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Cosmetol > Volume 27(3); 2021 > Article
피부미용 종사자의 뱀부테라피에 대한 인식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related to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massage therapists for bamboo therapy and provide basic data for finding ways to expand the operation of the bamboo therapy. A total of 300 copies of survey data were collected, and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bamboo therapy, the overall awareness of bamboo therapy was highly measured. The perception of bamboo therapy is determined by effectiveness, conciseness, economics, and manageability, and the satisfaction of massage therapists during the operation of bamboo therapy has a high positive correlation in the order of effectiveness, economics, manageability, and conciseness of bamboo therapy recogni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it was analyzed that effectiveness and economics are the factors that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satisfaction. Therefore, if the awareness of the manageability and economics of bamboo therapy is increased to massage therapists who have not implemented bamboo therapy, it will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the operation of bamboo therapy in the skin care industry, which in turn will improve the health of massage therapists and improve the economics of the skin care industry. As a result, it is believed that this will help improve the health of massage therapists and improve the economy of the skin care industry.

I. 서 론

피부미용 산업은 인간의 건강하고 아름다움에 대한 관심과 노력이 지속적으로 높아지면서, 과거 단순한 미용 기술을 뛰어넘어 메디컬 케어에 대한 관심과 특수테라피와 융합한 고부가가치의 유망업종으로 발전하였으며, 이에 많은 전문 인력이 종사하는 중요 뷰티서비스 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의료적 시술과 매뉴얼 테크닉(Manual technique)을 병행하여 시술하는 병원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Lee, 2014). 피부미용업체는 1981년 피부미용인이 처음 등장한 이후 2010년에 12,821개에서 2016년에는 16,747개로 30.6%증가하였다. 피부미용인으로 종사하고 있는 인원 또한 2010년에서 2016년 사이 18.8%로 더욱 증가하는 추세이다(Lee, 2018). 이러한 피부미용 산업의 발전과정에서 피부미용 산업 종사자들의 직업 관련성 질환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피부미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매뉴얼 테크닉은 피부관리사 상반신의 근육, 손 관절, 손목관절 등 근골격계를 사용하며, 장기적인 작업 시 관리사의 근골격계에 만성적 장해를 유발하게 되는데 여러 작업과 노동 강도는 피부미용인의 근무상 병가 발생의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Choen, 2007). 매뉴얼 테크닉과 같이 직접적으로 신체 부위를 활용한 테크닉은 피부미용 종사자들의 직업적 질환을 초래하여 매출 실적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과중한 직무에 노출되는 종사자들의 불만족과 권태로 인해 작업성과에 영향을 준다(Choi, 2011). 또한, 피부미용인은 새로운 지식과 기술의 습득, 고객들의 높은 기술 수준 요구에 따른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다(Cho, 2013).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테크닉이 개발되어지고 있으나 실제 업무환경에 사용되는 테크닉은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새로운 테크닉을 도입하였을 때 매출의 증가는 제한적인데 비해, 관리사에 대한 교육비용, 관리 도구의 구입 및 유지관리 등 지출비용으로 인하여 경제적 문제가 발생하며, 새로운 테크닉에 대한 문제 발생 가능성과 새로운 테크닉의 효용성에 대한 불안감에 의해 경영 만족도가 감소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진입장벽은 피부 관리에 있어서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에 대한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Park, 2016). 최근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하여 사회적 거리가 강화됨에 따라서 직접 대면작업이 주를 이루고 있는 피부 관리실은 고객감소로 인한 경기 침체로 경영의 안정성이 위협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뿐 아니라 Kim et al.(2009)은 피부미용업계의 양적인 팽창이 질적인 부재를 낳게 되었다고 하였다. Kang(2009)은 피부 관리실에 종사하는 피부관리사의 이직률이 지속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면서 근속율은 더욱 더 낮아져 경영의 심각성을 설명하였으며, 불안정한 수입구조로 1인 피부 관리실 형태의 소규모 운영이 늘어나고 있다(Park, 2018). 현재 피부 관리실에서 사용되고 있는 피부미용 테크닉은 주로 손을 이용한 매뉴얼 테크닉과 관리용 기기 및 도구를 사용하는 테크닉으로 크게 구별된다. 매뉴얼 테크닉은 스웨디시 마사지, 발 마사지, 림프 마사지(Kim, 2009), 아로마 마사지(Park, 2005), 한국형 배농 마사지(Son et al., 2018) 등이 있으며, 기기와 도구를 이용한 테크닉은 스톤 마사지(Park, 2008), 괄사 마사지(Ko, 2015), 뱀부테라피 등이 있다. 이 가운데 특히 뱀부 테라피는 피부관리사의 체력소모가 적고, 편리성, 고객만족도, 사업장 매출, 활용성 등에 유리하여 실무교육을 받은 사람의 경험에 따라 교육 만족도를 충족시켜 피부 관리실 경영에 있어서 글로벌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No, 2019).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피부미용 종사자의 노동 강도를 줄여주고, 새로운 테크닉 도입에 따른 필요비용이 높지 않은 뱀부테라피를 시행중인 피부미용종사자들의 뱀부테라피에 대한 인식과 직무만족도를 파악하고 이들을 분석하여 서로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여 뱀부테라피의 운영 확대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II. 이론적 배경

