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대생의 외모관심도가 화장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Appearance Interest on Makeup Behavior in College Women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Cosmetol. 2022;28(2):323-333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2 April 27
doi : https://doi.org/10.52660/JKSC.2022.28.2.323
1Graduate Student, Kwangju Women’s University
2Professor, Department of Beauty Science, Kwangju Women’s University
김해윤1, 김선형2,
1광주여자대학교, 대학원생
2광주여자대학교 미용과학과, 교수
*Corresponding author: Sun-Hyoung Kim Tel : +82-62-950-3765 E-mail : sun@kwu.ac.kr
본 연구는 김해윤의 석사학위논문을 정리한 것임
Received 2022 February 8; Revised 2022 March 12; Accepted 2022 March 28.

Trans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ppearance interest on makeup behavior among college-aged women and suggest basic data needed for developing marketing strategies, which can be applied in the makeup industry. For this, correlations between appearance interest and makeup behavior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 ‘Satisfaction’, ‘interest’, and ‘efforts’ had a positive effect on ‘aesthetics’, ‘amusement’, ‘conspicuity’, ‘conformity’ and ‘instrumentality’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According 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interest’ and ‘satisfaction’ improved, ‘aesthetics’, ‘amusement’, ‘conspicuity’, ‘conformity’, and ‘instrumentality’ increased, confirming the influence of appearance interest on makeup behavior. 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products considering college-aged women’s characteristics and provide service programs that can enhance satisfaction and makeup training programs that can improve appearance satisfaction.

I. 서 론

아름다움을 향한 욕구는 인간의 본능 중 하나로 내면의 아름다움과 외면의 아름다움 중 어느 것의 가치가 더 큰가에 대해 논할 수는 없겠으나(Yoo, 2013) 전 세기에 걸쳐 인간이 아름다워지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을 것이다. 특히 여성은 내적이미지를 외부에 표출시켜 자신의 외모에 만족을 충족하면서 심리적 안정감을 얻을 수 있고 대인관계를 적극적으로 할 수 있는 요소가 되므로 중요한 요인이다(Kim & Kim, 2019). 외모는 한 개인의 내적 이미지를 외부로 표출시키는 표상이며, 이는 겉으로 보여 지는 모습 외에 성격, 태도, 말투, 행동과 감정 등의 내면적인 요인까지 외모 개념에 포함됨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Kim & Park, 2009). 이렇듯 외모란 자신을 표현하는 중요한 요소이자 경쟁력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외모에 대한 노력은 자기 자신을 새롭게 지각하는 계기가 되며 외모관리는 타인과의 상호관계를 통해 개인 각자가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며 자신의 역할을 연기해 나가는 과정이다(Lim, 2020). 여기서 화장은 사회·심리적 기능으로서 자신의 개성을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이 되고 신체적인 약점에서 오는 심리적 불안감을 보완하여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느끼게 하는 것이다.

오늘날의 현대의 여성들은 독립적이고 사교적이며, 자신을 관리하고 투자하는데 주저하지 않는다. 이러한 경향은 여대생들에게 더욱 두드러지는 특징으로 과거 메이크업을 즐기는 여성이 주로 직장여성이었던 것에 반해 현대에는 여대생이 주 연령대가 되어가고 있으며(Shin, 2011), 여대생들은 다른 연령층에 비해 유행에 민감하고 자신만의 이미지, 개성표현의 한 방법으로 메이크업에 관한 관심이 높게 나타난다. 또한, 여대생의 다수는 20대 초반으로, 본격적으로 제약 없이 메이크업을 시작할 수 있는 시기에 놓여있어 다양한 메이크업을 시도하고 메이크업 트렌드를 이끌어간다고 볼 수 있다(Kang & Kim, 2019).

현대 사회에서는 외적 아름다움을 중시하는 경향을 보이면서 자신의 단점을 긍정적인 모습으로 변화시키는 노력의 과정인 외모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사람들은 항상 자신에 대한 아름다움을 갈망하는데 이것은 인간이 가지고 있는 미적 욕구로써 여성이 남성보다 더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Yoon, 2007). 또한 화장이 단지 외모를 아름답게 가꾸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는 것만이 아닌 사회·심리적으로 의의를 갖는 행동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현대 여성들은 외모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그렇기에 화장을 즐기는 연령층이 점점 낮아지고 있고 현재는 여대생이 주 연령대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Seo, 2017). 특히 여대생들은 자신만의 스타일을 고수하는 성인 여성들보다 다양한 메이크업을 시도하고 메이크업 트렌드를 이끌어가는 여대생들이야말로 화장품 소비층의 가장 주도적인 고객이며 메이크업의 흐름을 파악하는데 우선적인 도움이 된다고 사료된다(Kim, 2013).

