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실버 세대의 메이크업 행동 특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akeup Behavior in the New Silver Generation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Cosmetol. 2023;29(1):206-217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3 February 28
doi : https://doi.org/10.52660/JKSC.2023.29.1.206
1Professor, Department of Beauty and Cosmetics,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Convergence, Silla University
2Master's, Department of Beauty and Cosmetics,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Convergence, Silla University
양수미1,, 문숙희2
1신라대학교 산업융합대학원 미용향장학과, 교수
2신라대학교 산업융합대학원 미용향장학과, 석사
*Corresponding author: Su-Mi Yang Tel : +82-51-999-5369 E-mail : sumi5667@silla.ac.kr
본 연구는 문숙희의 석사학위논문 일부를 발췌하여 작성된 논문임
Received 2022 November 13; Revised 2022 December 28; Accepted 2023 February 3.

Trans Abstract

The objectives of the current study are to examine the makeup behavior of the New Silver Generation. A survey of 188 the age of 5060 was conducted. Analysis of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was performed using SPSS 21.0. The frequency analysis, calculation of Cronbach's coefficient α,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performed for statistical processing of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Makeup behavior Factors were Makeup Ideal Self-image, Makeup Trend Leadership, Makeup Interesting, Makeup Etiquette, Makeup Conformity, Makeup Esthetics. Makeup Ideal Self-image: Expresses a bright and individual image similar to a celebrity's appearance. Express the image of a successful entrepreneur or a skilled professional. Makeup expressions that look younger than your actual age. Expressing an image of opulence and elegance like the upper class. Makeup Trend Leadership: When buying makeup products, always pay attention to the latest trends. Watch TV, online, and mobile ads related to the latest makeup products. Want to know what kind of makeup products are trending. Buying new trendy makeup products before people around you. Makeup Interesting: Always be interested in what others do with makeup. Interesting to change makeup or hairstyle. Interested in the makeup of singers and actors when watching TV or movies. Try it yourself to see if the makeup product looks good on you. Makeup Etiquette: Wonder what kind of makeup suits my face shape and skin tone. Always try to keep your makeup calm and calm. When you go out to meet acquaintances, be sure to wear makeup. Choose natural and calm colors and images for makeup products Makeup Conformity: More comfortable when I wear makeup similar to the people around me. Choose makeup products that people around you usually use a lot. Make up similar to the people around you. When applying makeup, pay special attention to color harmony. Makeup Esthetics: Trying to get reviews that your face with makeup looks great. Applying makeup according to a new style is very important to me. Choose makeup products that highlight your strengths. As long as it suits you, it's okay to wear a little flashy makeup.

I. 서 론

의학기술의 발달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간의 평균수명은 계속 늘어나고, 이에 따라 65세 이상의 고령인구도 해마다 늘어나고 있다. 선진국은 이미 65세 이상의 인구가 총인구의 7% 이상을 차지하는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었고, 한국도 2000년을 기점으로 7%를 넘어서 2021년에는 고령사회(14%)로 접어든 것으로 인구 학자들은 보고 있다(Encyclopedia of Doosan). 우리 사회가 빠르게 고령화 사회가 되면서 기존의 실버 세대와는 다른 소비성향과 경제력을 소유한 5060연령의 뉴실버 세대가 등장(Newsis, 2022)하였다.

양질의 의료·보건 서비스의 전국적 보급, 지속적인 경제 성장과 경제 규모 확대, 사회·문화적 인프라 확충·완비 등으로 인해, 전 국민들의 평균 수명이 연장되고 심리적, 시간적 여유와 경제력을 지닌 계층들이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과거에 비해 보다 윤택하고 풍요로운 노년기를 보내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Huh, 2014). 이 같은 사회적, 환경적 변화 속에서 과거의 노인 세대와는 질적으로 다른 노년의 삶과 노년기 정체성을 지닌 새로운 고령 세대가 등장하였는데, 이들을 일반적으로 ‘뉴실버 세대’라고 지칭한다.

뉴실버 세대는 고유한 연령적, 세대적 특징으로 인해 과거의 전통적인 실버 세대와는 달리, 보다 독립적, 능동적인 가치관과 높은 경제적 능력을 두루 갖춘 상대적으로 자유롭고 활기차고 진보적인 노년 세대를 말한다(Kim, 2014). 뉴실버 세대는 2000년대 중반부터 학술적, 실무적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인구 집단으로서,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과 독자적인 아이덴티티를 지닌 노년 세대를 지칭한다(Han, 2019).

뉴실버 세대는 서구의 ‘베이비붐 세대’로 2차 세계대전 종전 이후인 1946~1964년에 출생한 세대들이 은퇴하고 고령화됨에 따라, 그들 중 일부 세대들이 독특한 세대 정체성을 표출하면서 등장하게 되었다. 특히, 주로 베이비붐 시기 후반부에 출생한 세대들이 선배들이나 부모 세대와는 뚜렷하게 구별되는 세대 정체성과 능동적, 다원적 가치관을 표출하면서, 그를 토대로 활발한 여가 활동과 자기 계발, 사회 참여 활동 등을 전개함으로써, 사회적, 정책적, 학술적 관심을 끌게 되었다(Park et al., 2011). 5060의 연령은 더이상 여생을 보내는 ‘실버세대’ 노인이 아닌, 경제적으로 구매력이 있고 자기 투자에 적극적인 세대의 중장년으로 불리기를 원한다. 이들 세대를 위한 패션과 뷰티 제품도 젊어지고 있다(Newsis, 2022).

고령화 사회와 더불어 건강과 젊음을 유지하기 위한 뷰티 산업의 중요성과 산업적 가치가 높아지면서 더욱 세분화 전문화 되고 있다. 뷰티 산업은 메이크업, 헤어 미용, 피부 미용, 네일 미용 등으로 크게 분류되는데, 그 중에서도 메이크업은 상대방에게 좋은 첫인상과 호감을 심어줄 수 있는 아름답고 세련된 이미지를 연출하는 데 직접적인 도움을 주는 핵심 분야라고 할 수 있다(Jung, 2010).

화장품과 메이크업 산업의 질적, 양적 성장으로 남녀노소의 다양한 연령층에서 메이크업에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면서 시간과 비용을 들여 보다 개성적, 전문적인 메이크업 행동에 집중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현대인들에게 있어서 메이크업은 자신의 개성과 자아를 심미적으로 표현함으로써, 대인 관계와 사회생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필수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Kim, 2011). 이로 인해 최근에는 메이크업 숍 등을 방문하여 보다 전문적이고 고품질의 메이크업 서비스를 받는 뉴실버 세대 소비자들도 증가하고 있다(Shin, 2014).

메이크업을 하는 행동이 사회적으로 활성화·대중화됨에 따라, 지난 10~20년 간 다양한 연령대의 여성 또는 남성들의 메이크업 행동의 세부 실태와 특성, 정서적, 행동적, 사회적 효과 등에 대해 분석한 연구들이 점차 증가하였다. 하지만 이 같은 연구들은 대부분 남녀 청소년(Han & Kim, 2010; Lee & Song, 2014; Choi et al., 2017), 남녀 대학생 및 젊은 여성·남성들(Rhee & Lee, 2005; Kim & Kim, 2019), 중년 여성·남성들(Kim & Song, 2013; Shim, 2013; Joo & Lee, 2015) 등을 분석하는 데에만 집중되어 왔다. 그에 비해 노년 세대의 메이크업 행동에 대해서는 아직 본격적인 연구를 찾아보기 힘들다. 노년 세대, 그 중에서도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이자 ‘새로운 노년 세대’인 뉴실버 세대의 메이크업 행동을 분석한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새로운 노년 세대로 부상하고 있는 능동적, 주도적인 노후의 삶을 영위하면서 자기 표현에 적극적인 ‘뉴실버 세대’의 메이크업 행동 특성을 분석하여 개인적, 문화·사회적 의미를 밝히고자 하고자 한다.

