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계고 학점제 도입에 따른 미용과 특성화고 교사의 인식조사

A Survey on the Perception of Beauty Specialized High School Teachers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Credit System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Cosmetol. 2022;28(3):518-524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2 June 30
doi : https://doi.org/10.52660/JKSC.2022.28.3.518
Professor, Department of Beauty Science, Kwangju Women's University
김서희,
광주여자대학교 미용과학과, 교수
*Corresponding author: Seo-Heui Kim Tel : +82-62-950-3833 E-mail : shkim@kwu.ac.kr
Received 2022 March 18; Revised 2022 April 11; Accepted 2022 May 12.

Trans Abstract

This study provides the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and expertise in the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that provide expertise in this field. A total of 38 questionnaires were prepared for teachers of high school specializing in beauty, and responses from a total of 81 people were used for the study during August 1, 2021 through online and offline methods. The questionnaire measured the major concepts of the credit system, curriculum, evaluation, graduation requirements, and introduction effect on a 5-point Likert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Statistics 21.0.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work area for each implementation type (p<.05),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of the credit system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type and work area (p>.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he credit system according to the type of implementation and work area (p>.05).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level of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f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of the credit system in the situation ahead of implementation, the continued interest and support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should be accompanied. Specific explanations and examples of the contents should be provided when composing training for the credit system and production of educational materials. It is expected to settle successfully through the organic application of the NCS-based curriculum and credit system.

I. 서 론

고교학점제는 ‘학생이 기초소양과 기본학력을 바탕으로 진로적성에 따라 과목을 선택하고, 이수기준에 도달한 과목에 대한 학점을 취득·누적하여 졸업을 인정받는 교육과정 이수·운영제도 제도’이다. 고교학점제가 최초로 거론된 시기는 2016년 12월에 교육부가 ‘지능정보사회에 대응한 중장기 교육정책의 방향과 전략’에서 고교학점제 도입 방안을 발표하면서 부터이다. 이후 교육부에서 시·도교육청 별로 고교학점제 연구·선도 학교를 선발하여 2018년 연구학교를 선정하여 1차 운영하였고 2019년에도 2차로 연구·선도학교를 선정·운영하였고, 현재 3차까지 시범·운영되고 있다(Woo, 2019). 그리고 2022년 직업계 고등학교 즉 특성화고등학교, 마이스터고등학교, 전문교과를 운영하는 일반고(구 종합고)의 전문과정을 운영하는 학교에서 먼저 실시·적용된다. 현재 교육부 중심으로 시·도 교육청은 고교학점제를 2022개정 교육과정의 주요내용으로 포함하여 추진중이다(Kim, 2021). 이러한 고교학점제는 직업교육분야에서도 ‘2020년 직업계고 학점제 연구·선도학교 안내서’를 발간·보급하여 급변하는 미래 직업교육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학생들이 자신의 적성과 소질에 따라 희망하는 직업교육을 받을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되었다(Park, 2017).

이러한 노력들은 과거 NCS기반 교육과정 개편, 성취평가제 시행, 선취업 후진학 등 많은 정책들이 추진되어 왔고 4차 산업 시대의 변화에 따라 직업교육의 체제 전환에 대한 요구가 직업계고 학점제라는 이름으로 변화를 가져오게 이르렀다(Lee, 2021).

눈앞에 다가온 학점제에 대한 연구 또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연구를 살펴보면 학점제에 대한 정의 및 개념적 이해와 적용 방안에 대한 연구(Ahn et al., 2021) 학점제 교육과정 및 평가체제에 대한 연구가 있다(Lee, 2018; Woo & Kim, 2019; Kim, 2021). 그리고 일반고와 직업계고 교과에 대한 연구(Ahn, 2017; Song, 2017; Lim, 2019; Kim, 2020; Bae, 2021)도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대다수의 연구에서 2022개정 교육과정과 유기적으로 통합되어 있는 학점제의 논의가 앞으로도 다양한 과목과 각도에서 논의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Lee, 2018; Lee & Ch, 2019; Kim & Hong, 2021).

