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Cosmetol > Volume 28(3); 2022 > Article
헤어미용전공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전공몰입의 관계에서 진로스트레스의 매개효과

Abstract

In this study, the effect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hair design on major immersion is analyzed, and it is intended to verify whether Career stress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major immersion. Through this, it is intended to clarify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suggest measures to improve students' immersion in their major. For the study, 2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from April 15 to May 30, 2021, to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hair design at universities located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and a total of 243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and one-way batch variance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6.0K, and the mediating effect was tested by applying Process Macro Model 4.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otal effect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Immersion in major is B=.42 (p<.001), but when the parameter Career stress was introduced, the direct effect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Immersion in major was reduced to B=.37 (p<.001), confirming that Career stress plays a mediating role.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immersion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hairdressing,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 environment to overcome career stress by allowing students to actively prepare for their careers through various activities related to their majors, such as certification acquisition guidance.

I. 서 론

인간의 행동과 관련하여 여러 학문 분야에서 몰입을 주제로 한 연구가 폭넓게 이루어지고 있다. 몰입은 한 개인이 자신의 행위에 완전히 몰두하여 최고의 감정, 최상의 즐거움과 행복한 심리상태에 있는 것을 의미하는 개념이다. 몰입은 어떤 일을 경험하는 과정에서 그 일에 푹 빠져 시간 감각조차 잊어버리고 주변 상황을 전혀 의식하지 못하며 외적 보상이 없더라도 그 자체를 충분히 즐기는 상태(Csikszentmihalyi, 1975)를 말한다.
학생이 본인의 전공에 깊이 몰입하게 되면 자신만의 뚜렷한 목표를 세우고 스스로 전공과 관련된 분야로 취업하고자 하는 의지를 갖게 되며 적극적으로 진로를 설계하여 구체적인 진로 준비행동을 하게 될 것이다. 전공몰입은 자신이 선택해서 학습하고 있는 전공 분야에 대하여 강한 애착과 일체감을 가지고 몰두하는 정서적인 상태이며 진로는 물론 학습성과에도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변인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전공몰입은 학생 자신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가 분명하고 그것을 달성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크며, 목표를 달성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될 때 그 효과가 극대화될 것이다. 더불어 보다 적극적인 진로준비행동을 함으로써 진로에 대한 스트레스로부터 자유로워지려는 노력을 함께 할 것이다.
진로준비행동은 직업과 관련하여 개인의 나아갈 방향을 설계하고, 필요한 것을 미리 준비하여 갖추기 위한 실천방식이며 진로선택과 진로 결정을 하기 전까지 수반되는 행동뿐만 아니라 진로 결정 이후에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준비하는 행동까지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더불어 진로를 합리적이고 올바르게 탐색하고 결정하기 위한 실행 과정이기도 하다(Kim, 1997). 진로준비행동이 학생 자신의 전공에 기반하여 이루어짐을 고려할 때 진로준비행동과 전공몰입은 밀접한 관계가 있는 변인임을 예측할 수 있다.
진로준비행동과 전공몰입 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대표적인 변인으로 진로스트레스가 주목받고 있다. 진로스트레스는 졸업 후 자신의 진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심리적, 신체적 균형이 파괴되고 위기감, 긴장감 또는 불안감을 느끼는 상태이다(Ryu, 2002). 진로스트레스에 대한 선행연구에서 Kang et al.(2011)은 진로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아진다고 하였으며, Park(2009)은 진로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결정 수준이 낮아진다고 하였다. Lee et al.(2008)은 진로스트레스 정도가 높을수록 진로발달과 진로성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반면 일시적이고 적당한 스트레스는 수행에 도움이 되기도 하는 것(Gibbons, 2012)처럼 진로 결정과 관련한 스트레스를 느낄수록 진로 탐색에 대해 적극적이고 합리적인 결정을 내린다는 주장도 있다(Larson & Majors, 1998). Kim & Park(2012)의 연구 및 Go & Sim(2014)의 연구에서는 취업스트레스와 진로준비행동은 정적인 관계가 있다고 밝혔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진로스트레스는 여러 변수들 사이에서 결과의 강(Strong), 약(Week)을 조절하거나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확인되어 그 역할을 명확히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는 ‘개인적 변인에 따른 진로준비행동의 차이 분석’에 대한 후속 연구로써 진로준비행동이 전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진로스트레스가 매개역할을 하는지에 대하여 분석함으로써 변수들간의 영향 관계를 보다 명확히 하고 학생들의 전공몰입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II. 이론적 배경

1. 진로준비행동(Career preparation behavior)

