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관리실 운영자가 지각하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교육만족도 및 경영성과의 개선방안
The Effect of Educational Satisfaction on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by Recognition According to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NCS) Level Perceived by Skin Cosmetologists
Article information
Trans Abstract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to analyz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NCS) education factors of sk in cosmetologists operating sk in care shops to find out how they affect education satisfac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A total of 320 survey data were collected for the composition of the questionnaire, and the measurement tools were modified and supplemented to suit the setting of this study and reconstructed. General characteristics (9 questions), state of operation according to NCS (11 questions),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NCS level perceived by skin cosmetologists (14 questions), education satisfaction of NCS learning module (program) (17 questions), and business performance (9 questions), consisting of a total of 60 questions in 6 area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ross-tabu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three factors of ‘knowledge technology’, ‘attitude and confidence’, and ‘business manage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The application of NCS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p<0.001), and it was confirmed that skin cosmetologists preferred a special skin care program that was easily acquired and differentiated from the skin care shop.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NCS education wanted realistic development that could help business management.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differentiate the program module from basic education to special management education at present, and it is confirmed that additional development that can have characteristics for each skin care shop is necessary in order to compete competitively with the gradually increasing skin care shop. If NCS education develops further in line with the needs of skin cosmetologists who manage these skin care shop, it is judged that NCS education will help develop the skin beauty industry in terms of skin care.
I. 서 론
오늘날 피부미용 산업의 고성장화에 따른 시장의 다변화는 다양한 기술과 지식을 접목한 직무능력 발전으로 이어졌다. 특히 서비스 직종 중 하나의 분야인 피부미용은 전문인력의 수요가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으며(Nam, 2017), 이에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의 체계화는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고객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으며, 숙련된 인재양성을 위한 미용 관련 교육의 전문성을 상승시킬 수 있다(Ko, 2015; Kim, 2015; Yoo, 2018). 이러한 변화로 피부미용 직무를 수행하기 이전에 필수적인 선행능력인 이론교육을 습득 후, 실무교육을 거침으로써 업무 활동의 부작용을 최소화하였다(Son et al., 2021; Han & Yang, 2018). 따라서 피부미용 직무의 업무수행능력과 작업성과 목표를 달성하게 함으로써 피부미용 전문인으로서의 자부심을 함양하고 직업 만족도를 높일 수 있게 하여 계속적인 성장요인을 갖추어가고 있다(Kim, 2010).
피부미용분야 교육과정은 현재 NCS를 활용한 직무능력 수준에서 일-교육-훈련-자격을 연계한 제도인 NCS를 직업교육 훈련기관에 접목하여 높은 성과가 나타났다(Ko, 2015; Han & Yang, 2018; Lee, 2018). 피부미용산업체는 이러한 개선사항들을 집약하여 산업현장의 직무를 올바르게 수행하기 위한 지식, 기술, 태도를 수준별로 표준화시킨 NCS기반의 교육 훈련기준의 표준지침서를 구축하여 직무능력 안에 직업기초능력과 직무수행능력을 산업체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Seo, 2016; Roo, 2015). 특히 피부미용산업체의 직무수행능력은 차별화된 고객의 서비스에 고객 만족으로 맞추고 있다(Son, 2015). 이에 피부관리실 운영자의 교육만족도는 고객의 서비스 만족도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며(Baek, 2020), 교육만족도는 직무에 대한 성취감을 높여 직무성과를 높이는 데 기여한다(Cho & Lil, 2021; Bandura, 1977; Yoo, 2008; Kim, 2011). 더불어 NCS 학습 모듈은 인적자원의 질적 능력을 향상시키고 현장 적응능력을 높일 수 있는 경영의 일반적인 종합지침서로 활용되고 있다(Kwon, 2018; Kim, 2019). 직무를 수행함에 피부관리실 운영자의 직무능력을 최대한 발휘하고 인적자원의 질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Moon, 2014; Roo, 2015). NCS은 경력개발체계와 직업훈련체계를 접목한 결과 직무수행능력, 경력개발, 업무수행능력, 직무 만족에 실질적인 긍정적 효과라고 한다(Jang, 2011). Seo & Moon(2018)은 성공적인 경영성과와 경영자의 경쟁력을 위해서는 경영 제도적 운영을 위한 정책 제언 등의 연구가 좀 더 이루어져야 한다고 한다. 따라서 피부관리실 운영자의 대다수는 개인 사업자의 비중이 높아 운영에 대한 NCS기반의 교육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다양한 선행연구를 고찰한 결과 피부관리실 운영자가 지각하는 직업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직무경영 향상에 관한 연구가 미흡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NCS 교육훈련이 피부관리실 운영자의 운영실태에 성과가 있는가를 판단하고, 이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높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함이다.
