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사회 한국의 미용복지 제도 도입을 위한 이론적 고찰

A Theoretical Study for the Introduction of Beauty Welfare System in Korea, Aging Society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Cosmetol. 2022;28(1):165-171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2 February 28
doi : https://doi.org/10.52660/JKSC.2022.28.1.165
1CEO, YAKSONMYUNGGA, Co. Ltd
2Professor, Dept. of Beauty & Cosmetic Science, Eulji University
김현숙1, 신규옥2,
1약손명가, 대표
2을지대학교 미용화장품과학과, 교수
*Corresponding author: Kyu-Ok Shin Tel : +82-31-740-7187 E-mail : rayna@eulji.ac.kr
Received 2022 January 17; Revised 2022 February 9; Accepted 2022 February 18.

Trans Abstract

This study is a literature review for the introduction of the beauty welfare system in Korea which has entered an aging society. Korea is the fastest aging country among OECD countries, and has many social problems such as poverty and suicide of the elderly. A beauty welfare system is needed to raise the depression, self-esteem, and social skills of these elderly people,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We searched for papers related to beauty welfare published in four major academic journals in the field of beauty over the past decade and selected advanced cases ffor the introduction of the beauty welfare system in Korea. First, we propose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the concept of beauty welfare in Korea, which is still ambiguous. In addition, Japan's beauty welfare system and professional training education, which faced an aging society ahead of Korea, were summarized and presented. Lastly, the papers written on the topic of beauty welfare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and they were largely divided into emotional and institutional aspects. In Korea, which has many problems with the elderly, it is very important to introduce a beauty welfare system and to train professional beauty welfare workers. This study is intend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setting the direction of research on beauty welfare in Korea and introducing the beauty welfare system.

I. 서론

고령화는 세계적인 사회문제로 2021년 통계청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고령인구 비율은 16.6%로 집계되었다(Statistics Korea, 2021). 우리나라는 2000년 고령화사회 진입 후 2017년에 14.2%로 고령사회에 진입하여(Statistics Korea, 2021) OECD 국가들 중 가장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 중이다. 일례로 일본은 1970년 고령화사회로 들어선 이후 1994년 고령사회가 되기까지 24년이 소요되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고령화사회에서 고령사회로 발달하는데 17년으로 일본보다도 7년이 빠른 수치이다(Jung, 2016).

이러한 우리나라의 급격한 고령화 추세는 여러 사회적 문제의 대두로 이어지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 노인의 빈곤율 및 자살율은 OECD 국가 중 가장 높다(Statistics Korea, 2021). 경제적 어려움 외에도 기대수명 증가로 인한 노인인구 증가는 고령자의 신체적, 인지적 기능의 약화 및 죽음과 병에 대한 공포, 생활 의욕감퇴, 우울, 절망감 등의 정서적 불안을 야기한다(Kang, 2017). 이에 따라 고령인구에 대한 삶의 질 향상과 건강 관련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사회 복지 전 분야에 걸쳐 노인문제의 해결책이 모색되고 있다. 미용 분야 다수의 연구에서도 노인의 외모관리 행동이 낮은 자존감이나 우울증을 해소하고 사회적 기술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나(Park, 2006; Park et al., 2013), 고령인구의 신체적·인지적 건강과 정서적 안정, 삶의질 향상을 위한 미용건강프로그램 개발 및 미용복지에 대한 연구와 실천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고령인구를 위한 미용 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노인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는 미용복지 현황(Jung, 2016), 그리고 미용 복지서비스의 수요와 만족도에 대한 연구(Lee & Rhie, 2020) 등으로 개인이나 봉사단체 중심의 사회봉사, 재능기부 등을 통한 정서적 효과면에서의 미용 복지 연구가 다수 진행되었다. 다만 Park(2018)의 연구에서처럼 국가 차원에서의 미용복지를 제도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이나 미용복지분야의 전문인력 양성 등에 관한 실제적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령화시대 많은 사회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사회복지차원, 특히 미용분야의 중재요법으로 미용복지를 제도적으로 도입할 수 있도록 지난 10여년 간 우리나라에서 진행된 학술 연구들을 참고하여 이론적 토대를 세우고 이를 통한 전문인력 양성 방안 등을 모색하고자 한다.

