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Cosmetol > Volume 29(2); 2023 > Article
미용 종사자의 재교육 인식과 만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 헤어미용을 중심으로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education and perceptions of reeducation. An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management performance. For this purpose, an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a questionnaire to beauty workers. Firs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education are as follows. Re-education completion institutions have the most majors in beauty-related departments, Most of them had more than 10 years of cosmetic experience. More than half of respondents said that retraining was necessary, and the most information was obtained from the Internet and SNS. The number of retraining was 1-6 times, and the biggest purpose was to improve cutting skills.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a beauty shop and a re-education institution, and they were paying the education fee for this. Most thought that periodic training was necessary, but Lack of time was the biggest problem. Second, the perception of beauty workers retraining had an impact on the satisfaction level of education. It was because there was a belief that retraining would improve professionalism. However, most of them had low determination for reeducation. Thi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verify the effect of satisfaction with beauty workers' retraining on business performance. The biggest factor in satisfaction with retraining was the improvement in sales. Satisfaction with the improvement of professionalism in reeducation was relatively low.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easurement scale for a more in-depth analysis of reeducation targeting beauty workers. In addition, for the correct measurement of retraining satisfaction, an approach based on other dimensions besides professional satisfaction and sales performance is needed.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cognition of beauty practitioners' reeducation, the professionalism that meets the rapidly changing consumption trend, and the consequent satisfaction with reeducation on the management performance. And from the customer's point of view,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beauty trends, beauty shop loyalty, and user attitude.

I. 서 론

아름다움에 대한 욕구가 높아지면서 미용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미용의 필요성에 관한 인식이 새롭게 바뀌어 나감에 따라 뷰티산업은 발전하고 산업사회의 한 영역을 차지하고 있다. Kwon et al.(2020)의 연구에서 뷰티산업이 산업의 한 영역으로 자리 잡고 발전함과 동시에 아름다움을 추구하기 위한 인간의 끊임없는 미적 욕구 충족을 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법을 활용한 부가가치 창출은 뷰티산업이 양적으로 팽창할 수 있는 문화적 환경에 기여하고 있다. Lee(2018)의 연구에서 다양한 고객의 욕구 충족을 위해서는 미용종사들의 미용 기술에 대한 능력은 다양한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수준이 되어야 할 것이며, 변화하는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미용종사들이 가지고 있는 기술에 만족할 것이 아니라 변화하는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헤어디자이너의 기술 향상이 필요할 것이며, 이러한 선진화된 미용 기술은 재교육을 통해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Ha et al.(2015)의 연구에서 미용종사들이 소비자의 필요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배우고자 하는 교육을 통해 기술을 습득하고자 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조성되고 질적으로 깊이 있는 미용기술을 익히기 위한 평생학습(Life long Education) 시대에 접어들었다고 한다.
특히 Lee(2000)의 연구에서 헤어미용 종사자들은 미용업종 특성상, 미적 감각을 추구하는 기술을 기반으로 하되, 유행과 같은 변화에 민감한 직종으로 새로운 지식·기술·유행의 변화 주기가 매우 빠르게 변화하고 있어 지속적인 재교육과 학습이 필수적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체계적이지 못한 미용 재교육 과정이나 프로그램은 미용인들에게 이론적·기술적 부분에 대한 질 높은 교육을 갈망하게 만들었고, Oh(2001) 연구에 의하면 이러한 욕구로 인해 온·오프라인에서 많은 교육과정들이 개설되어 초보부터, 경력자들까지 본인이 원하는 교육을 선택적으로 받을 수 있는 시점에 이르게 되었다.
미용재교육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Kim(2013)의 미용 재교육 현황과 개선 방안의 연구에서 헤어 미용 종사자들의 직무특성상 직업에 대한 긍지가 높을수록 스스로의 직무에 만족하고 이러한 만족이 이직률을 감소시키는데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Shin(2016)은 1인샵 피부미용인의 재교육 횟수와 만족도가 경영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교육 관련 기관의 협조와 관심을 높이고 재교육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절실히 필요하다고 하였다. Lee & Park(2017)은 미용 종사자의 미용재교육 선호도와 만족의 관계 연구에서 재교육 기관별 선호관계 만족에 내적 선호가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Kim(2020)의 미용 종사자의 재교육 인식 만족과 활용성 연구에서 현재 대부분의 미용 종사자들은 미용학원, 재교육 센터, 학교, 제품회사 등을 이용하여 재교육을 받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고 하였다. Cho(2022)의 연구에서 코로나 시대 재교육 현황 및 만족도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관계성에서 재교육의 필요성은 90%가 넘으며, 주기적으로 재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고 전체적으로 기술향상의 목적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선행연구를 고찰한 결과 미용 재교육 현황과 직업에 대한 긍지, 만족과의 관계, 재교육 횟수와 만족과의 관계, 미용재교육 인식과 선호도, 만족과의 관계 등을 연구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연구하지 않은 미용 재교육의 인식, 만족 뿐만 아니라 이러한 재교육을 통해 뷰티샵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의 필요성으로 제기하고자 한다.
본 연구 목적은 첫째, 미용현장에서 느끼는 재교육의 필요성 부분에 대한 뷰티샵의 현황 등을 파악하고자 한다. 둘째, 미용 종사자들의 재교육인에 대한 인식, 만족, 경영성과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척도를 고찰하고자 한다. 셋째, 이러한 재교육에 대한 인식과 만족이 실질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뷰티샵의 경영 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통해 재교육에 대한 성과를 파악하고자 한다. 넷째, 재교육의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함과 동시에 우리나라 뷰티산업의 활성화 방안과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II. 이론적 배경

