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대학생들의 두피·모발 자가인식 및 두피모발관리 행동

Scalp and Hair Self-Recognition and Management Behaviors of Chinese College Students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Cosmetol. 2023;29(2):520-528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3 April 30
doi : https://doi.org/10.52660/JKSC.2023.29.2.520
1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Medical Beauty, The Graduate School Konyang University
2Professor, Department of Global Medical Beauty, Konyang University
교언림1, 노영희2,
1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학과, 대학원생
2건양대학교 글로벌의료뷰티학과, 교수
*Corresponding author: Young-Hee Noh Tel : +82-41-730-5443 E-mail : nyh@konyang.ac.kr
Received 2023 March 13; Revised 2023 April 18; Accepted 2023 April 24.

Trans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differences in scalp/hair self-recognition and scalp/hair care behavior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lifestyles of university students residing in China. A survey was conducted on 390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in Northeast China (Liaoning, Heilongjiang) and North China (Shanxi, Hebei), an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The rate of female subjects was high at 83.8%, and 64.1% of the subjects were using 1,000-2,000 yuan per month as pocket money, which is 180,000 won to 400,000 won per month when converted into Korean money. Of lifestyle factors, stress, smoking, exercise habits, diet, lifestyle, etc.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calp/hair self-recognition and scalp/hair management behavior. Stres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scalp selfperception (F=7.777, p=0.000) and hair self-perception (F=3.734, p=0.025), and smoking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calp self-perception (t=2.115, p=0.35).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t=3.039, p=0.003) in smoking and scalp/hair care behaviors as well 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alp self-recognition (F=4.908, p=0.008) based on exercise habits.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stress, the more frequent smoking, and the less exercising were more concerned about the health of scalp and hair. In addition, it w as found that the more frequent the diet and the more regular the life pattern, the better the scalp condition was perceived and the scalp and hair management behavior was superior.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Chinese college students were also very interested in scalp and hair, and that the scalp and hair care industry could develop in China. In order to expand Korea's scalp and hair care industry to China, it is required to develop relevant contents and prepare an education system.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the research subjects are limited to college students living in Northeast China. Therefore,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expand the study to southern China or expand the target country in the future.

I. 서 론

현대사회는 경제생활 및 문화수준의 발전으로 사람들은 건강과 여유로운 삶을 추구하는 욕구가 강해지면서 아름다움에 대한 욕구도 높아지고 있다(Choi, 2011). 대중매체의 발달은 사람들의 욕구를 가중시켜 외모가 가치 판단의 기준이 되고 있으며(Kang, 2017), 이러한 현상들로 사람들은 외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으며, 외적이미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모발의 건강에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모발뿐 아니라 두피에도 관심을 갖게 되고 퍼머넌트, 염색 등의 화학적 시술을 지양하고 모발과 두피의 건강을 위해 노력하였다. 평소 두피 및 모발 관리를 소홀히 하게 되면, 모발손상, 두피 트러블등 이상현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결국 탈모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탈모는 노화뿐만 아니라 환경오염, 스트레스, 다이어트, 수면 부족 등의 다양한 요인에 의해서도 발생되며, 따라서 탈모의 발생 연령대가 낮아지고 있다. 2021년 탈모로 진료를 받은 환자는 23만 3194명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23) 병원을 찾지 않은 잠재인구까지 포함한다면 실제 국내의 탈모 인구는 훨씬 많을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건강한 두피와 모발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청년기부터 두피의 청결과 건강을 위한 두피 및 모발 관리가 이루어져야 하며, 샴푸나 트리트먼트, 두피 스켈링, 기타 관리기기를 이용하는 것이 필요하다(Gug & Kim, 2010). 이런 필요에 의해 2000년대부터 두피관리 전문점이 생겨났으며, 사람들은 두피의 청결과 건강을 위한 다양한 두피 및 모발 관리를 받고 있으며(Song, 2010), 꾸준히 두피관리실을 이용하는 소비자들도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의 두피모발관리 산업은 성장세를 거듭하고 있지만 해외로의 진출은 K-뷰티의 타 산업에 비해 미비한 실정이다. 두피모발건강을 유지하고, 탈모로의 진전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이들 전문 관리실의 이용도 필요하지만 젊었을때부터 두피모발에 대한 정확한 자기인식과 관리 행동이 선행되어야 한다.

