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Cosmetol > Volume 28(6); 2022 > Article
중국 중년여성의 월 소득에 따른 화장품 사용과 피부관리 행동

Abstract

With the development of the Chinese economy and changes in cultural life, middle-aged women's desire for a healthy and beautiful life has increased, and interest in skin care has continued to increase.Pay more attention to skin care to look more attractive. In addition, investment in skin care is increasing as professional women's participation in society increases and demand for appearance. In this study, middle-aged women in their 30s and 50s living in Liaoning Province of China, were studie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cosmetics use and skin care behavior depending on their monthly income. A total of 205 middle-aged residents of Shenyang, Tieling and Dandong were surveyed. All 185 of them were used as the final analysis materials except for 20 inattentive or missing answers.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cosmetics use, and skin care, and a case care test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cosmetics use management and skin care according to monthly income. This study used the SPSSWIN 21.0 program, and all empirical analyses were verified at a significance level of 5%. People with high monthly incomes have a high demand for cosmetics, and low-income middle-aged women have a lower desire to use cosmetics than working women due to a lack of income. Prices are an important factor in the cosmetics purchase process, indirectly affecting consumers' desire to buy cosmetics, and low-income middle-aged women are less willing to use cosmetics than working women because they cannot buy expensive cosmetics due to lack of income. Economic income is the basic factor that affects women's consumption behavior in beauty direction, and the basis for economic factors is that the amount of skin care expenditure of high-income people is larger depending on monthly income and facial skin care investm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cosmetics use and skin care behavior according to monthly income for middle-aged women in their 30s to 50s living in various occupations in Shenyang, Tiering, and Dandong of China.

I. 서 론

현대 사회에서 중국의 경제 발전과 문화생활의 변화로 중년 여성들은 건강하고 아름다운 삶을 추구하고자 하는 욕구가 높아지고 있으며, 피부관리에 대한 관심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여성들에게 외모의 중요성이 점차 높아지면서, 매력적으로 보이기 위해 외모관리 행동 중에 하나인 피부관리에 더욱 신경 쓰고 있다. 또 직장 여성의 경우 사회 참여가 확대되면서 외모를 가꾸려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피부관리에 대한 투자도 증가하고 있다(Yu, 2014).
중국의 개혁개방 이후 경제 발전과 의식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가부장적 종속관계에 있던 여성의 사회적 지위 향상과 학력 및 소득이 향상되면서 중년여성의 사회경제적 수준은 남성과 동등한 수준에 도달했다(Park, 2019). 그리고 중국 전통에 따라 중국 중년여성들이 가정에서 경제권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아 이들은 중국 경제의 주력 소비자가 되었다. 따라서 중국의 중년여성들은 사회적으로 특수한 소비집단으로, 사회의 다른 소비집단과는 다른 소비심리와 소비행동을 보이고 있다. 또한 중년여성들은 외모에 관심을 두게 되면서, 화장품 사용과 피부 관리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段文星, 2007). 중국 화장품 시장은 중년여성의 소득 증가와 함께 성장하고 있으며, 동시에 중국 화장품 시장의 핵심 소비계층인 30~50대 여성의 소득 증가는 화장품 수요의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특히 개혁 개방 이후 중국 화장품 시장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여성들의 미용과 피부관리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지면서 화장품 사용이 크게 증가하였다(Lee, 2009). 사회심리학적으로 중년여성의 외모는 관리가 잘 될수록 생활 수준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특히 첫인상에서 가장 먼저 보이는 것이 얼굴이므로, 중년여성에게 아름답고 젊은 얼굴을 유지하기 위한 피부관리는 필수적인 것으로 여겨진다(Son, 2018).
전통적으로 피부관리는 20대 젊은 여성의 전유물로 여겨져 왔지만,아름다움에 대한 의식 수준이 높아지면서 중년여성들이 20대보다 피부관리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여성에게 있어서 아름다운 외모는 중요하며, 사회적 명함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미지 관리는 현대 여성의 자기관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요소가 되었다(Zhao, 2019).
이에 본 연구는 중국 선양시, 톄링시, 단둥시에 거주하는 다양한 직종의 30~50대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월 소득에 따른 화장품 사용 및 피부관리 행동을 연구하여, 화장품 사용 및 피부 관리 행동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규명하고자 한다.

