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Cosmetol > Volume 30(3); 2024 > Article
피부관리실 이용고객의 소비성향이 피부관리실 이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Abstrac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overall tendencies that consumers exhibit when choosing and purchasing skin care services at skin care clinics based on their basic consumer preferences, with the aim of understanding how these tendencies influence satisfaction with skin care clinics. The specific methods used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 were as follows: The study targeted women who use skin care clinics. Specific analytical methods included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ssessment using Cronbach’s alpha coefficient.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statistical processing performed using the SPSSWIN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differences in consumer preference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were investigated, revealing that practical consumer tendencies significantly varied based on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level, and monthly income. Secondly,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skin care clinic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were examined. The consumer tendencies were ranked in order as practical, ostentatious, impulsive, and thrifty, with higher income correlating significantly with greater satisfaction with skin care clinics. Thirdly, the impact of consumer tendencies on satisfaction with skin care clinics was investigated. It was found that practical, ostentatious, and thrifty consumer tendencies all significantly influenced satisfaction with skin care clinics. Therefore, higher levels of practical tendencies and lower levels of ostentatious tendenci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er satisfaction with skin care clinics.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consumers prefer high-quality care at lower prices when using skin care clinics. By understanding these consumer tendencies, designing customized programs tailored to consumer preferences can improve customer satisfaction and encourage repeat visits, leading to wiser consumer choices when selecting skin care clinics. It is hoped that this information will be utilized effectively and contribute positively to the industry.

I. 서 론

현대 사회에서 스킨케어, 네일아트, 메이크업, 헤어스타일, 다이어트 등 미용은 “자기 정체성”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어 사회 구성원으로서 자신의 역할을 표현하기도 한다.
아름다움을 표현할 수 있는 모든 미용관리를 통해 자기 자신을 타인에게 어떻게 표현하여 좋은 인상을 줄 수 있을까 라는 사회적 측면의 기능도 함께 강조되고 있다. 현대인들에게 ‘미용’이란 단순히 아름답게 가꾸고 꾸미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도구와 수단이 된다(Hwan, 2012). 우리 인체의 건강함 중에서도 눈에 직접 보이는 피부의 건강은 매우 중요하며, 특히 여성에게는 신체 건강만큼이나 피부의 건강도 매우 중요하게 보고 있다(Park, 2005).
또한 생활 수준이 향상되고 사회가 다변화되면서 외적인 아름다움과 신체적 건강에 대한 욕구와 기대가 높아졌으며, 스킨케어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였다(Jang, 2000).
이에 전문 피부관리는 생활과 건강을 유지 및 증진시키는 것과 연결된다(Kim, 2013). 피부관리는 피부타입에 따라 피부 상태를 분석하여 관리하는 방법으로 피부 건강 관리를 유지하는 것중 하나이다. 따라서 피부와 건강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피부 건강 관리를 위해 전문관리실을 찾는 사람이 늘고 있어 피부관리의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피부관리 인식은 피부건강 관리에 중요한 요인들이 피부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알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생활습관, 관리여부, 피부관리에 대한 지식 등으로 나눌 수 있다(Choi, 2018). 또한 성형이 대중화 되었으나 성형 미인 보다는 피부 미인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가하고 있고, 이러한 지표는 메디컬 피부관리실과 문제성 피부관리실 그리고 피부과에서 판매하는 상품을 보면 알 수 있다. 기미나 주름을 없애서 젊어 보이고 깨끗한 피부를 많은 여성들이 원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탄력이나 미백을 주력으로 하는 곳들이 늘어났다. 이는 대부분 자신의 피부가 건강해지면서 젊게 보이길 원한다고 볼 수 있어 외모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Kim, 2020).
외모에 대한 관심은 가계 소비 지출로 알아 볼수 있는데 2023년 가계 소비 지출 중 외모관리 관련 지출은 전년 대비 4.2% 증가하여 10조 2천억원에 달했으며. 이는 가계 소비 지출 전체의 3.5%를 차지하는 수준이며, 2019년 대비 22.8% 증가한 수치이다(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23).
현재 사회경제의 어려운 상황과 취업난 속에서 입사 면접을 보거나 이성과의 만남에서 등 다양한 사회활동을 활발하게 하는 과정에서 호감가는 인상과 이미지는 대인관계와 사회활동에 있어서 강점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다. 특히 피부상태가 깔끔하고 건강하게 보여지는 경우엔 단정하고 친근감 있어 보이며, 자존감과 자신감을 더해주어 사회생활 조직 속에서 자기 역할 수행을 적극적으로 잘할 수 있게 해주며 스스로의 성취감을 고취시킬 수 있게 한다고 인식하고 있어 전문적인 피부관리를 원하고 있다.
이에 전문적인 피부관리를 원하는 소비자의 소비성향은 4가지로 요약 할수 있다. 다른사람이 나를 어떻게 볼까 하는 시선의식과, 브랜드가 높은 피부관리실 일수록 능력이 뛰어나다고 생각하는 브랜드 의식, 고가 관리를 더 신뢰하는 지불의식, 최신 유행을 선호하는 유행의식으로 나룰수 있다(Kim, 2020). 이처럼 피부관리실을 이용하는 소비자의 소비성향이 다양해 질수록 피부미용은 피부 및 근육의 생리기능을 높일 뿐만 아니라, 정신건강 상태를 가꾸고 보전하여 노화를 막고, 자신의 가치를 높이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남녀노소 모두가 관심을 갖는 요소가 되었다(Jung, 2018). 남·녀 불문하고 소비자의 소비성향이 변화함에 따라 피부관리실 만족도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고 앞으로 관리실 경쟁력을 갖추고 균형 있는 성장을 하기 위해 소비자의 소비성향을 명확하게 분석하고 만족도를 높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피부관리실 소비자를 대상으로 소비성향을 파악하고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밝히고 앞으로 서비스 전략 발전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사용되는 데에 목적이 있다.

