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Cosmetol > Volume 29(6); 2023 > Article
빅데이터를 활용한 피부미용사의 사회적 인식 분석

Abstract

This study looked at the social perception of skin care professionals through big data analysis. Data provided by web data over the past five years (2018.1.1.-2022.6.30.) have been collected, focusing on the keywords of skin care professionals, and the tools used for analysis are Textom and UCINET6. If you look at the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requency of keywords related to skin care professionals, it was found in the order of skin national certificates, skin care certificate, practical examination, beauty academy, written examination, hairdresser, acceptance, and skin care room. Second, using NetDraw, we were able to visualize the overall network structure of Estheticians' perceptions and grasp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keyword at the same time. Third, as a result of the connection centrality analysis, it was found in the order of skin national certificate, beauty academy, skin care certificate, practical examination, sale, written examination, and hairdresser. Fourth, as a result of conducting CONCOR analysis, there were four clusters: working environment, skin certificate, professional qualification, and beauty edu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lan and establish a marketing strategy to change the qualifications and work tasks of the skin national certificate so that the skin national certificate can be recognized as a more professional and reliable certificate.

I. 서 론

경제성장에 따라 소득과 문화 수준이 향상되고, 대중매체의 발달로 신체의 건강과 미적 가치의 추구가 우리 삶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Park, 2010). 자기 외모를 발달시키고,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욕구가 상승하면서 미용산업은 고부가 가치산업으로 발달하였고, 깨끗하고 아름다운 피부를 위해 피부과, 피부관리실에서 관리받는 피부미용은 문화 흐름의 한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다(Kim, 2017).
초창기 일반 관리실에서만 행해지던 피부관리가 피부과 치료 및 시술을 통한 관리와 피부관리실의 피부미용사에 의한 관리로 구분되면서(Oh, 2023) 피부관리에 대한 인식이 확산하였고 피부미용 산업은 전문화, 세분되어 그 영역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국세청 자료를 보면 피부 미용업 사업체 수는 2018년 말에 32,736개에서 2022년 말에는 55,878개로 일과 삶의 균형을 추구하는 젊은 세대들이 건강과 자기 관리에 투자하는 시간이 많아짐에 따라 피부 미용업 사업체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또 한국 고용정보원 2019~2029년 중장기 인력 수급 전망에 따르면, 미래 유망 직업으로 피부미용사가 상위에 자리매김하였고, 2019년 약 107천명에서 2029년 약 127천명으로 앞으로 10년간 피부미용사에 대한 고용이 증가하고 전문 직업군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미용산업 활성화에 대한 기대감이 어느 때보다 커지고 있다. 최근 미용 분야의 전문 교육기관이 증가하고 학문적 체계가 완성되면서, 피부미용 분야는 실기 중심의 실용 학문에서 중요한 학문 분야로 자리매김하여 전문 분야라는 인식이 확산하고 있다(Kim & Na, 2014). 특히 2008년 미용사(일반) 자격에서 분리되어 ‘미용사(피부)’ 국가자격시험이 시행되면서 피부미용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능을 갖춘 피부미용 전문가를 더욱 양성하게 되었다.
소셜미디어는 유튜브(Youtube), 블로그(Blog), 인스타그램(Instagram), 페이스북(Facebook) 등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공유하고, 대중들의 의견, 생각, 관점 등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어 사회적 인식을 파악하는 데 적합하다. 소셜미디어가 모바일에서 사용 가능해지면서 더 활발하게 활용되었고, 이에 따라 생성되는 소셜미디어의 데이터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피부미용사의 사회적 인식 파악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할 수 있으며, 더욱 폭넓고 깊게 이해할 수 있는 토대가 될 수 있다. 미용사 직종의 직업으로서의 가치, 사회적 평가에 대한 의미가 중요해지면서 사회적 인식에 대한 연구(Kim, 2020; Park, 2013)는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피부미용사의 전반적인 사회적 인식을 분석한 연구는 전혀 없다.
따라서 이 연구는 소셜미디어에서 생성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최근 5년간의 피부미용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흐름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피부미용사의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하여 앞으로 전문 직업인 피부미용사의 사회적 인식 확립 및 피부미용사에 대한 이미지를 파악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II. 이론적 배경

