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Cosmetol > Volume 27(3); 2021 > Article
온라인 메이크업 수업에 대한 만족도 및 요인 분석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students' satisfaction with online makeup class and its factors in the COVID-19 era, and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 In terms of satisfaction with online clas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y academic major, academic year, experience with online class, and academic credit. Concerning the sub-factors of the online classes, contents, faculty, and system reveal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online classes' satisfaction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other words, as the faculty and contents improved, students were more satisfied with online classes.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academic administration should give the faculty sufficient time to prepare class material and content. Second, it needs to pay attention to the faculty's opinions and quickly build an environment that supports their lectures. Third, there should be alternative plans for academic majors, focusing on training and practice. For example, virtual reality (VR)-based makeup training environments would bring decent educational effects even with the recurrence of epidemics and pandemics in the future.

I. 서 론

2020년 2월 교육부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코로나19)가 세계적으로 확산되자 안정적 학사운영 기반 조성을 위한 방안으로 개강 연기 검토를 권고하기에 이른다(Do, 2020). 이후 대다수의 대학이 개강을 연기하게 되었고, 2020년 3월 15일 기준 국내 4년제 대학 193개교(국공립대 40개교, 사립대 153개교) 중 정상 개강을 하는 학교는 8개교(4.1%), 1주 연기하는 학교는 5개교(2.6%), 2주 연기하는 학교는 156개교(80.8%), 3주 연기하는 학교는 17개교(8.8%), 4주 연기하는 학교는 7개교(3.6%)로 96%가 개강을 연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Korea Private University Presidents' Council, 2020). 그리고 전국 135개 전문대학교 중 111개 학교가 4월 13일 이후로 개강을 연기한것으로 조사되었다(Korea Junior College Education Council, 2020). 또한 대학의 대부분이 학생들의 대면을 최소화하고, 수업결손의 해결을 위해 온라인 수업을 제공하기로 결정하였으나 코로나 19의 감염의 조용한 전파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대학들은 2020년 1학기에 이어 2학기 까지 온라인 수업의 확대를 지속적으로 연장하기에 이르렀다. 교수자는 한 번도 직면해보지 않은 상황에서 단시간 내에 온라인 교육 콘텐츠를 만들어내야 했고, 다루어보지 않던 장비와 전달방식을 습득해야 했으며, 교육의 결과까지 예상하여야 했다. 온라인 수업에 대한 경험이 없는 교수자는 질 높은 수업 자료를 만들기 위한 노력보다 온라인 수업을 설계하고 운영하기 위한 장비를 다루고 익히느라 어려워하는 지경에 이르기도 하였다. 학습자 역시 본인의 전공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강해야 할 교과목이 어떤 방식으로 개설되는지 탐색하고, 교육적 효과가 검증되지 않은 실험실습·실기 교과목의 온라인 수업을 수강해야 했다. 사실 교수자나 학습자 역시 대면 실험실습·실기를 통해 습득하여야 할 내용이 온라인을 통해서 어느 정도 도달되고 성취되고 있는지 그 수준을 명확히 알기 어려웠다. 자격증을 취득해야 하거나 국가고시를 치러야 하는 학과 등 숙련된 실기교육이 중심이 되는 학과인 경우는 대면수업을 필요로 하므로 예체능 과목, 간호보건계열 실습과목, 기술 직업군의 실습과목들은 어려움이 큰 상황에 이르렀다. 그러나 기존 대면 수업에서 온라인 수업으로의 전환 요구는 일시적 현상이 아니라 교육현장에서 지속적으로 요구되었던 문제이다(Do, 2020). 또한 팬데믹(Pandemic) 현상은 미래에 지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므로 본 연구는 학습자들이 대면 수업으로 이루어졌던 교과목의 온라인 수업으로의 전환에 대해 만족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온라인수업 만족도에 대한 연구로는 Baek(2020), Kim(2019) 등의 연구가 있고, 온라인 수업 요인에 대한 연구로는 Do(2020), Bang (2020), Gi(2018), Lyu(20111) 등이 있으나 실험실습·실기가 중심이 되는 미용전공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미용전공은 한국연구재단에서 예체능계열로 분류하였고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에 개설되어 있으며, 인체에 직접 시술을 하므로 실험실습·실기 수업이 매우 중요한 전공이다(Shin & Kim, 2018). 따라서 숙련된 기술력을 확보하기 위해 오랜 시간과 노력을 들여 반복된 훈련을 필요로 하는 만큼 온라인 수업에 대하여 미용을 전공하는 학습자들이 얼마만큼 만족하고 있는지, 어떤 요인과 상관관계가 있는지 밝힐 필요가 있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컬러와 질감 표현을 위해 대면 수업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사료되는 메이크업 수업을 선정하여 온라인 수업에 대한 만족도와 수업 요인을 분석하여 미용전공의 실험실습·실기 중심 수업에서 온라인 수업의 방향을 올바르게 제시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II. 이론적 배경

