer treatments and vaccines. .783
12. I think it is effective to comply with the prevention rules of COVID-19 for overseas infectious diseases. .653
Eigen values 1.657
Variance values(%) 55.219
Cumulative variance values(%) 55.219
Cronbach’s α .587
KMO = .612, Bartlett’s test χ²=180.509 (df=3, p=.000)
Table 6.
Validation of feasibility and reliability of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Factor Question Components
1 2 3
Health management behavior 10. I participate in sports or active programs. .777 .070 .247
8. I exercise regularly for body line management and health care. .765 .064 .311
11. I do stretching exercises more than three times a week. .744 .164 .085
14. I avoid foods that are known to be unhealthy. .740 .072 -.031
12. I exercise(swimming, badminton, pilates, fitness, etc.) for physical fitness in my free time (or day off). .701 .067 .392
13. I try to eat natural foods(grain, fresh fruit, vegetable) rather than processed foods. .698 .101 -.091
9. I try not to overeat for body line management and health care. .682 .141 -.071
Cosmetics usage behavior 2. I care about washing my face for clean skin. .035 .809 .198
3. I regularly use exfoliating or pack products to take care of my skin. .149 .743 .076
1. I apply functional cosmetics (hydration, wrinkles, whitening, eye cream, etc.) for skin care. .064 .685 .292
4. I always put on skin makeup (makeup base, BB cream, foundation, etc.) before I go to work or go out. .388 .421 -.026
Skin beauty behavior 7. I have done cosmetic surgery (botox, lifting, fillers, etc.). -.136 .099 .751
6. I have used a dermatology for skin care. .159 .226 .706
5. I use a skin care shop to take care of my skin and body. .387 .250 .557
Eigen values 4.106 2.052 1.836
Variance values(%) 29.331 14.655 13.117
Cumulative variance values(%) 29.331 43.987 57.103
Cronbach’s α .871 .652 .601
KMO = .877, Bartlett’s test χ²=2804.734 (df=91, p=.000)
Table 7.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variables
Sortation Health beliefs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Perceived seriousness Perceived benefits Health management behavior Cosmetics usage behavior Skin beauty behavior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Perceived seriousness 1
Perceived benefits .491*** 1
Health management behavior .204*** .111** 1
Cosmetics usage behavior .189*** .221*** .377*** 1
Skin beauty behavior .016 -.014 .322*** .423*** 1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197*** .136** .873*** .693*** .664*** 1

** p<.01,

*** p<.001

Table 8.
The effect of the perceived seriousness of COVID-19 health belief on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Sortation Independent variable B β t p R2 F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Constant) 2.535 13.387*** .000 .042 26.446***
Perceived seriousness .24 .205 5.143*** .000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Health management behavior (Constant) 2.214 8.908*** .000 .045 28.363***
Perceived seriousness 0.326 .212 5.326*** .000
Cosmetics usage behavior (Constant) 2.784 13.722*** .000 .037 23.036***
Perceived seriousness .24 .192 4.8*** .000
Skin beauty behavior (Constant) 2.953 10.15 .000 0 .294
Perceived seriousness .039 .022 .522 .588

*** p<.001

Table 9.
The effect of perceived benefits of health belief on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Sortation Independent variable B β t p R2 F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Constant) 2.884 15.645*** .000 .019 11.387**
Perceived benefits .147 .136 3.374** .001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Health management behavior (Constant) 2.852 11.734*** .000 .013 7.845**
Perceived benefits .058 .114 2.801** .005
Cosmetics usage behavior (Constant) 2.715 13.98*** .000 .046 28.919***
Perceived benefits .247 .214 5.378*** .000
Skin beauty behavior (Constant) 3.186 11.385 .000 0 .077
Perceived benefits -.018 -.011 -.011 .782

