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Cosmetol > Volume 30(4); 2024 > Article
퍼스널 컬러 진단 인식이 헤어와 네일아트 행동변화에 미치는 영향

Abstract

In modern society, appearance and image are crucial elements symbolizing personal competitiveness. As a result, many individuals invest significant time and money in appearance management to create an ideal image. Personal color plays a substantial role in image managemen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personal color recognition on changes in hair and nail art behavior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of 179 adult men and women aged between 20 and 50. The survey included questions related to personal color recognition and items measuring changes in hair and nail art behavior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1.0,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found that personal color recognition significantly influences changes in hair and nail art behaviors. Particularly, color preference recognition had a more significant impact on hair and nail satisfaction than direct recognition. Hair behavior changes were significantly predicted by both color preference and direct recognition, whereas nail art behavior changes were mainly influenced by color preference recogni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personal color recognition enables individuals to make more satisfying and reliable choices in their beauty behaviors. It also highlights the potential for the beauty industry to enhance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by providing personalized beauty services that reflect individual color preferences through personal color diagnosis.

I. 서 론

현대 사회에서 외모 이미지는 개인의 경쟁력을 상징하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빠른 시간 안에 자신의 이미지를 향상시키고 좋은 인상을 만들기 위해 퍼스널 컬러를 활용하는 방법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미지는 우리 생활의 모든 분야에서도 필요한 요소가 되었고 새로운 문화의 원천으로 생각하고 있어 현대 사회를 이미지 커뮤니케이션 시대라고도 한다. 개인의 이미지는 이미지 커뮤니케이션 시대에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Lee, 2014). 따라서 사람들은 금전적인 투자와 시간을 쓰며 호감의 첫인상과 완만한 대인관계를 위해 이상적인 이미지를 만든다. 개인의 삶의 질을 중요시하는 현대인의 요구에 따라 스타일과 색채가 대두되고 있는데 그 중 퍼스널 컬러는 본인의 고유한 이미지와 아름다움을 찾기 위한 필수 요소이다(Yu, 2023). 퍼스널 컬러 진단은 이러한 흐름 속에서 개인의 외모를 최적화하고 자기표현의 중요한 도구로 자신의 고유한 색채를 발견하고 자신만의 개성을 표현하는 효과적인 수단으로 인식되면서 색상 선택은 개인의 사회적, 전문적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다. 개인의 자아존중감과 자신감을 증진 시키는 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ho, 2023). 퍼스널 컬러 진단은 단순히 선호하거나 유행하는 색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신체 색상과 이미지에 맞는 색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진단하고 적용하는 과정이다. 이는 자신만의 이미지와 스타일을 향상 시키는 중요한 요소로 컬러에 대한 체계적인 적용은 이미지 연출뿐만 아니라 뷰티산업에서의 활용도가 매우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Yu, 2023). 또한 자신의 신체 색인 퍼스널 컬러를 인식하고 이에 어울리는 색상을 파악하는 과정은 개인의 미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자신에게 어울리는 색을 기반으로 한 패션, 헤어, 메이크업, 네일 등의 컬러 선택은 소비자의 구매 기준과 구매 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이로 인해 퍼스널 컬러를 활용한 연구가 패션과 뷰티 분야에서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Hong, 2013). 미용산업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퍼스널 컬러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학문적으로도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Seo & Kim 2024). 퍼스널 컬러에 관련된 선행연구로는 퍼스널 컬러에 대한 인식(Choi, 2024), 피부 변화(Lee & Suk 2018), 메이크업 행동 차이(Lee, 2021), 색조 화장품 구매의도(Choi & Bae 2024) 등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퍼스널 컬러 헤어와 네일 아트 행동 변화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퍼스널 컬러 진단 인식이 헤어와 네일 아트 행동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퍼스널 컬러 진단이 개인의 뷰티 행동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는지 그리고 이러한 변화가 얼마나 일관되게 나타나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퍼스널 컬러를 개개인에게 올바르게 적용하여 개인의 이미지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퍼스널 컬러의 색상 특성을 잘 파악하여 헤어 및 네일 아트에 조화롭게 활용한다면 개인에게 어울리는 이미지 연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뷰티산업에서 소비자 맞춤형 퍼스널 컬러에 맞는 색상 개발이 좀 더 체계적이고 전문적으로 성장하는 데 있어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II. 이론적 배경

