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Cosmetol > Volume 29(2); 2023 > Article
헤어미용전공 대학생의 그릿과 전공몰입의 관계에서 전공만족의 매개효과

Abstract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major satisfaction, and major commitment was investigated, and the influence between variables was more clearly identified by analyzing whether major satisfaction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influence of grit on major commitment. Through this, I would like to suggest practical ways to increase students' major commitment.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6.0 and Process macro. As a result of testing the mediating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major commit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In particular, it was concluded that major commitment was the highest when class satisfaction was high.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students' satisfaction with major classes and increase their major immersion by conducting interesting classes using various materials that can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contents of classes well.

I. 서 론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작가이자 최고의 두뇌 전문가 Jim Kwik(2021)은 몰입에 대해 ‘내 안의 잠재력을 200% 끌어 올리는 마인드 셋’이라고 하였다. 사람이 어떤 일에 몰입하게 되면 자신도 놀랄 만큼 평소 본인이 갖고 있던 능력에 비해 훨씬 좋은 성과를 이룰 수 있다는 의미이다. 몰입은 개인이 어떤 일에 완전히 몰두하여 그 일과 일체가 되는 정서적인 상태를 의미하며 전공몰입은 자신이 선택한 전공에 대해서 강한 애착과 일체감을 느끼고 모든 정신과 노력을 집중하는 상태를 말한다.
전공몰입은 학생 자신이 선택한 전공수업이 흥미롭고 자신의 전공분야 공부를 통해서 본인의 꿈을 이룰 수 있다는 기대가 크며 전공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 때 비로소 최고조에 이를 것이다. 즉, 전공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으면 전공몰입도가 높아질 것이고 이로 인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전공수업에 참여함으로써 학업성취도 또한 높아질 것이다. 전공만족은 자신이 계획한 진로나 직업에 대한 기준 및 기대감과 현재 자신이 소속한 학과에 대한 만족 정도를 비교하여 나타나는 주관적인 평가의 결과이다. 현재 자신이 공부하는 전공학과가 본인의 장래 목표, 희망, 꿈, 직업 등에 대한 기준과 일치하는 경우에는 전공만족도가 더욱 높을 것이다.
전공교육을 포함한 모든 교육은 학생으로 하여금 자신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돕는 일련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학생이 자신의 목표를 성취하려면 스스로를 진단하고 계획을 수립하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과 끊임없는 도전의 과정이 필요하다. 이때 목표의 성취는 눈에 보이는 성과나 성공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학문적, 도덕적 측면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서는 학생 개인의 인지적 역량이 중요하지만 목표와 계획을 세워 그것을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노력하고 도전하여 성공에 이르게 하는 것과 연계된 비인지적인 요소들도 매우 중요하게 작용한다.
비인지적 요인 중 꾸준히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그릿(Grit)은 특히 장기적인 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에서 실패나 역경에도 불구하고 끊임없는 노력과 흥미를 유지하며 열심히 도전하는 요소로써 학생들의 성취역량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Duckworth et al., 2007). 선행연구에 따르면 그릿이 높은 대학생들의 성적이 더 높았고, 탈락률이 높기로 유명한 군사훈련 학교에서는 그릿이 높은 학생들의 중도탈락률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Duckworth et al., 2007). 또한 철자 경진대회에서도 그릿이 높은 학생들이 더 높은 단계까지 진출한 것으로 보고되었(Eskreis-Winkler et al., 2014)으며 미용전공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그릿이 높을수록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고되었다(Lee et al., 2022). 이처럼 그릿이 높은 사람은 하나의 목표를 정했을 때 그것을 쉽게 바꾸거나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노력함으로써 목표를 달성하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에 전공만족도 및 전공몰입도 또한 높게 나타날 것이다. 그릿이 어떤 일에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꾸준히 노력하는 정서적 요인임을 고려할 때 그릿 수준이 높은 사람은 전공만족도가 높을 것이며 전공만족도가 높으면 전공에 대한 몰입도 역시 높을 것이라는 예측이 가능하다.
최근 들어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그릿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Jang, 2019), 간호사의 그릿과 감성지능, 간호업무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Choi, 2019), 그릿이 조직몰입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Han, 2019), 헤어미용사의 회복탄력성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Jeong, 2021), 4년제 대학생의 진로결정자율성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Song, 2020)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그릿과 여러 변인들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전문대학에서 헤어미용을 전공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문대학의 헤어미용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그릿과 전공만족, 전공몰입의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 그릿이 전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전공만족도가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변수들 간의 보다 명확한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학생들의 전공몰입도를 높일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II. 이론적 배경

