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썹 반영구화장의 경험 유무에 따른 인식, 위험지각 비교
Comparison of Perception and Risk Perception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Semi-permanent Eyebrow Makeup
Article information
Trans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look into the future prospects of semi-permanent makeup in Korea by comparing and investigating the perception and risk awareness of semi-permanent eyebrow makeup which is the part that is most frequently experienced and strongly impressed among the areas where semi-permanent makeup is appli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way to lower risk awareness factors for customers based on the results, and to provide data for expanding the semi-permanent makeup market from an industrial point of view by increasing accessibility and satisfaction with semi-permanent makeup. It is hoped that,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erception of semi-permanent makeup for eyebrows will be identified, and risk perception factors will be removed to increase accessibility and satisfaction with semi-permanent makeup, so that the data could be utilized to expand the market for semipermanent makeup from an industrial point of view. It is also desirable if researches could be performed in various ways with an aim to legislate semi-permanent makeup.
I. 서 론
외모가 자아실현의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되면서 자신의 가치를 높이고 경쟁력을 위하여 메이크업(Makeup), 피부관리, 헤어관리, 체형관리, 패션관리, 성형수술 등과 같은 다양한 노력을 하게 되었다(Kim, 2017). 메이크업을 하는 부위 중 눈썹은 가장 강한 인상을 주는 부위로 이미지를 결정짓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Son et al., 2016). 그러나 눈썹 메이크업은 원하는 인상을 만들 수 있는 비교적 간단한 방법임에도 바쁜 현대인들에게 시간과 기술을 요구하여 어려움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이에 눈썹 메이크업을 잘하는 것뿐만 아니라 빠른 시간 안에 할 수 있고 오랜 시간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메이크업 시간을 줄여주는 편리성과 땀이나 물에 지워지지 않는 장점이 있는 반영구화장은 특수한 화장기법으로 미국, 호주, 일본, 유럽 등 여러 국가에서 이미 합법화되어 있으며, 대중화된 고급기술로 인정받고 있다(Park, 2013). 많은 국가들이 반영구화장을 뷰티산업으로 분류하여 체계적인 교육과 법적 제도를 마련하였으며, 반영구화장 시장이 크게 발전해 가고 있는 반면에 우리나라에서는 뛰어난 기술을 가지고 일자리 창출과 소득을 올리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음지에서 지하경제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다(Lee et al., 2020). 그럼에도 반영구화장 시장은 꾸준히 뷰티산업 분야의 매출 증가에 기여하고 있다(Jo & Km, 2020). 이를 증명하듯 투데이 신문의 최신 보도자료에 따르면 2022년 반영구화장의 경험자는 1,300만 명, 시장 규모는 약 1조 6,000억 원~2조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타투협회(2019)에 따르면 전국 관련 업계 종사자는 22만여 명으로 파악되었으며 최근에는 문신과 반영구화장 분야의 합법화가 논의되고 있다(Kim et al., 2017).
그동안의 반영구화장과 관련한 선행연구는 인식, 위험지각, 실태, 만족도, 기법, 교육 방법, 법제화 방안, 색소와 마취크림 성분의 위해성, 감염 등 다양하게 진행되었으나 반영구화장 경험자와 비경험자의 인식, 위험지각을 비교하는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Gil(2022), Kim(2022), Lee(2020), Jo & Kim(2020), Song(2019), Kim(2017), Woo(2015), Park(2013), Kim(2012)의 연구에 따라 반영구화장의 적용 부위 중 경험 빈도가 가장 높고, 강한 인상을 주는 부위인 눈썹 반영구화장의 경험자와 비경험자로 나누어 일반적 특성에 따른 눈썹 반영구 화장의 인식, 위험지각을 비교, 조사함으로써 향후 국내 반영구화장의 전망을 알아보고자 한다. 도출된 결과를 통해 고객의 위험지각 요인을 낮출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반영구화장의 접근성을 높여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여 산업적 측면에서 반영구화장의 시장 확대를 위해 유용한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II. 이론적 배경
1. 반영구화장
반영구화장은 미용 또는 의료 목적으로 기계와 도구를 이용하여 피부 표피층에 미세 안료(Micropigment)를 주입하여 일정기간 원하는 모양이나 색상을 유지하면서 피부의 정상적인 생리 과정으로 안료가 서서히 소실되는 장기지속형 화장법이다(Seo & Hong, 2018). 표피의 과립층과 기저층의 범위 안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피부의 신진대사를 거듭하면서 자연스럽게 색이 빠지는 원리를 이용한 방법으로, 메이크업이 반영구적으로 유지된다고 하여 우리나라에서는 반영구화장이라고 부르고 있다(Seo, 2016).
