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0년간 헤어 미용 관련 학위논문 연구동향 조사 -2011년~2020년 발표 논문을 중심으로-
Research Trends in Hair-related Dissertations over the Past Decade - Focused on papers published in 2011~2020 -
Article information
Trans Abstract
In this study, we will analyze academic research trends over the past 10 years in line with the development and education of the beauty industry and provide direction and basic data for future especially hair research. It was limited to master's and doctorate papers registered in the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System (RISS) in March 2021 among beauty and beauty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2011 and 2020. The keyword (Keyword) was categorized by hair, makeup, skin, and nail majors that can currently obtain a national technical certificate, and 2,878 were first searched. The research was conducted three times a week on March 8, 15, and March 22, 2021, with no difference in search results. The analysis of the papers studied was conducted for four months from March 2021 to June 2021. There were 1,558 skin-related thesis (54.1%), 610 hair-related thesis (21.2%), 379 makeup-related thesis (13.2%), and 331 nail-related thesis (11.5%). Among them, the distribution of hair-related thesis found to be 518 masters and 92 doctors. Looking at the topic of master's thesis, hair behaviors 217 (41.8%), hair design 208 (40.1%). doctor's thesis by topic, hair behaviors 39 (44.3%), hair design 29 (32.2%). According to a survey of research methods, 255 surveys (49.2%), 138 literature studies (26.6%), and 80 works (15.4%). The Ph.D. thesis showed 41 surveys (45.6%), 24 works (26.7%) and 9 literature studies (10%). In addition, 278 of the master's thesis were surveyed and 177 (63.7%) for consumers and 83 (29.9%) for worker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47 doctoral thesis, 25consumers (53.2%) and 17 workers (36.2%). According to a survey of 34 master's experimental studies, 21 clinical trials (61.8%), 13 non-clinical trials (38.2%), 14 doctoral experimental studies (35.7%), and 9 non-clinical trials (64.3%). In the future, the scope of analysis will be expanded to major fields such as skin, makeup, and nails, and academic papers as well as academic papers will be required to be analyzed.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conduct a more diverse and objectiv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the beauty field if research trends at home and abroad are grasped.
I. 서 론
미용 산업은 “미(美)”에 대한 관심이 확산됨에 따라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헤어, 피부, 네일 등 다양한 산업으로 세분화되어 가는 추세이다(Shin, 2017). 미용이란 인간의 얼굴, 두발 등 신체를 손질하여 아름답게 표현한 것으로서 사회에서 커뮤니케이션과 개성 표현의 수단이 되기도 한다. 경제가 발전하면서 미용 산업 역시 급성장하여 미용 관련 산업의 변화도 다양하게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발전의 중심에는 항상 교육이 있었다(Cha, 2017).
우리나라의 미용교육은 1928년 설립된 K미용학교로부터 출발하였으며, 1952년 J미용학교가 문교부로부터 인가를 받아 교육이 시작되었다(Seo & Kang, 2016). 그 후 1990년 전문대학을 시작으로 미용관련학과가 개설되어 이론과 실기의 교육이 확산되었으며, 특히 대학원 과정에 미용관련학과의 신설과 학회의 설립으로 한국미용의 연구 활동이 시작되었다(Kim & Youn, 2014). 한국의 미용 대학은 1999년에 학사과정이 전국 최초로 신설되었고, 1997년 석사과정, 2005년 박사과정 개설을 시작으로 2008년 석사과정 30개, 대학 49개 학과, 박사과정 7개 대학 7개 학과로 발전 증가하였다(Noh & Han, 2009). 미용관련 학회지는 2009년 한국미용학회(J. Kor. Soc. Cosm, 2021), 2012년 한국인체예술학회(J. Kor. Soc. B&A, 2021) 등의 학회지가 한국과학재단 등재나 등재후보지로 등록된 이후 미용분야의 연구 논문 발표와 학위논문발표가 급격하게 증가되었으며, 또한 이 시기에 신설된 대학원의 석·박사 학위자의 배출도 늘어났다. 이처럼 각 분야별 연구동향에 대해 발표되고 있으며 현재에도 학문에 대한 연구 활동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Kim & Na, 2014). 이러한 교육과 연구의 결과물을 대표하는 것 중 하나가 연구 논문이다. 하지만 미용학은 체계적인 학문적 토대가 없는 실용학문으로 출발하여 다른 어떤 학문 보다 독자성을 정당화시키고 인정받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미용 분야 연구의 학문적 발전을 위하여 양적인 성장 뿐 아니라 질적인 성장도 동시에 이루기 위한 연구의 발전 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Kim, 2016). 현재 학술연구정보서비스(http://www.riss.kr)에서 ‘헤어’를 키워드로 검색 하였을 때 학위논문은 3,188편으로 ‘피부’를 검색하였을 때 14,806편과 비교하였을 때, 연구 편수가 적은 것이 실정이다. 또 처음 발표된 논문도 헤어미용이 아닌 모발에 대한 연구로 시작되었고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연구논문의 발표수가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Lee, 2016). 따라서 헤어미용 산업의 성장에 따른 연구영역에 대한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위해 최근 연구 동향을 파악하는 것은 의미 있다고 할 수 있다.
