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아로마오일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Aroma Oil by Diet Lifestyle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Cosmetol. 2023;29(5):1295-1306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3 October 31
doi : https://doi.org/10.52660/JKSC.2023.29.5.1295
1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Beauty Science, Kwangju Women’s University
2Professor, Department of Beauty Science, Kwangju Women’s University Recently,
소진희1, 이정희2,
1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용과학과, 대학원생
2광주여자대학교 미용과학과, 교수
*Corresponding author: Jung-Hee Lee Tel : +82-62-950-3662 E-mail : jh4471@kwu.ac.kr
Received 2023 September 19; Revised 2023 September 26; Accepted 2023 September 27.

Trans Abstract

Recently, as the desire for health has increased socially and culturally, the importance of diet and health management is increasing. In particular, the popularization of health therapy is rapidly expanding by utilizing aroma oil that enables eco-friendly health management. However, since aroma has various effects depending on the type of aroma oil, appropriate choices should be made according to individual disposition and needs. In addition, in order to revitalize aroma products and related beauty industries, differences in healthrelated lifestyles in consideration of various lifestyles need to be reflected.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aroma oil according to dietary lifestyle.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women over the age of 20 who were interested in aroma oil among local residents in Jeollabuk-do, and the recognition level was analyzed using T-test, One way ANOVA, and Duncan te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higher the awareness of aroma oil, and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aroma oil according to dietary lifestyle was relatively recognized by the healthy gastronomic pursuit group and the convenient gastronomic pursuit group. Accordingly, it was found that it was necessary to differentiate the development and marketing of customized aroma products in consideration of the awareness of aroma oil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ietary lifestyle.

I. 서 론

오늘날 현대사회에서 의학 및 과학 기술의 발달에 따른 기대수명과 삶의 질이 높아짐에 따라 건강한 라이프스타일(Lifestyle) 추구 성향 및 웰빙(Well-being)과 웰니스(Wellness)를 위한 구매와 소비 행동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Han, 2016; Kim & Kim, 2020). 특히, 코로나19(Covid-19) 팬데믹 사태로 인해 웰빙(Well-being)이나 웰니스(Wellness) 등의 건강한 라이프스타일(Lifestyle)을 추구하는 소비·구매 형태는 빠르게 증가하였다(Kim & Kim, 2020).

라이프스타일은 개인이나 집단의 특징적인 삶의 양식이나 생활방식으로 외형적인 행동 및 태도, 가치, 의견, 흥미 등을 포함한다(Kim, 2010). 식생활 라이프스타일(Food-related Lifestyle)은 식생활과 관련된 기본적인 욕구나 태도를 반영하는 식습관에 대한 가치와 문화이다(Lee & Lee, 2016). 최근 들어 로하스(Lifestyle Of Health And Sustainability, LOHAS)와 헬시 플레저(Healthy Pleasure) 등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문화가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로하스 문화는 건강과 환경이 결합한 생활방식으로 건강과 지속가능성을 추구하고(Jeon et al., 2022; Kim & Yoon, 2007; Won et al., 2018) 헬시 플레저는 즐겁고 건강한 식단 관리를 지향한다(Kim et al., 2022). 이처럼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해 식생활 변화뿐만 아니라 건강과 안전을 추구하려는 소비자의 욕구는 증가하였다(Han, 2016).

식생활 라이프스타일과 관련된 과정은 개인이 추구하는 가치이자 척도로서(Grunert, 2006) 그에 따라 개인의 안녕 수준과 건강 만족감을 유지하고 증진하기 위한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친다(Walker et al., 1988).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의 추구는 자연 친화적인 건강관리에도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특정 식물을 섭취 혹은 유효성분을 활용함으로써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높이고자 하는데 관심이 모여지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에는 통합의료(integrative medicine)의 목적으로 진료를 돕기 위한 보완 대체요법으로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Lee, 2006; Buckkle, 2003).

아로마테라피 또한 개인의 건강관리에 관한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보완 대체요법으로 아로마테라피(Aromatherapy)의 효능에 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Jo & Kown, 2022; Ying & Kim, 2021). 아로마테라피는 심신의 건강 유지 및 증진하는 요법으로 자연에서 추출한 향유를 피부나 후각 등을 통해 흡입되거나 흡수되어 면역계 활성화 등 다양한 치료 효과를 보이고 비침습적인 특성으로 간편하게 사용되며 질병 예방, 치유, 회복의 전 단계에 걸쳐서 광범위하게 쓰이고 있는 보완 대체요법의 일종이다(Buckle, 1999; Heo et al., 2018; Lee, 2014). 이처럼 아로마테라피는 제약, 농업, 식품, 위생, 미용, 향수 산업 분야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Bakkali et al., 2007).

식생활 라이프스타일과 아로마오일의 영향 관계에서 Jung & Lee(2004)의 에센셜오일(Essential Oil)은 후각 자극을 통한 항암 환자의 식욕부진 완화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으며 Choi et al.(2011)는 식이 섭취 감소 및 증가를 통한 식욕 조절 효과가 있음을 보고했다. Beckman & Billington(2005)의 아로마오일향 흡입은 과체중 환자의 식욕을 억제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는 점에서 체중 조절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 보고했으며 Yoon & Ahn(2012)는 복부마사지와 카테킨 섭취를 병행하는 것이 혈중 지질을 저하시키고 생리활성 기능을 증가시켜 체중을 감소시키는데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했다. 이상의 선행 연구로 아로마오일은 식욕 조절 및 그에 따른 체중 조절에 효과가 있으며 식생활 라이프스타일과 아로마오일의 영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아로마 제품 및 서비스는 화장품과 뷰티 산업에서 소비자들의 니즈(needs)를 충족시킬 수 있는 활용성과 개인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재료이므로 현 시대 소비자들에게 매력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Lee & Lee, 2020; Lee, 2021). 그러나 아로마오일을 잘못 사용하였을 경우 오히려 인체에 해가 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올바른 사용법 숙지가 요구된다(Kim, 2023). Kim(2023)와 Moon et al.(2015)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소비자의 아로마테라피에 대한 잘못된 인식과 사용 관련 부족한 정보는 오히려 오용·남용을 유발 및 이에 따른 부작용으로 효능을 기대하기 어려운 걸로 나타났다. 또한 아로마오일은 개인의 경험, 병증, 체질, 건강관리법과 향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차이를 나타나므로(Buckle, 1999; Choi et al., 2011; Heo & Yoo, 2016; Heo et al., 2017; Jeon & Woo, 2014), 개인의 특성과 개별 요구에 따라 소비자가 원하는(Jung, 2017) 맞춤형 아로마 제품 개발을 위한 관련 연구가 요구된다. Kong & Kim(2018)의 방향용 맞춤형화장품은 개인 상담을 통한 향수 만들기 체험과 고객의 심리, 성향, 체질 등 맞춤 향수 컨설팅을 통해 나만의 맞춤 향수를 제공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이처럼 맞춤제품을 찾는 소비 패턴으로 변화하는 만큼 개인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으며 경쟁력이 있는 맞춤형화장품은(Kong & Kim, 2018) 개인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아로마오일과 함께 연구되어야 한다. 향후 개인적 차원에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아로마테라피에 대한 인식은 점차 다각화되므로(Jang, 2018) 소비자 개인의 생활방식을 분석할 수 있는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아로마오일의 인식도 차이를 분석하며 이를 토대로 일상생활 속에서 아로마오일의 올바른 사용과 활용도를 높이고 맞춤형 아로마 제품 개발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전라북도 지역민의 만 20세 이상의 여성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과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차이에 따른 아로마오일에 관한 인식을 조사한 후 맞춤형 아로마 제품 개발 및 마케팅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II. 이론적 배경