특히 Ahn (2021)은 학점제 실행에 있어 교사의 집행의지와 교육정책 이해도가 매우 중요하다고 하였다. 따라서 미용과 특성화고 교사들의 학점제에 관한 인식에 대한 연구는 향후 직업계고 학점제에 대한 교사의 실행의지를 확인하고 학점제 정착을 위해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한다. 미용과에 관련된 학점제에 관련한 연구는 타 교과에 비해 매우 부족한 상태임을 인식하고 학점제 시행을 앞둔 현시점에서 학점제에 대한 미용교사들의 인식이 점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특성화 고등학교에 근무하는 미용교사들의 학점제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여 학교현장에서 학점제의 올바른 적용 및 직업계고 교육의 정상화, 학생중심의 교육과정과 평가 설계 및 실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II. 이론적 배경

1. 고교학점제의 개념

‘고교학점제’란 고등학교 단계에서부터는 학생들이 본인의 희망에 따라 과목을 ‘선택’하여 ‘일정 기준에 의거하여 이수를 인정’받아 그 결과 ‘해당 누적학점이 정해진 기준에 도달하였을 때 졸업을 인정’받을 수 있는 고등학교의 학사 운영 체제를 의미한다(Yoon, 2021). 이는 고교체제 개편 및 대입제도 개선과의 연결고리이자 고교교육 전반의 변화를 촉발하는 기제로써 그동안 우리 교육의 현실이 입시와 수능에 종속된 획일적인 고교교육과정과 줄 세우기식 평가에 치우쳐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추진되었다(Kim, 2021).

또한 교육부는 기존의 교육과정의 경직성과 다양한 선택과목의 부족으로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교육이 실행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단순한 지식습득과 기술교육에서 벗어나 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기르고 미래성장 잠재력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학점제 도입이 필요하다고 하였다(Woo & Kim, 2019).

고교학점제의 핵심요소이자 선결되어야 할 제도적 요건은 학점제, 절대평가, 무학년제이다. 이는 교육과정, 평가체제, 졸업제도 연계되어 설명할 필요가 있다. 먼저 학점제의 교육과정은 학생들의 선택권이 보장되는 교과영역과 선택 가능한 학점을 기반한다. 이를 토대로 학생은 희망하는 과목을 선택하여 수강신청을 하고 수업은 학생참여형 수업으로 학년 구분없이 자유롭게 과목을 수강하여 수업에 참여하게 된다. 평가체제는 성취평가제를 적용하여 수업과 연계한 과정중심·교사별 평가로 교사는 평가에 따라 이수와 미이수를 구분하고 미이수 경우의 보충 프로그램을 실시하게 된다. 졸업제도는 과목별 성취 기준에 도달하면 학점이 이수되고 졸업요건으로 설정된 학점이 누적되어 졸업하게 된다(Korea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Institute, 2019).

2. 직업계고 학점제

직업계고란 특성화고등학교, 마이스터고등학교, 전문교과를 운영하는 일반고(구 종합고)의 전문과정을 운영하는 학교를 의미한다. 직업계고 학점제는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일반고 내의 직업반 특정분야의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우수한 직업교육을 학생 수준과 학교 여건에 따라 제공하여 학생의 과목 선택권을 강화하고, 모든 학생들이 교과의 ‘최소 성취 기준’을 달성하거나 ‘현장 실무 수행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이다. 학교별로 인력양성유형과 학생진로 및 취업 경로 등에 따라 학과 내, 학과 간, 학교 간, 학교 밖으로 구분하여 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다(Woo, 2019; Lee, 2021).

그 동안 다양한 정책들이 직업교육을 희망하는 모든 학생들에게 직업교육 기회를 제공함과 동시에 직업교육의 구축을 위하여 추진되어 왔다. 급변하는 미래직업교육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학생들의 자신의 적성과 소질에 따라 희망하는 직업교육을 받을 수 있는 제도로 직업계고 학점제가 2022년 교육과정과 함께 등장하게 되었다(Kim, 2021).

2022년 직업계고 학점제 시행을 준비단계로 마이스터고를 중심으로 연구학교와 선도학교를 선정하여 운영되었다. 실시 유형 중 연구학교는 직업계고 학점제 운영을 위한 우수모델을 발굴하고, 제도 개선 및 소요 인프라 규모를 파악하기 위해 교육부 요청에 따라 시도교육청이 지정하는 학교이며, 선도학교는 시·도교육청 및 학교의 자율성과 특수성을 고려하여 지역별 다양한 운영모델을 발굴·확산하는 데 목적이 있어 시·도교육청이 학교의 자체계획을 평가하여 지정·운영하는 학교이다.