진로준비행동은 진로와 관련된 인지 과정이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행동 차원으로 전환되는 과정에 관심을 가지는 개념으로(Speas, 1979) 자신의 진로와 관련된 인지나 태도적 차원뿐만 아니라 보다 실제적이고 구체적으로 진로준비를 위한 행위를 하는 것을 말한다. 진로준비행동은 자신의 진로에 대해서 구체적인 목표를 수립하고 그것을 실현하기 위한 모든 행위를 의미하며 정보수집 활동은 물론 진로목표 달성에 필요한 도구를 갖추는 활동과 진로를 준비하기 위해 실제로 입사지원서를 작성하여 실천하는 등의 구체적인 활동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Kim, 1997).
즉, 진로준비행동은 자신이 경험한 다양한 내적, 외적 요소를 종합하여 진로목표를 분명히 하고 직업 분야를 결정하며 이 를 실천해 나가는 과정이다. 비록 진로 관련 의식과 태도가 성숙 되어 있을지라도 그것을 실천하는 행동이 뒤따르지 않으면 진로목표 달성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진로발달은 개인차가 존재하지만, 인간의 전 생애에 걸쳐 누구에게나 이루어지는 과정이며 환상기, 잠정기, 현실기의 3단계를 거친다. 성인 초기의 대학생은 현실기에 해당하며 이 시기에 진로를 더욱 구체화하기 위하여 여러 대안을 세밀하게 비교하고 흥미, 능력, 가치 등을 고려해야 한다(Song, 2019).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매우 다양하다. Jeong(2021)의 연구에 의하면 헤어미용전공 대학생의 개인적 변인에 따른 진로준비행동의 차이 분석 결과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진로준비행동 수준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별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 자격증 유무에 따른 차이 분석에서는 자격증을 취득한 집단에서 정보수집 활동과 실천적 행동 수준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가장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이라고 하였다. 특히 진로장벽의 하위요인 중 정보부족이 진로준비행동에 가장 많은 부(-)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강조하였다(Sin et al., 2012). 이처럼 진로를 탐색하여 결정하고 선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므로 진로 준비행동과 다양한 변수들과의 관계를 연구함으로써 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그 의미가 크다 할 것이다.

2. 전공몰입(Major immersion)

몰입이란 한 개인이 자기가 하는 행위에 완전하게 몰두함으로서 최적의 경험(optimal experience)을 갖게 되는 상태를 의미하는 개념이다(Csikszentmihalyi, 1975). 즉 몰입은 어떤 일이나 놀이에 대한 강도 높은 심리적 집중상태를 말한다. 몰입을 경험하는 사람은 그의 심리적 에너지가 대부분 자신이 선택한 목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더 강하고 자신감이 높은 자아를 형성한다(Kim, 2007). 일상생활 속에서 자주 몰입을 경험할 수 있다면 하는 일이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됨으로써 그로 인한 성과가 높아 삶의 질이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전공몰입은 자신이 선택하여 학습하고 있는 전공 분야에 대해 일체감과 애착을 갖고 심리적으로 강도 높게 집중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Park, 2010). 전공에 대한 애착이 높다는 것은 전공을 선택하기 전에 깊은 고민과 성찰의 과정이 있었다는 것을 의미하며 진로준비행동이 높다고 예측할 수 있다.
전공몰입에 대한 선행연구에서 Jung(2014)은 커피바리스타 관련 학생들의 전공몰입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전공수업에 몰입하는 경험과 직업탐색 행동의 관계를 연구한 Park(2010)은 전공몰입은 직업탐색 행동의 독립적 직업탐색 행동과는 정(+)의 관계가 있으며 상호적 직업탐색 행동과는 부(-)의 관계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Hwang(2012)은 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전공수업 몰입경험의 하위요인인 통제감 및 행동적 요인, 지적 호기심 요인, 정서적 요인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Han(2017)은 미용전공 대학생의 몰입경험이 성취능력과 전공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이처럼 전공몰입은 진로준비행동, 직업탐색, 자기효능감 등 여러 요인들과의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변인임을 알 수 있다.

3. 진로스트레스(Career stress)

스트레스란 적응하기 어려운 상황을 맞이하였을 때 느끼는 심리적, 신체적 긴장 상태를 말하며, 특히 진로와 관련된 선택과 준비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자원이 부족함을 느끼고 개인의 안녕을 위협받게 되는 상태를 진로스트레스라고 한다(Choi et al., 2011; Hwang & Park, 2015).
Kim(2014)은 진로스트레스 요인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스트레스 요인 중 경제요인과 학업요인이 진로준비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Song & An(2020)은 전문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는 진로미래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였으며 Choi & Sin(2017)의 연구에서는 스트레스가 오히려 인간의 성장에 필수적인 요소이며 대학생의 진로발달에 부정적인 영향뿐만 아니라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진로스트레스 하위요인 별로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역할이 상이함을 주장하였다.
Choi(1986)의 연구에서도 스트레스가 항상 부정적인 영향만 끼치는 것은 아니며, 적절한 수준의 스트레스는 오히려 인간의 성장에 필수적인 요인이 될 수 있음을 강조하였고 An & Seo(2013)의 연구에서는 진로스트레스가 대학생의 진로 발달에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모두 존재한다고 하였다. 즉,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를 경험하면서 제대로 준비를 이행하지 못하는 학생이 있는가 하면, 적절한 수준의 스트레스가 오히려 동기를 촉진하여 진로준비를 열심히 실행하는 학생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Sin(2016)은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준비행동 수준을 토대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한 결과 스트레스를 상대적으로 적게 경험하면서도 진로준비행동에 적극적인 집단부터 스트레스와 준비가 모두 저조한 집단, 스트레스는 높으나 준비에 소극적인 집단까지 다양한 양상이 혼재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선행연구 고찰 결과 진로스트레스는 학생들의 진로와 관련된 다양한 변인들과의 관계에서 정(+)적, 혹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진로스트레스가 여러 변수들 사이에서 매개역할 또는 조절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예측해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진로준비행동과 전공몰입 사이에서 진로스트레스가 매개역할을 하는지에 대하여 분석함으로써 관련 변수들간의 상호 영향 관계를 명확히 하고자 한다.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의 수집

본 연구를 위하여 대구‧경북 지역의 헤어미용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2021년 4월 15일부터 5월 30일까지 25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한 다음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총 243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2. 연구문제

헤어미용 전공 대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 전공몰입, 진로스트레스의 관계 분석을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헤어미용 전공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전공몰입, 진로스트레스의 요인을 분석한다.
둘째, 헤어미용전공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의 수준을 분석한다.
셋째, 헤어미용전공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진로스트레스의 차이를 분석한다.
넷째, 헤어미용전공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전공몰입의 관계에서 진로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분석한다.

