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린뷰티 화장품 소비자의 환경적인식이 소비가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nvironmental Awareness of Consumers of Clean Beauty Cosmetics on Consumption Value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Cosmetol. 2024;30(4):825-835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4 August 31
doi : https://doi.org/10.52660/JKSC.2024.30.4.825
1An out Professor, Department of Scented Skin Beauty, Cheongam College
2Professor, Department of Beauty Science, Kwangju Woman University
김태희1, 최미옥2,
1청암대학교 향장피부미용학과, 외래교수
2광주여자대학교 미용과학과, 교수
*이 논문은 2024년도 광주여자대학교 연구년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Corresponding author: Mee-Ok Choi Tel : +82-62-950-3792 E-mail : cmo0323@kwu.ac.kr
Received 2024 July 3; Revised 2024 July 18; Accepted 2024 July 25.

Trans Abstract

COVID-19 has caused many changes in our daily lives. First, it examine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Second, we examine the factors and reliability of clean beauty cosmetics consumers’ environmental perceptions and consumption value. Third, it examines the difference between environmental perceptions and consumption values of clean beauty cosmetics consumers. Fourth, it examines the correlation between environmental perceptions and consumption values of clean beauty cosmetics consumers. Fifth, we examine the effect of environmental perceptions of clean beauty cosmetics consumers on consumption valu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38.0% of the 20s, 34.3% of the 30s, 27.8% of the 40s, 83.8% of the academic background, 8.3% of the college graduates (including vocational colleges), 8.3% of the graduate school graduates, and 7.9% of the high school graduates. As for the occupation, office/management jobs accounted for the most, followed by 7.9% of professional jobs, 7.4% of other jobs, 6.9% of housewives, and 6.5% of students. Marriage status was 34.7% for “divorce marriage”, 65.3% for “unmarried”, 53.7% for “less than 3 million won”, 13.9% for “less than 300-4 million won”, 11.1% for “less than 1 million won”, 5.6% for “less than 5 million won”, 5.6% for “less than 5 million won”, and 5.1% for “less than 4 million won”. Second, in terms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environmental perception and consumption value of clean beauty cosmetics consumers, the average overall environmental perception of clean beauty cosmetics consumers was 3.51, followed by “waste perception” (M=3.78) and “environmental perception” (M=3.37). The average overall consumption value was 3.60, followed by “economic value” (M=3.99), “functional value” (M=3.97), “emotional value” (M=3.62), “social value” (M=3.43), and “passive value” (M=3.07). Third, in the correlation between environmental awareness and consumption value of clean beauty cosmetics consumers, the consumption value of clean beauty cosmetics consumers was positively correlated in the order of environmental awareness garbage (r=.401, p<.001) and environmental awareness (r=.363, p<.001). In detail, functional value, economic value, social value, and emotional value of consumption valu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environmental perception, rare value was positively correlated only with environmental perception, and the correlation with garbage was not significant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5%. Fourth,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the effect of environmental awareness of clean beauty cosmetics consumers on consumption value, it can be seen that the regression model is explained with 18.2% of the total variation with =0.182. In order to diagnose the multicollinearity between variables, the variable inflation factor (VIF) and tolerance were examined, and in general, if the coefficient of variance expansion is 10 or more or the allowable value is less than 0.1, it is judged that there is a problem of multicollinearity. In this analysis, the VIF values of the variables were all 10 or less, and the allowable value was greater than 0.1, so the multicollinearity problem did not occu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variance for the model, the estimated model was found to be significant (F=23.762, p<.001), environmental awarenes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onsumption value in the order of environmental awareness garbage (=.286, p<.001), and environmental awareness (=.187, p<.05).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higher the environmental awareness garbage or environmental awareness, the higher the consumption value.

I. 서 론

COVID-19로 인하여 우리의 일상생활에는 많은 변화가 나타났다. 외출 시 마스크 착용은 필수가 되었고 회사에서는 재택근무를 권장하는 분위기로 바뀌었고 학교에서는 온라인 수업으로 진행하게 되면서 집에서 있는 시간이 늘어나게 되었다(Kwak, 2021).

COVID-19에 대한 공포심과 불안감이 외부 활동이 많이 줄어든 경향이 있으며 정부로부터 사회적 거리두기를 조정하면서 배달이나 포장을 권고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대한민국은 플라스틱 사용률 1위라는 타이틀을 얻게 되었다(Jeon, 2022).

플라스틱 사용률을 줄이기 위한 행동으로 예전부터 환경 운동가 또는 환경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람들은 환경을 보호하기 위하여 개인 컵을 챙기고 다니거나 플라스틱 용기, 플라스틱 재질로 되어 있는 상품을 사용하지 않은 운동인 5R 운동을 진행하기도 했었다. 최근에는 SNS의 환경을 생각하는 연예인들의 노출 빈도가 증가하면서 이러한 영향으로 소비자들의 의식 수준 또한 높아지기 시작했다(Kim & Lim, 2021).

모든 제품과 포장 및 사용하는 자재를 태우지 않고 재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제로 웨이스트(Zero waste), 동물을 착취해서 생산되는 모든 제품과 서비스를 거부해야한다는 신념이 바탕인 비거니즘(Veganism), 그린 컨슈머(Green consumer)의 축약 합성어인 그린슈머(Greensumer)은 친환경 제품이나 유기농 제품을 선호하는 소비자를 칭하는 신조어가 환경을 생각하는 소비자들이 많아졌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명품 브랜드에서도 환경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뷰티 산업도 예외는 아니다(Lee, 2021). 소비자의 의식이 높아진 가운데 환경을 고려하여 유기농 제품 및 천연 제품 화장품을 사용하거나 클린뷰티(Clean Beauty)가 뷰티 키워드의 트렌드로 주목되고 있다(Park, 2023). 클린뷰티란 화장품 제조 시 비건 화장품과 동일한 방법으로 동물 실험을 거치지 않는다. 클린뷰티는 더 나아가 건강하고 환경에 유해 한 성분을 배제하고 안전하며 자연 친화적인 성분을 사용하는 것을 일컫는다. 뿐 만 아니라 화장품을 담는 용기와 포장재로 만들어진 화장품으로 원료 수급부터 화장품의 완제품 생산에 이르기까지 모든 공정에 있어 안전하고 친환경적이며 윤리적으로 생산되는 제품을 뜻한다(Park, 2021).