외모관심도와 화장행동을 중심으로 한 선행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외모관심도와 화장동기 및 화장행동의 상관관계에 대한 결과를 도출한 Choi(2019)의 연구, 화장관심도와 화장행동을 중심으로 세분화된 집단의 화장행동과 화장품 구매행동에 관한 결과를 도출한 Lee(2011)의 연구,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등 심리적인 요인과 화장행동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결과를 도출한 Kang(2018)의 연구 등이 있다. 이와 같이 여대생보다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나 화장행동을 통한 외모에 대한 심리적인 요인에 관한 연구가 다수이고 여대생을 대상으로 하여 외모관심도에 따른 화장행동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미비한 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유롭게 화장을 할 수 있는 연령대이자 유행을 선도하는 계층이라고 사료되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외모관심도가 화장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여 메이크업 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 전략의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II. 이론적 배경

1. 화장행동

화장 행동은 ‘변신하는 것’으로 얼굴의 특징을 만들어 인상에 변화를 주는 것과 ‘꾸미는 것’으로 자신의 개성을 강조하거나 일상 속에서 자신의 모습을 관리하는 것이다(Jo, 2013). 또한 여러 가지의 화장품을 기교적, 예술적으로 사용함으로써 피부를 미화시키고, 용모를 다듬어서 매력을 돋보이기 위해 행하는 미용술이라 할 수 있다(Kim, 2012). 오늘날의 최신 화장은 무조건적으로 유행을 따르기보다는 유행 안에서 각자 나름의 개성에 따라 자유롭게 메이크업과 패션을 추구하는 경향이 반영되어 특별히 유행하는 스타일이 없으며 이로 인해 여러 가지 스타일이 다양하게 표현되며 공존하는 현상이 더욱 도드라지게 나타나고 있다. 여성들이 하는 화장은 단순히 외향적으로 얼굴을 가꾸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감정과 미의식을 존중하며 표현하는 것으로 바뀌고 있다(Lim, 2019). 화장행동의 목적으로 이제는 현대에 이르러 영상 이미지 문화가 사회전반을 주도하면서 화장은 단지 얼굴의 아름다움만을 표현하는 수단과 더불어 자신의 정체성과 이미지의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Park, 2005). 이처럼 화장행동은 외적인 매력을 증진시키는 것 이외에 심리적으로 자신감, 안정감, 만족감 등을 얻기 위한 것이 주된 목적이 되고 있다(Seo, 2013). 이에 따른 화장행동 선행연구로 Kim & Kim(2019), Kang(2018)의 연구를 참고하여 심미성, 흥미성, 과시성, 동조성, 도구성으로 구분하여 구성하였다.

2. 외모관심도

외모 관심도는 외모를 더욱더 매력적이고 아름다운 모습으로 보이기 위하여 자신의 외모에 관심을 가지며 지속적인 흥미를 느끼는 것을 의미하며 꾸준히 자신의 이미지를 변화하고자 하는 노력을 의미한다. 또한 외모관리는 원만한 대인관계에 있어 외모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으며 사람의 능력을 평가할 때 외모도 그 사람의 능력으로 평가되고 있다(Noh, 2014). 그에 따른 외모만족도는 주관적으로 자신의 외모에 대하여 만족 혹은 불만족하는 느낌 정도를 말한다. 즉 얼굴과 겉모습에 대해 스스로 만족하는 정도이며 자신의 주관적 생각으로 자신이 주관적 생각하는 외모와 다른 사람이 자신을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한 이미지로 각각의 신체 부위에 대한 만족이 아닌 전반적인 만족도이며 대부분 타인과의 비교를 통한 판단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Chae, 2014). Jo(2011)는 오늘날의 외모 관리행동으로 연결점을 제시하는 중요한 근거로 TV나 잡지, 인터넷 등을 통한 외모 관련 정보, 외모 관련 상품의 광고, 주변인 또는 전문가를 통한 정보 수집 및 상담 등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본인이 추구하고자 하는 외모 관리의 행동 선택 단계로 발전하게 된다. 따라서 외모 관심은 신체의 변화에 대한 강한 의지와 긍정적인 변화노력에서 기인하며, 자신의 외모를 더 아름답게 하고자하는 의지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외모관리행동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본적인 목적에서 비롯된다고 할 수 있다(Yoo, 2013). 이에 따라 외모에 대한 관심도가 크게 증가하는 만큼 이를 세분화하여 외모관심도가 다른 요인들과 어떠한 관계를 맺는지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Park, 2018). 이에 따른 외모관심도 선행연구로 Jang(2013), Yoo(2013)의 연구를 참고하여 만족도, 관심도, 노력도로 구분하여 구성하였다.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여대생의 외모관심도가 화장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광주여자대학교 생명윤리심의위원회(IRB)의 승인(1041465-202103-HR-001-06)을 받아 광주광역시 소재의 종합대학교 3개교에 재학 중인 여학생을 대상으로 실시 후 수정, 보안을 거쳐 2021년 6월 1일부터 6월 18일까지 예비조사를 거쳐 설문지를 수정하였으며, 9월 1일부터 9월 24일까지 본 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목적에 대하여 충분히 설명하고 조사에 동의한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이중 불성실한 자료를 제외한 나머지 180명의 데이터를 획득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2. 연구방법

본 연구를 위한 수행하기 위한 방법으로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으며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외모관심도에 관한 문항 12개는 Jang(2013), Yoo(2013)의 연구를 참고하여 만족도, 관심도, 노력도로 구분하였다. 화장행동에 관한 문항 12개는 Kim & Kim(2019), Kang(2018)의 연구를 참고하여 심미성, 흥미성, 과시성, 동조성, 도구성으로 구분하여 구성하였다. 일반적 특성 5문항은 문항은 연구자가 위의 선행연구들을 참고하여 본 연구자의 연구목적에 합당하게 수정․보완하여 구성하였다.

