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Cosmetol > Volume 27(3); 2021 > Article
미용교육 성인학습자의 특성에 따른 평생학습 참여 동기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dult learners in beauty education. For empirical analysis, cosmetic colleges, graduate students, cosmetary and cosmetosis experienced students were used for self-entry questionnaires, 400 were used as final data, and statistical programs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Through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possible to find out what motives are for the lifelong learning of adult learners in beauty education. It can be seen that those in their 60s, who are relatively high in age, have a goal-oriented desire to perform more professionally about their degree, qualifications, expertise, and current situation than in their 30s, and that they choose the learner's path to reach the goal. In addition, beauticians with graduate school or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chose the learner's path for self-realization and satisfaction with their life, and the learner's academic ability did not affect the relationship orientation such as belonging and making new friends. The higher the average monthly income, the more often the learner participates in learning, which is the same as the economic margin supported by the older adult learners. It is believed that learners do not learn for another affiliation and new relationship because they have relationships and affiliations that have been accumulated for a long time. The longer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participates, the greater the desire for self-actualization for learning, and it is believed that the desire to acquire knowledge in various fields as well as beauty and to obtain a sense of satisfaction in life through the acquisition of new knowledge.

I. 서 론

대한민국은 현재 저출산과 고령화 교육적, 경제적 양극화 현상의 극복을 위해 포용적이고 안정감 있는 사회통합이 필요하며 이와 관련한 대안으로 평생학습이 제시되고 있다(Kim & Han, 2012). 또한 최근 불확실한 사회, 경제 환경으로 인한 평생학습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학교와 직장을 오가며 일과학업을 병행하는 미용인들이 증가하고 있고(Kim & Chang, 2018), 자기 개발을 통한 자아성장을 기대하는 미용사 또한 늘어나고 있다. 인간이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해 필요한 삶의 질 향상은 매우 중요한 요소로 꼽히고 있으며, 평생학습 연구에서 성인의 평생학습 참여 동기는 다양하고 개인적이기 때문에 참여 동기와 목적을 파악하는 것은 평생학습의 방향을 예측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도 할 수 있다(Park & Seo, 2020). 이처럼 성인학습자의 학습참여도는 갈수록 높아지고 있고 미용 성인학습자 또한 여러 방법으로 각자에 맞는 학습자의 길을 선택하고 있다. 성인학습자의 길을 선택하는 이전의 미용사는 한번 배운 기술을 평생 기술로 여기며 새로운 기술이나 배움을 소홀히 하는 경향이 많았다. 그로 인해 미용 산업의 발전이 다른 산업에 비해 느리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지만 현재의 미용사는 성인학습자의 길로 갈수록 교육에 열정을 보이고 있는 추세이다. 성인학습자에게 자아존중의 욕구는 타인의 인정을 통한 자존감을 갖는 욕구이며, 자아 존중감은 타인의 인정과 스스로에 대한 능력 신뢰를 통해 형성되는 자신의 존재와 본질에 대한 신뢰라고 할 수 있고, 이는 정신적 건강과 삶의 질을 높이는 계기가 될 수 있다(Lee, 2013). 미용사의 성공적인 평생학습의 안착을 위해서는 미용 성인학습자의 특성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으며, 성인학습자는 사회적 역할과 인생 경험 등으로 인해 학령기의 학생들과는 다른 교육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고, 가정이나 직장에서의 책임과 역할로 인해 한정된 시간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학습을 통해 얻고자하는 성과가 명확하며, 학습에 대한 열정 이외에 다양한 참여동기를 가지고 평생교육을 선택한다(Kwak et al., 2019).
미용이라는 직업 또한 단순한 미용 기능에서 벗어나 전문직으로서의 경쟁력을 갖추는 것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며, 많은비용과 시간을 들여 교육에 투자한다 해도 현재의 미용교육이 급변하는 시장성을 따라가지 못하는 경우가 나타나고 있다(Lee et al., 2019). 이에 고객을 직접적으로 대하는 미용사는 평생교육이라는 과제를 가지고 새로운 미용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하고(Jang & Park, 2020), 미용교육의 전문성이 강조되면서 2년제 및 4년제 미용관련 대학교 교육과정과 대학원 과정까지 미용 성인학습자의 특성에 맞는 학습을 돕고 있는 실정이다(Seo & Kang, 2016).
Choi(2013)은 현대사회를 살아가고 있는 성인들은 급격하게 변화하는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적응을 위한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학습해야 한다고 하였고, Min(2018)은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이끌어가기 위해 이전에 배운 지식과 기술만으로는 평생 동안 자신의 삶을 영위해 나가기 쉽지 않은게 현실이기 때문에 미용 성인학습자들은 평생학습에 참여해야만 한다고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용교육을 받는 성인학습자들이 어떠한 특성에 의해 평생학습에 참여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특성에 따른 참여 동기를 통하여 더 나은 미용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방법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미용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이 미용사의 자아성장과 자존감을 높이고 삶을 행복하게 만드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II. 이론적 배경