II. 이론적 배경

1. 고령화 추세

UN의 인구학적 기준에 따르면 고령화율이 7%를 넘으면 고령화사회(Aging society), 14%를 넘으면 고령사회(Aged society), 20%를 넘으면 초고령사회(Super-agedsociety)로 구분되며, 한국은 2000년 고령화사회 진입 후 2017년에 14.2%로 고령사회에 진입하였다(Statistics Korea, 2021).

고령화(高齡化)란, ‘평균수명의 증가에 따라 총인구 중에 차지하는 고령자(노인)의 인구비율이 점차로 많아지는 사회현상’으로 정의되며, 우리나라는 산업화·도시화·현대화로 인한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국민의 평균수명이 늘어나 노인인구의 절대 수가 증가되었다(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고령화 추세는 2018년 전 세계 인구 중 65세 이상 고령 인구가 5세 미만 유아 인구를 처음으로 추월하여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 현상에 대한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등의 문제가 고조되었다. 세계 다른 나라의 고령화와 비교하여 한국은 고령화 속도가 기하급수적으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한국경제연구소에 따르면 최근 10년간(2011~2020년) 한국의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매년 29만명씩 연평균 4.4%가 증가했는데(Fig. 1), 이는 평균 증가율의 1.7배로 OECD 국가들 중 가장 빠른 속도이다 (Chosun Biz).

Fig. 1.

The annual average growth rate of the OECD elderly population (from 2000 to 2021)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은 1983년 인구대체수준(2.1명) 이하로 떨어진 이후 40년 간, 전 세계에서 유례없이 빠른 속도로 감소하고 있으며, 2019년에 낮은 합계출산율(0.92명)과 높은 기대 수명(83.3세)으로 인해 고령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Statistics Korea, 2021). 또한 우리나라의 고령 인구 비중은 계속 증가하여 25년에는 20.3%로 초고령 사회에 진입하고, 36년에는 30.5%, 60년에는 43.9%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급격한 고령인구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는 고령인구에 대한 사회 보장 제도의 정책이 미흡한 실정이다.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둔 우리나라는 고령인구에 대한 사회적 보장제도와 고령인구의 정신적, 신체적 건강 유지를 위한 의료정책 및 고령인구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다양한 복지프로그램 등을 시급하게 다루어야 할 것이다.

2. 미용과 노인복지

미용의 사전적 의미는 ‘아름다운 얼굴’, 또는 ‘얼굴이나 머리를 아름답게 매만짐. 아름답게 보이려고 입욕·마사지·미용 체조·성형 수술 따위의 방법을 쓰기도 함’.이라는 뜻을 가진다 (Korean Standard Unabridged Dictionary). 한편 복지는 ‘행복한 삶’이라는 사전적 의미로(National Academy of Korean Language, 2021) 케어(Care)는 현대 노인복지에서 빼놓을 수 없는 개념으로 ‘시중, 돌봄, 간호, 보호’의 뜻으로 사용되고 있다(Jung, 2016). 공중위생관리법에 따르면 미용업은 ‘손님의 얼굴, 머리, 피부 및 손톱·발톱 등을 손질하여 손님의 외모를 아름답게 꾸미는 영업’으로 일반미용업과 피부미용업, 네일미용업, 화장미용업을 말한다(Korean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21).

한편 노인은 노년층을 지칭하는 말로 ‘시니어(senior)’, ‘고령자’, ‘실버 세대’ 등 다양한 용어로 명칭하고 있으며(Jung, 2016), 사전적 의미는 ‘나이가 들어 늙은 사람’(National Academy of Korean Language, 2021)이며, 노인복지법에 의하면 노인의 기준은 65세 이상의 자로 규정하고 생업지원, 경로우대, 건강진단 등 다양한 복지지원을 법제화하고 있다(The Welfare of the Aged Act).