1. 온라인 수업의 특성

온라인 수업이란 원격교육(Distance Education), 온라인 학습(Online Education), 사이버교육(Cyber Education), 스마트 러닝(SMART-Learning), 이-러닝(E-Learning)등 을 포함하여 다양한 방식의 통신 회선을 통해 실제 교실에서 받는 것과 같이 이루어지는 수업을 일컫는다. 본 연구에서는 초․중등교육법 시행령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원격으로 이루어지는 정보매체를 활용한 모든 수업형태를 온라인수업으로 통일하여 정의하고자 한다. 국내 온라인 교육은 1990년 중반 인터넷의 확산과 함께 사이버 교육이라는 명칭으로 대학과 고등교육을 중심으로 도입되었고(Kwon et al., 2003), 최근 온라인 수업은 비대면 수업상태에서 학생의 학습권을 보장하고 과목 선택권을 보장하기 위한 수업 체제로 정의된다(Jung et al., 2012).
온라인 수업의 가장 큰 특성은 학습의 모든 과정이 가상공간에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극복할 수 있으며, 지역과 수준 또한 그러하므로 균등한 교육의 기회 제공이 가능하다. 언제 어디서나 스마트 디바이스를 가지고 있으면 가정이나 야외에서의 학습도 가능하고, 교실 밖을 넘어 다양한 사람들과 협업이 가능하며, 학습자에게 면대면 수업에서 오는 부담감을 감소시켜주고, 수준별, 자기학습 능력을 향상시키는 긍정적 효과가 있다(Lyu, 2014). 특히 심각한 코로나 상황에서 온라인 수업을 통해서 학습자의 안전을 보호 할 수 있다. 교수자 입장에서는 공개수업이 되기 때문에 부담이 크고, 스마트 기기 활용능력 등 오프라인 수업보다 갖추어야 할 역량이 많아 부담이 되나 수업 기획력 향상에는 도움이 된다. 또한 학교 밖의 자원을 활용하는데 용이하고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수강인원이 소수여도 개설이 되지 않는 불상사를 막을수 있다. 그러나 온라인 수업의 문제점도 적지 않다. 온라인 수업은 정서적 영역과 실천적 영역으로의 접근이 어려워 인성지도, 생활지도를 할 수 없다. 이는 결과적으로 라포(Rapport)형성이 제대로 되는 않는 상태가 되어 의사소통, 대인관계에 문제가 된다(Lee & Kwak, 2014). 또한 온라인 수업의 학습효과가 빛을 발하려면 맞춤형 지도가 필요하나 현실적으로 다수의 학생을 개별 지도하며 피드백 한다는 것이 쉽지 않다. 마지막으로 실습이 중심인 과목인 경우에는 교수자가 실습내용을 보여주기는 가능하나 학습자의 실습결과물에 대해 교수자가 보고 피드백 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기에 교과 목표를 달성하기가 힘들다. 눈으로 보는 것과 실제 해보는 것과는 많은 차이가 있으며 스마트 폰이나 PC에 따라 컬러감, 질감 등이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이다.