1. 미용사의 사회적 인식

피부미용사는 사람의 피부 및 신체와 관련된 전문적인 지식과 숙련된 기술로 소비자들의 피부를 아름답게 가꾸고, 개선해주는 일을 하는 전문직 서비스 종사원이다(Kim & Shim, 2016). 또한, 피부미용사는 고객과 업체 간 우호적인 관계를 형성,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핵심적인 서비스 요소이다(Lee & Lee, 2016). 사회적 인식은 조직화한 공동생활의 집단 속에서 어느 대상을 아는 것으로 감각적인 직관으로 얻어지는 감성적인 분별력이다(Park, 2013). 따라서 피부미용사의 사회적 인식은 대중매체와 같은 외적 요인과 피부미용사 자신이 자신을 어떻게 인지하는가 하는 내적 요인이 함께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고 직업이 갖는 상대적인 가치에 대한 사회적인 평가를 의미하기 때문에 사회적 상황에 의해 변화하고 있고, 앞으로도 사회적 상황이 반영되어 변화될 것으로 예상한다.
선행연구에서 Park(2010)는 미용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높아지면 미용인의 직업 만족도가 높아지고, 미용사에 대한 자긍심이 높아지면 미용인의 직업 만족도와 사회적 인식이 높아진다고 하였다. Hong(2011)는 뷰티서비스 종사자의 사회적 인식에 대해 조사한 결과 미용사 직업 중에서 헤어디자이너에 대한 인식도가 가장 높고, 네일 아티스트에 대한 인식도가 가장 낮다고 하였다. Park(2013)는 피부미용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직업 존중감과 직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피부미용사의 직업 전문성과 직업 자부심, 직업 전망에 대해 높게 인식하였으나 미용인이 비 미용인보다 상대적으로 더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다고 하였다. Kim et al.(2020)은 미용인과 예비 미용인, 일반인을 대상으로 헤어미용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조사한 결과 미용사와 예비 미용인의 학력을 전문대 졸업 이상으로 인식하는 반면 일반인은 고등학교 졸업으로 인식하고 있어서 헤어미용사에 대한 일반인의 직업적 인식이 다소 낮게 평가된다고 하였다.

2. 빅데이터와 미용 분야 연구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인터넷 및 스마트 기기의 확산으로 온라인상에 정형 데이터(Formal Data)와 비정형 데이터(Informal Data)가 급격하게 증가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빅데이터란 기존의 데이터 처리 방식으로 저장, 관리 및 분석이 어려운 정도로 방대한 규모의 데이터를 의미하는데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을 통해 빅데이터의 수집, 저장 및 분석을 할 수 있게 되었고, 활용성이 높아 세계시장에서의 2014년부터 2019년까지 연평균 성장률은 23.1%, 국내시장에서의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연평균 성장률이 2 6.4%로 전망되었다(Rue, 2016).
빅데이터를 활용한 연구는 기존에 시행되었던 조사 방법인 설문지, 표본 추출, 인터뷰 등에 따르는 문제점과 표본 오차를 줄일 수 있고, 실시간으로 생성, 저장되는 데이터 분석이 가능하여 소모되는 시간을 줄여주고 분석 적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미용 분야에서 빅데이터를 활용한 연구를 살펴보면, Park(2020)는 뉴 노멀 시대의 화장품 흐름에 대해 연구하였는데 화장품 성분, 맞춤형 화장품, 트러블, 여드름 등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도가 높으며 코로나19 이후 언택트 소비에 따른 온라인 구매가 더욱 확산할 것이라고 분석하였다. Choi et al.(2022)은 최근 2년간의 미용 산업의 흐름을 분석하였는데 화장품, 뷰티엑스포가 핵심 키워드로 해외 진출에 대해 시사하였으며 젊은 소비자들이 가치소비를 중시하면서 점차 프리미엄 시장에 관한 관심이 늘고 있다고 하였다. Oh(2022)는 한국연구재단 KCI 학술지 데이터에서 피부미용을 검색어로 11년간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는데 재료와 도구, 교육, 행동, 서비스 등 다양한 주제로 연구가 진행됐으며 화장품 키워드가 피부 미용과 관련하여 중요한 주제로 다루어졌다고 하였다. 이상과 같이 최근 미용 분야에서 빅데이터 분석은 사회적 인식, 흐름,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연구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III. 내용 및 방법

