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녀 및 마녀 이미지 캐릭터 메이크업의 미적 특성 -영화‘수어사이드 스쿼드’의 사례를 중심으로-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Character Make-up of Villainess and Witch Image -A case study of makeup in ‘Suicide Squad’ (2016)-
Article information
Trans Abstract
David Ayer’s (2016), a fantasy genre movie based on DC comics, won 89th academy award for best makeup and hair styling, and received attention for the creative makeup by production crew. The Villainess and Witch in the movie are depicted as independent characters who maximize their role as women with their charm, rather than figures that good-hearted leading character should stand again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images of Villainess and Witch focusing on Harley Quinn and Enchantress in the movies and explore characteristics of the makeup and hair styling and their aesthetic qualities. It’s expected to see this study will understand importance in image making and makeup in playing characters and be helpful in coming up with design idea and providing basic data in future. Literature review with relevant articles and news reports and Internet information review with international news and YouTube were conducted. For case study, 57 pictures that captured scene of, especially close-up photos were chosen to analyze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s of the movie character makeup and hair styling. Harley Quinn, the Villainess showed various costume coordination in colors, jumper, dress, letter stockings, and accessories. Shapes and color variations were brought into her hair design. And her body makeup was airbrushed with some tattoos. She put on dramatic, colorful smoky makeup and tried nail arts in different colors, design and coordination. Enchantress, the Witch got tattoo and put on deep, impressive black smoky makeup with pink lips. And her body makeup, letter design makeup with ancient magic spells, and black color nails were used. Harley Quinn’s makeup and aesthetic quality expresses aesthetics of reality and playfulness. She’s well dressed up with proper coordination to show her social status as a doctor, but she put on natural makeup, wearing real prisoner’s uniform when she was imprisoned. Once she transformed into Joker, excessive hair rollers, tattoo makeup and nail arts showed playfulness in terms of design. On the other hand, Enchantress aims to express aesthetics of surrealistic and playfulness. She put on surreal body makeup with oriental patterns, tattoo, accessories, body makeup with coordination, special effect witch’s eyes. Plus, she styled with playful, over-sized hair accessories. When comparing two characters featured in the film in this study, it turned out Harley Quinn as Villainess has potential to show diversity. And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makeup is important way in playing dual roles and the digital makeup with special effect has become prevalent.
I. 서 론
‘데이비드 에이어(David Ayer)’ 감독의 <수어사이드 스쿼드> (Suicide Squad, 2016)는 ‘마고 로비(Margot Robbie)’, ‘윌 스미스(Will Smith)’, ‘카라 델레바인(Cara Delevingne)’ 등 주연의 액션 영화로, 슈퍼 히어로 유니버스 영화로는 최초로 2017년 아카데미 어워드 89회에서 분장상을 수상하였다. 특히 영화 속에서 마고 로비와 카라 델레바인이 맡은 악녀와 마녀 캐릭터의 경우 기존의 원작 만화의 캐릭터와 달리 제작진들의 창의적인 분장 아이디어가 반영되어 주목을 받았다. 기존의 이미지를 탈피한 색다른 개념의 창작 캐릭터가 창의력 있는 분장과 변형된 이미지로 등장하였다고 평가된다.
<수어사이드 스쿼드>는 근래에 연이어 제작되고 있는 판타지 장르로서 이 영화 외에도 동화나 만화를 원작으로 하는 판타지 영화들이 여럿 제작되고 있다. 영화 속에서의 악녀와 마녀는 이전처럼 선한 주인공들이 대적하는 대상이라기보다는 매혹적인 면모와 여성으로서 역할이 극대화되는 주체적인 존재의 캐릭터로 등장하고 있다. 현대 사회에서도 여성의 역할이 활동적으로 변화하면서 이들처럼 주체적인 여성 캐릭터의 매력을 가진 캐릭터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므로 악녀와 마녀의 분장의 양상에 관해 다양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현재까지 악녀 이미지와 캐릭터 관련 연구는 소설에서의 악녀 이미지 연구(Park, 2015; Kim, 2009), 드라마의 악녀 캐릭터 연구(Kim, 2010; Lee, 2003) 등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마녀 캐릭터 관련 연구는 마녀의 시대적 이미지 연구(Song, 2019; Park, 2009), 마녀 애니메이션 캐릭터 연구(Kim, 2014; Yun, 2015) 등이 이루어져 왔으나 영화 속 악녀와 마녀 캐릭터에 관한 분장의 양상과 미학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영화 속 악녀 및 마녀이미지를 영화 <수어사이드 스쿼드>의 할리퀸(Harley Quinn)과 인챈트리스(Enchantress)의 캐릭터를 중심으로 파악하고 그 분장의 디자인 특성과 미적 특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로써 캐릭터 표현에서의 이미지 메이킹과 분장의 중요성을 파악하고 앞으로 영화 캐릭터 분장 분야에서의 디자인 발상과 기초자료 제공에 도움이 되리라고 사료된다.
연구 방법으로는 관련 논문, 기사 등의 자료를 참고하는 문헌 연구와 해외 기사, 유튜브 등의 인터넷 자료 연구를 병행한다. 문헌연구를 위해 영화 속 캐릭터의 이미지와 캐릭터 메이크업의 디자인특성을 분석하였다. 사례연구로서 영화 <수어사이드 스쿼드>의 할리퀸, 인챈트리스의 해당 캐릭터의 주요 등장 장면을 캡처한 사진 57장 중에서, 시놉시스 상의 캐릭터 성격과 분장에 급격한 변화가 있었던 시점을 중심으로 대표적인 분장 유형을 3개로 나누고, 10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메이크업 및 분장 전문인 3인의 동의를 얻어 클로즈업된 사진 3장씩 선정하였다. 이를 대상으로 각 헤어, 메이크업, 네일의 캐릭터 분장의 디자인 특성을 형태, 색채, 재질 등 디자인 요소별로 분석하였다. 이어서 캐릭터 메이크업에 대한 선행연구(Han & Han, 2015; Kim & Gwak, 2012; Chang, 2008)의 연구방법에 따라 미적 특성을 초현실성, 사실성, 유희성으로 도출하였다.