본 연구 목적은 뉴실버 세대의 메이크업 행동의 세부 요인과 메이크업행동의 특성을 분석하고, 또한 뉴실버 세대의 메이크업의 행동 특성의 연령별 차이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통해 메이크업 산업 전반의 중장기적, 미래적 발전에 도움이 되는 유효한 이론을 제시하며 실무적 지침과 마케팅 참고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II. 이론적 배경

1. 뉴실버 세대

뉴실버 세대는 노인 인구가 갈수록 증가하는 현재의 고령 사회 및 가까운 미래에 도래할 초고령 사회의 주요 연령층을 구성하면서, 미래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의료, 보건, 라이프 스타일 등을 주도할 중요한 세대로서, 최근에 사회적, 학술적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Jeon, 2008).

뉴실버 세대는 서구 국가들 사이에서 먼저 등장한 용어로서, 제2차 세계대전 종전 이후인 1946~1964년에 태어난 소위 ‘베이비붐 세대’가 고령화됨에 따라, 이들 중 상대적으로 젊은 세대인 50대 후반에서 60대 중반으로부터 형성되었다. 이들이 과거의 전통적인 노인 세대와는 확연히 구별되는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과 정체성, 소비 성향 등을 보여주는 데 주목하면서(Feldman & Thielbar, 1972), ‘새로운 노년 세대’라는 의미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Howe & Strauss, 1991).

한국에서도 한국 전쟁 종전 이후인 1955~1963년에 태어난 ‘한국 베이비붐 세대’가 부모 세대와는 다른 고유한 세대 특징을 표출해 왔다. 2010년부터 이들이 본격적으로 은퇴하면서 고령 사회 및 미래의 초고령 사회에서 노년기 라이프 스타일과 소비문화 등 새로운 패러다임 변화를 주도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그들을 ‘한국의 뉴실버 세대’로 부르면서, 그들의 일상 생활과 소비, 취미, 사회 참여, 자기 계발 활동 등에 주목하고 있는 것이다(Kim, 2014).

이처럼 국내에서도 뉴실버 세대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면서 다양한 용어 정의가 시도되고 있다. 뉴실버 세대는 사회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고, 여유로운 경제력, 합리적 소비 성향, 레저와 취미 향유 등의 독특한 사회·경제적 특성을 보여준다(Chakravarty et al., 2012). 아울러 미래 지향적이고 적극적인 사고를 존중하며 사회적, 문화적 다양성을 추구하는 55~65세 사이의 세대이다(Huh, 2014).

뉴실버 세대는 과거의 실버 세대들과 비교하여 경제적 여유를 지니는 동시에, 자신을 실제 연령보다 젊게 인지하면서 다양한 사회 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삶에 대한 만족도도 높은 50~60대 계층을 의미한다(Kim, 2021). 또한 정년 퇴직 이후 단순한 소일거리로 여생을 보내지 않고 보다 의미 있는 활동에 활발하게 참여하면서, 사회적·경제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고령 세대를 지칭하기도 한다(Shaw et al., 2007).

뉴실버 세대의 연령 면에서는 Kim과 Park(2012), Shim(2020)의 연구를 참고하여, 2022년 현재 <고용 보험법>에서 준고령자의 최저 연령으로 지정하는 만 50세 이상에 해당하고, 다수의 선행 연구들에서 한국 베이비붐 세대의 최고 연령으로 파악하는 만 67세(1955년 출생) 이하에 해당하는 세대’로 규정한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설명에서도 알 수 있듯이, 그 간에 미래 사회학, 인구학, 보건학, 평생 교육학, 소비자학 등의 관련 분야에서는 뉴실버 세대에 대한 분석과 연구들이 비교적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Yang et al., 2009). 과거의 전통적인 실버 세대와는 달리, 뉴실버 세대들은 독자적인 연령별, 세대별 특성, 능동적인 인생관과 가치관, 왕성한 사회 참여와 활동력 등으로 인해, 미래 사회에서 보다 높은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영향력을 행사할 것으로 전망된다(Lancaster & Stillman, 2001).

본 연구의 뉴실버 세대는 <고용 보험법>에서 규정하는 준고령자의 최저 연령을 뉴실버 세대의 하한 연령으로 채택하였다. 과거의 실버 세대보다 연령이 낮은 50대 계층까지 포함하는 연령대로 볼 수 있고,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추가적인 연구들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2. 메이크업 행동의 구성요인

메이크업 행동은 메이크업을 직접 하거나, 메이크업 샵에서 서비스를 받거나 다른 사람들에게 메이크업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의 행위를 지칭한다. 메이크업은 결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부각시켜 자기 자신을 더욱 매력 있는 존재로 보이도록 연출하는 행동이며, 이런 의미에서 자기표현 행동이자 자기관리 행동으로도 볼 수 있다(Han & Lee, 2009; Lee & O, 2010). 다수의 선행 연구들이 메이크업 행동의 구성 요인을 각자의 관점에서 논의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중요한 항목들을 중심으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Song(2012)은 메이크업 행동의 구성 요인으로서 ‘동조성’을 제시하였다. 동조성이란, 다른 사람들의 입장이나 관점, 의견 등을 존중하면서 자신의 생각을 그에 맞추어 찬성이나 동의, 협조의 의미를 전달하려는 성향이나 태도를 말한다(Song, 2012).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다른 사람들과 자신의 의견, 의도, 판단 등이 다를 때, 심리적으로 불안함을 느끼게 되어 자신의 생각을 다른 사람들의 생각에 맞추려는 경향을 보여주는데, 이를 동조성 혹은 동조적 경향으로 부를 수 있다(Kim, 2010).

유행하는 의복이나 쥬얼리, 패션 상품, IT 관련 제품 등을 착용·사용하거나 사람들의 인지도, 선호도가 높은 제품이나 서비스 등을 이용하고 체험해 보려는 태도 등이 동조성의 대표적인 사례이다(Noh, 2011). 메이크업 행동에서는 이 같은 동조성 요인이 다른 사람들과 비슷한 색조, 분위기, 특징 등을 지닌 메이크업을 하거나,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는 화장품을 구매하려는 행동 경향으로 나타난다.

Kim(2013), Choi et al.(2017)은 메이크업 행동의 또다른 구성 요인으로서 ‘심미성’(Aesthetic)을 강조하였다. 심미성은 다른 연구들에서도 메이크업 행동의 중요 요인 내지 특성으로서 보편적, 공통적으로 거론하며, 메이크업 행동을 추구하는 대부분의 소비자들이 가장 중시하는 요인이기도 하다(Kim, 2013). ‘심미성’은 메이크업의 외형적인 아름다움과 미적 기능을 중시하는 속성, 특성, 성향 등을 의미한다(Choi et al., 2017).

일반적인 의미의 심미성은 예술 작품이나 제품 등이 본연의 아름다움이나 매력, 미학적 요소들로 인해 사람들의 주의를 끌고 긍정적인 감정을 이끌어 내는 속성을 뜻하며 제품이나 예술 작품의 차별화의 핵심 요소로 꼽히기도 한다.

