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Cosmetol > Volume 28(3); 2022 > Article
한국영화 캐릭터 이미지 구현요소가 관객의 관람만족과 몰입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Abstract

In Korean movies, general makeup and special makeup maximize reality and immersion as an expression of external images of a character in the movies, with the development of visual media and increasing opportunities to experience various video content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impact of the character image implementation elements in Korean movies with special makeup technique on viewing immersion and behavioral intention and provide a theoretical model for analyzing the movies with general makeup and special makeup. To achieve thi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617 male and female viewers aged teens or higher who viewed Korean movies with special makeup technique and made an empirical analysis with SPSS WIN 21.0.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of the character image implementation elements in Korean movies with special makeup technique on viewing immersion and behavioral intention, it appeared that viewing immers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 impact on general makeup, costume, and special makeup and that behavioral inten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 impact on general makeup, special makeup, hair, and costum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of viewing immersion on behavioral intention, it appeared that viewing immers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 on behavioral intention. It appeared that character image implementation elements in Korean movies with special makeup technique had a positive impact on viewing immersion and behavioral intention. It is expected that replicating an atmosphere or accident in the movie more realistically and using character image implementation elements that are based on new materials and techniques and various technologies with the development of genres in the future can create more viewers continuously.

I. 서 론

코로나-19 팬데믹 영향으로 인하여 그동안 오프라인을 통해서 쉽게 접할 수 있었던 영화나 뮤지컬, 연극과 같은 문화예술 작품들이 이제는 인터넷 스트리밍 실시간 서비스를 통해 관객들에게 다양하게 전달되는 뉴 미디어 시대로 전환되고 있다. 특히 영화나 드라마는 시각적 커뮤니케이션 방법의 하나로서 우리의 생활에 영향을 미치며 다양성과 전문성을 구축하며 영상매체로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뉴 미디어를 통해 전해지는 콘텐츠는 단순히 보여주는 세계를 넘어서 사람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으로 작용하며 관객의 몰입과 문화적인 만족감을 충족시키는 매체로 변화하고 있다. 국내 영화나 드라마 미디어 산업 또한 과거와는 달리 최근에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콘텐츠를 관객들에게 전달하는 환경이 만들어짐에 따라 전 세계로 향해 글로벌하게 확장되고 있다. 또한 국내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사람들은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각종 SNS를 통해 자신을 알리는 사진을 게시하고 관심 있는 분야나 좋아하는 영화배우, 영화감독 등에게 팔로우를 하거나 드라마, 영화, 음악, 미술, 도서 등 다양한 예술 분야 및 문학에 있어 대인관계와 사회관계망을 넓혀가고 있다. 특히 국내영화와 관련된 산업에 있어서도 생활수준이 향상됨으로 인하여 날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관객들의 감성적이고 감각적인 만족을 통해 삶의 질적 향상을 추구하는데 기여하고 있다(Yun, 2011). 대중매체로서의 영화산업의 성장에는 영화 캐릭터의 창조가 매우 중요하며, 이것이 영화의 완성도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영화 캐릭터의 창조는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캐릭터를 분석하고 적합한 극 중 성격을 표현하는 영화분장의 다양한 표현방법으로 캐릭터를 완성시켜 주는 작업으로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Park, 2019). 또한 캐릭터의 객관화는 일반분장 및 특수분장에 의해 만들어지며 분장은 한국 영화 캐릭터 이미지 구현요소의 속성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분장은 미적인 아름다움의 표현 외에도 영화에서 캐릭터에 설정에 맞게 변화된 이미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메신저 역할을 한다. 분장은 영화에서 일반분장 외에 캐릭터 구축을 위한 특수분장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특수분장은 극의 표현을 위해 인위적으로 외형을 변형시켜 본래 배우가 가지고 있는 외모의 특성을 변화시키거나 전혀 다른 새로운 인물과 이미지로 변화시켜 영화의 몰입감을 증대시키기도 한다(Im, 2012).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영화를 중심으로 캐릭터 이미지 구현요소가 영화를 관람한 관객에게 있어서 몰입과 행동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함으로서 분장을 통한 한국영화산업의 발전에 기여하며, 문화 예술적 요소로서 캐릭터 이미지 구현요소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II. 이론적 배경

