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Cosmetol > Volume 30(1); 2024 > Article
희귀종 꽃을 모티브로 한 헤어아트 제작

Abstract

Flowers are the outcome of plants. They have been commonly used as a material for art because they can express beauty with various colors and make diverse expressions possible. With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beauty art industry, people’s interest in hair art has increased. At the same time, materials for hair art have become diversified. For example, waste hair has been used for painterly-style art. In addition, color is emphasized for a formative meaning. In hair art created with flower images, hair is used to express flowers' diverse colors and 3-dimensional effects. The study results found the following: In Design I, dark colors were used to dynamically express the natural colors and vigor of wildflowers. In Design II, wildflowers were expressed like living creatures with the movements of petals. In Design III, dark colors were used to make flower stalks look like the janggu (Korean drum) stick, naturally expressing petals. In Design IV, the lively energy of the color yellow was expressed with flowers, vibrantly expressing leaves. In Design V, dark colors were used to create a straight look, expressing flowers and leaves with a natural violet color. In Design VI, the vigor of wildflowers was expressed with the diverse colors of flowers and petals, while their liveliness was created with leaves. This study further developed hair art into a practical field of study with rare flowers in the pictorial book of wildflowers, allowing anyone to make various attempts.

I. 서 론

꽃은 자연식물의 결과이면서 예술의 소재로 사랑받아 오고 있다. 꽃을 예술적 소재로 사용하는 이유로 Kim(2023)은 다양한 색채를 통해 아름다움을 표현할 수 있다고 하였으며, 응용범위가 넓어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다고 하였다. 최근 미용예술 산업의 발전으로 헤어아트에 대한 연구가 많아지면서 헤어에 표현할 수 있는 아트 소재가 다양화되었다. 소재로는 폐 모발을 이용하여 회화를 디자인한 회화적 아트로써 미술적 부분에 조형적 의미로 색감을 강조하는 방법이라하였다(Eom, 2014; Hang, 2018). 이런 방법은 회화적 아트로써 시각적∙공감적 표현을 함으로써 헤어아트의 창의적 미를 부각시키는 방법이 되었다. 아울러 Song(2011), Kim(2019), Phack(2007) 등은 입체적 헤어 아트를 통한 조형적 작품을 표현하여 회화적 아트보다 더욱 공감각적이고 입체적인 작품을 보여주었다. 꽃의 이미지를 형상화한 헤어아트 연구로는 Choi(2012), Kim(2015), Kim(2021) 등이 작품으로 표현하였고, An(2021)은 꽃의 색상과 모양의 입체감을 표현하기 위해 모발을 사용하여 작품을 표현하였다. 이처럼 희귀종 꽃을 모티브로 한 헤어아트 작품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며 이를 제작하고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논문은 365 야생화도감 중 희귀종 꽃을 선정하여 희귀종이 주는 예술적 영감의 우수성을 평가하여 헤어아트의 응용범위와 창의성을 확장하고자 연구되었다. 희귀종 꽃은 다양한 색상과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예술가에게 미적 영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헤어아트는 머리카락을 예술적으로 꾸미는 것으로, 개인의 취향과 특성을 표현할 수 있는 예술의 한 분야이다. 헤어아트는 미용학의 응용범위를 넓히고, 헤어아트 작품의 품질과 창의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희귀종 꽃을 모티브로 한 헤어아트 작품을 제작하고, 이를 평가하는 방법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또한 희귀종 꽃의 특징과 형태를 모티브로한 헤어 아트 작품을 제작하고 평가하여 실용학문으로의 헤어분야를 더욱 발전시켜 예술분야로서의 다양한 시도를 누구나 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II. 이론적 배경