II. 이론적 배경
1. 영화 <Suicide Squad>(2016)
영화 <수어사이드 스쿼드>(2016)는 DC코믹스의 동명 만화 ‘수어사이드 스쿼드’ 시리즈를 원작으로 한 리메이크 영화(Fig. 1)이다. 줄거리는 정부가 특수 기밀 사건을 전담하기 위하여 각자의 특수한 능력을 가졌으며 수감된 상태인 악당들을 소집하게 되는 것에서 시작한다. 미션 수행 시 수감생활에서 벗어날 수 있는 조건을 내걸고 규칙을 어길 경우에는 몸에 주입된 폭탄을 터져 죽을 수 있다. 할리퀸은 정신과 박사였으나 조커와 상담하던 중 사랑에 빠지고 사고를 쳐 수감된다. 고대의 마녀인 인챈트리스는 고고학자인 준 문 박사와 탐사 중에 서로 마주쳐 그녀에게 기생하게 된다. 인챈트리스도 ‘수어사이드 스쿼드’에 소집되어 도움을 주지만 자신의 심장 이외에 오빠까지 인질로 잡히자 반발심에 지구를 멸망하려 한다. ‘수어사이드 스쿼드’ 대원들은 이를 해결하려는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이 영화는 원작인 DC 코믹스의 <수어사이드 스쿼드> 만화의 시리즈 일부를 각색한 것으로, 최근 제임스 건(James Gunn) 감독의 <더 수어사이드 스쿼드>(The Suicide Squad, 2021)가 별도의 작품으로 개봉되기도 하였다.
<수어사이드 스쿼드>에 대표로 참여한 분장사는 크리스토퍼 알렌 넬슨(Christopher Allen Nelson)이며 이 영화로 아카데미 어워즈의 분장상을 수상하였다. 그는 1970년생의 미국 출신으로 1993년부터 현재까지 주로 특수분장을 전문으로 활동하는 메이크업 아티스트이다(Fig. 2). 첫 직업으로 ‘톰 버먼(Tom Burman)’의 특수 분장 회사인 ‘FX Make-up shop’에서 근무하게 되었으며 영화 분야의 전문 메이크업 아티스트 ‘빌 코르소(Bill Corso)’의 도움으로 ‘스티븐 존스XFX(Steve Johnsons XFX)’에서도 근무하면서 많은 메이크업 기술을 배우게 된다. 참여한 영화로는 <데드풀>(Dead Pool, 2016), <어메이징 스파이더맨>(The Amazing Spider-Man, 2012),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Alice in Wonderland, 2010), <스타트랙>(Star Trek, 2009), <킬 빌>(Kill Bill: Vol. 1, 2003) 등의 판타지 장르의 영화에 다수 참여하였다. 특히 프로스테틱(Prosthetic) 메이크업을 잘 다루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디자인 컨셉부터 제작자 및 감독과 함께 작업하여 배우들의 캐릭터를 형성하는 분장 전문가이다(Gettyimages.com; Criminalminds.fandom.com).
아카데미 분장상은 1981년부터 제정되어 시상되고 있다. 영화의 장르가 분화되면서 발달되는 영화 기술과 더불어 더 섬세한 분장의 필요성이 중요해지면서 초기 영화에서는 제정되지 않던 분장상이 따로 수여되기 시작한 것이다. 다양한 분장과 특수분장은 할리우드 영화의 발전에 기여도를 인정받고 영화의 창작에 필수적인 부분으로 자리 잡아 영상 기술의 발전에 따라 더 다양하고 섬세한 기술 표현으로 발전하고 있다.
<수어사이드 스쿼드>는 아카데미 어워드 이외에도 헤어, 메이크업 관련으로 ‘할리우드 메이크업 아티스트 앤드 헤어 아티스트 길드 어워즈(Hollywood Makeup Artist and Hair Stylist Guild Awards)’에서 ‘베스트 피리어드/캐릭터 메이크업-장편부분(Best Period and/or Character Makeup-Feature-Length Motion Picture)’ 이외에 여러 영화제에서 수상하고 후보에 오르는 등 헤어와 메이크업의 예술성을 인정받았다.
2. 캐릭터 메이크업과 마녀 캐릭터
1) 캐릭터 메이크업
영화 분장은 얼굴을 포함한 외모의 전체 조화를 이뤄야 하는 종합예술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여러 가지 형태의 상황에 맞는 캐릭터를 창출할 수 있는 지식, 감각이 필요하다(Son & Kim, 2011).
캐릭터 메이크업의 목표는 배우가 극중 인물의 외적인 면을 관객에게 전달시키는 중요한 극적 요소이자 배우의 가장 필수적인 의사전달 수단이다. 따라서 관객들에게 배우의 모습을 배역에 맞게 인물화 하도록 창조하여 배역의 성격을 이해시키는 목적이 있다(Han & Han, 2015).