색소를 주입하는 방법은 표피 밑 0.08~0.15 mm 정도의 깊이에 색소를 묻힌 미세한 바늘을 피부에 침착시킨다. 반영구화장의 색소 원료는 산화철(Iron oxid)로 인체에 무해한 천연염료와 글리세린을 섞어 만들어 안전하고 부작용이 거의 없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서서히 색소가 빠지는 것이 특징이다(Park, 2022). 다양한 색소로 색상 선택이 유동적이며, 피부색이나 머리색, 눈동자 색에 맞는 색소를 선택한다. 적용 부위와 개인에 따라 짧게는 6개월, 길게는 3년에 이르기까지 색소가 자연스럽게 흐려지므로 경제적이고 효율적이다(Kim, 2018). 반영구화장은 주로 미용 목적인 경우가 많으나 백반증의 색상교정이나 구순열의 입술 형태 교정, 사고나 수술 후의 흉터 보완, 유방암 수술 후 복원의 방법으로 유두나 유륜 착색 등 의료 목적으로 적용하는 경우도 있다.
2. 인식
인식(認識)의 사전적 개념은 다음과 같이 3가지로 정의된다. 첫째는 사물을 분별하고 판단하여 앎이고, 둘째는 심리학 용어로서 인지(認知)를 말하며, 셋째는 철학 용어로서 일반적으로 사람이 사물에 대하여 가지는 그것이 진(眞)이라고 하는 것을 요구할 수 있는 개념 또는 그것을 얻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Naver Dictionary, 2022.05.20.). 따라서 인식이란 대상을 하나의 통일체로 파악하고자 하는 우리의 의식 활동 또는 그와 같은 활동으로 파악된 내용을 말한다(Naver Dictionary, 2022. 05.20.). Kim(2022), Yang(2021), Sin(2020), Lee(2020), Han & Choi(2020), Song(2019), Jung(2019), Park(2018), Kim(2017), Kim(2017), Kim & Park(2016), Kim(2016)의 연구에서 반영구 화장 인식에 대한 문항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반영구화장의 인식을 고객의 반영구화장에 대한 인지를 일반적 인식으로, 반영구화장의 효과와 같은 인식을 관심적 인식으로, 부작용, 소독, 감염과 같은 인식을 위생적 인식으로 설정하기로 한다. 따라서 3개의 하위 속성을 일반적, 관심적, 위생적 인식으로 정하였다.
3. 위험지각
미용서비스의 위험지각은 구매선택과 관련하여 소비자가 구매시점에서 심리적으로 느끼는 위험을 칭하는 개념으로서, 구매선택의 결과가 미래의 일이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선택하는 상황에서 결과에 대하여 느끼는 일종의 불안이나 불확실함을 말한다(Jo & Km, 2020). 위험지각에 대한 학자들 간의 의견은 분분하나, 일반적으로 구매결과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이해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구매결과에 대해 소비자들이 느끼는 심리적 불확실성을 의미한다(Park & Jang, 2002). 위험지각의 유형은 Jacoby & Kaplan(1972)의 연구 결과에서 경제적 위험, 성과적 위험, 신체적 위험, 심리적 위험, 사회적 위험, 전반적 위험인 6개의 유형으로 정리하였다(Im, 2018). 이후, 연구자들은 4~6개의 유형을 사용하였으나, 미용서비스에서는 소비자에게 주어지는 인적, 물적, 정책적 서비스 활동의 결과물인 헤어스타일, 메이크업, 네일 등으로 이루어져 있어 다른 서비스의 유형과는 다르게 구성될 것이라고 유추할 수 있다(Jang & Park, 2003).
