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섯을 모티브로 한 응용 업스타일 연구

Applied Up-style Study Motivated by Mushrooms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Cosmetol. 2021;27(5):1132-1138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1 October 31
doi : https://doi.org/10.52660/JKSC.2021.27.5.1132
1Graduate Student, Dept. of Beauty Art, Graduate School, Seokyeong University
2Professor, Dept. of Hair-Makeup Design, College of Beauty Arts, Seokyeong University
성금주1, 진용미2,
1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용예술학과, 대학원생
2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 헤어메이크업디자인학과, 교수
*Corresponding author: Yong-Mi Jin Tel : +82-2-940-7813 E-mail : 65621107jin@hanmail.net
Received 2021 May 17; Revised 2021 June 28; Accepted 2021 September 10.

Tran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ossibility and scalability for the creation of an artistic and original modern up-style in subsequent studies by applying the mushroom form. The four works were created by applying various kinds of mushroom images by combining the components of up-style design, the principles of design, and up-style techniques. As a result, the first piece was produced with a three-dimensional texture by raising the hair little by little. Art 2 uses black hair to create a distinct line of shape, creating a splendid refinement. Art 3 shows classic beauty and elegance by braiding to express the mesh-shaped characteristics of mushrooms. The wave shape of mushrooms in Figure 4 shows richness and rhythm through wave continuity and movement. The conclusion is that the design can be produced and applied with harmony and balance by applying up-style techniques by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kinds of mushrooms. And I could see that the up-style design has a texture and eye-catching effect depending on the color. In future research, we look forward to the possibility of satisfying customers' needs and expectations by studying infinite designs that can express the elegance and beauty of up-style.

I. 서 론

현대에는 다양한 헤어디자인을 추구하는 고객들의 요구에 의해 새로운 아이디어와 방법들로 미적 가치를 높이고 있다(Son & Kim, 2017).

자연은 조형의 대상으로써 이로부터 받은 영감을 모티브로 삼아 업스타일을 창출하고, 창작 욕구를 표현 할 수 있는 매개체로 자기만의 예술성을 응용 할 수 있다(Jung & Choi, 2016). 그 중 버섯은 여러 가지 형태의 조형적 이미지로 다양한 기법을 업스타일에 접목 할 수 있다(Kim & Jin, 2010). 버섯은 각기 가지고 있는 형태들이 독특하고 다양하기 때문에 자연미의 표출과 생동감을 예술적 조화로 승화하고 창작을 통해 훌륭한 조형적 이미지를 형성화하여 연출 할 수 있다(Pyo, 2004).

업스타일은 자신에게 내재되어 있는 감정과 창의력을 무한대로 발휘하여 시대 변화에 맞는 우아함을 예술작품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표현예술이다(Kim & Youn, 2015). 또한 세련된 테크닉과 고도의 감각, 기술을 필요로 하며(Lee & Lee, 2008) 두상, 체형, 연령, 목적, 디자인의 선호도, 라이프 스타일등에 의해서 디자인을 창작해야 한다(Lee & Park, 2013). 때와 장소에 맞는 업스타일로 인해 자신의 아름다움을 표현 할 수 있는 하나의 도구로써 그 역할이 점점 더 부각되고 있다(Lee, 2016).

버섯을 모티브로 응용한 선행연구로 Lyu(2020)은 버섯의 외부 윤곽, 구조와 결을 심층적으로 표현하였으며, 각종 높이와 형태에 따라 불규칙적이고 운치 있게 표현하여 도자작품의 재미와 변화를 강화하였다. Jin(2004)은 버섯의 여러 종류를 조형적 이미지에 맞게 소재를 선정해서 홀치기 기법을 통해 응용함으로써 버섯 형태의 아름다움을 최대한 부각시켜 의상디자인을 제작하였다. Park(2001)은 버섯의 조형성을 펠트모자 디자인에 접목시켜 버섯모양의 율동감, 공간감을 표현하였고 장식미를 돋보여 현대적으로 제작하였다.

