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MZ세대 여성의 항노화 인식이 건강기능식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Anti-Aging Awareness of Vietnamese MZ Generation Women on Health Functional Food Purchasing Behavior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Cosmetol. 2024;30(3):590-600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4 June 30
doi : https://doi.org/10.52660/JKSC.2024.30.3.590
1Doctoral, Department of Beauty Science, Kwangju Woman University
2Professor, Department of Beauty Science, Kwangju Woman University
응웬티투상1, 최미옥2,
1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용과학과, 박사
2광주여자대학교 미용과학과, 교수
*Corresponding author: Mee-Ok Choi Tel : +82-62-950-3792 E-mail : cmo0323@hanmail.net
Received 2024 April 23; Revised 2024 May 17; Accepted 2024 May 24.

Trans Abstract

Vietnam’s MZ generation, a key group in the consumer market, is choosing anti-aging health foods in addition to skin care. Accordingly, in this study, Vietnamese women in their 20s to 40s living in the southern region of Vietnam were anonymously administered through Google questionnaires from January 22, 2024 to March 22, 2024, and 475 questionnaires, excluding inappropriate questionnaires, were used as final analysis data.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ronbach coefficient,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purchase characteristics of health functional foods, ingredients and efficacy are considered important when purchasing Anti-aging health functional foods, the method of obtaining information is the Internet, the purchase channel is an Internet shopping mall, and the average monthly purchase cost is 200,000~500,000 VND. It was found that domestic health functional food brands were not used for less than. Second, anti-aging awareness was increasing in health functional food purchasing behavior, such as seeking efficacy, disease prevention, and brand seeking. Third, the impact of Anti-aging awareness on health functional food purchasing behavior showed that the higher the Anti-aging awareness, the higher the health functional food purchasing behavior. Summarizing the above results, Anti-aging awareness of Vietnamese MZ generation female consumer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health functional food purchasing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and establishing sales strategies for anti-aging foods or services.

I. 서 론

현대인들의 인식이 외모관심에서 외모중시로 변화되면서 외모관리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항노화에 대한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항노화 분야는 유망 산업으로 급부상하고 있다(Park, 2022).

최근 사회 발전의 중심이자 소비시장의 핵심 집단인 베트남의 MZ세대는 소비성향이 높고 외모를 경쟁력이라 생각하여 피부관리, 체형관리, 성형관리, 헤어관리 등의 뷰티케어행동을 하며, 자기 자신을 위한 투자를 아끼지 않는다(Lim & Kim, 2023).

이에 베트남 여성의 스킨케어 요구가 기본적인 기능을 넘어서, 여드름을 미백하거나 치료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다. 또 글로벌 뷰티 트렌드에 맞춰 기능성 화장품 외에도 베트남 소비자들도 외부 영향을 받는 뷰티 제품과 내부에서 작용하는 기능성 식품에 더 많은 돈을 지출할 의향이 있어, 외면은 아름답고 내면은 영양이 풍부하다는 것이 MZ세대들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스킨케어와 더불어 노화방지 건강식품 역시 많은 베트남 여성들이 선호하고 있다. 유럽의 시장조사전문회사인 유럽의 시장조사전문회사인 ‘EuromoniterInternational’는 베트남 건강기능식품 시장이 큰 시장이며 앞으로 연 20%정도 성장할 것으로 추측하였다. 외국 건강식품 브랜드가 1999년도에 베트남 시장에 들어갔을 때 제품과 브랜드는 수십 개 밖에 안 되었다면(Nguyen, 2014) 2021년까지 베트남은 현재 3,100개 이상의 생산 시설을 보유하고 있으며 거의 12,000개의 건강 관리 제품을 시장에 제공하고 있다. 이것은 베트남 건강시능식품 시장이 놀라운 성장세를 보이며, 급속히 확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남부 지역은 중심 도시인 호찌민시를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인구 규모가 가장 많고 GDP가 높고, 개방적인 분위기를 갖추고 있다.

그러나, 화장품이나 건강기능식품도 전반적인 미용요법의 일부일 뿐이며,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는 것 역시 항노화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노화를 준비하고 시작하는 MZ세대 여성들에게는 항노화에 대한 명확한 인식이 중요하고 필요하다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베트남 MZ세대 여성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여 항노화 인식을 파악하고, 항노화 인식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의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베트남 여성 소비자들의 항노화 인식을 기반으로 한 뷰티상품 개발 및 항노화 산업의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

II. 이론적 배경

1. 베트남 MZ세대 여성

지식엔진 연구소에 따르면 MZ세대는 1980년대부터 2000년대 초반에 출생한 밀레니얼세대(M세대)와 1990년대 중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출생한 Z세대의 합성어로서 20-40세대를 통칭하는 말이다(Lee & Choi, 2021).