** p<.01,

*** p<.001

References

Baek, S. W. (2021). Big Data Analysis on Health and Exercise Awareness in the COVID-19 Era.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gang University, Seoul, 2-6.
Cho, S. H. (2021).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School-based Education Program for Coping with Particulate Matter -Application of the Health Belief Model-. Unpublished master's thesis, Education Korea University, Seoul, 86-99.
Chen, Q. Y. (2020). The Effect of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on Perceived Interactions and Quality of Lif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10-11.
Chen, M. A. (2022). A Study of Chinese Potential Tourists' Risk Perception, Behavior Intention on Korean Tourism in the COVID-19 Era -Applying Extended Health Belief Model-.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Management and Sciences, 18(1), 217-241.
crossref
Choi, J. Y. (2020). Effects of Social Risk from Corona19 (COVID-19) on Consumer Psychology and HMR Purchase Patter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oul, 13-14.
Choi, E. (2020). The Case Study on the Change of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Elderly Women Living Alone by Tactil Care in COVID-19.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6(6), 1474-1483.
Do, Y. T., & Sung, Y. (2020). Effects of Corona's Response and Change on Healthcare Tourism and Healthy Life. The Tourism Sciences Society of Korea International Academic Congress, 88(-), 265-269.
Ham, J. H. (2015). Study on Cosmetics Usage Analysis and related Health Belief Model according to Lifesty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67-68.
Hong, D. Y., Jeon, M. A., & Cho, C. H. (2020 Predicting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 in COVID-19 Pandemic Context: Application of Social Variables to Health Belief Model.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1(5), 22-35. doi:10.5392/JKCA.2021.21.05.022.
Hochbaum, G. M. (1958). Public participation in medical screening programs: A socio-psychological study. US Department of Health, Education, and Welfare, Public Health Service, 572(-), 5-18.
Ju, E. L. (2015). A study on the women’s Skin Health Behavior depending on lifestyle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12-13.
Jo, S. E., Shin, H. C., You, S. O., & Roh, H. S. (2012 The Study of Factors Affecting Tuber culosis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s : An Extension of HBM with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Fear. Korean Academic Society for Public Relations, 16(1), 148-177. doi:10.15814/jpr.2012.16.1.148.
crossref
Jo, H. U. (2021). College Student’s Health Prevention Behavior Against Covid 19 : Focused on Health Belief Model. Unpublished master's thesis, Eulji Unviersity, Daejeon, 29-33.
Jeong, H. W. (2014). User Behavior Analysis Design Model Study: Focusing on the healthcare experiences of the 20s and 30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35-37.
Jeong, Y. S. (2017). A Study on Relationship Among Health Belief, Self-efficacy, Exercise Satisfaction and Health-Promoting Behavior : Focused on the case of Fitness Center Memb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Venture University, Seoul, 10-11.
Jang, C. S. (2021). The Effects of Media Campaigns on the Preventive Intentions of COVID-19 as Cues to Action. -An Extension of HBM Based on the Mediating Role of Preventive Efficiency and Moderating Effects of Sham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Seoul, 20-24.
Jeong, Y. J. (2021). Influence of Privacy protection perception in COVID-19 preven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eongju University, Cheongju, 49-50.
Janz, N. K., & Becker, M. H. (1984 The Health Belief Model: A Decade Later. Health Education & Behavior, 11(1), 1-47. doi:10.1177/109019818401100101.
crossref pdf
Kim, J. W. (2017). A Study on the Health Belief Levels and Health Care Behavior -Focusing on the Health Belief Model, HBM.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woon University, Hongseog, 4-6.
Kim, I. O. (2019). The Effect of Female Body Image and Beauty Interest on Beauty Management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sung University, Seoul, 14.
Kim, S. H. (2020). A Study on the Correlations between Psychological Utility of Beauty Care Behavior and the Mitigation of Stress -Based on the Mediated Effect of Psychological Happiness and Body Estee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Chungju, 8-9.
Kim, E. A. (2021). Perception of Health and Aesthetic Care for Geongang Baekse (‘Long and Healthy Life for a Centu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nam University, Daejeon, 4-17.
Kim, I. S. (2021).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s Beauty Management Behaviors and Psychological Happiness after COVID-19.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dustrial Technology Myongji University, Seoul, 2-4.
Kim, N. K. (2021).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Isolation, SNS Addiction Tendency,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University Adaptation among College Students considering Effect of C OVID-19 Pandemic.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ha University Graduate School, Incheon, 13-14.
Kim, H. G. (2022). The effect of health beliefs on the prevention intention of COVID-19 : Verification of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ption of consumption coupon policy and quarantine mitigation policy in overseas countr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gang University, Seoul, 39-40.
