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미용종사자의 직업존중감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ccupational Esteem of Skincare Employees on Customer Orientation
Article information
Tran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 of skincare employees’ occupational esteem on customer orientation. As a survey metho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skincare employees working in skincare facilities nationwide from September 15, 2023, to October 23, 2023, A total of 234 responses were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t was observed that as skincare employees’ positive values and social reputation increased, their ability to understand customer needs also increased. Secondly, as skincare employees’ social reputation and positive values increased, their ability to satisfy customer needs also increased. Thirdly, it was found that as skincare employees’ positive values, relative benefits, and social reputation increased, their desire to provide services also increased. This indicates that if the employees feel a sense of achievement through their work and receive social recognition, they strive to understand customers’ needs and provide desired service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in order to enhance more competitive skincare facilities, it is necessary to come up with a program for providing and improving occupational esteem for skincare employees.
I. 서 론
현재 미용산업은 서비스 수요와 아름다움에 대한 욕구가 증가함에 따라 성장잠재력과 고용창출 효과가 큰 산업으로 지속가능한 성장산업으로 주목받고 있으며(Park, 2022), 2022년 피부관리실은 2020년에 비해 18% 증가하였으며, 피부미용 종사자는 2020년 31,662명에서 2022년 37,069명으로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KOSIS, 2023).
아름다움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와 기대수준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자기자신을 위해 소비하는 포미족이 증가함에 따라 차별화 된 피부미용 서비스를 받으려는 고객이 증가하였으며(Kim, 2020) 이에 따라 고객에게 일대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피부미용종사자의 직업존중감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Lee, 2022). 직업존중감은 소속되어 있는 직장에서 종사하는 직업에 관한 자기평가를 의미하며 다양한 속성에 대한 감정적, 평가적 태도로 내포되는 자아존중감이라고 할 수 있다(Song, 2023). 직업존중감이 높으면 일에 자신감을 가지고 업무에 종사하며 고객에게 높은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Park, 2023). 또한 고객의 니즈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며 고객과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는 행동을 고객지향성이라고 하며 이는 인적자원에 의존도가 높은 피부관리실에서 매우 중요한 업무 태도로서(Kim & Park, 2020), 서비스를 제공하는 피부관리실의 고객지향성이 높을수록 성공 가능성이 높아진다(Kim & Park, 2018).
직무를 수행하는 수행자 및 타인에게 다양한 방식으로 평가되는 직업존중감은 개인의 자기정체성을 구성하는 결정요인으로 종사자의 직무 수행태도와 직결되며, 직업존중감이 높은 종사자는 자신감 향상으로 인해 삶의 질 향상 뿐만 아니라 고객입장의 서비스를 행하고자 하는 마음이 들게 하는 고객지향성을 갖게된다(Park, 2020).
직업존중감과 관련한 선행논문을 살펴보면 Heo(2023)는 간호사의 직업존중감이 높아진다면 간호사들의 직무열의가 높아지므로 병원은 간호사의 직업존중감을 높이도록 조직문화 개선 및 건강증진행위의 향상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하였으며, Jang(2023)은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폭력 같은 부정적인 상황에 부딪혀 이직의도를 가지게 되더라도 직업존중감이 높은 사회복지사는 이를 견뎌 낼 수 있어 이직의도 수준이 낮아진다고 하였다. 또한, Kim(2021)은 직업존중감이 높을수록 간호 업무에 대해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싶은 마음이 들며, 간호사의 지위 향상을 시켜 역할을 확고히 할 수 있어 간호업무성과가 높다고 하였다.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는 간호사, 사회복지사 등을 대상으로 직업존중감, 직무열의, 재직의도, 업무성과에 대하여 연구된 선행연구가 많았지만, 피부미용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직업존중감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피부미용종사자의 직업존중감과 고객지향성의 관계를 분석하여 개인 발전에 중요한 영향력인 직업존중감의 향상 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피부관리실의 경쟁력 있는 경영전략 형성 수립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II. 이론적 배경
1. 피부미용종사자(Skincare Employees)
미용은 피부관리, 메이크업, 헤어스타일링, 네일아트가 중점이 되는 산업으로 예술성과 특수성을 바탕으로 피부미용종사자의 역량에 따라 고객에게 차별화 된 서비스를 제공하여 신뢰를 주는 인적 서비스에 기반을 둔 산업이다(Han, 2023).
미(美)의 본질을 다루는 고부가가치 산업인 미용산업은 웰빙트렌드와 부합하면서 대중적인 문화로 인식이 전환되었으며(Kim, 2017), 미용산업의 주요 분야로 그 수요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Jeong, 2023).