온라인 수업 체제의 구축은 기술적 문제와 예산 문제, 저작권과 초상권 문제 등이 있다. 또한 온라인 수업의 장점이 많은 대신 단점과 보완해 나아야 할 문제도 많기 때문에 온라인과 대면 수업의 혼합형 수업인 블랜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이 대안으로 등장하였다. 온라인 수업이 갖는 교육적 의의는 학습자 중심의 능동적 학습, 시공간 초월 학습, 다양한 멀티미디어 학습 자료의 활용, 다양한 상호작용, 효율적 학습 비용, 지속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평생교육의 제공이다. 따라서 온라인수업은 개별화되고 탄력적이며 평생 학습을 지원한다.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K대학교 미용관련학과 여학생 중 메이크업 관련 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본 연구에 대하여 충분한 설명을 듣고 자발적으로 참여하기로 동의한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K대학교는 2020년 1학기에 온라인 동영상 수업과 대면 수업을 혼합하여 메이크업을 포함한 실습수업을 진행하였고, 2학기에도 온라인 동영상 수업과 대면 수업을 혼합하여 수업을 실시하였다. 1주부터 8주까지 동영상 수업을 실시하였고, 9주부터 15주까지 대면수업을 실시 하였다.
온라인 동영상은 교수자가 메이크업 실습 내용을 녹화하여 업로드하는 방식이며, 수업 후 글쓰기 활동으로 수업내용을 요약하여 정리하도록 하고 LMS 내 토의방과 카카오 단체 채팅방을 활용하여 질의․응답하도록 하였다. 교육부에서 규정하는 시간 및 동영상 품질과 집중도를 고려하여 25분 분량으로 3개 동영상을 제작하여 제공하였다. 실시간 수업을 활용하지 않은 이유는 반복 학습이 불가능하여 실기 연습에 동영상 수업의 활용도가 더 높다는 사전 조사 결과를 반영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11월 이후 코로나19 밀접 접촉자가 생겨남에 따라 출석하지 못하고 자가 격리하는 학습자를 위하여 대면 수업을 하는 강의실에서 줌(Zoom)을 활용한 실시간 화상 수업을 병행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1학년이 수강한 교과목은 ‘메이크업’, 2학년이 수강한 교과목은 ‘응용메이크업, ‘3학년이 수강한 교과목은 ‘미디어메이크업’, 4학년이 수강한 교과목은 ‘살롱 메이크업’이며, 모두 전임교수가 담당한 교과목이다. 14주와 15주 수업이 진행되는 11월 30일부터 12월 11일까지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총 14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이 중 불성실하거나 잘못된 20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120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2. 설문의 구성

