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Cosmetol > Volume 28(2); 2022 > Article
표고버섯균사체 추출물이 고지방 식이 마우스의 혈액 및 지방간에 미치는 영향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a high-fat diet (HFD) on body weight, food efficiency ratio (FER), liver weight, blood composition and liver tissues. For this, it was divided into Normal, HFD/Control and HFD/MC-LE (360 mg/kg), and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over ten (10) weeks. Compared to HFD/Control, body weight decreased when HFD/MC-LE was administered. In addition, TG and AST blood concentration improved with HFD/MC-LE. In terms of celiac disease in liver tissues, hepatic sinusoids were closed due to the accumulation of adipose tissues. Furthermore, hepatocyte cords in a hepatic lobule and lipid accumulation in liver tissues were confirmed. In the liver tissues of HFD/MC-LE-administered mice, lipid accumulation decreased, and liver tissue damage was minor. The above results show that HFD/MC-LE is more effective than HFD/Control in reducing body weight, composing blood, preventing liver tissue damage and decreasing lipid accumulation in liver tissues confirming its possibility as a sub-ingredient for fatty liver treatment.

I. 서 론

최근 식생활의 변화 등으로 간질환 환자가 늘고 있다(Fukada et al., 2006). 이는 최근 우리나라 경제성장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고칼로리 음식섭취 증가와 운동의 감소로 여분의 칼로리가 지방의 형태로 피하지방층이나 간에 축적되어 비만과 steatosis(simple fatty liver), NASH(nonalcoholic steatohepatitis; hepatitis, fibrosis), cirrhosis (irreversible) 등과 같은 질환이 증가하고 있다(Salgado et al., 2006). 특히 한국인의 지방간 유병률은 중국이나 일본보다도 높고 세계적으로도 다소 높은 편이라 알려져 있다(Park et al., 2011). 이와 함께 비만 및 간 질환 관련 치료제 시장은 점차 늘어났으나 개발 제품의 효과와 부작용으로 한계가 있어, 이를 조절할 수 있는 천연 식이 소재의 연구가 꾸준히 요구되고 있다(Stewart et al., 2001).
간은 인체 내에서 대사물질을 유입하는 곳으로, 최근 현대인의 고지방식습관은 지방간(fatty liver), 간염(hepatitis), 간암(liver cancer)등의 간질환을 증가시키고 있다(Papatheodoridis et al., 2009). 지방간이란, 지방의 과도한 섭취로 간 내 지방 축적 및 합성 증가(Purohit et al., 2004), 말초조직으로 이동하는 지방 대사와 배출 감소 등으로(Caldwell et al., 2002), 정상적인 지방 대사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간조직의 지방이 전체 간 무게의 5% 이상을 차지하게 되는 경우를 말한다(Younossi, 1999). 간 세포 내 지방 축적은 간세포 내에서 일어나는 지방합성과 지방 대사의 불균형으로(Yoon et al., 2009), 간질환과 더불어 비만, 제2형 당뇨 등을 일으키는 가장 큰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Mehta et al., 2002).
특히, 비알코올성 지방간(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은 가역적인 단계인 간지방증(hepatic steatosis), 지방간염(steatohepatitis), 간섬유증(liver fibrosis)으로 비가역적인 단계인 간경화(cirrhosis), 간암(hepatocellular carcinoma)등에 영향을 미친다(Park et al., 2006).
이에 천연소재 중에서 버섯은 간보호효과가 있으며 식이가 가능하여 예전부터 널리 약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버섯은 단백질, 탄수화물, 비타민, 미네랄 등의 영양 성분이 많아 식용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Chang, 2006). 이중 표고버섯(Lentinus edodes)은 전 세계에서 3번째의 재배량과 2번째로 이용률이 많은 버섯으로 동남 아시아에서 재배된다. 표고버섯(Lentinus edodes)은 전통 동양의학에서 사용되고 있으며(Choi et al., 2021), 현대의학에서도 버섯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Wasser & Weis, 1999). 표고버섯 내 글루칸(glucan)과 에리타데닌(eritadenine)과 같은 물질들은 혈중 지질을 낮추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Jenkins et al., 2002). 버섯의 β-glucan은 위장관 내에서 포만감을 주어 음식물의 섭취를 감소시키고, 영양물질 흡수 지연, 혈당 감소 및 콜레스테롤 감소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Chibata et al., 1969). 표고버섯이 인체 내 혈당과 지질 억제 효능과 대사 작용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고콜레스테롤 동물모델에서 표고버섯(Lentinus edodes)의 섭취가 혈당과 지질 배출에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고(Yoon et al., 2011), 또한 고콜레스테롤 동물 모델과 심장의 관상동맥질환 모델에서 표고버섯의 에리타데닌(eritadenine)의 효과를 확인하였다(Sugiyama et al., 1995).
고지방 식이는 혈관손상을 유발하여(Kim, 2009) 상처치유와 재생을 지연시키고(Kim, 2022), 비타민D 대사에 영향을 주어 염증반응을 촉진한다(Park, 2019). 또한 지질과산화물의 영향으로 피부노화(Jang, 2009)와 아토피 피부염 등을 촉진시켜 피부건강에 영향을 미친다(Lee, 2009).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물의 열수추출물에는 lentinan을 비롯한 glycoprotein 등을 포함하고 있어 이를 실험에 적용하였다(Oba et al., 2009). Lentinan과 glycoprotein은 β-glucan을 함유하고 있으며 면역증진 기능과 간 보호 기능을 갖고 있다 (Yamamoto et al., 199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 식이 마우스에 표고버섯 균사체를 투여하여 체중감소과 혈액의 변화 및 지방간 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II. 재료 및 방법