1. 희귀종 꽃의 활용

희귀종 꽃이란 흔하게 볼 수 없는 야생화로 지역적 또는 기후적으로 독특한 이름이나 특성을 갖는 꽃을 말한다. 희귀종 꽃은 최근에는 부케나 결혼식장의 디스플레이, 꽃박람회 등에서 흔하지않는 기회로 꽃을 볼 수 있다. 본 연구 논문은 365 wild flower illustrated book(2020), 국립생물자연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의 자료를 수집하여 가장 아름답고 색감이 좋은 6종의 꽃을 모티브로 하여 헤어아트로써 활용하였다.
구름떡쑥 꽃은 국화과로 높은 산의 건조한 풀밭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높이 5~20cm이다. 뿌리줄기는 끝이 비늘 조각 같은 잎으로 덮여 있으며 옆으로 뻗어 있다. 제주도 한라산에 자생하는 한국 고유종으로 관상용으로 심기도 한다. 개화시기는 8~9월이다.
가는동자 꽃은 석죽과로 여러해살이 풀로 높은 산의 반 그늘진 습지에서 자란다. 높이는 60~100cm로 자라며, 잎은 마주나기하고 잎자루가 없으며, 길이 5~10cm, 폭 0.6~1.2cm이다. 꽃은 꽃대 끝에 1개가 피며, 꽃잎이 찢어진 모양의 붉은색이다. 개화시기는 9~10월이다.
분홍장구채 꽃은 석죽과로 두해살이 풀이며, 햇볕이 잘 드는 곳과 물빠짐이 좋고 경사진 풀밭에서 자란다. 높이는 30~80cm로 자라며, 잎은 마주나기이며 길이 3~10cm, 폭이 1~3cm로 긴타원형이다. 꽃은 꽃대 끝에 1개의 꽃이 피고 백색으로 달린다. 개화시기는 9~10월이다.
새우난 꽃은 난초과로 여러해살이 풀이며, 제주도에 삼나무가 있는 곳에 습하고 무기질이 많은 토양에서 자란다. 높이는 30~50cm로 자라며, 길이 15~25cm, 폭 4~6cm이다. 잎이 긴타 원형으로 양끝이 좁고 꽃은 잎사이에서 꽃대가 나오고 씨방과 더불어 짧은 털이 나온다. 개화시기는 6~8월이다.
깽깽이풀 꽃은 매자나무과로 여러해살이 풀이며, 주로 저지대의 약간 습기가 있는 반그늘에서 자란다. 높이는 20~30cm로 자라며, 길이와 폭이 약 9cm로 둥근 심장형이다. 개화시기는 6~8월이다.
엘레지는 백합과로 숙근성 여러해살이 풀로 관엽, 관화식물이다. 주로 높은 산 속의 낙엽수림 아래 비옥한 땅에서 자라나며, 반 그늘지고 주변 습도가 높은 곳을 좋아한다. 높이는 25cm로 자라며, 잎은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약간 주름지며 길이가 6~12cm, 폭이 2.5~5cm로 긴타원형이다. 꽃은 자주색 꽃이 피며, 꽃잎이 6개로 안쪽에 W자형 무늬가 있다. 개화시기는 5월이다.

2. 헤어아트 정의

헤어아트란, 헤어에 예술적 활용도를 적용하는 창조적인 분야이며, Choi(2015) & Kim(2004)은 기존 모발을 이용한 헤어스타일에서 탈피하여 예술적으로 다양하게 표현하는 집합적 행위예술이라 하였다. 또한 Jong(2018)는 미용산업의 발달로 뷰티아트(Beauty art)가 전문용어로 사용되어 예술 분야로써 활성화되면서 헤어 분야에서 창조적이고 예술적 의미의 헤어아트라는 용어가 사용되게 되었다고 하였다. Kim(2018)에 의하면 헤어아트는 크게 모델을 이용하는 실용적 아트, 모발을 이용하는 헤어아트, 미술사조의 영향을 받아 미술적 측면으로 다양한 색감을 넣는 조형적 아트, 공감적․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조형적 아트로 나뉜다고 하였다. 꽃을 소재로 한 논문으로는 Choi(2012)가 있으며, 꽃의 이미지를 형상화한 헤어디자인 연구를 한 Choi(2012)와 덩굴식물을 응용한 헤어아트 디자인 연구로 Kim(2014)이 있다. 그 외에 꽃을 형상화한 Lim & Kim(2013)은 헤어피스를 활용한 꽃의 이미지 헤어핀 제작 하였으며, 꽃의 이미지를 형상화한(Jin & Kim, 2007) 헤어아트 디자인 연구가 있다.

