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Cosmetol > Volume 28(4); 2022 > Article
미용전공 여대생의 현장실습만족, 직무이해, 진로의식성숙의 상관관계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unveil the influence of satisfaction with field training on job understanding and career maturity. In terms of the effects of satisfaction with field training on job understanding in college women majoring in cosmetology, ‘satisfaction with field training experience’ and ‘satisfaction with field training courses’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understanding’, ‘understanding of job type’ and ‘understanding of occupational outlook’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Regarding the influence of satisfaction with field training on career maturity, ‘satisfaction with field training experience’ and ‘satisfaction with field training courses’ had a positive effect on ‘determination’, ‘planning’, ‘propensity’ and ‘compromise’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erning the influence of job understanding on career maturity, ‘understanding of occupational outlook’ was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ation’. In ‘planning’, on the contrary, ‘understanding of occupational outlook’, ‘understanding of job type’ and ‘job understanding’ were critical. In ‘propensity’, ‘understanding of occupational outlook’ and ‘understanding of job type’ were important factors. In ‘compromise’, lastly, ‘understanding of occupational outlook’ and ‘job understanding’ were crucial. It is anticipated that the study results would be available as basic data in developing programs for job understanding and career maturity through field training.

I. 서 론

일경제 이코노미(2017)는 미용 분야를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도 사라지지 않을 분야로 언급하였다.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서는 생산통제의 주체가 사람에서 기계로 바뀌는데, 미용 분야는 인간의 감성과 개성을 기본으로 하므로 대체가 불가하다는 뜻이다. 이처럼 미용 분야는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대인 서비스 업종으로 고객과 대면하며 소통해야 하는 분야이기 때문에 미용전공분야에 대한 지식, 기술력, 창의력, 서비스 정신을 지닌 미용인재의 양성은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도 여전히 중요한 주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미용을 전공하는 학생이 학교교육을 통하여 전문적인 이론과 기술을 습득한 후 현장실무 교육으로 실무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은 미용 분야의 강화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중요한 방안이 된다. 또한 인간의 신체에 직접적으로 시술하는 까닭에 실습의 중요성을 아무리 강조하여도 모자람이 없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Shin & Kim, 2018).
현장실무 교육을 위한 현장실습은 대학에서 배운 이론과 지식을 토대로 학생이 현장에서 고객을 직접 관리하는 실제 상황에 적응하도록 준비하고 전문적 기술과 행동방향을 터득하여 졸업 후 전문가로서 종사하기 위한 가치관과 태도를 형성해 나가는 과정이다. 그동안 학교에서 배운 이론과 실기를 직접 현장에 적용하여 자신의 적성을 발휘하고 검토하는 기회제공을 목적으로 하므로 필수불가결한 요소가 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1년 상반기 청년 실업률은 10.0%, 청년층 체감실업률은 25.1%에 달하는데 코로나19 사태가 산업 전반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산업체에서는 취업 후 바로 직무현장에 투입되어 원활한 직무수행이 가능한 경력사원 같은 신입사원을 원하나 산업체가 요구하는 수준에 도달한 숙련된 인력을 양성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므로 현장실습이 더욱 중요시된다. 현장실습은 자신의 소질, 적성, 관심분야, 직무능력 등을 미리 경험함으로써 직업과 진로를 창의적으로 선택하게 하며 학교교육을 완료한 후 직무현장에 대한 적응력과 직무능력 향상에 기여한다. 특히 학교의 이론적 교육을 바탕으로 학교, 산업체 간 연계를 도모한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Yu & Choi, 2013). 따라서 현장실습에 대한 경험이 직무이해와 진로의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미용 현장실습에 관련된 연구는 Seo(2019)의 현장실습이 전공만족,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취업행동에 미치는 영향, Kang (2014)의 현장실습에 대한 중요도 및 필요도, Jeon(2017)의 현장실습 만족도가 전문직 정체성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Yun et al.(2019)의 미용교육 현장실습 구성요인이 만족도및 진로행동에 미치는 영향, Kim & Kim(2018)의 미용전공 여대생의 현장실습 전·후 직무관련성과 직무이해 및 만족도 조사, Yu & Lee(2022)의 한중 미용대학 교육과정과 진로준비행동 및 진로성숙도 등의 연구가 있다. 그러나 전공능력 향상과 현장적 응력을 갖춘 인재양성이라는 목표를 갖고, 적극적인 취업기회 확대의 방안으로 꼽히는 현장실습의 중요성에 비해 그와 연관된 직무이해나 진로의식에 대한 상관관계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장실습만족도, 직무이해도, 진로의식 성숙도의 연관성을 실증연구를 통해 밝혀내고자 하며, 현장실습을 통한 직무이해 및 진로의식성숙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II. 이론적 배경