1. 퍼스널 컬러 진단 인식

퍼스널 컬러는 개인의 유전적으로 타고난 신체 색과 조화를 이루는 색을 의미한다. 자신에게 어울리는 색은 신체 색과의 조화를 통해 이미지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주지만 어울리지 않는 색은 신체 색과 부조화를 이루어 이미지 향상에 도움을 주지 못한다(Kim, 2005). 퍼스널 컬러 진단은 개인의 피부 톤, 눈동자 색상, 머리카락 색상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가장 잘 어울리는 색상을 도출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색상은 개인의 외모를 돋보이게 하고 자아존중감과 자신감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퍼스널 컬러 진단은 헤어 컬러와 네일 아트 색상 선택에 큰 영향을 미쳐 개인의 스타일링 행동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Cho, 2023). 또한, 개인의 외모를 더욱 돋보이게 하고 자신만의 개성을 표현하는 효과적인 수단으로 인식되면서 이러한 색상 선택은 개인의 사회적, 전문적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다(Im et al., 2017). 퍼스널 컬러 진단 시스템은 개인의 피부색을 따뜻한 톤(Warm tone)과 차가운 톤(Cool tone)으로 나누며 이를 통해 봄, 여름, 가을, 겨울의 네 가지 계절 타입으로 분류할 수 있다(Go, 2010). 퍼스널 컬러 진단의 중요성은 개인의 외모를 최적화하는 데 있는데 적절한 색상 선택은 피부 톤을 밝게 보이게 하고 얼굴의 윤곽을 돋보이게 하며 전반적인 이미지 개선에 기여한다. 이는 특히 패션, 뷰티, 마케팅 등 다양한 산업에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Byun & Lee, 2019). 예를 들어 패션 산업에서는 퍼스널 컬러를 고려하여 제품을 디자인하고 마케팅에서는 고객의 퍼스널 컬러를 기반으로 맞춤형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2. 헤어 행동 변화

퍼스널 컬러 인식과 만족도가 헤어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 퍼스널 컬러 진단에 대한 관심과 경험이 많고 전체적인 조화를 중시할수록 퍼스널 컬러가 헤어 이미지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밝혔다(Lee, 2018). 헤어 컬러에 개인 맞춤형 색을 적용하면 좋은 인상을 형성하고 외모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아름다운 외모를 완성하는 많은 요소 중 하나가 바로 헤어스타일이다. 이는 신체의 일부에 불과 하지만 타인에게 주는 인상을 형성할 때 전체적인 이미지를 크게 좌우할 수 있다(Yu, 2023). 또 자신에게 어울리는 헤어 컬러를 선택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기준은 피부 색과의 조화라고 하였다(Kim, 2011). 헤어스타일과 컬러링은 현대 사회에서 개인의 이미지를 표현하는 중요한 방법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행동 변화는 개인의 자아 표현 욕구와 더불어 미적 감각을 반영하는데 다양한 요인이 발생한다. 헤어스타일은 단순한 미용을 넘어서 개인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헤어스타일은 개인의 성격, 직업, 사회적 위치 등을 반영할 수 있으며 이는 다른 사람들에게 첫인상을 주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새로운 헤어스타일을 통해 사람들은 자신감을 높이고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더 긍정적인 반응을 얻을 수 있다(Im et al., 2017).
헤어 컬러의 선택이 단순한 염색의 차원을 넘어서 현대에 이르러 하나의 패션 트렌드 개념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강조하였다(Song, 2008). 헤어 컬러는 헤어스타일의 한 부분으로 개인의 이미지를 강화하거나 변화를 줄 수 있는 강력한 도구이다. 적절한 헤어 컬러는 피부 톤과 조화를 이루어 얼굴을 밝게 보이게 하며 개인의 특징을 돋보이게 할 수 있다. 또한, 개인의 외모뿐만 아니라 심리적 상태에도 영향을 미쳐 자신감을 높이고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퍼스널 컬러 진단은 헤어 컬러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퍼스널 컬러를 알게 되면 개인은 헤어 컬러를 결정할 때 자신감 있는 결정과 확신으로 색상을 선택 할 수 있으며, 이는 헤어 컬러링 행동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3. 네일 아트 행동 변화