메이크업 행동의 심미성은 메이크업을 통해 외모의 아름다움과 멋, 화려함 등을 최우선적으로 추구하려는 경향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메이크업의 심미성을 중시하는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보다 더욱 화려하고 특별한 화장을 하려는 강한 욕구와 의도, 행동 등을 보여주는 동시에, 새롭게 출시된 화장품이나 고가의 화장품도 과감하게 구입해서 사용하려는 경향을 보여준다(Cox & Glick, 1986). 메이크업의 심미적 효과는 보다 아름다운 외모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해주며, 아름다운 외모를 지닌 사람들은 스스로 만족하고 능동적인 삶을 살면서 사회 생활에서도 자신감을 발휘할 수 있는 반면, 외모가 아름답지 못하다고 지각하여 심리적으로 위축될 경우 사회 생활에서도 자신감이 없어지고 타인에게 좋은 대우를 받기도 힘들다고 지적된다(Cash & Pruzinsky, 1990). 그 만큼 외모는 사회생활에서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그 사람의 성향, 태도, 지위, 가치관, 행동과 성격 유형 등까지 이미지화하여 전달해 주기도 한다(Cash et al., 1989). 이런 의미에서 메이크업 행동의 심미성은 핵심적인 요소임을 알 수 있다.

Choi et al.(2017)은 ‘유행성’을 메이크업 또는 뷰티 행동의 또다른 중요 요인으로 제시하였다. 본래 ‘유행성’은 하나의 사회나 집단 또는 특정 시기에 널리 애호되고 주목되는 스타일, 생활 양식, 문화·사회적 현상 등에 순응하면서 그 스타일이나 양식, 현상, 사상 등을 적극 따르고자 하는 성향이나 태도를 의미한다(Oh, 2001). 즉, 현재 사회적으로 보다 많은 사람들이 애호하고 열중하는 제품, 서비스 혹은 문화적, 사회적 현상들을 적극 추구하고 이용·체험하려는 성향, 태도 등을 지칭한다(Kim, 1991). 유행성은 일정 기간에 많은 사람들의 이목과 관심, 선호를 유발하는 스타일이나 트렌드 등에 강하게 동조하고 동참하려는 의미에서 동조성의 특수한 형태, 또는 동조성이 강화된 형태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의미를 지닌 유행성이 가장 두드러지게 부각되는 분야는 의류·패션 산업 분야이며, 최근에는 뷰티 산업에서도 유행성이 핵심적인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메이크업 행동의 유행성은 최신 유행 메이크업 기법을 익히고 시도해 보려는 경향, 최신 유행 화장품을 구매해서 사용해 보려는 경향 등으로 나타난다(Choi et al., 2017). 소비자들의 이러한 심리나 행동을 정확하게 간파하고 활용하면서 유행성을 잘 살린 메이크업 샵이나 뷰티 샵 등은 높은 고객 만족도를 보장함으로써 비즈니스적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Kim, 2011).

Kim(2013), Choi et al.(2017)에 따르면, ‘흥미성’도 메이크업 행동의 구성 요인으로 볼 수 있다고 하였고, ‘흥미성’은 어떤 사물이나 현상이 지닌 고유한 특성으로서 사람들의 흥미, 관심, 주의 등을 유발하는 요소를 의미한다. 즉, 사람들로 하여금 특정 대상에게 이끌려 특별히 관심을 갖고 주의를 기울이면서 자발적 탐색 활동을 하거나 다양한 시도를 하도록 유발하는 특징적인 성향이나 요인을 뜻한다(Lee, 2011). 제품이나 서비스, 예술 작품, 각종 문화 콘텐츠 등은 이 같은 흥미성을 지녀야만 판매, 흥행 등에서 성공을 거둘 수 있다. 메이/크업 행동의 흥미성은 배우나 가수들, 또는 주변의 다른 사람들의 화장법에 관심을 가지고 관찰하면서 따라하거나(Choi et al., 2017), 다른 사람들이 사용하는 화장품이 내게도 맞는지 확인하기 위해 사용해보는 등의 호기심 섞인 행동이나 탐색적 태도로 나타난다(Kim, 2013).

Hong & Kim(2015), Bae(2015) 등에 따르면, ‘예의성’도 메이크업 행동의 중요 구성 요인이 된다. ‘예의성’은 대인 관계의 예의, 사회적 에티켓, 공공 질서와 규칙 등을 지키고 다른 사람들에게 정중함과 경의를 표하려는 성향이나 태도로서, 메이크업에서도 이 같은 정중하고 예의바르며 존경 어린 태도와 심리적 성향을 준수하고자 하는 정도를 의미한다(Hong & Kim, 2015). 다른 사람들에 대해 예의를 지키는 것은 말과 행동, 태도, 심리 등 다양한 영역을 통해 드러나며, 메이크업, 헤어 스타일링 등을 통한 신체, 외모의 적절한 표현이나 의복 착용 등도 사회적 규범·질서 존중의 중요 요소가 된다(Kaiser, 1996).

메이크업 행동의 예의성은 지나치게 화려하거나 과도한 메이크업을 자제하면서 자연스럽고 평범하며 차분한 화장을 하려는 성향이나 태도로 나타난다(Bae, 2015). 혹은 외출하거나 다른 사람들을 만날 때에는 반드시 화장을 하려는 태도 등을 메이크업 행동의 예의성으로 파악하기도 한다.

메이크업 행동의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는 자기이미지는 현실적 자기 이미지와 이상적 자기 이미지가 있다. 현실적 자기 이미지(actual self-images)는 자기 자신의 현실적, 실제적인, ‘있는 그대로’의 이미지를 의미하는데, 이는 개인이 자신에 대해 파악하고 인지하는 수준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이상적 자기 이미지(ideal self-image)는 개인들이 희망하는 최고 수준의 자기 이미지이자 마음속으로 동경하는 이미지를 의미한다. 많은 개인들은 실제적 자기 이미지와 이상적 자기 이미지가 상호 일치할수록 행복감과 만족감을 느끼지만, 반대로 양자 간의 불일치가 클수록 불행하거나 불만족하게 느낀다고 보고되었다(Kim & Kim, 2010; Lee & Choi, 2022).

뉴실버 세대들은 메이크업 행동을 통해 이상적 자기 이미지를 최대한 아름답게 표현하기를 기대하는 동시에, 그를 통해 실제적 자기 이미지와 이상적 자기 이미지 간의 불일치를 최소화함으로써, 행복감과 만족감을 느끼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메이크업 행동을 통해 외모의 심미성을 단순히 강화하는데 그치지 않고, 자신이 꿈꾸는 최고의 이상적 자기 이미지를 연출함으로써, 심리적, 정서적 행복감과 만족감을 고조시키고 사회적 유능감, 자존감까지 높일 수 있다면, 이는 메이크업 행동의 바람직한 기능과 가치를 극대화하는 일이 될 것이다. 이런 중요한 의미를 고려하면서, 메이크업 행동의 새로운 구성 요인으로 ‘자기이미지 표현성’을 최종 선정하였다. 예비조사를 통해 면담 항목들의 종합화, 범주화하여 ‘자기이미지 표현성’의 세부 측정 항목으로 함께 선정하였다.

지금까지의 고찰 내용을 종합하여, 메이크업 행동은 동조성, 심미성, 유행성, 흥미성, 예의성과 연구자가 자기이미지 표현성의 특성을 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의 설문 조사는 2022년 9월 15일부터 9월 30일까지 15일 동안 온·오프라인 상에서 실시되었다. 오프라인 설문조사는 뉴실버 세대들이 주로 이용하는 전국의 피부관리숍과 화장품 매장, 메이크업숌 가운데 연구자가 접근하기 용이한 B시 소재의 네 곳의 오프라인 숍·매장을 대상으로 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는 메이크업 또는 뷰티 행동을 목적으로 운영 중인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커뮤니티 관리자들의 협조를 구하여 뉴실버 세대의 연령을 충족하는 회원들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2. 조사도구와 자료 분석 방법

뉴실버 세대의 메이크업 행동에 대한 조사도구는 Kim(2011), Kim(2013), Choi et al.(2017)의 선행 연구들에서 활용된 ‘메이크업 행동 구성 요인’ 도구들을 본 연구의 주제인 뉴실버 세대의 메이크업 행동에 맞게 일부 표현과 문구 등을 재수정 보완하여 활용하였다. 세부적으로는 ① 메이크업 행동의 동조성을 측정하는 4개 항목, ② 심미성을 측정하는 4개 항목, ③ 유행성을 측정하는 4개 항목, ④ 흥미성을 측정하는 4개 항목, ⑤ 예의성을 측정하는 4개 항목 등 총 20개 항목으로 최종 구성되었다.