헤어관련 연구 동향에 대한 선행 학위 논문을 살펴보면, Lee(2014)의 ‘헤어미용분야의 연구동향에 대한 계랑서지학적 분석’과 Cha(2017)의 연구한 ‘한·중 헤어 미용 연구동향 분석’, Kim(2018)의 ‘뷰티산업분야의 연구동향에 대한 계량서지학적 분석’등이 있다. (Lee(2014)는 1961부터 2013년 까지 석·박사 학위 논문을 대상으로 논문의 서명을 통한 계량서지학적 분석을 토대로 시대적 연구와 산업적 동향을 파악하였고, Cha(2017)는 한국의 학술연구정보서비스(http://www.riss.kr) 와 중국의 中国知网(www.cnki.net)에서 검색한 학위 논문을 대상으로 한국과 중국을 비교 하여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Kim(2018)은 뷰티 산업에 대한 전반적인 동향을 석·박사 학위 논문을 대상으로 논문의 서명을 통한 계량서지학적 분석을 하였다. 또한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으로는 Kim & Na(2014)의 ‘헤어미용분야의 학위논문 연구동향 분석’ Kwon & Kim(2015)의 ‘국내 헤어스타일의 연구동향에 대한 계량서지학적 분석’ Hwan & Kim(2017)의 ‘헤어아트 연구 동향 분석’ 등이 있다. Kim & Na(2014)는 2006부터 2013년까지 연도별, 석사·박사 학위 논문 연구주제 및 연구방법 별로 분석하였고, Kwon & Kim(2015)은 계량서지학적(Bibliometric) 방법으로 문헌의 계량적 처리를 통해 객관적이고 정확한 데이터에 의한 학문적 속성 및 연구 활동을 수량적으로 규명하였으며, Hwan & Kim(2017)은 1999년부터 2017년도를 중심으로 헤어아트의 연구의 동향을 연도별, 주제별, 대학별, 학위논문별, 학회지별, 연구방법으로 분류하였다.
2020년 우리나라의 뷰티미용 관련 학과는 93개 전문대학 244학과, 59개 대학 113학과, 58개 대학원 83개 과정으로 산업 수요와 더불어 지속적으로 팽창 중이며(KESS, 2021), 이러한 교육의 결과물인 연구 논문 또한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헤어관련 연구 동향에 관한 선행 연구는 편수가 적고, 조사시기가 오래 되어 최근 자료를 반영하고 있지 않다. 또한 연구범위가 제한적이어서 전체적인 연구의 트렌드를 알아보기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1년부터 2020년 까지 최근 10년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System)에 등록된 뷰티·미용에 관련된 석사·박사 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연도별, 전공별 연구 현황을 조사하고, 그 중 헤어미용 관련 논문을 중심으로 연구주제 및 연구방법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헤어미용 연구자들의 최근 10년간 학문적 연구동향을 분석해 보고 앞으로의 헤어미용 연구에 방향성과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II. 내용 및 방법
1. 뷰티·미용관련 논문 자료수집
본 연구는 최근 10년 2011년부터 2020년 동안 발표된 뷰티·미용관련 연구 논문 중 2021년 3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System)에 등록된 석사·박사 학위 논문으로 한정하였다. 검색 키워드(Key word)는 현재 국가기술자격증 취득이 가능한 헤어, 메이크업, 피부, 네일 4가지를 선정하여 전공별로 분류하였고, 2,878편을 1차 검색되었다. 연구 대상 논문 검색은 2021년 3월 8일, 3월 15일, 3월 22일 1주일 간격으로 세 차례 진행 하였으며, 검색결과의 차이는 없었다. 1개의 논문에서 2개 이상의 전공이 다루어진 논문의 경우 해당 전공에 중복 포함하였다.