1. 캐릭터 이미지 구현의 개념

극장 및 각종 미디어를 통해 상영하고 있는 수많은 영화에 있어서 캐릭터 이미지 구현의 개념에는 대부분 주연이나 조연 그리고 보조출연 등의 여러 허구적 인물을 포함하고 있다. 그밖에도 대사와 행동, 성격을 통해서 스토리를 전개하고, 이끌어 나가는 핵심적 구성요소들을 포함하여 캐릭터 이미지 구현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영화에 출현하는 여러 캐릭터는 영화를 촬영하고 있는 카메라의 각도나 위치, 그리고 영화에 표현되는 다양한 색채 등에 따라서 여러 가지 감정적인 정서를 가지고 영화를 관람하는 관객들에게 실재감을 갖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캐릭터의 역할은 눈앞에 보여 지는 비주얼한 특징으로 영화의 스토리나 이미지의 전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캐릭터는 시각적 매체로서 영화의 주제를 보다 명확하게 표현 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다양한 방법으로 영화 속 캐릭터의 이미지를 성공적으로 표출시키기 위해서는 시나리오에 나타난 그들의 역할과 심리적 특성을 제대로 파악하고 세부적으로 분석하여 메이크업이나 특수분장, 헤어스타일, 패션과 소품 등의 이미지 구현요소들과 함께 종합하여 촬영을 기획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도 영화 속에 나타난 캐릭터의 구현을 만들기 위해서는 스크린의 크기, 각도, 색채와 조명은 물론이고, 영화를 편집하는 과정에서도 영화 언어의 특별한 속성과 그것을 공유하는 상영 환경의 특수성 때문에 섬세한 감정표현과 개연성 있는 성격의 변화를 드러내는데 주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uh, 2014).

2. 캐릭터 이미지 구현요소

영화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캐릭터 이미지 구현 요소에는 분장, 헤어스타일, 패션, 소품 등이 있는데 이 가운데 특별하게 특수분장의 경우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의 외적 표현으로 관객에게 극 속 캐릭터의 특징을 이해시키며 스토리를 공감하고 실재감을 줄 수 있다는 의미로 표현된다. 특히 영화에서의 특수 분장을 포함한 이미지 구현요소들은 캐릭터를 통해 작품이 관객의 만족도와 몰입감을 높이고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위치에 있는 절대적 요소이다. 또한 영화 속 캐릭터의 특징을 관객들에게 실감나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스토리와 연계된 다양한 색채를 바탕으로 전개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영화에서 표현되는 색채는 캐릭터의 감정 상태나 행동을 표출하는데 효과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그동안 대중들에게 인기가 있고 흥행해왔던 많은 영화들의 공통점을 살펴보면 영화 스토리 외에도 세트장, 야외배경, 의상, 분장, 소품 등에서 표현된 많은 색상을 고려하여 작품의 장소와 시간, 분위기, 감정 등을 잘 표현했다고 할 수 있다(Lee & Kwon, 2020).
한편 특수분장의 경우에는 영화 속 캐릭터를 통하여 이미지를 만들고 등장인물들이 가지고 있는 특징과 부합되는 스토리를 전개시키는 하나의 수단으로서 충분한 가치를 가진다. 특히 다양한 특수분장 기법은 다양한 영화 장르 가운데 인물의 캐릭터를 드라마틱하게 변형시키게 하는 SF나 공포영화를 통해 접목이 되었으며, 표현력 향상을 위한 과학적 연구와 기술 개발의 효율적 적용을 통해 끊임없이 변화하고 발전 되고 있다(Jang & Yang, 2005). 이러한 특수분장 기술은 신체의 부분 변형이나 전신에 걸쳐 그 범위를 입체감 있게 표현하는 조형의 분장기법에 해당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뷰티메이크업과는 표현 기법이나 사용되는 재료들이 모두 차이가 있다. 특히 얼굴과 신체를 3차원적으로 변형시키기 위해서 유성찰흙인 유토(clay mixed with oil), 폼 라텍스(form latex), 폼 우레탄(form urethane), 알지네이트(alginate), 실리콘(silicon) 등과 같은 특수분장 재료들이 사용된다.
한편 영화에서 표현되는 헤어스타일은 등장인물들의 연기 캐릭터를 효과적으로 표출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적 역할을 하며, 헤어스타일은 영화의상이나 얼굴 분장과 함께 배역을 맡은 배우의 성격을 창조하는 수단이 된다. 영화 속에서 맡은 배역의 이미지에 따라서 사용되는 패션과 특수분장 그리고 헤어스타일이 각기 조화를 이루며 일관성 있게 표현될 때 고객들은 영화에 깊이 몰입을 할 수 있다(Lee, 2002). 국내 영화배우들의 헤어스타일 변천을 통해서 당시 시대적인 문화의 흐름을 파악 할 수 있으며, 특히 여성 영화배우들은 헤어스타일의 트렌드를 주도적으로 이끌고 출연한 영화를 통해서 자신들의 개성을 펼칠 수 있었다. 가령 우리나라 근 현대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국제시장이라는 영화를 통해서 1950년대 이후 사람들의 헤어스타일의 극적인 변화를 보여주었다. 이 영화는 단순히 헤어스 타일의 변화뿐만이 아니라 그 시대의 유행했던 패션과 사회문화적인 이슈가 반영되어 캐릭터의 이미지 표현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특수분장, 헤어스타일과 함께 영화의 캐릭터 이미지 구현 요소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패션은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주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영화의 장면을 연출하는데 있어서 등장인물들이 입고 있는 의복과 신발, 액세서리 등이 여기에 포함되는데 영화에 등장한 배우들이 입고 있는 의상은 배우의 외적인 이미지뿐만 아니라 그들의 심리상태를 나타내기도 하며, 시대적인 유행을 표현함으로서 대중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영화의상은 영화에서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며 인물 창조와 묘사의 역할을 하고 극 전체의 이미지를 창조하는 역할을 하는데 영화의 다른 모든 요소들과의 조화를 통해 영화의 진행과정을 관객들이 느낄 수 있도록 극 전반의 이미지 형성에 기여한다고 하였다(Shin & Kim, 2014). Song(2015)은 인물의 정체성과 심리 상태는 의상의 색과 연관성이 있다고 하였으며, 영화 “음란서생”의 예를 들어 강렬한 붉은색의 의상 이미지를 통해 캐릭터의 내면을 직접적으로 관객에게 전달된다고 하였다.

