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미용 전공 대학생들의 플립드러닝의 학습자 특성이 학습몰입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earner Characteristics on Learning Flow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the Flipped Learning of Chinese Beauty Major College Students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Cosmetol. 2024;30(1):97-106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4 February 28
doi : https://doi.org/10.52660/JKSC.2024.30.1.97
1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Beauty Science, Kwangju Women's University
2Professor, Department of Beauty Science, Kwangju Women's University
쟈위에1, 김경란2,
1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용과학과, 대학원생
2광주여자대학교 미용과학과, 교수
*Corresponding author: Kyeong-Ran Kim Tel : +82-62-950-3673 E-mail : krkim@kwu.ac.kr
Received 2023 December 26; Revised 2024 January 3; Accepted 2024 January 10.

Trans Abstract

The advance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 central element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influencing the way people think and act with the introduc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augmented reality, and the Internet of Things. In education, there's a notable shift from a teacher-centric approach to a learner-centric environment, emphasizing the flipped learning teaching method that facilitates self-directed learning. This study examined how learner characteristics influence learning flow (classroom class and online class)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order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beauty education in a flipped learning environment. An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from July 10 to August 10, 2023, involving 166 surveys administered to beauty-related students in China.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employing techniques such a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d high reliability scores for learner characteristics (3.98), learning flow (3.75), and learning satisfaction (3.77) within the flipped learning environment. Correlation analyses between learner characteristics, learning flow, and learning satisfaction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especially in terms of the correlation between learning attachment of learner characteristics and learning self-efficacy in learning satisfaction. In particular, a higher level of learning attachment in learner characteristics was associated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whether in online or classroom learning contexts. The research findings suggest that flipped learning classes can improve students' satisfaction by boosting their learning attachment, leading to increased learning self-efficacy.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a flipped learning instructional approach when designing courses to enhance learning flow and attachment, addressing academic self-regulation and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I. 서 론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 4차 산업 혁명은 2016년 세계경제포럼의제로 채택되면서 본격적으로 회자가 되었다. 더불어 AI(인공지능), 로봇기술, 빅데이터, 증강현실 등 새로운 테크놀로지가 주목받게 되었다(Kim, 2018). 디지털 문화의 발달과 더불어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수업은 지식을 전달하는 중요한 매체로서 교육의 역할과 효율성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게 부각되었다(Li & Song, 2021). 이때 교수 학습방법은 이러닝, 스마트 러닝, 에듀테크 등의 디지털을 이용하고, 비대면 교육으로 원격화상교육, 동영상교육, 유튜브 등을 통해 교육생들이 공간적 제약을 초월해서 수업에 참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Strayer, 2007; Moon, 2023). 이는 단순한 지식의 전달을 넘어 다양한 사고를 증진하는 학습 방식에 대한 연구들이 공유 및 전파되면서 플립드러닝(Flipped Learning)이 관심을 받게 되었다(Lee, 2017). 플립드러닝은 학습과정에서 학습자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른 구성원과 상호작용할 수 있고, 교수자는 학습촉진자로서 학습의 방향성을 학습자에게 제시하는 등 적절한 스캐폴딩(scaffolding)을 제공하여 성공적인 학습을 유도할 수 있다(Kim, 2018). 이는 기존의 교사중심의 학습이 아닌 ‘학습자중심’의 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플립드러닝의 교수법은 온라인을 통해 저비용으로 영상 매체를 제작하고 학습자에게는 빠른 정보 공유가 가능하다. 그리고 학습법은 교수자가 아닌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라는 점이다(Jo, 2023; Love, 2014; Roehl & Shannon, 2013). 플립드러닝의 핵심은 사전학습을 통해 선행지식을 축적하는 것으로 학습자들은 토론, 피드백, 평가 및 심화 등 다양한 활동을 유도하여 교육의 질적 향상시킬 수 있다.

플립드러닝은 학습자의 역량에 따라 교수자가 수업방식을 설계함에 있어 중요한 요인들이 작용한다는 특징이 있다(Hur, 2018). 학습성과 및 만족도에 관련된 선행 연구에서 성인여성 학습자들은 학습몰입의 수준이 높을수록 학습 만족도의 수준이 높아졌고(Jang, 2012), 대학생들은 자기주도적인 학습능력이 높아 적극적인 학습태도를 가지고 학습과정에 참여하기 때문에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높았다(Hung, 2015; Kim, 2019). 고등학생들은 자기효능감과 자기결정성 동기가 높을수록 온라인수업의 학습만족도가 높아진다는 보고가 있다(Zhang, 2013). 플립드러닝의 온라인 환경에서 교수자와 관련된 선행연구는 수업의 질, 교수자 중재, 팀 활동과 학습만족도와 관계가 높다고 밝혔으며(Kim, 2019), 교수실재감과 자기결정성 동기(내재적 동기, 외재적 동기)가 학습만족도에 영향력이 높았고(Jo, 2023). 교수실재감, 감성적 실재감, 사회적실재감, 인지적 실재감과 학습몰입 간에도 관계가 있으며(Ryu, 2022), 온라인 수업의 질이 지각된 유용성, 학습몰입,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플립드러닝은 학습자특성에 따라 학습몰입, 학습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있고(Kim, 2019),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을 활용한 초등학교 음악수업이 자기주도학습 능력에 미치는 영향(Hyeong, 2016). 대학 교양 한국어 교육을 위한 플립드러닝 기반 교수·학습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등이 있다. 그리고 이러닝 학습자의 학습몰입 관련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연구 등은 플립드러닝이 교수학습방법으로 주목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중국인을 대상으로 한 플립드러닝을 적용한 연구의 사례는 중국 대학생 심리건강 수업의 효과가 있을 뿐 미용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으로 실기교과와 관련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중국 미용전공관련 대학생의 플립드러닝 학습환경에서 학습자특성을 파악하여 학습몰입 및 학습만족도와의 관계와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고자 한다. 따라서 학습자들의 학습몰입과 학습만족도가 높게 미치는 요인들을 제시하여 수업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플립드러닝의 교수학습 방법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II. 이론적 배경