II. 이론적 배경

1. 전문피부관리실

전문피부관리실은 피부관리사가 고객의 얼굴 피부 및 몸 전체의 피부를 청결하며 탄력 있고 건강하게 관리하고(Kim, 2019). 질환적 피부를 제외한 안면 및 전신의 피부를 분석하고 화장품, 미용기기 및 수기법을 이용하여 적합한 관리를 통해 피부상태를 개선시키고, 건강하고 아름다운 피부를 유지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Kim, 2006).
피부관리실에서는 전문성을 갖춘 피부관리사가 피부미용 지식과 피부미용 기법을 통하여 피부의 생리기능을 높여 건강하고 아름답게 유지 관리한다(Jung, 2014). 피부가 가지고 있는 본래의 기능을 되살려 피부를 개선하고, 건강하고 아름답게 유지 관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모발을 제외한 얼굴과 전신을 대상으로 치료 차원이 아닌 피부를 관찰, 분석하여 인체에 효과가 있는 화장품을 선별 사용하여 손과 피부미용기기, 기기, 도구 등을 이용하여, 전문적인 테크닉을 통해 기능을 높여 피부를 아름답고 건강하게 유지 관리하며, 노화를 지연시키는데 피부 관리의 목적이 있다(Yoon, 2012).
피부관리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피부관리실 이용 고객이 늘어나 피부관리실의 사업형태는 1980년대 중반부터 미용실 파트에서 나와 독자적 영역으로 자리 매김하여 현재까지 왕성한 시기를 보내고 있다. 쳔연팩과 제품을 이용한 관리와 얼굴경락, 다이어트관리, 등의 방법에서 부터 기능성 화장품과 최첨단 기기를 사용해 현재 다양화되고 전문화되고 있다 (Park, 2013).