3. 몰입의 개념

몰입이라고 하는 것은 사람이 어떠한 일이나 생각에 깊이 빠져있는 상태를 의미하는 개념이며, 영화에 있어서 관객들의 몰입도가 높다는 것은 그만큼 영화에 대한 집중과 흥미 그리고 만족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어떤 현상에 깊이 몰입하는 행동 그 자체는 매우 흥미로운 것이며, 외부적인 보상 없이 지속되는 행동으로 얻는 전체적인 경험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시·공간 개념을 의식하지 않는 상태로 활동에 몰두하여 모든 것이 자연스레 흐르는 느낌을 받는 상태를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Kim, 2017). 특히 이러한 몰입으로부터 생기는 감정이입은 다른 사람의 처지에 스스로 자신을 놓은 능력, 다른 이들의 정서적 경험을 해하고 다른 이들의 감정에 반응하고 느끼며 행동하는 것이다(Zillmann, 1991). 몰입이라고 하는 경험을 통해서 나타나는 특징은 하나의 활동에서 총체적인 집중화와 행위자가 그 활동에서 얻게 되는 즐거움으로서 활동에 완전히 몰입하여 즐거움을 느끼며 몰입을 하는 동안 실제로 통제를 하려고 스스로 노력하지 않아도 통제감각을 가질 수 있다(Ghani & Deshpande, 1994). 영화에서 관객들은 그 내용이 비록 허구이기는 하지만 배우들의 삶을 자신과의 감정에 연관시켜 장면 구성이 연출될 때 더욱 더 몰입하게 된다. 따라서 영리적인 목적을 추구하는 영화산업의 경우 관객들의 감정적 요소를 충분히 반영할 수 있도록 하는 제작사의 상업적 가치에 의미를 둔다.

4. 행동의도의 개념

Boulding et al.(1993)에 의하면 행동의도는 고객이 어떤 대상에 대한 태도를 형성한 후에 나타내는 의지와 신념이며 고객 만족을 설명하는 개념이라고 했다. Zeithaml et al.(1996)은 행동의도의 영역을 호의적 행동의도와 비호의적 행동의도로 구분하였다. 호의적 행동의도는 고객이 서비스를 제공 받은 기업이나 기관에 대해 좋은 평을 하고 다른 사람에게 선호를 표하며, 가격 프리미엄에 있어 지불할 행동의사가 있는 것이라고 하였으며, 비호의적 행동의도는 불평불만의 의도라고 할 수 있으며, 서비스를 제공받은 것에 대해 부정적 인식을 함으로써 갖게 되는 의도로 다른 사람에게 부정적 구전 및 다른 경쟁회사로의 변경, 배상 요구 등을 포함한다고 하였다. Jung(2010)은 영화관람 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에서 과거 영화에 대한 만족도는 실용적 기대와 정서적 기대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데 특히 실용적 기대는 정서적 기대에 영향을 주고 정서적 기대는 관람의도에 긍정적 영향이 강하게 나타났다고 하였다. 따라서 행동의도라고 하는 개념은 고객만족의 개념과 관련될 수 있으며, 서비스에 대한 재구매 의도, 구전행동, 불평행동 등을 내포하고 있다. 서비스마케팅 분야에서 고객의 긍정적인 행동의도는 서비스에 대한 만족과 태도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되며, 영화 관람을 결정하는데 있어서는 개인적 특성이나 환경적 요인, 사회문화적 요인 등 여러 가지 다양한 요인들이 영향을 주게 된다(Cho, 2015).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문제와 연구가설