1. 현장실습

현장실습이란 산업체와 학교가 공동으로 참여한 인재양성교육이다. 정해진 기간 동안 현장에서 이루어지며, 주어진 직무를 위한 실습교육으로 학점을 부여받는 제도이다(The Ministry of Education, 2013). 이는 학교교육 이전부터 존재하였으며, 중세시대 유럽의 도제교육의 원형이 이론 및 실습교육으로 분리되면서 학교에서는 이론교육을, 산업체에서는 실습교육을 하게 되었고 1906년 신시내티 대학의 Herman Schneide에 의해 최초 시행되었다(Korea Vocational Ability Development Institute, 2014).
현장실습은 학교가 아닌 직무현장에서 실제로 직무를 수행함으로써 얻게 되는 직접경험(Kang et al., 2014)으로 교육과정의 일부이자 현장에 투입되어 직업적 경험을 체득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현장실습은 학습자가 학교에서 배운 교과과정의 내용을 직무와 연계하는 교육경험인 동시에 실제 직무환경에서 습득할 수 있는 전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가 된다. 현장실습은 직무체험을 통해 개인의 역량에 따라 직업에 대한 선택 능력 향상 및 선택 기회 제공, 문제해결 능력 함양, 융합과 협력으로 사회를 책임지는 구성원으로서 적응력을 배양하는 목적을 갖고 있다. 또한 산업체가 필요로 하는 전공능력 및 현장적응력이 뛰어난 전문가를 양성하고, 산·학·관 협동체제의 활성화를 통해 국가산업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함이다(The Ministry of Education, 2013).

2. 직무이해

직무(職務)란 과업이나 작업의 종류와 난이도가 비슷한 업무들을 묶어서 표현하는 말로 조직원 개개인이 책임을 맡고 담당하여 맡은 일을 의미한다. 즉, 조직원 개개인이 조직 내에서 담당해야 하는 역할을 의미하는 것이다. 생산 활동을 하는 개인에 의하여 정규적으로 수행되도록 계획되어 훈련되는 업무 및 임무라고 정의되며, 직업분류의 가장 기본적인 개념이다. 따라서 직무이해란 개인의 진로결정, 직업선택, 취업과 직장생활로 이어지는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시행착오에 대비하여 개인의 직무를 이해하고 만족감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는 개인이 속한 조직의 구조와 업무 분장, 권리와 의무, 조직 운영의 목표 등을 잘 이해하여 조직의 목표를 조직의 운영 방식 안에서 효율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능력과 직결된다.