1. 그릿(Grit)

그릿은 장기적인 목표에 대한 끈기와 열정으로 정의되며 한 분야에서 뛰어난 성취를 보인 사람들의 공통점을 찾고자 한 Angela Duckworth의 연구를 통해 구체화된 개념이다. 그릿은 하나의 목표를 향해 오랫동안 목표지향적 행동을 하는 원동력이며 장기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인내와 열정이라고 할 수 있다(Duckworth & Gross, 2014). 이때 그릿은 실패나 역경에도 불구하고 끊임없는 노력과 관심을 유지하며 열심히 목표에 도전하는 과정을 포함한다(Duckworth et al., 2007). 즉 그릿은 개인이 세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스스로 열정을 가지고 어려움을 극복하며, 노력을 지속할 수 있는 마음의 근력이라고 할 수 있다(Kim, 2011).
그릿은 개인, 학교, 회사 등 다양한 삶의 영역에서 개인에게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일반적 특성을 가진 변인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사람들은 각자 서로 다른 목표를 가진다는 점에서 특수성을 띠기도 한다(Rhu & Yang, 2017). 성공을 예측하는 그릿의 효과는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확인되고 있는데, 특히 교육 분야에서 그릿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한국으로 유학 온 대학생들은 그들의 잠재적 중도탈락을 방지하고 대학생활 적응력을 높이는데 있어서 그릿 수준이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그릿 수준이 높은 대학생일수록 중도탈락 가능성은 낮은 반면, 그들의 정서적 적응과 사회적응, 대학 생활 만족 및 학업적응력은 높게 나타났다(Slick & Lee, 2014). 이는 미국 웨스트포인트 사관학교 학생들 중 그릿 수준이 높은 학생들이 그 보다 낮은 그릿 수준을 보이는 학생들과 비교했을 때, 중도탈락이 적었다(Duckworth et al., 2007)는 연구결과와도 맥을 같이 하고 있다. 이처럼 그릿 수준에 따라 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력, 중도탈락률, 성적 수준 등이 달라질 수 있음을 고려할 때, 그릿은 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와 전공몰입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다.

2. 전공만족

전공만족도는 학생이 본인의 전공과 관련된 학업을 할 때 느끼는 만족의 정도로써 학생들이 대학생활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 긍정적 감정 혹은 태도이며 전공 교과를 공부하면서 느낀 개인적 감정과 학생 스스로의 진로에 대한 긍정적 사고가 모두 합쳐져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Lim, 2020; Kim, 2001; Han, 2014; Baek, 2007; Jeon & Shin, 2019). 전공만족은 전공에 대해 느끼는 주관적 경험을 의미하며, 인지, 감정들의 복합체로서(Nam & Lee, 2014; Park, 2015), 자신이 속한 전공 내에서 개인적 특성과 전공을 둘러싼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므로 전공만족은 자아와 일의 성취를 실현하기 위한 직업 세계를 잘 이해할 때 발생하며 진로태도에도 중요하게 작용하는 요인이다(Park & Oh, 2014). 요약하면 전공만족도란 개인이 설정한 진로나 직업에 대한 기준과 비교하여 현재 자신이 소속한 전공을 평가하는 판단과정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Ha, 2000).
전공만족은 대학생활의 주요 영역인 진로발달에 많은 영향을 주며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졸업 후의 진로성숙도가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Jeong, 2010).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전공 선택 동기. 진로성숙도, 전공만족도의 관련성 연구 결과에서도 전공선택 동기가 높을수록 전공만족도가 높아지고 진로성숙 수준도 높다고 하였다(Lee, 2020). 한편, 미용전공 대학생들의 전공선택 동기 및 전공만족 요인에 관한 연구에서는 학생 본인의 적성과 흥미에 맞춰 전공을 선택한 미용전공 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대학 및 정부차원의 지원 확대가 요구되며 이론교육에 국한되지 않는 실질적인 전문성 향상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기도 하였다(Kim & Kim, 2018).

