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yurveda Tridosha를 근거로한 블렌딩 에센셜 오일 적용이 복부 불편감 해소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Blending Essential Oil on Abdominal Discomfort Using Ayurveda Tridosha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Cosmetol. 2022;28(4):846-854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2 August 23
doi : https://doi.org/10.52660/JKSC.2022.28.4.846
1Ph.D., Complete of Cosmetology Science, Nambu University
2Professor, Department of Cosmetology Science, Nambu University
우은헤1, 정숙희2,
1남부대학교 대학원 향장미용학과, 박사수료
2남부대학교 향장미용학과, 교수
*Corresponding author: Sook-Heui Jung Tel : +82-62-970-0138 E-mail : turiyaa100@naver.com
본 연구는 석사학위 논문의 일부를 발췌하여 편집한 것임
Received 2022 May 30; Revised 2022 July 14; Accepted 2022 August 11.

Trans Abstract

To find out the effect of abdominal discomfort using Blending Essential oil and abdominal discomfort Using Ayurvbeda Tridosha (Vata, Pitta, Kapha), of 45 female students in their 20s treated for abdominal discomfort, the control group applied Carrier Sweet Almond Oil and the first group of experiments applied Lavender, Juniper, Fennel, Cinnamon, Grapefruit, Marjoram to Carrier Sweet Almond Oil. the second group of experiments applied Lavender, Clary Sage, Rosemary, Lemon Gras, Grapefruit, Peppermint to Carrier Sweet Almond Oil and made them apply on the abdomen three times a day and for three days from the date of abdominal discomfort. As a result, 2.22 points (t=6.494, p<.001) decreased the most in the second group of experiments, and Kappa decreased by 4.00 points (t=4.536, p<.05),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bdominal discomfort according to Ayurveda's Tridosha constitution. As a result, the reduction of abdominal discomfort was verified, and the application of Blending Essential oil according to Ayurveda's Tridosha constitution is presented as clinical basic data that can screen abdominal discomfort.

I. 서 론

시대적 요구에 힘입어 여성들의 경제 활동과 사회 활동 등 역할이 확장됨에 따라 생활 건강관리가 요구 되고 있다. 그 중 여성들이 매월 월경으로 겪는 복부 불편감이 80% 이상이며, 부정적인 인식이 82.9%로 월경통을 해소하기 위한 좋은 방법으로 ‘진통제를 복용한다’ 였으나, 대상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방법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으며(Lim, 2018), 많은 여성들이 월경으로 인한 복부 불편감의 해결방안으로 복용하는 약물의 오남용은 심각한 수준에 와 있는 실정이다(Han & Lee, 2011). 또한 여성들의 특별한 질환은 없으나 월경 전 또는 월경 직후 복부 불편감이 발생하여 48~72시간 정도 지속되는 점을(Cheon & Lim, 2013) 고려할 때, 사회진출을 앞두고 매월 월경으로부터 가장 밀접한 만 20대 여성들에게는 대체 방법이 시급한 실정이다. 최근에는 육체적, 정신적, 감정적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식물추출물인 자연유래성분 에센셜 오일을 적극 활용하여 피부 및 인체의 고민을 해소하려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에센셜 오일을 적용한 Aroma therapy는 고대부터 현대까지 피부미용분야에 널리 이용되고 있고 유럽에서는 오래전부터 행해져온 자연요법이며, 후각과 피부를 통해 정신과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시켜주기 때문에 현재 뷰티 케어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40~50%가 에센셜 오일을 사용하고 있고, 다양한 성질을 가진 에센셜 오일의 특유 성질로 인해 블렌딩 했을 때 더 시너지 효과를 볼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Choi et al., 2010; Kim et al., 2011).

이와 더불어 현대사회에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는 Ayurveda Tridosha는 많은 학자들에 의해 가장 오래된 생명 과학으로, 우리 일상의 삶 관계에 조화, 행복, 기쁨, 만족을 가져다주는 통찰의 기술이며, 우리의 신체는 생물학적 기질인 공기, 불, 물 세 가지 원소로 다스려지는데, 신체의 3가지 속성을 살펴보면, Vata dosha(공기)는 골격이 가늘고 가벼운 속성으로 피부와 머리카락은 건조하고, 손발이 차며 장에서 가장 많이 머물기 때문에 자주 변비와 가스가 차고, 소화력이 약하며(Jung, 2014), Pitta dosha(불)는 중간 체격과 부드러운 근육 조직을 가지고, 신진대사가 매우 빠르며, 피부와 머리카락은 부드럽고 따뜻하고 지나치게 땀을 흘리는 편이고, 소화를 담당하며(Kim et al., 2011), Kapha dosha(물)는 무거운 속성으로 신진대사가 느리며 말 또한 느리고, 저장을 담당하며, 가장 많이 머무는 위장에서 음식물 소화가 천천히 이루어져, 비만이 되기 쉬운 특징을 가지고 있다(Kim et al., 2015). 이처럼 Ayurveda는 3가지 Tridosha (Vata dosha, Pitta dosha, Kapha dosha)의 균형을 도모하는 것으로 몸과 마음을 치료하는 원리이며(Won, 2008), 최근에는 Ayurveda와 Aroma therapy가 함께 뷰티케어로 활용되고 있다. Ayurveda의 Aroma therapy 특징은 기능적, 화학적 제품이 피부에 대한 압박 마찰이 아닌 가벼운 에너지 전달로 에센셜 오일이 가지고 있는 특유의 에너지를 피부 깊숙이 침투시켜 아름답게 관리하는 기법으로(Jung, 2014) 선호하고 있다.