1. 분석대상

본 연구에 활용한 자료는 Textom(2022)에서 제공하는 웹 데이터로 대표 포털사이트인 네이버, 다음, 구글, 유튜브에서 ‘피부관리사’와 ‘피부미용사’ 키워드를 중심으로 수집하였다. 수집 기간은 2018년 1월 1일부터 2022년 6월 30일까지 최근 5년으로 이 기간은 ‘미용사(피부)’ 국가자격시험의 시행 10년 후이며, 디지털 환경에 의한 데이터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빅데이터 분석이 활성화된 시점이다. 데이터는 블로그 3,501건, 뉴스 4,011건, 카페 3,016건, 구글 페이스북 551건, 유튜브 1,100건으로 총 12,179건이 수집되었다.

2. 분석 방법 및 절차

1) 데이터 처리

수집한 데이터에 대한 명확한 해석과 높은 이해도를 위해 데이터 정제를 시행하였다. 1차 정제는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을 실시하여 수집된 원자료에서 명사형 키워드만을 추출하였고 단일 음절로 된 무의미한 키워드는 삭제하고 의미를 확인하여 띄어쓰기를 통일하였다. 2차 정제는 의미를 알 수 없는 키워드를 삭제하였고 동의어와 유사어를 대표 키워드로 통일하였다. 그리고 빈도수가 높은 50개의 키워드를 최종 분석 자료로 선정하였고, 이때 검색어로 활용된 ‘피부관리사’, ‘피부 미용사’, ‘피부관리’ 등은 최상위 빈도로 나타났으나 모든 데이터에 공통으로 내포되므로 삭제하였다. 데이터 정제의 주요 예시는 Table 1과 같다.

2) 분석도구와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 활용한 데이터의 수집 및 정제는 빅데이터 분석 프로그램인 Textom을 활용하였고 키워드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분석 프로그램인 UCINET을 활용하였으며 NetDraw를 통해 시각화하였다. 정제된 자료를 바탕으로 빈도 분석을 시행하고 50x50 1-모드 매트리스 셋을 구성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네트워크 분석은 첫째, 피부미용사 관련 키워드 간의 네트워크의 구조적 속성을 파악하기 위해 노드, 밀도, 평균연결거리, 평균연결강도, 컴포넌트 수, 지름, 네트워크 집중도 등을 살펴보았다. 둘째, 네트워크의 중심성 양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연결중심성 분석을 시행하였다. 셋째, 하위 집단의 네트워크 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CONCOR 분석을 시행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피부미용사 관련 키워드에 대한 빈도 분석