III. 내용 및 방법

1. 이론적 연구 및 방법

꽃을 모티브로한 헤어아트 연구인 An(2021)의 논문과 참고문헌을 참고하여 희귀종 꽃 6종의 꽃의 특성, 헤어아트의 개념 및 표현방법, 기법, 작품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조사하고 분석하였으며, 희귀종 꽃에 관한 내용을 수집하여 그 중 모양이 다른 꽃 6종류를 선정하여 각자의 상징성을 파악하고 분석하는 참고문헌들에 대한 문헌연구를 하였다. 실증적 연구에서는 야생화 도감을 참고하여 작품 제작의 주재료인 폐모발과 백색 헤어피스를 이용하여 매니큐어를 사용하였고, 꽃의 색감을 표현하기 위해 매니큐어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서론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을 제시하였다.
둘째, 이론적 배경에서는 희귀종 꽃의 활용 및 헤어아트의 정의 및 선행논문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셋째, 재료 및 방법에서는 연구방법과 작품의 재료를 제시하였다.
넷째, 결과 및 고찰에서는 희귀종 꽃을 조합하고 헤어아트의 개념을 고찰하여 본 연구에 적합한 헤어아트 총 6 작품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결론에서는 연구에 대한 결론을 제시하였고 향후 연구를 위한 후속 방안을 제시하였다.

2. Materials

작품 제작에 필요한 재료는 <Table 1>과 같다.
The materials needed for hair art are as follow:

IV. 결과 및 고찰

1. 작품1(유기적 구조)

1) 작품 모티브 및 작품 설명

구름떡쑥은 구름 위 떠 있는 모양이라 하여 구름떡쑥이며 우리나라 제주도에서 피는 희귀종 꽃이다. 9월부터 피어나 길면 10월까지 개화시기로써 꽃을 표현하기 위해 흰색 계열로 표현하였고 꽃잎은 갈색 계열의 매니큐어를 사용하여 구름떡쑥을 모티브로 헤어아트를 제작하였다. 작품 1은 야생화가 가지고 있는 자연스런 색감과 조화로운 색상을 표현하여 살아있는 느낌으로 생동감있게 제작하였다(Jong, 2018).

2) 작품 제작 과정

(1) 구름떡쑥 제작 과정

① 모발에 매니큐어를 입힌다
② 꽃잎을 만든다
③ 꽃잎을 만든다
④ 줄기를 만든다
⑤ 잎사귀를 만든다
⑥ 모발을 분쇄하여 준비한다
⑦ 꽃모양 자리 잡는다
⑧ 꽃잎을 풍성하게 붙인다
⑨ 잎사귀를 풍성하게 붙인다
⑦ 분쇄한 모발을 뿌려 구름떡숙 꽃을 완성한다

2. 작품2(유기적 구조)

1) 작품 모티브 및 작품 설명

가는동자 꽃은 9월부터 피어나 길면 10월까지 개화시기로써 연한 붉은 꽃이 피며 전 세계에서 한국과 일본에만 남아있는 귀한 희귀종 꽃이다. 꽃을 표현하기 위해 분홍색 계열 및 꽃대와 흙은 녹색계열의 매니큐어를 사용하여 가는 동자꽃을 모티브로 헤어아트를 제작하였다. 작품 2는 야생화가 가지고 있는 꽃잎에 입체감을 주어 움직임을 통하여 살아있는 느낌으로 제작하였다(Jong, 2018).

2) 작품 제작 과정

(1) 가는동자 꽃 제작 과정

① 모발에 매니큐어를 입힌다
② 꽃 모양을 자른다
③ 아이롱으로 꽃을 자연스럽게 만든다
④ 꽃술을 만든다
⑤ 꽃대를 만든다
⑥ 모발을 분쇄하여 준비한다
⑦ 꽃술에 다진 모발을 붙인다
⑧ 잎사귀를 만든다
⑨ 꽃대에 잎사귀랑 꽃잎을 자리 잡는다
⑩ ⑨에 꽃술을 붙인다
⑪ ⑩에 꽃술을 고정시킨다
⑫ 분쇄한 모발을 뿌리고 가는동자 꽃을 완성한다

3. 작품3(유기적 구조)

1) 작품 모티브 및 작품 설명

가는 줄기가 장구의 채를 닮았다하여 장구채 꽃이라는 꽃말을 얻었다. 꽃말은 동자의 웃음’이다. 연한 보라색 꽃에 흰 수술의 조화가 자연스런 색감의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희귀종 꽃이다. 개화시기는 9~10월이며 꽃잎이 두 개씩 짝으로 피는 특성이 있고, 꽃과 꽃대는 같이 보라색 계열의 매니큐어를 사용하여 분홍장구채 꽃을 모티브로 헤어아트를 제작하였다. 작품 3은 짙은 꽃대가 장구채와 같은 느낌을 주기 위해 짙은 색감으로 표현하고 살아있는 꽃잎을 자연스럽게 제작하였다(Jong, 2018).

