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스널컬러와 뷰티·패션의 배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lor Arrangement of Personal Color & Beauty and Fashion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Cosmetol. 2023;29(2):485-498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3 April 30
doi : https://doi.org/10.52660/JKSC.2023.29.2.485
Professor, Department of Beauty Health, Vision College of Jeonju
이지영,
전주비전대학교 미용건강학과, 교수
*Corresponding author: Ji-Young Lee Tel : +82-63-220-3972 E-mail : leejy@jvision.ac.kr
본 연구는 2022학년도 전주비전대학교 교내 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이루어졌음
Received 2023 February 20; Revised 2023 March 22; Accepted 2023 April 3.

Trans Abstract

Recently, there is a growing tendency to decide and purchase cosmetic colors according to individual skin color or to style appearance images. However, there is a possibility of misdiagnosis and accuracy of personal color diagnosis, and after personal color diagnosis, how to match and wear colors according to TPO is becoming a more important issue. This is because it is actually difficult to do things like this unless you are an expert in personal color image consulting. Therefore, in this study, after personal color diagnosis, a color matching program is developed to help consumers find a product that goes well with their skin color, an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beauty and fashion industries by utilizing this program. This study was conducted between August and December 2022.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randomly selected 4 women who were sensitive to beauty and fashion and interested in personal color, and voluntarily consented to the study. For an in-depth study of the psychology of personal color and the difficulty of color selection after diagnosis, a questionnaire method an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based on interviews were mixed and used. After analyzing the skin color of the research subjects and diagnosing the personal color, a total of 12 products were proposed with a design that applied a beauty/fashion color matching program suitable for the skin color of the four seasons such as spring, summer, autumn, and winter according to the personal color system.

I. 서 론

오늘날 사회가 다양화되고 복잡화되면서 사람들은 자신만의 이미지와 스타일을 만들고 창조하기 시작하였다(Kim & Kim, 2016). 누구나 자신만의 고유한 피부색이 있고, 메이크업과 헤어 컬러는 개인의 이미지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Seo, 2018). 21세기는 개성과 감성의 시대인 만큼 퍼스널 컬러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Lee & Lee, 2018). 개인의 특성이 중요시 되면서 패션관련분야에 퍼스널 컬러 이미지 연출의 중요성이 날로 커져가고 뷰티 산업 분야에서도 그 비중이 크게 자리잡아 가고 있다(Lee, 2019).

사람의 신체색은 멜라닌, 헤모글로빈, 카로틴이라는 색소로 구성되어 있고 성별, 개인차, 인종차 등에 따라 다양하고 독특한 신체색으로 나타난다. 퍼스널 컬러 시스템이란 개인의 고유 신체색인 피부색, 모발색, 눈동자색 등과 잘 조화되는 색채를 진단하는 것으로 크게 따뜻한 베이스 컬러를 가진 웜(Warm)과 차가운 베이스 컬러를 가진 쿨(Cool) 컬러로 나누며 다시 봄, 여름, 가을, 겨울 등 사계절 컬러로 나누어 유형화시킴으로서 컬러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도록 체계화한 개념이다. 퍼스널컬러에 맞게 배색하면 자신이 가지고 있는 신체 색과 조화를 이루어 생기가 돌고 활기차 보이도록 할 수 있다. 퍼스널컬러 시스템을 통해 각 개인에게 어울리는 베스트 컬러와 어울리지 않는 워스트 컬러를 찾을 수 있고, 의상, 메이크업, 헤어, 네일아트 등의 컬러 코디네이션을 연출할 수 있다(Lee, 2009).

퍼스널컬러 진단 후 진정한 이미지 잠재력을 발견하거나 재발견하는 데 도움을 줄 준비가 된 전문 이미지 컨설턴트를 이용할 수 있다면, 고객 옷장의 컬러 팔레트를 다시 구성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으므로 시간과 돈을 절약하고 고객은 항상 멋져 보일 수 있다. 사실 우리가 자신의 컬러를 아는 것은 시작에 불과하며, 스스로 색상을 입는 방법과 팔레트 밖에서 색상을 배색하여 입는 방법을 발견해야 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일상적인 생활에서 창조적인 컬러 스타일 팔레트를 구성하여 배색하는 것은 매일 쉽지 않은 일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사람들의 얼굴 피부색과 퍼스널컬러을 진단하여 보고, 현재 착용하고 있는 뷰티 및 패션 아이템을 분석한 후 이상적인 컬러 배색 기법을 통하여 구성된 뷰티 패션 아이템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러한 퍼스널컬러 진단 후 배색 프로그램을 통해 소비자들에게는 피부색과 잘 어울리는 제품을 찾아 주고, 뷰티 패션 산업의 개발적인 측면에서는 진정 소비자가 찾는 컬러 제품이 무엇인지에 대해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는 기대한다.

II. 이론적 배경

1. 퍼스널컬러

이 이론은 처음 괴테의 ‘모든 색에는 노랑과 파랑의 두 극 사이에 든다’라는 색채 이론에 근거하여 빛의 노란색(Yellow Base)과 어둠의 파란색(Blue base)으로 분류하는 양극화 이론을 성립하였다(Park et al., 2019). 요하네스 이텐은 사람의 얼굴 피부색과 연관있는 계절 색상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로버트 도어(Robert Dorr 1905-1980)는 1928년 배색의 조화와 부조화의 원리를 발견하고 색은 따뜻한 색(Yellow Based)과 차가운 색(Blue Based)으로 구분된다고 하였다(Shin, 2002).

