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Cosmetol > Volume 28(1); 2022 > Article
미용종사자의 위생지식과 위생태도가 미용관련 사업장의 위생관리에 미치는 영향 -조직충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ffecting factors for hygiene knowledge, hygiene attitude and of beauty industry employed on hygiene management base of beauty-related business mediating organizational loyalty. The accomplish this objective, a literature review and a questionnaire survey were performed. Random sampling was conducted in February to April 2021 on beauty industries in Seoul. Out of each 100 questionnaires, hair shops, skin care shops and nail shops, and 300 were analyzed using PASW Statistics by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18.0. The frequency to figure out general characteristic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was the lower level of the hygiene knowledge, higher level of the human hygiene attitude, affected higher hygiene management mediating organizational loyalty. Higher level of the organizational loyalty affected higher hygiene management. It is demanded hygiene program to upgrade the level of physical hygiene attitude for increasing hygiene management. It is important to make effort to enhance organizational loyalty.

I. 서론

코로나-19 감염증이란 SARS-CoV-2감염에 의한 호흡기 증후군으로써 법정 감염병에 속한다. 전파경로는 비말, 접촉을 통한 전파로 알려져 있어 확산 우려가 매우 크다(Yuehui et al., 2021). 이러한 코로나-19 감염증의 팬데믹 상태는 경제, 사회, 교육 전반에 큰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An, 2021).
감염병으로 인한 소비자의 인식 변화는 많은 사업장에게 세심한 위생관리를 유도하고 있다(Kim, 2016). 특히, 미용관련 사업장은 미용종사자들이 고객과의 대면접촉 및 수기로 고객관리를 시행하는 장소이기 때문에(Kim & Cho, 2012) 전염병에 취약한 환경이다. 따라서 미용관련 사업장의 위생관리가 강조되고 있다(Park et al., 2021). 고객들이 느끼는 위생서비스 만족도는 재방문의사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Choi, 2014). 따라서 관리책임자는 미용종사자에게 안전과 건강을 위한 위생 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Choi, 2014).
위생지식이란 사람의 건강과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기 위한 지식을 의미한다.(Ryu et al., 2013). 미용종사자들은 소비자에게 대면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개인 및 환경의 위생관리가 매우 중요하다(Na & Kim, 2019). 따라서 미용종사자들은 위생 교육과 훈련을 통해 위생에 대한 지식을 습득해야 한다(Jung, 2021). 이를 위해 위생교육계획을 작성하여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다(Han & Jung, 2020). 피부미용사의 개인위생 필요성에 관하여 연구한 선행연구(Kwon & Shin, 2014)에서는 위생지식 수준이 높은 사람일수록 위생태도가 높게 형성되어있고 이는 위생실천행동으로 이어진다고 하였다.
위생태도는 인적 위생태도와 물적 위생태도로 구분할 수 있다(Kim, 2016). 인적 위생태도는 개인의 청결 및 질병 예방에 대한 태도를 의미한다(Noh, 2019). 반면 물적 위생태도는 소독, 환기, 도구의 위생 관리에 대한 태도를 의미한다(Park et al., 2021). 이러한 위생태도는 위생행동에 대한 태도와도 유사한 의미이다(Ryu et al., 2013). 행동은 태도와 연관되어 나타나므로(Lee & Kim, 2012), 위생태도가 높게 형성되면 직접적인 위생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Jung, 2021).
위생관리의 대상은 사람과 시설 및 도구이다(Kwon & Shin, 2014). 작업장에서의 위생관리는 외부 환경을 관리함으로써 (Kim et al., 2013) 질병의 발병을 최소화하고, 위생적인 노동조건을 이룰 수 있다(Kim & Cho, 2012). 따라서 위생환경의 개선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계획과 실행이 요구된다(Kim, 2016). 우리나라는 위생교육을 제도적으로 규정하고 있으나, 제도적인 환경만으로는 실제 미용관련 사업장의 완벽한 위생 개선은 어렵다(Na & Kim, 2019).
조직구성원의 신뢰는 조직에 대한 신뢰, 동료에 대한 신뢰 2 가지로 구성된다(Kim, 2013). 조직에 대한 신뢰라 할 수 있는 조직충성도는 제도적이며 조직에 대한 확신과 지지의 감정이다(Na & Park, 2021). 조직충성도는 자율적이고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내기 때문에 조직 운영에 도움이 된다(Park & You, 2020).
K-A-P모형은 건강행태를 설명하기 위해 제안된 모형으로 K는 지식(Knowledge), A는 태도(Attitude), P는 실천(Practice)을 의미한다. 세 가지 항목은 서로 상호작용을 하여 인간의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K-A-P모형을 적용한 설문은 시행하기가 용이하고, 양적 연구가 가능하다. 때문에 설문조사 및 구조화된 면접을 통하여 개인의 경험과 의견, 행동양식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K-A-P모형에서의 지식(Knowledge)이란 감염병의 침입과 전파를 차단하기 위한 위생지식 수준을 측정한 것이다. 태도(Attitude)는 인적 위생태도, 물적 위생태도로 개인과 외부환경의 위생관리에 대한 미용종사자의 태도형 성수준을 측정한 것이다. 실천(Practice)은 지식과 규칙이 적용되어 행동으로 나타나는 것을 의미하는데(Kim et al., 2019) 본 연구에서는 위생과 관련된 지식과 태도가 관리 행동 및 사업장의 결과물로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 코로나-19 감염증으로 인해 사회적으로 위생지식과 위생태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미용업은 대면서비스를 중심으로 하기 때문에 미용종사자의 개인위생 및 미용 도구에 대한 위생관련 지식 및 태도는 팬데믹 상황 속에서 매우 중요하다. 또한, 미용종사자의 조직 충성도는 사업장의 전반적인 위생관리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K-A-P모형을 통해 미용종사자들의 위생지식 수준과 인적, 물적 위생태도 형성정도가 위생관리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조직충성도가 매개되었을때 미용종사자들의 위생관리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II. 이론적 배경