1.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라이프스타일은 주변 환경적 요인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형성된 것으로 개인의 관심과 기호, 취미와 같은 활동, 선호 및 가치 등과 같이 구체적으로 세분되는 생활양식이다. 라이프스타일 용어의 처음 사용은 Max Weber에 의해 사회학 분야에서 처음 사용되었고 현재는 마케팅 분야에서 효율적 전략을 세우기 위해 자주 사용되고 있다(Ham & Kim, 2015). 소비자의 행동을 설명하고 예측하는 여러 분야에서 라이프스타일은 시장세분화 변수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Park et al., 2022).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은 인간이 음식을 섭취하고 그와 관련된 모든 행위로 다양한 개인의 취향과 기호도가 반영되기 때문에 단순한 인간의 생존만이 아닌 문화적 측면과 연관된 하나의 생활양식이다(Lee & Na, 2014). 또한, 문화적 요인, 가족적 배경, 생활 경험, 교육 등에 의해 다양하게 형성되며 외식문화의 발달로 식생활이 다양해짐에 따라 현대인들은 식생활을 통해 몸의 건강과 미용뿐만 아니라 정신적 건강까지 추구하게 되었으며 식생활에 관한 관심 역시 높아지고 있다(Lee et al., 2009). 아울러 여성들의 경제·사회적 진출이 증가함에 따라 20대에서부터 50대나 그 이상의 여성 소비자들은 식사태도와 식행동 변화가 다이나믹한 것으로서 복잡한 상호 관련된 생물학적·사회적·문화적·심리적 과정들로부터 영향을 받는다(Dowler, 2001; Ban, 2006). 이처럼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은 라이프스타일의 하나의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Park, 2021).

본 연구에서는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을 편리, 미식, 건강의 3가지 하위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편리형의 조작적 정의는 혼자 있을 때 간식으로 끼니를 해결하고 식사 준비와 식사에 투자 시간을 최대한 아끼며 정리가 깔끔하고 구매 후 보관이 편리해서 간편식을 자주 이용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Lee, 2017; Lim, 2018; Min, 2019; Won, 2010). 미식형의 조작적 정의는 맛있는 음식에는 돈을 아끼지 않고 다른 소비에 비해 식생활 소비 비용을 아끼지 않으며 맛집을 찾아다니면서 음식을 먹는 것을 즐겨 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Hong, 2012; Lee, 2021; Lim, 2022; Park, 2015). 건강형의 조작적 정의는 건강을 생각해서 음식을 가려 먹으려 노력하고 영양의 고른 분포를 고려하며 식품 첨가물이 들어가 있는 식품을 피하려 하고 식품 구매 시 표기된 식품첨가물을 반드시 확인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Kim, 2017; Lee, 2017; Lim, 2018; Min, 2019).

2. 아로마오일 인식

아로마는 향기 또는 방향을 뜻하며 향신료에서 파생된 용어이다(Jung, 2005). 최근에는 천연향기의 의미로 많이 사용하고 있고 합성 향 물질이나 천연향을 모방한 향 물질은 엄밀하게 아로마에 속하지 않는다(Jo & Lee, 2006). 아로마오일은 향기나는(방향성) 식물의 잎, 줄기, 꽃잎과 같은 각 부위에서 유기농법이나 자연 성장을 통해 재배 및 추출한 정유를 의미하고 에센셜오일과 캐리어오일(Carrier Oil)로 구분된다(Ham, 2015; Lee, 2013). 또한 아로마를 이용하여 치유하는 방법을 아로마테라피 또는 향기요법이라 한다(Ham, 2015).

에센셜오일은 식물의 100% 순수정유라고 하며 식물의 꽃, 열매, 줄기, 잎, 뿌리에서 추출한 향이 나는 고농축 휘발성 혼합물로써 식물의 다양한 부위에 존재하고 인체의 호르몬과 같은 역할을 한다(Park, 2012). 또한 휘발성이 높고 산소, 탄소, 수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질소화합물, 유황 화합물 등의 화학물질로 구성된 고농축 원액의 방향성 오일을 말한다(Lee, 2013).