II. 이론적 배경

중년여성이란 중년기의 여성을 나타내는 말로 문헌에 따라 다양하게 표현되고 있지만, 청년으로부터 노년으로 넘어가는 중간 시기에 속하며, 인생의 전반부에서 후반부로 넘어가는 전환점 시기에 있는 여성을 지칭한다(Moon, 2010). 중년여성은 자녀와 부모 사이에 존재하며, 자신의 욕구와 다른 사람을 돌보아야 하는 책임 사이에 끼어 있는 ‘샌드위치 세대’라고도 하며, 자녀의 독립으로 부모의 역할이 축소된 ‘빈 둥지’라고도 표현하기도 한다(Lee, 2009). 중년여성들은 신체기능이 감퇴하면서 노화가 급격히 시작되고 갱년기와 폐경기로 인한 호르몬 변화로 여러 가지 노화현상이 나타나며, 감정이 불안정해지며 나이가 들수록 여성성을 상실하게 된다(Kim, 2015). 심리적으로 개인의 경험과 활동 영역이 넓어짐에 따라 신체적·정신적·사회적·문화적 스트레스가 발생하는 시기이기도 하며, 이러한 스트레스로 인하여 중년여성들에게는 식욕 저하, 불면증, 가슴 두근거림, 체중감소, 변비, 불안감, 무기력증, 결단력 저하, 의욕 상실 등의 우울증이 많이 발병하기도 한다(Her, 2011). 또 신체 기능이 저하되면서 피부 세포 재생주기와 혈액순환이 느려지고 여러가지 스트레스 영향까지 더해져 대부분의 사람들은 피부가 건조해지고, 피부 톤이 칙칙해지며, 피부 광택과 탄력 저하와 주름·색소침착 등 피부에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체형 상으로도 신진대사가 저하되면서 젊었을때 보다 체중이 증가하게 되는데, 특히 허리 복부비만이 많이 나타나는 현상을 보여 전신관리도 요구되는 시기이기도 하다.
아름다운 피부는 매력적인 사람으로 판단하게 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므로, 사회에서 호감 가는 인상으로 평가받기 위해서, 좋은 피부는 뛰어난 패션 감각처럼 더욱 중요한 요소이다(Moon, 1992). 피부의 상태는 인체의 건강, 내장 등의 상태, 호르몬의 분비와 정신적인 상태 등의 내적 요소와 기후·계절·환경 등의 외적 요소에 의해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피부관리란 각 개인의 피부 유형에 따른 미용상 문제점을 개선하여 건강하고 아름다운 피부를 유지하고, 손상된 피부의 건강 상태는 회복을 시키는 것이다. 즉 피부관리란 피부 유형에 따른 전반적 미용 관리를 말하는데 피부 표면의 성질을 조정하여 건강한 세포들로 피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피부 자체의 건강을 유지하고 미화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피부에 대한 지식을 이해하고, 응용하여 피부의 건강과 아름다움을 유지하려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Cheon, 2008).
중국 피부관리실의 미용산업은 급속히 발전하여 아름다운 새로운 소비를 활성화하고 있다(孙靓, 2020). 중국 중년여성의 소득 증가에 따라 피부관리 행동도 증가하고 있으며, 피부관리 행동에는 크게 일반 피부관리(얼굴·전신 관리)와 의료적 미용을 하는 병원 내 피부관리실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그 중 일반적인 피부관리에서는 25세에서 45세 사이의 직장여성들이 얼굴 관리 및 전신 관리에 소비하는 것이다. 중국 25~45세 직장여성은 대부분 피부관리실 이용객으로, 이들은 대부분 경제적 능력이 여유로워 소비 능력이 있고 학벌이 높으며 피부관리에 대한 기본 인식이 있어, 소비 빈도가 높은 고소득층이다. 또 사교적인 이미지를 유지하기 위해 얼굴 생김새와 몸매에 대한 요구가 날로 높아지고 있고, 높은 경제적 소득을 가지고 있어 피부관리실을 찾는 주요 소비층이다. 도시 오염의 심화, 작업 환경의 스트레스 증가 등의 요인으로 인해 고소득층의 소비 수요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나, 소비 능력이 낮은 주부, 학생 등 저소득층은 피부관리실을 찾아 피부관리를 하는 것에는 어려움이 있어 제품을 직접 구입하여 집에서 피부관리를 하는 경향이 있다(向婉, 2017). 또 피부관리 가격에 민감한 일부 고객들은 높은 비용을 걱정하며 저소득 여성 소비층은 무료 체험이나 단회 구매가 가능한 얼굴 관리프로그램을 많이 찾기도 한다(赵方, 2019).

