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용학원 학습자의 진로적응성, 교육성과, 교육만족도의 관계 연구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Adaptability, Educational Performanc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among Beauty Academy Learners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Cosmetol. 2024;30(1):143-153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4 February 28
doi : https://doi.org/10.52660/JKSC.2024.30.1.143
1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Beauty Arts, Graduate School of Beauty and Arts, Seokyeong University
2Professor, Department of Hair Design, The College of Beauty Arts, Seokyeong University
왕예진1, 박은준2,
1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미용예술학과, 대학원생
2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 헤어디자인학과, 교수
*Corresponding author: Eun-Jun Park Tel : +82-2-940-7846 E-mail : ayamdream@hanmail.net
Received 2024 January 29; Revised 2024 February 18; Accepted 2024 February 20.

Tran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adaptability, educational performanc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among learners aged 20 and older who have experience in beauty academy in Seoul and Gyeonggi-do. This study used 599 self-written questionnaires and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2.0 program. As a result, career adaptability was found to effects educational performanc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also educational performance was found to affect educational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intend to provide high-quality beauty education by establishing an effective beauty education strategy. in subsequent studies, it is expected that in-depth research will be conducted to understand learners' career adaptability, educational performanc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by gender, age and major field.

I. 서 론

현재 평균 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직업 환경의 변화로 직업군이 다양해지면서 기존에는 없었던 새로운 직업을 가지게 되는 불안정한 고용 구조에 놓였고,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이 증가되면서 취업난과 취업이후의 직업적응 문제가 개인적인 차원을 넘어 국가차원으로 확대되고 있다(Lee & Park, 2022). 이러한 급변하고 있는 사회에 따라 미래의 직업 전망에 대한 관심이 많아졌으며(Seo et al., 2019), 직업 환경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개인의 적성과 능력에 맞는 직업을 선택하고 개발할 수 있는 직업능력 개발의 핵심 개념인 진로적응성에 대한 이해가 요구되고 있다(Cho & Hong, 2010). 이에 취업난과 직업적응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직업군 중에서도 미용분야와 같은 전문 기술 직종들이 두각을 드러내고 있고(Kim & Yoon, 2019), 미용서비스 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미용기술에 대한 기대 또한 커지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미용 관련 직업이 자신과 맞는지 찾기 위해 미용학원을 수강하려는 학습자들이 늘어나고 있다(Shin et al., 2019). 이는 미용학원을 수강하고 있는 학습자들이 수강을 결정하는 순간부터 진로와 취업을 고민하면서 자신에게 맞는 직업을 찾아보고 준비하기 위해 미용교육기관인 미용학원을 이용하고 있다고 할 수 있고, 급변하는 직업 환경에서 새로운 진로 환경에 적응할 진로 교육을 필요로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Lim & Yang, 2018).

미용학원 학습자의 진로적응성, 교육성과, 교육만족도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Shin(2022)의 연구결과, 다양한 진로 과업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진로적응성이 높을수록 진로 결정 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고, Yang(2020)의 연구결과로 미용학원에 대한 학습자의 수강만족도가 높을수록 교육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으며, Choi(2021)의 연구결과로 교육성과의 하위요인인 지적, 기능적 능력이 교육기관 충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미용학원의 학습자가 자신감을 가지고 실습 및 이론 교육 프로그램을 수강함으로써 진로적응성, 교육성과, 교육만족도가 진로 선택 및 취업과 미용교육 기관의 발전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나 현재 미용학원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진로적응성과 교육성과 및 교육만족도의 관계를 알아본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용학원의 학습자들의 진로적응성, 교육성과, 교육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각 변인 사이의 영향을 객관적으로 연구하여 성공적인 학습자의 취업과 직업 적응을 위한 관리 방법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는 미용학원을 수강하고 있는 학습자 개개인의 적응성을 파악하고 그에 맞는 차별적인 교육 기회를 제공하여 예측할 수없이 급변하는 직업 환경에 성공적으로 취업하고, 나아가 사회에서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며 미용교육 산업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I. 이론적 배경

1. 미용학원

학원교육은 평생교육의 차원으로 남녀노소에게 배움의 기회를 제공하고, 학습자가 사회 진출하여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기술을 체계적으로 교육 받을 수 있는 사설 교육기관이며(Kim, 2005), 국가나 법인이 아닌 사회의 개인적인 사업으로 운영되는 것이 특징으로 정부의 규제가 많이 따르지 않는 자유로운 교육 사업으로 보기도 한다(Lim, 2020). 학원교육은 학교교육이 실제적으로 충족시킬 수 없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들을 제공하여 사회와의 연관성을 확보하고, 학교교육을 보완하고 연장하기 위한 교육기관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Han, 2007), 미용현장은 미용기술 못지않게 고객에게 대하는 서비스 정신 및 고객 지향적 마인드를 중요시하기에(Jeon, 2013) 학습자 중심의 전문적인 지식, 기술, 능력을 가지고 개성의 삶을 살 수 있도록 질적인 교육으로 개선해야 한다(Kim, 2017). 따라서 기술교육과 지식, 서비스 정신을 점점 더 요구하고 있음에 따라 미용학원에서의 역할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므로, 학습자 개인에게 세분화된 맞춤형 교육서비스를 제공하여 교육 만족도를 향상시켜(Moon, 2015), 직업세계에 잘 적응하고 직업능력을 개발할 수 있는 인재를 배출하도록 밑받침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Kim, 2011).