3. 측정도구 및 자료의 분석

1) 측정도구

진로준비행동은 Jeong(2021)의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전공몰입은 Kim(2007)Hwang(2012)의 연구를, 진로스트레스는 Song(2019)Kim(2014)의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를 참고하여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한 후 Likert 5단계 평점 척도로 설문을 작성하여 사용하였다(Table 1).

2) 자료의 분석

통계분석을 위하여 SPSS 26.0K를 사용하였다. 진로준비행동, 전공몰입, 진로스트레스의 하위차원을 알아보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0으로 만들어 줌으로써 구조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요인들을 직각으로 회전시켰으며 베리멕스(Varimax) 회전을 통한 주성분 분석을 이용하였다. 측정 도구인 각 설문 항목들 간의 신뢰성 검증을 위해서 Cronbach's α 계수를 도출하였다. 개인적 특성에 따른 차이 분석을 위해 기술통계 및 t-test와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변수들 간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SPSS의 Process Macro Model 4를 활용하여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2와 같다. 학년별로는 1학년 5 1.9%, 2학년 48.1%이며 국가자격증 취득자가 65.4%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용관련 경진대회참여 경험에 대한 질문에는 46.9%가 참여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미용 관련 산업체에서 현장실습이나 아르바이트를 했던 경험이 있는 학생들은 32.5%로 나타났다.
진로를 결정한 시기로는 ‘고등학교 3학년 때’ 가 30.0%로 가장 많았고 ‘2학년 때’ 27.6%, ‘1학년 때’ 23.9%로 나타났으며 ‘ 중학교 때’가 18.5%로 나타났다. 주목할 점은 중학교 때 이미 헤어미용으로 진로를 결정한 학생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대학의 교육과정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분석의 필요성을 시사하는 중요한 결과라 하겠다.
헤어미용전공을 선택한 동기로는 ‘적성에 잘 맞아서’가 74.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주위의 권유로’ 10.3%, ‘재미있어서’ 9.9%, ‘취업이 잘 될 것 같아서’ 4.9%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학생들이 전공을 선택할 때 자신의 적성을 가장 먼저 고려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진로준비행동의 신뢰도 및 타당도

본 연구는 ‘개인적 변인에 따른 진로준비행동의 차이 분석(Jeong, 2021)’에 대한 후속 연구로써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결과는 선행연구와 동일하다(Table 3). 요인분석 결과에 의하면 KMO 측도는 .81로 나타났고 Bartlett의 구형성 검정 결과 χ2=1033.90(df=55, p=0.000)이어서 요인분석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고유값(Eigen values) 1을 기준으로 3개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전체 설명력은 65.29로 나타났고 적재값은 모두 0.6 이상으로 나타나 전반적인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만족하였다. 요인의 내적 일치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문항간 Cronbach's α값을 산출한 결과 요인별 신뢰도 계 수가 요인 1은 .82, 요인 2는 .80 요인 3은 .70으로 나타나 신뢰성이 확보되었다.
요인 1은 ‘정보수집 활동’ 요인으로 진로와 관련된 기관이나 자격증, 도구 등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요인 2는 ‘자료구비 활동’ 요인으로 진로와 관련된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책자, 리플릿 등을 구매하거나 갖추는 등의 활동을 통해서 진로를 준비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요인 3은 ‘실천적 행동’ 요인으로 자신이 계획한 진로 분야의 자격증을 취득하거나 진로문제를 상담하기 위하여 관련 기관을 방문하는 등 설정한 목표 달성을 위하여 구체적으로 행동하고 실천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3. 전공물입의 신뢰도 및 타당도

전공몰입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결과는 Table 4와 같다. 요인분석 결과에 의하면 KMO 측도는 . 9 5로 나타났고 Bartlett의 구형성 검정 결과 χ2=5511.98(df=17, p=0.000)이어서 요인분석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고유값(Eigen values) 1을 기준으로 4개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전체 설명력은 75.06으로 나타났고 적재값은 모두 0.5 이상으로 나타나 전반적인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만족하였다. 요인의 내적 일치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문항간 Cronbach's α값을 산출한 결과 요인별 신뢰도 계수가 요인 1은 .90, 요인 2는 .93, 요인 3은 .88, 요인 4는 .87로 나타나 신뢰성이 확보되었다.
요인 1은 ‘통제감 및 행동요인’으로 전공수업 몰입경험을 통해 나타나는 통제감 및 행동적인 부분을 설명해 주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요인 2는 ‘정서적 요인’으로 전공 수업을 통해 느껴지는 흥미와 뿌듯함, 즐거움 등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요인 3은 ‘지적 호기심 요인’으로 전공 수업에 대한 흥미와 전공지식에 대한 도전 욕구, 과제를 통해서 얻는 보람 등 지적인 욕구 및 호기심 등과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다.
요인 4는 ‘시간 흐름의 변화요인’으로 전공 수업에 참여하면서 자신감과 긍정적인 감정을 갖게 되며 전공수업 시간에는 수업 이외의 상황에 대한 걱정과 근심을 잊고 오로지 수업에 몰입하게 되는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4. 진로스트레스의 신뢰도 및 타당도

