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Cosmetol > Volume 29(6); 2023 > Article
헤어미용 종사자의 직업가치관과 직업전문성이 직업만족에 미치는 영향

Abstrac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analyzing the impact of job values and job expertise of hairdressers on job satisfaction and identifying that job values and job expertise are related to job satisfaction, and providing data that contributes to the strengthening and development of professionalism in hairdressers and the beauty industry,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 were met, and the use of the reference group, which is a sub-factor of job value, external job value, and job expertise,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Second, the higher the intrinsic and external values, which are sub-factors of job values,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effect of job values of hairdressers on job satisfaction. Third, the higher the autonomy, self-control, utilization of reference groups, and sense of vocation,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effect of job expertise of hairdressers on job satisfaction.

I. 서 론

직업은 생계유지를 위한 기본적인 수단으로 개인의 선택에 따라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으며, 최근 급격히 가속화된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산업용 로봇,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등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CT)의 발달로 직업의 판도가 크게 달라지고 있다. 따라서 AI나 로봇으로 대체 가능한 직업은 점점 사라지고 있는 추세이며, 기계와 로봇으로 소통하는 하이테크(Hi-technology) 시대에 헤어 미용업은 기계로 대체할 수 없는 고도의 기술력을 요하는 직업 중 하나로써 선호도가 날로 높아지고 있다.
미용업은 고객의 모발, 피부, 손톱, 발톱을 포함한 전신을 아름답게 보호하고, 유지하며, 긍정의 상태로 개선될 수 있도록 도구 및 제품 등을 활용하여 관리하는 직업이다(Joo & Kim, 2015). 미용업의 정의는 공중위생관리법 제 2조 제 1항 제 5호에서는 ‘미용업이라 함은 손님의 얼굴·머리·피부 등을 손질하여 손님의 외모를 아름답게 꾸미는 영업을 말한다’고 정의하였으며, 좁은 의미로는 미용, 화장품과 관련된 산업을 의미하고, 넓은 의미로는 신체를 건강하고 아름답게 관리하기 위한 미적 디자인, 체험, 감동 등의 모든 소비를 포함하는 것으로 성형, 패션, 디자인, 스파, 영상, 헬스, 화장품, 이·미용, 메이크업, 네일, 피부미용, 두피관리, 가발 등의 산업을 모두 포함한다(Kim, 2016).
경제 수준과 문화적 수준의 향상으로 현대인들의 내적·외적 아름다움에 대한 관심과 소비가 증가되고 있으며,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따라 미(美)에 대한 가치가 변화·발전되고, 미용업은 미를 창조하는 직업으로 다양성을 갖고, 전문화되어가고 있다(Kang & Lee, 2014). 또한 헤어미용 서비스를 제공받는 고객들은 기술적 서비스 이상의 것을 기대하고 요구하며, 이에 따라 전문 미용 기술은 기본으로 한 예술가적 감각이 날로 더 중요해지고 있다(Kang, 2015). 즉 미용업은 예술적 감각을 중심으로 전문지식과 기술 및 경험을 통해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전달자로서 효과적인 역할 수행을 필요로 하며, 이러한 전문소양을 갖춘 전문가 집단에 의해 행해지는 업무의 특성상 전문성, 독자성, 배타적 권한을 가지고 있다(Yoo et al., 2017).
직업전문성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Won & Lee(2023)는 뷰티샵의 종사자들의 직업전문성이 고객들에게 진정성과 매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Kim & Yu(2023)은 물리치료사의 임파워먼트와 직업 전문성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hin & Cho(2014)의 연구에 따르면 의무기록사의 직업 관련 특성 및 직업 전문성 인식도 변수들이 직무만족도에 높은 관련성이 있다고 하였다.
직업가치관은 직업으로 인하여 개인이 충족하고자 하는 욕구나 실현하고자 하는 목표로 직업선택에 있어 중요하게 작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Schulrnberg & Kim, 1993). 국내 직업가치관에 대한 선행연구는 미용전공 대학생에 국한되어 있으며, 직업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헤어미용 종사자들의 직업가치관과 직업전문성이 직업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변인들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헤어미용 종사자의 직업만족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가치관 확립과 전문성 강화 및 발전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II. 이론적 배경