2. 피부관리실 이용고객의 소비성향

최근 젊음과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안티에이징 트렌드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고, ‘오래 실자’에서 ‘건강하게 살자’를 넘어 ‘아름답게 살자’를 추구하는 시대가 왔다(Kang, 2013). 그 중 피부미용은 피부에 물리적 또는 화학적 방법을 이용해 피부의 생리기능을 활성화 시킴으로써 건강하고 아름다운 피부를 가꾸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는 피부의 단점을 최소화하여 보완하고 수정하자는 의미에서 건강하고 아름다워지자 라는 개념으로 인식이 바뀌고 있다(Go, 1996).
피부관리실을 이용하는 소비자들은 미에 대한 욕구가 높아진 만큼 피부관리실은 고객의 소비성향에 대해 인지하고 있으며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Park, 2010). 이러한 건강한 아름다움을 요구하는 시점에서 피부관리실을 이용하는 고객들을 중심으로 피부관리실 소비성향이 구매 결정 과정에 소비자의 행동을 모두 포함하고 소비행동을 결정하는 과정에 대한 영향을 끼치는 타인과의 사회적 관계까지 포괄적으로 파악해 볼 수 있다(Jung, 2010).

3. 피부관리실 이용 만족도

최근 우리나라는 경제적·문화적, 생활 수준의 향상과 기대수명이 늘어나면서 개인의 개성이 중시되면서, 젊고 아름다운 외모에 대한 욕구가 증대되었다. 또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스트레스 해소, 휴식, 여가, 힐링 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피부관리실 이용 후 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소에는 미용 기술이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지만 그 외 종사자의 업무능력, 시설 및 환경, 관리제품, 기기 및 도구, 종사자의 응대, 고객관의 개인적인 대화 내용을 기억 후 반응해주기 등 일반적인 서비스 또한 중요한 요소이다(Jung, 2021). 그 예로 바쁜 현대인의 취향에 맞는 대중적인 관리실의 형태에서부터 아로마, 발관리전용, 피부관리전용 등으로 세분화 되고 전문성을 강조한 관리실의 형태로 보여주고 있다(Son, 2008).
이런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로 피부 미용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고(Kim, 2015). 우리나라의 피부관리실 시장은 계속 발전함과 함께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Yoon, 2012). 그에 따라 고객이 피부관리실에 대해 알고 있는 효과, 서비스 품질, 가격 등의 가치를 균형 있게 제공함으로써 관리실 이용 만족도에 관한 궁극적인 경쟁 우위를 확보해야 고객 이용 만족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피부관리실 이용 만족은 개인이 선택한 피부관리실을 이용한 후에 형성되는 긍정적 감정이나 인지도라고 할 수 있으며, 또한 자신이 받은 관리에 대한 추후 이미지를 평가하는 것으로 관리에 대한 태도나 경험에서 나온 평가, 결과, 긍정적인 감정, 순으로 피부관리실 이용 만족도를 알아볼 수 있다(Kim, 2015).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 문제

본 연구에서는 기본적인 소비성향을 토대로 소비자가 피부관리실을 이용 시 선택하고 구매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전반적인 성향을 조사 관찰하여 피부관리실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에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비자의 소비성향 차이를 알아본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피부관리실 만족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다.
셋째, 피부관리실 소비성향이 피부관리실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2. 연구 대상자 및 자료수집

연구 대상자는 피부관리실을 이용하는 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조사 기간은 2023년 1월 7일부터 2023년 6월 29일까지 약 6달간, 설문지를 통해 무기명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목적을 설명하고 설문 조사에 동의한 31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부적합한 설문지를 24부를 제외한 288명을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3.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설문으로 진행되었으며, 설문지의 구성은 예비 조사를 실시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질문의 내용과 구성, 형식 등의 오류를 수정·보완한 후 사용하였다. 소비성향에 관한 문항은 15문항, 만족도에 관련 문항은 6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모두 5점 Likert 척도와 일반적 특성 문항 5개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자는 Kim(2020), Jung(2018), Jung(2021)의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본연구 맞게 재수정하여 참고 하였다.