III. 내용 및 방법

1. 조사대상 및 방법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학점제에 대한 인식과 도입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 하였다. 설문시기는 2021년 8월 1일부터 8월 27일까지이며 설문조사 방법은 구글 서베이로 설문지를 제작하여 온라인으로 설문을 하는 방식과 설문 문항을 서면 제작하여 설문지 배포 및 회수하는 방법을 병행하여 총 81명의 응답을 연구에 사용하였다.

2. 측정도구 및 분석방법

본 연구의 측정도구로 사용된 설문문항은 선행연구를 분석 후 Woo(2019), Kim(2021), Lee(2021)의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를 기초로 조사대상자의 특성, 학점제 인식, 학점제 도입효과로 구분하여 설문문항을 작성하였다. 문항은 총 38문항으로 학점제의 주요개념 8문항, 교육과정 10문항, 평가 8문항, 졸업 요건 3문항, 도입효과 9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첫째, 주요개념의 문항을 구성하는 세부내용은 고교학점제의 일반적인 이해에 따른 인식을 알아보는 문항으로 도입시기와 필요, 수업기준의 변경, 강사제 도입 등으로 구성하였고. 둘째, 교육과정 영역으로 학점제 운영 모형, NCS와 차별화된 교육과정의 혼재의 가능성, 학생의 과목선택, 다양한 학기운영 등 운영방식에 대한 인식 여부로 제작하였다. 셋째, 평가의 문항구성은 성취평가제, 평가에 대한 교사의 전문성, 평가절차 및 단계, 평가 도입에 대한 수용에 대한 인식으로, 넷째, 졸업요건을 구성하는 세부내용은 조기졸업, 학업성취미도달자의 졸업요건이며, 다섯째, 도입효과 영역은 학점제도입으로 인한 학생의 능력 향상과 진로 결정, 학생의 만족도와 신뢰도 향상, 교사의 보람과 긍지의 향상 등을 알아보는 문항으로 제작하였다. 모든 문항은 Likert 5단계 척도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1.0 통계 패키지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측정도구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요인분석 후 신뢰도를 검증을 위해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 조사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직업계고 학점제 실시유형에 따른 근무지역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카이제곱검정(Chi-square test)을 실시하였다.

넷째, 직업계고 학점제 실시 유형과 근무지역에 따른 직업계고 학점에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정 방법으로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다섯째, 직업계고 학점제 도입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직업계고 학점제 인식과 도입효과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1) 직업계고 학점제 인식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직업계고 학점제 인식에 대해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요인의 수를 결정하는 기준으로 고유값(eigen value)이 1 이상인 요인을 선택하였고, 그 결과 4개로 요인으로 나뉘어 졌다. 요인들의 중심개념에 따라 ‘교육 과정’(25.539%)과 ‘주요개념’(21.388%), ‘평가체계’(20.975%), ‘졸업요건’(9.725%)으로 명명하였고, 변수의 총 누적분산 설명력은 77.628%로 나타났다. 또한 KMO와 Bartlett의 검정결과 KMO 측도는 0.896으로 나타났고, Bartlett의 검정결과는 2604.508(df=406, p=.000)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신뢰도 검증 결과 각 하위요인별 0.946~0.960으로 나타나 각 변수는 모두 신뢰할만한 수준으로 볼 수 있다.

Validity and reliability on the perception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beauty vocational high school

2) 직업계고 학점제 도입효과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직업계고 학점제 도입효과에 대해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요인의 수를 결정하는 기준으로 고유값(eigen value)이 1 이상인 요인을 선택하였고, 그 결과 1개로 요인으로 나뉘어 졌다. 요인들의 중심개념에 따라 ‘도입효과’(70.742%)로 명명하였고, 변수의 총 누적분산 설명력은 70.742%로 나타났다. 또한 KMO와 Bartlett의 검정결과 KMO 측도는 0.867로 나타났고, Bartlett의 검정결과는 651.902(df=36 p=.000)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신뢰도 검증 결과 각 하위요인별 0.948로 나타나 각 변수는 모두 신뢰할만한 수준으로 볼 수 있다.

