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Cosmetol > Volume 28(4); 2022 > Article
여고생의 화장품 안전성 및 유해성분 인식에 따른 기능성화장품 사용실태에 관한 연구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consumers' awareness of the safety of cosmeceuticals and analyze harmful ingredients against high school girls who have recently emerged as a new consumer group in the cosmeceutical market with a goal of providing basic data needed to buy cosmeceuticals by investigating their consumption patterns and satisfaction with the cosmetic products. For this, an online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against a total of 377 high school girls born in 2003-2005 in Seoul and Gyeonggi-do.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0, and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The respondents' awareness of the safety of cosmetics was neither high nor low while awareness of harmful ingredients was high. Among cosmeceuticals, it was sunscreens acne-care products that they have bought frequently. As their awareness of the safety of cosmetics was higher, they tended to check the effects and efficacies of ingredients. Depending on their skin concerns, they planned and bought the cosmeceuticals they needed by comparing their information. In addition, they have examined cosmetic information through apps and web portals in consideration of the efficacies and effects of cosmeceuticals and their skin type and conditions. Concerning cosmeceutical use patterns by the awareness of harmful ingredients, the perception of the hazard of synthetic color additives, synthetic flavors and mineral oil had an influence on the use of cosmeceuticals. Depending on the awareness of the safety and harmful ingredients of cosmetics, furthermore, the respondent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cosmeceuticals.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is required to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about cosmetic ingredients and help consumers have a better awareness of the safety of cosmetics by developing and distributing educational programs on harmful ingredients and decent contents.

I. 서 론

다양한 기능성화장품의 개발 및 사용과 화장품 시장 유통의 다변화로 소비자 계층이 성인 여성에서 점점 확대되어 화장품 소비시장을 폭넓게 확대시켰다. 온·오프라인을 통한 화장품 구매는 청소년들의 접근이 용이하게 되어 전체 화장품 시장규모에서 10대 화장품 구매율이 크게 상승한 것으로 조사되었다(Kim, 2008). 현대 사회에서의 유행에 민감한 청소년은 문화적 주체로써 폭넓은 소비성향을 보이며 주 소비자층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화장품 업계는 10대 청소년의 욕구(Needs)를 반영하는 화장품을 출시하고 있다.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건강관리에 대한 중요성뿐만 아니라 피부 또한 건강하게 관리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인체에 무해하고 제조과정에서 오염물질을 적게 배출하는 클린 뷰티(Clean Beauty) 상품의 선호도가 지속해서 높아지고 있다. 특히 마스크 장기 착용에 따른 피부 트러블이 증가하면서 파라벤·실리콘·황산염 등 유해 성분을 배제한 제품이 미국, 유럽 등에서는 각광받고 있다(Cosmetics Industry Analysis Report, 2020). 이에 최근에는 ‘K-더마’라는 기능성과 안전성, 가성비까지 갖춘 새로운 트렌드로 급부상하고 있으며 그만큼 화장품 성분에 대한 안전성 인식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화장품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 관심도가 급증하여 화장품 성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SNS 광고, 포털사이트 등이 인기를 끌고 있으며 화장품 성분에 대한 소비자의 지식이 증가하고 있다(Jeong, 2021). 화장품은 일정 기간 사용하는 의약품과 달리 피부에 직접적으로 장기간 사용되며 알레르기 유발 물질이나 발암물질 등 피부 건강을 위협하고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들은 올바른 정보와 사용법을 통하여 안전성 확보를 우선으로 하여야 한다(Lee, 2016).
청소년들은 유행에 민감하게 반응을 보이고 외모에 대한 관심도가 매우 증가하는 시기이다. 청소년의 기능성화장품 사용 실태에 관한 선행논문으로는 Jang & Kim(2013)의 청소년들의 화장품 사용실태 및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에서 기능성화장품 사용률은 59.2%로 나타났으며, Jang & Park(2017)의 청소년의 화장품 사용실태 연구에서 여드름 화장품을 사용한 경험이 있다는 고등학생의 비율이 50.7%에 해당하였다. 특히 최근에는 매체의 광고와 연예인 등과 같은 인플루언서들의 영향으로 화장에 관한 관심을 두게 되고 대중매체 속 연예인들의 화장법을 통해 청소년들의 화장 욕구는 더욱 강해지고 있다(Sim & Lee, 2021).
이에 본 연구는 새로운 소비자층으로 부상하고 있는 여고생의 기능성화장품에 대한 안전성 인식과 화장품 유해 성분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 기능성화장품 사용실태와 기능성화장품에 만족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기능성화장품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가지고 안전하게 기능성화장품을 구매 및 사용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II. 이론적 배경

1. 기능성화장품 정의 및 현황

기능성화장품이란 화장품 중에서 피부의 미백에 도움을 주는 제품, 피부의 주름개선에 도움을 주는 제품, 피부를 곱게 태워주거나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제품, 모발의 색상 변화·제거 또는 영양공급에 도움을 주는 제품, 피부나 모발의 기능 약화로 인한 건조함, 갈라짐, 빠짐, 각질화 등을 방지하거나 개선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제품을 말한다(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Cosmetics Act.). 기능성화장품은 경우에 따라 ‘코스메슈티컬(Cosmeceutical)’, 펑셔널 코스메틱(Functional Cosmetic) 등으로 불리기도 하며 의학적 효과가 일반 화장품보다 높은 화장품을 말한다.
2019년 국내 화장품 생산 규모는 16조 2,633억 원으로 전년 대비 4.9% 증가했다. 화장품 유형별로는 기초화장용 제품류가 9조 8,123억 원으로 전년 대비 4.7% 증가하면서 선두를 지킨 가운데, 전년 대비 감소세를 보였지만 2위를 유지한 색조 화장용 제품류가 2조 1,338억 원을 기록하였다. 그 다음으로 두발용 제품류 1조 8,800억원, 인체 세정용 제품류 1조 5,786억 원으로 뒤를 이었다. 기능성화장품은 2015년부터 2019년까지 5년 동안 평균 8.5%에 지속적인 성장률이 나타났다. 2019년 기능성 화장품의 생산실적은 5조 3,448억 원으로 전년 대비 7.3%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으며(Jang & Lee, 2021), 지속적인 증가 추세에 따라 기능성화장품 시장은 2025년 기준 7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기능성화장품의 주요 성장 요인은 환경오염 등의 환경적 요인에 의한 피부 트러블을 관리할 수 있는 화장품에 대한 높은 요구도 등이 있으며, 결과적으로 안티폴루션과 광케어 등 신기술을 접목한 화장품들이 새롭게 출시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소비자들의 기능성 화장품 수요가 급증하고 있고 이에 따라 매년 기능성화장품 시장이 더욱 빠른 속도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Cosmetics Industry Analysis Report, 2020).