이와 같이 조형적 이미지의 버섯을 모티브로 한 선행연구는 이루어졌으나 업스타일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다양한 버섯 형태에 업스타일을 접목시켜 예술적 가치를 발견하여 폭 넓은 연구가 진행 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버섯의 형태를 응용하여 예술적이고 독창적인 현대 업스타일의 창작에 가능성과 확장성을 제공하여 후속연구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II. 이론적 배경

1. 버섯

버섯은 형태에 따라 분류해 보면 복균류, 주름버섯류, 민주름버섯류, 자낭균류, 점균류 등으로 나눌 수 있다(Lee, 2007). 버섯의 형태는 생성되고 소생하는 생명력의 표현이 작은 볼륨의 집합 내지는 군 집합 형태로 나타나고 생명체의 꿈틀거림은 동적 조형으로 표현되고 있다(Kim & Jin, 2010). 버섯은 각기 지니고 있는 모양들이 독특하고 다양하기 때문에 그 자체만으로도 훌륭한 조형성을 가지고 있고 많은 형태적 특징들을 찾아볼 수 있다(Pyo, 2004).

2. 업스타일

업스타일이란 머리를 빗어 올려 묶거나 핀으로 고정시켜 목덜미 부분 위에 연출 되는 모든 형태의 스타일이라고 할 수 있다(Kim & Jin, 2017). 일반적으로 업스타일이라 하면 높게 올린 올림머리만 생각 할 수 있지만 쪽진 머리나 ‘시뇽’ 스타일 같이 목덜미 아래로 내려오는 스타일도 업스타일이라고 할 수 있다(Hong et al., 2009). 디자인의 구성요소(Hong et al., 2009)는 <Table 1>, 디자인의 원리(Oh et al., 2012)는 <Table 2>, 업스타일 기법(Hong et al., 2009)은 <Table 3>과 같다.

Component of design

Principle of design

Up-style Techniques

III. 내용 및 방법

본 연구는 조형적인 이미지의 버섯을 모티브로 그에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여 응용 업스타일을 연구하였다. 첫째, 버섯의 형태를 통해 디자인을 창조한 선행연구와 참고 문헌, 자료를 고찰한다. 둘째, 업스타일의 이론을 바탕으로 기초 기반을 다진다. 셋째, 버섯 형태에 관한 자료를 조사하여 형태를 분석하고 특징을 고찰한다. 넷째,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업스타일 디자인의 구성, 디자인의 원리, 업스타일의 기법을 버섯 형태에 접목시켜 응용하여 네 가지 작품을 창작한다.

IV. 결과 및 고찰

1. 작품1 - 화경버섯

1) 작품설명 및 제작과정

몸에서 빛을 발산하는 화경버섯의 갓은 초기에는 반반구형이고, 끝이 안쪽으로 굽어 있으며 점점커지면서 갓 끝이 펴진다(Knowledge Encyclopedia). 화경버섯의 형태는 조개모양인 반원형이고 갓 아래는 빗살모양의 주름이 진다(Son, 2006). 작품에 대한 모티브, 일러스트, 작품에 응용한 업스타일 기법은 <Table 4>와 같다. 작품1은 화경버섯의 빗살 모양을 표현하고자 머리카락을 엄지와 검지 끝을 이용해 일률적으로 조금씩 세워가며 제작하였다. 작품 제작과정과 설명은 <Table 5>와 같다.

Motives, Illustrations, Up-style techniques

Making Process for Work

① 왼쪽 F.S.P에서 지그재그 섹션으로 가르마 후 전체 4등분한다.

② 엄지와 검지 끝을 이용해 머리카락을 조금씩 세워주며 입체감 있게 연출한다.

③ F.S.P 기점으로 삼각섹션으로 5가닥을 S웨이브로 연출한다.

④ 오른쪽 측면은 4가닥으로 나눈 후 S웨이브로 만들며 프린지와 연결한다.

⑤ 씽을 넣고 롤을 만든 후 2등분해서 엄지와 검지 끝을 이용해 머리카락을 조금씩 세워주며 교체하여 연출한다.

2) 작품결과

전체적으로 조개의 형태로 업스타일의 이론 중 디자인의 원리 <Table 2>의 통합을 이용해 모발의 흐름을 연출하였다. 화경버섯의 매력인 줄무늬를 연출하기 위해 머리카락을 조금씩 집어 세워 가며 규칙적이고 반복적으로 배치하여 입체감을 주었다. 디자인의 위치 포인트를 두상의 뒷머리 아랫부분인 N.P에 두어 안정적이고 차분하며 엄숙한 분위기로 여성스러움을 표현 할 수 있는 작품이다. 앞머리는 지그재그 섹션으로 가르마의 갈라짐이 없이 볼륨 있고 입체감 있는 S선으로 분위를 연출하였다. 작품결과는 <Table 6>과 같다.