1. 미용교육

미용교육은 미용산업과 교육분야의 전문성있는 인력을 양성하는데 교육목적을 두고 이를 이루기 위해 고등학교부터 대학교, 대학원에 이르기까지 교육기관의 질적·양적 향상을 가져왔다. 이는 미용학의 학문적 발전뿐 만 아니라 전문인력의 양성과 더불어 사회적 인식변화와 미용산업의 발전에 기여하였다(Kang & Choi, 2012).
미용교육은 헤어와 피부, 메이크업 및 네일 등의 교과를 중심으로 구성되며 통합 또는 전공을 구분하여 교육을 하고 있고, 미용의 특성상 교과 구성은 이론과 실기로 이루어지며 실습교과의 비중이 높기 때문에 기술교육이 수반된 학습 전략을필요로 하고 있다(Jang & Kang, 2010). Leem et al.(2011)은 미용교육은 가르치고 배우는 단순한 활동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가치와 제도적 구조, 환경을 전제로 한 교육행위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미용이 시대변화의 요구에 따라 종합적 의미의 학문으로서 자리를 잡고 있다고 하였다. Kim(2013)은 미용교육과정을 통해 기술향상, 미용실기 교과에 대한 중요성을 제시하였고, Lee(2007)은 경쟁이 치열해지고 급변화하는 미용산업에 장기적 성장과 발전을 위해서는 미용종사자 모두 유능한 인재가 될 수 있도록 교육 하는 것이 미용교육의 근본적인 목적이라고 하였다.

2. 성인학습자

성인학습이란 성인들이 의지를 가지고 자기가 경험하는 새로운 환경에 대해 이해하고 자신이 가진 경험을 확장해 나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Na, 2014).
일반적으로 학령기를 지난 나이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교육에 참여하며 학습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을 성인학습자라 한다. 성인학습자들은 학령기의 학습자와 비교했을 때 심리적, 신체적, 사회적 특성이 상이 하며 학습의 목적과 동기, 학습환경과 과정, 학습결과 등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성인학습자는 18세부터 80세까지 신체적, 심리 사회적 발달 단계에 위치해 있으며 다양한 생애 경험을 갖고 있어 성인학습자의 특성을 일반화하기는 어렵다(Kwon, 2008). Jung(2018)의 연구에서는 성인학습자는 자발성을 가지고 학습상황을 선택할 수 있으며, 자기주도적이고 지금까지의 누적된 경험을 토대로 학습에 임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고, 많은 관심을 갖고 학습에 임하는 경향이 강하며 연령에 따른 신체적 변화로 인해 민감하게 반응하는 특성을 갖는다고 하였다.