1940년 수잔 케이질(Suzanne Caygill)에 의해 피부색, 모발색, 눈동자색 등으로부터 퍼스널컬러를 결정하는 시스템이 개발되었다(Cha et al., 2012). 1980년 캐롤 잭슨(Carole Jackson)은 컬러 미 뷰티풀(Color Me Beautiful)이라는 책을 출판하여 베스트셀러가 되었다(Kim, 2015). 그녀는 피부색을 크게 따뜻한 톤의 피부와 차가운 톤의 피부로 구분하고 따뜻한 톤의 피부는 노르스름한 톤(Yellow undertone)으로 봄과 가을로, 차가운 톤의 피부는 푸르스름한 톤(Blue undertone)으로 여름과 겨울로 분류하였다(Yu, 2006).

1995년 메리 스필런(Mary Spillane)과 크리스틴 셜록(Christine Sherlock)은 컬러 미 뷰티풀스 룩킹 유어 베스트(Color Me Beautiful's Looking Your Best)를 발간했고, 사계절 유형에 따른 이미지 컬러, 메이크업, 스타일을 제시했다(Yoon, 2015).

피부색과 퍼스널컬러에 대한 선행연구를 보면, 퍼스널 컬러 시스템에 따른 유형의 분포도와 색채진단의 변인에 관한 Shin(2002)의 연구에서 색상(H), 명도(V), 채도(C)의 평균은 따뜻한 유형이 8.8YR 6.6/3, 차가운 유형이 7.7YR 6.5/2.7으로 나타났다. HVR 값에서는 H(색상)값 중에서 YR값이 높을수록 따뜻한 유형에, 낮을수록 차가운 유형에 가깝게 나타났으며, 따뜻한 유형은 노르스름한 기미가 강하고, 차가운 유형은 붉은 기미가 강하게 나타났다.

20대를 중심으로 한국인의 퍼스널컬러진단을 한 Park & Hong(2005)의 연구에서 피부유형보다 피부 톤의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고, 한국인의 피부색은 페일 톤(Pale Tone), 피부색과 유사한 색채, 명도가 높은 색채는 긍정적인 평가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여성의 퍼스널 컬러 연구에서는 4계절 유형으로만 분류하기에 부족하며 좀 더 세분화할 필요가 있다고 연구되었다(Park & Moon, 2005).

한국인의 모발색과 눈동자색을 조사한 연구에서 한국인의 고유한 모발색은 차가운 베이스를 가진 파랑(PB, RP)계열과 따뜻한 베이스를 가진 노랑(YR)계열로 나누어지며, 홍채색은 2YR에서 10YR의 분포를 나타냈다(Park & Mook, 2009).

60대 이상 피부색과 퍼스널컬러에 대한 Han(2010)의 연구에서 연구대상자의 피부색 평균값이 「5.83YR 6.05/3.8」, 「L*=62.21 a*=9.49 b*=19.81」로 20 -50대의 피부색과 비교해볼 때 톤에서 상이한 차이를 보이며, 색상의 경우 60대 이상 여성의 피부색상이 조금 더 노란 기미 방향으로 나타났다. Moon(2010)은 감성 주얼리 디자인개발에 대해 퍼스널컬러시스템을 적용한 연구를 하였으며, 보석의 컬러를 다섯 가지로 분류하고 이미지 스케일을 완성하여 보석디자인개발에 적용하였다.

Ko(2012)는 퍼스널컬러를 적용한 웨딩메이크업의 평가를 연구했으며, 퍼스널컬러 진단을 통해 얻어진 컬러를 올바르게 적용시 웨딩메이크업의 이미지 상승효과를 볼 수 있었다. Kim(2015)은 퍼스널컬러인식이 메이크업행동과 대인관계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으며, 대인관계 호감도는 퍼스널컬러에 대한 중요성과 색상의 중요성을 인식할수록 대인관계 호감도가 높게 나타나 호감을 줄 수 있는 이미지를 주기 위해서는 퍼스널컬러가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Hong(2013)의 연구에서 보면, 소비자들은 자신에게 어울리는 색을 기반으로 패션, 헤어, 메이크업 등의 컬러에 따라 구매행동이 달라지면서 퍼스널컬러를 활용한 연구가 패션과 뷰티에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최근 연구에서는 Kim & Kim(2020)의 립스틱 색채를 이용한 퍼스널컬러 유형 분류에 대한 연구가 있었고, Lee & Lee(2020)는 퍼스널컬러 인식이 색조제품 구매기준 및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는데, 퍼스널컬러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색조메이크업 구매에 영향을 미치고, 이미지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하였다.

코비드19 이후 비대면 상황에서 다양한 앱들과 사이트들이 개발되었는데 퍼스널컬러 진단 관련한 프로그램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4개월 전에 만들어진 퍼스널컬러 진단 앱 중 Korea Joongang Daily에 실린 내용에 의하면, Zamface app으로 AR 퍼스널컬러진단 서비스를 100만명 이상 진행하였다. 이 앱은 립스틱 컬러 색조를 가상으로 시도하고 고객의 선택에 의해 자신의 베스트 컬러를 찾도록 해준 후 제품으로 연결해준다. 또한 메이크업 튜토리얼을 참고할 뷰티 유튜버도 추천해준다. Zamface에 따르면 22.8%가 True Autumn 컬러 팔레트에 가장 적합하고, 18.4% 사용자는 라일락이나 모브 같은 시원한 블루톤 색상이 가장 적합했다고 나타났다(https://bit.ly/3H8lc1t).