공중위생관리법 제 2조 5항에 따르면 미용서비스업은 고객의 얼굴, 피부, 머리등을 손질하여 고객의 외모를 아름답게 꾸미는 영업이라 정의되며(the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22), 피부미용종사자는 전문적인 기술력을 토대로 손과 기기를 이용하여 고객의 외모를 아름답게 가꿔주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Seo, 2019).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Won(2023)의 연구자의 이론에 따라 피부관리실에서 근무하며 신체를 건강하게 하고 외적 아름다움을 관리하는 피부관리사를 피부미용종사자라고 정의하였다.
2. 직업존중감(Occupational Esteem)
‘조직근거 자기존중감’이라는 용어로 시작한 직업존중감은(Seo, 2013) 종사자 스스로 인지하는 직업에 대한 평가, 감정적 태도로 요약되는 자아존중감을 말하며, 개인의 직업에 대한 존경과 긍지에 영향을 주고(Lee, 2016), 이러한 직업존중감은 한번 형성되면 비교적으로 안정적으로 지속된다고 하였다(Joo, 2023).
직업에 대한 평가는 본인의 직무와 더불어 개인의 성장 발전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Jang, 2023) 개인은 직업에 대해 가치평가를 하고 이를 근거로 자기존중감 또는 사회적 체면이 달라질 수 있다고 하였으며(Park, 2017) 직업가치의 평가는 자신과 주변사람들에게 평가받는 것으로 타인의 평가도 직업존중감의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Kim, 2023).
직업존중감에 대한 선행논문으로 Choi(2020)는 직무만족도가 높은 종사자는 직업존중감이 높으며 이는 고객만족도를 향상시킨다고 하였으며, Yu(2017)는 승무원의 직업존중감이 높을수록 고객에게 행하는 서비스 수준이 높아진다고 하였다. 또한, Park(2020)은 병원간호사의 직업존중감은 간호서비스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기에 병원간호사의 직업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직업존중감을 Jo(2018)의 연구에 따라 직업존중감을 자기 자신에 대하여 지각하는 평가 및 감정적 태도이며 직업에 대한 주관적 평가와 직업을 가지게 되면서 동반되는 효익이라고 정의하였으며, 직업존중감의 하위요인을 긍정적 가치, 사회적 평판, 상대적 효익으로 설정하였다.
3. 고객지향성(Customer Orientation)
고객지향성은 종사자와 고객의 상호작용에서 고객의 입장에서 욕구를 충족시키려는 종사원의 고객에 대한 접근자세와 경향으로(Lee & Chea, 2012), 소비자와 신뢰를 유지하고 관계를 강조하는 고객지향적 사고를 의미하며(Park, 2009), 직원이 고객의 니즈에 맞춰주려는 태도, 고객의 질문에 민첩하게 대처하는 태도 등을 포함한다(Kim, 2023).
이러한 고객지향성은 유·무형의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는 미용의 경우 서비스제공자의 인식 및 행동은 피부관리실의 평판을 가늠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피부미용종사자의 고객지향성은 피부관리실의 경쟁력에 직결되며(Yoon, 2016) 서비스접점에 있는 피부미용종사자에게 필요한 성향으로 직원이 고객만족도 향상을 위해 노력한다면 고객과 기업 모두에게 긍정적인 관계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Yoo, 2023).
고객지향성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Ha(2021)는 인적자원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기업에서 종사자의 고객지향성은 기업의 경영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Choi(2020)는 종사자의 직무만족은 고객지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객지향성을 고객중심 경영철학으로 뷰티서비스종사자들이 고객의 욕구를 이해하여 고객에게 지속적으로 양질의 가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정의하였으며, Je(2022), Lim(2020)연구자의 이론을 종합하여 고객지향성의 하위요인을 서비스 제공욕구, 고객 욕구파악, 고객 욕구충족으로 설정하였다.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문제
연구문제 1. 피부미용종사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본다.
연구문제 2. 피부미용종사자의 직업존중감 및 고객지향성의 신뢰도와 타당성을 알아본다.
연구문제 3. 피부미용종사자의 직업존중감과 고객지향성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알아본다.
연구문제 4. 피부미용종사자의 직업존중감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에서는 피부미용종사자의 직업존중감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2023년 9월 15일부터 10월 23일까지 전국의 피부관리실에서 근무하는 종사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236부를 배포하고 그 중 응답이 불성실 2부를 제외한 총 234부를 최종 분석 하였다.
3. 연구도구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으로는 Park(2020), Je(2022)이 사용한 문항을 참고하여 7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직업존중감은 Jo(2018)의 연구 문항을 참고하여 3개의 하위요인인 긍정적 가치, 사회적 평판, 상대적 효익으로 총 12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셋째, 고객지향성은 Lim(2020), Je(2022)의 연구 문항을 참고하여 3개의 하위요인인 서비스 제공욕구, 고객 욕구파악, 고객 욕구충족으로 총 1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제외한 변인은 5점 Likert 척도(‘1: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5:매우 그렇다’)를 사용하였다.
