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Cosmetol > Volume 30(3); 2024 > Article
교정기관 직업훈련프로그램 특성, 조직적 지원, 가족적 지원 및 전이의도의 관계: 이·미용 직업훈련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haracteristics of vocational training program for prison inmates including job relevance, educational method, educational environment, instructor qualities on transfer intention. And it is confirmed whether there are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and family support and moderating effects of vocational training program between characteristics of training program and transfer intentio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756 samples were collected from prison inmates who participated in vocational training program. The analytical method of this study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d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WIN 23.0 program, as well a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ulti-parametric model analysis,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multi-group analysis using AMOS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job relevance, a sub-factor of vocational training program characteristic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n transfer intention. Second, job relevance, education method, and education environment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support. Lastly, in the path from family support to transfer intention, the hairdressing group was found to have a stronger positive influence than other groups. Accordingly, this study compared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support and family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correctional institution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and transfer intention and analyzed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hairdressing group and other groups, which were control variables. We aim to provide basic data so that the training program can be effectively applied in practice.

I. 서 론

오늘날 교정기관은 수형자의 사회 복귀를 지원하기 위하여 직업훈련을 확대하고 있으며(Yoo & Lee, 2020), 이러한 수형자 직업훈련은 수형자에 대한 교화개선의 성패 여부를 좌우하고 출소 후 사회 정착의 핵심적인 수단으로서(Oh, 2000) 재범을 방지하고 사회통합을 가져오게 하는 매우 중요한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Cho & Do, 2020). 특히, 2000년대 들어 교정기관의 직업교육은 직업훈련 분야의 다양화와 전문화가 실현되면서 직업훈련에 특화된 교정시설이 생겨나고,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이 고안되어 운영되고 있다(Park, 2020).
그러나 우리나라 직업훈련은 청년과 취약계층의 취업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으며, 대표적 취약계층이라 할 수 있는 수형자에 대한 직업훈련은 그 한계를 그대로 지니고 있다. 특히, 교정기관에서 실시하는 직업훈련은 출소자의 취업과 원활히 연계되어 있지 않아 취득한 자격증을 가석방에 필요한 절차 충족의 요건 정도로 인식하거나(Kim & Choi, 2011), 자원봉사를 위한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다(Yang & Suh, 2014). 또한, 출소 후 직종이 다양하지 못하고 단순노동에 편중되어 실제 산업체 현장의 적응 프로그램이 미흡하고, 고정된 취업의 경우에도 보수가 낮아 이직률이 높은 편이다(Lim, 2010). 다시 말해 직업훈련의 내실화나 전문성 등 교육역량은 개선되지 못한 채 양적인 팽창과 무분별한 교육과정 운영 등으로 인하여 교정기관 직업훈련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이 제기되고 있으며(Park, 2020), 이러한 이유로 직업훈련의 효과를 정확히 분석하여 개선시키고자 하는 다각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교정기관 직업훈련프로그램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연구되고 있다. 첫째, 직업훈련교육의 현황을 진단하고, 직업훈련의 필요성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며(Kim & choi, 2011; Hong et al., 2018; You & Lee, 2020) 둘째, 직업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로서 주로 직업훈련 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이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Yun, 2016; Park & Gong, 2019; Lee, 2019)에 관한 연구가 있다. 이 중 직업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는 직업훈련의 효과성 증진을 위한 실질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직업훈련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지표로는 자격증 취득률, 취업률, 재범률 등이 있지만(Hong et al., 2018; Gordon & Weldon, 2003; Chappell, 2004), 직업훈련의 효과성을 살펴보는 데 있어서 적절한 수치를 찾기 어렵기 때문에 실제적으로 현업에 적용할 수 있는 학습전이가 새로운 지표로 제안되고 있다(Baldwin & Ford, 1988). 학습전이는 학습자가 교육을 통해 습득한 지식, 기술, 태도, 능력 등을 자신의 직무상황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고 지속적으로 활용하는 것을 의미하며(Baldwin & Ford, 1988), 이러한 학습전이는 수형자에 대한 직업훈련의 효과를 측정하는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다(Yun, 2016). 학습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학습자의 학습동기, 성격특성과 같은 개인적 특성뿐만 아니라 학습자가 소속된 조직적 지원이 있으며(Park, Lee, 2018), 조직의 특성이 어느 집단보다 강하게 작용하는 교정기관의 경우 조직적 지원은 학습전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즉, 조직 구성원들이 직업훈련프로그램에서 새롭게 습득한 지식이나 기술의 활용 여부에 따라 보상이나 제재가 주어질 때 학습전이가 높아질 수 있다(Taylor et al., 2005). 또한, 수형자에게 가장 중요한 지지체계이면서 교정의 토대가 되는 가족적 지원이 강할수록 사회에 대한 적응력이 높아지고 결과적으로 재범 방지를 위한 실질적 대안이 될 수 있다(Shin, 2008). 수형자의 가족관계는 본인과 가족들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의 안전에도 연쇄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Mills & Codd, 2008) 직업훈련과정에서 가족적 지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한편, 교정기관에서 실시되고 있는 직업훈련의 분야는 건축, 기계, 자동차, 미용, 조리, 농림, 용접, 의류, 전기, 정보기술, 제과제빵, 공예, 안전관리, 서비스 등 다양하며 그중 미용직업훈련은 다른 분야에 비해 실무기술의 숙련 및 전문화가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Kim et al., 2010).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미용직업훈련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Lee et al.(2020)은 미용 교육 훈련을 받는 과정에서 취업에 대한 관심도 요인이 미용 교육만족도와 진로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으며, Jung & Youn(2021)은 영국, 미국, 독일, 호주를 중심으로 직업 훈련 교육에 대하여 문헌 고찰을 하였으며, Kim et al.(2022)은 미용훈련기관들의 교육환경, NCS 교수법과 기관장 리더십 등에 대한 변수들을 파악하여 훈련생 만족도와 추천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인과관계를 파악하였다. Choi et al.(2014)은 미용 전공 대학생의 학년별 진로 성숙도와 진로 의사결정 유형의 차이를 파악하고 진로 성숙도와 진로 의사 결정 유형의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미용 전공 대학생의 진로 상담 및 교육 시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도움이 될 수 있는 지침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였다. 또한, 실업자를 위한 헤어 관련 직업훈련체계의 개선 방안(An & Kim, 2010), 미용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 훈련의 방향과 개선점(Jang & Jin, 2016), 헤어 미용 산업에 종사하는 종업원을 대상으로 NCS 교육 훈련의 성과(Kim & Lee, 2018)에 관한 선행연구들이 있다. 미용직업훈련은 특성상 봉사활동으로서의 성격(Lee et al., 2009)을 가지고 있기때문에 직업훈련과 인성교육을 연계시켜 수형자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변화시킬 수 있는 잠재적 효과에도 불구하고 수형자를 대상으로 한 미용 직업훈련에 대한 선행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직업훈련프로그램 특성과 전이의도와의 관계에서 조직적 지원과 가족적 지원의 매개효과를 비교하고 직업훈련유형을 이·미용 집단과 기타 집단으로 구분하여 조절효과를 분석함으로써 교정기관 직업훈련의 본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II. 이론적 배경

