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학습자의 학습지향성에 따른 학습몰입 및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Learning Immersion According to the Learning Orientation of Adult Learners and Research on Impact on Learning Outcomes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Cosmetol. 2024;30(1):58-68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4 February 28
doi : https://doi.org/10.52660/JKSC.2024.30.1.58
1Professo Adjunct, Department of Beauty and Art, Youngsan University
2Professor, Department of Beauty and Art, Youngsan University
김세은1, 오수연2,
1영산대학교 미용예술학과, 겸임교수
2영산대학교 미용예술학과, 교수
*Corresponding author: Su-Yeon Oh Tel : +82-51-540-7311 E-mail : osy1459@ysu.ac.kr
Received 2023 December 18; Revised 2024 January 9; Accepted 2024 January 17.

Trans Abstract

This study confirmed how adult learners' learning orientation affects learning outcomes and empirically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Based on previous research at home and abroad, theories of learning orientation, learning flow, and learning outcomes were reviewed, and a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were derived based on the theories. Of the 200 returned survey responses, 186 were selected, excluding 14 inappropriate ones, and were subjected to fin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activity-oriented, learning-oriented, and goal-oriented types of adult learners' learning orientation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flow, and learning flow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performance. The learning-oriented and goal-oriented types of learning orientation influenced learning outcomes, and learning flow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tivity-oriented, learning-oriented, and goal-oriented types of learning orientation and learning outcomes. What can be seen from these results is that in order for adult learners to participate in learning activities and increase awareness of learning outcomes according to learner orienta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opportunities and incentive systems at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to increase learning immersion. I'm doing it. Therefore, differentiated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re needed by distinguishing the learning orientation of adult learners.

I. 서 론

우리나라 평생교육은 1973년 유네스코 한국위원회가 주최한 평생교육발전 세미나에서 평생교육이라는 개념이 공식적으로 소개되었다. ‘평생교육법’이 1999년에 제정되면서 평생교육에 대한 국가적 차원에서의 역할이 활발해져 왔다. 지난 30여 년 동안 평생교육의 발전과 ‘평생교육법’에 근거하여 다양한 평생교육기관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Kim, 2020). 평생학습은 개인 수준으로는 전 생애에 걸쳐 여러가지의 학습을 통해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할 뿐만 아니라 국가 차원에서는 체계적인 평생교육 정책으로 인적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중요한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다(한국교육개발원, 2016). 2020년 한국 성인의 평생학습 참여율은 40.0%으로 지난 10여 년간 상승해왔다. 이렇게 평생학습은 양적인 차원에서 성장해왔지만, 이제는 학습의 질 향상에 더 관심을 가져야 한다(Pack, 2018). Karaoğlan & Yilmaz(2018)에 의하면 경제에 기반을 둔 오늘날 비즈니스 세계에 적응할 수 있고 참여하기 위해서는 개인이 스스로가 끊임없이 발전해야 하며, 따라서 이것이 실현되도록 평생학습에 발맞춰 나아가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육 시스템, 정보의 변화 및 개발이 평생학습의 성과를 크게 좌우하게 된다. 또한 Kim(2004)의 연구결과에서는 성인 학습자들은 평생 교육기관이 제공하는 학습과정을 통해 학습 그 자체에 기쁨과 만족을 느끼면서 삶에 대한 자신감과 행복감을 가지고, 새로운 정보를 터득함으로써 지적 관심과 흥미가 증가 되었다. 또한, 사회현상에 대한 관심과 이해의 범위가 확대되고 자신의 잠재능력을 확인하게 되었다. 이는 학습자 개인이 느낄 수 있는 학습자의 자발성을 반영한 학습자 영역에서의 학습의 성과에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성인학습자가 지향하는 학습성향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된 요인들을 탐색하여 관계성 검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성인학습자의 학습지향성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학습지향성과 학습성과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려고 한다. 이를 위한 선행연구에서 평생학습에 있어 학습성과는 성인학습자의 행동 변화를 통해 평생학습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으로 제시하였으며 Choe & Hong(2015), 학습성과와 관련된 Kim(2018), Kim et al.(2015), Hyeon et al.(2016)의 연구에서는 학습성과를 성인학습자의 경험을 통하여 변화와 지식습득으로 성과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Kim & Lee(2021), Pack & Han(2013), Bang(2015)의 대학평생교육원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습몰입은 평생학습 참여성과에서 학습몰입경험은 학습자가 자신에 대한 성취감과 정복감을 갖게 해주며, 즐거움과 활력감을 느끼게 한다고 제시하였다. 이런 결과는 학습몰입이 높을수록 평생학습 성과가 높다는 의미로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성인학습자의 학습지향성과 학습몰입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의 학습지향성 수준을 높이는 것이 성인학습자의 학습몰입과 학습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임을 검증하고 성인학습자의 학습지향성과 관련 요인들에 대한 후속연구의 토대를 마련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II. 이론적 배경

1. 성인학습자

Knowles(1980)는 본인의 의지에 따라 생각하고 행동할 수 있는 자발성을 기반으로 자신의 삶을 스스로 주도하고, 사회적 역할을 충실하게 수행할 수 있는 사람으로 정의 하였다. 성인학습자는 온전한 인격체가 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학습하고 배우는 존재로 20세 이상의 성인으로 본인의 학습탐구를 해결하기 위하여 평생 교육기관에서 제공하는 교육프로그램를 선택하여 학습활동에 참여하는 학습자를 의미한다(Kim, 2014).