1. 직업가치관

직업가치관이란, 특정 직업에 편중되는 것이 아닌 일반화된 직업의 개념으로 개인이 직업을 결정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되는 가치이다. 가치와 가치관의 개념은 다르게 정의된다. 가치란 값을 뜻하며, 일반적으로 좋은 것으로 개인의 욕구 또는 관심을 충족시켜 생각이나 행동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이고, 가치관은 인간의 행동과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선택 기준이다. Jeong(2002)는 가치관의 의미로 개인이 가지는 속성 또는 집단이 가지는 속성일 수 있으며, 여러 가지 문제에 의해 행동 방향의 선택에 영향을 주는 바람직한 것, 혹은 추구할만한 것에 관한 일반적인 생각 또는 개념이라 정의하였다.
직업관, 직업의식, 직업가치관은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직업관’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직업의식’은 국어사전과 교육학 사전에서 채택되었고, ‘직업가치관’은 직업 활동의 가치를 강조하는 용어로 구분된다(An, 1998). 직업에 대한 일반적인 의미를 부여하는 정의나 직업 활동 등에 개인에게 가치가 있고 중요하게 여기어지는 직업관으로 직업에 대한 지각, 태도, 의식, 가치 등으로 정의된다(Kim, 2010). 개인에게 직업가치관은 직업 선택에 있어 결정적인 역할을 하며, 직업적 행동인 직업 만족, 직업 흥미, 직업 적응 등에 깊이 관여한다(Park, 2002).
Kalleberg, 1977의 직업가치 유형 구분은 직업사회학, 산업심리학 분야에서 대체로 통용되고 있으며, 그 내용에 따르면 직업가치관을 ‘내(재)적 가치관’과 ‘외(재)적 가치관’으로 분류하였다. 내재적 가치관은 직무 자체에 의미를 부여하는 태도로 직무에 대한 적성, 흥미, 자기능력 발휘, 사회에 대한 헌신, 동료와의 관계 등의 요인에 중요성이 크고, 외재적 가치관은 명예나 물질적 보상처럼 직무를 통해 얻게 되는 보상에 중요한 의미를 두는 지향으로 권력, 개인주의, 사회인식, 인정, 경제적 도구를 포함한다(Park, 2006; Kim, 2020).

2. 직업전문성

직업전문성은 특정 직업에 대한 자율성과 배타성을 확보하고, 다른 직업군 보다 역할의 수행을 월등히 잘할 수 있다는 사회적 동의를 획득했다는 의미를 가지며, 나아가 전문직이란 단순하게 기술과 기능만을 습득하는 것이 아닌 독점적으로 역할을 수행할 능력과 국가제도가 인정한 자격증을 취득하여 직업 활동 시 독점적인 권리를 부여받는다는 의미로 해석된다(Lee & Lee, 2017). 이렇듯 직업전문성은 스스로가 전문적이라 여기는 직관적인 태도적 속성이며, 이에 따라 전문가는 자신의 직업에 대한 전문직으로써의 인식과 책임감, 봉사심, 자기조절의 신념 및 고객 서비스 제공에 관련한 지식, 기술, 가치, 윤리의식을 갖춘 태도와 행동을 고수하여야 한다(Bae, 2022).
Hall, 1968의 연구에서는 직업전문성의 속성을 5가지의 특성을 근거로 세분화하여 제시하였으며, 연구 내용에 따르면 전문성의 하위요인으로 준거집단, 서비스신념, 자기통제, 소명의식, 자율성으로 구분하였다(Bae, 2022).
서비스업의 일종인 미용 산업은 직무에 대한 전문성을 지닌 종사자들로 구성되어 고객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관계를 형성한다(Won & Lee, 2023). 따라서 직업전문성이 높은 종사자는 자신의 직업에 대한 자긍심을 갖고 업무효율성을 상승시키며, 직무만족과 더불어 경영성과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되고 있다.