뷰티 산업에서의 클린뷰티의 영향력은 화장품 성분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져 환경에 대한 가치를 추구하여 구매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나는 추세이다(Park, 2024).

환경을 인식하고 있는 소비자는 환경에 대한 가치나 태도가 긍정적으로 나타날 것이다. 따라서 소비가치와 소비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Choi, 2024).

현재까지 선행연구들은 주로 유기농, 천연, 비건 화장품에 주목하여 브랜드 애착, 소비자 유형, 구매실태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나 클린뷰티 화장품의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구매행동 등을 중심으로 파악하여 소비자 관점에서의 심층적인 연구는 다소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클린뷰티 화장품 소비자의 환경적인식이 소비가치와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소비자의 환경인식 수준에 관한 연구가 국내 클린뷰티 화장품 시장의 성장과 발전을 위한 상품기획 및 홍보 마케팅, 유통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I. 이론적 배경

1. 클린뷰티

클린뷰티란 인체의 유해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화학 성분과 동물성 원료를 배제하고 동물 실험 반대, 플라스틱 제외, 재활용 패키징 사용, 인체에 안전한 성분, 유기농 원료, 천연 원료 등의 요건을 충족하고 환경과 윤리를 고려한 화장품의 개념으로 화장품 시장에서 점점 확대 되어지고 있다(Kang, 2022).

과거에는 클린뷰티에 대하여 단순명료하게 플라스틱을 사용하지 않고 동물 실험을 반대하는 정도로 설명하였으나 최근에는 화장품 전성분, 환경, 소비, 윤리적 제조 및 유통으로 의미가 확대되었다(Lee, 2024).

전 세계적으로 클린뷰티 화장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기업들도 다양한 제품을 출시하며 소비자들에게 합리적인 가격으로 제공하고 있다. 피부에 무해하고 건강한 성분에 지구와 공존하기 위한 이미지를 앞세워서 소비 트렌드에 변화를 가져오기 시작했다. 또한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면서 소비자들은 환경을 보호하고 본인이 사용하는 제품에 화장품 성분, 화장품 생산방식, 화장품 포장재 등의 환경을 고려하는 등 클린뷰티에 대한 소비 관심이 증대되었다(Son, 2021).

클린뷰티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Park(2017)은 클린뷰티 화장품의 특징을 아토피, 여드름 등과 같이 문제성 피부일 경우 덜 자극적이고 화학 성분이 들어가지 않아 인체에 해를 주지 않는 특성으로 개념화하였다.

Park & Kim(2020)은 클린뷰티 화장품이 단순히 피부에 자극이 적은 제품이 아닌 환경적인 측면에서도 효능을 높일 수 있다고 정의하였다.

또한 Seong(2021)은 클린뷰티 화장품이 일반 화장품에 비하여 관심도가 높을수록 클린뷰티가 가지가 있는 환경적 의미에도 영향을 미치며, 소비자가 클린뷰티 화장품을 구매 시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느끼고 클린뷰티 화장품의 성분과 효능을 중요하고 여긴다고 나타났다.

클린뷰티 화장품의 인식이 높아질수록 환경적 인식이 높아지고 소비가치 또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

2. 환경적 인식

인식이란 개인의 행동과 생각 또는 느낌으로부터 일깨우는 것이 개념이다. 또한 가치 현상과 인간의 사상 및 제도에 비슷한 심리적인 대상에 대한 방향의 행동으로 이끌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Choi, 2010).

1980년대부터 환경적 인식에 대한 친환경 소비, 지속 가능한 성장 등 자연과 인간의 조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자연환경 보전에 대한 인식도 증가되어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Han, 2000).

환경적 인식은 다수의 연구에 의하여 언급되었는데, 환경에 대한 관심, 환경에 대한 지식, 경험적 가치, 정서적 차원에서 자신이 환경에 관하여 얼마나 관여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Yoon & Jeong, 1994).

환경적 인식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Jeon(2020)은 환경적 인식을 환경에 대한 인식이라고 정의하면서, 환경을 이해하고 사회에서 개인과 집단으로 하여 전체 환경과 이에 관련된 인식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Lee(2008)는 환경적 인식은 환경문제에 대한 사실, 개념과 법칙 등 일반적인 환경에 대한 지식을 수집 및 해석하여 환경 현상의 과학적으로 탐구하고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함에 이해 능력으로 정의하였다.

Park(2022)은 환경적 인식이 높은 소비자 일수록 환경을 생각하는 제품을 구매하고, 사용 후 처분할 때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의식적이고 일관성이 있는 관심을 가지고, 자신의 인식, 태도, 가치 및 행동이 어우러진다고 보고되었다. 이와같이 환경적 인식은 우리 삶에 영향을 미치는 경제적 요소, 문화적 요소, 생명 환경적 요소, 정치적 요소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영향으로 소비자의 환경적 인식이 높을수록 클린뷰티 화장품 구매행동이 높은 영향을 미치며, 클린뷰티 화장품의 충성도도 높아진다는 Park(2019) 연구에서 주장하였다.