II. 이론적 배경
1. 피부미용 NCS
NCS는 산업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함에 요구되는 지식·기술·소양이 직무수행에 필요한 사항으로 국가가 산업부문별, 수준별로 체계화한 것으로 산업현장에서 성공적인 직무를 수행하기 위함에 필요한 능력을 국가가 표준화한 것을 의미한다(Son & Choi, 2021; Kim & Kim, 2018; Kim, 2015; Kim & Kim, 2015). 따라서 일-직업교육훈련-자격심사를 상호 연계하며 NCS를 활용하여 더욱더 체계적인 현장의 필요에 부합하여 개발한 피부미용 NCS의 교육과정 종목 수준은 2단계에서 6단계의 체계를 제시하며 30개 능력 단위로 구성되어 있으며, 능력 단위는 복수로 10개 이하로 구성하였다(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2022; Kim, 2018; Oh, 2016; Ham et al., 2016). 이런 피부미용 NCS 학습모듈은 14개 학습모듈명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며 수단적 효율성을 가지고 피부미용에 대한 업무수행을 위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료이다(Kim & Kim, 2015).
2. 교육만족도
만족도란 학습자가 만족을 느끼는 정도를 말하는 것으로 배움에 관련된 욕구가 충족되는 정도를 의미한다(Yoo, 2020). 교육만족도는 학습자들이 교육에 참여하여 교육을 통해서 기대하는 결과에 따른 감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교육만족도는 학습자들이 배움에 관하여 갖고 있는 기대에 대한 보상을 제공받고 이를 통해 요구가 충족된 흡족한 상태라 하며 학습자들이 교육에 참여하여 느낀 결과에 대한 긍정적인 결과라고 정의한다(Park, 2009; Jeong, 2013). 이와 같은 개념의 교육만족도는 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심리적인 특성으로 학습에 의한 교육을 통해 기대하는 결과로 이어지는 감정으로 기대에 대한 성취감을 의미하며 직무교육의 실질적인 업무의 능률을 향상시키고 경영환경의 긍정적인 평가로 기술습득, 지식의 만족도라 한다(Choi, 2017; Park, 2010).
