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Cosmetol > Volume 30(5); 2024 > Article
문제성 발 관리 소비자의 네일샵 방문의도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중심으로

Abstract

This study studied the intention of consumers to visit a nail shop incorporating the expa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to suggest suggestions related to the qualitative growth and marketing strategy of foot health care services. To this end, a measurement tool was prepared through a review of each previous study, and a research analysis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300 adult male and female responses through the method of the questionnaire. The main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according to the above research objectives and method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the planned behavior theory variable on the intention to visit the nail shop, both attitude and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visit the nail shop, and among them, it was analyzed that the positive influence of attitude and norm was stronger.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of consumer experience characteristics consisting of prior experience and prior knowledge in the influence of the variable of the planning behavior theory on the problem development management of the study subjects on the intention to visit nail shops, both prior experience and knowledge showed no moderating effect. Based on these fact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largely summarized in two ways. First, in order to increase the demand for nail shops that provide problematic foot care services,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management strategy to increase the attitude and norms of problematic foot care service through visits to nail shops. Second,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strategy to positively promote the problematic foot care service in nail shops regardless of new and existing customers.

I. 서 론

현대인들의 발 관리는 오늘날 중요한 건강관리 차원의 문제 중 하나로 대두되고 있다(Choi, 2022). 대다수의 발 건강 문제는 균계 감염으로부터 발생하는데, 대표적으로 백선균 혹은 피부사상균으로 인해 발 피부의 각질층이 감염되어 발생하는 무좀이 대표적 사례이다(Bristow & Mak, 2009). 문제성 발로 인해 관리 서비스가 필요한 소비자는 자가치료, 병원, 문제성 발 관리 시술을 수행하는 네일샵 방문 등을 통해 발건강 문제를 해결한다. 이들 중 문제성 발의 심각도에 따라 수술처치가 필요할 경우 병원에 내원하며, 통상적인 발의 문제는 네일샵에서 해결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대다수의 발건강 관련 소비자들의 증상도는 수술(내성발톱 수술 등)이 필요하지 않은 수준으로서, 적절한 자가관리를 통해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상태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Kim, 2012; Lee et al., 2020). 이는 곧 발건강의 개선만이 아닌 각질케어, 페디큐어 등 발관련 미용에 대한 니즈까지 충족시킬 수 있는 네일샵을 통한 시술로 공중의 발건강 관련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일 수 있음으로 풀이해 볼 수 있다.
실제로 오늘날 다수의 국내 네일샵들이 문제성 발, 문제성 발톱에 대한 케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기도 하다(Kim & Kim, 2019; Choi, 2022). 네일 서비스 시장 내에 새로운 서비스로 각광받고 있는 발건강 관리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현시점 양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문제성 발관리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 내지는 선택요인에 대해 규명할 필요성이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소비자들이 네일샵을 통해 문제성 발관리 서비스를 소비하는 빈도는 물론, 서비스 수혜에 따른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마케팅적 차원의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문제성 발관리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관련 연구들은 네일샵의 서비스 품질요소와 가치인식이 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Choi, 2022), 혹은 문제성 발톱 인식과 추천의도 간의 관계 검증(Kim & Kim, 2019), 그리고 단순히 소비자 차원에서 문제성 발톱을 관리하는 실태와 관련한 조사연구(Ryu & Kim, 2022) 외에는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제성 발관리를 소비하기 위해 네일샵을 선택한 소비자들이 어떠한 원인에서 해당 서비스를 선택하였는지를 규명하여 이를 기반으로 한 네일샵 경영차원의 차별적 경영전략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인간의 다양한 실제행동의 원인을 파악하는 이론들 중 합리적 행동이론(TRA: Theory of reasoned action)은 인간의 행동이 스스로 통제할 수 있는 상황이라는 가정 속에서 인간의 행동을 수행하는 주요 원인요소를 주관적 규범, 태도로 제시한 이론이다(Ajzen, 1985). 이후 해당 이론은 인간의 의지만으로 행동을 통제하고 제어할 수 없다는 한계점을 개선하기 위해 지각된 행동통제라는 개념이 부가된 계획행동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으로 발전하였고(Ajzen, 1991), 오늘날 인간의 무수한 실제행동을 설명하는 주요한 이론적 기틀로 활용되고 있다. 해당 이론은 각 연구적 상황에 따라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외의 다른 변인을 부가할 경우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이라 명명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문제성 발 관리 서비스 수요자의 네일샵 선택요인을 연구함에 있어 이러한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접목하여 연구해 보고자 한다.

II. 이론적 배경

1. 문제성 발 관리

문제성 발이란 발무좀, 내성발톱 등 진균에 의해 발생하는 발건강의 위해상태를 의미하는 개념이다. 세계적으로도 과반수 이상의 사람들이 발건강 문제로 인해 의료적 처치나 발 관리 서비스를 받은 경험이 있음이 보고될 만큼(Lopez-Lopez et al., 2021), 현대인의 발 건강은 주요한 건강상 관심주제이기도 하다. 특히, 발건강과 관련한 문제는 과거에 비해 길어진 노동시간을 영위함과 동시에, 다양한 취미활동 및 레저활동 등을 영위하게 되며 활동 다양성에 기반한 맞춤 구두, 특수화 등의 착용빈도가 증가한 것이 원인으로 그 증상이 보다 만연해지고 있다(Kim & Kim, 2019). 이러한 추세로 인해 오늘날 현대인의 발건강과 관련한 다양한 의학, 보건학, 미용학 측면에서의 다수의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Kim & Seo, 2019; Lee et al., 2020).
문제성 발 관리를 치료하는 방법은 일차적으로 약물요법이 권장된다(Degreef & DeDoncker, 1994). 그러나, 약물요법은 치료까지의 기간이 상당히 소요되며, 문제성 발에 대해 즉각적인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한계를 지닌다. 이에 오늘날 다수의 발건강 관련 문제를 지닌 소비자들은 일차적으로 의료적 처치를 받은 뒤, 스스로 민간요법을 통해 치료하거나 관리하는 경우가 다수를 차지한다(Kim & Kim, 2019).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여 오늘날 손과 발의 건강과 미용을 담당하는 네일샵에서는 최근 문제성 발 관리를 위한 다양한 시술을 중심으로 한 풋케어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Choi, 2022).

