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티산업 미디어마케팅 전문가 양성교육 적용사례 연구: 지역·산업맞춤형 일자리 창출 지원사업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Beauty Industry Media Marketing Expert Training: Focusing on regional and industry-tailored job creation support projects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Cosmetol. 2024;30(4):908-919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4 August 31
doi : https://doi.org/10.52660/JKSC.2024.30.4.908
1Ph.D. Department of Cosmetics and Cosmetology, Graduate School, Nambu University
2Professor, Department of cosmetology, Nambu University
박희영1, 정숙희2,
1남부대학교 대학원 향장미용학과, 박사과정
2남부대학교 향장미용학과, 교수
*Corresponding author: Sook-Heui Jung Tel : +82-62-970-0138 E-mail: skin1004@namb.ac.kr
Received 2024 August 1; Revised 2024 August 26; Accepted 2024 August 27.

Trans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local employment environment and secure excellent talent by developing an education program that reflects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enhances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2023 Beauty Industry Media Marketing Expert Training’ project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The necessity of the training was found to be 100%, and the validity of the education program was confirmed. The satisfaction survey conducte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indicated very high satisfaction levels regarding the instructors’ expertise, the education program, and the lecture content, with the highest satisfaction reported in the understanding and practical training of social platform-based media marketing. Through this project, excellent professionals in beauty industry media marketing have been trained in the region, and the development of an education program reflecting the beauty industry and media marketing has resulted in a very high satisfaction rate, achieving a 100% success rate in employment and entrepreneurship.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verify the sustainability of the educational effects by continuously updating the education program and analyzing employment retention rates and job satisfaction.

I. 서 론

1. 연구 필요성

현대사회의 뷰티산업은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의 美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짐에 따라 다른 산업과의 연계를 통한 창의적 부가가치를 올릴 수 있는 산업으로 나아가고 있다(Kim & Youn, 2022). 정부는 K-뷰티 산업 선도 국가로서 도약을 위해 2024년까지 7개 기업을 세계 100대 기업에 진출 시키고 일자리 9 만개를 창출하겠다는 ‘K-뷰티 혁신 종합전략’을 발표했으며(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21), 광주광역시는 2020년부터 피부 의학과 고기능성 화장품, 미용기기 제조, 뷰티 서비스가 결합 된 코스메디케어산업을 통해 코스메디케어 융합기업을 육성하고, 2030년까지 수출 선도지역으로 도약을 목표로 하고 있다(Gwangjuin, 2020). 광주광역시의회에서 정부 개정안이 통과하여, 뷰티산업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취업 지원 등이 개정되었다(Gwangju Mertopolitan Council, 2021).

뷰티산업의 다양한 마케팅 전략은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소비자 수요를 반영하여 경쟁력을 강화하고 브랜드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형성하여, 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특히, 뷰티 인플루언서의 진정성 있는 콘텐츠가 소비자들의 구매 의도를 높이고 매출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Choi & Cheong, 2017; Ryu, 2021; Lee & Lee, 2022). 뷰티산업 미디어 마케팅 플랫폼의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라이브커머스(Zhao & Kim, 2020; Ying & Kim, 2021), 유튜브(Noh et al., 2022; Jung, 2023; Doh & Jin, 2024), 인스타그램(Kim et al., 2020; Na & Song, 2022) 등 현재 전자상거래 현황이 급부상하면서, 온·오프라인 경제의 융합 발전과 마케팅 활성화 방안 등이 보고 되고 있다.

이렇듯 뷰티산업에서 서비스마케팅, 정보성 광고, 소셜 미디어마케팅 등의 전략이 소비자들의 정보 접근성과 구매 편의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으며, 브랜드 인지도와 충성도 제고에 큰 역할을 하고 있고, 개인화된 경험을 제공하여 소비자와의 유대감 형성 및 뷰티 관리 행동 변화를 이끌어내는 등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뷰티 관련 기업의 취·창업을 준비하는 뷰티 전공 미취업자 및 예비 창업자들은 새로운 소비 트렌드와 소비자의 니즈가 다양해짐에 따라 뷰티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어 그에 따른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

한편, 선행연구(Li et al., 2016; Kgng, 2022; Kim, 2023)에서 뷰티 관련 전공 프로그램의 마케팅 교육 현황 및 교육 의무화와 교육효과를 위한 고도화 전략 제시 및 교육의 필요성과 개선 방안에 관하여 보고 되고 있으며, (Pyo & Jung, 2020; Pyo & Jung, 2022; Lee, 2022; Lee, 2022; Kim, 2023; Park & Jung, 2023; Kang & Youn, 2024) 등 선행연구에서 뷰티 관련 교육과 마케팅을 융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실제 사례 등 다양하게 보고 되고 있다.

이에 효과적인 디지털 환경과 시대에 맞는 뷰티산업의 발전을 위해 무엇보다 미디어 마케팅을 잘 이해하고 이를 실제로 응용할 수 있는 전공자들이 다양한 분야로 진출을 도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Kim, 2017). 그러나 이를 교육하는 훈련 시스템 및 교육기관의 부족으로 인해 인재 양성 속도가 수요 증가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실정이다(Pakr, 2023).

본 연구는 지역 고용 환경을 개선하고 지역 특화 우수 인력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안정적인 일자리 창출과 재취업 기회 확대를 위해 뷰티 산업 미디어마케팅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만족도를 연구하고자 한다.