베트남 MZ세대 여성은 이들의 삶, 학업, 일상 활동은 모두 소셜 네트워크, 스마트폰, 태블릿, 인터넷 사용의 영향을 받는다. 베트남의 소비 시장을 이끄는 MZ세대 젊은 소비자들은 경제적 번영 속에서 첨단 디지털 기술과 온라인/모바일 매체를 통한 해외 문화 및 생활 방식에 익숙해진 글로벌 세대로 성장했다. 이러한 인구통계학적 변화와 디지털 기반 생활 양식의 변화는 베트남 소비자들의 다양성을 증진시키며, 소비자의 선호도, 행동, 소비 채널 및 커뮤니케이션 방식에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Choo et al., 2022). 또한 MZ세대는 사회가 정한 기준이 아닌 자신의 기준을 따르고 언어, 가치관, 취향 등이 이전 세대와는 차별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전 세대보다 자기중심적으로 생각하고 행동하는 특성을 통하여 사회의 인식이나 관계, 소비 등에서 이전에는 없었던 다양한 문화 현상을 만들어가고 있다(Kwon, 2020). 기성세대가 합리적이고 실용적인 소비를 하고 저축과 같은 이성적인 소비를 추구한다면, MZ세대는 자유롭고 가치지향적인 사고와 과시적인 소비, 자기중심적인 소비를 추구하는 모습을 보인다(Nam & Nam, 2022).

2. 항노화 인식

항노화란 노화를 방지하고 젊음과 활력을 유지하며, 건강한 생활을 유지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피부에 영양을 공급 또는 노화에 따라 감소하는 것을 보충 하거나 조절하는 것이다. 이는 외부 유해환경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수분을 적절히 공급해 피부세포를 활성화시켜 콜라겐·엘라스틴 등의 생체합성을 촉진시켜 주름을 최대한 억제하는 방법이다(Ahn, 2014).

항노화 인식은 피부 노화 방지를 중심으로, 노화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들에 대한 인지를 의미합니다. 이는 피부 타입, 피부 건강 상태, 피부 노화 정도, 피부 노화로 인한 걱정 등을 포함하며,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항노화를 위한 실천 행동을 취하는 것을 말한다(Park, 2022).

이에 본 연구에서의 항노화 인식은 노화의 발생 원인과 관리 방법 등에 관한 지식 및 태도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 노화의 노화의 발생원인, 현상, 스트레스 및 생활습관 등의 요인, 관리방법 등, 피부노화와 관련된 지식과 태도를 파악할 수 있는 문항으로 구성하고자 한다.

3. 건강기능식품 구매행동

건강기능식품이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성분이나 원료를 사용하여 여러 형태로 가공 및 제조한 식품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의약품류와 같이 직접적인 질병의 예방 및 치료를 하는 것이 아닌, 인체의 생리 기능 활성화, 정상적인 기능 유지를 통해 건강 개선 유지를 목적으로 한다(Park, 2022).

건강기능식품 구매행동은 질병 예방과 건강 증진을 목적으로 문제 인식, 정보 탐색 및 평가를 통해 건강기능식품을 선택하고 구매하는 행위를 말한다(Ryu, 2008). 소비자들은 행복에 대한 욕구로부터 출발하여 건강에 대한 욕망으로 나아가며, 이는 건강에 도움이 된다고 여겨지는 건강기능식품의 구매로 이어진다(Kim, 1997).

4. 베트남의 건강기능식품 시장 및 구매행동

베트남에서 건강 기능성식품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소비자들이 건강과 영양에 대한 관심을 더욱 높이고 있기 때문에 건강 기능성식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베트남에서 건강 기능성식품 시장의 규모는 2018년 베트남 건강 기능성식품 수입시장은 약 5억 8600만 달러로 2014년 대비 37.6% 성장했으며, 최근 5년간(2014~2018년) 건강 기능성식품 수입시장 연평균 성장률(CAGR)은 6.6%로, 내수시장의 연평균 성장률(7.5%)을 상회한다(Nguyen, 2014).