2. 계획행동이론

오늘날 다수의 소비자의 심리, 행동을 예측하기 위한 연구에서 가장 널리 활용되고 있는 이론 중 하나는 Fishbein과 Ajzen(1975)이 제안한 합리적 행동이론의 확장된 이론인 계획된 행동이론이다(Park & Kim, 2022). 기존 합리적 행동이론은 개인의 행동이 태도와 주관적 규범이라는 두 가지 변인으로 인해 설명될 수 있다고 주장하였으며 각개 개념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태도란 인간이 특정 행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현되는 태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특정 행동에 대해 호의를 갖는 수준을 의미하는 개념이다(Ajzen, 1991). 인간의 행동이 긍정적인 결과를 이끌어낼 것으로 판단하면 그 행동에 대해 호의적인 자세를 갖고 반대의 경우 부정적인 자세를 갖게 된다. 이어 주관적 규범은 가족, 친구 등의 주변인들이 자신의 행동을 지지하거나 반대하는지에 관련한 지각 수준을 의미하는 개념이다(Fishbein & Ajzen, 1975). 이는 곧 행동을 수행하거나 수행하지 않아야 할 것으로 인식하는 개인의 지각된 사회적 압력으로서, 개인이 어떠한 행동을 결정하는데 있어 그에 대해 타인의 반응을 의식하는 수준을 의미하는 개념으로 풀이해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초기 계획행동이론에서 제시한 태도와 주관적 규범의 개념을 본 연구의 상황에 접목해볼 때, 태도는 문제성 발 관리가 필요한 소비자들이 네일샵에 대해 갖는 긍정적 심리상태의 수준을, 주관적 규범은 문제성 발 관리의 치료 또는 문제의 개선에 대해 주변인들이 이를 지지하는 수준으로 이해해볼 수 있다. 이와 같은 합리적 행동이론은 인간의 행동에 대해 개인적 차원의 요소인 태도와 사회적 요소인 주관적 규범에 의해 영향받아 결정된다고 하였으며, 행위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고 주변인들로부터 받는 지지의 수준이 높을 때 행동의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설명하였다.
한편, 기존의 계획행동이론은 시간과 금전 문제 등의 개인의 통제수준을 넘어서는 상황을 고려하지는 못하였다. 이와 같은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Ajzen(1991)은 합리적 행동이론에 대해 지각된 행동통제의 개념을 부가하여 계획된 행동이론을 제시하였는데, 이때의 지각된 행동통제란 개인이 특정행동을 수행함에 있어 얼마나 행위가 비용 대비 효용이 유용한지를 지각하는 수준을 일컫는다(Ajzen, 1991). 즉, 돈이나 시간, 기회 등 외부적 통제요인과 성격, 기술, 능력 등의 내재적 통제요인이 개인의 통제력으로서 통제될 수 있는지에 관한 수준이다. 지각된 행동통제는 자기효능감(self-efficacy)의 개념과 유사한데, 자기효능감의 개념이 특정한 행동을 개인이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지에 대한 확신을 의미한다는 점에(Bandura, 1977) 개인의 통제력에 따라 특정 행동을 수행할 수 있을지에 대한 지각 수준을 지각된 행동통제로 볼 수 있는 것이다. 해당 개념을 본 연구의 상황에 접목해보면, 소비자들이 네일샵 방문을 통해 문제성 발 관리를 받는 것에 대해 지각하는 금전 혹은 시간에 대한 여력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계획된 행동이론은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인간의 다양한 사회적 행위들을 예측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여전히 어떠한 행위인지의 여부에 따라 개개인들의 행위 동기, 불확실성, 과거의 경험, 사전 지식 등 다양한 제반변인이 영향을 미친다는 비판이 제기되어 옴에 따라, 계획된 행동이론은 각 연구상황에 적합한 변인을 부가하여 보다 정교화된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으로서 다수의 연구에 활용되고 있는 추세이다(Nickell & Hinsz, 2023; Rahman et al., 2022; Suntornsan et al., 2022). 즉,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이란 기존의 계획행동이론의 확장모델로서 인간의 행위를 설명하는 변인을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외에도 각개 행동적 상황에 따라 수많은 변인들이 영향을 미칠 것이라 가정하고 연구자의 주관에 따라 새로운 변수를 추가한 모형으로 정의된다(Suntornsan et al., 2022).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접목하여 소비자의 행동을 연구한 사례는 다수 존재하지만, 아직까지 미용 및 향장학 분야에서 연구상황에 따른 새로운 변수를 추가하여 소비자 행동을 추적하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활용하여 문제성 발 관리 소비자들의 행동적 의사결정을 규명한다는 점에 그 차별성을 제시해 볼 수 있다.

3. 선행연구의 검토

계획행동이론을 문제성 발 관리 소비자들에게 적용하여 네일샵 혹은 병의원 시설 등에 대한 방문의도를 조사한 연구사례는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그러나, 미용교육 차원에서의 교육 참여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시도에서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사례(Han & Chang, 2019), 피부미용사들의 근골격계 질환 예방운동실천을 설명하기 위한 시도에서 계획행동이론을 활용한 사례(Park & Choi, 2013), 혹은 소비자의 기능성 화장품 선택속성을 연구함에 있어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연구 사례(Jang et al., 2022)가 수행되어 왔다. 선행연구들에서는 연구대상의 각개 행동의도를 설명하는 변인으로서의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의 영향력이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의 상황에 따라 개별 변인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다른 것으로 보고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문제성 발 관리 차원에서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한 계획된 행동이론을 접목한 연구적 시도가 미흡하다는 점은 본 연구의 차별성으로 제시해 볼 수 있다.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에서는 문제성 발 관리 서비스 수요자의 네일샵 선택요인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설정한 본 연구의 모집단은 발건강에 문제를 호소하고 있는 모든 성인남녀이다. 이러한 모집단의 특성을 적절하게 반영하기 위하여 설정한 본 연구의 표본집단의 선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1)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여 문제성 발 관리 서비스를 받기 위한 인프라 여건이 충분한 대상
2) 문제성 발 관리를 받기 위해 자가치료가 아닌 외부 기관(병원, 네일샵 등)을 통해 서비스를 받은 경험이 있는 대상
이외에 연구대상자 선정 배제기준으로서 설문을 이해하기 어렵거나, 발건강에 대한 문제가 있지만 자가치료만의 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연구대상자에서 배제하였다.
적정 표본 수를 산정하기 위하여 통계프로그램 G*Power 3.1.9.4를 통해 본 연구의 주요 분석방법인 회귀분석(F tests), 예측변인 수 6개, 검증력 95%, 효과크기 0.1로 설정한 결과는 최소 215명의 표본이 필요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이에, 조사 과정 중 불성실한 응답으로 인한 탈락률을 30%이상으로 충분하게 고려하여 총 312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최종 300명의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성인남녀 중 발건강에 대한 문제가 있는 성인남녀를 최종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설문조사는 문제성 발 관리를 요하는 대상자인지 여부를 추려내기 위해 수도권에 있는 네일샵을 방문한 고객 중 발 건강에 문제가 있는 집단에 대한 설문조사만이 시행 되도록 하였다. 설문기간은 2024년 7월 1일부터 30일까지의 총 30일간 시행되었으며, 각 연구대상자에게는 구조화된 설문지가 배포되어 스스로 설문에 응답하는 자기기입식 설문에 따라 각 설문내용을 평정하도록 하였다. 또한, 연구의 자발적 참여 의사를 묻는 안내문을 첨부하여 자료수집 과정 중 연구의 윤리성을 준수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2. 연구문제