1. 미용 종사자 재교육

재교육은 교육학 용어사전(1994)에 의하면 현직교육(inservice teacher training)에 해당하는 것으로 당해 현직에서 근무하는 종사자의 자질향상을 위하여 실시되는 교육 활동 또는 자신의 연수 활동을 말하며 전문직으로서 자기 직업에 대한 지식, 기능의 향상, 부단한 탐구와 수양을 쌓기 위함으로 정의하고 있다. 미용 종사자의 재교육은 뷰티샵에서 미용 기술을 주체로 영업활동을 하고, 그 기술 내용은 패션에 따라 해마다 고객의 요구도 변화하므로 그 변화에 대응하는 기술의 유지와 진보를 위해서는 끈임 없는 연구와 훈련이 요구되는 것이다. Kim & Youn(2009)의 연구에서 교육훈련이란 인사관리 한 부분으로서 조직이 변화하는 환경에 잘 적응하면서 기업경영 목적에 부합되도록 인적자원 육성 및 인력개발의 촉진 과정으로서 업무 행위에 필요한 종사자의 지식, 기능, 태도, 문제해결 능력 및 습득 개발을 위한 일련의 계획적인 프로그램 또는 관리 활동의 체계라고 정의 할 수 있다. Kim(1997)의 연구에서 미용 산업부분이 자리 잡아 수백 년이 흐르는 동안 오늘날에 이르렀지만 현대 미용은 그 기술에 과학성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안 될 정도로 다양화되었고, 여기에 이론적 체계가 갖추어져 과학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Kim & Youn(2009)의 연구에 의하면 미용 종사자 재교육이라 함은 뷰티샵 현직에 있는 미용 종사자가 사회적 변화에 따른 고객의 니즈와 태도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전문적 자질향상을 위하여 실시되는 교육 활동이라고 하였다. 또한 Lee(2018)은 일정한 전문 분야에서 활동 중 준비 교육이 아닌 새로운 발전과 확장을 위하여 개인 각자가 선택한 학문의 개발과 기술향상을 목적으로 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재교육은 미용기술 재교육에 관한 것으로 그 영역은 담당 조직과 담당자의 기술향상을 위한 이론적 배경과 테크닉, 내적 만족을 위한 태도, 근무환경, 문제해결 능력, 평가 방법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2. 재교육 인식

현대의 소비자들은 넘쳐나는 서비스의 홍수 속에서 자신이 원하는 제품이나 재화 등의 서비스를 선택하게 된다. 소비자들은 단순히 제품과 서비스를 선택하는 것이 아닌, 그들에게 의미 있고, 가치를 부여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구매하여 자신의 욕구를 표현하거나 충족하게 된다. Park & Kim(2012)의 연구에서 특히 소비자들이 자신만의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뷰티 관련 서비스에서의 소비자 가치 인식을 충족시키기 위해 외모 추구성향,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외모 표현 행동 등에 적절한 서비스를 선택하여야 근본적인 소비의 의미가 발생한다는 점과 Cho et al.(2021)의 연구에서 미용 관련 소비자들의 가치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새로운 트렌드를 이해해야 한다. 또한 미용 관련 종사자들은 미용기술 재교육에 대한 가치 인식이 여타의 산업 중에서도 더욱 중요하게 생각해야 될 개념이다. 소비자들의 다양한 트렌드에 대한 가치 인식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미용 종사자들의 재교육을 선택하는 기준 및 요인이 될 수 있으며, 선택한 상황에서는 미용 종사자들에 대한 만족도를 좌우하는 요인으로 볼 수 있다. 미용 종사자들의 재교육에 대한 가치 인식은 크게 감정적인 가치와 경제적인 가치로 나누어볼 수 있는데 Kim(2019)Park(2017)의 연구에서 이들 중 감정적 가치는 재교육 서비스에 대해 갖는 긍정적인 감정의 수준으로 재교육 참여, 재교육신뢰, 교육의 인식을 의미하며, 경제적 가치는 재교육 서비스에 대해 지불하는 비용이 자신이 느낀 만족감과 비교해 볼 때, 합리적인 수준인지를 평가하는 개념이라 정리해 볼 수 있다. 이는 다시금 재교육에 대한 분야와 기술에 대하여 긍정적인 생각을 지니는 정도를 감각적 가치 인식으로, 재교육에 대한 비용효율성에 대한 지각을 경제적 가치 인식으로 재정의 해 볼 수 있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미용 종사자에 대한 재교육에 대한 인식 요인으로 감정적가치인 교육 신뢰, 재교육, 참여 인식으로 구성하여 교육만족도와 경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3. 교육만족도