2. 진로적응성

진로적응성의 용어는 Super와 Knasel(1981)이 처음 제안하였고, Jang(2009)은 개인의 전 생애에 일어나는 직업과 직업 환경의 변화로 예측이 어려운 미래와 다양한 진로 전환에 적응할 수 있는 진로 결정을 위한 준비도라 하였다. 또한 Kim(2019)은 성공적인 진로 전환을 위해 현재의 진로 환경에 자신을 맞춘 자기조절능력이라고 했으며, Jang(2014)은 미래 직업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환경을 변화시키고, 자신을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을 의미하는 개념으로 직업 환경의 변화에 맞추어 진로영역에서 적용되기 시작했다고 하였다. 진로적응성이 높을수록 사회적 환경에 자신을 맞추고 자발적으로 행동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환경을 극대화하여 이용하는 것을 의미하고(Kwak, 2018) 진로 결정, 진로 탐색, 자신감 및 만족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Moon et al., 2012). 진로적응성은 단지 직업에서의 성공적 적응뿐만 아니라 전반적 생활에서의 적응과도 관계가 있다고 하였다(Cha, 2012). Jang & Kim(2011)은 진로적응성의 하위요인 14가지를 제시하였고, Cho(2011)는 진로적응성을 대인관계, 목표의식, 책임감, 직무 능력, 주도성 등으로 구성하였으며, Kuk(2022)은 하위요인을 책임감, 창의성, 대인관계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미용학원의 학습자 진로적응성이 미용학원의 교육성과 및 교육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되어 미용학원 학습자의 진로적응성에 대한 중요성을 알아보고자 진로적응성의 하위차원을 대인관계, 책임감, 창의성으로 명명하였다.

3. 교육성과

성과란 어떤 일을 이루어낸 결실과 보람을 나타내며, 어디에서 어떠한 의미로 사용되는가에 따라 다의적인 의미 가운데에서 특정한 하나의 의미를 가진다(Lee, 2018). 또한 교육성과는 목표와 실제 결과의 효과성과 효율성이라는 두 가지의 개념을 포함하는 성취, 획득 및 과제 수행 등이라고 할 수 있다(Cheon, 2022). 즉, 학습자가 학습과정을 통해 학습경험의 결과로 얻게 되는 개인의 성과, 획득한 지식 및 기술의 향상이나 태도의 변화를 의미한다(Byun, 2009).

Kim(2008)의 연구에 따르면 미용학원의 프로그램이 경력 개발, 작업 수행의 향상, 수료 후 직업 선택에 실제적인 도움이 된다고 하였고, 학습자들의 요구 이해 및 교육서비스가 높을수록 미용학원의 학습자 만족도에 높은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육성과를 학습자가 미용교육을 학습한 결과로 성취감을 느끼고 타인의 인정에 대한 반응이 긍정적으로 나타난 것과, 기능적인 목적 달성의 정도를 나타낸 것으로 정의하며(Lee, 2013), 교육성과의 하위차원을 심리적성과, 기능적성과로 명명하였다.

4. 교육만족도

교육에서 만족(Satisfaction)이란 여러 가지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고, 미용학원에의 만족은 광의의 개념으로 미용 제품의 품질, 수강 금액, 상황적 요인, 개인적 요인까지 모두 포함되어 진다(Park, 2014). 만족은 학습자가 교육 경험을 통해 느끼는 것으로 학습자의 감정적인 과정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으며, 서비스 산업에서는 소비자의 기대치를 대비하여 지각된 만족도라고 정의 할 수 있다(Lee, 2012). 교육만족도는 자기 욕구를 충족함으로써 만족감을 느끼고, 학원과 학습자의 관계에 대해 상호적인 상태로 학습자의 학습에 대한 인식 정도와 생활환경의 차이에서 일어나는 충족감을 가지는 정도를 나타낸다(Lee, 2004). 고객만족의 중요성은 충성도와 같은 학습자의 행동에 대하여 만족감이 어느 정도의 영향을 주었는지에 대한 주관적인 척도이고, 교육서비스를 제공하는 학원에서는 학습자의 만족에 의한 충성도는 재수강과 직결되며 긍정적인 구전활동 또한 기대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신규 고객의 확보 및 관리 비용의 절감으로 학원의 수익률에 직접적인 기여를 하게 된다는 측면에서 중요성을 지닌다(Lee, 201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육만족도를 미용학원 학습자의 교육서비스에 대한 기대 및 인식의 정도로 정의하며, 교육만족도의 하위요인을 만족도와 충성도로 명명하였다.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문제