본 연구는 월경으로부터 복부 불편감을 호소하고 진료를 받은 여성들을 대상으로 각각 다른 블렌딩 에센셜 오일을 복부에 적용하여 복부 불편감 해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 선행 연구(Cho et al., 2004; Kim et al., 2008)를 근거로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재구성하였다.

첫째, 복부 불편감 특성 및 대처 방법을 조사하고, 연구 비교를 위해 대조군, 실험 1군과 실험 2군으로, 대조군은 Sweet Almond Oil만 적용, 실험1군은 Sweet Almond Oil에 Lavender, Juniper, Fennel, Cinnamon, Grapefruit, Marjoram을, 실험 2군은 Sweet Almond Oil에 Lavender, Clary Sage, Rosemary, Lemon Grass, Grapefruit, Peppermint을 블렌딩 하여 복부 불편감 해소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둘째, 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함으로써 Ayuveda Tridosha 3가지 속성(Vata dosha, Pitta dosha, Kapha dosha)을 근거로한 블렌딩 에센셜 오일 적용이 복부 불편감 해소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II. 재료 및 방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블렌딩 에센셜 오일 적용이 복부 불편감 해소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된 실험 연구로 비동등성 대조군 전 ּ 후 설계(Nonequivalent control pretest-posttest design) 이다. 연구대상자 20대 여성 45명을 대상으로 연구기간은 Lee et al.(2008)연구를 참고하여 2018년 2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약 8주간 실시하였다. 사전 안전성 평가를 위해 연구대상자에게 전박부에 24시간동안 Top chamber를 첩포한 다음 첩포를 제거 후 1시간동안 피부 자극 안전성 여부를 Test 하였다. 안전성에 통과되면 2차 첩포시험 48시간 동안 부착한 다음 제거하여 Test 판독한 뒤 피부자극 평가 기준은 5등급으로 구분하여 국제접촉피부염 연구회(ICDRG)의 기준에 의해 피부자극 유무를 확인 후 진행되었다(Table 1).

Research and design

2. 연구 대상자

본 임상 연구의 대상자는 광주 지역 N대학 20대 여성 45명을 대상으로 학교 내 내과에 내원한 학생 중 복부 불편감으로 진찰을 받은 자로, 게시판을 통해 모집공고를 실시하였다. 실험은 남부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IRB)에서 심의결과(승인번호1041478-2018-BR-001)를 거쳐 승인 결정된 후 8주간 실시하였다. 연구를 희망하는 지원자는 연구책임자와 연구자가 연구 방법을 충분히 설명하고, 연구의 목적과 취지를 이해하며 대상자가 연구 참여에 동의한 자와 연구기준에 적합한 자(치료 및약물 복용하지 않는 자, 급·만성피부 질환이나 아토피 등 특정한 질병이 없는 자, 관리실에서 관리를 받고 있지 않는 자)로 최종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자 수는 Lee et al.(2008) 참고하여 대조군 15명, 실험1군 15명, 실험2군 15명으로 총 45명을 편의 표집 하였다.

3. 연구 방법

1) 연구 재료 및 적용 방법

(1) 연구 재료

본 연구에 적용한 모든 에센셜 오일은 세계적으로 공인 재배기관과 연구기관에서 안정성 및 품질을 인정받은 독일 ㈜ 프리마베라 라이프의 제품의 2018년도 순수 100% 독일 Primavera 사 에센셜 오일로, 대조군은 Sweet Almond Oil 적용하였고, 실험 1군은 Carrier Sweet Almond Oil에 Lavender(Lavandula angustifolia), Cinnamon(Cinnamonamverum), Marjoram(Origanummajorana), Juniper(Juniperus), Fennel(Foeniculum vulgare), Grapefruit(Citrus Paradisi)를 적용하였으며, Kim(2011) 연구의 에스트로겐 속성 Fennel과 Naa & Jeong(2008)의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 성분의 Cinnamon과 Juniper의 배농 효과를 근거로 제시할 수 있다. 실험 2군은 Carrier Sweet Almond Oil에 Lavender(Lavandula angustifolia), ClarySage(Salvia sclarea), Rosemary(Rosmarinus), Lemon Grass(Cymbopogon citratus), Grapefruit(Citrus Paradisi), Peppermint(Mentha piperita)을 적용하였으며, Kim et al.(2008)연구의 에스트로겐 속성 ClarySage와 Jeong(2014)의 d-limonene(리모넨)이 84% 함유된 Grapefruit 림프촉진 작용과 Cho et al.(2004)의 Peppermint 진통 작용에 효과를 근거로 하여 선택 적용하였다(Table 2).