본 연구를 위하여 구성한 설문지는 다음과 같다. 온라인 수업 만족도 관련 6문항과 온라인 수업요인 중 콘텐츠 요인 6문항은 Park(2020)의 연구를 참고로 하였고, 교수자 요인 7문항은 Kim(2019)의 연구를 참고하였으며, 시스템 요인 5문항은 Kim (2019)의 연구를 참고로 총 24문항을 구성하였다. 일반적 특성인 전공, 학년, 온라인 수업 경험 여부, 성적 4문항은 본 연구자가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구성하였다.

3. 자료분석방법

수집된 자료와 통계처리는 SPSS ver.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측정도구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계수를 산출하였다. 셋째, 온라인 수업 요인 및 만족도에 대해 알아보고,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 및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정 방법으로는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넷째, 각 변수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온라인 수업요인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분석결과 전공은 메이크업&네일 미용 66명(55.0%), 헤어미용 36명(30.0%), 피부미용 18명(15.0%)으로 나타났고, 학년은 1학년 30명(25.0%), 2학년 32명(26.7%), 3학년 29명(24.2%), 4학년 32명(26.7%)으로 나타났다. 2020년 1학기 이전 온라인 수업 경험여부는 유 44명 (36.7%), 무 76명(63.3%)으로 나타났고, 학점은 3.0 미만 21명(17.5%), 3.0-3.5 미만 40명(33.3%), 3.5-4.0 미만 40명(33.3%),4.0 이상 19명(15.8%)으로 나타났다.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vey subjects
Classification Frequency(N) Percent(%)
Major Skin Care 18 15.0
Hair 36 30.0
Makeup & Nail 66 55.0
Grade 1 30 25.0
2 32 26.7
3 29 24.2
4 29 24.2
Whether you have experienced online classes before the first semester of 2020 Yes 44 36.7
No 76 63.3
Grades 4.0 or higher 19 15.8
less than 3.5-4.0 40 33.3
less than 3.0-3.5 40 33.3
less than 3.0 21 17.5
Total 120 100.0

2.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1) 온라인 수업 요인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온라인 수업 요인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결과는 Table 2와 같다. 분석결과 총 3개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3개의 요인들에 의해 설명되는 총 분산설명력은 65.025%로 나타났다. 추출된 각 요인의 설명력을 살펴보면 요인 1(24.975%)은‘교수자’로 명명하였고, 요인 2(21.536%)는 ‘콘텐츠’로 명명하였으며, 요인 3(18.514%)은 ‘시스템’으로 명명하였다. 이 3개의 요인 적재 값이 ±0.40 이상으로 나타나 추출된 요인들의 타당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볼 수 있고, 신뢰도 또한 0.60 이상으로 나타나 신뢰할만한 수준인 것으로 볼 수 있다.
Table 2.
Validation and reliability of online class satisfaction
Question Ingredient
Instructor Content System
11. The professor repeated problems or questions about the contents of the class. .865 .218 .150
9. The professor guides the learning process in an easy-to-understand manner. .837 .179 .111
10. The professor showed a demonstration of practical skills so that he could perform the task well. .805 .273 .172
12. There was sufficient guidance on learning. .737 .229 .145
7. You can get the answers you want when you ask your professor a question. .688 .366 .170
13. Even online classes were interactive. .639 .216 .352
8. The professor manages my learning situation. .636 .238 .326
2. The learning goals of the online class were presented. .291 .803 .028
1. The first session of the online class is appropriate. .182 .800 .021
4. The online class content was structured systematically. .172 .766 .160
5. The online class content was what I expected. .291 .732 .244
3. Online class materials are interesting. .282 .694 .151
6. Online class materials help me improve my skills. .193 .665 .324
17. LMS did not have any difficulties in proceeding with the learning. .159 .113 .833
18. The guidance on the online learning method was clear. .265 .184 .762
16. It is programmed to facilitate interaction such as bulletin boards and notes. .011 .206 .759
15. When there is a problem with the LMS, it is quickly restored. .188 .066 .715
14. LMS is easy to use. .301 .096 .642
Eigenvalue 4.495 3.877 3.333
Variance Description(%) 24.975 21.536 18.514
Accumulated Description(%) 24.975 46.511 65.025
Cronbach's α .911 .878 .837
KMO=.878, Bartlett's test χ2=1364.101 (df=153, p=.000)

2)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결과는 Table 3과 같다. 분석결과 총 1개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1개의 요인들에 의해 설명되는 총 분산설명력은 70.271%로 나타났다. 추출된 각 요인의 설명력을 살펴보면 요인 1(70.271%)은‘온라인 수업 만족도’로 명명하였다. 이 1개의 요인 적재 값이±0.40 이상으로 나타나 추출된 요인들의 타당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볼 수 있고, 신뢰도 또한 0.60 이상으로 나타나 신뢰할만한 수준인 것으로 볼 수 있다.
Table 3.
Validation and reliability of online class satisfaction
Question Ingredient
Online Class Satisfaction
3. My self-confidence improved through online Makeup classes. .885
4. Overall, I am satisfied with the online Makeup class. .870
2. Online Makeup classes are interesting. .839
5. I feel that I am constantly growing through online Makeup classes. .839
1. Online Makeup classes are easy to understand. .810
6. I would recommend this class to others as well. .783
Eigenvalue 4.216
Variance Description(%) 70.271
Accumulated Description(%) 70.271
Cronbach's α .914
KMO=.896, Bartlett's test χ2=463.925 (df=15, p=0.000)