본 연구에서의 아로마오일 인식은 인지도, 신체적 유효성, 방향성, 심리적 유효성의 4가지 요인으로 구성하였으며 인지도의 조작적 정의는 사용자가 알고 있는 아로마오일에 대한 사전 지식으로 정의하였다. 신체적 유효성의 조작적 정의는 아로마오일의 신체 건강에 유효한 영향을 미치는 효능에 대한 인식으로 정의하였다(Kim, 2008; Yoo, 2022). 방향성의 조작적 정의는 아로마오일의 향기와 사용에 대한 인식으로 정의하였다(Lee, 2013; Lim, 2022; Park, 2012; Yoo, 2019; Ying, 2020; Yoo, 2022). 심리적 유효성의 조작적 정의는 아로마오일이 심리적 이완 및 각성, 신경 안정, 긴장 완화, 감정 조절, 스트레스 감소에 대한 유효한 영향을 미치는 효능에 대한 인식으로 정의 하였다(Baek, 2022; Lim, 2020).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전라북도 지역민을 대상으로 편의 표본을 수집하였으며 만 20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공원에서 산책하는 성인 여성 258명에게 2023년 6월 30일부터 2023년 7월 31일까지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참여자의 동의를 획득한 후 참여하도록 하였다. 연구는 아로마오일에 관심이 있는 자율 참여자 총 25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나 불성실한 답변이나 정확치 않은 내용의 설문 답변을 한 46명을 제외한 212명에 대한 조사결과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2. 측정 도구의 구성

본 연구를 위한 측정 도구의 구성은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5문항(Jang, 2018; Park, 2015),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29문항(Hong, 2012; Kim, 2017; Lee, 2017; Lim, 2018; Lee, 2021; Lim, 2022; Min, 2019; Park, 2015; Won, 2010), 아로마 인식 32문항(Baek, 2022; Kim, 2008; Lee, 2013; Lim, 2020; Park, 2012; Yoo, 2019; Ying, 2020; Yoo, 2022)로 총 66문항으로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구성하였으며 모두 5점 Likert 척도로 측정하였다.

3.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전라북도 전주시 효자동 공원에서 산책하는 만 20세 이상의 성인 여성으로 아로마에 관심있는 212명을 대상으로 2023년 6월 30일에서 2023년 7월 31일까지 4주 동안 진행하였다. 연구 진행 시 연구 목적을 설명한 후 연구 대상자의 서면 동의를 받고 유기명으로 직접 대면 수집을 통해 설문을 수행하였으며 설문지의 척도는 연구자의 일반적 특성,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특성, 아로마오일의 인식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지 응답 자료는 엑셀 프로그램(Excel 2013 program)을 활용하였다.

4. 자료 분석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며 본 연구의 구체적 자료처리 및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둘째, 측정 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셋째,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의 유형화를 위해 K-평균(K-means) 군집분석을 실시하였고,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수행하였다. 넷째,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아로마오일 인식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 표본 t-test 및 일원 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수행하였으며 사후 검정 방법으로는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파악을 위한 빈도 분석 결과는 <Table 1>과 같다. 분석 결과 연령은 20대 72명(34.0%), 30대 30명(14.2%), 40대 63명(29.7%), 50대 이상 47명(22.2%)으로 나타났고 최종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76명(35.8%), 대학교 졸업 110명(51.9%), 대학원 졸업 26명(12.3%)으로 나타났으며 결혼 여부는 기혼 118명(55.7%), 미혼 94명(44.3%)으로 나타났다. 직업은 학생 54명(25.5%), 회사원 26명(12.3%), 전문직 24명(11.3%), 공무원 17명(8.0%), 자영업 14명(6.6%) 순으로 나타났고 월평균 소득은 100만 원 미만 79명(37.3%), 100-200만원 미만 33명(15.6%), 200-300만원 미만 47명(22.2%), 300-400만원 미만 30명(14.2%), 400만원 이상 23명(10.8%)으로 나타났다.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2. 측정 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1)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요인분석 수행을 위한 검증 결과 KMO는 0.901, Bartlett의 구형성 검증은 4310.782(df=406, p=0.000)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분석을 통해 추출된 요인은 총 3개로 나타났고 이들 요인의 총 누적 분산 설명력은 62.765%로 나타났다. 또한 각 요인이 갖는 요인적 재치가 0.40을 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어 타당성을 충족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추출된 3개의 요인은 각각 ‘편리’(22.123%), ‘미식’(20.476%), ‘건강’(20.166%)으로 명명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요인의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편리’는 0.937, ‘미식’은 0.920, ‘건강’은 0.926으로 분석되어 신뢰할 만한 수준으로 볼 수 있다.

Valid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Dietary Lifestyle

2) 아로마오일 인식도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아로마오일 인식도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결과는 <Table 3>과 같다. 요인분석 수행을 위한 검증 결과 KMO는 0.950, Bartlett의 구형성 검증은 7148.173(df=496, p=0.000)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분석을 통해 추출된 요인은 총 4개로 나타났고 이들 요인의 총 누적 분산 설명력은 75.197%로 나타났다. 또한 각 요인이 갖는 요인적 재치가 0.40을 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어 타당성을 충족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추출된 4개의 요인은 각각 ‘심리적 유효성’(24.665%), ‘신체적 유효성’(23.250%), ‘방향성’(21.916%), ‘인지도’(5.365 %)로 명명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요인의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심리적 유효성’은 0.969, ‘신체적 유효성’은 0.958, ‘방향성’은 0.948, ‘인지도’는 0.722로 분석되어 신뢰할 만한 수준으로 볼 수 있다.

Valid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roma Oil Recognition

3.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유형화

1)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유형화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의 결과로 나타난 편리, 미식, 건강 등 3개의 요인별 요인점수를 기준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분석 결과 군집 1은 총 212명 중 72명(34.0%)으로 식생활에 있어 편리, 미식, 건강 등 모든 면에서 무관심한 형태로 나타나 ‘무관심형’으로 명명하였고 군집 2는 총 212명 중 71명(33.5%)으로 식생활에 있어 건강과 미식을 추구하는 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건강형 미식추구’로 명명하였다. 또한 군집 3은 총 212명 중 69명(32.5%)으로 식생활에 있어 편리와 미식을 추구하는 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편리형 미식추구’로 명명하였다.

Classification of Dietary Lifestyle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유형화 차이

일반적 특성에 따라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유형화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5>과 같다. 분석 결과 연령, 최종학력, 결혼 여부, 직업, 월 평균 소득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먼저 연령에 따라서는 20대의 경우 대체적으로 편리형 미식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30-40대의 경우 건강형 미식추구가 높았고 50대 이상의 경우 무관심형이 높았다. 최종학력에 따라서는 고등학교 졸업의 경우 대체적으로 편리형 미식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학교 졸업, 대학원 졸업의 경우 건강형 미식추구가 높았다.