3. 소비가치

가치란 개인의 행동을 조절하여 이에 영향을 주는 사고로 개인이나 집단 또는 사회가 옳거나 바람직하며 중요하다고 여기는 신념이다(Kang & Cho).

소비가치는 개인의 가치 만족을 최고의 덕목이라고 여기는 소비 실천이라고 할 수 있다. 소비자의 정신이나 마음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많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특정 행동의 내적 기준이 되며, 이러한 행동을 정당화시키는 이유가 되기도 한다(Lee, 2020).

소비가치는 개인의 행동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써 소비자의 행동이나 태도를 이해하기 위함의 중요한 수단이다(Tak, 2023).

소비가치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Lim(2010)에 의하면 가치란 각자 행동 전반에 영향을 주며 즉각적인 목표를 넘어 보다 더 궁긍적인 존재의 최종 상태에 이르도록 판단을 이끄는 지속적인 신념으로 바람직한 소비의 목표로 정의한 것을 통하여 소비가치의 측정이 개인의 행동에 대한 이해로 연결할 수 있다.

Kang(2005)는 소비가치가 소비하는 과정 안에서 큰 영향력을 가지고 소비행동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필수적인 개념이라고 정의하였다. 소비가치는 상대적인 것으로 동일한 제품에 대해서도 추구하는 가치가 달라지고 각자의 소비자가 다른 행동을 보이며 다른 평가를 내릴 수 있다(Hwang & Jeong, 2007).

소비가치 분야를 다양하게 연구한데 기여한 Sheth et al. (1991)의 소비가치는 사람이 가진 가치 중 소비자에 가장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인인 기능적 가치, 경제적 가치, 사회적 가치, 진귀적 가치, 감정적 가치로 구분 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Kim(2020)은 소비가치의 감정적 가치가 높을수록 소비자가 선택하는 기준, 구매 후 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으며, 감정적 가치가 충족되어야 지속적인 구매행동이 나타난다고 하였다. 또한 Bae(2022)는 클린뷰티 화장품을 구매하고자 할 때 기능적 가치가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피부에 직접 닿는 것이 화장품의 특성으로 기능적 가치가 환경인식이 높은 소비자, 낮은 소비자 모두에게 유의하다고 주장하였다.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 문제

본 연구에서는 클린뷰티 화장품 소비자의 환경적 인식이 소비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하여 알아본다.

둘째, 클린뷰티 화장품 소비자의 환경적 인식과 소비가치의 요인분석 및 신뢰성을 알아본다.

셋째, 클린뷰티 화장품 소비자의 환경적 인식과 소비가치의 차이를 알아본다.

넷째, 클린뷰티 화장품 소비자의 환경적 인식과 소비가치의 상관관계를 알아본다.

다섯째, 클린뷰티 화장품 소비자의 환경적 인식이 소비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2. 연구 대상자 및 자료수집

연구 대상자는 전국에 있는 클린뷰티 화장품을 사용하는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구성하였다.

조사 기간은 2024년 5월 01일부터 2024년 06월 02일까지 약 1달간 이루어졌으며, 카카오톡, 네이버 오피스, 구글 설문지를 통해 무기명으로 실시하였고, 전자설문 응답 자료는 엑셀 프로그램으로 자동코딩한 것으로 연구 자료로 사용하였다.

조사 방법은 클린뷰티 화장품을 사용하는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URL을 이용한 온라인 설문으로 진행하였으며, 연구 목적을 설명하고 설문 조사에 동의한 250명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나 부적합한 설문지를 제외한 216부가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3.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설문으로 진행되었으며, 설문지의 구성은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질문의 내용과 구성, 형식 등의 오류를 수정·보완한 후 최종 확정하였다. 환경적 인식에 관한 문항은 Lee(2008), Jeon(2020), Park(2022)의 연구를 참고로 12문항, 소비가치에 관련 문항은 Kang(2005), Lim(2010), Kim(2020), Bae(2022)의 연구를 참고로 20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모두 5점 Likert 척도로 측정하였다. 일반적 특성 문항 5개는 본 연구자가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구성하였다.

4. 자료 분석 및 방법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5%에서 검증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2. 환경적인식, 소비가치에 대한 문항들의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뢰도는 Cronbach's a의 계수로 판단하였다.

3. 환경적인식, 소비가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4. 환경적인식과 소비가치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5. 환경적인식이 소비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는 <Table 1>과 같다.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vey Subject

연령은 ‘20대’가 38.0%, ‘30대’가 34.3%, ‘40대’가 27.8% 순이었고, 학력은 ‘대학교 졸업(전문대 포함)’이 83.8%, ‘대학원 졸업’이 8.3%, ‘고등학교 졸업’이 7.9%이었다. 직업은 ‘사무/관리직’이 65.7%로 가장 많았으며, ‘전문직’은 7.9%, ‘기타’는 7.4%, ‘주부’는 6.9%, ‘학생’은 6.5% 순이었다. 결혼상태는 ‘기혼’이 34.7%, ‘미혼’이 65.3%이었고, 월소득은 ‘200-300만원 미만’이 53.7%, ‘300-400만원 미만’이 13.9%, ‘100-200만원 미만’이 11.1%, ‘100만원 미만’이 10.6%, ‘500만원 이상’이 5.6%, ‘400-500만원 미만’이 5.1% 순으로 조사되었다.