캐릭터 메이크업에는 여러 메이크업이 있지만 분류는 캐릭터의 역할에 따라 극중 인물의 성격으로 나누거나(노역, 코믹 등), 시대극, 판타지, 공포, 모험극 등의 메이크업으로 크게 5가지로 나눌 수 있다. 캐릭터 메이크업을 위해서는 캐릭터 디자인(Charactor Design)이 필요한데 캐릭터 디자인은 스케치와 점토로 디자인을 만들어 움직임이나 필요한 해당 이미지를 수정하는 과정들을 거쳐 완성된다.
영화 분장을 위해서는 시나리오와 대본을 분석하고, 촬영 회의로 캐릭터에 적합한 메이크업 디자인을 한다. 그리고 캐릭터의 특성으로 스트레이트 메이크업과 캐릭터 메이크업을 구분해 극중에서의 캐릭터 변화를 고려해 진행한다(Oh, 2021).
이는 분장사의 기술, 예술적 감각이 요구되며 극중 인물의 특징을 더욱 강조한다. 일반분장과 다른 점은 회화적, 의학적, 화공약품에 대한 지식 등의 종합적인 지식들을 융합하여 활용해야 하는 학문 분야이다(Hwang & Yu, 2019).
종류로는 타투, 칼에 베인 상처, 총상, 흉터, 화상, 시체분장, 피곤함, 병약함, 노역 분장 등의 부분적인 신체의 변형이 표현된 분장이나 제작된 영화 속에서 배우가 외계인, 악마, 역사적 인물 등으로 급격한 외모 변화가 필요하여 배우의 얼굴 또는 전신의 형태를 석고로 뜨거나 모형을 제작하여 3차원의 입체 변화를 주기도 한다(Chang, 2005) 캐릭터를 연구할 때의 물리적인 외모는 나이, 성품, 사회적 지위, 인종, 시대, 유전적인 요소, 건강에 따라 좌우된다(Penny, 2015). 이를 위하여 메이크업 아티스트의 기술과 여러 재료들이 필요한 프로스테릭스(Prosthetics), 폼 라텍스(Foam Latex), 라이프 캐스트(Life Cast), 스컬프팅(Sculpting), 에이징(Aging) 등의 기술이 있으며 콘텍트 렌즈(Contact Lenses)나, 퍼(Fur) 같은 재료를 응용하는 경우도 있다. 특수효과 메이크업에는 디지털 기술을 통한 모핑(Morphing), 디지털 스컬프팅(Digital Sculpting), 캐릭터 페인팅(Character Painting), 디지털 스킨(Digital Skin), 디지털 메이크업(Digital Makeup) 등이 있다. 디지털 스킨이나 디지털 메이크업은 자연스러운 피부를 디지털로 구현해 내거나 연기자의 얼굴을 스캔하여 3D 디지털 모델을 생성하고 디지털 모델이 겹쳐지고 필요한 메이크업 변경 사항은 디지털 헤드를 사용하여 생성하거나 나중에 실제 얼굴 등에 다시 합성하는 기술은 현재도 중요한 기술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정교한 기술을 위해 메이크업 아티스트가 투입되는 경우는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Rickitt et al., 2007).
2) 악녀, 마녀 이미지와 캐릭터
악녀 이미지는 여성들의 사회진출에 대해 남성들이 위기감을 느끼며 피해의식으로 자연스럽게 일부 여성들을 악녀로 표현하면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그 이미지는 패륜, 기존 도덕성을 무시하고 자신의 욕망을 채우기 위해 남성을 이용하는 존재로 묘사된다. 현대 여러 장르의 영화에서 이런 악녀를 칭하는 팜므 파탈(Femme fatale)이 나타나는데 그녀들의 스타일은 남성들에게는 호기심을, 여성들에게는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Park et al., 2007).
최근 판타지 영화를 중심으로도 매혹적인 이미지를 내세운 할리퀸, 캣우먼, 포이즌 아이비, 배트걸 등 여러 악녀 캐릭터들이 등장하여 주체적인 역할로 주목을 받고 있다.
마녀 이미지는 중세의 마녀 사냥기에 형성된 모습으로 외형은 일반적으로 늙고 추한 노파, 사악한 인간, 인간을 잡아먹는 식인귀 등 부정적 형상으로 인식되었다. 이는 특히 샤를 페로(Charles Perrault), 그림 형제(Jakob Grimm, Wilhelm Grimm)의 민담집에 나오는 인물로 이미지가 고착화되어, 선하고 아름다운 주인공을 위기나 죽음으로 내모는 악역으로 등장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Lee & Lee, 2014).
디즈니 애니메이션 속 <백설 공주와 일곱 난쟁이>(Snow White and the Seven Dwarfs, 1937)의 경우 왕비가 추한 외모의 노파로 변장한 모습은 일반적인 마녀를 떠올릴 때의 이미지로 <헨젤과 그레텔>(Hansel and Gretel, 1812), <인어공주>(The Little Mermaid, 1837), <라푼젤>(Rapunzel, 1812) 등 동화 속에 나타나는 전형적인 마녀 이미지이다.
영화에 나타난 대표적인 악녀 및 마녀 이미지의 캐릭터를 살펴보면, 애니메이션 <잠자는 숲속의 공주>(Sleeping Beauty, 1959)와 이 영화의 리메이크 실사 영화인 <말레피센트> (Maleficent, 2014) 시리즈의 마녀, 만화 실사 리메이크 영화 <캣우먼>(Catwoman, 2004), 동화와 만화 리메이크 영화 <신데렐라>(Cinderella, 2015), 애니메이션 실사 리메이크 영화 <크루엘라>(Cruella, 2021) 등의 마녀와 악녀 캐릭터가 있다.