1. 뱀부테라피(bamboo therapy) 효과

뱀부테라피는 2004년 테라피스트인 나탈리 세실리아(Nathalie Cecilia)에 의해 ‘Bamboo-fusion massage’라는 이름으로 창시되었고, 대나무 스틱의 외벽이 실리카(silica)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어 피부에 밀착감을 주며, 근막, 근육 및 통증점을 관리하기에 적합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Son et al., 2019). 뱀부테라피는 최근 직무능력을 훈련-자격-교육-일의 연계가 가능하도록 개발된 국가 직무능력표준(NCS)으로 표준화되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테크닉으로 진화하였다. Son et al.(2019)은 다양한 길이와 굵기의 대나무 스틱을 이용하여 신체의 근육을 쓸어주기, 밀착하여 펴 바르기, 토닥토닥 펴 바르기, 어루만져 펴 바르기, 떨며 펴 바르는 동작 등을 진행하는 뱀부테라피가 피부미용 종사자의 손과 팔을 직접 사용하는 타 테라피에 비하여 손목에 무리가 적은 테크닉이라고 설명하였다. 최근 Son et al.(2019)은 뱀부테라피가 심부근육 이완, 신체의 긴장완화, 혈액 순환 향상 및 림프 배농에 대한 자극에 도움이 되고, 스웨디시 기법(swedish massage technique)의 동작을 접목한 테크닉으로 발전하였다고 하였다. Shin(2019)은 뱀부테라피 적용시 피에조 전기, 파이로 전기, 그리고 지렛대의 원리가 근육 이완과 온열효과를 가져온다고 하였으며, Lee(2019)는 뱀부 림프 드레나지 테크닉의 적용이 모세혈관과 림프순환을 동시에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하였다.

2. 직무만족도

직업 인식이란 직업을 선택하여 어떤 유형의 직업이 자신의 욕구를 만족시켜 줄 수 있는지에 대하여 직업동기와 직업의 기대를 말한다(Kim, 2006). 이와 같이 직업에 대한 인식은 현실을 반영하지만 가치, 존중, 중요성 등의 특정적이며 상대적인 가치의 평가가 현실에 관여하는 것을 의미한다(Park, 2013). 이에 피부미용 종사자는 정확한 정보를 많이 접한다고 해서 직업에 대한 인식이 피부 관리실의 환경에 잘 반영하는 것은 아니며 같은 정보를 가지고도 얼마만큼 정확하게 활용하는 가에 따라 직업의 인식은 변화되고 달라진다. 또한 접촉한 정보가 객관적 특성과 심리적 특성 그리고 현재 처한 상황 등에 영향을 미칠수 있다(Shin, 2009). 이런 직업인식과 차별된 개념의 하나로 직무만족을 들 수 있는데 직무 만족이란 개인의 욕구를 충족시켰을 때 느끼는 정도를 의미하고 Hoppock(1935)는 조직구성원들의 생리적, 심리적, 환경적 상황의 결합 상태라고 정의하였다. Park(2010)은 직무만족을 조직구성원들의 직업에 대한 태도나 감정에 의해서 직무 경험의 만족과 평가에서 오는 긍정적인 정서 상태라고 하였다. 따라서 피부미용 종사자의 생산성과를 높여 질 높은 직무수행이 가능하고, 자기 직무를 성실히 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Lee, 2009). 특히 질적 향상은 작업성과를 높이고 능률적인 생산성을 향상시키게 되어 고객만족을 이끌어 내는 요인이라 정의할 수 있다(Kim, 2011).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문제

본 연구에서는 피부미용 종사자의 뱀부테라피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뱀부테라피의 실제 운영 시 직무만족도에 어느정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여 뱀부테라피의 운영 확대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이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피부미용 종사자의 뱀부테라피 효과성에 대한인식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
연구문제 2. 피부미용 종사자의 뱀부테라피 간결성에 대한인식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
연구문제 3. 피부미용 종사자의 뱀부테라피 관리성에 대한인식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
연구문제 4. 피부미용 종사자의 뱀부테라피 경제성에 대한인식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

2. 연구 참여자 및 자료수집

본 연구는 현재 전국에서 피부미용 종사자로 근무하고 있는 피부미용인 중 뱀부테라피를 시행중인 피부미용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자료의 수집 방법은 자기 기입식 설문지법을 사용하였다. 예비조사를 거친 후 실시한 본 조사 기간은 2020년 8월 10일부터 9월 2일까지 진행하였으며, 설문조사 방법으로는 총 343부의 설문지를 모바일로 배포하고, 불성실한 응답자 43부를 제외한 총 300부의 설문결과를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3. 측정도구