Differences in Dietary Lifestyle Categoriza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또한 결혼 여부에 따라서는 미혼의 경우 대체적으로 편리형 미식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혼의 경우 무관심형이나 건강형 미식추구가 높았다. 직업에 따라서는 학생이나 회사원의 경우 대체적으로 편리형 미식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영업의 경우 무관심형 또는 건강형 미식추구가 높았고 공무원의 경우 건강형 미식추구가 높았으며 전문직의 경우 무관심형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월평균 소득에 따라서는 100만원 미만의 경우 대체적으로 편리형 미식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100-200만원 미만, 200-300만원 미만, 300-400만원 미만, 400만원 이상의 경우 건강형 미식추구가 높았다. 이는 20-30대 연령이 편의 집단형 집단에 비율이 높다는 Jung(2011)의 20-30대의 편의지향형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는 연구 결과는 본 연구의 20-30대의 편리형 미식추구가 높다는 유사한 결과로 연령에 따라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차이가 있다는 연구를 뒷받침하고 있다. Lee & Na(2014)의 영양 태도가 좋은 기혼여성은 자녀 및 가족의 건강을 위해 천연 식품을 선호하고 영양적인 식생활을 실천하는 연구 결과는 본 연구의 기혼의 경우 건강형 미식추구가 높다는 연구를 뒷받침하고 있다. Kim(2015)의 대학원 졸업 집단이 전문대졸, 대졸 집단보다 건강을 더 중요시 하는 것으로 나타나 고학력일수록 건강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력이 높을수록 건강에 대한 관심이 있어 식사관리에 신경을 더 쓴다는 결과는 본 연구의 대학교 졸업, 대학원 졸업의 경우 건강형 미식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는 연구를 뒷받침하고 있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아로마오일 인식도 차이

일반적 특성에 따라 아로마오일 인식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분석 결과 연령에 따라서는 전반적인 아로마오일 인식도와 하위 요인별 인지도, 방향성, 심리적 유효성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20대에 비해 30-40대의 경우 상대적으로 전반적인 아로마오일 인식도와 하위 요인별 방향성, 심리적 유효성이 높았고 20대에 비해 40-50대 이상의 경우 상대적으로 인지도가 높았다.

Differences in Aroma Oil Recogni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최종학력에 따라서는 전반적인 아로마오일 인식도와 하위요인별 방향성, 심리적 유효성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고등학교 졸업에 비해 대학교 졸업이나 대학원 졸업의 경우 상대적으로 전반적인 아로마오일 인식도와 하위 요인별 방향성, 심리적 유효성이 높았다.

결혼 여부에 따라서는 전반적인 아로마오일 인식도와 하위요인별 인지도, 신체적 유효성, 방향성, 심리적 유효성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기혼의 경우 미혼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반적인 아로마오일 인식도와 하위 요인별 인지도, 신체적 유효성, 방향성, 심리적 유효성이 높았다.

직업에 따라서는 전반적인 아로마오일 인식도와 하위 요인별 방향성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자영업의 경우 상대적으로 전반적인 아로마오일 인식도와 하위 요인별 방향성이 높았다.

월 평균 소득에 따라서는 전반적인 아로마오일 인식도와 하위 요인별 신체적 유효성, 심리적 유효성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200-300만원 미만의 경우 상대적으로 전반적인 아로마오일 인식도와 하위 요인별 신체적 유효성, 심리적 유효성이 높았다. 이는 Jo(2015)의 30대 여성이 다른 여성보다 아로마오일에 대해 가장 올바르게 인식하고 있다는 결과와 최종학력이 높은 여성일수록 아로마오일에 대해 가장 올바르게 인식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는 본 연구의 30-40대와 최종학력이 높은 여성일수록 아로마오일 인식도가 높아진다는 연구를 뒷받침하고 있다. 또한 Lee & Kim(2019)의 학력이 높을수록 대체요법의 인식이 높아진다는 결과는 본 연구의 학력이 높을수록 아로마오일 인식도가 높아진다는 연구를 뒷받침하고 있다.

4)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아로마오일 인식도 차이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아로마오일 인식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분석 결과 전반적인 아로마오일 인식도와 하위 요인별 인지도, 방향성, 심리적 유효성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건강형 미식추구 집단의 경우 무관심형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반적인 아로마오일 인식도와 하위 요인별 방향성, 심리적 유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건강형 미식추구 집단의 경우 무관심형 집단이나 편리형 미식추구 집단에 비해 인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로마오일 인식도의 하위 요인별 신체적 유효성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따라서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아로마오일 인식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Lee(2023)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맞춤형화장품 소비가치인식의 차이는 개인생활맞춤형집단과 가족생활추구형집단은 맞춤형화장품 소비가치인식에서 기능적 소비가치인식이 높게 나타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인식 차이가 나타났다는 결과와 Jang & Kwack(2018)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아로마테라피 인식의 차이는 아로마 제품이 심리안정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문항에 응답한 비율이 건강지향형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아로마테라피 인식이 차이가 나타났다는 결과는 본 연구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아로마오일 인식이 차이가 나타난다는 연구를 뒷받침하고 있다.

Differences in Aroma Oil Perception According to Lifestyle

V. 결 론

본 연구는 만 20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편리, 미식, 건강의 3가지 하위 요인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과 아로마오일에 대한 인지도, 신체적 유효성, 방향성, 심리적 유효성의 4가지 요인으로 일반적 특성과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차이에 따른 아로마오일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연령, 최종학력, 결혼 여부, 직업, 월평균 소득에 따라 아로마오일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 건강형 미식추구 집단과 편리형 미식추구 집단이 무관심형 미식추구 집단에 비해서 방향성, 심리적 유효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아로마오일이 심리적 이완 및 각성, 신경 안정, 긴장 완화, 감정 조절, 스트레스 감소에 대한 유효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하며, 건강과 미용 분야에서의 심리적 유효성을 입증한 것이다. 이에 뷰티 분야에서는 현대인들의 건강한 라이프스타일 및 웰빙과 웰니스 추구를 위해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올바른 아로마오일 선택의 정보와 교육 제공이 필요하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맞춤형 아로마 제품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바이다.

본 연구는 전라북도에 거주하는 여성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로 국내 지역과 성별의 범위를 확대한 라이프스타일과 아로마 오일 인식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소비자의 다양한 생활 습관에 부합하는 맞춤형 아로마 제품 개발은 소비자의 건강과 국내 아로마 시장의 확장 및 뷰티산업 발전에 기여할 것이다.