교육만족도란 학습자들이 교육에 참여하여 지식, 기술 따위를 모자람이 없이 충분히 만족한 결과를 얻은 정서 상태이다. 교육과정을 갖고 있으며 기대에 부응되는 그 이상의 것을 제공받고 이를 통해 욕구가 충족되어 마음이 흡족한 상태라 한다. Park(2009)의 연구에서 교육만족도란 학습자들이 교육 활동의 전반에 참여한 결과로서 얻게 되는 만족스러운 정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Jung(2013)의 연구 또한 미용교육 만족도는 직업인에게는 직업만족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미용 교과를 공부하면서 느끼게 되는 주관적 즐거움과 개인의 미래와 진로에 대한 긍정적 사고가 결합되어 나타나는 결과로 정의 할 수 있다. Seo & Lee(2018)는 이와 같은 개념은 기대에 대한 성취감을 의미하며 이에 질적인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직무교육의 실질적 업무의 능률을 향상시키고 경영환경의 유지·발전하는 지표로 보고 있다. Jeong et al.(2010)는 즉 교육만족은 교육 이전의 기대에서 교육을 통한 경험이 실질적인 만족에 영향을 주는 긍정적 반응인 반면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 불만족으로 부정적인 반응이라고 볼 수 있다. Han et al.(2015)Hyun(2020)의 연구는 이에 긍정적인 반응으로 판단되는 교육만족도가 학습자의 직무 능력에 개선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으로 실증적이고 실용적인 중요한 요인이다.

4. 경영성과

경영성과(management performances)란 다양한 의미를 포함하여 명확하게 정의내리기 어려우나 일반적으로 조직 활동에서 나타나는 포괄적이고 종합적인 결과물을 말하며 조직의 경영활동이 얼마나 효과성과 효율성을 가지는지 측정하고 평가하는 수단을 말한다. Cha(2014)의 연구에서 경영성과는 경영운영에 필요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활동의 결과로서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적성과로 구분할 수 있다. 재무성과는 마케팅 활동의 결과로 나타난 재무적인 결과를 의미하며 매출수익률, 투자 수익률 그리고 자산수익률 같은 수익성 측정과 관련이 있다. Chakravathy(1986)의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경영의 전략조직 구조인 심리적 요인, 종사자의 인적특성과 자원, 산업의 환경인 마케팅, 교육 등으로 구분되고 있다. Lee & Kang(2010)은 프랜차이즈 미용실 경영자의 교육 욕구가 높을수록 재무성과가 높게 나타났다고 하였으며 Kim(2014)의 연구에서 피부미용재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직무 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경영성과(매출 증가)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Lee(2017)은 피부미용 종사자가 재교육을 받는 시간이 많을수록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재교육에서 학습한 내용은 실무에 바로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또한 Park & Jung(2019)의 연구에서 개인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기술성과 요인이 높아질수록 경영성과의 고객서비스 수준이 놓이고 고객의 다양한 요구를 개별적으로 충족시켜주는 고객성과 요인도 높아지는 정의 관계가 나타난다고 분석하였다.
경영성과의 지표는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적 성과로 측정할 수 있는데 재무적 성과를 측정하는 지표로는 일반적으로 매출액 증가율, 투자수익률, 시장점유율, 현금유동성, 자본수익률, 총자산증가율 등이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비재무적성과는 경영활동을 결과가 재무실적이 아닌 지속가능 경영을 위한 성과로서 신제품개발, 상품의 품질, 시장개척, 연구개발, 인력 개발, 직원의 업무만족도, 고객만족도, 장기지향성 등이 성과지표로 사용되고 있다. Yoon & Park(2008)의 경영성과의 지표와 운영성과 여부를 판정함에 있어 경영 매출의 재무적 지표도 중요하지만, 경영주의 성취도, 고객만족도 등 비재무적 지표를 같이 측정하는 것도 장기적으로 봤을 경우 경영에 있어 미래지향적인 방향을 제공해 줄 수도 있다.
본 연구에서 경영성과는 하위요소로 신규고객 및 재방문고객의 증가, 고객서비스 대응과 총매출 향상, 문제해결 능력, 효율적 고객관리, 기술 수준이 높아져 영업이익의 상승과 직원들과 업무 활동 원활과 구성원들과 동기부여 및 시장점유율 확대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 모형 설계 및 연구가설

1) 연구 모형 설계

선행연구를 토대로 재교육에 대한 인식 14문항, 교육만족은 22문항, 경영성과 13문항으로 구성하여 Figure 1과 같이 연구 모형을 설계하였다.