1. 플립드러닝(Flipped Learning) 개념

플립드러닝(Flipped Learning)은 플립과 러닝의 합성어이다. Flip은 ‘뒤집다’라는 뜻을 지닌 단어로 강의와 과제를 거꾸로 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Tsai & Shen, 2015). 2000년 Baker에 의하여 ‘Flipped Classroom’으로 소개되었고, 그 후 Bergmann과 Sams(2014)에 의하여 구체적인 ‘Flipped Learning’으로 정의되었다. 플립드러닝은 역전학습, 적시수업, 역진행 학습, 거꾸로 학습이라는 다양한 용어를 통해 전 세계 교육현장에서 활발하게 실행되고 있다(Hung, 2015). 학습자가 동영상기반의 강의를 미리 시청한 후 교실수업에 참여하는 특징을 바탕으로 플립드러닝이라는 개념이 등장했다(LI, 2010; Kim, 2019; Berret, 2012). 기존 전통방식의 수업형태가 교수자 중심에서 학습자 중심으로 뒤집다의 ‘FLIP’을 써서 한국에서는 Flip Learning, Flipped Learning, Flipped Classroom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Pereira, 2007). 플립드러닝은 거꾸로 학습법으로 사전학습과 본 수업으로 나누어 진행된다. 사전학습은 교수자가 제작한 동영상을 온라인 환경에서 학습하게 하고, 본 수업시간에는 학습자의 이해를 확인하거나 관련 학습활동을 심화하거나 응용하는 학습자 중심 학습법이다(Kim, 2019). Bergmann & Sams(2014)는 학습자는 다양한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수업 전에 사전학습을 하며, 수업시간에는 사전학습으로 습득한 내용을 적용해 보는 문제해결, 토론, 토의, 활동 등을 하는 방법이라고 정의하였다. Lee(2017)는 기존 수업방식을 뒤집어 테크놀로지 활용으로 강의와 집에서 과제를 수행하여 뒤바꾼 학습모형이라 정의하였고, Kim(2018)은 집에서는 온라인 교육을 듣고 교실에서는 과제해결 및 다양한 학습 활동을 한다고 보고하였다. 일방적인 강의식 수업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드러나는 것이 바로 학습자들의 수준 차에 상관없이 동일한 강의를 진행해야 하는 점이다(Love & Swift, 2014). 플립드러닝은 구성주의 패러다임이 등장하면서 학습자가 주도적이고 주체적인 지식과 의미를 구성해나가는 것이 중요해지면서 이를 지원할 수 있는 학습방법의 일환으로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Kim, 2016; Akyol, 2014).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시간에 학습자의 상태에 따라서 효율적으로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는 점과 개별화된 수업을 바탕으로 학습자들의 학업 성취도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플립드러닝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장점으로 합쳐진 블랜디드러닝(Blended Learning)의 형태와 비슷하지만, 차이점은 교실 안팎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구분하며(Moon, 2023), 블랜디드러닝에 비해 플립드러닝은 한 층 더 고차적인 사고를 증진한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Hur, 2018).

본 연구에서의 플립드러닝 개념 또한 온라인(동영상)과 교실수업 학습의 장점을 접목해 학습의 효율성과 교육성과를 향상하기 위한 학습 방식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2. 학습자 특성(Learner Characteristics)

특성(characteristic)이란 어떤 사물에 존재하는 성질로 주어진 사물이 다른 것과의 비교로 파악 혹은 성립되는 특질(quality)로서 다른 사물과 뚜렷하게 구분되는 그 사물 자체의 고유한 독특한 특징을 가리킨다(Song, 2021). 현대인의 특성은 여러 가지 학문적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다. 이를테면, 심리학적 관점에서 속성과 기질의 개념으로, 교육학적 관점에서 인지적·정의적 인간 행동의 개념으로, 사회심리학적 관점에서 욕구와 동기의 개념으로, 경영학적 관점에서 역량의 개념으로, 사회학적 관점에서 활동과 실천의 개념으로 평생 학습자로서 현대인의 특성이 조망될 수 있다(Jang, 2012). 일반적으로 학습자 특성은 학습자의 개인차 변인을 의미하나, 관점에 따라 다양하게 개념 및 범주를 규정하고 있다. 학습에 관한 특성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학습에 참여하는 기본적인 물음으로 학습의 필요성을 얼마나 인식하는지, 학습의 가치를 어느 정도로 평가하는지, 학습에 관한 욕구나 애착이 어느 수준인지, 학습에 흥미를 느끼는지 등이다(Choi, 2015). Kim(2019)은 학습자 특성을 학습동기, 자기효능감, 전이 능력 세 가지하위요인으로 구분하였고 학습자가 교육과정의 내용을 학습할 능력을 보유하고 있어도 학습자의 특성 중 하나인 학습 동기가 낮으면 교육훈련을 통한 배움은 실패하게 된다고 하였다. Jang et al.(2012)은 학습자의 특성은 학습자의 학습동기, 자기조절 학습능력, 경험 및 능력에 따라 교육성과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으로 보고하였다. 이는 웹이라는 가상공간에서 새로운 학습환경을 접하는 것으로 개인 차이에 따라 학습 성과 및 만족도가 달라질 있다. 학자들은 학습자 특성 요인으로 학습애착, 학습효능감과 관계가 높다고 보고하고 있다(Balakrishnan & Pierre, 2007). 학습애착은 학습에 대한열정과 애정이 있을 때 학습이 더욱 잘 이루어진다는 것이며, 학습효능감은 자신감을 갖고 학습을 했을때 더 성취도가 높게 나타난다(Choi, 2015).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특성을 학습만족도(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학습애착, 학습효능감을 설명하고 있다.