1. 직업훈련프로그램 특성

직업훈련프로그램 특성은 훈련기관이 훈련생에게 직업능력개발 및 취업을 위해 제공하는 훈련 활동과 관련 지원 활동 등을 의미한다(Jeong & Jeong, 2014). 직업훈련프로그램 특성의 하위요인은 학자마다 차이가 있으며 직무관련성, 교육설계, 교육방법, 강사자질, 직무환경, 피드백, 직업훈련자의 개인적 특성, 교육훈련 설계(Lee, 1995; Kim, 2013; Baldwin & Ford, 1988) 등으로 구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직업훈련프로그램 특성을 직무관련성, 교육방법, 교육환경, 강사자질로 분류하였으며, 직무관련성이란 교육내용이 직무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교육 효과를 통한 성과의 기대에 부합하는 정도를 의미하며(Alliger et al., 1997), 교육내용이 실제적으로 업무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인지하게 함으로써 전이효과를 높일 수 있다(Lim & Park, 1999; Jeong, 2006; May & Kahnweiler, 2000; Liebermann & Hoffmann, 2008). 즉, 학습자들이 교육훈련에서 습득한 지식, 기술이 본인의 업무에서 요구되는 지식, 기술과 일치한다고 인식하는 정도를 의미한다(Kim et al., 2019).
교육방법은 직업훈련프로그램의 설계 단계에서 제시된 교육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선별된 교육내용을 효과적으로 학습자에게 전달하는 방법 및 수단의 적절성을 의미한다(Palmer & Varner, 2007). 직업훈련프로그램을 진행할 때 교육내용의 이해력을 높이기 위한 여러 가지 교육방법들로 강의, 주제토론, 사례연구, 시청각교육, 시범, 현장실습, 역할 연기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한다(Lee & Joung, 2012). 교육환경은 교육 시설의 분위기, 시청각 매체, 교재 등에 따라 전이 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Noe & Schmitt, 1986)으로 교육훈련의 목적과 내용에 적합하여야 하며, 피훈련자들의 학습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어야 한다(Oh et al., 2017). 강사자질은 전이를 촉진시키는 중요한 요인으로서(Choi & Lee, 2011), 동일한 교육내용의 교육을 진행하더라도 강사의 자격 요건과 행동에 따라 학습전이는 달라질 수 있다(Buckley & Caple, 1984). 또한, 강사가 효과적으로 내용을 학습자에게 전달하는 능력이 전이에 영향을 준다(Alliger et al., 1997).
교정기관 직업훈련프로그램 특성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Kim & Lee(2019)이 교도소의 조리직업훈련교육 요인을 교육과정, 교육환경, 교육강사로 분류하여 이러한 요인이 자기효능감, 수형생활만족도,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대해 연구하였다.

2. 조직적 지원

조직적 지원은 학습자의 특성, 교육설계 요인과 더불어 직업훈련 전이를 촉진하는 핵심이라 할 수 있으며, 학습자가 직업훈련 중 익힌 내용을 현장에 적용하는 과정을 이해함에 있어서 조직적 지원은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Baldwin & Ford, 1988).
최근 조직의 환경적 변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직무 환경에 대한 조직원의 지각, 인식을 뜻하는 전이풍토(transfer climate)가 학습전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Rouiller & Goldstein, 1993; Brinkerhoff & Montesino, 1995). 전이풍토는 사회적 지원과 조직적 지원으로 구분되는데 사회적 지원은 상사의 지원, 동료의 지원, 변화 가능성을 의미하며(Kim & Park, 2001), 조직적 지원은 학습전이에 대한 조직의 체계적인 지원, 평가, 보상제도 등의 공식적 시스템을 말한다(Geum & Jeong, 2007). 즉, 조직적 지원은 가치를 공유하는 관계에 기초하고 있는 정서적 관계뿐만 아니라 조직이 조직구성원에게 주는 보상에 기초를 두고 있는 계산적 관계도 포함하고 있다(Eisenberger et al., 1990).

3. 가족적 지원

가족적 지원은 가족 간 상호작용을 통해 개인에게 정신적∙정서적 방패나 완충 역할을 함으로써 위기나 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여러 형태의 도움과 원조라 할 수 있다(Cobb, 1976; Sammarco, 2001). 가족이 지지하는 체제 내에서 특히 부모는 각 구성원과의 접촉을 통해 보다 나은 직업이나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Furman & Buhrmester, 1985).
수형자를 대상으로 한 가족적 지원 관련 선행연구에 의하면, 가족의 교도소 방문이 모든 종류의 재범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Min, 2018; Mears et al., 2012), 가족의 지원은 외부사회와 연결고리가 되고 사회연결망을 강화하여 출소 후 사회적응을 높여준다(Gong & Kwon, 2019; Mills & Codd, 2008). 높은 수준의 가족적 지원은 긴밀한 결속 관계를 의미하며, 비사회적 행동을 억제하는 감독의 기능을 수반하면서 범죄행위를 줄이는 핵심적 보호 요인으로 작용한다(Woodward, 2008).

4. 전이의도

전이의도의 개념은 기존 전이동기를 대체하는 개념으로 활용되어 오다가(Magjuka & Badwin, 1991) 전이동기와는 구분되는 개념으로서 전이행동에 이르게 하는 강력한 예측변인으로서 연구되어 왔다(Al-Elisa et al., 2009). Park & Kim(2016)는 전이의도의 가변적 속성을 강조하면서 전이의도를 교육 훈련 후에 형성되는 개념으로서가 아니라 교육 훈련 전부터 종료 후에 걸쳐 지속적으로 형성되는 내용을 현업에 적용하려는 의지로 정의하였다. 결국, 전이의도란 학습자가 교육훈련 전이 행동을 발생시키기 위해 갖는 의지, 몰입, 계획 및 전념을 의미한다(Hwang & Park, 2021).
학습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밝혀왔는데 그 요인들은 교육훈련특성, 개인특성, 환경특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Blume et al., 2010). 교육훈련의 특성은 교육방법 및 교육내용의 직무관련성, 개인특성은 전이동기, 환경특성은 학습 전이 풍토 등의 범주가 포함된다. 교정기관 직업훈련프로그램 특성에 관한 선행연구로는 Yun(2016)의 수형자 직업훈련에서 학습전이 요인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에 관한 연구가 있다.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본 연구는 교정기관 직업훈련프로그램 특성이 전이의도와 조직적 지원, 가족적 지원에 미치는 영향, 직업훈련프로그램 특성과 전이의도의 관계에서 조직적 지원과 가족적 지원의 매개효과와 훈련과정유형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Fig. 1).
H1. 직업훈련프로그램 특성의 하위요인인 직무관련성(H1a), 교육방법(H1b), 교육훈련환경(H1c), 강사자질(H1d)이 전이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 직업훈련프로그램 특성의 하위요인인 직무관련성(H2a), 교육방법(H2b), 교육훈련환경(H2c), 강사자질(H2d)이 조직적 지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H3. 직업훈련프로그램 특성의 하위요인인 직무관련성(H3a), 교육방법(H3b), 교육훈련환경(H3c), 강사자질(H3d)이 가족적 지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H4. 조직적 지원이 전이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H5. 가족적 지원이 전이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H6. 조직적 지원이 직업훈련프로그램 특성의 하위요인인 직무관련성(H6a), 교육방법(H6b), 교육훈련환경(H6c), 강사자질(H6d)과 전이의도와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H7. 가족적 지원이 직업훈련프로그램 특성의 하위요인인 직무관련성(H7a), 교육방법(H7b), 교육훈련환경(H7c), 강사자질(H7d)과 전이의도와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H8. 훈련과정유형이 직업훈련프로그램 특성과 전이의도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
H9. 훈련과정유형이 직업훈련프로그램 특성과 조직적 지원과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
H10. 훈련과정유형이 직업훈련프로그램 특성과 가족적 지원과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
H11. 훈련과정유형이 조직적 지원과 전이의도와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
H12. 훈련과정유형이 가족적 지원과 전이의도와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국 교정기관의 4개 지역 교정청과 2개 지역 소년원에서 직업훈련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수형자를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서울 소재 교정청 279명, 대전 소재 교정청 165명, 대구 소재 교정청 205명, 광주 소재 교정청 39명, 강원도 소재 소년원 50명, 경기도 소재 소년원 3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인 직업훈련 수형자는 교정시설에 있는 수용자로 직업훈련을 받기를 원하는 자로 교정기관에서 직업훈련을 통해 취업 기술을 익히는 교정 프로그램에 참여한 수용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사전 조사는 2022년 3월 21일부터 3월 31일까지 10일간 50부를 대면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설문지의 구성과 내용을 수정하고 보완한 후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는 2022년 4월 5일부터 4월 15일까지였으며 각 기관의 분류심사 담당 직원과 직업훈련교사의 협조를 얻어 배포하고 담당 근무자의 지도하에 조사하여 회수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회수된 770부의 설문지 중 설문에 불성실하게 응답한 14부를 제외하고 총 756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3.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도구