2. 헤어관련 논문 자료 분석
수집한 자료 중 헤어관련 논문을 대상으로 하여, 2021년 3월부터 2021년 6월까지 4개월간 분석을 진행하였다. 626편의 논문 중 제목의 키워드 헤어와 일치하지만 본 연구와 관련 없는 연구 16편을 제외하고, 610편의 연구논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1) 연구주제 분석
연구주제별 분석은 Kim & Na(2014)의 ‘헤어미용분야의 학위논문 연구동향 분석’, Lee(2016)의 ‘피부미용에 관한 학회지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Kim(2016) 미용분야에 관한 학술연구 동향분석 등의 선행논문의 분류 방법을 참고하여, 연구주제를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로 나누었으며 대분류는 헤어행동, 헤어디자인, 헤어 제품 및 용품, 교육, 기타 5개로 분류하였다. 헤어행동에서 중분류는 헤어심리, 헤어실태, 헤어태도, 마케팅 4개로 분류하였고, 헤어디자인에서 중분류는 스타일 및 기법 연구, 예술 사조, 미용문화 3개로 헤어 제품 및 용품의 중분류는 헤어 기기 및 용품, 두피 및 모발 2개로 교육의 중분류는 정규교육, 미용 교육 프로그램, 자격증 교육 3개 기타에서의 중분류는 법, 논문분석, 봉사로 분류하였다. 헤어관련 논문 주제별 분류는(Table 1)과 같다.
2) 연구방법 분석
연구방법별 분류는 Kim & Na(2014)의 연구를 참고하여 설문지를 측정방법으로 사용한 연구를 ‘설문연구’, 대조군과 실험군의 유효성을 도출한 연구를 ‘실험연구’ 선행 문헌 및 자료조사 연구는 ‘문헌연구’, 작품을 제작하여 결과물을 도출한 연구는 ‘작품제작’으로 분류하였다. 선행 논문에서는 조사방법까지 분류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세부항목을 추가하여, 설문연구 중 대상자를 소비자, 종사자, 전공학생, 기타 4개 하위 항목으로 분류하였고, 전공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어도 소비자 관점에서의 조사인 경우 소비자 대상 설문조사로 분류하였다. 실험 연구는 임상과 비임상 2개로 분류하여 연구 비율을 분석하였다. 문헌연구와 작품제작은 내용상 세부 항목의 분류 근거가 모호하여 오류를 줄이고자 조사방법으로 제한하였다.
3. 연구모형
III. 결과 및 고찰
1. 최근 10년간 뷰티미용분야 학위논문 발표 현황
2011년부터 2020년 까지 발표된 헤어, 피부, 메이크업, 네일 연구 논문 중 현재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System)에 등록된 석사·박사 연구논문의 편수를 조사한 결과 총 2,787편 이었고, 그 중 피부 관련 논문이 1,558편(54.1%)으로 가장 많았으며, 헤어 관련 논문이 610편(21.2%)으로 두 번째로 많았다. 메이크업 관련 논문 379편(13.2%), 네일 관련 논문 331편(11.5%)으로 피부 전공 관련 연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뷰티분야 논문 발표 현황은 (Table 2)와 같다.
