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육실태 및 교육내용 요구도 조사 분석
Educational Needs Analysis on Actual Conditions & Educational Contents for Develop the Image Making Education Program
Article information
Trans Abstract
Image making is a very important factor for people whose jobs involve providing services face-to-face with customers. In particular, the image of a beauty worker has a positive impact not only on communication with customers but also on work performanc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ducation status and education content needed when developing education for beauty majors through a needs survey and prepare the basis for educational materials.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a total of 460 beauty majors and collected and analyze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for Windows 25.0, and frequency analysis, cross-tabulation,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ere performed. First, out of 460 respondents, only 66 (14.3%) had participated in an image-making education program. Most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y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program through school classes and received once in school. Second, the appropriate frequency of training was found to be once a week for 1-2 hours per session, and the highest frequency was for lecture+practice blending classes. Third, the contents ranked 1 to 3 among the educational contents are as follows. the first rank was 'manners and etiquette', the second was 'facial expression management', the third was 'service response skills'. Teaching method is preferred a combination of lecture and practice. As duration of training, once a week and 1-2 hours per session were the most preferred.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future program development by analyzing the educational status and educational content.
I. 서 론
현대사회에서는 행복하고 건강한 삶을 위해서는 자기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관리하고 자신의 능력에 대한 자신감이 필요하다. 사회에서는 각자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자신을 나타내고자 하는 욕구가 강할수록 이미지 메이킹에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Kim, 2015).
개인의 이미지란 자신에 대해 지각하고 결정짓는 태도나 느낌의 총체이며 외모, 체형, 표정, 자세, 태도, 음성, 행동, 등 외부로 나타나는 특성의 전체적인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개인의 이미지는 내적·외적·사회적 이미지로 나눌 수 있으며 내적 이미지는 좋은 생각하기, 긍정적인 마음 품기, 열등감 극복과 해소 등 개인의 내면의 본질적인 정서를 의미한다. 외적 이미지는 첫인상 형성, 얼굴표정, 외모와 용모, 메이크업, 컬러이미지 진단과 적용, 자세와 태도 등 내면의 정서 및 의식이 외부로 표출되는 현상이며 사회적 이미지는 대인관계 유형 분석, 매너, 에티켓, 커뮤니케이션 등 개인의 본질과 현상이 대인관계 교류로 나타나고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미지메이킹이란 개인이 추구하는 목표를 위해 자기 이미지를 전략적으로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행위이자 노력을 통칭하는 것이다(Kim, 2005). 개인의 이미지는 사회에서 개인의 가치를 평가하고 판단할 수 있는 중요한 부분이 되고 있으며 효과적인 이미지 연출은 상대방에게 호감가는 첫인상을 전달하게 된다. 소비자와 직접적으로 대면하고 서비스 제공을 하는 직업군의 이미지메이킹은 소비자와의 관계에 있어 커뮤니케이션의 효과적인 수단으로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뷰티종사자의 이미지는 만족도 및 충성도를 높여줄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Lee et al., 2020).
Park(2022)은 뷰티종사자의 이미지메이킹과 고객만족 간의 관계는 내적·외적·사회적 이미지의 모든 요인에 영향을 주며 자신감, 품위, 단정한 복장과 바른자세, 호감도 등 고객서비스에서 중요한 변수라고 하였다. Heo(2015)는 이미지메이킹은 업무수행능력에 영향을 주는데 개인역량 향상과 팀워크 증진에 직접적인 효과가 있으며 개인역량은 팀워크, 직무몰입, 직무만족, 직무성과 향상에 직접효과를 준다고 하였다.