4. 자료 분석 및 방법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5%에서 검증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2. 소비성향, 피부관리실 만족도에 대한 문항들의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뢰도는 Cronbach's a의 계수로 판단하였다.
3. 소비성향, 피부관리실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4.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비성향과 피부관리실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하였다.
5. 소비성향이 피부관리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소비성향의 요인분석

소비성향의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소비성향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위해서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방법과 직교회전방법인 VARIMAX를 사용하여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KMO 값이 0.702로 적정하므로 변수 쌍들의 상관관계가 다른 변수에 의해 잘 설명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요인분석의 적합성 여부를 나타내는 Bartlett의 구형성 검정치(Test of Sphericity)는 근사 카이제곱값이 3292.071로 유의수준이 .000으로 나타나 요인분석 사용이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요인을 추출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각 요인이 기존변수의 정보를 어느 정도 설명하는지를 나타내는 고유값(eigen-value)을 이용하여, 고유값이 1.0 이상인 요인에 한하며 요인적재량이 0.6 이상인 항목들을 기준으로 설정하여 요인수를 3개로 결정하였다. 그 결과 요인 1은 고유값이 4.160, 설명비가 29.71%로 나타나 충동적 요인을, 요인 2는 고유값이 3.533, 설명비가 25.23%로 나타나 과시적 요인을 설명해 주고 있으며, 요인 3은 고유값이 2.699, 설명비가 19.27%로 나타나 실용적 요인을 설명해 주고 있다.

2. 피부관리실 만족도의 요인분석

피부관리실 만족도의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피부관리실 만족도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위해서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방법과 직교회전방법인 VARIMAX를 사용하여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KMO 값이 0.814로 높으므로 변수 쌍들의 상관관계가 다른 변수에 의해 잘 설명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요인분석의 적합성 여부를 나타내는 Bartlett의 구형성 검정치(Test of Sphericity)는 근사 카이 제곱값이 1868.593으로 유의수준이 .000으로 나타나 요인분석 사용이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요인을 추출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각 요인이 기존변수의 정보를 어느 정도 설명하는지를 나타내는 고유값(eigen-value)을 이용하여, 고유 값이 1.0 이상인 요인에 한하며 요인적재량이 0.6 이상인 항목들을 기준으로 설정하여 요인수를 1개로 결정하였다. 그 결과 피부관리실 만족도 요인의 고유값은 4.700, 설명비는 78.33%로 나타났다.

3. 신뢰도 검증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인 신뢰도란 동일한 대상, 특성 또는 구성을 비교가능하고 독자적인 측정으로 나타난 결과들이 어느 정도 유사한 가를 나타내는 것으로 의존가능성, 안전성, 일관성, 예측가능성, 정확성 등의 동의어로 사용된다. 즉, 신뢰성이란 동일한 개념에 대하여 측정을 되풀이했을 때 동일한 측정값을 얻을 가능성을 말한다.
신뢰성의 측정방법은 동일한 측정도구를 동일한 대상에 시간을 달리하여 적용결과를 비교하는 검증-재검증, 항목분할 측정치의 상관도, 내적 일관성 등이 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인 신뢰성은 Cronbach's a계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 <Table 3>와 같다.

4.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는 <Table 4>와 같다.
연령은 ‘20대’가 58.8%, ‘30대’가 41.2%이었고, 결혼상태는 ‘미혼’이 89.7%, ‘기혼’이 10.3%이었다. 최종학력은 ‘전문대졸(재학포함)’이 36.2%, ‘대학졸(재학포함)’이 63.8%이었으며, 직업은 ‘사무직’이 94.2%로 대부분이었고, ‘공무원/전문직’은 4.5%, ‘서비스직’은 1.2%이었다. 가구의 월소득은 ‘200만원 이상 300만원 미만’이 79.0%, ‘300만원 이상 400만원 미만’이 21.0%로 조사되었다.

5. 소비성향과 피부관리실 만족도

소비성향과 피부관리실 만족도를 살펴본 결과는 <Table 5>와 같다.
소비성향은 ‘실용적’(M=4.06), ‘과시적’(M=3.98), ‘충동적’(M=2.47) 순으로 소비성향이 높았고, 피부관리실 만족도의 평균은 4.49로 나타났다.