3. 평생학습 참여 동기

Blunt & Yang(2002)은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내적 가치, 중요성 인식, 학습 향유로 구분하여 학습 참여 동기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으며, Park(2011)은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 동기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 경제적 여건, 직업, 문화, 사회적 영향과 역할, 학습상황 등의 개인적, 사회적 요인들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고 하였다. Kim (2012)은 성인은 다양한 동기를 가지고 교육에 참여하며 그들의 동기는 교육에 대한 태도와 성별, 나이에 따라 차이가 있다고 하였다.
Park & Seo(2020)의 연구에서는 평생학습 참여 동기의 요인을 활동지향형, 목표지향형, 학습지향형으로 정의하였으며, Mun & Nam(2007)의 연구에서는 학습성과에 가장 큰 영향을미치는 요인은 직장의 유무였으며, 직장을 가지고 있는 학습자들이 그렇지 않은 학습자들보다 교육에 대한 충실도가 낮고 성적도 부진하다고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서 성인학습자들의 평생교육 참여동기에 여러 유형들이 있고 이 유형의 요인들이 성인학습자들의 학습성과에도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평생학습 참여 동기의 요인을 관계지향, 학습지향, 목표지향으로 정의하고 일반적 특성의 요인인 연령, 학력, 결혼상태, 월 평균 수입,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기간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문제

1.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 알아본다.
2. 평생학습 참여 동기의 차원에 대해 알아본다.
3. 미용교육 성인학습자의 특성에 따른 평생학습 참여 동기요인을 알아본다.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 일부지역의 미용전공대학, 대학원생, 미용종사자 및 미용종사 경험자를 대상으로 설정하였으며, 자료수집 방법으로는 자기기입식 설문지법이 사용되었다. 본 조사는 2019년 5월 10일부터 2019년 6월 20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총 407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402부가 회수되었고, 그 중 분석에 사용하기 불충분하다고 판단된 2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400부가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3. 측정도구 및 분석방법

본 연구를 위해 사용된 측정도구의 내용은 총 2개의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일반적 특성으로는 성별, 연령, 학력, 결혼상태, 월 평균 수입,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기간 총 6문항으로 연구자가 구성하였다. 평생학습 참여 동기에 대한 문항은 Lee (2013), Jang(2016), Kim(2015)의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 문항을 수정 보완하여 총 11문항으로 구성하였다. ‘1점, 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부터 ‘5점, 매우 그렇다’ 까지 5점의 리커트 척도가 사용되었다.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 22.0이 사용되었고,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 분석이 사용되었으며, 평생학습 참여 동기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이 사용되었다.
미용교육 성인학습자의 특성에 따른 평생학습 참여 동기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분석,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 사후검증 Duncan test가 사용되었다.

IV. 결과 및 고찰

1. 조사 대상의 일반적 사항

조사대상의 일반적 사항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 <Table 1>과 같다.
Table 1.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statistics
(n=400, %)
Item Total
Frequency(N) Percent(%)
Gender Men 63 15.8
Women 337 84.3
Age 30s 291 72.8
40s 78 19.5
50s 24 6.0
Over 60s 7 1.8
Education High school graduation or less 116 29.0
B.A. in College of Technology 115 28.8
Graduated from university 114 28.5
Graduate school ideals 55 13.8
med status Married 108 27.0
Unmarried 265 66.3
Other (bereavement, divorce, separation, etc.) 27 6.8
Average monthly earnings Less than 1 million won 91 22.8
More than 1 million won - less than 2 million won 188 47.0
More than 2 million won - less than 3 million won 59 14.8
More than 3 million won - less than 4 million won 33 8.3
More than 4 million won - less than 5 million won 11 2.8
More than 5 million won 18 4.5
Duration of participation in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Less than 3 months 81 20.3
More than 3 months - less than 6 months 54 13.5
More than 6 months - less than 1 year 91 22.8
More than 1-2 years 56 14.0
More than 2-3 years 45 11.3
More than 3 years 73 18.3
Total 400 100.0
성별은 여자 84.3%, 남자 15.8%로 여성이 높게 나타났고, 연령은 30대 72.8%, 40대 19.5%, 50대 6.0%, 60대 이상 1.8%로 30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이하 29.0%, 전문대학교 졸업 28.8%, 대학교 졸업 28.5%, 대학원 이상 13.8%로 고등학교 졸업 이하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결혼상태의 경우 미혼 66.3%, 기혼 27.0%, 기타(사별, 이혼, 별거등) 6.8%로 미혼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월평균 수입의 경우 100만 원 이상에서 200만 원 미만 47.0%, 100만 원 미만 22.8%, 200만 원 이상에서 300만 원 미만 14.8%, 300만 원 이상에서 400만 원 미만 8.3%, 500만 원 이상 4.5%, 400만 원 이상에서 500만 원 미만 2.8%로 100만 원 이상에서 200만 원 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기간을 알아본 결과 6개월 이상에서 1년 미만 22.8%, 3개월 미만 20.3%,3년 이상 18.3%, 1년 이상에서 2년 미만 14.0%, 3개월 이상에서 6개월 미만 13.5%, 2년 이상에서 3년 미만 11.3%로 6개월 이상에서 1년 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평생학습 참여 동기의 차원