위험지각에 대한 내용을 숙지하여 작업하여야 소비자의 불안감을 줄여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6개의 하위 속성을 성과적, 기술적, 경제적, 신체적, 위생적, 심리적 위험으로 정하였다.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인터넷 접근이 용이하고, 눈썹 반영구화장의 적용이 가능한 광주, 전라지역에 거주하는 20~50대 성인 남녀 360명을 대상자로 하여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기간은 2021년 5월 1일부터 31일까지 예비조사를 거쳐 6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60부의 설문지를 연구에 동의한 자에게 배부하여 연구에 적합하지 않은 10부를 제외한 350부를 회수하여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2. 연구방법
본 연구를 위하여 Park(2022), Kim(2021), Yang(2021), Yu(2021), Song(2019), Jung(2019), Kim(2017)의 연구를 참고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구성한 설문지는 다음과 같다. 눈썹 반영구화장에 대한 인식의 경우 일반적 인식 4문항, 관심적 인식 4문항, 위생적 인식 5문항, 위험지각의 경우 성과적 위험 3문항, 기술적 위험 3문항, 경제적 위험 4문항, 신체적 위험 4문항, 위생적 위험 4문항, 심리적 위험 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총 문항 수는 3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3. 자료분석방법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 응답결과를 회수한 다음 응답내용이 불성실하거나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자료는 분석 대상에서 제외시킨 후, 분석 가능한 유효 표본만을 대상으로 SPSS 21.0 프로그램을 통해 전산 처리하였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측정도구의 타당성 분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신뢰도 분석을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사용하였다.
셋째, 눈썹 반영구화장 인식을 알아보고, 눈썹 반영구화장 경험여부 및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 및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정 방법으로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넷째, 눈썹 반영구화장 위험지각을 알아보고, 눈썹 반영구화장 경험여부 및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 및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정 방법으로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분석결과 성별은 남성 144명(41.1%), 여성 206명(58.9%)으로 나타났고, 연령은 20대 56명(16.0%), 30대 112명(32.0%), 40대 111명(31.7%), 50대 71명(20.3%)으로 나타났다.
최종학력은 고졸이하 80명(22.9%), 2년제 재학 및 졸업 62명(17.7%), 4년제 재학 및 졸업 189명(54.0%), 대학원 재학 및 졸업 19명(5.4%)으로 나타났고, 전공은 인문사회계열 144명(41.1%), 공학계열 69명(19.7%), 자연과학계열 45명(12.9%), 의학계열 21명(6.0%), 예/체능계열 14명(4.0%)으로 나타났다.
월 평균 소득은 200만원 미만 58명(16.6%), 200~300만원 미만 83명(23.7%), 300~400만원 미만 54명(15.4%), 400~500만원 미만 53명(15.1%), 500만원 미만 102명(29.1%)으로 나타났다.
2. 측정 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1) 눈썹 반영구화장 인식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눈썹 반영구화장 인식에 대해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먼저 KMO값이 0.874, Bartlett 구형성 검정 결과 χ2=2670.202(df=78, p=.000)로 요인분석을 위한 변수의 선정이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요인분석을 진행한 결과, 고유값이 1이상인 요인만을 선택하는데 총 3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총 3개 요인의 누적분산설명력은 70.260%로 나타났고, 각 하위요인별 ‘일반적 인식’이 24.648%, ‘관심적 인식’이 23.609%, ‘위생적 인식’이 22.003%로 나타났다. 또한 3개 요인의 요인 적재치는 0.40 이상으로서 구성개념의 타당성이 검증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신뢰도 또한 0.60 이상으로서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볼 수 있다.