베트남 시장은 종합 비타민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며, 미국, 일본, 한국, 호주, 캐나다, 독일 등 다양한 국가의 건강식품 브랜드가 존재하지만, 대다수의 베트남 소비자들은 품질과 기술면에서 우수한 미국 건강식품을 선호한다. 비록 국내 제품보다 가격이 비싸더라도, 베트남 사람들은 건강식품 구매 시 주로 미국 제품을 선택한다. 건강기능식품의 사용자층은 다양하며, 20대는 건강과 미용을 위해 기능별 또는 종합 비타민을, 40대 이하는 면역력 조절, 피로 회복, 기억력 개선, 노화 방지, 다이어트 등의 기능을 가진 건강식품을, 그리고 40대에서 60대는 혈압, 콜레스테롤, 혈당 조절 기능을 가진 건강식품을 섭취한다. 베트남 내에서는 약국, 온라인, 마트, 건강식품 전문점, 다단계 판매 등을 통해 건강식품이 판매 되고 있다(Nguyen, 2014).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 목적

본 연구는 베트남 MZ세대 여성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여 항노화 인식과 건강기능식품 구매행동 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기 위한 것으로, 그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항노화 관리를 위한 건강기능식품 구매특성을 알아보고, 둘째, 베트남 MZ세대 여성의 항노화 인식과 건강기능식품 구매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보며, 셋째, 베트남 MZ세대 여성의 항노화 인식이 건강기능식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는 베트남 남부지역에 거주하는 20~40대 베트남 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기간은 2024년 01월 22일부터 2024년 03월 22일까지 2개월 동안 페이스북(facebook)과 잘로(Zalo)를 통해 구글 설문지로 무기명으로 실시하였고, 전자설문 응답 자료는 엑셀 프로그램으로 자동 코딩한 것으로 사용하였다. 설문 조사에 동의한 53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방법으로 실시하였고, 부적합한 설문지를 제외한 475부를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3. 측정도구

본 연구의 설문도구는 선행연구(Ahn, 2014; Park, 2022)를 바탕으로 일반적 특성에 관한 9문항, 항노화 관리 특성 관련 9문항, 건강기능식품 구매특성 9문항, 항노화 인식에 대한 21문항, 건강기능식품 구매행동 16문항 총 64 문항을 본 연구에 맞게 재구성하였다. 명목변수로 일반적 특성과 항노화 관리 특성, 항노화 관리를 위한 건강기능식품 구매특성을 구성하였으며, 항노화 인식, 건강기능식품 구매행동은 5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측정변수의 성향이 높음을 의미한다.

4.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본 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자료는 다음과 같은 통계처리 과정을 거쳤다.

일반적 특성과 건강기능식품 구매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항노화 인식, 건강기능식품 구매행동에 대한 문항들의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요인분석과, 신뢰도는 Cronbach's a의 계수로 판단하였으며, 항노화 인식, 건강기능식품 구매행동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기술통계분석을, 항노화 인식과 건강기능식품 구매행동과의 관계는 상관 분석, 항노화 인식이 건강기능식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5%에서 검증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5. 요인분석

항노화 인식의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Factor Analysis of Anti-Aging Perception

항노화 인식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위해서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방법과 직교회전방법인 VARIMAX를 사용하여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KMO 값이 0.967로 매우 높았고, 그 결과 요인 1은 고유값이 9.090, 설명비가 43.28%로 나타나 노화요인 요인을, 요인 2는 고유값이 4.793, 설명비가 22.82%로 나타나 피부고민 요인을 설명해 주고 있다.

건강기능식품 구매행동의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Factor Analysis of Health Functional Food Purchasing Behavior

건강기능식품 구매행동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위해서 주성 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방법과 직교회전방법인 VARIMAX를 사용하여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KMO 값이 0.907로 매우 높았고, 그 결과 요인 1은 고유값이 4.222, 설명비가 30.15%로 나타나 효능추구 요인을, 요인 2는 고유값이 3.203, 설명비가 22.88%로 나타나 질병예방추구 요인을 설명해 주고 있으며, 요인 3은 고유값이 2.445, 설명비가 17.46%로 나타나 브랜드추구 요인을 설명해 주고 있다.

6. 신뢰도검증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인 신뢰성은 Cronbach's a계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 <Table 3>과 같다.

Reliability Verification in Each Area

IV. 결과 및 고찰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일반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는 <Table 4>와 같다. 최종학력은 ‘대학교 졸업’이 51.7%, ‘고등학교 졸업’이 32.1%, ‘대학원 졸업’이 7.8%, ‘전문대 졸업’이 7.1% 순이었으며, 직업은 ‘학생’이 39.5%, ‘일반사무직’이 20.6%, ‘판매/서비스직’이 14.2%, ‘기타’가 10.8% 순이었다. 결혼상태는 ‘미혼’이 82.8%, ‘기혼’이 17.2%이었고, 월소득은 ‘2천만동 이상’이 38.2%, ‘1천만-1천5백만동 미만’이 17.9%, ‘1천5백만-2천만동 미만’이 16.6%, ‘5백만동 미만’이 14.9%, ‘5백만-1천만동 미만’이 12.5% 순으로 나타났다. 수면시간은 ‘6-8시간’이 81.1%, ‘5시간 이하’가 10.8%, ‘9-11시간’이 8.1%이었고, 스트레스 상태는 ‘보통’이 63.9%, ‘많음’이 23.0%, ‘적음’이 13.2% 순으로 조사되었다.