이미지메이킹 교육을 통해 자신이 실제로 가지고 있는 이미지 혹은 목표로 삼고 있는 이상적인 이미지를 만들어 대인관계에서 차별화할 수 있는 자아이미지 전략은 중요하다(Cho, 2014). 그러나 전반적인 이미지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의 연구는 크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부분 이미지메이킹 교육의 필요성, 구성, 기획, 외모적인 이미지, 교육의 만족도나 효과에 대한 연구만이 진행되고 있다(Lee, 2022). 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은 대부분 항공, 서비스, 취업, 창업을 주제로 하거나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미치는 효과나 영향에 관한 교육프로그램 연구가 많은 편이다. 이미지메이킹이 미용을 전공으로 하고 있는 대학생이나 현장실무자에게 매우 중요한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대상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 연구 및 개발은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용전공자를 대상으로 이미지메이킹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육실태 및 교육내용을 요구도 조사를 통해 분석하여 향후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II. 이론적 배경
1. 이미지메이킹
이미지메이킹은(Image-Making) 사람의 얼굴, 표정, 목소리, 옷차림, 자세, 성격 등 그 사람의 특유한 감정과 고유한 느낌이라고 할 이미지의 연상으로 형성된다. 현대사회에서의 이미지메이킹은 자신을 돋보이게 하며 호감가는 느낌과 이미지로 계획하여 타인에게 제공되는 요소로 중요하다(Kang & Cho, 2022). 또는 개인의 사회적 직업과 원하는 스타일에 따라 내적·외적·사회적 이미지를 개인의 상황에 맞게 가지고 있는 장점을 활용하여 상대방에게 긍정적인 호감가는 이미지를 줄 수 있도록 만들어가는 과정을 말한다(Jung & Park, 2021).
이미지메이킹은 자신이 계획한 바람직한 이미지를 정해놓고 능력을 최대한 활용하여 가장 멋진 모습으로 만들어가는 의도적인 변화과정이며 외모 변화 뿐만 아니라 긍정적인 내적이미지를 끌어내어 상대방에게 긍정적인 상승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작업이다(Heo, 2015).
이미지의 첫인상을 통해 받는 상대방의 정보는 나중에 인식되는 정보보다 더 강하게 인식되어 대인관계에 작용하기 때문에 이미지관리는 효과적으로 해야 하며 중요한 사항이라 할 수 있다(Kim, 2012). 대인관계 형성에 긍정적인 이미지를 전달하고자 하는 욕구는 스스로 자신의 부정적인 이미지를 노력을 통해 긍정적인 가치 창출을 기대할 수 있다(Lee, 2005).
이미지메이킹이 삶에 있어 중요한 이유는 대인관계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바람직한 인간관계에서 나오는 행복한 삶과 질을 향상시키는 데 직접적으로 기여한다(Koo, 2007).
서비스를 제공하는 직업은 사람들의 이미지를 통해 또는 자신의 이미지를 통해 메시지를 주고 받거나 업무적인 생산성과 연결되기 때문에 이미지메이킹이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다.
2. 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
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의 목적은 자신의 이미지를 목적에 맞게 원하는 이미지를 보이게 하고자 하는 바람에서 시작되었다. 교육을 통해 내·외적 이미지를 개선시킬 뿐만 아니라 자신감 회복과 만족감을 얻을 수 있다(Jin, 2013).
한국에서의 이미지메이킹 교육은 Kim(2005)의 연구자에 의해 1986년 직장인을 위한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이 최초로 개발·적용되었다. 2000년대 정보기술 산업의 시대가 되면서 인간적인 측면을 중요시 여기는 교육프로그램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기업은 고객 중심 경영으로 선회하면서 개인 이미지 중심의 브랜드(Personal image brand)전략이 강화되었다. 즉 직원들의 비즈니스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이미지 메이킹 프로그램의 도입이 활성화되기 시작하였다(Kim, 2005). 그 이후로 개인의 이미지가 그 사람을 나타내는 가치이자 경쟁력이 되면서 호감가는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는 다양한 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이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외적이미지를 개선시킬 수 있는 헤어, 메이크업, 패션 스타일링 교육, 내적이미지를 개선시킬 수 있는 긍정마인드 및 사고, 열등감 극복, 감사하는 마음 갖기 교육, 사회적이미지를 개선시킬 수 있는 대인관계법, 비즈니스매너, 에티켓, 커뮤니케이션 스킬 등 목표와 필요에 따라 내용을 적용할 수 있다.
3. 요구도 조사를 위한 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 선행연구 분석
요구도 조사에서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내용구성을 위한 문항들을 설계하기 위해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였다. 2007년부터 2021년 최근까지 연구 및 개발된 교육프로그램은 총 13편이었으며 활용된 교육내용들을 도출하였고 Table 1과 같다.