첫째, 미용학원 학습자의 진로적응성이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둘째, 미용학원 학습자의 진로적응성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셋째, 미용학원 학습자의 교육성과가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지역에서 미용학원 경험이 있는 20대 이상의 미용 전공 및 재취업을 희망하는 비전공 학습자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법 설문지법을 실시하였고, 2023년 10월 20일~2023년 11월 30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총 620부를 배포하여 599부를 회수 후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3. 측정도구 및 분석방법

본 연구는 You(2023), Park(2002), Park(2018), Kim(2020)의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설문 문항을 재구성했고, 진로적응성 18문항, 교육성과 12문항, 교육만족도 12문항 총 42문항을 Likert척도로 구성했으며, 일반적 특성 9문항을 명목척도로 구성했다. 최종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으로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IV. 결과 및 고찰

1. 조사 대상의 일반적 사항

1) 일반적 특성

미용학원 학습자의 일반적 특성 결과는 <Table 1>과 같다. 성별은 여성 84.3%(505명), 남성 15.7%(94명)로 나타났고, 연령의 경우 20~29세 73.8%(442명), 30~39세 15.2%(91명), 40세 이상 11.0%(66명)로 나타났으며, 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9.8%(59명), 전문대학 재학/졸업 42.4%(254명), 4년제 대학 재학/졸업 39.9%(239명), 대학원 재학 이상 7.9%(47명)로 나타났다. 직업은 전문직 20.3%(122명), 가정주부 4.7%(28명), 판매/서비스직 12.4%(74명), 학생 52.1%(312명), 사무직 3.5%(21명), 자영업 4.5%(27명), 기타 2.5%(15명)로 나타났고, 전공분야는 헤어 64.4%(386명), 메이크업 11.0%(66명), 네일 14.7%(88명), 피부 9.2%(55명), 기타 0.7%(4명)로 나타났으며, 월평균 소득은 200만 원 미만 65.1%(390명), 200만 원 이상 300만 원 미만 21.0%(126명), 300만 원 이상 400만 원 미만 9.3%(56명), 400만 원 이상 4.5%(27명)로 나타났다.

General Characteristics (N=599,%)

2. 자료 검증

1) 진로적응성의 타당성 및 신뢰도

미용학원 학습자의 진로적응성 타당성 검증을 위해 요인을 분석한 결과 <Table 2>와 같이 세 가지 요인이 도출되었다. Bartlett의 단위행렬 점검 결과 χ2=48620.977(df=120, Sig=.000), KMO값 0.957로 나타났으며, 공통성은 0.697 이상으로 나타났다. 첫째, ‘대인관계’ 요인의 요인적재값은 0.703~0.843로 나타났으며, 고유값은 4.566으로 나타났다. 둘째, ‘책임감’ 요인의 요인적재값은 0.697~0.809로 나타났으며, 고유값은 4.560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의성’ 요인의 요인 적재값은 0.677~0.786로 나타났으며, 고유값은 3.221으로 나타났다. 요인분석을 한 결과, 분산설명비율은 대인관계 요인 28.5%, 책임감 요인 28.5%, 창의성 요인 20.1%로 세 개의 요인이 전체 분산의 77.1%이상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신뢰도 검증 결과로는 신뢰도 계수 Cronbach's α가 0.905~0.944로 나타났으며, 신뢰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Validity and Reliability of Career Adaptability

2) 교육성과의 타당성 및 신뢰도

미용학원 학습자의 교육성과 타당성 검증을 위해 요인을 분석한 결과 <Table 3>과 같이 두 가지 요인이 도출되었다. Bartlett의 단위행렬 점검 결과 χ2=4323.897(df=36, Sig=.000), KMO값 0.932로 나타났고, 공통성은 0.27 이상으로 나타났다. 첫째, ‘심리적성과’ 요인의 요인적재값은 0.768~0.810로 나타났고, 고유값은 3.822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능적성과’ 요인의 요인적재값은 0.663~0.869로 나타났고, 고유값은 3.148으로 나타났다. 요인분석을 한 결과, 분산설명비율은 심리적성과 요인 42.2%, 기능적성과 요인 34.9%로 두 개의 요인이 전체 분산의 77.4%이상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신뢰도 검증 결과로는 신뢰도 계수 Cronbach's α가 0.907~0.921로 나타났으며, 신뢰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Validity and Reliability of Educational Performance

3. 교육만족도의 타당성 및 신뢰도

미용학원 학습자의 교육만족도 타당성 검증을 위해 요인을 분석한 결과 <Table 4>와 같이 두 가지 요인이 도출되었다. Bartlett의 단위행렬 점검 결과 χ2=4776.209(df=45, Sig=.000), KMO값 0.946로 나타났고, 공통성은 0.687 이상으로 나타났다.

Validity and Reliability of Educational Satisfaction

첫째, ‘만족도’ 요인의 요인적재값은 0.766~0.809로 나타났고, 고유값은 3.838으로 나타났다. 둘째, ‘충성도’ 요인의 요인적재값은 0.699~0.803로 나타났고, 고유값은 3.697 나타났다.

