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Cosmetol > Volume 28(4); 2022 > Article
헤어커트 도해도 비교 분석 연구 -VIDAL SASSOON, PIVOT POINT, Zone and Section, TONI&GUY 중심으로-

Abstract

This study is a comparative analysis study of haircut diagrams and seeks to compare the haircut diagrams of VIDAL SASSOON, PIVOT POINT, Zone and Section, TONY&GUY, an overseas educational institution that has influenced Urina's haircut technology. To this end, the hair cut type was based on the techniques of one-lengths, gradation, and layer, which are basic hair cut, and among the seven hair cut procedures, design lines and outline that are essential to the diagram were set as design classification criteria. The diagram was compared and analyzed for each of the four institutions 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VIDAL SASSOON and TONY&GUY were faithful to the design that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treatment angle, section, and cut direction, and PIVOT POINT emphasized only the outline form. In the future, through this study, we hope that as an essential element for making haircut designs, we will be able to develop a process of Korean Haircut diagrams that everyone can easily understand and design, and use them as a basis for making hair designs in industrial and educational fields.

I. 서 론

현대사회는 대중매체와 멀티미디어를 통하여 시각적이고 외향적인 요소를 중요시하는 시대로 발전하고 있으며, 외모의 시각적인 이미지에서 헤어스타일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헤어스타일은 개인의 자아정체성을 표현하는 표현예술로써 현대적 특징을 나타내는 중요한 미적 범주의 하나이다(Im, 2007).
헤어스타일을 위한 헤어디자인은 시대적인 트랜드와 함께 기능적인 면과 심리적인 면을 두루 갖춰야 하는 종합예술이며, 각 부분 부분을 상호유기적인 조화를 위한 구성 계획이며 기본이 된다.
건축을 하려면 건축 설계가 있어야 하듯이 커트를 하는데 있어서는 헤어커트 도해도가 있어야 한다(Kim & Youn, 2021). 따라서 헤어커트의 미적감각을 효율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커트 도해도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헤어디자이너는 쉽고 효율적으로 커트기법을 접할 수 있도록 이론을 정리하고 차이점을 살펴보는 것은 학문학적 의의와 기술적 가치가 있다고 본다(Byun, 2016). 헤어커트 기법을 연구한 교육기관 중 대표적인 곳은 피봇포인트, 비달사순, 존앤섹션, 토니앤가이 등이 있다. Byun(2016)은 비달사순과 존앤섹션 두 미용교육기관의 헤어커트기법을 비교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커트기법의 이론적 근거를 찾아내 커트 도해도의 자료를 만들어 헤어디자이너를 준비하는 사람들에게 효율적인 커트기법을 연구하였다. 또한 Im(2007)의 커트 도해도가 헤어스타일에 미치는 영향 연구에서 피봇트 포인트의 구조그래픽(모발을 90도로 들었을 때)커트 방법과 커트 외곽선(커트 외곽선상을 머리 속에 그리며 자르는 방법 -감성적)으로 커트하는 방법에 주안점을 두어 세로와 가로로 커트하여 고정가이드와 이동가이드로 작업 할 수 있는 작업지시서인 커트 도해도를 만들었다. 그러나 도해도에 의한 커트나 헤어커트기법에 대한 단편적인 연구가 대부분이며 많은 디자이너들이 참고로 하고 있는 비달사순, 피봇포인트, 존앤섹션, 토니엔가이의 교육기관에서 각 기관의 방식대로 정해진 도해도만 있을 뿐 헤어디자이너들이 응용할 통일적인 도해도는 전무한 실정이다.
헤어커트 도해도는 헤어디자이너가 간편한 방법으로 헤어커트를 이해하고 표현하기 위한 작업 계획서이며 다양한 고객의 개성과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사전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헤어커트 도해도에 대하여 누구나 동일한 실제에 대해 일관성 있는 체계가 필요함을 인식하여, 비달사순, 피봇포인트, 존앤섹션, 토니엔가이의 헤어커트 도해도를 비교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하여 여러 교육기관의 도해도 해석의 장단점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는 추후, 전문적이고 신뢰도 높은 도해도 기법 개발을 위함이며, 창의적인 헤어디자인을 위한 필수요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II. 이론적 배경