본 연구를 위해 사용된 측정 도구의 내용은 크게 5개의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독립변수는 직업훈련프로그램 특성이며 매개변수는 조직적 지원과 가족적 지원이다.
첫째, 일반적 특성은 성별, 연령, 학력, 훈련과정유형 등 총 5문항으로 구성되었고, 명목척도가 사용되었다.
둘째, 독립변수인 직업훈련프로그램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항목으로 직무관련성, 교육방법, 교육환경, 강사자질을 제시하였다. 직무관련성은 직업교육이 출소 후 직접적으로 취업과 연관되어 학습자의 기대에 부응하는 정도로 정의하였다. 교육방법은 다양한 교육방법의 활용, 적절한 평가, 평가 후 충분한 피드백, 실제업무와 비슷한 상황에서의 교육훈련방법 등으로 정의하였다. 교육환경은 교정기관에서 직업훈련을 받고자 하는 수형자에게 교육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장소, 학습도구, 학습자료, 기자재, 실습장비 등 물리적 환경으로 정의하였다. 강사자질은 전문성을 갖고 직업훈련의 필요성을 인지하도록 적절한 피드백을 제시하는 자질로 정의하였다. 직업훈련프로그램 특성은 You(2020)의 연구 문항을 참고하여 총 16문항으로 구성되었고, 본 연구목적에 적합하게 수정 및 보완하여 측정 도구로 사용하였다.
셋째, 매개변수인 조직적 지원은 교정기관이 수형자에게 주는 보상에 기초를 두고 있는 계산적 관계를 포함하는 체계적인 지원, 평가, 보상제도로 정의하였다. 조직적 지원은 Eisenberger(1990)의 문항을 기초로 Yun & Joo(2016)의 연구 문항을 참고하여 총 5문항으로 구성되었고, 본 연구목적에 적합하게 수정 및 보완하여 측정 도구로 사용하였다.
넷째, 매개변수인 가족적 지원은 취업을 위한 재정적∙정서적 지원, 정보 제공, 격려, 관심 등으로 정의하였다. 가족적 지원은 Dubow & Ulman(1989)이 개발한 사회적 지지 척도 중 가족적 지지에 대한 문항을 참고하여 총 10문항으로 구성되었고, 본 연구목적에 적합하게 수정 및 보완하여 측정 도구로 사용하였다.
다섯째, 전이의도는 수형자가 교육훈련을 통해 학습한 내용을 출소 후 현장에 적용하고자 하는 의도로 정의하였다. 전이의도는 Song(2016)Lee & Sohn(2022)의 연구 문항을 참고하여 총 3문항으로 구성되었고, 본 연구목적에 적합하게 수정 및 보완하여 측정 도구로 사용하였다.
일반적 특성을 제외한 설문지의 문항은 5점 Likert 척도로 ‘매우 그렇다’ 5점, ‘그렇다’ 4점, ‘보통이다’ 3점, ‘그렇지 않다’ 2점,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으로 설정하였다.

4. 자료 분석 방법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AMOS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연구모형의 적합성을 확인하기 위해 AMOS를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주요 변수의 판별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SPSS를 이용하여 상관관계를 실시하였다.
넷째, 직업훈련프로그램 특성, 조직적 지원, 가족적 지원, 전이의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AMOS를 이용하여 구조 방정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직업훈련프로그램 특성과 전이의도와의 관계에서 조직적 지원과 가족적 지원의 이중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AMOS를 이용하여 팬텀변수를 활용하였으며,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통한 다중매개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여섯째, 훈련과정유형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AMOS를 이용하여 집단 간 모형적합도와 모형 동일성 검정을 통한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전체 대상자는 총 756명으로 성별은 남자 664명(87.8%), 여자 92명(12.2%)으로 남자가 높게 나타났고, 연령은 50대가 227명(30.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40대 189명(25.0%), 30대 12명(14.8%), 20대 97명(12.8%), 10대 43명(5.7%) 순으로 나타났다. 결혼 상태는 기혼 405명(53.6%), 미혼 351명(46.4%)으로 기혼이 높게 나타났고, 최종학력은 고등학교 졸업이 365명(48.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대학교 졸업 246명(32.5%), 중학교 졸업 85명(11.2%), 대학원 졸업 38명(5.0%), 초등학교 졸업 이하 22명(2.9%) 순으로 나타났다. 훈련과정유형은 이·미용 502명(66.4%), 기타 254명(33.6%)으로 나타났다.

2. 확인적 요인분석

직업훈련프로그램 특성의 하위요인인 직무관련성, 교육방법, 교육환경, 강사자질과 조직적 지원, 가족적 지원, 전이의도에 대한 초기 측정모형의 적합도는 χ2=2158.967(p<0.001), TLI=0.930, CFI=0.937, RMSEA=0.066으로 나타나 만족할 만한 수준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Table 2와 같이 직업훈련프로그램 특성의 하위요인인 직무관련성, 교육방법, 교육환경, 강사자질과 조직적 지원, 가족적 지원, 전이의도 잠재변수에서 측정변수에 이르는 경로는 유의수준 0.001에서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구성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구성개념간의 상관관계 검증을 실시하여 집중타당성을 확인하게 되는데, 집중타당성은 평균분산추출값(AVE)과 개념신뢰도(CCR)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신뢰도 분석 결과 Cronbach’s α는 0.853~0.972로 신뢰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구성개념간 상관관계