3. 온라인 수업 요인 및 만족도

1) 온라인 수업 요인

온라인 수업 요인에 대해 분석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볼 때, ‘교수자’(M=4.07)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콘텐츠’(M=4.03), ‘시스템'(M=3.20)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온라인 수업 요인은 평균 3.81점으로 나타났다.
Table 4.
Online class factors
Classification Online Class Factors
Total

Content

Instructor

System
M SD M SD M SD M SD
Major Skin Care 4.01 .406 4.00 .539 3.26 .772 3.80 .471
Hair 3.96 .614 4.06 .597 3.33 .784 3.82 .589
Makeup & Nail
4.07
.618
4.10
.676
3.11
.774
3.81
.538
F-value(p) .412(.663) .167(.847) 1.029(.361) .016(.984)
Grade 1 3.92 .539 4.01 .627 3.31 .725 3.79 .569
2 4.14 .634 4.12 .704 3.24 .771 3.88 .603
3 3.95 .593 3.98 .687 3.04 .993 3.71 .575
4
4.10
.577
4.17
.485
3.19
.577
3.87
.387
F-value(p) 1.029(.382) .582(.628) .636(.594) .667(.574)
Whether you have experienced online classes before the first semester of 2020 Yes 4.08 .659 4.12 .653 2.91 .761 3.77 .526
No
4.00
.544
4.04
.619
3.37
.740
3.84
.550
t-value(p) .715(.477) .659(.511) -3.224∗∗(.002) -.666(.507)
Grades 4.0 or higher 4.03 .729 4.34 .623 3.29 .671 3.94 .597
less than 3.5-4.0 4.08 .531 4.10 .672 3.09 .830 3.81 .525
less than 3.0-3.5 4.03 .594 4.02 .593 3.21 .808 3.80 .535
less than 3.0
3.93
.569
3.86
.568
3.30
.723
3.73
.542
F-value(p) .296(.828) 2.124(.101) .483(.695) .558(.644)
Total 4.03 .588 4.07 .630 3.20 .777 3.81 .540

∗∗ p<.01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2020년 1학기 이전 온라인 수업 경험여부에 따라서는 온라인 수업 요인의 하위요인별 시스템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1), 2020년 1학기 이전 온라인 수업 경험이 없는 경우(M=3.37), 온라인 수업 경험이 있는 경우(M=2.91)에 비해 상대적으로 시스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자 요인이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은 Park(2020)의 연구와 일치하였으며, 이는 교수자의 수준이 학습자의 수준과 관계를 높인다는 Kim & Kim(2014)의 연구와 관련이 깊다. 또한 2020년 1학기 이전에 온라인 수업 경험이 없는 경우, 온라인 수업이 있는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시스템 인식이 높게 나타난 것은 교양수업 등을 통해 온라인 수업 경험을 한 학생은 이전보다 나은 시스템 환경을 기대하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라고 사료된다. 이 외에 전공, 학년, 학점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2) 온라인 수업 만족도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대해 분석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분석결과 전반적인 온라인 수업 만족도는 평균 3.67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전공, 학년, 2020년 1학기 이전 온라인 수업 경험여부, 학점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이는 대학생들이 학교에서 수강하는 온라인 동영상 수업이외에도 온라인 동영상이라는 매체에 익숙한 이유 때문인것으로 사료된다. Lim & Lee(2019)에 따르면 1990년대 중반에서 2000년대 초반에 출생한 Z세대인 대학생 학습자들은 어린 연령부터 다양한 동영상에 노출된 세대로써 이미 초․중등교육을 통해 온라인 교육을 다방면으로 활용한 경험이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도 알 수 있듯이 온라인 수업이 새로운 교육방법으로 여겨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거부감이나 어려움이 크지 않다고 해서 교육의 성과로 바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곧 학습 환경의 익숙함이 학습 성취도를 높이는 것은 아니라는 Oh(2018)의 연구를 뒷받침해주고 있다. 또한 학습자가 실제 성실하게 학습에 참여했는지를 교수자가 확인할 수 없고 명확한 피드백이 가능하다고 볼 수 없어 시험 및 과제의 결과만으로 수업의 목적을 달성했다고 볼 수 있는지 고민하게 되는 부분이다. Yang(2020)의 연구에서는 성적이 좋은 학습자일수록 온라인 학습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지는 결과를 얻었고, 성적이 좋지 않은 학습자일수록 오프라인 수업을 선호하나 오프라인과 비교했을 때에 성적이 낮은 학습자가 온라인을 선호하는 것으로 보아 온라인 수업의 장점인 다시보기와 멈춤 기능이 학업성취도 향상에 기여하는지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able 5.
Online class satisfaction
Classification (M) (SD) t/F-value p
Major Skin Care 3.47 .421 2.189 .117
Hair 3.53 .811
Makeup & Nail 3.79 .749
Grade 1 3.53 .675 1.652 .181
2 3.77 .853
3 3.51 .723
4 3.85 .649
Whether you have experienced online classes before the first semester of 2020 Yes 3.82 .643 1.741 .084
No 3.58 .779
Grades 4.0 or higher 3.92 .896 1.262 .291
less than 3.5-4.0 3.64 .706
less than 3.0-3.5 3.53 .764
less than 3.0 3.73 .554
Total 3.67 .738  