2) 작품 제작 과정

(1) 분홍장구채 꽃 제작 과정

① 꽃잎을 만든다
② 줄기를 만든다
③ 분쇄한 모발을 토끼표 본드와 섞은 후 모양을 잡는다.
④ 초록색과 보라색을 분쇄한다
⑤ 흰색 꽃술을 만든다
⑥ 보라색 꽃술을 만든다
⑦ 5장의 꽃잎 모양을 자른다
⑧ 줄기에 꽃을 만들어 붙인다
⑨ ⑧에 꽃잎을 붙인다
⑩ ⑨에 분쇄한 모발을 뿌리고 완성한다

4. 작품4(유기적 구조)

1) 작품 모티브 및 작품 설명

줄기와 뿌리가 새우를 닮아 새우란이라 한다. 꽃말은 ‘겸허, 성실’로 그 피어있는 자체가 숙연한 마음을 느끼게 한다. 노란색의 꽃이 화려하여 난의 일종으로 제주에서 많이 야생하며, 개화시기는 6~7월이며 꽃은 있고, 꽃과 수술을 노란색 계열의 매니큐어를 사용하여 새우란 꽃을 모티브로 헤어아트를 제작하였다. 작품 4는 야생화가 가지고 있는 노란색의 활기찬 느낌을 꽃으로 표현하였고 잎들이 살아있는 듯 생동감있게 제작하였다(Jong, 2018).

2) 작품 제작 과정

(1) 새우란 제작 과정

① 매니큐어를 칠한다
② 꽃잎 5장을 만든다
③ 꽃술 모양을 만든다
④ 잎을 만든다
⑤ 줄기를 만든다
⑥ 줄기에 꽃잎을 붙인다
⑦ ⑥에 잎의 위치를 확인한다
⑧ 잎사귀를 붙인다
⑨ 분쇄한 모발을 뿌리고 새우란 꽃을 완성한다

5. 작품5(유기적 구조)

1) 작품 모티브 및 작품 설명

한국의 대표적인 야생화이면서 희귀종 꽃이기도 한 깽깽이풀은 ‘안심’이라는 꽃말처럼 둥근 잎이 안정적이고 차분한 느낌을 준다. 개화시기는 6-8월로 연한 보라색의 둥근 꽃과 수술을 연한 보라색과 노란색 계열의 매니큐어를 사용하여 깽깽이풀 꽃을 모티브로 헤어아트를 제작하였다. 우리나라 익기의 깽깽이처럼 강직하고 곧은 모습의 꽃을 표현하기 위해 꽃대를 길고 단단하게 염색하여 말아서 만들었다. 작품5는 깽깽이풀의 곧은 모습을 표현하기 위해 짙은 색감으로 표현하였고, 꽃과 잎을 보라색의 자연스런 색감으로 제작하였다(Jong, 2018).

2) 작품 제작 과정

(1) 깽깽이풀 꽃 제작 과정

① 매니큐어를 입힌다
② 꽃대를 만든다
③ 꽃 모양으로 만들어 자른다
④ 분쇄한 모발을 본드와 섞은 후 모양을 잡아 하루를 건조한다
⑤ 꽃 암술을 만든다
⑥ 모발을 분쇄한다
⑦ 꽃과 수술을 밀착하여 고정시킨다
⑧ 꽃잎을 붙인다
⑨ 꽃술을 붙인다
⑩ 분쇄한 모발을 뿌리고 깽깽이 풀 꽃을 완성한다

5. 작품6 (유기적 구조)