Validity and reliability on the Introductory effect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beauty vocational high school System

2.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 결과 학교유형은 국·공립 66명(81.5%), 사립 15명(18.5%)으로 나타났고, 학점제 실시유형은 미실행 36명(44.4%), 선도학교 27명(33.3%), 연구학교 18명(22.2%) 순으로 나타났다.

교직경력은 5년 이하 40명(49.4%), 6년~10년 20명(24.7%), 10년 이상 21명(25.9%)으로 나타났고, 근무지역은 서울·경기 19명(23.5%), 전라 19명(23.5%), 충청 15명(18.5%), 경상 15명(18.5%), 강원 7명(8.6%), 제주 6명(7.4%)으로 나타났다.

3. 직업계고 학점제 실시유형에 따른 근무지역의 차이 분석

직업계고 학점제 실시유형별 근무지역을 살펴보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전체적으로 선도학교 교사는 33.3%, 연구학교 교사 22.2%, 미실행학교의 교사 36%로 나타났다. 강원, 경상 지역에서는 선도학교 교사가 많았고. 충청 지역에는 연구학교 교사가 많은 것으로, 서울·경기, 전남, 제주 지역의 경우 학점제 미실행 학교 교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지역에 따라 미용 특성화고등학교의 특성과 여건이 다르고 각 지역의 시·도교육청에 연구·선도학교 운영 시 단위학교의 지원현황과 선정에 차이가 있어 나타난 결과라고 생각한다.

4. 직업계고 학점제 실시 유형과 근무지역에 따른 인식 차이

실시유형과 근무지역에 따른 직업계고 학점제 인식의 결과는 <Table 5>와 같다.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실시유형과 근무지역에 따라 직업계고 학점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p>.05) 직업계고 학점제 인식의 하위요인별 주요개념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1), 전반적인 직업계고 학점제 인식은 평균 3.54점으로 나타났으며 ‘졸업요건’(M=3.97)이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주요개념’(M=3.81), ‘평가체계’(M=3.77), ‘교육 과정’(M=3.36) 순으로 나타났다.

Differences in the the perception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beauty vocational high schoolWork area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Type and Work area

실시유형별 직업계고 학점제 인식의 평균은 연구학교, 선도 학교, 미실행 순으로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유의미한 결과를 보인 근무지역 별 학점제 인식의 하위요인에 대한 인식은 ‘졸업요건’(M=3.97), ‘주요개념’(M=3.81), ‘평가체계’(M=3.77), ‘교육과정’(M=3.36) 4요인 모두 충청지역에 근무하는 교사들의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서울·경기, 경상, 전라, 강원, 제주 순으로 인식 수준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2022년에 직업계고 학점제를 실시해야 하는 상황에서 실시유형 구분 없이 학점제를 잘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는 Kim(2021)의 영역별 근무지역 간 인식의 차이연구와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졸업요건에 대한 인식에 대한 평균이 높게 나타난 이유는 학생의 과목 선택·이수 후 취득학점이 누적되면 졸업을 하는 졸업제도로 단위학교에서 미이수 해결 방안에 대한 내용을 제외하면 비교적 이해하기 쉬운 영역이기 때문에 나온 결과라 생각된다. 졸업요건에 대한 높은 이해도는 타 연구에서도 유사한 높은 인식수준을 보였다 (Kim 2020). 이러한 결과는 대부분 높은 인식수준의 나타내는 연구 학교와 선도학교에서 학점제 경험이 있는 근무지역에서 높게 나타난 것으로 추정된다. 일부 특성화고 교사의 인식을 묻는 연구에서 인식부족과 부정적인 인식이 높게 나타난 반면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 학점제의 기초인식에 대한 보통 수준으로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 본 연구와 동일한 결과 보였다(Kim, 2020; Kim, 2021; Han et al., 2021).

또한 학점제 시행중심에 있는 교육과정 영역이 보통의 인식 수준을 보인 이유는 교육과정이 학점제 시행의 중심에 있으며, 운영체계 절차와 모헝이 다양하고 복잡하고, 단위학교에 여건과 학생의 요구에 맞춘 교육과정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교사들의 다른 영역보다 다소 낮은 인식수준을 보인 것으로 생각된다(Seo, 2020).

