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의 공진화가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와 잠재적수요가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evolution of AI-Based Customized Cosmetics Preparation on Customized Cosmetic Preparation Managers and Potential Demand Values
Article information
Trans Abstract
The AI-Based customized cosmetics market within the south korean cosmetic industry has reached the commercialization stage, requiring strategic responses to future potential deman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the co-evolution opinion of AI-Based customized cosmetics preparation on the opinions on AI-Based customized cosmetic preparation managers and the potential demand values. Data analysis is lived in Seoul and Gyeonggi, The final 827 copies of data collected from female consumers in their 20s and 40s and older who are interested in AI-Based customized cosmetics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20.0.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co-evolution opinions of AI-Based customized cosmetics preparation (radical innovation and incremental innovation) influenced AI-Based customized cosmetic preparation managers opinions (supervision and management of the preparation process, safety and hygiene management) and potential demand values of AI-Based customized cosmetics (economic value, quality value, social-ethical value, brand value). Therefore, if marketing strategies for the growth of AI-Based customized cosmetics are formulated based on this study, it could contribute to the popularization of such products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smetic industry.
I. 서 론
현재 우리 사회는 4차 산업혁명 시대로의 진전이 가속화되면서 각종 산업과 문화, 그리고 경제와 관련된 모든 것들이 디지털화되고 있다. 다양한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초개인화시대를 촉발시켰고, 나아가 한국의 화장품 기업들은 소비자들의 욕구 충족을 위해 자신만의 취향이 반영된 맞춤형화장품을 탄생시켰던 개인화 전략(Personalization Strategy)에서 최근에는 개개인의 상황을 파악·예측하여 개별적인 맞춤 혜택을 제공하는 초개인화 전략(Hyper-Personal ization Strategy)으로 전향하였다. 이에 따라 AI기반 맞춤형화장품 트렌드가 나타났으며 초고도화된 기술로 조제된 AI기반 맞춤형화장품으로 인해 조제의 공진화가 대두되었다.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의 공진화는 화장품 산업 내의 진화이다. 그 진화의 단위는 로봇에 탑재되어 있는 맞춤형화장품을 조제하는 AI 기술을 의미하며(Cho, 2011), 기존의 맞춤형화장품 공정에 디지털 기술인 AI 기술이 도입되어 조제 기술이 융복합된 것이다(Park, 2019). 이러한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의 공진화는 기존의 맞춤형화장품 조제를 담당했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의 직무에 변화를 가져온다.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는 화장품법 제3조의4에 의거하여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실시하는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 국가자격제도에 응시하여 합격한 자를 말하며(Kim, 2021),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는 기존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와 동일한 근무자로서 AI기반 맞춤형화장품 판매장 내에서의 필수 근무자에 해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AI 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는 AI기반 로봇이 조제한 맞춤형화장품의 공정 과정에서 수반되는 역할을 담당함에 따라 변화된 직무는 물론 발전된 AI기반 로봇의 작동을 주관하게 되므로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의 역량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어(Hankyung, 2023) 소비자의 소비력 증진에 작용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소비자의 수요 자극을 위한 AI기반 맞춤형화장품의 잠재적수요가치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잠재적수요가치는 제품에 대한 갈망은 있으나 실제로 해당 제품을 구매하지 않은 상태에서 앞으로 구매력으로 드러날 수도 있는 잠재적수요를(Korean Sam, 2022) 유효수요로 전환시키기 위해 파악해야 하는 제품에 대한 소비자 가치를 의미한다. 때문에 AI기반 맞춤형화장품의 잠재적수요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AI기반 맞춤형화장품에 관심을 보이는 소비자들의 소비자 가치를 파악해 볼 필요성이 있다.