2. 기능성화장품의 안전성 및 유해성

기능성화장품은 화장품과 의약외품의 중간적인 성격으로 화장품의 4대 요건 중 안전성과 유효성이 중요하다. 화장품의 안전성이란 피부에 대한 자극과 알레르기 및 독성이 없어야 하는 것으로 피부에 반복적이고 장기간 사용하며 불특정 다수 사람에게 사용하는 만큼 피부에 대한 안전성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 화장품의 안전성을 위하여 우리나라는 화장품 전성분 표시제를 2008년 10월 18일 이후 시행되고 있으며, 화장품 제조에 사용된 모든 성분을 용기나 포장 등에 한글로 표시하여야 한다. 전성분 표시제도는 소비자가 자신의 피부 상태나 기호에 맞는 제품을 선택하기 쉽게 하고 전문의가 부작용의 원인을 신속하게 파악하여 규명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이다(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08). 이러한 제도는 기능성화장품 영역 확대 및 과대광고를 사전에 방지하고 성분을 비교하여 소비자들이 화장품 구매에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한다.
화장품 산업의 급속한 성장과 더불어 화장품 사용 후 피부발진, 가려움증, 홍반 및 접촉성 피부염 등 각종 부작용으로 인해 피해를 호소하거나 국산 미백크림에서의 수은 검출, 수입 화장품에서의 스테로이드 검출 등 화장품 원료의 유해성 논란이 일어났다(Moon et al., 2018). 화장품의 유해성이란 화장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방부제, 계면활성제, 산화방지제, 색소, 향료등 수많은 성분을 조합하는데 일부 발암성물질, 호르몬 작용 등을 일으켜 내분비물을 교란시키거나 내장질환의 원인이 되는 등 피부 이상이 발생할 수 있다(Lee, 2021).
따라서 화장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법률에 따른 의무규정과 시장 경쟁에 의한 자율 관리 시스템이 함께 작동되어 매우 엄격한 규제와 통제 시스템이 적용되는 안전관리체계가 이루어지고 있다(Korea Cosmestic Association, 2022). 우리나라 에서는 화장품에 사용할 수 없는 원료를 지정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화장품 원료에 대한 위해 평가를 하고 있다. 화장품 위해 평가는 화장품의 사용 연령이 낮아지고 종류가 다양해지면서 반복적인 노출과 많은 사용으로 인해 화장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노력으로 화장품법 시행규칙 제17조(화장품 원료 등의 위해 평가) 1항에서는 위해요소의 인체 내 독성 확인, 인체 노출 허용량 산출, 인체에 노출된 양을 산출하는 노출평가 과정을 거치게 된다. 화장품법 제8조(화장품 안전기준 등) 2항에서는 보존제, 색소, 자외선차단제 등과 같이 특별히 사용상의 제한이 필요한 원료에 대하여는 그 사용기준을 지정하여 고시하여야 하며, 화장품에 사용된 모든 성분을 화장품법 제12조 및 시행규칙 제21조 2호에 의하여 표준화된 일반명으로 사용해야 한다. 이를 위반하는 경우 시행규칙 별표4에 따라 판매 업무정지 등의 행정처분을 받게 된다.

3. 여고생의 화장품 사용실태

청소년 시기는 질풍노도(疾風怒濤)의 시기로 신체적, 심리적 측면에서 급격한 변화를 경험하는 시기이다(Sim & Lee, 2021). 이 시기에는 외모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는 시기이며, 특히 여학생의 경우 남학생과 비교해 외모에 대한 관심도가 더욱 높다고 볼 수 있다. 피부에 대한 관심도는 단순히 신체적인 피부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심리적인 부분에서도 나타나게 되는데 여드름으로 발생하는 흉터와 반흔들은 자신감을 상실시키고 더 나아가 우울증과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Shin & Kim, 2019). 여학생들은 자기만족 또는 모방 심리 등으로 화장품을 사용하여 여드름을 가리려는 경향이 있다. 올바른 화장품의 사용은 증상을 완화시킬 수는 있으나 피부에 맞지 않는 화장품의 사용은 여드름을 피부를 악화시킬 수 있다(Jang & Park, 2017).
청소년들의 화장품 구매와 관련한 특징을 보면 또래 집단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해 과시적으로 소비하는 성향과 유희성 소비행태를 보이기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im, 2011). 실제 10대 여성 청소년 화장품의 경우는 기초화장품, 기능성화장품, 색조화장품, 심미성까지 갖춘 제품까지 다양하게 세분화되어 있어서 개개인의 욕구에 맞는 화장품 구매가 가능해졌다(Yoon & Lee, 2018). 특히 청소년기에는 외모를 상대방을 평가하려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며, 또래 친구들에게 인정받을 수 있는 매력적인 외모를 지향하려는 성향이 구매 행동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Park et al., 2012).
Jang(2013) 연구에 의하면 여학생의 기초화장품 사용 비율은 86.9%, 메이크업화장품 사용 비율은 52.2%를 보였으며 메이크업화장품의 경우 학년이 올라갈수록 사용 빈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기능성화장품 사용 비율은 59.2%가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기능성화장품의 사용 비율이 점차 늘어났으며(중학교 1학년 58.0% → 고등학교 3학년 64.9%) 현재 사용 중인 기능성화장품의 종류로는 자외선차단제가 53.1%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고생을 대상으로 한 Ha(2011) 연구에서도 기능성화장품 사용 비율이 67.6%, 사용 중인 기능성화장품 종류에서도 자외선차단제 49.2% 사용률을 보였다. Jang & Kim(2013)의 청소년들의 화장품 사용실태 및 구매 행동에 관한 연구에서도 기능성화장품의 사용률이 여학생은 59.2%로 나타났으며, Jang & Park(2017)의 청소년 화장품 사용실태 연구에서도 자외선차단제 사용실태의 분석 결과 고학년일수록 자외선차단제 사용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청소년들의 기능성화장품 사용률이 높아지고 있지만, 화장품 부작용에 대해 잘 알지 못하거나 화장품 성분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경우가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화장품을 구매할 때 잘못된 정보를 통해 구매하고 화장품 부작용 발생하였을 경우 적절한 대처를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따라서 청소년들의 올바른 화장품 사용을 위해 화장품의 안전성과 유해 성분에 대한 교육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Kim, 2019).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는 여고생의 화장품 안전성 인식에 따른 기능성화장품 사용실태 및 구매행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2021년 9월 28일부터 2021년 10월 11일까지 서울 및 경기지역의 주민등록 기준 2003년 이후 2006년 이전에 출생한 여고생을 중심으로 인터넷을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에 참여한 여고생은 381명으로 그중 미응답 된 설문을 제외한 377명이 최종 분석 대상자로 선정되었으며, 고등학교 1학년 60명(15.9%), 고등학교 2학년 207명(54.9%), 고등학교 3학년 110명(29.2%)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조사는 설문 참여자에게 본 연구의 목적을 설명 후 자가 기입형식으로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고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2. 연구 문제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고생의 학년별 화장품 안전성 인식의 차이를 분석한다.
둘째, 여고생의 학년별 유해 성분 인식의 차이를 분석한다.
셋째, 여고생의 기능성화장품 사용실태를 분석한다.
넷째, 안전성 인식에 따른 사용실태를 분석한다.
다섯째, 유해성분 인식에 따른 사용실태를 분석한다.
여섯째, 안전성 및 유해 성분 인식에 따른 만족도를 분석한다.