3. 자료분석방법

본 연구 논문의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21.0 Ver.을 사용하였으며, 구체적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5%에서 검증하였으며, p<.05 이하일 때 유의하다고 판단하였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둘째, 측정도구의 타당성 검증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고,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셋째, 여대생의 외모관심도와 화장행동에 대해 알아보고,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정 방법으로는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넷째, 여대생의 외모관심도와 화장행동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여대생의 외모관심도가 화장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분석결과 학년은 1학년 30명(16.7%), 2학년 79명(43.9%), 3학년 35명(19.4%), 4학년 36명(20.0%)으로 나타났고, 외모만족도는 불만족 28명(15.6%), 보통 80명(44.4%), 만족 72명(40.0%)으로 나타났으며, 외모불만족 해결방법은 체형관리 62명(34.4%), 성형수술 46명(25.6%), 피부관리 41명(22.8%), 메이크업 26명(14.4%), 헤어스타일 5명(2.8%)으로 나타났다. 월 평균 소득은 30만원 미만 30명(16.7%), 30-50만원 미만 57명(31.7%), 50-70만원 미만 51명(28.3%), 70만원 이상 42명(23.3%)으로 나타났고, 외모관리비용은 1-5만원 미만 26명(14.4%), 5-10만원 미만 43명(23.9%), 10-15만원 미만 47명(26.1%), 15-20만원 미만 26명(14.4%), 20만원 이상 38명(21.2%)으로 나타났다.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2.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1) 외모관심도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외모관심도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KMO값이 0.819, Bartlett 구형성 검정 결과 χ2=1143.318(df=66, p=.000)로 요인분석을 위한 변수의 선정이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요인분석 결과 3개의 요인이 도출되었고, 총 분산 설명력은 69.004%로 나타났다. 즉, 요인 1(24.114%)은 ‘관심도’로, 요인 2(22.906%)는 ‘노력도’로, 요인 3(21.983%)은 ‘만족도’로 명명하였다. 총 3개 요인의 요인 적재치는 0.40 이상으로 나타나 타당성이 검증된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신뢰도는 0.60 이상으로 나타나 문제가 없는 것으로 Table 2와 같이 나타났다.

Valid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interest in appearance

2) 화장행동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화장행동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결과는 Table 3과 같다. 먼저 KMO값이 0.778, Bartlett 구형성 검정 결과 χ2=992.768(df=78, p=.000)로 요인분석을 위한 변수의 선정이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요인분석 결과 5개의 요인이 도출되었고, 총 분산 설명력은 75.951%로 나타났다. 즉, 요인 1(22.007%)은 ‘흥미성’으로, 요인 2(17.164%)는 ‘동조성’으로, 요인 3(12.884%)은 ‘과시성’으로, 요인 4(12.026%)는 ‘심미성’으로, 요인 5(11.869%)는 ‘도구성’으로 명명하였다. 총 5개 요인의 요인 적재치는 0.40 이상으로 나타나 타당성이 검증된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신뢰도는 0.60 이상으로 나타나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Verific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makeup behavior

3. 기술통계적 분석

다음은 여대생의 외모관심도와 화장행동에 대해 알아보고,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한 결과이다. 사후검정 방법으로는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1) 외모관심도

(1) 전반적인 외모관심도

전반적인 외모관심도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볼 때, ‘관심도’(M=3.88)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노력도’(M=3.56), ‘만족도’(M=3.25)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외모관심도는 평균 4.03점으로 나타났다.

Overall appearance concern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외모관심도 차이

일반적 특성에 따라 외모관심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분석결과 학년에 따라서는 전반적인 외모관심도와 하위요인별 만족도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1), 노력도 또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즉, 비교적 학년이 높을수록 전반적인 외모관심도와 하위요인별 만족도, 노력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Seo(2013)의 연구에서 4학년의 경우 화장 전 외모 만족도가 가장 높고, 1학년이 가장 낮다는 결과와 유사한 연구결과이다.

Differences in appearance interes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외모만족도에 따라서는 전반적인 외모관심도와 하위요인별 만족도, 관심도, 노력도가 상대적으로 통계적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외모에 대해 불만족하는 경우에 비해 보통이, 만족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전반적인 외모관심도와 하위요인별 만족도,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모에 대해 보통이라고 생각하는 경우에 비해 만족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노력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이는 Park(2013)의 연구와 관련 있는 것으로 자기수용의 심리적 안녕감이 높을수록 전체적인 외모관리행동의 빈도가 높게 나타난 결과와 관련이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월 평균 소득에 따라서는 전반적인 외모관심도와 하위요인별 만족도, 노력도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1), 비교적 월 평균 소득이 많을수록 전반적인 외모관심도와 하위요인별 만족도, 노력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Yoo(2013)의 연구에서 가구소득(월)에 따른 가장 높은 500만원 이상이 외모관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결과와 일치하다고 볼 수 있다.

외모관리비용에 따라서는 전반적인 외모관심도와 하위요인별 노력도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01), 비교적 외모관리비용이 많을수록 전반적인 외모관심도와 하위요인별 노력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Kim(2011)의 연구에서 외모에 관심이 높을수록 만족도는 낮아서 외모관리행동을 한다는 것과 유사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이 외에 외모불만족 해결방법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2) 화장행동

(1) 전반적인 화장행동

전반적인 화장행동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볼 때, ‘흥미성’(M=3.68)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과시성’(M=3.57), ‘심미성’(M=3.43), ‘도구성’(M=3.41), ‘동조성’(M=3.30)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화장행동은 평균 3.49점으로 나타났다.