위생지식이란 위생에 대하여 배우거나 행동을 통하여 알게된 것이며, 과학적 기반에 근거한 올바른 정보를 의미한다(Lee et al., 2010). 또한 건강의 보전, 증진을 도모하고 질병의 예방과 관련된 지식이다(Kwon & Shin, 2014). 위생지식은 건강을 지키기 위해 선행되는 지식으로 건강과 관련된 행동을 수반한다 (Kim & Cho, 2012). 이는 소비자에게 위생적인 환경을 제공하는 자가 가진 지식이다(Lee & Kim, 2012). 위생지식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직접적으로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Ryu et al., 2013). 따라서 위생적인 환경 구축을 위해 위생에 대한 교육과 훈련이 철저하게 이루어져야 한다(Park, 2018).
위생태도란 위생을 대하는 마음가짐, 또는 그 마음가짐이 드러난 자세를 의미한다(Kim et al., 2018). 위생에 대한 행동 가치관이라고 정의하기도 한다(Ryu et al., 2013). 위생의 구체적인 종류에는 개인위생, 공중위생, 식품위생, 정신위생, 환경위생 등이 있다(Park, 2018). 이중, 개인위생과 공중위생은 대립되는 개념으로 전자는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위생을 말하고, 후자는 집단 구성원들의 위생을 말한다(Lee & Kim, 2012). 위생 태도는 인적 위생태도와 물적 위생태도로 구분될 수 있다. 인적 위생태도란 질병의 예방, 발병할 우려가 있는 사람에 대한 처치와 같은 개인을 위한 위생관리 태도를 의미한다(Kim & Cho, 2012). 물적 위생태도는 기구의 소독, 환기를 포함하는 위생적 관점에서 본 노동환경의 위생관리 태도를 의미한다 (Kwon & Shin, 2014).
위생관리는 위생적 행동을 통해 나타난 결과물로써 실제로 행해지고 있는 위생 행동이자 실천행위의 결과이다(Kim et al., 2019). 즉, 환경과 개인의 위생상태를 향상시키기 위한 행동이라 할 수 있다(Noh, 2019). 위생적 관점에서 본 개인과 환경을 개선하는 종합적인 행동을 의미한다(Han & Jung, 2020). 물건과 관련된 위생관리는 각종 설비와 시설의 위생 상태를 개선시키기 위한 행위이다(Kim et al., 2019). 작업환경의 측정과 정비, 작업조건, 시설 등의 개선과 관리, 보호구의 정비, 통계 작성 등을 의미한다(Kim, 2016).
조직충성도란 속해있는 집단에 대한 충성 정도를 수치로 나타낸 것이다(Kim & Kim, 2016). 조직 내에서의 이해관계에 큰 영향을 받는 변수로써(Kim, 2013) 조직이 추구하고자 하는 목표와 가치에 강한 신뢰를 가지면서 형성되는 태도이다(Park & You, 2020). 이러한 조직충성도는 조직에 대한 개인의 적극성을 결정하기 때문에 조직의 지향목표에 도달하게 하는 주요 변수가 된다(Na & Park, 2021). 결국 전체적인 조직운영에 있어서 조직충성도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에(Na & Park, 2021) 조직 내 만족스러운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 반드시 관리해야한다(Lim et al., 2019).
Kim & Cho(2012)의 네일 종사자의 위생지식과 위생실천에 관한 연구는 네일 종사자들의 위생에 대한 인식을 통합적으로 측정하는 도구 개발이라는 점에서 그 가치가 있다고 본다. 본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위생지식 및 위생태도 측정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Kwon & Shin(2014)의 피부 미용사의 개인위생 필요성에 관한 연구는 미용사의 위생 관리를 측정하는 도구 개발이라는 점에서 그 가치가 있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위생관리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Kim & Kim(2016)의 컨벤션산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한 조직충성도 연구는 조직충성도를 통합적으로 측정하는 도구 개발이라는 점에서 그 가치가 있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조직충성도를 측정하는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미용종사자의 위생 지식, 위생태도, 위생관리, 조직충성간의 인과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미용종사자의 위생관리 행동양상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며 미용관련 사업장에서의 보다 위생적인 운영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 대상 선정 및 자료 수집 기간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하는 미용관련 사업장의 피고용자인 미용종사자로 만 19세 이상 65세 이하의 성인 여성이다. 본 연구에 필요한 표본 수는 G*powe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검정력은 0.95, 예측변수의 수는 10개로 설정하여 산출한 결과 회귀분석에 요구되는 표본 수는 그룹별로 80명으로 나타났다. 이에 불성실한 응답자, 결측지 등을 고려하여 각 미용종사자별로 100명씩, 총 300명으로 설정하였다.
표본 선정 방법으로 행정안전부의 서울시 상권분석서비스인 ‘우리 마을 가게’ 에서 서울시 25개 구의 직종별 미용관련 사업장 수 및 비율을 확인하였다. 각 분야별 비율을 바탕으로 구별 매장 수를 구하였다. 각 매장에서는 미용종사자 1명씩만 조사하였다. 따라서 조사 대상 구별 연구대상자의 수는 구별 매장 수와 같다.
설문조사는 2021년 2월 1일부터 4월 22일까지 실시하였다. 조사방법으로는 설문지를 활용한 자기보고 평가방법과 관찰평가를 사용하였다. 설문 절차는 먼저 본 연구자가 선정한 미용 관련 사업장에 직접 방문하여 원장 및 직원에게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였다. 이후 서면 동의서 및 자기기입식문항의 설문지를 제공하여 연구 대상자가 직접 작성하게 하였다. 연구대상자가 설문지를 작성하는 동안 관찰평가가 필요한 문항의 경우 연구자가 직접 평가하여 기입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총 300부였으며 누락된 문항이 없어 이를 모두 통계분석에 활용하였다.