대표적으로 Kang(2021) 연구에서는 표정, 외모관리, 이미지메이킹 중요성, 퍼스널 브렌딩 내용이, Bae(2019) 연구에서는 자기 몸 사랑, 나의 현재와 미래, 얼굴표현, 자세, 인사법, 대화법 등으로 도출되었다. Hwang(2018) 연구에서는 바디랭귀지 및 자세관리, 시선과 표정처리, 비즈니스 패션 스타일링, 테이블 및 생활 비즈니스 매너 내용이 도출되었다. Kim(2015)의 연구에서는 미소, 자세, 인사, 커뮤니케이션, 이미지메이킹 중요성, Kim(2012) 연구에서는 꿈과 비전, 글로벌 매너, 표정, 퍼스널컬러, 긍정적 사고, 이미지메이킹 중요성, 자아상 발표가 도출되었으며, Jun(2011) 연구에서는 자기인식, 표정, 자세 및 매너, 헤어, 컬러 컨설팅, 스피치, 의상 및 액세서리 내용이 도출되었다. Kim(2011) 연구에서는 자세, 미소, 인사, 생활 에티켓, 복장 매너, 손관리, 발건강관리, 피부미용관리, 화장 교육, 두피관리, 체형관리 내용이 도출되었다. Kuh(2019) 연구에서는 열등감 극복, 이미지 분석, 필요성, 메이크업·패션코디네이션, 커뮤니케이션 내용이, Kim(2010) 연구에서는 인사, 기본예절, 언어예절, Song(2009) 연구에서는 표정, 열등감 극복, 자기이미지진단, 이미지트레이닝, 비전 설정, 긍정적 사고 훈련법, 감사의 마음 갖기 내용이 도출되었다. Koo(2007) 연구에서는 이미지메이킹 개념, 열등감 해소, 첫인상 형성, 이미지메이킹 이해, 글로벌시대&매너, 취업면접 내용, Cho(2007) 연구에서는 첫인상, 이미지진단, 표정관리, 바른자세, 매너, 헤어클리닉, 행동유형, 프레젠테이션, 스피치로 도출되었다. Jun(2007) 연구에서는 자세, 바르게 걷는 방법, 인사법, 대인관계법, 머플러 활용코디법의 내용이 도출되었다.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 절차
본 연구는 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미용전공자들을 대상으로 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 실태와 필요로 하는 이미지메이킹 교육내용에 대해 요구도 조사를 진행하고 분석하여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조사를 위한 일반적 특성과 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 실태의 문항은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문항들을 재구성하였다.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내용을 구성하기 위해서 본 연구 프로그램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여 공통된 내용요소들을 도출하고 항목으로 재구성하여 필요한 내용에 대해 우선순위를 선택하게 하고자 한다.
2. 연구대상
연구 대상자는 국내에 거주중인 20대 이상의 미용을 전공하는 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기간은 2023년 3월 1일부터 5월 14일까지 조사하였으며 온, 오프라인 방법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지는 총 460부를 모두 회수하여 최종 분석에 이용하였다.
3. 설문지 구성
설문지 구성에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Kang(2020), Park(2022) 연구를 바탕으로 성별, 연령, 학력, 전공, 경력, 수입에 대한 문항을 6문항으로 재구성하였으며, 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 대한 실태는 Kim(2017), Lee(2018) 연구를 바탕으로 인지상태, 경로, 진단 여부, 교육여부, 동기, 기관, 만족도, 교육횟수, 교육형태로 11문항을 재구성하였다. 설문 항목은 단순 선택형으로 표기하였다. 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 내용구성을 위한 설문 문항은 Kang(2020), Park(2022), Koo(2007) 연구를 참고하였으며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내용 요소를 도출하여 15문항으로 재구성하여 우선순위 선택형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지 구성은 총 32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Table 2와 같다.