Finished Work

2. 작품2 - 구름버섯

1) 작품설명 및 제작과정

구름버섯은 무리를 지어 자라며 단단한 가죽처럼 질기다. 갓의 표면은 대체로 평평하고 삼각형이나 반원형을 띠며 살은 하얀색을 띤다(Kim, 2013). 작품에 대한 모티브, 일러스트, 작품에 응용한 업스타일 기법은 <Table 7>과 같다. 작품2는 구름버섯의 군집된 반원형을 표현하기 위하여 업스타일 기법 <Table 3> 중 고리를 납작하게 펴서 반복적으로 연속 연결하며 제작하였다. 제작 과정의 설명은 <Table 8>과 같다.

Motives, Illustrations, Up-style techniques

Making Process for Work

① E.B.P에서 2등분해서 네이프는 포니테일을 한다.

② 두상의 곡면에 따라 S모양으로 입체감 있게 머리카락을 세워 검정피스를 이용해 연결한다.

③ 납작한 고리 모양을 만들어 반원형 형태로 반복적으로 연결한다.

④ 남은 모발은 3가닥 땋기를 해서 양쪽을 균형 있게 연결한다.

⑤ 검정 피스를 이용하여 테두리에 선명하고 입체감 있게 연결한다.

2) 작품결과

구름버섯의 특징인 군집된 반원형의 형태를 강조하기 위하여 디자인의 구성요소 <Table 1> 중 칼라를 이용해 밝은 모발의 상반되는 컬러인 검정색 피스를 사용해서 선이 뚜렷하고 산뜻하다. 그 결과 작품의 질감 변화는 입체감을 부각시키면서 화려하고 세련미가 느껴진다. 구름버섯의 반원형 모양이 점점 확장되어 보이게 업스타일의 기법 <Table 3> 중 고리를 반복 연결하여 생동감 있고 율동감을 표현하였다. 작품결과는 <Table 9>와 같다.

Finished Work

3. 작품3 - 노란망태버섯

1) 작품설명 및 제작과정

버섯의 여왕인 화려한 노란망태버섯의 형태는 노란색의 망사모양이 특징이다. 서양에서는 신부의 드레스와 닮아 드레스 버섯이라 한다. 또한 망태모양으로 얽혀 있어 옛날의 대학생 망토를 본떠 붙어진 이름이다(Knowledge Encyclopedia). 작품에 대한 모티브, 일러스트, 작품에 응용한 업스타일 기법은 <Table 10>과 같다. 작품3은 망태버섯의 매력인 망사모양 특징을 살려 업스타일의 기법 <Table 3> 중 바구니 땋기로 엮어 제작하였다. 제작 과정의 설명은 <Table 11>과 같다.

Motives, Illustrations, Up-style techniques

Making Process for Work

① 프린지, 양쪽 T.P~S.P, 양쪽 N.S.L으로 6등분한다.

② 프린지는 바구니 땋기의 엮는 기법과 롤을 만들어 디자인한다.

③ T.P~S.P는 좌우 겹치기, N.S.L은 오른쪽은 3가닥 땋기, 왼쪽은 2가닥 꼬기로 연출한다.

④ 2등분 후 한 개는 바구니 땋기의 엮는 기법으로 바구니모양을 만든다.

⑤ 한 가닥은 동글게 롤을 만들고 바구니 땋기로 덮어 연출하고 끝은 고리로 마무리한다.

2) 작품결과

프린지는 업스타일의 기법 <Table 3>의 바구니 땋기 기법으로 엮어 화려함이 표현되었다. 네이프는 바구니 땋기로 디자인하여 고전미와 단아함을 연출하였다. 측면의 왼쪽은 2가닥 꼬기로 오른쪽은 3가닥 땋기로 서로 다른 느낌을 혼합하여 입체감 있게 미적 효과를 상승 표현하였다. 작품결과는 <Table 12>와 같다.