진로스트레스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결과는 Table 5와 같다. 요인분석 결과에 의하면 KMO 측도는 .90이며 Bartlett의 구형성 검정 결과 χ2=4791.33(df=19, p=0.000)이어서 요인분석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고유값(Eigen values) 1을 기준으로 4개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전체 설명력은 70.71로 나타났고 적재값은 모두 0.6 이상으로 나타나 전반적인 측정 도구의 타당도를 만족하였다. 요인의 내적 일치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문항간 Cronbach's α값을 산출한 결과 요인별 신뢰도 계수가 요인 1은 .93, 요인 2는, 90 요인 3은 .86, 요인 4는 .87로 매우 높게 나타나 신뢰성이 확보되었다.
요인 1은 ‘진로 모호성’ 요인으로 계획 중인 진로에 대한 확신이 없고 자신의 적성에 맞는 진로가 무엇인지 몰라 답답하고 불안한 마음을 표현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요인 2는 ‘정보 부족’ 요인으로 원하는 직업을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와 진로준비를 하는데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알지 못하며 직업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여 막막함을 표현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요인 3은 ‘취업 압박’ 요인으로 취업을 위해 할 일은 많고 학교공부와 취업 준비를 함께 해야 하는 것이 힘들며 원하는 곳에 취업하지 못할까 걱정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요인 4는 ‘외부갈등’ 요인으로 부모님과 자신이 생각하는 진로가 서로 다르고 자신이 선택한 진로에 대해 타인들이 부정적으로 평가할까 걱정되는 등 주변 사람들과의 갈등에 관련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5. 헤어미용전공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 수준

연구 대상자의 진로스트레스 수준을 분석한 결과 5점 만점에 평균 2.32(±.65)점으로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요인별로는 취업압박 3.00점(±.71), 정보부족 2.28(±.84)점, 진로모호성 2.27점(±.93), 외부갈등 1.73점(±.77)의 순으로 나타나 취업압박의 수준이 가장 높고 외부갈등의 수준이 가장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들이 취업에 대하여 많은 부담을 갖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able 6).

6.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진로스트레스의 차이

헤어미용전공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진로스트레스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t-test와 일원배치분석분석을 실시하였다(Table 7).
분석 결과 1학년에 비해 2학년의 취업압박으로 인한 진로스트레스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년의 상위집단일수록 취업스트레스가 높다고 보고한 Kim(2014)Hwang(1998)의 연구와 맥을 같이 하며 1학년보다 졸업이 임박한 2학년이 취업에 대한 고민과 갈등을 더 많이 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자격증 유무에 따른 진로스트레스의 차이 분석에서는 자격증을 취득한 학생이 정보부족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유의하게 많이 겪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진대회참여 경험이 있는 집단에서 취업 압박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격증을 취득하고 미용경진대회에 참여하는 등 보다 적극적으로 진로를 준비하는 학생일수록 진로스트레스에 많이 노출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Kim(2016)의 연구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2년이라는 짧은 기간동안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자격증을 취득하고 기술을 습득하는 과정이 학생들에게는 많은 부담으로 느껴질 것이다. 즉, 진로 계획과정에서 개인적으로 자격증을 취득하고 경진대회에 참여 하는 등의 활동 중에 정보부족 및 취업관련 압박으로 스트레스에 직면하게 된다는 의미이다. 그러므로 대학에서는 학생들의 진로설계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함으로써 학생들이 충분한 정보를 제공받고 체계적인 진로탐색의 과정을 거쳐서 안정적인 진로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특히 체험중심의 프로그램을 통해서 조기에 진로설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
산업체 현장실습 및 아르바이트경험 유무에 따른 진로스트레스의 차이 분석 결과 경험이 없는 집단에서 진로모호성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산업체 현장에 대한 경험이 없는 학생들은 실제 산업현장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에 진로에 대한 확신을 갖지 못하여 막연한 불안감에 휩싸이고 스트레스에 노출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는 직업정보 등이 부족하고 자신이 원하는 것이 분명하지 않을 때 진로장벽과 진로스트레스를 높게 지각한다고 보고한 Cho(2012)의 연구, 현장실습이 산업체에 대한 적응과 진로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는 중요한 과정이라고 한 Jeong(2015)의 연구 및 현장실습을 통한 실무교육 강화 및 직원들과의 긍정적인 교류는 향후 진로 결정에 도움이 된다고 한 Jeon(2017)의 연구와도 맥을 같이 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학생들이 산업체 현장실습을 비롯한 다양한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서 향후 취업할 산업체를 이해하고 취업에 대한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미용전공 선택동기에 따른 진로스트레스의 차이 분석에서는 ‘적성에 맞아서’ 라고 답한 집단에서 ‘취업압박’을 제외한 모든 요인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신의 적성에 맞아서 헤어미용을 선택한 경우 진로스트레스를 비교적 적게 받기는 하지만 전공선택 동기 여부와 관계없이 취업압박으로 인한 스트레스는 존재한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학생들의 진로를 지도할 때에는 자격증 취득 유무, 경진대회참가 경험 유무, 현장실습 및 전공 관련 산업체 아르바이트 경험 유무 등 학생 개인의 다양한 상황을 고려한 맞춤형 진로지도가 이루어져야 하며 재학 기간 내에 자격증 취득 및 전공과 관련된 다양한 체험활동과 체계적인 진로 지도 프로그램을 통해서 학생들이 자신감을 갖게 함으로써 진로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자신의 적성에 맞아서 헤어미용을 선택한 학생일지라도 취업압박에 대한 스트레스는 존재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학생별 맞춤형 진로 지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세심한 배려가 필요할 것이다.