1. 표고버섯균사체 추출물 제조

보리와 쌀겨(Ilbanseong Nonghep, Jinju, Korea)를 20:1 w/w로 혼합하여 배지를 조제하였다. 고압멸균기 이용하여 (121°C, 10 min) 멸균하고 실온에서 냉각시킨 배지에 표고버섯균(ATCC 64275)을 접종하여 37°C incubator에서 7일 배양하였다.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물(Lentinus edodes mycelial culture) 강압 농축기로 농축하여 표고버섯균사체 시료를 제조하였다(이를 MCLE로 명명한다).

2. 동물실험 투여

수컷 C57bl/6 마우스를 대한바이오링크(대한민국)로부터 수입하여 사용한다. 대전대학교 동물실험윤리위원회 승인(DJUARB2018-029)을 받아 실험을 진행하였다. 분양 받은 실험동물은 2주간 기본사료(AIN-76A diet)와 물을 자유롭게 공급하면서 실험실 환경에 적응시킨 후, 건강상태가 양호한 10 주령의 마우스를 동물 사육실의 환경은 항온(25±2°C), 항습(50±5%) 및 12시간 간격의 광주기(light on 07:00~19:00)로 명암으로 조절되는 SPF 환경에서 유지 실험에 사용한다. 실험동물은 10 마리씩 분리하여 사육하며, 식이와 식수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한다. 정상군(Normal), 고지방식이 대조군(High fat diet: HFD/Control), 실험군 MC-LE(HFD/MC-LE)의 군으로 10마리씩 나누어 자유식을 하여 몸무게가 28 g이 될 때까지 안정화를 시켰다. 몸무게가 28 g으로 안정화 되었을때, 대조군과 MC-LE군에는 고지방 사료(HFD)를 자유식으로 투여하여 비만을 유도하였다. 이와 함께 Normal과 HFD/Control은 증류수를, HFD/MC-LE는 예비실험을 통해 효능을 나타내는 농도인 360 mg/kg/0.2 ml의 농도를 물에 희석하여 10주간 매일 경구 투여하였다. 또한 실험기간동안 실험동물의 체중을 측정하였다. 또한 실험 종료 후에 혈액, 간 무게와 간조직을 병리학적 검사를 실시하였다.