앞선 서론과 이론적 고찰에 의거하여 설정한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문제성 발 관리 서비스 수요자들의 문제성 발 관리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네일샵 방문의도에 대한 구성차원을 알아보고, 신뢰성을 검증한다.
연구문제 2. 문제성 발 관리 서비스 수요자들의 문제성 발 관리에 대한 태도와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수준이 그들의 네일샵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연구문제 3. 문제성 발 관리 서비스 수요자들의 문제성 발 관리와 관련한 사전 지식과 경험이 이들의 계획행동에 따른 제 변인과 방문의도 간의 관계에 대해 조절하는 영향을 알아본다.

3. 측정도구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성별, 연령대, 월 평균 소득, 발관련 증상 유형, 증상 보유 기간으로 구성된 5문항을 명목척도로 구성하였다.

2) 계획행동이론의 구성변인

계획행동이론의 제 변인인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 통제와 행동의도(네일샵 방문의도)는 Ajzen(1991)의 연구를 토대로 하여 Park & Kim(2022)이 활용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들은 공연예술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를 측정하였다는 점에, 본 연구에서는 문제성 발 관리 상황에 적합하도록 문항 내용을 수정하여 활용하였으며 각 태도 4문항, 주관적 규범 4문항, 지각된 행동통제 4문항, 행동의도 4문항으로 총 16문항으로 구성된다. Park & Kim(2022)의 선행연구에서 규명된 연구도구의 내적신뢰도계수 Cronbach’s α는 각 태도=0.957, 주관적 규범=0.914, 지각된 행동통제=0.909, 행동의도=0.930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위 변인들을 리커트식 5점 만점 척도를 활용하여 1점(매우 그렇지 않다)~5점(매우 그렇다)로 평정하였으며, 각 점수가 높을수록 소비자의 문제성 발 관리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네일샵 방문의도 수준이 높은 것으로 해석하였다.

3) 사전 지식과 경험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의 부가변수로 투입한 사전 지식과 사전 경험은 연구자가 제작하여 측정하였다. 사전 지식의 경우 “나는 문제성 발 관련 문제에 대해서는 다른사람보다 잘 알고 있다” 등 4문항에 대해 리커트식 5점 만점 척도로 측정하여 사전 지식의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사전 경험의 경우 “나는 문제성 발 관리를 위해 네일샵을 방문한 경험이 있다”라는 문항에 대해 ‘없다’, ‘있다’로 구성된 단일문항의 명목척도로 평정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해당 측정도구에 대한 내적 신뢰도계수 Cronbach’s α를 산출한 결과, 사전 지식 4문항의 경우 0.893으로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4. 자료처리방법

본 연구에서는 최종적으로 수집된 유효표본을 바탕으로 통계처리프로그램 SPSS 26.0를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자료처리 방법을 시행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기본적 특성 분포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시행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 활용한 연구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시행하고 내적신뢰도계수 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셋째, 요인분석으로 인해 추려진 주요 변인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계수를 도출하고, 이를 보기 쉽게 표로 정리하였다.
넷째,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네일샵 방문의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각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및 사후검증으로서의 Scheffe 검증을 시행하였다.
다섯째,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의 제 변인인 태도 및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수준이 소비자의 네일샵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선형회귀분석(Multiple-linear Regression Analysis)을 시행하였다.
여섯째, 소비자 경험특성(사전 경험, 사전 지식)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각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의 제 변인들과 소비자 경험특성 변인 간 상호작용항을 생성한 뒤, 조절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이상의 모든 통계적 분석에서 유의성 검증수준은 유의확률 p<.05로 설정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에서는 최종적으로 300부의 유효표본을 수집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시행한 결과는 다음 <Table 1>과 같다.
성별은 여성 43.7%, 남성 56.3%으로 남성이 더욱 많았다. 연령은 40대가 34.0%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차례로 30대 30.7%, 50대 이상 23.0%, 20대 12.3%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소득구간은 300만 원 이상 500만 원 미만이 37.0%으로 가장 많았으며, 차례로 200만 원 이상 300만 원 미만이 26.3%, 500만 원 이상이 21.0%, 200만 원 미만이 15.7%를 차지하였다. 이어 이들의 문제성 발 유형은 발톱무좀이 41.0%로 가장 많았으며, 차례로 각화형 무좀이 33.0%, 기타 유형이 10.3%, 지간형 무좀이 8.0%, 수포형 무좀이 7.7% 순이었다. 이들이 위와 같은 발의 문제적 증상을 보유한 기간은 3년 이상이 39.7%으로 가장 많았으며, 차례로 6개월 이상 1년 미만이 24.7%, 1년 이상 3년 미만이 21.7%, 6개월 미만이 14.0% 순이었다. 마지막으로 연구대상자들이 문제성 발 증상 치료 목적으로 네일샵을 방문한 경험의 경우 없는 대상이 81.0%으로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였다.