2) 연구가설

H1: 미용 종사자의 재교육에 대한 인식은 교육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1: 미용 종사자의 재교육에 대한 인식은 재교육의 전문성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2: 미용 종사자의 재교육에 대한 인식은 재교육의 매출 및 직업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 미용 종사자의 재교육에 대한 인식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3: 교육만족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미용 종사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자료수집 방법으로는 자기기입식 설문지법이 사용되었다. 설문 조사는 2022년 12월 1일부터 2023년 1월 20일까지 약 50일간 실시되었으며,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275부가 회수되었고, 그 중 분석에 사용하기에 불충분하다고 판단된 23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252부가 최종적으로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3. 측정도구 및 분석방법

본 연구에서는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 28.0을 사용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첫째, 조사 대상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사용하였다. 둘째, 각 연구변수들의 내적 타당성 및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신뢰도 분석 및 요인분석을 시행하였으며, 가설 검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조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본 연구의 응답자들의 분포는 남자 57명(22.6%), 여자 195명(77.4%)으로 구성이 되었으며, 연령별에서는 20대가 81명(32.1%), 36명(14.3%) 학력별 분포에서는 전문대 과정 및 졸업 84명(33.3%), 지역 분포에 있어서는 수도권 231명(91.7%), 샵의 위치는 번화가 역세권이 102명(40.5%), 근무 직원은 5명 미만이 138명(54.8%), 교육이수 기관은 미용관련학과 전공이 132명(52.4%), 미용경력은 10년 이상이 123명(48.8%)으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으며, 재교육에 필요성은 252명 중 138명(52.8%)으로 과반수 이상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고, 재교육의 목적으로 가장 높은 순위는 개인의 기술향상으로 150명(59.5%)으로 나타났으며, 재교육의 컨텐츠는 테크닉이 190명(75.4%)으로 이 중에서 커트가 105명(42.5%), 다음으로 트랜트, 컬러, 펌 순으로 조사되었다.

2. 연구변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미용 종사자 재교육 인식을 측정하기 위하여 모두 12문항으로 측정을 한 결과, 3가지 차원으로 구성이 되어서 요인의 이름을 “교육신뢰인식(5문항)”, “재교육 인식 (4문항)”, “참여 인식(3문항)” 으로 설문의 내용에 따라 논자가 명명을 하였다. 미용인식 변수의 KMO에 의한 구형성 검증결과 .8093(p=0.000)으로 나타났으며, 요인의 신뢰도 값은 교육신뢰 인식, 899, 재교육인식이 .825, 참여인식 .742로 도출이 되어 신뢰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재교육 만족의 측정을 위해서 모두 14개 문항으로 측정을 시도한 결과, 모두 2개의 차원으로 도출이 되어, “전문성 만족(7문항)”, “매출 및 직업 만족(7문항)” 으로 설문 문항의 내용에 따라 논자가 명명을 하였으며, KMO의 구형성 검증결과 그 값이 0.898(p=0.000)로 도출이 되었다. 요인의 신뢰도 값은 전문성 만족, 948, 매출 및 직업만족 .9282로 도출이 되어 신뢰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영성과 변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모두 13문항으로 측정을 시도한 결과, 단일차원으로 구성이 되었는데, 요인의 이름을 “경영성과”로 명명하였으며. 요인의 신뢰도 값은 .974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연구가설 검증 및 결과 해석