2. 측정도구의 요인분석 및 신뢰성 검증

1) 환경적 인식에 대한 요인분석

환경적 인식의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Factor Analysis of Environmental Awareness

환경적 인식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위해서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방법과 직교회전방법인 VARIMAX를 사용하여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KMO 값이 0.888로 높으므로 변수 쌍들의 상관관계가 다른 변수에 의해 잘 설명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요인분석의 적합성 여부를 나타내는 Bartlett의 구형성 검정치(Test of Sphericity)는 근사 카이제곱값이 1061.882로 유의수준이 .000으로 나타나 요인분석 사용이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요인을 추출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각 요인이 기존변수의 정보를 어느 정도 설명하는지를 나타내는 고유값(eigen-value)을 이용하여, 고유값이 1.0 이상인 요인에 한하며 요인적재량이 0.5 이상인 항목들을 기준으로 설정하여 요인수를 2개로 결정하였다. 그 결과 요인 1은 고유값이 3.878, 설명비가 32.31%로 나타나 환경인지 요인을, 요인 2는 고유값이 2.774, 설명비가 23.11%로 나타나 쓰레기인지 요인을 설명해 주고 있다.

2) 소비 가치에 대한 요인분석

소비가치의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Factor Analysis of Consumption Value

소비가치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위해서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방법과 직교회전방법인 VARIMAX를 사용하여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KMO 값이 0.795로 적정하므로 변수 쌍들의 상관관계가 다른 변수에 의해 잘 설명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요인분석의 적합성 여부를 나타내는 Bartlett의 구형성 검정치(Test of Sphericity)는 근사 카이제곱값이 1705.995로 유의수준이 .000으로 나타나 요인분석 사용이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요인을 추출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각 요인이 기존변수의 정보를 어느 정도 설명하는지를 나타내는 고유값(eigen-value)을 이용하여, 고유값이 1.0 이상인 요인에 한하며 요인적재량이 0.5 이상인 항목들을 기준으로 설정하여 요인수를 5개로 결정하였다. 그 결과 요인 1은 고유값이 3.165, 설명비가 15.82%로 나타나 진귀적 가치 요인을, 요인 2는 고유값이 2.537, 설명비가 12.68%로 나타나 기능적 가치 요인을 설명해 주고 있으며, 요인 3은 고유값이 2.413, 설명비가 12.06%로 나타나 감정적 가치 요인을, 요인 4는 고유값이 2.269, 설명비가 11.34%로 나타나 사회적 가치 요인을, 요인 5는 고유값이 2.255, 설명비가 11.27%로 나타나 경제적 가치 요인을 설명해 주고 있다.

3) 환경적 인식과 소비가치의 신뢰도 검증

신뢰도란 동일한 대상, 특성 또는 구성을 비교가능하고 독자적인 측정으로 나타난 결과들이 어느 정도 유사한 가를 나타내는 것으로 의존가능성, 안전성, 일관성, 예측가능성, 정확성 등의 동의어로 사용된다. 즉, 신뢰성이란 동일한 개념에 대하여 측정을 되풀이했을 때 동일한 측정값을 얻을 가능성을 말한다.

신뢰성의 측정방법은 동일한 측정도구를 동일한 대상에 시간을 달리하여 적용결과를 비교하는 검증-재검증, 항목분할 측정치의 상관도, 내적 일관성 등이 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인 신뢰성은 Cronbach's a계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 <Table 4>와 같다.

Verifying the Reliability of Environmental Awareness and Consumption Value

3. 클린뷰티 화장품 소비자의 환경적 인식과 소비가치의 차이를 알아본다.

클린뷰티 화장품 소비자의 환경적 인식과 소비가치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Table 5>와 같다.

Differences in Environmental Perception and Consumption Value

클린뷰티 화장품 소비자의 환경적 인식 전체의 평균은 3.51로, ‘쓰레기인지’(M=3.78), ‘환경인지’(M=3.37) 순으로 평균이 높았다. 소비가치 전체의 평균은 3.60으로, ‘경제적 가치’(M=3.99), ‘기능적 가치’(M=3.97), ‘감정적 가치’(M=3.62), ‘사회적 가치’(M=3.43), ‘진귀적 가치’(M=3.07) 순으로 평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클린뷰티 화장품 소비자가 지구 환경을 보존하기 위하여 스스로 쓰레기를 인지하고 더 나아가 화장품 구매 후 폐기되는 쓰레기까지 생각하여 환경을 위해 노력을 기울이는 것을 알 수 있다(Kim, 2018). 또한 클린뷰티 화장품이 경제적이고 기능적인 가치를 하기에 더 많은 사람들이 사용한다는 Choi(2024)의 연구 결과가 본 연구 결과를 지지해준다.

4. 클린뷰티 화장품 소비자의 환경적 인식과 소비가치의 상관관계를 알아본다.

클린뷰티 화장품 소비자의 환경적 인식과 소비가치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는 <Table 6>과 같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rrelation between Environmental Perceptions and Consumption Values of Clean Beauty Cosmetics Consumers

클린뷰티 화장품 소비자의 소비가치는 환경적 인식의 쓰레기인지(r=.401, p<.001), 환경인지(r=.363, p<.001) 순으로 정의 상관이 높았다. 세부적으로 소비가치의 기능적 가치, 경제적 가치, 사회적 가치, 감정적 가치는 환경적 인식과 정의 상관이 있었고, 진귀적 가치는 환경인지와만 유의미한 정의 상관이 있었으며, 쓰레기인지와의 상관은 유의수준 5%에서 유의미하지 않았다.

Jang(2024)의 연구에 의하면 클린뷰티 화장품을 사용하는 소비자들은 화장품의 사용 뿐 만 아니라 사용 후 폐기 처리까지도 관심이 많다는 연구 결과가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하다. 또한 소비 시 화장품의 기능도 중요하지만 합리적인 가격에도 소비자가 구매행동으로 이어진다(Kim, 2017).