3. 자료 분석 방법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0 프로그램을 이용해 통계 처리하였다. 학년별 기능성화장품에 대한 안전성 인식 및 유해 성분에 대한 인식, 여고생의 기능성 화장품 사용실태, 안전성 인식 및 유해 성분 인식에 따른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카이제곱 검정)을 하였다. 안전성 인식에 따른 사용실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교차분석과 다중 응답분석을 실시하였고, 유해 성분 인식에 따른 사용실태를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학년별 화장품 안전성 인식의 차이

학년별 화장품 안전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Table 1과 같다. 고등학교 1학년의 경우 그렇다 24명(40.0%), 보통이다 20명(33.3%), 매우 그렇다 1 명(21.7%), 그렇지 않다 3명(5.0%)로 나타났고, 고등학교 2학년의 경우 보통이다 82명(39.6%), 그렇다 66명(31.9%), 매우 그렇다 37명(17.9%), 그렇지 않다 20명(9.7%), 매우 그렇지 않다 2명(1.0%)로 나타났다. 고등학교 3학년의 경우 보통이다 53명 (48.2%), 그렇다(27.3%), 매우 그렇다 21명(19.1%), 그렇지 않다 6명(5.5%)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여고생들의 학년별 안전성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Kim(2019) 연구에 의하면 고등학생의 화장품 성분에 대한 안전도 인식은 보통 61.7%로 가장 높게 나타나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며, 이는 여고생의 기능성화장품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는 보통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2. 학년별 유해 성분 인식의 차이

학년별 유해 성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교차 분석을 실시한 결과 Table 2와 같다. 계면활성제(х²=18.540,p=0.018), 방부제(х²=8.706, p=0.368), 합성착색료(х²=12.553, p=0.128), 합성향료(х²=9.880, p=0.274), 미네랄오일(х²=14.343, p=0.073)에 대한 유해성 인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대체로 학년이 높아갈수록 유해 성분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Lee(2017)는 10대의 경우 다른 연령층에 비해 피부에 맞지 않는 성분에 관심이 많은 것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p<0.05). 이에 따라 여고생들을 대상으로 화장품 유해 성분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3. 여고생의 기능성화장품 사용실태

기능성화장품 사용실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기능성화장품을 구매하여 사용하는 여고생 318명에 대한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Table 3과 같다. 월평균 기능성화장품 구매 비용은 1만원~2만원 미만이 108명(34.0%)으로 높게 나타났고 1만원 미만 88명(27.7%), 2만원~3만원 미만 79명(24.8%), 3만원~4만원 미만 24명(7.5%), 5만원 이상 19명(6.0%) 순으로 나타났다. 현재 사용 중인 기능성화장품을 복수 응답하게 하였을 때 자외선차 단제가 234명(73.6%)으로 대다수 차지하였고 여드름 완화 186 명(58.5%), 미백 137명(43.1%), 주름개선 46명(14.5%), 탈모 (1.3%) 순으로 나타났다. 평소 관심이 있는 기능성화장품의 종류로는 여드름 완화 화장품이 159명(50.0%)으로 가장 많았고 자외선차단제 82명(25.8%), 미백 68명(21.4%), 주름개선 5명 (1.6%), 탈모 4명(1.3%) 순으로 나타났다. Lee et al.(2020)은 여드름 화장품을 사용해 본 학생은 63%로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여드름이 기능성화장품 사용량 증가와 연관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또한 Jang(2016)은 고등학생의 자외선차단제 사용실태를 분석한 결과, 매일 바르는 고등학생 비율이 50%(х²=16.783, р=0.036), 여드름 화장품 사용 경험이 있는 고등학생 비율이 50.7%(х²=40.334 р=0.000)로 나타났다. 이는 학년이 증가할수록 자외선차단제와 여드름 완화 화장품의 사용 빈도가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기능성화장품 구매 시 성분의 효능·효과를 확인하고 구매하는지에 대해서 그렇다 136명(42.8%), 매우 그렇다 119명 (37.4%)로 대다수를 차지하였고, 보통이다 48명(15.1%), 그렇지 않다 13명(4.1%), 매우 그렇지 않다 2명(6%) 순으로 나타났다. 피부 고민에 따라 필요한 제품을 계획하여 구매하는지에 대한 응답에서도 그렇다 130명(40.9%), 매우 그렇다 128명 (40.3%)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보통이다 55명(17.3%), 그렇지 않다 4명(1.3%), 매우 그렇지 않다 1명(3%) 순으로 나타났다. 여러 기능성화장품의 정보를 비교하여 구매하는지에 대해서 그렇다 126명(39.6%), 매우 그렇다 124명(39.0%)으로 대부분 차지하였고, 보통이다 58명(18.2%), 그렇지 않다 10명 (3.1%) 순으로 나타났다. 기능성화장품 구매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을 다중 선택을 하였을 때 효능·효과 238명 (74.8%), 본인의 피부 유형 및 특성 221명(69.5%), 사용후기 187명(58.8%), 브랜드 71명(22.3%), 주변인의 권유 32명 (10.0%) 순으로 집계되었다. 최근 여학생들의 자기주도적인 성향으로 화장품 구매 시 주변인의 권유보다는 능동적으로 화장품을 선택하며, Jo & Lee(2020)연구에서도 외모 만족과 자아존중감은 서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어 청소년의 경우 외모에 관한 관심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기능성화장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하는 경로는 애플리케이션 136명 (42.8%)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포털사이트 검색 116명 (36.5%), 광고 49명(15.4%), 해당 제품 홈페이지 10명(3.1%), 화장품 성분 사전 홈페이지 7명(2.2%) 순으로 나타났다.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으나 화장품 성분에 대한 안전성 인식이 높을수록 ‘화해’와 같은 애플리케이션과 ‘네이버’ 등 포털사이트를 통하여 기능성화장품에 대한 안전성 정보를 확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Jeong(2021)은 여성들이 화장품에 대한 정보를 포털 사이트에서 얻는 경우가 48.5%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된 결과, 여성들의 대부분이 화장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화장품을 구매하여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4. 안전성 인식에 따른 사용실태