References

1. Buckle J.. 1999;Use of Aromatherapy as a Complementary Treatment for Chronic Pain. Alternative Therapies in Health and Medicine 5(5):42–51.
2. Buckle R. J.. 2003;Aromatherapy in the USA. International Journal of Aromatherapy 13(1):42–26. doi: 10.1016/S0962-4562 (03)00054-7.
3. Beckman T., Shi Q., Billington C.. 2005;The Brain and the Biology of Obesity. Minnesota Medicine 88(9):58–61.
4. Ban, J. W. (2006). Food Attitude and Food Behavior of Female Consummers According to Their Lifestyle. Doctoral dissertation, Kyonggi University, Gyeonggi-do.
5. Bakkali F., Averbeck S., Averbeck D., Idaomar M.. 2007;Biological effects of essential oils-A review.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46(2):446–521. doi: 10.1016/j.fct.2007.09.106.
6. Baek, Y. A. (2022). The Effects of Aroma Blending Essential Oil Inhalation on Fatigue, Stress, Depression, and Happiness in Nurses.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7. Choi S. J., Ye S. B., Na H. G., Kim G. O., Bae C. H., Song S. Y., Kim Y. W., Kim Y. D.. 2011;Effect of Geranium Essential Oil on Food Intake Via Olfactory Stimulus. Korean Journal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54(11):766–770. doi: 10.3342/kjorl-hns.2011.54.11.766.
8. Dowler E.. 2001;Inequalities in Diet and Physical Activity in Europe. Public Health Nutrition 4(2B):701–710. doi: 10.1079/PHN2001160.
9. Grunert K. G.. 2006;Future Trends and Consumer Lifestyles with Regard to Meat Consumption. Meat Science 4(1):149–160. doi: 10.1016/j.meatsci.2006.04.016.
10. Hong, S. K. (2012). A study on Processed Food Purchasing Behavior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Urban Housewives' Food Related Lifestyle. Doctoral dissertation, Kyonggi University, Gyeonggi-do.
11. Ham, H. J. (2015). The Study on Aroma Essential Use and Scent Preference. Master’s thesis, Hansung University, Seoul.
12. Ham J. H., Kim J. D.. 2015;Study on Cosmetics Usage Analysis and related Skin Health Belief Model according to Lifestyle in 20-30’s Women. Korean Society of Cosmetics and Cosmetology 5(3):219–236.
13. Han, S. H. (2016). Eco-friendly Organic Food Store Design in Accordance with the LOHAS Consumer Lifestyle Changes.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14. Heo S. H., Yoo S. M.. 2016;Relations Between Aroma Essential Oil Blending Based on Oil Characteristics and In-San Body Constitution Based on Blood Typ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2(6):1236–1244.
15. Heo S. H., Yoo S. M., Shim J. Y.. 2017;Effects of Inhalation of Two Kinds of Blended Essential Oils Based on Parts of a Plant on Autonomic Nervous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3(3):461–474.
16. Heo S. H., Shim J. Y., Yoo S. M.. 2017;Differences in Blood type and the Effects of Essential Oil Inhalation on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5(3):311–321. doi: 10.20402/ajbc.2016.0126.
17. Heo S. H., Heo S. H., Yoo S. M.. 2018;Meta-Analysis of Effects of Lavender and Citrus Blended Essential Oils on Stress, Depression and Anxie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4(5):938–945.
18. Jung E. S., Lee B. S.. 2004;Effects of Aroma Oil Inhalation on Nausea·Vomiting and Anorexia in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16(1):134–145.
19. Jung, M. R. (2005). Comparison of Aroma Knowledge and Fragrance Preferences.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20. Jo, S. J., & Lee, I. S. (2006). Aromatherapy. Seoul: Hakjisa.
21. Jung, H. S. (2011). A Study on the Purchase Behavior of HMR According to the Dietary Life-styles by Female Consumers.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22. Jeon Y. A., Woo N.. 2014;A Meta-Analysis of Obesity Management Effects of Aromatherapy Use. Korean Journal of Aesthetics and Cosmetics Society 12(2):275–281.
23. Jo, S. J. (2015).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the Use Realities of Aroma Essential oil.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24. Jung, Y. O. (2017). A study on Consumer Benefits and Types of Customized Cosmetics.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25. Jang, Y. J. (2018). A Study on Aromatherapy Awareness and Aromatherapy Types by Life Style. Master’s thesis, Changwon University, Gyeongsangnam-do.
26. Jang Y. J., Kwack S. J.. 2018;A Study on Aromatherapy Awareness and Types by Life Style. Journal of Distribution and Logistics 5(2):119–142. doi: 10.22321/jdl2018050207.
27. Jeon H. T., Lee J. H., Lee K. I.. 2022;The Effects of LOHAS Lifestyle on Healthy Restaurant Selection, Trust, Satisfaction and Loyalty. Journal of Hospitality and Tourism Studies 24(1):61–77. doi: :10.31667/jhts.2022.02.90.61.
28. Jo H. J., Kwon K. H.. 2022;Factors Influencing Customer Satisfaction Using Aroma Essential Oil Massage. Journal of Health and Beauty 16(3):117–127. doi: 10.35131/ishb.2022.16.3.117.
29. Kim H., Yoon H. Y.. 2007;The Effect of Food Reflexzone on the Fatigue of Modern People and its Necessity as an Alternative Therapy.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8(1):59–74.
30. Kim, M. O. (2008).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Aroma Oil Among Common Consumers and the Usability. Master’s thesis, Yong In University, Gyeonggi-do.
31. Kim, S. H. (2010). Effect of Lifestyle on Middle-Aged and Older People's Health-Promoting Behavior. Doctoral dissertation, Daegu Haany University, Gyeongsangbuk-do.
32. Kim, Y. A. (2015). A Study on Single Peole’s Satisfaction of Convenience Foods and Re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Foodrelated Lifestyle.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33. Kim, H. J. (2017). A Study on Selection Features of Korean Buffet Restaurant by Food-related Lifestyle. Master's thesis, Sejong University, Seoul.
34. Kong S. M., Kim M. S.. 2018;Usage of Customized Cosmetics and Preferred Customized Cosmetic Types by Age in Female Consumers. Jounal of Invertigative Cosmetoloy 14(3):331–342. doi: 10.15810/jic.2018.14.3.009.
35. Kim J. W., Kim H. Y.. 2020;Eating and Eating Out Behaviors Based on Food-Related Life Style. Culinary Science and Hospitality Research 26(8):63–76. doi: 10.20878/cshr.2020.26.8.006.
36. Kim H. J., Jang J. H., Jo S. B.. 2022;Healthy Pleasure Marketing. Korea Marketing Research Institute 56(2):59–67.
37. Kim, M. K. (2023). Effects of Awareness, Efficacy, and Knowledge Level of Aroma Essential Oil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Purchase Behavior Intention.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38. Lee, H. J. (2006). Lipid lowering effects of lemon essential oil on hypercholesterolemia induced rabbit. Master’s thesis, Busan University, Busan.