두피·모발관리분야의 진행된 연구들 중 대학생을 대상으로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면, 2007년 대구·경북지역 미용전공 대학생들의 두피관리 인식 태도 및 실천행위에 관한 연구(Oh et al., 2007), 여대생들의 두피모발에 대한 인식 및 모발 관리 형태에 관한 연구(Oh, 2011), 미용전공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두피와 모발의 관리 습관 및 자각증상을 인식함으로서 두피·모발의 관리 형태에 관심을 갖고 관리하도록 하는 연구 (Kang & Lee, 2017), 또한 대학생들의 가치관 요인이 두피모발관리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조사 되었다.(Kang & Cho, 2020). 해외나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도 진행되었지만, 2009년 미국현지 여고생을 대상으로 한 생활 및 두발관리 습관과 두피 및 모발상태에 관한 연구와(Lee & Noh, 2009),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두피모발관리 행동에 관한 연구(Na & Soon, 2019), 중국 뷰티관광상품 개발 기대효과에 대한 중국인 유학생의 미용관심도와 두피모발관리간의 관계(Na & Soon, 2020), 중국 2040 홈케어에 따른 두피 모발 상태 연구(Ren & Park, 2021) 등으로 제한적이다.

K-뷰티의 영향으로 한국 미용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한류 헤어스타일을 경험하기 위해서 한국을 찾는 외국인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An, 2013), 특히 K-뷰티 산업의 우수한 기술력과 제품력을 기반으로 뷰티 전공 유학생이 증가하고 있다(Kim, 2018). 2016년 교육부 외국인 유학생 통계자료에 따르면 국내 외국인 유학생 수는 처음으로 10만 명을 넘었으며, 최근 5년 사이 국내 외국인 유학생은 대학·전문대학 과정뿐만 아니라 학위 과정 대학원생들도 높은 비율로 증가하여, 2020년 현재 국내 외국인 총 유학생 수는 153,695명으로 5만명 이상 증가하였다(Noh, 2021). 그중 중국유학생이 67,348명(44.2%)로 가장 많았으며, 2020년 대비 318명(0.2%)나 증가하였으며, 2위는 베트남 35,843명(23.5%), 3위 우즈백 8,242명(5.4%), 4위 몽골 6,028명(4.0%), 5위 일본 3,818명(2.5%), 6위 미국 2,218명(1.5%)순이었다(Ministry of Education, 2023).

따라서 유학생들뿐만 아니라 해외 현지 대학생들의 K-뷰티에 대한 관심도를 증가시키고, 특히 두피모발관리에 대한 관심도를 증가 시킬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에 거주하고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두피·모발 자가 인식 및 두피 모발관리 행동을 알아보고자,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두피·모발 자가 인식이 두피모발관리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둘째, 생활 습관이 두피·모발 자가 인식 및 두피모발관리 행동에 어떠한 영향 미치는 가를 연구하였다. 이들 결과는 중국 대학생들의 두피·모발 건강유지를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으며, 또한 한국의 두피·모발 관리 산업의 중국 진출에 있어서 필요한 실증자료로 K-뷰티산업의 다양한 글로벌화에 기여하리라 사료된다.

II. 이론적 배경

1. 두피·모발 자가인식

두피·모발 자가인식이란, 본인의 두피형태, 두피상태, 모발상태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 개인의 생각을 의미한다. 두피와 모발의 손상원인은 생리적, 물리적, 화학적, 환경적 요인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두피와 모발의 손상은 단순히 모발 형태의 변형뿐만 아니라 두피와 모발의 기능 상실이나 탈모 등 여러 가지 이상 장애가 발행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원인을 파악하여 조기에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다(Park, 2019).

