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컬스킨케어 종사자의 직무 및 교육만족도가 직무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Job and Education Satisfaction of Medical Skin Care Workers on Job Adaptation
Article information
Tran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to analyze job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factors for medical skincare workers and to determine how they affect job adaptation. The survey data of part 327 were collected, and the measuring tool consisted of 4 measurement indicators to compose a questionnaire with 37 items of measurement items for operational definition and research. and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Job satisfaction among factors of job experience (β=434, p<.001), working environment (β=245, p<.001) has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job adaptation in order. Practical education (β=.409, p<.001) among the factors in education satisfaction, theory education (β=.261, p<.001) w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job adaptability in order. Of the two factors, 'practice education' has been analyzed to have a greater impact on job adaptability. As a result, it is believed that increasing job satisfaction and educational achievements through practice and theory education with confidence in the duties of medical skincare workers will strengthen the capabilities of medical skincare workers and help develop the medical skincare industry.
I. 서 론
한국인의 평균수명이 증가하고 점차 초 고령사회로의 진입을 앞두고 있는 시대에 건강에 대한 관심 또한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피부미용에 있어서도 주름이나 탄력, 미백 등과 같은 메디컬 케어를 받고 싶어 병원을 방문하는 고객도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처럼 피부건강과 아름다움을 동시에 추구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미용 산업의 관심이 사회적으로 높아짐에 따라 메디컬스킨케어는 많은 성장과 발전을 거듭하고 부가가치산업으로 자리매김하였다(Kim et al., 2020). 이는 메디컬스킨케어의 고객층이 외모관리에 자신감뿐만 아니라 자아정체감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Seo, 2016). 메디컬스킨케어란 의사의 시술과 병합되는 피부 관리의 개념으로 정확한 전문의의 진단과 치료와 화장품을 이용한 전문적인 피부 치료의 사후관리를 말한다(Jang et al., 2016). 이러한 경향으로 메디컬스킨케어 서비스산업은 급속도로 기업화, 고급화, 일반화되며 더욱 더 변화해 가고 고학력 전문 미용 인력의 인적자원이 병·의원에 관리사, 코디네이터, 매니저, 팀장 등으로 종사하고 있다(Kim et al., 2020; Chae, 2021). 메디컬스킨케어 종사자는 임금과 업무시간, 승진제도, 동료 간의 관계와 직장의 근무 분위기에 따라 역할 수행과 직무에 대한 만족도가 각각 다르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직무에 있어 효율적인 능률을 올리는데 중요한 역할이라 할 수 있는 직무만족은 개인이 가지고 있는 가치 판단적 측면으로 볼 때 중요한 요인이며, 직무만족은 동료 간에 상호관계가 높아져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Lee, 2015). Locke(1976)는 직무만족이란 종사자가 자신의 직무에 대한 평가에서 유쾌한 감정 상태라고 정의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연구를 보면 Jin(2007)의 직무 환경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 인간관계, 작업환경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졌을 때 직무만족도 또한 높아지고 동료들 간의 관계형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Choi et al.(2011)은 피부미용사의 근무환경이 직업만족도와 생활만족도에 관해 근무환경이 좋을수록 직업만족에 영향을 주고 직무만족도가 좋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음을 강조하였다. Jang et al.(2017)의 논문에 따르면 직업 종사자에 대한 직무만족도는 이직의도에 영향이 있음을 강조하였으며, Yoon(2020)은 긍정적인 심리자본은 자신이 목표하여 이루고자 하는 상태를 의미하고, 직무만족도가 높을수록 심리자본이 높다고 하였다. 이러한 직업 종사자들의 문제점들을 파악하여 직무만족를 높여 업무능력을 취하여야 한다(Kim et al., 2020). 더불어 메디컬스킨케어 종사자는 업무교육을 통하여 실제 직무를 수행하는 환경적 능력을 갖추고 업무에 대한 스트레스를 최소화하며 자신의 능력과 기술적 측면이 필요하다. 이러한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만족도는 메디컬스킨케어 종사자의 자기욕구를 해결하고 교육만족도로 연결될 것으로 보인다(Shin et al., 2019). 이와 관련하여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Yoon(2020)은 산업현장에서 교육은 지식과 기술적인 숙련도를 연마하여 고객과 소통, 자기개발과 성장에 대해 영향을 준다고 강조하였으며, Kim(2011)은 직업 종사자의 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향상될수록 고객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Kim(2018)은 프랜차이즈 헤어살롱 인턴의 교육에 대한 만족, 활용, 직업몰입에 관한 연구에서 직업교육을 통해 직업에 대해 자부심과 직무에 대한 책임감으로 업무에 있어서 업무활동의 부작용을 최소화하면 직무에 대한 책임감이 높아진다고 하였다. Jang(2015)의 보고에서는 미용관련업종은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교육은 직무와 교육만족도를 충족시켜 직무 적응에 방향을 제시하여 고객과의 소통, 자기개발 그리고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실전에서 필요한 이론교육을 습득하여 실무교육이 중심이 되는 교육방식으로 운영 실시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이와 같은 다양한 선행연구를 고찰한 결과 메디컬스킨케어 종사자의 직무만족도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방안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메디컬스킨케어종사자의 직무 및 교육만족도가 직무 적응성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여 메디컬스킨케어 종사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며 미용관련 교육기관의 메디컬스킨케어 교육과정에도 학술적인 도움이 되고자 함이다.