7. 헤어미용전공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전공몰입의 관계에서 진로스트레스의 매개 효과

진로준비행동이 전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진로스트레스가 매개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검정하기 위하여 SPSS의 Process Macro Model 4(Hayes AF, 2017)를 적용하고 Bootstrap 샘플 5,000개, 신뢰구간 9 5%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Fig. 1> 및 Table 8에서와 같이 진로준비행동은 진로스트레스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고(B=-.18, t=-2.72, p<.001), 진로스트레스는 전공몰입에 유의한 부(-)의 영향(B=-.29, t=-5.31 p<.001)을 주어, 진로스트레스가 진로준비행동과 전공몰입 관계에서 매개하였다(Table 9). 즉 전공몰입에 대한 진로준비행동의 총효과는 B=.42(p<.001)이었으나 매개변수인 진로스트레스가 투입되면서 전공몰입에 대한 진로준비행동의 직접효과는 B=.37(p<.001)로 감소하여 진로스트레스가 매개하였음을 알 수 있다<Fig. 1>.
진로준비행동이 진로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진로스트레스는 전공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점, 그리고 진로준비행동과 전공몰입간 경로의 총효과가 직접효과보다 큰 점은 매개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진로스트레스는 진로준비행동과 전공몰입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진로준비행동이 진로스트레스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고 진로스트레스가 전공몰입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며 진로준비행동이 전공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진로준비행동이 높을수록 진로스트레스는 감소하고 전공몰입은 높아지며 진로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전공몰입이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들의 진로스트레스는 진로를 결정하기 위한 진로준비행동을 성공적으로 완수할 수 있다는 자신감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한 Lee(2018)의 연구, 진로발달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스트레스 정도가 낮아서 진로준비행동의 빈도를 높게 한다고 주장한 Lee et al.(2008)의 연구, 진로스트레스 요인인 진로모호성, 정보부족, 직업정보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이 낮아지게 된다고 주장한 Im(2018)의 연구, 전공몰입과 진로준비행동 간에는 유의미하게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다고 주장한 Park(2019)의 연구와도 맥을 같이 하는 결과이다.
진로준비행동이 전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진로스트레스의 간접효과 유의성 검증을 위해 Bootstrapping(Shrout & Bolger, 2002)을 사용한 분석 결과는 Table 9와 같다. 진로준비행동이 진로스트레스를 경유하여 전공몰입에 이르는 경로의 경우 간접효과의 95% 신뢰구간에서 상한값과 하한값 사이에 0이 존재하지 않아 간접효과가 검증되었다(B=.05, CI[-.40~-.18]). 따라서 진로준비행동과 전공몰입 사이에서 진로스트레스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V. 결 론