요인분석을 한 결과, 분산설명비율은 만족도 요인 38.3%, 충성도 요인 36.9%로 두 개의 요인이 전체 분산의 75.4%이상 설명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신뢰도 검증 결과로는 신뢰도 계수인 Cronbach's α가 0.909~0.924로 나타났으며, 신뢰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미용학원 학습자의 진로적응성이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

미용학원 학습자의 진로적응성이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한 결과는 <Table 5>와 같이 나타났다.

The Effect of Beauty Academy Learners Career Adaptability on Educational Performanc

학습자 진로적응성의 대인관계, 책임감, 창의성 변수가 심리적성과 요인을 예측하는데 55.4%의 설명력을 지니고, 책임감(β=.375), 대인관계(β=.248), 창의성(β=.207) 순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인관계, 책임감, 창의성이 높아질수록 심리적성과도 높아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대인관계, 책임감 변수가 기능적성과 요인을 예측하는데 45.4%의 설명력을 지니고, 책임감(β=.406), 대인관계(β=.249) 순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인관계, 책임감이 높아질수록 기능적성과도 높아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연구결과 미용학원 학습자가 미용교육을 통해 사람들과의 관계를 유지하고, 미래를 준비하고 있다는 책임감을 가지며 문제해결을 위한 새로운 방법들을 모색할수록 교육성과의 하위요인인 심리적성과, 기능적성과 요인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진로적응성의 대인관계, 책임감, 창의성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Park(2018)의 연구에서는 관계지향성, 의사소통이 교육성과의 하위요인에 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타났고, Si(2023)의 연구결과, 진로적응성이 높을수록 심리사회적 적응으로 이어질 때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진로 및 직업 영역에서 발생하는 과업, 변화, 문제 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Yong(2016)의 연구결과, 진로적응성은 자기이해 수준과 진로 필요성 인식 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타났고, 이는 진로적응성이 자신에 대한 내면의식, 일에 대한 소명의식과 상관이 있는 심리적 요인으로 여기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뒷받침해주고 있다.

5. 미용학원 학습자의 진로적응성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용학원 학습자의 진로적응성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한 결과는 <Table 6>과 같이 나타났다.

The Effect of Beauty Academy Learners Career Adaptability on Educational Satisfaction

학습자 진로적응성의 하위요인인 대인관계, 책임감, 창의성 변수가 만족도 요인을 예측하는데 44.0%의 설명력을 지니고, 책임감(β=.282), 창의성(β=.267), 대인관계(β=.191) 순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인관계, 책임감, 창의성이 높아질수록 만족도도 높아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학습자의 진로적응성의 하위요인인 대인관계, 책임감, 창의성 변수가 충성도 요인을 예측하는데 42.8%의 설명력을 지니고, 대인관계(β=.291), 창의성(β=.237), 책임감(β=.201) 순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인관계, 책임감, 창의성이 높아질수록 충성도도 높아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연구결과 미용학원의 학습자가 미용교육을 통해 다른 사람들과 어울리며 관계가 향상되고, 현재의 선택이 미래를 만든다는 것을 알고 신념에 충실하며, 속한 모임에서 아이디어가 채택될수록 교육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교육의 대인관계, 책임감, 창의성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Han(2017)의 연구에서 교육만족도에 따른 집단 간 진로적 응성 차이를 살펴본 결과, 교육만족도가 매우 만족인 집단이 만족 집단과 보통 이하 집단보다 진로적응성이 높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Park(2017)의 연구 결과, 진로정응성의 하위 차원인 관심 차원이 진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으며, Seo et al.(2019)의 연구에서는 진로에 대한 자신감을 향상시키면 어려움을 극복하고 진로적응력이 향상되고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또한 유지하기에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면서 본 연구의 결과를 뒷받침해주고 있다.

6. 미용학원 학습자의 교육성과가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용학원 학습자의 교육성과가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한 결과는 <Table 7>과 같이 나타났다.

The Effect of Beauty Academy Learners Educational Performance on Educational Satisfaction

학습자 교육성과의 하위요인인 심리적성과, 기능적성과 변수가 만족도 요인을 예측하는데 45.7%의 설명력을 지니고, 심리적성과(β=.536), 기능적성과(β=.172) 순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심리적성과, 기능적성과가 높아질수록 만족도도 높아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학습자 교육성과의 하위요인인 심리적성과, 기능적성과 변수가 충성도 요인을 예측하는데 39.7%의 설명력을 지니고, 심리적성과(β=.473), 기능적성과(β=.191) 순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심리적성과, 기능적성과가 높아질수록 충성도도 높아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연구결과 미용교육을 통해 미용작업에 대한 실력이 향상되어 결과물로 나타났을 때 자신감이 생기고, 작업 도구의 차이와 작업 방법 및 과정을 알게 될수록 만족도 및 충성도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교육성과의 심리적성과, 기능적성과가 높아질수록 미용학원 학습자의 교육만족도도 높아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Yang(2020)의 연구에서는 미용학원의 교육만족도가 교육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타났고, Choe(2019)의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의 교육에 대한 만족감이 클수록 구전, 학원 추천, 재수강 등의 행동을 보여주는 교육만족도 요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Lee(2013)의 연구결과, 교육생의 만족도가 지적·기능적, 사회·심리적 교육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고 자격증을 취득한 학습자일수록 만족도가 교육성과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고 교육성과가 높을수록 교육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 결과 내용을 뒷받침해주고 있다.