II. 이론적 배경

1. 지역산업맞춤형 일자리창출지원 사업

지역산업맞춤형 일자리 창출 지원사업은 고용노동부가 주최하고 지방자치단체가 주관하여 교육 및 취업, 창업을 지원하는 일자리 지원사업이라 정의하고 있다(Kim, 2023). 지역 및 산업별 특성에 맞는 고용계획의 수립, 일자리 창출 및 유지, 일자리 질 개선, 인적자원 개발 등을 위해 실시하는 지역·산업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사업의 효과적 수행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22).

2. 교육훈련 사업

교육훈련 사업은 지역의 산업수요에 맞는 인력양성 및 지역 차원의 고용 문제 해결을 위해 실시하는 취업 연계형으로 사업유형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교육·훈련을 80시간 이상 편성하여 지역의 미취업자 등을 대상으로 사업을 계획하고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Yoon, 2021). 교육훈련 사업의 교육프로그램은 지역산업맞춤형 일자리 창출 지원사업의 핵심 구성요소로, 지역산업의 수요에 부합하는 전문인력을 체계적으로 양성하고, 공급함으로써 지역 뷰티산업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뷰티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은 지역 내 산업 생태계를 강화하고, 지역 경제의 성장을 촉진하는데 기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3. 뷰티산업

뷰티산업의 범위로는 뷰티제조업, 뷰티서비스업, 뷰티 연관 산업으로 분류하여 화장품 산업에만 국한되어 있지 않고 신체를 아름답고 건강하게 관리하기 위하여 다양한 체험과 소비를 모두 포함하는 산업이라 할 수 있다(Kim, 2019). 뷰티산업은 고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미래 유망 산업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자원이 부족한 국내 현실에서 향후 미래에 발전 가능성이 큰 산업으로 볼 수 있다(Kim et al., 2013). 정부는 지자체와 한국의 뷰티산업 육성을 위해 다양한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해외에서 한국의 K-뷰티의 글로벌 인지도를 높이고, 해외 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적극적인 홍보 활동을 펼치고 있다. 또한 뷰티산업 진흥 조례 제정을 기반으로 뷰티 박람회 개최, 뷰티산업 단지 조성, 뷰티 진흥센터 건립, 기업 지원사업, 전문인력양성 등 한국 뷰티산업의 발전을 위해 다각도로 노력 중이며, 지역경제 활성화 및 지역 이미지 개선을 도모하고 있다(Lee & Jeong, 2019).

4. 소셜 미디어마케팅

최근 소비자의 모바일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전통적인 광고 방식에서 벗어나 소셜미디어를 통한 마케팅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Park et al., 2019). 소셜미디어란 온라인상에서의 정보공유, 개인의 참여, 정보의 축적이 가능한 도구로서 (Lee, 2015), 소셜미디어의 주요 특성은 상호작용성, 개방성, 참여성, 연결성 등이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소셜미디어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Choi et al., 2020). 이에 다양한 기업들은 소셜미디어를 이용하여 능동적 소비 문화와 쌍방향 의사소통을 추구하는 고객을 대상으로(Kim & Kim, 2010), 기업, 브랜드, 상품 등을 광고하거나 홍보 계획 및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있고(Kang & Jung, 2023), 소셜미디어 채널을 통한 온라인 마케팅으로 블로그,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Kim & Kim, 2020). 뷰티산업 마케팅 전략으로 적극 도입하는 추세이며, 소비자들이 소셜미디어 마케팅을 통해 정보를 얻거나 기업의 뷰티 제품 개발의 방향성까지 제시하고 있어(Kim, 2021) 본 연구의 교육프로그램 적용 시 소셜미디어 콘텐츠에 따른 마케팅 사례와 채널별 분석 및 활용 방법을 교육하고자 하였다.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대상자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20~40대 중 취업 및 창업을 희망하는 뷰티 관련 업종 경력자 또는 졸업예정자, 뷰티 관련 자격증 취득자를 대상으로 모집한 87명 중 서류심사(1차),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기 위한 면담(2차), 선발 면접(3차)을 통해 연구 대상자로서 선정 기준에 적합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에 동의하는 20명을 최종 선발하였다.

2. 연구기간 및 자료수집

최종 선발된 연구 대상자에게 2023년 6월 26일부터 6월 28일까지 교육과정 선호도 조사와 뷰티산업의 현장 및 교육 전문가에게 2023년 7월 3일부터 7월 5일까지 교육프로그램에 대해 전문가 검증평가를 시행하였다. 뷰티산업 미디어마케팅 전문가 양성 교육프로그램을 적용 후 출석률 80%를 달성한 최종 19명을 대상으로 2023년 8월 11일부터 19일까지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3. 교육프로그램 개발

본 연구의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연구 설계는 다음 Fig. 1과 같다.

Fig. 1.

Research design.

뷰티산업 발전방향 교육(Jung, 2019), 영상제작 교육(Shi & Lee, 2019), 화장품 산업 분석 교육(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20), 광고영상 교육(Park, 2020), 콘텐츠 제작 교육(Jeon et al., 2020), 뷰티 크리에이터 교육(Heo et al., 2022), 디지털 뷰티 콘텐츠 교육(Choi, 2022), 영상 촬영 및 편집 교육(Lee, 2022), 화장품 제조 교육(Park & Jung, 2023), 코스메디케어 교육(Cho et al., 2022), 고객응대 교육(Kim, 2023) 등 선행연구를 고찰하였고, 교육과정의 선호도 조사 및 전문가 검증평가를 기반으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교육프로그램 적용 후 만족도 조사와 취·창업 성과를 통한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4. 교육프로그램 운영 구성

본 교육훈련 프로그램은 뷰티산업 교육, 뷰티서비스 및 제품 교육, 소셜미디어 마케팅 교육, 취·창업 교육으로 구성하였고, 교육프로그램에 적용한 교육과정 및 세부 교육 내용은 <Table 1>과 같다.