평생학습 참여 동기 문항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을 위해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Bartlett의 단위행렬 점검 결과 χ2=1517.373(df=55, Sig=.000), KMO값 0.847로 나타났으며, 공통성은 0.465 이상으로 나타났다. 요인분석 결과 세 가지 요인이 추출되었다. 각 요인을 구성하는 문항들을 토대로 하여 다음 <Table 2>와 같이 요인을 명명하였다.
Table 2.
Dimension of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ifelong learning
Motivation questions for lifelong learning Factor 1 Factor Factor 3
Relationship orientation Learning-oriented Goal-oriented
To feel a sense of belonging .829 .135 .183
I want to make new friends. .817 .202 .010
I want to participate in social activities other than home and work. .796 .140 .218
I want to talk about my shared interests with the people around me. .722 .354 -.003
To gain life satisfaction through learning .104 .780 .092
For knowledge acquisition in various fields .213 .740 .204
For continuous self-improvement through learning .233 .735 .182
just because I'm interested in the study itself, .202 .649 .098
I want to get a degree (certificate) or certification. .101 -.023 .831
I want to play my role more professionally. -.001 .290 .746
To solve the problem I'm in. .237 .273 .579
High value 2.728 2.482 1.755
Description Variables(%) 24.798 22.559 15.959
Cumulative variables(%) 24.798 47.357 63.316
Confidence measure(Cronbach's α) .845 .767 .626
첫 번째 요인은 ‘관계지향’ 요인으로 요인적재값은 0.722~0.829로 나타났으며, 고유값은 2.728, 분산설명비율은 24.8%로 나타났다. 두 번째 요인은 ‘학습지향’ 요인으로 요인적재값은 0.649~0.780으로 나타났으며, 고유값은 2.482, 분산설명비율은22.6%로 나타났다. 세 번째 요인은 ‘목표지향’ 요인으로 요인 적재값은 0.579~0.831로 나타났으며, 고유값은 1.755, 분산설명비율은 16.0%로 나타났다.
요인분석 결과 도출된 세 개의 요인이 전체 분산의 63.3%이상 설명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생학습 참여 동기에 대한 신뢰성 검증 결과, 신뢰도 계수인 Cronbach's α는 0.626~0.845로 높게 나타나, 신뢰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별로 살펴보면, 관계지향0.845, 학습지향 0.767, 목표지향 0.626 으로 나타났다.

3. 미용교육 성인학습자의 특성에 따른 평생학습 참여 동기

다음은 미용교육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 동기 요인을 알아보고, 일반적 특성에 따라 평생학습 참여 동기 요인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 을 실시한 결과이다. 사후검증 방법으로는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성별은 평생학습 참여 동기 요인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Lim & Lee(2014)은 사회복지학 전공자들의 학습참여 동기와 학업만족도에 관한 연구에서 성별은 학습 참여 동기에 영향력을 미치지 않는다고 하였고, Park (2010)의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동기에 관한 연구에서도 여성이 남성에 비해 참여 동기가 높았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고 하여 본 연구와 맥락을 같이 하고 있다.