현재까지의 맞춤형화장품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20~50대 여성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화장품 인식 및 발전방향에 관한 Choi(2019)의 연구와 맞춤형화장품을 선택하는 속성과 안전성에 대한 인식이 구매행동의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Cho(2020)의 연구가 있다. 이 외에도 DTC 유전자 검사에 대한 인식과 맞춤형화장품의 구매의도에 관한 Oh(2020)의 연구가 있다. 그러나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의 역할과 소비자들의 니즈가 변화 확대되고 있으며,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현재 화장품 시장에서 본 연구와 같이 AI와 맞춤형화장품의 공진화, 이로 인해 변화된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의 직무, 그리고 AI기반 맞춤형화장품의 잠재적수요가치에 대해 살펴본 연구는 전무한 실정으로 본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AI기반 맞춤형화장품에 관심이 있는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한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의 공진화 견해를 통해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 견해와 잠재적수요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아울러 본 연구를 바탕으로 맞춤형화장품 산업의 성장과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II. 이론적 배경
1. AI기반 맞춤형화장품
AI기반 맞춤형화장품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따른 초개인화 시대를 겨냥한 전략의 결과물에 해당하며 AI 기술과 기존의 맞춤형화장품이 융복합된 것이다. AI기반 맞춤형화장품은 4차 산업혁명의 대표적인 기술로 꼽히는(Choi, 2019) 머신러닝과 딥러닝이 포함된 AI 기술을 활용하여 소비자들이 모든 화장품 판매처에서 구매했던 정보 이력 즉, 화장품의 종류와 성분, 수집된 개개인의 취향, 흥미 요소, 라이프 스타일 등을 파악한 알고리즘으로 정밀하게 데이터를 분석하여 각 소비자에게 맞는 맞춤형화장품을 추천한다. 그리고 소비자의 주문과 동시에 AI 기술이 적용된 로봇이 직관적으로 추측하여 조제하는 것을 말한다(Vegan News, 2023). 최근 AI 기술을 적용한 맞춤형화장품으로 LG생활건강은 모바일 앱을 기반으로 실제 타투의 감성을 경험할 수 있는 미니 타투 프린터 ‘임프린투’를 2023년 2분기에 출시하였다(Newscj, 2023). 또한 코스맥스의 맞춤형 팔레트 디바이스인 ‘컬러잼’은 화장품 소비 행태의 분석을 통해 개발되어 소비자의 피부 톤과 선호도에 따라 원하는 색을 조합하여 조제된 맞춤형 팔레트 디바이스이다(Palm News, 2023). 이처럼 AI기반 맞춤형화장품은 지속적인 품질 개발과 초고도화된 AI 기술의 발전을 통해 소비자 개개인에게 더 맞춤화된 조제가 실현되어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시장의 추세는 더욱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Kwon & Jeon, 2020; Jeong et al., 2023).
2. 공진화 견해
공진화는 개체와 그 개체가 속한 각 시스템이 서로 상호작용하며 함께 진화하는 것으로써(Son et al., 2007),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의 공진화는 AI가 발전하고 맞춤형화장품이 발전하여 함께 진화(발전)해 나가는 것으로 조제 기술변화의 혁신에 해당한다. 본 연구와 관련된 기술의 발전 및 혁신에 대한 Lee(2021)의 연구에서는 기술변화를 급진적 혁신과 점진적 혁신으로 분류하였다. 급진적 혁신은 새로운 기술에 따른 패러다임의 발생으로 출현하는 것으로써 불연속적 기술변화로 정의하였고, 점진적 혁신은 기술경로에 따른 기술변화로 출현하는 것으로써 연속적 기술변화의 과정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Yoon(2008)의 지식원천의 다양성과 급진적 혁신에 대한 연구에서는 급진적 혁신은 기존 제품과 서비스 및 지식에 중요한 변화를 일으키는 것으로 정의하였으며, 점진적 혁신은 기존의 제품과 서비스 및 기술이 포함된 지식을 새롭게 정비하고 기존의 제품 및 서비스의 질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위의 선행연구들을 참고하여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의 공진화를 급진적 혁신과 점진적 혁신 2가지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먼저 급진적 혁신은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의 공진화 견해의 효율적인 생산성 및 소비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공진화에 주력하는 것을 급진적 혁신이라고 명명하였으며, 빅데이터의 지속적 관리와 변화하는 소비자 피부의 예측 기능, 효과성 있는 원료의 개발 등으로 부가가치를 향상시키는 공진화가 지속되는 것을 점진적 혁신으로 명명하였다.
3.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 견해
기존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는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 국가자격제도에 응시하여 합격한 자를 말한다. 맞춤형화장품 판매업의 신고사항에는 맞춤형화장품의 혼합·소분 등 품질·안전 관리 업무에 종사하는 자를 두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여기에 해당하는 종사자가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이다(Cosmetics Act, 2022). 현재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는 AI기반 로봇이 조제한 맞춤형화장품의 탄생으로 인해 기존의 직무에 변화가 왔다. 때문에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는 AI기반 로봇과 관련된 직무 교육을 통해 새로운 직무 환경에 적응해야 한다. 이 같은 AI기반 로봇이 발전함에 따라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의 역할이 더욱이 중요해질 것으로 보인다(Hankyung, 2023).