General Characteristics

최종학력은 대학교 졸업, 미혼, 직업은 학생과 일반사무직, 월 소득이 2,000만 VND 이상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대부분의 베트남 MZ세대 여성은 6~8시간 동안 숙면을 취하며 생활에 스트레스가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 건강기능식품 구매특성

건강기능식품 구매특성을 살펴본 결과는 <Table 5>와 같다.

Purchasing Characteristics of Health Functional Foods

건강기능식품 복용목적으로는 ‘항노화’가 24.5%, ‘미백’이 18.1%, ‘수분공급’이 16.1%, ‘탄력증가’가 10.5% 순으로 높았고, 이외에 ‘주름개선’은 9.1%, ‘항산화’는 8.1%이었다. 건강기능식품 구매 시 중요요인으로는 ‘성분 및 효능’이 85.8%로 대부분이었으며, ‘가격’은 4.7%, ‘브랜드 인지도’는 4.1%, ‘주변권유’는 2.7%이었다.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정보습득방법은 ‘인터넷에서 알아보기’가 42.6%, ‘인터넷 쇼핑몰’이 17.2%, ‘친구 또는 지인’이 15.9%, ‘병원의사 또는 약사’가 11.1% 순이었고, 건강기능식품 구매경로는 ‘인터넷 쇼핑몰’이 32.4%, ‘건강식품 전문점’이 19.3%, ‘브랜드의 공식 웹사이트’가 16.6%, ‘홈쇼핑’이 10.5%, ‘백화점’이 8.1%, ‘병원 및 약국’이 7.8% 순으로 나타났다. 구매경험이 있는 건강기능식품 베트남 브랜드는 ‘Công ty Dược phẩm Hoa Linh’이 9.2%, ‘Công ty Dược phẩm Á Âu’가 8.5%이었고, 76.1%는 구매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매경험이 있는 건강기능식품 해외 브랜드는 ‘Healthy Care’가 21.4%, ‘기타’가 19.4%, ‘Collagen Youththeory’가 17.4%, ‘Blackmores’가 15.0%, ‘Herbalife’가 8.6%, ‘Nature Made’가 8.4% 순이었다. 구매 건강기능식품으로는 ‘비타민’이 29.7%, ‘콜라겐’이 26.9%, ‘오메가-3’가 18.4%, ‘칼슘’이 8.9%로 높았고, 월 평균 건강기능식품 구매비용으로는 ‘20만-50만동 미만’이 33.8%, ‘50만-80만동 미만’이 30.1%, ‘80만동 이상’이 27.4%, ‘20만동 미만’이 8.8%이었다.

조사대상 475명 중 296명(62.3%)이 기능성식품을 사용한다고 응답했다. 이 대상자는 건강기능식품 복용목적으로는 항노화, 건강기능식품 구매 시 중요요인으로는 성분 및 효능을 중시하며,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정보습득방법은 인터넷에서 알아보기, 구매경로는 인터넷 쇼핑몰, 구매 건강기능식품으로는 비타민, 월 평균 건강기능식품 구매비용으로는 20만-50만동 미만이라고 응답하였다. 건강기능식품을 사용하는 조사대상자의 대부분이 국내 건강기능식품 브랜드를 사용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으며, 가장 많이 사용되는 베트남 국내 브랜드는 Công ty Dược phẩm Hoa Linh이였으며, 구매경험이 있는 해외 브랜드는 Healthy Care이였다.

실증적 연구(Tran, 2022)에 따르면, 베트남 소비자들은 국내 건강기능식품보다 수입품을 더 많이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보를 복용 경험이 있는 사람들로부터 얻는 경우가 많으며, 대부분의 소비자들이 인터넷 쇼핑몰과 전문점을 통해 제품을 구입한다는 이전 연구와 상호된 결과이다. Park(2022)의 연구에서는 중국 여성들이 항노화 관리를 위해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주로 수분 공급을 목적으로 사용하고, 가격, 성분, 효능을 중시하는 구매 경향이 확인되었다.

3. 항노화 인식과 건강기능식품 구매행동

항노화 인식과 건강기능식품 구매행동을 살펴본 결과는 <Table 6>와 같다.