3. 진로의식성숙

진로(進路)란 인생을 살아가는 과정에서 선택하게 되는 모든 일을 뜻하며, 일을 중심으로 한 개인의 전 생애를 가리키는 용어이다. 진로에는 개인이 태어날 때부터 시작하여 자신의 교육, 결혼, 직업 등 삶의 모든 선택 문제가 포함되는데, 이 중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직업이다.
진로에 대한 의식은 신체적, 지적, 정서적 발달과 마찬가지로 차츰 성숙해 가면서 발달한다. 자기를 이해하고 직업 세계를 탐색하는 과정을 통해 진로 의식이 성숙하는 것이다. 진로 성숙이란 특정 시기에 이루어지지 않고, 인생의 전 과정을 통해 변화하고 발전하며, 개인의 흥미, 성향 등 내적 요인과 가정 및 학교환경과 같은 외적 요인들 간의 상효작용으로 이루어진다. 진로성숙도는 개인이 진로를 결정할 때, 자기이해와 독립적 의사결정을 해야 하는 발달의 정도, 진로선택과 진로계획에서 인지적, 정의적 준비도를 정의하기도 한다. 또한 개인의 발달단계 중 진로와 관련한 문제를 해결하고 대응하는 과정으로 자신의 이해와 직업에 대한 태도를 기반으로 하여 주도적으로 진로를 계획하고 합리적으로 선택하는 발달의 정도라 할 수 있겠다. 따라서 진로의식성숙도란 개인이 나와 타인에게 있어 바람직한 선택이 가능한 능력과 직업의 선택 시 필요한 상황 및 조건을 인지하는 것을 말하며 진로준비행동과 서로 긍정적 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Hwang & Moon, 2012).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소재의 K대학교에 재학 중인 미용전공 여대생 중 현장실습을 경험한 자를 대상으로 하여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자가 연구의 목적과 내용을 설명하고 이에 동의한 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22년 3월 2일부터 3월 16일까지 2주 동안 실시한 설문조사로 획득한 설문지 170부 중 150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2. 연구방법

본 연구를 위한 설문지는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구성하였다. Table 1과 같이 Hwang(2020)의 연구를 참고하여 현장실습만족도에 대한 7문항, Wang(2018), Kim(2019)의 연구를 참고로 직무이해도에 대한 9문항, Lee(2018), Lee(2013), Kim(2019)의 연구를 참고로 진로의식성숙에 관한 8문항을 구성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에 관한 3문항은 위의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본 연구자가 재구성하였다.

3. 자료 분석 및 방법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v. 25.0 통계 패키지 프로그 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측정도구의 타당성 검증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셋째, 각 변수들 간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미용전공 여대생들의 현장실습 만족도가 직무이해도와 진로의식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분석결과 학년은 1학년 27명(18.0%), 2학년 27명(18.0%), 3학년 45명(30.0%), 4학년 51명(34.0%)으로 나타났고, 전공은 피부미용 33명(22.0%), 헤어미용 45명(30.0%), 메이크업&네일미용 72명(48.0%)으로 나타났으며, 성적은 2.5 미만 12명(8.0%), 2.5-3.0 미만 14명(9.3%), 3.0-3.5 미만 4 1명(27.3%), 3.5-4.0 미만 60명(40.0%), 4.0 이상 23명(15.3%)으로 나타났다.

2.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1) 현장실습 만족도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현장실습 만족도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결과는 Table 3과 같다. 먼저 KMO값이 0.847, Bartlett 구형성 검정 결과 x²=883.573(df=21, p=0.000)로 요인분석을 위한 변수의 선정이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요인분석을 진행한 결과, 아이겐 값(Eigen Value)은 1이상인 요인만을 선택하는데 총 2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총 2개 요인의 누적분산설명력은 83.650% 로 나타났고, 각 하위요인별 ‘실습경험만족’이 46.632%, ‘실습교육만족’이 37.018%로 나타났다. 즉, 2개 요인의 요인 적재치는 0.40 이상으로서 타당성이 검증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신뢰도 또한 0.60 이상으로서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볼 수 있다.

2) 직무이해도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직무이해도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결과는 Table 4와 같다. 먼저 KMO값이 0.841, Bartlett 구형성 검정 결과 χ2= 960.872(df=36, p=0.000)로 요인분석을 위한 변수의 선정이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요인분석을 진행한 결과, 아이겐 값(Eigen Value)은 1이상인 요인만을 선택하는데 1개의 문항이 제거, 총 3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총 3개 요인의 누적분산설명력은 82.963%로 나타났고, 각 하위요인별 ‘직업종류 이해’가 29.144%, ‘직무자체 이해’가 27.183%, ‘직업전망 이해’가 26.637%로 나타났다. 즉, 3개 요인의 요인 적재치는 0.40 이상으로서 타당성이 검증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신뢰도 또한 0.60 이상으로서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볼 수 있다.