Essential oil by group for research materials

(2) 적용 방법

에센셜 오일 혼합은 국제아로마테라피협회(IFA) 권장 블렌딩 기준 2%를 에센셜 오일은 1drop > 1방울이며, 1ml > 20방울 비율로 블렌딩 하며, 캐리어 오일 양에 따른 에센셜 오일의 농도는 10ml=200방울이므로 캐리어 오일 50ml에 에센셜 오일 2방울이 0.5%로의 농도가 된다. 본 연구에서 대조군은 Sweet almond Oil을, 실험1군은 Carrier Sweet Almond Oil에 Lavender (0.05%), Juniper(0.05%), Fennel(0.1%) Cinnamon(0.1%), Grapefruit (0.1%), Marjoram(0.1%) 비율로 블렌딩 하였고, 실험2군은 Lavender(0.05), Clary Sage(0.1%), Rosemary(0.1%), Lemon Grass(0.05%), Grapefruit(0.1%), Peppermint(0.1%) 비율로 블렌딩하여 갈색 스포이드 유리공병에 50cc씩 각각 담아 연구 대상자에게 제공하였다.

먼저 연구에 들어가기 전, 본 대학 실습실에서 블렌딩 에센셜 오일 적용 방법을 설명하고, 연구자 지도하에 적용 방법을 충분히 인지한 뒤 실행하였다. 첫째, 코로 흡입하고 후각을 통한 향기요법으로, 블렌딩 에센셜 오일을 코에 한 방울 발라주며 복식호흡 3회 실시한다. 두 번째, 피부를 통한 흡수요법으로 블렌딩 에센셜 오일을 1회 5ml(1스포이드) 일정한 간격으로, 하루 3회, 총 3일동안 9회 배꼽을 중심으로 하복부 전체에 자가 도포한다. 이 때 일정한 양을 도포할 수 있도록 스포이드 타입으로 제공하였다. 세 번째, 설문지를 통해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도포 후 15분, 24시간, 72시간 경과 후 복부 불편감 해소에 대한 VAS 척도를 측정하고, 설문지 만족도를 실시하였다.

2) 복부 불편감 효과 검증 방법

효과 검증 방법은 첫째, 복부 불편감 특성 8문항(Jung et al., 2017)과 대처 방법 3문항(Kim, et al., 2000)에 대해 분석하였다 (Table 3). 둘째, 복부 불편감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menstrual distress questionnaire: MDQ) 상사척도(VAS; VisualAnalogue Scale)에 ‘복부 불편감 없음’ 0점부터 ‘복부 불편감 심함’ 10점을 기준으로(Moos, 1968), 사전 복부 불편감을 알아보기 위해각 연구 대상자들은 여성들의 주기가 시작되는 1일째, 2일째, 3 일째, 복부 불편감을 해당되는 수평선상 척도에 자가 측정 하였고, 주기가 시작되는 1일부터 3일까지 블렌딩 에센셜 오일 적용 직전과 적용 후 복부 불편감을 측정하였다. 총 9개의 수평 선상 척도에 연구 대상자가 지난달·사전·사후를 체크하여 표기하도록 하였으며, 사전 복부 불편감의 동질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Research method

셋째, Ayurveda Tridosha를 근거로한 측정 도구 PSI(Psychiatric Syrnptom Index)는 연구책임자(임상 경력 15년)와 연구자(임상 경력 6년)가 Esthetic Shop에서 현장 경력을 토대로 본 대학 실습실에서 참여하에 연구대상자가 18문항에 해당 되는 곳에 표기하도록 하였고(Naa & Jeong, 2008; Jeong, 2014; Kim et al., 2015), 총 6개의 수평선상 척도에 사전·사후를 체크하여 표기하도록 하였으며, 복부 불편감 상사척도는 총 15개로 효과 검증하였다.

넷째, 복부 불편감(VAS 척도) 측정이 끝나면, 만족도 평가를 위해 복부 불편감 효과, 지속적 사용 의향 및 부작용, 약물 복용 의향, 블렌딩 에센셜 오일 권유 의향, 만족도 총 6문항(Cho et al., 2004; Kim & Kim, 2012) 설문지에 체크하여 평가하였다. 설문지 문항은 총 52문항으로, 복부 불편감 특성 10문항, 복부 불편감 대처방법 3문항, 복부 불편감 사전·사후 척도 15문항, Ayurveda Tridosh 세 가지 속성 18문항, 만족도 6문항의 사후 만족도 조사 실시 후 제출하도록 하였다(Table 3).

4. 연구 자료 분석

수집된 자료 분석 통계처리는 데이터 코딩(data coding) 과정과 데이터 크리닝(data cleaning)을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인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 21.0로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복부 불편감 특성 및 대처 방법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집단간 복부 불편감에 대한 사전 동질성 검증을 위하여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셋째, 집단별 블렌딩 에센셜 오일에 따른 복부 불편감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서 대응표본 t-test를 진행하였고, 사후 복부 불편감에 감소가 있는지 측정하기 위해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 및 사후검정 방법으로 Duncan test를 진행하였다. 넷째, Ayurveda Tridosha를 근거로 한 복부 불편감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넷째, 집단별 블렌딩 에센셜 오일 적용 후 만족도 결과값을 구하고자 교차분석을 진행하였다.