4. 자료 처리 방법
본 연구에서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 절차를 거쳐 실시하였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측정도구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뢰성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계수를 산출하였다.
셋째, 각 변수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피부미용종사자의 직업존중감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 분석 및 다중응답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분석결과 성별은 남성 32명(13.7%), 여성 202명(86.3%)으로 나타났고, 결혼여부는 미혼 118명(50.4%), 기혼 116명(49.6%)으로 나타났다. 연령은 20대 53명(22.6%), 30대 79명(33.8%), 40대 61명(26.1%), 50대 41명(17.5%)으로 나타났고, 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79명(33.8%), 대학교 졸업(재학 포함) 122명(52.1%), 대학원 졸업(재학 포함) 33명(14.1%)으로 나타났다. 직위는 사원 75명(32.1%), 팀장 45명(19.2%), 부실장 37명(15.8%), 실장 45명(19.2%), 원장 32명(13.7%)으로 나타났고, 총 근무경력은 1년 미만 32명(13.7%), 1-3년 미만 47명(20.1%), 3-5년 미만 41명(17.5%), 5-7년 미만 34명(14.5%), 7-9년 미만 33명(14.1%), 9년 이상 47명(20.1%)으로 나타났으며, 현재 피부관리실에서의 근무경력은 1년 미만 42명(17.9%), 1-3년 미만 62명(26.5%), 3-5년 미만 54명(23.1%), 5-7년 미만 32명(13.7%), 7-9년 미만 15명(6.4%), 9년 이상 29명(12.4%)으로 나타났다.
2.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성 검증
1) 직업존중감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성 검증
직업존중감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성 검증 결과는 <Table 2>와 같다. 먼저 KMO 값은 0.928, Bartlett 구형성 검정 결과 2828.993(df=66, p=0.000)로 요인분석을 위한 변수의 선정이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요인분석 결과 총 3개의 요인이 도출되었고, 누적분산 설명력은 84.652%로 나타났다. 즉, 요인 1(33.958%)은 ‘긍정적 가치’, 요인 2(27.640%)는 ‘사회적 평판’, 요인 3(23.054%)은 ‘상대적 효익’으로 명명하였다. 총 3개 요인의 적재치는 0.40 이상으로 나타나 타당성이 검증된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신뢰도는 ‘긍정적 가치’가 0.950, ‘사회적 평판’이 0.936, ‘상대적 효익’이 0.923으로 나타나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고객지향성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성 검증
고객지향성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성 검증 결과는 <Table 3>과 같다. 먼저 KMO 값은 0.944, Bartlett 구형성 검정 결과 3551.093(df=105, p=0.000)로 요인분석을 위한 변수의 선정이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요인분석 결과 총 3개의 요인이 도출되었고, 누적분산 설명력은 81.356%로 나타났다. 즉, 요인 1(27.892%)은 ‘서비스 제공욕구’, 요인 2(27.361%)는 ‘고객 욕구충족’, 요인 3(26.103%)은 ‘고객 욕구파악’으로 명명하였다. 총 3개 요인의 적재치는 0.40 이상으로 나타나 타당성이 검증된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신뢰도는 ‘서비스 제공욕구’가 0.944, ‘고객 욕구충족’이 0.942, ‘고객 욕구파악’이 0.936으로 나타나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상관관계 검증
각 변수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분석결과 직업존중감의 하위요인별 긍정적 가치, 사회적 평판, 상대적 효익은 고객지향성의 하위요인별 고객 욕구파악, 고객 욕구충족, 서비스 제공욕구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4. 피부미용종사자의 직업존중감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1) 피부미용종사자의 직업존중감이 고객 욕구파악에 미치는 영향
피부미용종사자의 직업존중감이 고객 욕구파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분석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47.9%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108.213, p<.001). 독립변수별로는 긍정적 가치(β=.534, p<.001), 사회적 평판(β=.206, p<.01)이 고객 욕구파악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피부미용종사자의 긍정적 가치, 사회적 평판이 높을수록 고객 욕구파악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ho(2020)의 연구에서 항공사 객실승무원이 직업을 통하여 즐거운 경험을 하며 보람을 느낀다면 고객만족에 최선을 다한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ark & Hyun(2017)의 연구에서 호텔 종사원이 자신의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업무, 동료, 고객에 대한 만족도가 높으면 고객지향성에 긍정적인 영향으로 나타나 본 연구결과와 같은 맥락임을 알 수 있다.