안전성 인식에 따른 기능성화장품 사용실태의 비율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다중응답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Table 4와 같다. 화장품 안전성 인식이 높을수록 다양한 기능성화장품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고생들의 대부분이 자외선차단제를 사용하고 청소년의 피지선 발달로 인하여 발생하는 여드름으로 인해 여드름 완화 화장품 순으로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안전성 인식이 높을수록 기능성화장품 구매 시 성분의 효능·효과를 확인하고 구매하고 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х²=99.810, р<.001). 안전성 인식이 높을수록 피부 고민에 따라 필요한 기능성화장품을 계획하여 구매하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х²=141.813, р<.001). 안전성 인식이 높을수록 여러 기능성화장품의 정보를 비교하여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х²=36.546, р<.01). 또한 안전성 인식이 높을수록 화장품 구매 시 효능·효과, 본인의 피부 유형 및 특성 순으로 구매하고 있으며, 여고생들의 대부분 애플리케이션, 포털사이트를 통하여 기능성화장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Lee(2017)의 선행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결과로 이는 화장품 성분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제시의 중요성과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5. 유해 성분 인식에 따른 사용실태

유해 성분 인식이 사용실태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Table 5와 같다. 먼저 유해 성분 인식에 따라 기능성화장품 구매 시 성분의 효능·효과를 확인한다는 설명력은 11.7%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나(F=10.919, p<.000) 독립변수별로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유해 성분 인식에 따라 기능성화장품 구매 시 피부 고민에 따라 필요한 제품을 계획하여 구매한다는 설명력은 17.6%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F=15.825, p<.000). 독립변수별로는 합성착색료에 대한 유해성(β=.190, p<.0.5)과 합성향료에 대한 유해성(β=.200, p<.0.5)이 피부 고민에 따라 필요한 제품을 계획하여 구매하는 것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해 성분 인식에 따라 여러 기능성화장품의 정보를 비교하여 구매한다는 설명력은 12.1%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독립변수별로는 합성착색료에 대한 유해성(β=.191, p<.0.5)이 여러 기능성화장품의 정보를 비교하여 구매한다는 것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해 성분 인식에 따라 기능성화장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하는 경로의 설명력은 2.2%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F=1.687, p<.000) 독립변수별로는 미네랄 오일에 대한 유해성(β=.191, p<.0.5이 기능성화장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하는 경로에 대해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Lee(2016) 연구에 의하면 10 대들은 피부에 맞지 않는 성분 목록은 대체로 모른다 34.4%, 보통이다 27.9%의 비율을 보였으며 기재된 성분의 이해도도 10% 미만이 57.4%, 10~30%가 36.1%로 나타났으나, 다른 연령층보다 유해성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들이 화장품의 유해 성분을 이해할 수 있는 쉬운 표기법과 유해 성분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과 홍보가 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다.

6. 안전성 및 유해 성분 인식에 따른 만족도

안전성 및 유해 성분 인식에 따른 사용하는 기능성화장품 만족도의 통계적 유의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Table 6과 같다. 안전성 인식에 따른 기능성화장품의 만족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안전성 인식이 높을수록 기능성화장품 만족도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Jeong(2021) 연구에서도 여성들이 사용 화장품에 대한 만족도 평균이 3.89로 유사한 결과로 나타난다. 계면활성제, 방부제, 합성 착색료, 합성 향료에 대한 유해 성분 인식에 따른 기능성화장품 사용의 만족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미네랄오일에 대한 만족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화장품 유해 성분 인식에 따라 만족도의 비율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Lee(2017) 연구에서는 코스메슈티컬화장품과 메디컬화장품에 대한 만족도에 대한 연구를 검증한 결과 코스메슈티컬화장품은 용기디자인, 품질, 가격, 서비스 등의 요소가 구매 만족도와 상관이 높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V. 결 론