네일 아트는 손톱을 아름답게 꾸미는 예술로서 개인의 스타일과 개성을 표현하는 중요한 방법 중 하나이다. 단순히 미용적인 측면을 넘어 개인의 정체성, 창의성, 패션 감각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No, 2017). 현대 사회에서는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개성과 이미지를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에 이미지메이킹을 위해 패션과 뷰티뿐만 아니라 네일 분야에서도 자신만의 컬러를 찾는 퍼스널 컬러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Kang, 2024). 퍼스널 컬러는 네일 살롱에서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키는 중요한 디자인 요소로 작용하며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미용 분야에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네일 아트는 현대 미용 산업에서 개인의 미적 표현과 자아 정체성을 드러내는 중요한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그 행동 변화는 미적 감각, 패션 트렌드, 사회적 영향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Lee & Suk 2018). 패션 분야에서 컬러 선택이 매우 중요한 만큼 네일 아트에서의 컬러 선택 역시 패션 분야 못지않게 중요하다(Lee, 2017). 현대 사회에서는 네일 아트가 중요한 패션 요소로 자리 잡으며 다양한 디자인과 색상을 통해 더 나은 개인의 스타일로 표현되게 할 수 있다. 네일 아트 행동 변화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첫째, 패션 트렌드는 네일 아트 행동에 큰 영향을 미친다. 특정 시즌이나 행사에 맞춰 유행하는 네일 디자인과 색상이 변화하며 이러한 트렌드에 따라 네일 아트의 스타일도 변화하게 된다. 둘째, 사회적 영향 또한 중요한 요인이다. 주변 사람들의 네일 아트 스타일이나 유명 인플루언서의 네일 디자인은 개인의 네일 아트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No, 2017). 본인에게 어울리는 네일 컬러를 잘 알지 못해 자신과 어울리지 않는 컬러를 선택하게 되면 손 이미지가 예쁘게 보이기 보다는 오히려 역효과가 나타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각 개인의 손 이미지에 적절한 네일 컬러를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 연구의 필요성을 절감하게 되었다(Lee, 2017). 퍼스널 컬러 진단을 통해 자신에게 가장 잘 어울리는 색상을 알게 되면 개인은 네일 아트 색상을 선택할 때 더 자신감 있게 결정을 내릴 수 있으며 이는 네일 아트 행동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Cho, 2023). 퍼스널 컬러 진단은 네일 아트 색상 선택에 있어 중요한 기준이 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개인의 스타일을 더욱 돋보이게 할 수 있다. Yu & Kim(2020)의 연구에 따르면 퍼스널 컬러 진단을 받은 사람들은 자신에게 어울리는 네일 색상을 선택함으로써 높은 만족도를 느끼며 이는 네일 아트 행동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퍼스널 컬러 진단이 네일 아트 색상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개인이 자신에게 가장 잘 어울리는 네일 색상을 선택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는 개인의 삶의 질 향상뿐만 아니라 미용 산업의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퍼스널 컬러 진단이 헤어와 네일 아트 행동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퍼스널 컬러 진단의 중요성과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 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는 퍼스널 컬러 진단 인식이 헤어와 네일 아트 행동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20대에서 50대 이상의 성인으로 2024년 2월 15일부터 3월 31일까지 연구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고 참여에 동의한 총 179명이 설문에 응답하였다.

2. 연구 방법

조사 대상자에게 사용된 설문 문항은 총 37문항이며 일반적 특성에 관한 문항은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재구성된 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퍼스널 컬러 진단 인식에 관한 문항은 색채 선호 인식 6문항, 직접적 인식 4문항, 헤어 행동 변화에 관한 문항은 헤어 만족도 7문항, 헤어 관심도 3문항, 네일 아트 행동 변화에 관한 문항은 네일 아트 만족도 7문항, 네일 아트 관심도 4문항으로 Cho(2023)의 연구를 참고로 재구성하였다.

3. 자료 분석 및 방법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5%에서 검증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자료는 다음과 같은 통계처리 과정을 거쳤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 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둘째, 퍼스널 컬러 진단 인식과 헤어, 네일 아트 행동 변화에 대한 문항들의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뢰도는 Cronbach's a의 계수로 판단하였다.
셋째, 퍼스널 컬러 진단 인식과 헤어, 네일 아트 행동 변화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퍼스널 컬러 진단 인식과 헤어, 네일 아트 행동 변화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퍼스널 컬러 진단 인식이 헤어, 네일 아트 행동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는 Table 1과 같다. 성별은 ‘여성’이 87.2%, ‘남성’이 12.8%이었고, 연령은 ‘20대’가 47.5%, ‘40대’와 ‘50대 이상’이 각각 21.8%, ‘30대’ 가 8.9% 순이었다. 결혼 상태는 ‘미혼’이 54.7%, ‘기혼’이 40.2%, ‘기타’가 5.0%이었으며, 최종학력은 ‘학사 재학 및 졸업’이 44.7%, ‘고등학교 졸업’과 ‘석사/박사 재학 및 졸업’이 각각 25.7%이었다. 직업은 ‘학생’이 43.0%, ‘자영업’이 21.8%, ‘기타’가 11.7%, ‘판매/서비스직’과 ‘사무직/기술직’이 각각 8.4%, ‘교육 분야’가 6.7% 순이었고, 월 소득은 ‘100만 원 미만’이 41.9%, ‘500만 원 이상’이 22.3%, ‘300-400만원 미만’이 10.6%, ‘200-300만 원 미만’이 10.1% 순으로 나타났다.