Textom(2022)을 활용하여 피부미용사 관련 키워드를 추출하였으며, 이 중 빈도 상위 50개의 키워드를 최종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Table 2). 빈도 분석 결과 피부국가자격증(5,540회)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으며, 그다음으로 피부미용자격증(1,863회), 실기시험(1,313회), 미용학원(1,276회), 필기시험(1,124회), 미용사(861회), 합격(837회), 피부관리실(788회), 미용(785회), 자격증(749회)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피부국가자격증 키워드가 2번째 순위의 키워드보다 빈도수가 3배 가까이 많아 피부미용사와 관련하여 매우 활발하게 검색이 되었음을 알 수 있고 실기시험, 필기시험, 합격, 교육 등 시험에 관한 관심이 두드러짐을 알 수 있다. 또한, 피부관리실, 고객, 창업, 취업 등 피부 미용 서비스와 환경에 대한 인식이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피부미용사 직업은 1999년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피부미용사에 대한 직무분석이 시도되었고 2008년 미용사(피부) 국가자격증 제도가 시행되면서 피부미용사에 대한 인식이 새롭게 자리 잡는 계기가 되었다. 선행연구에서 Rue & Cho(2010)는 피부국가자격증의 신설을 통해 피부미용 종사자와 새롭게 피부국가자격증을 취득한 피부 미용사 모두 직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만족도가 매우 높아 피부국가자격증이 사회적으로 매우 중요한 조건으로 인식되고 있다고 하였다.
또한, 판매(724회), 화장품(699회), 개인거래(499회), 직접결제(459회) 등의 키워드가 순위 안에 매겨졌는데 과거에 화장품은 로드샵, 브랜드샵에서 대부분 구매하였고(Kim & Kim, 2015), 피부관리실 전문 화장품은 무조건 피부관리실에서만 구매할 수 있었다면(Park, 2015) 최근 시대적 변화와 소비자들의 구매 수준 향상 및 구매처의 다양화 등으로 인터넷상에서 비교, 분석을 통한 구매가 높은 수준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만큼 시장의 변화도 확대되고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2. 피부미용사의 사회적 인식에 대한 전체 네트워크 분석

피부미용사에 대한 네트워크의 구조적 속성을 살펴본 결과 노드는 50, 밀도는 0.837, 평균연결강도는 41.0, 평균연결거리는 1.163, 컴포넌트 수는 1, 지름은 2 , 네트워크 중심도는 29.89%로 나타났다. 분석대상으로 선정된 50개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시각화하면 Fig. 1과 같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하나의 키워드가 평균 1.16개의 다른 키워드와 연결되어 있으며 최대 2개의 키워드를 거치면 모든 키워드가 연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피부국가자격증, 미용, 자격증, 피부관리실, 전문, 교육 등 피부미용사와 관련된 많은 개념과 주제는 상호 분절되지 않음을 알 수 있고 피부미용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보여주는 키워드 간 연결 복잡성을 보여주고 있다.

3. 피부미용사 관련 키워드에 대한 중심성 분석

피부미용사 관련 키워드에 대한 네트워크 속성을 살펴보기 위해 연결중심성 분석을 시행하였고 상위 30개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결과를 제시하였다(Table 3).
연결중심성 분석 결과 키워드들의 관계 중 가장 높은 상호작용 관계를 맺고 있는 키워드로는 피부국가자격증(34.052)이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미용학원(12.995), 피부미용자격증(11.477), 실기시험(9.036), 판매(8.291), 필기시험(7.893), 미용사(7.430)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키워드들은 피부미용사에 대한 네트워크에서 주요한 허브 역할을 하는 핵심 키워드로 볼 수 있다. 특히 미용학원, 판매, 가격, 개인거래, 메이크업, 직접 결제, 판매완료, 네일, 미용자격증은 앞서 제시한 빈도순위보다 상위 키워드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키워드는 다른 키워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연결강도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전국 시도 교육청 어플리케이션, 전국학원정보에 따르면 전국에 있는 미용학원이 2016년에 621곳이었으나 2023년에는 661곳으로 증가하였다. 코로나19의 여파에도 미용학원의 수가 증가하여 미용학원에서의 미용 교육 또는 자격증 취득에 관한 관심이 증가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Park(2013)는 조사대상자의 50% 이상이 피부미용사는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갖춘 사람이 할 수 있는 직업이라고 응답하였는데 피부미용의 전문성이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고, 자격을 검증하는 미용사(피부) 국가자격증이 사회적 인식에 비중 있는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4. 피부미용사 관련 키워드에 대한 CONCOR 분석