본 연구를 위해 사용된 측정도구는 총 4개의 측정지표 구성 개념들에 대한 조작적 정의와 연구에 대한 측정은 Kim(2019), No(2019)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사용한 설문지를 각각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고 측정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 검증후 설문문항을 구성하였다. 뱀부테라피에 대한 질문지는 일반적 특성문항 5문항과 운영실태에 관한 9문항, 시행여부에 따른 인식에 대해 16개 문항을 사용하였고, 요인분석을 통해 효과성 6문항, 경제성 4문항, 관리성 3문항, 간결성 3문항으로 분류하였다. 각 문항은 1점 ‘전혀 그렇지 않다’, 2점 ‘그렇지 않다’, 3점 ‘보통이다’, 4점 ‘조금 그렇다’, 5점 ‘매우 그렇다’의 5점 리커트 척도로 측정하였다. 뱀부테리피에 대한 인식을 통한 직무만족도는 작업 조건, 작업 강도, 테크닉 숙지, 시술 시간, 경제적 환경, 고객의 만족도, 종사자의 컨디션, 고객의 재방문 빈도의 8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인식에 대한 문항과 동일하게 5점 리커트 척도로 측정하였다.

4. 분석방법

본 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통계처리 과정을 거쳤다. 첫째,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뱀부테라피의 운영 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둘째, 먼저 수집한 자료가 요인분석을 적용하는데 적합한지 알아보기 위해 Bartlett의 단위행렬(Bartlett's test of sphericity), KMO의 표본적합도(Kaiser-Meyer-Olkin's measure of sampling adequacy, 이하 MSA), 공통인자분산(communality) 등으로 자료의 요인분석 적용 가능성을 판단한 후 주성분 분석법과 베리맥스를 적용하여 요인분석을 하였다. 신뢰도 분석의 경우, 신뢰도계수로 Cronbach's Alpha를 사용하였다. 셋째, 뱀부테라피 시행여부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t-test를 실시하였고, 뱀부테라피에 대한 인식이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인식과 만족도의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Schéffe-test)을 적용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연구 참여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본 연구에 참여한 피부미용 종사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Table 1). 성별은 남성 12.7%, 여성 87.3%로 여성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연령은 50대가 34.7%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40대가 22.3%, 30대가 19.7%, 20대가 11.7%, 60대 이상이 11.7% 순으로 조사되었다. 학력은 대학교졸업 34.3%로 가장 높았으며, 전문대학졸업 26.7%, 고졸 25.0%, 대학원졸업 이상 14.0% 순으로 나타났다. 근무경력은 10년 이상이 39.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1년 미만은 16.4%, 1~3년 미만과 3~5년 미만은 각각15.3%, 5~10년 미만은 13.3%로 나타났다. 월 매출을 알아본 결과 1,000만원 미만이 50.0%, 1,000~2000만원 미만 25.6%,2,000~3000만원 미만 11.0%, 3,000~4000만원 미만이 6.7%,4,000만원 이상이 6.7% 순으로 조사되었다. 전체적으로 살펴볼때 본 연구에 참여한 응답자는 월 매출이 1,000만원 이하이며 근무경력 10년 이상의 대학교 졸업 학력을 가진 50대 여성이 가장 많이 참여한 것을 알 수 있다.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vey subjects
Division Frequency (N) Percentage (%)
Gender male 38 12.7
female 262 87.3
Age 20 vs. 35 11.7
30 vs. 59 19.7
40 vs. 67 22.3
50 vs. 104 34.7
60 vs. later 35 11.7
Education High school graduate 75 25.0
Junior college graduation 80 26.7
University graduation 103 34.3
Graduate graduation or higher 42 14.0
Work experience Less than 1 year 49 16.4
Less than 1 to 3 years 46 15.3
Less than 3~5 years 46 15.3
Less than 5~10 years 40 13.3
More than 10 years 119 39.7
Monthly sales Less than 10 million won 150 50.0
Less than 10~20 million won 77 25.6
Less than 20~30 million won 33 11.0
Less than 30~40 million won 20 6.7
40 million won or more 20 6.7
  all 300 100.0