1. 중국 화장품의 시장

화장품은 크게 기능성 화장품 및 일반화장품으로 분류하는데, 기능성 화장품은 사용 목적의 강조성이 다르나, 의약외품 및 의약품과 사용 목적, 대상, 범위, 효능 및 부작용의 차이가 있어, 안전을 위하여 법으로 제한하여 관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의약품이나 의약외품과 비교해 볼 때, 정상인을 대상으로 세정과 미용을 목적으로 하며,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으나 부작용이 거의 없는 것을 말하고(Georgia, 2012), 기능성화장품은 화장품의 안전성뿐 아니라 효능·효과까지 강조된 제품이라 할 수 있다(Baek, 2013).
기능성 화장품은 피부질환이 없는 건강한 사람이 피부 상태를 건강하게 유지해 피부 이상 노화 방지, 기미·주근깨, 죽은 각질, 피부 건조 등과 같은 문제점들을 적극적으로 해결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인체에 대한 작용이 완화된 화장품을 말하며(Kim, 2016) 중국화장품 시장에서 기능성화장품에 대한 별도의 규정은 없다.
현재 중국 화장품 시장의 매출 추세는 세계 1위이며, WTO에 정식 가입한 뒤 세계 최고의 급성장 시장을 보이고 있다(黄文军, 2014). 또한 중국 개혁개방 정책 이후 중국 여성들이 외모를 중시하면서 아름다운 외모에 관한 관심이 높아져 화장품 소비가 증가되고 있고 화장품 시장도 확대되고 있다(Baek, 2015).
사회활동에서 자기 입장을 정확하게 표현하려고 노력하는 여성일수록 화장품을 고를 때 자신의 피부타입에 맞는 화장품을 구매하고 싶어 한다(Yang, 2020)고 보고하고 있으며, 중국 중년여성 소비자는 여성의 학력이 높아지고 사회진출이 늘면서 평균 월 소득이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중년여성 소비지출 비중이 높아지고 있으며(Yoo, 2014) 화장품을 구매할 때 상품과 가격에 주로 관심을 기울이지만, 판매원의 추천 등 외적인 요소에도 관심을 가진다(Seo, 2010)고 보고하고 있다.

2. 피부관리 행동

피부관리 행동은 피부가 가진 모든 기능을 가능한 젊고 건강한 피부 상태가 되도록 유지하기 위한 관리를 말하며, 노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행동의 과정이다. 젊음을 유지하려는 생활방식을 통하여 노화를 예방하고 자신의 이미지나 자존감의 회복을 통해 심리적 자아실현과 자기 성취감을 충족시키고, 삶에 대한 행복감과 만족감을 느끼게 한다(Lee, 2012).
피부관리 행동에 관련된 선행 연구는 연구자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의학적 피부 관리란 의학적 치료의 관점에서 과학적인 기계 사용이나 기구, 약품을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최대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피부 문제를 빠른 시간 내에 회복시키는 관리 방법이다. 일반 피부관리란 예방적 관점에서 정신적 안정, 생리적 활성화, 심리적 이완을 위해 아름답고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는 방법인데, 일반적인 피부관리를 위하여 개인 피부 타입별에 맞는 피부 스케일링과 마사지 후, 보습, 진정, 탄력, 미백 등 다양한 효능을 가진 전문 화장품 등을 사용한다(Pae, 2016). 젊은 여성은 잡티 없는 깨끗한 피부를 얻기 위해 피부를 관리하며, 연령이 높아 질수록 젊은 피부를 유지하기 위해 피부를 관리하는 것으로 나타나 연령에 따라 피부를 관리하는 이유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Kim, 2007). 또 피부에 대한 지식이 높고 피부 상태가 좋을수록 피부 관리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Myung, 2001).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 대상 및 조사 내용

본 연구는 중국 려오녕성에 거주하는 다양한 직종의 30~50대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월 소득에 따른 화장품 사용 및 피부 관리 행동을 연구하여, 화장품 사용 및 피부관리 행동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중국 선양시, 톄링시, 단둥시에 거주한 총 205명 중년여성에 대해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누락된 20부를 제외한 185명의 설문을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일반적 특성에서는 30대, 40대, 50대 그룹으로 나누고, 최종 학력, 직업, 결혼상태, 월 소득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또한, 월소득에 따른 화장품 사용의 차이에 대한 피부관리 관심도, 화장품 사용 유무, 화장품 미사용 이유, 사용 화장품, 화장품 구입 기준, 정보 습득 방법, 화장품 만족도, 구매장소, 화장품 구매 금액 등 아홉 개로 나누고 월 소득에 따른 피부관리의 차이에 대해서는 피부관리, 피부관리 미사용 이유, 관리 부위, 관리 후 효과 만족도, 피부관리 이용 금액, 쁘띠 성형, 쁘띠 성형 망설이는 이유, 이용 쁘띠 성형, 만족도, 쁘띠 성형 이용 금액, 삶의 질 도움 총 11개로 분류하였다.

2. 자료 분석 방법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징, 화장품 사용, 피부관리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월 소득에 따른 화장품 사용관리, 피부관리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카이스케어 검정(χ2)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실증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5%에서 검증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인구통계학적 특성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는 <Table 1>과 같다. 연령은 ‘30대’가 36.8%, ‘40대’가 33.0%, ‘50대’가 30.3%이었고, 최종학력은 ‘고졸’이 40.0%, ‘중졸 이하’가 27.6%, ‘대졸’이 27.0%, ‘대학원 이상’이 5 . 4% 순이었다. 직업은 ‘전업주부’가 48.1%, ‘사무직’이 28.6%이었고, 이 외에 ‘자영업’은 9.7%, ‘전문, 기술직’은 7. 6%이었다. 결혼상태는 ‘기혼’이 71. 9%, ‘기타’ 가 17.8%, ‘미혼’이 10.3% 순이었으며, 월소득은 ‘50~100만원 미만’이 41.1%, ‘100만원 이상’이 32.4%, ‘50만원 미만’이 26.5% 순이었다.