II. 이론적 배경
1. 직무만족도
직무만족도는 종사자의 직무가치를 달성하고 개인별로 직무평가에서 얻은 만족에서 느끼는 상태의 정도를 말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가치, 태도와 욕구, 신념 등의 수준에 따라 직무가치에 대한 평가에서 얻어지는 정서적, 감정적 만족상태를 말한다(Yoon, 2011). 따라서 종사자의 직무만족은 조직의 효율성과 작업성과의 증진뿐만 아니라 생산성과의 능률을 향상시키고 직무에 대한 개인의 삶의 만족으로 볼 때 스스로 능력을 발휘하여 어떤 일에 대해 충분히 감당하여 성공적으로 목표를 달성하는 긍정적인 느낌 상태라고 할 수 있다(Kim, 2011; Choi et al., 2020).
2. 교육만족도
교육만족도란 학습자들이 교육에 참여하여 지식, 기술 따위를 모자람이 없이 충분히 만족한 결과를 얻은 정서 상태이다. 교육과정을 갖고 있는 기대에 대한 부응되는 그 이상의 것을 제공받고 이를 통해 욕구가 충족되어 마음이 흡족한 상태라 한다(Park, 2009). 이와 같은 개념은 기대에 대한 성취감을 의미하며 이에 질적인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직무교육의 실질적 업무의 능률을 향상시키고 경영환경의 유지·발전하는 지표로 보고 있다(Jeong et al., 2010). 즉 교육만족은 교육 이전의 기대에서 교육을 통한 경험이 실질적인 만족에 영향을 주는 긍정적 반응인 반면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 불만족으로 부정적인 반응이라고 볼 수 있다(Han et al., 2015). 이에 긍정적인 반응으로 판단되는 교육만족도가 학습자의 직무능력에 개선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으로써 실증적이고 실용적인 중요한 요인이다(Hyun, 2020).
3. 직무 적응성
직무 적응성이란 조건 또는 환경에 맞추어 잘 적응하는 것을 의미한다. 적응성은 개인의 내적인 자원이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상황에 적응, 대응하며 이러한 환경적 영향에 미칠 수 있는 여러 요인들의 역할 행동을 개선하여 개인의 가치관을 유지, 적응하는 능력이다(Park, 2015). 직업의 환경과 개인의 상호작용의 예측 불가능한 상황, 예측 가능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긍정적 사고로 잘 할 수 있다는 진로에 대한 자신감 등의 준비와 적응이라 직업생활의 준비도로 정의하였다(Yoon, 2020). 따라서 사회적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직업세계의 책임을 인지하고 유연하게 적응해 나갈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Kim, 2020). Bae et al.(2016)은 직무에서 개인의 적응성과 팀 적응성을 하나로 보고 직무환경에서 발생하는 여러 업무의 문제점을 외부로 표출되는 과정이라 하였다.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문제
본 연구는 메디컬스킨케어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직무만족도와 교육만족도가 직무적응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메디컬스킨케어 종사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하위 요인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연구문제 2. 메디컬스킨케어 종사자의 교육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하위 요인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연구문제 3. 메디컬스킨케어 종사자의 직무만족도는 직무적응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4. 메디컬스킨케어 종사자의 교육만족도는 직무적응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 연구대상 및 분석방법
본 연구는 전국에 있는 20대 이상으로 메디컬스킨케어를 시행하고 있는 피부과와 성형외과에 근무 하거나 근무한 경력이 있는 종사자를 대상으로 먼저 연구의 목적에 대하여 설명하고 연구에 동의한 메디컬 종사자를 대상으로 진행 되었으며, 자료의 수집 방법은 온라인 발송으로 자기 기입식 설문조사를 이용한 설문을 실시하여 회수하였다. 조사기간은 2020년 12월 21일부터 2021년 01월 17일까지였으며, 총 352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327부의 유효 설문지로 최종 분석자료로 활용 하였다.