2. 독립변인의 타당성 및 신뢰도

본 연구의 독립변인인 문제성 발 관리 서비스 수요자들의 문제성 발관리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에 대한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Varimax 회전을 적용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시행한 결과는 다음 <Table 2>와 같다. 총 세 가지 요인으로 구성된 기존의 독립변인은 태도와 주관적 규범 요인이 통합되어 두 가지 요인으로 축약되었다. Bartlett의 단위행렬 검정 결과, 카이제곱=2003.570(df=55, p<.001), KMO 표본적합도는 0.916, 공통성은 0.574 이상으로 나타났기에 요인분석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요인분석으로 인해 추려진 첫 번째 요인은 ‘태도 및 규범’ 요인으로 요인적재값은 0.768~0.853으로 나타났으며, 고유값은 5.506, 분산설명비율은 50.052%으로 나타났다. 기존 계획행동이론에 따르면 태도와 주관적 규범은 별개의 요인으로 분류되어야 하나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요인으로 분류되었는 데, 이는 다수의 연구에서 주관적 규범요인의 설명력이 부족하고 태도와 높은 상관성을 지닌다는 점이 지적된 사실을 방증한 결과로 볼 수 있다(Noh et al., 2013; Yoon, 2015). 특히, 문제성 발관리와 같은 메디컬뷰티 영역에서 소비자들의 서비스 선택 중요요인 중 하나가 구전이라는 점을 토대로 볼 때(Oh, 2022), 타인을 고려하여 특정행동에 대한 스스로의 규범을 세우는 주관적 규범은 특정행동에 대한 직결적인 태도형성과 긴밀한 관계에 있다고 판단해볼 수 있는 바 본 연구에서는 해당 요인이 통합된 것으로 풀이된다. 두 번째 요인은 ‘행동통제’ 요인으로 요인적재값은 0.712~0.752로 나타났으며, 고유값은 1.801, 분산설명비율은 16.372%로 나타났다. 모든 요인에 대한 타당성 기준을 볼때, 각개 요인의 고유값이 1을 넘고, 모든 문항의 요인적재량이 0.6을 상회함과 동시에 최종 누적분산비가 60%를 상회하여 타당성이 확보되었음으로 판단된다.
이후 탐색적 요인분석의 결과로 추려진 각 요인들에 대한 내적신뢰도 Cronbach’s α를 도출한 결과, 0.614~0.935로 0.6 이상의 수치가 도출되어 각 구성요인에 대한 신뢰도 또한 확보되었다.

3. 종속변인의 타당성 및 신뢰도

본 연구의 종속변인인 문제성 발 관리 서비스 수요자들의 네일샵 방문의도에 대한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Varimax 회전을 적용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시행한 결과는 다음 <Table 3>과 같다. 요인분석 결과 단일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이에 해당 요인을 ‘방문의도’라 명명하였다.
방문의도를 구성하는 문항들의 요인적재값은 0.802~0.917로 나타났으며, 고유값은 2.891, 분산설명비율은 72.283%으로 나타났다. 해당 단일요인의 고유값이 1을 넘고, 모든 문항의 요인적재량이 0.6을 상회함과 동시에 누적분산비가 60%를 상회하여 타당성이 확보되었음으로 판단된다. 또한, 해당 단일 요인의 신뢰도를 산출한 결과 0.872로 0.6 이상의 수치가 도출되어 각 구성요인에 대한 신뢰도 또한 확보되었다.

4. 조절변인의 타당성 및 신뢰도

본 연구의 조절변인인 문제성 발 관리 서비스 수요자들의 문제성 발 관리에 대한 경험특성 중, 연속형 측정변인으로 구성된 사전지식 측정도구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Varimax 회전을 적용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시행한 결과는 다음 <Table 4>와 같다. 요인분석 결과 단일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이에 해당 요인을 ‘사전지식’이라 명명하였다.
사전지식을 구성하는 문항들의 요인적재값은 0.805~0.930으로 나타났으며, 고유값은 3.105, 분산설명비율은 77.618%으로 나타났다. 해당 단일요인의 고유값이 1을 넘고, 모든 문항의 요인적재량이 0.6을 상회함과 동시에 누적분산비가 60%를 상회하여 타당성이 확보되었음으로 판단된다. 또한, 해당 단일요인의 신뢰도를 산출한 결과 0.898로 0.6 이상의 수치가 도출되어 각 구성요인에 대한 신뢰도 또한 확보되었다.

5. 주요 변인 간 상관관계

본 연구의 구성변인 중 연속형 측정변인인 태도 및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방문의도, 사전지식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계수를 산출하고 이를 표로 정리한 결과는 다음 <Table 5>와 같다.
분석결과, 본 연구의 독립변인인 계획행동이론의 구성요소와 방문의도 간 상관관계를 살펴 본 결과 태도 및 주관적 규범과 방문의도(r=.398, p<.01), 지각된 행동통제와 방문의도(r=.350, p<.01)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또한 본 연구의 독립변인은 조절변인인 문제성 발 관리에 대한 사전지식과 각 태도 및 주관적 규범(r=.852, p<.01), 지각된 행동통제(r=.429, p<.01)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조절변인인 사전지식의 경우 향후 네일샵 방문을 통해 문제성 발 관리를 받고자 하는 방문의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r=.489, p<.01). 이에, 본 연구의 구성변인은 모두 상호간 정(+)적 상관이 있음으로 정리해 볼 수 있다.