본 연구는 다양한 기능성화장품 시장의 확대와 청소년 시기에 나타나는 피부 변화, 심리적인 변화로 화장품 소비시장에서 새로운 소비자층으로 부상하고 있는 여고생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최근 인체에 무해한 클린 뷰티에 대한 트렌드가 급부상하면서 화장품 성분에 대한 안전성 및 유해성 인식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여고생의 화장품 안전성 및 유해 성분 인식에 따른 기능성화장품 사용실태를 알아보고자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2003년 이후 2006년 이전에 출생한 여고생 381명 중 미응답 된 설문을 제외한 377명이 최종 분석 대상자로 선정되었으며 고등학교 1학년 60명(15.9%), 고등학교 2학년 207명(54.9%), 고등학교 3학년 110명(29.2%)을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화장품에 대한 안전성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학년별 안전성에 대한 중요도 인식에 대해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는 보통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선행논문 Kim(2019)의 연구와 유사한 결과로 화장품 성분에 대한 안전성 인식은 보통으로 나타났다.
둘째, 화장품 유해 성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학년별 유해 성분에 대한 인식에 대해 살펴본 결과 계면 활성제, 방부제, 합성착색료, 합성향료, 미네랄오일에 대한 유해성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Lee(2016)의 연구에서 화장품 유해성 우려도 순위에서 계면활성제, 합성착색료에 대한 유해성 우려가 크게 나타났고 유해성으로 피해야 할 목록 중 인공향료, 미네랄오일 등을 인식하고 있어 본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낸다.
셋째, 기능성화장품 구매행동을 살펴본 결과 월평균 기능성 화장품 구매 비용은 1만원 미만에서 3만원 미만이며, 현재 사용 중인 기능성화장품을 다중 선택하게 하였을 때 자외선차단제 234명(73.6%)으로 대다수 차지하였고 여드름 완화 186명 (58.5%), 미백 137명(43.1%), 주름개선 5명(1.6%), 탈모 4명 (1.3%) 순으로 나타났다. 평소 관심 있는 기능성화장품은 여드름 완화 화장품이 159명(50%)으로 대다수 차지하였고 자외선 차단제 82명(25.8%), 미백 68명(21.4%), 주름개선 46명(14.5%), 탈모(1.3%) 순으로 나타났다. 여고생 대부분이 기능성화장품 구매 시 성분의 효능·효과를 확인하고 피부 고민에 따라 필요한 제품을 계획하며 여러 기능성화장품의 정보를 비교하여 구매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기능성화장품 구매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은 효능·효과, 본인의 피부 유형 및 특성, 사용 후기, 브랜드 순으로 나타났으며, 주변인의 권유가 10.0%인 것으로 나타났을 때 여고생들이 부모에 도움이 아닌 주도적으로 화장품을 직접 비교하여 구매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하는 경로는 애플리케이션과 포털사이트를 통해 대부분 정보를 확인하였다. 이는 매체 정보원으로 TV 광고를 통해 정보를 습득하였으나, 인터 넷의 발달과 함께 모바일 기기의 보급이 확산하면서 소비자가 화장품을 구매하기 전 화장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 후 구매하는 것을 나타낸다(Lee, 2017).
넷째, 화장품 안전성 인식에 따른 기능성화장품 사용실태를 살펴본 결과 여고생 대부분이 안전성 인식이 높을수록 다양한 기능성화장품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외선차단제와 여드름 완화 화장품 순으로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안전성 인식이 높을수록 기능성화장품 구매 시 성분의 효능·효과를 확인하고 구매하며 피부 고민에 따라 필요한 기능성화장품을 계획하여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러 기능성화장품의 정보를 비교하여 구매하고 효능·효과, 본인의 피부 유형 및 특성을 고려하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으나 대부분 여고생이 애플리케이션과 포털사이트 등을 통해 기능성화장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화장품 유해 성분 인식에 따른 기능성화장품 사용실태를 살펴본 결과 합성착색료에 대한 유해성 인식은 피부 고민에 따라 필요한 제품을 계획하여 구매하고 기능성화장품의 정보를 비교하여 구매한다는 것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합성향료에 대한 유해성 인식은 피부 고민에 따라 필요한 제품을 계획하여 구매한다는 것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미네랄오일에 대한 유해성 인식은 기능성화장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하는 경로에 대해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Lee(2016)는 화장품 구매 시 주요성분이나 기능성 성분을 확인하여 구매하는 소비자는 27.4%로 낮게 나타났다. 유해성을 최소화한 제품 구매 이유는 문제성 피부의 적합성, 화장품 성분에 대한 신뢰성 등으로 나타났으나 10대의 유해성 인식이 높게 나타났으므로 유해 성분에 대한 올바른 정보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여섯째, 화장품 안전성 인식에 따라 사용하는 기능성화장품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안전성 인식이 높을수록 기능성화장품 만족도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화장품의 유해 성분인 계면활성제, 방부제, 합성착색료, 합성향료에 대한 만족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화장품 유해 성분 인식에 따라 기능성화장품의 만족도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Lee(2016)는 유해성을 최소화한 화장품은 대체로 가격이 비싸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Lee(2017)연구에서는 화장품 안전성 확인 행동은 화장품 만족도 중 전반적인 품질에 대한 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기능성화장품에 대한 안전성과 유해 성분 인식에 따라 만족도는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위의 결론을 통해 여고생의 화장품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는 보통, 유해 성분에 대한 인식도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자외선차단제와 여드름 완화 화장품의 사용 빈도가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화장품에 안전성 인식이 높을수록 포털사이트, 애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매체를 활용하여 화장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있으며, 청소년의 화장품 사용 연령이 점점 낮아지고 사용량이 증가하는 만큼 화장품 성분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시하고 유해 성분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 프로그램, 콘텐츠 제작 등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청소년들의 피부의 특징을 이해하고 욕구를 파악하여 올바른 화장품 사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등 화장품 안전성 인식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Table 1.