외국의 퍼스널컬러 관련 온라인 서비스 또는 앱 사례를 보면, 온라인으로 고객의 사진을 업로드하면 퍼스널컬러를 분석해주고 분석한 사진도 다운로드 가능하다. 한 온라인 사이트에서는 프리미엄 맴버쉽 라이프타임 1회 구매(17,000원)를 하면 무제한 고객의 팔레트를 앱(My Best Color app)에 저장할 수 있고, 모든 컬러 타입을 위한 프리미엄 전용 팔레트 세트를 구성할 수 있다(https://colorwise.me/palette). 이와 유사한 사이트에서는 US$20 비용으로 자신의 얼굴 사진을 업로드 하면 10가지 컬러의 커스텀 팔레트를 제공한다(https://bit.ly/400wiOz). 또 다른 사이트에서는 무료로 퍼스널컬러 진단을 할 수 있는데, 고객의 얼굴 사진을 업로드 후 자신의 얼굴이 돋보인다고 생각되는 컬러 팔레트 2개씩 분석하여 선택하도록 한다. 고객이 2-3차례에 걸쳐서 컬러 팔레트를 선택하면 고객 팔레트를 구성해주는데 여기까지는 무료로 제공되며, 온라인으로 구매 가능한 컬러 팔레트를 제시하고 전문적인 이미지 컨설턴트가 컬러를 분석하도록 권장하며, 가까운 컨설턴트를 유료로 연결해준다(https://www.styleandimage.co.uk/find_my_colours). 퍼스널컬러 관련 모바일 앱으로는 ‘C color’ app이 있는데 이 앱은 퀴즈를 통해 고객의 유전적인 성향을 C Color Spectrum에서 확인하고 C Color app 매칭을 통하여 라이프 스타일 전반의 컬러 제품을 연결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https://ccolor.com/blog/coloranalysis-apps/#1). Dressika라는 앱은 고객의 컬러를 분석해주는데, AI 쇼핑 도우미 역할과 컬러 스타일 컨설팅을 해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아이폰과 아이패드 앱에서 무료 설치 가능하다 (https://appadvice.com/app/dressika-my-colors-analysis/1536745174).

이상과 같이 퍼스널컬러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볼 때 퍼스널컬러 관련 가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서비스나 앱이 개발되어 뷰티 쇼핑몰로 연결되도록 매칭되어 있고, 퍼스널컬러는 메이크업 적용에서도 대인관계 시 이미지 상승 효과 및 호감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화장품 구매 시 퍼스널컬러에 따라 피부색에 맞춰 구입을 하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최근 개발된 퍼스널컬러 진단 관련 사이트 또는 앱들을 활용하여 고객의 컬러 팔레트를 구성할 수 있고, 컬러와 스타일을 전문적으로 분석하는 것의 중요성과 장점이 강조되고 있다.

2. 배색

색상 배열은 디자인이나 구성에서 다양한 색상의 배치 및 사용을 의미한다. 이것은 조화롭고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팔레트를 만들기 위해 색상을 선택하고 구성하는 과정이다. 색상 배열은 대비를 만들고, 분위기나 분위기를 조성하고, 정보를 전달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의복 상하의의 조화에 대한 지각자의 인상은 상의 또는 하의에 따라 각각 긍정적인 인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Gibbin & Schneider, 1980). 우리가 다른 사람을 볼 때 어떤 옷을 입는지, 어떤 형태인지 보다 첫 인상을 좌우하는 것은 컬러이다(Kang & Choi, 2005).

디자인 및 시각 예술에서 색상 배열은 종종 색상 이론에 따라 결정되며, 원하는 효과를 얻는다. 보색, 유사색, 단색 등 배색에 사용되는 다양한 색 구성표가 있어 디자인에 다양한 분위기와 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다.

배색과 관련된 많은 연구 및 연구 분야가 있다. 색상에 대한 인식 및 심리적인 측면에서 색상은 우리의 감정, 기분 및 주변 세계에 대한 인식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색상의 심리학에 대한 연구에서 서로 다른 색상이 특정 감정을 불러일으키고 기분에 영향을 미치며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방법이 탐구되었다. Lee et al.(2002)은 의복 배색의 시각적 감성에 대한 연구를 했고, Lim & Kim(2012)는 의복배색 선호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를 했다. 옷을 입을 때 컬러 배색은 매우 중요한 스킬이다. 배색이 어울리지 않으면 전체적인 룩이 망가지기 때문이다. 각 옷의 색상이 어떻게 상호 작용을 할 지 고려를 해야 한다. 예를 들어 배색 기법에도 여러 가지가 있는데 동일 색상, 유사 색상, 대조 색상, 톤인톤, 톤온톤, 세퍼레이션, 악센트, 까마이외, 그라데이션 등의 배색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패턴을 사용하면 한가지 색상만을 고려하지 않고 다양한 색상을 조합할 수 있으므로 멋진 배색을 할 수도 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어떤 색상을 배색하든 각 사람의 피부색, 머리색, 눈색 등 개인적인 퍼스널컬러를 고려한 배색이 이루어져야 더 나은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의 기간과 연구대상자 선정