2. 학습지향성

Knowles(1989)는 성인은 학령기 학생과는 다른 학습자로서 경험에서 비롯된 흥미, 학습속도, 문제 중심 사고, 자아개념, 내적 동기부여 등의 측면에서 특징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성인의 학습지향에 대한 교육적 견해로는 한 단계 더 높이 발전해 나아가는 행동이 변화되는 것을 학습이라 하였다. Kwon & Joe(2001)는 학습을 행동의 변화라고 했을 때, ‘행동’은 밖으로 나타나는 모습뿐만 아니라 가치, 신념를 비롯하여 내면적인 것까지 포함된다. ‘변화’는 어떤 행동의 습득과정에서 수정하는 과정들을 뜻하는 것으로 제시하였다. Houle(1961)은 성인학습자의 참여 유형으로 ‘학습지향형’ ‘활동지향형’ ‘목표지향형’으로 제시하였다.

1) 학습지향형(learning oriented)

지식 그 자체를 추구하는 사람들은 학습지향형이다. 학습을 통하여 알고 성장 하려는 근본적인 욕구를 가지고 있으며, 특정 기간에 국한되지 않고 형생동안 지속된다. 학습지향형의 사람들은 학습하는 것이 즐거워하고 스스로 참여하며, 일반 사람들과 다르다는 점을 인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활동지향형(activity oriented)

특정 목적 달성이나 교과 내용 습득보다 활동 그 자체를 우선시하기 위해 참여한다. 지루함, 외로움, 불행한 가정생활이나 직업 상황에서 탈피하기 위해서 학습활동에 참여하기도 한다. 새로운 친구를 사귀거나, 누군가와 같이 하는 것을 좋아하는 것도 이유이다. 활동지향적 사람들은 지식 이외의 다른 이유 때문에 학습에 참여하는 것이다.

3) 목표지향형(goal oriented)

교육을 비교적 명확한 목표달성을 하기 위해 학습활동에 참여하는 것이다, 문제를 구체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 직업에서 승진 또는 성과를 내기 위해서, 상사의 기대를 충족하기 위해 참여하기도 한다. 목표지향형은 관심을 갖는 것에 즉각적이고 실용적인 내용을 학습하기 때문에 필용성과 흥미를 스스로 인식하고 있다.

3. 학습몰입

Wlodkowski(1999)는 학습몰입은 학습에 관한 흥미와 적극적 참여를 동반하고, 최고 수준의 학습경험, 능력개발, 즐거움, 자아존중감 등을 경험하게 하는 내적 요인으로 설명하였다. 학습몰입에 있어 본인의 과제를 완전하게 집중하여 최적의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 혹은 개인이 특정한 행위에 완전하게 집중하며 느끼는 물아일체(物我一體)의 상태로서 학습자가 최대한 활동에 참여하여 재미와 창조성을 경험하는 순간을 의미한다(Csikszentmihalyi, 1990). 학습자가 학습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본인의 목표에만 전념하고 학습활동에 완전하게 집중하는 과정에서 기쁨, 즐거움, 희열을 느끼는 최적의 경험이라고 제시하였다(Kim, 2012).

4. 학습성과

Mayer(1982)는 학습성과를 경험의 관점으로 사회에서는 성인이라고 인식되는 사람들의 태도, 지식, 행동으로 비교적 지속적으로 변화되는 과정이라고 하였으며, Ewell(1985)은 일정 기간의 학습을 통한 경험을 학습자의 문제해결 능력, 지식, 참여의식 등이 변화되는 과정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학습성과로는 학습자들이 실질적으로 얻는 모든 이익과 지식, 기술, 바람직한 변화되는 과정, 발전되는 삶의 질, 그리고 학습프로그램 학습하면서 얻는 즐거움 등으로 정의하였다(Kim, 2004).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가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습지향성과 학습몰입,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 설정하고,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H1. 성인 학습의 학습지향성이 학습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1. 학습자의 목표지향형은 학습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2. 학습자의 활동지향형은 학습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3. 학습자의 학습지향형은 학습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 성인 학습자의 학습몰입이 학습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3. 성인 학습자의 학습지향성이 학습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3-1. 학습자의 목표지향형은 학습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3-2. 학습자의 활동지향형은 학습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3-3. 학습자의 학습지향형은 학습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4. 성인 학습자의 학습지향성과 학습성과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은 매개할 것이다.