2. 뱀부테라피 운영실태

피부미용 종사자들의 뱀부테라피 운영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빈도분석 결과를 다음 표에 제시하였다(Table 2). 뱀부 테라피를 접하게 된 경로는 고객으로부터 4.3%, 학원을 통하여5.7%, 메스 미디어는 6.3%, 지인 및 동료로 부터 35.3%, 학회 등의 회의와 세미나가 45.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뱀부테라피 테크닉 습득경로는 메스 미디어가 2.0%, 학원이 5.7%, 고객은 7.3%, 학회 등의 회의와 세미나가 40.7%, 지인 및 동료가 44.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뱀부테라피를 활용한 기간으로는 10년 이상이 8.3%, 5~10년 미만이 6.3%, 3~5년 미만이23.3%, 1~3년 미만이 28.4%, 1년 미만이 33.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현재 피부관리실에서 주로하는 테크닉을 묻는 질문에 대한 복수응답으로는 아로마 마사지가 47.7%, 스웨디시 매뉴얼 테크닉이 47.0%, 경락 마사지가 42.7%, 뱀부테라피가 35.7%, 림프 마사지가 32.3%, 한국형 배농 테라피가 29.7%, 근막·골기 마사지가 26.7%, 발 마사지가 20.0%, 스톤 테라피가 19.0% 순으로 나타났다. 뱀부테라피의 효과가 가장 큰 뱀부 활용부위에 대한 인식은 전신이 35.0%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얼굴 25.7%, 어깨와 등이 각각 13.0%, 종아리 6.0%, 허벅지 5.0%순이었다. 뱀부테라피를 지속적으로 이용할 경우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유로는 테크닉기법이 41.0%, 타 관리기법과 병행 용이가 35.0%, 프로그램의 체계성이 11.3%, 고객 재계약율 증가가 10.0%로 조사되었다. 뱀부테라피의 일반화 가능성에 대한 답변으로는 있다 94.0%, 없다 6.0%로 대부분 일반화 가능성이 있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뱀부테라피가 일반화되기까지 소요기간으로는 10년 이상이 6.0%, 5~10년 이내가 11.3%, 3~5년 이내가 34.7%, 1~3년 이내가 48.0%로 많은 사람들이 뱀부테라피가 일반화될 수 있을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향후 지속적인 뱀부테라피 활용 가능성에 대해 그렇다 40.7%, 매우 그렇다 30.3%, 보통이다 19.7%, 전혀 그렇지 않다와 그렇지 않다가 각각 4.3%와 5.0%로 나타나 대부분의 피부미용 종사자들이 뱀부테라피를 지속적으로 활용할 생각이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Im(2019)은 스톤테라피와 뱀부테라피가 20대 여성 하체 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 좌측, 우측 허벅지 둘레 감소에서 뱀부테라피군의 둘레감소가 더 큰경향을 보였으며, 실험 종료 후 만족도 조사결과 심리적 만족도와 지속적 관리를 받고싶다는 응답자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음을 보고하였다. Yun(2015)은 스파 종사자 여성12명에게 8주간 뱀부테라피를 실시한 결과, 체지방률의 경우 0.37%, 체수분률의 경우 0.33%, 대퇴부 둘레의 경우 2.51 cm, 종아리 둘레의 경우 0.59 cm, 발목둘레의 경우 0.27 cm가 줄어드는 경향을 보고한 바 있다. Kang(2015)의 연구에서도 살롱 에스테틱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특수 피부관리 직무 중요도를 파악하고 급변하는 피부미용 산업 분야에 필요한 융합형의 교과과정 개발 및 현장실습 등을 통해서 실무형 창의인재 양성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Table 2.
Status of bamboo therapy operation
  Division Frequency (N) Percentage (%)
Bamboo Therapy Cognitive Path Acquaintances and colleagues 106 35.3
Academy 17 5.7
Customer 13 4.3
Conference, seminar 136 45.4
Mass media 19 6.3
Other 9 3.0
Bamboo Therapy Learning Path Acquaintances and colleagues 133 44.3
Academy 17 5.7
Customer 22 7.3
Conference, seminar 122 40.7
Mass media 6 2.0
Bamboo Therapy Usage period Less than 1 year 101 33.7
Less than 1~3 years 85 28.4
Less than 3~5 years 70 23.3
Less than 5~10 years 19 6.3
More than 10 years 25 8.3
Mainly used technique (Multiple responses, all =908) Swedish manual technique 141 47.0
Aroma massage 143 47.7
Lymphatic massage 97 32.3
Foot massage 60 20.0
Korean drainage therapy 89 29.7
Fascia and bone massage 80 26.7
Stone therapy 57 19.0
Meridian massage 128 42.7
Bamboo Therapy 107 35.7
Other 6 2.0
Bamboo Therapy Utilization Area Face 77 25.7
shoulder 40 13.3
Thigh 15 5.0
Back 38 12.7
calf 18 6.0
sole 5 1.7
Axillary part 2 0.7
whole body 105 35.0
Reasons for continued use The system of program 34 11.3
Techniques 123 41.0
Increase customer contract renewal rate 30 10.0
Easy to parallel with other technique 105 35.0
Other 8 2.7
Bamboo Therapy Generalization possibilities have 282 94.0
none 18 6.0
Expected period of future generalization Within 1~3 years 144 48.0
Within 3~5 years 104 34.7
Within 5~10 years 34 11.3
More than 10 years 18 6.0
constantly Intent to use Strongly disagree 13 4.3
Disagree 15 5.0
Neutral 59 19.7
Agree 122 40.7
Strongly agree 91 30.3
  all 300 100.0