본 연구는 헤어미용전공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이 전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진로준비행동과 전공몰입의 관계에서 진로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변수들간의 영향관계를 보다 명확히 하고 학생들의 전공몰입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헤어미용전공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의 하위차원은 정보수집 활동, 자료구비 활동, 실천적 행동으로 나타났으며 전공몰입의 하위차원은 통제감 및 행동요인, 정서적요인, 시간 흐름의 변화요인, 지적호기심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진로스트레스의 하위차원은 진로모호성, 정보부족, 취업압박, 외부갈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헤어미용전공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 요인별 수준을 분석한 결과 취업압박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가장 높고 외부갈등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가장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진로스트레스를 분석한 결과 1학년보다는 2학년의 진로스트레스 수준이 높고 자격증을 취득한 집단, 전공 관련 경진대회참여 경험이 있는 집단, 전공 관련 산업체 현장 실습 등의 경험이 없는 집단에서 진로스트레스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자신의 적성에 맞아서 헤어미용을 선택한 집단의 진로스트레스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진로준비행동과 전공몰입의 관계에서 진로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진로스트레스의 매개 효과가 확인되었다. 즉, 진로준비행동이 진로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진로스트레스는 전공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점, 그리고 진로준비행동과 전공몰입간 경로의 총효과가 직접효과보다 큰 점은 매개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진로스트레스는 진로준비행동과 전공몰입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헤어미용전공 학생들의 전공몰입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자격증 취득 지도, 경진대회참가 지도, 현장실습 및 전공 관련 산업체 아르바이트 지원 등을 통해서 학생 스스로 적극적인 진로준비행동을 할 수 있도록 학생 개인의 다양한 상황을 고려한 맞춤형 진로지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재학 기간 내에 전공과 관련된 다양한 체험활동과 체계적인 진로지도 프로그램을 통해서 학생들이 자신감을 갖게 함으로써 진로스트레스를 줄이고 이를 통한 전공몰입을 높일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더불어 자신의 ‘적성에 맞아서’ 헤어미용을 선택한 학생일지라도 취업 압박에 대한 스트레스는 존재한다는 점을 충분히 이해하고 학생 개인별 맞춤형 진로지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세심한 배려를 함으로써 학생들이 자신의 전공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이 진로를 준비함에 있어서 충분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학과 또는 대학 차원의 진로 관련 정보제공 지원체계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헤어미용전공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이 전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진로스트레스의 매개역할을 밝힘으로써 두 변인 사이에서 진로스트레스의 역할을 분명히 하였다는 점과 학생들의 진로지도 및 전공몰입을 비롯한 학교생활 지도에서 진로스트레스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Fig. 1.
Mediator model of Career stress
JKSC-2022-28-3-469f1.jpg
Table 1.
Measuring instrument
Classification Dimension Number of questions Previous studie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formation gathering activity 4 Jeong (2021)
Data preparation activity 3
Practical behavior 4
Major immersion A sense of control and behavioral factors 5 Kim (2007)
Emotional factors 6
Intellectual factors 4 Hwan (2012)
Emotional factors 4
Career stress Intellectual factors 5 Song (2019)
paucity of information 5
Employment pressure 5 Kim (2014)
External conflict 4
General characteristics Grade, Certification, Participating in competition, Field experience, Career decision point, Major Selection Motivation 6 Jeong (2021)
Table 2.
General characteristics
Variable Category Frequency (people) Percentage (%)
Grade Freshman 126 51.9
Sophomore 117 48.1
Certification Acquired 159 65.4
Unacquired 84 34.6
Participating in competition Yes 114 46.9
No 129 53.1
Field experience Yes 79 32.5
No 164 67.5
Career decision point Middle school 45 18.5
High school 1 58 23.9
High school 2 67 27.6
High school 3 73 30.0
Major Selection Motivation Fit for aptitude 182 74.9
Job prospects 12 4.9
By recommendation 25 10.3
It’s interesting 24 9.9
Table 3.
Factor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Question Factor 1
Factor 2
Factor 3
Communality
(Information gathering activity) (Data preparation activity) (Practical behavior)
I have collected or planned to gather various information about interested industries .84 .15 .12 .72
In the past few months, I have looked into specific requirements for qualifications to advance into a career or career field that I am interested in .81 .18 .18 .72
I've been searching the Internet for information about jobs or careers that I'm interested in in in the last few weeks .74 .18 .17 .58
I am interested in materials, tools, equipment, etc. related to my favorite field and collect information from time to time .71 .22 .29 .63
In the past few weeks, I have purchased or read educational institutions related to jobs or careers that I am interested in, or brochures or leaflets of educational and training programs .21 .86 .10 .80
I have purchased or read books, leaflets, etc. related to my career or career interests in the past few weeks .22 .86 .16 .81
I bought the materials and tools I needed to get into a career I was interested in .22 .73 .16 .57
I have obtained or am preparing a certificate related to my planned career path .18 .14 .80 .67
I have prepared at a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 to enter a career of interest .19 .12 .72 .52
I have visited employment departments, counseling offices, or other counseling institutions in the past few months to consult career issues .35 .18 .67 .53
I always check what I have done to achieve my career goals (employment, college entrance) and plan specifically for what I have to do in the future .20 .46 .61 .63
Eigenvalue 4.23 1.65 1.30
explanatory power (%) 24.52 21.30 19.47
Cumulative explanatory power (%) 24.52 45.82 69.29
Cronbach's α .82 .80 .70
Table 4.
Factors of major immersion
Question Factors 1
Factors 2
Factors 3
Factor 4
Communality
A sense of control and behavioral factors Emotional factors Intellectual factors Emotional factors
I worked hard on my major assignment .842 .284 .123 .81
I studied hard in my major class .837 .260 .137 .105 .80
I actively participate in my major classes .737 .233 .242 .372 .79
I can find what I need to know in my major class .650 .275 .322 .182 .64
I have high concentration in my major .630 .256 .316 .415 .74
I have high expectations for my major classes .254 .769 .157 .68
I am interested in my major through major classes .357 .699 .236 .366 .81