<백설 공주와 일곱 난쟁이>의 마녀는 추한 나이든 노파로 블랙 망토를 착용하고 치아가 없고 피부에 사마귀가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화이트 스트레이트 헤어에 그레이 스모키 메이크업과 큰 눈, 그리고 아치형의 아이브로우 형태로 디자인되었다. 그리고 <잠자는 숲속의 공주>, <말레피센트>의 마녀도 블랙 망토를 착용하여 <백설 공주와 일곱 난쟁이>에서와 비슷한 이미지를 표현하였으며 날카로운 뿔 모양의 헤어 스타일로 보는이로 하여금 위협적인 이미지를 느끼도록 표현하였다. 메이크업은 일반적인 인간의 모습이 아닌 듯한 핏기없는 하얀 베이스 메이크업, 짙은 컬러의 아이, 립, 네일과 날카로운 디자인의 아이브로우, 아이라인을 표현하여 예민하고 날카로운 마녀의 이미지를 표현하고 있다.
악녀나 마녀의 이미지를 살펴보면, 전형적으로 블랙 계열의 의상을 착용한 것으로 표현된다. 분장의 디자인 특성을 살펴보면 굴곡이 강한 아이브로우, 치켜올리거나 강한 라인의 아이라인, 인위적인 피부표현과 퍼플, 블루, 또는 그레이의 강한 아이섀도우, 브라이트 또는 딥 레드의 립 메이크업과 네일 메이크업을 특징으로 한다(Lee, 2017).
악녀 캐릭터의 경우 <캣우먼>은 블랙 가죽 소재의 크롭 탑이나 레깅스 코디네이션 스타일과 고양이의 모습에서 착안한 디자인의 헤어 악세사리와 마스크, 장갑 등으로 활동성과 예민한 고양이의 성격, 상징적인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분장의 디자인 특성을 살펴보면 짙은 립 컬러와 스모키 메이크업, 날카로운 디자인의 아이라인으로 캣우먼의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신데렐라>의 악녀 캐릭터는 블랙과 골드 컬러를 활용한 드레스, 악세사리와 과장되게 큰 크기의 모자로 매혹적인 이미지로 관중들을 압도하였다. 메이크업 또한 주로 눈과 립을 강조하였고 날카로운 디자인의 아이브로우와 아이라인, 립라인으로 강한 성격의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크루엘라>의 악녀 캐릭터는 블랙계열의 수트를 착용하여 정적인 모습과 함께 화이트와 블랙으로 반씩 나누어진 숏 웨이브 헤어로 이중성을 가진 성격의 이미지를 간접적으로 표현하였다. 메이크업에서는 짙은 스모키 메이크업과 날카롭고 상승형의 디자인의 아이브로우, 아이라인, 레드 컬러로 강한 성격의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Table 1은 영화 속에 나타난 악녀 및 마녀 캐릭터의 분장의 이미지 양상을 정리한 것이다.
현대 TV 드라마 속에서 악녀 메이크업은 앞서 본 영화 속 악녀 이미지와는 달리 색과 선이 자연스러운 음영 기법을 통해서 부담스럽지 않은 성격 메이크업으로 시청자층을 고려하고 현실적인 표현을 한다. 또한 현대극 영화 분장에서는 색과 선이 진하며 강인한 눈매의 메이크업을 강조하며(Jeo, 2011), 2000년 대의 한국 영화의 경우 스모키 메이크업을 다양하게 활용하였다(Oh, 2014). 이에 비해 판타지 장르에서 악녀 및 마녀 메이크업의 디자인 특성을 살펴보면 자유롭고 다양한 컬러표현이 특징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최근 판타지 리메이크 영화의 경우 전형적으로 강하고 추한 마녀 이미지에서 벗어나 상황적인 묘사로 다양한 인간적인 성격의 다각적인 재현으로 캐릭터 묘사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디즈니 애니메이션과 영화에서의 마녀의 경우 기존의 마녀의 추한 외모와 사악함에서 벗어나 매력적, 여성적으로 그리고 전형적인 악의 화신의 모습에서 사랑을 깨닫거나 모성애를 지니는 다양한 감정을 보여주는 입체적인 인물로 묘사된다(Kang, 2014). 이로써 기존의 시선과 편견에 변화를 시도하고 시각의 확장을 불러일으키려 시도하고 있다(Suh, 2019).
이러한 변화는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의 해체, 현대 여성상의 변화에서 그 영향을 찾을 수 있다. 마녀의 존재와 가진 능력은 부정하고 여성 혐오 조장을 투영하는 대상이 아니며 왜곡된 관념, 편견들을 깨트려 젠더의 개념을 바로잡는 대상으로 역할의 의식변화가 일어나고 있다고 볼 수 있다(Song & Kim, 2019).
III. 결과 및 고찰
1. 수어사이드 스쿼드 악녀, 마녀 캐릭터
<수어사이드 스쿼드> 원작 만화와 영화 포스터에 나타난 악녀 및 마녀 캐릭터를 살펴보면, Table 2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원작 만화에서 악녀로 등장하는 할리퀸은 레드와 블루 컬러를 전체적으로 레드와 블루 컬러로 나누어 염색한 웨이브 롱 트윈테일 헤어로 묘사되었다. 메이크업은 블랙으로 스모키 메이크업을 하되 블루나 레드의 아이섀도우로 블랜딩하며 언더라인의 가운데 부분부터 일자나 사선 아래 방향으로 아이섀도우를 광대뼈 부근까지 번지게 표현하는 스타일도 등장한다. 립 메이크업은 레드 컬러이다. 패션에서는 활동적인 크롭 탑과 핫 팬츠 스타일의 코디네이션이 대부분이며 장갑도 착용한다.