1) 평생학습 참여 동기 요인의 기술통계 분석

다음 <Table 3>은 미용교육 성인학습자의 전반적인 평생학습 참여 동기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이다.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볼 때, 목표지향(M=3.86)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학습지향(M=3.75), 관계지향(M=3.51)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미용교육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 동기 요인은 평균 3.71점으로 나타났다.
Table 3.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of motivational factors for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Separated M S.D.
Motivation factors for participating in lifelong learning Relationship orientation 3.51 .764
Learning-oriented 3.75 .606
Goal-oriented 3.86 .579
Total 3.71 .650

2) 연령에 따른 평생학습 참여 동기 요인의 차이

연령에 따른 평생학습 참여 동기 요인을 알아본 결과 다음<Table 4>와 같이 관계지향(p<.01), 학습지향(p<.001), 목표지향(p<.001)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관계지향 요인은 50대 이상의 평균이 30대의 평균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학습지향, 목표지향 요인은 60대 이상의 평균이 30대의 평균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Lee (2019)은 사이버대학 재학생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참여 동기에 관한 연구에서 학습지향형 동기는 60대 이후, 40-50대, 30대순으로 영향을 끼친다고 하였고, Jone(2014)는 노인의 평생교육 참여 동기에 관한 연구에서 60대 이상의 재학생의 경우 학습지향형 동기만이 유의한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하여 60대 이상의 평균이 30대의 평균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는 본 연구를 지지하고 있다.
Table 4.
Differences in motivation factors for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according to age
Separated Relationship orientation Learning-oriented Goal-oriented
M SD M SD M SD
Age 30s 3.43B .741 3.65B .591 3.76B .553
40s 3.64AB .844 3.99AB .572 4.10AB .569
50s 4.02A .510 4.09A .531 3.97AB .613
Over 60s 3.50B .750 4.14A .627 4.33A .577
F-value(p) 5.509∗∗ 10.872∗∗∗ 9.593∗∗∗

∗∗ p<0.01,

∗∗∗ p<0.001, Duncan Test results marked A>B

3) 학력에 따른 평생학습 참여 동기 요인의 차이

학력에 따른 평생학습 참여 동기 요인을 알아본 결과 다음<Table 5>와 같이 학습지향(p<.010), 목표지향(p<.001)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학습지향, 목표지향 요인은 대학원 이상의 평균이 고등학교 졸업 이하의 평균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관계지향 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ark(2010)의 연구에서는 학습지향적 동기가 대학원졸업 이상의 집단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고 하여 본 연구를 지지하고 있으나, Kim(2013)은 개인적 특성에 따른 학습참여 동기 유형의 차이에서 전문대졸 이상의 학력이 목표지향형 참여 동기 요인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다고 하여 대학원 이상의 평균이 가장 큰 영향을 끼친다고 한 본 연구의 상반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Table 5.
Differences in motivation factors for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Separated Relationship orientation Learning-oriented Goal-oriented
M SD M SD M SD
Education High school graduation or less 3.39B .850 3.62C .676 3.71B .642
B.A. in College of Technology 3.65A .732 3.84B .509 3.88B .527
Graduated from university 3.46AB .708 3.67BC .622 3.84B .547
Graduate school ideals 3.58AB .715 4.02A .490 4.10A .521
F-value(p) 2.608 7.294∗∗∗ 6.039∗∗∗

∗∗∗ p<0.001, Duncan Test results marked A>B>C

4) 결혼 상태에 따른 평생학습 참여 동기 요인의 차이

결혼 상태에 따른 평생학습 참여 동기 요인을 알아본 결과 다음 <Table 6>과 같이 관계지향(p<.001), 학습지향(p<.01)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관계지향, 학습지향 요인은 기타(사별, 이혼, 별거 등)의 평균이 미혼의 평균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목표지향 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Jo(2006)는 여성인력개발센터 교육에 참여하는 학습자의 동기에 관한 연구에서 목표지향요인이 결혼 여부나 생활주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하여 본 연구와 맥락을 같이 하였고, Park(2010)은 결혼여부에 따른 참여 동기는 미혼 집단에 비해 기혼집단이 가장 높은 참여 동기를 보였다고 하여 본 연구와 상반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Table 6.
Differences in motives for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according to marital status
Separated Relationship orientation Learning-oriented Goal-oriented
M SD M SD M SD
med status Married 3.62B .756 3.83AB .644 3.96 .580
Unmarried 3.42B .756 3.69B .590 3.80 .571
Other (bereavement, divorce, separation, etc.) 3.99A .652 4.04A .494 3.90 .604
F-value(p) 8.811∗∗∗ 5.386∗∗ 2.835