Finished Work

4. 작품4 - 흐르레기버섯(목이버섯)

1) 작품설명 및 제작과정

흐르레기버섯은 흐물흐물하고 물렁하여 ‘흐르레기’라고 한다. 불규칙한 덩어리로 결합되고 비를 맞으면 묵처럼 유연하고 흐물흐물해진다. 몸 전체가 물결처럼 울퉁불퉁하게 굽이친 모양을 이루고 있다(jdm0777). 작품에 대한 모티브, 일러스트, 작품에 응용한 업스타일 기법은 <Table13>과 같다. 작품4는 어깨 아래로 내려오는 스타일로 흐르레기버섯의 물결모양을 연출하기 위해 업스타일 기법 <Table 3> 중 고리를 이용해 S컬 웨이브를 집중적으로 연결하여 강약을 경쾌한 느낌으로 표현하였다. 제작 과정의 설명은 <Table 14>와 같다.

Making Process for Work

① 프린지, 양쪽 T.P~N.S.L, 전대각 섹션으로 G.P, B.P, N.P로 6등분한다.

② 네이프는 살짝 남기고 그 위에 길게 씽을 연결한다.

③ F.S.P 기점으로 삼각섹션으로 3가닥을 고리와 S컬로 연출한다.

④ S컬 웨이브를 흐르듯이 핀컬 핀으로 고정하며 연출한다.

⑤ 프린지의 남은 모발을 고리와 S컬로 마무리한다.

2) 작품결과

프린지의 커브형은 곡선의 조화로 전체적인 S컬의 움직임과 연속성이 있게 연출하여 현대적이고 매력 있는 디자인이다. 자유롭게 움직이는 물결모양의 S컬 팽창함은 활발하게 움직임을 표현하여 풍성함과 율동감이 있다. 작품결과는 <Table 15>와 같다.

Finished Work

V. 결 론

본 연구는 버섯의 형태를 응용하여 예술적이고 독창적인 현대 업스타일의 창작에 가능성과 확장성을 제공하고 후속연구의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조형적인 이미지의 버섯에 관련된 선행연구, 참고문헌, 그에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여 고찰 분석하였다. 업스타일 연출에는 디자인의 구성, 디자인의 원리, 업스타일 기법을 응용하여 네 가지 작품을 창작하였다.

그 결과 작품1은 화경버섯의 줄무늬 형태를 표현하기 위하여 머리카락을 조금씩 세워 입체감 있게 질감을 주었다. 작품2는 구름버섯의 형태를 강조하기 위하여 대조되는 컬러를 이용해 화려함과 세련미를 연출하였다. 작품3은 노란망태버섯의 그물 형태를 업스타일 기법 중 바구니 땋기를 적용하여 고전미와 단아함을 연출하였고 작품4는 흐르레기버섯의 물결모양을 S컬의 움직임과 연속성으로 풍성하고 율동성을 연출하였다. 작품 1, 2, 3은 디자인의 위치 포인트를 뒷머리 아랫부분에 두어 안정적이고 차분하며 엄숙한 분위기로 여성스러움을 표현 할 수 있는 디자인이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버섯 종류의 특징을 살려 업스타일의 기법을 응용하여 디자인을 창조하여 제작 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조형적인 이미지의 버섯을 모티브로 현대인의 개성을 살려 개인의 매력 있는 업스타일로 디자인의 윤곽의 형태와 컬러기법을 사용해 질감과 시선을 끌어 주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버섯의 형태를 파악해 업스타일 디자인의 강조와 조화, 균형을 이루어 입체감과 율동감을 표현 할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업스타일의 실용성 제작을 고려해 버섯의 형태적 표현 창조가 제약이 있어 다소 한계가 있었다. 또한 조형적 이미지인 버섯의 많은 종류를 좀 더 다양한 업스타일 기법을 접목시켜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업스타일로 예술적 가치를 표현하여 디자인 할 필요가 있다. 그리하여 업스타일의 우아하고 아름다움을 연출 할 수 있는 무한한 디자인을 연구하여 고객의 요구와 기대에 만족을 할 수 있는 가능성에 기대해 본다.