우리나라의 노인복지법을 살펴보면 ‘노인의 질환을 사전예방 또는 조기 발견하고 질환 상태에 따른 적절한 치료·요양으로 심신의 건강을 유지하고, 노후 생활 안정을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강구함으로써 노인의 보건복지증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고 제시되어 있다(Korean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신체적 매력은 행복, 자신감, 사회적 성과와 같은 요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노인의 경우 외모 관리 행동이 정신적 스트레스를 완화하고(Kligman & Graham, 1986) 우울증, 자존감, 사회적 기술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Park, 2006; Park et al., 2013). 또한 노인 여성의 자가 피부관리는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에서 매우 긍정적인 요소로(Park, 2012), 외모 개선 측면에서 특히 노인들에게 심리적 정신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진다. 현대 노인세대는 경제적 여유와 시간적인 여유가 많아지면서 자기 존재감을 중요시함에 따라 삶의 질을 향상하는 것에 관심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II. 내용 및 방법

본 연구는 지난 10여년간 미용복지 제도 도입을 위한 주요 연구들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미용 전공, 사회복지 전공 대학교수 4인에게 미용복지 연구의 가이드라인에 대한 자문을 거쳤다. 기존 문헌과 선행연구를 분석하기 위하여 ‘미용 복지’, ‘Beauty Welfare’, ‘미용봉사’, ‘노인+미용서비스’, ‘노인 + 미용교육’을 주제어로 ‘한국미용학회’.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대한미용학회’,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등 미용분야 주요 4개 학술지를 검색하였다. 또한 DBpia, Riss, 국회도서관 등 검색시스템을 활용하여 190여 편의 학위논문과 학술지를 찾았으며 주제에 가장 부합한 30여 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미용복지에 대한 세부 고찰을 위해 특히 일본의 미용복지제도를 토대로 미용복지의 개념, 미용복지 전문인력의 양성방안, 그리고 최근 10여년간 진행된 국내의 미용복지연구의 특성으로 분류하여 분석 고찰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제도화를 위한 미용복지의 개념 정의

한국의 미용복지제도 도입을 위해 가장 시급한 것은 미용복지에 대한 개념 정의이나, 현재 우리나라에서 미용복지에 대한 정확한 개념은 아직 협의되지 못 했다. 학술적으로 우리나라에서 미용복지의 개념을 처음 언급한 것은 Won et al.(2009)의 연구에서 찾을 수 있다. Won et al.(2009)는 미용복지란 ‘인간의 외모를 아름답게 가꾸는 예술적이고 응용과학인 미용을 통해 인간이 누릴 수 있는 최상의 복된 상태를 누릴 수 있도록 하는 행위’로 정의하였다. 다시 말해 미용복지는 미용(Bauty)과 케어 (Care) 개념으로 모든 사람이 아름답고 풍부하고 여유가 있는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하였다. 최근 10여년간 노인 미용복지 차원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대부분의 논문에서 Won et al.(2009)의 정의를 인용하여 개념화하고 있다.

한편 소수 의견으로 Park & Do(2018)의 연구에서 미용복지란 ‘법이 정하고 있는 미용업무의 범위 내에서 미용 행위를 통하여 인간이 누릴 수 있는 내·외적으로 윤택한 삶을 살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라 정의되었다. 연구자들은 법이 정하는 미용의 업무 범위가 시대에 따라질 것을 전제로, 미용복지의 개념도 때에 따라 변화 가능한 동적 접근에서 정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미용복지의 학술적 토대는 일본의 ‘개호(介護)’에서 찾을 수 있다. 일본에서 1963년에 제정된 노인복지법 하에 개호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는데(Park, 2021) 개호는 케어(care) 를 일본 발음으로 고치는 과정에서 ‘개입하여 돕는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케어(care)의 사전적 의미는 ‘돌봄이나 보살핌, 조심, 주의, 상관하다, 관심을 가지다’라는 의미로, 일본의 개호 또한 단순 일상생활의 지원과 더불어 사회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Jung, 2016). 이를 토대로 일본의 미용복지제도 도입과 인력 양성 시스템을 살펴보는 것은 한국의 미용복지 제도 도입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2. 일본의 미용복지 제도 및 전문인력 양성