III. 결과 및 고찰

1. 연구 대상자 복부 불편감 특성 및 대처 방법

1) 연구 대상자 복부 불편감 특성

연구대상자의 복부 불편감 특성에 대해 분석한 결과 총 45명 중 연령은 82.2%가 20-22세로 나타났고, 초경연령은 13-14세가 57.8%로 가장 많았으며 월경주기는 53.3%가 28-30일 주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월경기간은 48.9%가 6-7일로 나타났고, 월경량은 51.1% 많은 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복부 불편감이 가장 심한 날은 월경 첫날, 51.1%가 가장 심한 것으로 나타나 Cheon & Lim(2013)연구와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복부 불편감으로 신체에 나타는 증상 중 46.7%가 하복부인 것으로 나타났고, 48.9%가 규칙적이다가 한번씩 불규칙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생식기 질병은 93.3%가 질병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Essential Oil 알러지 경험은 100.0% 모두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

Study subjects' abdominal characteristics

2) 대처 방법

복부 불편감 대처 방법을 분석한 결과, 42.2%가 약물복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약물복용 시 효과는 31.1%가 약간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Table 5).

Methods for coping with abdominal discomfort

2. 복부 불편감에 대한 사전 동질성 검증

복부 불편감에 대한 동질성 검증 결과 실험1군이 5.60±0.97점, 실험2군이 5.62±0.92점, 대조군이 5.53±1.01점 순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5). 즉, 대조군과 실험1군, 실험2군의 복부 불편감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어 동질성이 검증되었다(Table 6).

Homogeneity test for abdominal discomfort last month

3. 블렌딩 에센셜 오일 적용이 복부 불편감 해소에 미치는 효과

10점의 10점 척도로 측정하였으며, 평균 점수가 높을 수록 복부 불편감이 심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복부 불편감에 있어서는 실험1군이 5.60±0.97점, 실험2군이 5.62±0.92점, 대조군이 5.53±1.01점 순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p>.05). 즉, 대조군과 실험1군, 실험2군의 복부 불편감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어 동질성이 검증되었으며, 대조군의 경우 사전 평균 5.53±1.01점에서 사후 평균 5.11± 0.95점으로 0.42점 감소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t=1.697, p>.05). 반면 실험1군의 경우 사전 평균 5.60±0.97점에서 사후 평균 4.53±0.92점으로 1.07점 감소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t=4.374, p<.01), 실험2군의 경우도 사전 평균 5.62±0.92점에서 사후 평균 3.40±1.45점으로 2.22점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t=6.494, p<.001). 즉 만 적용한 대조군의 경우 평균 5.11±0.95점에 비해 즉 Sweet Almond Oil만 나타났으며 (Lavender, Clary Sage, Rosemary, Lemon Grass, Grapefruit, Peppermint)를 Sweet Almond Oil에 1%로 블렌딩하여 적용한 실험2군이 가장 효과적으로 나타났다(Table 7).

Effect of blending essential oil on abdominal discomfort

집단 간 사후 복부 불편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F=8.852, p<.01), 실험2군의 경우 상대적으로 실험 후 복부 불편감 해소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볼 수 있다(Table 8).

Differences in abdominal discomfort before and after between groups

지금까지 복부 불편감으로 인한 연구 사례를 보면 Hyeon & Heo(2004) 연구에서는 Lavender, Clary Sage, Marjoram, Rose를 Almond Oil에 3% 블렌딩, Cho et al.(2004) 연구에서 Geranium과 Lavender를 자가 적용하여 총 1.7점 감소로 나타났다. Kim et al.(2008) 연구는 Rose Geranium, Clary Sage, Cyprus, Juniper Berry, Chamomile Roman, Ginger를 Oil과 Lotion의 형태로 제공 자가적용하여 Aroma Oil군은 총 2.0점 감소, Aroma lotion군은 총 2.0점 감소효과를 나타냈다.

4. Ayurveda Tridosha를 근거로한 블렌딩 에센셜 오일 적용이 복부 불편감 해소에 미치는 효과

1) Vata dosha를 근거로한 블렌딩 에센셜 오일 적용이 복부 불편감 해소에 미치는 효과

대조군의 경우 사전 평균 5.67±0.94점에서 사후 평균 5.67±0.94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t=0.000, p>.05). 실험1군의 경우 사전 평균 5.44±1.35점에서 사후 평균 4.22±0.69점으로 1.22점 감소하였고(t=2.750, p>.05), 실험2군의 경우도 사전 평균 5.33±0.33점에서 사후 평균 4.33±1.20점으로 1.00점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t=1.964, p>.05). 즉, Vata dosha에 따른 연구대상자의 경우 대조군과 실험1군, 실험2군 모두 사전에 비해 사후 복부 불편감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Table 9).