∗∗∗ p<0.001, Duncan Test results marked A>B

5) 월 평균 수입에 따른 평생학습 참여 동기 요인의 차이

월 평균 수입에 따른 평생학습 참여 동기 요인을 알아본 결과 다음 <Table 7>과 같이 학습지향(p<.001), 목표지향(p<.01)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학습지향, 목표 지향 요인은 500만 원 이상의 평균이 100만원 미만의 평균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목표지향 요인은 400만 원 이상에서 500만 원 미만의 평균이 100만 원 이상에서 200만 원미만의 평균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관계지향 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able 7.
Differences in motivational factors for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according to monthly average income
Separated Relationship orientation Learning-oriented Goal-oriented
M SD M SD M SD
Average monthly earnings Less than 1 million won 3.47 .856 3.65C .616 3.80C .630
More than 1 million won - less than 2 million won 3.48 .690 3.69C .586 3.75BC .559
More than 2 million won - less than 3 million won 3.59 .737 3.73BC .619 4.00ABC .530
More than 3 million won - less than 4 million won 3.63 .788 4.02AB .490 4.12AB .512
More than 4 million won - less than 5 million won 3.86 1.114 4.20A .522 4.15A .502
More than 5 million won 3.33 .804 4.21A .564 4.01ABC .529
F-value(p) 1.057 5.849∗∗∗ 4.477∗∗

∗∗ p<0.01,

∗∗∗ p<0.001, Duncan Test results marked A>B>C

Song(2017)의 참여 동기 유형별 학습성과에 관한 연구에서는 소득이 높을수록 참여 동기가 높게 나타나고 이는 소득이 높은 만큼 삶의 여유를 가지고 평생학습에 참여하기 때문이라고 하여 500만원 이상의 평균이 참여 동기에 가장 영향이 크다는 본 연구를 지지하고 있다.

6)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기간에 따른 평생학습 참여 동기 요인의 차이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기간에 따른 평생학습 참여 동기 요인을 알아본 결과 다음 <Table 8>과 같이 관계지향(p<.01), 학습지향(p<.01), 목표지향(p<.01)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관계지향 요인은 6개월 이상에서 1년 미만의 평균이 3개월 미만의 평균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학습지향, 목표지향 요인은 3년 이상의 평균이 3개월 미만의평균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ark(2010)의 연구에서는 학습지향적 동기는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과 기간이 영향이 가장 크다고 하여 본 연구를 지지하였으나 목표지향적 동기는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과 기간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고 하여 본 연구와 상반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Table 8.
Differences in motivational factors for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during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Separated Relationship orientation Learning-oriented Goal-oriented
M SD M SD M SD
Participation period Less than 3 months 3.21C .747 3.52B .636 3.68C .599
More than 3 months - less than 6 months 3.59A .785 3.79A .531 3.75BC .572
More than 6 months - less than 1 year 3.71A .680 3.84A .484 4.01A .509
More than 1-2 years 3.54A .768 3.70AB .696 3.85ABC .575
More than 2-3 years 3.46AB .816 3.74AB .494 3.83ABC .622
More than 3 years 3.55A .750 3.91A .681 3.94AB .567
F-value(p) 4.225∗∗ 4.078∗∗ 3.519∗∗

