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Cosmetol > Volume 28(5); 2022 > Article
SNS 뷰티콘텐츠 이용특성 및 헤어스타일 관심도가 헤어 관리 행동에 미치는 영향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a total of 339 questionnaires through SPSS 24.0 to understand the effect of SNS beauty content usage characteristics and hair style interest on hair management behavior by age,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hair management behavior according to SNS beauty content had a positive effect on SNS interest and reliability from teenagers to those in their 50s and older.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SNS reliability was somewhat less influential. Second, hair management behavior according to hair style interest showed a positive influence on hair style transformation by age group from 20s to 50s, excluding teenagers. In the conclusion and suggestion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all age groups are interested in SNS, and the higher the interest in hairstyle, the greater the influence on hair management. However, as the reliability of SNS is low,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increasing the reliability by providing high-quality and good information on SNS beauty content. We hope that research on the utilization of beauty content according to gender will continue in the future.

I. 서 론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 Service)’ 즉 SNS 라는 말은 1954년 영국의 사회학자 J.A. Barnes가 처음 사용한 개념으로 사회 구성원(개인 또는 국가)사이의 복잡한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대중에게 자신을 알리고 그들과 관계를 맺어 시스템 내에서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웹기반 서비스로 정의할 수 있다(Boyd & Ellison, 2007).
현재의 미용시장에서 헤어 디자이너라는 직업은 헤어스타일을 관리해주는 미용실에서 손님의 개성과 다양한 스타일을 연구하여 고객을 아름답게 꾸며주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이다, 이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다양한 홍보활동이 필요로 한다. 하지만 지금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활발 해지기전에는 잡지, 책자, 티비 그리고 광고 등으로 미용관련 정보를 얻는데 한계가 있었다. 하지만 SNS와 스마트폰의 발달로 인해 다양한 미용정보들을 얻을 수 있는 매체가 새롭게 생겨났고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들도 자기가 느끼고 경험했던 것을 공유하는 영상이나 글을 올려 많은 사람들에게 좋은 정보가 될 수 있게 하는 콘텐츠가 많이 생겨났다. 따라서 이런 콘텐츠를 접하여 자신이 평소에 고민이었던 헤어 콤플렉스나 다양한 스타일을 눈으로 접하고 실천에 옮길 수 있는 관심도가 올라가기 시작하였고 검색만 하면 직접 미용실에 가지 않아도 다양하고 확실한 정보들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이에 연령별에 따라 관심 있어 하는 SNS 뷰티콘텐츠에 얼마나 많은 정보와 헤어스타일에 대한 관심이 있는가, 그에 관련하여 본인의 헤어를 관리하는 것에 대한 의문이 있었고 연구를 통해 어떻게 다른 통계가 나오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와 관련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Jo(2019)는 이러한 SNS 뷰티 콘텐츠를 이용하는 소비자들 중 남녀 모두 뷰티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어 이용자들이 많이 늘고 있는 추세라고 하였고. 소비자들은 콘텐츠를 통해 자신들이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제품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 청각적으로 제공 받으며 간접적인 경험을 한다고 하였다. 이를 통하여 SNS 뷰티 콘텐츠가 뷰티관리행동에 있어 변인 간의 대부분이 긍정적인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Baek(2020)은 대학생 대상으로 한 소셜미디어 이용 동기에 따른 뷰티관리 행동에 대한 연구에서, 대학생의 소셜미디어 이용은 뷰티트렌드에 민감한 대학생들의 뷰티관리행동을 향상시키고, 이는 자신의 외모를 가꾸고자 하는 피부 관리 체형관리 행동까지 연결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Kang(2020)은 SNS를 사용하는 20~30대 여성을 대상으로 뷰티 SNS 노출정보가 사회적 거리, 헤어스타일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연구에서, 연령과 직업에 따른 헤어스타일 선호도 차이는 유의미 하였으나 월 소득, 최종학력에 따른 차이는 없다고 하였다. Lee(2020)는 뷰티 SNS 이용도에 따른 선호하는 헤어스타일의 유형이 이미지 전략에 미치는 영향에 알아봄으로써, 뷰티관련 SNS 정보이용과 이미지 관리 전략관의 상관관계에서는 도구성, 유행성, 대인지향성, 과시성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동조성만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뷰티 SNS 관련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연령별 이용 특성이나 헤어 관심도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SNS 뷰티콘텐츠 이용특성과 헤어스타일 관심도가 헤어 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령별에 따라 분석하여 미용 온라인 시장에서 연령대별 헤어스타일 관심도나, 헤어 관리방법, 뷰티콘텐츠 제작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II. 이론적 배경

1. SNS 뷰티콘텐츠

Park(2019)은 뷰티 유튜브 콘텐츠에서 실용적이고 신속한 정보제공은 이용자에게 영향을 주며 뷰티 유튜브 콘텐츠 특성을 분석하고자 했다. Lee(2018)는 뷰티와 관련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인터넷상의 자료 및 정보가 다양해져 소비자들이 뷰티서비스에 관해 SNS를 활용할 수 있는 폭이 넓어졌다고 하였다. Lee(2019)는 특히 SNS에서 뷰티정보를 이용한 사람이 다른 사람의 뷰티정보의 관심과 선택에도 영향을 주며, 확산성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바탕으로 SNS 뷰티콘텐츠를 온라인상으로 다양한 뷰티관련 영상 및 콘텐츠정보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해주는 매체라고 정의하고자 한다.