2. 조사도구

본 연구에서 사용된 주요 변수의 조작적 정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위생지식은 미용관련 사업장에서의 위생 관리방법에 따른 미용종사자가 가지고 있는 지식을 의미한다. 둘째로 인적 위생태도는 미용관련 사업장에서 근무할 때의 미용종사자의 개인위생에 대한 미용종사자의 태도를 의미한다. 셋째로 물적 위생태도는 미용관련 사업장에서 근무할 때의 사업장의 위생에 대한 미용종사자의 태도를 의미한다. 넷째로 위생관리는 미용관련 사업장에서 실제로 나타나는 위생 행동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조직충성도는 미용종사자가 근무하고 있는 충성도를 의미한다.
본 연구의 모형은 독립변수, 종속변수, 매개변수로 구성되어 있다. 독립변수는 위생지식, 인적 위생태도, 물적 위생태도로 세 가지로 구성되어있다. 그리고 종속변수는 위생관리로, 매개 변수는 조직충성도로 구성되어 있다. 변수별 조사도구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독립변수는 위생지식이다. 조사도구는 선행 연구인 Kim & Cho(2012)의 위생지식 측정문항을 참조하여 구성하였다. 총 10문항으로 정답이 있는 문제에 O 혹은 X로 답하는 형식으로 설계되었다. 총점의 범위는 0점~10점이고 점수가 높을수록 위생지식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두 번째 독립변수는 위생태도이다. 측정방법은 응답자가 직접 기입하는 자기보고 평가방법을 사용하였다. 위생태도는 인적 위생태도와 물적 위생태도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인적 위생 태도의 조사도구는 Kim & Cho(2012)의 위생태도 측정문항을 참조하여 작성하였으며 문항은 총 4문항이다. 물적 위생태도의 조사도구는 Kwon & Shin(2014)의 위생태도 측정문항을 참조하여 작성하였으며 문항은 총 4문항이다. 서열 척도를 사용한 리커트 5점 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위생태도가 높게 형성된 것으로 평가된다.
본 연구의 종속변수는 위생관리이다. 측벙방법은 연구자가 직접 현장을 보고 기입하는 관찰 평가를 사용하였다. 조사도구는 Kwon & Shin(2014)의 위생행동 측정문항을 참조하여 작성하였으며 문항은 총 5문항이다. 서열 척도를 사용한 리커트 5 점 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위생관리 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본 연구의 매개변수는 조직충성도이다. 측정방법은 응답자가 직접 기입하는 자기보고 평가방법을 사용하였다. 조사도구는 Kim & Kim(2016)의 조직충성도 측정문항을 참조하여 작성하였으며 문항은 총 7문항이다. 서열 척도를 사용한 리커트 5점 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조직충성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연령, 최종학력, 근무지형태, 월평균 소득을 측정하였다. 문항은 총 4문항으로 구성하였다.