∗∗ p<0.01, Duncan Test results marked A>B>C

V. 결 론

본 연구는 미용교육 성인학습자의 특성에 따른 평생학습 참여동기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를 통하여 미용교육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을 위한 동기가 무엇인지에 대해 알 수 있었다. 연령대가 비교적 높은 60대 일수록 30대보다 학위나 자격증, 전문성, 지금 처한 상황에 대해 보다 전문적으로 수행하고 싶어 하는 목표지향이 있었으며 목표에 다가가기 위해 현장에서 하는 일과 더불어 학습자의 길을 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대학원 이상의 학력을 가진 미용사는 본인의 삶에 대한 만족감과 자아실현을 위해 학습자의 길을 택했으며 소속감과 새로운 친구를 사귀는 등의 관계 지향에는 학습자의 학력이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 평균 수입이 높을수록 학습자가 학습에 참여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는 성인학습자의 특성상 나이가 들수록 경제적인 여유가 뒷받침 되는 것과 같다고 볼 수 있고, 월 평균 수입이 관계지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성인학습자는 이미 오랜시간 쌓아온 인간관계와 소속이 있기 때문에 또 다른 소속과 새로운 인간관계를 위한 학습을 하지 않는 것으로 사료 된다. 평생 교육 프로그램 참여 기간이 길수록 배움에 대한 자아실현욕구가 커지며, 미용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습득하길 원하고 새로운 지식의 습득을 통해 삶의 만족감을 얻고자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우리나라는 현재 인구의 고령화에 본격적으로 진입한 만큼 미용교육에서도 새로운 세대를 위한 교육과 더불어 현재 미용을 하고 있는 기성세대 성인학습자가 고객의 연령대에 맞춰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을 활성화하여 학습에 대한 동기를 유발, 누구나 마음만 먹으면 배움의 길에 쉽게 다가갈 수 있고 그 배움을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그런 교육을 기획 한다면 미용교육을 받는 성인학습자의 학습에 대한 욕구를 불러일으킬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미용교육 성인학습자의 특성에 따른 평생학습 참여동기에 대해 알아본 것으로 이들 결과를 통하여 미용교육을 받는 성인학습자의 특성에 대해 알 수 있었다. 연령, 학력, 결혼상태, 월 평균 수입,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기간에 따라 평생학습 참여 동기 요인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도출하여 평생학습참여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실증적인 방법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서울과 경기도 일부지역의 미용전공대학, 대학원생, 미용사와 미용종사 경험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여 범위를 일반화시키는데 제한이 있었다. 또한 본 연구의 84%가 여성이라는 점, 72%가 30대 라는 점에서 남녀의 연령과 성비가 고르지 않아 향후에 광범위한 지역, 남녀의 연령과 성비를 고르게 분석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References