Motives, Illustrations, Up-style techniques

References

1. Hong, D. H., Lee, J. H., Son, J. Y., Jin, Y. M., Kwon, S. S., Ou, S. H., Park, G. W., & Kim, Y. M. (2009). Hair high level master practices. Seoul, Korea: Chang gu cultural history, pp.239-249.
2. http://jdm0777.com/a-yakchotxt/mokibeosoet.htm. (2020.10.1). Writing/Herbal researcher & Dong-A University & Jeon Dongmyung, professor of alternative medicine at Shilla University.
3. https://blog.naver.com/gumle8234/220437320985. (2020.8.15). Blue heart.
4. https://blog.naver.com/qhd2ek/220438294628. (2020.8.15). Forest pro.
5. https://blog.naver.com/sgo6472/221636923124. (2020.8.15). Myeonggwan's Organic Love.
6. https://blog.naver.com/stoneironeng/130173084048. (2020.8.15). Dolsoe(si)ENG.
7.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473099&cid=42555&categoryId=58536. (2020. 9.9). Korea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ssociation.
8.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4355735&cid=46689&categoryId=46689. (2020. 10.1). National Park Service Biological Information: Plants.
9. Jin, J. Y. (2004). A Study on Costume Designs Whose Motiveis Mushroom.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Design, p.1.
10. Jung M. H., Choi Y. H.. 2016;A Study on Up Style about the Formative Principles of Curves depending on Natural Phenomena.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Beauty and Arts Management 10(1):1–17.
11. Kim J. A., Jin Y. M.. 2010;A Study on Hair Design Shaped Formative Image of Mushroom.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Beauty and Arts Management 4(1):59–67.
12. Kim J. S., Youn C. S.. 2015;Study on Effect Factors of Up-style form Chan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esthetics 21(1):163–168.
13. Kim M. O., Jin Y. M.. 2017;A Study on the Up-Style Design Applying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Works by Frank Gehry for Deconstructivist Architectu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esthetics 23(4):762–772.
14. Kim, S. S. (2013). EffectsofCoriolusversicolormycelium culture inredginsengmarconanti-inflammatory and liver-protection.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Alternative Medicine Kyonggi University, p. 3.
15. Lee E. J., Park C. H.. 2013;A Study on the Up-style Design Applying H. Wölfflin's Principl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esthetic 19(1):114–124.
16. Lee, H. J. (2007). A studyoffiberartworksusingknitandcrochettechnique.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Design, p.11.
17. Lee M. A.. 2016;Study for Fantasy Up-style Hair Design Using Flower as Motiv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Beauty and Arts Management 10(30):19–37.
18. Lee Y. S., Lee J. Y.. 2008;Modern Up-Style Mode Based on the Ancient Greek and Roman Hair Styl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esthetics 14(2):409–436.
19. Lyu, S. (2020). A Study on Making Ceramic Works Using Mushroom Form.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Dankook University, p.1.
20. Oh, Y. A., Jung, E. S., Lee, S. J., Moon, S. J., Kang, J. H., & Park, C. R. (2012). Hair high level Master. Seoul, Korea: Proon Publishing house, p.237.
21. Park, Y. J. (2001). A Felt millinery design with motive of mush of mushroom. Master's thesis, Dongduk Wome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Fashion, p.1.
22. Pyo, Y. I. (2004). A Study on the Ceramic Modelling Based on the Mushroom Form.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Kwandong University, pp.2-6.
23. Son, J. A. (2006). Studies on various physiological activities of Gymnopilus spectabilis and Lampteromyces japonicus.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Sungkyunkwan University, p.7.
24. Son J. W., Kim S. N.. 2017;A Research on Hair Up-style Based on Motivation of Gustav Klimt’s Art Work.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Beauty and Arts Management 11(1):15–30.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Component of design

Form The shape of an outline or silhouette in a hairstyle consisting of shape, size, and direction.
Texture Separate it with a smooth texture and rough texture to the extent of smoothness and use it as a whole or part.
Color Illusions of depth and area occur depending on the brightness and darkness of color.

Table 2.

Principle of design

Integration The direction of the line, the size of the shape, is connected as one.
Balance Stable condition without tilting either side. Balance or imbalance.
Harmony Balance and fit together as a whole.
Emphasis Emphasize using design form, texture, and color.

Table 3.

Up-style Techniques

Table 4.

Motives, Illustrations, Up-style techniques

Table 5.

Making Process for Work

Table 6.

Finished Work

Table 7.

Motives, Illustrations, Up-style techniques

Table 8.

Making Process for Work

Table 9.

Finished Work

Table 10.

Motives, Illustrations, Up-style techniques

Table 11.

Making Process for Work

Table 12.

Finished Work

Table 13.

Motives, Illustrations, Up-style techniques

Table 14.

Making Process for Work

Table 15.

Finished 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