3. 뱀부테라피 시행여부에 따른 인식과 만족도 측정에 관한 신뢰도 측정

신뢰성(reliability)은 동일한 대상에 시간을 달리하여 독립된 측정방법으로 비슷하게 나타나는 결과를 의미하고 내적 일관성을 말한다(Shin, 2017). 인식 관련 문항들과 만족도 관련 문항들의 내적 일관성을 측정하기 위해 Cronbach's α계수를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인식 관련 문항의 Cronbach's α계수는 0.934, 만족도 관련 문항의 Cronbach's α계수는 0.945로 나타나, 0.6이상의 값을 나타내어 인식 관련 문항들과 만족도 관련 문항의 신뢰도를 확보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인식관련 문항들에 대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을 위하여 주성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베리맥스 회전을 통해 요인 적재치를 단순화하였다. 문항선택 기준으로는 고유값 1.0 이상, 요인 적재치는 0.4 이상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뱀부테라피 인식에 관한 16문 항에 대한 요인분석 실시 결과 다음 4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Table 3, 4). 요인 1은 부작용 감소, 신진대사 개선, 근골격 개선, 신경계 개선, 시술 시간 단축, 순환계 개선에 대한 문항에서 주로 나타났으며 이를 바탕으로 ‘효과성’으로 명명하였다. 요인 2는 기법 난이도, 고객 설명, 난이도, 응용성, 병행성에 대한 문항에서 주로 나타났으며, 이를 바탕으로 ‘간결성’으로 명명하였다. 요인 3은 시술자 부작용, 고객 불만족, 작업 강도에 대한 문항에서 주로 나타났으며 이를 바탕으로 ‘관리성’으로 명명하였다. 요인 4는 교육비용, 유지비용, 도구구입 비용에 대한 문항에서 주로 나타났으며 이를 바탕으로 ‘경제성’으로 명명하였다. 추출된 4개의 요인인 효과성, 간결성, 관리성, 경제성에 대하여 Cronbach's α계수를 이용하여 검정한 결과 각각 0.906, 0.887, 0.846, 0.796로 각 요인에 대한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뱀부테라피를 시행한 경험이 있는 뱀부테라피 종사자의 인식과 만족도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뱀부테라피 인식의 평가(매우 그렇다=5점: 전혀그렇지 않다=1)는 Likert 5점 척도를 기준으로 효과성(M=4.22), 간결성(M=4.16), 경제성(M=4.09), 관리성(M=4.02) 순으로 나타났고, 인식의 평균은 4.14로 측정되었다, 시행 후 직무만족도는 작업 조건, 작업 강도, 테크닉 숙지, 시술 시간, 경제적 환경, 고객의 만족, 종사자의 컨디션, 고객의 재방문 빈도의 8문항으로 4.26으로 측정되었다(Table 5).
Table 3.
Factor analysis for recognition of bamboo therapy
  Bamboo Therapy Awareness
Effectiveness Brevity Manageability Economics
Side Effect .827      
Metabolism improvement .820      
Musculoskeletal improvement .801      
Nervous system improvement .766      
Shortened procedure time .714      
Circulatory system improvement .579      
Technique difficulty   .843    
Customer Description Difficulty   .822    
Applicability   .799    
Concurrency   .600    
Operator side effects     .811  
Customer dissatisfaction     .776  
Work intensity     .769  
Education cost       .864
Maintenance cost       .728
Tool purchase cost       .484
Eigenvalue 8.234 1.728 1.275 1.110
Dispersion (%) 51.463 10.800 7,970 6.936
Table 4.
Reliability analysis of bamboo therapy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items
Division Number of questions Cronbach's α
Bamboo Therapy Awareness Effectiveness 6 .906
Brevity 4 .887
Manageability 3 .846
Economics 3 .796
Bamboo Therapy Awareness 16 .934
Satisfaction with Bamboo Therapy 8 .945
Table 5.
Analysis of technical statistics on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f bamboo therapy
division Average Standard Deviation
Bamboo Therapy Awareness Effectiveness 4.22 .78
Brevity 4.16 .88
Manageability 4.02 .94
Economics 4.09 .92
Bamboo Therapy Awareness 4.14 .87
Satisfaction with Bamboo Therapy 4.26 .82

4. 뱀부테라피에 대한 인식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1) 뱀부테라피에 대한 인식도의 차이