2.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1) 퍼스널 컬러 인식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퍼스널 컬러 진단 인식에 대해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타당도 검증을 위해서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방법과 직교 회전 방법인 VARIMAX를 사용하여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KMO 값이 0.920으로 매우 높으므로 변수 쌍들의 상관관계가 다른 변수에 의해 잘 설명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요인분석의 적합성 여부를 나타내는 Bartlett의 구형성 검정치(Test of Sphericity)는 근사 카이 제곱값이 1156.113으로 유의수준이 .000으로 나타나 요인분석 사용이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요인을 추출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각 요인이 기존 변수의 정보를 어느 정도 설명하는지를 나타내는 고유값(eigen-value)을 이용하여 고유값이 1.0 이상인 요인에 한하며 요인 적재량이 0.6 이상인 항목들을 기준으로 설정하여 요인 수를 2개로 결정하였다. 그 결과 요인 1은 고유값이 4.379, 설명비가 43.79%로 나타나 색채 선호 인식 요인을 요인 2는 고유값이 2.541, 설명비가 25.41%로 나타나 직접적 인식 요인을 설명해 주고 있으며, 신뢰도 또한 .919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2) 헤어 행동 변화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헤어 행동 변화에 대해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타당도 검증을 위해서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방법과 직교 회전 방법인 VARIMAX를 사용하여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KMO 값이 0.909로 매우 높으므로 변수 쌍들의 상관관계가 다른 변수에 의해 잘 설명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요인분석의 적합성 여부를 나타내는 Bartlett의 구형성 검정치(Test of Sphericity)는 근사 카이 제곱값이 1113.313으로 유의수준이 .000으로 나타나 요인분석 사용이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요인을 추출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각 요인이 기존 변수의 정보를 어느 정도 설명하는지를 나타내는 고유값(eigen-value)을 이용하여, 고유값이 1.0 이상인 요인에 한하며 요인 적재량이 0.6 이상인 항목들을 기준으로 설정하여 요인 수를 2개로 결정하였다. 그 결과 요인 1은 고유값이 4.216, 설명비가 42.15%로 나타나 헤어 만족도 요인을 요인 2는 고유값이 2.749, 설명비가 27.48%로 나타나 헤어 관심도 요인을 설명해 주고 있다. 신뢰도 또한 .917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3) 네일 아트 행동 변화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네일 아트 행동 변화에 대해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타당도 검증을 위해서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방법과 직교 회전 방법인 VARIMAX를 사용하여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KMO 값이 0.901로 매우 높으므로 변수 쌍들의 상관관계가 다른 변수에 의해 잘 설명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요인분석의 적합성 여부를 나타내는 Bartlett의 구형성 검정치(Test of Sphericity)는 근사 카이 제곱 값이 1821.290으로 유의수준이 .000으로 나타나 요인분석 사용이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요인을 추출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각 요인이 기존 변수의 정보를 어느 정도 설명하는지를 나타내는 고유값(eigen-value)을 이용하여, 고유값이 1.0 이상인 요인에 한하며 요인 적재량이 0.6 이상인 항목들을 기준으로 설정하여 요인 수를 2개로 결정하였다. 그 결과 요인 1은 고유값이 4.856, 설명비가 44.14%로 나타나 네일아트 만족도 요인을, 요인 2는 고유값이 3.671, 설명비가 33.37%로 나타나 네일아트 관심도 요인을 설명해 주고 있다. 신뢰도 또한 .944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3. 퍼스널 컬러 진단 인식과 헤어, 네일 아트 행동 변화

퍼스널 컬러 진단 인식과 헤어, 네일 아트 행동 변화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기술 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퍼스널 컬러 진단 인식 전체의 평균은 4.10으로 ‘색채선호인식’(M=4.23), ‘직접적 인식’(M=3.90) 순으로 인식이 높았다. 헤어 행동 변화 전체의 평균은 4.03으로 ‘헤어 만족도’(M=4.04), ‘헤어 관심도’(M=4.02) 순으로 평균이 높았고, 네일 아트 행동 변화 전체의 평균은 3.74로 ‘네일 아트 만족도’(M=3.84), ‘네일 아트 관심도’(M=3.57) 순으로 평균이 높았다.

4. 상관관계 분석

퍼스널 컬러 진단 인식과 헤어, 네일 아트 행동 변화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는 Table 6과 같다. 헤어 행동 변화는 퍼스널 컬러 진단 인식의 색채선호 인식(r=.595, p<.001), 직접적 인식(r=.566, p<.001) 순으로 정의 상관이 높았고 세부적으로 헤어 행동 변화의 헤어 관심도, 헤어 만족도 모두 퍼스널 컬러 진단 인식과는 유의미한 정(+)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일 아트 행동 변화는 퍼스널 컬러 진단 인식의 색채선호 인식(r=.406, p<.001), 직접적 인식(r=.350, p<.001) 순으로 정(+)의 상관이 높았으며, 세부적으로 네일 아트 행동 변화의 네일 아트 관심도, 네일 아트 만족도 모두 퍼스널 컬러 진단 인식과는 유의미한 정(+)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퍼스널 컬러 진단 인식이 높아질수록 헤어와 네일 아트 행동도 높아진다는 (Kim et al., 2023)의 연구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퍼스널 컬러 진단 인식이 헤어 행동 변화에 미치는 영향