3. 전공몰입

몰입이란 주변의 모든 잡념에서 벗어나, 방해물들을 차단하고 지금 하고 있는 일에 자신의 모든 정신을 집중하는 것으로 강도 높은 심리적 집중상태라고 할 수 있다(Rhu, 2002). 즉, 몰입은 사람이 어떤 일에 완전히 집중한 상태로 주변의 환경이나 사건들을 잊게 하고 때로는 긴장감이나 불안감, 우울감 등을 잊게 하기도 한다. 몰입상태에 있을 때 인간의 모든 의식과 감각기관은 하나의 목표에 초점을 맞추며 몰입의 과정을 통해서 즐거움과 자기 충족감을 느끼게 된다. 이에 심리학 및 교육학 분야에서 주목을 받으며 학문적인 구성개념으로 정립되기 시작하였다(Lee, 2004). 전공몰입은 대학생들이 자신이 속해있는 학과에서 진행되는 전공 과정에 대해 몰입된 정도로써 전공 분야에 대해 심리적으로 몰두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Nam, 2005; Eom, 2008).
전공몰입과 진로 관계의 선행연구 결과 전공몰입이 높을수록 해당 전공 분야로의 취업률이 높은 이유를 제시하였는데 첫째로 전공에 대한 뚜렷한 목표 의식을 바탕으로 전공과 관련된 분야에서 일하고자 하는 의지를 가질 것으로 예측하였으며, 둘째로 이 경우 자신의 미래를 비교적 일찍 준비할 가능성이 높고, 전공과 비전공 과목의 학점관리와도 관련성이 있을 것이라고 하였다(Crites, 1981). 또 학생이 본인의 전공에 깊이 몰입하게 되면 자신만의 뚜렷한 목표를 세우고 스스로 전공과 관련된 분야로 취업하고자 하는 강한 의지를 갖게 되며 적극적으로 진로를 설계하여 구체적인 진로준비행동을 하게 될 것이라고 하였다(Jeong, 2022).
전공수업 몰입경험과 직업탐색 행동에 대한 선행연구에서는 전공몰입이 직업탐색 행동의 독립적 직업탐색 행동과는 정(+)적인 관계가 있으며 상호적 직업탐색 행동과는 부(-)적인 관계가 있다고 보고하였다(Park, 2010). 그리고 미용전공 대학생들의 전공몰입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전공자격증 취득지도, 경진대회참가 지도, 현장실습 및 전공 관련 산업체 아르바이트 지원 등을 통해서 학생 스스로 적극적인 진로준비행동을 할 수 있도록 학생 개인별 다양한 상황이 고려된 맞춤형 진로지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Jeong, 2022).
미용전공 대학생의 몰입경험이 성취능력과 전공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선행연구에서는 미용전공 대학생의 성취능력과 전공만족 향상을 위해서는 몰입경험의 향상이 중요한 요소라고 주장하였으며(Han, 2017) 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전공수업 몰입경험의 하위요인인 통제감 및 행동적 요인, 지적 호기심 요인, 정서적 요인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Hwang, 2012). 이처럼 전공몰입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취업 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므로 변수 간의 단순한 영향 관계를 파악하는 것에서 벗어나 여러 변인들과의 입체적인 관계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의 수집

본 연구를 위하여 헤어미용을 전공하는 대구‧경북, 서울‧경기 지역의 전문대학생을 대상으로 2021년 4월 15일부터 5월 30일까지 36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한 다음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총 348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2. 연구문제

헤어미용전공 대학생의 그릿, 전공몰입, 전공만족의 하위요인을 분석하고 그릿과 전공몰입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를 분석한다.