3) 진로의식성숙도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진로의식성숙도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결과는 Table 5와 같다. 먼저 KMO값이 0.814, Bartlett 구형성 검정 결과 χ2=1044.413(df=55, p=0.000)로 요인분석을 위한 변수의 선정이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요인분석을 진행한 결과, 아이겐 값(Eigen Value)은 1이상인 요인만을 선택하는데 총 4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총 4개 요인의 누적분산설명력은 82.251% 로 나타났고, 각 하위요인별 ‘성향’이 22.154%, ‘계획성’이 22.078%, ‘결정성’이 20.374%, ‘타협성’이 17.645%로 나타났다. 즉, 4개 요인의 요인 적재치는 0.40 이상으로서 타당성이 검증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신뢰도 또한 0.60 이상으로서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볼 수 있다.

3. 상관관계 분석

미용전공 여대생들의 현장실습 만족도, 직무이해도, 진로의 식성숙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분석결과 현장실습 만족도의 하위 요인별 실습경험만족, 실습교육만족은 직무이해도의 하위요인별 직무자체 이해, 직업종류 이해, 직업전망 이해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 .001), 진로의식성숙도의 하위요인별 결정성, 계획성, 성향, 타협성과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또한 직무이해도의 하위요인별 직무자체 이해, 직업종류 이해, 직업전망 이해는 진로의식성숙도의 하위 요인별 결정성, 계획성, 성향, 타협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즉 현장실습 만족도, 직무이해도, 진로의식성숙도는 서로 연관성이 있으며 중요한 관계에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4. 미용전공 여대생의 현장실습 만족도가 직무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미용전공 여대생의 현장실습 만족도가 직무이해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먼저 직무자체 이해에 있어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33.2%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36.524, p<.001). 독립변수별로는 실습경험만족(β=.380, p<.001), 실습교육만족(β=.260, p<.01)이 직무자체 이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무자체 이해에 있어서는 현장실습 만족도의 하위요인별 실습경험만족, 실습교육만족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직업종류 이해에 있어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24 .7%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24.109, p<.001). 독립변수별로는 실습교육만족(β=.361, p<.001), 실습경험만족 (β=.187, p<.05)이 직업종류 이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업종류 이해에 있어서는 현장실습 만족도의 하위요인별 실습교육만족, 실습 경험만족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직업전망 이해에 있어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31.1%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33.107, p<.001). 독립변수별로는 실습경험만족(β=.385, p<.001), 실습교육만족(β=.231, p<.01)이 직업전망 이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업전망 이해에 있어서는 현장실습 만족도의 하위요인별 실습경험만족, 실습교육만족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이는 현장실습에 있어 실습경험만족과 실습교육만족이 직무이해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현장실습 후 직무이해도가 높아진다는 결과를 도출한 Kim & Kim(2018)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이며, 현장실습만족도가 취업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Hwang(2020)의 연구와 관련 있다.