3. 분석 방법

본 연구의 자료는 PASW Statistics by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분석되었다. K-A-P 모형을 활용한 미용종사자의 위생관리에 대한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유의수준 0.05를 기준으로 통계적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먼저 연구대상자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과 직종에 따른 특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후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각 변수들을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른 요인들과 다르게 위생지식은 응답자의 답안을 채점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각 설문항목의 신뢰성과 타당성 검증은 Cronbach α를 사용하였다. 이후 위생지식, 인적 위생태도, 물적 위생태도, 위생 관리, 조직충성도 요인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Pearson 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응답자의 위생지식 수준, 위생태도 형성수준이 위생관리행동에 영향이 있는지와 매개 변수인 조직충성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사회 인구학적 특성을 통제한 후 위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4. 연구 윤리

2021년 1월에 동덕여자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로부터 연구윤리승인을 거쳤다(승인번호: DDWU2012-01).

IV. 결과 및 고찰

1.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연령대의 경우 20대는 173명(57.7%), 30대는 108명(36.0%), 40대 이상은 19명(6.3%)로 나타났다. 교육 수준의 경우 고등학교 졸업은 76 명(25.3%), 2~3년제 대학교 졸업은 142명(47.3%), 4년제 대학교 졸업은 82명(27.3%)이었다. 매장 유형의 경우 프랜차이즈는 81명(27.0%), 개인 운영 샵은 171명(57.0%), 샵인샵은 17명 (5.7%), 공동운영은 31명(10.3%)로 나타났다. 월평균 소득의 경우 150만원 이하는 30명(10%), 150만원 이상 200만원 미만은 141명(47.0%), 200만원 이상 250만원 미만은 111명(37.0%), 250만원 이상은 18명(6.0%)로 나타났다.

2. 응답자의 위생지식, 인적 위생태도, 물적 위생태도, 위생관리, 조직충성도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미용종사자의 위생지식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OX문제를 사용하였다. 총점의 범위는 0점~10점이고 점수가 높을수록 위생 지식 수준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인적 위생태도, 물적 위생 태도, 위생관리, 조직충성도는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인적 위생태도 요인은 설문문항이었던 4문항이 모두한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분산설명력은 87.983%로 나타났다. 신뢰도 값(Cronbach α)은 0.953으로 나타나 신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해당 분석 결과는 <Table 2>와 같다. 물적 위생태도 요인은 설문문항이었던 4문항이 모두 한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분산 설명력은 83.926%로 나타났다. 신뢰도 값(Cronbach α)은 0.935로 나타나 신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해당 분석 결과는 <Table 3>과 같다. 위생관리 요인은 설문문항인 5문항 이 모두 한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분산 설명력은 79.529%로 나타났다. 신뢰도 값(Cronbach α)은 0.931로 나타나 신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해당 분석 결과는 <Table 4>와 같다. 조직충성도 요인은 설문문항인 7문항이 모두 한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분산 설명력은 94.463%로 나타났다. 신뢰도 값(Cronbach α)은 0.990으로 나타나 신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해당 분석 결과는 <Table 5>와 같다.