영화에서의 배우 할리퀸의 경우 금발에 끝부분에 핑크와 블루 컬러로 염색한 롱 웨이브 트윈테일 헤어 스타일로 원작과 비슷하다. 그 디자인 특성을 살펴보면 핑크와 블루컬러로 스모키 메이크업을 하며 원작과 같은 형식의 스모키를 번지게 하는 스타일도 등장한다. 립 메이크업도 대부분 레드 컬러이다. 몸과 얼굴에 타투 메이크업이 있으며, 네일 컬러는 레드 이외의 디자인도 표현된다. 코디네이션에서는 크롭 탑과 핫 팬츠 스타일의 코디가 대부분이며 장갑도 착용하고 있다.
원작 만화에서 인챈트리스는 블랙 웨이브 롱 헤어이며 골드 컬러의 장신구를 이마에 착용하였다. 캣츠 아이라인으로 메이크업이 표현되었으며 립 컬러는 레드이다. 그린 컬러의 활동적인 크롭 탑, 레깅스 팬츠, 망토, 장갑을 착용한다.
영화에서의 인챈트리스는 블랙 롱 스트레이트 헤어에 드레드 락 스타일을 섞었으며 이마 부분에 골드 컬러의 헤어 장신구를 착용한다. 짙은 블랙의 스모키 메이크업을 하며 립 컬러는 핑크이다. 얼굴과 바디에 블랙 컬러의 타투 메이크업을 하였으며 코디네이션에서는 비키니 스타일을 착용한다.
본 영화의 상영시간은 총 122분이며 이 영화 속에서 악녀 캐릭터인 할리퀸과 마녀 캐릭터인 인챈트리스가 등장하는 장면을 중심으로 57장의 사진을 캡쳐하였다. 이 중에서 시놉시스 상의 캐릭터 성격과 분장에 급격한 변화가 있었던 시점을 중심으로 대표적인 분장 유형을 3개로 나누고, 10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메이크업 및 분장 전문인 3인의 동의를 얻어 클로즈업된 사진 3장씩 선정하고 캐릭터별로 분석하였다. 영화 속 캐릭터를 살펴보자면 악녀인 할리퀸은 ‘마고 로비’가 정신과 박사이자 의사였으나 조커와 사랑에 빠지면서 악녀인 할리퀸의 모습과 성격으로 지내게 되는 캐릭터를 연기한다. 마녀인 인챈트리스는 ‘카라 델레바인’이 1인 2역으로 고고 역사학자인 ‘준 문(June Moon)’박사와 마녀를 연기한다. 기존의 마녀 이미지와는 달리 영화 속에서 평범한 인물인 준문에 기생하던 마녀가 제멋대로 자아를 변경하고 지구를 멸망시키려는 마녀 캐릭터로 표현된다.
<수어사이드 스쿼드> 영화에 나타난 악녀 및 마녀 캐릭터의 헤어, 메이크업, 코디네이션과 디자인 특성, 미적 특성을 Table 3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할리퀸과 인챈트리스의 캐릭터 분장이 크게 3가지로 구분된다고 보고, 편의상 이를 Harley Quinn1, 2, 3, Enchantress 1, 2, 3으로 구분하였다. Harley Quinn1의 할리퀸은 본래의 의사였을 때의 모습으로 헤어 스타일은 등장 초기에 블론드 컬러의 스트레이트 포니테일 헤어스타일이지만 조커에게 사랑의 감정이 생기는 시점부터는 자연스러운 블론드 웨이브 스타일 헤어를 묶지않는 모습으로 감정의 변화를 헤어 스타일로 표현된다. 메이크업은 전체적으로 아치형의 아이브로우를 제외하고는 자연스러운 아이라인과 아이래쉬, 브라운 섀도, 핑크 립 컬러, 베이스 메이크업이지만 네일은 레드 컬러의 라운드형 네일로 표현하였다. 코디는 의사용 가운을 입거나 광택있는 그린, 레드 컬러의 와이셔츠, 블랙 정장바지나 스커트를 착용하여 대부분 정장 차림이다. 스커트 착용시에는 종아리 부분에 타투를 한 듯한 글씨가 그려진 스타킹을 착용한다. 큐빅 귀걸이, 목걸이, 큐빅이 디자인된 블랙 뿔테 안경을 착용하였다. 분장 디자인 특성의 형태로 웨이브선과 아치선, 곡선이 중심이 되며 색채로서 블론드의 금색과 내추럴한 핑크, 레드가 사용되었고, 재질은 소프트한 재질이 주로 나타나 사실성의 미적 특성을 드러내었다.
Harley Quinn2의 모습은 의사가 아닌 악당 조커의 여자친구로서 악녀로 살아가는 캐릭터 할리퀸의 모습이다. 헤어는 블론드 컬러로 동일하나 핑크와 블루 컬러로 헤어 끝부분에 포인트를 준 디자인이다. 기존 의사 모습에서보다는 다양한 헤어 스타일을 보여주며 주로 트윈테일 헤어스타일이다. 표현을 주저하던 성격의 Harley Quinn1과 다르게 조커의 여자친구이자 악녀가 됨으로써 감정 표현이 풍부해진 성격을 표현하기 위해서 몸 전체 부분적으로 글씨나 하트 같은 귀여운 이모티콘 문양, 자신의 남자친구에 대한 애정의 증표로 조커의 이름 등 다양한 글자를 타투처럼 새겨 표현하였다. 안경은 착용하지 않으며 립 컬러는 레드 컬러, 아이 메이크업은 블랙 아이라인을 캣츠아이 디자인과 펄이 없는 진한 레드와 블루 컬러, 언더라인은 옅은 브라운 스모키 메이크업으로 표현한다. 악당과 투쟁시에는 아이섀도를 언더라인과 광대뼈 부근까지 번지도록 이어서 그리거나 립스틱이 번지도록 분장하기도 한다. 코디는 레드, 블루 컬러가 믹스된 핫팬츠에 티셔츠나 야구점퍼를 착용하며 피어싱, 반지, 목걸이, 팔찌 등의 액세서리를 착용한다. 네일은 라운드의 형태로 왼손과 오른손이 각각 다른 컬러로 레드, 블랙으로 풀 코트하거나 블랙으로 알파벳 글자를 디자인하였다. 분장 디자인 특성의 형태로 캣츠아이형이나 아치형, 문자형이나 이모티콘의 형태가 나타났으며 색채로서 블론드의 금색과 딥 레드, 핫 핑크, 블루가 대비배색되고 강한 블랙과 브라운이 사용되었다. 매트한 재질로 유희적인미적 특성을 주로 드러내었다.