V. 결 론

본 연구는 직업 환경의 변화와 미래에 대한 불확실한 고용 구조에 따라 미용기술에 대한 희망이 커지면서 미용학원의 교육을 통해 직업선택에 있어 진로적응성이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을 고려하여 미용학원 학습자의 진로적응성, 교육성과, 교육만족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성별은 여성 84.3%(505명), 연령은 20대 73.8%(442명), 학력은 전문대학 재학/졸업 42.4%(254명), 직업은 학생 52.1%(312명), 전공분야는 헤어 64.4%(386명), 월 평균 소득 200만 원 미만 65.1%(390명)이 조사에 가장 많이 응해주었고, 미용학원 학습자의 진로적응성의 모든 요인이 교육성과의 심리적성과 요인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진로적응성의 책임감요인이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미용교육을 통해 학습자에게 미래를 위해 미리 준비하고 스스로의 선택이 미래를 만든다는 것과 행동에 대한 책임감을 가지고 잘 해결하도록 안내하는 것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진로적응성의 대인관계, 책임감이 교육성과의 기능적성과 요인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미용교육을 통해 일어나는 문제를 학습자들과 함께 해결하고 책임감을 가지고 행동함에 따라 미용의 작업 도구별 차이점과 지식과 작업방법 및 과정을 정확하게 습득하게 되고, 효율적으로 과제를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나, 진로적응성의 창의성이 교육성과의 하위요인인 기능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이는 수강 중에 새로운 아이디어 및 방법들을 찾아도 국가자격증 과정의 경우에는 준수해야 하는 규정이 있기 때문에 정확한 작업 방법 및 과정을 숙지해야 하므로 창의성 요인이 기능적성과 요인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미용학원의 교육자는 학습자의 국가자격증 합격을 위해 과제별 작업 방법 및 과정을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습득하고 자신감 있게 수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야 하며, 자격증 취득 이후 연계되는 실무과정에서 기본기를 기반으로 하여 새로운 것을 창작하는 능력인 창의력이 발산되어 기능적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미용학원 학습자의 진로적응성이 교육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이는 미용교육을 통해 다른 학습자와 관계를 원만하게 유지하고, 학습자가 원하는 미래를 위해 책임감을 가지고 학습하며, 아이디어 제시 및 문제해결을 위한 방법을 찾게 됨으로써 미용교육의 커리큘럼, 진로 및 취업 관리, 교육 재료의 분량에 대해 만족하고 진로적응성이 높을수록 수강료가 올라도 다니는 학원을 계속 이용할 것이며, 타교육 과정에도 참여할 의사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미용학원 학습자의 교육성과가 교육만족도에 유의하게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미용교육을 통해 작업에 대한 자신감 및 자부심이 생기고 타인으로부터 실력이 향상되었다고 듣거나 도구별 차이, 작업 방법, 과정을 학습하게 되면 프로그램의 커리큘럼, 실기 및 이론수업의 비율, 시설 및 장비 등에 전반적으로 만족하고 다니고 있는 학원을 계속 이용하고자 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학습자들이 원하는 전공분야에 대한 유명인을 초청한 세미나를 개최하여 직업을 간접 경험해보거나 미용 전공자와의 진로상담을 수강 중에 진행하여 취업 연결을 돕고, 직업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요양원 및 군부대,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하여 미용 봉사를 진행하거나 박람회 참여, 다양한 현장실습, 대회 등으로 진로 체험의 기회들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자는 원하는 분야 및 직업세계에 대한 이해를 하게 되고 진학 및 취업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기대된다. 즉, 진로적응을 위한 단계를 지원함에 따라 진로적응성과 교육성과 및 교육만족도 또한 높일 것이라고 사료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다양한 연령과 미용 전공분야를 연구하였으나 결과에 집중화로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고, 후속 연구에서는 성별, 연령, 미용 전공분야, 미용 전공자와 비전공자를 구분하여 고른 분포로 일반화가 가능한 연구를 진행한다면 미용교육 산업에 보다 도움이 되는 연구가 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미용학원 학습자의 효과적인 관리방법과 교육전략을 수립하여 수준 높은 교육을 제공하고 학습자들은 자신감을 얻으면서 교육성과와 교육만족도를 높임으로써 미용사의 역량을 강화하고 미용교육 산업 발전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References