1. 헤어커트의 개념

헤어 커트(Hair cut)의 사전적 의미는 ‘이발’, 머리를 잘라서 만든 머리모양(Park, 2017) 을 말하며, 모발의 양을 줄이는 것으로 길이와 형태에 변화를 줌으로서 새로운 헤어스타일을 만들어 디자인 한다는 것이다.
Jang(2021)은 외모란 상대방에게 자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비언어적 표현으로 상대에게 첫인상을 표현하는 중요한 요소라 하였으며, 헤어스타일은 인간의 본능적 욕구인 신체를 가꾸어 남에게 보이려는 장식과 변화의 중요 수단이라 하였다 (Kim, 2011). Park(2017)은 헤어스타일을 만들기 위한 헤어디자 인은 조형 예술의 한 분야이며, 이는 기능적 측면만이 아닌 미적 형태를 표현하는 기능까지 포함한다고 하였다. 만족도 높은 헤어디자인을 만들기 위해서는 충분한 이론과 지식을 통해 고객에게 제안 및 제언을 할 수 있어야 한다.

2. 헤어커트 절차 및 도해도

헤어커트 시술시 적용되는 헤어커트 절차 순서는 블로킹, 섹션, 빗질(분배), 시술각도, 두상의 위치, 손가락 포지션, 디자인 라인 기준인 7가지를 기준으로 진행한다(Cha, 2021).
도해(圖解)의 사전적 의미는 그림으로 그려서 풀이(Korean Language, 1976)해 놓은 것이라고 하였다. 헤어커트 도해도가 헤어스타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에서 Im(2007)은 연구 참가자 중 90% 이상이 커트 시 커트 도해도가 필요하다고 하였으며(Byun, 2016), 도해도를 먼저 이해하고 작업하였을 때, 작업 순서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으며, 완성된 작품에 대한 만족도 또한 높았음을 알 수 있다. 나아가 헤어커트 도해도는 고객의 입장에서는 다양한 고객의 개성과 니즈를 해결하기 위한 소통의 제안서이자, 헤어디자이너 입장에서는 새로운 헤어스타일 연출해야 하는 작업지침서로 헤어커트 도해도가 절실히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 국외 헤어커트의 국내도입 배경과 현황

1990년대 이후 해외 미용 교육기관을 통한 다양한 헤어커트 기술이 제공되면서 국내 헤어커트 기술에도 변화의 전환점이 되었으며(Ha, 2018), 다양한 교육이 활발히 진행되었다.
당시 교육의 형태는 헤어미용 종사자들이 헤어컷 재교육 기술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면서 영국의 본사 비달사순(VIDAL SASSOON) 아카데미에 직접 참여하거나 혹은 피봇포인트 (PIVOT POINT)와 토니앤가이(TONI&GUY), 웰라(WELLA) 등에서 해외 본사로부터 기술을 전수받은 강사진들을 통해 국내지사에 참여하여 교육을 이수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외국 교육기관의 기술이 보편적으로 확산되면서 현재의 헤어커트 기술이 자리를 잡았다고 볼 수 있다(Ha & Youn, 2019).
국내에서 헤어커트 형태의 기본 기술은 원랭스 커트(one lengths cut), 그래쥬에이션 커트(graduation cut), 레이어 커트(layer cut)이며, 응용커트의 기술은 이러한 기본 형태를 혼합한 형태를 사용하고 있다.