3. 직업만족도

직업만족은 직업의 활동이나 경험 등으로 인해 얻어지는 욕구 충족의 결과물로 즐거움이나 긍정의 정서적 상태를 의미한다(Kim et al., 2021). Lee(1996)는 직업만족과 직무만족의 개념을 비교하여 정의하였는데 직무만족이란 본인의 직장 또는 담당직무와 연관된 상황, 급여, 승진, 조직 구성원과의 관계, 직무 자체에 대한 정서적인 반응이며, 직업만족은 전반적인 본인의 직업에 대한 좋고, 나쁨의 정서적 반응이라고 분류하였다. 그러나 직업만족도의 개념은 이론적 기반이 취약하고, 명확하게 정립되지 않아 직무만족도와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Oh & Yoon, 2009). Juster & Stafford(1985)는 직업만족도가 개인의 생활만족에 가장 중요하나 변수로 작용하며, 직업으로부터 얻어지는 이로움이나 만족은 직업 이외의 다른 변수의 만족보다 높게 나타난다고 하였다. 이렇듯 개인의 욕구와 밀접한 영향이 있는 직업만족은 조직의 효율성에도 중요하게 작용되고 있으며, 직업만족도가 높은 사람은 조직의 애착도 나 직무에 대한 성취도 상승과 더불어 삶의 질이 높아지는 반면, 만족도가 낮은 사람은 조직의 분위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Yoo et al., 2017).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모형

본 연구는 직업가치관과 직업전문성이 직업만족에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직업가치관과 직업만족 간의 관계, 직업전문성과 직업만족 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Fig. 1과 같은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2. 연구가설

H1. 직업가치관은 직업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1. 외재적 직업가치관은 직업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2. 내재적 직업가치관은 직업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 직업전문성은 직업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1. 준거집단의 활용은 직업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2. 서비스 신념은 직업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3. 자기통제는 직업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4. 소명의식은 직업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5. 자율성은 직업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3. 연구대상 및 측정도구

본 연구의 대상자는 충청·경기 지역의 미용실에서 근무하는 종사자를 대상으로 2023년 5월 1일부터 약 2개월 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배포한 설문지 320부 중 표본으로 활용이 불가능한 9부를 제외한 총 285부를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는 선행연구에서 추출된 설문 문항들을 미용종사자의 특성에 적합하도록 수정 보완하였으며, Likert형 척도(1점: 전혀 그렇지 않다, 5점: 매우 그렇다)로 측정하였다. 총 6문항으로 구성된 일반적 특성은 명목척도로 측정하였으며, 직업가치관은 총 15문항으로 고용정보원(2006), Oh & Lee(2009), Park(2011)의 연구를 참고하여 구성하였고, 직업의식은 총 8문항으로 Chung & Jeon(2007)의 연구를 참고하여 구성하였다. 직무만족은 총 7문항으로 Yi(2004), Lee & Choi(2006), Kim & Won(1992)의 연구를 참고하여 구성하였다.

4. 자료분석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며, 본 연구의 구체적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측정도구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계수를 산출하였다. 셋째, 주요 변수의 평균, 표준편차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변수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헤어미용 종사자의 직업가치관과 직업전문성이 직업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 분석한 결과는 Table 1에 제시된 바와 같다. 분석결과 성별은 남성 58명(20.0%), 여성 228명(80.0%)으로 나타났고, 연령은 20대 186명(65.3%), 30대 64명(22.5%), 40대 이상 35명(12.3%)으로 나타났다. 최종학력은 고등학교과정/졸업이하 113명(39.6%), 전문대학과정/졸업 103명(36.1%), 대학교과정/졸업이상 69명(24.3%)으로 나타났고, 월 평균 소득은 100만원 미만 26명(9.1%), 100-200만원 미만 137명(48.1%), 200-300만원 미만 47명(16.5%), 300-400만원 미만 47명(16.5%), 400만원 이상 28명(9.8%)으로 나타났다. 직급은 인턴 148명(51.9%), 디자이너 91명(31.9%), 실장 28명(9.8%), 원장이상 18명(6.3%)으로 나타났다.