본 연구와 관련된 Han(2020)의 연구에서는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 인식을 인지 여부, 조언 필요 제품, 이미지, 긍정적 영향, 검증 시스템 필요 이유, 검증 시스템 필요 유무, 피부 진단 받을 의향 여부로 맞춤형화장품과 조제관리사의 인식·선호도를 정립하였다. 또한 식약처는 해당 제도가 시행된 후, 소비자 보호를 위한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 매장과 관련된 전반적인 체계에 있어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의 조제 과정 감독·관리, 안전·위생관리 동영상을 배포함(Medical newspapers, 2023)과 동시에 정기·수시 감시를 통한 문제 점검을 함으로써 직무에 대한 중요 인식을 높이고자 노력하고 있다(Newswatch, 2020).
이에 본 연구에서는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의 견해를 2가지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먼저 AI기반 로봇 작동 및 AI기반 로봇이 조제한 맞춤형화장품에 대한 조제 과정 감독·관리와 주기적인 품질관리를 조제 과정 감독·관리 요인으로 명명하였고, AI기반 로봇의 작동과정에 대한 안전관리 및 용기 위생관리를 안전·위생관리 요인으로 명명하였다.
4. 잠재적수요가치
잠재적 수요는 미래에 현실화될 것으로 예측되는 수요를 의미한다(Seoul Economy, 2016). 그러므로 면밀하고 신속한 통찰력으로 잠재적 수요자의 진정한 수요를 알아내는 것이 중요하다(Cheon, 2019).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잠재적수요가치는 AI기반 맞춤형화장품에 관심이 있어 미래에 AI기반 맞춤형화장품의 구매자가 될 가능성이 있는 소비자의 가치를 의미한다. 소비자 가치는 소비자가 제품을 구매하고 사용하면서 얻게 된 결과로 형성되는 개인의 신념으로(Park, 2011; Kim, 2017), 서비스와 제품의 효용에 대한 전반적 평가를 말한다(Nam, 2020).
본 연구와 관련된 화장품 및 맞춤형화장품의 소비 가치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Kim(2021)의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의 화장품 소비 가치를 감정적 가치, 기능적 가치, 진귀적 가치, 사회적 가치, 윤리적 가치로 정립하였고, 본 연구와 관련된 Cho(2020)의 맞춤형화장품에 대한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선택속성을 브랜드, 품질, 가격, 지각적 가치로 분류하였고, Kim & Lee(2020)의 맞춤형화장품에 대한 연구에서는 선택속성을 유효성, 안정성, 안전성 확보의 중요, 만족감, 원료 부자재의 친환경성 및 전성분 표시내용, 사용자 취향의 향취의 느낌 및 향의 정신적 효과의 중요성으로 나눴으며, Kong(2021)의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추구혜택을 브랜드 추구, 품질 추구, 가격 추구, 지각적 가치 추구로 하위 요인을 제시하여 살펴보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위의 선행연구들을 참고하여 AI기반 맞춤형화장품 판매전략과 관련된 잠재적수요의 증진에 필요한 소비자 가치를 4가지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먼저 가격 할인 여부와 샘플 중시를 경제적 가치 요인으로 명명하였고, 성분의 안전성과 유효성, 사용성, 품질 마크 중시를 품질적 가치 요인으로 명명하였고, 천연성분 함유 제품 및 동물실험을 하지 않은 성분과 지속가능한 포장용기의 사용 유무 중시를 사회윤리적 가치 요인으로 명명하였으며, 브랜드의 신뢰성, 상표, 광고, 광고의 모델 중시는 브랜드 가치 요인으로 명명하였다.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 모형
본 연구에서는 서울, 경기 수도권 지역의 AI기반 맞춤형화장품에 관심이 있는 20~40대 이상 여성 소비자를 대상으로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의 공진화가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와 잠재적수요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의 연구모형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Fig. 1).