5. 클린뷰티 화장품 소비자의 환경적 인식이 소비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클린뷰티 화장품 소비자의 환경적 인식이 소비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는 <Table 7>과 같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Environmental Perceptions of Clean Beauty Cosmetics Consumers on Consumption Value

클린뷰티 화장품 소비자의 환경적 인식이 소비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R2=0.182로 전체 변동의 18.2%로 회귀모형을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변수간 다중공선성을 진단하기 위하여 분산팽창계수(VIF : variable inflation factor)와 허용치(tolerance)를 살펴보았으며, 일반적으로 분산팽창계수가 10이상이거나 허용치가 0.1보다 작으면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게 된다. 본 분석에서 변수들의 VIF값은 모두 10 이하였고, 허용치는 0.1보다 크게 나타나 다중공선성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았다. 모형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추정된 모형은 유의한 것을 알 수 있으며(F=23.762, p<.001), 환경적 인식의 쓰레기인지(β=.286, p<.001), 환경인지(R2=.187, p<.05) 순으로 소비가치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환경적 인식의 쓰레기인지와 환경인지가 높을수록 소비가치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환경적 인식이 기능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R2=0.160으로 전체 변동의 16.0%로 회귀모형을 설명하고 있으며, 모형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추정된 모형은 유의하였다(F=20.292, p<.001). 환경적 인식의 쓰레기인지(β=.360, p<.001)만 기능적 가치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이는 환경적 인식의 쓰레기인지가 높을수록 기능적 가치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환경적 인식이 경제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R2=0.158로 전체 변동의 15.8%로 회귀모형을 설명하고 있으며, 모형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추정된 모형은 유의하였다(F=19.967, p<.001). 환경적 인식의 쓰레기인지(β=.473, p<.001)만 경제적 가치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이는 환경적 인식의 쓰레기인지가 높을수록 경제적 가치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환경적 인식이 사회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R2=0.059로 전체 변동의 5.9%로 회귀모형을 설명하고 있으며, 모형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추정된 모형은 유의하였다(F=6.671, p<.01). 환경적 인식의 환경인지, 쓰레기인지는 유의수준 5%에서 사회적 가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적 인식이 진귀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R2=0.066으로 전체 변동의 6.6%로 회귀모형을 설명하고 있으며, 모형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추정된 모형은 유의하였다(F=7.578, p<.01). 환경적인식의 환경인지(β=.309, p<.001)만 진귀적 가치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이는 환경적 인식의 환경인지가 높을수록 진귀적 가치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환경적 인식이 감정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R2=0.184로 전체 변동의 18.4%로 회귀모형을 설명하고 있으며, 모형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추정된 모형은 유의하였다(F=24.048, p<.001). 환경적 인식의 쓰레기인지(β=.283, p<.001), 환경인지(β=.192, p<.05) 순으로 감정적 가치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이는 환경적 인식의 쓰레기인지와 환경인지가 높을수록 감정적 가치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이는 전체적으로 환경 보호 및 지속가능성을 두고 사회의 이익에 높은 가치를 지닐수 있도록 클린뷰티 화장품을 반복적으로 구매하고 사용한다는 가능성을 볼 수 있다. Kim(2012)에 연구에 의하면 클린뷰티 화장품 소비 경향은 점차 높아지는 추세이며 주변 지인 또는 아직 클린뷰티를 사용하지 않은 소비자들에게도 긍정적인 입소문을 내고 있다는 연구 결과와 Kim(2011)에 연구에서는 클린뷰티 화장품을 활용한 마케팅은 소비자에게 기능적, 경제적, 감정적, 진귀적, 사회적으로 소비를 다양하게 하여 환경적 인식을 높여주는 영향력을 나타냈다.

V. 결 론

본 연구는 클린뷰티 화장품 사용하는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환경적 인식이 소비가치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파악하고, 각 변인 간의 영향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은 ‘20대’가 38.0%, ‘30대’가 34.3%, ‘40대’가 27.8% 순이었고, 학력은 ‘대학교 졸업(전문대 포함)’이 83.8%, ‘대학원 졸업’이 8.3%, ‘고등학교 졸업’이 7.9%이었다. 직업은 ‘사무/관리직’이 65.7%로 가장 많았으며, ‘전문직’은 7.9%, ‘기타’는 7.4%, ‘주부’는 6.9%, ‘학생’은 6.5% 순이었다. 결혼상태는 ‘기혼’이 34.7%, ‘미혼’이 65.3%이었고, 월소득은 ‘200-300만원 미만’이 53.7%, ‘300-400만원 미만’이 13.9%, ‘100-200만원 미만’이 11.1%, ‘100만원 미만’이 10.6%, ‘500만원 이상’이 5.6%, ‘400-500만원 미만’이 5.1% 순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클린뷰티 화장품 소비자의 환경적 인식과 소비가치의 차이에서 클린뷰티 화장품 소비자의 환경적 인식 전체의 평균은 3.51로, ‘쓰레기인지’(M=3.78), ‘환경인지’(M=3.37) 순으로 평균이 높았다. 소비가치 전체의 평균은 3.60으로, ‘경제적 가치’(M=3.99), ‘기능적 가치’(M=3.97), ‘감정적 가치’(M=3.62), ‘사회적 가치’(M=3.43), ‘진귀적 가치’(M=3.07) 순으로 평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클린뷰티 화장품 소비자의 환경적 인식과 소비가치의 상관관계에서 클린뷰티 화장품 소비자의 소비가치는 환경적 인식의 쓰레기인지(r=.401, p<.001), 환경인지(r=.363, p<.001) 순으로 정의 상관이 높았다. 세부적으로 소비가치의 기능적 가치, 경제적 가치, 사회적 가치, 감정적 가치는 환경적 인식과 정의 상관이 있었고, 진귀적 가치는 환경인지와만 유의미한 정의 상관이 있었으며, 쓰레기인지와의 상관은 유의수준 5%에서 유의미하지 않았다.