4.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교육프로그램 컨텐츠 도출
요구도 조사에서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내용구성을 위한 문항들을 설계하기 위해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여 공통적으로 많이 설계한 내용요소들을 도출하여 문항으로 재구성하였다. 공통적으로 많이 적용된 프로그램 내용은 자세, 바르게 걷는 방법, 첫인상, 복장, 표정, 스피치, 미소, 패션코디네이션, 열등감 해소, 비전 설정, 긍정적 사고, 감사 마음 갖기, 대인관계법, 인사, 비즈니스매너, 행동유형분석, 글로벌 매너, 에티켓, 프레젠테이션 스킬로 도출하였으며 이미지메이킹의 형성요소인 내적·사회적·외적이미지 3가지 분류를 통해 정리하였다. 내적이미지는 열등감 해소, 비전 설정, 긍정적 사고, 감사 마음 갖기로 도출한 내용을 바탕으로 열등감 극복, 비전 설정 및 미션, 긍정마인드 및 사고, 스트레스 관리 기법 내용으로 수정 및 보완하여 구조화하였다. 사회적 이미지는 대인관계법, 인사, 비즈니스매너, 행동유형분석, 글로벌 매너, 에티켓, 프레젠테이션 스킬으로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수정 및 보완하여 예절 및 에티켓, 비즈니스 매너, 글로벌 매너, 프레젠테이션 스킬이며 대인관계법은 서비스 응대스킬로, 행동유형분석은 상담스킬, 커뮤니케이션 스킬로 내용요소를 도출하였다. 외적이미지는 바르게 걷는 방법, 자세, 첫인상, 표정, 복장, 스피치, 미소, 패션코디네이션으로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표정관리, 자세 및 태도, 바디랭귀지, 보이스 트레이닝으로 도출 및 정리하였다. 요구도 조사를 위한 이미지메이킹 내용요소는 Table 3과 같다.
5. 통계분석
자료분석은 SPSS for Windows 25.0을 활용하여 통계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분석, 교육 실태에 대한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는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교육내용에 대해서는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일반적인 특성의 조사결과는 Table 4와 같다. 성별은 남성 75명(16.3%), 여성 385명(83.7%)으로 나타났고, 연령은 20대 336명(73.0%), 30대 43명(9.3%), 40대 52명(11.3%), 50대 29명(6.3%)으로 나타났다. 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79명(17.2%), 전문대 재학/졸업 113명(24.6%), 대학교 재학/졸업 250명(54.3%), 대학원 재학/졸업 18명(3.9%)으로 나타났고, 전공은 헤어 221명(48.0%), 메이크업 120명(26.1%), 피부 52명(11.3%), 네일 39명(8.5%)으로 나타났다. 미용 실무경력은 1년 미만 290명(63.0%), 1~5년 이하 80명(17.4%), 6년 이상 90명(19.6%)으로 나타났고, 월 수입은 100만원 미만 239명(52.0%), 100~200만원 미만 100명(21.7%), 200만원 이상 121명(26.3%)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인 특성 중 성별이 남성보다 여성의 비율이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전공은 헤어와 메이크업의 비율이 편중되어서 있어 향후 성별 및 전공을 전체적으로 확대하여 조사 및 연구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2. 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 교육실태
1) 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 참여여부
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 참여여부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볼 때, 66명(14.3%) 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을 받아본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394명(85.7%) 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을 받아본 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는 연령, 학력, 미용 실무경력, 월 수입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먼저 연령에 따라서는 비교적 연령이 많을수록 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 참여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학력에 따라서는 고등학교 졸업이나 전문대 재학/졸업, 대학교 재학/졸업에 비해 대학원 재학/졸업의 경우 상대적으로 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 참여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용 실무경력에 따라서는 비교적 실무경력이 많을수록 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 참여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월 수입에 따라서는 비교적 월 수입이 많을수록 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 참여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용전공자 또는 미용종사자에게 이미지메이킹이 매우 중요한 부분인데도 불구하고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해본 자는 14.3% 밖에 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이와 관련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제공을 통해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그리고 향후 참여경험이 없는 85.7%를 대상으로 참여해보지 못했거나 참여하지 않았던 이유 등에 대해서도 추가적인 조사 및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2) 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 교육동기