3. 학습물입(Learning Flow)

학습몰입은 학습에 참여하면서 자신의 학습활동에 완전히 집중하여 학습과정에서 즐거움을 느끼는 최적의 상태를 의미한다(Choi & Hur, 2019). 이는 학습에 대한 흥미를 유발할 뿐 아니라 즐거움, 창조성, 자기존중감 등을 경험하게 하여 삶의 질 향상에 영향을 줄 수 있다(Kim & Hur, 2019). 이때 몰입은 자신의 학습목표와 조화를 이룸으로써 심리적 안정 상태에 도달되어 자신의 학습경험과 최적의 상호작용을 하면서 즐거움을 느끼며 의미 있는 학습을 하는 상태를 말한다(Shin & Chan, 2004). Choi(2015)는 학습결과의 성취와 목표 달성을 위해 학습자가 노력을 쏟는 현상이라고 보기도 하고(Lee, 2017), 학습 과정에서 보일 수 있는 학습자의 흥미, 노력, 집중의 강도라고 했다(Strayerr, 2007). 또한 학습상황에 적용하여 학습자가 특정한 활동에 깊이 빠져 들어가는 흡인 또는 집중상태이며(Ryu, 2008), 학습과정에 완전히 흡수되는 상태라고 정의하고 있다(Chang, 2008). 특히 성인학습자들은 자신의 학습활동에 완전히 몰두하여 개인의 학습목표와 조화를 잘 이룸으로써 심리적으로 안전한 상태에 도달하게 되어, 스스로의 경험과 최적의 상호작용을 하면서 학습의 즐거움을 느끼며 의미 있는 학습에 참여하는 상태이다(Choi, 2020). 플립드러닝은 학습자 중심의 교수법으로, 학습자의 능동적인 활동을 요구하며 학습의 주체인 학습자의 내재적 동기요소가 필요하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면 몰입을 경험하기 위해서는 전략적 노력이 필요하다(Chang, 2008) 따라서 학습몰입은 학업적 자기 조절과 만족도, 자기결정성 동기와 만족도의 사이를 매개하기 때문에 성공적인 플립드러닝 운영을 위한 설계 및 운영상의 전략이 필요하다(Kim, 2019).

본 연구에서는 플립드러닝 환경에서 학습몰입은 온라인 학습(동영상, 학습자료)을 사전에 학습한 학습자가 교실수업 학습활동시 자신의 학습에 완전히 몰두하는 상태를 의미하고, 온라인학습 집중과 교실수업 집중 요인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다.

4. 학습만족도(Learning Satisfaction)

만족이란 특정 상황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하여 개인이 갖는 흡족함과 흐뭇함 같은 느낌 및 태도를 의미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학습자가 수강한 강의나 학습한 내용 등 전반적인 학습과정에서 경험하는 긍정적인 인식과 만족감으로 볼 수 있다(Jang, 2012; Um, 2019). 즉, 학습자가 학습 내용과 방법, 환경, 교육과정 등과 같은 전반적인 경험에 만족하는 정도의 반응으로 볼 수 있다(Kim, 2019). 학습만족도는 학습과정에서 학습자 자신이 계획한 목표가 성공할 수 있다는 인식과 달성한 성과에 대한 학습자의 지각을 의미한다고 하였다(Love, 2014). 학습자 자신이 학습하는 내용에 만족할 때 학습 내용을 자신의 것으로 흡수하고 통합하는 과정에서 효과적인 학습이 일어나게 되므로 학습만족도는 지식의 습득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이유로 학습자들의 학습 만족도가 학습성과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낸다(Davies & Ball, 2013).

선행연구에서 학습만족도는 학습자가 수강한 강의에 대해서 전반적인 만족의 정도 또는 수준(Kim, 2019; Jang, 2012; Song, 2021)으로 학습과정에서 경험하는 긍정적인 반응이다(Song, 2021). 그리고, 학습자가 온라인 강의에서 느끼는 가치, 애착, 효능감, 성과 만족, 기대와 욕구, 목적이 충족되었을 때 얻어지는 것을 말한다(Park, 2021). 즉, 학습에 대한 기대가 충족되었을 때 발생하는 긍정적 심리상태라고 정의할 수 있다(Um, 2019). 학습만족도는 학업성취도, 수업참여도 등을 측정하기 어려울 때 활용되면서, 학습의 성과를 나타내는 가장 대표적인 지표이다(Arbaugh, 2001; Um, 2019). 플립드러닝 환경에서 학습만족도는 온라인 학습과 교실수업 상황에서 학습자의 학습참여를 높여 학습성과를 높이고, 성과를 측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Kim, 2018). Phillips(2015)은 학습만족도 요인을 교수와의 상호작용성, 교육과정의 수업, 학교생활, 학습자 지원서비스, 교육시설의 5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였고, Hyeong(2016)는 교과, 조직, 도서관, 실습실, 학생 서비스, 학교환경, 학생회 활동, 자기개발 기회 등을 하위요인으로 구분하여 만족도를 측정하였다(Tsai & Lu, 2015).