본 연구는 20 22년 8월에서 12월까지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뷰티∙패션에 민감한 여성으로 퍼스널컬러에 관심이 많아서 자발적으로 퍼스널컬러 배색 프로그램 개발 연구에 참여할 여성으로 선정되었다. 퍼스널컬러에 대한 심리와 진단 후 컬러 인지 및 선택의 어려움 등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위해 전주에 거주하고 젊고 뷰티∙패션과 퍼스널컬러에 관심이 있으며, 과거 퍼스널컬러 진단 경험이 있는 여성들이 자발적으로 연구에 참여를 희망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은 선정 과정 중에도 인터뷰를 실시하였는데, 이전에 퍼스널컬러 진단을 받아본 여성들로서 여성들은 자신의 퍼스널컬러에 대해 사계절 컬러 이론 중 특정 계절 피부색이라고 주장하였다. 본 연구자는 과거의 퍼스널컬러 진단 과정 중에 오류가 나올 수 있었고 시간이 많이 지났으므로 정확한 진단 후 결과에 대해 알려줄 것을 고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연구의 표본 제시를 위해 사계절 컬러 이론에 맞추어 연구대상을 임의로 선정하였고, 연구 참여에 희망하는 여성을 랜덤 방법으로 4명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퍼스널컬러 연구 특성 상 연구대상자의 얼굴 노출에 대한 심리적인 부담과 연구대상자의 얼굴 사진 촬영을 위해, 피험자의 사생활 보호, 익명성 보장 등에 대한 자발적인 동의가 포함되었다(Jun & Kim, 2008). 연구자는 연구대상자에게 퍼스널컬러 진단 과정과 이후 개인적인 이미지에 맞게 배색 프로그램을 제공함을 설명했고, 연구 내용을 직접 인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연구대상자들은 연구 동의서에 자발적으로 서명하였다.

2. 연구방법

퍼스널컬러에 대한 다양한 심리와 진단 후 컬러 선택의 어려움 등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연구를 위해 연구방법은 간단한 설문지 방법과 인터뷰 내용에 의거한 질적 연구 방법(Morse, 2011; Shon & Lee, 2020)을 사용하였다.

3. 진단 도구

피부색 색상 진단 도구로 다음과 같은 측색기를 사용하였다. 측색기는 Colorimeter Cube를 사용하였고 D65/10° 측색기준에서 측정하였으며, 색차식은 ΔE*ab로 표시하였다. 측색 조건에 대한 내용은 다음 <Table 1>과 같다.

Colorimeter & Colorimetric conditions

퍼스널컬러 진단을 하기 위해 측정할 도구 진단 천으로 ‘독일 BILⓇ’의 퍼스널컬러 진단 천과 CCI(Color Convergence Institute) 연구소에서 제작한 ‘CCI-PCS’ 퍼스널컬러 진단 천이 모두 사용되었으며, 연구의 객관성을 확보하였다.

4. 연구의 절차

5차 연구는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 대로 진행되었다.

먼저, 퍼스널컬러에 관심이 많고 뷰티 패션에 민감한 여성으로 연구대상자를 모집 후 선발하였다.

둘째, 연구대상자들을 대상으로 퍼스널컬러에 관련한 총 17문항의 설문을 진행하였다.

셋째, 연구자는 측색기를 사용하여 연구대상자들의 피부색을 측정하고, 드레이핑 천을 사용하여 퍼스널컬러 진단을 하였다.

넷째, 연구자는 연구대상자들에게 평소 즐겨 입는 옷과 소품들에 대한 사진을 요청하여 이를 수거하였으며, 체형보다는 컬러에 중점을 두고 스타일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섯 번째, 연구대상자들에게 퍼스널컬러에 따라 분석한 이미지와 각 스타일에 따라 배색한 패션과 뷰티 관련 제품들을 제안하면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의 피부색에 따라 배색한 패션과 뷰티 관련 제품들을 제안하기 위해 ㈜코코리색채연구소의 “배색 시스템(COCORY Color Inc.) Application of color matching system patent No. 10-2248468” 배색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절차는 <Table 2>와 같다.

Research procedure

IV. 결과 및 고찰

1. 퍼스널컬러 설문에 대한 응답 결과

연구대상자에게 퍼스널컬러 연구를 시작하기 전에 퍼스널컬러에 관련된 설문을 진행하였다. 설문지는 Choi(2014)의 연구를 참고로 하여 항목을 구성하였고 구글 설문지를 사용하여 SNS로 링크를 연구대상자에게 전달 후 작성하게 하였다.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보면, 나이는 대부분 20대와 30대였고 직업은 교육과 서비스분야에서 종사하고 있었다. 화장은 일주일에 4-5일이 가장 많았고 매일 하는 경우도 있었다. 화장하거나 옷을 입을 때 피부색과 조화를 가장 많이 고려하였다. 퍼스널컬러에 관심이 있고, 자신의 퍼스널컬러를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진단을 받아본 경험도 있었던 연구대상자는 3명이었으며 1명은 진단을 받아본 경험이 없었다. 컬러 제품 구매 시퍼스널컬러를 고려하여 색상을 선택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가에 대한 질문에는 모두 그렇다라고 응답하였다. 컬러제품 구매 시 퍼스널컬러를 고려하여 색상을 선택하는 것이 어떤 점에서 어려웠냐는 질문 항목에 대해 자세한 톤 구별이 어려웠다, 특히 옷을 고를 때 나의 체형에 잘 어울리는 디자인인데 색상이 나에게 어울리지 않을 때, 좋아하는 색과 어울리는 색을 구분하기 어려웠다라고 응답하였다. 취업, 면접, 상견례, 결혼, 모임 등의 중요한 자리에 퍼스널컬러 코디네이션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어떤 이미지 연출이 필요한가에 대한 질문에 Fig. 1과 같이 Elegance, Active, Romantic 이미지 등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Fig. 1.

Preferred Fashion Sensibility Image.

2. 피부색 측정 및 퍼스널컬러 진단

연구대상자에 대한 얼굴피부 색을 사진 촬영하였으며, 연구대상자들의 각 얼굴 피부색에 대한 L*a*b 값을 측정하였다. 측색한 얼굴 부위는 눈꼬리에서 수직으로 내려간 선과 입 꼬리에서 수평으로 이은 선이 만나는 지점이며 Fig. 2와 같다.