피부미용사의 사회적 인식에 대해 유사점을 가진 키워드를 군집화하고 그 특징을 파악하기 위하여 CONCOR 분석을 실시하였다(Fig. 2, Table 4). 군집 1은 운영, 직업, 취업, 모집, 고객, 창업 등의 키워드가 포함되며 실무환경으로 명명하였고, 군집 2는 국가자격증, 미용사, 판매, 산후조리원, 피부미용학원, 화장품, 가격, 피부미용자격증, 피부국가자격증, 개인거래, 직접결제 등의 키워드가 포함되며 피부자격증으로 명명, 군집 3은 미용자격증, 취득, 전문, 사용, 자격요건, 진행 등을 포함하며 전문자격으로 명명, 군집 4는 미용학원, 시험, 메이크업, 학원, 합격, 필기시험 등의 키워드가 포함되며 미용교육이라고 명명하였다.
이와 같이 피부미용사의 사회적 인식은 실무환경, 피부자격증, 전문자격, 미용교육의 변화와 연관이 있다고 볼 수 있는데 선행연구에서 Jung(2021)은 자격증 수의 증가가 국가기술자격의 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는데 기술이 중요한 피부미용 분야에서 국가자격증은 매우 중요한 의미임을 알 수 있었고 Heo(2013)은 피부국가자격증 취득 직후 현장 적용 가능성이 낮을 수 있다고 하였는데 자격증 취득 후 취업에 이르기까지 미용 교육 기관에서 구체적이며 실질적인 교육이 추가로 필요함을 시사한다. 미용교육에서도 1997년에는 대학원 석사과정, 2005년에는 대학원 박사과정이 개설되고 학회가 설립되면서 미용 분야의 연구 활동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실무환경에서도 최근 피부과 병원을 중심으로 메디컬 스킨케어가 확산하고 프랜차이즈 형태의 피부관리실이 많아지면서 피부미용 시장이 체계적이고 피부관리의 전문성이 높아졌음을 알 수 있다.

V. 결 론

본 연구는 대량의 정보교류가 빠르게 일어나는 인터넷 포털사이트 자료를 중심으로 빅데이터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피부미용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5년간 인터넷상의 피부미용사 관련 키워드를 중심으로 빈도 분석을 한 결과 피부국가자격증 키워드가 가장 많이 등장하였고 그다음으로 피부미용자격증, 실기시험, 미용학원, 필기시험, 미용사, 합격, 피부관리실, 미용, 자격증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피부미용사와 관련하여 전문적인 자격증 취득을 보편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특히 실기시험, 미용학원, 필기시험과 같이 시험에 관,련한 빈도가 두드러져 피부미용사의 전문성이 사회적으로 중요하게 인식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자격증 취득을 위한 교육기관이 피부미용학원 중심에서 대학의 신설 등으로 다양화되었으며 피부관리실, 고객, 창업, 취업 등 피부 미용 서비스와 환경 및 전문 직업에 관한 키워드도 높은 순위에 등장하여 피부미용사의 직업적 가치가 중요하게 평가됨을 알 수 있다.
둘째, 넷드로우를 활용하여 피부미용사에 대한 전체 네트워크 구조를 시각화하고 키워드 간의 관계를 파악한 결과 특정 키워드에 치중되지 않고 네트워크 내 키워드들이 조밀하게 연결되어 있어 다양한 키워드가 직,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피부미용사에 대한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을 한 결과 피부국가자격증, 미용학원, 피부미용자격증, 실기시험, 판매, 필기시험, 미용사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키워드는 다른 키워드와 강한 상호작용을 하는 허브 역할을 하는데 자격증 취득을 위해 미용학원을 방문하여 시험 준비를 하는 것이 활성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키워드를 중심으로 피부미용사에 대한 인식이 형성되므로 자격증에 대한 전문성과 관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넷째, 피부미용사에 대한 CONCOR 분석을 한 결과 실무환경, 피부자격증, 전문자격, 미용교육의 4개 군집으로 명명할 수 있었는데 이상의 군집은 피부미용사의 사회적 인식의 형성과 발달에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피부미용 전문교육의 기회 확대, 전문자격에 대한 검증 강화, 실무 및 근무 환경의 개선 등을 통하여 피부미용사의 사회적인 인식이 더욱 긍정적인 방향으로 발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최근 5년간의 피부미용사의 사회적 인식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키워드 간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자료의 범위가 국내 소셜 데이터에서 한글만을 수집하여 검색어를 벗어난 영단어는 누락되었을 가능성이 있고 키워드 정제과정에서 유사어, 제외어 등의 의사결정 시 연구자의 주관이 개입되어 있었을 수 있다. 또한, 최근 5년의 자료 수집 기간이 한 구간으로 인식 비교하는 데 한계가 있어 비교적 최근의 사회적 인식과 그 이전의 사회적 인식을 비교하기 위하여 시기에 따라 구간을 나누어 인식 변화와 흐름을 살펴볼 필요가 있고, 토픽모델링 등의 다른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피부미용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다각적으로 탐색할 필요가 있겠다.