2. 헤어스타일 관심도

Han(2013)은 현재 헤어스타일은 자신의 개성을 창조하고 단점을 보완하여 자신감을 부여하기도 한다고 하였다. Seo(2011)는 소비자의 헤어스타일 인식이 미용서비스, 구매동기, 정보원, 미용실 선택기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Lee(2012)는 다양한 뷰티관리행동을 통하여 자신이 원하는 이상적인 외모를 갖기 위해 시간과 돈을 투자하여 노력한다고 했다. 이상의 헤어스타일 관심도에 대한 선행연구의 정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헤어스타일 관심도는 본인을 가꾸는 데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으로서 소비자들에게 다양한 헤어스타일에 관심을 심어주는 인식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3. 헤어 관리행동

Lee(2008)는 헤어스타일의 변화에서 오는 이미지 변화는 얼굴의 인상뿐만 아니라 이미지 전체를 결정하기 때문에 좋은 이미지를 연출하기 위해 헤어스타일을 변화시키려는 경향이 있다고 하였다. Park(2009)은 ‘외모지상주의’ 세상에 살고 있는 현대인들은 얼굴과 몸매를 관리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최종적으로 헤어스타일을 관리함으로써 매력적이고 아름다운 스타일은 완성한다고 하였다. Kim(2017)은 머리 모양을 가꾸고 두피·모발에 신경을 기울이는 것을 헤어관리행동이라 정의하였다. 이러한 헤어 관리행동은 현재 일반인들의 이미지를 위해 중요시 여겨지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체적인 헤어 관리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한 방안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문제 및 연구모형

본 연구의 연구모형은 <Fig. 1>과 같으며.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본다. 둘째, SNS 콘텐츠 이용 시간에 따른 SNS 뷰티 콘텐츠, 헤어스타일 관심도, 헤어 관리행동의 하위 차원을 알아본다. 셋째, 연령에 따른 SNS 뷰티콘텐츠가 헤어스타일 관심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넷째, 연령에 따른 SNS 뷰티콘텐츠가 헤어 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2.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실증조사를 위해 일반인 10대에서 50대를 대상으로 네이버 폼 온라인 설문조사 및 오프라인 설문지 배부를 통하여 실시하였다. 2022년 3월 30일부터 2022년 4월 1일 까지 연령별 일반인 대상으로 예비조사 50부를 실시하였고 문항의 어휘와 질문이 불분명한 부분들을 수정·보완하였다. 본 조사는 2022년 4월 7일부터 2022년 5월 18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총 3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응답이 불성실한 11부를 제외한 339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3. 측정도구의 구성

본 연구의 측정도구로 사용된 설문문항은 <Table 1>과 같으며 크게 인구통계학적 특성, SNS 콘텐츠 이용특성에 따른 SNS 뷰티콘텐츠, 헤어스타일 관심도, 헤어 관리행동의 43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본 연구에 사용된 모든 리커트 척도는 ‘1: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5:매우 그렇다’까지의 5점이 사용되었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연구자의 연구 의도에 따라 6문항으로 구성되었고 명목척도가 사용되었다. 둘째, SNS 뷰티콘텐츠는 An & Jin(2021), Lee & Woo(2022), Yu(2018)의 연구를 토대로 연구자의 연구 의도에 따라 수정·보완하여 11문항으로 구성되었고 셋째, 헤어스타일 관심도는 Park & Jeon(2018), Park (2016), Gong(2012)의 연구를 토대로 연구자의 연구 의도에 따라 수정·보완하여 10문항으로 구성되었고 넷째, 헤어 관리행동은 Yoon(2014), Shim(2019), Park(2016)의 연구를 토대로 연구자의 연구 의도에 따라 수정·보완하여 10문항으로 구성되었고 모든 문항은 등간척도가 사용되었다.