미용 종사자의 재교육에 대한 인식은 재교육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H1), 미용 종사자의 재교육에 대한 인식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H2), 교육만족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H3)를 가설로 설정하여 이에 대한 검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이 분석되었다. 먼저 미용 종사자의 재교육에 대한 인식이 재교육 만족(전문성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미용 종사자의 재교육에 대한 인식이 재교육 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재교육에 대한 신뢰가 강하게 작용을 하는 것으로 분석이 되었으며 재교육 만족도가 참여인식에 대해서는 낮게 작용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교육에 대한 인식이 전문성 만족 전체에 대해서는 50.1%로 나타났다. 따라서 Table 5와 같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므로 가설 H1-1은 채택되었다.
따라서 선행연구인 Kim(2013), Shin(2016)Lee & Park(2017)의 연구와 동일한 결과가 나온 것으로 판단되나, 재교육과 만족간의 영향관계에서 본 연구에서 영향관계에서는 전문가를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은 미용 종사자의 재교육에 대한 인식이 재교육 만족(매출 및 직업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재교육에 대한 신뢰가 가장 강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재교육 참여인식에 대해서는 가장 낮게 작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재교육에 대한 인식이 매출 및 직업만족 전체에 대해서는 45.5%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Table 6과 같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져 가설 H1-2은 채택이 되었다. 위의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은 미용 종사자의 재교육에 대한 인식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H2)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재교육에 대한 신뢰가 가장 강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재교육 참여인식에 대해서는 낮게 작용이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재교육에 대한 인식이 만족 전체에 대해서는 30.6%로 나타났다. 따라서 Table 7과 같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져 가설 H2는 채택이 되었다.
다음은 미용 종사자의 재교육에 대한 만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H3)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매출 및 직업만족이 가장 강하게 작용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Lee & Park(2017)이 연구한 선행연구에 따르면 실무위주의 교육을 선호하는 내적요인에 의해 관계개선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하였고, Kim & Ju(2014)의 연구에는 재교육을 받은 후 자신의 실력향상이 직장 내 동료들에게 도움을 줌으로 관계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 재교육의 만족에서 오는 만족도는 경영성과의 요소인 매출과 직업만족이 높아 위의 선행연구와 같은 결과로 나타났고 직장 내의 전문성 만족이 낮게 작용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재교육에 대한 인식이 만족 전체에 대해서는 72.0%로 나타났다. Table 8과 같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H3는 채택이 되었다.
이러한 연구는 선행연구인 Cho(2022)의 연구결과와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행연구보다 R2 의 수치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V. 결 론