2. 월 소득에 따른 화장품 사용의 차이

월 소득에 따른 화장품 사용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월 소득에 따른 피부관리 관심도, 피부노화 예방을 위한 화장품 사용 유·무, 사용 화장품, 화장품 구입 기준, 정보 습득 방법, 화장품 만족도, 화장품 구매 금액의 차이는 유의미하였으나, 피부노화 예방을 위한 화장품 미사용 이유, 화장품 구매장소의 차이는 유의수준 5%에서 유의미하지 않았다.
피부관리 관심도는 월 소득이 50만원 미만과 100만원 이상은 ‘많다’가 각각 63.3%, 78.3%로 가장 높았고, 50~100만원 미만은 ‘보통이다’가 76.3%로 가장 높았다(χ2=58.234, p<.001). 피부노화 예방을 위한 화장품 사용유·무에 대해 50만원 미만과 50~100만원 미만은 ‘그렇지 않다’가 각각 36.7%, 46.1%로 높은 반면, 100만원 이상은 ‘그렇다’가 8 0. 0%로 매우 높았으며 (χ2=10.061, p<.01), 사용 화장품으로 50만원 미만과 50~100만원 미만은 ‘주름개선 제품’이 각각 41.9%, 31.7%로 가장 높았고, 100만원 이상은 ‘자외선차단 제품’이 43.8%로 가장 높았다(χ2=24.317, p<.01). 화장품 구입 기준으로 50만원 미만과 50~100만원 미만은 ‘성분 및 효능’이 각각 71.0%, 56.1%로 가장 높았고, 100만원 이상은 ‘가격’이 52.1%로 가장 높았으며(χ2=22.539, p<.05), 정보습득 방법으로 50만원 미만과 50~100만원 미만은 ‘인터넷/홈쇼핑/틱톡’이 각각 67.7%, 48.8%로 가장 높았고, 100만원 이상은 ‘화장품 판매원’이 39.6%로 가장 높았다(χ2=46.169, p<.001). 화장품 만족도로 50만원 미만과 100만원 이상은 ‘그렇다’가 각각 67.7%, 43.8%로 가장 높았고, 50~100만원 미만은 ‘보통이다’가 58.5%로 가장 높았으며(χ2=35.801, p<.001), 화장품 구매 금액으로 50만원 미만과 100 만원 이상은 ‘10~20만원 미만’이 각각 51.6%, 56.3%로 가장 높았고, 50~100만원 미만은 ‘10만원 미만’이 39. 0%로 가장 높았다(χ2=29.279, p<.001). 

3. 월 소득에 따른 피부관리의 차이

월 소득에 따른 피부관리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Table 3>과 같다.
월 소득에 따른 피부관리 이용유·무, 피부관리 이용하지 않는 이유, 피부관리 부위, 관리 후 효과 만족도, 피부관리 이용 금액, 쁘띠성형을 망설이는 이유, 피부관리와 쁘띠성형을 통한 삶의 질 상승 여부의 차이는 유의미하였으나, 쁘띠성형 이용유·무, 이용 쁘띠성형, 쁘띠성형 만족도, 쁘띠성형 이용금액의 차이는 유의수준 5%에서 유의미하지 않았다.
피부관리 이용유·무는 월 소득이 50만원 미만과 50~100만원 미만은 ‘그렇다’가 각각 63.3%, 77.6%로 높았고, 100만원 이상은 ‘그렇지 않다’가 51.7%로 높았다(χ2=12.574, p<.01). 피부관리 이용하지 않는 이유로 50만원 미만은 ‘피부관리 및 병원 이용 방법을 몰라서’가 33.3%로 가장 높았으나, 50~100만원 미만과 100만원 이상은 ‘비용이 비싸서’가 각각 64.7%, 80.6%로 가장 높았다(χ2=31.272, p<.001). 피부관리 부위로 50만원 미만과 50~100만원 미만은 ‘얼굴’이 각각 74.2%, 93.2%로 매우 높았으나, 100만원 이상은 ‘전신’이 41.4%로 높았다(χ2=15.284, p<.001). 관리 후 효과 만족도로 50만원 미만과 100만원 이상은 ‘그렇다’가 각각 80.6%, 62.1%로 가장 높았고, 50~100만원 미만은 ‘보통이다’가 61.0%로 가장 높았으며(χ2=26.268, p<.001), 피부관리 이용 금액으로 50만원 미만과 50~100만원 미만은 ‘10~50만원 미만’이 각각 77.4%, 37.3%로 가장 높았고, 100만원 이상은 ‘50~100만원 미만’이 44.8%로 가장 높았다(χ2=34.390, p<.001). 쁘띠성형을 망설이는 이유에 대해 50만원 미만은 ‘시간이 없어서’가 3 8. 5%로 가장 높았으며, 50~100만원 미만은 ‘부작용이 우려되서’가 61.1%, 100만원 이상은 ‘경제적인 여유가 없어서’가 61.9%로 가장 높았다(χ2=33.574, p<.001). 피부관리와 쁘띠성형을 통한 삶의 질 상승 여부에 대해서는 50만원 미만과 50~100만원 미만, 100만원 이상 모두 ‘그렇다’가 각각 80.0%, 60.0%, 89.4%로 가장 높았으나, 50~100만원 미만의 경우 ‘보통이다’가 40.0%로 높게 나타났다(χ2=17.102, p<.01). 경제적 소득은 여성의 미용 방향에서의 소비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기초요인으로, 경제적 요인의 기초는 월 소득에 따른 얼굴 피부관리에 투자되는 금액이 다르고, 고소득자는 피부관리에 소비하는 금액이 더 크다(乔木, 2008)고 보고하여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함을 보였다.