Fig. 1.
Network structure for Estheticians related keywords
JKSC-2023-29-6-1435f1.jpg
Fig. 2.
Visualization of CONCOR Analysis
JKSC-2023-29-6-1435f2.jpg
Table 1.
Data Processing Standards
Division Method Example
Delete search word Eestheticians
Skin care
Skin
one syllable Di, Bun, Hae, Dae, Heo
Integrated similar concept National skin certificate
Skin type
Skin care room
Absorption spacing words Manual techniques → Manualtechniques
Facial care → Facialcare
Beauty contest → Beautycontest
How to use → Howtouse
Table 2.
Frequency analysis of keywords related to Estheticians
R Keyword N R Keyword N R Keyword N R Keyword N
1 National skin certificate 5540 14 Makeup 644 27 Obtain certification 399 40 Postpartum care center 324
2 Skin care certificate 1863 15 Academy 636 28 Nail 394 41 Support 321
3 Practical examination 1313 16 Employment 614 29 Skin care academy 381 42 Hospital 315
4 Beauty academy 1276 17 Ready 611 30 Client 370 43 Acquisition 309
5 Written examination 1124 18 Price 555 31 Startups 368 44 Occupation 309
6 Hairdresser 861 19 Education 512 32 Beauty certificate 365 45 National certificate 307
7 Acceptance 837 20 Personal transaction 499 33 Possibility 356 46 Career 296
8 Skin care room 788 21 Hairdresser skin 489 34 Possession 352 47 National nail certificate 294
9 Beauty 785 22 Direct payment 459 35 Use 351 48 Nurse's aide 293
10 Certificate 749 23 Management 440 36 Sold out 343 49 Start 291
11 Sale 742 24 Process 412 37 Progress 337 50 Administrator 291
12 Examination 719 25 Operation 412 38 Recruitment 334
13 Cosmetics 699 26 Professional 404 39 Qualification Requirements 324
Table 3.
Centrality analysis of keywords related to Estheticians
Rank NrmDgree Rank NrmDgree Rank NrmDgree
1 National skin certificate 34.052 11 Personal transaction 6.136 21 Skin care academy 4.006
2 Beauty academy 12.995 12 Skin care room 5.826 22 Nail 3.952
3 Skin care certificate 11.477 13 Direct payment 5.728 23 Education 3.694
4 Practical examination 9.036 14 Beauty 5.547 24 Ready 3.552
5 Sale 8.291 15 Certificate 5.467 25 Cosmetics 3.365
6 Written examination 7.893 16 Examination 5.425 26 Process 3.349
7 Hairdresser 7.430 17 Academy 5.395 27 Hairdresser skin 3.301
8 Acceptance 6.629 18 Beauty certificate 4.429 28 Operation 3.293
9 Price 6.459 19 Sales completed 4.359 29 National nail certificate 3.254
10 Make up 6.356 20 Employment 4.324 30 Obtain certification 2.896
Table 4.
CONCOR Analysis of Keywords related to Estheticians
Group Keywords N
Skin certificate Written examination, National skin certificate, Practical examination, Direct payment, Cosmetics, Use, Price, Sale, Personal transaction, Acceptance, Examination, Sold out 12
Working environment Startups, Certificate, Nurse’s aide, Management, Career, Employment, Client, Hairdresser skin, Obtain certification, Acquisition, Examination, Possibility, Professional, Administrator, Hospital, Star 16
Professional qualifications Ready, Support, Possession, Postpartum care center, Qualification requirements, Skin care certificate 6
Beauty education Academy, Skin care room, Beauty academy, Nail, Make up, Beauty, Process, National certificate, Operation, Hairdresser, Education, National nail certificate, Beauty certificate, Recruitment, Skin care academy, Progress 16