6.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네일샵 방문의도의 차이

본 절에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네일샵 방문의도의 차이가 존재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각 독립표본 t-검증 및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Table 6>과 같다. 연구대상자의 네일샵 방문의도에 대한 차이를 불러일으키는 요인은 연구대상자의 성별(t=2.379, p<.05), 월 평균 소득액(F=3.925, p<.01), 문제성 발 증상 유형(F=2.592, p<.05), 증상 보유 기간(F=5.794, p<.01), 사전 경험 여부(t=-5.267, p<.001)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성별의 경우 남성의 네일샵 방문의도 수준(3.23)이 여성(3.00)보다 높았고 월 평균 소득액 구간의 경우 사후검증 결과 200만 원 미만 소득구간의 대상자가 지닌 네일샵 방문의도 수준(2.79)보다 각 300만 원 이상 500만 원 미만 소득구간 대상자(3.24), 그리고 500만 원 이상 소득구간 대상자가 지닌 네일샵 방문의도 수준(3.26)이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문제성 발 유형의 경우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존재하지만 사후검증 결과 어떠한 증상유형이 더욱 높은 네일샵 방문의도 수준을 지닌지는 분석할 수 없었으며, 증상 보유기간의 경우 6개월 미만 대상자(2.97)보다 1년 이상 3년 미만 대상자(3.45)의 네일샵 방문의도 수준이 높았고, 1년 이상 3년 미만 대상자(3.45)의 네일샵 방문의도 수준이 3년 이상의 증상 보유기간 대상자(2.97)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네일샵 방문을 통한 문제성 발 관리의 사전 경험 여부는 없는 대상자(2.63)보다 있는 대상자(3.24)의 경우 네일샵 방문을 통한 문제성 발 관리에 더욱 높은 의도를 보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7. 연구대상자의 문제성 발 관리에 대한 태도 및 규범과 지각된 행동통제 수준이 네일샵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본 절에서는 앞선 요인분석으로 인해 추려진 연구대상자의 문제성 발 관리에 대한 태도 및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수준이 네일샵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Table 7>과 같다. 분석결과, 계획행동의 제 변인인 태도 및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수준이 대상자의 네일샵 방문의도를 설명하는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F=37.740, p<.001),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약 19.7%인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인 영향요인을 살펴보면, 연구대상자의 태도 및 규범(t=5.454, p<.001, β=.308)과 지각된 행동통제(t=4.048, p<.001, β=.228) 요인이 이들의 네일샵 방문의도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뷰티 서비스 분야에서 계획행동이론을 활용한 방문의도를 연구한 연구사례는 부재하나, 온라인 콘텐츠에 대한 다운로드 의도를 연구한 Park & Han(2007)의 연구에서도 계획된 행동이론의 제 변인 중 지각된 행동통제가 궁극적 행동의도에 가장 강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점, 2018 평창동계올림픽에 대한 참여의도를 연구한 Hong(2017)의 연구에서도 지각된 행동통제가 개최지 내 주민들의 올림픽 관람의도를 가장 강하게 설명하였다는 점 등과는 배치되는 내용인데, 본 연구에서는 지각된 행동통제보다 태도 및 규범의 영향력이 강하게 도출되었기 때문이다. 지각된 행동통제란 행위자를 관점으로 내적요소 및 외적요소로 나뉘어, 내적요소의 경우 행위를 수행함에 있어 제한적 상황에 마주하였을 시 자아능력과 자신감, 자아통제력 등을 의미하는 개념이며 외적요소의 경우 행위를 수행하는데 따르는 시간과 기회, 비용 등에 대해 그 행위를 수행하는데 거리낌 없는 정도로 지각하는 개념으로 이해된다(Ajzen, 1991). 반면, 태도 및 규범의 경우 행동을 수행하는데 잇따르는 호의적 태도와 주변인들로부터 받는 지지의 지각 수준을 의미하는 개념이다(Fishbein & Ajzen, 1975).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문제성 발 관리를 요하는 소비자들이 네일샵을 방문하여 문제성 발 관리 서비스를 받도록 동인하는 가장 강한 요소가 태도 및 규범이라는 사실에, 네일샵 방문을 통한 문제성 발 관리의 경우 시간과 비용의 제약 측면 보다 네일샵의 문제성 발 관리 서비스에 대한 품질 제고를 통한 소비자 이미지의 긍정적 형성, 이를 통해 샵내 문제성 발 관리 서비스에 대한 긍정적 구전을 유도하는 것이 성공적인 경영전략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구체적으로, 네일샵에 대한 네일샵에서 시행하는 문제성 발 관리 프로그램에 대하여 SNS 채널 등을 활용한 다양한 홍보 등을 시행하여 네일샵 내 문제성 발 관리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 등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8. 연구대상자의 문제성 발 관리에 대한 태도 및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수준이 네일샵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소비자 경험특성의 조절효과

본 절에서는 계획행동이론에 따라 문제성 발 관리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 및 규범, 행동통제가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소비자 경험특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Baron & Kenny(1986)가 제시한 조절효과 검증 절차에 따라 위계적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구체적인 단계는 첫째,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이어 둘째, 독립변수와 조절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독립변수와 조절변수 간 상호작용항을 생성한 뒤 이를 부가적으로 투입한 최종 회귀모형을 도출한다. 이에, 총 회귀모형은 3단계 절차로 구성되며 모든 회귀모형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제2단계와 3단계에서 조절변수의 통계적 유의성이 검증됨과 동시에 최종단계에서 상호작용항의 영향력이 유의할 경우 조절효과가 있음으로 판단한다. 이때, 첫번째 단계에 해당하는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 인과관계는 앞선 <Table 7>에서 검증된 바, 본 절에서는 각 두번째 단계에 해당하는 Model 1과 세번째 단계에 해당하는 Model 2에 해당하는 분석결과만을 제시한다.

1) 사전 경험의 조절효과

연구대상자의 문제성 발 관리에 대한 태도 및 규범, 행동통제 수준이 네일샵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사전 경험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조절회귀분석을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 8>과 같다.
기존의 계획행동이론에 따라 요인화된 독립변인인 행동 및 규범, 행동통제와 조절변인인 사전 경험을 투입한 상황에서 연구대상자의 네일샵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25.166, p<0.001). 그러나, 조절변인인 사전 경험이 네일샵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 바(β=.031, p=.641), 사전 경험은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문제성 발 관리가 필요한 소비자들의 문제성 발 관리에 대한 태도 및 규범, 행동통제 수준이 네일샵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사전 경험이 적고 많음은 이들 간의 영향관계를 강화하거나 약화시키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볼 수 있는 바, 네일샵 방문을 통해 문제성 발 관리를 받은 경험 여부는 차후 문제성 발 관리 치료를 위한 네일샵 방문과 큰 연관성이 없음으로 해석해볼 수 있는 대목이다.

2) 사전 지식의 조절효과

연구대상자의 문제성 발 관리에 대한 태도 및 규범, 행동통제 수준이 네일샵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사전 지식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조절회귀분석을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 9>와 같다.
기존의 계획행동이론에 따라 요인화된 독립변인인 행동 및 규범, 행동통제와 조절변인인 사전 지식을 투입한 상황에서 연구대상자의 네일샵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35.606, p<0.001). 또한, 조절변인인 사전 지식도 네일샵 방문의도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t=5.019, p<.001, β=.486). 이에 사전 지식과 행동 및 규범, 사전 지식과 행동 통제 간 상호작용항을 부가적으로 생성한 뒤 독립변으로 투입한 Model 2를 분석한 결과, 회귀모형의 유의성(F=21.635, p<0.001)은 검증되었으나 전반적인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약 0.1% 감소한 25.7%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각 상호작용항도 네일샵 방문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에, 사전 지식은 사전 경험과는 다르게 자체적으로 네일샵 방문의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은 존재하나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해석해볼 수 있다. 즉, 문제성 발 관리 수요자들의 네일샵 방문에 대한 사전 경험, 그리고 문제성 발 관리에 대한 사전 지식의 여부와 무관하게 모두 네일샵 방문을 통하여 문제성 발 관리를 받는 것에 대한 태도 및 규범과 지각된 행동통제 수준이 높아질 경우 방문의도도 동일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풀이해볼 수 있는 결과이다.