측정항목 요인들 사이의 판별타당성의 충족 정도와 요인간의 관계의 방향과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각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분석결과 직업훈련 프로그램 특성의 하위요인인 직무관련성, 교육방법, 교육환경, 강사자질과 조직적 지원, 가족적 지원, 전이의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 상관관계분석 결과는 각 요인간의 상관계수가 1인 관계가 나타나지 않아 판별타당성을 확보하였으며, AVE값은 상관계수의 제곱보다 크게 나타나 모든 변수는 판별타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경로분석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 구조모형의 적합도는 χ2=2158.967(p<0.001), TLI=0.930, CFI=0.937, RMSEA=0.066으로 나타나 만족할 만한 수준인 것으로 확인되었다(Table 4).
구조모형 분석 결과, 직업훈련프로그램 특성의 하위요인인 직무관련성은 전이의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β=0.335, p<.001) 가설 H1a는 채택되었다. 즉, 직무관련성이 높을수록 전이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직업훈련프로그램 특성의 하위요인인 교육방법(H1b), 교육환경(H1c), 강사자질(H1d)은 전이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교육 내용의 직무관련성이 학습전이에 있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와 일치하며(Kim & Jin, 2009; Jang & Kim, 2018; Kwon & Yoo, 2022), 교육내용이 직무와 공통요소가 많을수록 교육의 효율성이 높아진다는 결과(Holton, 1996)를 지지한다.
직업훈련프로그램 특성의 하위요인인 직무관련성은 조직적 지원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β=0.345, p<.001) 가설 H2a는 채택되었다. 즉, 직무관련성이 높을수록 조직적 지원이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직업 훈련프로그램 특성의 하위요인인 교육방법은 조직적 지원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β=0.305, p<.01) 가설 H2b는 채택되었다. 즉, 교육방법이 높을수록 조직적 지원이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직업훈련프로그램 특성의 하위요인인 교육환경은 조직적 지원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β=0.192, p<.01) 가설 H2c는 채택되었다. 즉, 교육환경이 높을수록 조직적지원이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직업훈련프로그램 특성의 하위 요인인 강사자질(H2d)은 조직적 지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훈련프로그램 특성의 하위요인인 직무관련성(H3a), 교육방법(H3b), 교육환경(H3c)은 가족적 지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직업훈련프로그램 특성의 하위요인인 강사자질은 가족적 지원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β=0.193, p<.01) 가설 H3d는 채택되었다. 즉, 강사자질이 높을수록 가족적 지원이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직적 지원은 전이의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β=0.190, p<.001) 가설 H4는 채택되었다. 즉, 조직적 지원이 높을수록 전이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조직적 지원이 교육훈련전이에 유의한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난 결과(Park & Lee, 2018)와 조직적 지원은 전이설계와 교육만족도의 매개에 의하여 학습 전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Yun, 2016)와 유사하다. 가족적 지원(H5)은 전이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조직적 지원과 가족적 지원의 매개효과

직업훈련프로그램 특성과 전이의도와의 관계에서 조직적 지원과 가족적 지원의 이중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팬텀 변수를 활용하였으며,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통한 다중매개모형 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직업훈련프로그램 특성의 하위요인인 직무관련성과 전이 의도의 관계에서 조직적 지원의 매개효과는 95% 신뢰구간에서 0.027~0.138의 상한값과 하한값을 보이고 있어 0을 포함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p<0.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어 가설 H6a는 채택되었다. 즉, 직무관련성과 전이의도로 가는 직접적인 경로와 조직적 지원을 거친 간접적인 경로 모두 유의하므로 조직적 지원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직업훈련프로그램 특성의 하위요인인 교육방법과 전이의도의 관계에서 조직적 지원의 매개효과는 95% 신뢰구간에서 0.017~0.194의 상한값과 하한값을 보이고 있어 0을 포함한 것으로 나타나 p<0.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어 가설 H6b는 채택되었다. 즉, 교육방법과 전이의도로 가는 직접적인 경로가 유의하지는 않지만, 조직적 지원을 거친 간접적인 경로는 유의하므로 조직적 지원은 완전매개효과 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직업훈련프로그램 특성의 하위요인인 교육환경과 전이의도의 관계에서 조직적 지원의 매개효과는 95% 신뢰구간에서 0.008~0.101의 상한값과 하한값을 보이고 있어 0을 포함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p<0.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어 가설 H6c는 채택되었다. 즉 교육환경과 전이의도로 하는 직접적인 경로가 유의하지는 않지만, 조직적 지원을 거친 간접적인 경로는 유의하므로 조직적 지원은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직업훈련프로그램 특성의 하위요인인 강사자질과 전이의도 간의 관계에서 조직적 지원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검증되어 가설 H6d는 기각되었다.
직업훈련프로그램 특성의 하위요인인 전이의도의 관계에서 조직적 지원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직무관련성과 전이의도의 관계에서 조직적 지원은 부분매개 효과를 가지며 교육방법, 교육환경과 전이의도의 관계에서 조직적 지원은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비대면 교육훈련품질과 학습전이 간의 영향력은 조직적 지원에 따라 차이가 나타난 결과(Joung & Kim, 2021)와 유사하며, 교육훈련프로그램 특성과 학습전이 간의 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이 조절효과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온 결과(Jeong et al., 2013)를 지지한다.
직업훈련프로그램 특성의 하위요인인 직무관련성, 교육방법, 교육환경, 강사자질과의 관계에서 가족적 지원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검증되어 가설 H7a, H7b, H7c, H7d는 기각되었다.

6. 훈련과정유형의 조절효과

훈련과정유형의 조절효과 검증을 위해 훈련과정유형을 ‘이·미용 집단(n=245)’와 ‘기타 집단(n=502)’의 두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이·미용 집단과 기타 집단이 주요 변수를 동일하게 인식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다중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측정동일성 검정을 실시하였다(Table 6). 비제약모형의 모형적합도는 χ2=5420.415(p<0.001), TLI=0.824, CFI=0.837, RMSEA=0.075로 집단 간 형태동일성은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두 집단은 모형 형태뿐 아니라, 잠재변수와 측정변수 간 요인계수의 측정동일성이 확보되어 다중집단 경로분석을 진행하는 데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비제약모형과 제약모형 1, 제약모형 2는 χ2 검정 결과 유의하게 차이가 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중집단 구조모형의 경로계수를 비교하기 위해 AMOS의 Pairwise Parameter Comparison 결과표에서 집단 간 경로 차이(Critical Ratio for Difference: CR Dif.)를 확인한 결과(Table 7). 이·미용 집단의 직업훈련프로그램 특성은 전이의도(β=0.236, p<0.001), 조직적 지원(β=0.652 p<0.001), 가족적 지원(β=0.522 p<0.001)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적 지원은 전이의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가족적 지원은 전이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타 집단의 직업훈련프로그램 특성은 전이의도(β=0.421, p<0.001), 조직적 지원(β=0.684, p<0.001), 가족적 지원(β=0.421, p<0.001)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적 지원은 전이의도(β=0.214, p<0.001)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가족적 지원은 전이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타 집단의 조직적 지원은 전이의도(β=0.214, p<0.001)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나타났으며, 가족적 지원은 전이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이·미용 집단과 기타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 경로는 직업훈련프로그램 특성에서 가족적 지원(CR Dif.=-2.128)으로 가는 1개의 경로로 확인되어 훈련과정유형이 직업훈련프로그램 특성과 가족적 지원과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라는 가설 H10은 채택되었다. 즉, 직업훈련프로그램에서 가족적 지원의 경로는 이·미용 집단과 기타 집단 모두 유의한 경로로 확인되었고, 이·미용 집단(β=0.502, p<0.001)이 기타 집단(β=0.402, p<0.001)보다 강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Lim et al.(2012)의 연구에서 이·미용 훈련과정 이수 후 가족의 인정을 받게 됨으로써 긍정적인 심리적 지지의 경험을 하게 된다는 결과를 뒷받침하고 있다. 또한, 미용봉사활동은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고(Oh, 2016), 출소 후 가족과의 관계회복에 있어서 이·미용 관련 기술이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기대감이 크게 작용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특히, 가족적 지원은 수형자의 재범률 방지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수형자를 위한 직업훈련의 효과를 가늠해 볼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는 이·미용 관련 기술은 봉사활동을 통해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회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기회를 주고 있다고 해석된다.
반면, 훈련과정유형이 직업훈련프로그램 특성과 전이의도(H8), 직업훈련프로그램 특성과 조직적 지원(H9), 조직적 지원과 전이의도(H11), 가족적 지원과 전이의도(H12)와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라는 가설은 모두 기각되었다.