1) 비달사순(VIDAL SASSOON)

현대적인 헤어커트의 시술은 디자이너 비달사순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비달사순 헤어커트의 기본형태는 A lines, B graduation, C layer로 구분된다(The Sassoon Way).
원랭스(one lengths)는 A Lines, 그래쥬에이션(Grduation)은 B graduation라 칭하고, 무게감이 많은 internal graduation과 무게감이 적은 external graduation 두 가지로 나눠진다. 레이어(layer)는 C layer 3가지 분류로는 두상의 곡면에 따른 convex (∩), 첫 번째 가이드라인을 기준으로 진행되는 concave(∪), 전 단계의 가이드라인을 기준으로 수직 수평을 이룬 flat(□)으로 구분된다. 헤어커트의 형태를 표현하는 방법으로는 노 오버다이렉션(no overdirection)과 투 더 퍼스트 섹션(to the first section), 투 더 프리비어스 섹션(to the previous section)의 테크닉을 사용하여 헤어커트의 방향을 선정하여 다양한 움직임과 형태의 변형을 연출하였다(Byun, 2016).
헤어커트 출발점은 수평(horizontal), 수직(vertical), 사선(diagonal)으로 두상의 섹션을 분할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하여 (Yoo, 2010), 수평(horizontal)섹션은 무거운 라인연출과 형태(form)나 디자인(design)에서 넓이(width)를 보는 착시 현상을 연출해주며, 수직(vertical) 섹션은 두상곡면을 직각으로 빗질한 모발을 자르면서 길이와 볼륨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고, 사선 (diagonal)섹션은 모발의 길이를 한쪽은 길거나 짧아지도록 변형하여 길이의 형태변화를 다양하게 줄 수 있다(Lee, 2010).

2) 피봇포인트(PIVOT POINT)

Ha(2018)는 피봇포인트에서 두상의 가장 넓은 부분인 크레스트(crest)를 기준으로 위의 파트를 인테리어(interior)라 하며, 아래 파트를 엑스테리어(exterior)로 구분한다.
크레스트(crest)를 기준으로 위의 파트인 인테리어(interior)는자연스러운 패턴의 영향으로 두발의 길이가 짧을수록 움직임의 영향력을 많이 받으며, 크레스트(crest)의 아래 파트인 엑스테리어(exterior)는 모발의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아래로 향하며 헤어커트시 모발의 길이를 좌우하는 부분이다(Jung & So, 2008).
피봇포인트 헤어커트의 기본 형태로는 솔리드(solid), 그래쥬에이션(graduation), 유니폼 레이어(uniform layer form), 인크리스 레이어(increase layer)로 구분한다. 이러한 4가지를 기준으로 숏(short), 미디움(medium), 롱(long) 등으로 다양한 길이와 각각의 형태 표현으로 나름 특별한 모양과 구조, 질감을 가진 헤어스타일을 연출한다(Jung, 2020). 선행논문에서는 피봇포인트의 형태를 결정짓는 요소로 응용편에서는 섹션, 머리위치, 파팅, 시술각, 손가락위치 등이 있다고 하였다(Byun, 2016).

3) 존앤섹션(Zone and Section)

일본의 존앤섹션은 서양인과 다른 동양인의 두상 특성을 고려하여 새로운 커트이론을 개발하였다. Ha(2018)은 존앤섹션에서 앞의 이미지를 만드는 2개의 섹션인 프론트(Front Section)과 템퍼럴(Temporal Section)이 있어 앞머리 이미지 연출과 좌우 사이드의 아웃라인 형태와 질감을 주로 표현하며, 탑 섹션(Top Section), 퍼라렐 섹션(Parallel Section), 옥시피털 섹션(occipital section), 네이프 섹션(nape section)으로 4가지의 섹션으로 구분하여 헤어커트의 움직임과 질감, 양감 등을 표현하고 헤어커트의 아웃라인등을 형성시킨다. 또한 두상의 구역을 투섹션(Two section)하여 오버섹션(Over section)과 언더섹션 (Under section)으로 구분하였다(Ha & Youn, 2019).
존앤섹션 헤어커트 기본형태는 그래쥬에이션(graduaction, G-line)은 단차가 거의 없는 원랭스에 가까운 형태이며, 하이 그래쥬에이션(high graduaction HG-line) 점차적인 단차를 표현, 세임 레이어 쇼트(same layer short, S-line)은 두상곡면의 각도인 유니폼레이어(Uniform layer)를 의미하며, 레이어 쇼트(layer short, L-line)는 가벼운 레이어로 탑 부분으로 올라가도록 짧아지는 형태를 기본으로 연출하였다. Byun(2016)의 선행 논문에서는 형태의 응용은 섹션, 구획, 틴닝이 존앤섹션의 형태를 결정짓는 요소라 하였다.