2.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1) 직업가치관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직업가치관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요인분석 수행을 위한 검증결과 KMO는 0.865, Bartlett의 구형성 검증은 2144.746(df=66, p=0.000)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분석을 통해 추출된 요인은 총 2개로 나타났고, 이들 요인의 총 누적분산설명력은 64.675%로 나타났다. 또한 각 요인이 갖는 요인적재치가 0.40을 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어 타당성을 충족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추출된 2개의 요인은 각각 ‘내재적 직업가치관’(33.176%), ‘외재적 직업가치관’(31.499%)로 명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내재적 직업가치관’은 0.895, ‘외재적 직업가치관’은 0.874로 나타나 신뢰할 만한 수준으로 검증되었다.

2) 직업전문성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직업전문성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결과는 Table 3과 같다. 요인분석 수행을 위한 검증결과 KMO는 0.880, Bartlett의구형성 검증은 4200.644(df=300, p=0.000)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분석을 통해 추출된 요인은 총 5개로 나타났고, 이들 요인의 총 누적분산설명력은 67.300%로 나타났다. 또한 각 요인이 갖는 요인적재치가 0.40을 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어 타당성을 충족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추출된 5개의 요인은 각각 ‘준거집단의 활용’(15.644%), ‘자율성’(14.071%), ‘서비스 신념’(12.943%), ‘소명의식’(12.809%), ‘자기통제’ (11.832%)로 명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준거집단의 활용’은 0.908, ‘자율성’은 0.886, ‘서비스 신념’은 0.843, ‘소명의식’은 0.857, ‘자기통제’는 0.823으로 나타나 신뢰할 만한 수준으로 검증되었다.

3) 직업만족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직업만족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결과는 Table 4와 같다. 요인분석 수행을 위한 검증결과 KMO는 0.928, Bartlett의 구형성 검증은 2176.392(df=55, p=0.000)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분석을 통해 추출된 요인은 총 1개로 나타났고, 이들 요인의 총 누적분산설명력은 60.978%로 나타났다. 또한 각 요인이 갖는 요인적재치가 0.40을 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어 타당성을 충족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추출된 1개의 요인은 ‘직업만족’(60.978%)으로 명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직업만족’은 0.935로 나타나 신뢰할 만한 수준으로 검증되었다.

3. 상관관계 검증

주요 변수의 기술통계 및 각 변수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먼저 기술통계를 분석한 결과 직업가치관은 하위요인별 ‘외재적 직업가치관’이 평균 3.95점, ‘내재적 직업가치관’이 평균 3.80점으로 나타났고, 직업전문성은 하위요인별 ‘자율성’이 평균 3.73점, ‘소명의식’이 평균 3.59점, ‘자기통제’가 평균 3.58점, ‘서비스 신념’이 평균 3.53점, ‘준거집단의 활용’이 평균 2.88점 순으로 나타났으며, 직업만족은 평균 3.49점으로 나타났다.
각 변수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직업가치관의 하위요인별 외재적 직업가치관(r=.341, p<.001), 내재적 직업가치관(r=.367, p<.001)은 직업만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업전문성의 하위요인별 준거집단의 활용(r=.303, p<.001), 서비스 신념(r=.348, p<.001), 자기통제(r=.445, p<.001), 소명의식(r=.443, p<.001), 자율성(r=.479, p<.001)도 직업만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가설의 검증

1) 가설 1의 검증

헤어미용 종사자의 직업가치관이 직업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먼저 공선성 통계량으로 공차한계는 0.10 이상, 분산팽창지수(VIF)는 10 이하로 나타나 다중공선성의 문제는 없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분석결과 회귀모형의 F통계량은 27.608(p<.001)의 수치를 보이며, 회귀식의 설명력은 16.4%로 나타났다. 독립변수별로는 내재적 직업가치관(β=.259, p<.001), 외재적 직업가치관(β=.202, p<.01)이 직업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업가치관의 하위요인별 내재적, 외재적 직업가치관이 높을수록 직업만족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Lim & Hwang(2022)의 연구에서도 타투이스트의 특성을 바탕으로 직업가치관이 직업만족도의 하위요인인 사회적 인정, 적성, 보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였으며, Cha(2015)는 라인댄스 지도자의 직업가치관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여 본 연구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2) 가설 2의 검증