 H4-1. 학습자의 목표지향형과 학습성과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은 매개할 것이다.

 H4-2. 학습자의 활동지향형과 학습성과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은 매개할 것이다.

 H4-3. 학습자의 학습지향형과 학습성과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은 매개할 것이다.

Fig. 1.

Models of research

2. 연구모형

1)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는 부산지역의 일반대와 전문대 총 7개 대학의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인 학습자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조사기간은 2023년 9월 01일부터 9월 30일까지 30일간 설문하였으며, 조사 참여자는 조사의 목적을 포함하여 간단한 설명을 들은 이후에 자기기입식 설문에 응답하는 방식으로 조사를 진행하였다. 표본은 총 2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나 설문내용 중에서 불성실한 응답자 14부를 제외한 186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2) 측정도구의 구성

본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설문 문항은 일반적 특성은 명목척도로 사용하였으며 총 2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일반적 특성은 4문항, 학습지향성은 Kim(2019), Kim(2014)의 연구를 수정 보완하여 목표지향형 5문항, 활동지향형 5문항, 학습지향형 5문항으로 총 15문항이며, 학습몰입은 Kim(2020)의 연구를 수정 보완하여 단일요인으로 5문항, 학습성과는 Lee(2022)의 연구를 수정 보완하여 단일요인 5문항으로 재구성하였다. 각문항은 Likert 5점 척도를 사용하였다. ‘1=전혀 그렇지 않다 ~ 5=매우 그렇다’로 측정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각 항목의 인식이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IV. 결과 및 고찰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다음 Table 1은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빈도분석 결과이다. 분석결과 대상자 총 186명으로 남성 24명(12.9%), 여성 162명(87.1%)으로 성별은 여자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으로는 40대 56명(30.1%)으로 가장 높은 수치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50대 43명(28.0%), 30대 42명(22.6%), 60대 이상 34명(18.3%), 20대 2명(1.1%)순으로 40대와 50대가 전체의 60%를 차지 하였다.

General Characteristics (n-186)

학력은 전문대졸업 77명(41.4%) 가장 높은 수치로 나타났으며, 대학교졸업이상 70명(37.6%), 고등학교졸업 31명(16.7%) 순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직업으로는 일반직 117명(62.9%), 가장 높은 수치로 나타났으며, 전문직 41명(22.0%), 전업주부 16명(8.6%), 무직 12명(6.5%) 순으로 나타났다.

2. 학습지향성, 학습몰입, 학습성과의 타당도 및 신뢰도

1) 학습지향성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독립변수인 학습지향성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 분석결과 Table 2와 같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변수가 요인분석에 대해 적합한지 판단하기 위하여 KMO(Kaiser-Meyer-Olkin) 표본 적절성 검사와 Bartlett의 구형성 검사를 실시했다. KMO의 값이 .897으로서 1에 근접하므로 학습지향성를 설명하는 요인으로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15개 문항에 대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개인역량의 하위요인을 ‘목표지향형’, ‘활동지향형’, ‘학습지향형’으로 명명하였다. 총 3개의 요인 적재 값이 ±0.50이상으로 나타나 추출된 요인은 타당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Verific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Learning Orientation

이들 요인의 신뢰도 분석결과 Cronbach's α값이 .60이상이면 신뢰도가 있는 것으로 ‘학습지향형’이 .816, ‘활동지향형’이 .819, ‘목표지향형’이 .854로 나타나 신뢰할 수 있는 수준인 것으로 볼 수 있다.

2) 학습몰입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매개변수인 학습몰입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 분석결과 Table 3과 같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변수가 요인분석에 대해 적합한지 판단하기 위하여 KMO(Kaiser-Meyer-Olkin) 표본 적절성 검사와 Bartlett의 구형성 검사를 실시했다. KMO의 값이 .817으로서 1에 근접하므로 학습몰입을 설명하는 요인으로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5개 문항에 대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요인명은 ‘학습몰입’로 명명하였다. 총 1개의 요인 적재 값이 ±0.50이상으로 나타나 추출된 요인은 타당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Verific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Learning Immersion

이들 요인의 신뢰도 분석결과 Cronbach' s α값이 .60이상이면 신뢰도가 있는 것으로 .857로 나타나 신뢰할 수 있는 수준인 것으로 볼 수 있다.

3) 학습성과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종속변수인 학습성과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 분석결과 Table 4과 같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변수가 요인분석에 대해 적합한지 판단하기 위하여 KMO(Kaiser-Meyer-Olkin) 표본 적절성 검사와 Bartlett의 구형성 검사를 실시했다. KMO의 값이 .835으로서 1에 근접하므로 학습성과를 설명하는 요인으로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5개 문항에 대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요인명은 ‘학습성과’으로 명명하였다. 총 1개의 요인 적재 값이 ±0.50이상으로 나타나 추출된 요인은 타당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Verific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Learning Outcomes

이들 요인의 신뢰도 분석결과 Cronbach' s α값이 .60이상이면 신뢰도가 있다고 보고 .878로 나타나 신뢰할 수 있는 수준인 것으로 볼 수 있다.