2. 가설 설정
H1 :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의 공진화 견해는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 견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 :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의 공진화 견해는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잠재적수요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3. 연구대상의 선정 및 자료수집
본 연구에서는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의 공진화가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와 잠재적수요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 경기 수도권 지역의 AI기반 맞춤형화장품에 관심이 있는 20~40대 이상 여성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방식을 이용하였다. 2022년 10월 6일부터 10월 9일까지 4일간 진행되었으며, 회수된 설문지 총 827부를 최종 통계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4. 측정 도구
본 연구는 설문지 조사 방법으로 진행되었으며, 사용된 측정 도구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Han(2020)의 연구를 참고하여 연령, 최종학력, 결혼 여부, 직업, 연 평균 소득 총 5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명목척도를 사용하였다. 둘째,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의 공진화 견해는 연구자인 Yoo(2023)가 독창하여 급진적 혁신에 관한 4문항, 점진적 혁신에 관한 4문항, 총 8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셋째,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 견해는 연구자인 Yoo(2023)가 독창하여 조제 과정 감독·관리에 관한 3문항, 안전·위생 관리에 관한 3문항, 총 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넷째,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잠재적수요가치는 Cho(2020), Kong(2021)의 연구를 참고하여 연구자인 Yoo(2023)가 수정 및 보완하였으며 품질적 가치에 관한 4문항, 사회윤리적 가치에 관한 4문항, 경제적 가치에 관한 4문항, 브랜드 가치에 관한 4문항, 총 1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일반적 특성을 제외한 모든 문항은 5점 리커트 척도(‘전혀 그렇지 않다’=①점, ‘매우 그렇다’=⑤점)를 사용하였다.
5. 분석 방법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WIN 20.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둘째,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의 공진화 견해,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 견해,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잠재적수요가치의 타당성 및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요인분석(Factor Analysis)과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셋째, 각 변수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의 공진화 견해가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 견해,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잠재적수요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총 827명 중 연령은 30대 57.9%, 40대 이상 21.4%, 20대 20.7% 순이었고, 최종학력은 대학교 재학 및 졸업 74.0%, 전문대학 재학 및 졸업 14.3%, 고등학교 졸업 6.7%, 대학원 재학 및 졸업 5.1% 순이었으며, 결혼 여부는 미혼 53.4%, 기혼 46.6% 순이었다. 직업은 사무/관리직 47.2%, 판매/서비스직 15.7%, 전문/기술직 12.1%, 자영업 11.2%, 전업주부 9.8%, 학생 4.0% 순으로, 월평균 소득은 200-350만원 미만 47.6%, 350-500만원 미만 28.5%, 200만원 미만 15.8%, 500만원 이상 8.0%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결과로는 연령은 30대가 57.9%, 최종학력은 대학교 재학 및 졸업이 74.0%, 결혼 여부는 미혼이 53.4%, 직업은 사무/관리직이 47.2%, 월평균 소득은 200-350만원 미만이 47.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각 변수의 타당성 및 신뢰도
1)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의 공진화 견해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의 공진화 견해를 검증하기 위해 총 8문항 중 공통성 값이 0.4보다 작은 3문항을 제외하고 나머지 문항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의 공진화 견해는 2개의 요인(총 5문항)으로 추출되었고, 측정된 요인의 요인적 재치가 모두 0.4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총 누적변량 66.853으로 요인분석의 설명력이 66.853%로 나타났다. KMO (KaiserMeyer-Olkin)값이 0.814로 요인분석을 위한 변수들의 선정이 적당하다고 판단되며, Bartlett의 단위행렬 점검 결과 χ2=1794.436, df=10, p=0.000으로 요인분석에 적합하여 공통 요인이 존재하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한편, 각 요인의 내적 일치도 값은 급진적 혁신(Cronbach's a 0.749), 점진적 혁신(Cronbach's a 0.718)로 나타남에 따라 각 영역의 신뢰도 검증은 모두 Cronbach's a 0.7이상으로 신뢰할 만한 수준으로 볼 수 있다.
2)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 견해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에 대한 견해를 검증하기 위해 총 6문항 중 공통성 값이 0.4보다 작은 1문항을 제외하고 나머지 문항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에 대한 견해는 2개 요인(총 5문항)으로 추출되었고, 측정된 요인의 요인적재치가 모두 0.4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총 누적변량 71.235로 요인분석의 설명력이 71.235%로 나타났다. KMO (Kaiser-Meyer-Olkin)값이 0.818로 요인분석을 위한 변수들의 선정이 적당하다고 판단되며, Bartlett의 단위행렬 점검 결과 χ2=1245.739, df=10, p=0.000으로 요인분석에 적합하여 공통 요인이 존재하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한편, 각 요인의 내적 일치도 값은 조제 과정 감독·관리(Cronbach's a 0.754), 안전·위생 관리(Cronbach's a 0.708)로 나타남에 따라 각 영역의 신뢰도 검증은 모두 Cronbach's a 0.7이상으로 신뢰할 만한 수준으로 볼 수 있다.