Effects of vata dosha blending essential oil on abdominal discomfort

2) Pitta dosha를 근거로한 블렌딩 에센셜 오일 적용이 복부 불편감 해소에 미치는 효과

대조군의 경우 전 평균 5.43±0.71점에서 사후 평균 5.24±1.21점으로 0.19점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며(t=0.730, p>.05), 실험1군의 경우도 사전 평균 5.38± 0.91점에서 사후 평균 4.52±0.77점으로 0.86점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t=1.800, p>.05). 반면 실험2군의 경우 사전 평균 5.89±0.94점에서 사후 평균 3.85±0.85점으로 2.04점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t=8.538, p<.001), 즉, Pitta dosha 경우 실험2군 블렌딩 에센셜 오일이 가장 효과적인 결과로 나타났다(Table 10).

Effects of pitta dosha blending essential oil on abdominal discomfort

3) Kapha dosha를 근거로한 블렌딩 에센셜 오일 적용이 복부 불편감 해소에 미치는 효과

대조군의 경우 사전 평균 5.61±1.44점에서 사후 평균 4.78±0.54점으로 0.83점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t=1.576, p>.05). 반면 실험1군의 경우 사전 평균 6.00±0.91점에서 사후 평균 4.73±1.32점으로 1.27점 감소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t=5.171, p<.01). 실험2군의 경우도 사전 평균 5.11±1.17점에서 사후 평균 1.11± 0.51점으로 4.00점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t=4.536, p<.05). 즉, 실험2군이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Table 11).

Effects of kapha dosha blending essential oil on abdominal discomfort

5. 블렌딩 에센셜 오일 적용 후 복부 불편감 만족도

분석결과 복부 불편감 효과, 지속적 사용의향, 권유의향, 만족도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먼저 복부 불편감 효과에 있어서는 실험2군의 경우 80.0%, 실험1군의 경우 73.3%가 효과가 있다고 하였으나 대조군의 경우 26.7% 만이 효과가 있다고 하여 차이를 보였고, 지속적 사용의향에 있어서는 실험2군의 경우 66.7%, 실험1군의 경우 46.7% 가 가끔 사용해도 좋을 것 같다고 하였으나 대조군의 경우 60.0%가 모르겠다고 하여 차이를 보였다. 또한 권유의향에 있어서는 실험2군의 경우 66.7%, 실험1군의 경우 60.0%가 적극 권유할 의향이 있다고 하였으나 대조군의 경우 80.0%는 모르 겠다고 하여 차이를 보였고, 만족도에 있어서는 실험2군의 경우 73.3%, 실험1군의 경우 73.3%가 만족스럽다고 하였으나 대조군의 경우 80.0%가 그냥 그렇다고 하여 차이를 보였다. 이외에 부작용 증상에 있어서는 대조군의 경우 93.3%, 실험1군의 경우 93.3%, 실험2군의 경우 100.0%가 부작용 증상이 없다고 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p>.05), 약물 복용의향에 있어서도 대조군의 경우 66.7%, 실험1군의 경우 40.0%, 실험2군의 경우 40.0%가 모르겠다고 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5). 선행 연구 사례를 보면 Cho et al.(2004) 연구는 Aroma Therapy 지속 사용 의향에서 38.5%가 계속 사용한다 하였고, 53.8%가 가끔 사용하 겠다, Aroma Therapy 시행 후 효과에 대해서는 매우 효과가 있다 23.1%, 효과적이다 53.8%, 그저 그렇다 19.2%, Aroma 권유 의향은 73.1%가 권하겠다, 26.9%가 잘 모르겠다, Aroma Therapy 만족도는 15.4%가 매우 만족한다, 57.7%가 만족한다고 하였다. Cheon & Lim(2013) 연구에서는 Aroma Massage에 80.0%가 그냥 그렇다 차이를 보여 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복부 불편감 해소에 높은 만족도 결과가 나타났다(Table 12).

Satisfaction after application of blending essential oil

IV. 결 론

본 연구는 여성들이 매월 월경으로 인한 복부 불편감으로 약물 복용 부작용에 따른 대안으로 Ayuveda Tridosha를 근거로 한 블렌딩 에센셜 오일 적용이 복부 불편감 해소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블렌딩 에센셜 오일을 적용한 실험 1군은 1.07점 감소하였고, 실험2군은 2.22점 감소하여 복부 불편감 해소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2군에서는 기존 연구 사례보다 감소 효과가 크게 나타나 복부 불편감 대안으로 제시 할 수있다.

둘째, Ayurveda Tridosha를 근거로한 3가지 속성 중, Vata dosha에서는 실험1군이 1.22점 감소, Pitta dosha는 실험2군이 4.00점 감소, Kapha dosha는 실험2군이 4.00점 감소하여 복부 불편감 해소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Kapha dosha 의 실험 2군에서 감소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나 복부 불편감 대안으로 활용 할 수 있음을 제시 할 수 있다.