3. 각 요인들의 상관관계 검증

본 연구의 학습지향성, 학습몰입, 학습성과의 인과관계에 대한 가설 검증에 앞서 각 구성개념 간의 통계적 관련성과 유의성을 파악하기 위해 피어슨(Pearson) 상관분석을 실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 5와 같다.

Verification of Correlations

분석결과, 독립변수와 매개변수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학습지향성의 하위요인별 목표지향형(r=.599, p<.01), 학습지향형(r=.513, p<.01), 활동지향형(r=.627, p<.01)은 학습몰입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상관관계는 학습지향성의 하위요인별 목표지향형(r=.561, p<.01) 학습지향형(r=.655, p<.01), 활동지향형(r=.474, p<.01)은 학습성과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매개변수와 종속변수와 상관관계서도 학습몰입(r=690, p<.01)은 학습성과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4. 학습지향성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학습지향성이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1의 검증결과는 Table 6과 같다. 설명력(R2)은 48.3%로 나타났으며, F=56.683(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독립변수별로 활동지향형(β=.562, p<.001), 목표지향형(β=.202, p<.01), 학습지향형(β=.178, p<.05) 순으로 학습몰입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지향성의 하부요인인 활동지향형의 영향력이 목표지향형과 학습지향형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학습자들은 다양한 사람들과 함께 배우는 활동에서 삶의 활력을 얻고, 직업에 관련된 지식 외의 폭넓은 지식을 접하면서 여러학습자들과 좋은 인간관계를 맺는다. 이런 학습과정이 삶의 만족과 무엇인가를 배운다는 그 자체가 즐겁고, 또한 일을 성취하는데 필요한 지식, 기술을 얻는데도 도움이 크다. 성인학습자의 학습지향성의 태도는 수업에 집중하고 배워야 하는 것이 무엇인지 확실하게 알고 임하는 것으로 학습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Jounm et al.(2018) 성인학습자들이 자신의 학습활동을 통해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발휘할 때 학습에 대한 강한 책임감을 느끼고 이로 인하여 높은 학습몰입을 보여주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Kim(2021)의 연구에서도 성인학습자의 특성과 학습몰입의 결과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와 유사함을 알 수 있다.

The Impact of Learning Orientation on Learning Flow

5. 학습몰입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학습몰입이 학습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2의 검증결과는 Table 7과 같다. 설명력(R2)은 47.6%로 나타났으며, F=166.931(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학습몰입(β=.690, p<.001)은 학습성과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습성과에 있어서 학습몰입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성인학습자의 학습몰입이 높을 때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성인학습자가 수업에 완전히 집중하고 수업시간이 금방 지나가는 것처럼 느끼면서, 학습이 저절로 되는 것 같은 것은 학습몰입이 결국 학습성과로 이어지는 것이다. 학습성과로 볼 때, 무엇이든지 할 수 있다는 자신감, 새로운 지식과 정보의 획득, 내 생각을 전달하는 능력이 좋아지고, 지적인 호기심과 관심이 증가했다는 결과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Jeong(2014), Lee(2020)의 연구에서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학습몰입을 제한하였으며, Tae(2022), Kim(2019)의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습몰입이 학습성과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본 연구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Impact of Learning Flow on Learning Outcomes

6. 학습지향성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학습지향성이 학습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3의 검증결과는 Table 8과 같다. 설명력(R2)은 48.2%로 나타났으며, F=56.541(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독립변수별로 학습지향형(β=.478, p<.001), 목표지향형(β=.207, p<.01), 순으로 학습성과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활동지향형(β=.114, p>.05)은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학습자의 학습지향성의 학습지향형과 목표지향형에 대한 인식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특히, 학습지향형은 학습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성인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면 배우고자 하는 열정이 무엇보다 큰 것으로 배움을 끊임없이 하고, 배움 그 자체가 즐거운 학습 과정을 통해 삶의 만족감이 높을 때 학습에 있어 더 많은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얻게 된다. 이는 성인학습자가 지향하는 학습에 대한 태도로 학습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평생학습에서 새로운 친구를 사귀고 다양한 사람들과 함께 활동하는 인간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중요시하는 활동지향형은 학습성과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예측된다. Joe(2018), Oh(2020)의 연구에서 성인학습자의 성향에 따라 학습에 대한 학습 필요성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관계성을 검증한 결과와 Hyeon et al.(2016)의 연구는 평생학습성과의 연구에서 학업성취, 직업능력향상의 성과를 검증한 결과는 본 연구를 지지해 주고 있다.