1. Byun, Z. S. (2009). Structural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Learning Outcomes in Ceramic Education Programs at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es. Doctoral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cheongbuk-do, 60.
2. Cha, H. J. (2012). Analysis of Career Self-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with Career Vicarious Learning on University Student. Master's thesis, Kyonggi University, Gyeonggi-do, 18.
3. Cheon, J. H. (2022). The Effect of Franchise Education System on Educational Performance and Franchisee Management Performance -Comparison according to Franchise Education Period-. Master's thesis, Hansung University, Seoul, 14.
4. Cho, E. H. (2011). Effects of Pre-employment Activities and Task Approach Skill on Career Adaptability. Master's thesis, Kyonggi University, Gyeonggi-do, 5.
5. Cho S. Y., Hong J. Y.. 2010;The Relationship among Demographical Variances,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of Adult Learners. Korea Journal of Counseling 11(3):1099–1115.
6. Choe, K. D. (2019). A Study on the Effect of Baking Education Service Quality on Student's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 By the Regulating Effect of Self-Achievement -. Master's thesis, Hansung University, Seoul, 45.
7. Choi, S. M. (2021). The effects of cooking education service quality on educational performance and educational institution satisfaction. Master's thesis, Cheongwoon University, Chungcheongnam-do, 54.
8. Lee, K. H. (2013). A Study on the Effects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of cooking education institutions and learning outcome.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44-45.
9. Han, E. J. (2017). Analysis of Career Adaptability According to Participation Experience in Vocational Competency Education of Adult Learners. Master's thesis, Dongeui University, Busan, 77.
10. Han, K. O. (2007). Analysis on the Actual Condition of private institutes in Korean educational system-with priority given to apolitical issue on the roles of public and private education-. Master's thesis, Daejeon University, Daejeon, 29-30.
11. Jang, H. M. (2014).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self-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etic attitude of parents and career adaptability.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9.
12. Jang, K. Y. (2009). The Development of the Career Adaptability Scale for the Korean University Students. Doctoral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35.
13. Jang K. Y., Kim B. W.. 2011;The Development of the Career Adaptability Scale for the Korean University Students. Korea Journal of Counseling 12(2):539–558.
14. Jeon, E. S. (2013). Effects of Cosmetology Education Service Quality Factors on Educational Outcomes, Oral Behavior, and Reuse Intention. Master's thesis, Seokyeong University, Seoul, 10.
15. Kim A. R.. 2005;A Study on Satisfaction with the Culinary Education Environment in the Students of Foodservice & Culinary Art.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11(1):105–118.
16. Kim, B. R. (2020). The Effects of the Quality of Educational Service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among Students from Academia & Industry-partnered Apprenticeship Schools in Cosmetology - Focusing on cosmetology high schools. Master's thesis, Honam University, Gwangju, 70-74.
17. Kim, C. H. (2008).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ervice Quality of Beauty Academy Education On Education Performance and Students Satisfaction.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84.
18. Kim, D. G. (2019). The mediated effect of self-efficiency in relation to the organizational culture, social support and career adaptability of beauty service industry workers. Doctoral dissertation, Seokyeong University, Seoul, 22.
19. Kim D. H., Yoon M. Y.. 2019;Effect of Beauty-Educational Satisfaction of Student on Job and Job-Understanding in Beauty-Related High Schoo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5(5):1152–1161.
20. Kim, S. H. (2017).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Service Quality of Cooking Training on Career Selection and Satisfaction : Based on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Taking Job Commissioned Training. Master's thesis, Kyonggi University, Gyeonggi-do, 2.
21. Kim, S. Y. (2011). The Effectof Education Service Qualityon Beauty Academy Satisfaction and Consumption Behavior. Master's thesis, Honam University, Gwangju, 8.
22. Kuk, S. T. (2022).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self-competence characteristics on career adaptability. Master's thesis, Gwangju Nationl University of Education, Gwangju, 4.
23. Kwak, H. S. (2018). A Structural Analysis among Variables Affecting Career Adaptability for Post-adolescents -Focusing on Students of Beauty Care Service Department in Junior College-. Doctoral dissertation, Myongji University, Seoul, 18.
24. Lee, C. A. (2013). A Study on the Effect of Education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in the Service Academy. Master's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14.
25. Lee, C. H. (2004). Analysis on Degree of Satisfaction on Alternative Schools. Master's thesis, Kongju University, Chungcheongnam-do, 11-13.
26. Lee, I. S. (2012). Development of a Structural Model for Wine Training Service Quality Performance, Service Value,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37.
27. Lee, K. H. (2013). A Study on the Effects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of cooking education institutions and learning outcome.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44-45.
28. Lee, M. J. (2018). The Effect of Satisfaction level of Private Education's Service and Quality on Customer Loyalty and Student Performance.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5-28.
29. Lee S. Y., Park E. J.. 2022;The Effect of Choice Factors of Beauty Academy on Career Decis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Preliminary Beauty Paramedic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8(5):931–944. doi: 10.52660/JKSC.2022.28.5.931.
30. Lim H. S., Yang E. J.. 2018;The Effects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of Beauty Academy on Career Aspir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4(5):883–891.
31. Lim, Y. J. (2020). A Study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of the Educational System of Beauty High School and Beauty Academy.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5.
32. Moon, H. S. (2015). Effects of Beauty Education Service Quality on Beauty Education Satisfaction, Recommendation and Intention for Taking more Classes. Master's thesis, Gachon University, Gyeonggi-do, 8-10.
33. Moon S. T., Bak M. H., Yang B. M.. 2012;The relationships among Human Relationship, Personal Initiative in learning and Vocational Adaptability on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25(3):39–60.
34. Park, G. B. (2017). The mediating effect of discrepancy due to career compromise between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satisfaction, career engagement Mediating effect of discrepancy due to career compromise between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satisfaction, career engagement.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35-37.
35. Park, H. C. (2018). Effects of Beauty & Cosmetology Academy Relationship Marketing on Educational Performances and Learners’ Voluntary Behavior - Focusing on cosmetology academies in Gwangju and Jeonnam -. Master's thesis, Honam University, Gwangju, 32.
36. Park, H. C. (2018). Effects of Beauty & Cosmetology Academy Relationship Marketing on Educational Performances and Learners’ Voluntary Behavior - Focusing on cosmetology academies in Gwangju and Jeonnam -. Master's thesis, Honam University, Gwangju, 55-58.
37. Park, H. M. (2022). The Effects of Self-esteem by university students on Career adaptation: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Self-leadership. Master's thesis,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65-66.
38. Park, M. S. (2014). The Influence of Beauty Academy Selecting Factors on Student Satisfaction, Reregistration Intention, and Wom Behavior. Master's thesis, Daegu Catholic University, Daegu, 11.
39. Seo M. S., Jin B. U., Park E. J.. 2019;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Confide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5(6):1396–1403.
40. Shin, B. R. (2022).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Calling and Career Adaptability among University Students: Mediating Effect of Growth Mindset.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51.
41. Shin J. O., Lee J. E., Chon H. J.. 2019;The Effect of Beauty Vocational Ability Development Account System on Career Decision of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Practical Releva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5(5):1093–1099.
42. Si, H. S. (2023). The Relation Between Career Adaptability and Psychosocial Adjustment of Working Mothers.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57.
43. Yang, C. Y. (2020). The Effect of the Quality of Education Service on the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of the Course at the Beauty Academy. Master's thesis, Sungkyul University, Gyeonggi-do, 50-53.
44. Yong, H. W. (2016). The Relation between Career Adaptability and Job Satisfaction, Job Burnout: Mediating Effects of Workplace Spirituality.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Gyeonggi-do, 21.
45. You, J. H. (2023). Dual Mediating Effects of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Preparatory Behavi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ysfunctional Career Thinking and Career Stress among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University Students: Focusing on the Career Adaptation Model.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59-61.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N=599,%)