본 연구에서는 학습만족도는 학습자가 수강한 수업시간과 수업의 구성요소에 대해 학습자들이 느낀 긍정적인 만족감과 감정을 미용 전공 교과의 온라인학습 만족, 교실수업 만족을 설명하고 있다.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문제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주체적, 능동적으로 학습에 참여하는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방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중국 북부지역 미용관련 학생들을 대상으로 플립드러닝의 학습환경에서 학습자 특성이 학습몰입과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플립드러닝 학습환경에서 학습자특성, 학습몰입, 학습만족도를 알아본다. 둘째, 학습자특성, 학습몰입, 학습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본다. 셋째, 학습자특성이 학습몰입과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2. 연구대상 및 기간

본 연구는 중국 북부지역의 미용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2023년 07월 10일부터 08월 10일까지 위쳇(WeChat), 왠쥬엔망 프로그램(wenjuanwangprogram))을 이용하여 전자 설문을 조사하였다. 조사한 프로그램은 중국에서 개인간의 채팅과 통화를 하고, 기업에 대한 홍보, 마케팅 및 판촉 활동을 지원하는 플랫폼이다. 예비조사는 중국의 랴오닝의약직업대학교의 의료미용학과(미용미체 기술), 요동대학교의 의료미용학과(중의미용 기술), 지린과학기술 직업대학교(헤어디자인) 등의 직업전문학교 미용관련학과에서 플립드러닝 수업방식을 경험한 교수와 학생들을 중심으로 설문하였다. 본 조사는 WeChat을 통해 연구목적을 읽고 동의한 후 전자설문지에 무기명으로 자기기입식 방법으로 설문하였다.

3. 측정도구 및 내용

본 연구의 설문도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수정 보완하여 본 연구에 맞게 총 58문항으로 재구성하였다. 조사내용은 일반적특성 7문항(Song & Kim, 2021; Choi, 2020)은 명목척도로 구성하였고, 학습자 특성 12문항(Song & Kim, 2021), 학습물입 18문항(Moon, 2023; Choi, 2019), 학습만족도 20항(Lee, 2018; Um, 2019)은 5점 Likert 척도(‘매우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그렇다 5점’)로 구성하여 설문하였다. 이는 점수가 높을수록 측정변수의 성향이 높음을 의미한다. 설문지는 중국어로 번역하여 180명에게 설문조사한 결과 불성실한 응답자 14부를 제외한 166부을 최종 선택하였다.

4. 자료 분석

본 연구의 통계처리는 데이터 코딩, 테이터 크리닝의 과정을 거쳐서 SPSSWIN 21.0프로그램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은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학습자특성, 학습몰입, 학습만족도에 대한 타당도 검증은 요인분석, 신뢰도는 Cronbach's a의 계수로 판단하였다. 학습자특성, 학습몰입, 학습만족도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기술통계분석, 각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 학습자특성이 학습몰입과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5%에서 검증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빈도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Table 1>. 성별은 ‘남성’이 14.5%, ‘여성’이 85.5%이었으며, 연령은 ‘만 19~21세’가 74.1%, ‘만 22~25세’가 13.9%, ‘만 26~29세’가 7.2%, ‘만 30~40세’가 4.8%이었다. 학교전공은 ‘중의학의료미용 학과’가 29.5%, ‘의료미용 학과’가 27.1%, ‘미용미체 학과’가 24.1%, ‘디자인 학과’가 19.3%이었고, 학년은 ‘2학년’이 33.1%, ‘1학년’이 28.9%, ‘3학년’이 22.3%, ‘4학년’이 15.7% 순으로 나타났다. 전공은 ‘피부’가 54.2%, ‘메이크업’이 25.3%, ‘헤어’가 10.8%, ‘네일’이 9.6%이었다. 미용전공의 만족스러운 부분으로는 ‘완벽한 실습실 제공’이 36.1%로 가장 높았고, 이어서 ‘교수의 전문성’이 23.5%, ‘취업 및 진학에 대한 정보제공’이 18.1%, ‘다양한 교육과정’이 16.3%, ‘진로에 대한 확신성’이 6.0% 순으로 나타났다. 학업성적은 ‘상위권’이 33.7%, ‘중위권’이 47.6%, ‘하위권’이 18.7%로 조사되었다.