Impact of Learning Orientation on Learning Outcomes

7. 학습지향성과 학습성과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학습몰입은 학습지향성향의 하부요인인 목표지향형과 학습성과의 관계에서 매개 할 것이라는 가설 4-1의 검증결과는 Table 9와 같다.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between Goal Orientation and Learning Performance

먼저 1단계 매개조건의 분석결과 독립변수인 목표지향형은 매개변수인 학습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조건을 충족하였으며(β=.599, p<.001), 2단계 매개분석 결과 독립변수인 목표지향형은 종속변수인 학습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조건을 충족하였다(β=.561, p<.001). 3단계 매개조건 분석결과 종속변수인 학습성과에 대해 독립변수인 목표지향형의 회귀계수가 2단계보다 감소하면서 여전히 유의미하였고(β=.561, p<.001 → β=.231, p<.001), 매개변수인 학습몰입(β=.552, p<.001)도 유의미하게 나타나 학습몰입은 목표지향형과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몰입은 학습지향성의 하부요인인 학습지향형과 학습성과의 관계에서 매개 할 것이라는 가설 4-2의 검증결과는 Table 10과 같다.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between Learning Orientation and Learning Outcomes

먼저 1단계 매개조건의 분석결과 독립변수인 학습지향형은 매개변수인 학습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조건을 충족하였으며(β=.513, p<.001), 2단계 매개분석 결과 독립변수인 학습지향형은 종속변수인 학습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조건을 충족하였다(β=.658, p<.001). 3단계 매개조건 분석결과 종속변수인 학습성과에 대해 독립변수인 학습지향형의 회귀계수가 2단계보다 감소하면서 여전히 유의미하였고(β=.658, p<.001 → β=.408, p<.001), 매개변수인 학습몰입(β=.480, p<.001)도 유의미하게 나타나 학습몰입은 학습지향형과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몰입은 학습지향성의 하부요인인 활동지향형과 학습성과의 관계에서 매개 할 것이라는 가설 4-3의 검증결과는 Table 11과 같다.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on Activity Orientation and Learning Outcomes

먼저 1단계 매개조건의 분석결과 독립변수인 활동지향형은 매개변수인 학습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조건을 충족하였으며(β=.627, p<.001), 2단계 매개분석 결과 독립변수인 활동지향형은 종속변수인 학습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조건을 충족하였다(β=.473, p<.001). 3단계에 독립변수와 매개변수를 같이 투입된 검증에서는 매개변수인 학습몰입은 학습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648, p<.001). 하지만 독립변수인 활동지향형은 종속변수의 학습성과에 1단계 검증에서는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3단계 검증에서는 매개변수가 투입되면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β=.066, p>.05). 따라서 학습몰입은 활동지향형과 학습성과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4의 4-1, 4-2, 4-3 결과에서 학습몰입은 학습지향성과 학습성과의 관계에서 매개 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성인학습자들이 평생교육과정에서 학습을 통해 삶의 만족을 얻고 배우는 그 자체가 즐기면서, 일을 성취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터득하고, 학위나 자격증을 취득하는 도움이 되는 명확한 목표가 있는 것은 무엇보다 학습몰입이 높을 때 학습성과에 있어 무엇이든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기고, 내 생각을 전달하는 능력,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얻는 것으로 학습몰입은 학습지향성과 학습성과에 있어 중요한 매개요인이라 볼 수 있다. 학습지향성의 하부요인인 활동지향형과 학습성과의 관계에서는 직접적인 영향은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습몰입의 매개가 투입되었을 때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한 결과를 통해 학습몰입은 매개요인으로 중요함을 알 수 있다. Oh(2020)의 성인학습자들의 학습자가 지향하는 성향과 학습참여 특성이 학습성과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검증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연구결과와, Choi & Hong(2015)의 연구에서 성인학습자의 학습에 대한 성취욕구가 높을수록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면서 학습몰입이 매개되었을 때 더 긍정적인 영향을 갖는 것으로 본 연구를 지지해 준다.

V. 결 론

본 연구는 부산지역의 일반대학과 전문대학 총 7개 대학의 평생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들의 학습지향성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표본은 총 2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나 설문내용 중에서 불상실한 응답자 14부를 제외한 186부를 실증분석 하였다. 자료분석은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분석, 개인역량, 자기효능감, 직무수행의 타당도 및 신뢰도는 요인분석, 각 변수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상관관계분석, 가설의 검증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학습자의 학습지향성의 하부요인의 목표지향형, 활동지향형, 학습지향형은 모두 학습몰입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성인학습자의 학습지향성이 높으면 학습몰입 역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학습지향성별로 학습몰입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목표지향형과 활동지향형에 비해 학습지향형에 대한 인관관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인학습자의 끊임없이 배워야 한다는 생각과 학습을 통해 삶의 만족을 갖는 열정이 학습몰입에 관련성이 높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학습몰입은 학습성과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인학습자에게 부합되는 교육은 수업이 집중되면서 제대로 배우고 있다는 확신을 갖을 때, 학습내용을 받아들이는데 어려움이 덜해지면서 얻고자 하는 지식과 정보를 수용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스스로 나도 무엇이든지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기는 것을 검증해 주고 있다.