6. 연구문제 검증

연구문제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비성향의 차이를 알아본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비성향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Table 6>와 같다.
소비성향의 실용적은 연령과 최종학력, 가구 월소득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였으나, 충동적과 과시적은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가 유의수준 5%에서 유의미하지 않았다.
실용적은 연령이 20대(M=4.23)가 30대(M=3.83)보다 실용적 성향이 더 높았고(t=4.004, p<.001), 최종학력은 전문대졸(재학포함) 학력자(M=3.82)보다 대학졸(재학포함) 학력자(M=4.20)의 실용적 성향이 더 높았다(t=-3.639, p<.001). 가구 월소득은 200만원 이상 300만원 미만(M=4.01)보다 300만원이상 400만원 미만(M=4.26)의 실용적 성향이 더 높았다(t=-2.521, p<.05).
연구문제 2.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피부관리실 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본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피부관리실 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Table 7>와 같다.
피부관리실 만족도는 연령과 결혼상태, 최종학력, 직업, 가구 월소득에 따른 차이가 모두 유의미하였다.
연령은 20대(M=4.87)가 30대(M=3.94)보다 피부관리실 만족도가 더 높았고(t=57.924, p<.001), 결혼상태는 미혼(M=4.45)보다 기혼(M=4.83)의 피부관리실 만족도가 더 높았다(t=-11.701, p<.001). 최종학력은 전문대졸(재학포함) 학력자(M=3.93)보다 대학졸(재학포함) 학력자(M=4.81)의 피부관리실 만족도가 더 높았으며(t=-30.192, p<.001), 직업은 사무직(M=4.52)이 공무원/전문직/서비스직(M=4.04)보다 피부관리실 만족도가 더 높았다(t=6.238, p<.001). 가구 월소득은 200만원 이상 300만원 미만(M=4.42)보다 300만원 이상 400만원 미만(M=4.75)의 피부관리실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4.613, p<.001).
연구문제 3. 소비성향이 피부관리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소비성향과 피부관리실 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는 <Table 8>와 같다.
피부관리실 만족도는 소비성향의 실용적(r=.297, p<.001)과는 유의미한 정의 상관이 있었으나, 충동적, 과시적과의 상관은 유의수준 5%에서 유의미하지 않았다.
소비성향이 피부관리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는 <Table 9>와 같다.
소비성향이 피부관리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R2=0.105로 전체 변동의 10.5%로 회귀모형을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변수간 다중공선성을 진단하기 위하여 분산팽창계수(VIF : variable inflation factor)와 허용치(tolerance)를 살펴보았으며, 일반적으로 분산팽창계수가 10이상이거나 허용치가 0.1보다 작으면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게 된다. 본 분석에서 변수들의 VIF값은 모두 10 이하였고, 허용치는 0.1보다 크게 나타나 다중공선성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았다. 모형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추정된 모형은 유의한 것을 알 수 있으며(F=9.356, p<.001), 소비성향의 실용적(β=.356, p<.001), 과시적(β=-.138, p<.05) 순으로 피부관리실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비성향의 실용적 성향이 높을수록, 과시적 성향이 낮을수록 피부관리실 만족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V. 결 론