본 연구는 미용 재교육 분야에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재교육에 대한 인식, 교육 만족, 경영성과 간의 영향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미용관련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실증분석을 하였다. 연구 배경은 기존의 연구들이 부분적인 변수를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 변수 간 관계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의 필요성이 있었기 때문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재교육에 대한 일반적인 특성 분야에서 교육이수자는 미용관련학과 전공자들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용 경력 측면에서는 10년 이상 근무자가 가장 많았다. 재교육 필요성에 있어서는 필요하다는 결과가 높게 조사되었으며 재교육에 대한 정보는 인터넷 및 SNS를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교육 횟수는 1~6회로 기술향상의 목적이 높았다. 재교육 기관은 미용샵과 재교육 전문기관이었으며 재교육 내용은 커트가 높게 나타난 것을 볼 수 있다. 재교육비는 본인 부담이 높았으며 재교육 필요시기는 주기적인 교육을 원하고 재교육을 받지 않은 이유는 시간적 문제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용 종사자들의 재교육에 대한 인식이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이 확인되었다. 미용 종사자의 재교육에 대한 인식이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재교육에 대한 신뢰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재교육 참여 인식에 대해서는 낮게 조사되었다.
셋째, 미용 종사자의 재교육에 대한 만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H3)을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으로 매출과 직업 만족도가 높게 작용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전문성 분야에서는 만족도는 낮게 작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무적인 시사점 도출을 위한 종합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미용 종사자의 재교육에 대한 일반적인 특성 분야에서 일반적인 미용기술을 가지고 있는 종사자들 보다는 전문적인 미용기술을 습득한 미용종사들이 재교육에 대한 인식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미용종사들의 전문기술의 숙련도가 높을수록 재교육에 대한 인식이 높으므로 이에 대한 심도 깊은 재교육에 대한 프로그램을 구성해야 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미용경력 측면에서는 헤어미용분야에서 경력이 많은 사람일수록 재교육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용에 대한 트렌드와 니즈가 높다는 것은 이에 대한 다양한 고객 트렌드에 대한 교육과정 편성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재교육 필요성에 대한 결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재교육에 대한 정보는 인터넷 및 SNS를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므로 현재 미용교육기관에서는 미용재교육과정을 단계별로 편성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면 점차적으로 고객만족이 경영성과에 중요한 과제라고 판단된다.
넷째, 재교육은 뷰티샵과 재교육전문기관으로 기술향상의 목적이며, 교육내용은 커트가 높게 나타나 커트에 대한 전문적인 기술양성과정을 근무 시 주기적으로 진행하고 전문교육기관에 프로그램을 이관 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 된다.
다섯째, 재교육비는 본인 부담이 높게 나타났으며 재교육 필요시기는 주기적인 교육을 원하고 있다. 재교육을 받지 않은 이유는 시간적 문제가 가장 큰 것으로 파악되었다. 교육비 부분에서 자부담과 시간적 문제는 종사자가 적은 뷰티샵에서 주로 나타났다. 뷰티샵 소상공인에 대한 재교육 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며, 대형 뷰티샵의 경우 종사자 재교육 직무시간을 주기적으로 편성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여섯째, 미용 종사자들의 재교육에 대한 인식이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이 확인되었다. 미용 종사자의 재교육에 대한 인식이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은 재교육에 대한 신뢰가 가장 강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재교육 직접 참여 인식에 대해서는 낮게 작용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미용 종사들의 재교육에 대한 인식과 만족간의 영향관계에서 만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재교육이 실질적으로 종사들의 직무 능력향상과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킨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미용 재교육은 필수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일곱째, 미용 종사자의 재교육에 대한 만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는 매출과 재교육이 직업 만족에 높게 나타난 것으로 분석이 되었다. 이는 재교육으로 새로운 기술을 습득 후 고객의 만족도가 높아짐으로 재교육으로 인해 고객의 수가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뷰티샵에서는 주기적인 재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미용종사자들의 재교육에 대한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교육비용의 시간을 편성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의 시사점으로는 미용 종사자를 대상으로 재교육에 대해 보다 심층적인 분석을 위한 측정 척도의 개발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재교육 만족에 대한 올바른 측정을 위한 척도로 전문성 향상과 교육 만족 및 매출 그 외에 다른 차원에 의한 접근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연구에 투입된 변수 간의 제 관계를 구조적으로 검증할 필요가 있다. 이외에도 헤어 미용 종사자의 재교육에 대한 인식뿐만 아니라 빠르게 변화하는 소비트렌드에 부합하는 인식 개선과 고객 만족도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고객들이 인식하는 미용의 트렌드와 가치, 미용샵에 대한 충성도, 고객의 이용태도 등에 대해서도 관계를 심층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Fig. 1.
Research Model
JKSC-2023-29-2-475f1.jpg
Table 1.
Distribution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N=252,%)
Study Frequency Percent
Gender Male 57 22.6
Female 195 77.4
Age 20’s 81 32.1
30’s 57 22.6
40’s 36 14.3
50 and older 78 31.0
Last Degree High school degree 18 7.1
Junior college course & graduation 84 33.3
4y-university course & graduation 66 26.2
Master’s course & graduation 27 10.7
Doctoral course & graduation 57 22.6
Region Metropolitan area 231 91.7
Gwangju·Jeolla-do 9 3.6
Busan·Daegu·Gyeongsang-do 6 2.4
Daejeon·Chungcheong-do 6 2.4
Shop Location Downtown, station area 102 40.5
Mart, shopping mall 21 8.3
Semi-residential office 15 6.0
Residential apartment 78 31.0
Etc 36 14.3
Number of Employees Less than 5 138 54.8
5~10 48 19.0
10~20 39 15.5
Over 30 9 3.6
Institution for Completion of Education Beauty high school 6 2.4
Beauty academy 63 25.0
Beauty department major 132 52.4
Product company 24 9.5
Etc 24 9.5
No response 3 1.2
Beauty Career Less than 1 year 18 7.1
1~3 year 27 10.7
3~5 year 36 14.3
5~10 year 48 19.0
Over 10 year 123 48.8
Average Monthly Income 1,000,000~2,000,000 won 30 11.9
2,000,000~3,000,000 won 69 27.4
3,000,000~5,000,000 won 60 23.8
5,000,000~10,000,000 won 66 26.2
Over 10,000,000 won 27 10.7
Need for Re-education No need 9 3.6
Normal 48 19.0
Need 138 54.8
Very needed 57 22.6
Source of Information Beauty magazine 3 1.2
Internet, SNS 135 53.6
Beauty related company 84 33.3
Friend, colleague 18 7.1
School 12 4.8
Number of Re-education None 18 7.1
1~6 72 28.6
7~10 45 17.9
11~20 27 10.7
21~30 27 10.7
Over 30 63 25.0
Re-Education Purpose Improvement of skills 150 59.5
For a certificate 12 4.8
Learn the latest skills 54 21.4
Improve revenue 24 9.5
Better customer service 12 4.8
Re-education institution Re-education academy 81 32.1
Vocational school 49 19.4
Beauty association 38 15.1
Beauty shop 84 33.3
Reason for Institution Selection Recognition of institution 67 25.6
Education content 145 57.5
Education cost 25 9.9
Education time 12 4.8
Distance traveled 3 1.2
Re-education content_1 Theory 6 2.4
Technic 190 75.4
Character, service 55 21.8
Marketing management consulting 1 0.4
Re-education content_2 Color 48 19.0
Cut 107 42.5
Perm 22 8.7
Styling 15 6.0
Trend 60 23.8
Re-education fee Payer Half of myself and my job 51 20.2
Support at job 28 11.1
Myself 173 68.7
Time for Re-education After designer promotion 21 8.3
Periodically 138 54.8
Immediately after job 21 8.3
After new trend 72 28.6
Reasons for not Re-education Time matter 96 38.1
Money matters 61 24.2
Lack of re-education awareness 44 17.5
Do not need 3 1.2
Etc 48 19.0
If you Reeducation, which Subject? Color 108 42.9
Cut 54 21.4
Perm 39 15.5
Styling 18 7.1
Service 18 7.1
Etc 15 6.0
Table 2.
Analysis of beauty Re-education awareness factors and reliability validation
Study Factors
Cronbach's α
1 2 3
Awareness of the Reliability of Education Quality of Educational Institution .900 .899
Re-educational System .889
Home Care Re-education .811
Provides Necessary for Practice .765
Instructor’s Professionalism .754
Awareness of re-education Need Re-education .818 .825
Need for Re-education on Changing Trends .796
Various Needs .785
Need for re-education to improve skills .750
Awareness of participation Participate Directly in Practice .806 .742
Needs Business Management and Marketing .777
Re-training Evaluation Method .669
Eigenvalue 3.722 2.175 1.922
Dispersion(%) 31.434 22.622 16.015
Cumulative Variance(%) 31.434 24.056 70.071