Anti-aging Awareness and Health Functional Food Purchasing Behavior

항노화 인식 전체의 평균은 3.77로, ‘노화요인’(M=3.84), ‘피부고민’(M=3.61) 순으로 평균이 높았다. 건강기능식품 구매행동은 ‘효능추구’(M=3.80), ‘브랜드추구’(M=3.30), ‘질병예방추구’(M=3.17) 순으로 평균이 높았다.

항노화 인식, 건강기능식품을 요인분석 한 결과, 항노화 인식은 노화요인과 피부고민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항노화 인식 전체의 평균은 3.77로 높게 나타났다. 건강기능식품은 효능추구, 브랜드추구와 질병예방추구 3가지 요인이 도출되었다.

4. 항노화 인식과 건강기능식품 구매행동의 관계

항노화 인식과 건강기능식품 구매행동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는 <Table 7>와 같다.

Correlation between anti-aging awareness and health functional food purchasing behavior

건강기능식품 구매행동의 효능추구는 항노화 인식의 노화요인(r=.768, p<.001), 피부고민(r=.681, p<.001) 순으로 정의 상관이 높았고, 질병예방추구는 피부고민(r=.282, p<.001), 노화요인(r=.267, p<.001) 순으로 정의 상관이 높았으며, 브랜드 추구는 피부고민(r=.367, p<.001), 노화요인(r=.367, p<.001)과 유의미한 정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항노화 인식이 효능추구, 질병예방추구와 브랜드추구, 건강기능식품 구매행동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Park(2022)의 연구에 따르면, 중국 여성의 항노화 인식이 높아질수록 효능성, 안전성, 신뢰성을 중시하는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구매행동이 증가한다고 밝혀졌는데, 이는 해당 연구의 결과와 일치한다.

5. 항노화 인식이 건강기능식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항노화 인식이 건강기능식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는 <Table 8>와 같다.

Impact of Anti-Aging Awareness on Health Functional Food Purchasing Behavior

항노화 인식이 건강기능식품 효능추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R2=0.598로 전체 변동의 59.8%로 회귀모형을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변수간 다중공선성을 진단하기 위하여 분산팽창계수(VIF : variable inflation factor)와 허용치(tolerance)를 살펴보았으며, 일반적으로 분산팽창계수가 10이상이거나 허용치가 0.1보다 작으면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게 된다. 본 분석에서 변수들의 VIF값은 모두 10 이하였고, 허용치는 0.1보다 크게 나타나 다중공선성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았다. 모형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추정된 모형은 유의한 것을 알 수 있으며(F=217.556, p<.001), 항노화 인식의 노화요인(β=.637, p<.001), 피부고민(β=.159, p<.05) 순으로 건강기능식품 효능추구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화요인과 피부고민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건강기능식품 효능추구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항노화 인식이 건강기능식품 질병예방추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R2=0.084로 전체 변동의 8.4%로 회귀모형을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모형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추정된 모형은 유의한 것을 알 수 있으며(F=13.391, p<.001), 항노화 인식의 피부고민(β=.193, p<.05)만 건강기능식품 질병예방추구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피부고민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건강기능식품 질병예방추구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항노화 인식이 건강기능식품 브랜드추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R2=0.148로 전체 변동의 14.8%로 회귀모형을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모형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추정된 모형은 유의한 것을 알 수 있으며(F=25.432, p<.001), 항노화 인식의 피부고민(β=.202, p<.05), 노화요인(β=.201, p<.05) 순으로 건강기능식품 브랜드 추구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피부고민과 노화요인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건강기능식품 브랜드추구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항노화 인식이 높을수록 건강기능식품 구매행동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Park(2022)의 연구에 따르면, 중국 여성들은 항노화에 대한 인식이 높아질수록 건강기능식품 구매 시 효능성, 안전성, 신뢰성을 더 중요하게 여긴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또 Kim(2019)의 연구는 피부관리실을 이용하는 여성들 중에서 피부 항노화에 대한 인식이 높은 집단이 이너뷰티 화장품에 대해서도 높은 인식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고하였다. 이상의 선행연구결과는 노화요인과 피부고민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건강기능식품의 효능추구, 질병예방추구와 브랜드추구를 중요시 한다는 본 연구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V. 결 론

본 연구는 베트남 MZ세대 여성을 대상으로 항노화 인식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항노화 관리를 위한 건강기능식품 구매특성을 살펴본 결과는 건강기능식품 복용목적으로는 항노화, 건강기능식품 구매 시 중요요인으로는 성분 및 효능을 중시하며,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정보습득방법은 인터넷에서 알아보기, 구매경로는 인터넷 쇼핑몰, 구매 건강기능식품으로는 비타민, 월 평균 건강기능식품 구매비용으로는 20만-50만동 미만이라고 응답하였다. 건강기능식품을 사용하는 조사 대상자의 대부분이 국내 건강기능식품 브랜드를 사용하지 않는다고 응답하며, 가장 많이 사용되는 베트남 국내 브랜드는 Hoa-Linh Pharmaceutical Company이였고, 구매경험이 있는 해외 브랜드는 Healthy Care이였다.