4. 자료 처리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 24.0를 통해 분석되었으며 첫째,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SNS 뷰티콘텐츠, 헤어스타일 관심도, 헤어 관리행동의 하위 차원을 알아보기 위해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연령에 따른 SNS 뷰티 콘텐츠가 헤어 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연령에 따른 헤어스타일 관심도가 헤어 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 추출방법으로 주성분분석법, 요인 회전방법은 직교회전(Varimax Rotation)을 이용하였다. 변수의 신뢰도분석은 Cronbach's α값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성별은 여(53.1%), 남(46.9%)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은 20대(43.1%), 40대(16.2%), 50대이상(14.5%), 30대(13.6%), 10대(12.7%) 순으로 나타났다. 결혼 여부는 미혼(68.1%), 기혼(27.4%), 기타(이혼, 사별, 별거 등)(4.4%) 순으로 나타났다. 최종학력은 대학교 재학/졸업(45.1%), 전문대 재학/졸업, 고졸이하(22.7%), 대학원 이상(9.4%) 순으로 나타났다. 직업군은 학생(25.1%), 전문직(17.4%), 사무직(17.1%), 서비스직(13.6%), 생산/기술직(8%), 주부(6.8%), 자영업(5.9%), 무직(5%) 순으로 나타났다. 월 소득은 100만원 미만(26%), 200~300만원 미만(23.3%), 100~200만원 미만(18.6%), 300~400만원(14.7%), 미만 500만 원 이상(9.1%) 400~500만원 미만(8.3%) 순으로 나타났다.

2. SNS 뷰티콘텐츠, 헤어스타일 관심도, 헤어 관리행동의 하위 차원

1) SNS 뷰티콘텐츠 하위 차원

SNS 뷰티콘텐츠는 총 11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고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Table 3>과 같이 두 가지 하위 차원이 추출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하위 차원 내 다른 속성들과 의미상 일치하지 않은 3개의 문항이 제거되었다. 문항의 내용과 선행연구(Yoon, 2013; Kim, 2013; Jeon, 2013)에서 요인 명을 명명한 것을 근거로 하여, 하위 차원들의 전체 설명력은 76.1%로 나타났으며 각 요인을 구성하는 하위 차원1(44.1%)을 SNS 흥미도, ‘하위 차원2(31.9%)를 SNS 신뢰도로 각각 명명하였으며 %는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버림 하여 표기하였다.

2) 헤어스타일 관심도 하위 차원

헤어스타일 관심도는 총 10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고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Table 4>와 같이 두 가지 하위 차원이 추출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하위 차원 내 다른 속성들과 의미상 일치하지 않은 5개의 문항이 제거되었다. 하위 차원들의 전체 설명력은 73.5%로 나타났으며 각 요인을 구성하는 문항을 바탕으로 문항의 내용과 선행연구(Jeong & Suh, 2003; Yoon, 2020; Kim, 2015)에서 요인 명을 명명한 것을 근거로 하여 하위 차원1(37.2%)을 헤어스타일 변신, 하위 차원2(36.3%)를 헤어스타일 관리로 각각 명명하였으며 %는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버림 하여 표기하였다.

3) 헤어 관리행동 하위 차원

헤어 관리행동은 총 10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고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Table 5>와 같이 단일 차원이 추출되었다. 하위 차원의 전체 설명력은 63.4%로 나타났으며 요인을 구성하는 문항의 내용과 선행연구(Woo & Choi, 2011; Kim & Jin, 2015; Lee & Kwon, 2015)에서 요인 명을 명명한 것을 근거로 하여 하위 차원1(63.4%)을 헤어스타일 신중성으로 명명하였으며 %는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버림 하여 표기하였다.