V. 결 론

오늘날 다수의 네일샵들이 문제성 발에 대한 케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본 연구는 발건강 관리 서비스의 질적 성장 및 마케팅 전략과 관련한 제언을 제시하기 위해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접목한 소비자의 네일샵 방문의도를 연구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계획행동이론의 제 변인인 태도와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에 더해 확장된 모형으로서 사전 경험 및 사전 지식 변인을 투입하여 네일샵을 통한 문제성 발 관리 방문의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각 선행연구의 검토를 통해 측정도구를 마련하고, 설문의 방법을 통해 총 300명의 성인남녀 응답 자료로 연구분석을 시행하였다. 이상의 연구 목적과 방법에 따른 본 연구의 주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첫째, 문제성 발 관리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계획행동이론의 제 변인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이에 대한 구성차원을 규명한 결과 태도 및 규범이 하나의 요인으로 묶였으며, 그 외로 방문의도와 지각된 행동통제는 온전한 단일요인으로 분류되어 총 2가지 요소로 타당성 및 신뢰성이 확보되었다. 이어 각 연구의 종속변인인 방문의도, 조절변인인 사전지식은 각 단일요인으로 분류 및 타당성 신뢰성이 확보되었고 모든 연구 변인의 내적신뢰도가 확보되었다.
둘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네일샵 방문의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구대상자의 성별, 월 평균 소득액, 문제성 발 증상 유형, 증상 보유 기간, 사전 경험 여부에 따른 네일샵 방문의도의 차이가 있었으며 남성, 상대적 고소득자, 1년 이상 3년 미만의 중기 증상 보유자, 그리고 사전 네일샵 방문을 통해 문제성 발 관리를 받은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이 네일샵 방문을 통한 문제성 발 관리 치료에 대해 보다 호의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계획행동이론에 따른 제 변인이 네일샵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태도 및 규범과 지각된 행동통제 모두 네일샵 방문의도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이들 중 태도 및 규범의 정(+)적 영향력이 더욱 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연구대상자의 문제성 발 관리에 대한 계획행동이론의 제 변인이 네일샵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사전 경험과 사전 지식으로 구성된 소비자 경험특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사전 경험 및 지식은 모두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실을 토대로 한 본 연구의 결론은 크게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문제성 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일샵의 수요를 높이기 위해서는 소비자들의 네일샵 방문을 통한 문제성 발 치료의 태도 및 규범을 높일 수 있는 경영차원의 전략마련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구체적으로 네일샵의 문제성 발 관리 서비스에 대한 품질 제고를 통한 소비자 이미지의 긍정적 형성, 이를 통해 샵내 문제성 발관리 서비스에 대한 긍정적 구전을 유도하는 것이 성공적인 경영전략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이를 위해서는 네일샵에 대한 네일샵에서 시행하는 문제성 발 관리 프로그램에 대한 SNS 채널 등을 활용한 다양한 홍보 등의 시행이 네일샵 내의 문제성 발 관리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환기시킬 수 있는 대표적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외에도 지각된 행동통제 또한 네일샵 방문을 통한 문제성 발 관리 서비스 수요의 영향요인이 된다는 점을 토대로, 네일샵에서 제공하는 문제성 발 관리 서비스에 대한 다양한 기법의 개발 및 해외연수 등을 통해 시간 및 비용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무엇보다 네일샵 방문을 통해 문제성 발 관리를 받을 경우 완치될 수 있다는 신념과 증상개선에 대한 소비자 스스로의 통제력을 기를 수 있도록 네일샵 내 문제성 발 관리에 대한 전문성 홍보, 긍정적 인식의 제고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위와 같은 마케팅적 대안은 소비자들의 네일샵 방문에 대한 사전 경험 여부, 문제성 발 관리에 대한 지식의 수준과 무관하게 동등하게 접목될 수 있다는 점이다. 즉, 신규 고객과 기존 고객에 무관하게 이들의 네일샵 방문을 통한 문제성 발 관리의 핵심요인은 네일샵에 대해 갖는 소비자의 태도 및 규범으로서 이들이 네일샵 내에서 시행하는 문제성 발 관리를 얼마나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주변인들 또한 얼마나 긍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는지가 중요한 요인인 바 네일샵 내 문제성 발 관리 서비스를 긍정적으로 홍보할 수 있는 전략마련이 가장 중요한 내용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논의 및 결론에 이어 다음과 같은 연구의 결론적 시사점과 차후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네일샵 방문을 통한 문제성 발 관리 분야에서 태도 및 규범 요인이 가장 주요한 핵심요인이라는 점을 밝혔고 이를 통해 SNS 채널 홍보 등의 방안을 제시하였지만 실제 소비자들이 네일샵 방문을 통한 문제성 발 관리에 대해 호의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세부적인 대안을 제시하지는 못하였다. 이에, 후속연구로서 문제성 발 관리에 대한 소비자들의 사고구조를 분석하여 태도와 주관적 규범을 향상시킬 수 있는 대안이 무엇인지 규명할 수 있는 심층인터뷰 기반의 질적연구가 수행될 필요성이 제기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태도 및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요인이 네일샵 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인자라는 것을 밝혔지만, 실제 문제성 발 관리가 필요한 소비자들의 네일샵 방문의도에는 무수히 많은 영향요인이 존재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본 연구와 같이 두 가지 요소만으로 이들의 네일샵 방문을 통한 문제성 발 관리 시술의도를 설명하기에는 일반화의 오류가 있다. 이에, 후속연구로서 실제 네일샵 방문을 통해 문제성 발 관리를 받은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한 심층 인터뷰 등을 시행하여 이들이 네일샵 방문을 통해 문제성 발 관리를 받게 된 경위, 상황, 맥락 등에 대한 이해를 통해 네일샵 방문에 대한 영향요인을 규명하는 척도개발 연구 등이 이루어질 필요성이 제기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네일샵 방문을 통한 문제성 발 관리 소비자들로 한정하여 조사연구를 시행하였으나, 향후 후속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이 보다 문제성 발 치료에 대한 신뢰를 형성하고 있는 병의원시설, 기타 자가치료 등 분야에 대한 방문 의도 영향요인을 조사하여 문제성 발 관리 치료 접근 측면에서의 다양한 연구적 시도가 잇따를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를 시작으로 다양한 문제성 발 관리 소비자들의 행동관련 연구가 수행되어 네일샵 내의 문제성 발 관리 서비스의 질적 개선은 물론, 공중의 발건강 관련 문제가 개선될 수 있기를 바란다.