39. Lee Y. L., Kim S. H., An S. J.. 2009;A Study on the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of Spatial Presentation and Food among Potential Customers of a Party by Patterns of Eating Lifestyle.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15(2):282–297.
40. Lee I. O., Na J. K.. 2014;Effects of Food-related Lifestyle on Consumer Nutrition Attitude and Food Preference : Focused on a Married Woman with Young Children. Journal of Foodservice Management 17(2):201–227.
41. Lee, H. J. (2014). A study on awareness and use of aromatherapy.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42. Lee S. L., Lee S. J.. 2016;The Effects of Eating Habit and Food Consumption Lifestyles on Dietary Life Satisfaction of One-person Households. Journal of Consumption Culture 19(3):115–133. doi: 10.17053/jcc.2016.19.3.006.
43. Lee, S. H. (2017). A Study on the Choice Attributes of Table Components according to the Lifestyles of Food Life. Master’s thesis, Kyonggi University, Seoul.
44. Lim, S. Y. (2018). Effect of Solo Dining Selection Attributes on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Dietary Life Style. Doctoral dissertation, Sejong University, Seoul.
45. Lee S. Y., Kim E. J.. 2019;A Survey on the Perception of Alternative Medicine among Culinary Workers.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29(4):267–280. doi: 10.17495/easdl.2019.8. 29.4.267.
46. Lim, M. H. (2020). The Effects of Perception of Aromatherapy and Blending Essential Oil Inhalation Method on the Activity of Autonomic Nervous System.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47. Lee H. J., Lee C. S.. 2020;Analysis of Purchasing Perception of Aroma Cosmetics According to Consumer Characteristics. Journal of Investigative Cosmetology 16(4):377–386. doi: 10.15810/jic.2020.16.4.008.
48. Lee, T. K. (2021). Recommended Application Using Data on Social Networks According to the Impact of Dietary Lifestyle on Dessert Cafe Selection Attributes. Master’s thesis, KwangWoon University, Seoul.
49. Lee, H. J. (2021). A Study on the Purchasing Perception of Aroma Oil by the Consumer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Verification of Efficacy as Functional Cosmetics. Doctoral dissertation, Eulji University, Daejeon.
50. Lee, J. M. (2023). The Effect of Consumption Value Recognition of Customized Cosmetics on the 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Lifestyle. Master’s thesis, Kyungil University, Gyeongsangbukdo.
51. Lim, S.Y. (2022). T he E ffect of SNS word-of-mouth information characteristics of restaurant products on Reliability and Purchasing intention according to dietary lifestyle : Focused on the Mediating Role of SNS WOM Information Characteristics. Master’s thesis, Kyonggi University, Gyeonggi-do.
52. Moon S. Y., Kim M. H., Lee S. H.. 2017;Study on Usage of Natural Aroma Cosmetic Products and Customer’s Satisfaction and Preferen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3(2):193–206. doi: 10.18208/ksdc.2017.23.2.193.
53. Min, E. K. (2019). A Study on the Food-related Lifestyle and HMR Demand. Master’s thesis, Sejong University, Seoul.
54. Park, J. M. (2012). A Study on the Aroma Essential Oils Use and Perferences. Master’s thesis, Sungshin Womes’s University, Seoul.
55. Park, E. J. (2015). A Study on Aromatic Preference of Both Male and Female Adults on Essential Oil by Skin Type.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56. Park, J. M. (2015). Effect of Food Related Life Style(FRL) of Single-Person Household on Selection Attribute of Convenience Food and Satisfaction. Master’s thesis, Kyonggi University, Gyeonggi-do.
57. Park, J. H. (2021).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Behavior and Retail Product Choice of Restaurant Consumers: A Response Analysis Using Decision Tree Model. Doctoral dissertation, Gyeongju University, Gyeongsangbuk-do.
58. Park M. E., Oh H. H., Oh H. S.. 2022;Food Related Lifestyle Profiles and Eating Capability and Consumer Citizenship Competency: Applying a Person-centered Approach. Korean Business Education Review 37(4):203–224. doi: 10.23839/kabe.2022.37.4.203.
59. Walker S. N., Volkan K., Sechrist K. R., Pender N. J.. 1988;Health-promoting life styles of older adults: comparisons with young and middle-aged adults, correlates and patterns. ANS : Advances in Nursing Science 11(1):76–90. doi: 10.1097/00012272-198810000-00008.
60. Won, Y. E. (2010). A study on the specialty coffee shop selection attributes by the food-related lifestyle.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61. Won C. S., Park H. Y., Kim K. Y.. 2018;A Study on the Effects of Coffee shop Users’ Well-Being Life Style on Well-Being Awareness, Brand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 Focus on Jeonpo Cafe Street in Busanjin-gu. Journal of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30(7):339–356.
62. Yoon J. H., Ahn H. S.. 2012;Effect of Abdominal Massage and Catechin Intake on Body Composition, Serum Lipid Level, DNA Damage, and Total Antioxidant Status of Women with Abdominal Obesity.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8(1):10–16.
63. Yoo, N. J. (2019). A Study on the Perception Test and Preferences of Aroma Scent. Master’s thesis, Dongduk Women’s University, Seoul.
64. Ying, Q. (2020). A Study on the Knowledge and Use of Aroma Oil in Chinese Women. Master’s thesis, Kwangju Women’s University, Gwangju.
65. Ying Q., Kim K. R.. 2021;A Study on the Knowledge and Use of Essential Oil by People of Different Age : Focused on women in Zhejiang, China.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26(4):203–211.
66. Yoo, J. A. (2022). The Effect of Essential Oil Recognition and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on Psychological Well-Being.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Category Freq (N) Ratio (%)
Age 20s 72 34.0
30s 30 14.2
40s 63 29.7
over 50s 47 22.2
Final education High school graduation 76 35.8
University graduation 110 51.9
Graduate school or higher 26 12.3
Marital Staus Single 94 44.3
Married 118 55.7
Job Student 54 25.5
Office workers 26 12.3
Self Employed 14 6.6
Profession 24 11.3
Public official 17 8.0
etc. 77 36.3
Average monthly income Lees than one million won 79 37.3
Less than one to two million won 33 15.6
Less than two to three million won 47 22.2
Less than three to four million won 30 14.2
Less than four million won 23 10.8
Total 212 100.0

Table 2.