3. 경영성과
경영성과는 기업의 목표를 실현하기 위하여 관리 운영함에 있어서 물적자원과 인적자원을 효율적인 운영으로 얻어지는 결과로써, 기업의 수익성이 장기적인 성장에 모두 부합한 것으로 볼 수 있다(Dess & Beard, 1994; Park, 2017; Lee et al., 2019). 따라서 경영성과는 급속한 환경 변화와 치열한 경쟁에서 기업의 성장과 성공에 대한 중요한 생존의 중요 수단으로 인식되면서 경영 관련 분야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Lee et al., 2022). 기업의 성장은 기술성과 경영성의 유대관계를 강화하고 고객만족에 기여한다(Yu & Kim, 2003; Lee & Yang, 2016; Yoon et al., 2013). 이렇듯 피부관리실 경영성과의 차별화된 경영은 질적인 부분을 강화하여 고객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할 수 있는 차별화된 운영전략과 교육시스템 운영이 중요하다(Kim & Choi, 2014; Kim, 2010; Lee, 2010).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문제
본 연구는 피부관리실 운영자들을 대상으로 NCS교육 이수 후 교육만족도 및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피부관리실 운영자의 NCS교육 이수 후 선호하는 NCS학습모듈의 선호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 피부관리실 운영자의 NCS교육 이수 후 피부관리실 운영자의 만족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요인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연구문제 3. 피부관리실 운영자의 NCS 교육만족도가 경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하위 요인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2. 연구대상 및 분석방법
본 연구는 전국에 있는 피부관리실 운영자 중 피부관리실을 운영하거나 또는 피부관리실을 운영한 경력이 있는 종사자 32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자료의 수집 방법은 온라인 발송으로 자기 기입식 설문조사를 이용한 설문을 실시하여 회수하였다. 조사기간은 2 02 1년 12월 21일부터 2 02 2년 01월 31일까지였으며, 총 352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320부의 유효 설문지로 최종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3. 측정도구
본 연구의 설문지는 Lee(2018), Bae(2018), Son et al.(2021), Choi(2017), Oh(2016)의 선행 연구의 설문지와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2022).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의 http://ncs.go.kr에서 2022.04.01. 검색하여 본 연구의 설정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재구성하였다. 설문내용의 구성은 일반적 특성(9문항), NCS에 따른 운영실태에 관한 문항(11문항), 피부관리실 운영자가 지각하는 NCS수준에 따른 인식(14문항), NCS 학습모듈(프로그램)의 교육만족도 문항(총 17문항), 경영성과 문항(9문항)으로 총 6개의 영역 총 6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 검증 후 문항을 구성하였다. 각 문항은 1점 ‘전혀 그렇지 않다’, 2점 ‘그렇지 않다’, 3점 ‘보통이다’, 4점 ‘조금 그렇다’, 5점 ‘매우 그렇다’의 5점 리커트 척도로 측정하였다.
4. 분석방법
본 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통계처리 과정을 거쳤다. 첫째, 응답자의 인구 통계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측정도구의 신뢰도 분석의 경우 신뢰도계수로 Cronbach's Alpha를 사용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요인분석 적용가능성을 판단한 후 주성분분석과 베리맥스 회전을 통해 요인분석을 하였다. 또한, NCS 교육 후 피부관리실 운영자의 교육만족도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경영성과와 교육만족도를 통해 NCS 교육과의 교차분석, 요인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피부관리실 운영자들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Table 1). 조사대상자는 ‘남성’이 5.1%, ‘여성’이 91.5%로 여성 피부관리실 운영자들이 많았으며, 연령은 ‘20대 이상’이 2.7%, ‘30대 이상’이 24.8%, ‘40대 이상’이 35.3%, ‘50대 이상’이 29.3%, ‘60대 이상’이 4.5%로 나타났다. 최종 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18.7%, ‘전문대학 졸업’ 23.9%, ‘대학 졸업’ 34.4%, ‘대학원 졸업’ 7.3%, ‘기타’ 15.7%로 나타났다. 근무 경력은 ‘1년 미만’이 46.8%, ‘1~3년’이 29.6%, ‘3~5년’이 17.8%, ‘5~10년’은 3.0%, ‘10년 이상’은 2.7%로 나타났다. 소득을 알아본 결과 ‘300만원 미만’이 12.1%, ‘300~500만원 미만’이 9.1%, ‘500~1000만원 미만’이 10.9%, ‘1000~2000만원 미만’이 28.4%, ‘2000만원 이상’이 39.6%로 나타났다. 직책을 알아본 결과 ‘원장’ 78.9%, ‘매니저’ 6.0%, ‘피부관리실 운영자(실무자)’ 7.3%, ‘기타’ 7.6%로 나타났다. 직장 규모를 알아본 결과 ‘20평 미만’ 42.0%, ‘30평 미만’ 4.5% ‘40평 미만’ 3.2% ‘50평 미만’ 6.3%로 나타났다. 피부미용 관리실 직원수를 알아본 결과 ‘1명 미만’ 6.6%, ‘2명이상~3명 미만’ 55.3%, ‘4명이상~5명 미만’ 34.1%, ‘5명 이상’ 3.9%로 나타났다.