Overall makeup behavior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화장행동 차이

일반적 특성에 따라 화장행동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분석결과 월 평균 소득에 따라서는 전반적인 화장행동과 하위요인별 도구성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1), 그 다음으로 심미성, 동조성이 비교적 월 평균 소득이 많을수록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이는 Jung(2021)의 연구에서 월 평균 가구 소득이 높을수록 평균외모 관리비용이 높다는 결과와 연관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Differences in makeup behavior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외모관리비용에 따라서는 전반적인 화장행동과 하위요인별 동조성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01), 비교적 외모관리비용이 많을수록 전반적인 화장행동과 하위요인별 동조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Kim(2020)의 연구에서 여중생은 자신의 이미지나 기분을 변화시키는 도구로써 화장행동을 하며 도구성이 높을수록 화장행동을 예의라고 생각하고, 또래집단과의 동질감을 느끼기 위한 행위로서 화장행동을 한다는 결과와 일치하며 그렇기에 여대생 또한 결과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외에 학년, 외모만족도, 외모불만족 해결방법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4. 외모관심도와 화장행동의 상관관계 분석

여대생의 외모관심도와 화장행동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8과 같다. 분석결과 외모관심도의 하위요인별 만족도(r=.233, p<.01), 관심도(r=.352, p<.001), 노력도(r=.346, p<.001)는 화장행동의 하위요인별 심미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모관심도의 하위요인별 만족도(r=.255, p<.01), 관심도(r=.535, p<.001), 노력도(r=.353, p<.001)는 화장행동의 하위요인별 흥미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모관심도의 하위요인별 만족도(r=.216, p<.01), 관심도(r=.183, p<.05), 노력도(r=.281, p<.001)는 화장행동의 하위요인별 과시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모관심도의 하위요인별 만족도(r=.226, p<.01), 관심도(r=.429, p<.001), 노력도(r=.410, p<.001)는 화장행동의 하위요인별 동조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외모관심도의 하위요인별 만족도(r=.275, p<.001), 관심도(r=.408, p<.001), 노력도(r=.218, p<.01)는 화장행동의 하위요인별 도구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외모관심도의 하위요인별 만족도(r=.233, p<.01), 관심도(r=.352, p<.001), 노력도(r=.346, p<.001)는 화장행동의 하위요인인 심미성, 흥미성, 과시성, 동조성, 도구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이는 Kang(2018)의 연구에서 외모관심도는 화장행동의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와 유사하다.

Correlation between appearance interest and makeup behavior

5. 여대생의 외모관심도가 화장행동에 미치는 영향

다음은 여대생의 외모관심도가 화장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이다.

1) 여대생의 외모관심도가 심미성에 미치는 영향

여대생의 외모관심도가 심미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9와 같다. 분석결과 회귀식의 설명력은 17.6%이고,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12.502, p<.001). 독립변수별로는 외모관심도의 하위요인별 노력도(β=.215, p<.05), 관심도(β=.179, p<.05), 만족도(β=.165, p<.05)가 심미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외모관심도의 하위요인별 노력도, 관심도, 만족도가 높을수록 심미성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Kang & Kim(2019)의 연구에서 대부분 여대생들은 메이크업 시 피부표현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메이크업을 통하여 자연스러운 이미지를 원하기 때문에 자신만의 화장법이 있다는 심미성에 영향을 미친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Effect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terest in appearance on aesthetics

2) 여대생의 외모관심도가 흥미성에 미치는 영향

여대생의 외모관심도가 흥미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10과 같다. 분석 결과 회귀식의 설명력은 30.4%이고,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25.635, p<.001). 독립변수별로는 외모관심도의 하위요인별 관심도(β=.477, p<.001), 만족도(β=.136, p<.05)가 흥미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외모관심도의 하위요인별 관심도, 만족도가 높을수록 흥미성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effect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terest in appearance on interest

3) 여대생의 외모관심도가 과시성에 미치는 영향

여대생의 외모관심도가 과시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11과 같다. 분석 결과 회귀식의 설명력은 11.3%이고,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7.507, p<.001). 독립변수별로는 외모관심도의 하위요인별 노력도(β=.281, p<.01), 만족도(β=.191, p<.05)가 과시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외모관심도의 하위요인별 노력도, 만족도가 높을수록 과시성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Lee & Lee(2005)의 연구결과에서 현대여성에게 있어서 타인에게 아름답게 보이고 싶어 하는 욕구, 특정의 자기 어필의 의미가 강조 시 되어진다는 연구결과와 일치하며 즉, 시대가 흘렀음에도 불구하고 여대생을 포함하여 여성들에게는 여전히 외모관심도에 따른 과시성이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Effect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terest in appearance on conspicuousness

4) 여대생의 외모관심도가 동조성에 미치는 영향

여대생의 외모관심도가 동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12와 같다. 분석 결과 회귀식의 설명력은 23.6%이고,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18.086, p<.001). 독립변수별로는 외모관심도의 하위요인별 관심도(β=.247, p<.01), 노력도(β=.241, p<.01), 만족도(β=.138, p<.05)가 동조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외모관심도의 하위요인별 관심도, 노력도, 만족도가 높을수록 동조성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Hong & Kim(2015)의 연구결과에서 여대생에게 메이크업은 사회생활의 필요성이 높다는 연구결과와 일치하며, 그로 인해 주변의 동조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부분이다.