Table 1.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Statistics (N=300,%)
Item Sum
Frequency (N) Percentage (%)
Gender Male 169 56.3
Female 131 43.7
Age 20s 37 12.3
30s 92 30.7
40s 102 34.0
50s or above 69 23.0
Monthly average salary Less than 2 million won 47 15.7
2-3 million won 79 26.3
3-5 million won 111 37.0
5 million won or more 63 21.0
Problematic foot symptom type Interdigital type 24 8.0
Moccasin type 99 33.0
Inflammatory type 23 7.7
Toenail athlete's foot 123 41.0
Etc 31 10.3
Symptom retention period Less than 6 months 42 14.0
1 - 3 year(s) 65 21.7
6 months - 1 year 74 24.7
3 years - 119 39.7
Prior Experience Yes 57 19.0
No 243 81.0
Sum 300 100
Table 2.
Validity and Reliability of Independent Variables
Questionnaire Factor 1
Factor 2
Commonality
Attitude and Norms Behavioral Control
Getting problematic foot care at a nail shop is a beneficial behavior for treatment. .853 .137 .746
Getting problematic foot care at a nail shop is a valuable action to improve the condition. .837 .223 .751
I think people around me will also prefer to visit nail shops if problems such as toenail athlete's foot and resistant toenails occur. .828 .089 .694
Problematic foot care through nail shops is expected to alleviate symptoms. .827 .234 .739
When I know that people around me do problematic foot care at the nail shop, they will recommend me to visit the nail shop. .821 .129 .690
People around me think positively about treating foot health problems in nail shops. I am favorable about getting problematic foot care through nail shops. .814 .067 .667
I think when there is a foot health problem, a visit to a nail shop should be prioritized over hospital treatment. .782 .151 .634
The problem of path selection for my problem foot care(nail shop, self, hospital, etc.) depends on my decision. .768 .164 .617
Even if it is a busy daily life, it is a time condition for problematic foot carethrough regular visits to nail shops. -.090 .752 .574
Even if the cost of the problematic foot care procedure at the nail shop is somewhat .290 .725 .610
high, I have no financial burden on the procedure cost. .280 .712 .585
Eigen Value 5.506 1.801
Explanatory variate (%) 50.052 16.372
Cumulative variate (%) 50.052 66.424
Reliability coefficient (Cronbach's α) .935 .614
Table 3.
Validity and Reliability of Dependent Variable
Questionnaire Factor 1
Commonality
Intention to Visit
I have a plan to visit the nail shop and get problematic foot care. .917 .840
I will visit the nail shop and get problematic foot care. .840 .706
Whenever I need problem foot care through an external agency, I will consider visiting the nail shop as a top priority. .838 .703
Even if the cost goes up a little, they are willing to visit a nail shop to get a problematic foot care procedure. .802 .643
Eigen Value 2.891
Explanatory variate (%) 72.283
Cumulative variate (%) 72.283
Reliability coefficient (Cronbach's α) .872
Table 4.
Validity and Reliability of Moderating Variable
Questionnaire Factor 1
Commonality
Prior Knowledge
I am well aware of the treatment of problematic feet. .930 .865
I have a high level of knowledge of foot health-related issues. .903 .816
I see a lot of information about problematic foot care. .880 .775
I am more aware of problematic foot care than others. .805 .649
Eigen Value 3.105
Explanatory variate (%) 77.618
Cumulative variate (%) 77.618
Reliability coefficient (Cronbach's α) .898
Table 5.
Correlation between Research Variables
Factor IV
DV
MV
Attitude and Norms Behavioral Control Intention to Visit Prior Knowledge
IV Attitude and Norms 1
Behavioral Control .396** 1
DV Intention to Visit .398** .350** 1
MV Prior Knowledge .852** .429** .489** 1

IV: Independent Variables, DV: Dependent Varaible, MV: Moderating Variable.

** p<.01

Table 6.
Difference Analysi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N=300)
Item Statistics (Intention to Visit)
M±SD t (p) or F (p) Sheffe
Gender Male (N=169) 3.23±0.823 2.379* -
Female (N=131) 3.00±0.834 -
Age 20s (N=37) 3.06±1.002 2.459 -
30s (N=92) 3.13±0.877 -
40s (N=102) 3.28±0.777 -
50s or above (N=69) 2.94±0.728 -
Monthly average salary Less than 2 million wona (N=47) 2.79±0.751 3.925** a < c, d
2-3 million wonb (N=79) 3.07±0.697
3-5 million wond (N=111) 3.24±0.878
5 million won or mored (N=63) 3.26±0.913
Problematic foot symptom type Interdigital type (N=24) 3.45±0.625 2.592* -
Moccasin type (N=99) 3.14±0.805 -
Inflammatory type (N=23) 3.34±0.642 -
Toenail athlete's foot (N=123) 3.11±0.920 -
Etc (N=22) 2.79±0.736 -
Symptom retention period Less than 6 monthsa (N=42) 2.97±0.767 5.794** a < c, c > d
6 months - 1 yearb (N=65) 3.16±0.863
1 - 3 year(s)c (N=74) 3.45±0.771
3 years -d (N=119) 2.97±0.831
Prior Experience Yes (N=57) 3.24±0.767 -5.267*** -
No (N=243) 2.63±0.927 -

* p<.05,

** p<.01,

*** p<.001

Table 7.
The Effect of Attitudes and Norm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on the Intention to Visit a Nail Shop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Coefficient (B) SE of coefficient (SE B) β t p
Intention to Visit (Constant) 1.406 .208 6.770 *** .000
Attitude and Norms .286 .053 .308 5.454 *** .000
Behavioral Control .250 .062 .228 4.048 *** .000
R2 =.203  adj R2 =.197 F=37.740 p = .000***