본 연구는 한국영화에 나타난 캐릭터 이미지 구현요소가 영화를 관람한 관객에게 있어서 몰입과 행동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함으로서 메이크업과 분장과 같은 캐릭터 이미지 구현요소를 통한 관객들의 다양한 욕구 및 수준에 부응하며, 문화 예술적 요소로서 캐릭터 이미지 구현요소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1. 한국영화의 캐릭터 이미지 구현요소는 관람몰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2. 한국영화의 캐릭터 이미지 구현요소는 행동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3. 캐릭터 이미지 구현요소에 따른 관람몰입은 행동 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
위 세 가지의 연구문제를 기초로 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H1. 한국영화의 캐릭터 이미지 구현요소는 관람몰입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 한국영화의 캐릭터 이미지 구현요소는 행동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3. 관람몰입은 행동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2.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도구

1) 캐릭터 이미지 구현요소

캐릭터 이미지 구현요소에 대한 조작적 정의는 Huh(2014)의 연구를 바탕으로 영화 시나리오에 맞는 캐릭터의 특성을 분석하여 시각적 이미지 표현을 위한 분장, 헤어, 의상 등의 요소들을 기획하는 것으로 정의하였으며, 캐릭터 이미지 구현요소의 하위변수를 일반분장, 특수분장, 헤어스타일, 패션으로 설정하였다. 측정도구는 Joo(2016), Chun(2016)의 연구를 바탕으로 일반분장 4문항, 특수분장 5문항, 헤어스타일 5문항, 패션 5문항 등 총 19문항의 5점 Likert 척도로 구성하였다.

2) 관람몰입

관람몰입에 대한 조작적 정의는 Kim(2012)의 연구를 바탕으로 관람하는 것에 깊이 빠져 있는 최적경험의 심리적인 상태나 느낌으로 정의하였으며, 관람몰입의 하위변수는 새로운 캐릭터의 이해, 영화 관람의 분명한 이유, 극의 이해수준 파악, 영화 내용에 대한 관심, 영화 관람에 대한 자신의 통제, 영화 관람 집중 정도, 영화 관람과 시간 경과, 영화 관람에 대한 새로운 경험의 즐거움으로 설정하였다. 측정도구는 Whang(2011)의 연구를 바탕으로 총 8문항의 5점 Likert 척도로 구성하였다.

3) 행동의도

행동의도에 대한 조작적 정의는 Yun(2015)의 연구를 바탕으로 만족스러운 영화 관람 후 이것이 다시 영화의 재관람이나 추천으로 이어진다는 것으로 정의하였으며, 행동의도의 하위 변수는 영화의 재관람 의도, 관람한 영화의 추천의도, 관람한 영화의 후기 작성으로 설정하였다. 측정도구는 Whang(2011), Chun(2016)의 연구를 바탕으로 총 3문항의 Likert 5점 척도로 구성하였다.

3. 연구기간 및 방법

본 연구는 흥행에 성공하고 천만이상의 관객수를 기록한 영화 가운데 특수분장 기법이 적용된 한국영화 미녀는 괴로워, 도둑들, 국제시장, 명량, 부산행 등 총 5편의 영화를 온·오프라인으로 관람한 10대 이상 남녀 관객을 대상으로 설정하였고, 조사기간은 2020년 7월 10일부터 10월 10일까지 실시하였다. 조사방법은 연구의 취지를 설명한 후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방법으로 편의표본추출방법을 이용하였고 총 650명 중에서 불성실한 응답 33부를 제외한 총 617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4. 자료 분석 방법

본 연구의 통계처리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구체적인 자료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둘째,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셋째, 각 변수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넷째, 가설의 검증을 위하여 선형회귀분석(linear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다음 <Table 1>은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 617명에 대한 일반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성별의 경우 남성은 41.3%, 여성은 58.7%로 나타났고, 연령의 경우 10대가 8.6%, 20대가 15.1%, 30대가 34.0%, 40대가 26.9%, 50대 이상이 15.4%를 차지하였다. 학력의 경우 고졸이하가 12.5%, 2년제 재학 및 졸업이 25.4%, 4년제 재학 및 졸업은 45.1%, 대학원 재학 및 졸업은 17.0%를 차지하였다. 결혼여부는 미혼이 58.2%, 기혼자는 41.8%를 차지하였으며, 직업의 경우 전문직이 22.5%, 대학 및 대학원생이 14.9%, 전문기술직이 11.7%, 사무직이 11.0%, 문화예술직이 10.5%, 자영업이 10.2%, 판매서비스직이 9.2%, 전업주부가 4.4%, 공무원이 3.6%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월 평균 소득의 경우 100만원 미만이 15.1%, 100~200만원 미만이 11.2%, 200~300만원 미만이 20.7%, 300~400만원 미만이 23.0%, 400~500만원 미만이 11.3%, 500만원 이상이 18.6%로 조사되었다.