4. 상관관계 분석

각 변수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분석결과 온라인 수업 요인의 하위요인별 콘텐츠(r=.622, p<.001), 교수자(r=.531, p<.001), 시스템(r=.343, p<.001)은 온라인 수업 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나타났다. 이는 콘텐츠, 교수자에 대한 만족감, 시스템에 대해 긍정적일수록 온라인 수업에서의 학습 성취가 높다는 Lee (2012)의 연구와 일치한다. 물론 이는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이바탕이 되었을 때 해당되는 일이다.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이 있는 학습자는 자신의 학습에 대해 책임감을 갖고 학습에 대한 내재적 동기를 지닌다는 Han & Kim(2020)의 연구와 관계가있다. 온라인 수업이 긍정적인 효과를 얻으려면 능동적인 학습자의 참여와 인지작용을 이끌어내야 하기 때문이며, 온라인 공간에서 학습 성취도와 몰입은 학습에 대한 전반적인 자율성이 좌우한다하여도 과언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는 자기주도성과 진로역량의 관련성이 높다는 Jung(2016)의 연구와 상관이 있는것으로 볼 수 있겠다.
Table 6.
Technical statistics and correlation verification
Classification Online Class Factors Online Class Satisfaction
Content Instructor System
Content 1      
Instructor .603∗∗∗ 1    
System .422∗∗∗ .502∗∗∗ 1  
Online Class Satisfaction .622∗∗∗ .531∗∗∗ .343∗∗∗ 1

∗∗∗ p<.001

5. 온라인 수업 요인이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온라인 수업 요인이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분석결과 설명력(R2)은 42.6%로 나타났으며 F값은 28.677(p=0.000)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독립변수별로는 온라인 수업 요인의 하위요인별 콘텐츠(β=.470, p<.001), 교수자(β=.233, p<.05)가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로 볼 때, 온라인 수업 요인의 하위요인별 콘텐츠, 교수자가 높아지면 온라인 수업 만족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콘텐츠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이 높으면 온라인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다는 Kim(2019)의 연구와 일치하며, 교수 실재감의 하위요인인 수업의 체계적 실행, 의사소통촉진, 학습 촉진 및 점검, 교수자의 존재감과 학습 몰입 및 수업 만족도와 상관관계에 있다는 Lee(2014)의 연구와 관련이 깊다. 교수자는 학습자의 학업 및 학교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다른 환경적 요인에 우선하며 학습자로 하여금 삶의 목표를 형성하도록 하고 학습자 스스로 학습 환경을 통제하는 결정권을 부여하도록 도울 수 있다(Kim & Kim, 2014). 즉 교수자는 학습자에게 지지자와 동기부여자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는 것이다(Davis, 2003).
Table 7.
The Influence of Online Class Factors on Online Class Satisfaction
Classification No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ed coefficient t p F R2 (Adj.R2)
B S.E β
Content
.092 .391   .234 .815 28.677∗∗∗ .426 (.411)
Instructor
.591 .112 .470 5.250∗∗∗ .000
Instructor
.273 .110 .233 2.482 .015
System
.026 .078 .028 .334 .739
Dependent variable: Online Class Satisfaction