Fig. 2.

Areas of facial skin where color was measured.

얼굴 피부색은 2회 측정 후 평균값을 입력하였다. 그 평균값을 제시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Colorimetric value of the skin of the research subject

연구대상자의 피부색은 분석 결과 명도는 다르지만 약간 붉거나 아주 밝은 피부색으로 모두 여름 쿨 계절 피부색으로 진단되었다. 이러한 피부색 측색 결과는 연구대상자들이 페이스 클린징을 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얼굴 피부에 바른 커버 제품의 영향이 클 것으로 사료되었다. 아래 Table 2의 세 번째 연구대상자는 피부에 아무 제품도 바르지 않은 상태이지만, 측정 당시 얼굴 필링을 오전에 하고 오후에 사진을 찍은 상태이기 때문에 다소 붉게 상기되었을 가능성도 있었기 때문에 측색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측색기로 측정한 피부색상은 참고 사항으로 퍼스널컬러진단의 결정적인 요인으로 사용되지 않았다. 연구대상자의 피부 상태를 분석하고 추천 파운데이션을 제안하였는데 이는 ‘㈜코코리색채연구소의 톤의 공식((주)코코리색채연구소의 퍼스널컬러 시스템(특허 제10-2090370호)에 의해 20~30대 우리나라 여성 37,000명의 데이터 분석에 의한 프로세스로 진행)’ 인용에 의거하였다.

연구자는 각 연구대상자의 퍼스널컬러를 진단 후 각각 베스트 컬러를 2개씩 선택하였다. 각 연구대상자의 퍼스널컬러와 베스트 컬러 선정 결과 는 <Table 4>와 같다.

Personal color and best color selection result of research subjects

각 연구대상자들의 피부색을 사계절 컬러 팔레트로 구성해 보았다. 이러한결과는 ‘㈜코코리색채연구소특허제10-2090370’에 근거하여 우리나라 사계절 풍경사진 6,000장 이상을 수집하고 각각의 컬러를 추출하여 계절별로 배색한 것으로, 실제 사계절 자연의 컬러와 고객의 신체 색 & 이미지를 매칭하여 퍼스널컬러를 판단하여 결과로 추출하였다<Fig. 3>.

Fig. 3.

The skin color of the research subjects is composed of four season color palettes.

3. 스타일 분석과 제안

각 연구대상자들의 퍼스널컬러 진단 후 평소 즐겨 입는 스타일의 의상과 소품의 사진을 수거하였다. 연구대상자의 피부색상 분석, 퍼스널컬러 진단 결과, 그리고 평소 스타일 등을 분석한 후 파운데이션 컬러와 패션 스타일을 제안하였다. 뷰티·패션 제품에 대한 색상 선정 기준은 ‘㈜코코리색채연구소 톤의 공식인용’을 참조하였으며 연구자의 육안시법으로 각 계절별 피부색에 따라 뷰티·패션 제품에 대한 색상을 임의로 구분하여 선정하였다.

다음 결과에 나오는 연구대상자들에게 제시하는 패션 스타일은 연구대상자의 피부색에 근거한 컬러로, 컬러에 집중하여 패션스타일을 선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체형은 별도 측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체형에 따른 스타일보다 피부색에 따른 컬러 아이템 디자인을 선택하였다. ㈜코코리색채연구소의 “배색 시스템(COCORY Color Inc.) Application of color matching system patent No. 10-2248468”에 따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Warm Spring 타입 퍼스널컬러 배색 프로그램을 활용한 스타일 제안

첫 번째 연구대상자의 퍼스널컬러 분석 결과 Warm Spring으로 나타났으며, 베스트 컬러와 컬러팔레트 분석은 Fig. 4와 같다.

Fig. 4.

Subject's color palette: Warm Spring.

연구대상자의 계절 타입에 맞는 뷰티·패션의 이미지는 캐주얼과 로맨틱이며 밝고 귀여운 컬러 색상을 사용하는 것이 권장되는데 실제 즐겨 입는 패션과 소품을 수거한 사진을 보면 그렇지 않게 나타났다(Fig. 5). 연구자는 ㈜코코리색채연구소 배색시스템 특허 제10-2248468을 적용(COCORY Color Inc.) Application of color matching system patent No. 10-2248468)하여 Fig. 6과 같이 배색 스타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다. Fig. 6의 V표시된 컬러와 스타일은 연구대상자의 베스트 컬러로 구성된 스타일이다.

Fig. 5.

Research subject's usual clothes and props.

Fig. 6.

Suggestion of recommended color matching and style program (COCORY Color Inc.) Application of color matching system patent No. 10-2248468)

2) Cool Summer 타입 퍼스널컬러 배색 프로그램을 활용한 스타일 제안

두 번째 연구대상자의 퍼스널컬러 분석 결과 Cool Summer으로 나타났으며, 베스트 컬러와 컬러팔레트 분석은 Fig. 7과 같다.

Fig. 7.

Subject's color palette: Cool Summer.

연구대상자의 계절 타입에 맞는 뷰티·패션의 이미지는 페미닌과 심플이며 우아하고 이지적인 컬러 색상을 사용하는 것이 권장되며, 베스트 컬러는 차분한 라이트 그레이 블루와 노란기가 적은 아이보리이다. 그러나 연구대상자에게 실제 즐겨 입는 패션과 소품을 수거한 사진을 보면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Fig. 8). 연구자는 ㈜코코리색채연구소 배색시스템 특허 제10-2248468을 적용(COCORY Color Inc.) Application of color matching system patent No. 10-2248468) 하여 Fig. 9과 같이 배색 스타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다. Fig. 9의 V표시된 컬러와 스타일은 연구대상자의 베스트 컬러로 구성된 스타일이다.