4) 토니앤가이(TONI&GUY)

토니앤가이의 헤어커트 기본 형태로는 원랭스(one lengths), 그래쥬에이션 밥(graduation BOB) 45°의 볼륨으로 보브스타일(Bob Style)을 대표하고 있으며, 레이어(layer)는 라운드레이어 (Round layer)와 탑 부분은 짧고 네이프 존의 길이를 길게 연출한 네츄럴인버젼(natural inversion)과 각도를 낮춘 레이어를 네추럴인버젼 솔리드라인(natural inversion side line)으로 구분되어 사용되고 있다.
토니앤가이만의 교육과정에서 중요시 여기는 커트과정은 파팅(Parting)과 섹션(Section)의 응용, 디스트리뷰선(distribution) 과 엘레베이션 테크닉(elevation technique)이 있다. 이 4가지 커팅과정은 헤어커트 진행시 두상의 파팅과 섹션을 통해 커트선을 연출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다. 특히나 섹션을 기준으로 나눈 모발의 방향성은 분배 (Distribution)에 따른 디스트리뷰선으로 헤어디자인의 형태를 만들기 위한 방법이며 디자인의 흐름에 따라 모발을 나누고 응용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이러한 절차에 의해 디자인 형태에 변화를 주는 것이다(Lim & Lee, 2018). 두피로부터 들어 올린 각도인 엘레베이션(elevation)을 설정하고 앞서 말한 3가지 테크닉을 진행하여 원하는 모양의 커트를 진행한다(Lee, 2014). 다양한 커트의 기법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자연스러움과 텍스쳐(Texture)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텍스쳐(Texture)의 자연스런 표현은 토니앤가이의 장점이기도 하다.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우리나라 미용발전에 기여가 있는 외국 교육기관 VIDAL SASSOON, PIVOT POINT, Zone and Section, TONI&GUY의 헤어커트 기본 스타일을 기준으로 각 형태별 헤어커트 도해도 표현기법을 연구의 대상으로 한다.

2. 자료수집

관련 논문을 알아보기 위하여 논문전문 사이트인 리스포유와 국회도서관을 통해 헤어커트 도해도, 헤어커트 디자인, 헤어커트 형태, VIDAL SASSOON, PIVOT POINT, Zone and Section, TONI&GUY의 키워드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논문 자료를 수집하였다.
영국의 VIDAL SASSOON 관련 연구자료 및 학술자료 41편과 미국의 PIVOT POINT 관한 연구자료 및 학술자료 30편, 일본의 Zone and Section 관련 연구자료 및 학술자료 6편, TONI&GUY 관련 연구자료 및 학술자료 5편, 이에 관련된 서적, 문헌자료 등을 중심으로 내용을 분석해 보았다. 비교적 존앤섹션과 토니앤가이의 연구는 비달사순과 피봇포인트에 비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아쉬웠으며, 특히나 토니앤가이의 자료가 미비하여, 이를 보완하기 위해 토니앤가이 코리아 아카데미로부터 교육 자료를 제공받아 진행하였다.