Harley Quinn3은 수감되었을 때의 모습으로 대부분의 일상생활을 지내는 만큼 헤어스타일은 동일하지만 거의 화장기 없고 헤어 컬러도 옅은 모습이거나 Harley Quinn2보다는 아주 소프트한 레드, 블루, 스모키 메이크업과 브라운 컬러로 음영을 표현하고 핑크 립 컬러로 표현된다. 네일은 레드, 블루 컬러나 레터링 등의 네일 디자인을 보여준다. 코디는 액세서리는 거의 착용하지 않고 죄수복을 입는다. 죄수복은 화이트, 오렌지 컬러로 크게 구분되며 화이트 컬러의 경우 옆구리 부분을 부분적으로 잘라낸 디자인의 민소매 원피스로 개조한 디자인으로 플라잉 요가시에 착용한다. 오렌지 컬러의 죄수복은 상하의 모두 오렌지 컬러이다. 상의는 셔츠형 긴팔로 흰 라운드 티와 함께 착용하는데 긴 하의에는 블랙 컬러로 글씨가 새겨져있으며 신발은 핑크 퍼 슬리퍼이다. 분장 디자인 특성의 형태로 캣츠아이형이나 아치형, 문자형이나 이모티콘의 형태는 Harley Quinn2와 유사하나 색채로서 톤다운된 핑크, 레드, 블루가 사용되고 소프트하고 매트한 재질이 함께 사용되어 사실성과 유희성의 미적 특성을 보였다.
다음은 인챈트리스의 모습이다. Enchantress1은 인챈트리스로 자아가 변경되었을 때의 기본적인 모습이다. 아이브로우가 보이지 않을 정도의 펄 없는 블랙의 짙은 캣츠 아이 스모키 메이크업의 얼굴 분장, 오리엔탈 스타일 문양, 룬 문자의 블랙 바디 메이크업, 이마, 볼 등에 타투 형태의 다소 거칠고 매트한 바디 메이크업이 표현되었다. 헤어 스타일은 허리를 넘어가는 기장의 긴 블랙 스트레이트 헤어이지만 부분적으로 드레드 헤어 스타일이 추가된 디자인이다. 그리고 초승달 모양의 큰 헤어 장신구를 착용하며 코디네이션은 비키니 형태의 복장에 체인이 연결된 디자인이다. 네일은 블랙 컬러의 라운드 네일 디자인과 손에는 반지, 팔찌를 착용하였다. 인간이 아닌 느낌을 구현하기 위해 오렌지 컬러로 콘텍트 렌즈를 끼고 빛을 뿜어내는듯한 특수효과를 연출하였다. 분장 디자인 특성의 형태로 반달형이나 캣츠아이형, 색채로서 블랙과 강렬한 오렌지, 골드, 거칠고 매트한 재질이 주로 사용되어 초현실성과 유희성의 미적 특성을 보였다.
Enchantress2는 전투시에 모습으로 1과 동일한 형태지만 얼굴과 바디 메이크업으로 전체적으로 검정 기름 찌꺼기를 뒤집어 쓴 듯이 표현해 얼굴과 몸에 기존의 디자인들은 잘 보이지 않고 달 모양의 헤어 장신구만 보이는 상태이다. 처음에는 부분적으로 얼굴에 블랙 컬러가 묻은 것처럼 표현하고 아이브로우와 코 부분을 이어서 윤곽 메이크업처럼 블랙으로 강조하여 메이크업하였다. 그리고 이후의 죽음 장면을 위해 폭발 후의 장면부터는 특수 분장으로 얼굴 모양을 본 뜬 프로스테틱 보형물을 부착한 뒤 블랙으로 메이크업한다. 또한 이 때문에 표정이 잘 표현되지 않아 눈빛만 오렌지 컬러로 특수분장으로 더 빛나게 표현함으로써 마녀로서의 신비감을 표현하였다. 이후에 인챈트리스가 죽음을 맞이하면 준 문이 그 얼굴의 보형물을 뜯어내는 장면으로 연출된다. 분장 디자인 특성의 형태로 무정형이 주로 나타나고, 색채로서 블랙, 그리고 강렬한 오렌지가 액센트컬러로 사용되었다. 거칠고 끈적이는 재질이 주로 사용되어 초현실성과 유희성의 미적 특성을 보였다.