2) 눈썹 반영구화장 위험지각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눈썹 반영구화장 위험지각에 대해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먼저 KMO값이 0.932, Bartlett 구형성 검정 결과 X²=6577.883(df=210, p=.000)로 요인분석을 위한 변수의 선정이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요인분석을 진행한 결과, 고유값이 1이상인 요인만을 선택하는데 총 6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총 6개 요인의 누적분산설명력은 83.576%로 나타났고, 각 하위요인별 ‘경제적 위험’이 15.303%, ‘신체적 위험’이 15.166%, ‘위생적 위험’이 15.065%, ‘성과적 위험’이 12.872%, ‘심리적 위험’이 12.593%, ‘기술적 위험’이 12.577%로 나타났다. 또한 6개 요인의 요인 적재치는 0.40 이상으로서 구성개념의 타당성이 검증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신뢰도 또한 0.60 이상으로서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볼 수 있다.
3. 눈썹 반영구화장 인식
1) 전반적인 눈썹 반영구화장 인식
전반적인 눈썹 반영구화장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볼 때, ‘관심적 인식’(M=3.76)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위생적 인식’(M=3.54), ‘일반적 인식’(M=2.90)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눈썹 반영구화장 인식은 평균 3.41점으로 나타났다. 이와 유사한 연구로 전국의 20~50대 거주자를 대상으로 한 Lee(2020), 충청·대전권의 20~60대 거주자를 대상으로 한 Song(2019), 서울시 소재 피부과 병원을 이용하는 20대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한 Han(2015)의 연구에서 반영구화장에 대한 인지정도를 조사한 결과 전반적인 인식은 평균 3.55점, 3.54점, 3.82점이라고 하였고, 광주광역시의 반영구화장 경험이 있는 20대 이상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한 Kim(2022)의 연구에서 평균 인식이 3.77점이라고 하였으나 본 연구의 눈썹 반영구화장에 대한 인식의 평균점수가 낮은 결과로 나타난 것은 선행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남성의 비율이 높은 것이 원인으로 여겨지나 눈썹 반영구화장 인식의 하위요인 중 관심적 인식의 평균이 3.76점으로 남성의 반영구화장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는것으로 사료된다.
2) 눈썹 반영구화장 경험 유무에 따른 눈썹 반영구화장 인식 차이
눈썹 반영구화장 경험 유무에 따라 눈썹 반영구화장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분석결과 전반적인 눈썹 반영구화장 인식과 하위요인별 일반적 인식, 관심적 인식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01), 눈썹 반영구화장 경험이 있는 경우 눈썹 반영구화장 경험이 없는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반적인 눈썹 반영구화장 인식과 하위요인별 일반적 인식, 관심적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눈썹 반영구화장 인식 차이
(1) 눈썹 반영구화장 경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눈썹 반영구화장 인식
눈썹 반영구화장 경험자 115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에 따라 눈썹 반영구화장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분석결과 먼저 성별에 따라서는 눈썹 반영구화장 인식의 하위요인별 관심적 인식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1), 여성의 경우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관심적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에서 남성에 비해 여성의 눈썹 반영구화장의 경험이 많고, 경험자가 비경험자에 비해 관심적 인식이 높다는 것과 연관 지을 수 있다. 또한 Lee(2020), Song(2019), Kim(2017), Park(2013)의 연구 결과에서 여성이 남성에 비해 반영구화장의 인지도가 높은 것과 연관 지을 수 있다.
최종학력에 따라서는 전반적인 눈썹 반영구화장 인식과 하위요인별 위생적 인식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1), 2년제 재학 및 졸업에 비해 4년제 재학 및 졸업, 대학원 재학 및 졸업의 경우 상대적으로 전반적인 눈썹 반영구화장 인식과 하위요인별 위생적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반영구화장의 인지도가 높다는 Kim(2012)의 연구결과와 유사하다.