1) 일본의 미용복지제도 도입

일본의 미용복지제도는 고령화로 인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미용복지사 자격 시행으로 도입되었다(Fig. 2). 일본은 1987년 간호 보험법을 제정하고 이를 통하여 케어 전문 인력에 관한 제도로 ‘사회복지사 및 개호복지사법’을 재정하여 국가자격으로 제도화시켰다. 이 법을 근거로 개호복지사는 복지전문직 국가자격(Kong, 2014)이 되었다. 특히 개호복지서비스 행정 중 하나인 미용복지사(美容福祉士)는 주로 지역포괄케어시스템 하에서 노인이나 질병․장애 등으로 미용실에 방문할 수 없는 사람, 시설에 있는 노인, 요양 중인 사람 또는 간호가 필요한 사람들에 대해 방문미용서비스를 하고 있다(Choi et al., 2018). 결과적으로 미용복지사는 미용사법에 근거한 미용사 자격증과 사회복지사 및 개호복지사법에 근거하는 자격을 가진 사람으로 간호의 기술을 가진 미용사를 미용복지사라 칭한다 (Jung, 2016). 미용복지사가 되기 위해서는 NPO(NonProfit Organization)나 후생 노동성 인정 협회가 발행하는 복지미용간호사 자격이 필요하다.

Fig. 2.

Beauty welfare methodology in Japan

2) 일본의 미용복지 전문인력 양성 교육

이미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일본은 고령인구에 대한 미용복지관련 교육과 미용복지사 자격증 등을 통해 미용복지 전문가를 양성하고 있다. 최초의 미용복지사 양성과정은 1999년 야마노미용예술단기대학에서 미용복지과를 개설하여 시작되었다. 대학은 3년 동안 사회적 약자인 고령자나 장애인들의 심리적 상태를 비롯해 안전하게 미용을 시술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교육으로 전문적인 미용복지사를 양성하고 있으며(Kwon, 2011), 미용복지 전공자는 졸업 후 개호복지사로 활동할 수 있다. 일본 이·미용복지협회는 국가자격을 소유한 이·미용사를 대상으로 연간 50회 이상의 미용복지사 양성강좌를 실시하여 필기시험과 실습교육 진행 후 미용복지사 자격증을 교육하고 있다 (Park & Do, 2018).

일본의 중부미용복지 대학에서는 미용복지사의 육성 및 이를 지원하는 곳으로 미용복지사 1급은 협회에서 실시하는 미용복지사 인정 강좌를 수료한 자에게 미용복지사로서 3년 이상의 활동과 경험을 보유하고 모든 커리큘럼을 수료한 자, 2급은 인정 강좌를 수료하고 30시간 이상 수강한 자, 3급은 인정 강좌만을 수료한 자에게 미용복지사의 수료증을 발행하고 있다(Lim, 2019). 국제 이·미용 복지 아카데미인 J-IBWA는 전문 미용사의 방문 이·미용사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회보장제도(의료·간호·연금), 노인과 장애인의 케어복지, 질병으로 인한 감염과 예방, 질병 방지와 대응과 공중위생, 미용사 관련 법률 등의 이론 교육과 휠체어의 기능과 조작, 침대와 휠체어의 부축 기능, 침대와 휠체어에서의 시술 및 대응방법의 실기 교육과 함께 양로, 의료, 복지의 기초 지식을 습득하고 노인 및 장애자의 신체 상황에 맞춘 시술 대응방법 등 체계적인 교육 시스템을 갖추고 교육하고 있다(Lim, 2019).

이처럼 일본은 노인복지를 강조하여 적극적인 정부 지원정책 아래 미용복지 전문인력 양성 등을 통해 고령화의 사회적 흐름 속에서도 발 빠르게 대응책을 마련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한국은 미용복지 인력의 수요는 분명하나 이를 충족할 만한 전문성과 전문인력이 부족한 실정이다(Park & Lee, 2017).

3. 우리나라의 미용복지 연구 특성 분류

최근 10여년 간의 대표적인 미용복지 연구의 특성을 살펴 본 결과, 정서적 측면(Table 1)과 제도적 측면(Table 2)의 큰 흐름으로 분류되었다.

A list of beauty welfare studies in the emotional aspect

A list of research on beauty welfare in the institutional aspect

1) 정서적 측면에서의 미용복지 연구

정서적 측면에서의 미용복지 연구는 미용봉사 활동을 통한 만족도, 교육프로그램 개발 또는 적용을 통한 정서적 개선 효과 등의 연구이다.