2. 피부관리실 운영자의 NCS 교육이 정확하게 적용할 때 선호하는 학습모듈 분석
피부관리실 운영자의 교육 후 실무에서 NCS 교육이 정확하게 적용할 때 선호하는 학습모듈간의 연관성을 측정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 및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Table 2). 분석결과, x2=9.744, p=0.045로 나타났다. 유의수준 0.05 기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남에 따라 NCS적용이 응답범주간의 연관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NCS를 정확히 적용하는 운영자가 285명으로 NCS를 정확히 미적용하는 종사자 35명으로 피부관리실 운영자의 NCS적용은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p<0.001), NCS를 정확한 적용할수록 피부미용 특수관리를 높게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8.2%). 이는 김종란(2015)의 연구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직업교육 및 훈련이 산업현장과 불일치되는 측면일 수 있다고 보여지며, 교육과 현장과 긴밀하게 연계되지 못한 측면에서 현장성 강화에 대한 피부관리실 운영자들의 니즈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교육의 체계를 수요자인 피부미용관리실 운영자 중심의 현장에 필요한 능력개발을 위해 NCS 교육훈련 방법을 바꾸는 방식을 채택할 필요가 있다.
3. 피부관리실 운영자의 NCS 교육에 대한 신뢰도 및 요인분석
척도 문항과 구성개념 타당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EFA)을 실시하여 잠재요인을 추출하였다. 표본적합도는 0.928로 나타나 본 자료가 요인분석에 적합하다고 할 수 있으며, Bartlett의 구형성 검정 결과, =10432.431, p=0.000으로 유의수준 0.05를 기준으로 ‘만족도 척도’ 변수 간의 상관성이 인정되어 전반적으로 요인분석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요인분석을 위하여 주성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베리맥스 회전을 통해 요인 적재치를 단순화하였다. 문항선택 기준으로는 고유값 1.0 이상, 요인 적재치는 0.5 이상을 기준으로 하였다. 각 문항에 대한 요인분석 시행 결과, 4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Table 3). 요인 1은 교류기기 얼굴관리, 특수관리원리, 특수관리 테크닉, 평가도움, 이론적 지식, 알고 싶었던 내용에 대한 문항에서 주로 나타났으며 이를 바탕으로 ‘지식기술’으로 명명하였다. 요인 2는 직류 극성세정, 태도습득, 학습모듈 자신감 향상에 대한 문항에서 주로 나타났으며, 이를 바탕으로 ‘교육만족도’로 명명하였다. 요인 1, 2 및 3의 변수가 설문지의 총 6개의 영역 중 분석하고자 하는 변수가 포함된 3개의 영역인 NCS수준에 따른 인식, NCS 학습모듈의 교육만족도 문항, 경영성과 문항에 기반하여 추출하였다. 요인 3은 테크닉 경영, 적절한 교육제공, 홍보에 대한 문항에서 주로 나타났으며 이를 바탕으로 ‘경영관리’로 명명하였다. 각각의 요인에 관련된 문항들의 내적 일관성을 측정하기 위해 Cronbach’s α계수를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추출된 요인들에 의해 설명되는 정도가 0.5미만으로 나타나 설명력이 낮은 요인은 제거하였으며, 요인에 1개의 변수만 나타난 것도 요인으로 설명하기에는 부족하여 제거하였다. 전체 60문항 중 요인으로 선정된 27문항의 Cronbach’s α값은 0.892, 0.815, 0.738로 나타나, 0.7 이상의 값을 나타내어 분석 문항의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4. NCS 교육이 교육만족도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1) NCS 지식기술 습득이 기술적용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
NCS 지식기술 습득이 기술적용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Table 4에서 분석된 요인을 기반으로 [모형1]은 Table 3에서 선정된 지식기술 요인1에 각 변수에 따른 영향을 파악하였다. NCS 지식기술 습득이 기술적용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단순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F=2.440(p<.001)로 본 회귀모형이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R2=0.123으로 12.3%의 설명력을 Table 3으로 나타냈다. NCS 지식기술 중 로마 블랜딩 기술이 β=0.275(p<.05)으로 β부호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NCS 교육태도 문제해결 향상에 β=0.248(p<.05)으로 β부호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특수관리 신체구분 교육은 β=-0.409(p<.001)로 β부호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NCS 질적수준은 β=-0.295(p<.05)로 β부호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NCS 