5. 미용전공 여대생의 현장실습 만족도가 진로의식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미용전공 여대생의 현장실습 만족도가 진로의식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8과 같다. 먼저 결정성에 있어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14.1%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12.028, p<.001). 독립변수별로는 실습경험만족(β=.213, p<.05), 실습교육만족(β=.205, p<.05)이 결정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결정성에 있어서는 현장실습 만족도의 하위요인별 실습경험만족, 실습교육만족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계획성에 있어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26.9%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27.077, p<.001). 독립변수별로는 실습교 육만족(β=.305, p<.01), 실습경험만족(β=.273, p<.01)이 계획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계획성에 있어서는 현장실습 만족도의 하위요인별 실습교육만족, 실습경험만족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성향에 있어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27.4%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27.754, p<.001). 독립 변수별로는 실습경험만족(β=.345, p<.001), 실습교육만족(β= .236, p<.01)이 성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향에 있어서는 현장실습 만족도의 하위요인별 실습경험만족, 실습교육만족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타협성에 있어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27.1%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 27.266, p<.001). 독립변수별로는 실습교육만족(β=.314, p<.01), 실습경험만족(β=.266, p<.01)이 타협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타협성에 있어서는 현장실습 만족도의 하위요인별 실습교육만족, 실습경험만족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이는 현장실습이 진로 의식에 영향을 미치며 현장실습에 대한 만족이 높을수록 성숙된 진로의식을 갖게 된다는 결과를 도출한 Jeon(2014)의 연구와 일치한다. 또한 성공적인 현장실습 경험이 자기 효능감을 고취시키고, 직무이해도와 기대감을 높여주며, 취업 기회 등사회진출 분야 설정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Joo(2013)의 연구와도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Lee(2018)의 연구에서도 진로의식성숙도가 자기주도적 능력과 관련이 있고, 개인의 진로를 개척하는 진로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여 본 연구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미용전공 여대생의 직무이해도가 진로의식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미용전공 여대생의 직무이해도가 진로의식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9와 같다. 먼저 결정성에 있어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41.2%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34.118, p<.001). 독립변수별로는 직업전망 이해(β=.553, p<.001)가 결정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결정성에 있어서는 직무이해도의 하위요인별 직업전망 이해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계획성에 있어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29.2%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20.033, p<.001). 독립변수별로는 직업전망 이해(β=.230, p<.05), 직업종류 이해(β=.226, p<.05), 직무자체 이해(β=.196, p<.05)가 계획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계획성에 있어서는 직무이해도의 하위요인별 직업전망 이해, 직업종류 이해, 직무자체 이해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성향에 있어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35.6%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26.888, p<.001). 독립변수별로는 직업전망 이해(β=.328, p<.001), 직업종류 이해(β=.290, p<.01)가성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향에 있어서는 직무이해도의 하위요인별 직업전망 이해, 직업종류 이해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타협성에 있어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45.8%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41.060, p<.001). 독립 변수별로는 직업전망 이해(β=.599, p<.001), 직무자체 이해 (β=.183, p<.05)가 타협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타협성에 있어서는 직무이해도의 하위요인별 직업전망 이해, 직무자체 이해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결국 직무자체 이해는 계획성 타협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Yun(2009)의 연구와 같이 현실과의 타협에 어려움이 없는 학생이 진로선택에 대한 확신이 높다는 연구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직업종류 이해는 성향, 계획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Kim(2019)의 연구와 일치하는 것으로 자신이 특성에 맞추어 설정한 진로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목표를 계획하고 매진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겠다. 또한 직업전망 이해는 결정성, 계획성, 성향, 타협성이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자신이 원하는 직업을 갖기 위해 갖추어야 하는 능력과 구체적 요건에 대해 알고 준비한다는 Cha(2017)의 연구 결과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V. 결 론