현대의 여성들은 피부관리의 필요함을 인식하고 있어 전문 피부관리실을 찾는 고객들이 늘고 있고, 피부관리실 이용 소비자들의 소비성향이 다양해지고 있다. 이에 피부관리실 이용 고객들의 이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소비성향에 따라 피부관리실을 이용하는 여성 소비자의 만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소비자들의 피부관리실 만족도에 주목하였고, 선행연구와 고찰에 따라, 그 하위요인을 조사자의 일반적특성과, 소비성향, 피부관리실 만족도, 소비성향에 따른 피부관리실의 차이,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비성향과 피부관리실의 차이, 소비성향이 피부관리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으로 구성한 후 만족도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배경과 목적에 따라 연구 결론으로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비성향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연령은 20대가 더 많았으며, 결혼 상태는 미혼이 더 많았으며, 최종 학력은 대학 졸업이 높았으며 직업은 사무직 대부분 이었다. 그 중 공무원 전문직이 많았으며, 가구의 월소득은 200만원 이상 300만원 미만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실용적 소비는 20대가 30대보다 높았고, 최종 학력은 전문대 졸학력자보다 대학졸 학력자의 실용적 성향이 더 높았다. 가구 월소득은 200만원이상 300만원 미만보다 300만원 이상 400만원 미만의 실용적 성향이 더 높았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피부관리실 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소비성향은 실용적, 과시적, 충동적, 순으로 소비성향이 높았고, 피부관리실 만족도의 평균은 4.49로 나타났다. 연령은 20대가 30대보다 피부관리실 만족도가 더 높았고, 결혼상태는 미혼보다 기혼의 피부관리실 만족도가 더 높았다. 최종학력은 전문대졸 학력자보다 대학졸 학력자의 피부관리실 만족도가 더 높았으며, 직업은 사무직이 공무원·전문직·서비스직보다 피부관리실 만족도가 더 높았다. 가구 월소득은 200만원이상 300만원 미만보다 300만원 이상 400만원 미만의 피부관리실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비성향과 피부관리실 만족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소비성향의 실용적, 과시적, 순으로 피부관리실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대가 30대보다 실용적 소비가 높다는 것은 20대가 피부관리실 선택시에 더 신중하다는 것을 알수 있고, 300만원 미만의 월 소득층보다 300만원 이상의 월 소득층이 피부관리실 만족도가 높은 것 또한 경제적인 소득이 높을수록 만족스러움을 더 느낄수 있다고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소비성향의 실용적 성향이 높을수록, 과시적 성향이 낮을수록 피부관리실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소비자들이 피부관리실 이용 시 낮은 단가에 보다 질 좋은 관리를 선호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피부 미용 시장의 규모가 계속 성장하고 있지만 현재까지도 헤어나 메이크업 네일 등의 다른 미용 파트 보다 피부관리실의 단가가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이유를 이 논문에서 확인 할수 있었다. 이는 기술력이 높아짐에 따라 단가도 함께 높아져야 하는데 낮은 기술력으로 저렴한 프로그램을 판매하고 있는 곳이 많아져 금액이 낮게 측정 되는 것을 알수 있다. 또한 과거보다 피부관리 접근성이 높아져 많은 소비자들이 비교할수 있는 선택지가 많아져 더 경쟁력이 치열 해졌다.
이러한 성향을 파악해 실용적 소비를 하는 고객의 만족도를 높이고 재방문 할 수 있도록 연령, 실용적 소비에 맞는 맞춤형 프로그램, 월소득을 고려하여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여 소비자들이 피부관리실 선택 시에 현명하게 소비할 수 있길 바라며 좋은 정보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able 1.
Analysis of the Factors of Consumption Propensity
Sortation a factor
1 2 3
Impulsive Spend on what I want now rather than saving for the future. .905 .101 -.137
I buy products that I didn't plan if I like them. .889 -.066 -.041
I must purchase the product I want. .872 -.169 .148
I prefer new products that stand out. .738 .372 -.242
I tend to spend too much. .669 .383 -.104
Ostentatious I'm going to buy brand products used by celebrities. .107 .897 -.155
Spend to show off one's economic ability to those around one. .299 .802 .187
I care about the reaction of people around me when I buy the product. -.301 .731 .455