3. 측정도구
본 연구를 위해 사용된 측정도구는 4개의 측정지표로 구성하여 조작적 정의와 연구에 대한 측정 문항의 43문항의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관련한 9문항은 Lee(2017), Cho(2010), Kim(2011)의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안하고 측정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 검증 후 사용하였다. 직무만족도 관련 16문항은 요인분석을 통해 보수 6문항, 직무경험 5문항, 직무역할 3문항, 작업환경 2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교육 만족도는 이론 6문항, 실습 6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측정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 검증 후 문항을 구성하였다. 직업적응 관련 6문항은 Seo(2020)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수정, 보안하여 사용하였다. 각 문항은 1점 ‘전혀 그렇지 않다’, 2점 ‘그렇지 않다’, 3점 ‘보통이다’, 4점 ‘조금 그렇다’, 5점 ‘매우 그렇다’의 5점 리커트 척도로 측정하였다.
4. 분석방법
본 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통계처리 과정을 거쳤다. 첫째, 응답자의 인구 통계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측정도구의 신뢰도 분석의 경우 신뢰도계수로 Cronbach's Alpha를 사용하였으며, 신뢰도 분석 후 분석를 적용하는 Bartlett의 Kaiser-Meyer-Olkin를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요인분석 적용 가능성을 판단한 후 주성분분석과 베리맥스 회전을 통해 요인분석을 하였다. 셋째, 메디컬스킨케어 종사자의 직무만족도와 교육만족도가 직무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직무만족도와 교육만족도를 통해 직업적응도의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Schéffe-test)을 적용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메디컬스킨케어 종사자들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Table 1). 연령은 ‘20대 이상’이 56.0%, ‘30대 이상’이 27.8%, ‘40대 이상’이 9.2%, ‘50대 이상’이 7.0%로 나타났다. 최종 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13.1%, ‘전문대학 졸업’ 46.8%, ‘대학 졸업’ 26.0%, ‘대학원 졸업’ 14.7% 순으로 나타났다. 근무경력은 ‘1년 미만’이 10.1%, ‘1~3년’이 36.7%, ‘3~5년’이 19.0%, ‘5~10년’은 15.6%, ‘10년 이상’은 13.7%로 나타났다. 소득을 알아본 결과 ‘200만원 미만’이 11.9%, ‘200-300만원 미만’이 60.9%, ‘300~400만원 미만’이 24.5%, ‘400~500만원 미만’이 0.0%, ‘500만원 이상’이 2.8%로 나타났다. 직책을 알아본 결과 ‘관리자’ 2.8%, ‘메디컬스킨케어 관리사’ 39.7%, ‘실무자’ 4.6%, ‘실습생’ 3.7%, ‘실장’ 25.7%, ‘외래근무자’ 6.1%, ‘코디네이터’ 12.9%, ‘팀장’ 1.2%, ‘기타’ 3.4%로 나타났다. 직장 규모를 알아본 결과 ‘3명 미만’ 10.1%, ‘3명이상~5명 미만’ 34.9%, ‘5명이상~10명 미만’ 34.2%, ‘10명이상’ 20.8%로 나타났다. 회의 횟수를 알아본 결과 ‘안함’ 18.3%, ‘필요시’ 0.9%, ‘1~2회’ 40.4%, ‘3~4회’ 11.3%, ‘5회 이상’ 18.3%, ‘기타’ 10.7%로 나타났다. 향후 전망에 대해 알아본 결과 ‘매우 어둡다’ 0%, ‘어둡다’ 0.3%, ‘보통이다’ 6.1%, ‘긍정적이다’ 24.8%, ‘매우 긍정적이다’ 68.8%로 나타났다. 향후 진로에 대해 알아본 결과 ‘메디컬 스킨케어분야’ 63.3%, ‘전문 샵 오픈계획’ 18.0%, ‘전문기관교육자’ 4.6%, ‘기타(미용관련 다른 분야로 취업)’ 14.1%로 나타났다.