Awareness rate of safety by grade
Category Not at all Not really Average Somewhat Very much Total χ² р
Grade Sophomore of students 0 (0.0) 3 (5.0) 20 (33.3) 24 (40.0) 13 (21.7) 60 (100.0) 8.638 .374
Junior of students 2 (1.0) 20 (9.7) 82 (39.6) 66 (31.9) 37 (17.9) 207 (100.0)
Senior of students 0 (0.0) 6 (5.5) 53 (48.2) 30 (27.3) 21 (19.1) 110 (100.0)
Total 2 (0.5) 29 (7.7) 155 (41.1) 120 (31.8) 71 (18.8) 377 (100.0)
Table 2.
Recognition rate of hazardous ingredients by grade
Category Sophomore of students Junior of students Senior of students Total χ² р
The Harmfulness of surfactant Not at all 0 (0.0) 8 (3.9) 2 (1.8) 10 (2.7) 18.540 .018
Not really 8 (13.3) 33 (15.9) 8 (7.3) 49 (13.0)
Average 35 (58.3) 116 (56.0) 57 (51.8) 208 (55.2)
Somewhat 14 (23.3) 44 (21.3) 30 (27.3) 88 (23.3)
Very much 3 (5.0) 6 (2.9) 13 (11.8) 22 (5.8)
The Harmfulness of preservatives Not at all 1 (1.7) 8 (3.9) 3 (2.7) 12 (3.2) 8.706 .368
Not really 7 (11.7) 28 (13.5) 9 (8.2) 44 (11.7)
Average 29 (48.3) 87 (42.0) 41 (37.3) 157 (41.6)
Somewhat 18 (30.0) 68 (32.9) 40 (36.4) 126 (33.4)
Very much 5 (8.3) 16 (7.7) 17 (15.5) 38 (10.1)
The Harmfulness of cololrants Not at all 1 (1.7) 10 (4.8) 2 (1.8) 13 (3.4) 12.553 .128
Not really 4 (6.7) 24 (11.6) 7 (6.4) 35 (9.3)
Average 32 (53.3) 82 (39.6) 40 (36.4) 154 (40.8)
Somewhat 14 (23.3) 65 (31.4) 39 (35.5) 118 (31.3)
Very much 9 (15.0) 26 (12.6) 22 (20.0) 57 (15.1)
The Harmfulness of synthetic perfumes Not at all 2 (3.3) 9 (4.3) 2 (1.8) 13 (3.4) 9.880 .274
Not really 7 (11.7) 32 (15.5) 14 (12.7) 53 (14.1)
Average 31 (51.7) 88 (42.5) 44 (40.0) 163 (43.2)
Somewhat 17 (28.3) 59 (28.5) 31 (28.2) 107 (28.4)
Very much 3 (5.0) 19 (9.2) 19 (17.3) 41 (10.9)
The Harmfulness of mineral oil Not at all 2 (3.3) 16 (7.7) 3 (2.7) 21 (5.6) 14.343 .073
Not really 6 (10.0) 37 (17.9) 15 (13.6) 58 (15.4)
Average 39 (65.0) 112 (54.1) 57 (51.8) 208 (55.2)
Somewhat 11 (18.3) 33 (15.9) 23 (20.9) 67 (17.8)
Very much 2 (3.3) 9 (4.3) 12 (10.9) 23 (6.1)
Total 60 (100.0) 207 (100.0) 110 (100.0) 377 (100.0)
Table 3.
Usage surveys of cosmeceutical
Category Frequency (N) Percentage (%)
Purchase status I’ve used it 318 84.4
I haven’t used it 59 15.6
Purchase cost Less than 10,000 won 88 27.7
10,000 won to less than 20,000 won 108 34.0
20,000 won to less than 30,000 won 79 24.8
30,000 won to less than 40,000 won 24 7.5
Over 50,000 won 19 6.0
Types of cosmeceutical in use (Multiple choices available) Sunblock 234 73.6
Whitening 137 43.1
Wrinkle-improving 46 14.5
Acne 186 58.5
Hair loss 4 1.3
Types of interest in cosmeceutical Sunblock 82 25.8
Whitening 68 21.4
Wrinkle-improving 5 1.6
Acne 159 50.0
Hair loss 4 1.3
Check efficacy and effect then purchase Very much 119 37.4
Somewhat 136 42.8
Average 48 15.1
Not really 13 4.1
Not at all 2 0.6
Plan to purchase the products that are necessary depending on skin concerns Very much 128 40.3
Somewhat 130 40.9
Average 55 17.3
Not really 4 1.3
Not at all 1 0.3
Compare svarious cosmeceutical information before purchase Very much 124 39.0
Somewhat 126 39.6
Average 58 18.2
Not really 10 3.1
Not at all 0 0
The most important thing when purchasing cosmeceutical (Multiple choices available) Brand 71 22.3
Effect 238 74.8
Solicitation of people 32 10.1
Skin type 221 69.5
User reviews 187 58.8
Paths for checking information on cosmeceuticals Search portal sites (ex. Naver) 116 36.5
Application (ex. Hwahae) 136 42.8
Advertisement (ex. SNS) 49 15.4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Website 7 2.2
Products Affected Website 10 3.1
Table 4.
The usage status of high school girl's perception of cosmetics safety