넷째, 클린뷰티 화장품 소비자의 환경적 인식이 소비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R2=0.182로 전체 변동의 18.2%로 회귀모형을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변수간 다중공선성을 진단하기 위하여 분산팽창계수(VIF : variable inflation factor)와 허용치(tolerance)를 살펴보았으며, 일반적으로 분산팽창계수가 10이상이거나 허용치가 0.1보다 작으면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게 된다. 본 분석에서 변수들의 VIF값은 모두 10 이하였고, 허용치는 0.1보다 크게 나타나 다중공선성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았다. 모형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추정된 모형은 유의한 것을 알 수 있으며(F=23.762, p<.001), 환경적 인식의 쓰레기인지(β=.286, p<.001), 환경인지(β=.187, p<.05) 순으로 소비가치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환경적 인식의 쓰레기인지와 환경인지가 높을수록 소비가치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환경적 인식이 기능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R2=0.160으로 전체 변동의 16.0%로 회귀모형을 설명하고 있으며, 모형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추정된 모형은 유의하였다(F=20.292, p<.001). 환경적 인식의 쓰레기인지(β=.360, p<.001)만 기능적 가치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이는 환경적 인식의 쓰레기인지가 높을수록 기능적 가치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환경적 인식이 경제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R2=0.158로 전체 변동의 15.8%로 회귀모형을 설명하고 있으며, 모형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추정된 모형은 유의하였다(F=19.967, p<.001). 환경적 인식의 쓰레기인지(β=.473, p<.001)만 경제적 가치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이는 환경적 인식의 쓰레기인지가 높을수록 경제적 가치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환경적 인식이 사회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R2=0.059로 전체 변동의 5.9%로 회귀모형을 설명하고 있으며, 모형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추정된 모형은 유의하였다(F=6.671, p<.01). 환경적 인식의 환경인지, 쓰레기인지는 유의수준 5%에서 사회적 가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적 인식이 진귀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R2=0.066으로 전체 변동의 6.6%로 회귀모형을 설명하고 있으며, 모형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추정된 모형은 유의하였다(F=7.578, p<.01). 환경적인식의 환경인지(β=.309, p<.001)만 진귀적 가치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이는 환경적 인식의 환경인지가 높을수록 진귀적 가치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환경적 인식이 감정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R2=0.184로 전체 변동의 18.4%로 회귀모형을 설명하고 있으며, 모형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추정된 모형은 유의하였다(F=24.048, p<.001). 환경적 인식의 쓰레기인지(β=.283, p<.001), 환경인지(β=.192, p<.05) 순으로 감정적 가치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이는 환경적 인식의 쓰레기인지와 환경인지가 높을수록 감정적 가치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클린뷰티 화장품을 사용하는 소비자들은 COVID-19로 인하여 환경보호에 대한 의식 수준이 높아졌으며 개인의 소비가치도 변화되고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연구의 한계점은 조사 대상의 선정 및 지역의 한계성 때문에 본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향후 연구에는 여러 가지 변수와 관련된 다양한 요인을 활용한 양적 연구 뿐 만 아니라 질적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향후, 다양한 세대, 다양한 국가, 지역의 환경적 인식과 소비가치가 높아 질 것으로 보여지므로, 기업들은 해당 상품의 마케팅에 있어 뷰티 화장품 사업분야의 발전과 이 분야 연구에 따른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References