헤어미용 종사자의 직업전문성이 직업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먼저 공선성 통계량으로 공차한계는 0.10 이상, 분산팽창지수(VIF)는 10 이하로 나타나 다중공선성의 문제는 없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분석결과 회귀모형의 F통계량은 27..939(p<.001)의 수치를 보이며, 회귀식의 설명력은 33.4%로 나타났다. 독립변수별로는 자율성(β=.271, p<.001), 자기통제(β=.191, p<.01), 준거집단의 활용(β=.158, p<.01), 소명의식(β=.151, p<.05)이 직업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업전문성의 하위요인별 자율성, 자기통제, 준거집단의 활용, 소명의식이 높을수록 직업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Yoo et al.(2017)은 미용종사자의 직업전문성이 높을수록 직업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Lee(2017)는 헤어미용인의 직업전문성은 직무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또한 Son(2012)의 연구에서는 MICE 산업 종사자의 직업전문성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는 본 연구의 결과를 뒷받침한다.

V. 결 론

본 연구는 헤어미용 종사자의 직업가치관과 직업 전문성이 직업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여 직업가치관과 직업전문성이 직업만족도와 관계가 있음을 규명하여 헤어미용 종사자와 나아가 미용업의 전문성 강화 및 발전에 기여하는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도는 충족되었으며, 직업전문성의 하위요인인 ‘내재적 직업가치관’, ‘외재적 직업가치관’과 직업전문성의 하위요인인 ‘준거집단의 활용’, ‘서비스 신념’, ‘자기통제’, ‘소명의식’, ‘자율성’은 직업만족과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헤어미용 종사자의 직업가치관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직업가치관의 하위요인인 내재적 가치관, 외재적 가치관이 높을수록 직업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헤어미용 종사자의 직업전문성이 직업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직업전문성의 하위요인인 자율성, 자기통제, 준거집단의 활용, 소명의식과 직업만족도는 정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헤어미용 종사자의 직업가치관과 직업전문성은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고, 하위요인 중 내재적가치관과 자율성 직업전문성의 요인이 높을수록 직업 만족이 충족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헤어미용 종사자의 직업 만족 제고를 위해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제시하는 바이다.
첫째, 인간관계의 중요성과 안정성이 보장된 직업에 대한 가치관이 충족된다면 직업에 대한 만족으로 이어지고, 만족이 충족이 되면 서비스 제공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즉 관리자 및 경영자는 직장 내 종사자들 관계를 위한 유지 및 개선 등 꾸준한 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이는 종사자의 만족과도 연결되는 매우 중요한 부분일 것이다.
둘째, 직업에 대한 전문성 중 본인의 업무를 스스로 결정하고, 업무의 상황에서 주체가 됨을 느꼈을 경우 자부심으로 이어질 수 있음으로 지나친 통제보다는 업무에 대한 판단과 책임 등에 대해 업무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업무 범위를 정확히 분장할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이는 지속적인 업무 지시보다는 스스로 할 수 있는 무언가가 있다는 업무환경이 제공한다면 업무에 대한 효율성과 함께 종사자의 직업 만족은 향상될 것이라 판단된다.
하지만 본 연구의 결과는 경기, 충청지역의 헤어미용 종사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결과로 이를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지만 인적관리가 중요한 헤어미용 경영을 위한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라 판단됨으로 지역의 범위와 직급 등 확장하여 후속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Fig. 1.
Research model.
JKSC-2023-29-6-1458f1.jpg
Table 1.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Item Frequency(N) Percentage(%)
Gender Man 57 20.0
Woman 228 80.0
Age 20 years old 186 65.3
30 years old 64 22.5
over 40 years old 35 12.3
Final education Below high school graduation 113 39.6
A junior college in school 103 36.1
A college in school/graduation 69 24.3
Average montly income less than 1 million won 26 9.1
1 million won - less than 2 million won 137 48.1
2 million won - less than 3 million won 47 16.5
3 million won - less than 4 million won 47 16.5
More 4 million won 28 9.8
Position Interm 148 51.9
Designer 91 31.9
Department manager 28 9.8
Director 18 6.3
Total 285 100.0
Table 2.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estimates of job values
Question Factor 1
Factor 2
Intrinsic work values Extrinsic view of work values
It is important to do something that helps others. .856 .148
I think you can succeed in your job only when your relationship is smooth. .828 .209
I want to do something that is more beneficial to many people than to my own interests. .780 .072
It's good to be recognized for your ability by those around you. .761 .318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demonstrate one's abilities. .748 .367
I think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workplace is relationships. .685 .275
It is very important to be able to continue working with confidence. .139 .830
There should be no easy dismissal. .061 .819
I want to make a name for myself as an expert in one field. .319 .746
It's good to get paid more even if you do the same thing. .212 .744
Having a job is to secure my economic stability. .291 .725
I like doing something that is respected by many people. .305 .634
Eigenvalue 3.981 3.780
Explanatory variable (%) 33.176 31.499
Cumulative variance (%) 33.176 64.675
Reliability factor (Cronbach’s α) .895 .874