퍼스널 컬러 진단 인식이 헤어 행동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는 Table 7과 같다. 퍼스널 컬러 진단 인식이 헤어 행동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R2=0.392로 전체 변동의 39.2%로 회귀 모형을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변수 간 다중 공선성을 진단하기 위하여 분산 팽창계수(VIF : variable inflation factor)와 허용치(tolerance)를 살펴보았으며, 일반적으로 분산 팽창계수가 10 이상이거나 허용치가 0.1보다 작으면 다중 공선성의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게 된다. 본 분석에서 변수들의 VIF값은 모두 10 이하였고, 허용치는 0.1보다 크게 나타나 다중 공선성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았다. 모형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추정된 모형은 유의한 것을 알 수 있으며(F=56.778, p<.001), 퍼스널 컬러 진단 인식의 색채선호 인식(β=.389, p<.001), 직접적 인식(β=.284, p<.01) 순으로 헤어 행동 변화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퍼스널 컬러 진단 인식의 색채선호 인식과 직접적 인식이 높을수록 헤어 행동 변화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퍼스널 컬러 진단 인식은 개인의 헤어 스타일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Lee & Lee(2011)의 연구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색채 선호 인식이 높을수록 헤어 행동 변화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이 더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사람들이 자신의 퍼스널 컬러를 이해하고 이를 헤어 스타일링에 반영함으로써 외모에 대한 만족도와 자신감을 높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1) 퍼스널 컬러 진단 인식이 헤어 관심도에 미치는 영향

퍼스널 컬러 진단 인식이 헤어 관심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R2=0.216으로 전체 변동의 21.6%로 회귀 모형을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모형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추정된 모형은 유의한 것을 알 수 있으며(F=24.199, p<.001), 퍼스널 컬러 진단 인식의 색채 선호 인식(β=.370, p<.001)만 헤어 관심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퍼스널 컬러 진단 인식의 색채 선호 인식이 높을수록 헤어 관심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퍼스널 컬러를 잘 인식하고 선호하는 사람들은 헤어 스타일링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진다. 이는 퍼스널 컬러 진단이 외모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Han(2002)의 연구와 관련이 있다.

2) 퍼스널 컬러 진단 인식이 헤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퍼스널 컬러 진단 인식이 헤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R2=0.398로 전체 변동의 39.8%로 회귀 모형을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모형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추정된 모형은 유의한 것을 알 수 있으며(F=58.257, p<.001), 퍼스널 컬러 진단 인식의 색채 선호 인식(β=.352, p<.001), 직접적 인식(β=.327, p<.001) 순으로 헤어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퍼스널 컬러 진단 인식의 색채 선호 인식과 직접적 인식이 높을수록 헤어 만족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위와 같은 결과로 볼 때, 퍼스널 컬러 진단 인식이 헤어 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수 있다. 특히, 색채 선호 인식과 직접적 인식이 높을수록 헤어 만족도가 높아진다는 사실은 퍼스널 컬러 진단의 실질적인 효과를 나타낸다. 이는 뷰티 산업에서 퍼스널 컬러 진단을 통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고객의 만족도를 높이는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고객이 자신의 퍼스널 컬러를 잘 이해하고 이를 헤어 스타일링에 반영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은 그들의 외모 만족도와 자아 존중감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6. 퍼스널 컬러 진단 인식이 네일 아트 행동변화에 미치는 영향

퍼스널 컬러 진단 인식이 네일 아트 행동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는 Table 8과 같다. 퍼스널 컬러 진단 인식이 네일 아트 행동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R2=0.171로 전체 변동의 17.1%로 회귀 모형을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모형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추정된 모형은 유의한 것을 알 수 있으며(F=18.206, p<.001), 퍼스널 컬러 진단 인식의 색채선호 인식(β=.322, p<.01)만 네일 아트 행동 변화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퍼스널 컬러 진단 인식의 색채선호 인식이 높을수록 네일 아트 행동 변화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Baek & Hong(2023)의 연구와 일치하는 것으로 자신에게 어울리는 색상을 잘 인식하고 선호하는 사람들이 네일 아트 스타일링에도 더 많은 변화를 시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1) 퍼스널 컬러 진단 인식이 네일 아트 관심도

퍼스널 컬러 진단 인식이 네일 아트 관심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R2=0.037로 전체 변동의 3.7%로 회귀 모형을 설명하고 있으며, 추정된 모형은 유의하였다(F=3.385, p<.05). 그러나, 퍼스널 컬러 진단 인식의 직접적 인식과 색채 선호 인식은 유의수준 5%에서 네일 아트 관심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퍼스널 컬러 진단 인식이 네일 아트 관심도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네일 아트 관심도가 퍼스널 컬러 인식보다는 다른 요인들에 의해 더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예를 들어, 네일 아트 관심도는 최신 유행, 개인 취향, 사회적 요인 등 다른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더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네일 아트 관심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퍼스널 컬러 진단 외에도 다양한 요인을 고려한 접근이 필요하다.