셋째, 학습지향성은 학습성과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지향성의 요인별로 보면 학습지향형과 목표지향형은 학습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성인학습자의 학습에 대한 지식이나 기술획득, 학위나 자격증을 취득하려는 목적의식은 학습성과에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하지만 성인학습자의 활동지향형은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은 학습을 통해 얻는 성과와는 다르게 다양한 사람들과 함께 교류하고 삶의 활력을 얻는 것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학습성과에는 크게 영향이 미치지 않는 것으로 예측된다.

넷째, 학습몰입은 학습지향성과 학습성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매개변수인 학습몰입이 높을수록 학습성과에 미치는 학습자의 지향성의 영향력도 높아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성인학습자의 학습지향성이 학습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때 학습몰입은 성인학습자의 지향성을 더 긍정적으로 강화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학습과제가 제시되었을 때 학습자의 학습몰입이 가능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성인학습자들이 학습활동에 참여하면서 학습자 지향성에 따른 학습성과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몰입을 높일 수 있도록 평생교육기관의 다양한 기회 확대와 유인체제를 제공할 필요성과 성인학습자가 지향하는 교육을 구분하여 차별적인 평생 교육프로그램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결론을 바탕으로 연구의 제한점을 고려하여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조사의 범위가 이 연구는 부산지역의 평생학습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 중인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응답자의 90% 정도가 여성으로 편중되었고, 부산지역으로 국한되어 연구결과가 해당 표본의 전체를 오차 없이 대표한다고 볼 수 없다. 그러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대에 제한이 따를 수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조사대상의 성비, 지역, 다양한 교육기관 소재지 등을 고려하여 조사할 필요가 있다.

둘째, 성인학습자의 학습성과를 설명하는 요인은 다양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성인학습자의 지향성과 학습몰입에 국한하여 연구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성인학습자들의 학습성과에 미치는 다양한 변수를 탐색하여 성인학습자의 학습성과에 있어 새롭게 설명할 수 있는 연구 변수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상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시한 연구의 한계점과 제언을 통해 성인학습들자의 학습성과를 증진할 수 있는 다른 변수와의 관계를 검증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며, 평생교육 기관에서 실질적으로 학습성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실증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References