Category Sum
Frequency (N) Percentage (%)
Gender Female 505 84.3
Male 94 15.7
Age(s) 20s 442 73.8
30s 91 15.2
40s or more 66 11.0
Academic Ability Graduation from High School 59 9.8
Attending/Graduating a Vocational College 254 42.4
Attending/Graduating from a Four-year University 239 39.9
Graduate School or Higher 47 7.9
Job(s) Specialized Job 122 20.3
Housewife 28 4.7
Sales/Service 74 12.4
Student 312 52.1
Office Worker 21 3.5
Self-employed 27 4.5
Etc. 15 2.5
Major(s) Hair 386 64.4
Makeup 66 11.0
Nail 88 14.7
Skin 55 9.2
Etc. 4 0.7
Monthly Income Less than 200 390 65.1
200~300 126 21.0
300~400 56 9.3
More than 400 27 4.5
Sum 599 100.0

Table 2.

Validity and Reliability of Career Adaptability

Questions of Career Adaptability Factor 1
Factor 2
Factor 3
Commona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ccountability Creativity
I improved my relationship with people through cosmetology education. .843 .294 .213 .843
I solved the problem with my colleagues through cosmetology training. .823 .345 .177 .827
I am better at balancing seniority and juniority through cosmetology education. .781 .308 .294 .792
I have improved my relationship with people through cosmetology education. .773 .259 .364 .796
I tried to solve problems with my colleagues through my cosmetology education. .749 .256 .370 .764
I have been told that I get along well with others because of my cosmetology education. .703 .260 .303 .725
I am preparing for the future I want through my cosmetology education. .299 .809 .181 .777
I know that my choices today will shape my future because of my cosmetology education. .258 .809 .172 .750
I took responsibility for my actions through cosmetology education. .286 .807 .227 .785
I recognize that the choices I make today will determine my future through cosmetology education. .289 .759 .300 .749
I recognize that the choices I make today can determine my future. .222 .745 .304 .697
I became faithful to my beliefs through beauty education. .266 .697 .394 .712
I recognize that my ideas are often accepted in groups I belong to because of my cosmetology education. .391 .187 .786 .806
I have the ability to create new things through my cosmetology education. .314 .354 .771 .818
I am able to find new ways to solve problems because of my cosmetology education. .364 .363 .711 .769
I have improved my creativity through beauty education. .298 .336 .677 .736
Eigenvalue 4.566 4.560 3.221
Description Variance (%) 28.535 28.502 20.130
Accumulated Variance (%) 28.535 57.037 77.167
Reliability Factor(Cronbach's α) .944 .929 .905
χ2=48620.977(df=120, Sig=.000), KMO, 0.957

Table 3.