Want to have something that no one else has. -.065 .718 .156
Care about the brand name when purchasing a product. .088 .718 .048
Practical Plan ahead before consumption. .20 -.116 .854
Spend on a budget. -.543 .039 .748
Spend according to one's income level. -.508 .252 .746
Quality is important when purchasing a product .004 .338 .671
An eigenvalue 4.160 3.533 2.699
Dispersion rate 29.713 25.238 19.279
Accumulated dispersion rate 29.713 54.951 74.230
KMO = .702, Bartlett's test Result χ²=3292.071 (df=91, p=.000)
Table 2.
Analysis of Factors of Skin Care Room Satisfaction
Sortation a factor
1
Skin care room satisfaction Consultation before management is important. .979
It is important to have the latest equipment and facilities. .949
The parking space of a place is important. .905
Recognition is important. .895
The reservation system is important. .880
Cleanliness is important. .667
An eigenvalue 4.700
Dispersion rate 78.331
Accumulated dispersion rate 78.331
KMO = .814, Bartlett's test Result χ²=1868.593 (df=15, p=.000)
Table 3.
Verification of the Actuality of Each Area
Sortation Number of questions Cronbach's α
Propensity to consume Practical 4 .815
Impulsive 5 .889
Ostentatious 5 .847
Skin care room satisfaction 6 .937
Table 4.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Sortation Frequency (N) Percentage (%)
Age 20s 143 58.8
30s 100 41.2
Marital status Single 218 89.7
Married 25 10.3
One's final academic background College graduates (including school attendance) 88 36.2
College graduation (including enrollment) 155 63.8
Occupation A white-collar job 229 94.2
A civil servant/professional position 11 4.5
A service position 3 1.2
Monthly household income Less than 2-3 million won 192 79.0
Less than 3 to 4 million won 51 21.0
The entire 243 100.0
Table 5.
Consumption Tendencies and Satisfaction with Skincare Rooms
Sortation Average Standard deviation
Propensity to consume Practical 4.06 .75
Impulsive 2.47 .99
Ostentatious 3.98 .77
Skin care room satisfaction 4.49 .48
Table 6.
Differences in Consumption Propensit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ortation N Practical
Impulsive
Ostentatious
Average Standard deviation Average Standard deviation Average Standard deviation
Age 20s 143 4.23 .64 2.42 1.04 3.95 .77
30s 100 3.83 .84 2.55 .92 4.01 .78
t (p) 4.004*** (.000) -.962 (.337) -.552 (.581)
The state of marriage Single 218 4.05 .76 2.50 .98 3.98 .77
Married 25 4.16 .72 2.26 1.07 3.94 .77
t (p) -.689 (.491) 1.168 (.244) .269 (.788)
One's final academic background College graduates (including school attendance) 88 3.82 .83 2.52 .92 4.05 .77
College graduation (including enrollment) 155 4.20 .67 2.45 1.03 3.93 .77
t (p) -3.639*** (.000) .513 (.609) 1.209 (.228)
Occupation A white-collar job 229 4.07 .74 2.47 .99 3.98 .77
A civil servant/professional/service position 14 3.95 .92 2.61 .96 3.84 .75
t (p) .590 (.556) -.542 (.589) .662 (.509)
Monthly household income Less than 2-3 million won 192 4.01 .78 2.43 .98 4.00 .76
Less than 3 to 4 million won 51 4.26 .61 2.65 1.02 3.89 .82
t (p) -2.521* (.013) -1.431 (.154) .928 (.354)