3. 위생지식, 인적 위생태도, 물적 위생태도, 위생관리, 조직충성도 요인 간 상관관계 분석

위생지식, 인적 위생태도, 물적 위생태도, 위생관리, 조직충성도 요인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Table 6>과 같다. 응답자의 인적 위생태도와 위생지식은 유의한 정(+)의 관계를 보였다 (r=0.875, p<0.01). 응답자의 물적 위생태도와 위생지식(r=0.885, p<0.01), 인적 위생태도(r=0.923, p<0.01)간에는 유의한 정(+)의관계를 보였다. 응답자의 위생관리와 위생지식(r=0.519, p<0.01), 인적 위생태도(r=0.669, p<0.01), 물적 위생태도(r=0.651, p<0.01) 간에 유의한 정(+)의 관계를 보였다. 응답자의 조직충성도와 위생지식(r=0.493, p<0.01), 인적 위생태도(r=0.623, p<0.01), 물적 위생태도(r=0.608, p<0.01), 위생관리(r=0.911, p<0.01)간에 유의한 정(+)의 관계를 보였다.

4. 위생지식과 위생태도가 위생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조직충성도의 매개효과

사회 인구학적 특성 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 위생지식과 위생태도가 위생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조직충성도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Model 1에서는 독립 변수인 위생지식과 위생태도가 종속 변수인 위생관리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Model 2는 매개변수인 조직충성도를 Model 1에 추가하여 종속변수인 위생관리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Model 1은 51.9% 설명력을 갖는다. 위생지식은 위생관리에 부(-)의 상관관계를 가지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β=-0.409, p<0.001). 인적 위생태도는 위생관리에 유의한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0.455, p<0.001). 물적 위생태도는 위생관리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0.460, p<0.001). 이는 통계적으로 적합한 연구 모형으로 분석되었다(F=54.726, p<0.001). 응답자의 위생지식 수준이 낮을수록, 인적 위생태도가 높게 형성되어 있을수록, 물적 위생태도가 높게 형성되어 있을수록 위생관리 행동을 많이 한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Model 2의 경우 84.9%의 설명력을 갖는다. 조직충성도가 매개되었을 때, 위생지식은 위생관리에 부(-)의 상관관계를 가지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β=-0.136, p<0.05). 인적 위생태도는 위생관리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0.185, p<0.01). 반면 물적 위생태도는 위생관리에 통계적으로 의미가 나타나지 않았다. 매개 변수인 조직충성도는 위생관리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0.791, p<0.001). 이는 통계적으로 적합한 연구모형으로 분석되었다(F=240.797, p<0.001). 조직충성도가 본 연구모형에 매개되었을 때, 위생지식 수준이 낮을수록, 인적 위생태도가 높게 형성되어 있을수록 위생관리행동을 많이 한다. 또한 조직충성도가 높을수록 위생관리 행동을 많이 한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충성도가 매개 되었을 때 인적 위생태도가 높게 형성되어 있을수록 위생관리 행동을 많이 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지지된다. 선행연구(Ryu et al., 2013)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손 씻기에 대한 지식, 태도, 실천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초등학생들의 손 씻기에 대한 태도 및 실천은 학생들의 조직충성도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손 씻기 태도는 전반적인 위생관리 행동을 함에 있어 정(+)의 영향을 미친다고 하여 본 연구 결과를 지지한다. 선행연구(Choi, 2014)는 피부미용실의 위생서비스 만족도가 고객의 재방문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피부미용실에 대한 고객이 갖는 위생태도는 관리자의 위생관리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여 본 연구결과를 지지한다.
둘째, 조직충성도가 높을수록 위생관리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Kim & Kim, 2016)에서 조직충성도가 높은 종사자일수록 조직에 대해 헌신하려는 열정과 애착이 나타났다. 또한 조직충성도는 조직의 목표를 개인의 목표와 동일시한다고 나타났다. 때문에 자신의 시간과 능력을 투자하려는 의도로 이어진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선행연구(Lim et al., 2019)에서 조직 내 친밀감은 장기근속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이는 조직 내 친밀감이 높을수록 조직 문화, 목표 성취율, 업무성과가 높아지고, 장기근속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선행연구(Park & You, 2020)에서 미용실 관리자의 커뮤니케이션 코칭과 조직 구성원의 조직 몰입 요인이 높아질 수록 조직 구성원의 근무환경, 업무 만족 및 업무성과가 높아진다고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셋째, 조직충성도가 매개 되었을 때 위생지식 수준이 낮을수록 위생관리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내용은 일반적인 상식에 반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미용종사자들의 위생지식은 학창시절 배운 위생 관련 교과목 내용과 산업체에서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위생교육을 바탕으로 한다. 그러나 위생교육을 통한 위생지식과 실제 위생관리행동에는 괴리가 있을 수 있다. 미용도구들은 철제도구이므로 멸균 과정을 거쳐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음 고객의 시술시 소독되지 않은 철제도구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미용환경은 동료 미용종사자들과 공동으로 사용하는 공간에서 시술을 진행한다. 따라서 본인이 가지고 있는 위생지식에 근거하여 시술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현장에서는 관행적인 행동을 요구하거나 조직의 매뉴얼에 의해 작업이 이루어진다. 때문에 위생지식 수준이 위생관리 행동에 영향을 미치기에는 제한점이 많은 것으로 사료된다. 선행연구(Na & Kim, 2019)에서는 헤어미용 종사자의 위생관리행동이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미용사는 다수의 고객과 대면접촉을 하여 질병에 대한 감수성을 조절하기 힘든 직군이라 하였다. 작업시 사용하는 물건들이 감염의 원인이 될 수 있기에 철저한 위생관리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미용사의 철제 도구들에 위생 처치가 이루어지지 않아 많은 위생 문제가 발생한다고 하였다. 미용도구 사용 후 위생관리에 대한 과학적인 매뉴얼 개발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V. 결론