5. 직업계 고교학점제 도입효과

직업계고 학점제 도입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볼 때, ‘직업계고 학점제 도입은 교육과정 편성·운영으로 학생의 진로와 적성, 흥미중심으로 변화를 증대시킨다.’(M=3.80)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학점제 도입은 미래 직업교육환경변화에 부합하는 유연한 교육과정 운영이 가능하다.’(M=3.72), ‘직업계고 학점제 도입은 학생들이 자기주도적 학습자로 변화에 도움이 된다.’(M=3.67), ‘학점제 도입은 교사가 학습을 지원하는 조력자와 교수학습전문가로 변화를 증대시킨다.’(M=3.63), ‘직업계고 학점제 도입은 학생의 진로탐색과 진로결정에 도움이 된다.’(M=3.63), ‘직업계고 학점제 도입은 학생들을 미래지향적 융·복합인재로 성장시킬 수 있다.’(M=3.54), ‘직업계고 학점제 도입은 학생의 학교 만족도 향상에 도움이 된다.’(M=3.49), ‘직업계고 학점제 도입은 학부모의 학교 신뢰도 향상에 도움이 된다.’(M=3.23), ‘직업계고 학점제 도입은 교사의 보람과 긍지를 향상시킨다.’(M=3.12)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직업계고 학점제 도입효과는 평균 3.54점으로 나타났다.

Introductory effect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beauty vocational high school

위의 결과는 교사들의 직업계고 학점제 도입효과를 대체로 시대 변화에 따른 긍정적인 반응으로 해석할 수 있다. 교육부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발표한 자료집에 따르면 도입 후 학생, 교사, 학교 등 긍정적인 변화들이 일어날 것으로 예상하였다. 특히 교사의 보람과 긍지를 향상시킨다의 항목이 가장 낮은 이유는 일부 교사들이 직업계고 학점제의 도입효과에 정부 발표 만큼의 긍정적이지 못하였다고 보고와 학부모의 학교 신뢰 문제와 새로운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책임과 다 과목지도에 대한 부담감 등으로 나타난 결과라고 생각된다(Seo, 2020; Han et al., 2021).

V. 결 론

2022년 시행에 앞서 직업계고 학점제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 미용특성화고 교사들의 직업계고 학점제의 인식과 도입효과를 살펴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직업계고 학점제 실시유형에 따른 근무지역은 유의한 차이를 보여 각 지역의 시·도교육청에 연구·선도학교 운영 시 단위 학교의 지원현황과 선정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 유형과 근무지역에 따라 학점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p>.05), 학점제 인식의 하위요인별 주요개념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1). 전반적인 직업계고 학점제 인식은 보통수준의 인식 수준을 보이고 있으며 졸업요건(M=3.97), 주요개념(M=3.81), 평가체계(M=3.77), 교육과정(M=3.36) 순으로 높게 나타나 잘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도입효과는 학생의 진로와 흥미 그리고 자기주도학습, 유연한 교육과정에 긍정적인 효과로 인식하고 있으나 학부의 학사운영의 신뢰나 교사의 전문성 부분에 가장 낮은 도입효과로 인식하고 있어 교사로서 교육과정 운영의 정책실행자로서 부담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현 상황에서 직업계고 학점제에 대한 교사, 학생, 학부모 인식수준을 현재 보다 더향상시킬 필요가 있어 보인다. 교사의 전문성 신장 및 학생과 학부모의 학교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의 지속관 관심과 지원이 동반되어야 할 것이다. 학교현장에서는 교사들 간 시행착오를 공유하고 논의할 장이 마련되어야 보다 효율적인 운영을 할 수 있을 것이고 보통교과와 전문교과 교사들간의 협업을 통해 학생 수요에 맞는 과목개설, 다교과를 맡을 수 있는 교사의 협의도 필요하다. 연수와 교육자료 제작 구성 시 해당 내용의 구체적 설명과 예시를 제공함으로써 해당 제도의 수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NCS 기반으로 운영중인 미용 특성화고 현실적 관점에서 NCS 기반 교육과정과 학점제의 유기적 적용과 교사의 책임과다 과목지도에 대한 부담감 등이 해소되면서 직업계고 학점제가 단위학교에서 원활하게 적용되고 성공적으로 안착하기를 기대한다.