Won et al.(2009)의 연구에서 미용복지 봉사활동 활성화를 위해 미용봉사활동에 대한 사회의 인식 개선이 가장 요구되며, 효과적인 지원체계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Kwon et al. (2009)은 미용봉사활동 만족도 연구에서 서비스 중 시설과 위생상태, 봉사자의 실력이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Lee et al.(2009)은 미용봉사활동 이용실태 조사에서 재가복지와 요양시설 등에서 미용복지 전문 인력에 대하여 높은 수요를 보이는 것에 반해 미용봉사자의 능력이 수혜자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won(2011)은 미용복지서비스 이용실태 연구에서 미용복지서비스는 자주 이용할수록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미용복지테라피 프로그램을 개발한 Moon(2014)의 연구에서는 미용프로 그램에 참여한 그룹의 자아존중감 및 생활만족도, 감정균형척도가 개선되었고 우울 성향의 감소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나, 미용의 정서적 개선 효과를 입증하였다. Rhie & Lee(2018)는 노인들의 미용복지 서비스와 삶의 만족도의 관련성이 있으며, 특히 미용서비스 경험 만족도가 매우만족 한 경우 삶의 만족도 역시 매우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Lee & Rhie(2020)는 미용복지서비스 만족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물리적 환경과 고객 만족이 증가할수록 생활 만족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제도적 측면에서의 연구

제도적 측면에서의 미용복지 연구는 한국의 미용복지 제도 도입을 위한 문헌연구, 해외사례 연구, 전문인력 양성 등에 대한 이론적 연구이다.

Kong(2014)은 지속적인 미용복지시스템을 위한 전문인력 육성 및 체계적인 교육을 위한 기관 확보 및 훈련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Jung(2016)의 연구에서는 전문적인 미용복지교육과 자격 제도의 신설, 그리고 일본의 사례에서 제시한 방문미용서비스 시행단체 확대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Park & Lee(2017) 는 미용복지의 개념을 기반으로 우리나라 방문미용서비스의 현황을 지역사회 중심으로 총체적으로 진단하고 향후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Choi et al.(2018)은 복지 시설을 종류별로 나누고 그 기관의 성격에 부합되는 맞춤형 교육과정 개발과 전문인력 양성의 필요성을 제기하였으며, Park(2018)은 미용복지 정책 제안을 위한 미용복지에 대한 문제점 및 사회국가원리와의 관계, 법적인 장치마련과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Park(2021)은 개인이나 단체 봉사 활동 개념에서 탈피하여 국가적 차원에서의 미용복지 필요성과 미용복지 전문 인력 필요성에 대해 주장하였으며, 이러한 전문인력 양성 과정에서 직업윤리와 자세의 중요성을 언급하였다. 또한 Lim(2019)은 일본 노인 미용복지 정책에 대해 알아보고 미용복지 인력구성과 교육과정을 조사하여 한국 내 대학에서의 미용복지와 관련된 커리큘럼 과정을 제시하였다.

위의 두 가지 측면에서의 연구 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미용복지에 대한 개념을 설정하고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된 2000 년대 후반에는 주로 미용봉사 중심의 정서적 측면에서의 외모 개선을 통한 미용봉사의 효과성 규명 연구가 중점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반면 최근의 연구 트렌드는 실제 미용복지의 국가 시행을 위한 제도적 측면에서의 법률적 검토와 정책 제시를 위한 연구로 변화되고 있으며 특히 연구 내용 역시 점차 구체적이고 분석적으로 진행되고 있어 미용복지제도 도입에 대한 학계의 인식이 확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V. 결론

우리 사회의 고령화는 이례적으로 급속히 진행되고 있으나 정책 대응과 제도 개선은 그 속도를 따라가지 못 해 다양한 사회적 문제들이 야기되고 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미용복지 제도 도입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난 10여 년간 진행된 미용복지 관련 주요 연구들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에서 미용복지의 개념이 학술적으로 언급된 것은 2009년에 이르러서이며, 미용복지의 개념에 대해 ‘인간의 외모를 아름답게 가꾸는 예술적이고 응용과학인 미용을 통해 인간이 누릴 수 있는 최상의 복된 상태를 누릴 수 있도록 하는 행위’로 정의하고 있으나 아직 완전 협의가 이루어지지 않아 제도 도입을 위해서는 먼저 미용복지 개념 정립이 시급하다.