2. 헤어미용관련 석·박사 학위논문 수 연도별 동향
최근 10년간 헤어관련 연구 석사, 박사 연구논문을 조사한 결과 석사논문 518편, 박사논문 92편으로 석사 연구논문에 비하여 박사 연구논문은 현저히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부터 석·박사학위논문 발표 편수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2016년에는 석사 46편(8.9%), 박사 9편(8.9%), 2018년 에는 석사 39편(7.5%), 박사 11편(12.2%)으로 석사 논문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2020년 에는 석사 57편(11%), 박사 15편(16.7%)으로 가장 많은 논문이 발표되었다. 그 중 박사논문은 2020년도에 상대적으로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각 학교의 미용관련학과에서 박사과정이 신설됨에 따라 연구자 수의 증가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진 것으로 사료된다. 연도별 헤어관련 석·박사 논문의 비율은 (Fig. 2)와 같다.
2011년부터 2020년 까지 10년간 발표된 석·박사 논문은 610편으로 연도별 평균은 61편으로 나타났다. Heo(2007)는 헤어 미용 관련 학위 논문의 편수를 조사한 결과 1995년부터 1999년까지 5년간 총 7편, 2000년부터 2003년 까지 4년간 총 50편, 2004년부터 2006년 3년간 총 134편으로 보고하였으며, 본 연구 결과 현재 연도별 논문 편수가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Kim & Na(2014)는 국회전자도서관과 학술정보원에서 ‘헤어’를 키워드(kye word)로 입력하여 자료 수집한 결과 2008년 54편, 2009년 52편, 2010년부터 2013년 까지는 년마다 100편 이상의 논문이 발표되었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2011년부터 2013년 까지 평균 55편인 것으로 나타 Kim & Na(2014)의 결과와는 차이가 있었다. 이는 분석 대상이 달랐기 때문으로 보인다.
3. 헤어미용 관련 학위논문 연구 주제별 동향
최근 10년간 헤어관련 연구를 주제별로 분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석사논문 대분류에서는 헤어디자인 관련 논문이 217편(41.8%)으로 가장 많았고, 그 중에서도 스타일 및 기법 연구에 관한 논문이 92편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는데 이는 일반 소비자의 관심사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헤어행동 208편(40.1%)으로 근소한 차이를 나타났으며, 교육 63편(12.1%), 헤어제품 및 용품 27편(5.2%), 기타 3편(0.5%)으로 나타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 중분류로 보았을 때에는 헤어심리 109편(21%), 스타일 및 기법연구 92편(17.7%), 헤어실태 70편(13.5%)순으로 나타났다. 소분류로 보았을 때에는 예술사조, 응용 81편(15.6%), 정규교육, 미용교육프로그램 62편(12%), 미용실(서비스)만족도 47편(91%)으로 나타났다. 2016년에서 2018년 까지는 교육 관련 논문의 편수가 상대적으로 증가하였고, 그중 NCS관련 논문이 2016년 이전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그 이유는 2015년에 기획재정부, 고용노동부, 교육부 등 정부부처와 협력하여 공공기관 및 기업에서의 NCS활용·확산이 추진됨(NCS, 2021)에 따른 NCS관련 연구 논문의 비중이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박사논문 대분류에서는 헤어행동 39편(43.3%), 헤어디자인 29편(32.2%)으로 석사논문에 비하여 헤어행동에 대한 연구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헤어행동의 중분류인 헤어심리와 헤어실태에 관한 조사가 늘어난 것으로 박사 연구와 석사 연구의 주제 선정의 차이를 보였다. 헤어제품 및 용품 17편(18.8%), 교육 3편(3.3%), 기타 2편(2.2%)으로 순으로 나타났으며, 중분류로 보았을 때에는 헤어실태가 18편(20%)으로 가장 많았으며, 헤어심리 와 스타일 및 기법연구가 각각 17편(18.2%)으로 나타났다. 소분류는 유행 및 트렌드 11편(12.2%), 헤어심리 10편(11.1%), 미용업 종사자관련 10편(11.1%)으로 나타났다.
석사 학위논문의 주제, 연도별 논문 편수는 (Table 3)과 (Fig. 3), 박사 학위논문의 주제, 연도별 논문 편수는 (Table 4)와 (Fig. 4)와 같다.