3. 연령에 따른 SNS 뷰티콘텐츠 이용특성이 헤어 관리행 동에 미치는 영향

다중회귀분석 전 SNS 뷰티콘텐츠와 헤어 관리행동의 다중공선성을 확인한 결과 VIF 값이 모두 10이하로 나타나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는데 무리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그 결과는 <Table 6>과 같다.
첫째, 10대의 SNS 뷰티콘텐츠 이용특성이 헤어 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헤어 관리행동 요인은 SNS 흥미도, SNS 신뢰도에 의해 약 51.5% 설명되며, SNS 흥미도, SNS 신뢰도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헤어 관리행동 요인은 각각 0.760, 0.401배씩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나타났다.
둘째, 20대의 SNS 뷰티콘텐츠 이용특성이 헤어 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헤어 관리행동 요인은 SNS 흥미도, SNS 신뢰도에 의해 약 32.9% 설명되며, SNS 흥미도, SNS 신뢰도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헤어 관리행동 요인은 각각 0.528, 0.281배씩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나타났다.
셋째, 30대의 SNS 뷰티콘텐츠 이용특성이 헤어 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헤어 관리행동 요인은 SNS 흥미도, SNS 신뢰도에 의해 약 20.1% 설명되며, SNS 흥미도, SNS 신뢰도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헤어 관리행동 요인은 각각 0.319, 0.332배씩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나타났다.
넷째, 40대의 SNS 뷰티콘텐츠 이용특성이 헤어 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헤어 관리행동 요인은 SNS 흥미도, SNS 신뢰도에 의해 약 50.4% 설명되며, SNS 흥미도, SNS 신뢰도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헤어 관리행동 요인은 각각 0.561, 0.332배씩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나타났다.
다섯째, 50대 이상의 SNS 뷰티콘텐츠 이용특성이 헤어 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헤어 관리행동 요인은 SNS 흥미도, SNS 신뢰도에 의해 약 45.6% 설명되며, SNS 흥미도, SNS 신뢰도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헤어 관리행동 요인은 각각 0.565, 0.417배씩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나타났다.
여섯째, 조사대상 전체의 SNS 뷰티콘텐츠 이용특성이 헤어 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헤어 관리행동 요인은 SNS 흥미도, SNS신뢰도에 의해 약 36.1% 설명되며, SNS 흥미도, SNS신뢰도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헤어 관리행동 요인은 각각 0.527, 0.295배씩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SNS의 흥미도와 신뢰도가 높을수록 자신의 헤어를 관리하는데 에 있어서 관심이 높다고 해석된다. Han(2013)의 헤어스타일 관여도가 SNS 정보이용과 SNS 마케팅 및 미용실 이용·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연구에서, SNS 적극적 정보사용은 헤어스타일 관여도에 정의 관계로 나타났으며 Kim(2022)의 중년의 SNS 뷰티콘텐츠 시청 동기가 뷰티관리행동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의 연구에서, 자기표현관리를 목적으로 SNS를 이용할 경우 상대적으로 뷰티관리행동이 높아지는 것으로 본 연구와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상을 종합해볼 때 SNS 뷰티콘텐츠 정보가 다양하고 신뢰도가 높을수록 모든 연령대 소비자들의 헤어스타일을 관리하는데 있어서 긍정적인 영향을 만드는 것으로 판단된다. Han(2013)의 헤어스타일 관여도가 SNS 정보이용과 SNS 마케팅 및 미용실 이용·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연구에서, SNS 적극적 정보사용은 헤어스타일 관여도에 정의 관계로 나타났으며 Kim(2022)의 중년의 SNS 뷰티콘텐츠 시청 동기가 뷰티관리행동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의 연구에서, 자기표현관리를 목적으로 SNS를 이용할 경우 상대적으로 뷰티관리행동이 높아지는 것으로 본 연구와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상을 종합해볼 때 SNS 뷰티콘텐츠 정보가 다양하고 신뢰도가 높을수록 모든 연령대 소비자들의 헤어스타일을 관리하는데 있어서 긍정적인 영향을 만드는 것으로 판단된다.