Valid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Dietary Lifestyle

Category Ingredient
Convenience Gourmet Health
17. When Ifm busy, I tend to solve it simply at convenience stores or fast food restaurants. .863 .082 -.166
12. I tend to eat instant foods often. .825 .068 -.257
13. The shorter the meal time, the better. .820 -.007 -.185
14. It is better to have a short meal or meal preparation time. .778 .018 -.052
10. I often buy cooked food at department stores, supermarkets, etc. .777 .160 -.130
15. When I'm busy, I eat bread, milk, coffee, cereal, etc. .772 -.056 -.018
19. Home-cooked meals usually prefer to eat out because it takes a lot of time to prepare meals or cook. .762 .141 -.243
16. When I am alone at home, I tend to eat meals with snacks. .761 -.026 -.042
11. A sandwich is enough for one meal. .749 .045 -.037
18. They prefer delivery food that can be easily eaten or packaged food. .717 .180 -.294
20. I buy food that is known to be delicious even if it is expensive. .085 .823 .078
27. I'm a picky eater. -.012 .796 .054
24. Compared to other sectors, they tend to spare money on their diet. .045 .792 .163
28. I change my diet every time because I want various flavors. -.039 .761 .051
23. I eat while looking for good restaurants. .058 .751 .094
26. The surrounding atmosphere is also important in choosing food. .033 .744 .181
21. I buy food if it looks delicious even if it's my first time seeing it. .180 .744 .116
22. I put taste before nutrition in food choices. .166 .727 -.184
29. have no fear of trying new flavors. .028 .725 .129
25. I tend to feel the difference in taste. -.011 .710 .126
5. I often use healthy, natural, and organic foods. -.098 .065 .834
2. Consider the even distribution of nutrition when eating food. -.124 .109 .805
1. I tend to try to eat different foods for my health. -.067 .085 .797
6. eat in consideration of obesity -.067 .111 .784
4. I try not to eat instant food as much as possible. -.226 .031 .776
7. I tend to take calories and nutrients into consideration for my health -.114 .148 .773
3. I try to avoid food containing food additives. -.268 .015 .744
9. I tend to use organic food. -.105 .112 .726
8. I am willing to consume a menu that is good for the river, even if it is a little expensive. -.146 .154 .720
Eigenvalue 6.416 5.938 5.848
Variance Description (%) 22.123 20.476 20.166
Cumulative Variance Description (%) 22.123 42.598 62.765
Cronbach’s α .937 .920 .926

KMO=.901, Bartlett's test χ²=4310.782 (df=406, p=.000)

Table 3.

Valid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roma Oil Recognition

Category Ingredient
Psychological effectiveness Physical effectiveness Give out fragrance Recognition
24. Aroma oil reduces stress and makes you feel comfortable. .863 .182 .293 .063
25. Aroma oil is effective in controlling anger. .841 .178 .310 .113
23. Aroma oil reduces depression. .841 .185 .303 .051
27. Aroma oil can change low self-esteem. .823 .251 .242 .105
30. Aroma oil is effective in reducing fatigue. .811 .281 .250 .066
26. Aroma oil can change emo仕onal disorder. .807 .161 .347 .124
28. Aroma oil can relieve nervousness. .795 .159 .346 .140
29. Continuing to use aroma oil will help you maintain your psychological health to some extent. .780 .186 .381 .036
32. Aroma oil increases concentration. .709 .253 .299 .064
31. Aroma oil increases memory capacity. .683 .349 .221 .160
4. Aroma oil helps you sleep. .140 .881 .141 -.071
5. Aroma oil is effective in controlling fatigue. .105 .879 .107 -.062
6. Aroma oil is effective in antibacterial action. .160 .863 .171 .103
9. Aroma oil is effective in relieving stress. .179 .842 .240 .007
10. Aroma oil is effective for muscle relaxation. .106 .808 .334 .107
7. Aroma oil is effective for problema仕c skin care. .224 .801 .190 .203
11. Aroma oil is effective against colds and rhinitis. .191 .754 .305 .114
3. Aroma oil is good for skin health. .320 .752 .193 .031
12. Aroma oil is effective against hair loss. .327 .733 .133 .182
8. Aroma oil is effective against hair loss. .323 .691 .061 .319
18. I think itfs possible to refresh myself when I smell the aroma scent. .328 .162 .844 -.003
16. Each type of aroma oil has a different scent and efficacy. .329 .249 .796 .053
20. I know that aroma oil uses a small amount of undiluted solution when inhaling or using pure 100% highly concentrated oil as an air freshener. .207 .197 .782 .218
19. Aroma oil is mainly used as a scent inhalation method. .170 .147 .739 .164
15. Aroma oil is extracted from plant leaves, stems, bark, roots, seeds, and fruits and has a unique scent. .358 .242 .734 .098
14. Aroma oil has a synergistic effect when blended. .333 .221 .731 .150
17. The reason why I prefer aroma scent is because it smells good. .382 .224 .729 -.033
22. This is because products using aroma oil have a pure scent compared to general products. .372 .132 .713 .176
13. Aroma oil has a different aroma depending on peopled collection. .340 .299 .692 .105
21 I have experience making air freshener products using aroma oil. .234 .153 .645 .234
2. I think I know a lot about aroma oil. .130 .179 .228 .832
1. Ifve heard of aroma oil. .204 .122 .339 .704
Eigenvalue 7.893 7.440 7.013 1.717
Variance Description (%) 24.665 23.250 21.916 5.365
Cumulative Variance Description (%) 24.665 47.916 69.832 75.197
Cronbach’s α .969 .958 .948 .722

KMO=.950, Bartlett's test χ²=7148.173 (df=496, p=.000)

Table 4.