4. 헤어미용관련 학위논문 연구 방법별 동향
최근 10년간 헤어관련 연구방법을 조사한 결과 석사 논문은 설문연구가 255편(49.2%)으로 가장 많았고 문헌연구 138편(26.6%), 작품제작 80편(15.4%), 실험연구 21편(4.1%), 설문과 실험연구 14편(2.7%), 설문과 문헌 9편(1.7%), 실험과 문헌연구 1편(0.2%) 순이며, Kim & Na(2014)의 2006년부터 2013년 까지 석·박사 연구논문의 결과 설문연구 40.4%, 문헌 28.4%와 마찬가지로 설문연구와 문헌연구의 비중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 동향은 문헌연구의 경우 2011년 13편, 2012년 23편, 2013년 26편으로 점차 증가하였으나 2014년 이후로 그 비중 줄어들었고 설문연구가 점차 증가하여 2019년에 설문연구 41편으로 가장 많았다. 이는 2000년 후반으로 갈수록 자료조사에 관한 연구 보다 소비자 및 종사자 대상 연구가 늘어난 결과이며, 라이프 스타일 변화에 따른 서비스 및 직무 만족에 관한 관심사가 높아진 것으로 사료 된다. 연구 방법에 따른 석사 논문 분류는 (Table 5)와 같다.
박사 논문은 설문연구가 41편(45.6%)으로 가장 많았고 작품 제작 24편(26.7%), 실험연구 10편(11.1%), 문헌연구 9편(10%), 설문과 실험연구 4편(4.4%), 설문과 문헌 연구 2편(2.2%) 순으로 나타났으며, 실험과 문헌 연구는 없었다. 박사 연구는 석사 연구 대비 작품제작의 비율은 높고 문헌연구의 비율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방법에 따른 박사 논문 분류는 (Table 6)과 같다.
5. 설문연구 조사대상자별 분류
최근 10년간 헤어관련 석사학위 논문 중 설문을 진행한 설문연구 255편(49.2%), 설문과 실험연구 14편(2.7%), 설문과 문헌 9편(1.7%), 278편을 대상자 별로 분류한 결과 소비자대상이 177편(63.7%)으로 가장 많았고, 종사자대상 83편(29.9%), 전공 학생대상 15편(5.4%), 기타 3편(1.1%)으로 나타났다. 연도별 비율은 2019년 41편(14.7%)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으며, 소비자관련 설문 논문의 비중이 34편으로 다른 연도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이는 뷰티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소비자들이 증가함에 따라 소비자들의 수요나 만족도를 조사하여 뷰티산업에 적용이 필요한 이유에서이다. 결과는 (Table 7)과 같다.
박사학위 논문 중 설문을 진행한 설문연구 41편(45.6%), 설문과 실험연구 4편(4.4%), 설문과 문헌 연구 2편(2.2%) 47편을 대상자 별로 분류한 결과 소비자대상 25편(53.2%), 종사자대상 17편(36.2%), 전공학생대상 4편(8.5%), 기타 1편(2.1%)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조사 대상자의 순위는 석사연구와 마찬가지로 소비자대상 종사자대상 순으로으로 나타났다. 결과는 (Table 8)과 같다.
석·박사 논문 모두 소비자 관련 연구가 주로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2020년에는 종사자관련 논문이 석사 16편, 박사 4편으로 다른 연도에 비하여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으며, 앞으로 종사자 대상연구 뿐만 아니라 전공학생과 교사 등 다양한 대상의 설문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6. 실험연구 방법별 분류
최근 10년간 헤어관련 석사학위 논문 중 실험을 진행한 실험연구 21편(4.1%), 설문과 실험연구 14편(2.7%), 실험과 문헌연구 1편(0.2%) 총 36편을 분류한 결과 임상 실험이 21편(58.3%), 비임상 실험이 15편(41.7%)으로 나타났다. 결과는 (Tab le 9)와 같다.
박사학위 논문 중 실험을 진행한 실험연구 10편(11.1%), 설문과 실험연구 4편(4.4%) 14편을 분류한 결과 임상 실험이 5편(35.7%), 비임상 실험이 9편(64.3%)으로 석사 연구에 비하여 비임상 실험의 비율이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박사논문의 경우 특정 성분의 실험을 통한 결과 도출을 한 논문이 늘어난 결과로 보인다. 결과는 (Table 10)과 같다.
석·박사 논문을 비교하였을 때, 박사논문의 비임상 실험의 비율이 석사논문 보다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박사논문의 경우 특정 성분의 실험을 통한 결과 도출을 한 논문이 늘어난 결과로 보인다.