3. 측정도구

1) 그릿의 측정도구

그릿의 측정도구는 Jeong(2020)의 연구를 사용하였으며 총 12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탐색적 요인분석 과정에서 관심의 일관성 2문항과 노력의 지속성 2문항은 요인 적재값이 낮아 삭제하고 최종 8문항을 사용하였으며 2개의 요인으로 구분되어 타탕도를 확보하였다. 각 문항의 점수는 ‘전혀 아니다’ 1점부터 ‘아주 그렇다’ 5점까지 5점 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그릿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Jeong(2020)의 연구에서 전체문항에 대한 Cronbach’s α값이 .77이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전체문항에 대한 Cronbach’s α값은 .87로 나타났고 노력의 지속성 요인은 .84이며 관심의 일관성 요인은 .79였다.

2) 전공만족의 측정도구

전공만족의 측정도구는 Jeong(2010)의 연구를 사용하였으며 총 18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4개의 요인으로 구분되어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각 문항의 점수는 ‘전혀 아니다’ 1점부터 ‘아주 그렇다’ 5점까지 5점 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전공만족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Jeong(2010)의 연구에서 각 요인별 Cronbach’s α값은 교과만족 .86, 관계만족 .84, 인식만족 .85, 수업만족 .69이었으나 본 연구에서의 Cronbach’s α값은 교과만족 .92, 관계만족 .87, 인식만족 .86, 수업만족 .91로 나타났다.

3) 전공몰입의 측정도구

전공몰입의 측정도구는 Kim(2007)의 연구를 사용하였으며 총 3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탐색적 요인분석과정에서 요인적재값이 낮은 문항은 삭제하고 24개의 문항을 사용하였으며 4개의 요인으로 구분되어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각 문항의 점수는 ‘전혀 아니다’ 1점부터 ‘아주 그렇다’ 5점까지 5점 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전공몰입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Kim(2007)의 연구에서 각 요인별 Cronbach’s α값은 정서적 요인 .92, 통제감 및 행동적 요인 .91, 지적호기심 요인 .86, 시간 흐름의 변화요인 .81이었다. 본 연구에서의 각 요인별 Cronbach’s α값은 정서적 요인 .96, 통제감 및 행동적 요인 .92, 지적호기심 요인 .86, 시간 흐름의 변화요인 .84로 나타났다.

4. 자료의 분석

통계분석을 위하여 SPSS 26.0K를 사용하였다.
첫째,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여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둘째,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Cronbach's α계수를 측정하고자 신뢰도 분석을 진행하였다.
셋째, 연구대상자의 개인별 특성에 따른 그릿, 전공만족, 전공몰입의 차이 분석을 위하여 t-test를 실시하였으며 그릿, 전공만족, 전공몰입 간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성별은 여학생이 81.3%(283명), 학년은 2학년이 50.3%(175명)로 나타났고 미용 관련 국가자격증을 소지한 학생이 63.2%(220명)로 자격증을 취득하지 않은 학생보다 많았다. 대학에 진학하기 전 미용 관련 선행학습 경험이 있는 학생은 88.5%(308명)이며 미용전공을 선택한 동기는 적성에 맞아서가 가장 많은 77%(268명)를 차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미용을 전공하는 학생들은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비율이 높고 대학에 진학하기 전 선행학습을 통해서 미용 관련 국가자격증을 취득하는 비율이 높으며 대부분 자신의 적성을 고려하여 대학에 진학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대학에서는 학생들이 진학하기 전 이미 선행학습 경험이 있다는 점을 고려한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이 필요하며 학생의 적성과 관계없이 주변의 추천이나 취업 전망만을 생각해서 진학한 학생들에 대한 교육방안도 함께 고민해야 할 것이다.