The effect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terest in appearance on conformity

5) 여대생의 외모관심도가 도구성에 미치는 영향

여대생의 외모관심도가 도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13과 같다. 분석 결과 회귀식의 설명력은 20.1%이고,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14.760, p<.001). 독립변수별로는 외모관심도의 하위요인별 관심도(β=.393, p<.001), 만족도(β=.187, p<.01)가 도구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외모관심도의 하위요인별 관심도, 만족도가 높을수록 도구성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Lee & Kim(2014)에서 대부분의 여대생들이 메이크업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자신의 결점을 커버하기 위한 목적으로 메이크업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다는 연구결과로 메이크업의 필요성으로 인해 도구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와 유사하다.

The effect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terest in appearance on instrumentality

V. 결 론

외모는 한 사람의 이미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단순히 겉모습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겉으로 보여지는 모습 외에 성격, 태도, 말투, 행동과 감정 등의 내면적인 요인까지 외모 개념에 포함된다. 따라서 외모관심도는 자신 신체부위에 대한 만족이나 불만족이 외모관리행동으로 직결되는 것이며, 외모관리는 타인과의 상호관계를 통해 개인 각자가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며 자신의 역할을 연기해 나가는 과정이자 자신을 타인에게 알리고 표현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특히 대학에 입학하게 되어 자유로운 의지로 외모관리를 하게 되는 여대생들은 다른 연령층에 비해 유행에 민감하고 본격적으로 제약 없이 메이크업을 시작할 수 있는 시기에 놓여있어 다양한 메이크업을 시도하고 메이크업 트렌드를 이끌어가는 계층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여대생의 외모관심도가 화장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분석하여 미용산업에 메이크업 성장향상 및 메이크업 산업의 활성화에 도움을 주는 기초자료로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여대생의 외모관심도와 화장행동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외모관심도의 하위요인별 만족도, 관심도, 노력도는 화장행동의 하위요인별 심미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모관심도의 하위요인별 만족도, 관심도, 노력도는 화장행동의 하위요인별 흥미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모관심도의 하위요인별 만족도, 관심도, 노력도는 화장행동의 하위요인별 과시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모관심도의 하위요인별 만족도, 관심도, 노력도는 화장행동의 하위요인별 동조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모관심도의 하위요인별 만족도, 관심도, 노력도는 화장행동의 하위요인별 도구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대생의 외모관심도가 화장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대생의 외모관심도가 심미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외모관심도의 하위요인별 노력도, 관심도, 만족도가 심미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외모관심도의 하위요인별 노력도, 관심도, 만족도가 높을수록 심미성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여대생의 외모관심도가 흥미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외모관심도의 하위요인별 관심도, 만족도가 흥미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외모관심도의 하위요인별 관심도, 만족도가 높을수록 흥미성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여대생의 외모관심도가 과시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외모관심도의 하위요인별 노력도, 만족도가 과시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외모관심도의 하위요인별 노력도, 만족도가 높을수록 과시성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여대생의 외모관심도가 동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외모관심도의 하위요인별 관심도, 노력도, 만족도가 동조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외모관심도의 하위요인별 관심도, 노력도, 만족도가 높을수록 동조성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섯째, 여대생의 외모관심도가 도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외모관심도의 하위요인별 관심도, 만족도가 도구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외모관심도의 하위요인별 관심도, 만족도가 높을수록 도구성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여대생의 외모관심도가 화장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된 반면, 여대생의 외모 불만족에 따른 해결방안이 메이크업이라는 단기간에 소비적으로 실행될 수 있는 방안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체형관리 및 성형수술을 우선 시 하는 사회적 현상에 관한 메이크업 향상에 관한 고찰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그렇기에 여대생의 특성을 고려한 제품을 개발하고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서비스 프로그램과 외모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심리 프로그램 및 메이크업 교육프로그램 등을 개발하는 것이 방법이 되리라 여겨지며, 메이크업 산업의 저변 확대를 위해 여대생 관련 마케팅 전략 수립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최근 화장의 주 연령층이 직장여성에서 여대생으로 변화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지만, 최근 여성들의 화장 시작 나이는 초등학생이나 중학생으로 굉장히 낮아졌기에 화장의 주 소비층이 어떤 연령층인지의 정확한 화장품 소비 경향을 파악해서 더 넓은 조사를 진행해 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소재의 여대생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일반화하는 오류를 범하여서는 아니 될 것이며, 추후 지역을 확대한 광범위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References