2. 메디컬스킨케어 종사자의 직무만족도에 대한 신뢰도 및 요인분석
신뢰성(reliability)은 동일한 대상에 시간을 달리하여 독립된 측정방법으로 비슷하게 나타나는 결과를 의미하고 내적 일관성을 말한다(Shin, 2017). 직무 만족도 관련 문항들의 내적 일관성을 측정하기 위해 Cronbach’s α계수를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직무 만족도 관련 문항의 Cronbach’s α계수는 0.918로 나타나, 0.7 이상의 값을 나타내어 직무 만족도 관련 문항의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분석 적합도는 Kaiser-Meyer-Olkin와 Bartlett의 구형성 검정을 통해 확인하였다. Kaiser-Meyer-Olkin 결과 0.886로 나타나 0.5 이상의 값을 나타내었으며, Bartlett의 구형성 검정결과 χ2 = 3236.432, p = 0.000로 직무 만족도 관련 문항의 분석 적합도를 확보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인식관련 문항들에 대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을 위하여 주성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베리맥스 회전을 통해 요인 적재치를 단순화하였다. 문항선택 기준으로는 고유값 1.0 이상, 요인 적재치는 0.5 이상을 기준으로 하였다. 직무만족도에 관한 16문항에 대한 요인분석 실시 결과, 4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Table 2). 요인 1은 보수, 휴식시간, 작업동선, 승진제도, 교육체계에 대한 문항에서 주로 나타났으며 이를 바탕으로 보수로 명명하였다. 요인 2는 업무 분배, 동료 간 친밀도, 동료 간 존중, 동료간 관계, 직장 분위기에 대한 문항에서 주로 나타났으며, 이를 바탕으로 ‘직무경험’으로 명명하였다. 요인 3은 자부심, 사회적 평가, 능력의 발휘에 대한 문항에서 주로 나타났으며 이를 바탕으로 ‘직무역할’로 명명하였다. 요인 4는 작업 환경, 작업장 시설에 대한 문항에서 주로 나타났으며 이를 바탕으로 ‘작업환경’으로 명명하였다. 각각의 요인에 관련된 문항들의 내적 일관성을 측정하기 위해 Cronbach’s α계수를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보수’ 요인 관련 문항의 Cronbach’s α계수는 0.883로 나타나 ‘보수’ 요인 관련문항의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직무경험’ 요인 관련 문항의 Cronbach’s α계수는 0.835로 나타나 ‘직무경험’ 요인 관련 문항의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직무역할’ 요인 관련 문항의 Cronbach’s α계수는 0.740로 나타나 ‘직무역할’ 요인 관련 문항의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작업환경’ 요인 관련 문항의 Cronbach’s α계수는 0.793로 나타나 ‘작업환경’ 요인 관련문항의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Lee(2007)의 보고에 따르면 병원 직원의 직무 만족 요인 분석결과, 직무 만족도 항목은 총 5개의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5개의 요인은 각각 ‘직무환경’ 요인, ‘인간관계’ 요인, ‘조직특성’ 요인, ‘심리’ 요인, ‘가치실현’ 요인이다. 본 논문의 분석 결과와 비교할 경우, ‘보수’ 요인은 임금, 승진제도, 복지 항목을 포함하는 ‘직무환경’ 요인과 ‘조직특성’ 요인과 유사하다. ‘직무경험’ 요인의 경우 동료와 상사와의 관계 항목을 포함하는 ‘인간관계’ 요인과 유사하다. ‘직무역할’ 요인의 경우 사회적 인식, 사회적 지위, 자기 발전 항목을 포함하는 ‘심리’ 요인과 ‘가치실현’ 요인과 유사하다. ‘작업환경’ 요인의 경우 작업환경과 관련이 있는 ‘직무환경’ 요인과 유사하다. 이러한 유사점을 통해 스킨케어 종사자의 경우에도 병원 직원의 직무 만족 요인과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3. 메디컬스킨케어 종사자의 교육 만족도에 대한 신뢰도 및 요인분석
교육 방향성 관련 문항들의 내적 일관성을 측정하기 위해 Cronbach’s α계수를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교육 만족도 관련 문항의 Cronbach’s α계수는 0.918로 나타나, 0.7 이상의 값을 나타내어 교육 만족도 관련 문항의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분석 적합도는 Kaiser-Meyer-Olkin와 Bartlett의 구형성 검정을 통해 확인하였다. Kaiser-Meyer-Olkin으로 결과 0.851로 나타나 0.5 이상의 값을 나타내었으며, Bartlett의 구형성 검정결과 χ2 = 2585.717, p = 0.000로 교육 만족도 관련 문항의 분석 적합도를 확보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인식관련 문항들에 대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을 위하여 주성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베리맥스 회전을 통해 요인 적재치를 단순화하였다. 