Education program composition

본 교육훈련은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20대에서 40대 사이의 취업 및 창업을 희망하는 뷰티 관련 업종 경력자, 졸업 예정자, 그리고 뷰티 관련 자격증 취득자 등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총 20명의 연구대상자들이 교육에 참여하였으며, 교육 기간은 2023년 7월 10일~2023년 8월 11일까지 주 5회, 하루 4시간씩 진행되어 총 100시간에 걸쳐 이루어졌다. 프로그램은 ‘뷰티산업의 이해’, ‘뷰티산업 취업전략’, ‘코스메디케어 뷰티 서비스 및 응용제품의 이해’, ‘소셜플랫폼에 따른 미디어 마케팅 이해 및 실무’의 4개 하위유형으로 구성되었으며, 기업의 수요를 반영한 맞춤형 교육프로그램으로 설계되었다. 이 교육은 이론 및 실습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며, 뷰티산업과 미디어마케팅 분야의 13명의 대표 및 현장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현장 적응력 향상에 중점을 두어 실질적인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일반적 특성

1) 연구대상자 일반적 특성

일반적인 특성을 빈도분석한 결과 <Table 2>와 같다. 성별은 여성 100%로 연령은 20~24세 30%, 25~29세 30%, 35~39세 25%, 39세 이상 10%, 30~34세 5% 순으로 나타났으며, 학력 사항은 대학졸업 55%, 대학생 20%, 고졸이하 15%, 전문 대학 졸업 10% 순으로 나타났다.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vey Subject (N=20)

보유 자격증으로 뷰티산업 관련 자격증은 80%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보유 자격증에 따른 관련 업종 근무경력은 1~2년 미만 30%, 근무경력 없음 25%, 1년 미만 15%, 5년 이상 15%, 3~5년 미만 10%, 2~3년 미만 5% 순으로 나타났다. 뷰티 관련 미디어마케팅 교육 수강 경험은 전혀 경험이 없다 70%, 학교 or 대학교에서 수강한 경험 10%, 사설학원에서 수강한 경험 10%, 독학 10% 순으로 나타났다.

2) 전문가 일반적 특성

전문가의 일반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성별은 남성 76.9%, 여성 23.1%로 나타났고, 연령은 40대 53.8%, 50대 46.2%, 순으로 나타났다.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subject to expert verification evaluation (N=13)

결혼여부는 기혼 92.3%, 미혼 7.7%, 직업은 현장전문가 69.3%, 교육전문가 30.7%로 나타났고, 경력은 10년 이상 100%, 학력 사항은 대학졸업 38.5%, 대학원(박사졸업) 30.7%, 대학원(석사졸업) 15.4%, 고졸 15.4% 순으로 나타났다.

2. 연구대상자의 교육프로그램 적용사례 분석

1) 교육프로그램의 인식 및 필요성

교육의 인식 및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 및 다중응답 분석한 결과 <Table 4>와 같다. 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매우 중요하다 70%, 조금 중요하다 30% 순으로 나타났고, 교육과정을 배우기 위해 적합한 교육기관은 대학교 55%, 기관 및 협회 35%, 뷰티아카데미 5%, 마케팅 관련 학원 5%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프로그램의 가장 적합한 교육 시기는 취업 전 50%, 매번 필요시 25%, 취업 전 의무적으로 10%, 취업 후 1년마다 정기적 10%, 취업 후 1년 이내 5% 순으로 나타났다.

Analysis of cases of application of educational programs by research subjects (N=20)

2) 교육프로그램 전문가 검증평가

본 교육프로그램 개발 과정의 논리적 타당성을 알아보기 위한 결과는 다음 <Table 5>와 같다.

Education program expert verification evaluation (N=13)

교육프로그램 개발 과정의 논리적 타당성에 매우 그렇다 61.5%로 나타났고, 문헌분석을 반영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적합성은 조금그렇다 46.1%, 교육프로그램의 적합한 설계는 매우그렇다 46.1%, 이론적 근거는 조금그렇다 46.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3) 교육프로그램 선호도

뷰티산업 미디어마케팅 전문가 양성의 교육과정의 필수 과정 선호도를 빈도분석 및 다중응답 분석한 결과 다음 <Table 6>과 같다.

Education program preference (N=20)

가장 중점을 두어야 할 필수 교육과정은 코스메디케어 뷰티서비스 및 응용제품의 이해 31.1%, 소셜플랫폼에 따른 미디어 마케팅 이해 및 실무 28.9%, 뷰티산업 취업전략 26.7%, 뷰티산업의 이해 13.3% 순이며,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인 코스메디케어 뷰티서비스 및 응용제품의 이해 과정으로 Lee et al.(2021)의 연구에서 뷰티산업의 코슈메디슈컬 관련 교육과정의 필요성을 뒷받침한다고 볼 수 있다.

4) 세부 교육 내용 선호도

각 교육과정의 세부 교육내용의 선호도는 빈도분석 및 다중응답 분석한 다음 <Table 7>과 같다.

Detailed training content preference (N=20)

뷰티산업의 이해 세부 교육내용은 실전 화장품 브랜드 마케팅 활용 전략 37.2%, 뷰티산업 취업전략 교육 내용은 개인별 역량에 따른 취업 진로 설계및 취업처 추천 23.2%, 코스메디케어 뷰티서비스 및 응용제품의 이해 교육내용은 코스메디슈컬 제품의 이론 및 실습 26.4%, 소셜플랫폼에 따른 미디어 마케팅 이해 및 실무 교육내용은 SNS(블로그, 인스타 등) 비즈니스 전략 광고 사례 및 전략 21.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5) 교육프로그램 만족도

교육프로그램을 적용 후 출석률 80% 이상인 연구대상자 19명을 대상으로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 및 다중응답 분석한 결과 <Tabe 8>과 같다.