가. 두피형태 및 두피손상

두피 타입은 일반적으로 지성, 건성, 민감성, 비듬성, 복합성으로 구분하며, 두피 유형별 손상원인을 살펴보면 지성두피는 남성호르몬의 과다작용과 청결하지 못한 두피, 자극적인 음식이나 스트레스, 대기와 수질오염, 스타일링 제품의 과도한 사용으로 모공이 막혀 두피의 손상을 초래한다. 건성두피의 손상 원인은 피지가 충분히 분비되지 않을 때와 잦은 펌과 염색시술로 두피가 자극을 받았을 때, 탈지력이 강한 샴푸의 사용, 냉․난방에 의한 건조한 실내 환경으로 인하며, 예민성 두피는 선천적인 요인과 건성두피를 오래 동안 방치했을 경우, 자극이 강한 제품을 사용했을 경우, 신체적 리듬과 균형이 깨졌을 때, 생리 전후, 출산 후 등으로 인하여 두피의 손상을 초래한다(Kim, 2007). 두피의 원활하지 않은 혈액순환과 인체에서 분비되는 땀, 피지, 각질 등의 분비물로 인한 두피의 경직과 오염, 모공 주위의 막힘도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요인들은 두피의 호흡을 방해하고 모공 주위를 막아 영양분 흡수를 저해하여 신생모의 성장을 방해한다(Kim, 2005). 또한 세균의 번식을 도와 두피에 염증과 홍반을 일으킨다.

나. 모발손상

모발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다양하며 요인별로 정리해 보면 화학적인 요인, 물리적인 요인, 환경적인 요인, 생리적인 요인으로 분류 할 수 있다(Gwak, 2012). 첫째, 모발 손상의 화학적인 요인으로 알카리 펌은 큐티클 층을 거칠게 하고 단백질 결합을 팽창시킨다(Gwak, 2012). 둘째, 모발 손상의 물리적인 요인은 공해, 각종 스트레스 운동부족으로 인한 비만, 인스턴트 음식 섭취량의 증가 등이며, 이들은 건강한 두피와 모발성장의 방해요인이 되고 있으며 선진국의 사례 및 산업화에 따른 전반적인 환경문제에 비추어 볼 때 이러한 방해요인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리라 예상 된다(Lee, 1998). 셋째, 생리적인 요인으로 영양결핍에 의한 무리한 다이어트는 호르몬의 발란스를 저해 한다. 모발 건강의 유지를 위해서는 두피와 모발의 세정과 유, 수분 공급 그리고 두피의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 주어야 한다(Gwak, 2012).

2. 두피모발관리 행동

두피모발관리 행동이란, 두피 질환, 모발의 손상 및 탈모를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샴푸, 린스, 토닉과 같은 헤어제품 사용, 두피 마사지, 건강한식습관 실천, 전문 관리실 또는 병원에서 제공하는 두피, 모발 관리 등으로 두피, 모발 건강 유지 및 증진을 위해 개인이 실천하는 행동을 말한다(Kim, 2017). 두피, 모발 건강 유지를 위하여 땀, 피지, 먼지, 샴푸제 의 잔여물 등에 의해 손상되기 전 예방, 개선하는 행위를 두피·모발 관리라고 한다(Park, 2016). 두피 질환과 모발 손상 및 탈모 예방을 위한 목적으로 샴푸, 트리트먼트, 토닉 등의 헤어제품 사용과 두피 마사지, 식습관 관리, 전문숍 또는 병원에서 제공하는 두피·모발관리를 통해 두피와 모발의 건강 유지와 관리를 위해 개인이 실천 행동으로 정의하였고 현대는 환경적 요인, 스트레스, 수면부족, 영양 불균형, 유전적인 소인, 호르몬 분비 이상, 두피의 혈액순환 장애, 펌 및 염색 등의 미용시술로 인하여 두피·모발의 탈모시장이 더욱 젊은 층으로 확산된 실정이다(Kim, 2016).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중국 동북지역(랴오닝성, 헤이룽강성)과 화북지역(산서성, 허베이성) 소재 3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한국어설문지를 작성한 후 중국어로 번역해서 전문가의 확인을 받은 후 조사를 실시하였고, 응답자는 390명이었다.

2. 연구방법

연구기간은 2021년 5월 1일부터 5월 30일까지 진행하였고, 설문조사 방법은 자가기입법으로 본 연구의 취지를 설명하고 이에 동의하여 자발적으로 응답한 학생에게 설문 조사의 온라인 링크를 제공하고 응답을 받았다.