p<.05

∗∗∗ p<.001

V. 결 론

코로나 19사태와 같은 팬데믹은 강의실이 아닌 곳에서의 학습 환경과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학습 방법을 요구하였고, 실험실습·실기 중심인 미용전공도 예외가 될 수는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코로나 19사태로 변화를 맞은 교육환경에 적응해야 하는 상황에서 실험실습·실기 수업이 주가 되는 미용전공 중특히 컬러와 질감 표현이 중심이 되는 메이크업 수업을 선정하여 온라인 수업에 대한 만족도와 수업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온라인 수업의 만족도는 전공이나 학년, 온라인 수업의 경험여부, 학점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대학생 학습자들이 이미 다양한 온라인 학습에 노출되었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그리고 온라인 수업 요인의 하위요인별 콘텐츠, 교수자, 시스템은 온라인 수업 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온라인 학습 환경에 도입되어야 할 교육원리라고 볼 수 있겠다. 온라인 수업요인의 하위요인별 콘텐츠, 교수자가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온라인 수업 요인의 하위요인별 콘텐츠, 교수자가 높아지면 온라인수업 만족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콘텐츠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이 높으면 온라인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고, 교수자의 존재감과 학습 몰입 및 수업 만족도와 상관관계에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온라인 수업에 대한 방향을 몇 가지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은 교수자가 수업의 목적달성을 위한 수업도구를 개발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제공해야 하겠다. 온라인 수업에 대한 수요 증가에 발맞추는 것도 중요하나 이번 코로나 사태와 같이 불가항력으로 변화하는 교육환경이 학습의 질을 얼마나 하락시킬 수 있는지 간과해서는 아니 되기에 콘텐츠를 준비하고 교수자와 학습자가 수업의 수준, 내용 등을 정하고, 의사소통할 시간을 충분히 제공해야 한다. 둘째, 어떤 교수자에게는 장애물로 여겨지는 요인이 다른 교수자에게는 장애물로 여겨지지 않는 경우가 있으므로 다양한 연수 등을 통하여 온라인 수업 방법, 온라인 수업 평가방법 등을 공유하고 개발한다면 성공적인 온라인 수업 콘텐츠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대학은 의사결정에서 교수자의 의견을 경청하고 필요한 수업 플랫폼을 파악하며 교수자의 수업을 지원하는 환경을 빠르게 구축하여야 한다. 온라인 수업으로의 빠른 전환과 성공적인 수업 설계는 교수자의 몫이나 온라인 수업의 운영환경은 대학이 구축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학사규정, 온라인 수강인원 등 매우 중요하고 현실적인 문제들에서 교수자는 배제되는 것이 현실이므로 온라인 수업설계와 관련된 장애물을 사전에 대비하고 파악할 수 있도록 교수자의 의견을 경청하여야 한다. 넷째, 본 연구의 대상이 되었던 메이크업 수업과 같이 실험실습·실기가 중심이 되는 전공에 대한 대안도 필요하다. 컬러나 질감이 그대로 표현이 되는 모니터 환경, 가상현실(VR)을 활용한 메이크업 실습 환경이 구축된다면 코로나 19사태와 같은 팬데믹 현상이 미래에 재발한다고 하더라도 교육적 효과를 지속적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K대학교 미용관련학과에 재학 중이며 메이크업 관련 수업을 수강한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미용전공 온라인 수업에 대한 전체적인 만족도를 확인하고 온라인 수업의 요인을 모두 분석했다고 일반화시킬 수는 없을 것이므로 추후 연구에서는 보다 광범위한 연구로 진행하여야 할 것이다.