2. 개인별 특성에 따른 차이 분석

연구 대상자의 개인별 특성에 따른 그릿, 전공만족, 전공몰입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Table 2와 같다.
그릿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미용 관련 국가자격증을 취득한 학생들의 그릿 수준이 자격증을 취득하지 않은 학생들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용 전공을 선택한 동기에 있어서는 적성에 맞아서 미용을 선택한 학생들의 그릿 수준이 취업이나 자신의 흥미, 주변의 권유로 선택한 학생들에 비해서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전공만족도의 차이 분석에서는 학년, 자격증 유무, 미용 관련 선행학습 유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미용 전공을 선택한 동기에서 ‘적성에 맞아서’라고 응답한 학생들의 전공만족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전공선택 동기에 따른 전공만족을 연구한 Kim & Kim(2018)의 연구에서 전공선택 동기를 적성이라고 응답한 그룹의 전공만족도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고 주장하여 본 연구의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또한 Jeon & Shin(2019)은 외식, 조리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전공선택 동기와 전공만족도는 유의한 영향 관계가 있다고 보고한 바 있어 본 연구와 맥을 같이 하고 있다.
전공몰입의 차이 분석에서는 미용전공을 선택한 동기가 ‘적성에 맞아서’라고 답한 학생들의 전공몰입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학년, 자격증 유무, 미용 관련 선행학습 유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회계전공 대학생의 교육 성과와 전공몰입이 취업 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결과 학년은 전공몰입에 유의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고 보고한 Ban(2016)의 연구 결과와 맥을 같이 한다. 반면 대학생의 전공만족과 몰입경험이 진로결정 효능감 및 진로태도 성숙에 미치는 영향 연구에서 높은 학년인 4학년의 전공몰입이 높다고 보고한 Kim(2007)의 연구와는 상이한 결과이다. 이는 교육 연한의 차이가 있는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의 차이에서 비롯되는 결과로 해석된다.

3. 그릿과 전공몰입의 관계에서 전공만족의 매개효과

1) 각 경로별 매개효과 크기

그릿과 전공몰입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Hayes(2018)가 제안한 Process macro의 모델 4번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를 보다 명확히 분석하고자 하위요인인 교과만족, 관계만족, 인식만족, 수업만족을 활용하여 병렬 4중 매개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Fig. 1과 같다.
각 경로별 효과를 살펴보면 그릿은 교과만족(B=.33, p<.001), 관계만족(B=.30, p<.001), 인식만족(B=.38, p<.001), 수업만족(B=.39, p<.001), 전공몰입(B=.21, p<.001)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관계만족(B=.11, p<.001), 인식만족(B=.18, p<.001), 수업만족(B=.19, p<.001)은 전공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에서 수업만족(B=.19, p<.001)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교과만족(B=.03, p>.05)의 전공몰입에 대한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릿에서 전공몰입 간 경로의 총효과는 B=.39(p<.001)이었으나 매개변수가 투입되면서 그릿에서 전공몰입 간 경로의 직접효과가 B=.21(p<.001)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릿이 교과만족, 관계만족, 인식만족, 수업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점, 관계만족, 인식만족, 수업만족이 다시 전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점, 그리고 그릿과 전공몰입간 총효과가 직접효과 보다 큰 점은 매개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위의 결과를 요약하면 그릿 수준이 높을수록 전공몰입도가 높고 그릿 수준이 높은 학생일지라도 전공만족도가 높을 때 더욱 더 전공에 몰입하는 경향을 보인다는 결과이다. 전공만족도 요인 중에서 특히 수업만족이 높을수록 전공몰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교육과정이 아무리 잘 구성되어 있고 학과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긍정적이며 학생-학생간 및 학생-교수 간의 관계가 만족스럽더라도 실제 수업의 내용과 수업진행 방식 등이 만족스럽지 못하면 전공에 대한 몰입도는 높아지지 않는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는 전공만족과 전공몰입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다고 보고한 Hwang(2012), Han(2016), Jung(2014), Park(2015)의 연구와도 맥을 같이 한다. 한편 전공만족의 하위요인 중 인식만족은 전공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보고한 Lee(2018), Shin(2019)의 연구와는 다소 상이한 결과이다.