KMO=.865, Bartlett's test χ²=2144.746 (df=66, p=.000)

Table 3.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Estimates of Job Professionalism
Question Factor 1
Factor 2
Factor 3
Factor 4
Factor 5
Reference group autonomy Service beliefs sense of calling self-control
Attending regular beauty meetings .917 .001 -.009 .106 .105
People around me work in other professions than hairdressers. .855 .091 .134 .046 .033
I support the goal pursued by the beauty profession. .834 .078 .134 .109 .104
I read newsletters related to my major regularly. .816 .041 .072 .109 -.001
The Cosmetology Association strives for the rights and interests of cosmetologists. .758 .062 .231 .060 .129
It is important to be free to make self-judgment when working. -.001 .802 .193 .189 .095
I am sure that my own judgment is the final judgment in the context of work. .085 .779 .038 .204 .215
I pride myself on being the subject in almost all work-related situations. .171 .778 .104 .121 .227
There are times when I have to make my own decisions while working. -.038 .765 .330 .198 .091
I make up my own mind about what I'm going to do. .097 .702 .275 .248 .128
The importance of hairdressers is overemphasized. .146 .230 .810 .057 .063
During beauty work, the services provided to customers are important. -.009 .160 .793 .122 .116
The evaluation criteria for hairdressers is providing beauty services to customers. .060 .147 .732 .047 .331
Hairdressers contribute more to society than other professions. .328 .097 .639 .209 .151
The weakening of the hairdresser's job is detrimental to society. .229 .183 .629 .076 .180
I got engaged because I like to work in the beauty field. .092 .089 .059 .815 .140
Reward is more important than salary in work.. .164 .190 .013 .764 .131
I feel a sense of vocation in what I do. -.018 .297 .159 .754 .244
It's easy to be passionate about beauty. .113 .136 .154 .694 .216
Others don't know much about the rewards I get from work. .126 .363 .152 .616 .189
Those who violate the rules and ethics of hairdressers should be regulated. .044 .199 .130 .240 .750
I have the ability to judge the skill level of other hairdressers. .136 .107 .097 .148 .745
Hairdressers should actively practice the code of ethics. .108 .153 .094 .329 .733
Violation of hairdresser's rules and ethics is punished. .240 .102 .291 .072 .642
Beauty professionals rate each other better. -.137 .233 .299 .171 .600
Eigenvalue 3.911 3.518 3.236 3.202 2.958
Explanatory variable (%) 15.644 14.071 12.943 12.809 11.832
Cumulative variance (%) 15.644 29.716 42.659 55.468 67.300
Reliability factor (Cronbach’s α) .908 .886 .843 .857 .823

KMO=.880, Bartlett's test χ²=4200.644 (df=300, p=.000)

Table 4.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Estimates of Job Satisfaction
Question Factor 1
Job satisfaction
I am satisfied with the job description. .854
I am satisfied with the social reputation of the beauty industry. .824
I am satisfied with the promotion system. .802
Satisfy the working environment (facility, safety, sanitation, etc.). .798
be satisfied with the security of employment. .796
I am satisfied with wages or income. .795
I am satisfied with the autonomy and authority of the beauty industry. .792
I am satisfied with the benefits system. .759
I am satisfied with the working hours (working hours, working days). .742
I am satisfied with the potential for personal development. .711
I am satisfied with the relationship at work. .703
Eigenvalue 6.708
Explanatory variable (%) 60.978
Cumulative variance (%) 60.978
Reliability factor (Cronbach’s α) .935