Education program satisfaction (N=19)

교육프로그램의 만족도는 매우만족 89.5%, 강의내용 만족도는 매우만족 84.2%, 강사의 전문성 및 강의 준비는 매우만족 94.7%가 가장 높게 나타나 전반적으로 교육프로그램에 대해 매우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가장 도움이 된 교육 방법은 실습강의 89.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6) 교육과정 만족도

뷰티산업 미디어 마케팅 교육프로그램을 적용 후 교육과정 만족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 및 다중응답 분석한 결과 다음 <Table 9>와 같다.

Curriculum Satisfaction (N=19)

소셜 플랫폼에 따른 미디어마케팅 이해 및 실무 42.1%, 코스메디케어 뷰티서비스 및 응용제품의 이해 36.8%, 뷰티산업 취업전략 15.7%, 뷰티산업의 이해 5.2% 순으로 나타났다.

7) 세부 교육내용 만족도

뷰티산업 미디어 마케팅 교육프로그램을 적용 후 세부 교육 내용의 만족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 및 다중응답 분석한 결과 다음 <Table 10>과 같다.

Satisfaction with detailed training content (N=19)

뷰티산업의 이해 세부 교육 내용은 실전 화장품 브랜드 마케팅 활용전략 31.3%, 실전 브랜드 마케팅 활용 사례 28.1%, 주요 지역 뷰티 기업의 화장품 소개 18.8%, 지역 뷰티산업의 현황 및 발전방향 9.4% 순으로 나타났다.

뷰티산업 취업전략 세부 교육 내용은 고객상담 심리 및 응대기법 30%,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작성 방법 및 실습 22.5%, 개인별 역량에 따른 취업 진로 설계 및 취업처 추천 17.5%, R&D 사업계획서 이론 및 실습 17.5%, 직무별 분석 및 전략과 채용 프로세스 및 전략 7.5%, 저작권 등록방법 이론 및 실습 2.5%, 개인 포트폴리오 작성 이론 및 실습과 발표 2.5% 순으로 나타났다.

코스메디케어 뷰티서비스 및 응용제품의 이해 세부 교육 내용은 미용기기 및 측정진단 기기의 활용 방법 및 상담법 29%, 피부과학 이론 19.4%, 코스메디슈컬 제품 이론 및 실습 19.4%, 화장품 응용조제 이론 및 실습 19.4%, 맞춤형 화장품 응용조제 이론 및 실습 12.9% 순으로 나타났다.

소셜플랫폼에 따른 미디어 마케팅 이해 및 실무 세부 교육내용은 스마트폰을 활용한 사진 촬영기법29.3%, SNS 비즈니스 전략 광고 사례 및 전략 17.1%, 라이브커머스 시나리오 작성 및 방송 노하우 전략과 촬영방법 17.1%, 스튜디오 현장실습 17.1%, 미디어마케팅 사례 14.6%, 소셜플랫폼에 따른 홍보마케팅 2.4%, 온라인 쇼핑몰 전략 및 상세페이지 제작 2.4% 순으로 나타났다.

뷰티산업 미디어 마케팅 교육프로그램의 만족도가 본 연구와 유사한 선행연구 Kim(2023) ‘온라인커머스를 위한 크리에이터 전문가 양성교육’ 만족도 28.7%, Pyo & Jung (2020)의 ‘뷰티문화융합 교육개발을 위한 현장 적용사례’ 58%를 보여 본 연구 교육프로그램 89.5% 만족도는 매우 높은 수치의 결과로 뷰티산업에서 미디어마케팅 전문가 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과 그 효과성을 강조하고, 향후 교육과정 개발에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3. 교육프로그램 성과

교육프로그램 적용 후 사업성과 결과는 <Table 11>과 같다. 본 연구의 목표는 총 20명의 연구대상자를 모집하여, 이 중 17명이 교육을 수료하고 16명이 취업 또는 창업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Education program performance

교육사업 성과 분석 결과, 모집된 훈련생은 20명으로 목표를 100% 달성하였으며, 교육 수료 인원은 19명으로 111.7%로 나타났다. 또한, 취업 및 창업률 목표인 16명에 대해서는 100% 달성하여 우수한 성과를 도출하였다.

맞춤형 일자리 창출사업에 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Lim & Park(2014)의 취업성과가 46.1%와 Kim & Park(2023)에서는 70.7%로 비교했을 때 본 연구 결과는 매우 우수한 성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 뷰티산업의 미디어 양성을 위해 본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체계적이고 지역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뷰티산업의 취·창업을 희망하는 대상자에게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V. 결 론