1. Choi, S. J. (2019). The effect of teenagers' interest in appearance on their makeup behavior and consumption propensity for color cosmetics. Master's thesis, Konkuk Graduate School of Industry, p.3.
2. Hong S. K., Kim M. K.. 2015;The degree of interest according to the makeup perception type of female college students. Digital Convergence Research 13(1):525–533.
3. Jang, Y. (2013). Seokyeo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Beauty Arts. Master's thesis, Gwangju Wome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p.117.
4. Jo, A. J. (2013). The effect of social and psychological expected effect of makeup and physical attractiveness on self-effica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Doctoral dissert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p.5.
5. Jo, M. R. (2011). Analysis of differences in peer relationship and self-esteem according to physical satisfaction of primary school students.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p.6.
6. Jyng, H. M. (2021). Effect of female rookism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consumption propensity according to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Graduate School, p.53.
7. Kang, G. M. (2018). The effect of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self-esteem, and perception of body attractiveness on makeup behavior. Master's thesis, Dongsh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pp.1-86.
8. Kang M. J., Kim B. B.. 2019;A study on the use of makeup cosmetics by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n Society of Cosmetics and Beauty 9(2):233–244.
9. Kim, D. H. (2020). The effect of middle school girls' interest in makeup on their makeup behavior.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Health Industry, CHA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p.72.
10. Ki, D. Y. (2012). A study on makeup interest, makeup behavior, and makeup satisfaction among adolescents. Master's thesis, Kwangwoon University Graduate School, p.7.
11. Kim E. H., Kim S. H.. 2019;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keup behavior factors,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fe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esthetics 25(3):702–712.
12. Kim E. H., Kim S. H.. 2019;The effect of female sports stars' appearance on adolescents' cosmetic purchase intention. Korean Society of Aesthetics 25(1):26–34.
13. Kim, E. J. (2013). A study on the purchasing behavior and use of makeup cosmetics by female college students.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Distance, p.2.
14. Kim M. S., Park J. H.. 2009;Appearance management perception and behavior analysis of male college students-Focused on hair, skin, cosmetic surgery, fashion, and body manag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fe Science 18(1):259–273.
15. Kim, Y. S. (2011). The effect of perception of physical attractiveness by narcissism on beauty pursuit benefits and management behavior. Doctoral dissertation, Kyungsu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p.52.
16. Lee, H. J. (2011). Make-up behavior and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of high school girls according to makeup interest and information search. Master's thesis, Seokyeo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Beauty Arts, pp.1-25.
17. Lee N. H., Lee S. E.. 2005;A study on makeup behavior of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n Society of Costume Design 7(2):211–224.
18. Lee S. A., Kim J. D.. 2014;A study on makeup product types and colors preferred by fe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ics and Beauty 4(1):71–87.
19. Lim, A. D. (2020). A Study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ccording to Narcissism and Color Disposition: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Doctoral dissertation, Konsh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pp.29-33.
20. Noh, J. E. (2014). The effect of male appearance interest on self-esteem and job stress. Master's thesis, Gacho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Business, p.4.
21. Park, C. S. (2018). Hairstyle preference, lifestyle type, and appearance interest of female consumers. Master's thesis, Seokyeo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p.23.
22. Park, H. W. (2013). The effect of self-expressi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appearance satisfaction on psychological well-being.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p.82.
23. Park, M. K. (2005). A study on makeup behavior of female college students. Doctoral dissertation, Kyunghee University Graduate School, p.7.
24. Seo, H. N. (2013). Appearance satisfaction and expectations of female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f color makeup. Master's thesis, Gwangju Wome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pp.1-33.
25. Shin, J. E. (2011). A study on makeup trends and color preference of female college students.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Distance, pp.1-3.
26. Yoo, H. S. (2013). Effect of Appearance Interest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n Aesthetic Plastic Surgery. Master's thesis, Chod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Industry, pp.1-23.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Division Frequency (N) Percent (%)
Grade 1 30 16.7
2 79 43.9
3 35 19.4
4 36 20.0
Appearance satisfaction Dissatisfaction 28 15.6
Usually 80 44.4
Satisfied 72 40.0
How to resolve dissatisfaction with appearance Makeup 26 14.4
Esthetic 41 22.8
Body shape management 62 34.4
Cosmetic Surgery 46 25.6
Hair styling 5 2.8
Average monthly income Less than 300,000 won 30 16.7
Less than 30-50 million won 57 31.7
Less than 500,000-700,000 won 51 28.3
more than 70 million won 42 23.3
Cost of care Less than 1-5 million won 26 14.4
Less than 5-10 million won 43 23.9
Less than 10-15 million won 47 26.1
Less than 15-20 million won 26 14.4
20 million won or more 38 21.2
Total 180 100.0

Table 2.

Valid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interest in appearance

Division Ingredient
Interest Effort Satisfaction
5. I care a lot about my appearance. .826 .253 .112
6. I always check myself before going out in front of others. .818 .243 .055
2. I am interested in looking beautiful. .762 .238 .077
9. I tend to access a lot of beauty-related information. .723 .304 .179
4. I tend to pay special attention to my appearance. .366 .827 -.005
1. tend to actively try to maintain a slim body. .102 .792 .058
7. I always try to improve my appearance. .368 .758 -.016
12. I tend to invest in what makes me beautiful. .333 .753 .102
10. I like the way I am. -.039 -.085 .885
11. I like my reflection in the mirror. .090 .067 .872
3. Most people will consider me pretty. .162 .105 .789
8. There are many places in my appearance that I want to change. .112 .044 .635
Eigenvalues 2.894 2.749 2.638
Dispersion explanation (%) 24.114 22.906 21.983
Cumulative dispersion explanation (%) 24.114 47.021 69.004
Reliability .848 .853 .807
KMO=.819, Bartlett's test χ²=1143.318 (df=66, p=.000)

Table 3.