조사 기간 동안 총 21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답변 내용이 부실하거나 답변의 신뢰성이 부족하다고 판단되는 22부를 제외한 188부를 SPSS Statistics 21.0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요인분석과 T-test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 요인들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인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의 연령별 차이(만 50~59세, 만 60세 이상)에 따른 메이크업 행동 특성의 6개 요인에 대한 평균값의 차이 및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연구 대상자에 대한 인구 통계학적 특성을 성별, 연령, 최종 학력, 월 평균 소득, 결혼 여부 등 5개 항목으로 구분하여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Table 1에 정리하였다.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성별은 남성 13명(6.9%), 여성 175명(93.1%)으로 나타나서, 여성들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무작위 표본 추출 방식으로 온·오프라인에서 자료를 수집했기 때문에, 성별에 의해 참여를 제한하지는 않았지만, 주요 자료 수집처가 오프라인의 전문 메이크업 샵과 화장품 매장, 온라인에서는 뷰티 및 라이프 스타일 관련 커뮤니티, 혹은 화장품 브랜드에서 운영하는 고객 게시판 등이다 보니, 아무래도 여성 참여자들의 비중이 높아진 것으로 추측된다. 최근에 전문적, 적극적인 메이크업 행동에 대한 관심이 사회 전반적으로 높아지고 있지만, 일상적인 메이크업보다 한 단계 더 심화된 적극적, 심층적 메이크업 영역과 관련해서는 여성들의 비중이 아직까지는 훨씬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뉴실버 세대들은 자기 주도적인 삶을 추구하면서 비교적 여유로운 노후 경제력을 바탕으로 자기 표현, 자기 만족 등에 인색하지는 않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다 심화된 메이크업 행동에 대해서는 여성들이 더욱 높은 비중으로 참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연령은 만 50~59세 121명(64.4%), 만 60세 이상 67명(35.6%)으로 분석되었다. 뉴실버 세대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젊은 층에 해당하는 50대가 전체 연구 참여자(설문 응답자)의 64.4%를 차지하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비해, 뉴실버 세대의 후반부 연령층에 해당하는 60대의 비중(35.6%)이 상대적으로는 적은 사실을 알 수 있다.

최종 학력은 고등학교 졸업자 45명(23.9%), 전문대학 졸업자 59명(31.4%), 4년제 대학교 졸업자 65명(34.6%), 대학원 졸업 이상 16명(8.5%), 기타 3명(1.6%) 등으로 분석되었다. 월 평균 소득은 200만원 이하 42명(22.3%), 201~300만원 27명(14.4%), 301~400만원 47명(25.0%), 401~500만원 41명(21.8%), 501~600만원 19명(10.1%), 601만원 이상 12명(6.4%) 등으로 나타났다. 188명의 전체 응답자들 중에서 300.0만원 이상의 월 평균 소득을 지닌 응답자는 61.7%(116명)로서, 뉴실버 세대의 주요조건 중 하나인 여유 있는 경제력을 어느 정도 보유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혼인 상태를 보면, ‘기혼이면서 혼인 상태 유지’인 응답자는 148명(78.7%), ‘기혼이지만 비혼인 상태’(이혼, 별거, 사별 등)인 응답자는 36명(19.1%), 미혼인 응답자는 4명(2.1%)으로 나타났다. 뉴실버 세대는 독신이나 비혼을 지향하는 시대 흐름이 나타나기 이전 세대이기 때문에, 혼인 상태를 유지하는 비율이 훨씬 높음을 알 수 있다.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여성(93.1%), 만 50~59세(64.4%), 4년제 대학교 졸업자(34.6%), 301~400만원의 월 평균 소득자(25.0%), ‘기혼이면서 혼인 상태 유지’ (78.7%) 등이 가장 빈도가 높은 표본 특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소득과 최종 학력은 뉴실버 세대의 조건에 대체로 부합함을 알 수 있지만, 성별은 메이크업 행동이라는 특수한 영역으로 인해 남녀 간의 편차가 상당히 크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최근에 MZ세대들을 중심으로 남성들도 메이크업 행동에 관심을 갖고 적극적인 행동을 시도하는 비중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데, 이런 추세를 고려하면 뉴실버 세대 남성들의 메이크업 샵 이용 빈도도 가까운 미래에 좀더 높아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를 대비하여 전문 메이크업 숍 입장에서는 뉴실버 세대 남성을 위한 특화된 메이크업 서비스 품목을 개발·제공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1. 메이크업 행동 요인

본 연구의 주제이자 핵심 분석 대상인 메이크업 행동 특성을 구성하는 요인들 동조성, 심미성, 유행성, 흥미성, 예의성, 자기 이미지 표현성의 세부 내용을 분석하기에 앞서서, 요인 분석을 통해 ‘측정 요인으로서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분석하였다. 자기이미지 표현성에 대한 문항은 예비조사를 통해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메이크업 행동 특성 요인들의 결과는 Table 2와 같다.

Makeup behavioral characteristic factors

1) 자기이미지 표현성

요인 1은 나는 내가 좋아하는 연예인의 외모와 비슷한 화사하고 개성적인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는 메이크업을 하기 위해 노력한다.(요인 적재량 0.857), 나는 성공한 사업가 또는 실력있는 전문가다운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는 메이크업을 하기 위해 노력한다.(요인 적재량 0.833), 나는 실제 나이보다 젊게 보이는 메이크업을 하기 위해 노력한다.(요인 적재량 0.822), 나는 상류 계층처럼 부유하고 우아한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는 메이크업을 하기 위해 노력한다.(요인 적재량 0.784) 등으로 분석되어, 4개 요인들이 모두 요인 적재량 0.6 이상의 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하나의 요인으로 묶일 수 있는 내적 연관성을 갖춘 것으로 검증되었다. 요인1은 자기이미지 표현성으로 명명하였다.

뉴실버 세대들은 자신의 장점을 살리면서 이상적이고 바람직한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는 메이크업 행동을 가장 중시하고 뚜렷하게 선호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기 이미지 표현성은 연구자가 근무하는 메이크업 숍의 VIP 뉴실버 세대 고객 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심층 면담의 분석 결과를 정리하는 과정에서 새롭게 도출한 요인들로서, 이는 스스로 희망하는 최고 수준의 자기 이미지이자 마음속으로 동경하는 이미지를 메이크업을 통해 표현하려는 성향이나 의도 등을 의미한다(Kwon et al., 2010)

평소에 꿈꾸는 이상적 자기이미지 연출을 통해, 실제적 자기이미지와 이상적 자기이미지 간의 불일치를 최소화함으로써, 정서적 행복감과 만족감, 사회적 유능감, 자존감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사실이 관련 선행 연구들을 통해 입증되었는데(Lee & Jeong, 1996; Kwon et al., 2010; Kim & Kim, 2010), 이런 행동적 특성을 뉴실버 세대의 메이크업 행동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즉, 뉴실버 세대들은 타인의 시선이나 사회적 흐름 등을 크게 의식하는 유행성, 흥미성 등의 특성보다는 자기 주도적, 능동적, 목적인 스스로 정한 목적 지향적 특성을 대변하는 자기 이미지 표현성을 메이크업 행동에서 가장 중시하면서 최우선적으로 추구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이상적인 자기 이미지 중에서도 나이보다 젊어 보이는 이미지, 성공한 사업가나 실력 있는 전문가의 이미지 등을 부유한 이미지나 연예인 같은 이미지 등보다 더욱 중시함으로써, 타인의 시선이나 물질적, 세속적 성공보다는 자기 자신이 내면적으로 만족할 수 있고 삶의 보람과 의미를 찾을 수 있는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지향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이야말로 뉴실버 세대의 정체성을 가장 뚜렷하게 드러내는 요인이라고 판단되며, 이처럼 뉴실버 세대를 상징하는 특징이자 장점이 본 연구의 조사·분석 결과를 통해 분명하게 입증된 것은 중요한 성과이자 연구 의의라고 생각된다.