이 외에 연령, 전공, 직업, 월 평균 소득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이는 Song(2022), Han & Choi(2020), Song(2019), Kim(2017)의 연구와 같이 연령, 전공, 직업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눈썹 반영구화장 비경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눈썹 반영구화장 인식 차이
눈썹 반영구화장 비경험자 235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에 따라 눈썹 반영구화장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분석결과 먼저 성별에 따라서는 전반적인 눈썹 반영구화장 인식과 하위요인별 위생적 인식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여성이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반적인 눈썹 반영구화장 인식과 하위요인별 위생적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비경험자에게 향후 반영구화장의 경험 의향이 남성에 비해 여성이 많다는 결과가 나타난 Yang(2021), Lee(2020)의 연구와 연관 지을 수 있다.
전공에 따라서는 전반적인 눈썹 반영구화장 인식과 하위요인별 관심적 인식, 위생적 인식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자연과학계열이나 의학계열의 경우 기타계열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반적인 눈썹 반영구화장 인식과 하위요인별 위생적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자연과학 계열의 경우 예/체능계열이나 기타계열에 비해 상대적으로 관심적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이는 각 전공에 따른 관련 지식의 습득이 반영구화장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직업에 따라서는 전반적인 눈썹 반영구화장 인식과 하위요인별 일반적 인식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전문직, 사무직, 학생의 경우 기타 직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반적인 눈썹 반영구화장 인식과 하위요인별 일반적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반영구화장의 경험자를 대상으로 한 Song(2019), Kim(2016)의 연구에서 타인과 자주 마주하는 직업일수록 외모관리의 일종인 눈썹 반영구화장이 사회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과 연관 지을 수 있다.
월 평균 소득에 따라서는 눈썹 반영구화장 인식의 하위요 별 관심적 인식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200만원 미만에 비해 300~400만원 미만, 400~500만원 미만, 500만원 이상의 경우 상대적으로 관심적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득이 높을수록 반영구화장을 잘 알고 있다는 Woo & Song(2019), Kim(2017)의 연구결과와 연관 지을 수 있다.
이 외에 연령, 최종학력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대체로 반영구화장의 비경험자는 관심적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반영구화장의 비경험자의 반영구화장에 대한 인지도에서 반영구화장의 미용 효과에 대한 인지가 가장 높은 결과로 나타난 Kim(2012)의 연구결과와 연관 지을 수 있다.
4. 눈썹 반영구화장 위험지각
1) 전반적인 눈썹 반영구화장 위험지각
전반적인 눈썹 반영구화장 위험지각을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8과 같다.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볼 때, ‘신체적 위험’(M=3.80)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위생적 위험’(M=3.77), ‘성과적 위험’(M=3.70), ‘기술적 위험’ (M=3.61), ‘경제적 위험’(M=3.55), ‘심리적 위험’(M=3.42)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눈썹 반영구화장 위험지각은 평균 3.65점으로 나타났다. 이는 통증에 대한 두려움이 가장 크다고 나타난 Lee(2020)의 연구결과와 연관 지을 수 있으며, 반영구화장에 대한 위험지각 중 심리적 위험이 가장 높았던 Song(2019)의 연구 결과와는 차이가 있었으나, 신체적 위험, 성과/기술적 위험, 위생적 위험이 높다는 결과는 유사하다. 또한 반영구화장 비경험자의 하지 않은 이유로 통증이 있을 것 같다/부작용의 염려가 높다는 Kim(2017), Kim(2012)의 연구결과와 연관 지을 수 있다. 또한 이와 유사한 연구로 전국의 20~50대 거주자를 대상으로 한 Lee(2020), 충청 대전권의 20~60대 거주자를 대상으로 한 Song(2019)의 연구에서 반영구화장 적용 전 위험지각을 조사한 결과 전체적으로 평균 3.31, 3.00점이라고 하였으나, 광주, 전라지역의 거주자를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의 평균값은 3.65점으로 보통보다 조금 높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의 차이는 지역적인 특성인지 또는 다른 요인들이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2) 눈썹 반영구화장 경험 유무에 따른 눈썹 반영구화장 위험지각 차이
눈썹 반영구화장 경험 유무에 따라 눈썹 반영구화장 위험지각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9와 같다. 분석결과 눈썹 반영구화장 위험지각의 하위요인별 신체적 위험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눈썹 반영구 화장 경험이 없는 경우 눈썹 반영구화장 경험이 있는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신체적 위험지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와 유사한 Park(2018)의 연구에서 비경험자가 경험자보다 감염 인식도가 높은 결과와 연관 지을 수 있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눈썹 반영구화장 위험지각 차이
(1) 눈썹 반영구화장 경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눈썹 반영구화장 위험지각 차이
눈썹 반영구화장 경험자 115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에 따라 눈썹 반영구화장 위험지각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10과 같다. 분석결과 성별에 따라서는 전반적인 위험지각과 하위요인별 성과적 위험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여성의 경우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반적인 위험지각과 하위요인별 성과적 위험지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여성이 남성에 비해 전반적인 반영구화장 경험 전 위험지각이 높다는 Lee(2020)의 연구결과와 유사하였고, 30대 여성의 위험지각이 가장 높았다는 Han(2015)의 연구 결과와 유사하다. 또한 남성보다 여성이 반영구화장이 안전하지 않다고 인식하는 경우가 높다는 Park(2013)의 연구결과와 유사하다.