* : Factor loading > 0.4

Table 3.
Analysis of beauty re-education satisfaction factors and reliability validation
Study Factors
Cronbach's α
1 2
Satisfaction with Professionalism Improving Practical Skills .867 .948
Improving Ability to Acquire Necessary Information .848
Improve Understanding of Theory .788
Improvement of Skills .782
Improvement in Technique .772
Good Communication with Customers .731
Respond to Customer Needs .709
Satisfaction with sales and jobs Reduce Work Stress .895 .928
Ability to Deal with Claims .782
Increase in Returning Customers .744
Increase in Actual Sales .737
Pride in Onefs Job .705
Increase Job Satisfaction .679
Attract New Customers .558
Eigenvalue 5.444 4.803
Dispersion(%) 38.888 34.307
Cumulative Variance(%) 38.388 73.194

* : Factor loading > 0.4

Table 4.
Analysis of management performance factors and reliability validation
Study Factors
Cronbach's α
1
Management Performance Increase in Returning Customers .935 .974
Increase in customers .932
Increase in New Customers .908
Improve Customer Service Responsiveness .898
Increase in Total Sales .887
Increase in Visitors .876
Improvement of Problem-solving Ability .873
Efficient Customer Management .872
Increased Unit Price Due to Technological Improvement .857
Improvement in Operating Profit .848
Work Smoothly with Employees .842
Market Share Growth .838
Motivate Co-workers Well .791
Eigenvalue 9.942
Dispersion(%) 76.475
Cumulative Variance(%) 76.475

* : Factor loading > 0.4

Table 5.
The effect of beauty workers' perception of re-education on professionalism satisfaction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Regression Coefficient Stand Error t-Value Significance
Education Satisfaction Re-education Awareness .308 .053 5.830 .000**
Re-education Confidence Awareness .326 .050 6.521 .000**
Re-education Participation Awareness .285 .050 5.279 .000**
R2=.708 Constant=.291 Revise R2=.501 F=82.671 P=.000**

** p<0.01

Table 6.
The effect of beauty employees' perception of reeducation on sales & job satisfaction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Regression Coefficient Stand Error t-Value Significance
Sales & job Satisfaction Re-education Awareness .239 .060 3.970 .000**
Re-education Confidence Awareness .534 .057 9.382 .000**
Re-education Participation Awareness .168 .057 2.942 .000**
R2=.679 Constant=.128 Revise R2=.455 F=70.551 P=.000**

** p<0.01

Table 7.
The effect of beauty employees' perception of reeducation on management performance satisfaction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Regression Coefficient Stand Error t-value Significance
Management Performance Re-education Awareness .335 .075 4.459 .000**
Re-education Confidence Awareness .449 .071 6.338 .000**
Re-education Participation Awareness .109 .071 1.536 .000**
R2=.561 Constant=.186 Revise R2=.306 F=37.313 P=.000**

** p<0.01

Table 8.
The effects of beauty workers' re-education satisfaction on business performance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Regression Coefficient Stand Error t-value Significance
Management Performance Satisfaction with Professionalism .233 .066 3.539 .000**
Sales & Job Satisfaction .771 .061 12.696 .000**
R2=.850 Constant=.-139 Revise R2=.720 F=319,401 P=.000**