3. 연구방법

본 연구는 4개사 국외교육기관의 헤어커트 도해도를 비교분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방법으로 진행하였다. 헤어커트의 기본 형태인 원랭스 커트(one lengths cut), 그래쥬에이션 커트(Graduation cut), 레이어 커트(Layer cut) 3가지 형태를 근간(Kim, 2009)으로 헤어커트 순서에 따른 7절차를 분류기준으로 하여 도해도의 표현을 알아본다.
헤어커트 시술시 적용되는 헤어커트 절차 순서는 블로킹, 섹션, 빗질(분배), 시술각도, 두상의 위치, 손가락 포지션, 디자인 라인 순서로 이를 7가지 순서에 의한 분류 기준으로 하였다 (Cha, 2021). 그러나 헤드포지션과 핑거포지션은 헤어커트 응용편에서 활용되는 테크닉 이므로 본 연구의 기본편 에서는 제외하였다. 대신 헤어커트 도해도에 표시되어야 하는 헤어커트의 방향표시와 전체 아웃라인의 표현에 관한 내용을 추가하여 각 교육기관별 헤어커트 도해도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각 해외 교육 기관별 헤어커트 도해도의 분류기준에서 중요성이 매우 높음 순으로 ●3점 ◐2점 ○1점 의 표기를 하여 프로세스별 합계와 각 나라별 합계를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헤어커트 도해도에 대한 총괄적인 이해와 각 교육기관별 장단점을 알아 보고 향후, 헤어커트 프로세스를 보다 더 알기 쉽게 이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헤어커트 도해도의 설계를 위한 방법의 순서를 마련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를 진행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헤어커트의 기본인 원랭스(one lengths)와 그래쥬에이션(graduation), 레이어(layer)를 기반으로 각 기관별 VIDAL SASSOON, PIVOT POINT, Zone and Section, TONI&GUY의헤어커트 도해도에 대한 표현기법은 다음과 같다.

1. VIDAL SASSOON 헤어커트와 도해도

비달사순 테크닉의 헤어커트 도해도를 보면 정확한 섹션을 통한 시술각도와 아웃라인을 표현하여 섹션에서 진행하는 커트의 방향을 한눈에 볼 수 있다. 비교적 두상의 내부구조를 섬세하게 나타냄으로 보다 더 자세하고 상세하게 헤어커트의 과정을 이해할 수 있으며, 레이어의 다양한 표현을 통해 완성된 헤어커트의 형태를 상상할 수 있다.
특히 레이어 커트 중 우리가 알고있는 스퀘어 레이어(Square layer)를 플렛라인(Flat line)으로, 유니폼 레이어(Uniform layer) 를 컨벤스 라인(conves line)으로, 인크리스 레이어(Increase layer)를 컨케이브(concave line)으로 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헤어커트 도해도에서는 탑뷰(Top view)와 프론트뷰(Front view)가 없이 사이드뷰(Side view)와 백뷰(Back view)만 표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2. PIVOT POINT 헤어커트와 도해도

피봇포인트 테크닉의 헤어커트 도해도를 보면 구조그래픽이라 하여, 전반적으로 헤어컷트의 전체적인 아웃라인의 형태를 표현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피봇포인트에서는 솔리드 테크닉은 파란색, 그레쥬에이션 테크닉은 노란색, 유니폼 레이어 테크닉을 초록색, 인크리스 레이어 테크닉은 빨간색으로 지정하여 피봇포인트의 구조그래픽 색상만 보더라도 헤어커트에 사용되는 테크닉을 한눈에 식별할 수 있도록 구조화 하였다. 전체적인 헤어커트의 형태 중 아웃라인의 형태표현을 가장 뚜렷하게 표시하여 전체적인 형태의 틀을 읽는데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헤어커트 테크닉을 색상별로 고정하여 한눈에 알아보기 쉽도록 시인성을 극대화 하였다. 피봇포인트의 도해도에는 사이드뷰와 프로트뷰로만 표시되어 있다.

3. Zone and Section 헤어커트와 도해도

존앤섹션 테크닉의 헤어커트 도해도를 보면 상하의 조화와 전후의 조화를 우선으로 여겨 전섹션과 후섹션의 커트의 방향 표시와 조화미를 강조하고 있다. 이는 헤어커트의 베이직적인 요소를 좀 더 중요시 여겨 섹션별 세세한 표현을 보다 더 구체화 하였으며, 헤어커트 도해도에서는 헤어컷 진행을 위한 내부의 등분, 즉 파팅(존)과 섹션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각 존별 헤어커트의 각도를 표기함으로서 존별 머리길이의 단차를 한눈에 볼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도해도는 주로 왼쪽 사이드뷰를 주로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4. TONI&GUY 헤어커트와 도해도