3. 측정 도구

본 연구는 자기 평가 설문지 방식으로 일반적 특성, 생활습관, 두피·모발 자가 인식, 두피모발관리 행동으로 구성되었다. 조사대상의 일반적 사항과 관련된 문항은 Jang(2013), Na & Soon(2019)의 연구를 참고하여 6문항으로 추가 구성하여 측정하였다. 조사대상의 생활습관과 관련된 문항은 Jang(2013), Kang(2018), Ren(2020)의 연구를 참고하여 8문항으로 구성하여 측정하였다. 조사대상의 두피·모발의 자가 인식과 관련된 문항은 Kim(2013), Kang(2018)의 연구를 참고하여 각 10문항으로 구성하여 측정하였다. 두피모발관리 행동 Kang(2018)의 연구를 참고하여 8문항으로 구성하여 측정하였다. 일부 문항은 본 연구의 목적과 맞게 제작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두피 자가 인식은 0.872, 모발 자가 인식은 0.850 그리고 두피모발관리 행동은 0.799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는 Table 1에 제시한 바와 같다.

Result of Cronbach’s α

4.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의 실증분석은 SPSS 23.0을 이용하였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생활습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둘째, 두피·모발 자가 인식, 두피모발관리 행동의 각 차원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위변인에 대한 신뢰도분석(Cronbach's Alpha Coefficient)을 실시하였다.

셋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생활습관이 두피·모발 자가 인식 및 두피모발관리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sample test) 및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사후검증을 위하여 scheffe 검증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III. 결과 및 고찰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 le 2와 같다. 나이는 18세 70명(17.9%), 19세는 163명(41.8%), 20세는 115명(29.7%), 21세는 41명(10.5%)이며 뷰티전공자는 236명(60.5%), 비전공자는 154명(39.5%)이다. 성별은 남성이 52명(13.3%), 여성은 327명(83.8%), 밝히고 싶지 않는 사람이 11명(2.8%)이다. 월 평균 용돈을 살펴보면 월 1000-2000위안이 250명(64.1%)로 가장 많았고, 1000위안 미만이 78명(20.0%), 2000-3000위안이 50명(12.8%), 3000위안 이상이 12명(3.1%) 이었다. 대상자의(64.1%)가 한달 용돈은 월1000-2000위안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한국 돈으로 환산해 보면 월 18만원에서 40만원을 사용하고 있었다. 통계청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2021년 대학생의 평균 한달 용돈은 646,116원으로 중국대학생들은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평균 용돈 보다 적었다(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23).

2. 조사대상자의 생활습관

Table 3은 연구대상자의 생활습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이다. 스트레스 유무는 가끔있다 195명(50.0%), 보통이다 116명(29.7%), 자주있다 79명(20.3%)으로 가끔 있다고 응답한 대학생들이 가장 많았다. 흡연자는 46명(11.8%), 비흡연자는 344명(88.2%)로 비흡연자가 월등히 많았다. 음주는 전혀 안 마시는 사람이 269명(69.0%), 주1회 이상 마신다는 사람이 121명(31.0%)이었다.

The lifestyle of the survey subjects (N=390, %)

대상자들의 수면시간은 6시간 이하 86명(22.1%), 6-8시간 259명(66.4%), 8시간이상 45명(11.5%)으로 하루 평균 수면시간 6-8시간으로 응답한 대학생들이 가장 많았다. 65%의 대상자는 6-8시간의 수면을 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주1-2회 운동을 하는 사람이 171명(43.8%), 주3-4회이상 운동을 하는 사람이 120명(30.8%), 운동을 안하다 99명(25.4%)로 대상자의 74.6%가 운동을 하고 있었다. 우리나라 대학생들도 주1일 이하 운동하는 비율이 39.0%로 가장 높았다(Cho et al., 2013). 다이어트를 하는 대상자의 비율은 자주한다 62명(15.9%), 보통이다 275명(70.5%), 전혀 안하다 53명(13.6%)로 나타났다. 규칙적인 생활을 하고 있는 대상자는 88명(22.6%), 보통 218명(55.9%)였고 불규칙적이라고 대답한 대상자는 84명(21.5%)였다.

3. 생활습관에 따른 두피·모발 자가 인식 및 두피모발관리 행동

1) 스트레스에 따른 두피·모발 자가 인식 및 두피모발관리 행동

스트레스에 따른 두피·모발 자가 인식 및 두피모발관리 행동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스트레스는 두피 자가 인식과(F=7.777, p=0.000), 모발자가인식(F=3.734, p=0.025)에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스트레스가 많을수록 본인의 두피와 모발에 대한 인식이 높았으며, 이는 스트레스로 인한 두피, 모발 건강에 대한 걱정도 많이 하고 있다고 해석 할 수 있다. Kang의 연구에서도 스트레스가 많을수록 두피 상태가 안 좋다고 인식하여,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Kang, 2018).