1) 작품 모티브 및 작품 설명

봄의 꽃이라고 하며, ‘바람난 여자’라는 꽃말처럼 바람이 불면 날리는 모양의 꽃잎이 독특하고 화려하다. 개화시기는 5월로 연한 보라색의 삼각모양의 꽃과 수술을 위해 연한 보라색 계열의 매니큐어를 사용하여 엘레지 꽃을 모티브로 헤어아트를 제작하였다. 엘레지는 여인의 강인하고 여린 모습을 갖고 있는 꽃으로 연한 보라색의 꽃을 자연스럽게 표현하기 위해 모발에 색을 입혔고, 수술의 짙은 보라색 표현을 위해 드라이로 건조 후 조합하였다. 작품 6은 야생화가 가지고 있는 생명력을 꽃과 꽃잎의 색감으로 표현하고 살아있는 듯한 생동감을 잎으로 자연스럽게 제작하였다(Jong, 2018).

2) 작품 제작 과정

(1) 엘레지 꽃 제작 과정

① 모발에 매니큐어를 입힌다
② 보랏빛 암술대를 만든다
③ 수술을 만든다
④ 잎사귀를 만든다
⑤ 꽃대를 만든다
⑥ 모발을 분쇄하여 준비한다
⑦ 수술에다 분쇄한 모발을 소량 묻힌다
⑧ 꽃모양을 자리 잡는다
⑨ 꽃잎이랑 꽃술을 붙인다
⑩ 분쇄한 모발을 뿌려 엘레지 꽃을 완성한다

V. 결 론

본 연구는 야생에서 볼 수 있는 희귀종 꽃이 가지고 있는 자연의 아름다움에 대한 이미지를 모티브로 헤어아트 작품을 제작하였으며 꽃이 주는 자연의 아름다움을 헤어아트에 활용함으로써 꽃의 색감이 주는 화려함, 꽃의 형태에서 오는 시각적∙공감적 효과를 얻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선행논문, 단행본, 웹사이트의 자료를 수집하여 희귀종 꽃의 이미지를 형상화한 헤어아트 작품을 제작하였다.
작품1의 구름떡쑥 꽃은 제주도에서 피는 희귀종 꽃으로 꽃을 표현하기 위해 흰색 계열로 표현하였고 꽃잎은 갈색 계열의 매니큐어를 사용하여 구름떡쑥을 모티브로 헤어아트를 제작하였고, 작품2의 가는동자 꽃은 꽃을 표현하기 위해 분홍색 계열 및 꽃대와 흙은 녹색계열의 매니큐어를 사용하여 가는 동자꽃을 모티브로 헤어아트를 제작하였다.
작품3은 분홍장구채의 꽃과 꽃대는 보라색 계열의 매니큐어를 사용하여 분홍장구채 꽃을 모티브로 헤어아트를 제작하였고, 작품4는 제주에서 많이 야생하는 새우란 꽃은 꽃과 수술을 노란색 계열의 매니큐어를 사용하여 새우란 꽃을 모티브로 헤어아트를 제작하였다.
작품5는 한국의 야생화인 깽깽이풀 꽃은 연한 보라색의 둥근 꽃과 수술을 위해 연한 보라색과 노란색 계열의 매니큐어를 사용하여 새우란 꽃을 모티브로 헤어아트를 제작하였고, 작품6은 봄의 꽃이라 불리는 엘레지 꽃은 연한 보라색의 삼각모양의 꽃과 수술을 연한 보라색 계열의 매니큐어를 사용하여 엘레지 꽃을 모티브로 헤어아트를 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희귀종 꽃이 주는 자연의 아름다움을 표현하여 헤어아트로의 작품 속에서 창의적이고 예술적인 작품으로 제작함으로 희귀종 꽃에 대한 학문적 기초의 자료를 제시할 수 있으며 폐모발을 이용한 헤어아트의 창의적 영감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소재로 희귀종의 꽃에 대한 새로운 발전을 시사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희귀종 꽃이 주는 생동감을 표현하기 어려운 점과 꽃의 자연적 색감을 표현해내지 못하는 안타까움을 느낄 수 있었으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희귀종 꽃을 발견하여 헤어아트에 적용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짐으로 희귀종 꽃에 관심을 갖고 창의적 소재로써 발전시켜 헤어아트 작품으로 탄생시키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Table 1.
Materials of Works
JKSC-2024-30-1-1i1.jpg
Table 2.
Producton Process
JKSC-2024-30-1-1i2.jpg
Table 3.
Producton Process
JKSC-2024-30-1-1i3.jpg
Table 4.
Producton Process
JKSC-2024-30-1-1i4.jpg
Table 5.
Producton Process
JKSC-2024-30-1-1i5.jpg
Table 6.
Producton Process
JKSC-2024-30-1-1i6.jpg
Table 7.
Producton Process
JKSC-2024-30-1-1i7.jpg