토니앤가이 테크닉의 헤어커트 도해도를 보면 헤어컷을 진행하는데 있어서 파팅과 섹션을 어떻게 나누어 진행하느냐가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며, 도해도에서 보여지는 것 같이 섹션과 가이드라인을 통한 커트의 방향표현이 중요시 명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체적인 디스트리뷰선(distribution), 즉 빗질의 방향을 통한 커팅 방법과 엘리베이션(elevation)을 통한 각도의 가이드라인을 통해 헤어컷의 형태를 표현하였다. 토니앤가이의 특징인 말발굽 섹션(horseshoe)과 리셋션 에리아(recession area)을 각각의 리셋션 섹션(recessin section)으로 연결하는 테크닉을 중요시 여기며, 크라운에서 탑포인트까지 방사형인 radial (pivot parting) 통한 자연스런 섹션의 연결을 중요히 생각한다. 섹션의 분배와 엘리베이션 테크닉을 통한 길이의 단차를 통해 자연스러움을 보다 더 창의적인 헤어커트의 방향성을 다양하게 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토니앤가이는 양 사이드뷰와 프론트뷰, 백뷰를 사용하고 있다.

5. 커트절차에 의한 비교분석

각 교육기관 VIDAL SASSOON, PIVOT POINT, Zone and Section, TONI&GUY의 헤어커트 절차에 따른 도해도 설계는 다음과 같다.
헤어커트의 기본 형태인 원랭스, 그래쥬에이션, 레이어 헤어커트의 도해도에 대한 표현기법에서 4개의 교육기관 모두 시술 각도를 중요시 여겼으며, 이는 시술각도가 헤어커트 형태표현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인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중요시 여기는 표현기법으로는 섹션이다. 가로(Horizontal), 세로(Vertical), 사선(Diagonal)의 섹션은 섹션별 헤어커트의 형태를 만드는 가장 기초단위이며, 커트의 길잡이 역할과 이상적인 디자인을 만들기 위한 베이스의 역할을 한다. 마지막으로 도해도의 표현기법으로 빗질과 커트의 방향을 주요 요소로 여겼으며, 커트 방향에 따른 분배는 커트의 무게감과 율동감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시술각도와 관련이 있다. 빗질에 따른 커트의 방향과 각도가 헤어커트 디자인의 형태를 좌우한다. 아쉬운 점은 디자인라인의 표현이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헤어커트 도해도가 단면적인 표현이 우선시 되다 보니 비교적 표현의 한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V. 결 론