V. 결 론

본 연구는 교정기관 직업훈련프로그램 특성과 조직적 지원, 가족적 지원, 전이의도와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 조직적 지원과 가족적 지원의 매개효과와 훈련과정유형의 조절 효과를 분석하여 교정기관 직업훈련프로그램의 학습전이를 촉진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훈련프로그램 특성의 하위요인인 직무관련성은 전이의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직업훈련프로그램 특성의 하위요인인 교육방법, 교육환경, 강사자질은 전이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직업훈련의 성과제고를 위해 는 직무관련성이 높은 내용을 가진 프로그램을 설계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교정기관에서 직업훈련 등을 통하여 취득한 자격증이 실제 구직으로 연결되지 못하는 자격증 위주의 프로그램보다는 선택과 집중을 통한 현장전문가 양성을 위한 현장교육지원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출소 후 현업에서 발생하는 교육내용에 대한 요구를 충분히 반영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수형자들의 고령화, 고학력화 경향은 직업훈련에 대한 새로운 관점이 요구되기 때문에 그에 따른 직업훈련프로그램의 개발 및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직업훈련프로그램 특성의 하위요인인 직무관련성, 교육방법, 교육환경은 조직적 지원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직업훈련프로그램 특성의 하위요인인 강사자질은 조직적 지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훈련프로그램 특성의 하위요인인 강사자질은 가족적 지원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직업훈련프로그램 특성의 하위요인인 직무관련성, 교육방법, 교육환경은 가족적 지원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친밀성이 떨어지는 직업상담사와의 면담보다는 직업훈련 과정 중에 발생한 담당 훈련교사와의 친밀한 유대감 형성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넷째, 조직적 지원은 전이의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가족적 지원은 전이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직업훈련프로그램 특성의 하위요인인 직무관련성과 전이의도와의 관계에서 조직적 지원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며 교육방법, 교육환경과 전이의도와의 관계에서 조직적 지원은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직업 훈련프로그램 특성의 하위요인인 강사자질과 전이의도 간의 관계에서 조직적 지원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정기관 직업훈련프로그램의 학습전이를 높이기 위해서는 직업훈련을 통해 습득한 지식과 기술로 전과자 신분으로 취업이 용이한 직종에 대한 개발 및 지원이 국가적인 차원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조직에서는 학습전이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구성원들에게 출소 후 직업 적용에 대한 책임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직업훈련프로그램 특성의 하위요인인 직무관련성, 교육방법, 교육환경, 강사자질과 전이의도와의 관계에서 가족적 지원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가족적 지원에서 전이의도로 가는 경로에서 이·미용 집단은 기타 집단보다 강하게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응과정에서 누구보다도 취약 계층이라 할 수 있는 수형자에게 다른 유형의 직업훈련프로그램보다 이·미용 직업훈련프로그램이 가족적 지지를 강화시키는 요인이 된다는 결과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할 수 있겠다. 가족적 지원은 외부사회와 연결고리가 되고 출소 후 사회 적응을 높여주는 요인으로 비사회적 행동을 억제하는 감독의 기능을 수반하면서 범죄행위를 줄이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수형자는 고향이나 친인척 거주지 등 연고지로 귀향하여 직업을 찾으려는 성향이 강하기 때문에 전이의도에 미치는 가족적 지원의 의의는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에 교정기관의 이·미용 직업훈련프로그램을 질적인 측면에서 개발시키면서 기능대회 출전과 같은 목표지향적인 교육을 통해 적극적 교화수단으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동안 수형자의 사회복귀와 재범률을 줄이는 데 있어서 직업훈련이 강조됨에도 불구하고 접근의 한계성으로 인하여 직업훈련과 관련된 다양한 측면에서의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본 연구는 안정된 사회 복귀와 재범률 방지를 목적으로 운영되는 직업훈련의 특성과 학습전이의 관계를 규명하였으며 이·미용 직업훈련이 기계, 전기, 건축, 요리, 제빵, 자동차, 농기계, 정보통신 등 다른 직업교육과 달리 가족적 지원이 클수록 직업훈련을 통해 얻은 지식과 기술을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적용하려는 의도가 커진다는 사실을 입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다시 말해 교정기관 직업훈련의 특성상 취업이나 기술습득 외에 조기 석방이라는 인센티브를 받기 위해 직업훈련에 참여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교정기관 직업훈련 프로그램의 효과를 위해서는 직업훈련생 선발기준을 강화함과 동시에 사회적 지지와 가족적 지지와 같은 작업환경의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를 가진다. 첫째, 본 연구는 수형자를 대상으로 설정하였으므로 다른 성격의 조직에 대한 연구로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다. 특히, 교정기관 직업훈련은 형법상 제재에 의하여 제약이 있는 가운데 기술을 익혀야 한다는 점에서 다른 일반 직업훈련과 다르다. 둘째 직업훈련 프로그램 종료 후 실제 적용된 결과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후속되어야 할 것이다.