Validity and Reliability of Educational Performance

Questions of Educational Performance Factor 1
Factor 2
Commonality
Psychological Performance Functional Performance
I gained confidence in beauty work through beauty education. .810 .350 .778
I heard from others that my beauty skills improved through beauty education. .809 .327 .762
I recognize that my skills have improved from the beginning through beauty education. .797 .338 .750
I took pride in being a cosmetologist through my cosmetology education. .787 .375 .760
I was able to identify my potential through beauty education. .768 .393 .744
I learned the difference between beauty work tools after beauty education. .311 .869 .851
I learned how to work and how to work in beauty through beauty education. .342 .835 .815
I got to know about beauty through beauty education. .307 .786 .783
I can efficiently perform the tasks given to me through beauty education. .336 .663 .727
Eigenvalue 3.822 3.148
Description Variance (%) 42.471 34.978
Accumulated Variance (%) 42.471 77.449
Reliability Factor(Cronbach's α) .921 .907
χ2=4323.897(df=36, Sig=.000), KMO,0.932

Table 4.

Validity and Reliability of Educational Satisfaction

Questions of Educational Satisfaction Factor 1
Factor 2
Commonality
Satisfaction Loyalty
I am satisfied with the curriculum and diversity of the beauty education program of the beauty academy. .809 .337 .768
I am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career and employment management of the beauty academy. .799 .392 .793
I am satisfied with the ratio of practical and theoretical classes at the beauty academy. .779 .381 .753
I am satisfied with the amount of educational materials provided by the beauty academy. .775 .317 .774
I am satisfied with the facilities and equipment of the beauty academy. .766 .303 .749
I will continue to use the academy I currently attend even if the tuition fee for the beauty academy rises. .339 .803 .760
I will recommend the instructor first when recommending a beauty academy to the people around me. .376 .797 .776
I will encourage people around me to use the academy I am taking. .375 .796 .775
I am willing to participate in other curriculums other than the one I heard. .376 .739 .687
I will talk positively about the hairdressing academy instructor to others. .360 .699 .701
Eigenvalue 3.838 3.697
Description Variance (%) 38.379 36.970
Accumulated Variance (%) 38.379 75.349
Reliability Factor (Cronbach's α) .924 .909
χ2=4776.209(df=45, Sig=.000), KMO, 0.946

Table 5.

The Effect of Beauty Academy Learners Career Adaptability on Educational Performanc

Independent Variable (Career Adaptability) Independent Variable (Educational Performance) Coefficient
β t p
B S.E
(Constant) Psychological Performance 1.081 .124 8.693 *** .000
Interpersonal Relationship .209 .036 .248 5.729 *** .000
Accountability .394 .043 .375 9.211 *** .000
Creativity .177 .039 .207 4.561 *** .000
adj. R²= .554 F= 248.791 p= .000***
(Constant) Functional Performance 1.719 .121 14.168 *** .000
Interpersonal Relationship .185 .036 .249 5.206 *** .000
Accountability .377 .042 .406 9.026 *** .000
Creativity .068 .038 .090 1.795 .073
adj. R²= .454 F= 167.036 p= .000***
***

p<.001

Table 6.

The Effect of Beauty Academy Learners Career Adaptability on Educational Satisfaction

Independent Variable (Career Adaptability) Independent Variable (Educational Performance) Coefficient
β t p
B S.E
(Constant) Satisfaction 1.113 .151 7.386 *** .000
Interpersonal Relationship .174 .044 .191 3.944 *** .000
Accountability .321 .052 .282 6.183 *** .000
Creativity .247 .047 .267 5.251 *** .000
adj. R²= .440 F= 157.668 p= .000***
(Constant) Loyalty 1.115 .160 6.972 *** .000
Interpersonal Relationship .278 .047 .291 5.940 *** .000
Accountability .239 .055 .201 4.350 *** .000
Creativity .231 .050 .237 4.625 *** .000
adj. R²= .428 F= 150.155 p= .000***
***

p<.001

Table 7.

The Effect of Beauty Academy Learners Educational Performance on Educational Satisfaction

Independent Variable (Educational Performance) Independent (Educational Satisfaction) Coefficient
β t p
B S.E
(Constant) Satisfaction .763 .164 4.643 *** .000
Psychological Performance .579 .051 .536 11.292 *** .000
Functional Performance .211 .058 .172 3.620 *** .000
adj. R²= .457 F= 252.925 p= .000***
(Constant) Loyalty .814 .182 4.479 *** .000
Psychological Performance .537 .057 .473 9.450 *** .000
Functional Performance .246 .064 .191 3.819 *** .000
adj. R²= .397 F= 198.163 p= .000***
***

p<.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