4. 연령에 따른 헤어스타일 관심도가 헤어 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다중회귀분석 전 헤어스타일 관심도와 헤어 관리행동의 다중공선성을 확인한 결과 VIF 값이 모두 10이하로 나타나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는데 무리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그 결과는 <Table 7>과 같다.
첫째, 10대의 헤어스타일 관심도가 헤어스타일 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헤어스타일 관리행동 요인은 헤어스타일 관리에 의해 약 29.1% 설명되며, 헤어스타일 관리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헤어스타일 관리행동 요인은 0.513배씩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나타났다.
둘째, 20대의 헤어스타일 관심도가 헤어스타일 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헤어스타일 관리행동 요인은 헤어스타일 변신, 헤어스타일 관리에 의해 약 28.1% 설명되며, 헤어스타일 변신, 헤어스타일 관리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헤어스타일 관리행동 요인은 각각 0.274, 0.491배씩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나타났다.
셋째, 30대의 헤어스타일 관심도가 헤어스타일 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헤어스타일 관리행동 요인은 헤어스타일 변신, 헤어스타일 관리에 의해 약 38.7% 설명되며, 헤어스타일 변신, 헤어스타일 관리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헤어스타일 관리행동 요인은 각각 0.388, 0.495배씩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나타났다.
넷째, 40대의 헤어스타일 관심도가 헤어스타일 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헤어스타일 관리행동 요인은 헤어스타일 변신, 헤어스타일 관리에 의해 약 49.3% 설명되며, 헤어스타일 변신, 헤어스타일 관리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헤어스타일 관리행동 요인은 각각 0.420, 0.376배씩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나타났다.
다섯째, 50대의 헤어스타일 관심도가 헤어스타일 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헤어스타일 관리행동 요인은 헤어스타일 변신, 헤어스타일 관리에 의해 약 40.5% 설명되며, 헤어스타일 변신, 헤어스타일 관리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헤어스타일 관리행동 요인은 각각 0.363, 0.538배씩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나타났다.
여섯째, 조사대상 전체의 헤어스타일 관심도가 헤어스타일 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헤어스타일 관리행동 요인은 헤어스타일 변신, 헤어스타일 관리에 의해 약 40.5% 설명되며, 헤어스타일 변신, 헤어스타일 관리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헤어스타일 관리행동 요인은 각각 0.411, 0.490배씩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모든 연령별 남녀노소, 헤어스타일에 관심도가 높을 경우 자신의 헤어를 관리하는 성향이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Jo(2016)의 TV 드라마 헤어스타일링 관심도에 따른 헤어스타일 인식 및 태도 연구에서 헤어스타일에 관심도가 낮은 집단 보다 헤어스타일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헤어스타일을 관리하는데 더 많은 비용을 투자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Choi (2021)의 중장년층의 자기 효능감, 성공적 노화, 헤어관리행동 및 미용실 선택속성에 관한 연구에서는 성공적 노년을 위해 노력하며, 매력적인 외모를 갖고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 다양한 활동에 참여할수록 헤어 관리행동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들을 보아 헤어는 자신의 매력을 보여주기에 큰 부분을 차지하며 연령대의 구별 없이 헤어스타일에 관심도가 높고 헤어 관리행동 성향이 높은 것은 본 연구와 비슷하다고 보인다. 이상을 종합해볼 때 헤어스타일에 관심도를 높여줄수록 헤어 관리행동의 긍정적인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V. 결 론