직업에 따라서는 전반적인 위험지각과 하위요인별 신체적 위험, 위생적 위험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주부나 사무직의 경우 상대적으로 전반적인 위험지각과 하위요인별 신체적 위험, 위생적 위험지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월 평균 소득에 따라서는 전반적인 위험지각과 하위요인별 성과적 위험, 기술적 위험, 심리적 위험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200만원 미만이나 400~500만원 미만의 경우 상대적으로 전반적인 위험지각과 하위요인별 기술적 위험, 심리적 위험지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400~500만원 미만이나 500만원 이상의 경우 상대적으로 성과적 위험지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월 평균 소득이 높을수록 반영구화장에 대한 인식이 높은 Kim(2017)의 연구와 본 연구의 눈썹 반영구화장 비경험자의 인식의 결과와 연관 지을 수 있다.
이 외에 연령, 최종학력, 전공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2) 눈썹 반영구화장 비경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눈썹 반영구화장 위험지각 차이
눈썹 반영구화장 비경험자 235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에 따라 눈썹 반영구화장 위험지각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11과 같다. 분석결과 성별에 따라서는 전반적인 위험지각과 하위요인별 성과적 위험, 신체적 위험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여성의 경우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반적인 위험지각과 하위요인별 성과적 위험, 신체적 위험지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비경험자를 대상으로 한 Yang(2021), Lee(2020)의 연구결과에서 여성이 남성에 비해 반영구화장의 향후 경험 의향이 많다는 것과 연관 지을 수 있다.
또한 Lee(2020)의 연구에서 여성이 남성에 비해 전반적인 반영구화장 경험 전 위험지각이 높다고 한 것과, 30대 여성의 위험지각이 가장 높았다는 Han(2015)와 남성보다 여성이 반영구화장이 안전하지 않다고 인식하는 경우가 높다는 Park(2013)의 연구결과와 연관 지을 수 있다.