3. 혈액학적 분석

약물투여 4주 후 후안과 정맥총으로 부터 모세관(capillary tube)을 사용하여 채혈한 후 혈중 중성지방(triglyceride)과 총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의 수준을 측정하였고, 최종 실험 종료 후 심장천자법으로 채혈하여 혈액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기 위하여 채혈 후 30분 이내에 3,000 rpm, 4°C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장(plasma)을 분리하여 -70°C에 보관한다가 분석한다. Aspartate aminotransferase(ALT)와 alanine aminotransferase(AST), total cholestrerol, triglyceride, LDL cholestrerol, HDL cholestrerol은 생화학 자동분석기(Hitachi720, Hitachi Medical, Japan)로 분석하였다.

4. 간기능 개선의 조직학적 분석

실험종료후 ether로 마취하여 복강을 절개하여 간을 적출하였다. 각 실험군에서 적출한 간조직은 10% 중성 포르말린에 48시간 고정하여 고정이 완료된 각 조직들은 흐르는 수돗물에서 12시간 수세하여 조직내 고정액을 완전 제거하였다. 조직의 탈수를 위해 60%에서부터 100% 알코올에 이르기까지 농도 상승 순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탈수하고, xylene에 투명과정을 거친 다음 파라핀 블럭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블럭은 박절기(microtome)를 이용하여 3-4 m 두께로 절편을 만들어 탈 파라핀 및 함수과정을 거친 다음 hematoxyline과 eosin (H&E) 일반 염색을 실시하여 광학 현미경상에서 관찰 및 사진 촬영하였다.

5. 통계분석

데이터 분석을 위하여 unpaired student's을 사용하였고 mean± standard deviation (S.D.)로 나타나며 통계적 유의성은 Student's t-test법을 사용하여 *p<.05, p<.01, p<.001 이하의 수준에서 유의성 검정을 실시하고 통계적으로 판정하였다.

III. 결과 및 고찰

1. 체중 변화

실험동물을 10주간, Normal, HFD/Control은 증류수를, HFD/MC-LE 360 mg/kg/0.2 ml을 투여하였다. 체중의 변화는 <Fig. 1>과 같다. 10주 후에 보통의 식이를 섭취한 Normal은 8.7 g, HFD/Control은 23.2 g, HFD/MC-LE는 15.3 g의 체중 증가를 나타내었다. Normal군에 비하여 HFD/Control은 14.5 g 증가하였고, HFD/MC-LE군은 HFD/Control에 비하여 7.9 g로 45.52%의 유의성 있는 체중 감소를 나타내었다.

2. 간과 지방조직 무게 변화

10주후 실험동물의 간 무게 변화는 다음과 같다. 간의 무게는 Normal은 0.803±0.05 g, HFD/Control은 1.12±0.04 g으로 약 1.3배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에 반하여 HFD/MC-LE군의 간 무게는 0.78±0.02 g으로 HFD/Control에 비하여 유의성 있는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p<.01). <Fig. 2> 결과는 고지방과 콜레스테롤을 첨가한 식이섭취로 간에 지방이 침착되어 무게가 증가하였다는 Lee et al.(2011)의 연구와 일치한다. 또한 느티만가닥버섯 분말을 첨가한 식이군의 간 무게의 감소 결과와도 일치하여 HFD/MC-LE이 간지방 침착 억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Ryu et al., 2011).