3)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잠재적수요가치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잠재적수요가치를 검증하기 위해 총 16문항 중 공통성 값이 0.4보다 작은 1문항을 제외하고 나머지 문항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잠재적수요가치는 4개 요인(총 15문항)으로 추출되었고, 측정된 요인의 요인적재치가 모두 0.4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총 누적변량 56.546으로 요인분석의 설명력이 56.546%로 나타났다. KMO (Kaiser-Meyer-Olkin)값이 0.853으로 요인분석을 위한 변수들의 선정이 적당하다고 판단되며, Bartlett의 단위행렬 점검 결과 χ2=3169.699, df=105, p=0.000으로 요인분석에 적합하여 공통요인이 존재하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한편, 각 요인의 내적 일치도 값은 품질적 가치(Cronbach's a 0.707), 사회윤리적 가치(Cronbach's a 0.701), 경제적 가치(Cronbach's a 0.713), 브랜드 가치(Cronbach's a 0.743)으로 나타남에 따라 각 영역의 신뢰도 검증은 모두 Cronbach's a 0.7이상으로 신뢰할 만한 수준으로 볼 수 있다.
3. 상관관계 분석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의 공진화 견해,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 견해,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잠재적수요가치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라는 상관관계 분석 결과는 <Table 3>과 같다. 본 연구의 측정변수에 대한 기술 통계분석을 실시하고 각 변수 간의 이변량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안전·위생관리가 4.20으로 가장 높은 평균으로 나타났으며 품질적 가치, 점진적 혁신, 조제 과정 감독·관리, 급진적 혁신, 경제적 가치, 사회윤리적 가치, 브랜드 가치 순으로 나타났다. 상관계수는 모두 0.8미만으로 변수 간의 다중공선성의 문제는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변수 간의 상관관계가 모두 정(+)의 상관관계로 나타나 각 변수 간 관계의 방향성이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의 방향과 전부 일치하여 이해타당성도 역시 성립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4. 가설 검증
1)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의 공진화 견해가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 견해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에 대한 견해를 종속변수로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의 공진화 견해를 독립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먼저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의 공진화 견해가 조제 과정 감독·관리에 미치는 영향은 F=452.633으로 회귀모형이 유의하게 나타났으며(p<0.001), 급진적 혁신 β=0.188, 점진적 혁신 β=0.627로 조제 과정 감독·관리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이는 급진적 혁신, 점진적 혁신이 높아질수록 조제 과정 감독·관리 역시 높아짐을 나타낸다(p<0.001).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의 공진화 견해가 안전·위생관리에 미치는 영향은 F=257.896으로 회귀모형이 유의하게 나타났으며(p<0.001), 급진적 혁신 β=0.167, 점진적 혁신 β=0.535로 안전·위생관리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이는 급진적 혁신, 점진적 혁신이 높아질수록 안전·위생관리 역시 높아짐을 나타낸다(p<0.001). 즉,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의 공진화 견해의 효율적인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급진적 혁신, 빅데이터의 지속적 관리와 변화하는 소비자 피부의 예측 기능, 효과성 있는 원료의 개발이 필요한 점진적 혁신 요인은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 견해의 조제 과정 감독·관리, 안전·위생관리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ho(2020)의 연구에서는 맞춤형화장품의 선택속성 중 품질적 요인이 제조환경 안전성 및 사용기한 안전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여 본 연구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따라서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의 공진화 견해의 변화에 따라 주기적이고 적극적인 조제 과정 감독·관리와 안전·위생관리를 실행함으로써 소비자들의 만족도를 높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2)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의 공진화 견해가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잠재적수요가치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잠재적수요가치를 종속변수로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의 공진화 견해를 독립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먼저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의 공진화 견해가 경제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은 F=110.373으로 회귀모형이 유의하게 나타났으며(p<0.001), 급진적 혁신 β=0.188, 점진적 혁신 β=0.351로 경제적 가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이는 급진적 혁신, 점진적 혁신이 높아질수록 경제적 가치 역시 높아짐을 나타낸다(p<0.001).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의 공진화 견해가 품질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은 F=421.870으로 회귀모형이 유의하게 나타났으며(p<0.001), 급진적 혁신 β=0.206, 점진적 혁신 β=0.604로 품질적 가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이는 급진적 혁신, 점진적 혁신이 높아질수록 품질적 가치 역시 높아짐을 나타낸다(p<0.001).