Fig. 8.

Research subject's usual clothes and props.

Fig. 9.

. Suggestion of recommended color matching and style program (COCORY Color Inc.) Application of color matching system patent No. 10-2248468)

3) Warm Autumn 타입 퍼스널컬러 배색 프로그램을 활용한 스타일 제안

세 번째 연구대상자의 퍼스널컬러 분석 결과 Warm Autumn으로 나타났으며, 베스트 컬러와 컬러팔레트 분석은 Fig. 10과 같다.

Fig. 10.

Subject's color palette: Warm Autumn

연구대상자의 계절 타입에 맞는 뷰티·패션의 이미지는 클래식이며 차분하고 안정적인 컬러 색상을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인터뷰 결과 연구대상자는 항상 블랙을 즐겨 입는다고 하였고, 실제 즐겨 입는 패션과 소품을 수거한 사진을 보면 진단 후 결과를 약간 의식한 듯 자신의 의복과 소품 사진을 선별하여 주었으나 가을 웜 피부색과 다소 거리가 있는 색상들로 구성되었다(Fig. 11). 연구자는 ㈜코코리색채연구소 배색시스템 특허 제10-2248468을 적용(COCORY Color Inc.) Application of color matching system patent No. 10-2248468) 하여 Fig. 12와 같이 배색 스타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다. Fig. 12의 V표시된 Stable 이미지의 컬러와 스타일은 연구대상자의 베스트 컬러로 구성된 스타일이다.

Fig. 11.

Research subject's usual clothes and props.

Fig. 12.

Suggestion of recommended color matching and style program (COCORY Color Inc.) Application of color matching system patent No. 10-2248468)

4) Cool Winter 타입 퍼스널컬러 배색 프로그램을 활용한 스타일 제안

네 번째 연구대상자의 퍼스널컬러 분석 결과 Cool Winter로 나타났으며, 베스트 컬러와 컬러팔레트 분석은 Fig. 13과 같다.

Fig. 13.

Subject's color palette: Cool Winter

연구대상자의 계절 타입에 맞는 뷰티·패션의 이미지는 에너제틱하고 화려한 이미지이며 강렬하고 임팩트있는 컬러 색상을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연구대상자의 실제 즐겨 입는 패션과 소품을 수거한 사진을 보면 다른 연구대상자에 비해 비교적 바람직하게 나타났지만 컬러를 한정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사료된다(Fig. 14). 연구자는 ㈜코코리색채연구소 배색시스템 특허 제10-2248468을 적용(COCORY Color Inc.) Application of color matching system patent No. 10-2248468) 하여 Fig. 15와 같이 배색 스타일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Fig. 15의 V표시된 컬러와 스타일은 연구대상자의 베스트 컬러로 구성된 스타일이다.

Fig. 14.

Research subject's usual clothes and props.

Fig. 15.

Suggestion of recommended color matching and style program (COCORY Color Inc.) Application of color matching system patent No. 10-2248468)

4. 퍼스널컬러 배색 프로그램 진행 이후 연구대상자 인터뷰

연구대상자들에게 퍼스널컬러에 관련된 질문을 6개 정도 가지고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퍼스널컬러 진단에 대해 어떻게 정의하는지에 대한 질문에 자신의 피부색이 밝고 화사해 보이게 도와주는 컬러, 자신이 원래 가지고 태어난 컬러 또는 자신에게 잘 어울리는 컬러라고 응답하였다. 두 번째 질문인 ‘자신을 스타일링 하는데 퍼스널컬러는 필수인가요?’라는 질문에는 첫 번째 연구대상자는 필수라고 응답을 했고, 두 번째 연구대상자는 과거에는 필수가 아니라고 생각했고 평소 어울리는 스타일보다는 일단 선호하는 컬러를 입는 편이었으나 퍼스널컬러 진단 후 그것에 참고하여 스타일을 결정하게 되었기 때문에 현재는 필수라고 응답했다. 세 번째 연구대상자는 퍼스널컬러 없이도 잘 살았기 때문에 필수는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하였다. 네 번째 연구대상자는 퍼스널컬러를 잘 알고 있다고 해도 선호하는 컬러가 별도로 있기도 하고, 자신의 퍼스널컬러 그 틀 안에 갇혀있는 것 같아서 필수는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퍼스널컬러를 받으면서 가장 좋았던 점에 대한 세 번째 질문에 대해서는, ‘선호하는 컬러와 퍼스널컬러에 대해 혼돈이 있었고, 자신의 퍼스널컬러에 대해 애매하게 추측하고 있거나 과거 잘못된 오진으로 인해 잘못 알고 있었는데 자신의 정확한 퍼스널컬러를 알게 되어 흥미롭고 좋았다’, 그리고 ‘피부색에 대해 알 수 있어서 좋았다’라고 응답하였다.

‘퍼스널컬러를 받고 나서 그 결과를 잘 활용을 하고 있나요?’라는 질문에 ‘가장 잘 어울리는 색은 밝고 경쾌한 컬러인데 격식을 차려야 하거나 체형을 커버해야 하는 경우에는 그냥 어두운 컬러의 의상을 입을 때가 있어서 자신의 퍼스널컬러를 어떻게 적용해야 할지 어렵다’, ‘의상은 여전히 블랙으로만 입게 되는데 메이크업하는 데 있어서 잘 어울리는 컬러를 잘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퍼스널컬러 진단 후에도 적용할 수 있는 색상이 많은데 어떻게 구체적으로 활용해야 할지 어렵다’ ‘색상은 좀 이해가 가는데 미묘한 명도를 찾아서 적용하기가 어려웠다’라고 응답하였다.