뱀부테라피 적용 여부에 따른 인식 요소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하였다(Table 6). 인식의 효과성(p<.05), 간결성(p<.05), 관리성(p<.05), 경제성(p<.01) 모두 만족여부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뱀부테라피에 대한포괄적 인식에서도 나타났다. 뱀부테라피의 만족한 응답자가 불만족한 응답자에 비해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1). 한편 이들의 평균간 차이를 보았을 때 경제성은 0.22점, 관리성은 0.18점, 간결성은 0.17점, 효과성은 0.11점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뱀부테라피 시행의 경제성에 대한 개선을 통해 피부미용 종사자들의 뱀부테라피에 대한 관심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Yoo(2017)는 미용종사자의 소득이 직업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소득에 관련된 경제성에 대한 인식에 따라 뱀부테라피에 대한 만족이 다르게 나타남으로써 경제성에 대한 인식과 뱀부테라피에 대한 만족 여부가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시에 Jo (2014)는 임금에 의해 전문직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하여 위의 결과를 뒷받침한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뱀부테라피의 교육비용의 감소, 시술 도구의 비용 감소, 유지 비용 감소를 통해 뱀부테라피의 경제성 개선이 필요함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뱀부테라피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뱀부테라피 운영의 확대를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able 6.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bamboo therapy according to whether bamboo therapy is implemented or not
  Division Satisfaction status t p
Satisfaction (n=230) Dissatisfaction (n=70)
Average Standard Deviation Average Standard Deviation
Bamboo Therapy Awareness Effectiveness (6 questions) 4.32 0.65 4.21 0.86 2.42 0.016
Brevity (4 questions) 4.25 0.82 4.08 0.91 1.98 0.049
Manageability (3 questions) 4.15 0.78 3.97 1.02 2.36 0.019
Economics (3 questions) 4.24 0.76 4.02 1.00 2.94∗∗ 0.004
Bamboo Therapy Awareness (16 questions) 4.24 0.75 4.07 0.95 6.40∗∗∗ 0.000

p<0.05,

∗∗ p<0.01,

∗∗∗ p<0.001

2) 뱀부테라피에 대한 인식도와 직무 만족도와의 상관관계

피부미용 종사자의 뱀부테라피에 대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는데 뱀부테라피를 운영하고 있는 경우, 뱀부테라피 인식과 직무 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Table 7). 뱀부테라피 직무 만족도는 뱀부테라피 인식의 효과성(r=.842, p<.01), 경제성(r=.695, p<.01), 관리성(r=.665, p<.01), 간결성(r=.619, p<.01) 순으로 상관관계가 높았다. 한편 뱀부테라피의 전체적 인식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r=.857, p<.01). 피부미용 종사자의 직무 및 생활 만족도는 근무환경 및 근무에 의한 스트레스에 영향을 받는다(Choi & Lee, 2011). 이때 근무환경이란 급여, 인간관계, 복리후생 등의 근무조건과 근무자의 직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내부적, 외부적 조건을 말하며 투자 및 유지비용, 소득에 대한 요인인 경제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한편 근무에 의한 스트레스는 정신적, 육체적 스트레스를 모두 포함하며, 시술자의 부작용, 고객 불만족, 작업 강도에 대한 요인인 관리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본 연구에서도 효과성 다음으로 경제성과 관리성이 높은 상관관계를 보임으로서 이를 뒷받침한다. 한편 Yoo et al.(2017)은 직업 전문성과 직무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후, 직업 전문성이 영향력을 갖는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직업 전문성은 경력과 급여에 의해 결정되며 효과성과 경제성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요소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뱀부테라피 운영시 만족도와 상관관계를 나타낸 효과성, 경제성, 관리성, 간결성에 대한 인식을 증대한다면 뱀부테라피 운영의 확대에 도움이 될 것이라판단된다.
Table 7.
Correlation between perception and operational satisfaction of bamboo therapy
Division Bamboo Therapy Awareness Job satisfaction
Effectiveness Brevity Manageability Economics all
Bamboo Therapy Awareness Effectiveness 1          
Brevity .617∗∗ 1        
Manageability .582∗∗ .550∗∗ 1      
Economics .625∗∗ .616∗∗ .562∗∗ 1    
Bamboo Therapy Awareness All .881∗∗ .840∗∗ .784∗∗ .818∗∗ 1  
Bamboo Therapy Job Satisfaction .842∗∗ .619∗∗ .665∗∗ .695∗∗ .857∗∗ 1