Category Safety
χ² р
Not at all Not really Average Somewhat Very much
Types of cosmeceutical in use (Multiple choices available) Sunblock 1(0.3) 17(4.5) 108(28.6) 88(23.3) 53(14.1) - -
Whitening 2(0.5) 15(4.0) 63(16.7) 51(13.5) 26(6.9)
Wrinkle-improving 0(0.0) 1(0.3) 21(5.6) 21(5.6) 9(2.4)
Acne 1(0.3) 16(4.2) 93(24.7) 68(18.0) 41(10.9)
Hair loss 0(0.0) 1(0.3) 2(0.5) 0(0.0) 1(0.3)
Check efficacy and effect then purchase Not at all 1(50.0) 0(0.0) 1(0.6) 0(0.0) 1(1.4) 99.810 .000
Not really 0(0.0) 1(3.4) 9(5.8) 7(5.8) 2(2.8)
Average 0(0.0) 5(17.2) 41(26.5) 19(15.8) 5(7.0)
Somewhat 0(0.0) 14(48.3) 65(41.9) 55(45.8) 19(26.8)
Very much 1(50.0) 9(31.0) 39(25.2) 39(32.5) 44(62.0)
Plan to purchase the products that are necessary depending on skin concerns Not at all 1(50.0) 0(0.0) 0(0.0) 0(0.0) 1(1.4) 141.813 .000
Not really 0(0.0) 2(6.9) 5(3.2) 0(0.0) 0(0.0)
Average 0(0.0) 4(13.8) 45(29.0) 17(14.2) 7(9.9)
Somewhat 0(0.0) 15(51.7) 58(37.4) 63(52.5) 19(26.8)
Very much 1(50.0) 8(27.6) 47(30.3) 40(33.3) 44(62.0)
Compare svarious cosmeceutical information before purchase Not at all 0(0.0) 0(0.0) 1(0.6) 0(0.0) 1(1.4) 36.546 .002
Not really 0(0.0) 3(10.3) 9(5.8) 3(2.5) 3(4.2)
Average 0(0.0) 6(20.7) 45(29.0) 19(15.8) 6(8.5)
Somewhat 0(0.0) 11(37.9) 57(36.8) 57(47.5) 21(29.6)
Very much 2(100.0) 9(31.0) 43(27.7) 41(34.2) 40(56.3)
The most important thing when purchasing cosmeceutical (Multiple choices available) Brand 2(2.5) 7(8.9) 33(41.8) 23(29.1) 14(17.7) - -
Effect 1(0.4) 20(7.1) 113(40.2) 96(34.2) 51(18.1)
Solicitation of people 1(2.6) 3(7.9) 17(44.7) 12(31.6) 5(13.2)
Skin type 1(0.4) 16(6.3) 111(43.7) 82(32.3) 44(17.3)
User reviews 1(0.5) 20(9.2) 94(43.1) 72(33.0) 31(14.2)
Paths for checking information on cosmeceuticals Search portal sites (ex. Naver) 1(50.0) 14(48.3) 61(39.4) 40(33.3) 26(36.6) 16.209 .438
Application (ex. Hwahae) 0(0.0) 7(24.1) 55(35.5) 56(46.7) 33(46.5)
Advertisement (ex. SNS) 1(50.0) 8(27.6) 26(16.8) 17(14.2) 9(12.7)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Website 0(0.0) 0(0.0) 5(3.2) 4(3.3) 1(1.4)
Products Affected Website 0(0.0) 0(0.0) 8(5.2) 3(2.5) 2(2.8)
Table 5.
The usage status of high school girl's perception of cosmetics hazardous ingredients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B S.E. β t p
Check efficacy and effect then purchase (constant) 2.752 0.193 ? 14.268 .000
The Harmfulness of surfactant 0.095 0.074 .087 1.280 .201
The Harmfulness of preservatives 0.078 0.076 .081 1.027 .305
The Harmfulness of cololrants 0.141 0.075 .153 1.892 .059
The Harmfulness of synthetic perfumes 0.150 0.079 .159 1.889 .060
The Harmfulness of mineral oil -0.085 0.076 -.084 -1.122 .263
F=10.919 (p<.000), ==.128, adj==.117, D-W==1.935
Plan to purchase the products that are necessary depending on skin concerns (constant) 2.737 0.171 ? 16.004 .000
The Harmfulness of surfactant 0.137 0.066 .137 2.074 .039
The Harmfulness of preservatives 0.019 0.068 .021 0.278 .781
The Harmfulness of cololrants 0.160 10.066 .190 2.416* .016
The Harmfulness of synthetic perfumes 0.172 0.070 .200 2.438* .015
The Harmfulness of mineral oil -0.074 0.067 -.081 -1.108 .269
F=15.825 (p<.000), ==.176, adj==.165, D-W==2.044
Compare svarious cosmeceutical information before purchase (constant) 2.831 0.192 ? 14.715 .000
The Harmfulness of surfactant 0.056 0.074 .052 0.760 .448
The Harmfulness of preservatives 0.009 0.076 .010 0.124 .902
The Harmfulness of cololrants 0.175 0.074 .191 2.353* .019
The Harmfulness of synthetic perfumes 0.154 0.079 .165 1.943 .053
The Harmfulness of mineral oil -0.036 0.075 -.036 -0.471 .638
F=10.167 (p<.000), ==.121, adj==.109, D-W==1.902
Paths for checking information on cosmeceuticals (constant) 1.715 0.222 ? 7.733 .000
The Harmfulness of surfactant -0.004 0.085 -.003 -0.042 .967
The Harmfulness of preservatives -0.111 0.088 -.105 -1.262 .208
The Harmfulness of cololrants 0.003 0.086 .003 0.037 .970
The Harmfulness of synthetic perfumes -0.011 0.091 -.011 -0.119 .905
The Harmfulness of mineral oil 0.209 0.087 .191 2.402* .017
F=1.687 (p<.000), ==022, adj==.009, D-W==1.764