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 경험이 있는 66명을 대상으로 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 교육동기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볼 때, ‘학교 수업’이 27명(40.9%)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관심’과 ‘업무 연관성’이 각 19명(28.8%), ‘주변의 추천’ 1명(1.5%) 순으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학교 수업을 통해서 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을 경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는 성별, 미용 실무경력, 월 수입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1). 먼저 성별에 따라서는 남성의 경우 대체적으로 학교 수업을 통해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여성의 경우 관심이 있거나 업무 연관성으로, 학교 수업을 통해 경험한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또한 미용 실무경력에 따라서는 1년 미만의 경우 대체적으로 학교 수업을 통해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1~5년 이하나 6년 이상의 경우 업무 연관성으로 경험한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고, 월 수입에 따라서는 100만원 미만, 100~200만원 미만의 경우 대체적으로 학교 수업을 통해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200만원 이상의 경우 업무 연관성이나 관심이 있어서 경험한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실무경력에 따라서는 6년 이상인 경우, 월 수입 200이상인 경우 업무 연관성으로 경험했다고 나타났는데, Heo(2015) 연구자에 따르면 이미지메이킹은 업무수행능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한 것을 보아 실질적으로 업무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상대적으로 업무 현장경험이 적은 사람보다 업무 현장경험이 많은 사람일수록 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 참여가 높은 것으로 보아 업무경력에 따라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가 다를 수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3) 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 만족도
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 경험이 있는 66명을 대상으로 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볼 때, ‘매우 만족’ 31명(47.0%), ‘만족’ 22명(33.3%), ‘보통’ 12명(18.2%), ‘불만족’ 1명(1.5%)으로 나타나 전체 80.3%가 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에 대해 만족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전반적으로 교육프로그램에 대해 만족도가 높았으며 어떤 부분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는지 세부적인 조사 연구를 통해 최종 프로그램 개발에 적용해야할 것으로 사료되는 부분이다.
4) 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 교육장소
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 경험이 있는 14.3%를 대상으로 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 교육장소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8과 같다.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볼 때, ‘학교’가 38명(57.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사설업체’ 15명(22.7%), ‘회사’ 7명(10.6%), ‘온라인 교육기관’ 3명(4.5%) 순으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학교에서 교육을 받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는 연령, 미용 실무경력, 월 수입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먼저 연령에 따라서는 20대나 50대의 경우 대체적으로 학교에서 교육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30대의 경우 사설업체나 회사에서, 40대의 경우 학교나 사설업체에서 교육을 받은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고, 미용 실무경력에 따라서는 1년 미만이나 1~5년 이하의 경우 대체적으로 학교에서 교육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6년 이상의 경우 사설업체에서 교육을 받은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또한 월 수입에 따라서는 100만원 미만이나 100~200만원 미만의 경우 대체적으로 학교에서 교육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200만원 이상의 경우 사설업체에서 교육을 받은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대체적으로 학교와 사설업체에서 교육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추후 두 기관의 교육프로그램 실태조사 및 비교 분석을 통해 공통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내용요소들은 최종 프로그램 개발 시 활용하는 방안도 사료된다.
5) 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 교육횟수
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 경험이 있는 66명을 대상으로 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 교육횟수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9와 같다.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볼 때, ‘1회’ 38명(57.6%), ‘2~3회’ 16명(24.2%), ‘4~5회’ 6명(9.1%), ‘6~7회’ 2명(3.0%), ‘8회 이상’ 4명(6.1%)으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1회 정도 교육을 받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Kim(2017) 연구에 따르면 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 실태조사에서 수업시간이 주 1회 참여한 것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전공 및 업무에 대한 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의 도움 정도
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 경험이 있는 66명을 대상으로 전공 및 업무에 대한 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의 도움정도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10과 같다.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볼 때, 62명(93.9%) 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이 전공 및 업무에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4명(6.1%) 전공 및 업무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뷰티서비스를 제공하는 종사자의 이미지인 자신감, 복장, 자세, 품위, 호감도 등은 고객 서비스 만족도에 중요한 변수이며, 재방문 의도가 내적·외적·사회적 이미지에 영향을 준다(Park, 2022). 이러한 연구결과는 이미지메이킹 교육이 전공 및 업무에 도움이 되며 영향을 준다는 결과가 일치하는 것으로 보인다.