KMO=.928, Bartlett's test χ²=2176.392 (df=55, p=.000)

Table 5.
Correlation Verification
Sortation M±SD Job values
Job professionalism
Job satisfaction
Extrinsic view of work values Intrinsic work values Reference group Service beliefs self- control sense of calling autonomy
Extrinsic view of work values 3.95±.771 1
Intrinsic work values 3.80±.837 .538*** 1
Reference group 2.88±.884 .130* .055 1
Service beliefs 3.53±.764 .511*** .377*** .340*** 1
self-control 3.58±.726 .301*** .306*** .251*** .504*** 1
sense of calling 3.59±.786 .290*** .288*** .260*** .370*** .532*** 1
autonomy 3.73±.805 .464*** .445*** .198*** .481*** .472*** .534*** 1
Job satisfaction 3.49±.761 .341*** .367*** .303*** .348*** .445*** .443*** .479*** 1

* p<.05,

*** p<.001

Table 6.
Effects of the Job Values of Hairdressers on Job Satisfaction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non-standardization coefficient
Standardized coefficient
t p Collinearity Statistics
B S.E. β Tolerance VIF
Job satisfaction (A constant) 1.806 .233 7.734 .000
Extrinsic view of work values .199 .064 .202 3.125** .002 .711 1.407
Intrinsic work values .235 .059 .259 4.005*** .000 .711 1.407
R²=.164, Adj. R²=.158, F=27.608***, p=.000

** p<.01,

*** p<.001

Table 7.
Effects of the Job Professionalism of Hairdressers on Job Satisfaction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non-standardization coefficient
Standardized coefficient
t p Collinearity Statistics
B S.E. β Tolerance VIF
Job satisfaction (A constant) .855 .232 3.690 .000
Reference group .136 .045 .158 3.006** .003 .861 1.161
Service beliefs .011 .061 .011 .177 .860 .631 1.585
self-control .201 .066 .191 3.022** .003 .595 1.682
sense of calling .147 .061 .151 2.406* .017 .604 1.657
autonomy .256 .059 .271 4.322*** .000 .608 1.644
R²=.334, Adj. R²=.322, F=27.939***, p=.000