퍼스널컬러를 받은 후 그 결과에 따라 T.P.O 이미지에 맞게 패션 컬러나 스타일을 추천해주는 앱(App)이 있고 그것을 사용할 것이냐라는 질문에 거의 대부분이 ‘매우 편리해서’, ‘필요해서 사용할 것이다’ 등으로 응답하였다.

V. 결 론

본 연구는 피부색에 맞는 뷰티와 패션 컬러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퍼스널컬러시스템에 따라 봄, 여름, 가을, 겨울 등 사계절 색상으로 배색 프로그램을 활용한 스타일을 제안하여 뷰티와 패션 산업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내려진 결론 및 제안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피부색을 분석하고 퍼스널컬러 진단 후 퍼스널컬러시스템에 따른 봄, 여름, 가을, 겨울 등 사계절 피부색에 맞는 뷰티·패션의 배색 프로그램을 적용한 디자인을 총 12점 상품을 제안하였다. 뷰티와 패션 관련 산업체에 쉽게 접목하고 적용 가능한 컬러 디자인을 제안할 수 있었다. 봄 타입 연구대상자에 맞는 패션 스타일은 로맨틱하고 캐주얼한 이미지로 색상은 비비드 톤의 오렌지와 베이지 컬러로, 톤온톤 배색 기법을 사용하였다. 여름 타입 연구대상자에 맞는 뷰티와 패션 스타일은 라이트 그레이쉬 톤의 쿨 블루와 아이보리 컬러를 사용하여 페미닌하고 엘레강스 이미지로 제안되었다. 가을 타입 연구대상자에 맞는 뷰티·패션 스타일은 딥 톤 오렌지와 베이지, 브라운 등을 사용하여 내추럴하고 클래식한 이미지로 제안되었다. 겨울 피부색에 맞는 뷰티·패션 스타일은 비비드 톤의 블루와 다크 그레이쉬 톤의 블루 등을 사용하여 모던하고 댄디한 이미지로 제안되었다. 연구대상자들은 피부색을 진단 후 그 결과에 따라 의상의 컬러를 배색하고 적용하는 부분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선행연구와 같이 고찰해보면, 피부색을 진단 후 피부색을 고려하여 메이크업 컬러나 의상의 컬러를 결정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피부색 진단 후 어떻게 응용하여 배색할 것이지 대한 문제 고찰이 더욱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사람들의 피부색상에 따라 어떤 색상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적절하게 배색한 의상이나 소품의 제시가 매우 필요하고, 실제 색상 배색의 활용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피부색뿐만 아니라 얼굴의 형태 또는 체형, 개인이 추구하는 이미지 등 다양한 변수에 대해서도 고려할 부분이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퍼스널컬러와 관련하여 발전하고 있는 뷰티·패션 산업의 컬러 디자인 경쟁력을 확보하고 이를 다양한 비즈니스 상품에 적용함으로써 매출을 증진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퍼스널컬러시스템을 적용한 뷰티와 패션 관련 제품의 실용화와 보편화를 위해 앞으로 많은 배색에 관련한 연구들이 깊이 있게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논문에 대한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자의 얼굴 피부색과 관련된 퍼스널컬러 진단 후 컬러 배색 및 뷰티∙패션 아이템 제안 연구로서 인간을 대상으로 한 연구 특성상 자발적인 연구 동의가 필요했고, 그 연구대상자의 표본의 수가 작기 때문에, 이에 대한 결과를 확대 해석하는 데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후속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퍼스널컬러 진단 배색 프로세스를 적용한 빅데이터를 수집 후 AI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앱을 개발하고자 한다. 선행연구에서도 이미 온라인과 모바일 앱에서 진행되고 있는데 현실적인 어려움은 아직 있어 보이지만, 직접 전문가가 대면하지 않아도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고객은 퍼스널컬러를 간편하게 진단할 수 있고 전문가를 직접 만나서 컨설팅을 받거나, 상품 정보를 활용하거나 쇼핑몰과 연계하여 컬러 제품을 구매할 수 있기 때문에 부족한 부분에 대한 연구가 보강 진행된다면, 뷰티 패션 관련 산업의 큰 발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References