Blunt, A., & Yang, B. (2002). Factor Structure of the Adult Attitudes Toward Adult and Continuing Education Scale and Capacity O Predict Participation Behavior: Evidence for Adoption of a Revised Scale. Adult Education Quarterly, 52(4), 299-314.
crossref
Choi, J. Y. (2013). Impact of Learning Motivation, Satisfaction Level with Educational Services and Image of Educational Institutions on Choice Intention of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among Adult Learners, Chung-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Thesis. 1.
Jang, H. Y. (2016). The Effects of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ve Motivation,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on Subjective Happiness of Middle and Older Adults, Dong-a University Graduate School Doctoral Thesis. 127.
Jang, Y. J., & Kang, S. K. (2010). The Effect Cognitive Apprenticeship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and Attitude of Curriculum of Beauty. J. Kor. Soc. Cosm., 16(2), 549-555.
Jang, Y. W., & Park, E. J. (2020). The Effect of Self-efficacy of Hairdresser on Self-directed Learning and Subjective Happiness. J. Kor. Soc. Cosm., 26(5), 1039-1047.
Jo, O. J. (2006). A Study on the Participation Motive of Women Learners of Resources Development Center,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Thesis. 44.
Jone, M. S. (2014). The Effects of Types of Participation Motive to Life-long Education on Education Satisfaction and Perception Degree to Successful Aging of the Elderly.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9(5), 235-246.
Jung, M. H. (2018). Study of learning performance and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of adult learner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jou universities Lifelong Education Master's Thesis. 9.
Kang, S. K., & Choi, K. H. (2012). The Analysis of Domestic Beauty-related School Course and Graduated Beautician Status. J. Kor. Soc. Cosm., 18(6), 1393-1401.
Kim, J. H. (2015). Relationship between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of urban and rural middle-age women's adult students and achievement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jou universities Lifelong Education Master's Thesis.67-70.
Kim, J. Y., & Chang, W. S. (2018). An Analysis of School and Work Activity Systems Affecting the Learning and Transfer of Graduate School Student-Workers.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37(2), 167-190.
crossref
Kim, K. R. (2013). The research on curriculum & related variables of the subjects expected by beauty-related majors, Won-kw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Doctoral Thesis. 95-97.
Kim, Y. M., & Han, S. H. (2012). A Structural Analysis of Adult Learner's Self-concept,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Degree of Participation in Learning on Lifelong Learning Outcomes. CNU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33(2), 123-143.
crossref
Kim, Y. R. (2013). Recognition of lifelong learning re-participation factors based on the motivation of adult learners to study, Gwangju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29-30.
Kim, Y. S. (2012). Review and Critique of Adult Learners' Motivation Research: From 2000 to 2011. Andragogy Today: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15(1), 31-62.
Kwak, M. S., Pang, Y. H., Kim, M. J., & Lee, J. W. (2019). Meta-analysis of Learning outcomes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motivation of adult learners participating in lifelong learning.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9(3), 11-18.
Kwon, S. Y. (2008).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of Adult Learners: Comparing Adult Learners on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with Undergraduate Students.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24(4), 27-52.
crossref
Lee, K. H. (2013). An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eacher Efficacy, Learning Persistence, and Job Satisfaction, Based on SMMIS model, Soong-sil University. Doctoral Thesis. 128-150.
Lee, M. J. (2019). A,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based on age and gender of university students. Korea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Thesis. 47.
Lee, M. S. (2007). A study on the beauty shop management and reeducation for the costemologists, Han-nam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ocial Cultere Master's Thesis. 78.
Lee, S. S. (2013). The Study of relationship among Age-Identity, Attitude toward the elderly, and self-esteem of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2(1), 57-74.
crossref
Lee, S. Y., Roh, H. Y., & Park, E. J. (2019). The Mediation Effect of Academic Achiev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Effectiveness and the Way-to-Decision of a hairdresser. J. Kor. Soc. Cosm., 25(3), 713-722.
Leem, H. Y., Kim, W. J., Kim, M. Y., & Moon, D. H. (2011). A Study on the Curriculum Improvement of Beauty Education in College. J. Kor. Soc. Cosm., 17(1), 49-56.
Lim, H. Y., & Lee, S. M. (2014). A Study Exploring the Relationship of Educational Participatory Motivation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among Adult Social Work Students of a Cyber University.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4(10), 403-415.
crossref
Min, H. S. (2018). A Relationship among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ifelong Learning, Self-Directed Learning, Subjective Happiness in Beauty-Education Adult Learners, Seo-kyeong University Dept. of Beauty Arts The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1.
Mun, S. K., & Nam, S. Z. (2007). A Study on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e-Learning. The Korea Contents Society, 7(1), 161-168.
crossref
Na, A. S. (2014). Adults' Flow Dance Education based on the Theory of Andragogy. The Korean Journal of Dance, 72(3), 51-66.
Park, N. Y. (2010). A Study on Satisfaction Level of Education of Adult Learners based on Motives in Participating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Daegu University Graduate Master's Thesis. 50.53-55, pp. 58-60.
Park, S. H. (2011).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Effect Factors Related to Participation of the Lifelong Learning in the Alienated Class with Higher Education.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17(2), 65-92.
Park, Y. G., & Seo, J. B. (2020). A Study on Motivation of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Self-esteem,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Quality of Life for Adult Learners. Humanities Society21, 11(4), 1575-1590.
crossref
Seo, S. M., & Kang, S. K. (2016). The Analysis of Beauty Education Study Trend. J. Kor. Soc. Cosm., 22(6), 1464-1470.
Song, C. Y. (2017). A Study on The Educational Performances by Type from Learning Purposes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 for Lifelong education Center of University, Daegu University Graduate Master of Public Administration Thesis. 85.
TOOLS
METRICS Graph View
  • 0 Crossref
  •  0 Scopus
  • 2,022 View
  • 17 Download
Related articles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10-2825-6735   Fex: +82-62-950-3797    E-mail: beauty2007@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