Results of verifying difference between scalp/hair self-recognition and scalp/hair management behavior according to stress

2) 흡연에 따른 두피·모발 자가 인식 및 두피모발관리 행동

흡연에 따른 두피·모발 자가 인식 및 두피모발관리 행동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t-test를 실시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흡연과 두피 자기 인식은 유의미한 차이(t=2.115, p=0.35)를 보였고, 흡연과 두피모발관리 행동도 유의미한 차이(t=3.039, p=0.003)가 중국 대학생들은 흡연을 많이 할수록 두피건강에 대한 걱정을 하고, 이에 따른 두피모발관리를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2015년 Hyun은 대상자들이 흡연 여부와 상관없이 두피모발관리 행동을 한다고 보고하여 다른 결과를 보였다.

Results of t-test difference between scalp/hair self-awareness and scalp/hair management behavior according to smoking

3) 운동습관에 따른 두피·모발 자가 인식 및 두피모발관리 행동

운동습관에 따른 두피·모발 자가 인식, 두피모발관리 행동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운동습관에 따라서 두피 자가 인식(F=4.908, p=0.008)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모발 자가 인식(F=4.159, p=0.016)에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cheffe 검증결과도 운동을 전혀 안하는 집단이 모발에 대한 인식과 두피에 관한 인식이 높았다. 이들 결과는 운동을 하지 않는 집단이 두피나 모발의 건강에 대해 더 우에서 주 4회 이상 운동을 하는 남학생들에게서 건강 모가 가장 많았음을 보고했다(Ju, 2018). 이러한 결과는 운동을 많이 할수록 두피 및 모발의 상태가 건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대상자들도 이런 인식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Results of verifying difference between scalp/hair self-recognition and scalp/hair management behavior according to exercise habit

4) 다이어트에 따른 두피·모발 자가 인식 및 두피모발관리 행동

다이어트가 두피·모발 자가 인식, 두피모발관리 행동의 점수 평균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그 결과 다이어트 습관에 따라서 두피 자가 인식(F=3.138, p=0.044)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이어트를 자주하는 대상자들이 두피 자가 인식 점수 평균이 높아, 다이어트를 전혀 하지 않는 대상자들보다 두피에 대한 인식이 높았고, 이들 결과는 다이어트를 자주 하는 대상자들은 두피건강에도 관심이 있음을 시사해준다. 2007년 미용관련학과 학생들의 연구에서 대상자들이 다이어트를 두피·모발의 손상 원인으로 인지하고 있는 것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Jeon, 2007).

Results of verifying difference between scalp/hair self-recognition and scalp/hair management behavior according to diet

5) 생활패턴에 따른 두피·모발 자가 인식 및 두피모발관리 행동

생활패턴 간에 두피·모발 자가 인식, 두피모발관리 행동의 점수 평균이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8와 같다. 그 결과 생활패턴은 모발 자가 인식(F=3.387, p=0.035), 두피모발관리 행동(F=3.542, p=0.030)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Scheffe 검증 결과 생활패턴이 ‘규칙적이라고’ 응답한 집단이 ‘불규칙하다고’ 응답한 집단보다 두피 상태가 좋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두피 모발관리 행동도 잘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생활습관에 따른 두피모발관리 행동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고 보고한 Hyun의 결과와 유사하다(Hyun, 2015).

Results of verifying difference between scalp/hair self-recognition and scalp/hair management behavior according to life pattern

V. 결 론

본 연구는 중국현지에 거주하고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및 생활습관에 따른 두피‧모발 자가 인식 및 두피모발관리 행동의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이들 결과를 중국 대학생들의 두피·모발 건강관리를 위한 자료 및 한국의 두피·모발 관리 산업의 중국 진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중국 동북지역(랴오닝성, 헤이룽강성)과 화북지역(산서성, 허베이성)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들 39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는 여성의 비율이 83.8%로 높았으며, 조사대상자의 64.1%가 한달 용돈이 월 1000-2000위안 즉 한국 돈 월 18-40만원으로, 우리나라 2021년 대학생의 평균한달 용돈인 646,116원보다 적었다.