V. 결 론

본 연구는 중국 려오녕성 30~50대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월소득에 따른 화장품 사용 및 피부관리 행동을 알아보고 화장품 사용 및 피부관리 행동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 특성 분석 결과에서 월 소득에 따른 화장품 사용의 차이는 월 소득이 높은 직장 여성은 외모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 화장품 사용도가 높았고, 화장품의 성분과 효능에 가장 중점을 두며, 인터넷과 홈쇼핑, 틱톡을 통해 정보를 얻고 자외선 차단, 주름 개선 제품, 탄력 제품을 구매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 소득이 높은 여성들은 화장품에 대한 수요가 높았던 반면, 저소득 중년여성들은 직장 여성들보다 화장품 사용 욕구가 현저히 낮았다. 저소득 중년여성들은 소득의 대부분을 필수재 소비에 사용하고 있었으며 피부관리와 화장품을 사치재로 인식했기 때문이다.
가격은 소비자의 화장품 구매 과정에서 중요한 요소가 되어 간접적으로 소비자의 구매 의욕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루펑과 왕빙 둥은 저소득 중년여성은 자신의 수입이 부족하여 비싼 화장품을 구입 할 수 없어서 화장품 사용 욕구가 직장여성 보다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陆鹏, 王炳东, 2021)보고하여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함을 보였다.
Jang(2017)의 선행연구에서는 현대 중국여성 화장품 구매에 대한 정보 습득 채널이 대부분 온라인 플랫폼이며 중년여성 소비자가 화장품의 성분, 효능, 품질 및 안전성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인다는 결론을 보고하여 본 연구와 유사함을 보였고, Shin, Kim(2007)의 선행연구에서도 월 평균 소득이 높은 여성일수록 화장행태가 효용성에 치우쳐 화장품 구매가 필수 요소로 떠올랐으며, 월 소득이 적은 여성일수록 사회생활에서 경제적 제약으로 화장품 구매에 많은 투자를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경제적 소득이 높고 구매력이 강한 소비자 그룹이 성분과 효능에 관심을 두는 현상이 점차 증가하고 있고, 일반소비자 그룹에 비해 이러한 그룹은 주로 고소비자 그룹이며, 소비 구매 능력은 일반 소비자보다 높으며 피부관리 제품의 높은 소비도 기능성 피부관리 산업의 발전을 주도하는 요인 중 하나라고 보고하였다. 또한 구매 요인의 관점에서 볼 때 성분과 효능은 소비자가 피부관리 제품을 선택하는 주요 요소이며, 피부관리 성분의 대중화율이 높아짐에 따라 소비자는 성분과 효능에 따라 피부관리 제품을 선택하며, 기능성 피부관리를 선택한다(贾润梅, 2022)고 보고하여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 특성 분석 결과에서 월 소득에 따른 피부 관리의 차이는 30대~50대 다양한 직종의 중년여성들이 자신의 월 소득 능력 범위 내에서 피부관리 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월 소득 수준에 따라 다르지만 모든 중년여성이 얼굴 부위 피부관리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월 소득이 높을수록 쁘띠성형에 대한 수요가 높아 보톡스 주사/필러, 얼굴 윤곽, 레이저 시술 등이 인기가 많고 성형 후 만족도가 높고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쁘띠성형에 대한 수요의 차이는 주로 경제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저소득 여성들은 경제적 부족으로 인해 쁘띠성형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며, 또한 대다수의 고소득 중년 여성들은 쁘띠성형 후 만족도가 높으며, 쁘띠성형 후 완벽한 개인 이미지를 남들에게 더 잘 보여줄 수 있다고 생각하여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을 주고 있다(李冬月, 2022)고 하였다. Park(2019)의 선행연구에서는 고소득 직장여성들은 피부 상태가 좋은 경우나 피부관리 경험도 저소득 여성 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나 피부관리실을 이용한 피부관리가 두드러졌다. 또 월 소득이 높을수록 얼굴 관리에 대한 욕구가 커지는데, 특히 피부노화 관리와 관련된 주름과 리프팅 안면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으며, 저소득 여성은 지인의 소개나 인터넷을 통해서 피부관리실 할인 활동 정보를 수집해서 피부관리를 단 회 구매하기 위해 적은 금액의 피부관리 투자를 하는 경우가 많다고 하였다. Kim(2002), Moon(2010)의 연구에서도 월 소득이 높을 수록 피부관리에 높은 관심을 갖는다고 보고하여 본 연구와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현재 중국은 화장품에 대한 제도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화장품에 대한 개념 및 인식이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 중국 중년여성들의 화장품 사용과 피부관리 시장을 예측하기 위해서 고소득 직장여성 및 저소득 여성에 따른 이용의 상황 조사를 확대하고, 피부관리실에서의 프로그램 이용에 대한 상황 조사를 확대해야 할 것으로 기대한다. 또 시대가 변함에따라 관련 마케팅 분야에서는 신뢰를 받을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시스템 개발과 자료보급을 위한 마케팅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able 1.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ortation Frequency(N) Percentage(%)