3. 혈액 분석

10주후 실험동물의 혈액을 측정한 결과, 혈중 Total cholesterol 함량(TC)은 HFD/Control 147.6±9.0 mg/dL로 Normal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며, HFD/MC-LE에서도 증가를 나타내어 TC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간의 중성지방의 경우 HFD/Control은 487.7±35.1 mg/dL로 Normal의 2.5배가 되었으며, HFD/MC-LE는 341.30±47.9 mg/dL로 HFD/Control에 비해서 유의성 있는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p<.01). 혈중의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은 대부분 지단백질(lipoprotein)을 구성하며, 동백경화증 유발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Gordeon et al., 1981). 또한, LDL cholesterol, HDL cholesterol에서도 유의성 있는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위와같이 분석한 결과 HFD/MC-LE이 담즙산의 재흡수를 억제하여 간조직의 중성지방의 저하를 유도한 것으로 간조직의 지방축척을 억제하나, 형행개선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여진다(Shin et al., 2019).
혈중의 ALT 및 AST를 측정한 결과, ALT는 HFD/Control은 122.4 ±20.2 mg/dL으로 Normal에 비하여 약간 증가하였으나, HFD/MC-LE는 101.6±7.6 mg/dL로 HFD/Control에 비하여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AST의 경우도 HFD/Control은 81.2±1.3 mg/dL로 Normal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나, HFD/MC-LE는 32.4±1.5 mg/dL로 HFD/Control에 비하여 유의적인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p<.01).
아미노산의 생합성에 관여하는 효소로 ALT 및 AST는 약물이나 스트레스 등으로 간 조직이 손상을 받게 되면 그 활성이 증가되므로 간 손상의 지표로 알려져 있다(Ciriolo et al., 1984). 본 연구의<Fig. 3> 결과에서 비만에 의해 상승한 ALT 및 AST가 MC-LE의 투여로 간손상 지표성분의 감소를 나타내어 간 기능을 개선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4. 지방간 분석

실험 종료 후 마우스 간 조직을 분석한 결과는 <Fig. 4>와 같다. HFD/Control에서 모든 간조직 세포가 지방축적에 의한 지방방울이 확인되었다. 또한 지방세포의 축척으로 간굴모세혈관(hepatic sinusoids)이 폐쇄된 상태가 확인되고, 염증성 세포들이 부분적으로 침윤으로 간 조직 손상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HFD/MC-LE군에서는 Normal과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며 지방방울도 보이지 않고, 간 손상이 경미한 것으로 나타내었다. HFD/MC-LE의 간조직의 지방 축척억제와 간손상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꾸찌뽕 에탄올 추출물의 지방조직의 결과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내었다(Lee & Kim, 2012).

IV. 결 론

본 연구에서 고지방식이에 의해 증가된 체중, 식이효율과 간 무게, 변화된 혈액 조성 및 간 조직의 정상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기 위하여 Normal, HFD/Control과 HFD/MCLE(360 mg/kg)를 나누어 10주간 연구를 진행하였다. HFD/ Control에 비하여 증가된 체중이 HFD/MC-LE 투여하였을 때 감소하였다. 또한 HFD/Control에 비하여 증가된 중성지방(TG), AST의 혈중 농도가 HFD/MC-LE에 의해서 회복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간 조직의 지방병변을 살펴본 결과, HFD/ Control에 비하여 간 조직 세포에 지방의 축적에 의해 지방조직의 축척으로 간모세혈관(hepatic sinusoids)이 폐쇄되었고, 간 소엽의 간세포삭과 간 조직 세포내에 지방의 축적을 확인하였다. HFD/MC-LE 투여한 마우스의 간 조직에서는 지방축척 감소와 간 조직 손상이 경미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위의 결과로부터 HFD/Control에 비하여 HFD/MC-LE는 체중 감량, 혈액 조성과 간 조직 손상 예방 효과, 간조직의 지방축척 감소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추후 지방간 치료에 도움이 되는 보조소재로 활용이 가능할것으로 보여진다.