최근 코로나19가 범세계적으로 대유행을 하고 있다. 이러한 팬더믹 상황 속에서 감염 확산을 차단하고자 위생과 관련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Mohamed et al., 2021). 미용관련 사업장은 대면접촉 서비스가 주를 이룬다. 이에 미용업에서의 위생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미용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위생지식, 위생태도, 위생관리의 양상을 살펴봄은 시의적절하다.
본 연구는 미용종사자의 위생지식, 위생태도가 위생관리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충성도의 매개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위생관리에 어떤 변수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위생적인 환경관리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미용종사자들의 인적 위생태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교육프로그램 개발 시에는 위생관련 전문가, 미용교육 전문가, 미용종사자들의 연합체를 구성하여 개발, 수행,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미용종사자의 이해 수준을 고려하고 흥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또한 미용종사자들의 근무시간을 고려하여 접근이 용이한 매체를 활용하여야 한다. 이러한 위생태도 형성이 위생 관리 행동으로 이어져야 한다는 것을 인지하고 설계해야 한다. 미용 사업장의 운영 특성을 고려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태도 형성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둘째, 조직충성도는 위생관리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때문에 조직에 대한 정서적 애착을 가질 수 있게 인사관리의 중요성이 제기된다. 인사관리의 방향은 근무자의 내적 동기를 향상시키는 것부터 행동으로 옮기는 것까지 전체적으로 이루어져야한다. 내적 동기를 향상시키기에 앞서 조직 구성원의 니즈를 확인하여 인사관리를 해야 한다고 판단된다.
셋째, 미용 분야별로 공중위생법이 현실감 있게 개발되어야 하며 이에 따른 현장 교육이 이루어져야한다. 미용 분야별로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교육내용을 체계적으로 구축하여야 한다. 또한 교육의 실적용을 위해 구체적인 위생일지, 담당자 배정과 같은 매뉴얼을 개발하여 산업체에서의 접근성을 높이도록 하는 노력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갖는다. 첫째, 표본의 대표성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 표본으로 선정된 연구대상자는 서울 시에 위치한 미용관련 사업장의 미용종사자이다. 본 연구 결과를 전국적인 연구로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코로나 19 상황의 경우 서울이 아닌 타지역은 서울에 비해 확진자가 많이 나타나고 있지 않아 전국으로 확대하여 해석할 수 없기 때문이다. 둘째, 위생지식의 문항 수에 대한 문제이다. 위생지식은 더 많은 문항으로 상세한 측정이 가능하다. 후속 연구에서는 위생 지식 분야를 더 많은 문항으로 구성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조작적 정의를 하여 일부로 한정하 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결과가 기존 선행 연구결과와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위생관리행동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봄은 의의가 있다. 미용종사자들의 위생관리 행동을 높이는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미용관련 사업장의 위생 관리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N=300)
Variables Frequency (N) Percentage (%)
Age 20~29 173 57.7
30~39 108 36.0
Over 40 19 6.3
Academic background High school graduate or less 76 25.3
College graduate 142 47.3
University graduate 82 27.3
Store type Franchise 81 27.0
Personal opera仕on 171 57.0
Shop in shop 17 5.7
Joint operation 31 10.3
Average monthly income Under 1500 thousand 30 10.0
Over 1500 thousand-under 2000 thousand 141 47.0
Over 2000 thousand-under 2500 thousand 111 37.0
Over 2500 thousand 18 6.0
Total 220 100.0