Age 30~39years 68 36.8
40~49years 61 33.0
50~59years 56 30.3
Final education Middle school graduation or less 51 27.6
High school graduation 74 40.0
University graduation 50 27.0
More than graduate 10 5.4
Occupation Student 3 1.6
Clerical work 53 28.6
Technical post 14 7.6
Sales, Service jobs 8 4.3
Self-employment 18 9.7
Housewife 89 48.1
Marital status Single 19 10.3
Married 133 71.9
other 33 17.8
Monthly living expenses Less than 500,000 won 49 26.5
Less than 500,000~1,000,000 won 76 41.1
Over a million won 60 32.4
All 185 100.0
Table 2.
Skin care
Sortation 50won less
50~100 won less
100won more
All
χ2 (p)
N % N % N % N %
Skin care interest Yes 31 63.3 18 23.7 47 78.3 96 51.9 58.234*** (.000)
Common 14 28.6 58 76.3 13 21.7 85 45.9
No 4 8.2 0 0.0 0 0.0 4 2.2
Whether to use skin-care products or not Right 31 63.3 41 53.9 48 80.0 120 64.9 10.061** (.007)
Don’t right 18 36.7 35 46.1 12 20.0 65 35.1
Reasons not to use skin care products Not necessary. 3 16.7 5 14.3 1 8.3 9 13.8 9.012 (.341)
High price 4 22.2 8 22.9 5 41.7 17 26.2
Lazy to use 5 27.8 9 25.7 0 0.0 14 21.5
Be ineffective 2 11.1 9 25.7 5 41.7 16 24.6
Skin aging isnatural phenomenon 4 22.2 4 11.4 1 8.3 9 13.8
Reasons for using skin care products Wrinkle remover product 13 41.9 13 31.7 9 18.8 35 29.2 24.317** (.007)
Elastic product 6 19.4 4 9.8 6 12.5 16 13.3
Sun protection 2 6.5 6 14.6 21 43.8 29 24.2
Rehydration products 4 12.9 11 26.8 10 20.8 25 20.8
Pigment removal product 3 9.7 4 9.8 1 2.1 8 6.7
Anti-aging products 3 9.7 3 7.3 1 2.1 7 5.8
Cosmetics purchasing standard Price 4 12.9 8 19.5 25 52.1 37 30.8 22.539* (.013)
Composition and efficiency 22 71.0 23 56.1 17 35.4 62 51.7
Advertisement 2 6.5 4 9.8 3 6.3 9 7.5
Peripheral advice 2 6.5 2 4.9 1 2.1 5 4.2
Brand recognition 1 3.2 4 9.8 1 2.1 6 5.0
Cosmetics Salesmen’s Recommendations 0 0.0 0 0.0 1 2.1 1 0.8
Message acquisition method Cosmetics salesman 0 0.0 2 4.9 19 39.6 21 17.5 46.169*** (.000)
Specialized Management Office (General Management Office) 0 0.0 2 4.9 1 2.1 3 2.5
Hospital (In-Hospital Skin Care Office) 2 6.5 0 0.0 3 6.3 5 4.2
Friend or acquaintance 4 12.9 9 22.0 10 20.8 23 19.2
TV Advertising, radio 4 12.9 2 4.9 3 6.3 9 7.5
Intemet/Home shopping/Tiktok 21 67.7 20 48.8 10 20.8 51 42.5
Magazine or cosmetics company 0 0.0 6 14.6 2 4.2 8 6.7
Cosmetic satisfaction Right 21 67.7 14 34.1 21 43.8 56 46.7 35.801*** (.000)
Common 10 32.3 24 58.5 8 16.7 42 35.0
Don’t right 0 0.0 3 7.3 19 39.6 22 18.3
Degree of purchase Department store or supermarket 2 6.5 3 7.3 1 2.1 6 5.0 10.309 (.112)
Cosmetic shop 9 29.0 23 56.1 18 37.5 50 41.7
Live broadcast 1 3.2 3 7.3 2 4.2 6 5.0
Online shopping mall 19 61.3 12 29.3 27 56.3 58 48.3
Cosmetic amount 10won less 1 3.2 16 39.0 4 8.3 21 17.5 29.279** (.001)
10~20won less 16 51.6 9 22.0 27 56.3 52 43.3
20~30won less 6 19.4 9 22.0 4 8.3 19 15.8
30~40won less 3 9.7 5 12.2 7 14.6 15 12.5
40~50won less 4 12.9 2 4.9 5 10.4 11 9.2
50won less 1 3.2 0 0.0 1 2.1 2 1.7
All 49 100.0 76 100.0 60 100.0 185 100.0