Classification of Dietary Lifestyle

Category Cluster
F-value P
Cluster1 (n=72) Cluster2 (n=71) Cluster3 (n=69)
Convenience .14022b -1.01147a .89447c 165.247*** .000
Gourmet food -1.11932a .45570b .69908c 200.354*** .000
Health -.00224ab .24436b -.24911a 4.398* .013
Classification of dietary lifestyle Indifference type Pursuit of healthy food Pursuit of convenient gourmet food
*

p<.05,

***

p<.001

Duncan : a < b < c

Table 5.

Differences in Dietary Lifestyle Categoriza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Category Classification of dietary lifestyle
χ² (p)
Indifference type Pursuit of healthy food Pursuit of convenient gourmet food
Age 20s 20(27.8) 10(13.9) 42(58.3) 44.582*** (.000)
30s 5(16.7) 16(53.3) 9(30.0)
40s 24(38.1) 27(42.9) 12(19.0)
over 50s 23(48.9) 18(38.3) 6(12.8)
Final education High school graduation 28(36.8) 9(11.8) 39(51.3) 30.702*** (.000)
University graduation 37(33.6) 48(43.6) 25(22.7)
Graduate school or higher 7(26.9) 14(53.8) 5(19.2)
Marital Status Single 23(24.5) 24(25.5) 47(50.0) 23.482*** (.000)
Married 49(41.5) 47(39.8) 22(18.6)
Job Student 13(24.1) 5(9.3) 36(66.7) 59.880*** (.000)
Office workers 6(23.1) 8(30.8) 12(46.2)
Self Employed 5(35.7) 5(35.7) 4(28.6)
Profession 12(50.0) 7(29.2) 5(20.8)
Public official 3(17.6) 12(70.6) 2(11.8)
etc. 33(42.9) 34(44.2) 10(13.0)
Average monthly income Lees than one million won 29(36.7) 14(17.7) 36(45.6) 19.375* (.013)
Less than one to two million won 11(33.3) 14(42.4) 8(24.2)
Less than two to three million won 14(29.8) 18(38.3) 15(31.9)
Less than three to four million won 12(40.0) 13(43.3) 5(16.7)
Less than four million won 6(26.1) 12(52.2) 5(21.7)
Total 72(34.0) 71(33.5) 69(32.5)
*

p<.05,

***

p<.001

Table 6.

Differences in Aroma Oil Recogni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Category Aroma oil recognition diagram
Total
Recognition
Physical effectiveness
Give out fragrance
Psychological effectiveness

M SD M SD M SD M SD M SD
Age 20s 3.10a 1.198 3.43 .859 3.38a .910 3.45a .860 3.40a .738
30s 3.38ab 1.031 3.67 .876 3.82b .658 3.90b .790 3.77b .615
40s 3.60b .679 3.60 .763 3.71b .772 3.78b .804 3.69b .645
over 50s 3.57b .752 3.59 .771 3.56ab .802 3.50a .688 3.55ab .645
F-value(p) 3.937**(.009) .872(.457) 2.884*(.037) 3.559*(.015) 3.142*(.026)
Final education High school graduation 3.20 1.132 3.39 .856 3.33a .887 3.42a .818 3.37a .734
University graduation 3.48 .872 3.67 .762 3.73b .754 3.72ab .804 3.69b .618
Graduate school or higher 3.58 .758 3.48 .844 3.68b .788 3.80b .743 3.65b .692
F-value(p) 2.412(.092) 2.846(.060) 5.568**(.004) 3.789*(.024) 5.352**(.005)
Marital Staus Single 3.18 1.168 3.40 .820 3.42 .853 3.45 .838 3.41 .705
Married 3.56 .735 3.67 .793 3.71 .783 3.76 .768 3.70 .641
t-value(p) -2.769**(.006) -2.408*(.017) -2.544*(.012) -2.800**(.006) -3.173**(.006)
Job Student 3.06 1.252 3.37 .888 3.29a .945 3.44 .898 3.35a .774
Office workers 3.40 .825 3.56 .814 3.49a .912 3.65 .946 3.56a .664
Self Employed 3.82 .823 4.09 .734 4.13b .614 4.12 .701 4.10b .649
Profession 3.54 .690 3.52 .777 3.63a .871 3.70 .758 3.61a .668
Public official 3.35 .862 3.41 .809 3.65a .773 3.64 .832 3.55a .705
etc. 3.51 .860 3.61 .758 3.68ab .667 3.62 .707 3.63a .579
F-value(p) 2.179(.058) 1.993(.081) 3.047*(.011) 1.708(.134) 3.082*(.011)
Average monthly income Lees than one million won 3.22 1.134 3.53ab .839 3.45 .895 3.50ab .846 3.47a .726
Less than one to two million won 3.33 .881 3.25a .740 3.52 .729 3.44a .579 3.40a .503
Less than two to three million won 3.57 .766 3.86b .745 3.79 .786 3.90b .841 3.83b .691
Less than three to four million won 3.53 .890 3.56ab .788 3.63 .699 3.73ab .721 3.63ab .671
Less than four million won 3.54 .891 3.40a .849 3.62 .908 3.60ab .923 3.54ab .659
F-value(p) 1.417(.229) 3.131*(.016) 1.307(.269) 2.480*(.045) 2.779*(.028)
Total 3.39 .968 3.55 .814 3.58 .825 3.62 .813 3.57 .684
*

p<.05,

**

p<.01

Duncan : a < b

Table 7.

Differences in Aroma Oil Perception According to Lifestyle

Category Aroma oil recognition diagram
Total
Recognition
Physical effectiveness
Give out fragrance
Psychological effectiveness

M SD M SD M SD M SD M SD
Classification of dietary lifestyle Indifference type 3.26a .892 3.46 .763 3.40a .797 3.47a .703 3.43a .661
Pursuit of healthy food 3.75b .832 3.66 .789 3.78b .711 3.82b .836 3.75b .621
Pursuit of convenient gourmet food 3.17a 1.080 3.52 .887 3.57ab .923 3.58ab .864 3.53ab .737
F-value(p) 7.717**(.001) 1.156(.317) 3.945*(.021) 3.528*(.031) 4.253*(.015)
Tatal 3.39 .968 3.55 .814 3.58 .825 3.62 .813 3.57 .684
*

p<.05,

**

p<.01

Duncan : a <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