2) 퍼스널 컬러 진단 인식이 네일 아트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퍼스널 컬러 진단 인식이 네일 아트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R2=0.255로 전체 변동의 25.5%로 회귀 모형을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모형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추정된 모형은 유의한 것을 알 수 있으며(F=30.145, p<.001), 퍼스널 컬러 진단 인식의 색채 선호 인식(β=.396, p<.001)만 네일 아트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퍼스널 컬러 진단 인식의 색채 선호 인식이 높을수록 네일 아트 만족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결과는 Oh & Heo(2021)의 연구에서 자신에게 어울리는 색상을 잘 인식하고 선호하는 사람들이 네일 아트에 대해 더 높은 만족도를 가질 가능성이 크다는 것 결과와 일치한다.

V. 결 론

본 연구의 목적은 퍼스널 컬러 진단 인식이 헤어와 네일 아트 행동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헤어와 네일 뷰티 행동 변화를 일으키는 그 요인에 대해 연구하였다. 분석 결과, 퍼스널컬러 인식에 대한 타당성과 신뢰도를 검증하였으며, 각 변수들 간에 KMO값 0.920으로 매우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요인분석의 적합성 분석 결과 유의수준 .000으로 요인 분석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요인 수는 고유값을 기준으로 ‘색채선호인식’과 ‘직접적인식요인’ 2개의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신뢰도 역시 .919로 높은 신뢰도를 나타냈다. 헤어행동변화에 대한 타당성과 신뢰도 역시 KMO값은 0.909, 유의수준 .000을 나타냈고, 고유값을 기준으로 ‘헤어 만족도’와 ‘헤어 관심도’ 2개의 요인을 도출하고 신뢰도는 .917로 높게 나타났다.
네일 아트 행동 변화에 대한 타당성과 신뢰도 역시 KMO값 0.919, 유의수준 .000, 고유값의 요인 적재량을 기준으로 네일 아트 만족도와 네일 아트 관심도를 설정하고 신뢰도 .944로 나타났다. 퍼스널 컬러진단 인식은 색채선호인식 > 직접적인식 순이었고, 헤어 행동 변화에서는 헤어 만족도 > 헤어 관심도 순으로 퍼스널 컬러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네일 행동변화 역시 네일 아트의 만족도 > 관심도 순이었다. 이것은 색채 인식이 높을수록 헤어와 네일 만족도가 높을 수 있음을 의미 한다.
상관관계분석 결과, 헤어행동변화, 네일행동변화 모두 색채 선호인식 > 직접적인식 순으로 정의 상관에 있었으며, 퍼스널 컬러 인식에서는 만족도 > 관심도 순으로 정의 상관에 있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역시 색채선호인식과 직접적 인식이 높을수록 헤어행동변화가 높았으며, 퍼스널 컬러진단 인식이 헤어관심도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색책인식이 높을수록 헤어 관심도가 높으며,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도 동일하였다. 퍼스널컬러 진단 인식이 네일 아트 행동변화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퍼스널 컬러 진단 인식의 색채선호 인식만 네일 아트 행동변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관심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퍼스널 컬러 진단 인식이 네일 아트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색채선호 인식만 네일 아트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퍼스널 컬러 진단 인식은 색채선호 인식이 높은 사람일수록 만족도와 관심도가 모두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뷰티 서비스 분야에서 염색을 즐기거나 네일의 컬러를 자주 바꾸는 고객일수록 색채 인식이 높아 퍼스널 컬러 진단 인식이 높고 만족도와 관심도도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색채 인식이 높은 고객에게 퍼스널 컬러로 고객서비스를 제공한다면 고객들의 만족도가 높아질 수 있으며. 만족도가 높아진 고객들은 재방문 확률이 높아질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네일 아트 분야에서는 색채 인식이 높은 고객에게서 만족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으며, 퍼스널 컬러 진단에 대한 인식으로만 네일 아트의 관심도를 높이지는 못하지만, 컬러를 다양하게 시도하는 고객에게는 퍼스널 컬러를 안내한다면 만족도가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본 연구를 통해 퍼스널 컬러 진단이 뷰티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것으로, 뷰티 산업에서 퍼스널 컬러를 활용한 마케팅 전략의 효과성을 확인하였다. 이는 퍼스널 컬러 진단을 통해 고객의 만족도를 높이고, 재방문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전략적 접근으로, 뷰티 서비스 종사자들에게 퍼스널 컬러 진단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이를 통해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분석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뷰티 산업 제조 분야에서도 퍼스널 컬러를 기반으로 한 제품 개발과 마케팅 전략 수립에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urvey Group
Category Frequency (N) Percent (%)
Gender Female 156 87.2
Male 23 12.8
Age 20s 85 47.5
30s 16 8.9
40s 39 21.8
50s and above 39 21.8
Marital Status Single 98 54.7
Married 72 40.2
Others 9 5.0
Highest Education High School Graduate 46 25.7
Bachelor’s In Progress/Graduate 80 44.7
Master’s/Doctorate In Progress/Graduate 46 25.7
Others 7 3.9
Occupation Self-employed 39 21.8
Sales/Service Industry 15 8.4
Office/Technical 15 8.4
Education Field 12 6.7
Student 77 43.0
Others 21 11.7
Monthly Income Less than 1 million KRW 75 41.9
1-2 million KRW 12 6.7
2-3 million KRW 18 10.1
3-4 million KRW 19 10.6
4-5 million KRW 15 8.4
More than 5 million KRW 40 22.3
Total 179 100.0
Table 2.
Verific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Personal Color Recognition
Category Factor
1 2
Preference Recognition for Colors I think it is necessary to know my personal color through professional diagnosis or education. .823
I think it is necessary to receive personal color diagnosis or education. .811
After the personal color diagnosis, I always consider my personal color when choosing my color cosmetics and beauty product colors. .805