I am interested in the knowledge I learn in my major classes. .348 .665 .335 .347 .80
I enjoy participating in major classes .387 .656 .316 .334 .79
I am proud to learn my major knowledge .257 .655 .346 .367 .75
I am more motivated in my major class than in other classes .309 .617 .348 .396 .75
I carry out my major assignment not because of the score, but because I enjoy it .177 .291 .771 .210 .75
The reason I'm faithful to my major class is not to brag to my friends, but because it's fun .313 .298 .765 .146 .79
I have a desire to challenge even if I am given an unfamiliar task in my major class .146 .188 .758 .354 .68
I feel that time goes by quickly in my major classes. .137 .166 .726 .260 .64
My self-confidence increases through my major classes. .232 .159 .273 .851 .88
My confidence in my major increases after my major class. .223 .249 .263 .805 .83
I want to show off my abilities by actively participating in my major classes. .178 .348 .335 .560 .58
When I perform my major class assignment, I get positive emotions. .238 .370 .454 .533 .76
Eigenvalue 3.76 3.69 3.56 3.26
explanatory power (%) 19.78 19.41 18.75 17.13
Cumulative explanatory power (%) 19.78 39.18 57.93 75.06
Cronbach's α .90 .93 .88 .87
Table 5.
Factors of career stress
Question Factors 1
Factors 2
Factors 3
Factors 4
Communality
Intellectual factors Paucity of information Employment pressure External conflict
It's hard because I'm not sure if the career I'm planning is the one I want 0.88 0.21 0.18 0.14 .83
I am frustrated because I am not sure about my current career path 0.87 0.16 0.13 0.19 .77
It's painful because I don't know the career path that suits my aptitude 0.85 0.28 0.20 .84
I'm anxious because I don't know what I want to do in the future 0.80 0.23 0.18 0.19 .87
I am worried that the job I have chosen will not fit my aptitude 0.74 0.13 0.29 0.11 .66
I'm embarrassed because I don't know what it takes to prepare for my career 0.22 0.85 0.20 0.12 .63
It's frustrating because I don't know how to prepare for the job I want 0.22 0.83 0.19 0.12 .69
It's hard for me because there aren't many people who help me prepare for my career 0.24 0.78 0.18 0.12 .64
I'm worried because I don't know what kind of qualifications are required for the job I want 0.17 0.74 0.21 0.19 .72
I'm at a loss because I don't have enough information about the job I want 0.12 0.71 0.25 0.14 .55
I'm worried if I can get a job where I want 0.16 0.83 .60
I am worried that I will not pass the job exam 0.12 0.19 0.79 0.11 .66
I'm stressed out because I have a lot of work to do to get a job 0.22 0.14 0.75 .79
I'm worried that there won't be enough jobs in the field I want to work in 0.25 0.20 0.72 .72
It is stressful for me to study school and prepare for a job at the same time 0.20 0.34 0.61 0.14 .83
My parents only want me to get a stable job and they don't care what I'm interested in, so I get into conflict with them 0.15 0.13 0.84 .71
My parents and I have different career paths, so we have conflicts 0.17 0.82 .72
I am concerned that others will negatively evaluate the career path I have chosen 0.18 0.17 0.81 .72
It bothers me because the career path I have planned is different from other people's expectations. 0.18 0.14 0.12 0.81 .75
Eigenvalue 8.27 2.39 1.89 1.60
explanatory power (%) 20.03 18.42 16.60 15.67
Cumulative explanatory power (%) 20.03 38.45 55.05 70.72
Cronbach's α .93 .90 .86 .87
Table 6.
Career stress level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hair design
Variable Category Subcategories Mean±SD (n=243)
Career stress Total 2.32±.65
Intellectual factors 2.27±.93
paucity of information 2.28±.84
Employment pressure 3.00±.71
External conflict 1.73±.77
Table 7.
Differences in career stres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Grade Freshman (n=126)
Sophomore (n=117)
t-value
M SD M SD
Intellectual factors 2.23 .87 2.31 1.00 -.66
paucity of information 2.27 .85 2.28 .84 -.07
Employment pressure 2.88 .90 3.11 .91 -2.01*
External conflict 1.79 .78 1.65 .76 1.44
Certification Acquired (n=159)
Unacquired (n=84)
t-value
M SD M SD
Intellectual factors 2.17 .93 2.45 .90 -2.29
Paucity of information 2.31 .91 2.20 .96 1.03*
Employment pressure 3.00 .96 3.00 .82 -.13
External conflict 1.64 .75 1.90 .79 -2.44
Participating in competition Yes (n=114)
No (n=129)
t-value
M SD M SD
Intellectual factors 2.22 .96 2.31 .90 -083
Paucity of information 2.29 .94 2.26 .75 .29
Employment pressure 3.06 1.03 2.94 .80 .96**
External conflict 1.58 .71 1.85 .80 -2.73*
Field experience Yes (n=126)
No (n=117)
t-value
M SD M SD
Intellectual factors 2.09 .83 2.36 .97 -2.13*
paucity of information 2.16 .88 2.33 .82 -1.44
Employment pressure 2.87 .90 3.06 .91 -1.44
External conflict 1.52 .63 1.82 .82 -2.89***
Career decision point Middle school (n=45) High school 1 (n=58) High school 2 (n=67) High school 3 (n=73) F-value
Intellectual factors 2.14±.98a 2.15±.93a 2.38±.92a 2.33±.92a 1.00
Paucity of information 2.27±.92a 2.30±.85a 2.18±.77a 2.33±.86a .43
Employment pressure 2.92±.91a 3.00±.94a 2.99±.90a 3.05±.92a .19
External conflict 1.59±.77b 1.62±.82b 1.70±.68ab 1.91±.79a 2.32
Major selection motivation It suits my taste (n=182) I think I'll get a good job (n=12) Recommendations from others (n=25) It was fun (n=24) F-value
Intellectual factors 2.11±.86b 3.03±.96a 2.70±.93a 2.65±1.07a 8.26***
Paucity of information 2.16±.85b 2.67±.81a 2.50±.74ab 2.74±.65a 5.29**
Employment pressure 2.92±.87a 3.40±.80a 30.3±.97a 3.32±1.14a 2.21
External conflict 1.16±.68c 2.10±.73ab 2.28±.95a 1.82±.95bc 7.26***
Table 8.
Mediating effect of career stress betwee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major immersion
Leading variable Result variable B S.E. t p LLCI ULCI R2 F
Parameter model (Dependent variable: Career Stress)
(constant) 2.93 .23 12.82 .000 2.48 3.38 .03 7.40***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areer Stress -.18 .07 _2 72*** .000 -.31 -.05
Parameter model (Dependent variable: Major immersion)
(constant) 3.32 .25 13.29 .000 2.83 3.81 .26 41.52***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ajor immersion .37 .06 6.38*** .000 .25 .48
Career Stress Major immersion -.29 .05 _5 31*** .000 -.40 -.18