* p<.05,

** p<.01,

*** p<.001

Table 6.
Satisfaction of cosmetics safety and hazardous ingredient
Category Safety
Total χ² р
Not at all Not really Average Somewhat Very much
Safety Not at all 0 (0.0) 0 (0.0) 0 (0.0) 2 (1.2) 0 (0.0) 2 (0.5) 25.154 .067
Not really 0 (0.0) 2 (12.5) 10 (6.9) 15 (9.1) 2 (3.9) 29 (7.7)
Average 0 (0.0) 5 (31.3) 73 (50.3) 64 (39.0) 13 (25.5) 155 (41.1)
Somewhat 1 (100.0) 6 (37.5) 41 (28.3) 55 (33.5) 17 (33.3) 120 (31.8)
Very much 0 (0.0) 3 (18.8) 21 (14.5) 28 (17.1) 19 (37.3) 71 (18.8)
The Harmfulness of surfactant Not at all 1 (100.0) 1 (6.3) 2 (1.4) 4 (2.4) 2 (3.9) 10 (2.7) 66.447 .000
Not really 0 (0.0) 4 (25.0) 18 (12.4) 25 (15.2) 2 (3.9) 49 (13.0)
Average 0 (0.0) 6 (37.5) 95 (65.5) 83 (50.6) 24 (47.1) 208 (55.2)
Somewhat 0 (0.0) 3 (18.8) 24 (16.6) 46 (28.0) 15 (29.4) 88 (23.3)
Very much 0 (0.0) 2 (12.5) 6 (4.1) 6 (3.7) 8 (15.7) 22 (5.8)
The Harmfulness of preservatives Not at all 1 (100.0) 0 (0.0) 3 (2.1) 7 (4.3) 1 (2.0) 12 (3.2) 69.245 .000
Not really 0 (0.0) 6 (37.5) 21 (14.5) 17 (10.4) 0 (0.0) 44 (11.7)
Average 0 (0.0) 4 (25.0) 67 (46.2) 65 (39.6) 21 (41.2) 157 (41.6)
Somewhat 0 (0.0) 3 (18.8) 44 (30.3) 63 (38.4) 16 (31.4) 126 (33.4)
Very much 0 (0.0) 3 (18.8) 10 (6.9) 12 (7.3) 13 (25.5) 38 (10.1)
The Harmfulness of cololrants Not at all 1 (100.0) 1 (6.3) 3 (2.1) 7 (4.3) 1 (2.0) 13 (3.4) 44.064 .000
Not really 0 (0.0) 2 (12.5) 14 (9.7) 17 (10.4) 2 (3.9) 35 (9.3)
Average 0 (0.0) 7 (43.8) 69 (47.6) 58 (35.4) 20 (39.2) 154 (40.8)
Somewhat 0 (0.0) 2 (12.5) 44 (30.3) 57 (34.8) 15 (29.4) 118 (31.3)
Very much 0 (0.0) 4 (25.0) 15 (10.3) 25 (15.2) 13 (25.5) 57 (15.1)
The Harmfulness of synthetic perfumes Not at all 1 (100.0) 1 (6.3) 4 (2.8) 6 (3.7) 1 (2.0) 13 (3.4) 50.585 .000
Not really 0 (0.0) 4 (25.0) 23 (15.9) 22 (13.4) 4 (7.8) 53 (14.1)
Average 0 (0.0) 4 (25.0) 78 (53.8) 62 (37.8) 19 (37.3) 163 (43.2)
Somewhat 0 (0.0) 4 (25.0) 31 (21.4) 55 (33.5) 17 (33.3) 107 (28.4)
Very much 0 (0.0) 3 (18.8) 9 (6.2) 19 (11.6) 10 (19.6) 41 (10.9)
The Harmfulness of mineral oil Not at all 1 (100.0) 1 (6.3) 6 (4.1) 9 (5.5) 4 (7.8) 21 (5.6) 34.348 .005
Not really 0 (0.0) 4 (25.0) 27 (18.6) 23 (14.0) 4 (7.8) 58 (15.4)
Average 0 (0.0) 9 (56.3) 84 (57.9) 88 (53.7) 27 (52.9) 208 (55.2)
Somewhat 0 (0.0) 0 (0.0) 23 (15.9) 35 (21.3) 9 (17.6) 67 (17.8)
Very much 0 (0.0) 2 (12.5) 5 (3.4) 9 (5.5) 7 (13.7) 23 (6.1)

References

Chung, I. J. (2007).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Adolescent Self-Esteem and Their Predictors. Studies on Korean Youth, 18:127-166.
Cosmetics Industry Analysis Report, 2020, KHIDI.
Ha, J. Y. (2011). Use of cosmetics and Purchasing Behavior among High School Girls.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Jang, M. A., & Lee, J. M. (2021). Research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dustrial trends of functional cosmetics.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38(2), 618-627.
Jang, O. S., & Park, A. N. (2017 A Study on the Use of Cosmetics in Adolescents-Girl Stud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Korean Beauty Management Journal, ISSN : 2287-9056. 79-89.
Jang, S. M., & Kim, J. D. (2013). A Study on the Use Realities and Purchasing Behaviors of Cosmetics in Adolescents. J. Soc. Cosmet. Scientistes Korea, 40(1), 55-88.
crossref
Jeong, S. H. (2021).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Purchasing Behavior of Cosmetics, Master's thesis. Sungshin University, Seoul.
Jo, M. K., & Lee, E. K. (2013). The Effect of Appearance Satisfaction on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ship Experience Mediation-Focusing on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aching Psychology, 4(2), 57-69.
crossref
Kim, H. W. (2011). A study on the use realities and the purchasing behavior of cosmetics in middle-school girls.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im, N. J. (2019). A Study on High School Students’ Recognition on the Cosmetics Component Labeling System. Journal of Beauty Art Management, 13:69-90.
Kim, S. H. (2008). A Study on Middle School Girls' Cosmetic Application and Buying Pattern : a comparative research on middle school girls in Seoul and Paris.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Comestic Association. (2022). (Data search date: 2022.04.10.). http://kcia.or.kr.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Cosmetics Act. (Data search date: 2021.10.25.). www.law.go.kr.
Lee, E. J. (2017). The Effect of safety checking behavior for cosmetics ingredients on consumer’s purchase behavior.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Lee, H. J. (2016). Perception and Study of Harmfulness of Cosmetic Products,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Lee, H. K. (2017). The Effects of Perceptions and Purchase Behavior Regarding Cosmeceutical and Medical Products on Satisfaction.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Lee, Y. E. (2021). Studies on the Usage Period of Cosmetics and Awareness of Fafety Focusing on Wonen in Their 20s.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Gyeonggi.
Lee, S. H., Hong, E. S., Lee, J. D., Cho, S. H., Woo, Y. R., & Kim, H. S. (2020). Usage and Awareness of “Color Cosmetics” and Acne-targeting Cosmetics i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Dermatology, 58:174-178.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08.
Moon, S. H., Han, S. S., Kim, Y. H., Yoo, W. K., & Kim, K. H. (2018). Cosmetic Safety Awareness: a Comparison between General Consumers and Skin Care Workers. Journal of investigatine Cosmetology, 14(3), 343-350.
Park, Y. J., Byun, H. J., & Lee, J. (2012). A study on the design of cosmetics package for teenage male youth. Journal Korea Society of Visual Design Forum, 36:171-180.
Shin, D. H., & Kim, S. H. (2019). Influence of Acne Skin on Teenager's Stress, Depression, and Self-esteem -Focus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9(10), 264-271.
Sim, S. H., & Lee, K. K. (2021). A Study on the Factors of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for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7(4), 920-931.
crossref pdf
Yoon, J. S., & Lee, J. H. (2018). The effect of the Interest of Cosmetics on Middle School Girl’s Purchase Satisfaction-Purchasing Behavior and informatization Level as Control Variable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2), 121-131.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10-2825-6735   Fex: +82-62-950-3797    E-mail: beauty2007@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