2) 다중 매개효과 검증

그릿과 전공몰입과의 관계에서 교과만족, 관계만족, 인식만족, 수업만족의 다중매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SPSS의 Process Macro Model 4번을 이용하였고 5,000회의 부트스트래핑을 지정, 신뢰구간을 95%로 설정하여 효과분석을 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분석 결과 전체 매개효과의 크기는 .39(.32~.46)로 95% 신뢰구간에서 0이 존재하지 않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순 매개 효과 검증 결과 교과만족[M1=(X)→(M1)→(Y)]은 .01(-02~.04)로 신뢰구간 95%에서 0의 값이 존재하여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관계만족[M2=(X)→(M2)→(Y)]은 .03(.01~.07)이었고 인식만족[M3=(X)→(M3)→(Y)]은 .07(.04~12)이었으며, 수업만족[M4=(X)→(M4)→(Y)]은 .07(.04~.12)로 나타나 95% 신뢰구간에서 0의 값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모두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3) 특정 매개효과 크기

그릿과 전공몰입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의 하위요인인 교과만족, 관계만족, 인식만족, 수업만족의 상호 매개효과 크기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교과만족과 관계만족, 인식만족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Table 4). 다만, 교과만족과 수업만족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수업만족의 매개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만족과 인식만족, 수업만족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인식만족과 수업만족 간에도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V. 결 론

본 연구에서는 그릿과 전공만족, 전공몰입의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 그릿이 전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전공만족도가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변수들간에 보다 명확한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서 학생들의 전공몰입도를 높일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그릿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미용 관련 자격증을 취득한 학생의 그릿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전공만족의 차이 분석에서는 미용을 선택한 동기를 묻는 항목에서 ‘자신의 적성에 맞아서’라고 응답한 학생의 전공만족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전공몰입의 차이 분석에서도 자신의 적성에 맞아서 미용 전공을 선택한 학생들의 전공몰입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그릿과 전공몰입 간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정한 결과 전공만족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릿 수준이 높을수록 전공몰입도가 높고 그릿 수준이 높은 학생일지라도 전공만족도가 높을 때 더욱 더 전공에 몰입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수업만족이 높을 때 전공몰입이 가장 높게 나타난다는 결론을 얻었다.
전공몰입은 학생들이 진로에 대한 적극적인 준비 과정을 통해서 진로목표에 대한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 되므로 대학에서는 학생들의 전공몰입도 향상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연구를 통해서 학생들의 전공몰입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공만족도가 중요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특히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 때 전공몰입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교수자는 학생들이 수업내용을 잘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수업 보조자료(ppt, 수업 관련 사이트, 참고서적 등)와 학생들의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여러 가지 교수방법(Project 수업, Flipped Learning, Teaching and Learning with Technology : TLT 교수법) 등을 활용하여 흥미롭게 수업을 진행함으로써 학생들의 전공만족도를 향상하고 전공몰입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미용전공 대학생의 그릿과 전공몰입의 영향 관계를 분석함에 있어 단순히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와의 표면적인 영향 관계만을 분석한 것이 아니라 전공만족도를 매개변수로 하여 다양한 변수 간의 입체적인 영향 관계 분석을 통해서 여러 요인들간의 상호관련성을 다면적으로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향후의 연구에서는 개인적 특성에 따른 변수별 세분화된 연구를 지속해 나가고자 한다.