* p<.05,

** p<.01,

*** p<.001

References

An, G. H.. (1998). Study on the types of work values of the junior college student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Bae, S. Y. (2022). Effect of Self-Reflection on Subjective Career Performance of Job Counselors: Mediating effect of professionalism recogni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Cha, H. J., Choi, S. A., & Seo, M. G. (2015). Impact of Occupational Values on Dance Flow and Job Satisfaction in Line Dance Instructor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33(2), 295-318. doi: 10.15726/jkd.2015.33.2.012.
crossref
Chung, H. Y., & Jeon, Y. J. (2007). The Effects of Social Recognitions on Occupational Confidence and Job Satisfaction Among Hotel Employees in Daeion Area. J. Kor. Contents Assoc, 7:209-217. doi: 10.5392/JKCA.2007.7.12.209.
crossref
Jeong, B. M.. (1972). Sense of Value & Education Seoul, Baeyoungsa.
Joo, M. W., & Kim, S. N. (2015). A Analysis on the Working Environment and Health·safety Awareness of Beauty Worker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3), 1725-1731. doi: 10.5762/KAIS.2015.16.3.1725.
crossref
Juster, F. T., & Stafford, F. P.. (1985). Preferences for Work and Leisure, in Time and Well-Being, Institute for Social Research University of Michigan, p.333-351.
Kang, J. A., & Lee, Y. J. (2014).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Motivation and Job Performance of Beauty Industry Professiona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0(6), 1052-1059.
Kang, P. M. (2015). A Study of Effect of Personality Type and Self-esteem on Preferred Hairstyle Imag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1(1), 35-40.
Kim, H. J. (2010). Study on the Work Value of College Students Majorin Cosmetology -Centering on the Students in Busan Metropolitan City-.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s, 11(4), 163-182.
Kim, J. S., & Shin, J. Y. (2021). 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of College Graduates’ Young Self-employed people. Korean Career· Entrepreneurship & Business Association, 5(2), 110-125. doi: 10.48206/kceba.2021.5.2.110.
crossref
Kim, J. R. (2016). A Legislative Study on Legal Protection of Beauty Industry and Beauty Professional Workers. Dongguk University, Seoul.
Kim, S. H., & Won, Y. H. (1992). A Study of the Hotel Employee's Job Satisfaction, and Service Delivery Level-Focused on eight Super Deluxe Hotels in Seoul. Journal of Tourism Sciences, 16(1), 17-32.
Kim, S. H., & Yu, S. H. (2023). Effect of the Empowerment and Occupational Professionalism of Physical Therapists on their Job Satisfaction. The Journal of Korean Orthopedic Manipulative Physical Therapy, 29(2), 11-22.
Kim, H. N. (2020). A Study on the Effect of Occupational Values of University Graduates Working Part-time on Satisfaction with Life : Focusing on mediated effect of work satisfaction. Kyonggi University, Suwon.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2006). An examination of occupational values. Pilot Operation and Evaluation Results Report. Korea, 1-81.
Lee, D. H. (1996). Effect of The Work Ethics on Job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Korea Labor and Employment Relations Association, 6(1), 461-480.
Lee, J. J., & Cui, H. Z. (2006).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Service Quality and Internal Customer Satisfaction of Tourism Hotel. Korea Academic Society of Hotel Administration, 15(2), 145-163.
Lee, M. H. (2017). How Hair Designers' Expertise and Vacation Impacts Job Satisfaction. Daejeon University, Daejeon.
Lee, Y. L., & Lee, B. J. (2017).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Occupational Profession of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in Dance Field.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Studies, 12(5), 83-102. doi: 10.15815/kjcaes.2017.12.5.83.
crossref
Lim, B. R., & Hwang, H. J. (2022). Effects of Job Choice Motivations and Work Values of Tattooist on Job Satisfaction.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s, 23(1), 59-82.
crossref
Oh, S. U., & Lee, S. G. (2009). The Effects on the Degree of Job Tit and First Job Satisfaction by the College Students' Job Value Type. The Journal Career Education Research, 22(2), 1-19.
Oh, S. W., & Yoon, S. J. (2009). A Study on Job Sa?faction and Work Accordance by Job-seeking paths for the First-time Employed College Graduates. The Academy of Customer Satisfaction Management, 4:125-143.
Park, B. G. (2002).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lland's Vocational Personality Types and Aptitude, Work Aalu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Park, H. S. (2011). A Study on the Work Value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Health Care Management.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5(4), 95-111.
crossref
Park, J. R. (2006). Study on Female New Residence Seekers' Work Walues and CareerDecision-making Prosess -A contextual approach from North Korea to South Korea.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Schulrnberg, Vondracek, F. W., & Kim, J. (1993). Career Certainty and Short - term Changes in Work Values During Adolescence.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41:268-284.
crossref
Shin, T. S., & Cho, Y. C. (2014). Professional Job Perception and Job Satisfaction,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Medical Recorders Engaged in General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7), 4258-4271.
crossref
Son, J. M. (2012). The Influence of Professionalism on the Job Satisfaction of MICE Employees. Korea MICE Tourism Society, 12(2), 47-65.
Won, Y. R., & Lee, I. H. (2023). The Influence of Professionalism on Employee Authenticity and Attractiveness in Workers from Small Beauty Salons.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s, 24(2), 41-57.
crossref
Yi, Y. J.. (2004). Service Marketing Seoul, Hakhyeonsa.
Yoo, E. J., Juong, S. H., & Shim, S. N. (2017). A Study on the Effects of Job-related Variables on Job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ism among Beauty Salon Worker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7), 435-444.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10-2825-6735   Fex: +82-62-950-3797    E-mail: beauty2007@hanmail.net                

Copyright © 2025 by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