2) 메이크업 유행선도성

요인 2는 나는 메이크업 제품을 구매할 때 항상 최신 유행을 신경쓰면서 구매한다.(요인 적재량 0.835), 나는 유행에 뒤떨어지지 않기 위해 최신 메이크업 제품에 관련된 TV, 온라인, 모바일 광고들을 주의 깊게 보거나 아이 쇼핑을 한다.(요인 적재량 0.826), 나는 내가 직접 사용하지 않아도 새로 유행하는 메이크업 제품이 어떤 것인지 알고 싶어한다.(요인 적재량 0.805), 나는 새로 유행하는 메이크업 제품을 주변 사람들보다 먼저 사는 편이다.(요인 적재량 0.766) 등으로 분석되어, 4개 요인들이 모두 요인 적재량 0.6 이상의 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 개의 요인으로 묶일 수 있는 내적 연관성을 갖춘 것으로 확인되어 메이크업 유행성으로 명명하였다.

자기 주도적 삶을 추구하고 자기 표현에 적극적인 뉴실버 세대들이지만, 젊은 세대들과는 달리, 상대적으로 최신 유행을 따라가는 행동에 대해서는 크게 선호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젊은 세대들에 비해 최신 유행이나 트렌드를 즉시 파악하고 동참·실행하는 행동력이나 정보력도 상대적으로 떨어진다고 짐작할 수 있지만, 그보다는 본질적으로 최신 유행에 과도하게 집착하기보다 대략적인 흐름 정도만 인지한 상태에서, 실제 유행을 따라가느냐 여부는 자신에게 맞는지, 현재의 자신에게 반드시 필요한 지를 판단한 후 결정하고 실행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뉴실버 세대들의 독특한 정체성과 확고한 라이프 스타일 및 소비 성향을 간접적으로 짐작할 수 있다.

3) 메이크업 흥미성

요인 3은 나는 다른 사람들이 메이크업한 것에 대해 항상 관심을 갖고 살펴본다.(요인 적재량 0.867), 나는 메이크업이나 헤어 스타일에 변화를 주는 것이 흥미롭다.(요인 적재량 0.797), 나는 TV나 영화를 볼 때 가수나 배우들의 메이크업에 관심을 갖고 유심히 보는 편이다(요인 적재량 0.784), 나는 다른 사람들이 사용하는 메이크업 제품이 내게도 잘 어울리는지 확인하기 위해 직접 시험해 보는 편이다.(요인 적재량 0.777) 등으로 분석되었다. 4개 요인들이 모두 요인 적재량 0.6 이상의 기준을 충족하였고, 동일 요인으로 분류될 수 있도록 내적 연관성을 갖춘 것으로 입증되어 메이크업유행성으로 명명하였다.

뉴실버 세대들은 메이크업 행동에서 최신 유행을 단순하게 따라가거나 다른 사람들의 인위적인 흥미를 끄는 측면보다는 전체적으로 조화를 이루면서 세련되고 우아한 인상을 주는 가운데, 자신의 장점이나 개성을 잘 드러낼 수 있는 분위기 있는 메이크업을 보다 중시하고 선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는 앞에서 살펴본 심미성, 동조성 등과도 일맥상통하는 뉴실버 세대의 고유한 성향임을 확인할 수 있다.

4) 메이크업 예의성

요인 4는 나는 나의 얼굴형과 피부색에 맞는 메이크업이 어떤 것일까를 자주 고민한다.(요인 적재량 0.849), 나는 항상 얌전하고 차분하게 메이크업을 하려고 노력한다(요인 적재량 0.833), 나는 평소에 메이크업을 잘 하는 친구나 지인을 만나러 나갈 때에는 메이크업을 하지 않고서는 나가지 않는다.(요인 적재량 0.812), 나는 메이크업 제품을 고를 때 너무 튀는 색상, 이미지보다는 자연스럽고 차분한 색상, 이미지를 고른다.(요인 적재량 0.743) 등으로 분석되었다. 4개 요인들이 모두 요인 적재량 0.6 이상의 기준을 충족하고, 동일 요인으로 분류될 수 있는 내적 연관성을 갖춘 것으로 판명되었다.

메이크업 행동의 예의성은 차분하고 세련된 메이크업 연출을 통해 대인 관계에서의 예의, 사회적 에티켓, 공공 규범 등을 준수하면서 다른 사람들에게 정중함과 경의를 표시하려는 태도나 성향을 상징적으로 전달하는 것(Hong & Kim, 2015) 혹은 자연스럽고 평범하며 차분한 화장을 하려는 성향(Bae, 2015)등으로 규정되는데, 뉴실버 세대들은 이런 의미의 예의성을 상당히 중시함을 알 수 있다. 메이크업은 기본적으로는 자기 자신을 돋보이게 연출하고자 하는 개인 행동 범주에 들어가지만, 또 다른 관점에서는 메이크업을 주로 하는 장소가 집안이 아닌, 집 밖의 사회적 공간인 관계로,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만들고 최소한의 에티겟을 지키는 사회적 행동으로도 간주될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상황과 목적에 맞는 예의바르고 적절한 메이크업을 통해 다른 사람들과 자연스럽게 융화되면서 좋은 분위기를 조성하고 상대방을 존중한다는 인상을 주는 세련되고 품격 높은 메이크업을 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한 일임을 알 수 있다. 특히, 사회적으로 연장자의 위치, 혹은 크고 작은 모임을 주도하는 위치에 있는 뉴실버 세대나 동연배의 사람들에게는 사회적 화합과 공공 규범 등을 헤치지 않으면서 모임의 분위기를 화기애애하게 만드는 예의바르고 차분한 메이크업 연출은 필수적인 항목임을 짐작할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메이크업 행동의 예의성에 대해 연구 대상자들이 비교적 높은 평가를 내린것은 적절한 결과라고 판단된다.

5) 메이크업 동조성

요인 5는 메이크업 동조성으로 나는 주변 사람들과 비슷하게 메이크업을 했을 때 더욱 편안하게 느껴진다.(요인 적재량 0.841), 나는 평소에 주변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는 메이크업 제품을 선택하는 편이다.(요인 적재량 0.795), 나는 평소에 주변 사람들과 비슷하게 메이크업을 하는 편이다.(요인 적재량 0.766), 나는 메이크업을 할 때 색상의 조화에 대해 특히 신경을 쓰는 편이다.(요인 적재량 0.643) 등으로 나타났다. 4개 요인들이 요인 적재량 0.6 이상의 기준을 모두 충족하고, 동일 요인으로 묶일 만한 내적 연관성을 갖춘 것으로 판명되었다.

뉴실버 세대는 메이크업 행동과 관련하여 주변 사람들과 비슷한 색조, 분위기, 특징 등을 지닌 메이크업을 하거나, 보다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는 화장품을 구매하려는 경향을 중간 정도로 중시하고 실행하고자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에서 살펴본대로, 동조성은 다른 사람들의 입장, 관점, 의견 등을 존중하면서 자신의 생각이나 행동을 그에 맞추어서 동의하거나 협조하려는 성향이나 태도를 뜻하는데(Kim, 2010), 이러한 성향이 뉴실버 세대의 메이크업 행동 중에서 최우선적인 것은 아니지만, 비교적 지지되고 이행됨을 알 수 있다.