7) 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 적정 교육횟수
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 적정 교육횟수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11과 같다.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볼 때, ‘주 1회’ 260명(56.5%), ‘주 2회’ 164명(35.7%), ‘주 3회’ 27명(5.9%), ‘주 4회’ 3명(0.7%), ‘주 5회’ 6명(1.3%)으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주 1회 정도가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는 성별, 연령, 미용 실무경력, 월 수입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1). 먼저 성별에 따라서는 남녀 모두 대체적으로 주 1회 정도가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 외에 여성이 인식하는 적정 교육횟수가 비교적 많은 것으로 볼 수 있고, 연령에 따라서는 다소 차이는 있으나 각 연령 모두 50% 이상이 주 1회 정도가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또한 미용 실무경력에 따라서는 다소 차이는 있으나 각 실무경력 모두 50% 이상이 주 1회 정도가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월 수입에 따라서도 다소 차이는 있으나 각 월 수입별 50% 이상이 주 1회 정도가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지메이킹 관련 교육 프로그램 선행연구 Song(2009), Kim(2011)에서는 주 2회로 설계하였으며, Kim(2015)은 주 4회로 설계한 것과는 다르게 본 연구 문항에 대한 결과는 주 1회로 도출되었다.
8) 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 적정 교육시간(1회)
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 적정 교육시간(1회)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12와 같다.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볼 때, ‘1~2시간’ 332명(72.2%), ‘3~4시간’ 121명(26.3%), ‘5~6시간’ 6명(1.3%), ‘7시간 이상’ 1명(0.2%)으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1회 1~2시간 정도가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이미지메이킹 관련 교육 프로그램 Kim(2010), Kim(2011), Kim(2012), Kim(2015)의 선행연구에 따르면 1회당 교육시간을 60분으로 설계하였으며 Jun(2007), Kuh(2010)의 연구에서는 90분으로 설계하였고, Joe(2007), Song(2009), Bae(2019), Kang(2012)의 연구에서는 100분~120분으로 설계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대부분 연구에서는 60~120분으로 설계한 것으로 분석되며, 본 연구에서도 회당 1~2시간, 즉 60~120분 시간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적정시간이 다른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것으로 해석된다.
9) 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 적정 수업방식
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 적정 수업방식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13과 같다.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볼 때, ‘강의+실습 블랜딩 수업’이 251명(54.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실습 위주의 수업’ 103명(22.4%), ‘강의식 수업’ 94명(20.4%), ‘토론식 수업’ 12명(2.6%) 순으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강의+실습 블랜딩 수업이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는 연령, 미용 실무경력, 월 수입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먼저 연령에 따라서는 20대의 경우 대체적으로 강의+실습 블랜딩 수업이나 실습 위주의 수업이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30~50대의 경우 강의+실습 블랜딩 수업이나 강의식 수업이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고, 미용 실무경력에 따라서는 1년 미만이나 1~5년 이하의 경우 대체적으로 강의+실습 블랜딩 수업이나 실습 위주의 수업이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6년 이상의 경우 강의+실습 블랜딩 수업이나 강의식 수업이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또한 월 수입에 따라서는 100만원 미만이나 100~200만원 미만의 경우 대체적으로 강의+실습 블랜딩 수업이나 실습 위주의 수업이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200만원 이상의 경우 강의+실습 블랜딩 수업이나 강의식 수업이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이 부분은 프로그램 개발 후 실행하는 경우 연령대나 실무경력에 따라 수업 방식을 적절하게 적용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진다. 그리고 분석한 선행연구 13편의 선행연구에서도 가장 많이 적용된 교육방법도 이론과 실습을 가장 많이 활용한 방법으로 나타났는데 본 연구 결과 또한 강의+실습 블랜딩으로 결과가 나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 고객 상담 및 업무에 대한 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의 도움정도 인식
고객 상담 및 업무에 대한 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의 도움정도 인식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14와 같다.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볼 때, 450명(97.8%) 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이 고객 상담 및 업무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10명(2.2%)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이 현장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낼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보아 프로그램 개발 후 적극적으로 기회를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11) 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 필요성(점수)
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 내용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15와 같다. 먼저 필요성에 대한 분석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순서대로 1~15순위로 응답하여 1순위 선택 시 15점에서 13순위 선택 시 1점으로 평가하여 평균 점수가 높을수록 필요성이 높은 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 내용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볼 때, ‘예절 및 에티켓’(M=12.22)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표정 관리’(M=11.70), ‘서비스 응대 스킬’(M=10.93), ‘비즈니스 매너’(M=10.40), ‘자세 및 태도’(M=9.03), ‘긍정 마인드 및 사고’(M=8.85), ‘커뮤니케이션 기법’(M=8.45), ‘보이스 트레이닝’(M=7.44), ‘상담 스킬’(M=7.01), ‘글로벌 매너’(M=6.67), ‘스트레스 관리’(M=6.24), ‘바디 랭귀지’(M=5.78), ‘열등감 극복’(M=5.65), ‘프레젠테이션 스킬’(M=5.40), ‘비전 설정 및 미션’(M=4.23) 순으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예절 및 에티켓이나 표정 관리에 대한 교육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Park et al.(2013) 밝은 미소와 시선 마주침 등의 신체적으로 표현되는 언어가 고객과의 신뢰감과 친밀감, 그리고 전문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요구도 조사결과에서 신체적인 언어로 표현되는 예절과 에티켓, 표정, 응대스킬, 매너, 자세 및 태도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 부분은 실질적으로 현장에서 전문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부분으로 교육내용에 필요한 내용으로 해석할 수 있다.