둘째, 한국보다 우선적으로 미용복지제도가 정립된 일본의 미용복지에 대해 알아본 결과, 일본의 미용복지사는 고령화사회의 해결방안으로 개호복지 법제 하에 1999년 야마노미용예술단기대학에서 미용복지사 양성과정이 개설로 시작되었으며, 미용과 간호가 결합되어 노인 등을 대상으로 실시되었고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기관과 교육과정 등 체계적인 교육시스템 하에서 진행되고 있음이 확인되고 있다.

셋째, 고령사회 한국의 미용복지에 관한 연구를 분석한 결과, 크게 정서적 측면의 연구와 제도적 측면의 연구로 분류되었다. 특히 미용복지 연구 초기 단계에서는 정서적 측면이, 최근 들어서는 제도적 측면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의 변화는 미용복지제도 도입의 필요성에 대해 미용분야에서의 인식이 확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국의 체계적인 미용교육은 전 세계에서 유례를 찾아보기 어려운 우수한 교육시스템, 다시 말해 법률을 기반으로 제도권 내에서 이루어지는 학위과정 -교육과정과 교육기관, 교육시설-을 확보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인프라를 활용하여 초고령시대에 제기될 문제를 대비한 미용분야의 정책 대안 등은 아직 준비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미용복지 제도적 도입을 위하여 미용분야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진 미용복지 연구들을 취합하여 선진사례인 일본의 현황을 알아보고 이를 통하여 향후 연구의 방향성을 설정할 수 있도록 특성을 분류한 것은 의의가 있다 하겠다.

다만 본 연구는 문헌조사를 통해 이루어진 이론적 결과이므로 이에 대한 연구의 한계가 있음을 밝히며 양적조사를 더한다면 더욱 좋은 연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한국의 미용복지 정책 수립 및 전문인력 양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References

1. Choi S. J., Kim S. H., Choi E. M.. 2018;Study on the Status and Needs of Beauty Welfare in Welfare Facilities to Train Beauty Care Social Workers. Journal of the Society of Health and Welfare 20(2):93–110.
2.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An aging society. http://encykorea.aks.ac.kr.(2022.01.15).
3. Jung, Y. R. (2016). The Current State of Elderly Beauty Care in South Korea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Centering on Japanese At-Home Beauty Servic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pp. 4-27.
4. Kang M. J.. 2017;A Review Study on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Effects of Cosmetic Therapy Applied to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3(3):521–529.
5. Kligman A. M., Graham J. A.. 1986;The psychology of appearance in the elderly. Dermatol. Clin. 1986 4:501–507.
6. Kong, M. J. (2014). A study on the introduce activity of japan Beauty-social worker for Elderly and disabled. Unpublished master's thesis, Tongmyong University, Busan, Korea. pp. 89.
7. Korean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Public Health Control Act. (https://www.moleg.go.kr)2021.12.06.
8. Korean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Welfare of the Aged Act. (https://www.moleg.go.kr)2021.12.06.
9. Kwon J. S., Kim M., Kwon O. H., Choi K. H.. 2009;The Present Status of Beauty Welfare Volunteering for the Age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5(3):843–854.
10. Kwon, Y. S. (2011). A Study on the Use States and Revitalization of Beauty Welfare Service for the Elder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pp. 14.
11. Lee M. Y., Won J. J., Choi K. H.. 2009;The Use and Activating Scheme of Beauty Welfare Volunteering - Focusing Social Welfare Specialist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5(4):1499–1507.
12. Lee, N. R. (2015). A Study On Comparative study of Japan Social Welfare and Korea Welfare –Focusing on Old people car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illa University, Busan, Korea. pp. 39.
13. Lee S. H., Rhie S. J.. 2020;The Relationships Between Satisfaction with Beauty Welfare Services and Life Satisfaction in Elderly Populations. Journal of Investigative Cosmetology 13(3):269–278.
14. Leem M. H., Kim M. H.. 2009;A specialization plans of beauty-care department at university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for senior spa program.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7(4):397–407.
15. Lim D. J.. 2019;The Impact of informal social network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aged A Literature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ollege Welfare Curriculum in the Elderly.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Japanology in East Asia 71:347–369.
16. Moon, J. H. (2013). A study in to the Beauty Welfare Therapy Program Development for Increasing the Self-Esteem of the Aged in Elderly Car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ungsan University, Busan, Korea. pp. 73-76.
17. National Academy of Korean Language. A standard Korean dictionary ‘Beauty’, from (https://www.korean.go.kr)2021.12.06.
18. Park, E. J. (2018). Analysis of Institutional Plans for Cosmetology Welfare in the Era of the Super Aging Socie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ungsan University, Busan, Korea. pp. 9-35.
19. Park, J. S. (2013).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Female Skin Care and Beauty Welfare. Unpublished master's thesis, Namseoul University, Cheonan, Korea.
20. Park J. Y.. 2012;A Study of Effect of Self Skin Care on Improvement of Elderly Women’s Skin Conditions and their Self-Respect and Life Satisfaction.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0(4):979–984.
21. Park S. H.. 2006;Study of the Old Persons Beauty Needs and Beauty Performance. Journal of Investigative Cosmetology 12(2):62–70.
22. Park S. H., Lee K. J.. 2017;A Study on At-home Beauty Service of Elderly Institution Residents.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72(1):335–355.
23. Park Y. H., Park M. J., Jeon S. B.. 2013;A Study of Effects of Elderly Women’s Interest in Appearance on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Korean Journal Aesthet. Cosmetol 11(2):383–391.
24. Rhie S. J., Lee S. H.. 2018;Status of Beauty Welfare Service Usage by the Elderly and Their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Investigative Cosmetology 14(4):481–488.
25. Shim H. T., Bae H. S.. 2017;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Beauty Practices of Elderly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3(2):pp.
26. Statistics Korea. (2021). Future Population Projection. (http://kosis.kr)2021.12.01.
27. Statistics Korea. (2021). Adanced age Population Ratio. (http://kosis.kr)2021.12.01.
28. 2009;The Activating Scheme of Beauty Welfare Volunteering on the Northern Gyeonggi-do.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5(3):855–862.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 1.