6) 메이크업 심미성

요인 6은 나는 메이크업한 얼굴이 멋있다는 평을 듣기 위해 노력한다.(요인 적재량 0.802), 새로운 스타일에 따라 메이크업을 하는 것은 나에게는 매우 중요한 일이다.(요인 적재량 0.755), 나는 메이크업 제품을 선택할 때 나의 장점을 돋보이게 해주는 제품을 선택하기 위해 노력한다.(요인 적재량 0.643), 나는 나에게 어울리기만 하면 약간 화려한 메이크업을 하더라도 괜찮다고 생각한다.(요인 적재량 0.581) 등으로 나타났다. 4개 요인들이 요인 적재량 0.6 이상의 기준을 모두 충족하고, 동일 요인으로 묶일 만한 내적 연관성을 갖춘 것으로 판명되었다. 뉴실버 세대들은 자기 주도적, 능동적 성향답게 메이크업 행동의 심미성을 상당히 중시하되무조건 화려하거나 새로운 스타일만을 맹목적으로 추구하지 않고 나 자신에게 얼마나 어울리고 나를 얼마나 돋보이고 멋있게 보이도록 해주느냐를 더욱 중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자기 자신을 얼마나 세련되게 연출해 주고 표현해 줄 수 있는가를 중시하면서 메이크업 행동의 심미성을 중시하는 성향임을 알 수 있는데, 심미성 중에서도 이런 측면은 본 연구에서 새롭게 조사·파악하고 개념화한 자기 이미지 표현성과도 맥락을 같이 함을 알 수 있다. 단순히 메이크업 자체의 심미성만을 중시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이미지 표현성과 연관성을 지닌 부분에 더욱 가중치를 두면서 심미성을 중시하는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본 연구가 새롭게 제시한 자기 이미지 표현성은 뉴실버 세대의 메이크업 행동 특성과 관련해서 높은 설명력을 지니는 것으로 해석된다. 아울러, 뉴실버 세대들은 메이크업 행동의 심미성과 관련해서 단순히 아름답고 화려한 것보다는 자신들이 지닌 장점이나 매력, 정체성 등을 부각시키는 ‘의미 있는 심미성’을 존중하고 적극 추구하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2. 메이크업 행동 특성의 연령별 차이 분석

다음으로, 뉴실버 세대의 연령에 따른 메이크업 행동 특성의 차이를 추가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연구 대상자들을 만 50~59세와 만 60세 이상의 두 집단으로 나누어 메이크업 행동 특성의 6개 영역에 대한 평균값의 차이 및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두 그룹 간 평균 차이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고, 분석 결과는 Table 3과 같다.

Age-specific differences in makeup behavior

뉴실버 중에서도 젊은 연령층에 속하는 만 50~59세 집단과 후반 연령층에 해당하는 만 60세 이상 집단의 메이크업 행동 특성을 비교한 결과, 흥미성에서 두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면, 나머지 요인, 즉 동조성, 심미성, 유행선도성, 예의성, 자기이미지 표현성 등에서 모두 두 집단 간 평균 값의 차이가 나타났고,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심미성, 유행선도성, 자기이미지 표현성의 3개 요인에서는 만 50~59세 집단의 평균점이 만 60세 이상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동조성, 예의성에서는 반대로 만 60세 이상 집단의 평균점이 만 50~59세 집단의 평균점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즉, 심미성의 평균점은 만 50~59세 4.06점, 만 60세 이상 3.80점, 유행선도성의 평균점은 만 50~59세 3.73점, 만 60세 이상 3.38점, 자기이미지 표현성의 평균점은 만 50~59세 4.23점, 만 60세 이상 3.72점 등이고, 이에 비해 동조성의 평균점은 만 60세 이상 4.01점, 만 50~59세 3.51점, 예의성의 평균점은 만 60세 이상 4.11점, 만 50~59세 3.70점 등이며,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흥미성의 평균점은 만 50~59세 3.68점, 만 60세 이상 3.60점 등으로 두 집단 간 차이도 다른 요인에 비해 적지만,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자기 주도적, 능동적 삶을 지향하고 자신만의 고유한 라이프 스타일을 향유하면서 메이크업 행동에서도 적극성을 보여주는 뉴실버 세대이지만, 메이크업 행동의 세부 특성에서는 연령에 따른 방향성의 차이가 분명하게 확인되었다. 이는 뉴실버 세대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의미가 있을 것이다. 즉, 만 50~59세 집단이 심미성, 유행성, 자기 이미지 표현성 등에서 더욱 높은 평균점을 기록한 것은 뉴실버 세대 중에서도 젊은 연령층이 메이크업 행동의 심미적 특성, 유행을 선도하고 존중하는 특성, 자기 자신의 바람직하고 세련된 이미지를 연출해 주는 특성 등을 더욱 중시하고 적극적으로 추구하는 상황을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반면, 주변 사람들과 조화를 이루는 차분하고 얌전한 메이크업 동조성, 사회적 규범과 상대에 대한 에티켓을 존중하는 상황과 격식에 맞는 메이크업 예의성 등은 보다 나이가 많은 만 60세 이상 집단이 더욱 존중하고 적극적으로 추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뉴실버 세대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보수적이고 주변 사람들과의 조화, 순응 등을 중시하는 가치관을 보다 많이 지닌 후반부 연령층들이 그런 성향과 연관된 동조성, 예의성 등을 중시하고 지향함을 알 수 있다. 그에 비해 보다 젊은 연령층에서는 개성적, 심미적, 이미지 표현적 요소들을 중시하면서 자기 자신을 더욱 돋보이게 해주는 화사하고 세련된 메이크업을 지향하는 사실을 예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동일한 세대 정체성을 공유하는 뉴실버 세대라고 할지라도 내부적으로 세분화된 연령층에 맞게 보다 특성화·세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뉴실버 세대를 대상으로 연령별로 세분화·최적화된 서비스와 마케팅 전략을 개발·제공하는 데 도움이 되는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V. 결 론