본 연구는 미용전공 여대생의 현장실습만족도, 직무이해도, 진로의식성숙도의 연관성을 밝혀내어 현장실습을 통한 직무이해 및 진로의식성숙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미용전공 여대생의 현장실습 만족도가 직무이해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실습경험만족, 실습교육만족이 직무자체 이해, 직업종류 이해, 직업전망 이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무자체 이해, 직업종류 이해, 직업전망 이해에 있어서는 현장실습 만족도의 하위요인별 실습경험만족, 실습교육만족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둘째, 미용전공 여대생의 현장실습 만족도가 진로의식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실습경험만족, 실습교육만족이 결정성, 계획성, 성향, 타협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결정성, 계획성, 성향, 타협성에 있어서 현장실습 만족도의 하위요인별 실습교육 만족, 실습경험만족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셋째, 미용 전공 여대생의 직무이해도가 진로의식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결정성, 계획성, 성향, 타협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정성에 있어서는 직무이해도의 하위요인별 직업전망 이해가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고, 계획성은 직업 전망 이해, 직업종류 이해, 직무자체 이해가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성향에 있어서는 직무이해도의 하위요인별 직업전망 이해, 직업종류 이해가 중요한 요인이며, 타협성에 있어서는 직무이해도의 하위요인별 직업전망 이해, 직무자체 이해가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기능력이 중요시 되는 전공에서 현장실습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을 것이다. 또한 현장실습 후 현장 실습에 임했던 산업체로의 취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대학의 유형이나 전공, 지도교수에 따른 차이는 있겠으나 전반적으로 현장실습을 적극 권장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실습에 대한 만족이 직무이해도와 진로의식성숙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으나 본 연구에는 몇 가지 한계점이 있다. 특정 지역의 여대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지역, 성별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다는 점과 현장실습을 경험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현장실습을 경험하지 못한 학생들과의 비교가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또한 현장실습 전․후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지 못하였다는 것도 한계점이 된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연구의 범위를 넓히고 현장실습을 경험하거나 하지 않은 학생들과의 비교, 현장실습 전․후의 비교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able 1.
Composition of survey questions
Division
Number of Questions Prior research Measure
Factor Sub-factor
Satisfaction with field practice Satisfaction with practice experience 4 Hwang (2020) 5 Likert
Satisfaction with practical education 3
Job understanding Understanding job types 3 Wang (2018), Kim (2019)
Understanding the job itself 3
Understanding career prospects 3
Career consciousness maturity Planning 3 Lee (2018), Lee (2013), Kim (2019)
Tendency 3
Decision 3
Compromise 2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3 Researcher development
Table 2.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Division Frequency (N) Percent (%)
Grade 1 27 18.0
2 27 18.0
3 45 30.0
4 51 34.0
Major Skin care 33 22.0
Hair 45 30.0
Makeup & Nail art 72 48.0
Grades less than 2.5 12 8.0
less than 2.5-3.0 14 9.3
less than 3.0-3.5 41 27.3
less than 3.5-4.0 60 40.0
4.0 or higher 23 15.3
Total 150 100.0
Table 3.
Valid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field experience satisfaction
Question Ingredient
Sa仕sfaction with practice experience Satisfaction with practical education
Through on-the-job training, I felt more proud of my major. .891 .236
I am satisfied with the on-the-job experience. .889 .257
I was able to improve my major knowledge and skills through on-the-job training. .857 .349
I can get a lot of information about the job I want and the industry. .832 .356
I was educated on the necessary matters by the company before performing actual work. .256 .886
I am satisfied with the training program of the field training company. .313 .855
The practical tasks and workload were appropriate for the trainees* level and abilities. .298 .840
Eeigenvalues 3.264 2.591
Dispersion explanation (%) 46.632 37.018
Cumulative dispersion explanation (%) 46.632 83.650
Reliability .937 .890
KMO=.847, Bartlett's test χ2=883.573 (df=21, p=.000)
Table 4.
Verific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job understanding
Question Ingredient
Understanding job types Understanding the job itself Understanding career prospects
I learned about the types of beauty-related occupations by collecting information directly. .908 .104 .195
I think I have enough information about the type of job or job I want. .852 .207 .315
It recognizes more than 10 types of beauty-related occupations. .828 .250 .305
Counseling or guidance was provided to help people understand their jobs by type of beauty-related occupations through beauty education. .253 .885 .157
School education to help students understand jobs for each type of beauty-related job was systematic. -.024 .862 .327
I understand the duties of each type of beauty-related occupation. .321 .791 .151
Job informa仕on changes frequently, so check it out before entering society. .221 .189 .844
I know about the prospects of each job related to beauty. .307 .152 .826
I learned about the prospects of each career related to beauty through school classes. .273 .348 .786
Eeigenvalues 2.623 2.446 2.397
Dispersion explanation (%) 29.144 27.183 26.637
Cumulative dispersion explanation (%) 29.144 56.326 82.963
Reliability .914 .871 .871
KMO=.841, Bartlett's test χ2=960.872 (df=36, p=.000)
Table 5.
Verific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career consciousness maturity
Question Ingredient
Tendency Planning Decision Compromise
I will definitely choose the job I like, regardless of other people's opinions. .877 .188 .027 .188
I sometimes imagine myself working hard in a certain profession. .809 .124 .279 .164
I will do everything I can to get the job I want. .767 .201 .322 .206
I know what I need to do to get the job I want. .196 .871 .181 .173
I think it is good to discuss my career path with my teacher or parents. .204 .837 .153 -.014
I have a clear career plan compared to my peers. .087 .816 .003 .360
I think choosing a job is difficult because there are a lot of things to think about when choosing a job. .240 -.041 .894 .054
I think that the field of beauty is suitable for my aptitude. .036 .320 .797 .280
I already know which job is best suited to my abilities and conditions. .396 .188 .691 .242
When deciding on a career or career, I will choose according to the criteria I have set. .269 .193 .177 .882
Even if it's hard work, I'll choose it if it's something I like. .222 .185 .244 .871
Eeigenvalues 2.437 2.429 2.241 1.941
Dispersion explanation (%) 22.154 22.078 20.374 17.645
Cumulative dispersion explanation (%) 22.154 44.232 64.606 82.251
Reliability .862 .855 .832 .909
KMO=.814, Bartlett's test χ2=1044.413 (dJ=55, p=.000)
Table 6.
Correlation analysis
Division Satisfaction with on-the-job training
Job understanding
Career consciousness maturity
Satisfaction with practice experience Satisfaction with practical education Understanding the job itself Understanding job types Understanding career prospects Decision Planning Tendency Compromise
Satisfaction with practice experience 1
Satisfaction with practical education .609*** 1
Understanding the job itself .538*** .491*** 1
Understanding job types .406*** .474*** .451*** 1
Understanding career prospects .526*** .466*** .524*** .602*** 1
Crystallinity .338*** .335*** .361*** .460*** .634*** 1
Planning .459*** .472*** .418*** .452*** .468*** .370*** 1
Tendency .489*** .446*** .376*** .520*** .541*** .528*** .422*** 1
Compromise .457*** .476*** .469*** .383*** .659*** .496*** .442*** .511*** 1