본 연구는 헤어커트 도해도의 설계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국내 헤어커트 기술에 영향력을 미친 해외 교육기관 VIDAL SASSOON, PIVOT POINT, Zone and Section, TONI&GUY의 기본 헤어커트인 원랭스, 그래쥬에이션, 레이어 형태별 헤어커트 도해도의 표현방법을 이해하고, 그에 따른 교육기관별 도해도의 장단점을 이해하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 교육기관별로 헤어커트 형태별 지칭하는 명칭이 달랐으며, 헤어커트 도해도의 표현기법 또한 각 기관별 다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VIDAL SASSOON은 원랭스인 A lines, 그래쥬에이션은 B graduation으로 가벼운 그래쥬에이션(External Graduation)과 무거운 그래쥬에이션(Internal Graduation), C layer로 컨벡스라인(Convex Line ∩), 컨케이브(Concave Line ∪), 플랫(Flat Line □) 으로 구분되며, PIVOT POINT는 솔리드폼(solid Form), 그래쥬에이션 폼 (Graduation Form), 유니폼 레이어드 폼(Uniform layer Form), 인크리스 레이어 폼(Increase layer Form)와 Zone amd Section 은 G-line 그래쥬에이션(Graduaction), HG-Line 하이그래쥬에이션(High graduaction), S-line 세임레이어 쇼트(Same layer short), L-line 레이어 쇼트(Layer short)이며, TONI&GUY는 원랭스(one lengths), 그래쥬에이션 밥(Graduation BOB), 라우드 레이어(Round layer), 네츄럴인버젼(Natural inversion), 네추럴인버젼 솔리드라인(Natural inversion side line)과 같이 각 기관별 형태별 명칭이 다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VIDAL SASSOON과 TONI&GUY의 도해도는 섹션과 분배, 각도와 커트의 방향 등 기본적인 요소에 충실해 있음을 알 수있다. PIVOT POINT는 섹션, 분배, 커트의 방향보다는 전체적인 아웃라인 표현과 헤어커트 형태별 색상을 통해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시인성에 더 중점을 두고 있다. Zone and Section은 각도, 섹션과 섹션, 존과 존의 흐름을 중요시 여기며 파팅과 커트의 방향에 따른 형태표현에는 다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영국의 비달사순과 토니앤가이는 비교적 베이직 적인 내부 설계의 도해도 표현에 충실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영국의 기술교육이 필수이론과 개념을 통한 전반적인 원리를 중요시하는 기초에 근간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미국의 피봇포인트는 내부 설계의 베이직 보다는 총체적 헤어 커트 형태인 아웃라인을 색상별로 구분한 구조그래픽을 인식시켜 강조하였다. 이는 미국의 기술교육이 실용과 응용을 기획화 하여 실전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용학문위주의 교육임을 알 수 있는 좋은 예시이다. 완성도 높은 헤어디자인을 만들기 위한 헤어커트 도해도는 헤어커트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이론이 사전에 충분히 학습되어 있어야 한다. 이러한 부분을 도해도에 활용하여 커트 전 미리 계획할 수 있어야 한다.
향후, 헤어커트 도해도가 헤어커트 교육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어 형태파악과 디자인라인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또한 현장에서는 실수 없이 사전에 미리 계획하여, 전문적이고 신뢰도 높은 헤어디자인을 통해, 다양한 고객의 니즈를 잘 파악하여 만족도 높은 헤어디자인을 만들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Fig. 1.
Haircut Diagram of Four Educational Institutions
JKSC-2022-28-4-8832f1.jpg
Table 1.
Haircut procedure sequence
Procedure Related descriptions
Parting It is the first procedure to rotate the area to have the accuracy of the cut area.
Section The width of the parted horizontal, vertical, and diagonal, determined by the plane whose level and area are wide, creating a boundary
Distribution Combing is the process of combing small sections (subsections or scaled) bundles
Angle Cut is the angle required when the distribution, right angle, and face of the Moda are formed horizontally, vertically, and diagonally.
Head Position The head position will affect the distribution of combs. There's a forward bow, a straight line, a heat wave, etc
Finger Position Indicates parallel and non-parallel to the base section as the finger position.
Design Line The hair style, pattern, or length guide during a haircut is called a design. line is divided into moving, fixed, moving + fixation (Hong, 2012).

Source: Cha So-yeon, 2021.

Table 2.
VIDAL SASSOON haircut diagram
JKSC-2022-28-4-883i1.jpg

Source: Won yongjun, 2017.

Table 3.
PIVOT POINT haircut diagram
JKSC-2022-28-4-883i2.jpg

Source: Jeong Insim, 2007.

Table 4.
Zone and Section haircut diagram
JKSC-2022-28-4-883i3.jpg

Source: Hong sunghee, 2012; Byun nari, 2016.

Table 5.
TONI&GUY haircut diagram
JKSC-2022-28-4-883i4.jpg

Source: TONI&GUY KOREA ACADEMY EDUCATION TEAM data provided. 2020.

Table 6.
Comparative table of haircut diagrams of four educational institutions
Nation Name of educational institution Process for hair cut
Sum
Parting Section Distribution Angle Design line Direction Outline
The United VIDAL SASSOON × × 12
Kingdom TONI&GUY × × 12
The United States PIVOT POINT × × × 9
Japan Zone and Section × 11
Total by Proces 2 9 8 12 1 7 5