References

Choi, Esther., Lee, M J., & Seo, S. Y. (2022). Prediction of K-Beauty Industry Trend Using Big Data.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8(6), 1376-1382.
crossref pdf
Heo, E. O. (2013). A study on reinforcing the eligibility for national certificate for (skin)aestheticians : focusing on the subjects and related mandatory education hours.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Medicine and Food. Seoul.
Hong, J. W. (2011). Study on the Social Awareness on Practicians in the Field of Beauty Service : Target fields include Hair, Esthetic, Make-up and Nail care.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Arts Hansung University, Seoul.
Jung, S. J. (2021). The Effect of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System for Beauty on Satisfaction. Master's thesis, Gwangju Women's University Education School, Gwangju.
Kim, J. D. (2017). Study on Female College Students’ Recognition and State on Skin care.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Knit Design, 15(1), 54-65.
Kim, J. H., & Sim, E. K. (2016). The Effect on Resilience of Job Performance among Aesthetician.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17(3), 149-161.
crossref
Kim, K. H., Kim, E. Y., & Kim, J. S. (2020). A Comparison of the Social Perception of Hairdressers.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6(2), 177-182.
Kim, M. K., & Kim, J. D. (2015). A Study on Cosmetic Purchase Behavior in Adult Women.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5(2), 125-135.
Kim, S. M., & Na, M. S. (2014). A Study of Current Trends in A cademic Research on Hairdressing.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0(2), 319-326.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2021). Prospects for mid- to long-term manpower supply and demand 2019-2029.
Lee, J. M., & Park, I. S. (2021). Social Awareness analysis of Social Enterprises using Text Mining. Social Enterprise Research, 14(2), 111-135.
Lee, J. Y., & Lee, I. H. (2016). The Effects of Job Environment and Job Esteem on Job Satisfaction in Skin Beauticians.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4), 573-586.
crossref
Nationa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pplication (2016). National Academy Information.
Nationa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pplication (2023). National Academy Information.
Oh, Y. K. (2022).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Skin Care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8(6), 1308-1317.
crossref pdf
Oh, Y. K. (2023). Social Perception of Skin Care Through Big Data. Journal of Health and Beauty, 17(2), 96-103.
crossref
Park, E. J. (2013). The Impact of Social Awareness of Estheticians on Job Esteem and Job Satisfaction. Master's thesis, Seokyu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Beauty and Arts, Seoul.
Park, H. J. (2020). The New Cosmetics Trend Research in the New Normal Era through Big Data Analysis. Korean Society of Cosmetics and Cosmetology, 10(3), 465-480.
Park, M. O., & Choi, H. J. (2010). A study on the Degree of Self-Esteem, Social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Beauty Artist's Occupation.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6(3), 845-855.
Park, S. A. (2015). The Cosmetic Spending Patterns and the Differences in Satisfaction After Purchase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Interest on Professional Cosmetics Sincerely.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1(4), 686-695.
Rue, S. M. (2016). BigData Effects on Artificial Intelligenc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14(1), 29-34.
Rue, Y. O., & Cho, K. M. (2010). A study on social reputation index of national esthetician certificate and professional esthetician - with in Gwangju and Jeonnam area-.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11(3), 41-51.
The National Tax Service (2023). Read the trends of close-to-living industries through National Tax Data Analysis!.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10-2825-6735   Fex: +82-62-950-3797    E-mail: beauty2007@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