본 연구는 고용노동부가 주관하는 지역·산업 맞춤형 일자리 창출 지원사업의 ‘2023 뷰티산업 미디어 마케팅 양성’ 사업으로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만족도 제고를 통해 뷰티산업의 미디어마케팅 연구에 기초적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뷰티산업 미디어마케팅 전문가 양성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실시한 선호도 분석 결과, 교육의 필요성이 100%로 나타났다. 교육프로그램 중 코스메디케어 뷰티서비스 및 제품이해 과정이 가장 높았으며, 이는 뷰티산업에서 미디어마케팅을 접목한 교육이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기초 자료로서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뷰티산업의 현장 및 교육 전문가에게 평가 검증을 분석 한 결과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과정의 논리적 타당성 61.5%로 개발된 교육프로그램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현장 및 전문가들의 뷰티산업과 미디어마케팅 융합 관계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인재 양성에 적극적인 변화를 추구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셋째, 뷰티산업 미디어마케팅 전문가 양성 교육프로그램 적용 후 만족도를 빈도분석 및 다중응답 분석한 결과, 강사의 전문성 및 강의 준비 매우만족 94.7%, 교육프로그램 만족도 매우만족 89.5%, 강의 내용 매우만족 84.3%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교육프로그램의 교육 만족도와 큰 차이를 보여 지역의 특성을 면밀히 반영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연구대상자들의 만족도가 매우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교육과정 적용 후 만족도는 소셜 플랫폼의 따른 미디어 마케팅 이해 및 실무가 42.1%로 가장 높게 나타나 다변화하고 있는 뷰티산업의 현대 시대의 변화를 반영하고, 인력 수요에 대응한 전문인력양성 교육과정으로서 검증된 것으로 사료 된다.

다섯째, 교육과정의 세부 교육내용에 대한 만족도는 뷰티 산업의 이해 과정의 실전 화장품 브랜드 마케팅 활용 전략 31.3%, 뷰티산업 취업전략 과정의 고객상담 심리 및 응대 기법 30%, 소셜 플랫폼에 따른 미디어 마케팅 이해 및 실무 과정의 스마트폰을 활용한 사진 촬영기법 29.3%, 코스메디케어 뷰티서비스 및 응용제품의 이해 과정의 미용기기 및 측정진단 기기의 활용 방법 및 상담법 29%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들에게 제공된 맞춤형 세부 교육내용은 단순한 일자리 창출에 그치지 않고, 안정적인 재취업 기회와 창업 영역까지 성과를 확대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의 거주자를 주축으로 연구되어 타지역의 거주자를 대상으로 연구하지 못한 한계점이 있으며, 뷰티산업의 변화하는 트렌드를 반영해야 하므로, 교육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업데이트와 교육 수료 후 일정 기간 경과 시점에서 취·창업 유지율, 직무 만족도 등을 분석하여 교육효과의 지속가능성을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이번 사업의 성과를 바탕으로 뷰티산업 미디어마케팅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만족도 조사 등을 통해 교육 과정 개선의 토대를 마련하고, 이를 널리 활용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며, 지역 고용 환경 개선과 우수 인력 확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ferences