Fig. 1.
A statistical diagram of the parallel multiple mediator model.
JKSC-2023-29-2-440f1.jpg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Variable Category Frequency(number) Percentage(%)
Gender Female 283 81.3
Male 65 18.7
Grade Freshman 173 49.7
Sophomore 175 50.3
Certification Acquired 220 63.2
Unacquired 128 36.8
Prior-learning Yes 308 88.5
No 40 11.5
Major Selection Motivation Fit for aptitude 268 77.0
Job prospects 16 4.6
By recommendation 30 8.6
It’s interesting 34 9.8
Table 2.
Differences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Variable Group t-value
Grit Grade Freshman(n=173) Sophomore(n=175) .86
M SD M SD
3.64 .66 3.58 .60
Certification Acquired(n=220) Unacquired(n=128) 2.36**
M SD M SD
3.67 .63 3.51 .64
Prior-learning Yes (n=308) No(n=40) -1.64
M SD M SD
3.59 .63 3.77 .63
Major Selection Motivation Aptitude(n=268) Etc(n=80) 2.60**
M SD M SD
3.66 .62 3.45 .66
Major satisfaction Grade Freshman(n=173) Sophomore(n=175) .64
M SD M SD
3.81 .64 3.77 .60
Certification Acquired(n=220) Unacquired(n=128) .22
M SD M SD
3.80 .62 3.78 .60
Prior-learning Yes(n=308) No(n=40) -1.64
M SD M SD
3.79 .60 3.84 .73
Major Selection Motivation Aptitude(n=2.68) Etc(n=80) 4.26***
M SD M SD
3.87 .59 3.54 .66
Major commitment Grade Freshman(n=173) Sophomore(n=175) .04
M SD M SD
2.90 .05 2.90 .49
Certification Acquired(n=220) Unacquired(n=128) 1.31
M SD M SD
2.9 .47 2.9 .48
Prior-learning Yes(n=308) No(n=40) -.92
M SD M SD
2.89 .48 2.96 .44
Major Selection Motivation Aptitude(n=268) Etc(n=80) 4.461***
M SD M SD
2.96 .45 2.69 .49
Table 3.
Verification of parallel mediation effect
Item Effect SE LLCI (1) ULCI (2)
Total Effect .39 .04 .32 .46
Direct effect .21 .03 .15 .26
Total Indirect effect .18 .03 .13 .24
Grit(X) → Subject Satisfaction(M1) → Major Commitment(Y) .01 .02 -.02 .04
Grit(X) → Relationship Satisfaction(M2) → Major Commitment(Y) .03 .01 .01 .07
Grit(X) → Perception Satisfaction(M3) → Major Commitment(Y) .07 .02 .03 .11
Grit(X) → Class Satisfaction(M4) → Major Commitment(Y) .07 .02 .04 .12

(1) LLCI: Lower Limit Confidence Interval

(2) ULCI: Upper Limit Confidence Interval

Table 4.
Contrast of specific indirect effects
Specific indirect effect Effect SE LLCI ULCI
Subject Satisfaction - Relationship Satisfaction -.02 .02 -.07 .02
Subject Satisfaction - Perception Satisfaction -.06 .03 -.11 .00
Subject Satisfaction - Class Satisfaction -.06 .03 -.12 -.01
Relationship Satisfaction - Perception Satisfaction -.03 .03 -.09 .02
Relationship Satisfaction - Class Satisfaction -.04 .03 -.09 .01
Perception Satisfaction - Class Satisfaction -.00 .03 -.07 .05