이는 피부미용종사자가 자신의 직업에 자부심을 느끼고 사회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면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기 위해 노력함을 알 수 있다. 이는 피부미용종사자가 직업을 통해 성취감을 느끼며 자신이 사회에 공헌 할 수 있는 가치있는 존재라는 생각을 한다면 고객의 욕구를 파악하여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고객의 입장에서 필요한 것을 해결하려고 노력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2) 피부미용종사자의 직업존중감이 고객 욕구충족에 미치는 영향
피부미용종사자의 직업존중감이 고객 욕구충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분석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40.4%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80.037, p<.001). 독립변수별로는 사회적 평판(β=.385, p<.001), 긍정적 가치(β=.306, p<.001)가 고객 욕구충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피부미용종사자의 사회적 평판, 긍정적 가치가 높을수록 고객 욕구충족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피부미용종사자가 주변사람에게 인정받고 사회적으로 중요한 가치가 있다고 느낀다면 고객의 욕구를 파악하기 위해 노력하고 신속하고 정확한 서비스를 제공하려 함을 알 수 있다. Kim(2007)의 연구에서 직업존중감이 고객지향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종사자의 사회적 평판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나타났으며, Lim(2017)의 연구에서 호텔종사원이 긍정적 가치는 고객지향성에 유의미한 영향으로 나타나 본 연구와 유사한 결과임을 알 수 있다.
이는 피부미용종사자가 사회적으로 인정받고 자신의 일에 성취감을 느낀다면 고객지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한편 직업존중감의 상대적 효익은 고객지향성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경제적 보상 부분에서의 직업존중감은 고객지향성에 반영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3) 피부미용종사자의 직업존중감이 서비스 제공욕구에 미치는 영향
피부미용종사자의 직업존중감이 서비스 제공욕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7>와 같다. 분석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41.3%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55.616, p<.001). 독립변수별로는 긍정적 가치(β=.379, p<.001), 상대적 효익(β=.193, p<.01), 사회적 평판(β=.164, p<.05)이 서비스 제공욕구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피부미용종사자의 긍정적 가치, 상대적 효익, 사회적 평판이 높을수록 서비스 제공욕구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ho(2014)의 연구에서 종사자는 직업을 통해 즐거운 경험을 하며 직업을 통해 경제적인 지위 향상이 되며 가족 및 주변사람들의 인정을 받는다면 고객의 입장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한다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Ryu et al.(2010)의 연구에서 만족스러운 보수와 사회적으로 인정이 있다면 고객지향성에 영향을 준다고 나타나 본 연구와 유사한 맥락임을 알 수 있다.
이는 피부미용종사자의 직업을 통해 느끼는 보람, 그에 알맞은 보상, 그로 인해 사회적으로 인정받는다면 종사자는 고객과의 좋은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며 더 좋은 품질의 서비스제공을 위해 노력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V. 결 론
미(美)에 대한 욕구가 증가함에 따라 서비스수요가 중요해지며 미용산업의 성장잠재력과 고용창출 효과가 큰 산업으로 지속가능한 성장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피부미용종사자의 직업존중감과 고객지향성의 관계를 분석하여 피부미용종사자의 직업존중감 향상 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피부관리실의 경쟁력 있는 경영전략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2023년 9월 15일부터 10월 23일까지 전국의 피부미용종사자를 대상으로 직업존중감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피부미용종사자의 긍정적 가치, 사회적 평판이 높을수록 고객 욕구파악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피부미용종사자의 사회적 평판, 긍정적 가치가 높을수록 고객 욕구충족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피부미용종사자의 긍정적 가치, 상대적 효익, 사회적 평판이 높을수록 서비스 제공욕구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피부미용종사자의 직업존중감이 향상된다면 고객에게 관심을 가지게 되고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고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노력하며 고객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여 피부관리실의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피부관리실의 경쟁력을 활성화 시키기 위해서는 종사자의 직업존중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종사자 스스로 일에 대한 자부심과 자긍심을 위하여 전문적인 기술을 교육받고 고객의 입장에서 최선을 다하는 모습을 다한다면 장기적인 관계유지에 도움이 되어 관리실의 경영성과에 효과적인 발판이 될 수 있다고 시사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피부미용종사자만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이에 피부관리실 뿐만 아니라 헤어, 네일, 메이크업 등 다양한 미용종사자에게로 보다 확장된 연구를 수행한다면 미용산업의 경영성과에 알맞은 기초자료를 수집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피부미용종사자의 직업존중감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으나 향후 연구에서는 피부미용종사자의 자기효능감에 대하여 알아본다면 피부관리실의 중요한 인적관리 및 효과적인 경영방침 수립에 도움을 주기위해 확장된 시야의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