** p<0.01

References

Cha, J. H. (2014). The Effects of Healthcare Accreditation System on Managerial Performances in Hospital Organizations: Focused on Roles of Mediating Organization Competenc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Konyang University, 50.
Chakravarthy, B. (1986). Measuring strategies performance.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7:437-458.
crossref
Cho, K. H. (2022). Relationship between current status of retraining and satisfaction of hairdressers in COVID-19 era and their business performa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nam University, Daejeon, 79.
Cho, M. A., Park, C. R., & Han, C. J. (2021). Effect of beauty life style behaviors on the pursuit of beauty values and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11(1), 261-267.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Seoul University. The Dictionary of Education. (1994). Seoul: hawoo.
Ha, S. K., Lee, S. H., & Youn, C. S. (2015). A Study of the Domestic and Overseas Educational Environment Status at Hair Refresher Education Academ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Industry, 9(2), 5-22.
Han, J. S., Kim, S. S., & Ko, M. A. (2015). Influences of Dietary Education Activity on Education Satisfaction and Self-Respect. Culinary Science and Hospitality Research, 21(4), 236-250.
crossref
Hyun, H. A. (2020). A Study on Curriculum Operation for the Vitalization of Technology Start-ups in the Machine Field.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5.
Jeong, J. K. (2010). Effects of Hotel Employees' Cognition and Satisfaction Service Training Programs upon Job Performance. The Korea Academic Society of Tourism and Leisure, 22(6), 233-251.
Jung, J. Y. (2013). Analysis of Satisfaction of Female Adult Learners' Motivation Lifelong Educ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Gwangju University, Gwangju, 4.
Kim, G. M. (2017). A Study on the Chang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Global Beauty Market. Journal of Package Design Institute of Korea, 50:221-231.
crossref
Kim, J. G. (1997).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Education and Training in Beauty Salons and Improvement Pla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mall Business Graduate School of Soongsil University, Seoul, 1-10.
Kim, J. Y. (2013). The current of beauty re-education and the improvement scheme : focused on hair beau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r Arts of Hansung University, Seoul, 41-44.
Kim, S. H. (2019). A Study on the Difference Analysis of Empathy, Emotional Value, and Economical Value of Nail Service Customer: Focused on Differences between Groups by Sex and Frequency of Use.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20(4), 111-124.
crossref
Kim, S. H. (2020). The Effects of Beauty Re-education of Beauty Service Workers on Social Service Environment and Management Performa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Asia Life University, Daejeon, 2.
Kim, T. Y. (2014). (The)effect of reeducation program for skin care shops on the job satisfac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Gwangju, 50-66.
Kim, Y. J., & Youn, C. S. (2009). Research Paper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echnique Reeducation on Organization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cused on beauty artis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5(1), 1-13.
Kwon, O. H., Hwang, Y. A., & Lee, S. H. (2020). A Study on Development of Curriculum for General College for Retraining of Beauty Service Employees : Focusing on Beauty Design Department at H University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6(1), 83.
Lee, H. J., & Kang, M. J. (2010). The Effect of the Quality of Beauty Art Franchisees on Performa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6(1), 129-13.
Lee, J. H. (2000). A Study on adult's development process as learner in career development of beauty artis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University, Seoul, 1-7.
Lee, Y. R. (2018). A study on satisfaction with activity recognition of retraining of beauty workers by reeducation institutio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kyeong University, Seoul.
Lee, Y. R., & Park, E. J. (2017). The Relationship Between Preference and satisfaction of Beauty Artist for the Beauty Re-education Progra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3(6), 1118-1124.
Oh, K. E. (2001). A Study on Trainee Satisfaction with Beauty Programs at University Affiliated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3.
Park, E. J. (2017). A Study on the Effect of Perceived Value of Nail Care Service Quality on Customers' Self-confidence and Behavior Inten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fidence, Commitment and Satisfac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gin University, Yongin.
Park, H. J., Kim, J. H., & Lee, D. H. (2020). The Subjectivity Study on the ‘Real Beauty’.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6), 590-597.
Park, K. H., & Jung, J. Y. (2019). The Effect of Hair Care Workers on Business Performa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5(1), 84-90.
Park, K. S. (2009). A Study on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College Students with regard to the Skin Beauty Education - Focus on the female students studying the skin beauty. Asian Journal of Beauty & Cosmetology, 7(4), 409-421.
Seo, B. R., & Lee, K. S. (2018). An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atisfaction in Major,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ecretarial Studies. Journal of Secretarial Studies, 27(1), 87-116.
crossref
Shin, W. B. (2016). The Effects of the Number Re-education and Satisfaction of Skin Care Specialist in One-person Shop on Manange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 of Konkuk University, Seoul, 61-64.
Yoon, S. W., & Park, S. I. (2008). The Impact of Entrepreneurship of Franchisees on Their Business Performance : Mediation Effects of Market Orientation and Relationship Commitment. Journal of Channel and Retailing, 13(3), 101-126.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10-2825-6735   Fex: +82-62-950-3797    E-mail: beauty2007@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