2.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변수의 타당성을 분석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사용하였다. 요인분석 방법은 주성분 분석을 사용하였고, 요인회전 요인방식은 요인간의 독립을 가정한 Varimax에 의한 회전, 고유값 1 이상을 기본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요인 적재치(factor loading)값은 0.40 이상인 경우를 유의한 것으로 간주하고 0.50이 넘으면 아주 중요한 변수로 본다. 또한 신뢰성(Reliability)은 측정한 다변량 변수 사이의 일관된 정도를 의미하며, 통일한 개념에 대해서 반복적으로 측정했을 때 나타나는 측정값들의 분산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하나의 개념에 대하여 여러 개의 항목으로 구성된 척도를 이용할 경우 사용하는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여 신뢰도를 검증하였으며, 일반적으로 알파계수가 0.60 이상이면 신뢰도에는 문제가 없다고 해석하였다.

1) 캐릭터 이미지 구현요소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캐릭터 이미지 구현요소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요인분석 결과에 의하면 KMO 측도는 0.964로 높게 나타났고, Bartlett의 구형성 검정 결과 χ2=16111.905(p<.001)로 적절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고유값(Eigen values)을 토대로 4개 요인을 추출하였으며, 전체 설명력은 88.149%로 나타났다. 각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패션’이 23.756%, ‘특수 분장’이 22.735%, ‘헤어스타일’이 22.127%, ‘일반분장’이 19.531%로 나타났다. 총 4개 요인의 적채치는 0.40 이상으로 나타나 일반적인 기준을 만족시켰으며, 각 요인의 신뢰도는 0.60 이상으로 나타나 신뢰할 만한 수준으로 볼 수 있다.

2) 관람몰입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관람몰입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결과는 <Table 3>과 같다. 요인분석 결과에 의하면 KMO 측도는 0.916으로 높게 나타났고, Bartlett의 구형성 검정 결과 χ2=4774.753(p<.001)으로 적절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고유값(Eigen values)을 토대로 1개 요인을 추출하였으며, 전체 설명력은 74.229%로 나타났다. 각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관람몰입’이 74.229%로 나타났다. 총 1개 요인의 적채치는 0.40 이상으로 나타나 일반적인 기준을 만족시켰으며, 각 요인의 신뢰도는 0.60 이상으로 나타나 신뢰할 만한 수준으로 볼 수 있다.

3) 행동의도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행동의도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결과는 <Table 4>와 같다. 요인분석 결과에 의하면 KMO 측도는 0.704로 높게 나타났고, Bartlett의 구형성 검정 결과 χ2=1001.375(p<.001)로 적절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고유값(Eigen values)을 토대로 1개 요인을 추출하였으며, 전체 설명력은 79.416%로 나타났다. 각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행동의도’가 79.416%로 나타났다. 총 1개 요인의 적채치는 0.40 이상으로 나타나 일반적인 기준을 만족시켰으며, 각 요인의 신뢰도는 0.60 이상으로 나타나 신뢰할만한 수준으로 볼 수 있다.

3. 상관관계 분석

한국영화의 캐릭터 이미지 구현요소, 관람몰입, 행동의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자료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분석결과 캐릭터 이미지 구현요소의 하위요인인 일반분장, 특수분장, 헤어스타일, 패션은 관람몰입, 행동 의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또한 관람몰입은 행동의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Lee(2002)의 연구에서도 영화에서 배역의 이미지에 따라 의상과 분장 그리고 헤어스타일의 일관성 있는 표현으로 극의 흐름을 도와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들 캐릭터 이미지 구현요소들은 연기를 효과적으로 표출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적 역할을 하며, 헤어스타일은 영화의상이나 분장과 함께 배역을 맡은 배우의 성격을 창조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4. 가설의 검증