Verific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makeup behavior

Division Ingredient
Interest Synchroni city Showy Aesthetic Instrument ality
3. I enjoy the act of putting on makeup itself. .881 .195 .135 .065 .120
2. I enjoy putting on makeup that makes me look the prettiest. .867 .156 .111 .131 .141
5. When you feel depressed, you put on makeup to change your mood. .715 .362 .294 .026 .029
11. There are times when you want to change things with makeup. .702 .129 .054 .189 .235
9. If you like the makeup of your friends or people around you, you want to do the same. .186 .833 -.002 .159 .032
7. When I do my makeup, I follow the current makeup method. .230 .807 .123 .022 .070
4. I think makeup is an essential par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ocial life. .188 .720 .327 .095 .126
8. I think putting on makeup is a courtesy to the other person. .059 .247 .855 .060 .053
6. I think makeup is an expression of my individuality. .325 .050 .809 -.004 .152
13. Rather than being influenced by other people's makeup, I tend to stick to my own makeup. .147 .053 .101 .864 .063
12. For cosmetics, I think that moisturizing is important for basic makeup such as whitening, not color makeup. .106 .145 -.041 .848 .005
1. I have my own makeup tools to make my appearance stand out. .218 -.054 .019 .038 .859
10. I think makeup is a means of expressing myself. .132 .261 .191 .032 .814
Eigenvalues 2.861 2.231 1.675 1.563 1.543
Dispersion explanation (%) 22.007 17.164 12.884 12.026 11.869
Cumulative dispersion explanation (%) 22.007 39.172 52.056 64.082 75.951
Reliability .871 .791 .718 .688 .682
KMO=.778, Bartlett's test χ²=992.768 (df=78, p=.000)

Table 4.

Overall appearance concern

Division Average (M) Standard Deviation (SD)
Concern for appearance satisfaction 3.25 .657
interest 3.88 .667
effort 3.56 .745
Total 3.56 .514

Table 5.

Differences in appearance interes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Division Concern for appearance
Totle
Satisfaction
Interest
Effort

M SD M SD M SD M SD
Grade 1 2.87a .873 3.81 .700 3.55ab .714 3.41a .478
2 3.26b .553 3.85 .658 3.40a .789 3.50a .447
3 3.32b .646 3.85 .689 3.64ab .738 3.60ab .609
4 3.47b .553 4.03 .643 3.83b .600 3.78b .527
F-value (p) 5.279** (.002) .784 (.504) 2.985* (.033) 3.527* (.016)
Appearance satisfaction Dissatisfaction 2.70a .756 3.99a .759 3.61ab .780 3.43a .589
Usually 3.24b .457 3.70b .589 3.39a .562 3.45a .431
Satisfied 3.47b .684 4.03b .675 3.72b .870 3.74b .522
F-value (p) 16.500*** (.000) 5.197** (.006) 3.877* (.022) 7.800** (.001)
How to resolve dissatisfaction with appearance Makeup 3.25 .738 4.01 .665 3.73 .703 3.66 .538
Esthetic 3.32 .683 3.93 .659 3.49 .937 3.58 .464
Body shape management 3.38 .522 3.83 .654 3.56 .619 3.59 .494
Cosmetic Surgery 3.04 .738 3.83 .715 3.54 .759 3.47 .574
Hair styling 3.00 .306 3.75 .559 3.20 .481 3.32 .410
F-value (p) 2.053 (.089) .497 (.738) .730 (.573) .944 (.440)
Average monthly income Less than 300,000 won 2.94a .830 3.67 .677 3.23a .783 3.28a .436
Less than 30-50 million won 3.28bc .549 3.79 .657 3.45ab .752 3.51b .463
Less than 500,000-700,000 won 3.20ab .607 3.97 .640 3.67bc .674 3.61bc .498
More than 70 million won 3.49c .633 4.04 .673 3.79c .703 3.77c .557
F-value (p) 4.546** (.004) 2.439 (.066) 4.394** (.005) 6.316*** (.000)
Cost of care Less than 1-5 million won 3.09 .803 3.70 .831 3.05a .959 3.28a .419
Less than 5-10 million won 3.12 .718 3.77 .589 3.44b .666 3.44ab .561
Less than 10-15 million won 3.22 .568 3.87 .699 3.60bc .655 3.56bc .507
Less than 15-20 million won 3.49 .512 3.92 .569 3.76bc .589 3.72c .473
20 million won or more 3.38 .625 4.11 .614 3.84c .696 3.77c .439
F-value (p) 2.142 (.078) 1.922 (.109) 5.679*** (.000) 5.272*** (.000)
Total 3.25 .657 3.88 .667 3.56 .745 3.56 .514
*

p<.05,

**

p<.01,

***

p<.001

Duncan : a<b<c

Table 6.

Overall makeup behavior

Division Average (M) Standard Deviation (SD)
Makeup action Aesthetic 3.43 .733
Interest 3.68 .801
Showy 3.57 .818
Synchronicity 3.30 .814
Instrumentality 3.41 .928
Total 3.49 .568

Table 7.

Differences in makeup behavior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Division Makeup action
Total
Aesthetic
Interest
Showy
Synchronicity
Instrumentality