1. Bae, S. J. (2022).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Awareness, Consumption Values, and Selection Criteria on Eco-friendly Cosmetic Purchase Behavior.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34-40.
2. Choi, K. H. (2010). An Analysis of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Consumption Behavior of Green Consume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Lifestyle. Master’s thesis, Ewha Women’s University, Seoul, 4-7.
3. Choi, M. Y. (2024). The Effects of Living Environment and Clean Beauty Cosmetics Perception on Consumer Values and Purchasing Behavior. Master’s thesis, Hannam University, Daejeon, 1-3.
4. Han S. Y.. 2000;Measuring the Environmental Attitudes for National Park Visito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89(5):598–608.
5. Hwang M. W., Jeong H. B.. 2007;Study on the Emotional Consumption Value - Focused on the Relationship among Consumer Innovativeness, New Product Adoption and Emotional Consumption Value’s Compon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dvertising Education (77):145–172.
6. Jang, M. H. (2024). A Study on Women’s Perception and Purchasing Behavior of Clean Beauty Cosmetic Products.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96-100.
7. Jeon J. A.. 2022;A Study on the Dietary Lifestyle of Delivery App Users Due to COVID-19. Journal of Hotel & Resort 21(3):301–316.
8. Jeon, K. H. (2020). The Study on the Analysis of Status on Environmental Awareness by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Activ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9-10.
9. Kang H. K., Cho H. K.. 2021;The Effect of Consumption Value on Eco Friendly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1(2):562–571. doi: 10.5392/JKCA.2021.21.02.562.
10. Kang, M. H. (2005). A Study A Study on the Consumer Consumer Consumer Value for New Product Product Development of Development of Well-Being Well-Being Well-Being Tren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6-21.
11. Kang, S. H. (2022). The Mediating Effects of Safety and Product Trust in Relationships between Consumption Values and Purchase Behavior Concerning Clean Beauty Cosmetics for Men.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7-9.
12. Kim A. J., Lim S. R.. 2021;Investigation of plastic waste discharge after COVID-19 outbreak and plastic waste management measure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Waste Management 2021(-):722–722.
13. Kim, C. K. (2011). Effects of Eco-Friendly Products with Green Marketing on Customers Attitude –A FocusonCosmeticBrands-,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57-58.
14. Kim, H. J. (2018). The Effect of Consumer Value on Intention to Visit in Eco-friendly Restaurants : Focused on Belief, Personal Norm, Attitude and Perceived Consumer Effectiveness. doctoral dissertation, KyungHee University, Seoul. 66-136.
15. Kim, H. J. (2020). The Effect of Consumption Value of Eco-Friendly Cosmetics on Norm in Female College Students. Master’s thesis, Seokyeong University, Seoul, 14-15.
16. Kim, J. H. (2012). A Suggestion for Domestic Eco-Friendly Cosmetics Trend through Analysing Consumption Trend of International Eco-Friendly Cosmetics.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57-58.
17. Kim, K. M. (2017). A Study on the intent to buy Vegan Cosmetics according to the value of consumption.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103-108.
18. Kwak, H. S. (2021). COVID-19 The Effects of Social Distance on Life Stress: Focused on Difference between Social anxiety and Self-Rationalization level.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Gyeongsangbuk-do, 1-2.
19. Lim, E. M. (2010). A Study on the Effect of Expert Model Advertising on Advertising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Focusing on Print Advertising of Functional Cosmetics.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53-66.
20. Lee, J. (2020). The Influence of Hallyu Fandom on the Consumption Value and Intention of Korean K-POP Culture Products by Chinese Consumers. Master’s thesis, Deajeon University, Deajeon, 11-13.
21. Lee, K. M. (2008).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Consciousnes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6-12.
22. Lee, S. H. (2024). The Impact of Generation MZ’s Level of Environmental Awareness on the Behavioral Intention to Repurchase Clean Beauty Cosmetics : with a Focus on the Awareness of Clean Beauty Cosmetics and the level of Consumer Happiness. Master’s thesis, Seokyeong University, Seoul, 13-14.
23. Lee Y. H.. 2021;Study of Integrated Brand Communication in Clean Beauty Cosmetic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2(4):161–169. doi: 10.15207/JKCS.2021.12.4.161.
24. Park, H. A. (2023).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Values and Engagement, Consumer Behavior and Consumer Norms of Conscious Beauty Consumers. Doctoral dissertation, Seokyeong University, Seoul, 7.
25. Park, H. J. (2019). Effect of Environmental Value on the Perception of Sustainability and the Environmental Friendly Cosmetics Consumption behavior. Master’s thesis, Seokyeong University, Seoul, 19-21.
26. Park, H. W. (2022).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Perception, Eco-Friendly Efforts, and Intention to Pay Eco-Friendly Charges of Customers Using Delivery and Take-out. Master’s thesis, Sejong University, Seoul, 12-15.
27. Park K. H.. 2020;Cosmetic Purchase Behavior of Chinese Females in Their 20s(II) -Focused on Comparing with Korean Femal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6(1):60–68.
28. Park, M. A. (2021). Purchasing intention and satisfaction of clean cosmetics according to skin interest : Focused on Social Network Service (SNS) activists. Master’s thesis, Namseoul University, Chungcheongnam-do, 7.
29. Park S. H., Kim J. D.. 2020;A Study on Recognition, Current Use and Satisfaction with Natural Cosmetic Produ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and Cosmeology 10(2):157–172.
30. Park Y. J.. 2024;Consumer perception of Clean Cosmetics Brands according to Clean Beauty components. Journal of the Korean Human Image Design 6(1):17–33. doi: 10.23082/hid.2024.6.1.002.
31. Son, E. H. (2021). A Study on the Consumer’s Perception and Purchasing Behavior of Environmentally Friendly Container Cosmetic.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25-27.
32. Sung, Y. L. (2022). Sustainability of Consumption According to Consumers’ Environmental Values and Consumption Values of Vegan Cosmetics Focused on MZ generation.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14-15.
33. Sheth J. N., Newman B. I., Gross B. L.. 1991;What We Buy What We Buy: Theory of Consumption Valu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22(2):159–170.
34. Tak, W. J. (2023). A Study on the Acceptance Intention of Smart Watch by Generation Z : A Theory of Consumption Value (TCV) Perspective. Master’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22-26.
35. Yoon J., Jeong S. B.. 1994;A Study on the Promotion of Environmental Protection Activities for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14(1):215–218.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vey Subject

Sortation Frequency (N) Percentage (%)
Age 20’s 82 38.0
30’s 74 34.3
40’s 60 27.8
Last educational background High school graduation 17 7.9
University graduation (including junior college) 181 83.8
Graduate school graduation 18 8.3
Job Student 14 6.5
An office/management position 142 65.7
Housewife 15 6.9
A professional job 17 7.9
A service job 11 5.1
Self-employment 1 .5
Etc 16 7.4
Marital status Married 75 34.7
Single 141 65.3
Averge monthly income less than 1 million won 23 10.6
Less than 1 to 2 million won 24 11.1
Less than 2 to 3 million won 116 53.7
Less than 3 to 4 million won 30 13.9
Less than 4 to 5 million won 11 5.1
More than 5 million won 12 5.6
Total 216 100.0

Table 2.

Factor Analysis of Environmental Awareness

Sortation Main cause
1 2
Environmental awareness I often talk about environmental protection with people around me. .790 .083
Read environment-related content with interest in books and magazines. .737 .103
Check eco-friendly products or environmental mark products when purchasing goods. .732 .203
I am very interested in environmental activities. .714 .259
When purchasing goods, consider the environment first. .640 .415
It also encourages people around you to separate recycling products well. .608 .366
Even if daily life is a little uncomfortable, it protects nature. .599 .423
Watch environment-related content on SNS, YouTube, TV, or short-form with interest. .522 .370
Trash recognize Consider the environment when throwing things away. .147 .802
When purchasing a product, do not purchase overpackaged items as much as possible. .102 .780
I think of the trash that is generated when I buy things. .376 .635
Try not to pollute the environment. .287 .608
Eigenvalue 3.878 2.774
Dispersion rate 32.314 23.117
Accumulated variance rate 32.314 55.431
KMO = .888, Bartlett's test Result χ²=1061.882 (df=66, p=.000)

Table 3.