1. Bang H. B.. 2015;Structural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learning performance of adult learners at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Cent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dustrial-Academic Technology 16(11):7474–7484.
2. Choi M. O., Hong A. J.. 2015;The Effects of Adult Learner's Reflective Learning on Psychological Well-Being: Mediating Effect of Learner Characteristics and Learning Flow. Lifelong Learning Society 11(2):255–274. doi: 10.26857/JLLS.2015.05.11.2.245.
3. Csikszentmihalyi M.. 2015.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experiencey New York, NY: Harper Collins.
4. Ewell P.. 1985;Assessment: What's it all About? Change: The Magazine of Higher Learning 17(6):32–36. doi: 10.1080/00091383.1985.9940559.
5. Jeong K. B.. 2014;The Effects of Female Adult Learners'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on Learning Flow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16(3):159–183. doi: 10.18211/kjhrdq.2014.16.3.007.
6. Joe, K. M. (2018). Structural relationship analysis of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 characteristics, participation motivation,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outcomes as perceived by adult female learners. doctoral dissertation Jungwon University. Goesan. 129.
7. Jounm C. G., Park S. O., Bae E. K.. 2018;Mediating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ypes of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level of learning flow of adult learners in a distance university.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24(5):155–177. doi: 10.24159/joec.2018.24.5.155.
8. Kabataş S., Karaoğlan Yılmaz F. G.. 2018;Evaluation of teachers' lifelong learning attitudes in terms of selfefficacytowards the standards of educational technology. Bartın Üniversitesi Eğitim Fakültesi Dergisi 7(2):588–608.
9. Kim, A. L. (2004). Study on learning outcomes and perceptions of adult learners at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Center, doctoral dissertation Dankook University. Yongin. 1.
10. Kim, D. M. (2014).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middle-aged women's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self-directed learning,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nd program satisfaction. doctoral dissert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101.
11. Kim, D. M. (2018). Lifelong vocational education academy barista training improves learning immersion and self-efficacy Impact on perception, learning outcomes, and learning transfer. doctoral dissertation Far Eastern University. Eumseong. 88.
12. Kim, H. J. (2021). A study on the dual mediating effect on learning flow of remote adult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learning characteristics. doctoral dissertation Ajou University, Suwon. 90.
13. Kim, H. J. (2012).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tudent relationship,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flow. doctoral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11.
14. Kim, H. J. (2019). Recognition of happiness as a learning outcome according to adult learners’ learning tendencies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learning flow- doctoral dissertation Ajou University, Suwon. 90.
15. Kim J. M., Park J. S., Kim M. J., Kim S. R., Chung J. E.. 2015. A Theoretical Exploration of Evaluation Criterion for HRD Performance: Graded Approach Depending on the Aimed Developmental Stages.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17(1)doi: 10.18211/kjhrdq.2015.17.1.003.
16. Kim, S. K. (2014). The impact of learner disposition, learning participation characteristics, and SNS use on recognition of learning outcomes based on andragogy theory. doctoral dissertation Ajou University, Suwon. 10.
17. Kim K. Y., Lee H. S.. 2021;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Learners in Lifelong Learning Center on Learning Flow: Focusing on the Adjustment Effect of Social Support.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1(4):989–1009. doi: 10.22251/jlcci.2021.21.4.989.
18. Kim, Y. A. (2020). A study on the impact of adult learners' level of lifelong learning counseling on learning immersion, learning satisfaction, and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performance. doctoral dissertation Baekseok University. Cheonan. 1.
19. Knowles M. S.. 1980. Modern practice of adult education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Regents.
20. Knowles M. S.. 1989. The Making of an Adult Educator San Francisco: Jossey-Bass.
21.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6). 2019 Lifelong Education Statistics Data Collection.
22. Kwon D. S., Joe A. M.. 2001. Adult learning and counseling Bachelor of Education Science.
23. Lee K. S.. 2020;Effects of self-determination and learning commitment on the learning outcome of nurses currently under academic credit bank system.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8(11):311–318. doi: 10.14400/JDC.2020.18.11.311.
24. Lee, M. S. (2022). The Effect of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Outcomes on the Quality of Life of Elderly Learners at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The Mediating Effect of Ego Integrity. doctoral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115.
25. Mayer R. E.. 1982. Learning. In : Mitzel H.E., ed. Encyclopedia of educational research New York, NY: Free Press.
26. Oh, K. S. (2020). Effect of lifelong learner tendency and learning immersion on recognition of learning outcomes: Effect of adjusting learning participation level. Doctoral dissertation Ajou University, Suwon. 79.
27. Park J. R., Han S. H.. 2013;The Effect of Goal Orientation, Motivation and Self-Concept on Learning Flow in Adult Learners.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34(2):151–178. doi: 10.18612/cnujes.2013.34.2.151.
28. Park M. S.. 2018;A Structur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Continuous Intention of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by Adult Learners.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21 9(2):737–750.
29. Tae D. S.. 2022;The Influence of Academic Self-efficacy on Participation Performances by Type of Characteristics of Adult Women Learners from Beauty College. Journal of Health and Beauty 16(2):173–186. doi: 10.35131/ishb.2022.16.2.173.
30. Hyeon Y. S., Kim W. C., Kim H. J.. 2016;Trends of Researches on Lifelong Learning Outcomes: Centered on Articles Published in 8 Korean Journals from 2006 to 2015. Lifelong Learning Society 12(1):85–115.
31. Wlodkowski R. J.. 1999. Enhancing adult motivation to learn SanFrancisco, CA: Jossey-Bass.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 1.

Models of research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n-186)

Item Classification N %
Gender Male 24 12.9
Female 162 87.1
Age 20s 2 1.1
30s 42 22.6
40s 56 30.1
50s 52 28.0
Over 60s 34 18.3
Education high school graduation 31 16.7
Graduated from junior college 77 41.4
University graduate or higher 70 37.6
job professional 41 22.0
general job 117 62.9
housewife 16 8.6
inoccupation 12 6.5
total 186 100.0

Table 2.

Verific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Learning Orientation

Item Factor Analysis
Learning-oriented Activity-oriented type Goal-oriented
I gain life satisfaction through learning .839 .219 .204
I enjoy learning something .802 .251 .222
I believe that people should constantly learn .792 .265 .331
I find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or skills itself meaningful .585 .066 -.464
I gain vitality in life through social exchanges .177 .813 .144
I participate in activities where diverse people learn together .262 .758 .173
I gather with people to learn together and build good relationships .181 .754 .048
I am exposed to a wide range of knowledge and culture other than the limited knowledge related to my job .283 .707 .190
I gain the knowledge and skills necessary to accomplish what I plan to do .159 .092 .842
I obtain a degree (certificate) or certificate .193 .056 .811
I participate in educational activities recognized by society .328 .451 .627
I raise social honor .382 .250 .621
KMO .897
EigenValue 2.845 2.843 2.487
Variance (%) 23.710 23.691 20.727
Reliability (Cronbach’s alpha) .816 .819 .854

Table 3.

Verific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Learning Immersion

Item Factor
I know for sure what I need to learn .841
I am fully focused in class .825
I am confident that I am learning properly in class .821
I feel like class time goes by quickly .749
I feel like learning happens automatically during clas .710
KMO .817
EigenValue 3.128
Variance (%) 62.567
Reliability (Cronbach’s alpha) .847

Table 4.