*** p<.001

Table 8.
The Moderating Effect of Prior Experience on Intention to Visit a Nail Shop
Model No. Independent variable Coefficient (B) SE of coefficient (SE B) β t p
Model 1 (IV+MV→DV) Model 1 (Constant) 1.357 .233 5.824 *** .000
Attitude and Norms .272 .061 .293 4.501 *** .000
Behavioral Control .243 .064 .222 3.801 *** .000
Prior Experience .065 .139 .031 .467 .641
R2 =.203 adj R2 =.195 F=25.166 p = .000***
Model 2 (IV+MV+Int →DV) (Constant) 1.120 .350 3.196 ** .002
Attitude and Norms .304 .063 .326 4.829 *** .000
Behavioral Control .214 .067 .195 3.191 ** .002
Prior Experience .175 .179 .082 .979 .328
Attitude and Norms * Prior Experience .223 .133 .125 1.684 .093
Behaviroal Control * Prior Experience -.111 .138 -.051 -.805 .421
R2 =.212 adj R2 =.199 F=15.817 p = .000***

** p<.01,

*** p<.001

IV: Independent varaibles(Attitude and norms + Behavioral control)

MV: Moderating variable(Prior Experience)

DV: Dependent varaible(Intention to visit)

Int: Interaction terms

Table 9.
The Moderating Effect of Prior Knowledge on Intention to Visit a Nail Shop
Model No. Independent variable Coefficient (B) SE of coefficient (SE B) β t p
Model 1 (IV+MV→DV) (Constant) 1.672 .207 8.091 *** .000
Attitude and Norms -.079 .089 -.085 -.892 .373
Behavioral Control .193 .061 .176 3.182 *** .002
Prior Knowledge .421 .084 .486 5.019 *** .000
R2 =.258 adj R2 =.258 F=35.606 p = .000***
Model 2 (IV+MV+Int→DV) (Constant) 1.626 .232 6.993 *** .000
Attitude and Norms -.064 .094 -.033 -.681 .496
Behavioral Control .193 .061 .286 3.159 ** .002
Prior Knowledge .412 .086 .381 4.789 *** .000
Attitude and Norms * Prior Knowledge .056 .056 .096 1.002 .317
Behaviroal Control * Prior Knowledge -.067 .060 -.054 -1.123 .262
R2 =.269 adj R2 =.257 F=21.635 p = .000***

** p<.01,

*** p<.001

IV: Independent varaibles(Attitude and norms + Behavioral control)

MV: Moderating variable(Prior knowledge)

DV: Dependent varaible(Intention to visit)

Int: Interaction terms

References

Ajzen, I.. (1985). From intentions to actions: a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 KuhlJ., BeckmanJ., editors. Action-Control: From cognition to behavior p.11-39. New York, Springer.
Ajzen, I. (1991). The thero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50(2), 179-211.
crossref
Bandura, A.. (1977). Social Learning Theory NJ, Prentice-Hall.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crossref pmid
Bristow, I., & Mak, M. (2009). Fungal foot infection: the hidden enemy? Wounds, 5(4), 72-78.
Choi, K. (2022). A Study on the effect of service quality factors and consumer value perception on the satisfaction of problematic foot care in nail shop.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8(5), 1072-1083.
crossref pdf
Degreef, H. J., & DeDoncker, P. R. (1994). Current therapy of dermatophytosi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Dermatology, 31(3), 25-30.
crossref
Fishbein, M., & Ajzen, I.. (1975).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MA, Addison-Wesley.
Han, S. O., & Chang, C. G. (2019). Analysis of participation behavior factors in applying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20(2), 151-161.
crossref
Hong, S. P. (2017). Examination of participation intention of local residences for 2018 phyungchang winter olympic based on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6(6), 339-349.
crossref
Jang, M. A., Lee, J. M., & Bae, S. H. (2022). A study of consumer choice behavior determination apply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f functional cosmetics.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20(1), 95-110.
Kim, E. H. (2012). Foot health status and foot self care among older adults in a senior center. Master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isty, Seoul.
Kim, H. M., & Seo, J. M. (2019). Effects of diabetic foot care education for the aged with low health literacy. Research in Community and Public Health Nursing, 30(4), 560-570.
crossref pdf
Kim, S. H., & Kim, E. S. (2019). 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roblematic toenails recognition and nail salon recommendation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9), 301-309.
Lee, E. N., Kim, N. G., & Kim, S. H. (2020). Foot health condition and related characteristics of nurse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7(3), 289-297.
Lopez-Lopez, D., Perez-Rios, M., Ruano-Ravina, A., Losa-lglesias, M. E., Becerro-de-Benogoa-Vallejo, R., Romero-Morales, C., Calvo-Lobo, C., & Navarro-Flores, E. (2021). Impact of quality of life related to foot problems: a case-control study. Scientific Reports, 11(14515), 1-6.
pmid pmc
Nickell, G. S., & Hinsz, V. B. (2023). Apply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o understand workers’ production of safe food. Journal of Work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39(2), 89-100.
crossref
Noh, G. Y., Park, D. J., & Kwon, M. S. (2013). Addiction disposition and intention to use exually explicit material on the internet: an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7(4), 168-191.
Oh, K. H. (2022). Effects of SNS marketing by beauty service customers on word of mouth effect and purchase behavioral inten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23(6), 252-261.
crossref
Park, H. S., & Kim, H. C. (2022). Analyzing the differences of consumer purchase behavior by the genres of performing arts products: an extens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model. Journal of New Industry and Business, 40(2), 121-148.
Park, S. A., & Choi, M. O. (2013). The comparison of theory of planned behavior according by preventive exercise execution for musculoskeletal disease in aestheticia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9(4), 692-700.
Park, S. H., & Han, M. J. (2007). A survey on user attitudes and behavioral intention for identifying preventive campaign measures for illegal online downloading. Journal of Public Relations, 11(2), 195-231.
Rahman, F., Mahmud, I., Jiang, B., & Sarker, K. (2022). Extend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 case of learning chinese as a third language. International Journal of Instruction, 15(1), 945-964.
crossref
Ryu, S. H., & Kim, J. D. (2022). Behavior of toenail management and state of problematic toenail management. Korean Society of Cosmetics and Cosmetology, 12(2), 147-156.
Suntornsan, S., Chudech, S., & Janmaimool, P. (2022). The role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 explaining the energy-saving behavior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physical impairments. Behavioral Sciences, 12(334), 1-18.
crossref
Yoon, S. M. (2015). Understanding for behavioral intention and support of local residents toward tourism event, based on the expectancy disconfirmation theory and theory of planned behavior. Korean Journal of Hospitality and Tourism, 24(1), 127-145.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10-2825-6735   Fex: +82-62-950-3797    E-mail: beauty2007@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