본 연구는 새로운 실버 세대로 사회 경제적으로 중요한 뉴실버 세대의 메이크업 행동의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뉴실버 세대의 메이크업 행동 특성을 분석한 결과, 자기이미지 표현성, 유행선도성, 흥미성, 예의성, 동조성, 심미성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차이는 뉴실버 세대 중에서도 젊은 연령층에 속하는 만 50~59세 집단과 후반 연령층에 해당하는 만 60세 이상 집단의 메이크업 행동 특성을 비교한 결과, 흥미성에서 두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면, 나머지 요인, 즉 동조성, 심미성, 유행선도성, 예의성, 자기 이미지 표현성 등에서 모두 두 집단 간 평균 값의 차이가 나타났고,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뉴실버 세대의 메이크업 행동 특성을 6개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자기 이미지 표현성 > 심미성 > 예의성 > 동조성 > 흥미성 > 유행성의 순서로 존중하면서 적극 지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 이미지 표현성의 4개 항목의 평균점은 5점 만점에 3.89~4.19점이고 전체 평균점은 4.05점으로서, 6개 영역 중에서 평균점 순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심미성의 4개 항목의 평균점은 3.87~4.12점, 전체 평균점은 3.97점으로서, 두 번째로 높은 평균점 순위를 보여주었다. 예의성의 4개 항목의 평균점은 3.68~3.95점, 전체 평균점은 3.83점으로서, 6개 영역 중 세 번째 순위를 차지하였다. 동조성의 4개 항목은 3.54~3.78점, 전체 평균점 3.68점으로서, 네 번째 순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흥미성의 4개 항목의 평균점은 3.48~3.83점, 전체 평균점 3.65점으로서, 다섯 번째 순위로 나타났다. 유행성의 4개 항목의 평균점은 3.46~3.71점, 전체 평균점은 3.61점으로서, 6개 하위 영역 중 최하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뉴실버 세대 중 만 50~59세 집단과 만 60세 이상 집단의 메이크업 행동 특성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동조성, 심미성, 유행성, 예의성, 자기 이미지 표현성 등 5개 요인에서 두 집단 간에 평균 값의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반면, 흥미성에서 는 두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심미성, 유행성, 자기 이미지 표현성의 3개 요인에서는 만 50~59세 집단의 평균점이 만 60세 이상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동조성, 예의성에서는 반대로 만 60세 이상 집단의 평균점이 만 50~59세 집단의 평균점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뉴실버 세대 중에서도 젊은 연령층에 속하는 만 50~59세 집단은 자기 자신을 더욱 돋보이게 연출할 수 있는 심미성, 유행성, 자기 이미지 표현성 등을 뚜렷하게 중시하고 선호하는 반면, 연장자에 속하는 만 60세 이상 집단은 주변 사람들과의 조화, 공공 규범과 에티켓을 존중하는 차분하고 격식에 맞는 메이크업 특성인 동조성, 예의성 등을 선호하고 따르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를 종합해 보면, 뉴실버 세대들은 타인의 시선이나 사회적 유행, 단기 트렌드 등에 주목하고 집착하기 보다는 자기 주도적, 능동적, 목적 지향적 특성을 강하게 드러내면서, 바람직한 자기 자신의 이상적 이미지를 드러내고 자신의 장점과 고유한 정체성을 표현하는 메이크업 행동을 무엇보다 중시하면서 우선적으로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상적인 자기 이미지 중에서도 나이보다 젊어 보여서 ‘웰-에이징’의 이미지를 전달하고, 성공하고 보람 있는 삶의 사업가, 실력 있는 전문가 등의 이미지를 더욱 중시함으로써, 사회나 타인의 평가나 물질적 성공보다는 스스로 만족할 수 있는 자신만의 가치와 자기 주도적, 긍정적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지향함을 알 수 있다.

심미성에서도 전체적인 조화와 세련된 분위기 속에서 자신의 장점과 매력을 잘 드러내는 절제된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자기 이미지 표현성과도 부합되는 동시에, 자기 주도적 가치관, 능동적인 삶의 자세를 지닌 뉴실버 세대의 고유한 정체성을 뚜렷하게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세련되고 우아한 분위기 속에서 주변 사람들과 잘 융화되면서 상대방에 대한 존경과 예의를 표하는 메이크업 예의성, 차분하고 조화를 이루는 메이크업 동조성 등을 중요하게 추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아직 직접적으로 규명되거나 실증된 사례가 없는 뉴실버 세대의 메이크업 행동 특성을 동조성, 심미성, 유행선도성, 흥미성, 예의성, 자기이미지 표현성의 6개 영역으로 범주화하고 이를 설문 조사와 통계 분석의 양적 연구를 통해 실증하였다. 이로써, 본 연구는 메이크업 행동과 뉴실버 세대의 두 가지 주제에 관련된 연구 분야의 범위를 확장하고 분석 방법론을 심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더욱 넓은 범위의 표본 조사를 수행할 필요가 있으며 뉴실버 세대 또는 기타 노년층들의 메이크업 행동 실태와 특성을 더욱 세밀하고도 다각적으로 규명할 수 있는 전문적, 심층적인 측정 도구를 개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References

1. Bae, E. H. (2015).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makeup behavior and self-esteem.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2. Cash T. F., Dawson K., Davis P., Bowen M., Galumbeds C.. 1989;Effects of cosmetics use on the physical attractiveness and body image of american collge women. Journal of Social Psycholgy 129(3):349–355.
3. Cash, T. F., & Pruzinsky, T. (1990). Body Images : Development, Deviance and Change. NY : Guilford Press.
4. Chakravarty E. F., Hubert H. B., Krishnan E., Bruce B. B., Lingala V. B., Fries J. F.. 2012;Lifestyle risk factors predict disability and death in healthy aging adults.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125:190–197.
5. Choi J. H.. 2010;Research Paper :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Make-up Behavior and Face Satisfaction, Self-Efficacy of 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6(4):1131–1138.
6. Choi S. K., Gil M. C., Kim, M S.. 2017;The Effect of State of Makeup and Makeup Behavior Factors on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Girl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AJMAHS) 7(5):409–420.
7. Cox C. L., Glick W. H.. 1986;Resume Evaluations and Cosmetics Use : When Moreisnot Better. Sex Role 14:51–58.
8. Encyclopedia of Doosan, (2022. 08.11). new silver generation.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225217&cid=40942&categoryId=31630.
9. Feldman, S. D., & Thielbar, G. W. (1972). Life style : Diversity in American society. Boston : Little Brown Co.
10. Han D. J., Kim S. K.. 2010;An In-Depth Interview Study of Skin Care and Makeup Behavior Among Female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cation Design 15:207–216.
11. Han D. J., Lee J. S.. 2009;Analysis of Adolescent Behavior to Skin Care & Make-Up Movement to Self-Esteem.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ke-up Design 5(2):207–216.
12. Han, S. J. (2019). A Study on the Cultural Capital and Taste of the New Silver Generation in Korea.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3. Huh W. W.. 2014;A Study of Universal Design for New Silver-Generation Smartphone Use. The Treatise on The Plastic Media 17(1):193–200.
14. Hong S. K., Kim M. K.. 2015;Female college students' interests in make-up according to recognition types of them.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1):525–533.
15. Howe, N., & Strauss, W. (1991). Generations: The history of America’s future, 1584 to 2069. NY: William Morrow amp Company.
16. Jeon, J. W. (2008). Research on the Behavior of Dinging:out Consumption of a New Silver Generation. Doctoral dissertation, Kyonggi University.
17. Jung, J. S. (2010). The effects of CRM on performance in the beauty service industry : centering on mediating effects of switching cost. Doctoral dissertation, Dong Yang University.
18. Joo Y. J., Lee S. H.. 2015;The Effects of The Life Style for Korean Middle Aged Women on Pursued Self-Images of Make up and The Purchase Pattern for Cosmetics,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3(4):533–542.
19. Kaiser, S. B. (1996).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20. Kim C. H., Park J. O.. 2012;A Qualitative Study on the Pursued-Image of Clothes for New Elderly Women. Journal of Digital Design 12(4):329–341.
21. Kim D. H., Kim K. H.. 2010;The Difference between Real Self-Image and Ideal Self-Image in Accordance with The Attitude Towards Appeara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6(1):11–25.
22. Kim, D. Y. (2013). A study on female teenagers' makeup interest, behavior in makeup and satisfaction from makeup. Master's thesis, Gwangwoon University.
23. Kim E. Y.. 2011;The effect of service quality on customer satisfaction in various types nail shop. Journal of Beauty Industry 5(2):5–24.
24. Kim E. H., Song S. H.. 2013;A Study of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Eye Makeup in Middle-aged Women.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9(2):326–334.
25. Kim E. H., Kim S. H.. 2019;The Effects of Makeup Behavior Factors on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University Women.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5(3):702–712.
26. Kim, G. S. (2010). The influences of purchase intention of luxury counterfeit goods based on consumer's self esteem and confirmity. Doctoral dissertation, Jeoung Ang University Seoul.
27. Kim, J. S. (1991). The effect of garment category, fashionability, and age on impression formation.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8. Kim, J. H. (2014). The Effects of New Silver Generation Social Participation on Self Estee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Doctoral dissertation, Han Young theological university, Seoul.
29. Kim, T. H. (2014). The influence of baby boomer retirees' social capital on successful aging. Doctoral dissertation, Soongsil University.
30. Kim, H. W. (2021). Extended Marketing Mix Factors and Consumption Behavior in Sports Facility Customers: Focused on Lifestyle of the New Silver Generation. Doctoral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31. Kim, R. S. (2011). Policy Networks Analysis about Nurture of Beauty Industry, Doctoral dissertation, Heseo University Chungnam.
32. Kwon M. T., Choi N. H., Jeong M. H.. 2010;The Effects of Brand-Self Image Congruency on Brand Love and Commitment. Academy of Customer Satisfaction Management 12(1):109–132.
33. Lancaster, L. C., & Stillman, D. (2001). When generations collide: who they are. why they clash. how to solve the generational puzzle at work. NY: Harpercollins.
34. Lee H. J., O I. Y.. 2010;Research Paper : The Use of Cosmetics in High School Girls Divided and Grouped according to Interest in Make-up and Make-up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6(2):495–504.
35. Lee M. H., Song Y. S.. 2014;A Study on the Base Make-up Behavior,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Preference of Middle and High School Gir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Cultural Arts 3(1):40–51.
36. Lee M. J., Choi E.. 2022;The Influence of Pursuit Image Type for Appearance Management Motives on Make-up Behavior In Adult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8(1):40–51.
37. Lee, Y. G. (2011). Story Structure Effects on Reader Effects.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38. Lee E. Y., Jeong I. H.. 1996;Clothing and Self – Ima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0(1):207–217.
39. Newsis. (2022. 09. 24). You're young even in your 60s." Middle-aged fashion and beauty are getting younger. https://newsis.com/view/?id=NISX20221110_0002081542&cID.
40. Noh, S. O. (2011). A study on hairstyle behavior and make-up motivation associated with interpersonal relation and life satisfaction : focusing on women in their 20s, 30s, and 40s. Doctoral dissert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41. Oh, I. H. (2001). The Effects of high school students self-efficacy on clothing fashionability, conformity, and conspicuous consumption. Master's thesis, Chonam National University.
42. Park S. H., Oh Y. K.. 2011;The Effects of a Silver Generation’s Lifestyle on Restaurant Selection Attributes.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Management and Sciences 26(3):149–170.
43. Rhee N. H., Lee S. E.. 2005;A Study on the Behavior of Women Student in the University about Make-up. Journal of the Korean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7(2):87–99.
44. Shaw B., Krause N., Liang J., Bennett J.. 2007;Tracking changes in social relations throughout late lif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 Social Sciences 62(2):S90–S99.
45. Song, K. Y. (2012). The Effects of Personal and Social Factors on Consumer Intention to Purchase New Mobile-phone : Focusing on Conformity and Social Enhancement. Doctoral dissertation, Chosun University.
46. Shim, J. E. (2020). A study on food brand design for the new silver generation.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47. Shim, J. S. (2013). A study of effects on middle-aged men's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due to body satisfaction and makeup recognition, Doctoral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48. Shin M. Z.. 2014;A Study on the current state and the development of Korean beauty businesse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ke-up Design 10(2):1–10.
49. Yang, O. N., Kim, H. K., Park, H. O., & Jeong, S. D. (2009). Social services for the elderly. KongDongChae Gyeonggi-do.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Variable Category Frequency Percentage (%)
Gender Man 13 6.9
Woman 175 93.1
Age 50 to 59 years old 121 64.4
over 60 years of age of sixty 67 35.6
Educational background high school graduation 45 23.9
graduation from a junior college 59 31.4
a four-year college graduation 65 34.6
graduate school or higher 16 8.5
Other matters 3 1.6
Average monthly income Less than 2 million won 42 22.3
201~3 million won 27 14.4
301〜4 million won 47 25.0
401〜5 million won 41 21.8
501〜6 million won 19 10.1
over 6.01 million won 12 6.4
Marital status Married and maintaining marital status 148 78.7
Married but non-married (divorce, separation, bereavement, etc.) 36 19.1
Single 4 2.1