문항선택 기준으로는 고유값 1.0 이상, 요인 적재치는 0.5 이상을 기준으로 하였다. 교육 만족도에 관한 12문항에 대한 요인분석 실시 결과, 2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Table 3). 요인 1은 실습, 기기 이용, 업무 수행, 실습시간, 기술 향상에 대한 문항에서 주로 나타났으며 이를 바탕으로 ‘실습 교육’으로 명명하였다. 요인 2는 이론 내용, 설득력, 이해, 이론 중심에 대한 문항에서 주로 나타났으며, 이를 바탕으로 ‘이론 교육’으로 명명하였다. 각각의 요인에 관련된 문항들의 내적 일관성을 측정하기 위해 Cronbach’s α계수를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실습 교육’ 요인 관련 문항의 Cronbach’s α계수는 0.847로 나타나 ‘실습 교육’ 요인 관련문항의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이론 교육’ 요인 관련 문항의 Cronbach’s α계수는 0.884로 나타나 ‘이론 교육’ 요인 관련문항의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4. 메디컬스킨케어 종사자의 직무 적응성에 대한 신뢰도 분석
직무 적응성 관련 문항들의 내적 일관성을 측정하기 위해 Cronbach’s α계수를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직무 적응성 관련 문항의 Cronbach’s α계수는 0.842로 나타나, 0.7 이상의 값을 나타내어 직무 적응성 관련 문항의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분석 적합도는 Kaiser-Meyer-Olkin와 Bartlett의 구형성 검정을 통해 확인하였다. Kaiser-Meyer-Olkin으로 결과 0.716로 나타나 0.5 이상의 값을 나타내었으며, Bartlett의 구형성 검정결과 χ2 = 1642.343, p = 0.000로 직무 적응성 관련 문항의 분석 적합도를 확보하였다(Table 4).
5. 직무만족도와 교육만족도, 직무적응성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
직무만족도와 교육만족도 및 각각의 하부 요인들이 직무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진행하였다(Table 5). 직무만족도 및 하부 요인들과 직무적응도의 상관관계분석 결과 직무경험(r=0.576, p<0.01), 작업환경(r=0.477, p<0.01), 보수(r=0.443, p<0.01), 직무역할(r=0.433, p<0.01)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중 직무경험이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교육만족도 및 하부 요인들과 직무적응도의 상관관계분석 결과 실습교육(r=0.612, p<0.01), 이론교육(r=0.580, p<0.01)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 중 실습 교육이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직무만족도 및 교육만족도와 직무적응도의 상관관계분석 결과 교육만족도(r=0.663, p<0.01), 직무만족도(r=0.567, p<0.01)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중 실습 교육이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6. 직무만족도와 교육만족도가 직무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1) 직무만족도가 직무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메디컬스킨케어종사자들의 직무만족도가 직무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 <Table 6>와 같다. 직업만족도의 각 요인을 통해 만들어진 직업적응도 회귀모형이 직무적응성을 유의미하게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F=50.339, p<.001). 직업만족도의 요인 중 직무경험(=.434, p<.001), 작업환경(=.245, p<.001) 순으로 직무 적응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Lee et al.(2017)의 직무적응성과 기업특성의 관계를 분석한 연구에서는 업무의 강도와 향후 회사의 발전 가능성이 직무적응성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직무경험과 작업환경이 가장 높은 연관성을 보였다. 이는 작업환경에 의해 직무 적응성이 변화하는 것은 유사하나, 기존 연구에서는 기업의 발전이라는 측면이고, 본 연구에서는 사내 문화와 관련된 측면이라는 점에서 차이를 보였다.