Table 2.
Results of factor and reliability analysis on human hygiene attitude
Human hygiene attitude Factors I
Commonality
1
I should check my health condition regularly. .952 .906
Hand washing must be done to prevent the spread of the virus. .943 .889
Wearing a mask can prevent the spread of the virus. .942 .887
Clothes must be hygienically managed to protect against infection. .915 .838
Eigenvalue 3.519
Variance Description (%) 87.983
Accumulated Description (%) 87.983
Reliability (Cronbach α) 0.953
Table 3.
Results of factor and reliability analysis on physical hygiene attitude
Physical hygiene attitude Factors I
Commonality
1
In the beauty industry, hygiene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936 .876
Beauty businesses must have disinfection machines. .932 .868
Hand sanitizers are essen仕al for beauty businesses. .930 .864
The beauty industry should be more ventilated than any other place. .865 .749
Eigenvalue 3.357
Variance Description (%) 83.926
Accumulated Description (%) 83.926
Reliability (Cronbach α) 0.935
Table 4.
Results of factor and reliability analysis on hygiene management
Hygiene management Factors I
Commonality
1
The business is equipped with hand sanitizers in front of the door to make it easier for customers to disinfect their hands. .926 .857
After the customer leaves, the business disinfects the place. .914 .836
The business is equipped with ventilation facilities. .886 .785
The business sterilizes and disin免cts towels. .882 .777
The business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customer. .849 .722
Eigenvalue 3.976
Variance Description (%) 79.529
Accumulated Description (%) 79.529
Reliability (Cronbach α) 0.931
Table 5.
Results of factor and reliability analysis on organizational loyalty
Organizational loyalty Factors I
Commonality
1
I once talked about the good things about where I am currently working. .986 .972
I would like to recommend this beauty salon to people around me. .981 .963
I wanted to work at my current workplace among many beauty salons. .977 .954
I think the shop where I work is valuable for purpose and work. .974 .950
I trust our shop's service compared to the competitive shop's service. .965 .931
I trust my shop mates like a family. .963 .927
I plan to continue working at the current workplace in the future. .957 .916
Eigenvalue 6.612
Variance Description (%) 94.463
Accumulated Description (%) 94.463
Reliability (Cronbach a) 0.990
Table 6.
Correlation analysis
Factors Correlation analysis
Hygiene knowledge Human hygiene attitude Physical hygiene attitude Hygiene management Organizational loyalty
Hygiene knowledge 1
Human hygiene attitude .875** 1
Physical hygiene attitude .885** .923** 1
Hygiene management .519** .669** .651** 1
Organiza仕onal loyalty .493** .623** .608** .911** 1