Enchantress3은 지구를 멸망시키려 힘을 키운 장면에서부터 등장하는데 이전의 분장에 비해 얼굴의 타투 없이 자연스러워진 소프트 브라운 캣츠아이 스모키 메이크업과 글로시한 핑크 립 컬러로 표현되었다. 바디 메이크업과 착용한 비키니는 그린, 골드 컬러이다. 그린 컬러의 콘텍트 렌즈와 빛 효과, 의상, 룬 글자와 달 모양의 소품 디자인의 경우 특수효과가 구현해낸 디지털 메이크업과 병행한 것이다. 분장 디자인 특성의 형태로 반달형과 캣츠아이, 색채로 그린과 골드, 블랙, 브라운과 내추럴한 톤의 핑크, 재질은 소프트하거나 글로시하여 초현실성과 유희성의 미적 특성을 보였다.
감독은 수어사이드 스쿼드의 원작을 확인했지만 직접 영화를 촬영하며 할리퀸과 인챈트리스 캐릭터들을 어떻게 표현할지 할리퀸의 경우 헤어 컬러만 참고하고 그 외의 요소와 인챈트리스는 전부 새롭게 창작하기로 생각하여 만든 것이라고 한다. 또한 할리퀸과 인챈트리스는 일반 메이크업이 대부분이었지만 배우 1명당 보통 2-3시간의 메이크업 시간이 소비되었으며 할리퀸의 헤어의 경우 항상 가발을 착용한 것이라 밝혔다(Deadline.com).
특히 많은 작업이 투입된 타투 메이크업은 감독이 직접 영화에 사용될 자료들을 조사하던 중 타투이스트가 작업한 디자인들을 보고 직접 토론토의 타투이스트 ‘롭 쿠츠(Rob Coutts)’에게 의뢰하여 영화에 참여한 케이스이다. 타투이스트 ‘롭 쿠츠’는 디자인에 있어서 특히 인챈트리스의 바디 타투 메이크업은 부족과 고대에서 실제로 사용하던 마법의 룬 문자들에서도 참고하여 역사적인 부분을 표현하였다고 제작진 인터뷰에서 밝히기도 하였다(YouTube.com/watch?v=3H4kUYdxR4g, 2021.10.12.).
2. 수어사이드 스쿼드에 나타난 악녀, 마녀 캐릭터 메이크업의 미적 특성
<수어사이드 스쿼드>의 악녀와 마녀 캐릭터 분장의 디자인 특성을 분석한 결과 분장에 있어서 초현실성, 사실성, 유희성의 미적 특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특히 인챈트리스의 경우 실제 고대의 마법에 사용하던 문자, 오리엔탈 문양을 몸, 얼굴, 모자 등에 새기거나, 올 블랙의 메이크업과 바디 메이크업, 빛을 구현한 눈동자 등을 표현하여 초현실성을 보여주었다.
초현실성은 장소성, 일반적 통념, 합리적 사고를 초월한 불합리한 조합이라 할 수 있다(Kim & Gwak, 2012). 1924년 ‘앙드레 브르통(Andre Breton)’이 정의한 ‘초현실주의 제1선언문’을 발표하였을 때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는데 “초현실주의란 순수한 정신적 자동기술을 통해서 사고의 참된 작용을 표현하는 것으로, 이성적 통제가 없는 상태, 또 모든 도덕적, 예술적 속박, 선입관에서 벗어난 상태에서 기술된 사고”라고 하였다. 또한 초현실주의는 유산 계급을 반대하고 이론, 형태의 미를 부정하는 다다이즘과 공통적인 성향이 있는데 이성의 지배를 거부, 비합리적인 것, 무의식의 세계를 표현하고자 하는 것을 뜻한다(Song, 2012).
메이크업에서 초현실성은 오브제를 결합하거나 다른 패턴을 결합하여 상징과 환상에 응용되는 방법에 따라 나타나며(Um, 2019), 사물 속성의 전환과 같은 데페이즈망 기법으로 나타나기도 한다(Lee & Choi, 2011). 캐릭터 메이크업에서도 오브제와의 결합, 환상, 상징과의 응용을 중심으로 초현실성이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할리퀸의 경우 사실성의 미적 특성이 도출되었다. 특히 정신과 의사일 때의 모습에서 할리퀸과 반대되는 정적인 자연스러운 메이크업과 정장 수트, 뿔테 안경, 의사 가운을 착용하여 직업적인 특성을 드러냈다. 또한 감옥에 수감된 일상생활에서의 할리퀸의 모습에서는 평소의 할리퀸의 모습보다 옅은 메이크업과 헤어 컬러를 보여주었으며 죄수복을 착용하여 사실성을 보여주었다.
‘사실성’을 뜻하는 ‘리얼리즘(Realism)’은 사실주의를 의미하며 미술사적 관점에서는 19세기에 일어난 문화운동으로 그 시대의 생활을 세심하게 관찰해 현실 세계를 객관적, 진실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목적으로 사실주의 예술가들은 그 시대의 생활 모습을 관찰하고 사실적으로 재현한 작품을 창조하였다. 1880년대 이후로 침체기를 맞이했던 사실주의는 1970년대부터는 극사실주의의 형태로 나타나며 ‘슈퍼 리얼리즘(Super Realism), 또는 ‘하이퍼 리얼리즘(Hyper Realism)’이라고도 불리기도 하였다. 극사실주의 예술가들은 사물을 관찰하는 방법으로 카메라를 이용하였는데 이는 시대의 생활모습을 관찰한 대상을 객관적, 진실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인간의 눈이 아닌 카메라의 눈인 렌즈를 이용해 작가 자신의 주관성을 배제하여 관찰하기 위해서였다(Park, 2017).
영화 분장에 있어서 사실성은 사실적인 재현, 묘사되는 대상 크기의 변화, 작가 의도에 따른 변형의 기법으로 나타나며(Seo, 2018), 현대미술작품에서도 사실성을 바탕으로 특수분장이 활용되고 있다(Jang & Kim, 2015).