본 연구는 연령별로 SNS 뷰티콘텐츠 이용특성과 헤어스타일 관심도가 헤어 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여 연령별에 따라 헤어 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해보는 것에 목적이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별 SNS 뷰티 콘텐츠에 따른 헤어 관리행동의 영향을 살펴보자면, 10대에서는 흥미도와 신뢰도에 강한 영향력을 나타내었으며 다만 신뢰도가 흥미도에 비해 조금 약한 영향력이 나타났다. 20대에서는 흥미도와 신뢰도가 강한영향력으로 동일하게 나타 나였다. 하지만 30대에서는 흥미도와 신뢰도가 영향력은 있다고 나왔으나 다른 연령대에 비하여 가장 약한 영향력이 있었다고 보인다. 40대는 흥미도와 신뢰도가 영향력이 강하다고 나왔으나 10대와 같이 신뢰도가 흥미도에 비해 조금 약한 영향력이 있다고 나왔다. 50대 이상의 연령대에서는 흥미도와 신뢰도가 동일하게 강한 영향력으로 통계결과가 나왔다.
둘째, 연령별 헤어스타일 관심도에 따른 헤어 관리행동의 영향을 살펴보면, 10대에서는 헤어스타일 변신인 부분에서는 영향력이 없다고 나왔고 헤어관리는 강한 영향력으로 보이고 20대에서는 헤어스타일 부분과 헤어관리부분에서 둘 다 동일하게 강한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30대에서는 헤어스타일 변신과 헤어관리 부분에서 둘 다 강한 영향력을 보여주었지만 헤어스타일 변신인 부분에서 조금 더 약한 영향력을 보여주었다. 40대에서는 헤어스타일 변신과 헤어관리 부분에서 동일하게 어느 정도 영향력이 있다고 보이고 50대에서는 헤어스타일 변신과 헤어관리 부분에서 강한 영향력이 있다고 결과로 나왔지만 헤어스타일 변신 부분에서 헤어 관리부분보다 조금 약한 영향력으로 통계결과가 나왔다. 위의 결과에 입각한 결론, 한계점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SNS는 현재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고 많은 소비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가장 중요한 정보 매개체이다. 통계 결과에 따라 보면 10대부터 50대 이상의 연령대가 SNS 관련한 정보에서 흥미도와 신뢰도에 높은 영향력을 보임에 따라 SNS 뷰티콘텐츠가 모든 연령대의 헤어스타일 관리행동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30대가 다른 연령대에 비해 낮은 영향력을 미친다는 것으로 보아 30대에 맞춰진 SNS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좋은 방안이라 사료된다. 또한 모든 연령대에서 SNS 신뢰도가 흥미도에 비해 낮은 영향력을 보여줌에 따라 미용관련 뷰티 콘텐츠도 질 좋은 영상과 정보로 자신의 기술을 홍보하여 고객들의 방문을 장려하는 것이 SNS 뷰티콘텐츠 정보 신뢰도를 올리는 방안이라 사료된다. 다음으로, 헤어스타일은 외모표현에 있어 중요한 부분이라 보이고 통계결과에 따라 40대와 50대 이상의 연령대에서 헤어스타일을 표현하려고 하는 특징이 높게 보여 진다. 따라서 자체로도 아름다운 10대 20대보다는 외모에 신경을 많이 쓰는 중년층들 위주의 기술을 연구하고 다양한 디자인을 표현한다면 디자이너 고객유치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헤어 관리는 모든 연령대에서 높은 영향력으로 나오는 것으로 보아, 모발의 상태나 두피상태를 연령 구분 없이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일률적인 관리방법을 제안하는 것보다 연령별, 고객 개개인의 모발상태와 두피상태를 진단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고객 각자에 맞는 헤어 관리 방법을 제안한다면 매출액 및 재방문 고객이 증가할 것을 함의한다.
한계점으로는,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10대부터 50대 이상까지 연령별로 차이 결과를 확인 하는데 에 목표가 있었지만 10대, 30대, 40대, 50대 이상의 연령대에서 충분한 표본을 수거하지 못하여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연령대 별로 고르게 설문결과를 받아 통계를 내어서 비교해 보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SNS 뷰티콘텐츠 이용특성, 헤어 관심도, 헤어 관리행동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다양했지만 연령별로 구별되어 있는 연구가 미비하여, 본 연구를 진행해 보았다. 미용에 있어 SNS 관련 뷰티정보 홍보수단은 굉장히 큰 부분으로 작용되는 요즘, 성별에 따른 SNS 뷰티콘텐츠의 활용도가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향 후 성별에 따른 SNS 뷰티콘텐츠의 활용에 관한 연구가 지속되길 기대한다.