References

Ban, T. H. (2016). Effects of educational outcomes and major commitment on employment volition of undergraduate accounting: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Korea International Accounting Review, 70:349-374.
Baek, J. H. (2007). The Relationships among Body Esteem, Learning Attitudes and Major Satisfaction of Dance Students in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Seoul.
Choi, Y. K. (2019). The relationship among Grit, Emotional intelligence, Outcome of nursing practice,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Master's thesis, Korean Bible University, Seoul.
Crites, J. O.. (1981). Career counseling: Model, methods, and materials New York, MacGraw-Hill.
Duckworth, A. L., Peterson, C., Matthews, M. D., & Kelly, D. R. (2007). Grit: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2:1087-1101.
crossref pmid
Duckworth, A. L., & Gross, J. (2014). Self-Control and Grit: Related but Separable Determinants of Success. Curr Dir Psychol Sci, 23(5), 319-325.
crossref pmid pmc pdf
Eskreis-Winkler, L., Shulman, E. P., Beal, S. A., & Duckworth, A. L. (2014). The grit effect: Predicting retention in the military, the workplace, school and marriage. Frontiers in Personality Science and Individual Differences, 5(36), 1-12.
crossref
Eom, D. W. (2008). The status and causes of early separation of college graduate newcomers: Focusing on the HRM perspectives. Journal of Employment and Skills Development, 11(2), 237-260.
crossref
Hwang, J. Y. (2012). The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nd Major Flow Experience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Job Search Behavior.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Ha, H. S. (1999). A Study on the Satisfaction and School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Han, D. Y. (2017). The Effects of Flow Experience of Beauty Science Students on Achievement Ability and Satisfaction with Study. Master’s thesis, Seokyeong University, Seoul.
Han, Y. J. (2014).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instruction participation and major. Doctoral dissertation, Kyungsung University, Busan.
Hayes, A. F.. (2018).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2nd. NY, The Guilford Press.
Jang, D. H. (2019). The Effects of Job Stress and Grit on Turnover Intention in Early Childhood Teachers. Master's thesis, Incheon National University, Incheon.
Jung, C. H. (2014). Coffee Barista Students’ Major-Satisfaction on Major-Commitment and Self-Efficacy Concerning Career Decision. Master’s thesis, Sejong University, Seoul.
Jeon, C. S., & Shin, H. J. (2019). Influences of Motivation of Major selection and Work value on the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Management and Sciences, 34(5), 63-83.
crossref
Jeong, H. Y. (2010). A Study o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Values and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Doctoral dissertation, Kyungsung University, Busan.
Jeong, H. Y. (2010).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of Hairdress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7(3), 713-722.
crossref pdf
Jeong, H. Y. (2022).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Stress Betwee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Major Immersion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Hair desig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8(3), 469-480.
crossref pdf
Jeong, S. J. (2020). Grit and Job Satisfaction: A Mediation of Goal-Work Congruence and Moderation of Socioeconomic Status.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im, H. J. (2007). The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nd Flow Experience on Career Decision Efficac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im, K. R., & Kim, M. H. (2018). Motivation and Major Satisfaction Factors of College Students in Cosmetology Majo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4(2), 256-262.
Kim, J. H.. (2011). Resilience 2nd. Koyang, Wisdomhouse, p.66-72.
Kim, M. K. (2001).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Determinants of High School Students.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uwon.
Kwik, J.. (2020). Limitless Upgrade brain, learn anything faster and unlock your exceptional life CA, Hay House Inc.
Lee, N. R., Seo, H. S., & Lee, S. G. (2022). The Effect of Grit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smetology Students. The Korea Beauty Art Management Association, 16(3), 109-129.
Lee, K. W. (2018). Relationships of Security Majors’ Physical Self-efficiency with Major Satisfaction, Major Commitment,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Doctoral dissertation, Kyungwoon Unversity, Gyeongbuk.
Lee, S. J. (2020). The Influence of Major Choice Motivation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on Career Maturity: Mediating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Humanities and Society 21, 11(4), 2245-2254.
crossref
Lee, T. J. (2004). The effect of flow experience on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decision efficacy. Doctoral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Seoul.
Lim, B. M. (2020).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 and satisfaction of major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erceived by the dance college student.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Seoul.
Nam, M. H., & Lee, M. R. (2014). Factors Influencing Subjective Happiness Index of Health Behavior, Self Esteem and Major Satisfaction by Nursing Students.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2(10), 363-374.
crossref
Nam, S. H. (2005). Major commitment and Work values.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9(1), 223-242.
Park, H. S. (2015). A Study of Effects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Job Value on Satisfaction With Major in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service-related majors. Master's thesis, Honam University, Gwangju.
Park, H. J., & Oh, J. O. (2014). The Relationships of the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the Major Satisfaction with the Nursing Professionalism of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12), 417-426.
crossref
Park, M. K. (2010). A Study on the University Student’s Major commitment and Career-Related Self-Efficacy on Vocational Exploration Behavior and Employment.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Park, S. G. (2015). Effects of Occupational Values on Major Satisfaction and Major Commitment Perceived by Hotel Tourism Major University Student. Master's thesis, Honam University, Gwangju.
Rhu, Y. D. (2002).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 flow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the addiction counseling program.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10(2), 1-34.
Rhu, Y. J., & Yang, S. J. (2017). On the Mediating Effects of Grit and Prosocial Behavi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vs. Prosocial Motivation and Life Satisfaction.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30(4), 93-115.
Slick, S. N., & Lee, C. S. (2014). The relative levels of grit and their relationship with potential dropping-out and university adjustment of foreign students in Kore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8), 61-66.
crossref
Shin, S. H. (2019). The Effect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on their Engagement in the Major. Master's thesis, Dong-eui University, Busan.
Song, H. S. (2020). Mediating Effects of Gri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Master's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10-2825-6735   Fex: +82-62-950-3797    E-mail: beauty2007@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