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의 공진화 견해가 사회윤리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은 F=120.398로 회귀모형이 유의하게 나타났으며(p<0.001), 급진적 혁신 β=0.168, 점진적 혁신 β=0.383으로 사회윤리적 가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이는 급진적 혁신, 점진적 혁신이 높아질수록 사회윤리적 가치 역시 높아짐을 나타낸다(p<0.001).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의 공진화 견해가 브랜드 가치에 미치는 영향은 F=9.089로 회귀모형이 유의하게 나타났으며(p<0.001), 급진적 혁신 β=0.126으로 브랜드 가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이는 급진적 혁신이 높아질수록 브랜드 가치 역시 높아짐을 나타낸다(p<0.001). 즉,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의 공진화 견해의 급진적 혁신, 점진적 혁신 요인은 잠재적수요가치의 가격 할인 여부와 샘플을 중시하는 경제적 가치, 성분의 안전성과 유효성, 사용성, 품질 마크를 중시하는 품질적 가치, 천연성분 함유 제품 및 동물실험을 하지 않은 성분과 지속가능한 포장용기의 사용 유무를 중시하는 사회윤리적 가치 요인에 영향을 미쳤고, 브랜드의 신뢰성, 상표, 광고, 광고의 모델을 중시하는 브랜드 가치는 급진적 혁신 요인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ong(2021)의 연구에서는 맞춤형화장품 디바이스 소비가치가 추구 혜택(가격, 품질, 브랜드, 지각적 가치추구)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따라서 소비자들은 브랜드 뿐만 아니라 가격, 품질, 윤리적인 모든 측면에서 살펴보아야 할 것이며, 화장품 기업들은 AI기반 맞춤형화장품의 적정가격 형성, 윤리적인 측면과 품질 향상을 통해 브랜드의 인지도 상승에 주력하여 잠재적수요가치를 높여 나가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V. 결 론
본 연구에서는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의 공진화 견해가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에 대한 견해와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잠재적수요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각 요인의 차이를 파악하여 화장품 산업의 성장과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 제공에 도움이 되고자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의 공진화 견해(급진적 혁신, 점진적 혁신 요인)가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에 대한 견해(조제 과정 감독·관리, 안전·위생관리요인)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의 공진화 견해가 높아질수록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 견해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의 공진화 견해의 급진적 혁신, 점진적 혁신 요인은 잠재적수요가치의 경제적 가치, 품질적 가치, 사회윤리적 가치 요인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고, 브랜드 가치는 급진적 혁신 요인에만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급진적 혁신, 점진적 혁신이 높아질수록 경제적, 품질적, 사회윤리적 가치 역시 높아지며, 급진적 혁신이 높아질수록 브랜드 가치 역시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종합적인 결과를 볼 때,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의 공진화 견해가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에 대한 견해와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잠재적수요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의 공진화 견해의 급진적, 점진적 혁신이 이루어질수록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의 견해가 높아지기 때문에 AI기반 맞춤형화장품에 대한 조제과정 감독·관리와 안전·위생관리의 직무가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화장품 기업들이 AI기반 맞춤형화장품의 발전과 최대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AI기반 로봇 작동 및 주기적인 품질관리, AI기반 로봇의 작동과정에 대한 안전관리 및 용기 위생관리가 필요하며, 특히 AI기반 맞춤형화장품에서는 이 업무를 담당하는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의 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잠재적수요가치를 강화시키기 위해서는 소비자들에게 신뢰성을 줄 수 있는 광고제작 및 광고모델 기용, 신뢰성 있는 브랜드 구축을 통해 잠재 수요자의 구매 욕구를 강화시키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기존 고객의 이탈 방지를 위해 다양한 소비자들의 니즈에 맞는 마케팅 수립이 필요할 것이며, 더불어 개개인의 특성과 취향을 고려한 제품 개발 및 화장품 내용물의 품질 고도화가 이뤄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는 다르게 화장품 산업 내 AI와 맞춤형화장품의 융복합에 따른 공진화와 그로 인한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의 변화된 직무를 처음 다룬 연구라는 점과 AI기반 맞춤형화장품이 대중화되기 이전의 연구로 향후 AI기반 맞춤형화장품에 유용한 연구 자료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AI기반 맞춤형화장품이 대중화되기 이전에 진행되었기에 자료수집과 선행연구의 부족으로 본 연구의 고찰을 작성하는데 어려움이 있었고, 서울, 경기 지역으로 국한되어 조사되었기에 지역 범위를 확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본 연구를 토대로 대중화 이후의 AI기반 맞춤형화장품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하며, 화장품 산업의 성장과 발전에 기초자료로써 도움이 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