둘째, 항노화 인식과 건강기능식품 구매행동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는 건강기능식품 구매행동의 효능추구는 항노화 인식의 노화요인, 피부고민 순으로 정의 상관이 높았고, 질병예방추구는 피부고민, 노화요인 순으로 정의 상관이 높았으며, 브랜드추구는 피부고민, 노화요인과 유의미한 정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는 항노화 인식이 효능추구, 질병예방추구와 브랜드추구의 건강기능식품 구매행동 모두가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항노화 인식이 건강기능식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는, 노화요인과 피부고민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건강기능식품 효능추구가 높은 것을 알 수 있고, 피부 고민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건강기능식품 질병예방추구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또 피부고민과 노화요인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건강기능식품 브랜드추구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어, 항노화 인식이 높을수록 건강기능식품 구매행동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베트남 MZ세대 여성 소비자들의 항노화 인식이 건강기능식품 구매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베트남 여성 소비자들이 항노화를 위한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을 보여주고 있으며, 항노화 시장이 향후 성장 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항노화 인식이 높게 나타남으로써 항노화 관리에 대한 관리행동이 더높아질 것으로 예측하며, 본연구의 결과는 항노화 산품이나 서비스 개발 및 판매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한다. 첫째, MZ 세대는 인터넷과 스마트폰 사용에 익숙하며 주로 온라인을 통해 소비활동을 하기 때문에 디지털에 친숙한 MZ 세대를 타깃으로 하는 적극적인 온라인 마케팅이 필요하다. 둘째, 성분 및 효능을 강조하고, 브랜드 이미지를 잘 구축하여 고급화 전략을 적용한다. 셋째, MZ 세대는 인터넷을 통해 항노화 관리 정보를 수집하고 있기 때문에 건강기능식품 효능과 사용법에 대한 정보를 적극적으로 제공하여 소비자들이 더욱 효과적으로 건강기능식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베트남의 남부지역의 20대~40대의 여성들만을 대상으로 하였고, 이러한 결과를 베트남 전체 여성의 인식으로 일반화하기에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추후에는 조사대상자의 거주 지역, 연령, 성별 및 직업 등을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항노화 관리를 위한 뷰티상품과 뷰티서비스의 소비경향 및 성향 등을 분석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References

1. Ahn, E. J. (2014). Study on the anti-aging and skin aging, and officials to recognize women by age group behavior.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4-66.
2. Choo H. J., Jang J. Y., Baek E. S., Lee H. K., Kim H. B.. 2022;A Study on the Multidimensional Consumption Value of Vietnamese MZ Generation: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ption Value Facto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Global Consumption Propens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46(5):848–867. doi: 10.5850/JKSCT.2022.46.5.848.
3. Kim, O. B. (1997). An empirical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purchasing behavior of health supplement consumers. Master’s thesis, Kyungnam University, Seoul, 5-28.
4. Kim, H. J. (2019). A study on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anti-aging care among women using skin care salons. Master’s thesis, Kyungil University, Gyeongsangbuk-do, 35-54.
5. Kwon, H. S. (2020). A Study on the categorization and Acceptance Factors of e-Book Users: Focusing on MZ Generation. Doctoral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Chung-cheong bukdo, 25-31.
6. Lee S. Y., Choi J. H.. 2021;Elements and Effects of Fashion Shopping Apps Based on Multipersona Characteristics of MZ gener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2(8):123–129.
7. Lim C. W., Kim J. Y.. 2023;Impact of perceived severity and perceived benefits of COVID-19 on beauty healthcare behavior among working women in their 20s and 30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9(1):77–87.
8. Nguyen, T. T. M. (2014). An Exploratory Study on Korean Health Funtional Food Market and Purchasing Factor of Vietnamese: Focusing on Ginseng. Master’s thesis, Soongsil University, Seoul, 1-4.
9. Nam Y. J., Nam S. G.. 2022;Consumer Happiness by Generation: Focused on MZ Generation. The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23(2):129–152. doi: 10.21074/kjlcap.2022.23.2.129.
10. Park, Y. Y. (2022). The Effect of Anti-Aging Perception on the Purchase Behavior of Beauty Products in Chinese Women: Focusing on the Huadong·Huanan Regions. Master’s thesis, Gwangju Women’s University, Gwangju, 5-78.
11. Ryu, Y. H. (2008). The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middleaged men and women’s purchase action of health promotion foods in the some areas of Gangwondo: centered on lifestyle.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4-12.
12. Tran, T. D. T. (2022).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Vietnames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for Imported functional foods.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60-65.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Factor Analysis of Anti-Aging Perception