향후 학교 문화, 교사의 업무변화, 학생의 변화 등의 지속적인 변화를 살펴볼 필요가 있으며, 일부 미용특성화고 교사의 응답을 기초로 한 것이기 때문에 조사결과를 해석할 때 고려하여 해석할 필요가 있다.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Differences in the work area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type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beauty vocational high school

References

1. Ahn H. J.. 2021;A Study on the Grounded Theory of the Research School's Operation.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38(1):423–452.
2. Ahn S. J.. 2017;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innovation in high school evaluation. Education Criticism (40):76–98.
3. Bea H. S.. 2021;High School Credit System; 2022 Revised Curriculum ; Law And Human Rights Related Courses;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Journal of Law and Human Rights Education Research 14(2)
4. Han J. H., Kim J. W., Kim J. S.. 2021;Perceptions of Mechanical and Metallurgical Education Teachers on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Vocational High Schools. The Journal of Social Convergence Studies 5(2):97–110.
5. Kim Ch. H.. 2018;The Exploratory Study on the Teachers’ Innovation Type from a Comparative Educational Perspective.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8(2)
6. Kim, G. E. (2020). A study on teachers' awareness of marine/marinebased Meister High School regarding the introduction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credit system. Pukyong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epartment of Fisheries Education, Master's Thesis. pp. 9-11.
7. Kim J. W.. 2021;Perceptions of Mechanical and Metallurgical Education Teachers on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Vocational High Schools. The Journal of Social Convergence Studies 5(2)DOI: 10.37181/JSCS.2021.5.2.097.
8. Kim, K. S. (2021). An Analysis of commercial High School Teachers’ Perception: Focusing on Commercial High School in Chungbuk Province. Gongju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ommercial Information Education Major, Master's thesis. pp. 6-25.
9. Kim J. H.. 2019;Korean Language Education Tasks according to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 Focusing on the Linkage with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55(3):99–130.
10. Kim, H. S. (2021). A study on policy paradox in the enactment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 focusing o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enacted by the leading schools. Korea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Ph.D. thesis. pp. 12-13.
11. Kim S. C.. 2021;Analysis of issues and tasks related to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Journal of Education Criticism 48:32–63.
12. Kim S. Y., Hong W. J.. 2021;Analysis of public perception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through big data. Education Method Research 33(1):179–203.
13. Korea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Institute (2019). Vocational High School Credit System Research/Leading School Briefing Session Resources.
14. Lee K. W.. 2018;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on Implement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18(12):543–567.
15. Lee B. H., Choi S. K.. 2019;Legal issues and Improvement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in Introducing High School Credit System. Dong-A Law Review (84):77–104.
16. Lee, J. H. (2021). Analysis of the perception of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on the commercial high school.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urriculum and Education Evaluation Major Master's Thesis.
17. Lee, H. (2018). Critical review of policies to promote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Education Criticism, No. 41, pp. 77-1.
18. Lim, Y. J. (2019). High School Credit System Factor Analysis, Case Study, and Operational Method Study: Focusing on High School Mathematics, Kyung Hee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thematics Education Major. pp. 11-15.
19. Park, D. R. (2017). Introduction and operation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credit system. Korea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Institute. Basic Research No. 2017-27.
20. Seo B. W.. 2020;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changes in schools.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30(3):55–79. DOI: 10.32465/ksocio.2020.30.3.003.
21. Song, J. B. (2017). Can high school students learn like college students? education criticism, Education Policy Forum vol 2017 pp. 139-147.
22. Woo, O. H., & Kim, D. Y. (2019). Curriculum standards development for high school credit system, Korean Educational Methodology Association, 21(2).
23. Woo W. J.. 2019;A survey on the perception of subject teachers regarding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vocational high school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ors 44(2):65–85.
24. Yoon, J. H. (2021). A study on the Policy formation and change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 Based on Kingdon’s Policy Stream Model. The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pp. 7-12.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Validity and reliability on the perception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beauty vocational high school

Division Ingredient
Factor 1 Factor 2 Factor 3 Factor 4
Main concept Curriculum Evaluation Graduated Requirements
Eigenvalue 7.406 6.203 6.083 2.820
Variance (%) 25.539 21.388 20.975 9.725
Cumulative variance (%) 25.539 46.927 67.902 77.628
Cronbach's α .960 .952 .954 .946

KMO=.896, Bartlett's test χ²=2604.508 (df=406, p=.000)

Table 2.