2) 교육만족도가 직무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메디컬 스킨케어 종사자들의 교육만족도가 직업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는 <Table 7>과 같다. 교육만족도의 각 요인을 통해 만들어진 직업적응도 회귀모형이 직무 적응성을 유의미하게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F=108.757, p<.001). 교육 만족도의 요인 중 실습 교육(=.409, p<.001), 이론 교육(=.261, p<.001)순으로 직업적응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im(2017)의 직업훈련만족도와 직업적응성을 연구한 보고에 따르면, 직업훈련 만족도가 높을수록 직무적응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연구에서도 이론 교육보다 실습 교육이 직무적응성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를 통해 메디컬스킨케어 종사자의 직무 적응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실습 교육의 비중을 높여야 하며, 지속적인 실습 재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3) 직무만족도와 교육만족도가 직무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메디컬스킨케어 종사자들의 직무만족도, 교육만족도가 직무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Table 8>과 같다. 직무만족도와 교육만족도를 통해 만들어진 직무적응성 회귀모형이 직무적응성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F=116.824, p<.001). 각 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직무만족도(=.207, p<.001), 교육만족도(=.476, p<.001) 순으로 직무적응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Lee(2013)의 연구결과에서는 외적요인이 개인적인 내적 요인에 전반적인 영향을 주고, 직무 실적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Jung(2010)의 연구결과에서는 교육 프로그램은 현장 업무에 효과적 적용으로 업무 스트레스를 최소화하며 조직의 이익에 긍정적인 직무만족을 이끌어 낸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전문 영역이라는 메디컬스킨케어는 직무만족도와 교육만족도는 직무적응에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V. 결 론
메디컬스킨케어의 종사자들이 맡은 직무에 있어 적응은 직무태도에 대해 긍정적이고 목표 지향적이며 성취지향적인 능력을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메디컬스킨케어 종사자들의 직무만족도와 교육만족도가 직무적응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진행되었다. 양적분석을 통해 메디컬스킨케어의 종사자들의 운영 확대 방안을 모색하였으며 그에 따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메디컬스킨케어 종사자들에게 있어서 직무만족도는 ‘보수’, ‘직무경험’, ‘직무역할’, ‘작업환경’의 4개 요인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대상의 메디컬스킨케어 종사자들은 근무 분위기, 동료와의 관계, 현재 업무에 따른 직무경험이 가장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 확인 할 수 있었다. 둘째, 교육만족도는 실습 교육과 이론 교육의 2개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습 교육은 실습, 기기 이용, 업무 수행, 실습시간, 기술 향상에서 주로 나타났으며 이론교육은 이론 내용, 설득력, 이해, 이론 중심에 대한 문항에서 나타났다. 셋째, 직무만족도는 직무적응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만족도의 요소에서는 직무경험, 작업환경 순으로 직무적응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직무경험요인의 업무 분배, 동료 간 친밀도, 동료간 존중, 동료간 관계, 직장 분위기과 작업환경요인의 작업 환경, 작업장 시설의 청결한 작업환경은 작업만족에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다. 넷째, 교육만족도는 직무적응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가지 요인 중 ‘실습교육’이 직무적응에 더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직무만족도와 교육만족도가 사내문화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어 고객성과와 이직률을 줄일 수 있으며 조직 내 직무적응성을 높이는데 중요한 요소라 할 것이다. 이러한 결론을 통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메디컬스킨케어 종사자들은 직무 만족도의 직무경험 요인의 업무 분배, 동료 간 친밀도, 직장 분위기, 동료 간 존중의 갈등과 작업환경요인의 작업 환경, 작업장 시설의 청결한 작업환경은 직무자체에 대한 외적요인으로 과업갈등을 해소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습, 기기이용, 업무수행, 실습시간, 기술 향상에 있어 실습교육은 스스로 업무를 이행하고, 고객에게 수준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요인으로 교육방향의 요소에서 실습교육은 이론교육보다 직무적응성에 있어 더 중요한 요인이며, 실습교육을 효과적이고 구체적인 교육 방향으로 이루어진다면 직무 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예상할 수 있다. 또한 향후 메디컬스킨케어 전공 학생들에게 이론교육과 실습교육의 2개의 요소를 적절하게 제공하고 실습교육의 학습효과를 효과적으로 높인다면 메디컬스킨케어의 성장과 비전을 제시하고 발전할 것이라 사료된다. 다만 본 연구의 한계점은 표본 집단의 지역, 연령, 직책 등이 균일하게 분배되지 않은 표본추출(Czonvenientsampling)로 이루어져 외적 타탕도를 높이지 못하였기 때문에 추후 연구에서는 이를 보완하여 표본의 크기를 균일하게 한다면 연구의 객관성을 보다 높일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