Fig. 1.
Research model
JKSC-2022-28-5-998f1.jpg
Table 1.
Composition and measurement of questionnaire
Category Content Question Scale Source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age, marital status, final education, job, monthly income 6 Nominal scale Researcher
SNS utilization status The most used, weekly average use, daily usage, daily average use time, daily watch beauty information, daily average use time about beauty content 6 Nominal scale Researcher
SNS beauty content Time, interest, focus, imagination, fun, useful, wanted, source, faith, believe, truth 11 Analyze factors An & Jin(2021), Lee & Woo(2022), Yu (2018) Revise·Supplement
Hair style interest Product, care, term, nerve, shape, change, instrument, helpful, defect 10 Analyze factors Park & Jeon(2018), Park(2016), Gong(2012) Revise·Supplement
Hair management behavior Change, frequently, attention, invest, specialized product, impact, try, prefer, change product, change salon 10 Analyze factors Yoon(2014), Shim(2019), Park(2016) Revise·Supplement
Total number of questions 43
Table 2.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N=339, %)
Category Frequency (N) Percentage (%)
Gender Man 159 46.9
Woman 180 53.1
Age 10s 43 12.7
20s 146 43.1
30s 46 13.6
40s 55 16.2
50s over 49 14.5
Marital status Single 231 68.1
Married 93 27.4
Etc (Divorce, Bereavement, Separation) 15 4.4
Final education Below high school graduation 77 22.7
A junior college in school 77 22.7
A college in school/graduation 153 45.1
Graduate school/graduation 32 9.4
Job Student 85 25.1
Office job 58 17.1
Specialized job 59 17.4
Service industrial employees 46 13.6
Sales work 4 1.2
Self-employed 20 5.9
Production worker 27 8.0
House wife 23 6.8
Unemployed 17 5.0
Average montly income Less than 1 million won 88 26.0
Less than 1 to 2 million won 63 18.6
Less than 2 to 3 million won 79 23.3
Less than 3 to 4 million won 50 14.7
Less than 4 to 5 million won 28 8.3
More than 5 million won 31 9.1
Total 339 65
Table 3.
Analysis of the factors of SNS beauty contents
SNS beauty content measurement question Interest in SNS SNS credibility Commonality
I think the content of SNS beauty content attracts my attention and attention. .895 .103 .812
I think the more I watch SNS beauty content, the better I can concentrate. .832 .303 .784
I think the time to use SNS beauty content is fun. .809 .291 .740
I think it takes a lot of time to watch SNS beauty content. .791 .186 .660
I think SNS beauty content stimulates imagination. .763 .286 .664
I think it is easy to believe that SNS beauty content provides. .173 .897 .834
I think the information provided by SNS beauty content is sincere .231 .872 .815
I think the information provided by SNS beauty content is highly reliable. .309 .831 .786
Eigenvalue 3.535 2.56
Explanatory variable(%) 44.189 31.996
Cumulative variable(%) 44.189 76.185
Reliability factor Cronbach's α 0.905 0.883
χ² = 1741.569(df=28, Sig.=0.000) KMO = 0.884
Table 4.
Analyzing the factors of interest in hair style
Hair style interest measurement question Hair style transformation Hair style management Commonality
I think a change in hair style is helpful for image transformation. .930 .103 .875
I think hair style is a tool for transformation among external images. .914 .142 .856
I specialized care in hair care shop. .004 .885 .783
I have my hair dyed and perm fix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119 .813 .675
I use products for hair care. .383 .585 .489
Eigenvalue 1.86 1.817
Explanatory variable(%) 37.207 36.334
Cumulative variable(%) 37.207 73.541
Reliability factor Cronbach's α 0.866 0.688
χ² = 541.334(df=10, Sig.=0.000) KMO = 0.622
Table 5.
Analysis of hair management behavior factors
Hair management behavior measurement questions Careful with your hair style Commonality
My hairstyle is influenced by hair treatment photos and videos that can be seen on social media (famous hair designers, beauty companies, etc.). .861 .741
I have paid attention to knowledge or information about hairstyles after watching SNS beauty content. .848 .719
I want to try my hairstyle based on the hairstyle information I got through SNS. .832 .692
I have invested a lot of time in my hairstyle after watching SNS beauty contents. .824 .679
I have considered changing my hairstyle after watching SNS beauty content. .799 .638
I am thinking of changing the hair salon because of the hairstyle I want after watching the SNS beauty content. .795 .633
I am willing to use the service by visiting the hair salon with my preferred picture from the hairstyle information on SNS. .789 .623
I often went to the hair salon to change my hairstyle after watching SNS beauty content. .767 .588
After watching SNS beauty content, I converted the existing hair product into a product from the content. .728 .530
I once purchased and used a specialized product for the health of my scalp and hair after watching SNS beauty content. .711 .505
Eigenvalue 6.348
Explanatory variable(%) 63.478
Cumulative variable(%) 63.478
Reliability factor Cronbach's α 0.935
χ² = 2351.486(df=10, Sig.=0.000) KMO = 0.936
Table 6.
The effect of SNS beauty content on hair management behavior according to age
Dependent variable (Hair management behavior) Age Independent variable (SNS beauty content) B β t modified R² F
Hair management behavior 10s (constant) -.304 -3.574 0.538 0.515 23.310 ***
Interest in SNS .583 .760 6.680 ***
SNS credibility .301 .401 3.525 **
20s (constant) .295 4.889 0.339 0.329 36.605 ***
Interest in SNS .443 .528 7.754 ***
SNS credibility .249 .281 4.125 ***
30s (constant) .082 .491 0.236 0.201 6.653 **
Interest in SNS .419 .319 2.377 *
SNS credibility .355 .332 2.478 *
40s (constant) -.322 -2.898 0.522 0.504 28.440 ***
Interest in SNS .654 .561 5.647 ***
SNS credibility .373 .332 3.344 **
50s and older (constant) -.416 -3.620 0.479 0.456 21.132 ***
Interest in SNS .606 .565 5.306 ***
SNS credibility .527 .417 3.920 ***
All (constant) -1.965 .000 0.365 0.361 96.495 ***
Interest in SNS .527 .527 12.127 ***
SNS credibility .295 .295 6.777 ***