연구문제를 기반으로 설정한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H1. 한국영화의 캐릭터 이미지 구현요소는 관람몰입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한국영화의 캐릭터 이미지 구현요소가 관람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분석결과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고(F=93.724, p<.001), 캐릭터 이미지 구현요소는 관람몰입을 예측하는 데 38.0%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별로는 일반분장(β=.278, p<.001), 패션(β=.250, p<.001), 특수분장(β=.141, p<.05)이 관람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관객의 관람몰입에 있어서는 캐릭터 이미지 구현요소로써 일반분장, 패션, 특수분장 요소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한국영화의 캐릭터 이미지 구현요소는 관람몰입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은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다. Im(2012)의 연구에서도 분장은 영화에서 일반분장 외에 캐릭터 구축을 위한 특수분장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특수분장은 극의 표현을 위해 인위적으로 외형을 변형시켜 본래 배우가 가지고 있는 외모의 특성을 변화시키거나 전혀 다른 새로운 인물과 이미지로 변화시켜 영화의 몰입감을 증대시키기도 한다고 주장하였다.
H2. 한국영화의 캐릭터 이미지 구현요소는 행동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특수분장 기법이 적용된 한국영화의 캐릭터 이미지 구현요소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분석결과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고(F=97.490, p<.001), 캐릭터 이미지 구현요소는 행동의도를 예측하는 데 38.9%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별로는 일반분장(β=.231, p<.001), 특수분장(β=.217, p<.001), 헤어스타일(β=.133, p<.05), 패션(β=.117, p<.05)이 행동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관객의 행동의도에 있어서는 캐릭터 이미지 구현요소로써 일반분장, 특수분장, 헤어스타일, 패션 요소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한국영화의 캐릭터 이미지 구현요소는 행동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Cho(2015)는 서비스마케팅 분야에서 고객의 긍정적인 행동의도는 서비스에 대한 만족과 태도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되며, 영화 관람을 결정하는데 있어서는 개인적 특성이나 환경적 요인, 사회문화적 요인 등 여러 가지 다양한 요인들이 영향을 주게 된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캐릭터 이미지 구현요소를 발전 적용시킴으로서 앞으로 더욱 더 활성화될 국내 영화 산업에서 고객의 긍정적인 행동의도에 주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H3. 관람몰입은 행동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관람몰입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8>과 같다. 분석결과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고(F=588.262, p<.001), 관람몰입은 행동의도를 예측하는 데 48.9%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로써 관람몰입(β=.699, p<.001)은 행동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관객의 행동의도에 있어서는 관람몰입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관람몰입은 행동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이 같은 결과는 Lee(2011)의 연구인 정서적, 계산적 몰입이 구매 후 행동 즉 재구매 의도 및 추천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와 비교적 유사한 것으로 볼 수 있고, 관계몰입은 구매의도를 증가시킨다는 Choo & Kim(2003)의 견해와도 일치됨을 알 수 있다.

V. 결 론

본 연구는 한국영화를 중심으로 캐릭터 이미지 구현요소가 영화를 관람한 관객에게 있어서 몰입과 행동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함으로서 메이크업과 분장을 통한 관객들의 다양한 욕구 및 수준에 부응하며, 문화 예술적 요소로서 캐릭터 이미지 구현요소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영화의 캐릭터 이미지 구현요소가 관람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캐릭터 이미지 구현요소의 하위요인 별 일반분장, 패션, 특수분장이 관람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양한 캐릭터 이미지 구현요소를 영화제작에 활용한다면 관람의 몰입을 높여서 보다 더 즐거운 문화생활을 즐길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둘째, 한국영화의 캐릭터 이미지 구현요소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캐릭터 이미지 구현요소의 하위요인 별 일반분장, 특수분장, 헤어스타일, 패션이 행동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화관람에 있어서 고객들의 행동의도라고 하는 개념은 고객만족의 개념과 관련될 수 있으며, 서비스에 대한 재구매 의도, 구전행동, 불평 행동 등을 내포하고 있다. 서비스마케팅 분야에서 고객의 긍정적인 행동의도는 서비스에 대한 만족과 태도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영화 관람을 결정하는데 있어서는 개인적 특성이나 환경적 요인, 사회문화적 요인 등 여러 가지 다양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볼 때 분장, 헤어스타일, 패션에 보다 더 집중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셋째, 관람몰입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관람몰입이 행동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객들의 문화적 욕구나 눈높이가 높아진 상황에서 다양한 캐릭터 이미지 구현요소는 관객의 영화에 대한 만족과 몰입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관객이 느끼는 영화의 완성도는 시나리오와 연출뿐만 아니라 시각적인 효과도 중요하다. 주인공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상황에 대한 시각적 효과가 강조될 때, 관객들은 주인공에게 오롯이 몰입할 수 있고, 이는 결과적으로 영화 흥행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주인공과 배경인물에 대한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요소로 캐릭터 이미지 구현요소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영화 속 분위기나 사건을 보다 실감나게 모사하고, 향후 장르의 발전과 더불어 새로운 재료와 기법, 다양한 기술을 바탕으로 한 캐릭터 이미지 구현요소를 통해 지속적인 관객창출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영화뿐만이 아니라 드라마 및 다양한 영상예술 분야에 있어 제작자, 감독의 표현의도와 관객과의 소통하는 연결통로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한편 캐릭터 이미지 구현요소의 관람만족과 몰입에 대한 분석에 있어 한국에서 제작된 영화를 주된 분석 자료로 연구를 했기 때문에 세계 여러 나라의 영화 사례를 분석하지 못한 부분을 배제할 수 없는 연구의 한계점이라고 할 수 있다.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Variable Frequency (N) Percent (%)
Gender Male 255 41.3
Female 362 58.7
Age 10~20 53 8.6
21~30 93 15.1
31~40 210 34.0
41~50 166 26.9
50's Up 95 15.4
Education High School 77 12.5
College 157 25.4
University 278 45.1
Master's degree or higher 105 17.0
Marital Status Single 359 58.2
Married 258 41.8
Occupation Student 92 14.9
Profession 139 22.5
Office Worker 68 11.0
Public Official 22 3.6
Self-Employment 63 10.2
Service Job 57 9.2
Housewife 27 4.4
Arts and Culture 65 10.5
Technical Profession 72 11.7
Etc 12 1.9
Average Monthly Income Less than 1 Million Won 93 15.1
Less than 100 to 2 Million Won 69 11.2
Less than 200 to 3 Million Won 128 20.7
Less than 300 to 4 Million Won 142 23.0
Less than 400 to 5 Million Won 70 11.3
Over 500 Million Won 115 18.6
Total 617 100.0
Table 2.
Valid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character image implementation elements
Factor Question Ingredient
Factor1 Factor2 Factor3 Factor4
Factor 1 Fashion 19. In this movie, costumes are essential to realizing the character. .822 .301 .237 .226
17. In this film, the costumes helped to feel real. .806 .286 .304 .265
18. In this film, the costumes helped the film immersion. .800 .307 .307 .232
16. The expression of the costumes in this film is excellent. .798 .277 .336 .249
15. In this movie, the costumes were appropriately applied to the character expression. .774 .257 .340 .284
Factor 2 Special Make up 8. In this movie, special makeup helped to immerse the character. .302 .814 .301 .290
9. In this movie, special makeup is essential for realizing the character. .318 .789 .270 .290
6. The expression of the special makeup in this film is excellent. .302 .771 .305 .325
5. In this movie, special makeup was applied appropriately to the character's role. .304 .767 .304 .332
7. In this movie, special makeup and character acting are in harmony. .304 .764 .341 .288
Factor 3 Hair Style 12. In this movie, the hairstyle helped to feel real. .333 .289 .812 .254
11. The expression of the hairstyle in this movie is excellent. .321 .285 .786 .299
10. In this movie, the hairstyle was appropriately applied to the character's role. .293 .310 .778 .302
13. In this film, the hairstyle helped the immersion into the film. .330 .338 .771 .280
14. In this movie, hairstyles are essential to realizing a character. .382 .319 .679 .290
Factor 4 Make up 2. In this movie, the general makeup helped me understand the character. .273 .305 .272 .807
3. In this movie, the general makeup helped me understand the character. .270 .296 .310 .791
4. In this movie, general makeup helped to immerse the character. .237 .300 .330 .788
1. In this movie, general makeup was applied appropriately for character expression. .295 .335 .230 .787
Eigenvalues 4.514 4.320 4.204 3.711
Variance Description (%) 23.756 22.735 22.127 19.531
Cumulative Dispersion Explanation (%) 23.756 46.491 68.617 88.149
Reliability .965 .969 .963 .954