The Common Features of Surveyed Objects

2. 측정변수들의 기술통계 및 신뢰도 검증

본 연구의 신뢰도란 동일한 대상, 특성 또는 구성을 비교가능하고 독자적인 측정으로 나타난 결과들이 어느 정도 유사한 가를 나타내는 것으로 의존가능성, 안전성, 일관성, 예측가능성, 정확성 등의 동의어로 사용된다. 즉, 신뢰성이란 동일한 개념에 대하여 측정을 되풀이했을 때 동일한 측정값을 얻을 가능성을 말한다. 신뢰성의 측정방법은 동일한 측정도구를 동일한 대상에 시간을 달리하여 적용결과를 비교하는 검증-재검증, 항목분할 측정치의 상관도, 내적 일관성 등이 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인 신뢰성은 Cronbach's 계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플립드러닝 학습환경의 학습자특성, 학습몰입, 학습만족도의 측정변수를 기술통계 분석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학습자특성 전체의 평균은 3.98점, ‘학습효능감’(M=4.00), ‘학습 애착’(M=3.94) 순으로 평균이 높았다. 학습몰입의 평균은 3.75로, ‘교실수업 집중’(M=3.81), ‘온라인학습 집중’(M=3.69) 순으로 학습몰입이 가장 높았고, 학습만족도의 평균은 3.77점으로, ‘교실수업 성과’(M=3.77), ‘온라인학습 성과’(M=3.76) 순으로 만족도가 높았다.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of the Measured Variables

3. 플립드러닝 학습환경의 학습자특성과 학습몰입, 학습만족도와의 상관관계

플립드러닝 학습환경의 학습자특성과 학습몰입, 학습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학습몰입은 플립드러닝 학습환경 학습자특성의 학습 애착, 학습 효능감과의 상관이 모두 유의수준 5%에서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러나 학습만족도는 플립드러닝 학습환경에서 학습자특성의 학습 애착(r=.490, p<.001), 학습 효능감(r=.316, p<.001) 순으로 정의 상관이 높았다. 세부적으로 온라인학습 성과는 학습자특성의 학습 애착, 학습 효능감과 모두 유의미한 정의 상관이 있었고, 교실수업 만족도는 학습자특성의 학습 애착과는 유의미한 정의 상관이 있었으나, 학습 효능감과의 상관은 유의수준 5%에서 유의미하지 않았다.

The Correlation Among Learner Characteristics, Learning Flow,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Flipped Learning Environment

선행연구결과를 살펴보면 Song(2021)는 학습몰입은 블렌디드러닝 학습자특성의 하위요인 학습가치, 학습 효능감, 학습애착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로 나타나 본 연구결과와 상이하였다. 이의 결과는 학습자특성요인의 학습가치, 학습효능감, 학습애착이 높으면, 학습몰입 요인의 학습집중, 학습흥미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Song & Park, 2021). 그리고, 고등학생, 대학생들이 학습에 대한 애착이 생길 수 있는 기초교육을 선행한 학생들은 학습효능감이 높아지고, 학습만족도가 높아지는 결과를 보고하였고(Choi, 2015). 성인여성 학습자들의 학습애착과 효능감이 높을수록 학습만족도(성과)가 매우 높아지는 것으로 보고하였다(Jang, 2012). 이는 본 연구의 측정변인들간의 상관관계가 있다는 본 연구의 결과를 뒷받침하고 있다. 이의 결과에서 학습자 특성의 하위 요인 학습가치는 플립드러닝을 통해 미용 실기 과목을 배울수록 더욱 흥미롭기 때문에 학습몰입이 높아지고, 학습만족도가 높아져 서로 상관관계가 높다는 연구결과는 본 연구의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Song & Park, 2021). 그러나, 중국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미용관련 교과의 플립드러닝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기 때문에 한국과 중국의 수업방식을 비교할 수 있는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4. 플립드러닝 학습환경의 학습자특성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플립드러닝 학습환경의 학습자특성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Table 4>. R2=0.021로 전체 변동의 2.1%로 회귀모형을 설명하고 있으나, 추정된 모형은 유의수준 5%에서 유의미하지 않았다. 세부적으로 플립드러닝 학습환경의 학습자특성이 학습몰입의 온라인 학습, 교실수업에 미치는 영향의 추정된 모형은 모두 유의수준 5%에서 유의미하지 않았고, 플립드러닝 학습환경의 학습자특성의 학습 애착, 학습 효능감은 학습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Effects of Learner Characteristics on Learning Flow in Flipped Learning Environment

선행연구에서 학습자특성이 높을수록 학습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와 상이하였다(Song, 2021). 이러한 결과의 차이는 중국은 비대면 수업과 대면수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플립드러닝의 특성을 살린 교수법 적용이 아직은 부족한 실정으로 지속적인 교수법 적용과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플립드러닝 환경에서 학습자특성의 학습 애착과 학습 효능감이 높으면 더 집중적으로 학습몰입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Kim, 2019). 학습몰입은 학습자들이 대단히 즐거움과 흥미를 가진 상태에서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면서 자주 경험하는 학생은 높은 학업 성취감과 만족감, 자긍심을 줄 수 있다고 하였다(Park, 2017). 따라서 학습몰입은 학업 성취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연구되고 있다.