생활습관에 따른 두피·모발 자가 인식 및 두피모발관리 행동은 스트레스, 흡연, 운동습관, 다이어트, 생활패턴 등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스트레스는 두피 자가인식과(F=7.777, p=0.000), 모발자가인식(F=3.734, p=0.025)에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흡연도 두피 자기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t=2.115, p=0.35)를 보였고, 흡연과 두피모발관리 행동도 유의미한 차이(t=3.039, p=0.003)가 있었다. 운동습관에 따라서도 두피 자가 인식(F=4.908, p=0.008)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모발 자가 인식(F=4.159, p=0.016)에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cheffe 검증결과도 운동을 전혀 안하는 집단이 모발에 대한 인식과 두피에 관한 인식이 높았다. 다이어트 습관에 따라서 두피 자가 인식(F=3.138, p=0.044)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생활패턴도 모발 자가 인식과 두피모발관리 행동에 유의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흡연을 자주 할수록, 운동을 하지 않을수록, 두피나 모발의 건강에 대해 더 우려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다이어트를 자주 할수록, 생활 패턴이 규칙적일수록 두피 상태가 좋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두피모발관리 행동도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중국대학생들도 두피‧모발에 관심이 매우 높았으며, 중국에서도 두피모발관리산업이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 해준다. 따라서 연구 결과를 활용한 맞춤형 콘텐츠 개발과 교육 시스템이 마련된다면, 향후 한국의 두피·모발 관리 산업의 중국 정착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본 연구는 연구 대상자를 중국 동북지역, 화북지역에 거주하는 대학생으로 제한한 한계점이 있으므로, 향후 중국 남부 지역으로 확대하거나, 대상국을 확대한 추가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N=390, %)