M SD M SD M SD M SD M SD M SD
Grade 1 Grade 3.33 .634 3.53 .639 3.35 .957 2.99 .766 3.45 .894 3.34 .477
2nd grade 3.41 .756 3.81 .796 3.56 .851 3.30 .818 3.39 1.022 3.53 .544
3rd year 3.34 .705 3.45 .853 3.67 .766 3.35 .820 3.26 .817 3.42 .656
Grade 4 3.67 .765 3.71 .844 3.68 .645 3.51 .791 3.58 .841 3.63 .579
F-value (p) 1.636 (.183) 2.076 (.105) 1.130 (.338) 2.357 (.073) .769 (.513) 1.823 (.145)
Satisfaction with appearance Dissatisfaction 3.50 .770 3.76 .901 3.41 1.010 3.44 .907 3.41 1.089 3.54 .662
Usually 3.33 .661 3.64 .726 3.63 .714 3.23 .751 3.24 .897 3.44 .468
Satisfied 3.52 .789 3.68 .848 3.57 .849 3.32 .846 3.60 .871 3.54 .629
F-value (p) 1.411 (.247) .227 (.797) .709 (.494) .704 (.496) 2.806 (.063) .772 (.464)
How to resolve dissatisfaction with appearance Make up 3.52 .818 3.90 .749 3.56 .920 3.44 .735 3.44 .993 3.61 .626
Skin care 3.32 .687 3.76 .699 3.67 .738 3.35 .820 3.37 .881 3.52 .498
Body shape management 3.52 .805 3.57 .829 3.49 .744 3.21 .830 3.46 .884 3.45 .586
Cosmetic Surgery 3.40 .647 3.65 .779 3.57 .935 3.26 .798 3.34 1.006 3.46 .532
Hair style 3.20 .447 3.40 1.527 3.80 .837 3.67 1.179 3.70 1.037 3.54 .970
F-value (p) .687 (.602) 1.073 (.372) .392 (.815) .686 (.602) .264 (.900) .447 (.775)
Average monthly income Less than 300,000 won 3.18a .804 3.58 .947 3.50 .938 2.88a .908 3.12a 1.165 3.27a .724
Less than 30-50 million won 3.42ab .673 3.55 .716 3.57 .716 3.33b .751 3.32ab .826 3.45a .485
Less than 500,000-700,000 won 3.39ab .764 3.77 .769 3.45 .912 3.35b .818 3.30ab .90 3.50ab .498
More than 70 million won 3.68b .670 3.80 .831 3.76 .726 3.49b .741 3.87b .758 3.71b .570
F-value (p) 2.876* (.038) 1.227 (.302) 1.207 (.309) 3.742* (.012) 5.144** (.002) 3.945** (.009)
Cost of care Less than 1-5 million won 3.38 .711 3.60 1.018 3.44 .952 2.74a .990 3.23 1.022 3.29a .711
Less than 5-10 million won 3.29 .854 3.51 .842 3.45 .706 3.25b .861 3.44 .803 3.40ab .617
Less than 10-15 million won 3.43 .643 3.66 .760 3.54 .80 3.36b .761 3.33 1.012 3.49abc .493
Less than 15-20 million won 3.52 .842 3.79 .673 3.65 .784 3.33b .632 3.63 .782 3.60bc .523
20만원 이상 3.58 .621 3.86 .702 3.76 .883 3.64b .602 3.45 .985 3.69c .461
F-value (p) .899 (.466) 1.199 (.313) .987 (.416) 5.288*** (.000) .735 (.569) 2.607* (.037)
전체 3.43 .733 3.68 .801 3.57 .818 3.30 .814 3.41 .928 3.49 .568
*

p<.05,

**

p<.01,

***

p<.001

Duncan : a<b<c

Table 8.

Correlation between appearance interest and makeup behavior

Division Concern for appearance
Makeup action
Satisfaction Interest Effort Aesthetic Interest Showy Synchronicity Instrumentality
Satisfaction 1
Interest .239** 1
Effort .120 .621*** 1
Aesthetic .233** .352*** .346*** 1
Interest .255** .535*** .353*** .284*** 1
Showy .216** .183* .281*** .110 .429*** 1
Synchronicity .226** .429*** .410*** .257*** .508*** .389*** 1
Instrumentality .275*** .408*** .218** .125 .388*** .288*** .266*** 1
*

p<.05,

**

p<.01,

***

p<.001

Table 9.

Effect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terest in appearance on aesthetics

Division No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ation factor
t p
B S.E β
(A constant) 1.321 .358 3.693 .000
Satisfaction .184 .079 .165 2.339* .020
Interest .196 .098 .179 2.001* .047
Effort .212 .086 .215 2.461* .015
R²=.176, Adj. R²=.162, F-value=12.502***, p=.000
*

p<.05,

***

p<.001

Table 10.

The effect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terest in appearance on interest

Division No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ation factor
t p
B S.E β
(A constant) .760 .359 2.117 .036
Satisfaction .166 .079 .136 2.097* .037
Interest .573 .099 .477 5.816*** .000
Effort .043 .086 .040 .502 .616
R²=.304, Adj. R²=.292, F-value=25.635***, p=.000
*

p<.05,

***

p<.001

Table 11.

Effect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terest in appearance on conspicuousness

Division No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ation factor
t p
B S.E β
(A constant) 1.874 .414 4.526 .000
Satisfaction .238 .091 .191 2.608* .010
Interest -.045 .114 -.037 -.400 .690
Effort .309 .100 .281 3.105** .002
R²=.113, Adj. R²=.098, F-value=7.507***, p=.000
*

p<.05,

**

p<.01,

***

p<.001

Table 12.

The effect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terest in appearance on conformity

Division No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ation factor
t p
B S.E β
(A constant) .645 .382 1.686 .094
Satisfaction .171 .084 .138 2.029* .044
Interest .301 .105 .247 2.869** .005
Effort .263 .092 .241 2.860** .005
R²=.236, Adj. R²=.223, F-value=18.086***, p=.000
*

p<.05,

**

p<.01,

***

p<.001

Table 13.

The effect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terest in appearance on instrumentality

Division No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ation factor
t p
B S.E β
(A constant) .648 .446 1.453 .148
Satisfaction .264 .098 .187 2.691** .008
Interest .546 .122 .393 4.465*** .000
Effort -.059 .107 -.048 -.555 .580
R²=.201, Adj. R²=.187, F-value=14.760***, p=.000
**

p<.01,

***

p<.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