특히 미용관련 교과는 전문적인 지식의 사전학습이 이루어진 경우에 실기수업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고, 더욱 흥미롭게 실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연구의 결과가 있다(LI, 2020). 미용관련 교과목은 실기수업의 비중이 크기 때문에 학습자의 개개인의 특성에 따른 학습몰입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시각적 콘텐츠를 개발하여 온라인 학습 환경 구축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5. 플립드러닝 학습환경의 학습자특성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플립드러닝 학습환경의 학습자특성이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Table 5>. R2=0.247로 전체 변동의 24.7%로 회귀모형을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변수간 다중공선성을 진단하기 위하여 분산팽창계수(VIF : variable inflation factor)와 허용치(tolerance)를 살펴보았으며, 일반적으로 분산팽창계수가 10이상이거나 허용치가 0.1보다 작으면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게 된다. 본 분석에서 변수들의 VIF값은 모두 10 이하였고, 허용치는 0.1보다 크게 나타나 다중공선성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았다. 모형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추정된 모형은 유의한 것을 알 수 있으며(F=26.778, p<.001), 플립드러닝 학습환경에서 학습자특성의 학습 애착(b=.589, p<.001)만 학습자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습자특성의 학습 애착이 높을수록 학습만족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학습자특성이 온라인학습성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R2=0.178로 전체 변동의 17.8%로 회귀모형을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모형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추정된 모형은 유의한 것을 알 수 있으며(F=17.693, p<.001), 학습자특성의 학습 애착(b=.391, p<.001)만 온라인수업 성과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플립드러닝 학습환경에서 학습자특성의 학습 애착이 높을수록 온라인학습 만족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플립드러닝에서 오프라인 면대 면 학습의 성과를 증대하는데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어 이러한 연구는 시대의 흐름에 맞추어 충분한 가치가 있을 것으로 본다. 학습자특성이 교실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R2=0.072로 전체 변동의 7.2%로 회귀모형을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모형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추정된 모형은 유의한 것을 알 수 있으며(F=6.321, p<.01), 학습자특성의 학습 애착(b=.385, p<.01)만 교실수업 성과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습자특성의 학습 애착이 높을수록 교실수업 성과 만족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The Effects of Learner Characteristics on Learning Satisfaction in Flipped Learning Environment

선행연구에서 Ryu(2022)의 연구에서 대학의 온라인 수업방식은 강의유형과 교과 유형의 수업 만족도와 학습 실재감에 대한 상호작용 분석에 관한 연구에서는 실습수업은 혼합식수업이 강의식 수업의 만족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코로나-19 시대에 미용 전공 대학생의 블렌디드러닝 학습환경에서 학습몰입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학습자 특성에 따라서 학습 가치, 학습 효능감, 학습 애착이 높을수록 학습 효과, 학습 내용의 학습 만족도가 높아진다는 연구보고가 있다(Song, 2021). Kwon(2013)은 교육전공의 교육조직에서 학생의 자기 주도성이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에서 자기 주도성에 요인인 학습애착요인이 높을수록 학습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Jo, 2023). 그동안 학습자의 특성은 교육성과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관련 요인으로 연구되면서, 학습자들의 특성을 학습동기, 학습자의 자기조절 학습 능력, 그리고 학습자의 경험 및 능력으로 구분하고 있다. 면대면 수업과는 달리 온라인 웹이라는 가상공간에서는 새로운 학습 환경을 접하는 학습자의 개인 차이에 따라 학습 성과 및 만족도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학습몰입, 학습애착은 플립드러닝 학습환경에서 꼭 필요한 요인으로 주목받고 있다(Kim, 2019). 추후에 학생들의 효율적 학습성과와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교수 학습 방법으로 플립드러닝의 웹기반 사전학습은 시대의 흐름에 맞는 연구의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V. 결 론

본 연구는 중국 북부지역의 미용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플립드러닝의 학습자특성이 학습몰입과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성을 검증하고자 2023년 07월 01일부터 08월 01일까지 조사한 166부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성별은 여성, 연령은 만 19~21세, 학교전공은 중의학 의료미용학과, 학년은 2학년, 미용전공은 피부전공, 선택동기는 적성, 흥미, 취업, 만족도는 완벽한 실습실제공, 졸업 후 희망진로는 프리랜서(창업), 학업성적은 중위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측정변인의 요인분석 결과 학습자특성, 학습몰입, 학습만족도 모두 2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고, 신뢰도 검증결과 학습자 특성의 학습 효능감은 M=4.00점, 학습 애착은 M=3.94점이고, 학습몰입은 교실수업은 M=3.81점, 온라인 학습은 M=3.69점이었고, 학습만족도에서는 교실수업 성과는 M=3.77점, 온라인 학습성과는 M=3.76점으로 모두 높게 나타났다. 플립드러닝의 학습자특성과 학습만족도와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온라인학습 성과는 학습애착과 학습효능감과 상관관계가 높았고, 교실수업 성과에서는 학습애착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플립드러닝의 학습자특성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결과 학습자 특성의 학습애착이 높을수록 학습만족도(온라인학습 성과, 교실 수업 성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위의 결과 플립드러닝의 학습자특성에서 학습 애착이 높을수록 온라인학습 성과와 교실수업 성과의 학습만족도가 높은 것은 미용교육에서 플립드러닝 학습환경(수업방식)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현재까지 중국의 미용관련 전공 교과에 플립드러닝 형태의 수업을 적용한 사례가 많지 않았고, 플립드러닝 수업에 참여한 미용관련 전공 학생들을 중심으로 연구자가 직접 모집단에게 설문하지 못한점, 조사대상자들이 개인적 경험을 조사한 결과로 실제 학업성취도에 대한 결과를 유추할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다. 그리고 중국 일부지역의 직업 전문대학교를 중심으로 설문한 결과 설문지의 이해도와 분석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연구의 변수인 학습자 특성의 요인구성이 학습 애착, 학습 효능감으로 명명하였고, 플립드러닝 학습환경의 수업방식(온라인학습, 교실수업)은 다소 한정적이기 때문에 차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요인으로 연구될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중국의 미용전공대학생을 대상에서 동일한 미용실기교과목에 플립드러닝에 대한 수업방식을 적용해보고, 학습몰입과 학습만족도를 얻기 위한 미용세부전공별, 다양한 교과목, 학년의 다양성으로 구분하여 연구할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이에 학습자들의 학습능력 향상과 욕구를 해소하고 학습애착을 충족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경험이 학습자들의 학습몰입으로 전공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제언하고자 한다.