Table 2.

Makeup behavioral characteristic factors

Makeup behavioral characteristic factors Factor load
Factor1 Factor2 Factor3 Factor4 Factor5 Factor6
Makeup Ideal Self-image Expresses a bright and individual image similar to a celebrity's appearance 0.857 0.073 0.039 0.06 -0.124 0.105
Express the image of a successful entrepreneur or a skilled professional 0.833 0.194 0.032 -0.076 -0.109 0.138
Makeup expressions that look younger than your actual age 0.822 0.074 -0.022 -0.054 -0.071 0.127
Expressing an image of opulence and elegance like the upper class 0.784 0.126 0.032 0.042 -0.028 0.139
Makeup Trend Leadership When buying makeup products, always pay attention to the latest trends 0.169 0.835 0.125 -0.062 0.041 0.081
Watch TV, online, and mobile ads related to the latest makeup products 0.163 0.826 0.116 -0.04 0.067 0.189
Want to know what kind of makeup products are trending -0.027 0.805 0.057 0.006 -0.023 0.099
Buying new trendy makeup products before people around you 0.182 0.766 0.005 -0.158 -0.018 0.04
Makeup Interesting Always be interested in what others do with makeup 0.033 0.07 0.867 0.135 0.06 0.1
Interesting to change makeup or hairstyle 0.07 0.181 0.797 0.139 -0.006 0.137
Interested in the makeup of singers and actors when watching TV or movies -0.079 -0.033 0.784 0.054 0.088 0.199
Try it yourself to see if the makeup product looks good on you 0.056 0.082 0.777 0.002 0.085 0.057
Makeup Etiquette Wonder what kind of makeup suits my face shape and skin tone. -0.111 0.042 -0.001 0.849 0.131 0.114
Always try to keep your makeup calm and calm. -0.096 -0.143 0.063 0.833 0.077 0.051
When you go out to meet acquaintances, be sure to wear makeup 0.098 -0.04 0.131 0.812 0.088 0.105
Choose natural and calm colors and images for makeup products 0.095 -0.095 0.117 0.743 0.107 -0.087
Makeup Conformity More comfortable when I wear makeup similar to the people around me -0.113 -0.029 0.038 0.102 0.841 0.132
Choose makeup products that people around you usually use a lot -0.012 0.023 -0.013 0.106 0.795 0.107
Make up similar to the people around you -0.069 -0.052 0.085 0.059 0.766 -0.057
When applying makeup, pay special attention to color harmony -0.098 0.114 0.112 0.114 0.643 -0.156
Makeup Esthetics Trying to get reviews that your face with makeup looks great 0.103 0.013 0.144 0.01 0.015 0.802
Applying makeup according to a new style is very important to me. 0.117 0.147 0.101 0.031 -0.031 0.755
Choose makeup products that highlight your strengths 0.088 0.215 0.219 0.073 0.021 0.643
As long as it suits you, it's okay to wear a little flashy makeup 0.391 0.053 0.038 0.085 0.027 0.581E
Eigen-value 3.075 2.843 2.779 2.763 2.442 2.244
Explanatory amount by dispersion(%) 19.994 15.952 10.338 8.466 6.684 5.846
Total explanation by cumulative dispersion(%) 12.814 24.660 36.239 47.753 57.930 67.280
Cronbach’s α 0.778 0.734 0.852 0.842 0.840 0.874

Table 3.

Age-specific differences in makeup behavior

Factor 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
Makeup Conformity 50 to 59 years old 3.51 0.649 3 804***
over 60 years old 4.01 0.949
Makeup Esthetics 50 to 59 years old 4.06 0.599 2.868**
over 60 years old 3.80 0.611
Makeup Trend Leadership 50 to 59 years old 3.73 0.958 2.437*
over 60 years old 3.38 0.963
Makeup Interesting 50 to 59 years old 3.68 0.768 0.820
over 60 years old 3.60 0.653
Makeup Etiquette 50 to 59 years old 3.70 0.936 2.880**
over 60 years old 4.11 0.918
Makeup Ideal Self-image 50 to 59 years old 4.23 0.693 3.906***
over 60 years old 3.72 0.934
**

p<.01,

***

p<.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