Fig. 1.
Research Model.
JKSC-2024-30-3-648f1.jpg
Fig. 2.
Result of Structural Model.
JKSC-2024-30-3-648f2.jpg
Fig. 3.
Result of Mediating Effect.
JKSC-2024-30-3-648f3.jpg
Fig. 4.
Result of Moderating Effect by Hairdressing Group.
JKSC-2024-30-3-648f4.jpg
Fig. 5.
Result of Moderating Effect by Other Group.
JKSC-2024-30-3-648f5.jpg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N=756)
Variables Categories Frequency (N) Percentage (%)
Gender Male 664 87.8
Female 92 12.2
Age (years) 10~19 43 5.7
20~29 97 12.8
30~39 112 14.8
40~49 189 25.0
50~59 227 30.0
60~69 82 10.8
70 or more 6 0.8
Marital status Single 351 46.4
Married 405 53.6
Educational status Under Elementary school or less 22 2.9
Middle school 85 11.2
High school 365 48.3
University 246 32.5
Graduate school or more 38 5.0
Training program types Hairdressing course 254 33.6
Others 502 66.4
Total 756 100.0
Table 2.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Endogenous variables Exogenous variables B β S.E. C.R. CCR AVE α
Job relevance Job relevance1 0.772 0.575 .046 16.811*** .851 .657 .853
Job relevance2 0.928 .802 .035 26.509***
Job relevance3 0.984 .887 .032 30.877***
Job relevance4 1.000 .853
Education method Education method 1 1.039 .833 .044 23.516*** .942 .843 .888
Education method 2 1.023 .851 .042 24.083***
Education method 3 1.061 .852 .044 24.090***
Education method 4 1.000 .746
Education environment Environment 1 .827 .833 .037 23.516*** .920 .795 .900
Environment 2 1.014 .851 .032 24.083***
Environment 3 1.042 .852 .034 24.090***
Environment 4 1.000 .746
Instructor qualities Instructor qualities 1 .957 .906 .023 40.885*** .960 .888 .949
Instructor qualities 2 .979 .930 .022 44.015***
Instructor qualities 3 1.023 .884 .027 38.226***
Instructor qualities 4 1.000 .914
Organizational support Organizational support 1 .946 .827 .031 30.629*** .932 .775 .924
Organizational support 2 1.009 .860 .030 33.141***
Organizational support 3 1.013 .804 .035 29.056***
Organizational support 4 1.000 .893
Organizational support 5 1.002 .833 .032 31.000***
Family support Family support 1 .973 .810 .034 28.702*** .976 .818 .972
Family support 2 1.038 .853 .033 31.413***
Family support 3 1.057 .903 .030 35.131***
Family support 4 1.000 .855
Family support 5 1.084 .913 .030 35.962***
Family support 6 1.065 .910 .030 35.692***
Family support 7 1.001 .908 .028 35.498***
Family support 8 .961 .885 .029 33.726***
Family support 9 1.030 .903 .029 35.126***
Family support 10 1.007 .866 .031 32.326***
Transfer intention Transfer intention 1 .988 .894 .024 40.467*** .671 .505 .947
Transfer intention 2 1.053 .966 .021 49.593***
Transfer intention 3 1.000 .927
Fit Statistics : CMIN=2158.967, p=.000, TLI=0.930, CFI=0.937, RMSEA=0.066

Note: B, Regression Weights; β, Standardized Regression Weights; SE, Standard Error; CR, Critical Ratio; CCR, Composite Construct Reliability; AVE, Average Variance Extracted; α, Cronbach's Alpha

*** p<.001

Table 3.
Correlations and Discriminant Validity Analysis
No Variables 1 2 3 4 5 6 7 AVE
1 Job relevance (ρ²) 1 .657
2 Education method (ρ²) .710 (.504)** 1 .843
3 Education nvironment (ρ²) .578 (.334)** .749** 1 .795
4 Instructor qualities (ρ²) .529 (.280)** .697** .683** 1 .888
5 Organizational support (ρ²) .603 (.364)** .632** .565** .463** 1 .775
6 Family support (ρ²) .290 (.084)** .374** .358** .385** .298** 1 .818
7 Transfer intention (ρ²) .578 (.334)** .492** .432** .423** .468** .273** 1 .505

Note: AVE, Average Variance Extracted.

** p<.01

Table 4.
Result of Structural Model
Hypothesis Path B β S.E. C.R. Result
H1a Job relevance Transfer intention .357 .335 .077 4.656*** Adopt
H1b Educational method Transfer intention .019 .015 .131 .142 Reject
H1c Environment Transfer intention -.011 -.010 .081 -.140 Reject
H1d Instructor qualities Transfer intention .120 .106 .063 1.909 Reject
H2a Job relevance Organizational support .363 .345 .067 5.419*** Adopt
H2b Educational method Organizational support .380 .305 .116 3.260** Adopt
H2c Environment Organizational support .219 .192 .072 3.025** Adopt
H2d Instructor qualities Organizational support -.100 -.089 .056 -1.785 Reject
H3a Job relevance Family support .020 .018 .083 .239 Reject
H3b Educational method Family support .241 .184 .146 1.653 Reject
H3c Environment Family support .094 .078 .091 1.031 Reject
H3d Instructor qualities Family support .229 .193 .070 3.245** Adopt
H4 Organizational support Transfer intention .193 .190 .050 3.886*** Adopt
H5 Family support Transfer intention .063 .066 .034 1.885 Reject

Note: B, Regression Weights; β, Standardized Regression Weights; SE, Standard Error; CR, Critical Ratio.

*** p<.001,

** p<.01

Table 5.
Result of Mediating Effect
Hypothesis Path B S.E. 95% CI
Result
LLCI ULCI
H6a Job relevance→Organizational support→Transfer intention 0.070 .027 .027 .138 Adopt
H6b Educational method→Organizational support→Transfer intention .073 .041 .017 .194 Adopt
H6c Environment→Organizational support→Transfer intention .042 .023 .008 .101 Adopt
H6d Instructor qualities→Organizational support→Transfer intention -.019 .013 -.056 0.000 Reject
H7a Job relevance→Family support→Transfer intention .001 .008 -.014 0.017 Reject
H7b Educational method→Family support→Transfer intention .015 .015 -.002 0.057 Reject
H7c Environment→Family support→Transfer intention .006 .008 -.003 0.035 Reject
H7d Instructor qualities→Family support→Transfer intention .014 .010 .000 0.042 Reject

Note: B, unstandardized regression coefficient; SE, Standard Error; LLCI, lower level of confidence inteval; ULCI, upper level of confidence interval.

Table 6.
Adequacy Test of Model by Training Program Types
Model χ2 df TLI CFI RMSEA Δχ2 Δdf p
Unconstrained 5420.799 1042 .824 .837 .075
Constrained1) 5438.650 1072 .829 .837 .074 17.851 30 .961
Constrained2) 5433.043 1052 .826 .837 .074 12.244 10 .269
Constrained33) 5526.136 1116 .835 .835 .072 105.337 74 .010
Constrained44) 5674.861 1150 .835 .831 .072 254.062 108 .000

1) Constrained1 : A model in which factor coefficients are constrained to be equal across groups

2) Constrained2 : Model with equal covariance constraints

3) Constrained3 : A model in which factor coefficients and covariances are constrained to be equal across groups

4) Constrained4 : A model in which factor coefficients, covariance, and error variance are constrained to be equal across groups.

Table 7.
Result of Moderating Effect by Training Program Types
Hypothesis Path Hairdressing Group
Other Group
CR Dif Result
B β SE B β SE
H8 Vocational training program characteristics Transfer intention 0.322** 0.236** 0.119 0.527*** 0.421*** 0.074 1.467 Reject
H9 Vocational training program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support 0.878*** 0.652*** 0.086 0.835*** 0.684*** 0.056 -0.42 Reject
H10 Vocational training program characteristics Family support 0.747*** 0.502*** 0.095 0.510*** 0.402*** 0.058 -2.128* Adopt
H11 Organizational support Transfer intention 0.277*** 0.237*** 0.083 0.219*** 0.214*** 0.057 -0.572 Reject
H12 Family support Transfer intention 0.052 0.056 0.062 0.056 0.057 0.040 0.057 Reject

Note: B, unstandardized regression coefficient; β, standardized regression coefficient; SE, Standard Error; CR Dif., Critical Ratio for Difference.