Kang, H. J. (2022). Analysis of death preventive effect of COVID-19 vaccines targeting Seoul citizens who were confirmed within 14 days after close contacts with COVID-19 confirmed ca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4.
Lee, B. K., Sohn, Y. K., Lee, S. R., Yun, M. Y., Kim, M. H., & Kim, C. L. (2014 An Efficacy of Social Cognitive Theory to Predict Health Behavior A Meta-Analysis on the Health Belief Model Studies in Korea. Korean Academic Society for Public Relations, 18(2), 163-206. doi:10.15814/jpr.2014.18.2.163.
crossref
Lee, C. H. (2015). The Effect of Locus of Control and Health Belief Model on Hand washing: Expanding Health Belief Model.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4-5.
Lee, J. M. (2017). The Effect of Beauty Health Management Behavior in Middle-Aged Men on Body Attraction Perception, Self-Respect, and Interpersonal Propens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12-17.
Lee, Y. J., & Lee, J. H. (2020 The Effects of Middle-aged Women's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on Physical Respect and Psychological Happines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37(6), 1605-1618. doi:10.12925/jkocs.2020.37.6.1605.
Lee, S. H. (2020). A study on the Scalp Management Behaviors of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l University, Anyang, 5-6.
Lee, J. S., & Eu, H. S. (2021 Health Behavior Intention of Beauty Service Workers to Prevent Corona 19 Infection -Focusing on the Extended Health Belief Model-. Journal of Investigative Cosmetology, 17(1), 93-101. doi:10.15810/jic.2021.17.1.011.
Lee, H. G. (2021).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 of Changing Women's Beauty Management Perception after COVID-19. Unpublished master'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53-55.
Lee, S. Y. (2021). The Effect of New Normal Eating Out Motivation on Consumer Attitude, Satisfaction, and Behavior Intention -The risk perception of the Corona 19 pandemic as a modulating effec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atholic Kwandong University, Gangneung, 36-37.
Lee, J. Y. (2022). Beliefs and Attitudes toward Infectious Diseases Impact on COVID-19 Prevention Behavior: Applying the Health Belief Model (HBM) and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Unpublished master's the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85-87.
Lim, J. J. (2016). The Study of the Fitness Center Space Plan which Applied the Health care Concept.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24-25.
Moon, W. J., & Yang, H. J. (2022). A Study on Influencing Factor of COVID-19 Preventive Behavior for Adult Males and Females in their 20s and 30s Living in Metropolitan Area.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2(4), 609-619.
Nam, J. N., & Kim, M. S. (2021). Status of Use of the Skin Care Room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f Social Risks Caused by Covid-19.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7(6), 1377-1389.
crossref pdf
Park, C. Y. (2002).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osteoporosis Knowledge, Health belief, Self-efficacy, and Bone Mineral Density of Middle aged and Elderly Women in Urban C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en's University, Seoul, 15-16.
Park, M. K. (2013). The Factors Related to Fall Prevention Activities of Emergency Room Nurses Applying a Health Belief Model. Unpublished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Daejeon, 4-5.
Park, S. Y. (2017).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Nutritioneducation Program for Hypertension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atholic University, Bucheon, 40-45.
Park, M. E. (2019). A Study on the Correlations between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 Aesthetic Image and Social and Cultural Attitudes to & Psychological Influence on Appeara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ungsan University, Yangsan, 9-10.
Park, H. S. (2022). A Study on Citizen's Awareness and Reactive Behavior in Infectious Disea se Prevention focused on COVID-19.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sei University, Gunpo, 42-43.
Rosenstock, I. M.. (1974). Historical Origin of the Health Belief Model. In: BeckerM. H., editors. The Health Belief Model and Personal Health Behavior 2(4), p.328-386.
Rimal, R. N., & Real, K. (2003). Understanding the influence of perceived norms on behaviors. Communication Theory, 13(2), 184-203.
crossref
Son, K. M. (2008). Integration of Transtheoretical Model with Health Belief Model to Predict Exercise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Technology, Seoul, 42-43.
Sa, H. W. (2021). COVID-19: Knowledge, Health Beliefs, Anxiety and Preventive Health Behaviors among Nursing Students; A cross-section Study. Unpublished master's thesis, Gongju National University, Gongju, 31-47.
Woo, E. J., & Jeon, Y. J. (2022). Examining the impact of COVID-19 risk perception on tourist behavior: applying Health Belief Model. Academic Society of Event & Convention, 18(1), 247-267.
crossref
Yun, S. R. (2009). A Meaning of the Make-up Behavior and Cosmetic Purchasing Behavior through 20s Working wo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en's University, Seoul, 3-4.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10-2825-6735   Fex: +82-62-950-3797    E-mail: beauty2007@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