KMO=.964, Bartlett's test χ²=16111.905 (df=171, p=.000)

Table 3.
Verific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spectator immersion
Factor Question Ingredient
Factor1
Factor 1 Spectator Immersion 5. I can control yourself when you watch a movie. .881
4. When watching a movie, pay attention to the content. .878
8. I enjoy experiencing new content while watching a movie. .867
2. I have a clear understanding of why I go to the movies. .864
7. When I am so absorbed in watching a movie, there are times when I do not realize how much time has passed. .858
6. When I am absorbed in watching a movie, I completely forget about other things for a while. .850
1. I can easily understand even if a new character appears while watching a movie. .848
3. While watching a movie, I can tell myself whether I understand the play well or not. .847
Eigenvalues 5.938
Variance Description (%) 74.229
Cumulative Dispersion Explanation (%) 74.229
Reliability .950

KMO=.929, Bartlett's test χ²=4774.753 (df=28, p=.000)

Table 4.
Verific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behavioral intentions
Factor Question Ingredient
Factor1
Factor 1 Behavioral Intentions 1. I will watch this movie again next time. .924
2. I will recommend this movie to others. .909
3. I'll post a review on this movie I've seen. .839
Eigenvalues 2.382
Variance Description (%) 79.416
Cumulative Dispersion Explanation (%) 79.416
Reliability .860

KMO=.704, Bartlett's test χ²=1001.375 (df=3, p=.000)

Table 5.
Correlation between character image implementation factors, viewing immersion, and behavioral intention
Variable Character Image Implementation Factors
Viewing Immersion Behavioral Intention
Make up Special Make up Hair Style Fashion
Character Image Implementation Factors Make up 1
Special Make up .738*** 1
Hair Style .719*** .751*** 1
Fashion .671*** .721*** .751*** 1
Viewing Immersion .563*** .540*** .512*** .552*** 1
Behavioral Intention .565*** .572*** .550*** .528*** .699*** 1