** p<.01

Table 7.
Factors influencing hygiene management by hygiene knowledge and hygiene attitude through the mediated effects of organizational loyalty (N=300)
Category Model 1
Model 2
β S.E β S.E
Constant 0.112 0.082
Independent variable Hygiene knowledge -.409*** .036 -.136* .021
Human hygiene attitude .455*** .118 .185** .067
Physical hygiene attitude .460*** .118 .123 .067
Mediated variable Organizational loyalty .791*** .031
Fit Statistics R2 .528 .852
Adj. R2 .519 .849
F 54.726*** 240.797***

* p<.05,

** p<.01,

*** p<.001; Controlled socio-demographic variables.

References

An, H. K. (2021). A Study on the Differences of Online and Offline Classes in College Beauty Education Caused by COVID-19. Journal of Korean Beauty Society, 27(5), 1184-1195.
crossref
Choi, S. I. (2014). A Study on Effects of Customers' Satisfaction with Skin Care Shop's Sanitation on their Revisit Intention. Journal of Korean Beauty Society, 20(6), 1012-1019.
Han, J. E., & Jung, H. S. (2020). A study of the related factors on the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of vocational teachers in the vocational high school.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2(3), 141-154.
crossref
Jung, D. J. (2021).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toward COVID-19 epidemic in Korea. The Journal of Educational Development, 40(4), 845-860.
crossref
Kim, J. E. (2016). Knowledge, attitude, performance of daycare providers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on infection prevention. The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16(3), 77-90.
crossref
Kim, K. J., Lee, E. H., & Shin, S. H. (201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atient Safety Perception Scale for hospitalized Pati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30(4), 404-415.
crossref
Kim, M. J., & Cho, M. J. (2012). A study on hygiene knowledge and hygiene practice in nail salon workers. Journal of Investigative Cosmetology, 8(4), 271-280.
crossref
Kim, M. J., & Kim, Y. T. (2016). A study on job stress effecting on depression and its influence on intention of turnover, job performance, job loyalty and organizational loyalty: focused on employees in convention industry.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Management and Sciences, 31(5), 203-223.
crossref
Kim, N. Y., Oh, Y. K., Moon, D. H., & Woo, M. O. (2013). Knowledge, attitude and performance regarding skin health care among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 the Chang-won area.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Beauty and Art, 14(4), 61-75.
Kim, O. S., Hwang, J. W., & Oh, J. H. (2019). A study on the knowledge and practice of respiratory infection prevention in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Wellness, 14(3), 135-144.
crossref
Kim, S. S. (2013).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family restaurant employees' job stress, job burnout, organizational loyalty, and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Foodservice Management, 16(6), 71-90.
Kwon, E. S., & Shin, K. O. (2014). A study on needs of estheticians' individual hygiene. Journal of Korean Beauty Society, 20(3), 377-383.
Lee, C. E., & Kim, S. H. (2012). A study of public health and hygiene education in beauty art- related departments. Asian Journal of Beauty & Cosmetology, 10(1), 107-115.
Lee, H. W., Moon, H. A., Kim, Y. H., Im, J. M., Kim, K. L., Jang, S. N., Lim, Y. Y., Lee, W. H., Lee, M. H., Kim, H. Y., Shim, J. S., Seo, S. M., & Lee, Y. M. (2010). A critical review on the public health control act amendment Bills. Asian Journal of Beauty & Cosmetology, 8(4), 293-312.
Lim, Y. K., Jo, H. J., & Park, E. J. (2019). The Desirability of a Hairdresser's Life, the Closeness of Organization, the Relationship of Long-term Service. Journal of Korean Beauty Society, 25(5), 1020-1026.
Mohamed, Adam, Moawia, Gameraddin, Magbool, Alelyani, Gaffar Sarwar, Zaman, Alamin, Musa, Irshad, Ahmad, Mohammad Y, Alshahrani, Kamal, Alsultan, & Awadia, Gareeballah (2021). Assessment of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Concerning COVID-19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of Faculty of Applied Medical Sciences at King Khalid University, Abha, Kingdom of Saudi Arabia: A Cross-Sectional Surveyed Study. Advances in Medical Education and Practice, 12:789-797.
pmid pmc
Na, H. Y., & Kim, S. H. (2019). The Effects of Hygiene Management Behavior on Health state in Hair Beauticians. Journal of Korean Beauty Society, 25(5), 1109-1118.
Na, J. H., & Park, E. J. (2021). The Effect of Shared Leadership and Organization Trust on Communication of Beauty Artists. Journal of Korean Beauty Society, 27(4), 859-867.
crossref
Noh, E. M. (2019). Comparison of oral health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according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oral health education.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9(11), 241-246.
Park, J. Y. (2018). The effect of hygiene knowledge of estheticians on hygiene practi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Design Culture, 24(2), 285-293.
crossref
Park, K. H., & You, S. E. (2020). Impact of Organizational Culture of Hairdressers on Work Performance. Journal of Korean Beauty Society, 26(2), 437-444.
Park, S. J., Han, J. E., & Kwak, K. H. (2021). The influence of nursing students’ knowledge, attitudes and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s for COVID-19 upon the nursing intention for patients with the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Research, 5(1), 13-23.
crossref
Ryu, S. H., Kwon, H. J., & Baek, K. A. (2013).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hand washing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5(5), 2701-2715.
Yuehui, J., Shuli, M., Lianjie, B., Qiong, X., Yu, W., Ying, G., Yun-feng, H., Zhiping, X., Xiaowei, T., & Jie, G. (2021). Health Literacy and Disparities in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Regarding COVID-19 Among College Students During the COVID-19 Outbreak in China: A Cross-Sectional Study. Risk Management and Healthcare Policy, 14:4477-4488.
pmid pmc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10-2825-6735   Fex: +82-62-950-3797    E-mail: beauty2007@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