* p<.05,

** p<.01,

*** p<.001

Table 3.
Differences in skin care according to monthly income
Sortation 10 won less
50~100won less
100won more
All
χ2 (p)
N % N % N % N %
Skin care Right 31 63.3 59 77.6 29 48.3 119 64.3 12.574** (.002)
Donft right 18 36.7 17 22.4 31 51.7 66 35.7
Skin care Reasons for nonuse Don’t have time 5 27.8 5 29.4 5 16.1 15 22.7 31.272*** (.000)
Don’t know how to take care of my skin or use the hospital 6 33.3 0 0.0 0 0.0 6 9.1
Expensive 4 22.2 11 64.7 25 80.6 40 60.6
Be ineffective 0 0.0 1 5.9 0 0.0 1 1.5
Skin aging is a natural phenomenon 3 16.7 0 0.0 1 3.2 4 6.1
Management area Whole body 8 25.8 4 6.8 12 41.4 24 20.2 15.284*** (.000)
Face 23 74.2 55 93.2 17 58.6 95 79.8
Post management effectiveness satisfaction Right 25 80.6 23 39.0 18 62.1 66 55.5 26.268*** (.000)
Common 6 19.4 36 61.0 8 27.6 50 42.0
Don’t right 0 0.0 0 0.0 3 10.3 3 2.5
Amount of skin-care use 10 won less 0 0.0 20 33.9 3 10.3 23 19.3 34.390*** (.000)
10~50won less 24 77.4 22 37.3 10 34.5 56 47.1
50~100won less 5 16.1 7 11.9 13 44.8 25 21.0
100won more 2 6.5 10 16.9 3 10.3 15 12.6
Plastic surgery Right 23 46.9 40 52.6 39 65.0 102 55.1 3.884 (.143)
Don’t right 26 53.1 36 47.4 21 35.0 83 44.9
The reason for hesitating about petit plastic surgery Economic difficulties 6 23.1 4 11.1 13 61.9 23 27.7 33.574*** (.000)
Don’t have time 10 38.5 4 11.1 0 0.0 14 16.9
Worried about side effects 7 26.9 22 61.1 6 28.6 35 42.2
Don't. effect 2 7.7 5 13.9 2 9.5 9 10.8
Aging is natural 0 0.0 1 2.8 0 0.0 1 1.2
Other 1 3.8 0 0.0 0 0.0 1 1.2
Use plastic surgery Laser beam 1 4.3 5 12.5 2 5.1 8 7.8 19.302 (.081)
Fat transplantation 3 13.0 1 2.5 2 5.1 6 5.9
Wrinkle removal 4 17.4 4 10.0 2 5.1 10 9.8
Facial contour 1 4.3 0 0.0 5 12.8 6 5.9
Botox, Fillers 9 39.1 17 42.5 23 59.0 49 48.0
Laser treatment 5 21.7 11 27.5 5 12.8 21 20.6
Skin regeneration 0 0.0 2 5.0 0 0.0 2 2.0
Satisfaction Right 16 69.6 16 40.0 25 64.1 57 55.9 7.845 (.097)
Common 7 30.4 23 57.5 14 35.9 44 43.1
Don’t right 0 0.0 1 2.5 0 0.0 1 1.0
Plastic surgery Amount 50won less 1 4.3 1 2.5 0 0.0 2 2.0 11.728 (.304)
50~100won less 18 78.3 30 75.0 24 61.5 72 70.6
100~200won less 2 8.7 6 15.0 6 15.4 14 13.7
200~300won less 2 8.7 1 2.5 3 7.7 6 5.9
300~400won less 0 0.0 0 0.0 4 10.3 4 3.9
400won more 0 0.0 2 5.0 2 5.1 4 3.9
Skin care and petite plastic surgery help with quality of life Right 28 80.0 39 60.0 42 89.4 109 74.1 17.102** (.002)
Common 6 17.1 26 40.0 5 10.6 37 25.2
Don’t right 1 2.9 0 0.0 0 0.0 1 0.7
All 49 100.0 76 100.0 60 100.0 185 100.0