Sortation Factor
1 2
Aging factors Drinking alcohol and smoking are related to skin aging. .837 .240
Female hormones are thought to be closely related to skin aging. .815 .297
The quantity and quality of sleep affects skin aging. .805 .343
I believe that appropriate exercise helps prevent aging. .795 .337
Sunscreen must be applied when going out. .792 .311
Stress accelerates skin aging. .759 .397
Air pollution such as fine dust and yellow dust can cause skin aging. .754 .393
Prolonged skin exposure to ultraviolet rays can cause skin aging and skin cancer. .722 .429
Supply of antioxidant substances helps prevent skin aging. .710 .451
Vitamin C promotes collagen production and is effective for whitening and anti-aging. .704 .386
Vitamin E is an antioxidant and is effective in preventing aging. .693 .426
Free radicals are the main cause of aging and are closely related to the skin. .690 .315
Sunscreen is effective in preventing skin cancer by delaying photoaging. .680 .427
As skin aging progresses, wrinkles increase on the forehead, around the eyes, between the eyebrows, and around the mouth. .668 .468
Skin aging caused by ultraviolet rays has different symptoms from natural aging. .623 .435
Skin concerns As we age, pores become enlarged on the forehead and cheek areas of the face. .304 .754
Wrinkles are thought to be a natural aging symptom that appears as one gets older. .264 .711
As skin aging progresses, the moisture content of the skin's stratum corneum decreases and it becomes dry. .457 .699
As skin aging progresses, skin pigmentation increases. .504 .598
Skin aging begins before the age of 25. .184 .584
I believe that the condition of the skin is influenced by the state of health of the body. .493 .584
Eigenvalues 9.090 4.793
Dispersion rate 43.285 22.825
Cumulative dispersion rate 43.285 66.110
KMO = .967, Bartlett's test χ²=5415.391 (df=210, p=.000)

Table 2.

Factor Analysis of Health Functional Food Purchasing Behavior

Sortation Factor
1 2 3
Pursue efficiency We consider product quality important. .869 .009 .121
Consider product safety. .862 -.040 .209
Choose products with excellent efficacy rather than products with good design/packaging. .809 .048 .251
We value scientific data on product efficacy. .798 .280 -.018
We value the efficacy of products. .783 .148 .146
Health functional foods are highly effective because they are made from special nutrients. .545 .321 .435
Pursuing disease prevention Health functional foods have no side effects. -.144 .841 .188
People buy because they believe in a specific brand image. .129 .765 .265
Even if the price is high, I buy famous brands because I trust them. .230 .737 .275
We believe that the functionality and safety of health functional foods have been thoroughly researched. .393 .607 .220
Pursuing the brand Regular consumption of health functional foods can prevent chronic diseases. .154 .427 .761
There may be interactions when health functional foods are taken together with other drugs. .439 .184 .717
Regular consumption of health functional foods can treat diseases. -.021 .594 .643
I believe that health functional foods are definitely helpful in maintaining health. .250 .472 .615
Eigenvalues 4.222 3.203 2.445
Dispersion rate 30.156 22.881 17.465
Cumulative dispersion rate 30.156 53.037 70.502
KMO = .907, Bartlett's test χ²=2605.519 (df=91, p=.000)

Table 3.

Reliability Verification in Each Area

Sortation Number of questions Cronbach's α
Anti-Aging Skin concerns 6 .846
Aging factors 15 .967
Anti-Aging Awareness 21 .967
Health functional food purchasing behavior Pursue efficiency 6 .899
Pursuing disease prevention 4 .812
Pursuing the brand 4 .855

Table 4.

General Characteristics

Sortation Frequency (N) Percentage (%)
Highest education level Middle school or lower 4 1.4
Graduated from High school 95 32.1
Graduated from Junior college 21 7.1
Graduated from University 153 51.7
Graduated from graduate school 23 7.8
Job Public official 4 1.4
General office work 61 20.6
Professional occupation 17 5.7
Management/administrative position 13 4.4
Technical job 10 3.4
Sales/service positions 42 14.2
Student 117 39.5
Other 32 10.8
Married status Married 51 17.2
Single 245 82.8
Monthly income Less than 5 million VND 44 14.9
Less than 5-10 million VND 37 12.5
Less than 10-15 million VND 53 17.9
Less than 15-20 million VND 49 16.6
More than 20 million VND 113 38.2
Sleeping time Less than 5 hours 32 10.8
6-8 hours 240 81.1
9-11 hours 24 8.1
State of stress A little 39 13.2
Normal 189 63.9
A lot 68 23.0
Total 296 100.0

Table 5.