After the personal color diagnosis, I think I look more vibrant when I choose makeup, nail, and hair colors that suit me. .767
After the personal color diagnosis, I think I look better when I wear clothes in colors that suit me. .723
After receiving a personal color diagnosis, it helped me find the colors that suit me. .714
Direct Recognition After the personal color diagnosis, I thought the colors that suit me were different from what I had known. .842
After knowing my personal color, I think I became aware of the colors that do not suit me. .660
After receiving a personal color diagnosis, I think the colors I found affect my image formation. .642
Personal color helps me know my skin tone accurately. .611
Eigenvalue 4.379 2.541
Variance (%) 43.790 25.412
Cumulative Variance (%) 43.790 69.202
Reliability .913 .086
KMO = .920, Bartlett's test result χ²=1156.113 (df=45, p=.000)
Table 3.
Verific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Hair Behavior
Category Factor
1 2
Hair Satisfaction After the personal color diagnosis, I have less trouble choosing a hair color. .826
I ask the hair designer to dye my hair to match my personal color. .813
I would recommend a personal color diagnosis to those around me for a suitable hair color. .808
I have more trust in hair designers who recommend hair colors based on personal color. .793
After the diagnosis, I choose dye products that match my personal color even if they are not my preferred hair color .725
My image looks better when I choose a hair color that matches my personal color diagnosis. .649
After the diagnosis, I can choose colors myself, in addition to the colors recommended by the hair designer. .633
Hair Interest I have always been interested in hair color. .861
I know what hair colors are currently in fashion. .790
I think hair color is important to my image. .696
Eigenvalue 4.216 2.749
Variance (%) 42.155 27.489
Cumulative Variance (%) 42.155 69.645
Reliability .918 .781
KMO = .909, Bartlett's test result χ²=1113.313 (df=45, p=.000)
Table 4.
Verific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Nail Behavior
Category Factor
1 2
Nail Art Satisfaction When deciding on the color and design of nail art, I often consider my personal color. .878
Even if it is not my preferred color, I trust the color recommended by the personal color diagnosis more. .867
I would recommend a personal color diagnosis to those around me for better matching nail art or design. .856
I trust nail artists or sellers who recommend makeup colors based on personal color. .844
After a personal color diagnosis, I enjoy doing nail art more. .737
My hands look brighter when I do nail art that matches my personal color. .693
After the diagnosis, I think I can choose colors myself, in addition to those recommended by the nail expert. .659
Nail Art Interest I have always been interested in nail art. .867
I think nail art is an important part of decorating myself. .853
I know the trendy nail colors. .833
I think nail coloring has a big impact on the image of my hands. .737
Eigenvalue 4.856 3.671
Variance (%) 44.148 33.374
Cumulative Variance (%) 44.148 77.522
Reliability .944 .902
KMO = .901, Bartlett's test result χ²=1821.290 (df=55, p=.000)
Table 5.
Verific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Nail Behavior
Category Average Standard Deviation
Personal Color Diagnosis Perception Direct Perception 3.90 .74
Color Preference Perception 4.23 .69
Personal Color Diagnosis Perception 4.10 .66
Hair Behavior Changes Hair Interest 4.02 .85
Hair Satisfaction 4.04 .77
Hair Behavior Changes 4.03 .73
Nail Art Behavior Changes Nail Art Interest 3.57 1.03
Nail Art Satisfaction 3.84 .89
Nail Art Behavior Changes 3.74 .87
Table 6.
Correlation between Personal Color Diagnosis Recognition and Hair, Nail Art Behavior Changes
Category Personal Color Diagnosis Perception
Hair Behavior Changes
Nail Art Behavior Changes
Direct Color Preference Total Interest Satisfaction Total Interest Satisfaction Total
Perception Direct Perception 1
Color Preference Perception .727*** 1
Personal Color Diagnosis Perception .903*** .951*** 1
Hair Hair Interest .389*** .457*** .460*** 1
Hair Satisfaction .583*** .590*** .630*** .645*** 1
Hair Behavior Changes .566*** .595*** .626*** .825*** .964*** 1
Nail Art Nail Art Interest .164* .188* .191* .395*** .303*** .361*** 1
Nail Art Satisfaction .426*** .496*** .501*** .363*** .603*** .572*** .681*** 1
Nail Art Behavior Changes .350*** .406*** .411*** .408*** .526*** .531*** .877*** .949*** 1