References

Ahn, E. S. (2021). Hair Art with Flowers as Motiv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7(2), 400-402.
Choi, H. I. (2015). Bakyeon Waterfall with the Application of Hair,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Graduate School, Daegu. pp.2-16.
Choi, S. J. (2012). Flower Image-based Hairstyling, Master’s Thesis, Seokyeo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Beauty Arts, Seoul. pp.20-25.
Chun, Y. N. (2015). Analysis of Plant Shape-based Creative Updo Styles, Master’s Thesis, Youngsa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Beauty and Art, Busan. p.88.
Chung, M. H. (2018). Sipjangsaeng (Ten Symbols of Longevity)-based Hair Art, Ph.D. Dissertation, Seokyeo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Beauty Arts, Seoul. pp.34-36.
Chae, S. S., & Kim, S. N. (2010). A Piece of Hair Art with the Image of Pine Tree Shown in the Chosun Dynasty Painting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7(2), 400-402.
Eom, S. R., & Kim, S. N. (2013). Flower Image-based Hairpin Development, Using Hairpieces. Korea Design Forum, 10(40), 315-322.
Eom, S. R. (2014). A Study of Hair Art Using Waste Hair-based Abstract Expressionism, Seokyeo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Seoul. pp.1-14.
Hwang, C. H. (2018). Analysis of Waste Hair-based Paintings, Master’s Thesis, Seokyeo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Beauty Arts, Seoul. pp.20-23.
Hwang, C. H., & Gwon, G. H. (2019). Stndy on Hair Art Works with the Motif of Sagunj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5(1), 180-189.
Jin, Y. M., & Kim, S. N. (2007). Flower Shape-based Hairstyling. Journal of the Korean Fashion & Beauty Society, 5(1), 51-55.
Kim, W. I. (2023). A Study on Hair Art with the Motif of the Four Seasons’ Repre sentative Flower. The Korea Beauty Art Management Association, 9(5), 17-32.
Kim, M. (2019). A Study of Pictorial Hair Art Using Discarded Hair - Focusing on the Works of Vincent Van Gogh,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Graduate School, Daegu. pp.2-11.
Park, H. G. (2017). Analysis of Feather-embellished Hair Art, Master’s Thesis, Seokyeo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Beauty Arts, Seoul. pp.41-42.
Kim, E. S. (2018). Development of the Formative Beauty of Wild Flowers-based Hairstyles, Master’s Thesis in Cosmetology, Daegu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Design, Daegu. pp.45-46.
Kim, S. W. (2004). Analysis of Modern Art Hairstyles, Ansan I Univers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5(1), 108.
Lee, S. Y., & Kang, M. Y. (2013). Analysis of Updo Styles and Preferences by Generation by Changes in Base Position, Korean Society of Global Health.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of Health & Beauty, 7(2), 2-5.
Lee, E. J., & Park, C. H. (2013). Analysis of Heinrich Wölfflin’s Style-based Updo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9(1), 114-124.
Song, D. N. (2011). Study on Up-Style Design Application of Architecture Design Principles: Focus on a study of 10 Pritzker Architecture Prize Winners, Master’s Thesis, Seokyeo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Beauty Arts, Seoul. pp.15-25.
Seong, G. J., & Jin, Y. M. (2021). Analysis of Hairstyles Created by Taking Winter Flowers as Motiv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7(6), 1307-1312.
Won, D. H. (2015). Updo Styling with Rose as Motif, Dept. of Life Art & Design, Daegu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Design, Daegu. pp.15-20.
https://species.nibr.go.kr/. (2023. 04. 02).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10-2825-6735   Fex: +82-62-950-3797    E-mail: beauty2007@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