* p<.05,

*** p<.001

Table 7.
Differences in Skin Care Room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ortation N Average Standard deviation t p
Age 20s 143 4.87 .08 57.924*** .000
30s 100 3.94 .15
The state of marriage Single 218 4.45 .49 -11.701*** .000
Married 25 4.83 .00
One's final academic background College graduates (including school attendance) 88 3.93 .13 -30.192*** .000
College graduation (including enrollment) 155 4.81 .25
Occupation A white-collar job 229 4.52 .47 6.238*** .000
A civil servant/professional/service position 14 4.04 .26
Monthly household income Less than 2-3 million won 192 4.42 .46 -4.613*** .000
Less than 3 to 4 million won 51 4.75 .45

*** p<.001

Table 8.
Correlation between Consumption Propensity and Satisfaction in the Skincare Room
Sortation Propensity to consume
Skin care room satisfaction
Practical Impulsive Ostentatious
Propensity to consume Practical 1
Impulsive -.310*** 1
Ostentatious .301*** .119 1
Skin care room satisfaction 297*** -.069 -.023 1

*** p<.001

Table 9.
The Effect of Consumption Tendency on Skin Care Room Satisfaction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B S.E β t p tolerance VIF
Skin care room satisfaction (Several) 3.842 .220 17.501*** .000
Practical .225 .044 .356 5.170*** .000 .788 1.269
Impulsive .028 .032 .058 .869 .386 .855 1.170
Ostentatious -.085 .041 -.138 -2.084* .038 .860 1.163
R2 = .105, adj R2 = .094, F = 9.356***

* p<.05,

*** p<.001

References

Choi, J. W. (2018).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Practice of Skin Care in Women in Modern Societ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Life Sciences, Department of Beauty and Arts, Seokyung University, 27(6), 703-714.
Hwang, D. J. (2012). The Social Function of Beauty in Modern Society A Korean Cultural Study. Sookmyung Women’s University, Master’s degree thesis, Seoul, 155-184.
Jung, B. R. (2020). The perception of service quality according to the type and usage status of the skin care room is satisfactory. Konkuk University, Master’s thesis, Seoul, 12.
Jung, H. G. (2021). The effect of consumer sentiment and service quality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the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status of use of the skin care office. Konkuk University. Master’s thesis, Seoul, 11.
Jeong, J. Y. (2010). Rational consumption behavior according to consumer consciousness and consumer education of femal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Kyung Hee University. Master’s thesis, Seoul, 11.
Jang, K. J. (2000). A study on the surface oil and moisture of women in their early 20s by facial area. Yonsei University, Master’s thesis, Seoul, 3.
Jung, W. S. (2014). A comparative analysis of consumer preferences by type of skincare room. Kyungil University. Master’s thesis, Seoul, 4.
Kang, C. G., Kim, S. H., & Lee, Y. M. (2013). Socio-cultural background study of anti-aging consumption. Korean Consumption Culture Study, 24(4), 1-22.
Ko, H. J. (1996). A Comparative Study on the Perception and Skin Suitability of Foreign Cosmetics in Women’s University in Their 20s. Korea Journal of the Society of Beauty, 17(2), 35.
Kim, K. O., et al. (2006). Skincare Seoul, Cheonggu Cultural History, p.13.
Kim, M. J. (2020). The mediating effect of tru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sentiment and purchasing behavior and satisfaction of skin care room users. Seokyeong University, Master’s degree thesis, Seoul, 23-24.
Kim, M. J. (2020). the mediating effect of tru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sentiment and purchasing behavior and satisfaction of skin care office users. Seokyeong University, Master’s thesis, Seoul, 16-19.
Kim, S. H. (2019). The effect of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relationship commitment in a single-person skin care office on revisit intention (center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customer satisfaction). Hoseo University, Master’s thesis, Seoul, 22.
Kim, S. J. (2013). A Study on Customer Satisfaction Analysis for Establishing a Service Marketing Strategy in the Skin Care Office. Sungshin Women’s University, Master’s thesis, Seoul, 3.
Kim, Y. R., & Kim, K. O. (2005). A Study on the Skin Characteristics and Behavior of Adult Men.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formerly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Sciences), 1(1), 50-25.
Kim, Y. K. (2015). Growth factors and prospects of the Korean skin care industry. Korean Society of Content, 25(6), 417-430.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6). a national statistics portal, Survey on Gender Equality; Seoul: 12-1.
Park, J. H. (2010). A Study on the Use and Improvement of Skin Care Office.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1.
Park, J. Y. (2002). Factors related to the selection and reuse of the skin care office.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Seoul, 1.
Park, J. (2013). A Study on the Use and Satisfaction of Skin Care Office.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1.
Yoon, M. J. (2012).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customers who use the skincare roo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ntent, 12(11), 301-311.
Yoon, M. J. (2012). A study on the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of women who use skin care offi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ife Sciences, 21(6), 895-904.
Yoon, M. J. (2012). A study on the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of women who use skin care offi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ife Sciences, 21(6), 895-904.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10-2825-6735   Fex: +82-62-950-3797    E-mail: beauty2007@hanmail.net                

Copyright © 2025 by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