셋째, 복부 불편감 해소에 미치는 효과로 실험1군이 73.3%, 실험2군이 80.0%로 나타났고, 설문지만족도에서는 실험1군 73.3%, 실험2군이 73.3%로 나타났고, 복부 불편감 대처 방법으로 연구 대상자 중 42.2% 이상이 약물을 복용하고 있었으며, 블렌딩 에센셜 오일을 지속 사용 할 의향과 권유 할 의향에서는 실험 2군이 66.7%로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상자가 약물 복용을 대체할 수 있는 대안으로 제시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기존에는 에센셜 오일의 입증 된 효능으로 블렌딩 된 완제품을 복부 불편감에 적용하여 충족시켰다면, Ayurveda Tridosha을 근거로한 블렌딩 에센셜 오일 적용이 복부 불편감 해소에 대한 긍정적 요소로 다가올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이를 바탕으로 보았을때, 다양한 기술의 반복적 연구와 전문 지식을 가진 에스테티션의 실무와 접목을 시킨다면 더 효과적인 중재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먼저 2018년에 적용한 실험 연구로써, 표본이 20대 집중된 점과 블렌딩 에센셜 오일을 2가지 타입으로 적용하였는데, Ayurveda Tridosha 3가지 속성(Vata, Pitta, Kapha)에 2가지 에센셜 오일로만 효과를 파악하기에는 부족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에는 다양한 에센셜 오일의 속성들을 기반으로 보다 폭 넓은 표본 안에서 연구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연구 할 필요가 있다.

References

1. Cho S. E., Yoon B. L., Jung Y. G.. 2004;The effect of self-application with aroma therapy upon the menstrual pain and the premenstrual discomfort of women. Asian Beauty Cosmetol 2(3):35–51.
2. Cheon J. A., Lim M. H.. 2013;Research paper : effect of aromatherapy using nutmeg, fen nel and marjoramon menstruation cramps and dysmenorrhea.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9(6):1138–1147.
3. Choi H. R., Kim H. N., Han C. J.. 2010;A study on the dietary Attitudes and BMI accordi ng to ayurveda types in adult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sthetics & Cosmeceutics 5(4):37–49.
4. Han C. J., Lee M. E.. 2011;The Effects of Relieving Menstrual Pain for Korean Twenties Women of the Back and Foot Massage using Stone Therapy.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9(4):1–12.
5. Hyeon J. S., Heo M. H.. 2004;Effect of aromatherapy on the menstrual pain in cadet women. Journal of Military Nursing 20(1):1–23.
6. Jang J. H.. 2011;A Study on peppermints. Journal of Beauty Industy 2(1):31–38.
7. Jeong S. H.. 2014. Convergence therapy by body type dermatology Gwangju: Nambu Univer sity Publishing House.
8. Jung M. G., Naa M. O., Sohn J. R.. 2017;Effect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CT) on premenstrual symptoms, attitudes about menstruation, and perceived stress of women with premenstrual syndrom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1):485–495. doi:10.14400/JDC.2017.15.1.485.
9. Jung M. S.. 2014;A holistic healing system of ayurveda. Journal Society for Holistic Convergence 18(2):117–123.
10. Kim H.. 2011;Inhibitory effect of anaphylaxis by foeniculum water extract (FWE).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7(4):620–623.
11. Kim M. C., You E. J., Yoon C. S.. 2015;Study of health care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Ayuvedic Dosha. Jounal of Beauty Industry 9(1):95–108.
12. Kim M. G., Lee S. L., Lee Y. H.. 2011;Satisfaction and utilization of the aromatherapy. Journal of Health and Beauty 5(1):5–16.
13. Kim M. Y., Jung M. S., Jung G. A.. 2000;Degree of dysmenorrhea and self-management of dysmenorrhea in the high-school girl-student. J Women Health Nurs 6(6):413–426.
14. Kim N. Y., Kim C. S., Kim Y. S.. 2008;Effect that aromatherapy gets in woman’s period pains.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4(14):378–383.
15. Kim S. G., Kim E. G.. 2012;The effects of the aromb abdominal obesity program for adult women body composition, leptin and satisfaction.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8(5):1003–1011.
16. Lee H. J., Lee Y. S., Sin H. Y., Song E. Y., Son H. J., Kim I. O., Im S. H., Choi S. Y., Kwon J. S., Lee M. M.. 2006;Comparative Analysis on the Effects of Abdominal Massage Using Aroma Oil and Ordinary Oil on Nurses` Dysmenorrhea and Painful Menstruation. Hosptal Nurses Association 11(2):121–133.
17. Lim Y. M.. 2018;Female worker's menstrual discomforts and coping : focus on hospital work er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vergence Technology 9(2):259–266.
18. Moos R. H.. 1968;The development of a menstrual distress questionnaire. Am. Psychosomatic. Soc 30(6):853–867.
19. Naa M. S., Jeong S. H.. 2008;Slimming effects of aroma Oil of ayurveda kapha-type to use. Asian Beauty Cosmetol 6(2):21–38.
20. Won Y. G.. 2008;The applications of ayurveda on esthetic area. Asian Beauty Cosmetol 6(4):29–38.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Research and design

Group Preliminary research. Experimental treatment. Post-investigation.
Control group Yei X Ye2
Experimental group 1 Yei O Ye2
Experimental group 2 Yei O Ye2

O : Blending essential oil, X : Almond oil

Table 2.