V. 결 론
본 연구는 미용전공자를 대상으로 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 개발 시 적용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내용요소를 도출하기 위하여 요구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 참여여부, 교육동기, 만족도, 교육장소, 교육횟수, 전공 및 업무에 대한 도움정도 결과를 분석하였다. 460명 중 66명(14.3%) 이미지메이킹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해본 적이 있다고 하였으며 394명(85.7%) 받아본 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프로그램은 대부분 학교 수업을 통해 참여하였다고 하였으며 학교를 통해 1회 정도 참여했으며 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무경력에 따라서는 6년 이상인 경우, 월 수입 200이상인 경우 업무 연관성으로 경험했다고 하였다. 이미지메이킹은 업무수행능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한 것을 보아 실질적으로 업무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Heo, 2015). 이렇듯 이미지메이킹은 미용전공자들에게 중요한 부분인데도 불구하고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해본 자는 14.3% 밖에 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프로그램 개발 및 제공을 통해 내적·외적·사회적 이미지의 역량을 키울 필요가 있을 것으로 해석된다.
둘째, 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적정 교육횟수, 교육시간, 수업방식, 도움정도인식 결과를 분석하였다. 적정교육횟수는 주 1회, 회당 1~2시간으로 나타났으며 수업방식은 강의+실습 블랜딩 수업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Kim & Park(2020)은 이론과 실기 교육을 수행하여 테크닉과 이해도를 높여 업무 효율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하였다. 강의와 실습 블랜딩 수업을 통해 미용전공자들이 현장에서의 업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수업방식은 연령과 실무경력에 따라서 차이가 있었는데 프로그램 개발 후 실행하는 경우 연령대나 실무경력에 따라 수업방식을 적절하게 적용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진다. 고객 상담 및 업무에 대한 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의 도움정도 인식은 97.8%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하여 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기대도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셋째, 요구도 조사를 통한 프로그램 내용구성은 1순위에서 13순위까지 순위를 도출하였으며 예절과 에티켓, 표정관리의 교육내용이 필요하다고 높게 나타났다. Kim(2013)은 미용서비스 교육 중 이미지메이킹 교육의 표정관리방법, 첫인상 형성, 외모관리방법, 긍정적 스트로크 등 교육이 자아존중감을 높인다고 하였는데 본 연구의 결과에서 나타난 표정관리는 미용서비스를 제공하는 미용전공자들에게 중요한 교육 내용 요소임을 알 수 있는 부분이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미용전공자들을 대상으로 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를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요구도 조사를 통해 미용전공자들이 실질적으로 필요로 하는 교육내용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설계 및 개발하여 실행에 옮겨 교육의 효과성을 분석하여 보완하는 것이 향후 후속 연구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으로는 조사대상자가 성별이 여성으로 집중되어있고, 전공이 헤어·메이크업에 집중되어있어 이를 미용분야 전체로 해석하고 판단하기에는 다소 한계가 있음으로 성별 및 전공을 세분화하거나 대학생 또는 실무자로 구분하여 요구도 조사를 실시하는 것이 필요해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