1. Choi E.. 2022;A Paradigm Shift in Beauty Education in Response to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Based on Analysis of Trends in the Cosmetics and Beauty Industry.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8(4):675–688. doi.org/10.52660/JKSC.2022.28.4.675.
2. Choi J. Y., Cheong Y. J.. 2017;The Study on the Strategies of Beauty Influencer Marketing Mass Media vs. Social Media. 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28(4):47–72. doi.org/10.14377/KJA.2017.5.31.3.
3. Choi W. L., Park J. H., Kim D. Y.. 2020;The effect of multidimensional benefits on customer participation behavior at service encounter Focus on human service of service providers.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39(2):95–112. doi.org/10.29214/damis.2020.39.2.006.
4. Lee M. K., Park E. M., Lim J. H.. 2022;Basic Research for the Design of the K-beauty Micro-major Curriculum for International Students. Cultural Exchang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11(6):165–195. doi.org/10.30974/kaice.2022.11.6.8.
5. Doh M. H., Jin Y. M.. 2024;The Effect of YouTube Beauty Contents Characteristics on Perceived Usefulness and Intention to Continuous use. Journal of Beauty Art Management 18(3):53–67. doi.org/10.22649/JBAM.2024.18.3.53.
6. Gwangju Mertopolitan council. (2021). Gwangju Metropolitan City’s entire ordinance on fostering the beauty industry was revised. https://council.gwangju.go.kr/index.do?PID=052&bbsSn=0000036996.
7. Gwangjuin. (2020). Gwangju City,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selected for CosMedicare project.https://www.gwangjuin.com/news/articleView.html?idxno=212934.
8. Heo Y. J., Kim S. H., Lee J. H.. 2022;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Curriculum of Beauty related Universities.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23(1):227–241. doi.org/10.18693/JKSBA.2022.23.1.227.
9. Jeon H. J., Seo B. G., Park D. H.. 2020;The Effect of Corporate SNS Marketing on User Behavior Focusing on Facebook Fan Page Analytics.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26(1):75–95. doi.org/10.13088/JIIS.20 20.26.1.075.
10. Jung J. Y.. 2023;A Study on the Degree of Interest of Skin, and Purchase and Satisfaction of Skin Care Cosmetics According to Use of YouTube Beauty Videos for Consumers in Their Teens and 20s. Journal of Business Convergence 8(1):169–175. doi.org/10.31152/JB.2023.02.8.1.169.
11. Jung S. H.. 2019. Mid- to long-term comprehensive plan establishment service to foster Gwangju beauty industry Gwangju:
12. Kang H. J., Youn C. S.. 2024;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tart-up Education Program for Beauty Shop. Korea and Global Affairs 8(2):785–813. doi.org/10.22718/kga.2024.8.2.030.
13. Kang I. H., Jung H. J.. 2023;The Influence of Social Media Marketing of cosmetic companies on Brand Image and Purchase Behavior.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24(1):47–60. doi.org/10.18693/jksba.2023.24.1.47.
14. Kgng S. R.. 2022;Mandatory Marketing Education in Beautyrelated Majors and Strategies for Upgrading Educational. Culture and Convergence 44(6):565–578. doi.org/10.33645/CNC,2022.6.44.6.565.
15. Kim, D. Y. (2023). The university curriculum for beauty creators A Study on the Importance, Satisfaction and Improvement Plan. Master’s Thesis, Youngsan University, Busan.
16. Kim H. E.. 2021;A Study of Beauty Product Information on the Purchasing Intention according to the Product Awareness and Participation in the Social Media Activities. Korean Society of Cosmetics and Cosmetology 11(2):217–229.
17. Kim H. M.. 2023;A Case Study on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Employment and Start-up through the Regional and Industrial Customized Job Creation Support Project Focusing on online commerce creator training. Journal of Communication Design 82:149–159. doi.org/10.25111/JCD.2023.82.11.
18. Kim J., Park M. J.. 2023;Case Study of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for Providing Social Service for Elderly Care Focusing on Participants in Job-Creation Projects Tailored to Local Industries Based on a Public Private Cooperation. The Journal of Long Term Care 11(1):115–142. doi.org/10.32928/TJLTC.11.1.5.
19. Kim J. M., Kim K. J.. 2020;A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ive Content Marketing in Social Media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content application in social media channels. The Korean Society of Science & Art 38(5):113–127. doi.org/10.17548/KSAF.2020.12.30.113.
20. Kim M. J.. 2019;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osmetologists’ Perception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Cosmetology Industry Growth Potential & Importance of Convergence Industry and Importance of Personal Competency.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20(3):159–178. doi.org/10.18693/jksba.2019.20.3.159.
21. Kim M. J., Youn C. S.. 2022;An Exploratory Study on Customized Cosmetics. Journal of Beauty Industry 16(2):63–78. doi.org/10.15230/SCSK.2022.16.2.63.
22. Kim S. H., Park K. N., Hwang H. J.. 2020;Effects of Beauty Instagram Information Usage Behavior of Working Women in Their 20s on Information Credibility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Focusing on Usage Characteristics of Instagram.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11(5):1217–1232. doi.org/10.22143/HSS21.11.5.88.
23. Kim S. J., Zhang Y. X., Meng H. Y., Lee Y. B.. 2013;A Study on the Entry Strategy for Korean Cosmetics to Chinese Market. Journal of Korea Culture Industry 13(4):73–83.
24. Kim S. Y.. 2023;An Exploratory Study on Customer Response and Management Methods in Skin Beauty Curriculum at Junior Colleges. Journal of K Beautyin Society 3(1):35–42.
25. Kim Y. J., Kim H. Y.. 2010;The Effect of Justice and Trust on eWOM in Social Media Marketing Focused on Power Blog and Meta Blog. The Journal of Internet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10(3):131–155.
26. Kim, Y. S. (2017).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special makeup curriculum at a domestic 4-year university applying special effects focusing on computer graphics (CG)-. Gwangju University, Gwangju.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20). 2020 Cosmetics Industry Analysis Report.
27. Lee E. K., Jeong S. H.. 2019;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egional Specialized Beauty Convergence Industry -Focusing on Gwangju Metropolitan City-. The Korean Society of Science & Art 38(5):411–422. doi.org/10.17548/ksaf.2020.12.30.411.
28. Lee I. Y., Lee S. N.. 2022;Effects of Beauty Influencer Credibility on Perceived Risks and Purchase Intention of Consumers. Asian J Beauty Cosmetol 20(2):213–225. doi.org/10.20402.AJBC.2022.0012.
29. Lee J. Y.. 2022;The Development of K-Beauty Marketing Module for Smart Learning Based on LOD. Journal of Next-generation Convergence Technology Association 6(2):322–329. doi.org/10.33097/JNCTA.2022.06.02.322.
30. Lee S. K.. 2022;University Curriculum Development Plan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the YouTube creator curriculum.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3(1):247–257. doi.org/10.5762/KAIS.2022.23.1.247.
31. Lee S. M.. 2015;A Study on the Effect of Social Media on Information Shar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9(1):297–317. doi.org/10.4275/KSLIS.2015.49.1.297.
32. Lee S. M., Lee J. E., Chon H. J.. 2021;Job Research for Medical Skincare by DACUM. Asian J Beauty Cosmetol 19(2):277–287. doi.org/10.20402/AJBC.2021.0171.
33. Li L. C., Ahn C. S., Narantuya L., Park S. H., Zhao X.. 2016;Analysis of the Current State and the Curriculum of Beauty Related Higher Education Program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40(2):221–239. doi.org/10.5850/JKSCT.2016.40.2.221.
34. Lim H. S., Park S. H.. 2014;The Analysis on the Vocational Training for Women in Vulnerable Social Groups Focus on Customized Job Creation Project for Women by Seoul City Government. Journal of Korea Women’s Research Institute 14:99–125.
35.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22). 2022 mplementation guidelines for local industry customized job creation support projects. https://www.moel.go.kr/info/publict/publictDataView.do?bbs_seq=20220400185.
3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21). Promoting full-cycle support for the industry to create new growth engines for K-beauty. https://www.mohw.go.kr/board.es?mid=a10503010100&bid=0027&cg_code=.
37. Na Y. Y., Song S. Y.. 2022;Relationship between Beauty Shop Instagram Usage Motivation and Perceived Value and Relationship Continuity. J Invest Cosmetol 18(1):77–87. doi.org/10.15810/jic.2022.18.1.009.
38. Noh S. Eun., Cheon S. H., Sim B. R.. 2022;Effects of Beauty Commercial Advertising on Men and Women in Their 20’s Purchase of Beauty Product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12(2):198–205. doi.org/10.22156/CS4SMB.2022.12.02.198.
39. Park H. S., Jung Y. S.. 2023;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ersonal Color Cosmetics Manufacturing Curriculum in Cosmetics and Beauty-related Department. The Korean Human Image Design 5(2):62–78. doi.org/10.23082/hid.2023.5.2.004.
40. Park, J. H. (2020). Art Education Using Social Media : Development of the Communication Oriented Art Education Program Utilizing Images.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41. Park S. J., Chung S. W., Pyo N. S., Hwang S. K.. 2019;Bottlenecks in Building an Online Customer Base A Experimental Field Study on Viral Marketing.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9(1):682–695. doi.org/10.5392/JKCA.2019.19.01.682.
42. Park, Y. J. (2023). Beauty Industry Media Marketing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ducational Programs. Nambu University, Master’s Thesis, Gwangju.
43. Pyo Y. H., Jung Y. J.. 2020;A study on field appli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beauty cultural convergence education. Culture and Convergence 42(4):691–705. doi.org/10.33645/CNC.2020.04.42.4.691.
44. Pyo Y. S., Jung Y. J.. 2022;Development of IT-based Beauty Start-up Education Program for Digital Start-ups. Journal of Next-generation Convergence Technology Association 6(4):677–685. doi.org/10.33097/JNCTA.2022.06.04.677.
45. Ryu E. A.. 2021;The Impact of Beauty Influencer’s Authenticity on Purchase Inten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Identification.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23(2):77–112. doi.org/10.16914/KJAPR.2021.23.2.77.
46. Shin S. K., Lee J. H.. 2019;A Study on the Social Media Marketing Education Case Focused on Branded Contents production Lessons. The Journal of Image and Cultural Contents 17:193–211. doi.org/10.24174/JJCC.2019.06.17.193.
47. Ying Q. M., Kim K. R.. 2021;Effects of Customer Experience Factors on Beauty Product Satisfaction in Beauty Live Commerce For women in their 20s and 30s in Zhejiang Province, China.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7(6):1437–1446. doi.org/10.52660/JKSC.2021.27.6.1437.
48. Yoon D. Y.. 2021;Research on ways to create digital jobs linked to local industries. Local industry and employment.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34–62.
49. Zhao S., Kim M. H.. 2020;A Study on the Event Contents of Live Commerce in China as Brand Distribution Channel. A Journal of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 18(4):144–158. doi.org/10.18852/BDAK.2020.18.4.145.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 1.