*** p<.001,

** p<.01,

* p<.05

References

Al-Eisa, A. S., Furayyan, M. A., & Alhemoud, A. M. (2009). An Empirical Examination of the Effects of Self-Efficacy, Supervisor Support and Motivation to Learn on Transfer Intention. Management Decision, 47(8), 1221-1244, doi: 10.1108/00251740910984514
crossref
Alliger, G. M., Tannenbaum, S. I., Bennett, W., Traver, H., & Shotland, A. (1997). A Beta Analysis of the Relations among Training Criteria. Personnel Psychology, 50(2), 341-358.
crossref
An, J. Y., & Kim, M. J. (2016). Plan to Improve the Hair-styling Vocational Training System for the Unemployed-Centering on the Training Program in the Hair-styling Field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6(2), 607-614.
Baldwin, T. T., & Ford, J. K. (1988). Transfer of Training: A Review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Personnel Psychology, 41:63-105.
crossref
Blume, B. D., Ford, J. K., Baldwin, T. T., & Huang, J. L. (2010). Transfer of Training: A Meta-Analytic review. Journal of Management, 36(4), 1065-1105.
crossref pdf
Brinkerhoff, R. O., & Montesino, M. U. (1995). Partnership for Training Transfer: Lessons from A Corporate Study.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6(3), 263-274, doi: 10.1002/hrdq.3920060305
Buckley, R., & Caple, J. (1984). The Training Audit. Journal of European Industrial Training, 8(7), 3-8, doi: 10.1108/eb002182
crossref
Chappell, C. A. (2004). Post-secondary Correctional Education and Recidivism: A Meta-analysis of Research Conducted 1990-1999. Journal of Correctional Education, 55(2), 148-169.
Cho, H. W., & Do, G. J. (2020). Study on Experience in Hiring Released Prisoners: Based on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Journal of Welfare for the Correction, (64), 21-53, doi: 10.35422/cwsk.2020.64.21
Choi, Y. J., & Lee, C. (2011). An Exploring of Critical Success Factors Affecting Training Transfer Using the Success Case Method.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30(3), 303-326.
Choi, Y. J., Lee, I. H., & Kim, Y. J. (2014). Effects of Career Maturity of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on Career Decision-Making Styl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12), 7068-7076, doi: 105762/kais.2014.15.12.7068
crossref
Cobb, S. (1976). Social Support as A Medi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38(5), 249-281.
Dubow, E. F., & Ulman, D. G. (1989). Assessing Social Support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Survey of Children’s Social Support.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8:52-64.
crossref
Eisenberger, R., Fasolo, P., & Davis-LaMastro, V. (1990).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Employee Diligence, Commitment and Innova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5:333-348.
crossref
Furman, W., & Buhrmester, D. (1985). Children’s Perceptions of the Personal Relationships in Their Social Networks. Development Psychology, 21(6), 1016-1024, doi: 10.1037/0012-1649.21.6.1016
crossref
Geum, H. J., & Jeong, J. S. (2007).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Hyper-Cognition, Academic Achievement, Transfer of Transfer Climate and Learning, and Original Transfer in Corporate Education Program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3(3), 1-30.
Gong, J. S., & Kwon, J. S. (2019). The Effect of Family Relationship of Ex-Prisoner’s on Vocational Adjustment: The Mediation Effect of Self-Stigma and the Moder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Korean Criminal Psychology Review, 15(3), 11-26, doi: 10.25277/KCPR.2019.15.3.11
crossref
Gordon, H., & Weldon, B. (2003). The Impact of Career and Technical Education Programs on Adult Offenders. The Journal of Correctional Education, 54(4), 200-209.
Holton, E. F. (1996). The Flawed Four-level Evaluation Model.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7(1), 5-21.
crossref
Hong, S. I., Lee, N. G., & Lim, S. Y. (2018). A Study on the Necessity and Improvement of Job Training in Architectural Area in the Ministry of Justice.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8(10), 121-135, doi: 10.35873/ajmahs.2018.8.10.013
Hwang, S., & Park, M. R. (2021).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Students’ Learning Flow and Learning Outcomes of Real-Time Online Learning in A Korean University. Multimedia Assisted Language Learning, 24(2), 130-153, doi: 10.15702/mall.2021.24.2.130
Jang, S. H., & Kim, D. G. (2018).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al Training Programs on Learning Transfer Performance: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8(2), 331-341, doi: 10.35873/ajmahs.2018.8.2.033
Jang, S. Y., & Jin, Y. M. (2016). An Effect of Social Support of Beautician on Exhaus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2(1), 27-38.
Jeong, S. J., & Jeong, J. C. (2014). The Effects of Unemployed Vocational Trainee’s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Training Program Characteristics, Learning Plow, and Career Planning on Employability.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46(4), 61-89, doi: 10.23840/agehrd.2014.46.4.61
Jeong, W. Y., Lee, M. S., Jee, Y. I., & Kim, C. J. (2013). The Effect of Characteristic of Training Program and Trainee on Learning Transfer: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cademic Society of Global Business Administration, 10(3), 235-263.
crossref
Jeong, Y. E. (2006).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Transfer of Corporate Education and Training. The Korean Journal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8(2), 89-110.
Jeong, Y. S. (2013). The Study of Career Identity in Vocational Training Prisoner. Master’s thesis. Kyungnam University, Changwon, 51-52.
Joung, Y. S., & Kim, H. W. (2021). Analysis of the Impact of Untact Education and Training Quality on Learning Transfer and Job Satisfaction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Journal of Decision Science, 29(1), 57-74.
Jung, H. N., & Youn, C. S. (2021). A Comparative Study on Overseas Cases of Vocational Training Education. Journal of Beauty Industry, 15(1), 5-19.
Kim, B. K., You, Y. Y., & Bae, M. G. (2022). Structural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of Trainees in Beauty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23(4), 73-90, doi: 10.18693/jksba.2022.23.4.73
crossref
Kim, J. E., & Jin, S. M. (2009). A Study on the Relatioinship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Characteristics of Training Process,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n Learning Transfer: A Case of Insurance Training Program. Journal of Competency Development & Learning, 4(3), 1-19.
Kim, J. I., & Park, S. J. (2001). The Effect of Work Environment on the Transfer of Education and Training. Korean Journal of Management, 9(1), 23-42.
Kim, J. S. (2013). An Empirical Study on the Education & Training Characteristics on the Job Transfers: Focusing on Job Education of KCG. Korean Maritime Police Science, 3(2), 37-99.
Kim, J. S., Kim, H. Y., & Park, E. J. (2010). A Study on the Beauty Education Course for Students in Vocational Schools. Journal of Beauty Art Management, 4(3), 61-70.
Kim, K. H., & Choi, E. H. (2011). A Study on the Survey Analysis of Vocational Training for Inmates in Prison. Correction Review, 53:195-219.
Kim, M. J., & Lee, H. J. (2018). A Study on the Introduction Performance of NCS Education and Training in the Hair Beauty Fiel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4(6), 1139-1147.
Kim, T. S., & Lee, S. C. (2019). The Effect of Cooking Vocational Training Education Factors on Self-Efficacy, Life Satisfaction and Sociality in Prison. Journal of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31(6), 367-389, doi: 10.31336/jtlr.2019.6.31.6.367
crossref
Kwon, M. H., & Yoo, Y. Y. (2022). The Effects of Educational Contents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n Learning Transfer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argeting Franchise Companies.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20(5), 29-38, doi: 10.22678/JIC.2022.20.5.029