References

1. An H. K.. 2013;The Study on the Phenomenon & Development Methods of Beauty Korean Wave, K-Beauty. The Korean Beauty Management Society 1(2):223–233.
2. Choi, W. S. (2011). The Impact of Stress and Woking Environment on Occupation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Skin Care Experts. Doctoral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Daegu.
3. Cho H. C., Cho Y. D., Seo Y. H.. 2013;Effect of Exercise Participation on Wellness Awareness in University Students. Korean Society for Wellness 8(4):73–82.
4. Gwak, J. S. (2012). A Study on Hair ands calpcare of effect Self Knowledge. Master's thesis, Nambu University, Gwangju.
5. Gug K. M., Kim C. D.. 2010;The influence in customer satisfaction measurement by scalp and hair treatment. Korea J. Beauty Design 6(2):153–161.
6. Hyun, K. Y. (2015).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their Awareness on Scalp and Hair Care. Master's thesis, Honam University, Gwangju.
7. Lee M. J., Noh Y. H.. 2009;The Influence of Daily and Hair Care Habits on the Condition of Scalp and Hair-Focusing Korean and American High School Girls-. J. Kor. Soc. Cosm 15(4):1549–1558.
8. Lee W. K.. 1998. Hair cosmetology Seoul: History of Cheonggu Culture.
9. Jang J. Y.. 2013;Correlation due to the Subjective Symptoms Recognized Students of the Scalp and Hair Care and Hair Loss.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9(2):485–497.
10. Ju, M. K. (2018). A study on the behavior of self-scalp management according to lifestyle of male college students. Dongduk Women's University, Seoul.
11. Jeon, J. A. (2007). A Study on Perception and State of Scalp & Hair Careamong College Students in Beauty-Related Department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12. Kang J. H.. 2017;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Childhood Abuse Experience and Life Satisfaction. Korean Public Management Review 31(2):295–318.
13. Kang S. Y., Lee K. A.. 2017;A study of convergence management types based on self-perception of scalp and hair among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2):235–241.
14. Kang H. K., Cho H. Y.. 2020;A Study on the Values of College Students, the Benefits of Scalp Hair Care and the Behavior of Scalp Hair Ca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6(3):687–696.
15. Kim N. S.. 2018;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Satisfaction Survey of foreign students majoring Korean Beaut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6):279–286.
16. Kim, M. W. (2007).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housewives on scalp and hair. Master's thesis, Seokyeong University, Seoul.
17. Kim, J. H. (2005). A Study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of the Scalp & Hair Care Center and Development Plan.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18. Kim, K. H. (2017). A study on the scalp and hair management behavior according to the lifestyle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and transtheoretical model. Doctoral dissert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19. Kim, C. H. (2016). A Study on the The scalp·hair attitude to Management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Age of the women and Appearance Concern Degree and Management behavior. Doctoral dissertation, Kyungsung Universit, Busan.
20. Kang, J. J. (2018). An Analysis of Scalp and Hair Condition Awareness and Scalp and Hair Care Status.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21. Kim, J. H. (2013). A study examines satisfaction according to scalp & hair care center usage conditions and product purchase attributes. Master's thesis, Sung-Shin University, Seoul.
22.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23). The Ratio of Support From Parents or Relatives Among the Monthly Living Expenses and Monthly Living Expenses.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402&tblId=DT_402004N_027&conn_path=I2, accessed: April 05, 2023.
23. Ministry of Education, (2023). Statistics of Foreign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Korea in 2021.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350&boardSeq=90123&lev=0&searchType=null&statusYN=W&page=1&s=moe&m=0309&opType=N, accessed: April 03, 2023.
24. Na Y. Y., Soon S. Y.. 2019;A Study on Scalp & Hair Care Behavior of Chinese Student Studying Abroad-Focused on International Students in Their 20s Who Came to University of Gwangju,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5(4):105–117.
25. Na Y. Y., Soon S. Y.. 2020;Expecting the Development of Chinese Beauty Tourism Produc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eauty Interests of Chinese Students and the Hair Care of the Scalp. Journal of Marine Tourism Research 13(3):101–115.
26. Noh Y. H.. 2021;Beauty Related Graduate Fields Activation Methods for Internationa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7(5):1–11.
27.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23). Hair loss, How's Your Hair Doing With That Loneliness? https://www.nhis.or.kr/static/alim/paper/oldpaper/202110/sub/01.html, accessed: April 03, 2023.
28. Oh S. Y., Chang C. A., Son H. E.. 2007;A Research about Recognition Attitude and a Practice Act of Scalp & Hair Care that a Major of Study Beauty Design Collegians in Daegu-Geongbuk Area. J. Beau. Tricho 3(1):123–135.
29. Oh J. S.. 2011;Awareness and Management concerning the Scalp & HairCare in some Fe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Soc. Beauty and Art 12(2):131–142.
30. Park, Y. Y. (2019). The effect of perception and planning action of scalp hair treatment on the action behavior of head spa therapy. Doctoral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31. Park, J. H. (2016). A study on factors that affect intentions of using scalp(alopecia, hair) treatment service. Doctoral dissertation, SeoKyeong University, Seoul.
32. Ren Y. F., Park A. N.. 2021;A Study on the 2040's Condition of Scalp Hair by Home Care in China.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grielogy 3(1):11–19.
33. Ren, Y. F. (2020).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2040 scalp HairManagement in China Adults in Southern China. Master's thesis, Kwangwoon University, Seoul.
34. Song, J. H. (2010).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Standarzation Improvement Scheme of Trichologist Education Program. Master's thesis, Seokyeong University, Seoul.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Result of Cronbach’s α

Sortation Scale Question number Cronbach’s α
Scalp Self-Recognition Have a dry scalp 10 .872
Hair Self-Recognition My hair is splitting 10 .850
Scalp and Hair Management Behavior I massage my scalp with my hands 8 .799

Table 2.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N=390, %)

Item Frequency (N) Percent (%)
Age 18s 70 17.9
19s 163 41.8
20s 116 29.7
21s 41 10.5
Beauty major Yes 236 60.5
No 154 39.5
Gender Male 52 13.3
Female 327 83.8
Don’t want to reveal it 11 2.8
Grade A first grader 257 65.9
A second grader 107 27.4
A third grader 26 6.7
Monthly average allowance Less than 1000 rmb 78 20.0
1000 rmb-less than 2000 rmb 250 64.1
2000 rmb-less than 3000 rmb 50 12.8
Over than 3000 rmb 12 3.1

Table 3.