Essential oil by group for research materials

Material
Control group (content) group 1 (content) group 2 (content)
Sweet Almond Oil (50ml) Sweet Almond Oil (50ml) Sweet Almond Oil (50ml)
Lavender (0.05%) Lavender (0.05%)
Cinnamon (0.1%) Clary Sage (0.1%)
Marjoram (0.1%) Rosemary (0.1%)
Juniper (0.05%) Lemon Grass (0.05%)
Fennel (0.1%) Grapefruit (0.1%)
Grapefruit (0.1%) Peppermint (0.1%)

Table 3.

Research method

Sortation Content Question
Abdominal characteristics age, first menstrual, cycle, Period, sheep, The day when abdominal discomfort is the most severe, It's uncomfortable, Regularity, Menstrual disease, Essential Oil Allergy (Table 3). 10
Methods for coping wit habdominal discomfort Abdominal discomfortCoping method, medication, medication Effect 3
Abdominal discomfort Abdominal discomfort measured last month, in advance, and after 15
Three attributes of Ayurveda's Tridosha PSI (Psychiatric Symptom Index) Vata, Pitta, Kapha 18
satisfaction Continuous use intention, drug use intention, recommendation intention, satisfaction, etc 6
Total 52

Table 4.

Study subjects' abdominal characteristics

Sortation Control group
group 1
group 2
Total
n (%) n (%) n (%) n (%)
age 20-22 13 (86.7) 12 (80.0) 12 (80.0) 37 (82.2)
23-25 0 (.0) 1 (6.7) 2 (13.3) 3 (6.7)
26 More than 2 (13.3) 2 (13.3) 1 (6.7) 5 (11.1)
first menstrual 12 Less than 1 (6.7) 1 (6.7) 2 (13.3) 4 (8.9)
13-14 10 (66.7) 8 (53.3) 8 (53.3) 26 (57.8)
15-16 2 (13.3) 5 (33.3) 5 (33.3) 12 (26.7)
17 More than 2 (13.3) 1 (6.7) 0 (.0) 3 (6.7)
cycle 21-27 4 (26.7) 3 (20.0) 2 (13.3) 9 (20.0)
28-30 6 (40.0) 10 (66.7) 8 (53.3) 24 (53.3)
31 More than 5 (33.3) 2 (13.3) 5 (33.3) 12 (26.7)
Period 4 Less than 0 (.0) 1 (6.7) 0 (.0) 1 (2.2)
5 10 (66.7) 5 (33.3) 6 (40.0) 21 (46.7)
6-7 5 (33.3) 8 (53.3) 9 (60.0) 22 (48.9)
8 More than 0 (.0) 1 (6.7) 0 (.0) 1 (2.2)
sheep lot 5 (33.3) 11 (73.3) 7 (46.7) 23 (51.1)
Usually 8 (53.3) 4 (26.7) 7 (46.7) 19 (42.2)
Usually 2 (13.3) 0 (.0) 1 (6.7) 3 (6.7)
The day when abdominal discomfort is the most severe before 3 (20.0) 2 (13.3) 2 (13.3) 7 (15.6)
day 6 (40.0) 8 (53.3) 9 (60.0) 23 (51.1)
second 6 (40.0) 5 (33.3) 4 (26.7) 15 (33.3)
It’s uncomfortable Abdominal 6 (40.0) 3 (20.0) 4 (26.7) 13 (28.9)
Pelvis 2 (13.3) 2 (13.3) 2 (13.3) 6 (13.3)
Chest 3 (20.0) 2 (13.3) 0 (.0) 5 (11.1)
Lower body 4 (26.7) 8 (53.3) 9 (60.0) 21 (46.7)
Regularity rule 6 (40.0) 4 (26.7) 2 (13.3) 12 (26.7)
regular and irregular 6 (40.0) 8 (53.3) 8 (53.3) 22 (48.9)
Irregular 3 (20.0) 3 (20.0) 5 (33.3) 11 (24.4)
Menstrual disease No 15 (100.0) 14 (93.3) 13 (86.7) 42 (93.3)
yes 0 (.0) 1 (6.7) 2 (13.3) 3 (6.7)
Essential Oil Allergy No 15 (100.0) 15 (100.0) 15 (100.0) 45 (100.0)
yes 0 (.0) 0 (.0) 0 (.0) 0 (.0)
entire 15 (100.0) 15 (100.0) 15 (100.0) 45 (100.0)

Table 5.