Validity and reliability on the Introductory effect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beauty vocational high school System

Division Ingredient
Introduction effect
Eigenvalue 6.367
Variance (%) 70.742
Cumulative variance (%) 70.742
Cronbach's α 0.948

KMO=.867, Bartlett's test χ²=651.902 (df=36, p=.000)

Table 3.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Division Frequency (N) Percent (%)
School Type National public high school 66 81.5
Private high school 15 18.5
Implementation Type Leading School 27 33.3
Research School 18 22.2
Not done 36 44.4
Teaching profession career Less than 5 year 40 49.4
6 year~10 year 20 24.7
Over 10 year 21 25.9
Work area Seoul- Gyeonggi 19 23.5
Gangwon 7 8.6
Chungcheong 15 18.5
Jeolla 19 23.5
Gyeongsang 15 18.5)
Jeju 6 7.4
Total 81 100

Table 4.

Differences in the work area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type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beauty vocational high school

Division Implementation Type
Total χ² (p)
Leading School Research school Not done
Work area Seoul · Gyeonggi 5 (26.3) 4 (21.1) 10 (52.6) 19 (100.0) 20.345* (.026)
Gangwon 6 (85.7) 0 (.0) 1 (14.3) 7 (100.0)
Chungcheong 5 (33.3) 6 (40.0) 4 (26.7) 15 (100.0)
Jeolla 3 (15.8) 3 (15.8) 13 (68.4) 19 (100.0)
Gyeongsang 7 (46.7) 4 (26.7) 4 (26.7) 15 (100.0)
Jeju 1 (16.7) 1 (16.7) 4 (66.7) 6 (100.0)
Total 27 (33.3) 18 (22.2) 36 (44.4) 81 (100.0)
*

p<.05

Table 5.

Differences in the the perception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beauty vocational high schoolWork area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Type and Work area

Division Perception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Total
Main concept
Curriculum
Evaluation
Graduated Requirements

M SD M SD M SD M SD M SD
Implementation Type Leading School 3.88 .871 3.43 .971 3.88 1.086 4.09 .972 3.62 1.022
Research School 3.90 .564 3.41 .861 3.79 1.019 3.70 1.072 3.28 .875
Not done 3.52 1.129 3.17 1.055 3.68 .696 4.02 .690 3.60 .661
F-value (p) 1.416 (.249) .483 (.619) .373 (.690) 1.108 (.335) 1.102 (.337)
Work area Seoul·Gyeonggi 3.59ab .866 3.45 .793 3.85 .843 4.04 .736 3.67 1.000
Gangwon 3.68abc .920 3.52 .925 3.87 1.066 3.78 1.067 3.40 .680
Chungcheong 4.15bc .709 3.70 1.383 4.25 .758 4.44 .502 3.94 .960
Jeolla 3.88bc .629 3.08 1.124 3.48 .938 4.07 .886 3.45 .815
Gyeongsang 4.36c .395 3.57 .560 3.93 .663 3.98 .707 3.61 .577
Jeju 3.04a 1.045 2.86 .922 3.45 1.157 3.52 1.345 3.22 1.214
F-value (p) 3.669** (.005) 1.183 (.326) 1.054 (.393) .909 (.480) .690 (.633)
Total 3.81 .825 3.36 .937 3.77 .908 3.97 .884 3.54 .844
**

p<.01

Duncan : a<b<c

Table 6.

Introductory effect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beauty vocational high school

Division Average (M) Standard deviation (SD)
Introductory effect 1. The credit system enables flexible curricula operation in line with changes in the future vocational education environment 3.72 1.003
2. The credit system can develop students into future-oriented convergence and complex talents 3.54 .962
3. By organizing and operating the curriculum with the system of credit system, change is increased to focus on the student's career path, aptitude, and interest. 3.80 1.030
4. The credit system increases the change of teachers into facilitators of learning and teaching and learning experts. 3.63 .993
5. The credit system improves the reward and pride of teachers. 3.12 .980
6. The credit system helps students in career explora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3.63 1.066
7. The credit system helps students change into self-directed learners. 3.67 1.049
8. The introduction of the credit system helps students to improve their school satisfaction. 3.49 .989
9. The introduction of a credit system helps parents to improve their school's credibility. 3.23 .965
Total 3.54 .8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