직업에 따라서는 위험지각의 하위요인별 성과적 위험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학생이나 전문직, 주부의 경우 기능직에 비해 상대적으로 성과적 위험지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 연령, 최종학력, 전공, 월 평균 소득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V. 결 론
본 연구는 반영구화장의 적용 부위 중 경험 빈도가 가장 높고, 강한 인상을 주는 부위인 눈썹 반영구화장의 인식, 위험지각을 비교, 조사함으로써 향후 국내 반영구화장의 전망을 알아보고자 진행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도출된 결과를 통해 고객의 위험지각 요인을 낮추는 방안을 제시하고, 반영구화장의 접근성과 만족도를 높여 산업적 측면에서 반영구화장의 시장 확대를 위한 자료로 제공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연구는 광주, 전라지역에 거주하는 20~50대 성인 남녀를 360명을 대상으로 2021년 6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전반적인 눈썹 반영구화장의 인식은 ‘관심적 인식’(M=3.76)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위생적 인식’(M=3.54), ‘일반적 인식’(M=2.90) 순으로 나타났으며, 평균 3.41점으로 나타났다. 눈썹 반영구화장의 경험자가 비경험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반적인 눈썹 반영구화장 인식과 하위요인별 일반적 인식, 관심적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전반적인 눈썹 반영구화장의 위험지각은 ‘신체적 위험’(M=3.80)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위생적 위험’(M=3.77), ‘성과적 위험’(M=3.70), ‘기술적 위험’(M=3.61), ‘경제적 위험’(M=3.55), ‘심리적 위험’(M=3.42) 순으로 나타났으며, 평균 3.65점으로 나타났다. 눈썹 반영구화장의 비경험자가 경험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신체적 위험지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눈썹 반영구화장 경험자의 경우 여성이 남성에 비해 관심적 인식이 높고, 성과적 위험지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이 높을수록 전반적인 인식과 위생적 인식이 높고, 주부나 사무직의 경우 관심적 인식이 높고 전반적인 위험지각과 신체적, 위생적 위험지각이 높다. 또한 소득이 높을수록 성과적 위험지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경험자의 경우 여성이 전반적인 인식과 위생적 인식이 높고, 전반적 위험지각과 성과적, 신체적 위험지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문직, 사무직, 학생이 전반적 인식과 일반적 인식이 높고, 전문직, 학생, 주부가 성과적 위험지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 결과를 종합해보면, 경험자는 비경험자에 비해 눈썹 반영구화장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이 높았으며, 눈썹 반영구화장에 대한 위험지각의 하위요인별 신체적, 위생적 위험지각은 낮았다. 이는 눈썹 반영구화장의 경험이 전반적인 인식을 높여주고, 부작용에 대한 두려움은 낮추어 주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눈썹 반영구화장의 전반적인 인식을 높이는 것은 신체적, 위생적 위험지각을 줄여주어 비경험자의 향후 눈썹 반영구화장의 경험 의향을 높이는 방법이다. 특히 반영구화장을 받는 소비자의 인식에 의해 위험지각이 좌우되므로 첫째, 위험지각 요인 중 신체적, 위생적 요인을 줄이기 위해 반영구화장을 수행하는데 있어 고객의 안전을 위해 감염 예방 및 부작용 발생 요인을 최소화하고, 위생을 최우선으로 하여야 한다. 둘째, 성과적, 기술적, 심리적 요인을 낮추는 방안으로는 반드시, 반영구화장 적용 전 고객에게 맞는 디자인, 색상, 기법에 대해 충분한 설명이 필요하다. 이러한 두 가지 핵심 결과는 반영구화장에 대한 소비자의 위험지각을 줄이고,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제안이다. 또한 경험 후기 및 관련 정보를 인터넷과 SNS 등의 다각적 채널에 적극적으로 노출하는 것과 시술 전 충분한 상담을 통해 고객이 결과물에 대해 인지하는 것은 반영구화장에 대한 접근성과 향후 경험 의향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방안이다. 바쁜 일상에서도 외모 관리를 중요시하는 현대인들에게 반영구화장은 매우 효율적인 외모 관리 수단이다. 반영구화장을 통해 자신감이 향상되고, 사회생활에 긍정적 도움을 줄 수 있다.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모집단의 표본이 광주, 전라지역에 거주하는 대상자에 제한하여 도출된 결과이므로, 다른 지역 혹은 전국을 대상으로 한 결과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반영구화장 적용 부위 중 경험 빈도가 높은 눈썹 반영구화장 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아이라인, 입술, 헤어라인, SMP(Scalp Micro Pigmentation) 등의 적용범위가 확대된 반영구화장에 관련한 연구가 후속적으로 필요하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눈썹 반영구화장의 인식을 파악하고, 위험지각 요소를 제거하여 반영구화장의 접근성과 만족도를 높여 산업적 측면에서 반영구화장의 시장 확대를 위해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를 포함하여 반영구화장의 법제화를 위해 다양한 방법을 통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