*** p<.001

Table 6.
Effect of character image implementation factors in korean movies on enthusiasm
Dependent Variable Viewing Immersion
Independent Variable B S.E. β t p
(Constant) 1.458 .136 10.710 .000
Make up .258 .048 .278 5.412*** .000
Special Make up .122 .048 .141 2.534* .012
Hair Style .016 .049 .018 .327 .744
Fashion .230 .048 .250 4.777*** .000
R² = .380, Adj R² = .376, F-value = 93.724***, p = .000

* p<.05,

*** p<.001

Table 7.
Effect of character image implementation factors in korean movies with special makeup techniques on behavioral intention
Dependent Variable Behavioral Intention
Independent Variable B S.E. β t p
(Constant) .421 .169 2.490 .013
Make up .268 .059 .231 4.524*** .000
Special Make up .236 .060 .217 3.942*** .000
Hair Style .144 .061 .133 2.373* .018
Fashion .134 .060 .117 2.249* .025
R2 = .389, Adj R2 = .385, F-value = 97.490***, p = .000

* p<.05,

*** p<.001

Table 8.
The effect of spectator immersion on behavioral intention
Dependent Variable Behavioral Intention
Independent Variable B S.E. β t p
(Constant) .109 .149 .732 .465
Viewing Immersion .875 .036 .699 24.254*** .000
R2 = .489, Adj R2 = .488, F-value = 588.262***, p = .000

*** p<.001

References

Boulding, W., Kalra, A, Staelin, R., & Zeithaml, V. A. (1993). A dynamic process model of Service quality: From expectations to behavioral intent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0(1), 7-27.
crossref
Cho, S. K. (2015).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viewing intention of mov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oseo University, Seoul, 1.
Choo, S. J., & Kim, S. H. (2003). A Study on the Customer's Future Intention to Multidimensional Relationship Commitment of the Internet Shopping Environment. Journal of Korean National Economy, 21(4), 253-278.
Ghani, J. A., & Deshpande, S. P. (1994). Task Characteristics and the Experience of Optical Flow in Human-Computer Interaction. The Journal of Psychology, 5-25.
pmid
Heo, E. H. (2014). Analysis Methods for Cinematic Character. Cinema Journal, 10(3), 269-298.
crossref
Im, S. E., & Im, H. K. (2011). A Study of Character's Special Makeup Effects in the series of X-Men - ßased on X-Men: The Last Stand-,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kyeong University, Seoul, 1.
Jang, M. S., & Yang, S. H. (2005). A Study of Make-up Artists and Character's Special Make-up Effects in the Twentieth Century's Films.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and Fashion, 55(6), 141-158.
Jeong, Y. H. (2010). The Research on the Factors of the Movie Viewing Intention: Prior Satisfaction and Present Review. Journal of Commodity Science and Technolog, 25(4), 23-32.
Kim, I. H. (2017). Influence of emotional responding factors of visitors to digital archive exhibition venues on exhibition success through spectator immersion and spectator satisfac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Venture University, Seoul, 27.
Kim, S. K. (2012). Influence of a film review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word of mouth : focused on online community custom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unkuk University, Seoul, 49.
Lee, H. Y. (2002). A study on the expressiveness of film costum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ongguk University, Seoul, 29.
Lee, H. S. (2011). The Validity of Work-related and Non-workrelated Factors of the Performing Arts and the Influence on the Post-purchase Behavio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120-127.
Lee, S. H., & Kwon, O. H. (2020). A Study on Makeup and Image Production for Character Implementation based on Realistic Video and Cultural Convergence Content Cases - Focusing on UWV movie “Time Walking on Memory”. The Korea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42(3), 447-478.
crossref
Park, S. S. (2019). An integrated approach of cultural sociology and Darwinism to the evolution of film genr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atholic University, Seoul, 1.
Shin, H. Y., & Kim, H. R. (2014). Domestic Research Trend in Film Costume.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and Fashion, 64(7), 1-10.
crossref
Song, J. Y. (2015). Focusing on film expression elements and shooting style analysis of the feature film <Hellfir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ongguk University, Seoul, 11.
Yoon, J. M. (2011). A Study on Special Makeup for Movie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pecial Makeup Techniques and Materials Appeared in Hollywood Mov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79.
Yoon, Y. J. (2015). A study on the influence of marketing mix determinants of a gukak performance on the audience's satisfaction and intention for revisiting : a case study of National Gukak cent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29.
Zillmann, D.. (1991). Empathy: Effect from bearing witness to the emotions of others. In: BryantJ., ZillmannD., editors. Responding to the screen: Reception and reaction processe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135-168.
Zeithaml, V. A., Berry, L. L., & Parasoraman, A. (1996). The behavioral consequences of service quality. Jorurnal of Marketing, 60(2), 31-46.
crossref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10-2825-6735   Fex: +82-62-950-3797    E-mail: beauty2007@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