* p<.05,

** p<.01,

*** p<.001

Table 9.
Indirect effects of career stress betwee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major immersion
Effect B S.E. LLCI* ULCI**
Total effect .42 .07 -.32 -.05
Direct effect .37 .06 .25 .48
Indirect effect .05 .05 -.40 -.18

* LLCI= 95% bootstrapped low limit confidence level

** ULCI= 95% bootstrapped upper limit confidence level

References

An, Y. J., & Seo, J. Y. (2013). The Effects of Work Hope and Career Motivation on College Students' Career Stress. Korea Youth Research Association, 20(11), 55-81.
Cho, H. J. (2012). Mediation and moderation effect of clooege life adaption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adaptability among junior collgeg students. The Journal or Career Education Research, 25(3), 61-75.
Choi, B. Y., Kim, B. R., Kim, A. R., Chang, S. N., Jung, S. H., & Lee, S. M. The Effect of Individual Difference in Perceiving Happenstance on Career Stress, Career Indecis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2(5), 1873-1891.
crossref
Choi, H. J., & Shin, H. J. (2017).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Gender Differences in the Moderation Effects of Career Stress.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2(3), 445-465.
crossref
Choi, H. R. (1986). The Stress Status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the Effects of Cognitive Behavioral Counseling.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Csikszentmihalyi, M. (1975). Play and intrinsic rewards. Journal of Humanistic Psychology, 15(3), 41-63.
crossref
Gibbons, C. (2012). Stress, positive psychology and the National Student Survey. Psychology Teaching Review, 18(2), 22-30.
crossref
Go, K. P., & Sim, M. Y. (2014). The Structural Relation of Self-efficacy, Job Stress, Career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career Education, 27(1), 19-38.
Han, D. Y. (2017). The Effects of Flow Experience of Beauty Science Students on Achievement Ability and Satisfaction with Study. Master’s thesis, Seokyeong University, Seoul.
Hayes, A. F.. (2017).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Second Edition: A Regression-Based Approach NY, Guilford Press, p.77-112.
Hwang, J. Y. (2012). The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nd Major Flow Experience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Job Search Behavior.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Hwang, J. Y., & Park, J. H. (2015). A Structural Analysis of 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Related to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College Student.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34(5), 73-101.
Hwang, S. W. (1998). A Study on Employment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Dong-A University, Busan.
Im, H. J. (2018). The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 Career Barrier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aster’s thesis, Daegu Haany University, Gyeongbuk.
Jeon, H. J. (2017). Impact of Satisfaction with Work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esthetics on Professional Identity and Career Prepar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3(6), 1205-1217.
Jeong, H. Y. (2015). Necessity and expectation properties of the beauty care professionals on the field practicum of the students majoring in hair desig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1(5), 820-829.
Jeong, H. Y. (2021). Differences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ccording to personal variable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hairdress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7(3), 713-722.
crossref
Jung, C. H. (2014). Coffee Barista Students’ Major-Satisfaction on Major-Commitment and Self-Efficacy Concerning Career Decision. Master’s thesis, Sejong University, Seoul.
Kang, M. C., Shin, M. R., & Lee, A. R. (2011). The Relationships among Career Stress, Avoidance-Oriented Coping Strategy, and Self-Esteem: Ba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Korean Journal Counseling, 12(5), 1663-1682.
crossref
Kim, M. O., & Park, Y. S.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Preparing Behavior and Jobs Seeking Stress in University students: Morderation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Korea Youth Research Association, 19(11), 69-90.
Kim, B. H. (1997).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college students. Doctoral dissertation, Seoul University, Seoul.
Kim, H. J. (2007). The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nd Flow Experience on Career Decision Efficac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Master's thesis at Sungkyunkwa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ul.
Kim, H. W. (2016).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employment Strategies adopted by prospective graduates of General University and Vocational Cooege on Job Search Stress. master’s thesis. Kyonggi University, Suwon.
Kim, Y. J.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Preparing Behavior and Stress Factors i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kin care: Morderation Effect of Stress-Handling Method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7(3), 757-764.
Larson, M. L., & Majors, M. S. (1998). Application of the coping with career indecision instrument with adolescent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6:163-179.
crossref
Lee, Y. J. (2018).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tres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University Stydents : The Mediation Effect of Self-Encouragment. master’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Lee, H. R., Kim, S. M., Chun, M. S., & Choi, S. K. (2008). A Structural Analysis of Career Stress, Career Barriers, Career Developmen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dergraduate Students. Korean Journal Counseling, 21(4), 59-80.
Park, H. S. (2019). The effect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major flow,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 Doctoral dissertation, Dong-A University, Busan.
Park, M. K. (2010). A Study on the University Student’s Major commitment and Career-Related Self-Efficacy on Vocational Exploratipn Behavior and Employment.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 Ju.
Park, S. H. (2009). The Effect of Career Stress and Coping Strategy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Level of College Students. Master’s thesis, DongKook University, Seoul.
Ryu, M. H. (2002).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ption of Home Environments and Career Choice Stress of High School Students.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Dong-A University, Busan.
Shin, H. J. (2016). The Latent Profile Analysis of College Students' Career Stres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esting the Effects of Career Motivation.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3(2), 349-373.
crossref
Sin, J. Y., Park, S. S., & Heung, J. E. (2012). Influence of Career Barrier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The Korea Society for the Study of Career Education, 25(1), 19-35.
Shrout, P. E., & Bol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4), 422-445.
crossref pmid
Song, M. H. (2019). The mediating effects of gri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tress and Career Futures Inventory-Revised (CFI-R) of College Students.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 Social Welfare Kyonggi University, Suwon.
Song, M. H., & An, Y. J. (2020). The Mediating Effects of Gri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tress and Career Futures of College Students. Global Creative Leader: Education & Learning, 10(1), 193-218.
Speas, C. M. (1979). Job-seeking interview skills training: A comparison of four instructional techniqu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6(5), 405-412.
crossref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10-2825-6735   Fex: +82-62-950-3797    E-mail: beauty2007@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