교육태도에 대한 문제해결 및 아로마 블랜딩 기술과 같은 특수교육이 NCS를 통해 교육만족도의 향상이 높아지고 NCS 기술적용을 정확하게 긍정적인 도움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피부미용 운영자의 NCS 학습모듈의 질적 수준은 낮게 느껴져 NCS 기술적용을 정확하게 하는데 부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피부미용에서 피부미용을 운영하는 피부관리실 운영자들이 요구하는 NCS 교육에서 피부미용 기술의 기본 교육내용은 충분하지만 기술적 차별화는 부족하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The effects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NCS) knowledge skill acquisition on skill application accuracy (N=320)
NCS 교육은 일반기술을 바탕으로 학습모듈이 디자인되었으며, 교사가 학생에게 규격화된 교육과정을 통해 학습하기 때문에 특수화나 차별화의 한계를 갖는다(Kang, 2018). 피부관리실을 운영하는 피부관리실 운영자들의 교육에 있어서 NCS 학습 모듈의 중요도는 기초 분야의 직무능력 향상에만 초점을 두고 있어 기술응용을 통한 특수교육 개발에 한계를 갖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보인다. 하지만 위 결과는 피부미용관리실 운영자의 전반적 성향을 대표하지 못하지만, NCS 교육이 운영자의 입장보다는 종사자(근로자)의 교육으로는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2) NCS 학습모듈 교육만족도가 기술적용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
NCS 학습모듈 Table 3에서 선정된 NCS 교육의 교육만족도가 기술적용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단순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F=1.938(p<.05)로 본 회귀모형이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R2=0.052으로 5.2%의 설명력을 (Table 5)으로 나타냈다. NCS 교육이 교육만족도에서 학습 모듈 자신감 향상에 β=0.097(p<.05)로 부호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경제적 환경은 β=-2.366(p<.05)로 부호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NCS 교육에서 학습모듈 자신감이 올라갈수록 교육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경제적 환경에 도움을 주지 못하며, 이는 NCS 기술적용 정확도에 부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NCS 교육이 타 피부미용관리실과의 차별점을 형성할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지표가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 of standards (NCS) learning module training satisfaction on technology application accuracy (N=320)
NCS 교육의 특성상 개개인에 대한 교육보다는 표준화된 교육이 우선되기 때문으로, 교육만족도를 높이고 NCS 교육 프로그램이 쉽게 습득 가능하도록 기초되었다. 하지만, 경제적인 환경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선 피부관리실 운영자의 입장에서 각 피부관리실의 특수관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NCS 교육의 교육만족도는 고교 또는 대학생과 같은 직업을 얻고자 하는 입장에서는 교육 기초측면을 제시하지만, 피부관리실 운영자를 위한 세부화 및 특수화가 필요하다고 제안하고 있다(Lee, 2018). 피부관리실을 운영하는 피부관리실 운영자의 경우 NCS 교육만으로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미비하거나 부족하다고 느끼는 부분에서는 특수 프로그램의 추가 개발 및 개별화를 위한 업그레이드가 필요할 것이다.
3) NCS 운영실태가 기술적용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
NCS 운영실태가 Table 3에서 선정된 NCS 교육의 기술적용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단순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F=2.147(p<.05)로 본 회귀모형이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R2=0.038로 3.8%의 설명력을(Table 6) 나타냈다. NCS 교육이 운영실태에서 일반화 가능성에 β=-0.029 (p<.05)로 β부호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NCS 교육의 일반화 가능성이 낮을수록 (특수관리 교육일수록) NCS 기술적용 정확도에 도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육만족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교육보다는 특수관리교육이 피부관리실 운영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인식하는 피부관리실 운영자가 많은 것으로 보여진다.