* p<0.05,

** p<0.01,

*** p<0.001

Table 7.
The effect of age-based hair style interest on hair style management behavior
Dependent variable (Hair management behavior) Age Independent variable (Interested in hair styles) B β t modified R² F
Hair management behavior 10s (constant) -.079 -.586 0.324 0.291 9.607 ***
Hair style transformation .255 .261 2.005
Hair style management .502 .513 3.948 ***
20s (constant) .217 3.080 0.291 0.281 29.364 ***
Hair style transformation .342 .274 3.875 ***
Hair style management .442 .491 6.947 ***
30s (constant) -.193 -1.524 0.414 0.387 15.213 **
Hair style transformation .462 .388 3.323 **
Hair style management .538 .495 4.238 ***
40s (constant) .198 -.298 0.512 0.493 27.290 ***
Hair style transformation .101 .420 3.417 **
Hair style management .157 .376 3.057 **
50s and older (constant) -.303 -2.720 0.453 0.429 19.057 ***
Hair style transformation .358 .363 3.319 **
Hair style management .592 .538 4.914 ***
All (constant) -1.305 .000 0.409 0.405 116.107 ***
Hair style transformation .411 .411 9.788 ***
Hair style management .490 .490 11.679 ***

** p<0.01,

*** p<0.001

References

An, E. S., & Jin, Y. M. (2021). The impact of youtube beauty contents on user satisfaction and job preparaton behavior: focusing on beauty majo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7(1), 164-165.
Baek, H. (2020). Beauty management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motivation to use social media, thesis from Graduate School of Dongshin University, pp. 1-8.
Boyd, D. M., & Ellison, N. B. (2007). Social network sites: definition, history, and scholarship.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13(1), 210-230.
crossref
Choi, J. Y. (2021). A study on the self-efficacy, successful aging, hair management behavior and the hair salon selection attributes of the middle-aged, thesis from Seokyu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pp. 111-113.
Gong, S. M. (2012). Study on how awareness and attitude towards hair style effect awareness level, preference level and service accomplishments of online hair shopping malls, thesis from Seokyu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pp. 98-106.
Han, G. R. (2013). Effect that the involvement in hair style would have on the use of sns information, sns marketing, and the willingness for the use of beauty parlor and the worth-of-mouth advertising, thesis from Seokyu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pp. 7-10.
Jeon, H. J. (2013). A study on contents design via non-linear and participative storytelling on social network services : through the development of facebook application, thesis from Ewha Woma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pp. 158-184.
Jeong, K. S., & Suh, K. H. (2003). The roles of hair satisfaction and concern about hairdressing in women's self-este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9(3), 42-44.
Jo, E. J. (2016). A study on the hair style perception and attitude of tv drama hair styling according to Interest, thesis from Sungkyu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Beauty Education, pp. 45-51.
Jo, H. H. (2019). Effects of sns beauty contents on the beauty care behavior and brand switching behavior of consumers, thesis from, Hansu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Art, pp. 7-14.
Kang, Y. Y. (2020). The effect of beauty sns exposure Information on social distance, hairstyle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thesis from Sungkyu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pp. 1-6.
Kim, B. M. (2022). Effects of middle-aged people's snsbeauty content viewing on Beauty management behaviors and satisfaction, thesis from Seokyu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pp. 47-50.
Kim, H. R. (2013). A study of success factors and strategy of contents-based social networking service, thesis from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General School, pp. 32-38.
Kim, M. O., & Jin, Y. M. (2015). Research paper : study on appearance man's and hair beauty consumption disposition along with male customers' life sty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1(5), 931-936.
Kim, M. S. (2017). Effect of hair management behaviors due to lifestyles and idol celebrity interests of college students, thesis from Yuwon Polytechnic University Graduate, pp. 10-12.
Kim, S. J. (2015). A study on beauty interest and hairstyle preference in career women from 30s to 50s, thesis from Nambu University Graduate School, pp. 10-47.
Lee, C. H. (2019). The effect of sns beauty information on the motivation and cosmetic behavior of female college students, thesis from Sungshin Wome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Beauty Convergence, pp. 11-15.
Lee, H. S. (2008). Classification image and preference about visual evaluation of hair style, thesis from Kyungsu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pp. 7-16.
Lee, H. Y. (2018). The relationship among the information characteristics, information acceptance attitude, repurchase intention of beauty service through sns, thesis from Seokyung University Gr aduate School, pp. 6-13.
Lee, J. E., & Woo, M. O. (2022). A study influence of beauty youtube content characteristics and personal tendencies on behavioral intentio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8(2), 344-345.
crossref pdf
Lee, J. Y. (2012). A study on the self-esteem and information exploration of women’s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thesis from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chool of Telecommunications, pp. 5-13.
Lee, O. S., & Kwon, K. H. (2015). Research paper : a change in psychological and physical stress according to hair-style management method and satisfaction in career women. Journal of the K 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1(2), 314-319.
Lee, Y. H. (2020). Influence of beauty-related social media usage and preferred hairstyles on image management strategies, thesis from Konkuk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Industry, pp. 1-6.
Park, D. E. (2016). The current hair styles and beauty salon customer preferences and hair style impact on their appeara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2(6), 1247-1253.
Park, D. E., & Jeon, H. S. (2018). Effects of beauty service values, hair designer's image and preferred hairstyles on customer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4(3), 617-619.
Park, H. Y. (2016). A study on women's appearance and hair style success-oriented interests and buying behaviors hair cosmeics, thesis from Seokyu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pp. 50-55.
Park, J. Y. (2009). A study on hair care attitudes, practices and spend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27(2), 64-66.
Park, S. J. (2019). The effects on beauty youtube contents on cosmetology service purchase behavior by appearance interest and hairstyle involvement, thesis from Konkuk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Industry, pp. 5-7.
Seo, S. O. (2011). Purchase behavior in beauty service by women's perception of hair style, thesis from Seokyu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pp. 7-16.
Shim, K. S. (2019). A study of hairstyle management status and preference according to women’s occupation group, thesis from General Graduate School, Gwangju Women's University, pp. 71-80.
Woo, S. J., & Choi, K. H. (2011). Research paper : influence of male undergraduates' aesthetic consciousness up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centering on hair care, skin care, and make-up(cosmetic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7(1), 187-193.
Yoon, C. E. (2020).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hair loss and wigs according to hair interest, thesisfrom Changsh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pp. 19-59.
Yoon, S. Y. (2013). A study of the beauty application contents composition on smart phone, thesis from Seokyu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pp. 49-73.
Yoon, S. M. (2014). Middle aged women perception of appearance management according to their hair style, thesis from Seokyu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pp. 56-60.
Yu, H. K. (2018). The effect of beauty content on information reliability and information satisfaction, thesis form Honam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ocial Convergence, pp. 68-70.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10-2825-6735   Fex: +82-62-950-3797    E-mail: beauty2007@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