Research design.

Table 1.

Education program composition

Curriculum Detailed training contents H
Understanding the beauty industry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local beauty industry 6
Introduction to cosmetics from major local beauty companies
Cosmetic development direction
Practical cosmetic brand marketing utilization strategy
Practical brand marketing use cases
Beauty industry employment strategy Customer counseling psychology and response techniques 28
Job-specific analysis and strategy and recruitment process and strategy
Designing employment pathways and recommending employment locations based on individual capabilities
Resume and self-introduction writing methods and practice
R&D business plan theory and practice
Copyright registration method theory and practice
Personal portfolio writing theory and practice and presentation
Understanding Cosmedicare beauty services and applied products Skin science theory 26
Cosmedicine product theory and practice
How to use and consult with beauty devices and measurement and diagnosis devices
Cosmetic application preparation theory and practice
Theory and practice of customized cosmetic application preparation
Understanding and practicing media marketing according to social platforms SNS business strategy advertising examples and strategies 40
Promotional marketing based on social platforms
Online shopping mall strategy and detailed page creation
Photography techniques using a smartphone
Live commerce scenario writing and broadcasting know-how strategies and filming methods
Studio field training
Media Marketing Cases

Table 2.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vey Subject (N=20)

Item Frequency (N) Percent (%)
Gender Men 0 0
Women 20 100
Age 20~24 years old 6 30
25~29 years old 6 30
30~34 years old 1 5
35~39 years old 5 25
39 years or older 2 10
Education High school graduate 3 15
Graduated from junior college 2 10
College student 4 20
College graduation 11 55
Graduate school or higher 0 0
Certificate Beauty industry-related qualifications 16 80
IT and design-related qualifications 1 5
Office. OA-related qualifications 1 5
Computerized tax and accounting-related qualifications 0 0
etc 2 10
Work experience No work experience 5 25
Less than 1 year 3 15
Less than 1-2 years 6 30
Less than 2-3 years 1 5
Less than 3-5 years 2 10
5 years or more 3 15
Class experience Have experience taking courses at school or university 2 10
I have experience taking classes at a private academy. 2 10
I have experience taking classes throughself-study (textbooks and online lectures). 2 10
No experience at all 14 70

Table 3.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subject to expert verification evaluation (N=13)

Information Frequency (N) Percent (%)
Gender Men 10 76.9
Women 3 23.1
Age 20’s 0 0
30’s 0 0
40’s 7 53.8
50’s 6 46.2
Marital Status Single 1 7.7
Married 12 92.3
Job Education specialist 4 30.7
Field expert 9 69.3
Length of career 10 years or less 0 0
10+ years 13 100
Education High school graduate 2 15.4
College graduation 5 38.5
Graduated from graduate school (master's degree) 2 15.4
Graduated from graduate school (Ph.D.) 4 30.7

Table 4.

Analysis of cases of application of educational programs by research subjects (N=20)

Classification Frequency (N) Percent (%)
Need for education Very important 14 70
A little important 6 30
Is average 0 0
A little unimportant 0 0
Very unimportant 0 0
Suitable educational institution Beauty academy 1 5
University 11 55
Marketing-related academy 1 5
Lifelong Education Center 0 0
Human Resources Development Center 0 0
Lnstitutions and Associations 7 35
The right time to learn education Before employment 10 50
Mandatory before employment 2 10
Regularly every year after employment 2 10
Within 1 year after employment 1 5
1-3 years after employment 0 0
Within 3 years of employment 0 0
Whenever needed 5 25

Table 5.