The annual average growth rate of the OECD elderly population (from 2000 to 2021)

Fig. 2.

Beauty welfare methodology in Japan

Table 1.

A list of beauty welfare studies in the emotional aspect

Name Year Title
Won et al. 2009 The Activating Scheme of Beauty Welfare Volunteering on the Northern Gyeonggi-do
Kwon et al. 2009 Satisfaction of Beauty Welfare Volunteering for the Aged
Leem & Kim 2009 A specialization plans of beautycare department at university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for senior spa program-
Lee et al. 2009 The Use and Activating Scheme of Beauty Welfare Volunteering - Focusing Social Welfare Specialists -.
Oh & Choi 2009 The effect of beauty service use and cosmetic procedures on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elderly women
Kwon et al. 2009 Satisfaction of Beauty Welfare Volunteering for the Aged
Kwon 2011 A Study on the Use States and Revitalization of Beauty Welfare Service for the Elderly
Moon 2014 A study in to the Beauty Welfare Therapy Program Development for Increasing the Self-Esteem of the Aged in Elderly Care
Shim & Bae 2017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Beauty Practices of Elderly Women
Rhie & Lee 2018 Status of Beauty Welfare Service Usage by the Elderly and Their Life Satisfaction

Table 2.

A list of research on beauty welfare in the institutional aspect

Name Year Title
Park 2013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Female Skin Care and Beauty Welfare
Kong 2014 A study on the introduce activity of japan Beauty-social worker for Elderly and disabled
Lee 2015 A Study On Comparative study of Japan Social Welfare and Korea Welfare
Jung 2016 The Current State of Elderly Beauty Care in South Korea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Centering on Japanese At-Home Beauty Services
Park & Lee 2017 A Study on At-home Beauty Service of Elderly Institution Residents
Choi et al. 2018 Study on the Status and Needs of Beauty Welfare in Welfare Facilities to Train Beauty Care Social Workers
Park 2018 Analysis of Institutional Plans for Cosmetology Welfare in the Era of the Super Aging Society
Lim 2019 The Impact of informal social network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aged A Literature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ollege Welfare Curriculum in the Elderly
Park 2021 Legislation of Cosmetology Welf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