Verific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Learning Outcomes

Item Factor
As I participated in learning, I gained confidence that I could do anything .866
I gained a lot of new knowledge and information while participating in the study .849
As I participated in learning, I had less difficulty accepting the learning content .815
As I participated in learning, I gained confidence that I could do anything .814
As I participated in learning, my intellectual curiosity and interest increased .758
KMO .835
EigenValue 3.372
Variance (%) 67.442
Reliability (Cronbach’s alpha) .878

Table 5.

Verification of Correlations

Classification Learning orientation
Learning immersion Learning outcomes
Goal-oriented Learning-oriented Activity-oriented type
Goal-oriented 1
Learning-oriented .592** 1
Activity-oriented type .629** .480** 1
Learning immersion .599** .513** .627** 1
Learning outcomes .561** .655** .473** .690** 1
*

p<.05,

**

p<.01,

***

p<.001

Table 6.

The Impact of Learning Orientation on Learning Flow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No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ed Coefficient
t p Collinearity Statistics
B Standard Error β Tolerance VIF
Learning immersion (Constant) .367 .302 1.213 .227
Goal-oriented .258 .078 .251 3.321*** .001 .495 2.019
Learning-oriented .222 .083 .180 2.685** .008 .631 1.586
Activity-oriented type .375 .068 .380 5.502*** .021 .021 1.869
R²=.483, adj R²=.475 F=56.683 p=.001
*

p<.05,

**

p<.01,

***

p<.001

Table 7.

The Impact of Learning Flow on Learning Outcomes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No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ed Coefficient
t p
B Standard Error β
Learning outcomes (Constant) 1.537 .197 7.783 .001
Learning immersion .643 .050 .690 12.920*** .001
R2=.476, adj R2=.473 F=166.931 p=.001
*

p<.05,

**

p<.01,

***

p<.001

Table 8.

Impact of Learning Orientation on Learning Outcomes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No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ed Coefficient
t p Collinearity Statistics
B Standard Error β Tolerance VIF
Learning immersion (Constant) .412 .282 1.463 .145
Goal-oriented .197 .072 .207 2.728** .007 .495 2.019
Learning-oriented .548 .077 .478 7.112*** .001 .631 1.586
Activity-oriented type .104 .064 .114 1.635 .104 .587 1.704
R²=.482, adj R²=.474 F=110.319 p=.001
*

p<.05,

**

p<.01,

***

p<.001

Table 9.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between Goal Orientation and Learning Performance

step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No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ed Coefficient
t p
B Standard Error β
1 Learning immersion (Constant) 1.295 .262 4.951 .001
Goal-oriented .613 .060 .599 10.140*** .001
R²=.358, Adj.R²=.355, F-value=102.828***, p=.001
2 Learning outcomes (Constant) 1.764 .252 7.005 .001
Goal-oriented .535 .058 .561 9.192*** .001
R²=.315, Adj.R²=.311, F-value=84.489***, p=.001
3 Learning outcomes (Constant) 1.099 .227 4.833 .001
Goal-oriented .220 .062 .231 3.571*** .001
Learning immersion .514 .060 .552 8.536*** .001
R²=.510, Adj.R²=.504, F-value=95.171***, p=.001
*

p<.05,

**

p<.01,

***

p<.001

Table 10.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between Learning Orientation and Learning Outcomes

step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No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ed Coefficient
t p
B Standard Error β
1 Learning immersion (Constant) 1.170 .342 3.421 .001
Learning-oriented .631 .078 .513 8.098*** .001
R²=.263, Adj.R²=.259, F-value=65.574***, p=.001
2 Learning outcomes (Constant) .784 .281 2.793 .006
Learning-oriented .750 .064 .658 11.744*** .001
R²=.428, Adj.R²=.425, F-value=137.920***, p=.001
3 Learning outcomes (Constant) .260 .243 1.069 .286
Learning-oriented .448 .063 .408 7.485*** .001
Learning immersion .448 .051 .480 8.807*** .001
R²=.599, Adj.R²=.594, F-value=136.443***, p=.001
*

p<.05,

**

p<.01,

***

p<.001

Table 11.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on Activity Orientation and Learning Outcomes

step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No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ed Coefficient
t p
B Standard Error β
1 Learning immersion (Constant) 1.448 .226 6.600 .001
Activity-oriented type .614 .056 .627 10.926*** .001
R²=.393, Adj.R²=.390, F-value=119.367***, p=.001
2 Learning outcomes (Constant) 2.384 .238 9.877 .001
Activity-oriented type .431 .059 .473 7.270*** .001
R²=.224, Adj.R²=.219, F-value=52.984***, p=.001
3 Learning outcomes (Constant) 1.449 .217 6670.0 .286
Activity-oriented type .060 .063 .066 .967 .335
Learning immersion .604 .064 .648 9.454*** .001
R²=.478, Adj.R²=.473, F-value=83.904***, p=.001
*

p<.05,

**

p<.01,

***

p<.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