∗∗ p<.01

3) 뱀부테라피에 대한 인식도가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뱀부테라피를 시행한 경험이 있는 300명의 응답자에게 뱀부테라피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시행 후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Table 8). 뱀부테라피에 대한 인식이 직무 만족도에 유의미하게 회귀모형을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F=262.357, p<.001). 변수간 다중공선성을 진단하기 위하여 분산팽창계수(VIF: variable inflation factor)와 허용치(tolerance)를 살펴보았으며, 일반적으로 분산팽창계수가 10 이상이거나 허용치가 0.1보다 작으면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게 된다. 본 분석에서 변수들의 VIF값은 모두 10 이하였고, 허용치는 0.1보다 크게 나타나 다중공선성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뱀부테라피 인식의 효과성(β=.586, p<.001), 경제성(β=.203, p<.001), 관리성(β=.196, p<.001) 순으로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뱀부테라피의 효과성과 경제성, 관리성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직무 만족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직무 만족이란 직무를 통해 얻어지는 경험 또는 욕구의 만족 정도를 의미한다(An, 2017). 피부관리실에서 뱀부테라피의 사용은 테크닉의 뛰어난 효과를 바탕으로 여타 테크닉관련 기기에 비해 저렴한 가격과 유지비용, 단축된 시술시간등으로 높은 경제성을 띄고 있으며, 도구를 이용하여 기존 테크닉에 비해 시술자의 피로도 및 만성 근골격계 질환 등 시술자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어 피부관리실의 관리를 용이하게 한다. 피부미용인들에게 뱀부테라피의 운영을 확대하도록 유도하기 위해서는 체험을 통한 뱀부테라피의 효과성과 경제성, 관리성에 대한 인식을 증대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Yun & Kang(2020)은 피부미용사 직무능력에 대한 현장종사자와 전공학생의 중요도 인식 비교연구에서 피부미용 직무를 수행하는데 있어 지식능력 중요도는 대인관계, 의사소통, 문제해결, 기술, 정보의 기초능력이 중요하다고 인식할수록 높아지며, 기술능력 중요도는 대인관계, 기술, 의사소통, 직업윤리, 문제해결능력의 기초능력이 중요하다고 인식할수록 높아진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뱀부테라피 테크닉의 적용은 피부미용업 경영상의 경제성, 종사자들의 생산성과 안정성 등을 향상시켜 피부미용 산업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able 8.
Effects of perception of bamboo therapy on operational satisfaction
Division Dependent variable : Bamboo therapy job satisfaction
B Standard error β t p VIF
(Constant) 0.64 0.132   0.487 0.627  
Bamboo Therapy Awareness Effectiveness 0.636 0.042 0.586 14.969∗∗∗ 0.000 2.064
Brevity 0.022 0.035 0.025 0.646 0.519 1.962
Manageability 0.168 0.031 0.196 5.429∗∗∗ 0.000 1.750
Economics 0.181 0.034 0.203 5.250∗∗∗ 0.000 2.012
R2 = .781, adj R2 = .778, F -= 262.357∗∗∗

∗∗∗ p<.001

V. 결 론

본 연구는 뱀부테라피의 시행에 대한 피부미용인의 인식이 직무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양적분석을 통해 뱀부테라피의 확대 방안을 모색하였으며 그에 따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피부미용 종사자들에게 있어서 뱀부테라피에 대한 인식이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피부미용 종사자들이 뱀부테라피 테크닉을 적용시 뱀부테라피의 효과성을 가장 잘 인지하고 있었으며, 뱀부테라피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방법은 실제 체험을 통했을때가 가장 효과적이라는 판단을 할 수 있다. 둘째, 뱀부테라피를 통한 직무만족도는 뱀부테라피 인식의 하위변수인 효과성, 경제성, 관리성, 간결성 순으로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뱀부테라피 테크닉에 대한 인식의 하위변수 가운데 효과성과 경제성, 관리성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뱀부테라피의 효과성은 관리를 받는 고객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경제성은 뱀부테라피를 활용함에 있어서 필요한 비용 대비 소득이 높다는것을 의미한다. 또한 관리성은 종사자의 정신적, 육체적 스트레스를 줄여, 고객의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과 피부관리실의 효과적인 운영관리가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뱀부테라피의 여러 긍정적인 측면을 고려해볼 때 보다 더 많은피부미용 종사자들이 산업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홍보와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론을 통해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뱀부테라피를 경험해보지 않은 피부미용인에 대해 뱀부테라피에 대한 경제성 홍보와 경제적 구조 개선를 실시할 경우, 뱀부테라피의 인식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뱀부테라피 운영 확대와 피부미용사의 직업적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 예상할 수 있다. 한편 현재 뱀부테라피를 운영하고 있는 피부미용인의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분석되며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 등을 통한 뱀부테라피운영 확대는 피부미용인들에게도 건강 개선과 매출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최근까지 뱀부테라피에 대한양적, 질적 연구보고가 많지는 않지만 지금까지 보고된 연구결과가 다른 특수테라피에 비하여 매우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으며, 피부미용 현장에 있는 연구 참여자들의 인식과 만족도 또한 높은 것으로 보아 학문적으로나 산업적으로도 발전 가능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특히 본 연구는 피부미용 산업의 성장과 발전을 위한 실무 적용 가능한 기초자료로 제공되어 피부미용인들의 건강 증진 및 피부미용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모집단으로부터 대표성을 가질 수 있는 다양한 표본을 추출함으로서 외적 타탕도를 높이지 못하였기 때문에 추후 연구에서는 이를 보완하여 표본의 크기를 확대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References