1. Kang K. J., Choi S. K.. 2005;The Effect of Coloration Type on the Image of Korean Dress's Wearer - on the Tone-in-Tone Coloration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3(6):977–989.
2. Kim B. Y., Kim H. K.. 2016;A Study on the Men's Jacket Fashion Design Applying 19th century Dandyism of Men's Fashion - Focused on Aesthetic Features and Figurative Characteristic of Dandyis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6(1):171–188. doi:10.18652/2016.16.1.11.
3. Kim D. E., Kim Y. S.. 2020;Classifying Personal Colors Using Lipstick Colors.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8(3):399–412. doi:10.20402/ajbc.2020.0055.
4. Ko J. H., Lee J. Y.. 2012;A Study on Effective Wedding Makeup using Personal Colors.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13(1):183–201.
5. Kim, M. J. (2015). The Effect of Personal Color Perceptions on Makeup Behaviors and Preferenc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6. Cha H. Y., Bang H. J., Kim J. H.. 2012;Domestic and Foreign Personal Color System Focusing on UK, Japanese, Korean, German Personal Color System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8(1):17–25.
7. Choi, M. R. (2014). Research on the Perceptions by the General Public and Beauty Experts of Effects of the Personal Color Applied in the Make-up. Doctoral dissertation, Wonkwang University, Jeollabuk-do.
8. Eun S. Y., Joo S. H., Lee K. H.. 2002;A Study on tole Visual Sensibility of Color Combination for Clothing (Part 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6(5):715–726.
9. Gibbin K., Schneider A.. 1980;Meaning of Garment : Relation between Impression of Outfit and Message carried by Its Component Garment. Perceptual and Mortor Skill 51:287–291. doi:10.2466/pms.1980.51.1.287.
10. Jun B. O., Kim M. J.. 2008;Bioethics as Interdisciplinary Studies. Asia Pacific Journal of Health Law & Ethics 2(3):199–214.
11. Lee J. Y.. 2009;A Study on the Hanji-Costume Design According to the Four Season Color Image.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ke-up Design 5(3):215–224.
12. Lee, S. Y. (2019). Personal color tone type and categorization of harmonious colors according to skin color.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13. Lee S. Y., Lee Y. J.. 2018;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Color Judgment and Fashion Material Pattern. Academic Conference of the Korea Society of Color Studies 5:62–66.
14. Lim J. Y., Kim M. C.. 2012;The Study of Variables Impacting on Preference Behavior of Color Combination for Clothing.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13(5):435–445.
15. Han, S. Y. (2010). A Study on the Skin Colors and Personal Color for Women over Sixty.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16. Moon, S. I. (2010). A Study on the Design Development of Sensibility Jewelry by Personal Color System. Doctoral dissertation, Dongshin University, Gyeongsangnam-do.
17. Morse J. M.. 2011;Global Congress for Qualitative Health Research: Who are We? What will We Do? And Why? Journal of Qualitative Research 12(2):73–84.
18. Park H. W., Song S. H., Yu H. N.. 2019. Beauty Chromatography (for Personal Color Coordinators) BM Seongandang. Seoul:
19. Park S. J., Moon W. M.. 2009;Research on color of hair and color of the iris in Koreans. Journal of Korea Society of Color Studies 23(2):1–7.
20. Park Y. S., Hong M. S.. 2005;Focused changing skin color on the age of twent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lor Design Studies 1(1):87–97.
21. Park Y. S., Moon W. M.. 2005;Personal Color of Korean Women in their 20s-30s. Korean Society of Color Studies 1(1):121–127.
22. Seo R. S.. 2018;A Study of Make-up and Hair Image-Making by Personal Image Color Analysis-Focusing on Autumn Type with a Feeling like Spring-.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4(4):719–726.
23. Shin, H. S. (2002). The Distribution of personal color system and color-diagnosis variable factor : make-up, hair and clothing.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24. Shon C. B., Lee J. Y.. 2020;Phenomenological Case Study of the Experience of Telehealth Digital Art Therapy in a Self-quarantined Person before Confirmed with COVID-19.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2):646–658.
25. Yoon, H. N. (2015). Development of design education program to which is applied a personal color system: Focused on curriculum Jewelry design.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ul.
26. Yu, S. J. (2006). A study on nail colors depending on personal color system. Master's thesis, Yongin University, Gyeonggi-do.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 1.

Preferred Fashion Sensibility Image.

Fig. 2.

Areas of facial skin where color was measured.

Fig. 3.

The skin color of the research subjects is composed of four season color palettes.

Fig. 4.

Subject's color palette: Warm Spring.

Fig. 5.

Research subject's usual clothes and props.

Fig. 6.

Suggestion of recommended color matching and style program (COCORY Color Inc.) Application of color matching system patent No. 10-2248468)

Fig. 7.

Subject's color palette: Cool Summer.

Fig. 8.

Research subject's usual clothes and props.

Fig. 9.

. Suggestion of recommended color matching and style program (COCORY Color Inc.) Application of color matching system patent No. 10-2248468)

Fig. 10.

Subject's color palette: Warm Autumn

Fig. 11.

Research subject's usual clothes and props.

Fig. 12.

Suggestion of recommended color matching and style program (COCORY Color Inc.) Application of color matching system patent No. 10-2248468)

Fig. 13.

Subject's color palette: Cool Winter

Fig. 14.

Research subject's usual clothes and props.

Fig. 15.

Suggestion of recommended color matching and style program (COCORY Color Inc.) Application of color matching system patent No. 10-2248468)

Table 1.

Colorimeter & Colorimetric conditions

Color measuring instrument Color measurement conditions
Colorimeter Colorimeter CUBE
Illumination geometry D/8, SCI
Measuring conditions Light source D65, field of view 10°
Color space CIELAB
Color difference formula ΔE*ab

Table 2.

Research procedure

Procedure Period Research progress
Selection of research subjects Aug, 2022 Counseling with research subjects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personal color subjects, writing and signing informed consent forms, skin color observation, skin color analysis, face photo taking, etc.
Questionnaire Survey Sep, 2022 A total of 17 questions on perception of personal color, including demographic variables of study subjects
Skin color measurement Oct, 2022 Skin color measurement and personal color diagnosis
Style Analysis and Suggestions Nov, 2022 Photos of the subjects' favorite clothes and accessories were collected and their styles were analyzed.
Conduct an interview Dec, 2022 An interview was conducted while suggesting fashion and beauty-related products that were color coordinated according to the image analyzed according to the personal color and each style.

Table 3.

Colorimetric value of the skin of the research subject

Table 4.

Personal color and best color selection result of research subj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