IV. 결 론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의 뷰티·미용 분야 학위논문 중 헤어 관련 논문을 중심으로 연구주제와 연구방법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동향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2011년부터 2020년 동안 발표된 뷰티·미용관련 연구 논문 중 2021년 3월 현재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System)에 등록된 석사·박사 연구 논문을 대상으로 하여 연도별 전공 논문 편수 비율을 조사하고, 그 중 헤어관련 논문을 대상으로 주제별, 연구방법별로 분류하였다. 연구방법 중 설문연구는 세부항목으로 대상자를 추가 분류 하였고, 실험연구는 임상과 비임상으로 추가 분류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10년간 헤어, 피부, 메이크업, 네일 연구 논문은 총 2,787편 이었고, 그 중 피부 관련 논문이 1,558편(54.1%)으로 가장 많았고 헤어 관련 논문이 610편(21.2%)으로 두 번째로 많았으며, 메이크업 관련 논문 379편(13.2%), 네일 관련 논문 331편(11.5%)으로 나타났다. 특정 전공의 연구가 집중된 것은 분야별 산업 발전의 시기와 규모가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이며, 앞으로 미용 분야의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 중 헤어관련 논문의 학위별 분포는 석사가 518편, 박사가 92편으로, 석사 연구논문에 비하여 박사 연구논문은 현저히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박사 연구의 발전을 위하여 석사 과정을 마친 연구자들의 박사과정 진학이 필요할 것으로 요구되며, 박사과정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 경제 활동과 학업을 병행 할 수 있는 사이버대학 과 야간 대학의 개설 등의 환경적 변화 또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헤어관련 학위논문의 연구주제별 동향을 살펴보면 석사논문 대분류에서는 헤어디자인 217편(41.8%), 헤어행동 208편(40.1%), 박사논문 대분류에서는 헤어행동 39편(43.3%), 헤어디자인 29편(32.2%)으로 헤어디자인과 헤어행동에 관한 주제가 주를 이루었다. 이는 헤어관련 논문의 전공 특성에 의한 것으로 소비자들의 외적 관심에 따른 연구가 주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추후 다양한 분야의 산업 발전을 위하여 제품 및 교육 등의 연구 또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헤어관련 학위논문의 연구방법 동향을 살펴보면 석사 논문은 설문연구 255편(49.2%), 문헌연구 138편(26.6%), 작품 제작 80편(15.4%), 실험연구 21편(4.1%)으로 나타났으며, 박사 논문은 설문연구가 41편(45.6%), 작품제작 24편(26.7%), 실험연구 10편(11.1%), 문헌연구 9편(10%), 으로 박사 연구는 석사 연구에 비하여 작품제작에 관한 연구 비율이 높고 문헌연구의 비율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연구의 비율이 높게 나타난 것은 2006년에서 2013년 까지 헤어미용분야의 학위논문 연구 동향을 분석한 Kim & Na(2014)의 연구와도 같은 결과로 연구 방법에서 편중성을 보이고 있다. 앞으로 헤어관련 연구의 체계적인 학문화와 질적 발전을 위하여 문헌연구 및 실험연구 등의 다양한 방식의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설문연구의 세부 항목으로 조사 대상자를 분석해 보았을 때 소비자관련 논문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종사자, 전공학생, 기타 순으로 나타났다. 헤어라는 서비스 산업과 관련된 학문 특성상 소비자와 종사자의 설문연구가 주를 이룬 것으로 보이나 추후 산업의 안정적인 발전을 위하여 전공학생에 관한 설문연구 또한 늘어나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분석은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System)에 등록된 석사·박사 학위 연구논문 중 헤어 분야 관련 논문만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실제 미용 분야 전체의 연구동향을 파악하기에는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향후 분석 범위를 피부, 메이크업, 네일 등의 전공 분야로 확대하고, 학위 논문 뿐만 아니라 학술지 수록 논문의 분석이 요구된다. 또한 국내 연구뿐만 아니라 해외의 연구동향을 파악 하여 시기별 비교분석을 한다면 더 다양하고 객관적인 미용분야의 연구 동향분석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