References

1. Arbaugh J. B.. 2001;How instructor immediacy behaviors affect student satisfaction and learning in web-based courses. Business Communication Quarterly 64(4):42–54. doi: 10.21184/jkeia.2001.12.14.7.63.
2. Bergmann J., Sams A.. 2014;Flipped learning: Gateway to student engagement. There's more to flipped learning than just asking students to watch videos at home and complete worksheets in class. Find out how to use the flipped model to take your teaching-and your students to new places. Learning & Leading with Technology 41(7):18. doi: S604-010442.2014.7.4.031.
3. Berrett D.. 2012;How flipping the classroom can improve the traditional lecture. Education Digest: Essential Readings Condensed for Quick Review 78(1):36–41. doi: 10.5762/KAIS.2012.18.9.267.
4. Chang S. H. H., Smith R. A.. 2008;Effectiveness of personalinteraction in a learner-centered paradigm distance education class based on student satisfaction. Journal of Research on Technology in Education 40(4):407–426. doi: 10.1080/0885313.2008.101538.
5. Choi J. H., Song H. D., Kim Y. K., Hur J. W.. 2019;Exploring online pre-class learning factors influencing learning the engagement and learning persistence in flipped learning through an expectation-confirmation model. Journal of Competency Development & Learning 14(4):51–82. http://doi.org/10.21329/khrd.2019.14.4.51.
6. Choi, M. O. (2015). Effects of Adult Learner's Reflective Learning to Psychological Well-being and Mediating Effects between Learner Characteristics and Learning Flow.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7. Choi, J. K. (2020).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felong Learning Level and Characteristics of Adult Female Lifelong Learners. Master's thesis, Dong-Eui University, Busan.
8. Davies R. S., Dean D. L., Ball N.. 2013;Flipping the classroom and instructionaltechnology integration in a college level information systems spreadsheet course.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61:563–580. https://doi.org/10.1007/s11423-013-9305-6.
9. Hung H. T.. 2015;Flipping the classroom for English language learners to foster active learning. Computer Assisted Language Learning 28(1):81–9. doi: 10.22824/sma.2015.06.34.
10. Hyeong, S. A. (2016). The Effects of Elementary School Music Classes Using Flipped Learning on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1. Hur, H. (2018). Expectation Effect and Satisfaction of Learners' Competency on the Method of Flipped-Learning Instruction.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12. Jo, A. I. (2023). Learning reality in the flipped learning environment of the beauty industry The effect on education satisfaction and job continuity. Master's thesis, Seokyung University, Seoul.
13. Jang, E. S. (2012). A Structural Analysis of Learner's Characteristics,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Learning Flow and Learning Satisfaction on Adult Female Learners' learning Outcome. Doctoral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on.
14. Kim, S. O. (2018).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eaching Presence, Emotional Presence, Social Presence, Cognitive Presence and Learning Flow in Flipped Learning. Doctoral dissertation, Seokyung University, Seoul.
15. Kim, E. H. (2019). An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Online Class, Interaction of Professors and Team Activity on Learning Satisfaction in Flipped Learning Environment: -Focused on practical training for beauty subject-. Doctoral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16. Kim, S. E. (2019). The Effect of online Instructional Quality on Perceived Usefulness, Learning Flow and Satisfaction in Flipped learning.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17. Kwon, H. J. (2013). A Study on the Learning Motivation and the Learning Immersion in the Blended Learning for a Hair Beauty Permanent Class.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18. Kang, A. (2016). A Meta-Analysis on the Learning Flow for Adult E-learners in South Korea.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9. Love B., Hodge A., Grandgenett N., Swift A. W.. 2014;Student learning and perceptions in a flipped linear algebra course. International Journal of Mathematical Edu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45(3):317–324. doi: G804-001852.2014.45.3.007.
20. Lee, J. E. (2017). The Effects of Flipped Learning-based Elementary English Language Program on Speaking Ability, Creative Personality and Learning Flow of Learners.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1. Li, U. J. (2020). The Effect of Cognitive Presence, Self-efficacy for Group Work on Learning Transfer through Student Engagement in Flipped Learning.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22. Moon S. J.. 2023;The effect of flipped learning on critical thinking ability, communication abil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3(1):157–167. http://doi.org/10.22251/jlcci.2023.23.1.157.
23. Phillips C.. 2015;The use of flipped classrooms inhigher education: A scoping review. The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25:85–95. doi: 10.18208/ksdc.2015.25.4.407.
24. Pereira J. A., Molina A.. 2007;Effect iveness of using blended learning strategies for teaching and learning human anatomy. Medical Education 41(2):189–195. doi: 10.18693/jahba.2007.41.2.189.195.
25. Park, H. S. (2021). The effect of learning presence by university students on learning performance in distance lecture.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6. Roehl A., Reddy S. L., Shannon G. J.. 2013;The flipped classroom: An opportunity to engage millennial students through active learning. Journal of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105(2):44.
27. Ryu, S. H. (2022). A study on learning outcomes according to teaching presence and learning presence of distance lectures due to COVID-19. - Focusing on the subject of cosmetology. Master's thesis, SungKyul University, Anyang.
28. Song, S. Y. (2021). The Effect of Learner Characteristics and Blended Learning on Learning Immersion and Education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in the Covid-19 Era. Master's thesis, SeoKyeong University, Seoul.
29. Shin N. M., Chan J.. 2004;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online learning on distance education.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5(3):275–288.
30. Tsai C. W., Shen P. D., Lu Y. J.. 2015;The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with Flipped Classroom on Elementary Students' Computing Skills: A Case Study of the Production of Ebooks.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Education (IJICTE) 11(2):32–40. doi: 10.15810/jic.2015.16.4.010.
31. Um, J. Y. (2019). Effects of Teaching Presence and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on Learning Satisfaction in Flipped Learning Environment.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32. Zhang, M. L. (2013). The study on Perceptual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China on Influential Factors uponLearning Achievement and its Reuse of e-Learning.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The Common Features of Surveyed Objects