Effect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operation on accuracy of technology application (N=320)
이와 같은 결과는 Cho(2017)의 NCS기반 중등 피부미용 교과서 분석 및 학습모듈 개선 연구에서는 NCS기반 교육과정에서 실질적인 산업현장 관리에 대한 내용이 미흡하다는 결과와 유사한 맥락이라 사료된다. NCS를 활용한 고등교육 또는 대학교육 수준에서는 일반적으로 학업성과 결정요인, 교육만족도, 경영성과, 조직몰입도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된다. 하지만, 피부관리실 운영자 중 피부미용관리실을 운영하거나 매니저급 이상의 관리직의 경우 NCS 교육 수준이 피부관리실을 홍보할 수 있는 동일 테크닉보다는 특수한 테크닉이 피부관리실 운영에 유의한 영향을 준다고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일부 피부관리실 운영자를 대상으로한 것이기 때문에 이 결과가 모든 피부관리실 운영자를 대표한다고 볼 수 없으나, NCS 교육의 끊임없는 연구 및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V. 결 론
본 연구는 NCS를 근거로 피부관리실분야 NCS 교육이 실질적으로 산업현장에서 효율적으로 적용되고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서 피부관리실을 운영하거나 또는 피부관리실을 운영한 경력이 있는 종사자를 대상으로 NCS 교육 이수 경험이 있는 피부관리실 운영자가 지각하는 지식기술, 교육만족도 및 운영 실태가 NCS 기술적용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으로 NCS의 교육훈련이 피부관리실 운영자의 운영 실태에 성과가 있는가를 판단하고 이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높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실증분석을 통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 참여한 피부관리실 운영자들에게 있어서 ‘지식기술’, ‘교육만족도’, ‘경영관리’ 3개 요인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NCS 교육 후 정확히 적용하는 종사자의 빈도가 많으며, NCS를 정확히 적용 할수록 피부미용 특수관리 프로그램을 높게 선호하였다. 이는 NCS 교육을 정확히 적용하는 피부관리실 운영자일수록 일반관리보다는 특수관리 프로그램에 관심을 갖고 특수관리 방향의 특정 기술습득을 할 수 있는 모듈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NCS 질적 수준은 대체적으로 낮다고 판단하였고, 교육만족도 부분에서는 학습모듈 자신감은 향상되었으나, 경제적 환경에 도움을 받지는 못했다고 답변하였다. 피부미용관리실을 운영하는 관리자의 입장에서는 NCS 교육이 기초에 중점적이고, 차별화를 요구하기에는 어렵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에 경영에 대한 도움이 낮은 것으로 집계되었다. NCS 교육의 특성상 특수관리 교육보다는 기본적 교육이 우선되기 때문으로, 만족도를 올리면서 경제적환경에 도움을 주기 위한 특수관리교육의 프로그램 추가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NCS 교육에 특수관리교육이 반영될수록 운영실태에 도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일반화 교육보다는 특수관리 교육이 피부관리실 운영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인식하는 피부관리실 운영자가 많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피부미용관리실 운영자의 경제적 환경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차별성 있는 방향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현재 기본교육에서 특수관리 교육으로 진행되는 학습모듈은 제안적인 프로그램으로 타 피부관리실과 차별성을 갖기 어렵다. NCS 교육이 이러한 현실에 발맞춰 한층 발전한다면 피부미용 측면에서 NCS 교육이 더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연구의 한계점은 표본 집단의 특성상 여성대비 남성이 현저하게 적어 균일하게 분배되지 않은 표본추출로 이루어져 성별에 따른 외적 타당도를 높이지 못했으며, 3년 이상 피부관리실 운영자들이 79.4%이며, 피부관리실 운영자 중 피부미용관리실 운영자의 분포가 84.9%의 수준이기 때문에 피부관리실을 운영하는 피부관리실 운영자에 대한 연구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