* p<.05,

** p<.01,

*** p<.001

Table 7.
Effect of job satisfaction of femal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on job comprehension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Unnormalized coefficient
Standardization factor
t p F R² (Adj. R²)
B S.E β
Understanding the job itself (a constant) 1.647 .282 5.833 .000 36.524*** .332 (.323)
Satisfaction with practice experience .377 .084 .380 4.464*** .000
Satisfaction with practical education .242 .079 .260 3.059** .003
Understanding job types (a constant) 1.666 .323 5.160 .000 24.109*** .247 (.237)
Satisfaction with practice experience .200 .097 .187 2.068* .040
Satisfaction with practical education .362 .091 .361 3.996*** .000
Understanding career prospects (a constant) 1.535 .297 5.172 .000 33.107*** .311 (.301)
Satisfaction with practice experience .396 .089 .385 4.460*** .000
Satisfaction with practical education .223 .083 .231 2.679** .008

* p<.05,

** p<.01,

*** p<.001

Table 8.
The effect of satisfaction with field training of femal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on career consciousness maturity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Unnormalized coefficient
Standardization factor
t p F R² (Adj. R²)
B S.E β
Decision (a constant) 2.577 .301 8.574 .000 12.028*** .141 (.129)
Satisfaction with practice experience .199 .090 .213 2.213* .028
Satisfaction with practical education .179 .084 .205 2.122* .035
Planning (a constant) 1.292 .353 3.664 .000 27.077*** .269 (.259)
Satisfaction with practice experience .323 .105 .273 3.067** .003
Satisfaction with practical education .340 .099 .305 3.435** .001
Tendency (a constant) 2.358 .253 9.307 .000 27.754*** .274 (.264)
Satisfaction with practice experience .295 .076 .345 3.894*** .000
Satisfaction with practical education .189 .071 .236 2.664** .009
Compromise (a constant) 1.810 .312 5.804 .000 27.266*** .271 (.261)
Satisfaction with practice experience .279 .093 .266 2.992** .003
Satisfaction with practical education .309 .087 .314 3.530** .001

* p<.05,

** p<.01,

*** p<.001

Table 9.
The effect of occupational understanding of femal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on career awareness maturity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Unnormalized coefficient
Standardization factor
t p F R² (Adj. R²)
B S.E β
Decision (a constant) 1.598 .278 5.745 .000 34.118*** .412 (.400)
Understanding the job itself .016 .071 .018 .231 .818
Understanding job types .104 .071 .120 1.476 .142
Understanding career prospects .502 .077 .553 6.510*** .000
Planning (a constant) .899 .389 2.312 .022 20.033*** .292 (.277)
Understanding the job itself .234 .100 .196 2.348* .020
Understanding job types .250 .099 .226 2.534* .012
Understanding career prospects .265 .108 .230 2.466* .015
Tendency (a constant) 2.013 .267 7.535 .000 26.888*** .356 (.343)
Understanding the job itself .064 .068 .074 .927 .355
Understanding job types .232 .068 .290 3.419** .001
Understanding career prospects .272 .074 .328 3.683*** .000
Compromise (a constant) 1.110 .301 3.688 .000 41.060*** .458 (.446)
Understanding the job itself .193 .077 .183 2.500* .014
Understanding job types -.058 .076 -.059 -.763 .447
Understanding career prospects .612 .083 .599 7.342*** .000