Category Frequency(N) Percentages (%)
Gender Male 24 14.5
Female 142 85.5
Age 19 ~ 21-year-old 123 74.1
22 ~ 25-year-old 23 13.9
26 ~ 29-year-old 12 7.2
30 ~ 40-year-old 8 4.8
Major Department of Medical Cosmetology 45 27.1
Medical Cosmetology Department of Chinese Medicine 49 29.5
Department of Aesthetic Anthropology 40 24.1
Department of Design 32 19.3
School year 1st year 48 28.9
2nd year 55 33.1
3rd year 37 22.3
4th year 26 15.7
Major Hair Design 18 10.8
Skin Care 90 54.2
Make Up 42 25.3
Nail Care 16 9.6
Satisfactory aspects of beauty major Professor’s expertise 39 23.5
Providing perfect practical training facilities 60 36.1
Providing employment and further education information 30 18.1
A variety of educational programs 27 16.3
Confidence in career choices 10 6.0
Academic achievement Highest tier 56 33.7
Middle tier 79 47.6
Lowest tier 31 18.7
Total 166 100.0

Table 2.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of the Measured Variables

Category M±SD Number of questions Cronbach's α
Learner characteristics in flipped learning environment Learn attachment 3.94±.76 5 .840
Learning self-efficacy 4.00±.70 7 .840
Learner characteristics in flipped learning environment 3.98±.68 12 .904
Learning Flow Classroom classes (Concentration) 3.81±.90 9 .927
Online classes (Video) (Concentration) 3.69±.86 9 .903
Learning Flow 3.75±.66 18 .880
Learning satisfaction Classroom classes (Result) 3.77±.97 10 .946
Online classes (Video) (Result) 3.76±.85 10 .937
Learning satisfaction 3.77±.60 20 .868

Table 3.

The Correlation Among Learner Characteristics, Learning Flow,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Flipped Learning Environment

Category Learner characteristics in flipped learning Environment
Learning flow
Learning satisfaction
Learning attachment Learning self-efficacy Total Online classes (Concentration) Classroom classes (Concentration) Total Online classes (Concentration) Classroom classes (Concentration) Total
Learner characteristics Learning attachment 1
Learning self-efficacy .758*** 1
Learner Characteristics in Flipped Learning Environment .920*** .953*** 1
Learning Flow Online classes (Concentration) -.088 -.138 -.123 1
Classroom classes (Concentration) -.053 -.075 -.070 .103 1
Learning Flow -.094 -.142 -.129 .729*** .756*** 1
Learning satisfaction Online classes (Concentration) .422*** .337*** .398*** -.066 .007 -.039 1
Classroom classes (Concentration) .235** .094 .166* .070 -.066 .001 -.137 1
Learning satisfaction .490*** .316*** .417*** .009 -.048 -.027 .602*** .709*** 1
*

p<.05,

**

p<.01,

***

p<.001

Table 4.

The Effects of Learner Characteristics on Learning Flow in Flipped Learning Environment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B β t p R2 adj F
Learner characteristics (Constant) 4.265 14.151*** .000 .021 .009 1.714
Learning attachment .027 .031 .264 .792
Learning self-efficacy -.154 -.166 -1.395 .165
Learning Flow Online classes (Concentration) (Constant) 4.339 10.931*** .000 .020 .008 1.626
Learning attachment .044 .039 .327 .744
Learning self-efficacy -.205 -.167 -1.404 .162
Classroom classes (Concentration) (Constant) 4.192 10.025*** .000 .006 -.007 .462
Learning attachment .010 .008 .070 .944
Learning self-efficacy -.104 -.081 -.678 .499
***

p<.001

Table 5.

The Effects of Learner Characteristics on Learning Satisfaction in Flipped Learning Environment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B β t p R2 adj F
Learner characteristics (Constant) 2.376 9.832*** .000 .247 .238 26.778***
Learning attachment .466 .589 5.653*** .000
Learning self-efficacy -.111 -.131 -1.253 .212
Learning Flow Online classes (Concentration) (Constant) 1.829 5.087*** .000 .178 .168 17.693***
Learning attachment .441 .391 3.594*** .000
Learning self-efficacy .049 .040 .368 .714
Classroom classes (Concentration) (Constant) 2.923 6.755*** .000 .072 .061 6.321**
Learning attachment .491 .385 3.328** .001
Learning self-efficacy -.271 -.197 -1.705 .090
****

p<.01,

***

p<.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