Fig. 1.
Change of body weight of high-fat diet male C57BL/6 mice after being treated with HFD/MC-LE for 10 weeks. Data are means±S.D. of three separate experiments; n=10 per group. HFD/Control, high fat diet; HFD/MC-LE, combination of a HFD with Mycelial culture of Lentinus edode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HFD/Control (p<.01).
JKSC-2022-28-2-334f1.jpg
Fig. 2.
Change of liver weight in high-fed diet male C57BL/6 mice after being treated with HFD/MC-LE for 10 weeks. Data are means±S.D. of three separate experiments; n=10 per group. HFD/Control, HFD/MC-LE, combination of a HFD with Mycelial culture of Lentinus edode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HFD/Control (p<.01).
JKSC-2022-28-2-334f2.jpg
Fig. 3.
Serum levels of total cholesterol (TC), triglyceride (TG), HDL & LDL cholesterol and AST & ALT in high-fed diet male C57BL/6 mice after being treated with HFD/MC-LE for 10 weeks. The plasma from mice analyzed by using a automatic analyzer. Data are means±S.D. of three separate experiments; n = 10 per group.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HFD/Control treatment (p<.01).
JKSC-2022-28-2-334f3.jpg
Fig. 4.
Histological analysis of liver after 10 weeks of HFD/MC-LE treatment in high-fed diet male C57BL/6 mice. Liver tissue sections were stained with H&E (× 200) to observe liver lipid content. HFD/Control, HFD/MC-LE, combination of a HFD with Mycelial culture of Lentinus edodes (n = 10 per group).
JKSC-2022-28-2-334f4.jpg