The lifestyle of the survey subjects (N=390, %)

Item Frequency (N) Percent (%)
Stress Sometimes 195 50.0
Average 116 29.7
Often 79 20.3
Smoking Somking 46 11.8
Non-smoking 344 88.2
Drinking Don’t drink at all 269 69.0
Drink more than once a week 121 31.0
Sleeping hours Less than 6 hours 86 22.1
6 hours-less than 8 hours 259 66.4
Over than 8 hours 45 11.5
Exercise habit Don’t exercise 99 25.4
1-2 times a week 171 43.8
More than 3-4 times a week 120 30.8
Diet Not at all 53 13.6
Average 275 70.5
Often 62 15.9
Life pattern Regular 88 22.6
Average 218 55.9
Irregular 84 21.5

Table 4.

Results of verifying difference between scalp/hair self-recognition and scalp/hair management behavior according to stress

Division Scalp Self-Recognition
N M SD F p Scheffe
Stress Sometimes 195 2.14 .545 7.777 .000*** a.b<c
Average 116 2.20 .650
Often 79 2.46 .680
Division Hair Self-Recognition
N M SD F p Scheffe
Stress Sometimes 195 2.55 .671 3.734 .025* a<c
Average 116 2.59 .715
Often 79 2.80 .721
Division Scalp and Hair Management Behavior
N M SD F p Scheffe
Stress Sometimes 195 3.19 .779 .338 .714
Average 116 3.18 .650
Often 79 3.26 .808
*

p<.05,

***

p<.001,

a=Sometimes, b=Average, c=Often

Table 5.

Results of t-test difference between scalp/hair self-awareness and scalp/hair management behavior according to smoking

Smoking N Scalp Self-Recognition
Hair Self-Recognition
Scalp and Hair Management Behavior
M SD t p M SD t p M SD t p
Smoking 46 2.40 .668 2.115 .035* 2.75 .816 1.441 .150 3.51 .848 3.039 .003***
Non-smoking 344 2.20 .607 2.60 .682 3.16 .725
*

p<.05,

***

p<.001,

Table 6.

Results of verifying difference between scalp/hair self-recognition and scalp/hair management behavior according to exercise habit

Division Scalp Self-Recognition
N M SD F p Scheffe
Exercise habit Don’t exercise 99 2.39 .669 4.908 .008** b.c<a
1-2 times a week 171 2.17 .600
More than 3-4 times a week 120 2.17 .574
Division Hair Self-Recognition
N M SD F p Scheffe
Exercise habit Don’t exercise 99 2.78 .723 4.159 .016* b<a
1-2 times a week 171 2.53 .686
More than 3-4 times a week 120 2.59 .679
Division Scalp and Hair Management Behavior
N M SD F p Scheffe
Exercise habit Don’t exercise 99 3.34 .772 2.323 .099
1-2 times a week 171 3.14 .715
More than 3-4 times a week 120 3.19 .766
*

p<.05,

**

p<.01,

a=Don’t exercise, b=1-2 times a week, c=More than 3-4 times a week

Table 7.

Results of verifying difference between scalp/hair self-recognition and scalp/hair management behavior according to diet

Division Scalp Self-Recognition
N M SD F p Scheffe
Diet Not at all 53 2.07 .631 3.138 .044* a<c
Average 275 2.28 .619
Often 62 2.36 .570
Division Hair Self-Recognition
N M SD F p Scheffe
Diet Not at all 53 2.47 .729 2.082 .126
Average 275 2.61 .674
Often 62 2.74 .771
Division Scalp and Hair Management Behavior
N M SD F p Scheffe
Diet Not at all 53 3.26 .683 .572 .565
Average 275 3.21 .719
Often 62 3.12 .914
*

p<.05,

a=Not at all, b=Average, c=Often

Table 8.

Results of verifying difference between scalp/hair self-recognition and scalp/hair management behavior according to life pattern

Division Scalp Self-Recognition
N M SD F p Scheffe
Life pattern Regular 88 2.31 .753 2.867 .058
Average 218 2.24 .562
Irregular 84 2.09 .582
Division Hair Self-Recognition
N M SD F p Scheffe
Life pattern Regular 88 2.78 .697 3.387 .035* b.c<a
Average 218 2.56 .714
Irregular 84 2.59 .642
Division Scalp and Hair Management Behavior
N M SD F p Scheffe
Life pattern Regular 88 3.38 .906 3.542 .030* c<a
Average 218 3.17 .692
Irregular 84 3.11 .678
*

p<.05,

a=Regular, b=Average, c=Irregul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