Criteria : ⚫3 POINTS ◐2 POINTS ◯1 POINT

References

Byun, N. R. (2016). Comparative Analysis of the Haircut Technique Using the Principle of Form : based on VIDAL SASSOON and Zone and Section hair cut techniques.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Art and Design, Konkuk University, Seoul, 5.
Cha, S. Y. (2021). Development of digital textbook on NCS haircut content system. Doctoral dissertation, Hanseo University Graduate School, Seosan, 7-9.
Ha, S. K. (2018).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hair cut technique. Doctoral dissertation, Seoul University of Venture Business, Seoul, 42-47.
Ha, S. K., & Youn, C. S. (2019). A Study on the Haircut Section Divis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25(1), 71-73.
Hong, S. H. (2012). 7-Section & Zone Hair Cut using Cutting Principle -Centering on Hair Cut Works.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Dongshin University, Naju, 26-29.
Im, S. H. (2007). A Study on the Influence that Illustration Drawing of Cut has on Hairstyle.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Beauty and Arts, Seokyung University, Seoul, 8.
Jang, Y. S. (2021). Effect of Middle-aged Women’s Face Shape and Hairstyle on their Image Preference.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Graduate School, Seoul, 1.
Jung, I. S., & So, Y. J. (2008). The Influence of VIDAL SASSOON and PIVOT POINT Education on the Style Shape of Haircut. Korean Society of Beauty, 14(1), 65-73.
Jung, W. G. (2020). Comparative Analysis of Best Haircuts for Korean and Caucasian Head Shapes and the Development of Haircut Diagrams.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Beauty and Art, Seokyung University, Seoul, 10-11.
Jung, W. J., & Youn, C. S. (2008). Factors of Form Change by HairCu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14(3), 893-899.
Kang, J. A. (2003). Study on the kitsch characteristic shown in the hair style of the 21st century. Master’s thesis, Yongin University Business School, Gyeonggi, 1-27.
Kim, J. H., & Youn, C. S. (2021). A Study on Hair cut Drawing. Korean Society of Beauty Industry, 15(1), 33-46.
Kim, M. S. (2011). Research on the Effects of Individual Factors and Hair Attitudes on Hair Style Decisions. Doctoral dissertation, Chosun University Graduate School, Gwangju, 5.
Kim, Y. M. (2009). See 3 Basic Cut. Cheonggu Cultural History, p.61.
Korean Language Research Association. (1976). Yeonji Cultural History of Jeonghae Korean Dictionary, 114.
Kwak, S. J. (2020). A Study on the Field Operation of Young People's One-Lengths Bob Haircut.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Jeonju, 4.
Lee, O. K. (2014). The Comparative Analysis of Bob Style, According to Each Foreign Brand’s Haircut Diagram, Mainly VIDAL SASSOON, TONI&GUY and Zone & Section. Asian J Beauty Cosmetics, 12(5), 607-612.
Lee, S. E. (2010). A study of hair design applied with VIDAL SASSOON hair cut-focused on korean facial types. Master’s thesis, Hannam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ocial and Cultural Affairs, Daejeon, 15-22.
Lim, H. S., & Lee, S. J. (2018). Deconstructivism Analysis in Men's Disconnectioncut: Focused on Years 2001 to 2017 Collections by TONI&GU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24(5), 1051-1062.
Park, S. G. (2017). Study of hair texture expression by beam-dry slice cut technique.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Graduate School, Seoul, 7.
TONI&GUY KOREA ACADEMY EDUCATION TEAM. 2020.
VIDAL SASSOON Way about ABC Cutting Hair The VIDAL SASSOON Way. Mark Hayes Vidal. VIDAL SASSOON INC, 2007.
Won, Y. J. (2018). A Study on the Hair Design of VIDAL SASSOON-Focused on Bauhaus Formation Education. Master’s thesis, Kyunggi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Formation, Suwon, 25-29.
Yoo, G. B. (2010).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Sections in Haircutting. Master’s thesis, Hansu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Arts, Seoul, 35.
Zone and Section - THE NEW BASIC.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John & Section Academy Korea, 26.
TOOLS
METRICS Graph View
  • 1 Crossref
  •  0 Scopus
  • 7,434 View
  • 150 Download
Related articles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10-2825-6735   Fex: +82-62-950-3797    E-mail: beauty2007@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