crossref
Lee, C., & Sohn, K. T. (2022).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Flow, Subjective Learning Performance, Self-efficacy to Transfer, and Transfer Intention Perceived by Participants of Synchronous E-learning Program.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2(13), 133-145, doi: 10.22251/jlcci.2022.22.13.133
crossref
Lee, D. H. (1995). Learning and Transfer Effects of Educational Training in Organization. Doctoral dissert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61-89.
Lee, E. A., Kim, K. H., Hwang, I. C., & Kwon, T. I. (2020). The Effects of Career Preparedness Behavior on Interest in Employment and Satisfaction with Training Programs in Female Students from Vocational School Seeking Cosmetology Jobs. The International Society of Health and Beauty, 14(1), 79-91, doi: 10.35131/ishb.2020.14.16
crossref
Lee, H. O., & Joung, D. S. (2012). The Impact of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and Training and the Supervisor’s Leadership Type on the Transfer of Education and Training.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19(2), 167-186.
Lee, M. Y., Won, J. J., & Choi, K. H. (2009). The Use and Activating Scheme of Beauty Welfare Volunteer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5(4), 1499-1507.
Lee, S. C. (2019). The Effects of Cooking Vocational Training on Self-efficacy and Self-esteem: Focused on Prison Cooking Vocational Training Prisoner. Journal of Hotel & Resort, 18(2), 351-370.
Liebermann, S., & Hoffmann, S. (2008). The Impact of Practical Relevance on Training Transfer: Evidence from A Service Quality Training Program for German Bank Clerks. International Journal of Training and Development, 12(2), 74-86.
crossref
Lim, B. K. (2010). A Study on Prisoner’s Rehabilitation Experience After His Release: With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Master’s thesis, Yeungnam University, Gyeongsan, 57-58.
Lim, H. C., & Park, K. G. (1999). Effects of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Components before Education and Training: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upervisor and Peer Support, Journal of Organization and Management, 23(2), 107-138.
Lim, S. Y., Shin, H. S., & Kwon, H. A. (2013). A Narrative Study on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on in Vocational Training for Unemployed By Individual Training Account System.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31(4), 43-72.
Magjuka, R. J., & Baldwin, T. T. (1991). Team-Based Employee Involvement Programs: Effects of Design and Administration. Personnel Psychology, 44(4), 793-812, (1991). doi: 10.1111/j.1744-6570. 1991.tb00699.x
crossref
May, G. L., & Kahnweiler, W. M. (2000). The Effect of Mastery Practice Design on Learning and Transfer in Behavior Modeling Training. Personnel Psychology, 53(2), 353-373.
crossref
Mears, D. P., Cochran, J. C., Siennick, S. E., & William, D. B. (2012). Prison Visitation and Recidivism. Justice Quarterly, 29(6), 888-918, doi: 10.1080/07418825.2011.583932
crossref
Mills, A., & Codd, H. (2008). Prisoner’s Families and Offender Management: Mobilizing Social Capital. The Journal of Community and Criminal Justice, 55(1), 9-24, doi: 10.1177/026455050708567
crossref pdf
Min, S. H. (2018). A Prison Inmates’ Family Relationships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Control Theory: Family Visit, Contact by Mail with Family Members, and Prisoners’ Assessment of Family Relationships after His/Her Incarceration. Corrections Review, 28(2), 131-157, doi: 10.14819/krscs.2018.28.2.5.131
Noe, R. A., & Schimitt, N. (1986). The Influence of Trainee Attitudes on Training Effectiveness: Test of a Model. Personnel Psychology, 39(3), 497-523.
crossref
Oh, S. H. (2000).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and Improvement Plan of Vocational Training for Inmates.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06.
Oh, S. H., Choi, W., & Jeong, M. H. (2017). Effect of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elf-Efficacy at Culinary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 on Training Education Performance. Journal of Hotel & Resort, 16(4), 207-222.
Oh, Y. K. (2016). Relationship Between Volunteer Work and Selfesteem and Job-esteem in Undergraduate Beauty Major.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17(2), 93-105.
Palmer, T. M., & Varner, I. I. (2007). A Comparison of the International Diversity on Top Management Teams of Multinational Firms Based in the United States, Europe, and Asia: Status and implications. Singapore Management Review, 29(1), 1-30.
Park, E. H. (2020). A Critical Review of Vocational Training for Inmates. Korean Journal of Correctional Discourse, 14(2), 111-135, doi: 10.46626/affc.2020.14.2.5
crossref
Park, J. S., & Kim, J. M. (2016). Predictors of the Transfer Intention of the Participants in A Corporate Leadership Training Program.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18(4), 49-79.
crossref
Park, K. W., & Gong, J. S. (2019). Effects of Vocational Training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on the Job Adaptation: Professional Self-efficacy, Social Support. Mediating Effect of Selfstigmatization. Rehabilitation Review, 5(1), 3-37.
Park, Y. H., & Lee, J. U. (2018). The Mediated Moderation Effect of Career Planning and Transfer Motiv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s Learning Support and Training Transfer.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20(1), 39-69, doi: 10.18211/kjhrdq.2018.20.1.002
crossref
Rouiller, J. Z., & Goldstein, I. L. (1993).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Transfer Climate and Positive Transfer of Training.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4(4), 377-390, doi: 10.1002/hrdq.3920040408
crossref
Sammarco, A. (2001). Perceived Social Support, Uncertainty and Quality of Life of Younger Beast Cancer Survivors. Cancer Nursing, 24(3), 212-219.
crossref pmid
Shin, Y. H. (2008). A Study on Preventing Recidivism After Release from Prison: With A Special Emphasis on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Korean Criminological Review, 73:191-213.
Song, J. H. (2016). The Effect of Learner Sil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Competency Development Program for Civil Services and Transfer Intention: Focused on the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e Competency Development Program in Public Organizations, Doctoral dissertation, Dankook University, Seoul, 123-126.
Taylor, P. J., Russ-Eft, D. F., & Chan, D. W. L. (2005). A Meta-Analytic Review of Behavior Modeling Training.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0(4), 692-709, doi: 10.1037/0021-9010.90.4.692
crossref pmid
Woodward, T. G. (2008). Using Protective Factors to Change the Future of Corrections. Corrections Today, 70(1), 76-77.
Yang, H. K., & Suh, B. R. (2014). A Study on the Social Adaptation of Inmates after Discharge from Prison. Correction Review, 63:115-144, doi: 10.14819/krscs.2014.63.5.115
crossref
Yoo, J. Y., & Lee, S. H. (2020). Historical Trends and Development Plans of Inmate’s Vocational Training. Journal of Welfare for the Correction, (64), 55-83, doi: 10.35422/cwsk.2020.64.55
crossref
You, S. K. (2020). A Study of the Impact of Job Education Training Programs for the Unemployed Vocational Trainees on Training Satisfaction and Employability.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97.
Yun, H. S. (2016).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 Between Learning Transfer factors in Vocational Training for Prisoners. Correction Review, 26(3), 183-209, doi: 10.14819/krscs.2016.26.3.8.183
crossref
Yun, H. S., & Joo, M. H. (2016). Analysis for Learning Transfer Related Factors in Vocational Training Program for Prison Inmates.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48(4), 59-79, doi: 10.23840/agehrd.2016.48.4.59
crossref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10-2825-6735   Fex: +82-62-950-3797    E-mail: beauty2007@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