마지막으로 유희성은 두 캐릭터 모두에서 도출되었다. 할리퀸은 다양한 컬러로 과장된 스모키 메이크업을 하였으며 하트 등의 다양한 이모티콘과 글자를 타투처럼 얼굴과 몸, 네일에 응용한 디자인을 보여주어 유희성을 나타냈다. 인챈트리스의 경우 과장된 크기의 헤어 악세사리 종류인 모자를 착용하거나 이마에 부착하여 유희성을 표현하였다.
유희성은 미학적 의미에서 ‘놀이(play)’의 개념인데, 인간의 모든 신체적, 정신적 활동 중에서 생존과 관련된 활동을 제외하고 보통 ‘일’과는 대립되는 특성을 의미한다(Kim & Lee, 2012). ‘Play’의 사전적 의미로 ‘놀이’ 외에 희곡 또는 연극이나 음악을 연주하다라는 의미도 있는데 Play와 유사한 유희는 인간의 예술적 활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또한 타인에 의해서가 아닌 자발적으로 행하는 신체적, 정신적인 활동이다. 표현 유형으로는 아이러니(irony), 풍자, 기지, 유머(humor) 등이 있다. 독일의 시인 ‘쉴러(Johann Christoph Friedrich von Schiler)’의 ‘유희론(遊戱論)’의 ‘인간의 미적 도야에 관한 서간(Brief uber die Aesthetische Erzienhung des Mensch, 1795)’에서 그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감성과 이성 사이에서 나오는 요구를 감성적 충동, 형식적 충동이라 했다. 여기서 감성적 충동은 변화를 추구, 생성하고 형식적 충동은 불변적, 통일적인 확립을 추구하여 이들이 조화로운 상태를 유희적 충동이라한다. 이는 어떠한 강제, 목적성이 없는 자유로운 정신 동향이며 미의 영역으로 미적 태도와 유희적 태도가 같다고 보고 이러한 미적 태도는 동물과 구별되는 인간의 특색이라 정의했다. 또한 미와 함께하는 유희를 통해서 사람이 완전한 인간체가 된다고 강조한다(Jeo, 2017).
메이크업에서의 유희적 표현은 특히 패션쇼 메이크업에서 인체변형과 키덜트적 표현, 이질적 요소의 도입으로 나타나며(Her & Lee, 2007), 키치적인 유아적이거나 관능적, 부적절하고, 이국적, 풍자적 성격으로 나타나기도 한다(Park & Kang, 2013).
IV. 결 론
본 연구에서 <수어사이드 스쿼드>의 악녀와 마녀 캐릭터에 대해 살펴본 결과 악녀인 할리퀸의 경우 패션에서는 예시되었던 기존의 캐릭터들이 블랙 위주로 코디네이션한 것과 비교하면 다양한 컬러와 점퍼, 드레스, 레터링 스타킹, 액세서리 등의 다양한 코디네이션 종류를 보여주었다. 원작과 비교하였을 때 헤어는 원작과 동일한 블론드 헤어라도 헤어 끝 부분으로 디자인에 변화를 주어 기존의 레드/블루에서 핑크/블루로 컬러의 채도를 변화하였다. 또한 메이크업으로는 바디 메이크업이나 타투 메이크업이 더 다양하게 표현되었다. 악녀 메이크업에 주로 사용되던 퍼플/블랙 컬러 외에 다양한 컬러의 스모키 메이크업이 시도되었으며 글자를 새긴 레터링 디자인이나 블루, 블랙 컬러의 네일, 다양한 코디네이션 등을 시도한 점에서 구분되었다.
마녀인 인챈트리스는 기존의 마녀가 블랙의 망토나 헤어 장신구, 모자 등을 착용한 것과 비교하여 골드 컬러의 장신구나 비키니를 착용해 컬러나 디자인에 있어서 변화된 이미지를 보여주었다. 헤어는 드레드락 헤어 스타일을 추가하여 변화를 주었으며 메이크업에서는 기존의 핏기없고 창백한 베이스 메이크업과 레드 립에서 벗어나 얼굴에 타투를 표현하거나 진하고 과장된 블랙 스모키 메이크업, 핑크 립 컬러로 차이점을 두었다. 이외에 바디 메이크업으로 신체 일부를 검게 표현하거나 고대의 마법에 사용한 문헌의 문자 타투 등 의미있는 디자인을 메이크업을 하였다. 또한 기존의 레드 네일을 벗어나 블랙 컬러 네일 디자인으로 캐릭터를 구현하였다. 이와 같이 <수어사이드 스쿼드>에 나타난 악녀 및 마녀 캐릭터는 기존과는 다른 기존의 추악하거나 강한 모습만을 보여주던 이미지를 벗어나 다양한 모습의 캐릭터가 창조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두 캐릭터를 비교해 보았을 때에 할리퀸의 분장이 인챈트리스보다 좀 더 다양함을 보여주어 악녀 캐릭터가 더 다양성을 보여줄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났다.
연구를 통하여 영화 <수어사이드 스쿼드>에서 1인 2역을 위한 수단으로써 분장이 매우 중요한 수단이었으며 캐릭터 메이크업을 위하여 특수효과가 함께한 디지털 메이크업의 구현도 늘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영화에서의 캐릭터 표현양상과 메이크업이 다각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보다 입체적인 악녀와 마녀 캐릭터 이미지 표현의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마녀의 캐릭터들이 판타지적인 요소가 담겨있는 장르의 영화가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특징으로 연구 범위를 판타지 장르의 영화 종류에 한정한 것은 한계점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다양한 장르 분야에서의 캐릭터 분장과 미학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