Ahn, S. I. (2017). The type of employment in accordance with the compensation system fairness is recognized on job satisfaction on impact: food industry for workers aroun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Cheon, Y. J. (2007).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labor intensity, sick leave and job stress, and subjective symptoms of muscle skeletal disorders,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Cho, E. J. (2010). A Study on the Professional Occupational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of Skin Beauty Workers,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Choi, O. S., & Lee, J. R. (2011). Skin hairdresser working environment, stress, job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on a structural model. Korea Public Health Association, 37(1).
Choi, Y. J. (2011). A Study on the Influence of Personal Characteristics o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Master's Thesis, Seokyeong University, Seoul.
Go, U. S. (2015). A Study on the Principle and Efficacy of Gwasa Therapy, Master's Thesis, Sunmoon University, Chungnam.
Hoppock, R.. (1935). Job satisfaction Harper.
Jo, S. Y. (2013). Skin hairdresser is working environment and job satisfaction and the degree of turnover on impact, Master's Thesis, Seokyeong University, Seoul.
Kang, N. H. (2009).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Education Form of Skin Beauty Alternative Therapy,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ang, S. K. (2015).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of on-site jobs and the need for prior learning according to the type of skin care indust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1(6).
Kim, B. S. (2019). Travel to San massage service benefits sought and the actual situation according to experience and the degree of reuse on impact,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im, H. J., Park, B. Y., & Lee, Y. S. (2009). A Study on the Intention to Turnover and Its Influencing Factors for Skin Beauticians Working in the Skin Care Depart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5(3).
Kim, J. H. (2009). A Study on the Stress Relief Effect According to the Type of Massage, Master's Thesis, Seowon University, Chungbuk.
Kim, J. S. (2006). Vocational Recognition and Vocational Selection Proces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im, M. Y. (2011). Skin hairdresser specializing in occupational and social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correlated research, Master's Thesis, Samyook University, Seoul.
Lee, H. J. (2009).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Hairdressers' Job Environment and Job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rt Association, 3(1).
Lee, J. A. (2014). The effect of the quality of beauty services of medical skin care professional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turn visits, Master's thesis, Nambu University, Kwangju.
Lee, M. Y. (2019). Neck area Bamboo is born lymphatic drain facial swelling and the skin on impact, Master's Thesis, Changshin University, Gyeongnam.
Lee, J. H.. (2018). Korean job prospects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Seoul.
Lim, S. Y. (2019). Stone Therapy and the Bamboo Therapy 20 vs, female lower body to the management on impact.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Lee, K. S. (2003). College Beauty Department students of Beauty Training Room Status Survey and its operating diagnosis: Skin beauty of attitudes and perceptions aroun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4(2).
Noh, S. S. (2019). Development of Teaching Plan for Bamboo Therapy Using Cognitive Apprenticeship Learning, Master's Thesis, Sungkyul University, Gyeonggi.
Park, E. K. (2013). Skin hairdresser for socially aware professional esteem and job satisfaction on impact, Master's Thesis, Seoyoung University, Gwangju.
Park, H. M. (2016). A Study on the Impact of Pen Source Software Adoption on Total Cost of Ownership,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Park, J. H. (2008). A Study on the Effect of Abdominal Obesity Management Using Stone Therapy Method, Master's Thesis, Hannam University, Daejeon.
Park, J. Y. (2005). Toxic emissions therapy(Detoxification T herapy) in related research. Korean Journal of Aesthetics and Cosmetology, 3(2).
Park, M. O. (2010). Hairdresser occupation for self-esteem, social recognition and the satisfaction of research, Master's Thesis, Hansung University, Seoul.
Park, S. H. (2018). A study on the utilization plan of the government support system for small busines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management consulting perceptions and actual conditions and difficulties in shop operation,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Shin, H. S. (2009). A study on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the world of work, Master's Thesis, Dongeui University, Busan.
Shin, S. H.. (2019). Korean Bamboo Therapy Korea Central Esthetician's Association, Seoul.
Shin, Y. H. (2017). Multi-channel environment of consumer shopping behavior is Omni hold you in the selection factors on effect: cosmetics purchases aroun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Son, S. H., Shin, S. J., & Lee, J. N.. (2019). NCS-based training in accordance with Korean Bamboo therapy Guminsa Publishing, Seoul.
Son, S. H., Shin, S. J., & Lee, J. N.. (2018). Korean Drainage Therapy Korea Central Esthetician's Association, Seoul.
Youn, H. U., & Kang, S. K. (2020). A Comparison of the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of Field Workers and Students Majoring on the Job Skills of Skin Beauticia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6(6).
Yu, E. J., Jeong, S. H., & Sim, S. N. (2017). Beauty professionals work-related variables and professional expertise to the job satisfaction on impac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7).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10-2825-6735   Fex: +82-62-950-3797    E-mail: beauty2007@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