Education program expert verification evaluation (N=13)

Classification Frequency (N) Percent (%)
Logical validity of the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process Strongly Agree 8 61.5
Agree 4 30.8
Moderate 1 7.7
Disagree 0 0
Completely Disagree 0 0
Suitability of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reflecting literature analysis Strongly Agree 4 30.8
Agree 6 46.1
Moderate 3 23.1
Disagree 0 0
Completely Disagree 0 0
Appropriate design of educational programs Strongly Agree 6 46.1
Agree 5 38.5
Moderate 2 15.4
Disagree 0 0
Completely Disagree 0 0
Rationale Strongly Agree 5 38.5
Agree 6 46.1
Moderate 2 15.4
Disagree 0 0
Completely Disagree 0 0

Table 6.

Education program preference (N=20)

Classification Frequency (N) Percent (%)
Required Course Preferences Understanding the beauty industry 6 13.3
Beauty industry employment strategy 12 26.7
Understanding Cosmedicare beauty services and applied products 14 31.1
Understanding and practicing media marketing according to social platforms 13 28.9

Table 7.

Detailed training content preference (N=20)

Curriculum Detailed training contents Frequency (N) Percent (%)
Understanding the beauty industry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local beauty industry 5 11.6
Introduction to cosmetics from major local beauty companies 5 11.6
Cosmetic development direction 4 9.3
Practical cosmetic brand marketing utilization strategy 16 37.2
Practical brand marketing use cases 13 30.2
Beauty industry employment strategy Customer counseling psychology and response techniques 3 5.4
Job-specific analysis and strategy and recruitment process and strategy 9 16.1
Designing employment pathways and recommending employment locations based on individual capabilities 13 23.2
Resume and self-introduction writing methods and practice 10 17.8
R&D business plan theory and practice 7 12.5
Copyright registration method theory and practice 2 3.6
Personal portfolio writing theory and practice and presentation 12 21.4
Understanding Cosmedicare beauty services and applied products Skin science theory 6 11.3
Cosmedicine product theory and practice 14 26.4
How to use and consult with beauty devices and measurement and diagnosis devices 11 20.8
Cosmetic application preparation theory and practice 9 16.9
Theory and practice of customized cosmetic application preparation 13 24.5
Understanding and practicing media marketing according to social platforms SNS business strategy advertising examples and strategies 14 21.9
Promotional marketing based on social platforms 11 17.2
Online shopping mall strategy and detailed page creation 4 6.2
Photography techniques using a smartphone 11 17.1
Live commerce scenario writing and broadcasting know-how strategies and filming methods 7 11
Studio field training 7 11
Media Marketing Cases 10 15.6

Table 8.

Education program satisfaction (N=19)

Classification Frequency (N) Percent (%)
Beauty industry media marketing expert training program Very satisfied 17 89.5
A little satisfied 2 10.5
Is average 0 0
A little dissatisfied 0 0
Very dissatisfied 0 0
Lecture content Very satisfied 16 84.3
A little satisfied 2 10.5
Is average 1 5.2
A little dissatisfied 0 0
Very dissatisfied 0 0
Lnstructor's expertise and lecture preparation Very satisfied 18 94.8
A little satisfied 1 5.2
Is average 0 0
A little dissatisfied 0 0
Very dissatisfied 0 0
Most helpful Teaching method Theory lecture 0 0
Practical lectures 17 89.4
Case-based lectures 1 5.2
Field training 1 5.2

Table 9.

Curriculum Satisfaction (N=19)

Classification Frequency (N) Percent (%)
Understanding the beauty industry 1 5.2
Beauty industry employment strategy 3 15.7
Understanding Cosmedicare beauty services and applied products 7 36.8
Understanding and practicing media marketing according to Social platforms 8 42.1

Table 10.

Satisfaction with detailed training content (N=19)

Classification Frequency (N) Percent (%)
Understanding the beauty industry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local beauty industry 3 9.4
Introduction to cosmetics from major local beauty companies 6 18.8
Cosmetic development direction 0 0
Practical cosmetic brand marketing utilization strategy 10 31.3
Practical brand marketing use cases 9 28.1
Beauty industry employment strategy Customer counseling psychology and response techniques 12 30
Job-specific analysis and strategy and recruitment process and strategy 3 7.5
Designing employment pathways and recommending employment locations based on individual capabilities 7 17.5
Resume and self-introduction writing methods and practice 9 22.5
R&D business plan theory and practice 7 17.5
Copyright registration method theory and practice 1 2.5
Personal portfolio writing theory and practice and presentation 1 2.5
Understanding Cosmedicare beauty services and applied products Skin science theory 6 19.4
Cosmedicine product theory and practice 6 19.4
How to use and consult with beauty devices and measurement and diagnosis devices 9 29
Cosmetic application preparation theory and practice 6 19.4
Theory and practice of customized cosmetic application preparation 4 12.9
Understanding and practicing media marketing according to social platforms SNS business strategy advertising examples and strategies 7 17.1
Promotional marketing based on social platforms 1 2.4
Online shopping mall strategy and detailed page creation 1 2.4
Photography techniques using a smartphone 12 29.3
Live commerce scenario writing and broadcasting know-how strategies and filming methods 7 17.1
Studio field training 7 17.1
Media Marketing Cases 6 14.6

Table 11.

Education program performance

Classification Performance goals Promotion performance (%)
Training personnel 20 20 (100%)
Number of graduates 17 19 (111.7%)
Job seeker or Entrepreneur 16 16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