Methods for coping with abdominal discomfort

Sortation Control group
group 1
group 2
Total
n (%) n (%) n (%) n (%)
Abdominal discomfort Coping method Bear 5 (33.3) 2 (13.3) 5 (33.3) 12 (26.7)
medication 4 (26.7) 7 (46.7) 8 (53.3) 19 (42.2)
Stability 5 (33.3) 2 (13.3) 1 (6.7) 8 (17.8)
Warm sauna 1 (6.7) 4 (26.7) 1 (6.7) 6 (13.3)
medication Once a day 1 (6.7) 2 (13.3) 4 (26.7) 7 (15.6)
Twice a day 2 (13.3) 4 (26.7) 3 (20.0) 9 (20.0)
Three times a day 1 (6.7) 1 (6.7) 1 (6.7) 3 (6.7)
don't eat 11 (73.3) 8 (53.3) 7 (46.7) 26 (57.8)
medication Effect don't eat 11 (73.3) 8 (53.3) 7 (46.7) 26 (57.8)
effective 3 (20.0) 5 (33.3) 6 (40.0) 14 (31.1)
Very Effective 1 (6.7) 2 (13.3) 2 (13.3) 5 (11.1)
entire 15 (100.0) 15 (100.0) 15 (100.0) 45 (100.0)

Table 6.

Homogeneity test for abdominal discomfort last month

Sortation Control group (n=15)
group 1 (n=15)
group 2 (n=15)
F-value p
M±SD M±SD M±SD
Abdominal discomfort last month 5.53±1.01 5.60±0.97 5.62±0.92 .034 .966

Table 7.

Effect of blending essential oil on abdominal discomfort

Sortation Group Number (n) Last month
Dictionary
Post-mortem
t-value (p)
M±SD M±SD M±SD Last month-Dictionary Dictionary-Post-mortem
Abdominal discomfort Control group 15 5.38±1.32 5.53±1.01 5.11±0.95 -.890 (.388) 1.697 (.112)
group 1 15 5.87±1.15 5.60±0.97 4.53±0.92 -.945 (.361) 4.374** (.001)
group 2 15 5.49±0.72 5.62±0.92 3.40±1.45 -.676 (.510) 6.494*** (.000)
**

p<.01,

***

p<.001

Table 8.

Differences in abdominal discomfort before and after between groups

Sortation Control group (n=15)
group 1 (n=15)
group 2 (n=15)
F-value p
M±SD M±SD M±SD
Abdominal discomfort 5.11±0.95b 4.53±0.92b 3.40±1.45a 8.852** .001

p<.01

Duncan : a<b

Table 9.

Effects of vata dosha blending essential oil on abdominal discomfort

Sortation Group Number (n) Dictionary
Post-mortem
t-value p
M±SD M±SD
Vata dosha Control group 2 5.67±0.94 5.67±0.94 .000 1.000
group 1 3 5.44±1.35 4.22±0.69 2.750 .111
group 2 3 5.33±0.33 4.33±1.20 1.964 .188
**

p<.01

Table 10.

Effects of pitta dosha blending essential oil on abdominal discomfort

Sortation Group Number (n) Dictionary
Post-mortem
t-value p
M±SD M±SD
Pitta dosha Control group 7 5.43±0.71 5.24±1.21 .730 .493
group 1 7 5.38±0.91 4.52±0.77 1.800 .122
group 2 9 5.89±0.94 3.85±0.85 8.538*** .000
***

p<.001

Table 11.

Effects of kapha dosha blending essential oil on abdominal discomfort

Sortation Group Number (n) Dictionary
Post-mortem
t-value p
M±SD M±SD
Kapha dosha Control group 6 5.61±1.44 4.78±0.54 1.576 .176
group 1 5 6.00±0.91 4.73±1.32 5.171** .007
group 2 3 5.11±1.17 1.11±0.51 4.536* .045
*

p<.05,

**

p<.01

Table 12.

Satisfaction after application of blending essential oil

Sortation Control group
group 1
group 1
χ2 (p)
n (%) n (%) n (%)
Abdominal discomfort Effect very effective 0 (.0) 5 (33.3) 6 (40.0) 13.208* (.040)
effective 4 (26.7) 6 (40.0) 6 (40.0)
normal 8 (53.3) 3 (20.0) 3 (20.0)
not effective 3 (20.0) 1 (6.7) 0 (.0)
Continuous use use 0 (.0) 6 (40.0) 5 (33.3) 18.949** (.001)
sometimes 6 (40.0) 7 (46.7) 10 (66.7)
don't know 9 (60.0) 2 (13.3) 0 (.0)
Side effects Yes. 1 (6.7) 1 (6.7) 0 (.0) 1.047 (.593)
No 14 (93.3) 14 (93.3) 15 (100.0)
medication No 1 (6.7) 4 (26.7) 4 (26.7) 3.597 (.463)
don't know 10 (66.7) 6 (40.0) 6 (40.0)
Yes 4 (26.7) 5 (33.3) 5 (33.3)
recommendation Yes 3 (20.0) 9 (60.0) 10 (66.7) 7.648* (.022)
No 12 (80.0) 6 (40.0) 5 (33.3)
satisfaction Very satisfied 1 (6.7) 5 (33.3) 5 (33.3) 18.528** (.005)
satisfied 2 (13.3) 6 (40.0) 6 (40.0)
normal 12 (80.0) 2 (13.3) 4 (26.7)
don't know 0 (.0) 2 (13.3) 0 (.0)
entire 15 (100.0) 15 (100.0) 15 (100.0)
*

p<.05,

**

p<.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