** p<.01,

*** p<.001

References

Baek, H. Y. (2015). Usage status and product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functional cosmetics recognition, Master's thesis in the Department of Service Management at Kwangwoon University Business School.
Cheon, E. A. (2008). A study on the patterns of self-development and skin care behavior of working women, The Graduate School of Chung-Ang University, Master's thesis.
Choi, E. (2022). A Paradigm Shift in Beauty Education in Response to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Based on Analysis of Trends in the Cosmetics and Beauty Indust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8(4), 675-688.
crossref pdf
Georgia. (2012). Perception and use of functional cosmetics, The Graduate School of Sookmyung University, Master's thesis.
He, Y. S., & Kim, K. E. (2022). A Study on the Usage status of Cosmeceuticals in High School Girl's Perception of Cosmetics Safety and Hazardous Ingredi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8(4), 750-760.
Her, T. D. (2011).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kin Care and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The Graduate School of Daegu Oriental Medical University, Master's thesis.
Jang, G. H. (2017). A Study on the Consumer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Chinese Women's Cosmetics, Graduate School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Major in Consumer Life Information and Consumer Life Information, Master's thesis.
Kim, S. J. (2015). A structural model of middle-aged women's happiness. The Graduate School of Eulji University, Master's doctoral dissertation.
Kim, B. Y. (2016). Satisfaction based on the use of functional cosmetics. Master's thesis in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Beauty, The Graduate School of Dankook University, Master's thesis.
Kim, N. E. (2007). A Study on the Knowledge and Behavior of Skin Health Care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Sookmyung Women's University, Master's thesis.
Kim, Y. J. (2002). Investigate the knowledge, attitudes, and educational needs of middle-aged women in skin health care, he Graduate School of Chung-Ang University, Master's thesis.
Lee, S. Y. (2009). A Study on the Interest in Appearance and Cosmetics Purchase Behavior of Middle-Aged Women a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Dongmyeong University, Master's thesis.
Lee, J. Y. (2012). The effect of attitude, norms, and behavioral control on skin care behavior - the moderating effect of knowledge, experience, age, and marital status, The Graduate School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Master's doctoral dissertation.
Moon, H. J. (2010). A Study on the Appearance Orientation and Appearance Evaluation and Skin Health Management Attitudes of Middle-Aged Women, The Graduate School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Master's thesis.
Moon, Y. B. (1992). A Study on the Effect of Clothing and Face Variables on Impression Formation, The Graduate School of Chung-Ang University, Master's doctoral dissertation.
Myung, E, J. (2001). A study on the knowledge and behavior of women in their 20s~30s about skin health care, The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Management Science, Master's thesis.
Park, Y. Y. (2019). A Study on the Consumption Plasticity and Non-Management Behavior of Middle-Aged Women - A Master's Degree Paper at the Graduate School of General Studies, The Graduate School of Guangjung Palm University of China, Master's thesis.
Pae, J. G. (2016). Relationship between skin conditions and skin health care behavior in some Chinese women, The Graduate School of Gwangju Women's University, Master's thesis.
Son, G. B. (2018). Effect of skin care behavior of middle-aged women on appearance satisfaction, self-esteem, and happiness. a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Master's thesis.
Seo, I. S. (2010). A Study on the Usage and Purchase Behavior of Oriental Cosmetics by Women's Age a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Seokyung University, Master's thesis.
Shin, H., & Kim, J. D. (2007). The type and propensity of purchase by age of cosmetics consumers,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Beauty.
Rhee, S., & Jungliz, M. (2022). A Study on Hair Care Types and Self-Esteem of the MIZ Gener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8(4), 794-800.
YU. (2014). Korean and Chinese working women's interest in skin and the actual use of skin care rooms.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Gwangju Women's University, Master's thesis.
Yang, M. C. (2020). A Study on the Cosmetic Use of Adult Women in Southern China. The Graduate School of Mokwon University, Master's thesis.
Yoo, E. J. (2014).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Use of Oriental Cosmetics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Sookmyung Women's University, Master's thesis.
Zhao, M. N. (2019). The effect of a 'significant' woman's self-expression, body respect, and appearance management attitude on beauty consumption intention, The Graduate School of Gwangju Women's University, Master's doctoral dissertation.
Zhao, M. (2019). A Study on the Consumer Behavior of Medical Skin Care Service according to Medical Skin Care Behavior of Chinese Women, The Graduate School of Gwangju Women's University, Master's doctoral dissertation.
段文星(2007). 城市女性消费行为的差异性研究 - 以湖南省醴陵市为 例, 广西师范大学 硕士学位论文.
黄文军(2014). 化妆品市场分析 日用化妆品科学.
陆鹏, 王炳东(2021). 我国全球第二大化妆品消费国地位不会改变, 经济与管理科学社会期刊协会.
赵方(2019). 天一方泽纤体塑型连锁机构的营销策略研究, 哈尔滨工 业大学, 工商管理学硕士学位论文.
孙靓(2020). 90后女性医疗美容消费意愿影响因素研究, 暨南大学, 新闻与传播学硕士学位论文.
乔木(2008). 城市女性美容美发消费行为及因素影响以辽宁省沈阳市 为例, 东北大学, 硕士学位论文.
李冬月(2022). 整容女性身体构建研究:社会结构和主题行动下的身 体实践, 吉林大学, 硕士学位论文.
欧睿(2016). 香港贸易发展局, 经贸研究协会期刊.
向婉(2017). 消费人群趋低龄化 物理学皮肤管理将成趋势, 红网消 费频道期刊.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10-2825-6735   Fex: +82-62-950-3797    E-mail: beauty2007@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