* p<.05,

*** p<.001

Table 7.
Influence of Personal Color Diagnosis Recognition on Hair Behavior Change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B β t p R2 adj R2 F
Hair Behavior Changes (Constant) 1.190 4.369*** .000 .392 .385 56.778***
Direct Recognition .280 .284 3.317** .001
Color Preference Recognition .413 .389 4.545*** .000
Hair Behavior Changes Hair Interest (Constant) 1.556 4.334*** .000 .216 .207 24.199***
Direct Recognition .138 .120 1.236 .218
Color Preference Recognition .456 .370 3.804*** .000
Hair Satisfaction (Constant) 1.033 3.610*** .000 .398 .391 58.257***
Direct Recognition .341 .327 3.845*** .000
Color Preference Recognition .395 .352 4.134*** .000

** p<.01,

*** p<.001

Table 8.
Inflence of Personal Color Diagnosis Recognition on Nail Art Behavior Change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B β t p R2 adj R2 F
Nail Art Behavior Changes (Constant) 1.493 3.960*** .000 .171 .162 18.206***
Direct Perception .136 .116 1.159 .248
Color Preference Perception .406 .322 3.225** .002
Nail Art Behavior Changes Nail Art Interest (Constant) 2.328 4.834*** .000 .037 .026 3.385*
Direct Perception .081 .058 .542 .589
Color Preference Perception .218 .146 1.354 .177
Nail Art Satisfaction (Constant) 1.015 2.758** .006 .255 .247 30.145***
Direct Perception .167 .138 1.461 .146
Color Preference Perception .513 .396 4.176*** .000

References

Baek, M. H., & Hong, S. N. (2023). Fa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with nail color treatment using personal col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9(1), 91-100. https://doi.org/10.15810/jic.2017.13.4.009.
Kim, S. J. (2005). Study on makeup color based on personal color diagnosis.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57-58.
Kim, N. E. (2011). Utilization of personal color diagnosis system for hair color styling.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Art Fusion Design, Department of Fashion Art.2.
Kim, S. K., Yoon, M. Y., & Kim, S. H. (2023). The Effect of Female College Students’ Personal Color Perceptionon Colorful Cosmetics Purchase Behavior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9(4), 1032-1041. https://doi.org/10.52660/JKSC.2023.29.4.1032.
Kang, H. N. (2024). A study on salon customized gel nail colors using the personal color system. Master’s thesis, Kony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Health and Welfare, Department of Medical Beauty. 1.
Lee, H. W. (2017). The effect of nail coloring consistency with personal nail color diagnosis on perception of body image change and satisfaction with nail coloring.Master’s thesis, Sangmyu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Art and Design, Department of Clothing and Textile Design. 3.
Lee, S. H.. (2018). The effect of personal color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n the satisfaction of beauty curriculum Konkuk University, Seoul, p.1.
Lee, J. Y. (2017). Research on salon custom gel nail color using personal color system. Master’s thesis, Sangmyung University, Seoul. 1.
Lee, M. S., Jung, J. S., & Lee, J. H. (2011). The effect of personal color on hair color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esthetic and Cosmetology, 9(1), 1-14.
Lee, J., Yan, Y. C., & Suk, H. J. (2018).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lor measurement, subjective judgment, and desired skin color.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lor Studies Conference, 2018(11), 46-49. http://doi.org/10.46248/kidrs.2020.3.301.
Yu, T. H. (2023). The effect of personal color applied hair color on impression formation and appearance satisfaction. Master’s thesis, Kyungsin Graduate School University. 2.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10-2825-6735   Fex: +82-62-950-3797    E-mail: beauty2007@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