Factor Analysis of Consumption Value

Sortation Main cause
1 2 3 4 5
A rare value It amplifies curiosity when purchasing clean beauty cosmetics. .788 .118 .132 .106 .079
It is good to have new features when purchasing clean beauty cosmetics. .744 .204 .265 .033 -.062
I want to show it off to the people around me when I buy clean beauty cosmetics. .713 -.150 -.128 .331 .136
When purchasing clean beauty cosmetics, the product image gives me something new. .680 .042 .276 .143 -.240
When purchasing clean beauty cosmetics, it is considered to have a different speciality from ordinary products. .652 .043 .357 .053 -.006
Functional value When purchasing clean beauty cosmetics, I value whether it is suitable and practical for me. -.117 .760 .299 .097 .013
I think it's important whether it's worth the price when purchasing clean beauty cosmetics. .103 .744 .028 .146 .083
When purchasing clean beauty cosmetics, the efficacy of cosmetics i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086 .699 .021 .062 .190
I think it will improve skin health when purchasing clean beauty cosmetics. .292 .578 .251 -.149 .147
Emotional value Clean beauty cosmetics can feel satisfaction. .178 .116 .771 -.002 .054
Clean beauty cosmetics are products that suit my taste. .112 .084 .664 .168 .175
Clean beauty products give a healthy and clean feel. .176 .253 .648 .108 .114
Clean beauty cosmetics give you a refreshing feeling. .404 .033 .591 .075 .153
Social values I want to be recognized as a person who is economically capable when purchasing clean beauty cosmetics. .131 .092 .052 .889 .009
When purchasing clean beauty cosmetics, I want to get good reviews from people around me. .128 .108 .160 .859 -.029
When purchasing clean beauty cosmetics, I want to be seen as a decent person to the people around me. .426 .078 .142 .601 .203
Economic value When purchasing clean beauty cosmetics, I want to buy products that have been discounted first. .096 -.084 .182 -.089 .807
When purchasing clean beauty cosmetics, I pay a lot of attention to the price. In order to purchase clean beauty cosmetics at a more reasonable price, -.014 .204 .102 -.024 .789
information is collected and compared online and offline before purchasing products. -.039 .448 .010 .237 .621
When purchasing clean beauty cosmetics, we carefully examine them to purchase products that are inexpensive and effective. -.121 .374 .235 .261 .577
Eigenvalue 3.165 2.537 2.413 2.269 2.255
Dispersion rate 15.827 12.683 12.064 11.347 11.277
Accumulated variance rate 15.827 28.510 40.574 51.922 63.198
KMO = .795, Bartlett's test Result χ²=1705.995 (df=190, p=.000)

Table 4.

Verifying the Reliability of Environmental Awareness and Consumption Value

Sortation Number of questions Cronbach's α
Environmental awareness Environmental awareness 8 .870
Trash recognize 4 .746
Environmental awareness 12 .887
Consumption value Functional value 4 .722
Economic value 4 .761
Social values 3 .805
A rare value 5 .816
Emotional value 4 .729
Consumption value 20 .852

Table 5.

Differences in Environmental Perception and Consumption Value

Sortation Average Standard deviation
Environmental awareness Environmental awareness 3.37 .58
Trash recognize 3.78 .52
Environmental awareness 3.51 .51
Consumption value Functional value 3.97 .44
Economic value 3.99 .59
Social values 3.43 .74
A rare value 3.07 .63
Emotional value 3.62 .46
Consumption value 3.60 .38

Table 6.

This Study Examines the Correlation between Environmental Perceptions and Consumption Values of Clean Beauty Cosmetics Consumers

Sortation Environmental awareness
Consumption value
Environmental awareness Trash recognize Total Functional value Economic value Social values A rare value Emotional value Total
Recognize Environmental awareness 1
Trash recognize .617*** 1
Environmental awareness .963*** .806*** 1
Consumption value Functional value .283*** .397*** .348*** 1
Economic value .139* .379*** .233** .435*** 1
Social values .227** .208** .242*** .239*** .218** 1
A rare value .244*** .085 .213** .219** .061 .434*** 1
Emotional value .367*** .402*** .413*** .406*** .343*** .327*** .501*** 1
Consumption value .363*** .401*** .410*** .622*** .582*** .673*** .729*** .742*** 1
*

p<.05,

**

p<.01,

***

p<.001

Table 7.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Environmental Perceptions of Clean Beauty Cosmetics Consumers on Consumption Value

Dependent variable An independent variable B β t p R2 adjR2 F
Consumption value (Constant) 2.395 13.520*** .000 .182 .175 23.762***
Environmental awareness .123 .187 2.370* .019
Trash recognize .208 .286 3.629*** .000
Consumption value Functional value (Constant) 2.680 13.002*** .000 .160 .152 20.292***
Environmental awareness .046 .061 .760 .448
Trash recognize .301 .360 4.507*** .000
Economic value (Constant) 2.491 8.895*** .000 .158 .150 19.967***
Environmental awareness -.158 -.154 -1.923 .056
Trash recognize .537 .473 5.923*** .000
Social values (Constant) 2.148 5.793*** .000 .059 .050 6.671**
Environmental awareness .206 .160 1.896 .059
Trash recognize .154 .109 1.285 .200
A rare value (Constant) 2.412 7.705*** .000 .066 .058 7.578**
Environmental awareness .337 .309 3.674*** .000
Trash recognize -.127 -.106 -1.255 .211
Emotional value (Constant) 2.178 10.305*** .000 .184 .177 24.048***
Environmental awareness .151 .192 2.444* .015
Trash recognize .246 .283 3.596***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