* p<.05,

** p<.01,

*** p<.001

References

Cha, H. Y. (2017). A Study on the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of Music University Students. A Study on the Master's Degree of Ewha Woma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51.
Hwang, M. K., & Moon, Y. J. (2012). The Effects of Career and Work Competenc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Students in Academic High Schools- With a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Maturity.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19(4), 1-25.
Jeon, H. J. (2017). Impact of Satisfaction with Work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esthetics on Professional Identity and Career Preparation.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3(6), 1205-1217.
Jeon, S. N. (2014). Social work field training awareness on the impact of the research career.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19(6), 119-128.
crossref
Joo, I. Y. (2013). Awareness of career beliefs through CPTED field experience of security-related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Security, 12(1), 240-264.
Kang, B. R., Park, J. Y., & Kang, S. K. (2014). Awareness of field training and expected attributes of students majoring in beauty.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0(4), 726-734.
Kang, S. K. (2014). Study on Analysis of Factors of Skin Care Employees' Importance and Necessity on Work Experience.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0(6), 1076-1082.
Kim, D. H. (2019). The Effect of Beauty Curriculum Satisfaction on Career Perception Maturity and Job Understanding, A Study on the Master's Degree of Gwangju Women's University, 57.
Kim, E. H., & Kim, S. H. (2018). A Study on the Job Relationship, Job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of Female Beauty Major Students Before and After Field Training.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keup Design, 14(2), 25-32.
Korea Vocational Ability Development Institute. (2014).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Field Training and Practical Semester System in Vocational College and Policy Improvement, 13.
Lee, B. H. (2013). Career Awareness and Career Maturity Survey of Piano Major Students in Music University. A Study on the Master's Degree of Sookmyung Wome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8.
Lee, H. J. (2018).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Career Maturity of High School Students: Comparison by Grade, Classification, and End-of-Life Education Study (GEPS), Ph.D. thesis of Myongji University Graduate School, 7-130.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21). Trends in unemployment among young people (15-29).
Park, J. H., Byun, S. S., Lee, E. K., Song, Y. S., & Lee, G. W. (2010). An Empiric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College Curriculum Using Job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Industrial Management Association, 45-68.
Seo, R. S. (2019).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Major Satisfacti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Employment Behavior of field Students in Cosmetology University - Focusing on the difference between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about Fieldwork -.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5(1), 1-9.
Shin, S. R., & Kim, S. H. (2018). Among special makeup materials, Spirit Gum, Changes in oil and moisture before and after using Latex.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keup Design, 14(1), 47-54.
The Ministry of Education. (2013). Specialized high school field training manual. 3-46.
Wang, W. (2016). Effect of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 study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Master's thesis at Konkuk University Graduate School. 18.
Yu, B. H., & Lee, S. H. (2022). A Study on Awareness of Korean-Chinese Beauty College Curriculum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Matutrity.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22(5), 19-29.
crossref
Yu, K. J., & Choi, Y. H. (2013). The Effect of Valu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n Employment Career Decision in Field Practice. Journal of Tourism Research, 25(2), 27-55.
Yun, N. K., Kim, M. K., & Lee, S. W. (2019). The Effects of the Constitutional factors of Beauty Education Field Practices on Satisfaction and Career Behavior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Education, 19(21), 153-171.
crossref
Yun, S. O. (2008). Effect of Career Education Program on Career Maturity and Achievement Motiv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 thesis for a master's degree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Yun, Y. R. (2009). The Effect of Career Identity on Career Decision Level of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al and Cultural Research, 15(1), 91-100.
https://www.mk.co.kr. (2017. 2. 14). Ten jobs that will not disappear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10-2825-6735   Fex: +82-62-950-3797    E-mail: beauty2007@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