Purchasing Characteristics of Health Functional Foods

Sortation Frequency (N) Percentage (%)
Purpose of taking health functional food (Multiple responses, Total=702) Antioxidant 57 8.1
Anti-aging 172 24.5
Whitening 127 18.1
Wrinkle improvement 64 9.1
Increased elasticity 74 10.5
Hydration 113 16.1
Relieve skin sensitivity 46 6.6
Other troubles 49 7.0
Important factors when purchasing health functional foods Price 14 4.7
Ingredients and Effects 254 85.8
Advertisement 5 1.7
Neighborhood recommendation 8 2.7
Brand awareness 12 4.1
Salesperson Description 3 1.0
Which channels to obtain information about health functional foods Internet shopping mall 51 17.2
Promotional flyer 4 1.4
Home Shopping 12 4.1
Professional salesperson 20 6.8
Friend or acquaintance 47 15.9
Door-to-door sales 3 1.0
Hospital doctor or pharmacist 33 11.1
Find out on the Internet 126 42.6
Where to buy health functional foods Home Shopping 31 10.5
Internet shopping mall 96 32.4
Door-to-door sales 3 1.0
Health food specialty store 57 19.3
Skin care center 7 2.4
Hospital and Pharmacy 23 7.8
Commercial center 24 8.1
Supermarket 6 2.0
The brand's official website 49 16.6
Vietnamese health functional food brand that I have purchased (Multiple responses, Total=306) Not used 233 76.1
Nam-Duoc Company 14 4.6
A-Au Pharmaceutical Company 26 8.5
Hoa-Linh Pharmaceutical Company 28 9.2
Other 5 1.6
Foreign health functional food brand that I have purchased (Multiple responses, Total=499) Not used 10 2.0
Collagen Youththeory 87 17.4
Healthy Care 107 21.4
Herbalife 43 8.6
Kirkland Signature 33 6.6
Nature Made 42 8.4
Doppelherz 5 1.0
Blackmores 75 15.0
Other 97 19.4
Type of health functional food that I have purchased (Multiple responses, Total=839) Vitamin 249 29.7
Collagen 226 26.9
Hyaluronic acid 22 2.6
Lactobacillus 17 2.0
Omega-3 154 18.4
Mineral 23 2.7
Calcium 75 8.9
Protein 54 6.4
Other 19 2.3
Expenses used to buy health functional food (month) Less than 200,000 VND 26 8.8
Less than 200,000-500,000 VND 100 33.8
Less than 500,000-800,000 VND 89 30.1
More than 800,000 VND 81 27.4
Total 296 100.0

Table 6.

Anti-aging Awareness and Health Functional Food Purchasing Behavior

Sortation Average Standard Deviation
Anti-Aging Awareness Skin concerns 3.61 .67
Aging factors 3.84 .72
Anti-Aging Awareness 3.77 .68
Health functional food purchasing behavior Pursue efficiency 3.80 .69
Pursuing disease prevention 3.17 .81
Pursuing the brand 3.30 .80

Table 7.

Correlation between anti-aging awareness and health functional food purchasing behavior

Sortation Anti-Aging Awareness
Health functional food purchasing behavior
Skin concerns Aging factors Total Pursue efficiency Pursuing disease prevention Pursuing the brand
Anti-Aging Awareness Skin concerns 1
Aging factors .818*** 1
Anti-Aging Awareness .901*** .987*** 1
Health functional food purchasing behavior Pursue efficiency .681*** .768*** .772*** 1
Pursuing disease prevention .282*** .267*** .282*** .360*** 1
Pursuing the brand .367*** .367*** .381*** .487*** .739*** 1
***

p<.001

Table 8.

Impact of Anti-Aging Awareness on Health Functional Food Purchasing Behavior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B β t p R2 adjR2 F
Health functional food purchasing behavior Pursue efficiency (Constant) .860 5.888*** .000 .598 .595 217.556 ***
Skin concerns .164 .159 2.472* .014
Aging factors .612 .637 9.893*** .000
Pursuing disease prevention (Constant) 1.851 7.127*** .000 .084 .077 13.391***
Skin concerns .234 .193 1.987* .048
Aging factors .124 .109 1.124 .262
Pursuing the brand (Constant) 1.573 6.402*** .000 .148 .142 25.432***
Skin concerns .240 .202 2.158* .032
Aging factors .223 .201 2.145* .033
*

p<.05,

***

p<.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