References

Association of Presidents of Private Universities in Korea (2020). The status of academic operation after the start of the university due to COVID-19.
Baek, I. Y. (2020).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college students about online classes. Journal of the Japanese Language Research Society, 52:59-74.
Bang, I. J. (2020). Narrative of a university professor's online class operation experience. Journal of Narrative and Education Research, 203-232.
Davis, H. A. (2003). Conceptualizing the role and influence of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on children's social and cognitive development. Educational Psychologist, 38(4), 207-234.
crossref
Do, J. W. (2020). Exploration of design obstacles that occur in the process of converting face-to-face classes to online classes. Journal of Education and Culture Research, 26(2), 157-173.
Han, M. S., & Kim, S. H. (2020). The effect of self-direction of femal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o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esthetics, 26(2), 420-430.
Jun, K. H., Noh, K. H., Seo, S. S., Kang, S. K., Jung, Y. S., Kang, M. S., Lee, S. J., Park, J. H., Shin, M. Y., Han, H. S., Park, Y. R., & Son, M. J.. (2012). 2012 Online Class Operation Guideline Development Research Daegu,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Kwon, S. H., Choi, I. H., Sim, H. E., Lee, S. J., Kim, K. H., & Jang, S. H. (2003). Development of cyber home learning system construction model. Education Information Media Research, 9(4), 117-145.
Ki, Y. J. (2019). SNS-based online class study for self-directed art practical learning, Master's thesis at Kookm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115-116.
Kim, D. S., & Lee, M. H. (2019). Higher education professors' perception of online education: Focusing on University A. Journal of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Education Research Society, 19(3), 845-867.
Kim, E. H. (2019).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lass quality, teacher intervention, and team activity on learning satisfaction in a flipped learning environment-Focused on practical education in beauty subjects-, Konkuk University graduate school doctoral thesis, 115-118.
Kim, J. B., & Kim, J. Y. (2014). Effect of teacher-student perception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 on students' understanding of class: with the background of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students' peer and parental trust. Journal of the Korean Teacher Education Research Society, 31(3), 245-267.
Kim, S. E. (2019). The effect of online class quality on perceived usefulness, learning immers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a flipped learning environment, Konkuk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55-56.
Korea Junior College Education Association (2020). Practical class, I have to face-to-face, http://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227678.
Lee, E. J. (2012). A study on clustering according to changes and types of learners' perceptions of obstacles in online classes. Journal of Educational Engineering Research., 28(3), 559-585.
Lee, S. J., & Gwak, G. J. (2014). The effect of interviewer's rapport formation pattern, time required, and children's usual anxiety level on event memory. Journal of Human Development Research, 21(2), 133-157.
Lee, S. N. (2014). A study on factors related to faculty presence and social presence that affect learning immersion in cyber university online learning, Sookmyung Women's University Distance Learning Master's thesis, 31-39.
Lyu, D. Y. (2014). A study on how to use e-learning to improve English writing skill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Research, 12(1), 51-60.
Oh, E. J. (2018). A study on how to improve learning achievement in a cyber education environment. Journal of the Arts, Humanities and Social Convergence Multimedia Society, 8(11), 781-789.
Park, H. J. (2020). An analysis of learner satisfaction with online elementary school regular English classes, Gacho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Thesis, 62-66.
Shin, S. R., & Kim, S. H. (2018). Changes in oil and moisture of the skin before and after using Spirit Gum and Latex among special makeup materia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keup Design, 24(1), 47-54.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10-2825-6735   Fex: +82-62-950-3797    E-mail: beauty2007@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