References

Caldwell, S. H., Harris, D. M., Patrie, J. T., & Hespenheide, E. E. (2002). Is NASH underdiagnosed among African Americans. Am J Gastroenterol, 97:1496-1500.
crossref pmid
Park, C. Y. (2019). Effects of Vitamin D Supplementation on Vitamin D Metabolism and Adipose Tissue Inflammation in HighFat Diet-Induced Obese Mice.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Th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Chang, S. T. (2006). The world mushroom industry: trends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Int J Med Mushrooms, 8(4), 297-314.
crossref
Lee, C. M., & Bae, H. K. (2012). Research Paper : The Anti-obesity Effect of Cudrania Tricuspidata Ethanol Extract by Focusing on the Changes of Hepatic and Adipose Tissue in HFD-induced Obese Mi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8(3), 677-687.
Chibata, I., Okumura, K., Takeyama, S., & Kotera, K. (1969). Lentinacin: a new hypocholesterolemic substance in Lentinus edodes. Experientia. 25(12), 1237-1238.
Ciriolo, M. R., Rossi, L., Mavelli, I., Rotilio, G., Borzatta, V., Cristofori, M., & Barbanti, M. (1984). The effects of hypolipidemic agents derived from procetofenic acid on the activity of superoxide dismut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and on malonydialdehyde production of rat liver. Arzneimittelforschung 34, 456-457.
Fukada, S., Setoue, M., Morita, T., & Sugiyama, K. (2006). Dietary eritadenine suppresses guanidinoacetic acid-induced hyperhomocysteinemia in rats. J Nutr. 136(11), 2797-2802.
Gordon, T., Kannel, W. B., Castelli, W. P., Thomase, R., & Dawber, T. R. (1981). Lipoprotein, cardiovascular disease, and death. Arth. Intern. Med, 141(9), 1128-1131.
Ryu, H., J., Um, M. Y., Ahn, J. Y., Jung, C. H., Huh, D., Kim, T. W., & Ha, T. Y. (2011). Anti-obesity Effect of Hypsizigus marmoreus in High Fat-fed M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12), 1708-1714.
Jang, Y. A. (2009). The effect or lipide contents on lipide metabolismm and aging in fibroblasts and in rats. Dept. of foods and nutrition Graduate school Ewha womans University.
Jenkins, A. L., Jenkins, D. J., Zdravkovic, U., Wursch, P., & Vuksan, V. (2002). Depression of the glycemic index by high levels of beta-glucan fiber in two functional foods tested in type 2 diabetes. Eur J Clin Nutr. 56(7), 622-628.
Shin, J. G., Choi, J. S., & Gyung, Y. B. (2019). Effect of Mahangbokhap Extract Lipid Profile and Tissue in HFD-induced Obese Mi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5(1), 51-59.
Ko, J. S., Yoon, J. M., Yang, H. R., Myung, J. K., Kim, H., Kang, G. H., Cheon, J. E., & Seo, J. K. (2009). Clinical and histological features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n children. Dig Dis Sci. 54, 2225-2230.
Kim, H. H. (2009). Inhibitory effects of Morus alba L. on vascular dysfunction in rat fed a high fat diet. Dept. of Oriental Medicine Graduate School of Orient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Lee, J. J., Park, M. R., Kim, A. R., & Lee, M. Y. (2011). Effects of ramie leaves on improvement of lipid metabolism and anti-obesity effect in rats red a high fat/high cholesterol diet.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83-90.
Lee, K. S. (2009). Effects of the Sarcodon aspratus on the obesity induced by high fat-diet and the atopic dermatitis. Department of Biology. The Graduate School,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Mehta, K. V., Thiel, D. H., Shah, N., & Mobarhan, S. (2002).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pathogenesis and the role of antioxidants. Nutr Rev 60, 289-293.
Choi, M. G., Choi, M. O., & Seo, S. H. (2021). Studies on the Cellular Physiological Activity of Lonicera japonica·Glycyrrhiza uralensis·Lentinula edodes Complex Extra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7(2), 370-379.
crossref
Oba, K., Kobayashi, M., Matsui, T., Kodera, Y., & Sakamoto, J. (2009). Individual patient based meta-analysis of lentinan for unresectable recurrent gastric cancer. Anticancer Res. 29, 2739-45.
Park, S. H., Jeon, W. K., Kim, S. H., Kim, H. J., Park, D. I., Cho, Y. K., Sung, I. K., Sohn, C. I., Keum, D. K., & Kim, B. I. (2006).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non‐ 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mong Korean adults. J Gastroenterology Hepatol 21(1), 138-143.
Park, Y. H., Yoo, S. R., & Son, C. G. (2011). Overview for prevalence and pathology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Korean J Orient Int Med. 32, 26-32.
Papatheodoridis, G. V., Chrysanthos, N., Cholongitas, E., Pavlou, E., Apergis, G., Tiniakos, D. G., Andrioti, E., Theodossiades, G., & Archimandritis, A. J. (2009). Thrombotic risk factors and liver histologic lesions i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J Hepatol 51, 931-938.
Purohit, V., Russo, D., & Coates, P. M. (2004). Role of fatty liver, dietary fatty acid supplements, and obesity in the progression of alcoholic liver disease: introduction and summary of the symposium. Alcohol 34, 3-8.
Salgado, J. W., Santos, J. S., Sankarankutty, A. K., & de Castro e Silva O. (2006).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nd obesity. Acta Cir Bras. 21(1), 72-78.
Stewart, S., Jones, D., & Day, C. P. (2001). Alcoholic liver disease: new insights into mechanisms and preventative strategies. Trends Mol Med 7, 408-413.
Sugiyama, K., Akachi, T., & Yamakawa, A. (1995). Hypocholesterolemic action of eritadenine is mediated by a modification of hepatic phospholipid metabolism in rats. J Nutr. 125(8), 2134-2144.
Kim, T. J. (2022). The improvement effects of Patchouli alcohol on wound healing in high fat diet-fed mice through AMPK-mediated suppression of inflammation and TGFb1 signaling. Major in Pharmacology, Department of Medicine. The Graduate School of Chung-Ang University.
Yamamoto, Y. H., Shirono, K. K., and Ohashi, Y. (1997). Immunopotentiating activity of the water-soluble lignin rich fraction prepared from LEM: The extract of the solid culture medium of Lentinus edodes mycelia. Biosci. Biotech. Biochem. 61, 1909-1912.
Yoon, K. N., Alam, N., Lee, J. S., Cho, H. J., Kim, H. Y., Shim, M. J., Lee, M. W., & Lee, T. S. (2011). Antihyperlipidemic effect of dietary Lentinus edodes on plasma, feces and hepatic tissues in hypercholesterolemic rats. Mycobiology, 39(2), 96-102.
crossref pmid pmc
Younossi, Z. M. (1999).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Curr Gastroenterol Rep 1, 57-62.
Wasser, S. P., & Weis, A. L. (1999). Medicinal properties of substances occurring in higher Basidiomycetes mushrooms: current perspectives. Int J Med Mushrooms, 1:31-62.
crossref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10-2825-6735   Fex: +82-62-950-3797    E-mail: beauty2007@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